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함께 가는 희망을 만드
는
    삼성에 드립니다.
                    돌봄사회의 창조적 소통과
                학교밖 청소년의 생산적 학습을 위한
           1000개의 작은학교 만들기 프로젝트


                           2005. 6. 14




               (가칭)1000작은학교위원회
 // 간디자유학교 / 성미산학교 / 이우학교 / 하자작업장학교 / 서울시대안교육센터 //
I. 작은학교는…

                                                아름답다


                   어떻게 서른 명, 스물다섯 명 되는 아이들을
                   한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으며,
                   이천 명, 천 오백 명 되는 아이들을
                   한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습니까?
                   모든 학교는 생활하고 학습하는 공동체여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학교를 학습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공장의 복제품, 지식공장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학교는 가정의 연장이어야 합니다.
                   따뜻하고 신뢰할 수 있고 친근하고 두려움없는 가정말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그래서 나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슈마허의 원칙에 근거한
                   조그만 학교를 세우자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이 학교를 “작은 학교”라고 불렀습니다.


  사티쉬 쿠마르 : 국제생태평화운동가, <슈마허칼리지>설립자



                         3
I. 작은학교는…

                                                         Mo’better



                                 보
  3R(더 좋은 학교를 위해 필요한 엄격함, 관련성, 관계성)은
                         다 작은 학교에서
          촉진시키기가 쉽다는 건 거의 확실합니다.
              작은 크기는 벼랑으로 떨어짐없이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룰 수 있는 환경을
    교사와 운영자들이 창조할 수 있도록 여유를 줍니다.
               이처럼 작은 학교에서 학생들은
                          더 많이 동기화되고,
                       더 안전하다고 느끼면서,
                     더 높은 출석율을 유지하고,
               더 많이 졸업하고 대학을 가게 됩니다.


          빌게이츠 : 마이크로소프트, Bill & Mellinda Gates Foundation 공동설립자



                               4
I. 작은학교는…
                                   “One Kid At A Time”




     (학교에서) 교사는 일방적 강의가 아닌,
     아이들 스스로 배우는 게
     의미 있다고 느껴지도록 가르쳐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는 학생들 개개인을
     철저히 알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작아져야 합니다.
     이러한 공립기관을 세우기 위해
     각계 각층의 사람들이 개인적인 명성이나
     직업적인 명성에 흠이 날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우리의 목표를 이루는 데
     힘써주지 않았더라면
     우리의 야심찬 구상이 여기까지 올 수는
     없었을 겁니다.




                 엘리엇워셔 : 빅픽쳐컴퍼니 공동설립자, 메트스쿨 교장
IV. 프로젝트 추진방향



   1.   돌봄사회의 ‘창조적 소통’과 ‘생산적 학습’을 기본성격으로 하면서 현재 운영 중인 ‘100개의 작
        은학교’로 부터 질적으로 성장된 ‘1000개의 작은학교’라는 점을 이슈화 하면서 우리사회의 교
        육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전개한다.
   2.   ‘함께 가는 희망’을 만드는 삼성이 후원하고, 자기주도학습과 돌봄의 철학으로 운영되는 ‘21세
        기의 학습모델’을 보여준 국내 대표적 대안교육 주체들이 네트워크하면서 ‘작은학교와 함께
        가는 희망’과 ‘삼성과 함께 만드는 1000개의 작은학교’ 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3.   작은학교 현장지원사업은 밑빠진독 물붓기식의 소모적 지원을 지양하고, 건강한 교육주체가
        형성되는 자생력 강화를 전제로 시범사업을 개발 운영 평가 환류하여 작은학교들의 질적 성장
        과 내용적 확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4.   사업은 ‘도시형대안학교’, ‘학부모가만드는학교’, ‘생태자연학교’, ‘마을학교’, ‘벽이없는학교’ 등
        의 특성을 가지고 실험적으로 운영되는 학생수 100명이하의 작은학교를 지원함을 강조하면서
        정치, 환경, 인권, 여성, 교육 등으로 추진주체의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작은학교 활성화’가 우
        리사회 각 분야의 주요한 의제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
   5.   더불어 한국사회가 당면해있고 조만간 직면하게될 교육적 제문제들은, 인류가 동시적으로 겪
        고있는 문제라는 점에서, 위기임과 동시에 기회라는 점을 사회적으로 공유하면서 지구적 차원
        의 ‘교육개혁운동’과 ‘작은학교 담론의 장’을 만들어 간다.

                                  6
III. 작은학교만들기 프로젝트 개요
                     사 업 명 : 돌봄문화와 자기주도학습의 작은학교 만들기 프로젝트
                     예   산 : 연간 130억 수준 / 3년간 총390억원


                   작은학교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
                                                      연간 예산
     [ 짓다 프로젝트 ]      [고치다 프로젝트]       [숨쉬다 프로젝트]     100억 수준



      공모를 통해             공모를 통해
                                            공모를 통해
      연간 3-4개의          시설과 기자재를
                                          우수학습프로그램을
     작은 학교 건립을          업그레이드하는
                                           지원하는 사업
      지원하는 사업              사업



               작은 학교 네트워크 위원회 기획사업
                                                      연간 총예산
    [ 연구개발 프로젝트 ]     [교사연수 프로젝트]      [포털 운영]        30억 수준

