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색채학 연구보고서
시각영상 디자인과
1510808 김보미
사계절 속 색채
목차
1 _ Method
2 _ Topic
3 _ Research Plan
4 _ Research
5 _ Result
METHOD
Method
내가 선택한 디자인 작업 기법은 ‘종이 아트’ (Paper art design) 이다. 종이는 그라데이션을 억
지로 담은 인쇄용지가 아닌이상, 단색으로 색채가 확실하게 보인다. 하지만 단색의 종이작품은 전혀
단순해보이지만은 않는다. 종이라는재료를 통해 만들어진 디자인작품들은 독특한 느낌과 더불어 섬
세함 또한 보여준다. 나는 이러한 Paper art 들의 작업을 조사하고 디자인 기법으로 이용하였다.
디자인 작업 선정_기법
종이 (파피루스)
종이란 ‘식물의 섬유를 물에 풀어 평평하면서 얇게 서로 엉기도록 하여 물을 빼고 말린 것’ 이라
고 정의되어 있다. Papyrus (파피루스) = Paper = Papier(파피에) = Papel (파펠) 등의 말로 칭하기
도 한다. 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 종이를 이용한 파피에 꼴레(종이 콜라보), Pop-up art book (팝업
북), 각종 조형예술 등이 있다.
내가 가장 흥미를 보인 부분은 순수한 종이를 이용한 조형예술들이었다.
디자인 작업 선정_주제
이러한 기법을 통해 내가 표현하고 싶은 주제는 ‘사계절 (Four seasons)’ 이었다. 색감적으로 사계절
은 뚜렷하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각 계절을 조사하고, 특징 색을 잡아내어 표현하였다.
Helen Friel 의 작업물들은 대체로 폴리곤을 이용
하여 사물을 단순화 시켰다. 옆의 사진은 작업물
들중 하나로 단순히 한 가지색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물체에, 톤의 변화만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폴리곤은 자연스럽게 빛에 의해 톤의 변화가 보
여지는 특징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폴리곤을 이용하여 실제 작업물을 만들기
엔 기술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에 따라 찾아본 자료가 다음 장에 있다.
Helen Friel’s work
Method
Helen Friel’s work
그녀는 폴리곤 작업 이외에도 종이의 평면성을 이
용하였다.
평면으로 구성된 종이들은 공간속에 놓여져 있어
마치 입체인듯한 환상을 준다.
Paper Art들을 보면, 가벼워 보이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도 전체적인 완성도를 보면 무거워 보인 듯
한 느낌을 준다. 색채를 담아내는 완성도도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나는 이런 기법을 착안하여 작품을 만들기로 했다.
Method
Method
사계절을 이미지로 표현할 때, 비슷한 형태 내에서 색깔
과 요소들이 조금만 달라져도 전혀 다른 분위기를 자아
낸다는 사실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색채만으로도 전혀 다른 주제를 전할 수 있는 특징이 인
상 깊었기에, ‘가장 대표적인 사계절’의 색상을 어떻
게 하면 표현할 수 있을지에 대해 조사하고 만들어내는
것에 이번 연구보고서의 초점으로 잡았다.
사계절 예시 이미지 중 하나
TOPIC
Topic
유사색
유사색은 비슷한 계열의 색상을 배색하여 무난한 느낌의 이미지를 연출한다. 주제를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유사색을 활용하여 주목성을 주는 경우가 있다.
디자인 작업에 적용할 색채 디자인 이론
같은 계열의 색깔을 사용하더라도, 톤의 차이를 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그 효과가
뛰어나다. 강조하고자 싶은 색깔이 확 드러나며, 분위기를 조성한다. 유사색은 색상차이
가 적고 톤의 차이만 존재하기 때문에 배색이 명쾌해 보이며, 협조적, 온화함, 상냥함,
건전한 느낌이 든다. 다만, 유사색의 배합은 상대색의 성격에 손상을 주지 않고 은은한
변화를 주어야 한다.
나는 사계절을 표현하기 위해 각각의 계절마다 ‘주조색’을 찾아내기로 하였다. 주 컬
