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김성원 PaTI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도시정원 사례
Dalston Eastern Curve Garden

달스턴 동부 커브 정원은 과거 런던 북부 기차 역사가 있던 곳에 조성된 도시 텃밭정원. 건축집단 Exyzt가 2009년
이곳에 가건물을 만들고, 2010년 봄 달스턴 시민들을 위한 워크숍과 행사를 위한 나무 가설건물과 정원을 조성.

다양한 야생 과실수와 교목, 관목, 엽채류와 화초, 약초 재배. 달스턴 지역과 텃밭 농산물 판매

차, 커피, 음료,빵, 스프, 셀러드를 먹을 수 있는 가든 카페 운영
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워크숍, 주민행사 개최.
Union Street Urban Orchard 도시과수원

런던 유니온 100 스트리트에 2008년 임시 조성된 도시과수원.

건축스튜디오, 건축재단, 뱅크사이드 개방공간 신탁이 공동 조성.

폐 빠레트를 이용한 상자 과수원, 놀이기구, 과즙압착장, 미니 온실, 차를 마실 수 있는 그늘막, 벤치 등이 마련 됨.

사과 압착 사이다를 판매하며, 곳곳에 이 모델을 차용한 도시과수원들이 확장 됨.
도심공터 정원, Le 56 프로젝트는 도시 공터에 시민협력으로 자체 관리 정원으로 변모 가능성 탐색
2006 년 파리 동부의 St. Blaise 지역에서 시작된이 프로젝트는 지방 정부, 지역 조직, 주민 거주자 및 생태
건설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문협회 사이의 협업으로 공지에 도시공터 정원을 조성
Le 56, St. Blaise, Paris 공터정원
Longford Street, in Middlesbrough. UK(아동빈곤최악지역, 실업률 7.7%) , 녹색 골목(Green Alley) 정원
75세의 Mavis Arnold 여사가 2005년부터 도시재생 프로젝트 자금(한화로 약 1천만원)을 받아 더럽던 거리에
넝쿨 아치를 세우고 이웃들과 함께 차 없는 골목길 정원 조성
Longford Street Green Alley 골목 정원
기후 변화에 관한 2006-2012 년
퀘벡 정부의 행동 계획 (PACC) Agenda 21 의 녹
색 기금, EcoAction과 INSPQ의 자금 지원
수시로 배수가 잘 되지 않고 수렁으로 변하던
Salaberry 거리와 Michel-Sarrazin 거리는
2013 년 여름에 녹색골목(La Ruelle verte
Cartierville)으로 변화.
생물다양성과 생활환경 개선/ 차량이 들어갈 수
있도록 차 간격에 맞춘 바닥과 중앙 잔듸로 구성
2014년 조경건축가협회의 도시디자인상 수상
몬트리올은 2016년 약 320 개의 녹색 골목 프로
젝트를 관여. 관내 19개 각 자치구에는 시민이 주
도한 최소 1개 이상의 녹색골목이 있으며, 몬트리
올 섬 전체로는 총 360 개의 녹색 골목이 있고 그
연장길이는 총 69km
La Ruelle verte Cartierville 녹색 골목
녹색 골목(Ruelle verte)의 특징
1. 시민참여의 결과
2. 빗물 배수, 쓰레기통, 녹색 지붕, 녹색 담장, 빗물 저금통
3.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생 식물, 정원, 화분,
식용 식물, 곤충 호텔, 둥지 상자 등 설치
4. 차량을 줄이고 안전을 유지하는 시설
5. 골목 놀이터, 놀이, 장남감 상자
6. 열섬 효과를 줄일 수 있는 교목
7. 청결을 유지하고 파손을 줄이기위한 책임 공유
8. 벽화 및 장소를 아름답게하는 창조적 아이디어 수용
9. 모든 종류의 골목 파티, 이웃 파티, 골목 영화관 등
10. 그리고 더 많은 것들!
•위치 : 뉴욕 맨해튼 서쪽 침례교회 옥상 부엌농장
•주체 : 2010년부터 시작. 메트로침례교회, 메트로폴리탄 커뮤니티 교회, 시의 라우스첸부시 메트
로 담당 부처, 클린턴 주택개발 회사 외 지역의 수 많은 단체들과 기관들에서 나온 1천여명의 자원
봉사자들이 참여
•목적 : 농업 교육 및 지역사회운동을 통해 건강한 먹거리를 판매, 먹거리문화 도시공동체 형성
•운영 : 농작물들을 지역사회지원농업(CSA) 회원들에게 제공, 지역의 식료품보관소를 통해 판매
•활동 : 농장교육, 방과후 식품정의청소년 교육, 건강한 요리 강습과 공동식사, 토론회, 영화 등
 시설 : 텃밭, 워크숍 데크, 가설 영사막, 판매대...기타 교회주방 및 시설 활용
맨해튼 옥상 정원 Hell’s Kitchen
ØsterGRO 옥상정원과 Stedsans 유기농 식당
•위치 : 네델란드 코펜하겐 동쪽 7층짜리 주차장 건물 옥상
•구분 : 유기농 옥상정원(ØsterGRO)과 유기농 식당(Stedsans)
•운영 : 식당은 요리 컬럼리스트 Mette Helbæk, 요리사 Flemming Schiøtt Hansen 이 공동 운영,
옥상 농장은 지역 후원 농업(CSA) 방식으로 운영
•특징 : 유기농식당은 5~10월 기간 중 옥상 건물을 임대하여 목~일요일만 운영
•시설 : 옥상정원, 닭장, 텃밭, 벌통, 주방시설을 갖춘 식당
녹색 담장
녹색 터널