                                          학교의 경험을
     학교의 질적 성장을            학교의           정보화하고 사회
      위한 교재, 교구,        길잡이, 담임, 상담,      담론화하면서
     교수방법론 연구와           기획, 경영 등을      온라인 기반의 공유
     관련 정책과 제도             학습하는             축적의
      연구 및 국내외          교사연수프로그램           학습 포털
       학술대회 운영               운영             사이트
IV. 작은학교만들기 프로젝트의 핵심과제는…
                            돌봄의 문화로 운영되는 학교의 확산과


                작은학교네트워크위원회 지원사업


  작은학교의                                     작은학교의
                다양한 형태의 작은학교 건립 및 공간확보지원     운영원리
   특성

 • 사회적 학습자원을                               • 자기 몸에 맞는 속도로
   연계하는            기존 시설의 개보수와 기자재 지원        스스로 학습하는
   벽이없는 학교                                   배움터
 • 학교를 중심으로                                • 강제가 아니라
   돌봄문화와                                     자발적 규약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운영되는 자치공간
                   학생1인당 공교육비 확보 및 지원      • 일 놀이 학습이
   실현하는
   마을학교와 쉼터학교                                통합하는 삶터
 • 프로젝트 기반의                                • 경계를 넘나들며
   행함으로 학습하는                                 사회적 가치를
                 사회학습자원네트워크와 프로그램 지원         실천하고 학습하는
   작업장학교
                                             시민사회공방



                “고도압축 불균형 성장사회와 카오스의 아이들”
                 “근대학교와 탈근대학교의 공존과 경계넘기”
IV. 작은학교만들기 프로젝트의 핵심과제는…
                          자기주도학습을 이끄는 교사의 성장입니다.


                작은학교네트워크 위원회 기획사업

                                            21세기 교사의
 21세기 교사의
                                               역할
    자질              길잡이, 기획, 상담, 담임, 경영 등
                  직무별 영역별 체계적 연수프로그램 운영     • 12명의 아이를 돌보는
 • 돌봄의 감수성을                                   엄마
 갖추고 자기주도적으로                                • 아이의 관심을 보며,
 학습하며 성장하는         해외 연수 및 교환교사 프로그램 운영       맞춤학습 과정을 짜는
                                              교사
 평생학습 시대의                                   • 사회학습자원을 연계하고
 교사                                           수업을 기획하는
 • 시민사회적 가치에     교과, 교재, 교구 연구를 비롯한 각종 연구     네트워커
                  출판활동과 워크숍 및 학술대회 개최       • 아이의 성장 단계별로
 기반하는 폭 녋은
                                              의례와 축제를 계획하는
 관심사를 갖고                                      기획자
 창조적으로 소통하며                                 • 대안적 삶을 실천하며
                 대안학교 교사 풀 형성 및 지원시스템 구축      아이의 성장모델이 되는
 학습의 동기를
                                              실천가
 이끄는 교사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
               “19세기의 교실, 20세기의 교사, 21세기의 아이들”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사람을 기르는 교사의 감수성과 자질”
기존의 흐름들
< 특성화 중고등학교 >   < 초등대안학교 >   < 시민사회적 실험 >

 사립형 자립고 논란     경기도와 서울 일부   서울시대안교육센터
 특성화 학교 17개     지역에서 활성화     와 10여개의 네트워크
 입시학원화의 문제                   학교
 공교육 모델 필요      공동육아운동의 기반   -하자 작업장 학교
 국가주도 대안학교      위에서 학부모들이    -도시 속 작은 학교
 지방의 폐교를        중심
 활용한 기숙형 학교                  교육 정책과 청소년
 도시형 대안학교       지역공동체를 모태    정책의 유기적 연계
 대안학교 모델필요      로 한 학교의 모델
                             사회학습자원을 연
                             계하는 대안 학습
                             체제화- 평생교육으로
                             진화할 시공간
작은학교 10/100/1000개 만들기 : 과제와 사업 영역
                                   작은 학교 설립의 제도화
                  작은 학교 / 작은 교실
                                   ‘작은 학교’ 비전과 기획 체계화
                  개념 제시와 모델링
                                   학교 잉큐베이팅과 컨설팅
                                   여론 조성(미디어, 심포지엄)




                      연구교사
준비된 학교/ 교사의           프로젝트 지원     대안적 커리큘럼의
발굴과 업그레이드                         체계화와 보급
 교장, 교사 교육과 인증제                   기존 현장의 커리큘럼 수집
                                  및 분석
 현장 경험의 정보화
                                  자기 길 찾기의 사례 개발
 교사 국내외 파트너쉽
                                  매뉴얼화 및 출판
 다양화: 도시속 미디어 학교, 노
 동자 학교, 농민학교, 디자인 학
 교, 탈북 청소년 학교 등
영역 간 시너지

                           교육인적자원부
기업
                           /교육청
재정 후원                      재정 및 행정 지원
/인턴쉽 기회 제공                 /새로운 시스템의 창출
(산학협동)



               다양한 작은 학교

공공자원 제공                    학부모의 참여
/평생학습정책와 연계                /교육 시민들의 참여


 지자체                        시민사회
V. 작은학교만들기는…
                               작은학교 네트워크 위원회가 주도하고

  작은 학교 네트워크 위원회는
  따뜻한 돌봄과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작은 학교의 설립과 질적 성장을 지원하는
  학교 네트워크입니다.

  작은 학교 네트워크는
  ‘부모가 만드는 학교’, ’작업장 학교’,
  ‘마을학교’, ‘생태공동체학교’ 등
  다양한 작은 학교들이
  21세기를 살아갈 아이들이
  소통의 감수성과 인문학적 소양,
  문화작업능력과 평생 학습 능력을 갖춘
  성숙한 존재로 커가는 것을 돕습니다.

