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44
Download to read offline
학교 중심 공간의 사례들과
사전기획
Play AT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학교 중심 공간 조성의 목적
학교 내 대형 다기능, 다목적 공간의 마련
(휴식, 행사, 상영, 학습, 발표)
자연스런 교차와 교류의 공간 조성
(비공식적 교류 기회를 확대하므로
사회관계능력 개발)
자유로운 비공식적 공간과 분위기 형성
(비공식적 학습과 아이디어 교환의 촉진)
마을 속 학교로서 커뮤니티 공간
(학교 공동체, 지역 사회 공동체의 협력을
촉진하고 공동체성 형성)
학습 허브로서 공간
(자율적 학습, 발표, 토론, 융합 학습이
일어나는 중심 공간)
OECD (“Pisa and the Key Competences”, 2005)는 "미디어와 언어를 활용한 상호작용과 이질적인 집단에서 상호작용(사회관계)" 역량이
주체적이고, 경제적으로 자립적이며, 사회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초 역량으로 학생들에게 교육해야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현대학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와 사회관계기술의 함양을 주요한 교육과제로 삼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학교의 중심으로 조성하기 시작했다. 커뮤니티 공간에는 식당, 도서관, 현관 홀, 강당, 공연장, 자습센터, 체육관 등이 포함되는 데 다양한 학생의
일상적인 교차와 교류가 일어나도록 학교 건물의 중심에 배치하고 상호 연결성과 개방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조성하고 있다.
연천초등학교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
연천초등학교의 중심공간 기획
(개축)
다목적 광장형 공간
유치원
도서관
특별
교실
일반
교실
식당
일반
교실
A안
학습거리형
B안
아뜨리움형
기존 교사동을 공사
기간 활용키로 함에
따라 개축 위치와
공간 배치 변경
연천초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C안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Play AT 연구소
1층
2층
연천초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C안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Play AT 연구소
연천초등학교의 중심공간 공간 디자인 카드
사전기획가와 교사공동체가 검토 제시한 C안을
참조하고, 이집건축의 설계자가 건축적 고려 사항들을
감안하여 수정 제출한 최종안이다. 이후는 설계자가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세부적인 조정을 하였다.
연천초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확정안 (1층)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
연천초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확정안 (2층)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
덕양중학교
출처: 스튜디오 501
이집건축설계사무소
다목적 강당/식당
행사/공연 구역
그룹 공간 개별공간
개방도서관 및
학습카페 구역
야외
공간
야외공
간
스튜디오 형
특별교실
스튜디오 형
특별교실
스튜디오 형
특별교실
야외공
간
덕양중학교의 중심공간 기획
(리모델링, 증축)
보
건
실
(
개
수)
54.
48
교장실
기술실
97.2
WW
WW
미술실
97.2
숙
직
체육관 하부
필로티 구역
준비
실
과학실
129.6
준
비
실
준
비
가사실
64.8
멀티미디
어실
(방송실/
능동학습
WW
WW
1층
WW
WW
WW
WW
소그
룹실
27.3)
미화
18.4
6
공동체
아카이브
실122.25
특수학
급
97.2
보건
64.8
상
담
다목적
공연실
(음악, 공연, 상
영)
129.6
행정 WW
WW
WW
WW
준
비
실
WW
WW
덕양중학교는 앞서 개발된 4개 장 중 D안을 기초로 검토 워크숍 및 집중 논의와 수정 작업을 통해 최종적인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을 확정했다. 이 확정안은
각 교육공간의 배치와 연결관계를 포함한다. 또한 기존 교사동의 리모델링, 신축 체육관/급식동, 추가 증축되는 별동, 이들 공간을 통합하는 광장형 공간을
포괄한다.
덕양중학교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D안
* 공연활동의 실시간 스트리밍 지원을 위한 HD급 무선 AP
*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한 상영, 강연을 위한 천장 거치 또는 이동형 빔 프로젝터 및 영사막
덕양중학교의 중심공간 공간 디자인 카드
덕양중학교 중앙 광장형 공간(커뮤니티홀)의 도서 영역
디자인 카드 추가 요구 사항
1

광장공간 내 서가 입출납 통제와
관리가

가능한 도서 구역 설정 필요

서가 구역 내 사서 업무 및 대출
프론트와

서적 관리 공간 별도 설정 필요

단 도서 구역은 시각적으로
개방되도록 강화 유리벽을 사용하여
공간 구분

출입문 역시 개방적인 광폭 미닫이문
또는 폴딩도어 설치

도서 구역 내 별도 냉난방 필요

도서 구역 내 바닥 난방이 되는 좌식
공간 마련
미술실
기술실 버들치반
보건실
음악실
상담실 급식실
실내광장(도서관)
과학실
멀티미디어
가사실
아카이빙
행정/교장
소그룹/
미화원실
출처: 스튜디오 501
덕양중학교의 설계안 - 1층
1-1
옥상정원
다목적강당
학생공간
교무실
1-2
1-3
옥상정원
2층
출처: 스튜디오 501
2-1
다목적강당(상부)
2-3
다목적실
지원공간
2-2
야외테라스
3-1
3-2
3-3
3층
출처: 스튜디오 501
사전기획의 성공요인
1. 충분한 사례 연구와 제시를 통한 인식 변화
2. 공간 조성의 명확한 주안점과 컨셉 설정
3. 다양한 제안, 충분한 토론과 워크숍
4. 세부 요구사항을 정리한 공간 디자인 카드 작성
(용도, 공간 디자인, 필요 설비와 장비 등 상세히..)
