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김성원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
coffeetalk@naver.com | https://www.facebook.com/fatdogfish/
4S, KFC, Catalog, Structured
"경제적이며, 지속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역 공동체에 수준 높은 다양한 놀이
경험을 체감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호주 그래피스 시의 도시 놀이터 전략 표어
4S(Seesaw, Slide, Swing, Sandbox), KFC(Kit, Fence, Carpet),
Catalog(놀이기구 카타로그), Structred (구조적 놀이기구)
다양성 지속성 경제성
-맥락적 디자인
(컨셉, 주제, 대상,...)
- 비정형 놀이환경
- 지역공동체 참여
(ex) NPP, Park People)
- 모험놀이터
제작, 건축, 기술 놀이와 자
연 속 활동을 강조.
아이들의 자율적 놀이활동
보장
(팝업 놀이터, 모험놀이터
, 숲 놀이터, 감각놀이터,
건축 놀이터, 추상 놀이터,
서사 놀이터)
- 자연주의 놀이터
- 물 놀이터
- 재활용 놀이터
동물, 식물, 자연 지형 등에 기반한 비정형 또는 비구조적 놀이환경은 아동의 비만율을 낮춘다.
무엇보다 아이들은 자연기반의 놀이환경을 찾는 경향이 있고, 비정형 놀이터는 교육적으로나 성장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놀이터 디자인 가이드 - 여섯가지 키워드
1. 맥락성 :
놀이터 부지와 주변 환경, 조건에 적합하게 디자인 하므로 차별점과 정체성을 드러
내는 놀이터 디자인. (놀이터 컨셉과 주제, 차별성)
2. 지속가능성 :
환경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하게 놀이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놀이 요소
를 끌어들이고, 재활용 자재를 놀이터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환경적 요소, 경제성)
3. 다양성 :
연령, 신체적 능력이나 조, 성별, 문화적 배경을 반영해서 놀이터를 다양하게 디자인
해야 한다. 특히 지역의 인종적, 문화적 특징을 반영해야 한다.
4. 감각성 :
놀이터 공간 디자인은 오감을 발달시킬 수 있어야 한다. (감각적, 인지적 놀이 환경)
5. 평등, 접근성
학습, 심리, 감각, 이동 관련 여러가지 장애에도 불구하고 어떤 아이들도 놀이터에
쉽게 접근하고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통합 놀이터 또는 무장애 놀이
터)
6. 복지
놀이터는 지역주민들이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쉬고, 건강을 위해 이용하는 공
간이 되어야 한다. (정주환경의 개선, 휴식과 건강의 공간, 단지 아이들만의 놀이터
가 아닌)
* 호주 그래피스 시의 놀이터 전략이 제시하는 놀이터 디자인 가이드
맥락성
지속성
다양성
감각성
평등
접근성
복지
1. 놀이기구 기반 동적 놀이
놀이 기구는 역사적으로 놀이터의 주요 요소였다. 그러나 놀이기구가 유일한 놀이요소는 아니다. 나머지 놀이
공간을 보완해야 한다. 동적 놀이는 대부분 놀이기구를 필요로 하는 데, 에어로빅, 근력강화, 조정과 균형감 발
달, 운동 기술 개발, 협력과 사회성 증진의 기회를 갖게 한다. 또한 구기 종목과 비공식 스포츠 요소들을 포함
한다.
2. 열린 공간
열린 공간은 비공식적 공놀이나 아이들의 자발적인 다양한 놀이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3. 성인 동반
어린이를 동반 한 성인이나 보호자는 아이들을 지켜보는 동안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예 다양
한 그늘막, 차양, 파빌리온, 벤치 등)
4 창조와 탐색공간
아이들은 자연환경과 건축적 놀이 공간을 탐색하고, 경이감을 느끼고, 질문하고, 참여하고 상호작용한다. 아
이들은 반복 방문하면서 그 공간의 변화와 역동성을 인식한다. 이부분은 놀이터에서 가장 소홀하게 취급되는
측면이다.
