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과 1513717 김유정
う
き
よ
え
contents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연구 과정
결과물
1
2
3
4
연
구
배
경
및
목
적
1
/
일본 회화 장르 중 하나인 우키요에는 일본 에도시대에 성행했던 전통적인 작품들임에도 불구하
고, 뚜렷한 윤곽선, 대담한 구도, 평면적,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와 같은 특징에서 현대의 디자인
요소들과의 접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우키요에만의 강렬하면서도 신비스러운 색채는 유럽에 자포니즘을 탄생시켰고 특히나 인상
파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키요에의 이러한 색채는 고전의 작품들임에도 불구하고 색채 자체
의 신비함과 독특한 개성으로 전혀 촌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우키요에 작품들의 (1) 현대적 디자인 감성과의 접점, 그리고 (2) 우키요에만의 신비스러
운 동양적 느낌 이 두가지 색채적 특징들을 살려서 재해석하여 디자인하게 되면, 고전과 현대의 적
절한 조화와 우키요에만의 개성이 담긴 작품을 탄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재해석하여 만들어낼 디자인 작품의 분야를 '패턴 디자인' 으로 설정하여, 색채를 중점적으로 보
여줄 수 있도록 할 것이며, 패턴의 문양은 우키요에 작품 속의 사물들을 응용할 생각이다. (예를 들
어, 가쓰시카 호쿠사이의「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에서는 파도를 이용하여 패턴을 디자인
할 수 있다.) 패턴디자인의 특성상 결과물은 다방면으로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대략적인 결과물의 형태는 패턴을 제작한 뒤, 우키요에 리디자인의 의미를 담은 문구가 포함된 a3
크기의 패턴 디자인 포스터로 구상하였다.
연
구
범
위
및
방
법
2
연구 범위 및 방법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여러 변수들에 의
해 지난번에 작성한 연구 주제 보고서와 달라진 부분이 있다.
/
1. 우키요에가 성행했던 시기를 전기, 중기, 후기 3단계로 나누어서 각 시기의 특징을 정리한다.
2. 전기, 중기, 후기 각 시기별 대표 작가와 작품들을 선정한다.
: [ 전기 → 중기 → 후기 ] 로 갈수록 우키요에만의 개성이 완성되고 [ 후기 ] 가 우키요에의 전성
기인 점을 고려하여 작품의 개수를 [ 전기 ] 5점, [ 중기 ] 10점, [ 후기 ] 15-20점 으로 정하였다.
3. 기본적으로 작품들이 낡아서 색이 바랜 것들이 많기 때문에, 색이 심하게 변한 작품의 경우, 본
래의 색을 뽑아내기 위해 작품의 contrast를 높여 색이 더 도드라지게 한다.
4. 색 추출 사이트 [ http://www.colorcodepicker.com/ ] 를 이용하여 작품 전체에 사용된 색을 추
출한다. 이 때, 색이 바랜 종이의 색감까지 뽑아내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런 색들은 제외하도록 한
다. 또한, 우선적으로 사용된 색만을 뽑아내다보니 작품의 중요한 강조색을 뽑아내지 못하는 경우
가 생겼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불러온 이미지에서 내가 클릭한 부분의 색의 코드만을 알려주는
사이트인 [ http://html-color-codes.info/colors-from-image/ ] 를 이용하여 색을 추가하였다.
( → 다음 페이지에 색 추출 예시 설명 )
5. 각 작품별 컬러파레트를 생성하여 각 작품별 색상을 여러 방식으로 탐구해보고, 다음으로 모든
작품의 색상을 종합하여 전체적인 색의 사용을 탐구한다. (예를 들어, 주조색, 보조색과 강조색, 채
도별, 명도별, 한색계열과 난색계열 등)
연
구
범
위
및
방
법
2
색 추출 단계 예시 )
1.
색 추출 사이트 [ http://www.colorcodepicker.
com/ ] 를 이용하여 작품의 색을 추출한다.
연
구
범
위
및
방
법
2
3.
작품의 중요한 강조색을 뽑아내지 못하는 경우, 불
러온 이미지에서 내가 클릭한 부분의 색의 코드만을
알려주는 사이트인 [ http://html-color-codes.info/
colors-from-image/ ] 를 이용하여 색을 추가한다.
2.
색이 바랜 종이의 색감까지 뽑아내는 경우, 이런 색
들은 제외하도록 한다.
[ 제외되는 색상 ]
[ 추가되는 색상 ]
연
구
과
정
3
에도전기의 우키요에
(에도전기 : 1603 - 1760)
목판화로 인해 대량 복제가 가능해지고 저렴하면서도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서민들의 공유물이 되기 시작함.
최초의 판화는 글을 읽을 줄 아는 대중들의 증가로 인해 출현하게 된 새로운 장르의 책에 삽입된 흑백 삽화 형태.
향락적 당시 풍속을 묘사한 가나조시의 등장으로 삽화도 내용에 걸맞게 거칠고 명쾌하며 솔직한 묘사법으로 변화.
스미즈리에 (먹색만을 이용) → 단에 → 우루시에 → 베니즈리에 (색판화가 고안됨)
'우키요에' 용어의 정착 : 이하라 사이카쿠에 의해서 우키요소시라 새로운 소설형식이 시작되었고, 이와 같이 우키
요의 그림으로 에도 시민의 폭넓은 지지를 얻으면서 그와 동시에 대량으로 작품을 배포하면서 일반 감상자의 수요