기타 도시 조경을
이동 화분과 가설
구조물들 이용

역시, 공간 제약
이 있음.

디자인 중요

지역 공동체 활
동 제한적
Pop up Garden
녹색 가설물 (Green Pavilion)
덴마크 오르후스(Aarhus)시의 건축가 스테픈 잉곧(Steffen Impgaard)은
도시원예를 체험할 수 있는 녹색 오두막을 만들었다. 일명 The Green
Embassy.
다양한 창조적인 워크숍을 위해 공개된다.
The Queen’s Walk Windows Gardens
런던 The Queen’s Walk Windows Gardens은 테임즈 강변 Royal Festival Hall 앞의 남쪽 강변에 2013년
시민단체인 Wayward와 인근 학교 학생들과 폐 창문 등 재활용 자재를 이용해서 조성한 개방형 도시 시민농장
겸 미로다. 밤에는 불을 밝혀 야간 조명으로 활용된다. 작물 재배를 위한 물은 수동식 페달 펌프를 이용해서 테임
즈 강의 물을 끌어온다.
Pop up Forest (도시 임시 숲)
샌프란시스코 시장 거리 프로토타이핑 축제 때 설치된 임시 도시 숲 (Pop Up Forest).
Finland Helsinki Railway Turntable (도시 온실)
단체 Dodo가 2009년 버려진 기차역 차고지를 점거한 후 2012년 조성한 도시 농장 겸 레스토랑으로 쓰이는 도심
에서 채소와 벌꿀을 키울 뿐 아니라, 카페와 식당(매주 금요일만), 문화공간으로 활용
차량을 회전시키는 대형 철판 턴테이블 위에 세워진 까닭에 이 온실은 ‘Turntable’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도시정원 프로그램

도시 과수원

도시 공유지(전환기) 정원

도시 공터 정원

도시 옥상 정원

녹색 골목 정원 - 수직 정원(녹색담장)

녹색 터널

도시 팝업 정원

도시 팝업 가설물(Pavilion, Greenhouse)