5. 차별적 특성
놀이터에 포함할 수 있는 선택적 요소로 비공식 스포츠 시설, 익스트림 스포츠 구역, 공공 예술 공간, 물 놀이,
야외 극장 등이 포함된다.
놀이터 개발 모델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생각
숲 속에 놀이시설을 배치하면 숲 놀이터라는 오해가 만연 한다. 그것도
숲의 지형적, 환경적 맥락없이 단품 놀이를 곳곳에 배치하려는 발상은
최악이다. 숲 놀이터의 가장 큰 핵심은 숲을 놀이와 어린이 활동의 공간
으로 발견하고 숲 속의 여러 자연물을 다양한 놀이활동의 공간과 재료
로 발견하고 활용하는 데 있다. 또한 숲을 온 몸으로 느끼고 체험하게
하는 데 있다.
숲 놀이터를 조성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요소들
- 컨셉 / 핵심 주제 설정
- 숲속 놀이터의 동선과 활동 구역 구분
- 조망, 전망, 관찰, 탐사 공간
- 감각적 경험의 장소
- 숲 속 자연물을 놀이로 해석하고 활용
- 숲 속의 개방된 활동공간
- 악천후 대비 공간, 피난처, 쉘터
- 숲속 벤치, 이야기 공간 등등
- 조리 공간(점토 부엌)
- 화재를 예방한 모닥불 공간
- 숲속 작업공간, 숲속 건축 공간
- 스릴을 느낄 수 있는 등반,고공 공간
- 나무둥지집
- 상상을 자극하는 놀이시설
- 다양한 숲속 장애물 길놀이물들
- 등반 놀이기구들
- 기타 놀이시설들
- 특별한 공간들
- 대지 예술적 요소들
- 다양한 숲속 놀이활동들
장노르웨이 우데임 학교의 운동장
1930년대 스칸디나비아 디자이너들은 자연주의 놀이터 운동을 시작
1950년대 스웨덴은 미취학 아동들이 숲 유치원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1971년 로빈무어, 허브 웡 버클리 환경마당
연병장 같던 학교 운동장에 자연적 요소(나무, 바위, 또랑 등) 도입
학교 텃밭 정원 등에 큰 영향 - > 덴마크 학교운동장 혁신으로 이어짐.
1990년대 일군의 디자이너들이 학교운동장에 텃밭을 도입하기 시작
Katharina Heinroth Grundschule Spielplatz
연병장 같던 학교 운동장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획하고 자연적 요소와
놀이공간을 적극적으로 도입
2005년 리챠드 루브의
‘숲속의 마지막 아이들’ 출간 세계적 반향
현대 어린이들의 자연결핍장애증후군을 지적하
며 숲속 놀이와 자연 속 활동의 치유효과를 강조
구조화 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환경은
가장 좋은 놀이환경
고학년이 될수록 구조적 놀이기구보다 자연 환
경 속에서 자연물을 가지고 놀기를 좋아함.
야외 활동은 어린 시절을 특징 짓는 것 중 하나이
며, 아이들에게 주변 세계를 탐험하고, 발견하고,
연습하고, 궁금하게 생각하고, 변화시키고, 창조
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어린이들이 자유, 모험, 위험을 감수 하고 실험하
고 사회성을 갖는 어린이가 되도록 하는 기본적
욕구는 야외 환경에서 향상 됨.
잉글랜드 리치먼드에 있는 왕립식물원인 Kew Gardend의 Barefoot Walk
숲속 맨발 보행길-다양한 자연 지면의 감각적 경험 제공
분명한 컨셉과 주제가 성공 요인
숲속 동선과 활동 구역
덴마크 북부 Skørping School ‘Forest Loop’
운동장과 숲을 연결하는 산책로
산책로와 통합하거나 그 주변에 평형 빔, 사다리, 벤치, 나무둥지 집, 농구 코트, 그네,
야외 탁자, 스케이트 공원, 공동 레크레이션 공간 등 조성
관찰과 탐사의 공간 - 꼭 인공적 구조물이 아니어도 충분하다.