에 대비한 에도 특산물의 풍속회화 우키요에가 비로소 탄생하게 됨.
오쿠무라 마사노부를 시작으로 유럽의 3차원적 미술 표현 기법 도입.
우키요에의 아버지.
자신의 작품에 서명을 한 최초의 판화가.
판화를 삽화에서 그림책이라는 형식으로 발전시킴.
향략적인 세상을 선명하게 묘사하여 대중의 공감을
불러일으킴. (우키요에의 탄생)
서구의 원근법을 탐구한 최초의 인물로서 '우키에'라고
불리는 판화 장르를 시작.
작품 안에 시적 서정성을 도입함.
화면에 수직과 수평의 복잡한 구성 특히 깊은 공간감에
대한 착시효과를 주는 후퇴하는 대각선들의 이용으로
이국적인 분위기 연출.
조롱박다리(효탄아시)와 지렁이 묘법(미미즈카키) 이라
고 불리는 독특한 기법 구사.
히시가와 모로노부 ( 1624 - 1644 )
에도 전기의 대표 작가 /
오쿠무라 마사노부 ( 1686 - 1764 )
도리이 기요노부 ( 1664 - 1729 )
연
구
과
정
3
히
시
가
와
모
로
노
부
(1624-1644)
연
구
과
정
3
히
시
가
와
모
로
노
부
(1624-1644)
연
구
과
정
3
+
도
리
이
기
요
노
부
(1664-1729)
연
구
과
정
3
( 컬러 추출 과정 생략 - )
오
쿠
무
라
마
사
노
부
(1686-1764)
연
구
과
정
3
오
쿠
무
라
마
사
노
부
(1686-1764)
연
구
과
정
3
에도중기의 우키요에
(에도중기 : 1765 - 1801 )
다색판화의 등장 (스즈키 하루노부) - 니시키에
1740년대 (한정된 수의 색판) → 1750년대 (2-4도의 색판) → 18세기 후반 (10여가지 이상의 색판)
가부키 극장의 황금시대 → 판화의 수와 다양성 그리고 작품 수준의 커다란 발달이 이루어짐.
간세이 연간 (1789-1801)의 개혁으로 인해 출판업계 일시적 타격을 받음. → 대중적 저향이 강화됨.
니시키에 시대라고 불리는 우키요에 황금시대의 서막
을 연 화가로, 뛰어난 색채감각을 지님.
발전된 판화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색과 문양을 정교
하게 배치한 배경을 바탕으로 한명 또는 두 명의 젊은
미녀를 위치하는 것이 특징.
여성의 얼굴 표정을 매우 근접한 시각으로 그린 반신
상, 이른바 오쿠비에 형식으로 자신의 개성적인 화풍을
펼쳐보임.
외형적으로의 자태미나 의상미에 현혹됨 없이 진실로
여성의 아름다움을 이상화하여 묘사, 표현함으로서 새
로운 양식을 만들게 됨.
오타 난포 " 샤라쿠, 이 화가 역시 가부키의 배우의 초
상화를 그렸지만, 지나치게 진실을 그리고자 하여 엉뚱
한 것을 그리게 되어 길게 세상에 통하지 못하고 1-2
년만에 활동을 그쳤다."
여성 역할을 한 남성 배우의 남자다운 얼굴을 노골적이
고 때로는 추악하다고 느껴질 만큼 사실적 화풍.
이전 화가들 작품의 주된 소재였던 유곽이나 극장가 등
으로 시각을 제한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낙
천적으로 수긍하면서 에도시대 전체에서 그 소재를 찾
아내기 시작함.
이전의 우키요에와 달리 시적 서정성이 아닌 현실이의
긍정의 정신에서 뿌리내린 이상미 추구.
스즈키 하루노부 ( 1725 - 1770 )
에도 중기의 대표 작가 /
기타가와 우타마로 ( 1753 - 1816 ) 도슈사이 샤라쿠 ( ? - ? )
도리이 기요나가 ( 1752 - 1815 )
연
구
과
정
3
스
즈
키
하
루
노
부
(1725-1770)
연
구
과
정
3
스
즈
키
하
루
노
부
(1725-1770)
연
구
과
정
3
도
리
이
기
요
나
가
(1752-1815)
연
구
과
정
3
도
리
이
기
요
나
가
(1752-1815)
연
구
과
정
3
기
타
가
와
우
타
마
로
(1753-1816)
연
구
과
정
3
기타가와 우타마로 ( 1753 - 1816 ) 도슈사이 샤라쿠 ( ? - ? )
기
타
가
와
우
타
마
로
(1753-1816)/
도
슈
사
이
샤
라
쿠
연
구
과
정
3
도
슈
사
이
샤
라
쿠
(?-?)
연
구
과
정
3
에도후기의 우키요에
(에도후기 : 1801 - 1868 )
에도의 독특한 상품으로 여겨져 왔던 목판화는 에도에 대한 저렴한 기념품으로 여겨지며 점점 시장을 넓혀감.
가부키 극장과 요시와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의 판화들 제작.
1830-1840 년대 서양의 영향 → 프러시안 블루 (유럽에서 수입된 합성안료) 계통의 파란색 유행.
역사적 영웅을 소재로 한 판화 인기.
가부키의 연기가 본래 가지고 있는 무도적이면서 율동
감 넘치는 형태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려 함.
산뜻하고, 명료하고, 확실한 분위기 묘사.
자유로우면서 단조롭고 명확한 선들.
우키요에의 새로운 주제로 풍경화가 떠오르던 시기에,
여러 풍경화 작품을 제작함.
'동로에 붓을 놓고 나그네의 하늘 서방의 명소를 바라
보네.'라는 풍경화가다운 재담을 남기며 생을 마감함.
불균형한 시각 효과를 노린 서양화식 표현으로 신선하
면서 새로운 묘사법을 보여줌..
에도풍의 멋을 느끼게 해주는 미인도와 기발한 시각으
로 묘사된 화조도, 천부적인 유머감각이 돋보이는 회화
또는 풍자화 등 독특한 취향을 담은 명작 다수.
일상생활 속에서도 항상 유머를 잃지 않아 회화와 풍자
화에 뛰어난 작품들이 많음.
자신의 정체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항상 변신을 꾀하
며 끊임 없는 발전을 함 (우키에, 교카본, 스리모토 육
필화 등의 다양한 작업).
다양한 회화 기술 습득 (가노파, 스미요시파, 린파, 셋슈
파부터 중국화와 서양화에 이르기까지).