러를 골라낸 다음, 톤의 차이를 주어 종이로 작품을 표현하기로 하였다.
Topic
Topic
기법 _ Paper art
주제 _ Four seasons
색채 _ 유사색 활용
_정리
RESEARCH PALN
Research plan _연구방법 및 방향성
1_ Paper artist 를 선정하여 그들의 작품을 조사한다. 그들의 종이아트에서 어떤식으로 컬러들이 배색
되었고, 사용되었는지 조사한다.
2_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이미지들을 찾아 각 계절의 대표색들을 찾아보고 그 대표색들에 어울리는 유
사색들을 모두 찾아 작품에 이용한다.
http://www.colorcodepicker.com _도미넌트 컬러 리서치 할 때 이용
http://www.w3schools.com/colors/colors_groups.asp _standard color HTML COLOR NAME (대표
색채 이름을 찾아볼 때 이용)
www.colors.commutercreative.com/grid/ _칼라의 기준을 알아볼 때 이용
3_ 유사색을 활용하여 작품에 이용한다. 디지털의 이미지만 이용하여 작업을 만들 것이 아닌 수작업도
동반할 것이기 때문에 재료에 대한 사용도 염두에 둔다.
컬러를 분석하는 방법 예시
1_ 많은 사진들을 통하여 Domnant Color 를 많이 조사한
후, 통계를 내어 유사색을 찾아본다.
2_ 계절마다 자료를 찾고, 대표 칼라를 알아 본 후 작업에 적
용할 수 있도록 컬러표를 만든다.
Research plan
RESEARCH
Research
봄 (Spring)
봄 (Spring)
Research
봄 (Spring)
‘봄’하면 벚꽃축제가 가장 먼저 연상이 된다. 대표적으로 벚꽃이 무성히 핀 봄의 이미지들을 찾아 색상
을 조사하였다.
이미지에서 가장 많이 뽑힌 색은 분홍색이다. 밝은 핑크는 젊고, 재미있고, 흥미로운 반면 선명한 핑크는
빨강과 같은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핑크는 지나치게 공격적이지 않으면서 관능적이고, 열정적으로,
새로운 해의 열정적인 에너지이 시작을 알리는 봄에 어울렸다. 또한 핑크는 하얀색이라는 순수함이 더해
져 로맨틱해지는 분홍색이 형성되는데, ‘새로운 인연을 시작하는’봄의 분위기와 매치된다.
봄은 꽃샘추위가 동반되어 쌀쌀하기도, 차갑기도 하지만 곧 따뜻해질 것이라는 생각이 몸을 따듯하게 만
든다. 이러한 촉각적인 느낌은 활기를 불러일으키는 분홍색 계열이 가장 좋다고 판단하였고, 봄의 사진들
에서 색채들을 뽑아내었다.
Research
봄 이미지에서 뽑아낸 주 컬러
여름 (Summer)
Research
Research
여름 (Summer)
‘여름’은 더워지기 시작하면서 자연이 무르익어 간다. 시원하게 바다를 떠올리기도 하며, 자연의 무성함
이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바다와 풀숲 사진을 여름의 대표 이미지로 선정하여 컬러를 조사하였다.
초록색은 자연에 가장 많이 녹아든 색상이며, 보는 이에게 있어 가장 ‘안정감’을 준다. 사람의 눈에 가
장 편안함을 주는 색상이며 자연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색이기에 무성한 풀숲을 연상시킨다.
파란색은 상쾌하고, 차가우며 시원한 바람이 느껴진다. 파란색의 사물로는 하늘, 바다, 물 등이 연상된다.
여름의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해 ‘시원함과 자연’을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잡았다. 이에 따라 여름
의 주조색은 초록색~청록색의 계열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Research
여름 이미지에서 뽑아낸 주 컬러
가을 (Autumn)
Research
Research
가을 (Autumn)
‘가을’은 한여름의 초록빛들이 사라지고 단풍잎들과 낙엽, 은행 등으로 바뀌어 가는 모습이 보인다. 또
한 해가 지는 노을의 이미지도 같이 연상되는데, 이는 1년의 중반을 넘어서 9~10월이 다가오면서 1년이
져가고 있는 느낌이 마치 하루를 마감하는 듯한 느낌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미지에서 주로 뽑을 수 있었던 색상은 노란색~갈색~적갈색 계열이었다. 갈색은 자연과 대지의 이미지
를 상징하고, 따뜻하면서 중후한 느낌을 준다. 싫증나지 않고 오랫동안 편안한 느낌을 지속한다. 일반적으