감각적 경험 장소 – 고요, 소리, 빛, 색상, 촉각...숲, 자연, 시간의 변화를 느끼도록
환경예술가 아테페 카(Atefeh Khas)
색 다르게 숲을 느끼게 하는 간단한 의도된 장치
숲 속의 자연을 놀이로 재해석하고 발견하도록 자연물을 배치
비구조적 놀이 - 놀이의 진입, 경로, 방식이 정해져 있지 않음
숲 속의 개방된 활동 공간
숲속 쉼터, 피난처, 쉘터
숲속 벤치, 이야기꾼 의자
숲 속 놀이 부엌
숲속 건축 – 작업 공간
안전한 모닥불 공간
나무둥지 집(,Tree House)
아찔한 고공 공간
상상을 자극하는 구조물과 공간
다양한 장애물 길놀이물들
다양한 등반놀이물들
기타 놀이시설들
특별한 느낌의 공간들
숲속의 대지 예술 – 아이들과 함께
골판지 삼각 관절 부재
부에노스아이레스, RUS 프로젝트, 참가자들 직접 공간 조성
흙과 모래 놀이터
Makunaima2014, britzergarten 조소, 건축, 미장,놀이
Hamburg: Tschaikowski Platz
토론토 더플린 그로브 공원의 모래밭 놀이터
제 2 차 대전 후 토론토 공원 감독관이 된 토미 톰슨은 공원에 '잔디 위를 걸으십시오'란 표지판을 세웠다. 토미 톰슨은 공원운영에 관
한 컨퍼런스에서 "(놀이터의 기원인) 모래 상자가 12피트의 작은 상자여야 한다는 것은 모래상자에 대한 모욕입니다. 이제 모래상자
는 더 커져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아이들은 (온통 모래로 뒤덮인) 놀이터를 가져야 합니다.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해야 합니다. 이
제 우리가 알려야 합니다. 모래상자는 이제 적어도 이 강당의 절반 정도로 커져야 합니다. 매일 귀찮더라도 깨끗하게 유지할 뿐 아니
라 아이들이 놀 수 있도록 촉촉하게 유지해야 합니다."는 주장을 했다. 1993년 더플린 공원은 시민들이 무엇을 원하는 지 조사하고
지역사회모임을 가진 후 아이들이 모래와 흙 장난을 굉장히 좋아한다는 걸 인정했다. 아이들이 삽을 가지고 마음대로 웅덩이를 파고,
고랑을 내는 등 공원 바닥의 일부를 엉망으로 만들 수 있는 자유를 허락했다. 모래-흙 놀이터는 지속적인 관리와 관리비용이 증가했
다. 하지만 소액의 후원금을 모금해서 관리비와 프로그램 운영비 일부를 충당하고 있다. 이 놀이터는 개장된 이후 20여년 동안 조용
한 성공을 거두어 왔다. 사람들이 이 놀이터의 단순함-흙, 물, 흙 파기, 흙 건축-이 제공하는 놀이의 가치와 재미를 충분히 이해하게
되었고, 타 지역에서도 부모들이 아이들과 함께 찾아오는 유명 놀이터가 되었다.
Huntington Beach Adventure Playground
연못에서 물놀이와 목공작업 놀이가 특징
물 웅덩이만으로 유명해진 놀이터
• USA Huntington Beach Adventure playground
물 웅덩이 놀이터
(Huntington Beach Adventure Playground)
Pop-Up 놀이터
임시설치, 조립해체, 이동성
http://popupplayground.com.au/
https://popupadventureplaygrounds.wordpress.com/
중국 안길시 유치원
Star dome
대나무 활용, 신속, 간단, 직조, 결속, 협동,
다양한 용도, 특별한 공간
http://www.simplydiffently.org
숲속 기술 놀이
상호지지구조
기술 놀이 - 직조
기본적인 비계 프레임, 부분 날실, 직조도면, 씨실 제공
/ 호주 Artplay
Saori 직조 – 반복적 작업에 몰입하는 아이들
노르웨이의 아동 대장간 워크숍 : 기술체험과 놀이의 경계
아이들은 처음 대장작업에 겁 먹지만 곧 창조적인 작업에 몰입한다.