우타가와 도요쿠니 ( 1769 - 1825 )
에도 후기의 대표 작가 /
우타가와 히로시게 ( 1791 - 1858 ) 우타가와 구니요시 ( 1797 - 1861 )
가츠시카 호쿠사이 ( 1760 - 1849 )
연
구
과
정
3
우
타
가
와
도
요
쿠
니
(1769-1825)
연
구
과
정
3
우
타
가
와
도
요
쿠
니
(1769-1825)
연
구
과
정
3
가
츠
시
카
호
쿠
사
이
(1760-1849)
연
구
과
정
3
가
츠
시
카
호
쿠
사
이
(1760-1849)
연
구
과
정
3
가
츠
시
카
호
쿠
사
이
(1760-1849)
연
구
과
정
3
가
츠
시
카
호
쿠
사
이
(1760-1849)
연
구
과
정
3
가
츠
시
카
호
쿠
사
이
(1760-1849)
연
구
과
정
3
우
타
가
와
히
로
시
게
(1791-1858)
연
구
과
정
3
우
타
가
와
히
로
시
게
(1791-1858)
연
구
과
정
3
우
타
가
와
히
로
시
게
(1791-1858)
연
구
과
정
3우타가와구니요시(1797-1861)
연
구
과
정
3우타가와구니요시(1797-1861)
연
구
과
정
3우타가와구니요시(1797-1861)
연
구
과
정
3
전기 컬러
연
구
과
정
3
중기 컬러
연
구
과
정
3
후기 컬러
연
구
과
정
3
난색 계열의 작품이 대부분. (예외로 호쿠사이의 작품은 푸르고 청명한 느낌이 난다.)
따뜻한 계열의 회색, 또는 채도를 많이 낮춘 갈색이 (주로 배경색) 많이 사용되었고,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색은 붉은 색 계열 (보조색이나 강조색으로 주로 등장).
이 때, 붉은 색이 작품의 주조색으로 들어갈 때는 채도를 많이 낮춘 적갈색 또는 어두운 다홍색으로 들어가
는 경우가 많고, 보조색으로 들어갈 때는 적당히 톤 다운된 다홍색, 강조색으로 들어갈 때는 비비드한 컬러
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 나무의 색상 또는 의복의 색상으로 사용되었다.
초기, 중기에서는 푸른 계열의 색들을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후기에서는 '프러시안 블루' 색의 유행으로 푸
른 색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푸른 색이 주조색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푸른 하늘, 비, 파도 와 같은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푸른 색의 비중을 높일수록 난색 계열의 색을 섞어 채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 (청명한 하늘 표현 제외)
푸른 색은 대부분의 작품에서 강조색으로 등장하지만, 후기 작품들에서는 주조색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블루' 색상의 사용은 대부분 완전한 블루가 아니라, RGB로 봤을 때는 R과 G, CMYK로 봤을 때는 C와 M가
살짝 가미된 '채도가 낮은 청록색'과 같은 색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비, 파도, 푸른 하늘 과 같은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푸른 색 사용 예시 /
주조색으로 쓰일 때 예시 /
보조색이나 강조색으로 쓰일 때 예시 /
연
구
과
정
3
갈색 계통의 색들을 사용할 때는, 채도가 낮은 따뜻한 계열의 색들로 사용. (회색처럼 사용하는 듯하다.)
주로 배경색을 담당한다.
갈색 계통 색 예시 /
연두색은 주로 보조색으로 사용되며, 올리브계의 색들이 주로 사용되는 편이다.
연두색 계열 색 예시 /
노란색은 초기와 중기에는 강조색이나 보조색으로, 후기에는 강조색으로 많이 등장했다,
황토색이 약간 가미된 것이 특징이며, 대체로 채도가 높게 사용된다.
노란색 계열 색 예시 /
결
과
물
패턴 1
패턴 1, 2, 3
/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부악 36경 중 하나인
'카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를 패턴으로 형상화.
결
과
물
패턴 2
패턴 1, 2, 3
/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부악 36경 중 하나인
'카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를 패턴으로 형상화.
결
과
물
패턴 3
패턴 1, 2, 3
/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부악 36경 중 하나인
'카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를 패턴으로 형상화.
결
과
물
神
奈
川
沖
浪
裏
飾 北 斎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부악 36경 중 하나인 '카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를 모티브로 만든 포스터이다.
후기 우키요에의 주조색으로 많이 쓰였던 따뜻한 색감
의 블루를 사용하여 호쿠사이의 파도 그림과는 다르게
잔잔한 바다를 표현했다. 초기에서 후기까지 강조색으
로 많이 사용되었던 채도가 높고 약간의 황토색이 섞
인 노랑색을 강조색으로 하여 달과 달빛을 표현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필기2
필기2필기2
필기2
보미 김
 