5. 사전기획가와 설계자의 협업 기간과 충분한 소통
(사전기획가, 참여자 설계공모안 리뷰 및 수정 요구
설계자의 계획도면에 대한 리뷰 및 수정 참여)
해외 학교 중심 공간 조성 사례들
기타 사례 : 사쿠라가 오카 고등학교(石川 立金 丘高等 校
県 沢桜 学 )의 중심공간
(도서관과 락커 공간, 강당을 중심 공간으로)
이시카와 가나자와 시내의 구릉지에 위치한 사쿠라가 오카 고등학교(石川 立金 丘高等 校
県 沢桜 学 )는 메이지 유신 시절 "문무 양도"의 역사적 전통을 갖고 있는
학교다. 오래된 학교를 개축하면서 학교 교사동에 붙여 2층 높이의 개방적인 도서미디어 센터를 증축했다. 도서미디어 센터의 뒤쪽은 교사동 각층은 물론
옥상까지 연결되어 있고, 앞쪽은 브릿지가 있어 교사동 2의 복도형 테라스와 연결되어 학생들의 접근과 이동이 편리하다. 이러한 연결 구조로 자연스럽게
교사동과 도서미디어센터 가운데 중정이 만들어졌다. 도서미디어센터는 도서관의 21세기 버전이라 할 수 있는 데 열람 공간 이외에도 검색, 학습, 자율 학습
공간, 락커 구역을 갖추고 있다. 도서미디어센터에 이렇게 락커를 설치하여 등하교시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수시로 자신의 소지품을 찾거나
보관하기 위해 돌아오는 홈베이스 역할을 하게 된다. 도서미디어 센터를 학교의 일상적 중심 공간으로 만든 조치다. 도서미디어센터동에는 대형 시청각실을
포함하고 있다. 교사 동 3,4층에서 바로 연결될 뿐 아니라 미디어센터 중앙부를 통해 올라올 수 있는 옥상에는 "휴식 라운지"를 만들어 학생들이 학교 생활
속에서 여유와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다. (홈베이스, 대형시청각실, 도서관이 통합된 도서미디어센터를 중축, 건물동 연결성 높임)
기타 사례 : IGS Alexej von Jawlensky School의 중심공간
(식당 겸 강당(음악홀), 매점 연결)
매점과 강당은 이동식 칸막이로 연결되어 있으며, 식당 겸 강당으로 사용하며 중간에 가변벽 설치하여 공간을 구분할 수 있으며 학교 일상
생활의 중심 공간으로 통합되어 있다.
매점
강당 겸 식당
기타 사례 : Schule im Birch, Zürich의 중심공간
(강당과 카페테리아(식당)를 결합)
강당과 카페테리아 사이에 이동 간벽을 설치하여 개방 시 이벤트 홀로 사용하며, 푸드 카운터 위 갤러리 공간은 라운지 공간으로 사용)
카페테리아
강당
기타 사례 : lundtofte skole (문화예술센터를 학교의 중심 공간으로)
덴마크 콘겐스(Kongens) 링비(Lyngby)의 룬쵸프테(Lundtofte) 학교는 2018년부터 기존 학교 건물을 증개축하며 현대화하고 있다. 공사 중인데
2021년 완공될 예정이다. 이 학교는 교육, 공동체, 포용성, 행복, 헌신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는 학교이다. 창의적인 예술, 음악 과목이 공동체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다. 증개축하며 지역 주민, 지역 동호회와 함께 이용할 수 있고 공연 공간과 도서
구역을 포함하는 문화예술센터를 학교 내에 조성하고 있다. 기존 학교 건물들은 안뜰을 중심으로 정방형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한쪽 건물을 따라
안뜰을 가로지르며 문화예술센터(예술강당)를 배치하고 있다. 이 문화예술센터는 학교의 중심 역할을 하며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이곳에서 할 수
있다. 낮에는 학생과 교사들의 중앙 모임 장소로 사용하고, 연극, 음악, 아침 노래 시간, 사교 모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조성하고 있다. 방과후
문화 센터는 주민들의 행사와 콘서트 등을 위해 개방한다. 기존 교실은 복도 쪽으로 일부 확장하여 교실 내 차별화 구역을 만들어 'L'형 교실로
바꾸고 있다. 일부 교실들은 서로 연결하여 연결성과 유연성을 더하고, 몇개 교실은 인접한 개방형 소그룹실로 확장할 수 있는 확장형 교실로
재구조화하고 있다.