로 갈색은 가을의 풍성한 열매와 충만감, 성숙이라는 풍요로운 이미지를 전달해 준다.
빨간색은 본질적으로 흥미롭고, 에너지의 수준과 직접적인 관계를 보인다. 활기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가을의 나뭇잎으로는 ‘단풍’이 효과적으로 잘 보일거라 생각하였고, 이에 따라 가을의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하기에 좋다고 생각한 것은 적갈색 계열이었다.
Research
가을 이미지에서 뽑아낸 주 컬러
겨울 (Winter)
Research
Research
Research
겨울 (Winter)
‘겨울’ 하면 하얀 눈으로 뒤엎인 세상이 연상된다. 우리들은 겨울의 이벤트라고 할 수 있는 눈을 기다
린다.
하얀색은 수수함, 깨끗함, 그리고 중립을 투영한다. 새롭게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생각이나 행동의
정화를 불러 일으킨다.
눈으로 뒤엎인 세상은 맑고 깨끗해 보인다. 겨울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 주조색을 하얀색으로
선정하였다. 시각적으로 눈은 하얀색을, 또한 추운 날씨는 자연스럽게 연 하늘색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하
얀색~연하늘색을 보조로 톤 계열로 잡았다.
Research
겨을 이미지에서 뽑아낸 주 컬러
RESULT
Result
만드는 과정 1 소품 만들기
Result
만드는 과정 2 소품 자르기
중간 보고서때 만든 소품들을 이용하여 종이에 레이저 커팅을 하였다. 소품들은 모두 벡터 이미지로 만들
어, 기계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고, 봄의 색들과 어울리는 재료들을 구매하기 위해 여러 문구점을 다
녔다. 자르는 일만 해도 시간이 꽤 걸렸다.
Result
만드는 과정 3 전체 틀 만들기 & 배치
Result
만드는 과정 4 촬영
Result
만드는 과정 5 보정
리서치 과정에서 얻어냈던 색감들을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해 보정 과정에 가장 많은 힘을 썼다. 특히, 가을
은 재료의 색상은 가장 잘 골라내었으나 사진으로 색을 담아내기 매우 힘들었다.
봄-여름-가을-겨울 모든 작품은 이러한 과정으로 완성하였다.
Result
봄 (Spring)
소품은 계절마다 반복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같은 형태라도 색채가 달라짐에 따라 다른 분위기와 형태로
느낌이 전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작업 결과물봄 (Spring)
Result
Result
Result
여름 (Summer)
Result
작업 결과물여름 (Summer)
Result
Result
Result
가을 (Autumn)
Result
작업 결과물가을 (Autumn)
Result
Result
겨울 (Winter)
Result
작업 결과물겨울 (Winter)
Result
Result
Result
Result
작업 후기
그동안 나는 오직 디지털로만 이루어진 작업만을 해왔다. 하지만, 만드는 것을 좋아하고 그림을 그리는
것도 좋아하여 이번에는 색다른 기법으로 작품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레이저 커팅기
가 들어온 이후로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 본 적도 없기에 그 점이 가장 많이 아쉬웠다.
그리고 ‘색채’를 이용한 연구와 조사를 한다는 주제는 작년에 색채의 변화만을 주어 흥미롭게 작업했
던 사계절을 떠올리게 하였다.
평소에 해왔던 생각과 영감들은, 이번 색채학 시간을 계기로 작업을 기획하고 결과물까지 만들어낼 수 있
었다. 물론 컴퓨터로만 작업하는 것이 아닌 직접 재료를 구하고, 만들어내고, 오리고 붙이는 등 수작업이
많이 따랐기에 힘들었지만, 결과물이 굉장히 흡족하게 나와 뿌듯하였다.
학교를 다니면서 자유로운 주제를 할 수 있는 일이 잘 없기에 이번 색채학을 통해 색채를 공부하면서도
재미있는 작업을 할 수 있어 정말 좋았다.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창의적발상 색 중간과정최종
창의적발상 색 중간과정최종창의적발상 색 중간과정최종
창의적발상 색 중간과정최종
민지 정
 