필기
필기필기
필기
보미 김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Kwanwoo Kim
 
1410883 정희진
1410883 정희진1410883 정희진
1410883 정희진
희진 정
 
1675686 최은영 색채학
1675686 최은영 색채학1675686 최은영 색채학
1675686 최은영 색채학
Eunyoung Choi
 
디자인과 문화 보고서 이유진(1410155)
디자인과 문화 보고서 이유진(1410155)디자인과 문화 보고서 이유진(1410155)
디자인과 문화 보고서 이유진(1410155)
tnrauddbwls
 
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
choiyejin
 
1510600 배유정 - 안상수
1510600 배유정 - 안상수1510600 배유정 - 안상수
1510600 배유정 - 안상수
merry818
 
시영디론Ppt 1511120 도유진
시영디론Ppt 1511120 도유진시영디론Ppt 1511120 도유진
시영디론Ppt 1511120 도유진
endand1227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Rene magritte
Rene magritteRene magritte
Rene magritteekthf627
 
Kusama yayoi
Kusama yayoiKusama yayoi
Kusama yayoi
ayoung.joy kim
 
지용시선 1308 김형규
지용시선 1308 김형규지용시선 1308 김형규
지용시선 1308 김형규Hyeong Gyu Kim
 
Armin hofmann
Armin hofmannArmin hofmann
Armin hofmann
임 지효
 
전통문양을 담다
전통문양을 담다 전통문양을 담다
전통문양을 담다
YooSeonAn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ssuser266380
 
pop artist ildong Kim
 pop artist ildong Kim pop artist ildong Kim
pop artist ildong Kimkab young kim
 

What's hot (18)

필기2
필기2필기2
필기2
 
필기
필기필기
필기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International typographic style
 
1410883 정희진
1410883 정희진1410883 정희진
1410883 정희진
 
1675686 최은영 색채학
1675686 최은영 색채학1675686 최은영 색채학
1675686 최은영 색채학
 
디자인과 문화 보고서 이유진(1410155)
디자인과 문화 보고서 이유진(1410155)디자인과 문화 보고서 이유진(1410155)
디자인과 문화 보고서 이유진(1410155)
 
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
 
1510600 배유정 - 안상수
1510600 배유정 - 안상수1510600 배유정 - 안상수
1510600 배유정 - 안상수
 
시영디론Ppt 1511120 도유진
시영디론Ppt 1511120 도유진시영디론Ppt 1511120 도유진
시영디론Ppt 1511120 도유진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서울사람들
서울사람들서울사람들
서울사람들
 
Rene magritte
Rene magritteRene magritte
Rene magritte
 
Kusama yayoi
Kusama yayoiKusama yayoi
Kusama yayoi
 
지용시선 1308 김형규
지용시선 1308 김형규지용시선 1308 김형규
지용시선 1308 김형규
 
Armin hofmann
Armin hofmannArmin hofmann
Armin hofmann
 
전통문양을 담다
전통문양을 담다 전통문양을 담다
전통문양을 담다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pop artist ildong Kim
 pop artist ildong Kim pop artist ildong Kim
pop artist ildong Kim
 

Viewers also liked

아이컬러 수정자료
아이컬러 수정자료아이컬러 수정자료
아이컬러 수정자료
유정 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Young Choi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인포그래픽스 정보 디자인의 관점과 표현 (Infographics)
인포그래픽스 정보 디자인의 관점과 표현 (Infographics)인포그래픽스 정보 디자인의 관점과 표현 (Infographics)
인포그래픽스 정보 디자인의 관점과 표현 (Infographics)
유정 김
 
데이타 시각화와 정보디자인
데이타 시각화와 정보디자인데이타 시각화와 정보디자인
데이타 시각화와 정보디자인
Ji Lee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1장 시각화정의 2장 프로세스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1장 시각화정의 2장 프로세스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1장 시각화정의 2장 프로세스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1장 시각화정의 2장 프로세스
Ji Lee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3장 시각화 방법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3장 시각화 방법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3장 시각화 방법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3장 시각화 방법
Ji Lee
 
TEDx Manchester: AI & The Future of Work
TEDx Manchester: AI & The Future of WorkTEDx Manchester: AI & The Future of Work
TEDx Manchester: AI & The Future of Work
Volker Hirsch
 
Build Features, Not Apps
Build Features, Not AppsBuild Features, Not Apps
Build Features, Not Apps
Natasha Murashev
 

Viewers also liked (9)

아이컬러 수정자료
아이컬러 수정자료아이컬러 수정자료
아이컬러 수정자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인포그래픽스 정보 디자인의 관점과 표현 (Infographics)
인포그래픽스 정보 디자인의 관점과 표현 (Infographics)인포그래픽스 정보 디자인의 관점과 표현 (Infographics)
인포그래픽스 정보 디자인의 관점과 표현 (Infographics)
 
데이타 시각화와 정보디자인
데이타 시각화와 정보디자인데이타 시각화와 정보디자인
데이타 시각화와 정보디자인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1장 시각화정의 2장 프로세스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1장 시각화정의 2장 프로세스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1장 시각화정의 2장 프로세스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1장 시각화정의 2장 프로세스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3장 시각화 방법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3장 시각화 방법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3장 시각화 방법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분석 : 3장 시각화 방법
 
TEDx Manchester: AI & The Future of Work
TEDx Manchester: AI & The Future of WorkTEDx Manchester: AI & The Future of Work
TEDx Manchester: AI & The Future of Work
 