기타 사례 : Munkegaard Skole, Gentofte(DK)의 중심공간
(광폭 학습 계단이 중심 공간 형성, 계단 하부와 뒷편이 도서관)
무대
기타 사례 : Kirkkojärvi Comprehensive School, Espoo (FIN)의 중심공간
(현관 홀, 식당 겸 강당, 체육관을 유기적으로 연결, 무대를 앞 뒤에서 개방 가능)
무대
체육관
식당
현관 홀
기타 사례 : Trias VMBO (중앙통로인 학습거리를 학교중심 공간으로)
규모가 큰 국내 학교들은 여러 건물동을 분기할 경우 방사형으로 배치하지 않고 대개 수평으로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해외에도 일렬로 건물동을 배열하는 사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놓치지 않는 점은 각 건물동을 하나로 이어주는 동선 축이다. 다수의 현대학교들은 각 건물동을 연결하는 축을 중앙 공용공간, 즉 커뮤니티
공간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형태를 포크형이라고도 부르는데, 중심 공용공간으로부터 각 건물동을 분기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방사형과 동일하다. 네델란드
잔스타트(Zaanstad)에 2007년 지어진 Trias VMBO는 현대적인 포크형 학교의 전형을 보여준다. 지역의 세곳에 나뉘어 있던 중고등 학교를 통폐합하면서
1000명의 학생이 다니는 대규모 학교로 조성한 곳이다. 동시에 지자체가 운영하는 체육센터를 학교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복합시설로 운영하고 있다.
여러 건물동을 연결하고 있는 중심 동선 축인 긴 직사각형 광장 공간을 이 학교에서는 'De Brink'라 부른다. 'De Brink'는 한쪽 끝에서 '스포츠 광장(체육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De Brink'는 Trias 학교의 중심 교차 구역으로 학생들이 상호 교류하게 하고, 학교의 일원으로 공동체성을 갖도록 하는 커뮤니티 영역이다. 'De
Brink'의 양쪽 끝에는 계단형 좌석 구역이 있는데, 이곳은 학생들이 휴식하는 공간이자 학습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중앙 벽면 쪽으로 낮은 무대가 자리 잡고 있다.
대규모 행사를 위해 사용한다. 'De Brink'를 따라 4개의 2층 날개 건물동이 갈라져 있다. 고등 학생들을 위한 학습 영역은 'De Brink'를 중심으로 날개동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는데 '섹터(3층 건물)'라 불린다. 각 섹터는 층고가 높은 다소 개방적인 다양한 작업 공간들과 학습 공간들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는 그룹실, 교사실,
자율학습 영역, 다양한 직업교육 교실, 제작실, 상담 공간, 사물함이 있는 홈베이스가 있다.
(De Brink 한쪽의 계단 공간-휴식 및 학습 공간으로 활용한다.) (De Brink를 가로지르는 고가 통로)
기타 사례 : Hellerup Skole(코펜하겐)의 중심공간
(2개의 학습계단, 카페, 도서관을 결합한 다목적 현관 홀을 학교의 중심으로 조성)
기타 사례 : MØller 학교(Schleswig)의 중심공간
(광폭 학습 계단으로 중앙 홀과 도서관, 강당이 위 아래로 연결되어 있다.)
도서관
중앙 홀
강당
2020 일본 나가노현 학교 디자인 가이드
일본 나가노현은 현립 학교 학습공간 디자인 검토 위원회를 설치하고, [정비계획 최적화 전문부회]를 조직했다. 전문부회는 건축가, 재정전문가, 교육전문가 등
11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전문부회는 약 2년여에 걸쳐 조사 연구한 후 2020년에 나가노현 학교 디자인안을 담은 최종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는
고등학교 개혁을 위한 학교 공간의 재구조화와 정비를 위한 디자인 방안을 담고 있다.
* 일본 나가노현의 학교 디자인 가이드는 도서-미디어 학습센터와 다목적 확장형 중앙복도를 학교의 중심공간으로 제안하고 있다.
기타 사례 : VMBO De Titaan, Hoorn (NL)의 중심공간
(광폭 학습 계단, 무대, 카페의 기능이 통합되어 있는 중심공간)
기타 사례 : Ørestad College, 코펜하겐의 중심공간
(1층 현관, 관람 객석, 체육관을 따로 또 연결하여 활용 가능, 오픈 룸 디자인 적용)
기타 사례 : 리슬 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학습 허브를 학교중심 공간으로
미국 리슬(Lisle. 2019) 학교는 건물 중앙의 대형 홀
주변에 교실들을 배치한 아뜨리움형 학교로 콘크리트
구조와 커튼월 시스템으로 건축했다. 외부 교실은
콘크리트 구조로 만들었지만 도서관과 열린 학습
계단을 포함하는 대형 홀 부분은 층고가 높고 폭이 넓은
공간을 구성하는 데 적합한 커튼월 구조로 세웠다. 2 층
높이의 대형 중앙 홀은 학교의 중심으로 도서관과
교사와 사회 복지사를 위한 지원 공간, 소그룹과 개별
자율 학습 영역이 통합되어 있는 다목적의 학습 허브다.
