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방과후 마을학교 사업팀 구성과 프로그램 설
계 속에서 마을강사 양성과 동아리 생성 가능
성에 관한 탐색을 동시에 실행하기
-지역방과후 컨텐츠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탐
색
학교별로 담당교사, 마을강사(학부모), 지역
활동가들이 사업팀을 구성해서 어린이들에
게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와 프로그램 계획
움직이는 마을학교 사
업에 관한 목적, 목표,
전략, 기대효과, 주체,
예산 등을 포괄적으로
정리 - 지역사회 설명회
용으로 정리 필요
조직이 관건! 담당교사, 마을강사,
학부모, 지역활동가, 지역과 교육의
통합을 꿈꾸는 지역주민 등등
-지역사회의 공감대 형성하기
강북교육지원센터 도
깨비, 함께웃는가게, 교
육복지센터, 극단원향,
월드유스비전, 늘해랑
등등
A. 방과후 마을학교
▼
B. 마을강사(활동가 포함) 양성
C. 자기주도적 학생 동아리
강북구 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인
근 지역의 교육, 문화, 예술 단체나
기관, 자연환경을 탐방
지역교육분과, 사업을 논하다
강북교육혁신 : 지역교육분과
designedbyKimnoza
움직이는 마을학교 “동네 밝네” 지역교육분과의 비전
교육과 마을이 만나 마을교육공동체-되기
-강북구의 교육 상황 : 보완지점
-자원 : 교육 참여 개인 및 기관, 교
육 컨텐츠, 장소, 시민사회 자원,
사회적경제 자원, 문화역사 자원,
자연 자원 등
-코어 그룹 파악
1. 지역강사의 자질과 역량 강화를
프로그램 지원 : 주민, 학부모를 강
사로 양성
2. 마을의 인적 자원(기관, 단체, 개
인)이 결합된 사업팀 구성
3. 학교별/권역별 다양한 프로그
램 발굴
4. 학교와 지역사회의 통합/협력
교육 네트워크 토대 구축
5. 강북구 초등학생이 지역에 관한
애정 높이기
-학생,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의
다양하고 깊은 관계망 형성을 통해
지역교육공동체의 토대 형성
-교육공동체로서 안전망 확대
-강사풀(학부모, 주민, 활동가)
-다양한 마을학교 프로그램/컨텐츠
-마을학교(방과후) 매뉴얼
움직이는마을학교
기획팀 구성
사업 개요
지역사회 설명회
마을강사/활동가
교육, 워크숍
학교별 프로그램
안내
-사업 개요/윤곽은 어느 수위로?
-사업팀 구성 및 조직은?
-사업팀 구성(수용력)에 따른 사
업 규모(참여 학교/학급 수)
이슈! 사업 흐름도
사업 내용
-권역별로 나눌 때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의제화 여부
cf. 예술촌, 교육촌, 돌봄촌, 사회적경
제촌, 자원순환촌
-코어 역할을 할 수 있는 권역내 단체
선정하기
-간사 역할을 할 기관 선정
-지역 속에서 아동청소년의 성장, 발달, 교육에 관한 비전 찾기
-지역교육 이슈 발굴
-지역교육공동체에 관한 담론 만들고 확산하기
강북구의 교육? 모니터링 요소
-코어 그룹, 포스트 세우기
-의제별 권역 나누기
전략
목표
기대 효과 (outcome)
산출물(output)
제안문 공유
학교별 세부 프로그램 구성사업팀 구성
7월
7월
6월
6월
26일
9월
프로그램 운영
9월~
11월
핵심 포인트
지역분과의 역할? 함께 고민해 봅시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강북구 굥육혁신지구 방과후 배움터 설계 프로세스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Seongwon Kim
 
제주공정여행
제주공정여행제주공정여행
제주공정여행
storyjeju
 
Outdoor education
Outdoor educationOutdoor education
Outdoor education
Max Kim
 
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고와선 마을계획
고와선 마을계획고와선 마을계획
고와선 마을계획
Zoosun Yoon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은길 조
 
[기본] 2013 10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전병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 2013 10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전병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기본] 2013 10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전병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 2013 10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전병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atelier t*h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masilbyul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수원 주
 
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2012)
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2012)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2012)
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2012)JungHee Tak
 
학부모신문279호(20141205)
학부모신문279호(20141205)학부모신문279호(20141205)
학부모신문279호(20141205)
경희 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Wanju Community Business Center
 
Lingrets
LingretsLingrets
Lingrets
Joohyeon Jin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parkds2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hiiocks kim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봄인터랙트미디어
 
충남 (예비)사회적기업 스토리텔링 따숨
충남 (예비)사회적기업 스토리텔링 따숨충남 (예비)사회적기업 스토리텔링 따숨
충남 (예비)사회적기업 스토리텔링 따숨Csen Ch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5.지역사회기반형 관광의 적용사례 안성(김도희)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5.지역사회기반형 관광의 적용사례 안성(김도희)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5.지역사회기반형 관광의 적용사례 안성(김도희)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5.지역사회기반형 관광의 적용사례 안성(김도희)
sustaintour
 
학부모신문 270호입니다. (20140305)
학부모신문 270호입니다. (20140305)학부모신문 270호입니다. (20140305)
학부모신문 270호입니다. (20140305)
은영 김
 