여기에선 작업 또는 기술체험과 놀이의 경계가 무너진다.
•
유럽의 모험놀이터 활동 – 도구 사용
모험놀이터에서는 아이들의 다양한 도구 사용을 허락하며, 제작, 건축 놀이를 적극 권장한다.
• 주제5 - 빠레트 아지트
놀이터 공방과 아이들에게 허락된 공구들 (제작본능을 자극하라.)
• 주제5 - 빠레트 아지트
자재 재활용 아이디어
시민참여 / 전문가 결합/
http://www.playgroundideas.org/
자연주의 놀이터
https://www.naturalplaygrounds.com/
https://www.naturalplaygrounds.ca/
http://www.dream-weavers.co.za/
숲속 놀이활동의 보고
https://www.rewildportland.com/
https://rootsvt.com/
공저 출간
물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Seongwon Kim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Seongwon Kim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Seongwon Kim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Seongwon Kim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Seongwon Kim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Seongwon Kim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Seongwon Kim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Seongwon Kim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Seongwon Kim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
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Seongwon Kim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Seongwon Kim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Seongwon Kim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Seongwon Kim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Seongwon Kim
 

What's hot (20)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놀이 그물과 밧줄로 만든 놀이기구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즐거운 도시숲 공유지 도시텃밭 놀이터 Ver2.0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상상력을 키우는 기술놀이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시민과 함께 만드는 미술관과 박물관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Similar to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Seongwon Kim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Seongwon Kim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Seongwon Kim
 
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
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
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
Seongwon Kim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eongwon Kim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혜영 신
 

Similar to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8)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기술놀이와 협력놀이
 
쌓기 놀이
쌓기 놀이쌓기 놀이
쌓기 놀이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
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
시민이 만드는 자가제작 놀이터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2013년세계평화의숲활동성과보고
 

More from Seongwon Kim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Seongwon Kim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Seongwon Kim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Seongwon Kim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Seongwon Kim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Seongwon Kim
 

More from Seongwon Kim (19)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 1. 김성원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 coffeetalk@naver.com | https://www.facebook.com/fatdogfish/
