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학교 다목적 체육관 조성 방향과 사례들
Play AT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학교공간재구조화에서 체육관은 자주 중요성이 간과되면서 전국 어느 학교나 비슷한
형태와 구조로 만들어지고 있다. 체육관은 면적 비중이 높지만 사용율이 떨어진다.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지만 그에 적합하게 구축되지 않는다. 보통 별관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접근성과 이용율이 떨어진다 .학교의 체육관은 가끔 강당이나
공연장으로도 활용되지만 그 이상의 활동과 수업을 위해서는 보다 섬세한 체육관
디자인과 변화가 필요하다.
학교 체육관의 도전과제와 변화
신체활동 공간
첫 번째 대형 체육관을 유지하는 데 드는 많은 에너지 비용을 줄여야 한다.
두 번째 학생수가 줄어드는 것에 맞춰 경제적인 규모의 체육관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대부분 농구, 배구, 베드민턴, 탁구, 종종 태권도 등 종목형 스포츠에 맞춰져 있다. 현대교육의 흐름을 따른 학교의 체육관들은
익스트림 스포츠, 스포츠 댄스, 가요 댄스, 요가, 무용 등 다양한 신체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열망을 지원해 한다.
네 번째 체육관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주민들의 보다 다양한 잠재적 스포츠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 번째 미세먼지, 폭염, 잦은 악천후로 실내 활동 공간 수요에 대응해야 한다.
여섯 번째 대형 공간의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다기능, 다목적화하해야 한다.
일곱 번째 체육관을 본관동으로부터 연결성, 접근성을 높여 이용율을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은 도전에 직면한 세계의 현대 학교의 체육관들은 다음과 같이 변화하고 있다.
- 천창, 고측창을 설치하여 자연 채광 도입
- 반지하(Sunken) 체육관 또는 지하 체육관을 건축하고 옥상을 활동공간으로 활용
- 또는 필로티 구조로 체육관을 만들어 하부 공간을 활용
- 체육관을 강당, 공연장, 행사장 점심 식사 시간 식당으로 활용
- 학교 중심 커뮤니티 영역으로 체육관 근접 배치 연결
- 체육관과 다른 공간의 연결과 접근성 확대를 위해 측면 광폭 개구부(연결 통로 또는 문) 설치
- 측면 개구부와 연결된 관람좌석 설치 또는 이동식(접이식) 좌석 설치
- 드물지만 학년에 맞춘 복수의 소규모 체육관으로 공간 분리
- 칸막이, 슬라이딩 파티션, 대형 커텐 등을 활용한 가변적인 공간 분리와 확장
- 학생수의 감소에 맞춘 경제적인 소규모 체육관 설치
- 층고가 높은 체육관의 경우 고가 육상 트랙 또는 고가 동선 설치
- 무대 접근성과 폭을 넓이기 위해 측면 광폭 무대 설치
- 다양한 놀이와 스포츠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방과 후 오픈 짐(Open Gym) 도입
- 암벽타기, 수직 미로, 등반 막대, 수직 봉, 그네 등 수직 놀이시설 설치
채광
신체활동 공간
건물의 배치와 향을 고려하여 최대한 일광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측창, 천창,
통창벽 등을 설치하여 자연채광을 최대한 유입한다. 단, 하절기 지나친 일광을
차단할 차양 또는 브라인드, 차양막 등 조치를 병행한다.
가변 분리
신체활동 공간
체육관 공간 분리 커튼 체육관 공간 분리 회전 슬라이딩 간벽
체육관에서 2개 반 이상의 동시 수업을 위해 분리 커튼 또는 가변벽을 설치하여 이용 효율을 높인다.
고가 트랙 또는 연결 동선
신체활동 공간
층고가 높은 체육관 상부에 고가 육상트랙 또는 고가 동선을 설치하고, 이를 학교의 기존 교사동
각층과 연결하여 이용율을 높이거나 접근성을 높인다. 때로 고가 육상트랙은 관람 공간으로도
활용한다.
신체활동 공간
가구식 관람석
체육관에 접이식(가구식)
이동 관람석 설치.
신체활동 공간
광폭 개구부(출입구)
체육관의 광폭 개구부를
통해 지면 또는 기존
건물동과 연결성, 접근성을
최대한 높일 때 체육관의
활용도가 높이질 뿐 아니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신체활동 공간
성큰 체육관
지면보다 다소 낮은 성큰
(Sunken)체육관으로
조성하여 체육관의
높이를 낮추고, 옥상을
활동 공간으로 조성한다.
성큰 체육관은 지면에서
접근성을 높이고, 관람석
또는 계단의 붕괴
위험성을 낮춘다. 또한
외부에서 체육관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안전을 강화한다.