Build Features, Not Apps
Build Features, Not AppsBuild Features, Not Apps
Build Features, Not Apps
 

Similar to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Experiment Collage (2015)
Experiment Collage (2015)Experiment Collage (2015)
Experiment Collage (2015)
mickieee
 
문예사_학기과제_20220856 김지민.docx
문예사_학기과제_20220856 김지민.docx문예사_학기과제_20220856 김지민.docx
문예사_학기과제_20220856 김지민.docx
ssuser002ee8
 
1675686 색채학 최종보고서
1675686 색채학 최종보고서1675686 색채학 최종보고서
1675686 색채학 최종보고서
Eunyoung Choi
 
그림책일러스트신진작가그룹전2016 도록
그림책일러스트신진작가그룹전2016 도록그림책일러스트신진작가그룹전2016 도록
그림책일러스트신진작가그룹전2016 도록
은주 김
 
창의적발상 최종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최종과제  15116341 이현지창의적발상 최종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최종과제 15116341 이현지
현지 이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현지 이
 
2015 색채학 최종레포트_현지원
2015 색채학 최종레포트_현지원2015 색채학 최종레포트_현지원
2015 색채학 최종레포트_현지원
JiwonHyeon
 
1510808 김보미 색채학
1510808 김보미 색채학1510808 김보미 색채학
1510808 김보미 색채학
보미 김
 

Similar to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8)

Experiment Collage (2015)
Experiment Collage (2015)Experiment Collage (2015)
Experiment Collage (2015)
 
문예사_학기과제_20220856 김지민.docx
문예사_학기과제_20220856 김지민.docx문예사_학기과제_20220856 김지민.docx
문예사_학기과제_20220856 김지민.docx
 
1675686 색채학 최종보고서
1675686 색채학 최종보고서1675686 색채학 최종보고서
1675686 색채학 최종보고서
 
그림책일러스트신진작가그룹전2016 도록
그림책일러스트신진작가그룹전2016 도록그림책일러스트신진작가그룹전2016 도록
그림책일러스트신진작가그룹전2016 도록
 
창의적발상 최종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최종과제  15116341 이현지창의적발상 최종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최종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2015 색채학 최종레포트_현지원
2015 색채학 최종레포트_현지원2015 색채학 최종레포트_현지원
2015 색채학 최종레포트_현지원
 
1510808 김보미 색채학
1510808 김보미 색채학1510808 김보미 색채학
1510808 김보미 색채학
 

More from 유정 김

김유정 이윤아 디미컨 IDEA SKETCH - 창업
김유정 이윤아 디미컨 IDEA SKETCH - 창업김유정 이윤아 디미컨 IDEA SKETCH - 창업
김유정 이윤아 디미컨 IDEA SKETCH - 창업
유정 김
 
에니어그램에 따른 아이컬러
에니어그램에 따른 아이컬러에니어그램에 따른 아이컬러
에니어그램에 따른 아이컬러
유정 김
 
아이컬러 ppt
아이컬러 ppt아이컬러 ppt
아이컬러 ppt
유정 김
 
1513717 김유정 한스 퀴즈
1513717 김유정 한스 퀴즈1513717 김유정 한스 퀴즈
1513717 김유정 한스 퀴즈
유정 김
 
아이컬러 피피티
아이컬러 피피티아이컬러 피피티
아이컬러 피피티
유정 김
 
Eye Color
Eye ColorEye Color
Eye Color
유정 김
 
과학적 데이터 재상상하기 - 폭풍으로 만든 예술
과학적 데이터 재상상하기 - 폭풍으로 만든 예술과학적 데이터 재상상하기 - 폭풍으로 만든 예술
과학적 데이터 재상상하기 - 폭풍으로 만든 예술
유정 김
 
아이컬러에 따른 캐릭터별 특징 분석
아이컬러에 따른 캐릭터별 특징 분석아이컬러에 따른 캐릭터별 특징 분석
아이컬러에 따른 캐릭터별 특징 분석
유정 김
 
행복지수의 신뢰성 (GDP, 생태발자국지수와 삶의 만족도 비교)
행복지수의 신뢰성 (GDP,  생태발자국지수와 삶의 만족도 비교)행복지수의 신뢰성 (GDP,  생태발자국지수와 삶의 만족도 비교)
행복지수의 신뢰성 (GDP, 생태발자국지수와 삶의 만족도 비교)
유정 김
 
행복지수
행복지수행복지수
행복지수
유정 김
 
인포그래픽스
인포그래픽스인포그래픽스
인포그래픽스
유정 김
 
폴 랜드 프레젠테이션
폴 랜드 프레젠테이션폴 랜드 프레젠테이션
폴 랜드 프레젠테이션
유정 김
 
Hara kenya
Hara kenyaHara kenya
Hara kenya
유정 김
 
폴 랜드
폴 랜드폴 랜드
폴 랜드
유정 김
 

More from 유정 김 (14)

김유정 이윤아 디미컨 IDEA SKETCH - 창업
김유정 이윤아 디미컨 IDEA SKETCH - 창업김유정 이윤아 디미컨 IDEA SKETCH - 창업
김유정 이윤아 디미컨 IDEA SKETCH - 창업
 