Similar to 강북구 굥육혁신지구 방과후 배움터 설계 프로세스 (20)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제주공정여행
제주공정여행제주공정여행
제주공정여행
 
Outdoor education
Outdoor educationOutdoor education
Outdoor education
 
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Community kitchen iii
Community kitchen iii
 
고와선 마을계획
고와선 마을계획고와선 마을계획
고와선 마을계획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기본] 2013 10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전병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 2013 10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전병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기본] 2013 10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전병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기본] 2013 10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합형 레지던스 공간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전병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공감링크 기관별모임조직소개 20150920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ChangeOn@GNTech 촌놈날다4- 소영식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방과후학교협동조합모델
 
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2012)
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2012)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2012)
사회복지법인 이웃사랑실천회(2012)
 
학부모신문279호(20141205)
학부모신문279호(20141205)학부모신문279호(20141205)
학부모신문279호(20141205)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완주커뮤니티비즈니스센터
 
Lingrets
LingretsLingrets
Lingrets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충남 (예비)사회적기업 스토리텔링 따숨
충남 (예비)사회적기업 스토리텔링 따숨충남 (예비)사회적기업 스토리텔링 따숨
충남 (예비)사회적기업 스토리텔링 따숨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5.지역사회기반형 관광의 적용사례 안성(김도희)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5.지역사회기반형 관광의 적용사례 안성(김도희)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5.지역사회기반형 관광의 적용사례 안성(김도희)
1차 지속가능한관광포럼 5.지역사회기반형 관광의 적용사례 안성(김도희)
 
학부모신문 270호입니다. (20140305)
학부모신문 270호입니다. (20140305)학부모신문 270호입니다. (20140305)
학부모신문 270호입니다. (20140305)
 

강북구 굥육혁신지구 방과후 배움터 설계 프로세스

  • 1. -방과후 마을학교 사업팀 구성과 프로그램 설 계 속에서 마을강사 양성과 동아리 생성 가능 성에 관한 탐색을 동시에 실행하기 -지역방과후 컨텐츠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탐 색 학교별로 담당교사, 마을강사(학부모), 지역 활동가들이 사업팀을 구성해서 어린이들에 게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와 프로그램 계획 움직이는 마을학교 사 업에 관한 목적, 목표, 전략, 기대효과, 주체, 예산 등을 포괄적으로 정리 - 지역사회 설명회 용으로 정리 필요 조직이 관건! 담당교사, 마을강사, 학부모, 지역활동가, 지역과 교육의 통합을 꿈꾸는 지역주민 등등 -지역사회의 공감대 형성하기 강북교육지원센터 도 깨비, 함께웃는가게, 교 육복지센터, 극단원향, 월드유스비전, 늘해랑 등등 A. 방과후 마을학교 ▼ B. 마을강사(활동가 포함) 양성 C. 자기주도적 학생 동아리 강북구 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인 근 지역의 교육, 문화, 예술 단체나 기관, 자연환경을 탐방 지역교육분과, 사업을 논하다 강북교육혁신 : 지역교육분과 designedbyKimnoza 움직이는 마을학교 “동네 밝네” 지역교육분과의 비전 교육과 마을이 만나 마을교육공동체-되기 -강북구의 교육 상황 : 보완지점 -자원 : 교육 참여 개인 및 기관, 교 육 컨텐츠, 장소, 시민사회 자원, 사회적경제 자원, 문화역사 자원, 자연 자원 등 -코어 그룹 파악 1. 지역강사의 자질과 역량 강화를 프로그램 지원 : 주민, 학부모를 강 사로 양성 2. 마을의 인적 자원(기관, 단체, 개 인)이 결합된 사업팀 구성 3. 학교별/권역별 다양한 프로그 램 발굴 4. 학교와 지역사회의 통합/협력 교육 네트워크 토대 구축 5. 강북구 초등학생이 지역에 관한 애정 높이기 -학생,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의 다양하고 깊은 관계망 형성을 통해 지역교육공동체의 토대 형성 -교육공동체로서 안전망 확대 -강사풀(학부모, 주민, 활동가) -다양한 마을학교 프로그램/컨텐츠 -마을학교(방과후) 매뉴얼 움직이는마을학교 기획팀 구성 사업 개요 지역사회 설명회 마을강사/활동가 교육, 워크숍 학교별 프로그램 안내 -사업 개요/윤곽은 어느 수위로? -사업팀 구성 및 조직은? -사업팀 구성(수용력)에 따른 사 업 규모(참여 학교/학급 수) 이슈! 사업 흐름도 사업 내용 -권역별로 나눌 때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의제화 여부 cf. 예술촌, 교육촌, 돌봄촌, 사회적경 제촌, 자원순환촌 -코어 역할을 할 수 있는 권역내 단체 선정하기 -간사 역할을 할 기관 선정 -지역 속에서 아동청소년의 성장, 발달, 교육에 관한 비전 찾기 -지역교육 이슈 발굴 -지역교육공동체에 관한 담론 만들고 확산하기 강북구의 교육? 모니터링 요소 -코어 그룹, 포스트 세우기 -의제별 권역 나누기 전략 목표 기대 효과 (outcome) 산출물(output) 제안문 공유 학교별 세부 프로그램 구성사업팀 구성 7월 7월 6월 6월 26일 9월 프로그램 운영 9월~ 11월 핵심 포인트 지역분과의 역할? 함께 고민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