신체활동 공간
벽면 암벽 시설
신체활동 공간
무용, 체조, 요가 지원
- 요가, 무용, 댄스 등을 위해 벽면 미러 (미러 필름 사용)
- 요가가 가능한 바닥
- 오픈 짐을 위한 바닥 라인 등 다목적 고기능 바닥
* 여학생들을 위한 신체활동 지원 필요
신체활동 공간
측면 무대
입구 반대쪽에 획일적인 무대
설치 보다는 채광 또는 광폭의
무대면 확보를 위해 측면 무대
설치
무대 설치 시 비장애 슬로프 설치
필요
* 단 이때 주 출입구 위치 고려
외부 계단
다목적 체육관 신축 부지
대
상
부
지
참고로 해밀학교와 세팍타쿠루장
지면 단차는 약 3.7m 정도이기 때문에
하부 주차장 높이가 상당히 높아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해밀의 기존 농구장보다
실내체육관 바닥을 살짝 낮춰서 다목적
체육관을 짓는 방식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신체활동 공간
성큰 체육관
지면보다 가라앉은 성큰
(Sunken)체육관으로
조성하여 체육관의
높이를 낮추고, 옥상을
활동 공간으로 조성한다.
성큰 체육관은 지면에서
접근성을 높이고, 관람석
또는 계단의 붕괴
위험성을 낮춘다. 또한
외부에서 체육관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안전을 강화한다.
신체활동 공간
체육관 조성 제안
- 하부 주차장, 실내체육관(홀, 화장실, 탈의실 포함), 옥상 안전 펜스가 있는 세팍타쿠루장
- 측면 무대와 준비실, 조정실, 측면 가구식 좌석
- 기존 농구장에서 다목적 체육관으로 직접 연결
- 기존 교사동 2층 또는 3층에서 다목적 체육관 상부 고가와 옥상 연결 브릿지
- 다목적 체육관 하부 주차장 또는 외부에서 다목적 체육관 홀, 상부 동선, 옥상 세팍타쿠루로 연결되는 외부 비상 계단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Seongwon Kim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eongwon Kim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Seongwon Kim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Seongwon Kim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Seongwon Kim
 

Similar to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6)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Eu learning space design of new school
 

More from Seongwon Kim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Seongwon Kim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Seongwon Kim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Seongwon Kim
 

More from Seongwon Kim (20)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학교 시설복합화에 대한 이해와 적용(일본과 독일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20240604.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 1. 학교 다목적 체육관 조성 방향과 사례들 Play AT 생활기술과 놀이멋짓 연구소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 2. 학교공간재구조화에서 체육관은 자주 중요성이 간과되면서 전국 어느 학교나 비슷한 형태와 구조로 만들어지고 있다. 체육관은 면적 비중이 높지만 사용율이 떨어진다.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지만 그에 적합하게 구축되지 않는다. 보통 별관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접근성과 이용율이 떨어진다 .학교의 체육관은 가끔 강당이나 공연장으로도 활용되지만 그 이상의 활동과 수업을 위해서는 보다 섬세한 체육관 디자인과 변화가 필요하다.
  • 3. 학교 체육관의 도전과제와 변화 신체활동 공간 첫 번째 대형 체육관을 유지하는 데 드는 많은 에너지 비용을 줄여야 한다. 두 번째 학생수가 줄어드는 것에 맞춰 경제적인 규모의 체육관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대부분 농구, 배구, 베드민턴, 탁구, 종종 태권도 등 종목형 스포츠에 맞춰져 있다. 현대교육의 흐름을 따른 학교의 체육관들은 익스트림 스포츠, 스포츠 댄스, 가요 댄스, 요가, 무용 등 다양한 신체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열망을 지원해 한다. 네 번째 체육관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주민들의 보다 다양한 잠재적 스포츠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 번째 미세먼지, 폭염, 잦은 악천후로 실내 활동 공간 수요에 대응해야 한다. 여섯 번째 대형 공간의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다기능, 다목적화하해야 한다. 일곱 번째 체육관을 본관동으로부터 연결성, 접근성을 높여 이용율을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은 도전에 직면한 세계의 현대 학교의 체육관들은 다음과 같이 변화하고 있다. - 천창, 고측창을 설치하여 자연 채광 도입 - 반지하(Sunken) 체육관 또는 지하 체육관을 건축하고 옥상을 활동공간으로 활용 - 또는 필로티 구조로 체육관을 만들어 하부 공간을 활용 - 체육관을 강당, 공연장, 행사장 점심 식사 시간 식당으로 활용 - 학교 중심 커뮤니티 영역으로 체육관 근접 배치 연결 - 체육관과 다른 공간의 연결과 접근성 확대를 위해 측면 광폭 개구부(연결 통로 또는 문) 설치 - 측면 개구부와 연결된 관람좌석 설치 또는 이동식(접이식) 좌석 설치 - 드물지만 학년에 맞춘 복수의 소규모 체육관으로 공간 분리 - 칸막이, 슬라이딩 파티션, 대형 커텐 등을 활용한 가변적인 공간 분리와 확장 - 학생수의 감소에 맞춘 경제적인 소규모 체육관 설치 - 층고가 높은 체육관의 경우 고가 육상 트랙 또는 고가 동선 설치 - 무대 접근성과 폭을 넓이기 위해 측면 광폭 무대 설치 - 다양한 놀이와 스포츠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방과 후 오픈 짐(Open Gym) 도입 - 암벽타기, 수직 미로, 등반 막대, 수직 봉, 그네 등 수직 놀이시설 설치
  • 4. 채광 신체활동 공간 건물의 배치와 향을 고려하여 최대한 일광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측창, 천창, 통창벽 등을 설치하여 자연채광을 최대한 유입한다. 단, 하절기 지나친 일광을 차단할 차양 또는 브라인드, 차양막 등 조치를 병행한다.