15115342정민지 창의적발상최종
15115342정민지 창의적발상최종15115342정민지 창의적발상최종
15115342정민지 창의적발상최종
민지 정
 
색채학기말보고서 김조은
색채학기말보고서 김조은색채학기말보고서 김조은
색채학기말보고서 김조은
EMLIE
 
1413452 이지수 색채학
1413452 이지수 색채학1413452 이지수 색채학
1413452 이지수 색채학
JS Yi
 
16-1 색채학 중간고사 proposal
16-1 색채학 중간고사 proposal16-1 색채학 중간고사 proposal
16-1 색채학 중간고사 proposal
ouo28
 
SK컴즈 행복화실 2013 4주 - 색연필 그리기
SK컴즈 행복화실 2013 4주 - 색연필 그리기SK컴즈 행복화실 2013 4주 - 색연필 그리기
SK컴즈 행복화실 2013 4주 - 색연필 그리기Jinho Jung
 
1413612 김승원 색채학 연구주제 보고
1413612 김승원 색채학 연구주제 보고1413612 김승원 색채학 연구주제 보고
1413612 김승원 색채학 연구주제 보고
SeoungWon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색채학연구주제보고색채학연구주제보고
색채학연구주제보고
jiyein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최종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최종색채학연구주제보고 최종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최종
jiyein
 
COLOR THEORY PROPOSAL 2
COLOR THEORY PROPOSAL 2COLOR THEORY PROPOSAL 2
COLOR THEORY PROPOSAL 2
OR Kim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현지 이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은지 조
 
창의적 발상
창의적 발상창의적 발상
창의적 발상
진선 박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아선 최
 
창의적발상 15115336 임희은
창의적발상 15115336 임희은창의적발상 15115336 임희은
창의적발상 15115336 임희은
희은 임
 
색채학
색채학색채학
색채학
아선 최
 
색채학 연구결과보고서 1211395 홍성은
색채학 연구결과보고서 1211395 홍성은색채학 연구결과보고서 1211395 홍성은
색채학 연구결과보고서 1211395 홍성은
성은 홍
 
색채학중간과제
색채학중간과제색채학중간과제
색채학중간과제주희 이
 
한국적인 이미지
한국적인 이미지한국적인 이미지
한국적인 이미지parkds2
 
색채학 1511347 정지수
색채학 1511347 정지수색채학 1511347 정지수
색채학 1511347 정지수
지수 정
 

What's hot (20)

창의적발상 색 중간과정최종
창의적발상 색 중간과정최종창의적발상 색 중간과정최종
창의적발상 색 중간과정최종
 
15115342정민지 창의적발상최종
15115342정민지 창의적발상최종15115342정민지 창의적발상최종
15115342정민지 창의적발상최종
 
색채학기말보고서 김조은
색채학기말보고서 김조은색채학기말보고서 김조은
색채학기말보고서 김조은
 
1413452 이지수 색채학
1413452 이지수 색채학1413452 이지수 색채학
1413452 이지수 색채학
 
16-1 색채학 중간고사 proposal
16-1 색채학 중간고사 proposal16-1 색채학 중간고사 proposal
16-1 색채학 중간고사 proposal
 
SK컴즈 행복화실 2013 4주 - 색연필 그리기
SK컴즈 행복화실 2013 4주 - 색연필 그리기SK컴즈 행복화실 2013 4주 - 색연필 그리기
SK컴즈 행복화실 2013 4주 - 색연필 그리기
 
1413612 김승원 색채학 연구주제 보고
1413612 김승원 색채학 연구주제 보고1413612 김승원 색채학 연구주제 보고
1413612 김승원 색채학 연구주제 보고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색채학연구주제보고색채학연구주제보고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최종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최종색채학연구주제보고 최종
색채학연구주제보고 최종
 
COLOR THEORY PROPOSAL 2
COLOR THEORY PROPOSAL 2COLOR THEORY PROPOSAL 2
COLOR THEORY PROPOSAL 2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창의적발상 과제 15116341 이현지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창의적 발상
창의적 발상창의적 발상
창의적 발상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창의적발상 15115336 임희은
창의적발상 15115336 임희은창의적발상 15115336 임희은
창의적발상 15115336 임희은
 
색채학
색채학색채학
색채학
 
색채학 연구결과보고서 1211395 홍성은
색채학 연구결과보고서 1211395 홍성은색채학 연구결과보고서 1211395 홍성은
색채학 연구결과보고서 1211395 홍성은
 
색채학중간과제
색채학중간과제색채학중간과제
색채학중간과제
 
한국적인 이미지
한국적인 이미지한국적인 이미지
한국적인 이미지
 
색채학 1511347 정지수
색채학 1511347 정지수색채학 1511347 정지수
색채학 1511347 정지수
 

Viewers also liked

1516555 색채학 조은지
1516555 색채학 조은지1516555 색채학 조은지
1516555 색채학 조은지
은지 조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보미 김
 
실험용
실험용실험용
실험용
보미 김
 
연구보고서 김보미
연구보고서 김보미연구보고서 김보미
연구보고서 김보미
보미 김
 
아이컬러 Ppt
아이컬러 Ppt아이컬러 Ppt
아이컬러 Ppt
보미 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보미 김
 