도서관을 둘러싼 커다란 고측창의 자연 채광때문에
밝고 기분 좋은 느낌을 준다. 홀 한쪽 편으로는 열린
광폭 학습계단이 있어 2층 교실로 이동할 수 있다. 그
맞은 편엔 대형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다. 학습 허브의
광폭 학습계단 구역을 학습과 상영, 행사 좌석으로
사용한다. 공식 행사나 수업이 없을 때 이곳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사교 공간이자 휴식 공간이다. 광폭
학습 계단은 이동 부분 계단과 좌석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넓은 홀과 도서관 전경을 조망할 수 있다.
( 리슬학교의 학습허브는 도서관을 겸하고 있고, 곳곳에 크고
작은 활동 구역과 좌석이 설정되어 있다.)
기타 사례 : 브리티시 국제 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학습 허브를 중심 공간으로
휴스턴 브리티시 국제학교(British International
School of Houston)도 학교 중심부에 수천 권의 책이
있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도서관을 조성했다. 이
도서관은 학생들이 협력하고 친교를 나눌 수 있는, 종종
조용히 책을 보거나 다소 열정적으로 토론할 수 있는
학습 허브 역할을 한다. 학습허브가 된 도서관은 건물의
심장이자 랜드마크 그 이상이다. 사교 공간과 학습
공간을 통합하여 다양한 분야의 학생과 교사가
자연스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역동적인 환경이다.
학습허브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 곳은 아마도
어학교육 분야일 것이다. 중국의 항조우의 후통 중국
어학원은 외국인들을 위한 중단기 중국어 어학과정을
제공하는 곳이다. 이 어학원도 중심에 보다 자유로운
교류와 보다 많은 언어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 중심에 거대한 학습 카페를 포함한느 학습 카페를
조성했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휴식을 취하거나 놀거나
회화 연습을 하거나 사교의 기회를 늘릴 수 있다. 물론
이 중심 공간 그 자체가 거대한 강의장이 되기도 한다.
( 도서관과 학습카페를 겸하는 휴스턴 브리티시 국제학교의 학습허브)
기타 사례 : Dalby Skole의 증축 (다목적 계단과 열린 공간을 중심 공간으로)
덴마크의 달비 학교는 기존 건물에 두 가지 방식(동일 벽돌 구조, 빔 프레임 구조)으로 덧대어 증축하면서 중앙 다목적 광장 공간과 광폭학습계단을
조성했다. 기존 건물에 덧대어 증축할 경우 자칫 채광이 나빠질 수 있으나 천창을 설치하여 자연채광을 끌어들였다. 전체적으로 교실-> 광폭학습계단->
중앙 다목적 광장공간-> 야외 공간으로 흐름을 갖는다. 증축하며 2층 교실에 야외 계단을 설치했다. (증축을 통해 광폭학습계단을 포함한 중앙 다목적
광장형 공간을 조성하고, 공간 계층과 흐름을 명확히 함)
큐슈 호쿠오카 세난학원 소학교(西南 院小 校
学 学 ) 역시 아뜨리움형 학교다. 아뜨리움을 중심으로 교실을 배치해서 시각적 사각지대가 없는 "큰 집"과 같은
배움터를 목표로 삼았다. 교실은 층고를 낮게 하되 넓은 복도와 교실 사이에 벽이 없는 열린 교실로 만들어 개방된 공용 공간을 제공한다. 교실 앞의 복도는
아뜨리움을 향하고 있다. 천창 때문에 아뜨리움을 중심으로 자연 환기가 일어나고 자연 채광으로 학교 전체가 밝고 쾌적하다. 아뜨리움을 중심으로 교실의
반대편에는 체육관이 있고, 긴 쪽 한 끝에는 예배당이, 반대편 끝에는 도서관, 교무실 등 학교 생활의 핵심 공간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서관은 아뜨리움과
함께 학교의 중심에 있다. 일상적 지식 활동과 독서 습관을 개발하기 위한 배치다. 아뜨리움은 층고가 높고 상•하층을 시각적,공간적으로 연결하고 있어
답답함은 없다. 아트리움 중앙의 광폭 계단은 어느 곳에서 볼 수 있으며, 이곳은 합창,공연,기념촬영,발표 등 다양한 행사에 활용.
기타 사례 : 아뜨리움 형 학교 : 세난학원 소학교(西南 院小 校
学 学 )
세난학원 중고등학교(西南 院中高等 校
学 学 )가 소학교와 같은 부지 내에 있는데, 이곳에도 직사각형의 아뜨리움이 있다. 아뜨리움 한 쪽에 교실이 있고
반대편에 체육관이 있는 소학교와 달리 중고등학교는 아뜨리움 양쪽에 교실들이 배치되어 있고, 체육관이 길이 방향 한쪽 끝에 배치되어 있다. 아뜨리움의
바닥 공간은 그 자체로 학생들이 함께 이용하는 공용 학습 센터이자 도서관 역할을 한다. 아뜨리움 공간은 어느 학교에서나 학교 생활의 중심이자 다양한
활동이 벌어지는 광장의 역할을 한다.