  • 2. 4S, KFC, Catalog, Structured "경제적이며, 지속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역 공동체에 수준 높은 다양한 놀이 경험을 체감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호주 그래피스 시의 도시 놀이터 전략 표어 4S(Seesaw, Slide, Swing, Sandbox), KFC(Kit, Fence, Carpet), Catalog(놀이기구 카타로그), Structred (구조적 놀이기구)
  • 3. 다양성 지속성 경제성 -맥락적 디자인 (컨셉, 주제, 대상,...) - 비정형 놀이환경 - 지역공동체 참여 (ex) NPP, Park People) - 모험놀이터 제작, 건축, 기술 놀이와 자 연 속 활동을 강조. 아이들의 자율적 놀이활동 보장 (팝업 놀이터, 모험놀이터 , 숲 놀이터, 감각놀이터, 건축 놀이터, 추상 놀이터, 서사 놀이터) - 자연주의 놀이터 - 물 놀이터 - 재활용 놀이터 동물, 식물, 자연 지형 등에 기반한 비정형 또는 비구조적 놀이환경은 아동의 비만율을 낮춘다. 무엇보다 아이들은 자연기반의 놀이환경을 찾는 경향이 있고, 비정형 놀이터는 교육적으로나 성장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 4. 놀이터 디자인 가이드 - 여섯가지 키워드 1. 맥락성 : 놀이터 부지와 주변 환경, 조건에 적합하게 디자인 하므로 차별점과 정체성을 드러 내는 놀이터 디자인. (놀이터 컨셉과 주제, 차별성) 2. 지속가능성 : 환경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하게 놀이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놀이 요소 를 끌어들이고, 재활용 자재를 놀이터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환경적 요소, 경제성) 3. 다양성 : 연령, 신체적 능력이나 조, 성별, 문화적 배경을 반영해서 놀이터를 다양하게 디자인 해야 한다. 특히 지역의 인종적, 문화적 특징을 반영해야 한다. 4. 감각성 : 놀이터 공간 디자인은 오감을 발달시킬 수 있어야 한다. (감각적, 인지적 놀이 환경) 5. 평등, 접근성 학습, 심리, 감각, 이동 관련 여러가지 장애에도 불구하고 어떤 아이들도 놀이터에 쉽게 접근하고 놀이기구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통합 놀이터 또는 무장애 놀이 터) 6. 복지 놀이터는 지역주민들이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쉬고, 건강을 위해 이용하는 공 간이 되어야 한다. (정주환경의 개선, 휴식과 건강의 공간, 단지 아이들만의 놀이터 가 아닌) * 호주 그래피스 시의 놀이터 전략이 제시하는 놀이터 디자인 가이드 맥락성 지속성 다양성 감각성 평등 접근성 복지
  • 5. 1. 놀이기구 기반 동적 놀이 놀이 기구는 역사적으로 놀이터의 주요 요소였다. 그러나 놀이기구가 유일한 놀이요소는 아니다. 나머지 놀이 공간을 보완해야 한다. 동적 놀이는 대부분 놀이기구를 필요로 하는 데, 에어로빅, 근력강화, 조정과 균형감 발 달, 운동 기술 개발, 협력과 사회성 증진의 기회를 갖게 한다. 또한 구기 종목과 비공식 스포츠 요소들을 포함 한다. 2. 열린 공간 열린 공간은 비공식적 공놀이나 아이들의 자발적인 다양한 놀이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3. 성인 동반 어린이를 동반 한 성인이나 보호자는 아이들을 지켜보는 동안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예 다양 한 그늘막, 차양, 파빌리온, 벤치 등) 4 창조와 탐색공간 아이들은 자연환경과 건축적 놀이 공간을 탐색하고, 경이감을 느끼고, 질문하고, 참여하고 상호작용한다. 아 이들은 반복 방문하면서 그 공간의 변화와 역동성을 인식한다. 이부분은 놀이터에서 가장 소홀하게 취급되는 측면이다. 5. 차별적 특성 놀이터에 포함할 수 있는 선택적 요소로 비공식 스포츠 시설, 익스트림 스포츠 구역, 공공 예술 공간, 물 놀이, 야외 극장 등이 포함된다. 놀이터 개발 모델
  • 6.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생각 숲 속에 놀이시설을 배치하면 숲 놀이터라는 오해가 만연 한다. 그것도 숲의 지형적, 환경적 맥락없이 단품 놀이를 곳곳에 배치하려는 발상은 최악이다. 숲 놀이터의 가장 큰 핵심은 숲을 놀이와 어린이 활동의 공간 으로 발견하고 숲 속의 여러 자연물을 다양한 놀이활동의 공간과 재료 로 발견하고 활용하는 데 있다. 또한 숲을 온 몸으로 느끼고 체험하게 하는 데 있다.
  • 7. 숲 놀이터를 조성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요소들 - 컨셉 / 핵심 주제 설정 - 숲속 놀이터의 동선과 활동 구역 구분 - 조망, 전망, 관찰, 탐사 공간 - 감각적 경험의 장소 - 숲 속 자연물을 놀이로 해석하고 활용 - 숲 속의 개방된 활동공간 - 악천후 대비 공간, 피난처, 쉘터 - 숲속 벤치, 이야기 공간 등등 - 조리 공간(점토 부엌) - 화재를 예방한 모닥불 공간 - 숲속 작업공간, 숲속 건축 공간 - 스릴을 느낄 수 있는 등반,고공 공간 - 나무둥지집 - 상상을 자극하는 놀이시설 - 다양한 숲속 장애물 길놀이물들 - 등반 놀이기구들 - 기타 놀이시설들 - 특별한 공간들 - 대지 예술적 요소들 - 다양한 숲속 놀이활동들
  • 8. 장노르웨이 우데임 학교의 운동장 1930년대 스칸디나비아 디자이너들은 자연주의 놀이터 운동을 시작 1950년대 스웨덴은 미취학 아동들이 숲 유치원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 9. 1971년 로빈무어, 허브 웡 버클리 환경마당 연병장 같던 학교 운동장에 자연적 요소(나무, 바위, 또랑 등) 도입 학교 텃밭 정원 등에 큰 영향 - > 덴마크 학교운동장 혁신으로 이어짐.