김유정, 김보미 아이컬러
김유정, 김보미 아이컬러김유정, 김보미 아이컬러
김유정, 김보미 아이컬러
보미 김
 
1510808 김보미
1510808 김보미1510808 김보미
1510808 김보미
보미 김
 
색채학 1412154 손수진 결과
색채학 1412154 손수진 결과색채학 1412154 손수진 결과
색채학 1412154 손수진 결과
수진 손
 
아이컬러 김보미, 김유정
아이컬러   김보미, 김유정아이컬러   김보미, 김유정
아이컬러 김보미, 김유정
보미 김
 
1510808 김보미 주제발표
1510808 김보미 주제발표1510808 김보미 주제발표
1510808 김보미 주제발표
보미 김
 
묻지마 범죄팀
묻지마 범죄팀묻지마 범죄팀
묻지마 범죄팀
보미 김
 
아이컬러 카드뉴스 수정본
아이컬러 카드뉴스 수정본아이컬러 카드뉴스 수정본
아이컬러 카드뉴스 수정본
보미 김
 
1510808 김보미
1510808 김보미1510808 김보미
1510808 김보미
보미 김
 
아이컬러 피피티
아이컬러 피피티아이컬러 피피티
아이컬러 피피티
유정 김
 

Viewers also liked (15)

1516555 색채학 조은지
1516555 색채학 조은지1516555 색채학 조은지
1516555 색채학 조은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실험용
실험용실험용
실험용
 
연구보고서 김보미
연구보고서 김보미연구보고서 김보미
연구보고서 김보미
 
아이컬러 Ppt
아이컬러 Ppt아이컬러 Ppt
아이컬러 Ppt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김유정, 김보미 아이컬러
김유정, 김보미 아이컬러김유정, 김보미 아이컬러
김유정, 김보미 아이컬러
 
1510808 김보미
1510808 김보미1510808 김보미
1510808 김보미
 
색채학 1412154 손수진 결과
색채학 1412154 손수진 결과색채학 1412154 손수진 결과
색채학 1412154 손수진 결과
 
아이컬러 김보미, 김유정
아이컬러   김보미, 김유정아이컬러   김보미, 김유정
아이컬러 김보미, 김유정
 
1510808 김보미 주제발표
1510808 김보미 주제발표1510808 김보미 주제발표
1510808 김보미 주제발표
 
묻지마 범죄팀
묻지마 범죄팀묻지마 범죄팀
묻지마 범죄팀
 
아이컬러 카드뉴스 수정본
아이컬러 카드뉴스 수정본아이컬러 카드뉴스 수정본
아이컬러 카드뉴스 수정본
 
1510808 김보미
1510808 김보미1510808 김보미
1510808 김보미
 
아이컬러 피피티
아이컬러 피피티아이컬러 피피티
아이컬러 피피티
 

Similar to 1510808 김보미 색채학

색채학 1416618 김보경
색채학 1416618 김보경색채학 1416618 김보경
색채학 1416618 김보경Bo Kyung Kim
 
색채학 중간과제
색채학 중간과제색채학 중간과제
색채학 중간과제
Soeun Park
 
1416878 김현주 색채학 연구 보고서
1416878 김현주 색채학 연구 보고서1416878 김현주 색채학 연구 보고서
1416878 김현주 색채학 연구 보고서
Hyun Joo Kim
 
03 02 duotone
03 02 duotone03 02 duotone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은지 조
 
문화워크샵_그림명상 (2003)
문화워크샵_그림명상 (2003)문화워크샵_그림명상 (2003)
문화워크샵_그림명상 (2003)
여성환경연대
 
1510600 배유정 - 안상수
1510600 배유정 - 안상수1510600 배유정 - 안상수
1510600 배유정 - 안상수
merry818
 
색채학최종
색채학최종색채학최종
색채학최종
혜인 김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은지 조
 
Experiment Collage (2015)
Experiment Collage (2015)Experiment Collage (2015)
Experiment Collage (2015)
mickieee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유정 김
 

Similar to 1510808 김보미 색채학 (11)

색채학 1416618 김보경
색채학 1416618 김보경색채학 1416618 김보경
색채학 1416618 김보경
 
색채학 중간과제
색채학 중간과제색채학 중간과제
색채학 중간과제
 
1416878 김현주 색채학 연구 보고서
1416878 김현주 색채학 연구 보고서1416878 김현주 색채학 연구 보고서
1416878 김현주 색채학 연구 보고서
 