에니어그램에 따른 아이컬러
에니어그램에 따른 아이컬러에니어그램에 따른 아이컬러
에니어그램에 따른 아이컬러
 
아이컬러 ppt
아이컬러 ppt아이컬러 ppt
아이컬러 ppt
 
1513717 김유정 한스 퀴즈
1513717 김유정 한스 퀴즈1513717 김유정 한스 퀴즈
1513717 김유정 한스 퀴즈
 
아이컬러 피피티
아이컬러 피피티아이컬러 피피티
아이컬러 피피티
 
Eye Color
Eye ColorEye Color
Eye Color
 
과학적 데이터 재상상하기 - 폭풍으로 만든 예술
과학적 데이터 재상상하기 - 폭풍으로 만든 예술과학적 데이터 재상상하기 - 폭풍으로 만든 예술
과학적 데이터 재상상하기 - 폭풍으로 만든 예술
 
아이컬러에 따른 캐릭터별 특징 분석
아이컬러에 따른 캐릭터별 특징 분석아이컬러에 따른 캐릭터별 특징 분석
아이컬러에 따른 캐릭터별 특징 분석
 
행복지수의 신뢰성 (GDP, 생태발자국지수와 삶의 만족도 비교)
행복지수의 신뢰성 (GDP,  생태발자국지수와 삶의 만족도 비교)행복지수의 신뢰성 (GDP,  생태발자국지수와 삶의 만족도 비교)
행복지수의 신뢰성 (GDP, 생태발자국지수와 삶의 만족도 비교)
 