  작은 학교 네트워크 위원회는
  학교 잉큐베이팅,
  교재개발, 교사연수, 학교 인증,
  학습 포털 사이트 구축 등의 사업을 전개합니다.
V. 작은학교만들기는…
                                       기업과 정부가 후원합니다




   작은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는             작은 학교 만들기는
   사회 공헌을 하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들의 blessing으로 추진됩니다.      지구적 차원의 담론을 형성하게 될

   작은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는             ‘교육개혁운동’입니다.
                               이미 씨앗은 발아했습니다.
   교육을 포함하여
                               작은 학교를 통한 교육개혁운동은
   정치, 환경, 인권, 여성, 과학 분야로
                               일본, 영국, 미국, 홍콩, 태국, 러시아로
   추진 주체의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퍼져가고 있습니다.
   21세기적 삶의 전환을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민간주도 정부후원 교육개혁 모델은
   ‘작은 학교 활성화’가
                               21세기 지구촌 곳곳의
   우리사회를 새롭게 재편해낼              작고 새로운 학교를 연결하면서
   이러한 100년의 희망 만들기 운동은        거대국민대량생산 교육의 시대를 넘어
   후원 기업들의 이름과 함께 진행될 것입니다.    자율과 공생의 시대를 열어갈 것입니다.
VIII.프로젝트제안주체

                                    (가칭)1000작은학교위원회 협의단체
   간디자유학교 (경북 군위군 소보면 서경리 652-1번지) http://gandhifreeschool.wo.to
   간디자유학교는 한국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97년 경남 산청에서 시작한 ‘간디학교’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랑과 자발성’의
   철학으로 운영되는 <행복한 학교>를 만들고자 2002년 개교한 기숙형 비인가 고등학교입니다. 배려와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
   유로운 생활을 학교문화로 하며, 학생들의『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7가 57번지) http://www.activelearning.or.kr
   서울시대안교육센터는 2001년 설립이래 ‘작은 학교’, ‘도시형 대안학교’, ‘벽이 없는 학교’, ‘마을학교’라는 모토를 건, 다양한 학교밖
   청소년 학습공간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불안의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학습의 틀과 모델을 만들어 왔습니다.
   2005년 현재 서울시 소재 13개 청소년 학습 공간을 지원하며 대안학습을 모델링하고 전파하며 교사 업그레이드를 위한 교육 사업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성미산학교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440-14번지) http://www.sungmisan.net
   성미산학교는 마포구 성미산 지키기 운동에 나섰던 주민들이 그 성과를 모아 만든 초ㆍ중ㆍ고 교육과정을 합친 도시형 대안학교
   로서 2005년 개교하였습니다. 학부모들이 10년 간 아이를 함께 키우며 만들어온 대안 공동체 운동이 학교로 결실을 맺은 것입니다.
   성미산학교는 교육을 학교를 넘어 마을로 확대해 실시하고 있으며 도시 지역의 여러 교육 자원과 연계한 네트워크 교육을 적극 모
   색하고 있습니다.

   이우학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산 13-1번지) http://www.2woo.net
   이우학교는 2003년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특성화학교 과정에 대한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하였습니다. ‘21세기 더불어 사는 삶을
   사는 교육’을 목표로 내세운 이우학교는 중학교 학년당 3학급(학급당 20명), 고교 학년당 4학급(학급당 2명) 등 전교생 420명으로
   학생 수준과 진로에 맞는 맞춤식 교육과정을 편성해 토론식·탐구식 수업, 노작활동과 사회봉사, NGO 참여 등을 통해 올바른 가치
   관을 가진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자작업장학교(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7가 57) http://school.haja.net
   하자작업장학교는 2001년 9월에 하자센터가 설립한 학교로, 학생수가 최대 100 명을 넘지 않는 규모의 작은 학교이면서 맞춤학습,
   네트워크에 의한 학습, 작업을 통한 학습 등을 도입한 도시형 대안학교입니다. 학생들은 작업장에서 자기 전공 작업을 하면서 학교
   의 안팎에서 인문학과 외국어 등을 학습하고, 자치 활동 프로젝트, 인턴십 프로젝트, 디지털 리터러시, 글로벌네트워크학습 등을
   합니다.
                                         15
VIII.프로젝트제안주체