기타 사례 : 세난학원 중고등학교(西南 院中高等 校
学 学 )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What's hot (20)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Similar to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Heekyung12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진 이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다운 이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Similar to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12)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Korsa 신축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에 관한 연구
Korsa 신축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에 관한 연구Korsa 신축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에 관한 연구
Korsa 신축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에 관한 연구
 
Korsa 신축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에 관한 연구
Korsa 신축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에 관한 연구Korsa 신축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에 관한 연구
Korsa 신축 대학도서관의 공간 배치에 관한 연구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명지대학교 인문도서관 2012학년도 사업발표
명지대학교 인문도서관 2012학년도 사업발표명지대학교 인문도서관 2012학년도 사업발표
명지대학교 인문도서관 2012학년도 사업발표
 

More from 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More from Seongwon Kim (13)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 1. 학교 중심 공간의 사례들과 사전기획 Play AT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 2. 학교 중심 공간 조성의 목적 학교 내 대형 다기능, 다목적 공간의 마련 (휴식, 행사, 상영, 학습, 발표) 자연스런 교차와 교류의 공간 조성 (비공식적 교류 기회를 확대하므로 사회관계능력 개발) 자유로운 비공식적 공간과 분위기 형성 (비공식적 학습과 아이디어 교환의 촉진) 마을 속 학교로서 커뮤니티 공간 (학교 공동체, 지역 사회 공동체의 협력을 촉진하고 공동체성 형성) 학습 허브로서 공간 (자율적 학습, 발표, 토론, 융합 학습이 일어나는 중심 공간) OECD (“Pisa and the Key Competences”, 2005)는 "미디어와 언어를 활용한 상호작용과 이질적인 집단에서 상호작용(사회관계)" 역량이 주체적이고, 경제적으로 자립적이며, 사회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초 역량으로 학생들에게 교육해야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현대학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와 사회관계기술의 함양을 주요한 교육과제로 삼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학교의 중심으로 조성하기 시작했다. 커뮤니티 공간에는 식당, 도서관, 현관 홀, 강당, 공연장, 자습센터, 체육관 등이 포함되는 데 다양한 학생의 일상적인 교차와 교류가 일어나도록 학교 건물의 중심에 배치하고 상호 연결성과 개방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조성하고 있다.
  • 4. 연천초등학교의 중심공간 기획 (개축) 다목적 광장형 공간 유치원 도서관 특별 교실 일반 교실 식당 일반 교실 A안 학습거리형 B안 아뜨리움형 기존 교사동을 공사 기간 활용키로 함에 따라 개축 위치와 공간 배치 변경
  • 5. 연천초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C안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Play AT 연구소 1층
  • 6. 2층 연천초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C안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Play AT 연구소
  • 8.
  • 9.
  • 10. 사전기획가와 교사공동체가 검토 제시한 C안을 참조하고, 이집건축의 설계자가 건축적 고려 사항들을 감안하여 수정 제출한 최종안이다. 이후는 설계자가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세부적인 조정을 하였다. 연천초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확정안 (1층)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
  • 11. 연천초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확정안 (2층) 출처: 이집건축설계사무소
  • 13. 다목적 강당/식당 행사/공연 구역 그룹 공간 개별공간 개방도서관 및 학습카페 구역 야외 공간 야외공 간 스튜디오 형 특별교실 스튜디오 형 특별교실 스튜디오 형 특별교실 야외공 간 덕양중학교의 중심공간 기획 (리모델링, 증축)
  • 14. 보 건 실 ( 개 수) 54. 48 교장실 기술실 97.2 WW WW 미술실 97.2 숙 직 체육관 하부 필로티 구역 준비 실 과학실 129.6 준 비 실 준 비 가사실 64.8 멀티미디 어실 (방송실/ 능동학습 WW WW 1층 WW WW WW WW 소그 룹실 27.3) 미화 18.4 6 공동체 아카이브 실122.25 특수학 급 97.2 보건 64.8 상 담 다목적 공연실 (음악, 공연, 상 영) 129.6 행정 WW WW WW WW 준 비 실 WW WW 덕양중학교는 앞서 개발된 4개 장 중 D안을 기초로 검토 워크숍 및 집중 논의와 수정 작업을 통해 최종적인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을 확정했다. 이 확정안은 각 교육공간의 배치와 연결관계를 포함한다. 또한 기존 교사동의 리모델링, 신축 체육관/급식동, 추가 증축되는 별동, 이들 공간을 통합하는 광장형 공간을 포괄한다. 덕양중학교 공간 배치 다이어그램- D안
  • 15.
  • 16.