행복지수
행복지수행복지수
행복지수
 
인포그래픽스
인포그래픽스인포그래픽스
인포그래픽스
 
폴 랜드 프레젠테이션
폴 랜드 프레젠테이션폴 랜드 프레젠테이션
폴 랜드 프레젠테이션
 
Hara kenya
Hara kenyaHara kenya
Hara kenya
 
폴 랜드
폴 랜드폴 랜드
폴 랜드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 1.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과 1513717 김유정 う き よ え
  • 2. contents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 연구 과정 결과물 1 2 3 4
  • 3. 연 구 배 경 및 목 적 1 / 일본 회화 장르 중 하나인 우키요에는 일본 에도시대에 성행했던 전통적인 작품들임에도 불구하 고, 뚜렷한 윤곽선, 대담한 구도, 평면적,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와 같은 특징에서 현대의 디자인 요소들과의 접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우키요에만의 강렬하면서도 신비스러운 색채는 유럽에 자포니즘을 탄생시켰고 특히나 인상 파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키요에의 이러한 색채는 고전의 작품들임에도 불구하고 색채 자체 의 신비함과 독특한 개성으로 전혀 촌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우키요에 작품들의 (1) 현대적 디자인 감성과의 접점, 그리고 (2) 우키요에만의 신비스러 운 동양적 느낌 이 두가지 색채적 특징들을 살려서 재해석하여 디자인하게 되면, 고전과 현대의 적 절한 조화와 우키요에만의 개성이 담긴 작품을 탄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재해석하여 만들어낼 디자인 작품의 분야를 '패턴 디자인' 으로 설정하여, 색채를 중점적으로 보 여줄 수 있도록 할 것이며, 패턴의 문양은 우키요에 작품 속의 사물들을 응용할 생각이다. (예를 들 어, 가쓰시카 호쿠사이의「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에서는 파도를 이용하여 패턴을 디자인 할 수 있다.) 패턴디자인의 특성상 결과물은 다방면으로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대략적인 결과물의 형태는 패턴을 제작한 뒤, 우키요에 리디자인의 의미를 담은 문구가 포함된 a3 크기의 패턴 디자인 포스터로 구상하였다.
  • 4. 연 구 범 위 및 방 법 2 연구 범위 및 방법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여러 변수들에 의 해 지난번에 작성한 연구 주제 보고서와 달라진 부분이 있다. / 1. 우키요에가 성행했던 시기를 전기, 중기, 후기 3단계로 나누어서 각 시기의 특징을 정리한다. 2. 전기, 중기, 후기 각 시기별 대표 작가와 작품들을 선정한다. : [ 전기 → 중기 → 후기 ] 로 갈수록 우키요에만의 개성이 완성되고 [ 후기 ] 가 우키요에의 전성 기인 점을 고려하여 작품의 개수를 [ 전기 ] 5점, [ 중기 ] 10점, [ 후기 ] 15-20점 으로 정하였다. 3. 기본적으로 작품들이 낡아서 색이 바랜 것들이 많기 때문에, 색이 심하게 변한 작품의 경우, 본 래의 색을 뽑아내기 위해 작품의 contrast를 높여 색이 더 도드라지게 한다. 4. 색 추출 사이트 [ http://www.colorcodepicker.com/ ] 를 이용하여 작품 전체에 사용된 색을 추 출한다. 이 때, 색이 바랜 종이의 색감까지 뽑아내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런 색들은 제외하도록 한 다. 또한, 우선적으로 사용된 색만을 뽑아내다보니 작품의 중요한 강조색을 뽑아내지 못하는 경우 가 생겼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불러온 이미지에서 내가 클릭한 부분의 색의 코드만을 알려주는 사이트인 [ http://html-color-codes.info/colors-from-image/ ] 를 이용하여 색을 추가하였다. ( → 다음 페이지에 색 추출 예시 설명 ) 5. 각 작품별 컬러파레트를 생성하여 각 작품별 색상을 여러 방식으로 탐구해보고, 다음으로 모든 작품의 색상을 종합하여 전체적인 색의 사용을 탐구한다. (예를 들어, 주조색, 보조색과 강조색, 채 도별, 명도별, 한색계열과 난색계열 등)
  • 5. 연 구 범 위 및 방 법 2 색 추출 단계 예시 ) 1. 색 추출 사이트 [ http://www.colorcodepicker. com/ ] 를 이용하여 작품의 색을 추출한다.
  • 6. 연 구 범 위 및 방 법 2 3. 작품의 중요한 강조색을 뽑아내지 못하는 경우, 불 러온 이미지에서 내가 클릭한 부분의 색의 코드만을 알려주는 사이트인 [ http://html-color-codes.info/ colors-from-image/ ] 를 이용하여 색을 추가한다. 2. 색이 바랜 종이의 색감까지 뽑아내는 경우, 이런 색 들은 제외하도록 한다. [ 제외되는 색상 ] [ 추가되는 색상 ]
  • 7. 연 구 과 정 3 에도전기의 우키요에 (에도전기 : 1603 - 1760) 목판화로 인해 대량 복제가 가능해지고 저렴하면서도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져 서민들의 공유물이 되기 시작함. 최초의 판화는 글을 읽을 줄 아는 대중들의 증가로 인해 출현하게 된 새로운 장르의 책에 삽입된 흑백 삽화 형태. 향락적 당시 풍속을 묘사한 가나조시의 등장으로 삽화도 내용에 걸맞게 거칠고 명쾌하며 솔직한 묘사법으로 변화. 스미즈리에 (먹색만을 이용) → 단에 → 우루시에 → 베니즈리에 (색판화가 고안됨) '우키요에' 용어의 정착 : 이하라 사이카쿠에 의해서 우키요소시라 새로운 소설형식이 시작되었고, 이와 같이 우키 요의 그림으로 에도 시민의 폭넓은 지지를 얻으면서 그와 동시에 대량으로 작품을 배포하면서 일반 감상자의 수요 에 대비한 에도 특산물의 풍속회화 우키요에가 비로소 탄생하게 됨. 오쿠무라 마사노부를 시작으로 유럽의 3차원적 미술 표현 기법 도입. 우키요에의 아버지. 자신의 작품에 서명을 한 최초의 판화가. 판화를 삽화에서 그림책이라는 형식으로 발전시킴. 향략적인 세상을 선명하게 묘사하여 대중의 공감을 불러일으킴. (우키요에의 탄생) 서구의 원근법을 탐구한 최초의 인물로서 '우키에'라고 불리는 판화 장르를 시작. 작품 안에 시적 서정성을 도입함. 화면에 수직과 수평의 복잡한 구성 특히 깊은 공간감에 대한 착시효과를 주는 후퇴하는 대각선들의 이용으로 이국적인 분위기 연출. 조롱박다리(효탄아시)와 지렁이 묘법(미미즈카키) 이라 고 불리는 독특한 기법 구사. 히시가와 모로노부 ( 1624 - 1644 ) 에도 전기의 대표 작가 / 오쿠무라 마사노부 ( 1686 - 1764 ) 도리이 기요노부 ( 1664 - 1729 )
  • 11. 연 구 과 정 3 ( 컬러 추출 과정 생략 - ) 오 쿠 무 라 마 사 노 부 (1686-1764)