                                                     인적네트워크
   • 조한혜정 – 연세대 교수, 하자센터장, 서울시대안교육센터장, 성미산학교장
   • 양희규 – 한국대안학교협의회장, 산청간디학교장, 간디농장 설립자, 싼타바바라대학 철학 박사
   • 김송현 – 간디학교법인 녹색학원이사장, 코리아타임즈 편집부장 역임
   • 양희창 – 대안교육연대상임운영위원장, 간디청소년학교장
   • 정유성 – 서강대교수, 공동육아와 공동체 교육, 하자센터 운영위원
   • 박홍이 – 연세대교수, 청년문화연구원장, 하자센터 운영위원
   • 정광필 – 이우중고등학교장
   • 이명현 – 서울대교수, 전 교육부 장관, 이우교육공동체 고문
   • 강지원 – 변호사, 이우교육공동체 상임고문, 전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장
   • 안명옥 – 국회의원, 소녀들의 산부인과 소장, 하자센터 운영위원
   • 고진화 – 국회의원, 영등포 뉴타운,특목고 추진위원회 위원장 , 하자센터 운영위원
   • 전보삼 – 신구대 교수, 성남시민포럼 대표, 만해기념관장
   • 정광춘 – 이우교육공동체 재정부장, 학교법인 이우학원 이사
   • 이종태 – 이우교육공동체 공동대표, 학교법인 이우학원 이사
   • 이경재 – 한국리더쉽센터 소장
   • 장 석 – 학교법인 이우학원 이사장, 중앙씨푸드대표이사
   • 김현미 – 연세대 교수, 워싱톤대 인류학 박사, 문화산업, 글로벌감수성
   • 송도영 – 서울시립대 교수, 프랑스 고등교육원 인류학 박사, 대중문화와 공간교육
   • 황상민 – 연세대 교수, 하바드 대학 심리학 박사, 디지털문화와 온라인 게임문화
   • 원광연 –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하바드 대학 박사, 가상공간실험
   • 김찬호 – 한양대 교수,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 글로벌학습과 주민참여마을만들기
   • 정현선 – 경인교대 교수, 런던대 교육학과 박사, 미디어교육과 컨텐츠 기획
   • 박 은 – 뉴저지 포텐셜 아카데미 원장, 한양대 교육학 석사, 중앙일보 에듀라인 원장 역임
   • 서동진 – 문화평론가, 대중문화와 온라인 문화 기획
   • 정연순 – 서울시대안교육센터 부센터장, 서울대 교육학 박사, 평생학습연구
   • 박복선 –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하자 부센터장, 우리교육 편집장 역임
   • 김종휘 – 문화평론가, 재활용상상놀이단장, 방송진행자(CBS, YTN, KBS)


                                16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Seongwon Kim
 
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
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
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
hiiocks kim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koreaspeaks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Jihyu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eongwon Kim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Ars Praxia / Seoul
 
위즈돔 + 스쿨
위즈돔 + 스쿨 위즈돔 + 스쿨
위즈돔 + 스쿨 wisdome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은길 조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봄인터랙트미디어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봄인터랙트미디어
 
서울 교육감 민주진보 단일후보 이수호 공약집
서울 교육감 민주진보 단일후보 이수호 공약집서울 교육감 민주진보 단일후보 이수호 공약집
서울 교육감 민주진보 단일후보 이수호 공약집eduseoul2012
 
[동그라미재단] 2013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 두런두런 앙트러프러너십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2013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 두런두런 앙트러프러너십 매뉴얼[동그라미재단] 2013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 두런두런 앙트러프러너십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2013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 두런두런 앙트러프러너십 매뉴얼
thecirclefoundation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201325025
 
스마트교실 환경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 촉진방안
스마트교실 환경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 촉진방안스마트교실 환경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 촉진방안
스마트교실 환경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 촉진방안
Minsoo Jung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경희 배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봄인터랙트미디어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
thecirclefoundation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parkds2
 

Similar to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
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
천개학교만들기(스콜라)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2012_0313_ 서울시대안교육센터 기관소개 자료
 
위즈돔 + 스쿨
위즈돔 + 스쿨 위즈돔 + 스쿨
위즈돔 + 스쿨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2013 09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1월호
 
서울 교육감 민주진보 단일후보 이수호 공약집
서울 교육감 민주진보 단일후보 이수호 공약집서울 교육감 민주진보 단일후보 이수호 공약집
서울 교육감 민주진보 단일후보 이수호 공약집
 
[동그라미재단] 2013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 두런두런 앙트러프러너십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2013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 두런두런 앙트러프러너십 매뉴얼[동그라미재단] 2013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 두런두런 앙트러프러너십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2013 'ㄱ'찾기 프로젝트 공모사업 : 두런두런 앙트러프러너십 매뉴얼
 
제본용
제본용제본용
제본용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스마트교실 환경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 촉진방안
스마트교실 환경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 촉진방안스마트교실 환경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 촉진방안
스마트교실 환경에서의 교육적 상호작용 촉진방안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학부모신문283호(20150401)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대전광역시교육청 사내보 대전교육 1월호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매뉴얼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교육과정 창의적 편성
 

More from hiiocks kim

Summary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 dispute t
Summary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 dispute   tSummary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 dispute   t
Summary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 dispute thiiocks kim
 
전문가협의체 보고서에 대한_우리의_입장
전문가협의체 보고서에 대한_우리의_입장전문가협의체 보고서에 대한_우리의_입장
전문가협의체 보고서에 대한_우리의_입장hiiocks kim
 
2013하자마을성년의례리플렛
2013하자마을성년의례리플렛2013하자마을성년의례리플렛
2013하자마을성년의례리플렛hiiocks kim
 
신에게서 인간에로
신에게서 인간에로 신에게서 인간에로
신에게서 인간에로 hiiocks kim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hiiocks kim
 
목조시공-경골목구조(광장건축)
목조시공-경골목구조(광장건축)목조시공-경골목구조(광장건축)
목조시공-경골목구조(광장건축)hiiocks kim
 
목조시공-기초(광장건축)
목조시공-기초(광장건축)목조시공-기초(광장건축)
목조시공-기초(광장건축)hiiocks kim
 
목조설계2(광장건축)
목조설계2(광장건축)목조설계2(광장건축)
목조설계2(광장건축)hiiocks kim
 
목조설계(광장건축)
목조설계(광장건축)목조설계(광장건축)
목조설계(광장건축)hiiocks kim
 
녹색성장(광장건축)
녹색성장(광장건축)녹색성장(광장건축)
녹색성장(광장건축)hiiocks kim
 
김익중의 탈핵강의V2
김익중의 탈핵강의V2김익중의 탈핵강의V2
김익중의 탈핵강의V2
hiiocks kim
 
포스트 후쿠시마 문화 (송태현)
포스트 후쿠시마 문화 (송태현)포스트 후쿠시마 문화 (송태현)
포스트 후쿠시마 문화 (송태현)
hiiocks kim
 