03 02 duotone
03 02 duotone03 02 duotone
03 02 duotone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문화워크샵_그림명상 (2003)
문화워크샵_그림명상 (2003)문화워크샵_그림명상 (2003)
문화워크샵_그림명상 (2003)
 
1510600 배유정 - 안상수
1510600 배유정 - 안상수1510600 배유정 - 안상수
1510600 배유정 - 안상수
 
색채학최종
색채학최종색채학최종
색채학최종
 
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1516555 조은지
1516555 조은지
 
Experiment Collage (2015)
Experiment Collage (2015)Experiment Collage (2015)
Experiment Collage (2015)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우키요에 색채 연구와 이를 이용한 현대적 패턴 디자인
 

More from 보미 김

이별 그 후 중간 최종
이별 그 후 중간 최종이별 그 후 중간 최종
이별 그 후 중간 최종
보미 김
 
0423 final2
0423 final2 0423 final2
0423 final2
보미 김
 
4.18 :최종 7,8,9단원
4.18 :최종 7,8,9단원4.18 :최종 7,8,9단원
4.18 :최종 7,8,9단원
보미 김
 
4.18 :최종 수정
4.18 :최종 수정4.18 :최종 수정
4.18 :최종 수정
보미 김
 
EYE COLOR INFOGRAPHY
EYE COLOR INFOGRAPHYEYE COLOR INFOGRAPHY
EYE COLOR INFOGRAPHY
보미 김
 
필기2
필기2필기2
필기2
보미 김
 
필기
필기필기
필기
보미 김
 
1510808 김보미 주제
1510808 김보미 주제1510808 김보미 주제
1510808 김보미 주제
보미 김
 
1510808 김보미. pdf
1510808 김보미. pdf1510808 김보미. pdf
1510808 김보미. pdf
보미 김
 

More from 보미 김 (9)