  • 13. 연 구 과 정 3 에도중기의 우키요에 (에도중기 : 1765 - 1801 ) 다색판화의 등장 (스즈키 하루노부) - 니시키에 1740년대 (한정된 수의 색판) → 1750년대 (2-4도의 색판) → 18세기 후반 (10여가지 이상의 색판) 가부키 극장의 황금시대 → 판화의 수와 다양성 그리고 작품 수준의 커다란 발달이 이루어짐. 간세이 연간 (1789-1801)의 개혁으로 인해 출판업계 일시적 타격을 받음. → 대중적 저향이 강화됨. 니시키에 시대라고 불리는 우키요에 황금시대의 서막 을 연 화가로, 뛰어난 색채감각을 지님. 발전된 판화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여 색과 문양을 정교 하게 배치한 배경을 바탕으로 한명 또는 두 명의 젊은 미녀를 위치하는 것이 특징. 여성의 얼굴 표정을 매우 근접한 시각으로 그린 반신 상, 이른바 오쿠비에 형식으로 자신의 개성적인 화풍을 펼쳐보임. 외형적으로의 자태미나 의상미에 현혹됨 없이 진실로 여성의 아름다움을 이상화하여 묘사, 표현함으로서 새 로운 양식을 만들게 됨. 오타 난포 " 샤라쿠, 이 화가 역시 가부키의 배우의 초 상화를 그렸지만, 지나치게 진실을 그리고자 하여 엉뚱 한 것을 그리게 되어 길게 세상에 통하지 못하고 1-2 년만에 활동을 그쳤다." 여성 역할을 한 남성 배우의 남자다운 얼굴을 노골적이 고 때로는 추악하다고 느껴질 만큼 사실적 화풍. 이전 화가들 작품의 주된 소재였던 유곽이나 극장가 등 으로 시각을 제한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낙 천적으로 수긍하면서 에도시대 전체에서 그 소재를 찾 아내기 시작함. 이전의 우키요에와 달리 시적 서정성이 아닌 현실이의 긍정의 정신에서 뿌리내린 이상미 추구. 스즈키 하루노부 ( 1725 - 1770 ) 에도 중기의 대표 작가 / 기타가와 우타마로 ( 1753 - 1816 ) 도슈사이 샤라쿠 ( ? - ? ) 도리이 기요나가 ( 1752 - 1815 )
  • 19. 연 구 과 정 3 기타가와 우타마로 ( 1753 - 1816 ) 도슈사이 샤라쿠 ( ? - ? ) 기 타 가 와 우 타 마 로 (1753-1816)/ 도 슈 사 이 샤 라 쿠
  • 21. 연 구 과 정 3 에도후기의 우키요에 (에도후기 : 1801 - 1868 ) 에도의 독특한 상품으로 여겨져 왔던 목판화는 에도에 대한 저렴한 기념품으로 여겨지며 점점 시장을 넓혀감. 가부키 극장과 요시와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의 판화들 제작. 1830-1840 년대 서양의 영향 → 프러시안 블루 (유럽에서 수입된 합성안료) 계통의 파란색 유행. 역사적 영웅을 소재로 한 판화 인기. 가부키의 연기가 본래 가지고 있는 무도적이면서 율동 감 넘치는 형태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려 함. 산뜻하고, 명료하고, 확실한 분위기 묘사. 자유로우면서 단조롭고 명확한 선들. 우키요에의 새로운 주제로 풍경화가 떠오르던 시기에, 여러 풍경화 작품을 제작함. '동로에 붓을 놓고 나그네의 하늘 서방의 명소를 바라 보네.'라는 풍경화가다운 재담을 남기며 생을 마감함. 불균형한 시각 효과를 노린 서양화식 표현으로 신선하 면서 새로운 묘사법을 보여줌.. 에도풍의 멋을 느끼게 해주는 미인도와 기발한 시각으 로 묘사된 화조도, 천부적인 유머감각이 돋보이는 회화 또는 풍자화 등 독특한 취향을 담은 명작 다수. 일상생활 속에서도 항상 유머를 잃지 않아 회화와 풍자 화에 뛰어난 작품들이 많음. 자신의 정체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항상 변신을 꾀하 며 끊임 없는 발전을 함 (우키에, 교카본, 스리모토 육 필화 등의 다양한 작업). 다양한 회화 기술 습득 (가노파, 스미요시파, 린파, 셋슈 파부터 중국화와 서양화에 이르기까지). 우타가와 도요쿠니 ( 1769 - 1825 ) 에도 후기의 대표 작가 / 우타가와 히로시게 ( 1791 - 1858 ) 우타가와 구니요시 ( 1797 - 1861 ) 가츠시카 호쿠사이 ( 1760 - 1849 )
  • 38. 연 구 과 정 3 난색 계열의 작품이 대부분. (예외로 호쿠사이의 작품은 푸르고 청명한 느낌이 난다.) 따뜻한 계열의 회색, 또는 채도를 많이 낮춘 갈색이 (주로 배경색) 많이 사용되었고,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색은 붉은 색 계열 (보조색이나 강조색으로 주로 등장). 이 때, 붉은 색이 작품의 주조색으로 들어갈 때는 채도를 많이 낮춘 적갈색 또는 어두운 다홍색으로 들어가 는 경우가 많고, 보조색으로 들어갈 때는 적당히 톤 다운된 다홍색, 강조색으로 들어갈 때는 비비드한 컬러 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 나무의 색상 또는 의복의 색상으로 사용되었다. 초기, 중기에서는 푸른 계열의 색들을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후기에서는 '프러시안 블루' 색의 유행으로 푸 른 색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푸른 색이 주조색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푸른 하늘, 비, 파도 와 같은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푸른 색의 비중을 높일수록 난색 계열의 색을 섞어 채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 (청명한 하늘 표현 제외) 푸른 색은 대부분의 작품에서 강조색으로 등장하지만, 후기 작품들에서는 주조색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블루' 색상의 사용은 대부분 완전한 블루가 아니라, RGB로 봤을 때는 R과 G, CMYK로 봤을 때는 C와 M가 살짝 가미된 '채도가 낮은 청록색'과 같은 색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비, 파도, 푸른 하늘 과 같은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푸른 색 사용 예시 / 주조색으로 쓰일 때 예시 / 보조색이나 강조색으로 쓰일 때 예시 /
  • 39. 연 구 과 정 3 갈색 계통의 색들을 사용할 때는, 채도가 낮은 따뜻한 계열의 색들로 사용. (회색처럼 사용하는 듯하다.) 주로 배경색을 담당한다. 갈색 계통 색 예시 / 연두색은 주로 보조색으로 사용되며, 올리브계의 색들이 주로 사용되는 편이다. 연두색 계열 색 예시 / 노란색은 초기와 중기에는 강조색이나 보조색으로, 후기에는 강조색으로 많이 등장했다, 황토색이 약간 가미된 것이 특징이며, 대체로 채도가 높게 사용된다. 노란색 계열 색 예시 /
  • 40. 결 과 물 패턴 1 패턴 1, 2, 3 /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부악 36경 중 하나인 '카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를 패턴으로 형상화.
  • 41. 결 과 물 패턴 2 패턴 1, 2, 3 /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부악 36경 중 하나인 '카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를 패턴으로 형상화.
  • 42. 결 과 물 패턴 3 패턴 1, 2, 3 /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부악 36경 중 하나인 '카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를 패턴으로 형상화.
  • 43. 결 과 물 神 奈 川 沖 浪 裏 飾 北 斎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부악 36경 중 하나인 '카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를 모티브로 만든 포스터이다. 후기 우키요에의 주조색으로 많이 쓰였던 따뜻한 색감 의 블루를 사용하여 호쿠사이의 파도 그림과는 다르게 잔잔한 바다를 표현했다. 초기에서 후기까지 강조색으 로 많이 사용되었던 채도가 높고 약간의 황토색이 섞 인 노랑색을 강조색으로 하여 달과 달빛을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