  • 10. 1990년대 일군의 디자이너들이 학교운동장에 텃밭을 도입하기 시작 Katharina Heinroth Grundschule Spielplatz 연병장 같던 학교 운동장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획하고 자연적 요소와 놀이공간을 적극적으로 도입
  • 11.
  • 12. 2005년 리챠드 루브의 ‘숲속의 마지막 아이들’ 출간 세계적 반향 현대 어린이들의 자연결핍장애증후군을 지적하 며 숲속 놀이와 자연 속 활동의 치유효과를 강조 구조화 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환경은 가장 좋은 놀이환경 고학년이 될수록 구조적 놀이기구보다 자연 환 경 속에서 자연물을 가지고 놀기를 좋아함. 야외 활동은 어린 시절을 특징 짓는 것 중 하나이 며, 아이들에게 주변 세계를 탐험하고, 발견하고, 연습하고, 궁금하게 생각하고, 변화시키고, 창조 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어린이들이 자유, 모험, 위험을 감수 하고 실험하 고 사회성을 갖는 어린이가 되도록 하는 기본적 욕구는 야외 환경에서 향상 됨.
  • 13. 잉글랜드 리치먼드에 있는 왕립식물원인 Kew Gardend의 Barefoot Walk 숲속 맨발 보행길-다양한 자연 지면의 감각적 경험 제공 분명한 컨셉과 주제가 성공 요인
  • 14.
  • 15.
  • 16.
  • 17. 숲속 동선과 활동 구역 덴마크 북부 Skørping School ‘Forest Loop’ 운동장과 숲을 연결하는 산책로 산책로와 통합하거나 그 주변에 평형 빔, 사다리, 벤치, 나무둥지 집, 농구 코트, 그네, 야외 탁자, 스케이트 공원, 공동 레크레이션 공간 등 조성
  • 18.
  • 19.
  • 20.
  • 21.
  • 22.
  • 23. 관찰과 탐사의 공간 - 꼭 인공적 구조물이 아니어도 충분하다.
  • 24.
  • 25. 감각적 경험 장소 – 고요, 소리, 빛, 색상, 촉각...숲, 자연, 시간의 변화를 느끼도록
  • 26. 환경예술가 아테페 카(Atefeh Khas) 색 다르게 숲을 느끼게 하는 간단한 의도된 장치
  • 27. 숲 속의 자연을 놀이로 재해석하고 발견하도록 자연물을 배치
  • 28.
  • 29.
  • 30.
  • 31. 비구조적 놀이 - 놀이의 진입, 경로, 방식이 정해져 있지 않음
  • 32. 숲 속의 개방된 활동 공간
  • 33.
  • 35.
  • 36.
  • 37.
  • 38.
  • 40.
  • 41.
  • 42. 숲 속 놀이 부엌
  • 43.
  • 44. 숲속 건축 – 작업 공간
  • 45.
  • 46.
  • 47.
  • 50.
  • 51.
  • 52.
  • 53.
  • 55.
  • 56.
  • 57.
  • 58.
  • 60.
  • 61.
  • 62.
  • 63.
  • 65.
  • 66.
  • 67.
  • 68.
  • 69.
  • 71.
  • 72.
  • 73.
  • 74.
  • 76.
  • 77. 숲속의 대지 예술 – 아이들과 함께
  • 78.
  • 79.
  • 80.