hps 2011 봄 디자인수업 중 하자하자 편 (온, 별 발표)
hps 2011 봄 디자인수업 중 하자하자 편 (온, 별 발표)hps 2011 봄 디자인수업 중 하자하자 편 (온, 별 발표)
hps 2011 봄 디자인수업 중 하자하자 편 (온, 별 발표)
hiiocks kim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명함만들기 편 (구나, 미난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명함만들기 편 (구나, 미난 발표)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명함만들기 편 (구나, 미난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명함만들기 편 (구나, 미난 발표)
hiiocks kim
 
hps 2011 봄. 구나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구나의 디자인수업hps 2011 봄. 구나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구나의 디자인수업
hiiocks kim
 
hps 2011 봄 : 미난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 미난의 디자인수업hps 2011 봄 : 미난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 미난의 디자인수업
hiiocks kim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드로잉 편 (주님, 공룡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드로잉 편 (주님, 공룡 발표)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드로잉 편 (주님, 공룡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드로잉 편 (주님, 공룡 발표)
hiiocks kim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컬러스터디 편 (선호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컬러스터디 편 (선호 발표)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컬러스터디 편 (선호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컬러스터디 편 (선호 발표)
hiiocks kim
 
hps 2011 봄. 별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별의 디자인수업hps 2011 봄. 별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별의 디자인수업
hiiocks kim
 

More from hiiocks kim (20)

Summary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 dispute t
Summary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 dispute   tSummary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 dispute   t
Summary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 dispute t
 
전문가협의체 보고서에 대한_우리의_입장
전문가협의체 보고서에 대한_우리의_입장전문가협의체 보고서에 대한_우리의_입장
전문가협의체 보고서에 대한_우리의_입장
 
2013하자마을성년의례리플렛
2013하자마을성년의례리플렛2013하자마을성년의례리플렛
2013하자마을성년의례리플렛
 
신에게서 인간에로
신에게서 인간에로 신에게서 인간에로
신에게서 인간에로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그리스 철학과 고전주의미술(하자센터강의.2013)
 
목조시공-경골목구조(광장건축)
목조시공-경골목구조(광장건축)목조시공-경골목구조(광장건축)
목조시공-경골목구조(광장건축)
 
목조시공-기초(광장건축)
목조시공-기초(광장건축)목조시공-기초(광장건축)
목조시공-기초(광장건축)
 
목조설계2(광장건축)
목조설계2(광장건축)목조설계2(광장건축)
목조설계2(광장건축)
 
목조설계(광장건축)
목조설계(광장건축)목조설계(광장건축)
목조설계(광장건축)
 
녹색성장(광장건축)
녹색성장(광장건축)녹색성장(광장건축)
녹색성장(광장건축)
 
2012 festeza
2012 festeza2012 festeza
2012 festeza
 
김익중의 탈핵강의V2
김익중의 탈핵강의V2김익중의 탈핵강의V2
김익중의 탈핵강의V2
 
포스트 후쿠시마 문화 (송태현)
포스트 후쿠시마 문화 (송태현)포스트 후쿠시마 문화 (송태현)
포스트 후쿠시마 문화 (송태현)
 
hps 2011 봄 디자인수업 중 하자하자 편 (온, 별 발표)
hps 2011 봄 디자인수업 중 하자하자 편 (온, 별 발표)hps 2011 봄 디자인수업 중 하자하자 편 (온, 별 발표)
hps 2011 봄 디자인수업 중 하자하자 편 (온, 별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명함만들기 편 (구나, 미난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명함만들기 편 (구나, 미난 발표)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명함만들기 편 (구나, 미난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명함만들기 편 (구나, 미난 발표)
 
hps 2011 봄. 구나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구나의 디자인수업hps 2011 봄. 구나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구나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 미난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 미난의 디자인수업hps 2011 봄 : 미난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 미난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드로잉 편 (주님, 공룡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드로잉 편 (주님, 공룡 발표)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드로잉 편 (주님, 공룡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드로잉 편 (주님, 공룡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컬러스터디 편 (선호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컬러스터디 편 (선호 발표)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컬러스터디 편 (선호 발표)
hps 2011 봄 : 디자인수업 중 컬러스터디 편 (선호 발표)
 