도시 팝업 숲 (Urban Pop up Forest)
정원 시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지역 주민들의
참여와 지속적인 운영관리 체계 구축
도시 정원에서 다양한 주민주도 행사와 일상적 이용
도시정원 프로세스
후보지 조사 주민 협의/부지선정 작업 팀 구성 구상/디자인 시설 조성
개장행사 기록정리 이용관리 규약 작성 관리 모임 구성 식물 식재
상시관리 계획 수립 이용 계획
~~ 2월 25일까지 ~~ 3월 중순까지 ~~3월 말
~~4월 식목일 ?~~4월 중순까지~~5월 초~~어린이 날/
늦어도 5월 중순
5월 말까지
조사팀 구성
프로그램별 후보지
조사
조사항목 사전 정리
잠정 후보지 주민협의
후 확정
(동의 필요시)
청년, 주민, 공무원
디자이너가 참여
하는 프로그램 별
팀 구성
(주민관여 강화)
디자인, 비용, 자재
, 필요공구, 인력,
지역 재활용자원
등 파악
시민, 전문가 참여하
여 조성
시설/토양 준비
●
워크숍으로 조성
사전 식재 계획
식물 기부 접수
종자, 모종, 묘목
구매 및 식재
식목일 행사와
연계
●
가드닝 교육
●
도시농업
워크숍
프로그램별
인근 주민, 지역
주민 단체 등 중
심으로 관리 모임
및 모임, 주민 리
더 선정
관수, 비료, 재배
관리, 시설 청소,
이용 등 관리 규
약 작성
그 동안 활동, 글,
사진 등 정리, 자
료집 등 제작
어린이날, 어버이날
행사 등과 연계
상시관리, 이용,
행사 계획 등
수립
시설, 식재 추가 보강
시설 제작 워크숍
가드닝 워크숍
퍼머컬쳐 디자인
요리 등등
년 말까지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Seongwon Kim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Seongwon Kim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Seongwon Kim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Seongwon Kim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Seongwon Kim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Seongwon Kim
 
창의력을 키우는 놀이와 놀이공간
창의력을 키우는 놀이와 놀이공간 창의력을 키우는 놀이와 놀이공간
창의력을 키우는 놀이와 놀이공간
Seongwon Kim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Seongwon Kim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Seongwon Kim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Seongwon Kim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Seongwon Kim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Seongwon Kim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Seongwon Kim
 

What's hot (20)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창의력을 키우는 놀이와 놀이공간
창의력을 키우는 놀이와 놀이공간 창의력을 키우는 놀이와 놀이공간
창의력을 키우는 놀이와 놀이공간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Similar to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서울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
서울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서울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
서울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
여성환경연대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제1회 소셜벤처포럼 노원구 아파트 협동조합
제1회 소셜벤처포럼 노원구 아파트 협동조합제1회 소셜벤처포럼 노원구 아파트 협동조합
제1회 소셜벤처포럼 노원구 아파트 협동조합서영 윤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혜영 신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thebutton
 
2011/07 광교산마을의 변화를 위한 수원생생마켓의 제안
2011/07 광교산마을의 변화를 위한 수원생생마켓의 제안2011/07 광교산마을의 변화를 위한 수원생생마켓의 제안
2011/07 광교산마을의 변화를 위한 수원생생마켓의 제안융선 최
 
쌈지농부 회사소개 ver.201005
쌈지농부 회사소개 ver.201005쌈지농부 회사소개 ver.201005
쌈지농부 회사소개 ver.201005
쌈지농부 ssamzienongbu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thebutton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푸드스마일즈 우양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economad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seoulgreentrust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Kyunghyun Kim
 
학장천 살리기 주민모임 (2003)
학장천 살리기 주민모임 (2003)학장천 살리기 주민모임 (2003)
학장천 살리기 주민모임 (2003)
여성환경연대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seoulgreentrust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한국내셔널트러스트 한국내셔널트러스트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Seongwon Kim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seekly
 
20100114 발표8번 아름다운채소가게와 채소순환시스템 김종걸박나래(수정)
20100114 발표8번 아름다운채소가게와 채소순환시스템 김종걸박나래(수정)20100114 발표8번 아름다운채소가게와 채소순환시스템 김종걸박나래(수정)
20100114 발표8번 아름다운채소가게와 채소순환시스템 김종걸박나래(수정)olivia19
 
농촌관광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 발제 레스트코리아 김도희
농촌관광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 발제   레스트코리아 김도희농촌관광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 발제   레스트코리아 김도희
농촌관광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 발제 레스트코리아 김도희
restkorea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seekly
 