  • 81. 골판지 삼각 관절 부재 부에노스아이레스, RUS 프로젝트, 참가자들 직접 공간 조성 흙과 모래 놀이터 Makunaima2014, britzergarten 조소, 건축, 미장,놀이
  • 82.
  • 83.
  • 84.
  • 86. 토론토 더플린 그로브 공원의 모래밭 놀이터 제 2 차 대전 후 토론토 공원 감독관이 된 토미 톰슨은 공원에 '잔디 위를 걸으십시오'란 표지판을 세웠다. 토미 톰슨은 공원운영에 관 한 컨퍼런스에서 "(놀이터의 기원인) 모래 상자가 12피트의 작은 상자여야 한다는 것은 모래상자에 대한 모욕입니다. 이제 모래상자 는 더 커져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아이들은 (온통 모래로 뒤덮인) 놀이터를 가져야 합니다.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해야 합니다. 이 제 우리가 알려야 합니다. 모래상자는 이제 적어도 이 강당의 절반 정도로 커져야 합니다. 매일 귀찮더라도 깨끗하게 유지할 뿐 아니 라 아이들이 놀 수 있도록 촉촉하게 유지해야 합니다."는 주장을 했다. 1993년 더플린 공원은 시민들이 무엇을 원하는 지 조사하고 지역사회모임을 가진 후 아이들이 모래와 흙 장난을 굉장히 좋아한다는 걸 인정했다. 아이들이 삽을 가지고 마음대로 웅덩이를 파고, 고랑을 내는 등 공원 바닥의 일부를 엉망으로 만들 수 있는 자유를 허락했다. 모래-흙 놀이터는 지속적인 관리와 관리비용이 증가했 다. 하지만 소액의 후원금을 모금해서 관리비와 프로그램 운영비 일부를 충당하고 있다. 이 놀이터는 개장된 이후 20여년 동안 조용 한 성공을 거두어 왔다. 사람들이 이 놀이터의 단순함-흙, 물, 흙 파기, 흙 건축-이 제공하는 놀이의 가치와 재미를 충분히 이해하게 되었고, 타 지역에서도 부모들이 아이들과 함께 찾아오는 유명 놀이터가 되었다.
  • 87.
  • 88. Huntington Beach Adventure Playground 연못에서 물놀이와 목공작업 놀이가 특징 물 웅덩이만으로 유명해진 놀이터
  • 89. • USA Huntington Beach Adventure playground 물 웅덩이 놀이터
  • 91. Pop-Up 놀이터 임시설치, 조립해체, 이동성 http://popupplayground.com.au/ https://popupadventureplaygrounds.wordpress.com/ 중국 안길시 유치원
  • 92.
  • 93. Star dome 대나무 활용, 신속, 간단, 직조, 결속, 협동, 다양한 용도, 특별한 공간 http://www.simplydiffently.org 숲속 기술 놀이
  • 95.
  • 96.
  • 97. 기술 놀이 - 직조 기본적인 비계 프레임, 부분 날실, 직조도면, 씨실 제공 / 호주 Artplay
  • 98.
  • 99. Saori 직조 – 반복적 작업에 몰입하는 아이들
  • 100.
  • 101. 노르웨이의 아동 대장간 워크숍 : 기술체험과 놀이의 경계 아이들은 처음 대장작업에 겁 먹지만 곧 창조적인 작업에 몰입한다. 여기에선 작업 또는 기술체험과 놀이의 경계가 무너진다.
  • 102. • 유럽의 모험놀이터 활동 – 도구 사용 모험놀이터에서는 아이들의 다양한 도구 사용을 허락하며, 제작, 건축 놀이를 적극 권장한다.
  • 103. • 주제5 - 빠레트 아지트 놀이터 공방과 아이들에게 허락된 공구들 (제작본능을 자극하라.)
  • 104. • 주제5 - 빠레트 아지트
  • 105. 자재 재활용 아이디어 시민참여 / 전문가 결합/ http://www.playgroundideas.org/
  •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