  • 17. * 공연활동의 실시간 스트리밍 지원을 위한 HD급 무선 AP *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한 상영, 강연을 위한 천장 거치 또는 이동형 빔 프로젝터 및 영사막 덕양중학교의 중심공간 공간 디자인 카드
  • 18. 덕양중학교 중앙 광장형 공간(커뮤니티홀)의 도서 영역 디자인 카드 추가 요구 사항 1  광장공간 내 서가 입출납 통제와 관리가  가능한 도서 구역 설정 필요  서가 구역 내 사서 업무 및 대출 프론트와  서적 관리 공간 별도 설정 필요  단 도서 구역은 시각적으로 개방되도록 강화 유리벽을 사용하여 공간 구분  출입문 역시 개방적인 광폭 미닫이문 또는 폴딩도어 설치  도서 구역 내 별도 냉난방 필요  도서 구역 내 바닥 난방이 되는 좌식 공간 마련
  • 22. 사전기획의 성공요인 1. 충분한 사례 연구와 제시를 통한 인식 변화 2. 공간 조성의 명확한 주안점과 컨셉 설정 3. 다양한 제안, 충분한 토론과 워크숍 4. 세부 요구사항을 정리한 공간 디자인 카드 작성 (용도, 공간 디자인, 필요 설비와 장비 등 상세히..) 5. 사전기획가와 설계자의 협업 기간과 충분한 소통 (사전기획가, 참여자 설계공모안 리뷰 및 수정 요구 설계자의 계획도면에 대한 리뷰 및 수정 참여)
  • 23. 해외 학교 중심 공간 조성 사례들
  • 24. 기타 사례 : 사쿠라가 오카 고등학교(石川 立金 丘高等 校 県 沢桜 学 )의 중심공간 (도서관과 락커 공간, 강당을 중심 공간으로) 이시카와 가나자와 시내의 구릉지에 위치한 사쿠라가 오카 고등학교(石川 立金 丘高等 校 県 沢桜 学 )는 메이지 유신 시절 "문무 양도"의 역사적 전통을 갖고 있는 학교다. 오래된 학교를 개축하면서 학교 교사동에 붙여 2층 높이의 개방적인 도서미디어 센터를 증축했다. 도서미디어 센터의 뒤쪽은 교사동 각층은 물론 옥상까지 연결되어 있고, 앞쪽은 브릿지가 있어 교사동 2의 복도형 테라스와 연결되어 학생들의 접근과 이동이 편리하다. 이러한 연결 구조로 자연스럽게 교사동과 도서미디어센터 가운데 중정이 만들어졌다. 도서미디어센터는 도서관의 21세기 버전이라 할 수 있는 데 열람 공간 이외에도 검색, 학습, 자율 학습 공간, 락커 구역을 갖추고 있다. 도서미디어센터에 이렇게 락커를 설치하여 등하교시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수시로 자신의 소지품을 찾거나 보관하기 위해 돌아오는 홈베이스 역할을 하게 된다. 도서미디어 센터를 학교의 일상적 중심 공간으로 만든 조치다. 도서미디어센터동에는 대형 시청각실을 포함하고 있다. 교사 동 3,4층에서 바로 연결될 뿐 아니라 미디어센터 중앙부를 통해 올라올 수 있는 옥상에는 "휴식 라운지"를 만들어 학생들이 학교 생활 속에서 여유와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다. (홈베이스, 대형시청각실, 도서관이 통합된 도서미디어센터를 중축, 건물동 연결성 높임)
  • 25.
  • 26. 기타 사례 : IGS Alexej von Jawlensky School의 중심공간 (식당 겸 강당(음악홀), 매점 연결) 매점과 강당은 이동식 칸막이로 연결되어 있으며, 식당 겸 강당으로 사용하며 중간에 가변벽 설치하여 공간을 구분할 수 있으며 학교 일상 생활의 중심 공간으로 통합되어 있다. 매점 강당 겸 식당
  • 27. 기타 사례 : Schule im Birch, Zürich의 중심공간 (강당과 카페테리아(식당)를 결합) 강당과 카페테리아 사이에 이동 간벽을 설치하여 개방 시 이벤트 홀로 사용하며, 푸드 카운터 위 갤러리 공간은 라운지 공간으로 사용) 카페테리아 강당
  • 28. 기타 사례 : lundtofte skole (문화예술센터를 학교의 중심 공간으로) 덴마크 콘겐스(Kongens) 링비(Lyngby)의 룬쵸프테(Lundtofte) 학교는 2018년부터 기존 학교 건물을 증개축하며 현대화하고 있다. 공사 중인데 2021년 완공될 예정이다. 이 학교는 교육, 공동체, 포용성, 행복, 헌신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는 학교이다. 창의적인 예술, 음악 과목이 공동체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다. 증개축하며 지역 주민, 지역 동호회와 함께 이용할 수 있고 공연 공간과 도서 구역을 포함하는 문화예술센터를 학교 내에 조성하고 있다. 기존 학교 건물들은 안뜰을 중심으로 정방형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한쪽 건물을 따라 안뜰을 가로지르며 문화예술센터(예술강당)를 배치하고 있다. 이 문화예술센터는 학교의 중심 역할을 하며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이곳에서 할 수 있다. 낮에는 학생과 교사들의 중앙 모임 장소로 사용하고, 연극, 음악, 아침 노래 시간, 사교 모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조성하고 있다. 방과후 문화 센터는 주민들의 행사와 콘서트 등을 위해 개방한다. 기존 교실은 복도 쪽으로 일부 확장하여 교실 내 차별화 구역을 만들어 'L'형 교실로 바꾸고 있다. 일부 교실들은 서로 연결하여 연결성과 유연성을 더하고, 몇개 교실은 인접한 개방형 소그룹실로 확장할 수 있는 확장형 교실로 재구조화하고 있다.
  • 29.