Similar to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20)

서울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
서울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서울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
서울도시농업 비전투어자료집 201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제1회 소셜벤처포럼 노원구 아파트 협동조합
제1회 소셜벤처포럼 노원구 아파트 협동조합제1회 소셜벤처포럼 노원구 아파트 협동조합
제1회 소셜벤처포럼 노원구 아파트 협동조합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2011/07 광교산마을의 변화를 위한 수원생생마켓의 제안
2011/07 광교산마을의 변화를 위한 수원생생마켓의 제안2011/07 광교산마을의 변화를 위한 수원생생마켓의 제안
2011/07 광교산마을의 변화를 위한 수원생생마켓의 제안
 
쌈지농부 회사소개 ver.201005
쌈지농부 회사소개 ver.201005쌈지농부 회사소개 ver.201005
쌈지농부 회사소개 ver.201005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더버튼 & 에코버튼 소개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먹거리 돌봄망 이대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연구보고서]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한 서울그린비전 2040 연구_서울그린트러스트.pdf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학장천 살리기 주민모임 (2003)
학장천 살리기 주민모임 (2003)학장천 살리기 주민모임 (2003)
학장천 살리기 주민모임 (2003)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2018 공원의친구들 사업결과보고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081020 창녕군발표자료
 
20100114 발표8번 아름다운채소가게와 채소순환시스템 김종걸박나래(수정)
20100114 발표8번 아름다운채소가게와 채소순환시스템 김종걸박나래(수정)20100114 발표8번 아름다운채소가게와 채소순환시스템 김종걸박나래(수정)
20100114 발표8번 아름다운채소가게와 채소순환시스템 김종걸박나래(수정)
 
농촌관광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 발제 레스트코리아 김도희
농촌관광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 발제   레스트코리아 김도희농촌관광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 발제   레스트코리아 김도희
농촌관광 개선방안 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 발제 레스트코리아 김도희
 
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마전권역1203
마전권역1203
 

More from Seongwon Kim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Seongwon Kim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Seongwon Kim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Seongwon Kim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Seongwon Kim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Seongwon Kim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Seongwon Kim
 