hps 2011 봄. 별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별의 디자인수업hps 2011 봄. 별의 디자인수업
hps 2011 봄. 별의 디자인수업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 1. 함께 가는 희망을 만드 는 삼성에 드립니다. 돌봄사회의 창조적 소통과 학교밖 청소년의 생산적 학습을 위한 1000개의 작은학교 만들기 프로젝트 2005. 6. 14 (가칭)1000작은학교위원회 // 간디자유학교 / 성미산학교 / 이우학교 / 하자작업장학교 / 서울시대안교육센터 //
  • 2.
  • 3. I. 작은학교는… 아름답다 어떻게 서른 명, 스물다섯 명 되는 아이들을 한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으며, 이천 명, 천 오백 명 되는 아이들을 한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습니까? 모든 학교는 생활하고 학습하는 공동체여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학교를 학습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공장의 복제품, 지식공장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학교는 가정의 연장이어야 합니다. 따뜻하고 신뢰할 수 있고 친근하고 두려움없는 가정말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그래서 나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슈마허의 원칙에 근거한 조그만 학교를 세우자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이 학교를 “작은 학교”라고 불렀습니다. 사티쉬 쿠마르 : 국제생태평화운동가, <슈마허칼리지>설립자 3
  • 4. I. 작은학교는… Mo’better 보 3R(더 좋은 학교를 위해 필요한 엄격함, 관련성, 관계성)은 다 작은 학교에서 촉진시키기가 쉽다는 건 거의 확실합니다. 작은 크기는 벼랑으로 떨어짐없이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룰 수 있는 환경을 교사와 운영자들이 창조할 수 있도록 여유를 줍니다. 이처럼 작은 학교에서 학생들은 더 많이 동기화되고, 더 안전하다고 느끼면서, 더 높은 출석율을 유지하고, 더 많이 졸업하고 대학을 가게 됩니다. 빌게이츠 : 마이크로소프트, Bill & Mellinda Gates Foundation 공동설립자 4
  • 5. I. 작은학교는… “One Kid At A Time” (학교에서) 교사는 일방적 강의가 아닌, 아이들 스스로 배우는 게 의미 있다고 느껴지도록 가르쳐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는 학생들 개개인을 철저히 알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작아져야 합니다. 이러한 공립기관을 세우기 위해 각계 각층의 사람들이 개인적인 명성이나 직업적인 명성에 흠이 날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우리의 목표를 이루는 데 힘써주지 않았더라면 우리의 야심찬 구상이 여기까지 올 수는 없었을 겁니다. 엘리엇워셔 : 빅픽쳐컴퍼니 공동설립자, 메트스쿨 교장
  • 6. IV. 프로젝트 추진방향 1. 돌봄사회의 ‘창조적 소통’과 ‘생산적 학습’을 기본성격으로 하면서 현재 운영 중인 ‘100개의 작 은학교’로 부터 질적으로 성장된 ‘1000개의 작은학교’라는 점을 이슈화 하면서 우리사회의 교 육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전개한다. 2. ‘함께 가는 희망’을 만드는 삼성이 후원하고, 자기주도학습과 돌봄의 철학으로 운영되는 ‘21세 기의 학습모델’을 보여준 국내 대표적 대안교육 주체들이 네트워크하면서 ‘작은학교와 함께 가는 희망’과 ‘삼성과 함께 만드는 1000개의 작은학교’ 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3. 작은학교 현장지원사업은 밑빠진독 물붓기식의 소모적 지원을 지양하고, 건강한 교육주체가 형성되는 자생력 강화를 전제로 시범사업을 개발 운영 평가 환류하여 작은학교들의 질적 성장 과 내용적 확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4. 사업은 ‘도시형대안학교’, ‘학부모가만드는학교’, ‘생태자연학교’, ‘마을학교’, ‘벽이없는학교’ 등 의 특성을 가지고 실험적으로 운영되는 학생수 100명이하의 작은학교를 지원함을 강조하면서 정치, 환경, 인권, 여성, 교육 등으로 추진주체의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작은학교 활성화’가 우 리사회 각 분야의 주요한 의제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 5. 더불어 한국사회가 당면해있고 조만간 직면하게될 교육적 제문제들은, 인류가 동시적으로 겪 고있는 문제라는 점에서, 위기임과 동시에 기회라는 점을 사회적으로 공유하면서 지구적 차원 의 ‘교육개혁운동’과 ‘작은학교 담론의 장’을 만들어 간다. 6
  • 7. III. 작은학교만들기 프로젝트 개요 사 업 명 : 돌봄문화와 자기주도학습의 작은학교 만들기 프로젝트 예 산 : 연간 130억 수준 / 3년간 총390억원 작은학교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 연간 예산 [ 짓다 프로젝트 ] [고치다 프로젝트] [숨쉬다 프로젝트] 100억 수준 공모를 통해 공모를 통해 공모를 통해 연간 3-4개의 시설과 기자재를 우수학습프로그램을 작은 학교 건립을 업그레이드하는 지원하는 사업 지원하는 사업 사업 작은 학교 네트워크 위원회 기획사업 연간 총예산 [ 연구개발 프로젝트 ] [교사연수 프로젝트] [포털 운영] 30억 수준 학교의 경험을 학교의 질적 성장을 학교의 정보화하고 사회 위한 교재, 교구, 길잡이, 담임, 상담, 담론화하면서 교수방법론 연구와 기획, 경영 등을 온라인 기반의 공유 관련 정책과 제도 학습하는 축적의 연구 및 국내외 교사연수프로그램 학습 포털 학술대회 운영 운영 사이트