  • 30. 기타 사례 : Munkegaard Skole, Gentofte(DK)의 중심공간 (광폭 학습 계단이 중심 공간 형성, 계단 하부와 뒷편이 도서관) 무대
  • 31. 기타 사례 : Kirkkojärvi Comprehensive School, Espoo (FIN)의 중심공간 (현관 홀, 식당 겸 강당, 체육관을 유기적으로 연결, 무대를 앞 뒤에서 개방 가능) 무대 체육관 식당 현관 홀
  • 32. 기타 사례 : Trias VMBO (중앙통로인 학습거리를 학교중심 공간으로) 규모가 큰 국내 학교들은 여러 건물동을 분기할 경우 방사형으로 배치하지 않고 대개 수평으로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해외에도 일렬로 건물동을 배열하는 사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놓치지 않는 점은 각 건물동을 하나로 이어주는 동선 축이다. 다수의 현대학교들은 각 건물동을 연결하는 축을 중앙 공용공간, 즉 커뮤니티 공간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형태를 포크형이라고도 부르는데, 중심 공용공간으로부터 각 건물동을 분기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방사형과 동일하다. 네델란드 잔스타트(Zaanstad)에 2007년 지어진 Trias VMBO는 현대적인 포크형 학교의 전형을 보여준다. 지역의 세곳에 나뉘어 있던 중고등 학교를 통폐합하면서 1000명의 학생이 다니는 대규모 학교로 조성한 곳이다. 동시에 지자체가 운영하는 체육센터를 학교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복합시설로 운영하고 있다.
  • 33. 여러 건물동을 연결하고 있는 중심 동선 축인 긴 직사각형 광장 공간을 이 학교에서는 'De Brink'라 부른다. 'De Brink'는 한쪽 끝에서 '스포츠 광장(체육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De Brink'는 Trias 학교의 중심 교차 구역으로 학생들이 상호 교류하게 하고, 학교의 일원으로 공동체성을 갖도록 하는 커뮤니티 영역이다. 'De Brink'의 양쪽 끝에는 계단형 좌석 구역이 있는데, 이곳은 학생들이 휴식하는 공간이자 학습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중앙 벽면 쪽으로 낮은 무대가 자리 잡고 있다. 대규모 행사를 위해 사용한다. 'De Brink'를 따라 4개의 2층 날개 건물동이 갈라져 있다. 고등 학생들을 위한 학습 영역은 'De Brink'를 중심으로 날개동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는데 '섹터(3층 건물)'라 불린다. 각 섹터는 층고가 높은 다소 개방적인 다양한 작업 공간들과 학습 공간들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는 그룹실, 교사실, 자율학습 영역, 다양한 직업교육 교실, 제작실, 상담 공간, 사물함이 있는 홈베이스가 있다. (De Brink 한쪽의 계단 공간-휴식 및 학습 공간으로 활용한다.) (De Brink를 가로지르는 고가 통로)
  • 34. 기타 사례 : Hellerup Skole(코펜하겐)의 중심공간 (2개의 학습계단, 카페, 도서관을 결합한 다목적 현관 홀을 학교의 중심으로 조성)
  • 35. 기타 사례 : MØller 학교(Schleswig)의 중심공간 (광폭 학습 계단으로 중앙 홀과 도서관, 강당이 위 아래로 연결되어 있다.) 도서관 중앙 홀 강당
  • 36. 2020 일본 나가노현 학교 디자인 가이드 일본 나가노현은 현립 학교 학습공간 디자인 검토 위원회를 설치하고, [정비계획 최적화 전문부회]를 조직했다. 전문부회는 건축가, 재정전문가, 교육전문가 등 11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전문부회는 약 2년여에 걸쳐 조사 연구한 후 2020년에 나가노현 학교 디자인안을 담은 최종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는 고등학교 개혁을 위한 학교 공간의 재구조화와 정비를 위한 디자인 방안을 담고 있다. * 일본 나가노현의 학교 디자인 가이드는 도서-미디어 학습센터와 다목적 확장형 중앙복도를 학교의 중심공간으로 제안하고 있다.
  • 37.
  • 38. 기타 사례 : VMBO De Titaan, Hoorn (NL)의 중심공간 (광폭 학습 계단, 무대, 카페의 기능이 통합되어 있는 중심공간)
  • 39. 기타 사례 : Ørestad College, 코펜하겐의 중심공간 (1층 현관, 관람 객석, 체육관을 따로 또 연결하여 활용 가능, 오픈 룸 디자인 적용)
  • 40. 기타 사례 : 리슬 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학습 허브를 학교중심 공간으로 미국 리슬(Lisle. 2019) 학교는 건물 중앙의 대형 홀 주변에 교실들을 배치한 아뜨리움형 학교로 콘크리트 구조와 커튼월 시스템으로 건축했다. 외부 교실은 콘크리트 구조로 만들었지만 도서관과 열린 학습 계단을 포함하는 대형 홀 부분은 층고가 높고 폭이 넓은 공간을 구성하는 데 적합한 커튼월 구조로 세웠다. 2 층 높이의 대형 중앙 홀은 학교의 중심으로 도서관과 교사와 사회 복지사를 위한 지원 공간, 소그룹과 개별 자율 학습 영역이 통합되어 있는 다목적의 학습 허브다. 도서관을 둘러싼 커다란 고측창의 자연 채광때문에 밝고 기분 좋은 느낌을 준다. 홀 한쪽 편으로는 열린 광폭 학습계단이 있어 2층 교실로 이동할 수 있다. 그 맞은 편엔 대형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다. 학습 허브의 광폭 학습계단 구역을 학습과 상영, 행사 좌석으로 사용한다. 공식 행사나 수업이 없을 때 이곳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사교 공간이자 휴식 공간이다. 광폭 학습 계단은 이동 부분 계단과 좌석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넓은 홀과 도서관 전경을 조망할 수 있다. ( 리슬학교의 학습허브는 도서관을 겸하고 있고, 곳곳에 크고 작은 활동 구역과 좌석이 설정되어 있다.)