More from Seongwon Kim (20)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 1. 김성원 PaTI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도시정원 사례와 도시정원 프로그램
  • 3. Dalston Eastern Curve Garden  달스턴 동부 커브 정원은 과거 런던 북부 기차 역사가 있던 곳에 조성된 도시 텃밭정원. 건축집단 Exyzt가 2009년 이곳에 가건물을 만들고, 2010년 봄 달스턴 시민들을 위한 워크숍과 행사를 위한 나무 가설건물과 정원을 조성.  다양한 야생 과실수와 교목, 관목, 엽채류와 화초, 약초 재배. 달스턴 지역과 텃밭 농산물 판매  차, 커피, 음료,빵, 스프, 셀러드를 먹을 수 있는 가든 카페 운영 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워크숍, 주민행사 개최.
  • 4.
  • 5. Union Street Urban Orchard 도시과수원  런던 유니온 100 스트리트에 2008년 임시 조성된 도시과수원.  건축스튜디오, 건축재단, 뱅크사이드 개방공간 신탁이 공동 조성.  폐 빠레트를 이용한 상자 과수원, 놀이기구, 과즙압착장, 미니 온실, 차를 마실 수 있는 그늘막, 벤치 등이 마련 됨.  사과 압착 사이다를 판매하며, 곳곳에 이 모델을 차용한 도시과수원들이 확장 됨.
  • 6.
  • 7. 도심공터 정원, Le 56 프로젝트는 도시 공터에 시민협력으로 자체 관리 정원으로 변모 가능성 탐색 2006 년 파리 동부의 St. Blaise 지역에서 시작된이 프로젝트는 지방 정부, 지역 조직, 주민 거주자 및 생태 건설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문협회 사이의 협업으로 공지에 도시공터 정원을 조성 Le 56, St. Blaise, Paris 공터정원
  • 8.
  • 9.
  • 10. Longford Street, in Middlesbrough. UK(아동빈곤최악지역, 실업률 7.7%) , 녹색 골목(Green Alley) 정원 75세의 Mavis Arnold 여사가 2005년부터 도시재생 프로젝트 자금(한화로 약 1천만원)을 받아 더럽던 거리에 넝쿨 아치를 세우고 이웃들과 함께 차 없는 골목길 정원 조성 Longford Street Green Alley 골목 정원
  • 11.
  • 12. 기후 변화에 관한 2006-2012 년 퀘벡 정부의 행동 계획 (PACC) Agenda 21 의 녹 색 기금, EcoAction과 INSPQ의 자금 지원 수시로 배수가 잘 되지 않고 수렁으로 변하던 Salaberry 거리와 Michel-Sarrazin 거리는 2013 년 여름에 녹색골목(La Ruelle verte Cartierville)으로 변화. 생물다양성과 생활환경 개선/ 차량이 들어갈 수 있도록 차 간격에 맞춘 바닥과 중앙 잔듸로 구성 2014년 조경건축가협회의 도시디자인상 수상 몬트리올은 2016년 약 320 개의 녹색 골목 프로 젝트를 관여. 관내 19개 각 자치구에는 시민이 주 도한 최소 1개 이상의 녹색골목이 있으며, 몬트리 올 섬 전체로는 총 360 개의 녹색 골목이 있고 그 연장길이는 총 69km La Ruelle verte Cartierville 녹색 골목
  • 13.
  • 14. 녹색 골목(Ruelle verte)의 특징 1. 시민참여의 결과 2. 빗물 배수, 쓰레기통, 녹색 지붕, 녹색 담장, 빗물 저금통 3.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생 식물, 정원, 화분, 식용 식물, 곤충 호텔, 둥지 상자 등 설치 4. 차량을 줄이고 안전을 유지하는 시설 5. 골목 놀이터, 놀이, 장남감 상자 6. 열섬 효과를 줄일 수 있는 교목 7. 청결을 유지하고 파손을 줄이기위한 책임 공유 8. 벽화 및 장소를 아름답게하는 창조적 아이디어 수용 9. 모든 종류의 골목 파티, 이웃 파티, 골목 영화관 등 10. 그리고 더 많은 것들!
  • 15. •위치 : 뉴욕 맨해튼 서쪽 침례교회 옥상 부엌농장 •주체 : 2010년부터 시작. 메트로침례교회, 메트로폴리탄 커뮤니티 교회, 시의 라우스첸부시 메트 로 담당 부처, 클린턴 주택개발 회사 외 지역의 수 많은 단체들과 기관들에서 나온 1천여명의 자원 봉사자들이 참여 •목적 : 농업 교육 및 지역사회운동을 통해 건강한 먹거리를 판매, 먹거리문화 도시공동체 형성 •운영 : 농작물들을 지역사회지원농업(CSA) 회원들에게 제공, 지역의 식료품보관소를 통해 판매 •활동 : 농장교육, 방과후 식품정의청소년 교육, 건강한 요리 강습과 공동식사, 토론회, 영화 등  시설 : 텃밭, 워크숍 데크, 가설 영사막, 판매대...기타 교회주방 및 시설 활용 맨해튼 옥상 정원 Hell’s Kitchen