  • 5.
  • 6. 가변 분리 신체활동 공간 체육관 공간 분리 커튼 체육관 공간 분리 회전 슬라이딩 간벽 체육관에서 2개 반 이상의 동시 수업을 위해 분리 커튼 또는 가변벽을 설치하여 이용 효율을 높인다.
  • 7. 고가 트랙 또는 연결 동선 신체활동 공간 층고가 높은 체육관 상부에 고가 육상트랙 또는 고가 동선을 설치하고, 이를 학교의 기존 교사동 각층과 연결하여 이용율을 높이거나 접근성을 높인다. 때로 고가 육상트랙은 관람 공간으로도 활용한다.
  • 8.
  • 9.
  • 10. 신체활동 공간 가구식 관람석 체육관에 접이식(가구식) 이동 관람석 설치.
  • 11.
  • 12. 신체활동 공간 광폭 개구부(출입구) 체육관의 광폭 개구부를 통해 지면 또는 기존 건물동과 연결성, 접근성을 최대한 높일 때 체육관의 활용도가 높이질 뿐 아니라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13. 신체활동 공간 성큰 체육관 지면보다 다소 낮은 성큰 (Sunken)체육관으로 조성하여 체육관의 높이를 낮추고, 옥상을 활동 공간으로 조성한다. 성큰 체육관은 지면에서 접근성을 높이고, 관람석 또는 계단의 붕괴 위험성을 낮춘다. 또한 외부에서 체육관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안전을 강화한다.
  • 15. 신체활동 공간 무용, 체조, 요가 지원 - 요가, 무용, 댄스 등을 위해 벽면 미러 (미러 필름 사용) - 요가가 가능한 바닥 - 오픈 짐을 위한 바닥 라인 등 다목적 고기능 바닥 * 여학생들을 위한 신체활동 지원 필요
  • 16. 신체활동 공간 측면 무대 입구 반대쪽에 획일적인 무대 설치 보다는 채광 또는 광폭의 무대면 확보를 위해 측면 무대 설치 무대 설치 시 비장애 슬로프 설치 필요 * 단 이때 주 출입구 위치 고려
  • 18. 다목적 체육관 신축 부지 대 상 부 지 참고로 해밀학교와 세팍타쿠루장 지면 단차는 약 3.7m 정도이기 때문에 하부 주차장 높이가 상당히 높아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해밀의 기존 농구장보다 실내체육관 바닥을 살짝 낮춰서 다목적 체육관을 짓는 방식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19. 신체활동 공간 성큰 체육관 지면보다 가라앉은 성큰 (Sunken)체육관으로 조성하여 체육관의 높이를 낮추고, 옥상을 활동 공간으로 조성한다. 성큰 체육관은 지면에서 접근성을 높이고, 관람석 또는 계단의 붕괴 위험성을 낮춘다. 또한 외부에서 체육관 내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안전을 강화한다.
  • 20. 신체활동 공간 체육관 조성 제안 - 하부 주차장, 실내체육관(홀, 화장실, 탈의실 포함), 옥상 안전 펜스가 있는 세팍타쿠루장 - 측면 무대와 준비실, 조정실, 측면 가구식 좌석 - 기존 농구장에서 다목적 체육관으로 직접 연결 - 기존 교사동 2층 또는 3층에서 다목적 체육관 상부 고가와 옥상 연결 브릿지 - 다목적 체육관 하부 주차장 또는 외부에서 다목적 체육관 홀, 상부 동선, 옥상 세팍타쿠루로 연결되는 외부 비상 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