  • 8. IV. 작은학교만들기 프로젝트의 핵심과제는… 돌봄의 문화로 운영되는 학교의 확산과 작은학교네트워크위원회 지원사업 작은학교의 작은학교의 다양한 형태의 작은학교 건립 및 공간확보지원 운영원리 특성 • 사회적 학습자원을 • 자기 몸에 맞는 속도로 연계하는 기존 시설의 개보수와 기자재 지원 스스로 학습하는 벽이없는 학교 배움터 • 학교를 중심으로 • 강제가 아니라 돌봄문화와 자발적 규약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운영되는 자치공간 학생1인당 공교육비 확보 및 지원 • 일 놀이 학습이 실현하는 마을학교와 쉼터학교 통합하는 삶터 • 프로젝트 기반의 • 경계를 넘나들며 행함으로 학습하는 사회적 가치를 사회학습자원네트워크와 프로그램 지원 실천하고 학습하는 작업장학교 시민사회공방 “고도압축 불균형 성장사회와 카오스의 아이들” “근대학교와 탈근대학교의 공존과 경계넘기”
  • 9. IV. 작은학교만들기 프로젝트의 핵심과제는… 자기주도학습을 이끄는 교사의 성장입니다. 작은학교네트워크 위원회 기획사업 21세기 교사의 21세기 교사의 역할 자질 길잡이, 기획, 상담, 담임, 경영 등 직무별 영역별 체계적 연수프로그램 운영 • 12명의 아이를 돌보는 • 돌봄의 감수성을 엄마 갖추고 자기주도적으로 • 아이의 관심을 보며, 학습하며 성장하는 해외 연수 및 교환교사 프로그램 운영 맞춤학습 과정을 짜는 교사 평생학습 시대의 • 사회학습자원을 연계하고 교사 수업을 기획하는 • 시민사회적 가치에 교과, 교재, 교구 연구를 비롯한 각종 연구 네트워커 출판활동과 워크숍 및 학술대회 개최 • 아이의 성장 단계별로 기반하는 폭 녋은 의례와 축제를 계획하는 관심사를 갖고 기획자 창조적으로 소통하며 • 대안적 삶을 실천하며 대안학교 교사 풀 형성 및 지원시스템 구축 아이의 성장모델이 되는 학습의 동기를 실천가 이끄는 교사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 “19세기의 교실, 20세기의 교사, 21세기의 아이들”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사람을 기르는 교사의 감수성과 자질”
  • 10. 기존의 흐름들 < 특성화 중고등학교 > < 초등대안학교 > < 시민사회적 실험 > 사립형 자립고 논란 경기도와 서울 일부 서울시대안교육센터 특성화 학교 17개 지역에서 활성화 와 10여개의 네트워크 입시학원화의 문제 학교 공교육 모델 필요 공동육아운동의 기반 -하자 작업장 학교 국가주도 대안학교 위에서 학부모들이 -도시 속 작은 학교 지방의 폐교를 중심 활용한 기숙형 학교 교육 정책과 청소년 도시형 대안학교 지역공동체를 모태 정책의 유기적 연계 대안학교 모델필요 로 한 학교의 모델 사회학습자원을 연 계하는 대안 학습 체제화- 평생교육으로 진화할 시공간
  • 11. 작은학교 10/100/1000개 만들기 : 과제와 사업 영역 작은 학교 설립의 제도화 작은 학교 / 작은 교실 ‘작은 학교’ 비전과 기획 체계화 개념 제시와 모델링 학교 잉큐베이팅과 컨설팅 여론 조성(미디어, 심포지엄) 연구교사 준비된 학교/ 교사의 프로젝트 지원 대안적 커리큘럼의 발굴과 업그레이드 체계화와 보급 교장, 교사 교육과 인증제 기존 현장의 커리큘럼 수집 및 분석 현장 경험의 정보화 자기 길 찾기의 사례 개발 교사 국내외 파트너쉽 매뉴얼화 및 출판 다양화: 도시속 미디어 학교, 노 동자 학교, 농민학교, 디자인 학 교, 탈북 청소년 학교 등
  • 12. 영역 간 시너지 교육인적자원부 기업 /교육청 재정 후원 재정 및 행정 지원 /인턴쉽 기회 제공 /새로운 시스템의 창출 (산학협동) 다양한 작은 학교 공공자원 제공 학부모의 참여 /평생학습정책와 연계 /교육 시민들의 참여 지자체 시민사회
  • 13. V. 작은학교만들기는… 작은학교 네트워크 위원회가 주도하고 작은 학교 네트워크 위원회는 따뜻한 돌봄과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작은 학교의 설립과 질적 성장을 지원하는 학교 네트워크입니다. 작은 학교 네트워크는 ‘부모가 만드는 학교’, ’작업장 학교’, ‘마을학교’, ‘생태공동체학교’ 등 다양한 작은 학교들이 21세기를 살아갈 아이들이 소통의 감수성과 인문학적 소양, 문화작업능력과 평생 학습 능력을 갖춘 성숙한 존재로 커가는 것을 돕습니다. 작은 학교 네트워크 위원회는 학교 잉큐베이팅, 교재개발, 교사연수, 학교 인증, 학습 포털 사이트 구축 등의 사업을 전개합니다.
  • 14. V. 작은학교만들기는… 기업과 정부가 후원합니다 작은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는 작은 학교 만들기는 사회 공헌을 하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들의 blessing으로 추진됩니다. 지구적 차원의 담론을 형성하게 될 작은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는 ‘교육개혁운동’입니다. 이미 씨앗은 발아했습니다. 교육을 포함하여 작은 학교를 통한 교육개혁운동은 정치, 환경, 인권, 여성, 과학 분야로 일본, 영국, 미국, 홍콩, 태국, 러시아로 추진 주체의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퍼져가고 있습니다. 21세기적 삶의 전환을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민간주도 정부후원 교육개혁 모델은 ‘작은 학교 활성화’가 21세기 지구촌 곳곳의 우리사회를 새롭게 재편해낼 작고 새로운 학교를 연결하면서 이러한 100년의 희망 만들기 운동은 거대국민대량생산 교육의 시대를 넘어 후원 기업들의 이름과 함께 진행될 것입니다. 자율과 공생의 시대를 열어갈 것입니다.