  • 16.
  • 18. •위치 : 네델란드 코펜하겐 동쪽 7층짜리 주차장 건물 옥상 •구분 : 유기농 옥상정원(ØsterGRO)과 유기농 식당(Stedsans) •운영 : 식당은 요리 컬럼리스트 Mette Helbæk, 요리사 Flemming Schiøtt Hansen 이 공동 운영, 옥상 농장은 지역 후원 농업(CSA) 방식으로 운영 •특징 : 유기농식당은 5~10월 기간 중 옥상 건물을 임대하여 목~일요일만 운영 •시설 : 옥상정원, 닭장, 텃밭, 벌통, 주방시설을 갖춘 식당
  • 20.
  • 21.
  • 22.
  • 24.  기타 도시 조경을 이동 화분과 가설 구조물들 이용  역시, 공간 제약 이 있음.  디자인 중요  지역 공동체 활 동 제한적 Pop up Garden
  • 25.
  • 26.
  • 27.
  • 28.
  • 30. 덴마크 오르후스(Aarhus)시의 건축가 스테픈 잉곧(Steffen Impgaard)은 도시원예를 체험할 수 있는 녹색 오두막을 만들었다. 일명 The Green Embassy. 다양한 창조적인 워크숍을 위해 공개된다.
  • 31.
  • 32. The Queen’s Walk Windows Gardens
  • 33.
  • 34. 런던 The Queen’s Walk Windows Gardens은 테임즈 강변 Royal Festival Hall 앞의 남쪽 강변에 2013년 시민단체인 Wayward와 인근 학교 학생들과 폐 창문 등 재활용 자재를 이용해서 조성한 개방형 도시 시민농장 겸 미로다. 밤에는 불을 밝혀 야간 조명으로 활용된다. 작물 재배를 위한 물은 수동식 페달 펌프를 이용해서 테임 즈 강의 물을 끌어온다.
  • 35. Pop up Forest (도시 임시 숲) 샌프란시스코 시장 거리 프로토타이핑 축제 때 설치된 임시 도시 숲 (Pop Up Forest).
  • 36.
  • 37.
  • 38. Finland Helsinki Railway Turntable (도시 온실) 단체 Dodo가 2009년 버려진 기차역 차고지를 점거한 후 2012년 조성한 도시 농장 겸 레스토랑으로 쓰이는 도심 에서 채소와 벌꿀을 키울 뿐 아니라, 카페와 식당(매주 금요일만), 문화공간으로 활용 차량을 회전시키는 대형 철판 턴테이블 위에 세워진 까닭에 이 온실은 ‘Turntable’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 39.
  • 40.
  • 41.
  • 42. 도시정원 프로그램  도시 과수원  도시 공유지(전환기) 정원  도시 공터 정원  도시 옥상 정원  녹색 골목 정원 - 수직 정원(녹색담장)  녹색 터널  도시 팝업 정원  도시 팝업 가설물(Pavilion, Greenhouse)  도시 팝업 숲 (Urban Pop up Forest) 정원 시설보다 더 중요한 것은 지역 주민들의 참여와 지속적인 운영관리 체계 구축 도시 정원에서 다양한 주민주도 행사와 일상적 이용
  • 43. 도시정원 프로세스 후보지 조사 주민 협의/부지선정 작업 팀 구성 구상/디자인 시설 조성 개장행사 기록정리 이용관리 규약 작성 관리 모임 구성 식물 식재 상시관리 계획 수립 이용 계획 ~~ 2월 25일까지 ~~ 3월 중순까지 ~~3월 말 ~~4월 식목일 ?~~4월 중순까지~~5월 초~~어린이 날/ 늦어도 5월 중순 5월 말까지 조사팀 구성 프로그램별 후보지 조사 조사항목 사전 정리 잠정 후보지 주민협의 후 확정 (동의 필요시) 청년, 주민, 공무원 디자이너가 참여 하는 프로그램 별 팀 구성 (주민관여 강화) 디자인, 비용, 자재 , 필요공구, 인력, 지역 재활용자원 등 파악 시민, 전문가 참여하 여 조성 시설/토양 준비 ● 워크숍으로 조성 사전 식재 계획 식물 기부 접수 종자, 모종, 묘목 구매 및 식재 식목일 행사와 연계 ● 가드닝 교육 ● 도시농업 워크숍 프로그램별 인근 주민, 지역 주민 단체 등 중 심으로 관리 모임 및 모임, 주민 리 더 선정 관수, 비료, 재배 관리, 시설 청소, 이용 등 관리 규 약 작성 그 동안 활동, 글, 사진 등 정리, 자 료집 등 제작 어린이날, 어버이날 행사 등과 연계 상시관리, 이용, 행사 계획 등 수립 시설, 식재 추가 보강 시설 제작 워크숍 가드닝 워크숍 퍼머컬쳐 디자인 요리 등등 년 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