  • 41. 기타 사례 : 브리티시 국제 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학습 허브를 중심 공간으로 휴스턴 브리티시 국제학교(British International School of Houston)도 학교 중심부에 수천 권의 책이 있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도서관을 조성했다. 이 도서관은 학생들이 협력하고 친교를 나눌 수 있는, 종종 조용히 책을 보거나 다소 열정적으로 토론할 수 있는 학습 허브 역할을 한다. 학습허브가 된 도서관은 건물의 심장이자 랜드마크 그 이상이다. 사교 공간과 학습 공간을 통합하여 다양한 분야의 학생과 교사가 자연스럽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역동적인 환경이다. 학습허브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 곳은 아마도 어학교육 분야일 것이다. 중국의 항조우의 후통 중국 어학원은 외국인들을 위한 중단기 중국어 어학과정을 제공하는 곳이다. 이 어학원도 중심에 보다 자유로운 교류와 보다 많은 언어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 중심에 거대한 학습 카페를 포함한느 학습 카페를 조성했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휴식을 취하거나 놀거나 회화 연습을 하거나 사교의 기회를 늘릴 수 있다. 물론 이 중심 공간 그 자체가 거대한 강의장이 되기도 한다. ( 도서관과 학습카페를 겸하는 휴스턴 브리티시 국제학교의 학습허브)
  • 42. 기타 사례 : Dalby Skole의 증축 (다목적 계단과 열린 공간을 중심 공간으로) 덴마크의 달비 학교는 기존 건물에 두 가지 방식(동일 벽돌 구조, 빔 프레임 구조)으로 덧대어 증축하면서 중앙 다목적 광장 공간과 광폭학습계단을 조성했다. 기존 건물에 덧대어 증축할 경우 자칫 채광이 나빠질 수 있으나 천창을 설치하여 자연채광을 끌어들였다. 전체적으로 교실-> 광폭학습계단-> 중앙 다목적 광장공간-> 야외 공간으로 흐름을 갖는다. 증축하며 2층 교실에 야외 계단을 설치했다. (증축을 통해 광폭학습계단을 포함한 중앙 다목적 광장형 공간을 조성하고, 공간 계층과 흐름을 명확히 함)
  • 43. 큐슈 호쿠오카 세난학원 소학교(西南 院小 校 学 学 ) 역시 아뜨리움형 학교다. 아뜨리움을 중심으로 교실을 배치해서 시각적 사각지대가 없는 "큰 집"과 같은 배움터를 목표로 삼았다. 교실은 층고를 낮게 하되 넓은 복도와 교실 사이에 벽이 없는 열린 교실로 만들어 개방된 공용 공간을 제공한다. 교실 앞의 복도는 아뜨리움을 향하고 있다. 천창 때문에 아뜨리움을 중심으로 자연 환기가 일어나고 자연 채광으로 학교 전체가 밝고 쾌적하다. 아뜨리움을 중심으로 교실의 반대편에는 체육관이 있고, 긴 쪽 한 끝에는 예배당이, 반대편 끝에는 도서관, 교무실 등 학교 생활의 핵심 공간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서관은 아뜨리움과 함께 학교의 중심에 있다. 일상적 지식 활동과 독서 습관을 개발하기 위한 배치다. 아뜨리움은 층고가 높고 상•하층을 시각적,공간적으로 연결하고 있어 답답함은 없다. 아트리움 중앙의 광폭 계단은 어느 곳에서 볼 수 있으며, 이곳은 합창,공연,기념촬영,발표 등 다양한 행사에 활용. 기타 사례 : 아뜨리움 형 학교 : 세난학원 소학교(西南 院小 校 学 学 )
  • 44. 세난학원 중고등학교(西南 院中高等 校 学 学 )가 소학교와 같은 부지 내에 있는데, 이곳에도 직사각형의 아뜨리움이 있다. 아뜨리움 한 쪽에 교실이 있고 반대편에 체육관이 있는 소학교와 달리 중고등학교는 아뜨리움 양쪽에 교실들이 배치되어 있고, 체육관이 길이 방향 한쪽 끝에 배치되어 있다. 아뜨리움의 바닥 공간은 그 자체로 학생들이 함께 이용하는 공용 학습 센터이자 도서관 역할을 한다. 아뜨리움 공간은 어느 학교에서나 학교 생활의 중심이자 다양한 활동이 벌어지는 광장의 역할을 한다. 기타 사례 : 세난학원 중고등학교(西南 院中高等 校 学 学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