이별 그 후 중간 최종
이별 그 후 중간 최종이별 그 후 중간 최종
이별 그 후 중간 최종
 
0423 final2
0423 final2 0423 final2
0423 final2
 
4.18 :최종 7,8,9단원
4.18 :최종 7,8,9단원4.18 :최종 7,8,9단원
4.18 :최종 7,8,9단원
 
4.18 :최종 수정
4.18 :최종 수정4.18 :최종 수정
4.18 :최종 수정
 
EYE COLOR INFOGRAPHY
EYE COLOR INFOGRAPHYEYE COLOR INFOGRAPHY
EYE COLOR INFOGRAPHY
 
필기2
필기2필기2
필기2
 
필기
필기필기
필기
 
1510808 김보미 주제
1510808 김보미 주제1510808 김보미 주제
1510808 김보미 주제
 
1510808 김보미. pdf
1510808 김보미. pdf1510808 김보미. pdf
1510808 김보미. pdf
 

1510808 김보미 색채학

  • 2. 목차 1 _ Method 2 _ Topic 3 _ Research Plan 4 _ Research 5 _ Result
  • 4. Method 내가 선택한 디자인 작업 기법은 ‘종이 아트’ (Paper art design) 이다. 종이는 그라데이션을 억 지로 담은 인쇄용지가 아닌이상, 단색으로 색채가 확실하게 보인다. 하지만 단색의 종이작품은 전혀 단순해보이지만은 않는다. 종이라는재료를 통해 만들어진 디자인작품들은 독특한 느낌과 더불어 섬 세함 또한 보여준다. 나는 이러한 Paper art 들의 작업을 조사하고 디자인 기법으로 이용하였다. 디자인 작업 선정_기법 종이 (파피루스) 종이란 ‘식물의 섬유를 물에 풀어 평평하면서 얇게 서로 엉기도록 하여 물을 빼고 말린 것’ 이라 고 정의되어 있다. Papyrus (파피루스) = Paper = Papier(파피에) = Papel (파펠) 등의 말로 칭하기 도 한다. 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 종이를 이용한 파피에 꼴레(종이 콜라보), Pop-up art book (팝업 북), 각종 조형예술 등이 있다. 내가 가장 흥미를 보인 부분은 순수한 종이를 이용한 조형예술들이었다. 디자인 작업 선정_주제 이러한 기법을 통해 내가 표현하고 싶은 주제는 ‘사계절 (Four seasons)’ 이었다. 색감적으로 사계절 은 뚜렷하게 보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각 계절을 조사하고, 특징 색을 잡아내어 표현하였다.
  • 5. Helen Friel 의 작업물들은 대체로 폴리곤을 이용 하여 사물을 단순화 시켰다. 옆의 사진은 작업물 들중 하나로 단순히 한 가지색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물체에, 톤의 변화만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폴리곤은 자연스럽게 빛에 의해 톤의 변화가 보 여지는 특징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폴리곤을 이용하여 실제 작업물을 만들기 엔 기술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에 따라 찾아본 자료가 다음 장에 있다. Helen Friel’s work Method
  • 6. Helen Friel’s work 그녀는 폴리곤 작업 이외에도 종이의 평면성을 이 용하였다. 평면으로 구성된 종이들은 공간속에 놓여져 있어 마치 입체인듯한 환상을 준다. Paper Art들을 보면, 가벼워 보이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도 전체적인 완성도를 보면 무거워 보인 듯 한 느낌을 준다. 색채를 담아내는 완성도도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나는 이런 기법을 착안하여 작품을 만들기로 했다. Method
  • 7. Method 사계절을 이미지로 표현할 때, 비슷한 형태 내에서 색깔 과 요소들이 조금만 달라져도 전혀 다른 분위기를 자아 낸다는 사실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색채만으로도 전혀 다른 주제를 전할 수 있는 특징이 인 상 깊었기에, ‘가장 대표적인 사계절’의 색상을 어떻 게 하면 표현할 수 있을지에 대해 조사하고 만들어내는 것에 이번 연구보고서의 초점으로 잡았다. 사계절 예시 이미지 중 하나
  • 9. Topic 유사색 유사색은 비슷한 계열의 색상을 배색하여 무난한 느낌의 이미지를 연출한다. 주제를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유사색을 활용하여 주목성을 주는 경우가 있다. 디자인 작업에 적용할 색채 디자인 이론
  • 10. 같은 계열의 색깔을 사용하더라도, 톤의 차이를 주며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그 효과가 뛰어나다. 강조하고자 싶은 색깔이 확 드러나며, 분위기를 조성한다. 유사색은 색상차이 가 적고 톤의 차이만 존재하기 때문에 배색이 명쾌해 보이며, 협조적, 온화함, 상냥함, 건전한 느낌이 든다. 다만, 유사색의 배합은 상대색의 성격에 손상을 주지 않고 은은한 변화를 주어야 한다. 나는 사계절을 표현하기 위해 각각의 계절마다 ‘주조색’을 찾아내기로 하였다. 주 컬 러를 골라낸 다음, 톤의 차이를 주어 종이로 작품을 표현하기로 하였다. Topic
  • 11. Topic 기법 _ Paper art 주제 _ Four seasons 색채 _ 유사색 활용 _정리