  • 15. VIII.프로젝트제안주체 (가칭)1000작은학교위원회 협의단체 간디자유학교 (경북 군위군 소보면 서경리 652-1번지) http://gandhifreeschool.wo.to 간디자유학교는 한국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97년 경남 산청에서 시작한 ‘간디학교’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랑과 자발성’의 철학으로 운영되는 <행복한 학교>를 만들고자 2002년 개교한 기숙형 비인가 고등학교입니다. 배려와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 유로운 생활을 학교문화로 하며, 학생들의『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탁월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7가 57번지) http://www.activelearning.or.kr 서울시대안교육센터는 2001년 설립이래 ‘작은 학교’, ‘도시형 대안학교’, ‘벽이 없는 학교’, ‘마을학교’라는 모토를 건, 다양한 학교밖 청소년 학습공간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불안의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학습의 틀과 모델을 만들어 왔습니다. 2005년 현재 서울시 소재 13개 청소년 학습 공간을 지원하며 대안학습을 모델링하고 전파하며 교사 업그레이드를 위한 교육 사업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성미산학교 (서울시 마포구 성산동 440-14번지) http://www.sungmisan.net 성미산학교는 마포구 성미산 지키기 운동에 나섰던 주민들이 그 성과를 모아 만든 초ㆍ중ㆍ고 교육과정을 합친 도시형 대안학교 로서 2005년 개교하였습니다. 학부모들이 10년 간 아이를 함께 키우며 만들어온 대안 공동체 운동이 학교로 결실을 맺은 것입니다. 성미산학교는 교육을 학교를 넘어 마을로 확대해 실시하고 있으며 도시 지역의 여러 교육 자원과 연계한 네트워크 교육을 적극 모 색하고 있습니다. 이우학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동원동 산 13-1번지) http://www.2woo.net 이우학교는 2003년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특성화학교 과정에 대한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하였습니다. ‘21세기 더불어 사는 삶을 사는 교육’을 목표로 내세운 이우학교는 중학교 학년당 3학급(학급당 20명), 고교 학년당 4학급(학급당 2명) 등 전교생 420명으로 학생 수준과 진로에 맞는 맞춤식 교육과정을 편성해 토론식·탐구식 수업, 노작활동과 사회봉사, NGO 참여 등을 통해 올바른 가치 관을 가진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자작업장학교(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7가 57) http://school.haja.net 하자작업장학교는 2001년 9월에 하자센터가 설립한 학교로, 학생수가 최대 100 명을 넘지 않는 규모의 작은 학교이면서 맞춤학습, 네트워크에 의한 학습, 작업을 통한 학습 등을 도입한 도시형 대안학교입니다. 학생들은 작업장에서 자기 전공 작업을 하면서 학교 의 안팎에서 인문학과 외국어 등을 학습하고, 자치 활동 프로젝트, 인턴십 프로젝트, 디지털 리터러시, 글로벌네트워크학습 등을 합니다. 15
  • 16. VIII.프로젝트제안주체 인적네트워크 • 조한혜정 – 연세대 교수, 하자센터장, 서울시대안교육센터장, 성미산학교장 • 양희규 – 한국대안학교협의회장, 산청간디학교장, 간디농장 설립자, 싼타바바라대학 철학 박사 • 김송현 – 간디학교법인 녹색학원이사장, 코리아타임즈 편집부장 역임 • 양희창 – 대안교육연대상임운영위원장, 간디청소년학교장 • 정유성 – 서강대교수, 공동육아와 공동체 교육, 하자센터 운영위원 • 박홍이 – 연세대교수, 청년문화연구원장, 하자센터 운영위원 • 정광필 – 이우중고등학교장 • 이명현 – 서울대교수, 전 교육부 장관, 이우교육공동체 고문 • 강지원 – 변호사, 이우교육공동체 상임고문, 전 청소년보호위원회 위원장 • 안명옥 – 국회의원, 소녀들의 산부인과 소장, 하자센터 운영위원 • 고진화 – 국회의원, 영등포 뉴타운,특목고 추진위원회 위원장 , 하자센터 운영위원 • 전보삼 – 신구대 교수, 성남시민포럼 대표, 만해기념관장 • 정광춘 – 이우교육공동체 재정부장, 학교법인 이우학원 이사 • 이종태 – 이우교육공동체 공동대표, 학교법인 이우학원 이사 • 이경재 – 한국리더쉽센터 소장 • 장 석 – 학교법인 이우학원 이사장, 중앙씨푸드대표이사 • 김현미 – 연세대 교수, 워싱톤대 인류학 박사, 문화산업, 글로벌감수성 • 송도영 – 서울시립대 교수, 프랑스 고등교육원 인류학 박사, 대중문화와 공간교육 • 황상민 – 연세대 교수, 하바드 대학 심리학 박사, 디지털문화와 온라인 게임문화 • 원광연 –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하바드 대학 박사, 가상공간실험 • 김찬호 – 한양대 교수, 연세대 사회학과 박사, 글로벌학습과 주민참여마을만들기 • 정현선 – 경인교대 교수, 런던대 교육학과 박사, 미디어교육과 컨텐츠 기획 • 박 은 – 뉴저지 포텐셜 아카데미 원장, 한양대 교육학 석사, 중앙일보 에듀라인 원장 역임 • 서동진 – 문화평론가, 대중문화와 온라인 문화 기획 • 정연순 – 서울시대안교육센터 부센터장, 서울대 교육학 박사, 평생학습연구 • 박복선 – 서울시립청소년직업체험센터 하자 부센터장, 우리교육 편집장 역임 • 김종휘 – 문화평론가, 재활용상상놀이단장, 방송진행자(CBS, YTN, KBS)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