  • 13. Research plan _연구방법 및 방향성 1_ Paper artist 를 선정하여 그들의 작품을 조사한다. 그들의 종이아트에서 어떤식으로 컬러들이 배색 되었고, 사용되었는지 조사한다. 2_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이미지들을 찾아 각 계절의 대표색들을 찾아보고 그 대표색들에 어울리는 유 사색들을 모두 찾아 작품에 이용한다. http://www.colorcodepicker.com _도미넌트 컬러 리서치 할 때 이용 http://www.w3schools.com/colors/colors_groups.asp _standard color HTML COLOR NAME (대표 색채 이름을 찾아볼 때 이용) www.colors.commutercreative.com/grid/ _칼라의 기준을 알아볼 때 이용 3_ 유사색을 활용하여 작품에 이용한다. 디지털의 이미지만 이용하여 작업을 만들 것이 아닌 수작업도 동반할 것이기 때문에 재료에 대한 사용도 염두에 둔다.
  • 14. 컬러를 분석하는 방법 예시 1_ 많은 사진들을 통하여 Domnant Color 를 많이 조사한 후, 통계를 내어 유사색을 찾아본다. 2_ 계절마다 자료를 찾고, 대표 칼라를 알아 본 후 작업에 적 용할 수 있도록 컬러표를 만든다. Research plan
  • 18. 봄 (Spring) ‘봄’하면 벚꽃축제가 가장 먼저 연상이 된다. 대표적으로 벚꽃이 무성히 핀 봄의 이미지들을 찾아 색상 을 조사하였다. 이미지에서 가장 많이 뽑힌 색은 분홍색이다. 밝은 핑크는 젊고, 재미있고, 흥미로운 반면 선명한 핑크는 빨강과 같은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핑크는 지나치게 공격적이지 않으면서 관능적이고, 열정적으로, 새로운 해의 열정적인 에너지이 시작을 알리는 봄에 어울렸다. 또한 핑크는 하얀색이라는 순수함이 더해 져 로맨틱해지는 분홍색이 형성되는데, ‘새로운 인연을 시작하는’봄의 분위기와 매치된다. 봄은 꽃샘추위가 동반되어 쌀쌀하기도, 차갑기도 하지만 곧 따뜻해질 것이라는 생각이 몸을 따듯하게 만 든다. 이러한 촉각적인 느낌은 활기를 불러일으키는 분홍색 계열이 가장 좋다고 판단하였고, 봄의 사진들 에서 색채들을 뽑아내었다. Research 봄 이미지에서 뽑아낸 주 컬러
  • 21. 여름 (Summer) ‘여름’은 더워지기 시작하면서 자연이 무르익어 간다. 시원하게 바다를 떠올리기도 하며, 자연의 무성함 이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바다와 풀숲 사진을 여름의 대표 이미지로 선정하여 컬러를 조사하였다. 초록색은 자연에 가장 많이 녹아든 색상이며, 보는 이에게 있어 가장 ‘안정감’을 준다. 사람의 눈에 가 장 편안함을 주는 색상이며 자연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색이기에 무성한 풀숲을 연상시킨다. 파란색은 상쾌하고, 차가우며 시원한 바람이 느껴진다. 파란색의 사물로는 하늘, 바다, 물 등이 연상된다. 여름의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해 ‘시원함과 자연’을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잡았다. 이에 따라 여름 의 주조색은 초록색~청록색의 계열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Research 여름 이미지에서 뽑아낸 주 컬러
  • 24. 가을 (Autumn) ‘가을’은 한여름의 초록빛들이 사라지고 단풍잎들과 낙엽, 은행 등으로 바뀌어 가는 모습이 보인다. 또 한 해가 지는 노을의 이미지도 같이 연상되는데, 이는 1년의 중반을 넘어서 9~10월이 다가오면서 1년이 져가고 있는 느낌이 마치 하루를 마감하는 듯한 느낌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미지에서 주로 뽑을 수 있었던 색상은 노란색~갈색~적갈색 계열이었다. 갈색은 자연과 대지의 이미지 를 상징하고, 따뜻하면서 중후한 느낌을 준다. 싫증나지 않고 오랫동안 편안한 느낌을 지속한다. 일반적으 로 갈색은 가을의 풍성한 열매와 충만감, 성숙이라는 풍요로운 이미지를 전달해 준다. 빨간색은 본질적으로 흥미롭고, 에너지의 수준과 직접적인 관계를 보인다. 활기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가을의 나뭇잎으로는 ‘단풍’이 효과적으로 잘 보일거라 생각하였고, 이에 따라 가을의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하기에 좋다고 생각한 것은 적갈색 계열이었다. Research 가을 이미지에서 뽑아낸 주 컬러
  • 28. 겨울 (Winter) ‘겨울’ 하면 하얀 눈으로 뒤엎인 세상이 연상된다. 우리들은 겨울의 이벤트라고 할 수 있는 눈을 기다 린다. 하얀색은 수수함, 깨끗함, 그리고 중립을 투영한다. 새롭게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생각이나 행동의 정화를 불러 일으킨다. 눈으로 뒤엎인 세상은 맑고 깨끗해 보인다. 겨울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 주조색을 하얀색으로 선정하였다. 시각적으로 눈은 하얀색을, 또한 추운 날씨는 자연스럽게 연 하늘색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하 얀색~연하늘색을 보조로 톤 계열로 잡았다. Research 겨을 이미지에서 뽑아낸 주 컬러
  • 30. Result 만드는 과정 1 소품 만들기
  • 31. Result 만드는 과정 2 소품 자르기 중간 보고서때 만든 소품들을 이용하여 종이에 레이저 커팅을 하였다. 소품들은 모두 벡터 이미지로 만들 어, 기계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고, 봄의 색들과 어울리는 재료들을 구매하기 위해 여러 문구점을 다 녔다. 자르는 일만 해도 시간이 꽤 걸렸다.
  • 32. Result 만드는 과정 3 전체 틀 만들기 & 배치
  • 34. Result 만드는 과정 5 보정 리서치 과정에서 얻어냈던 색감들을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해 보정 과정에 가장 많은 힘을 썼다. 특히, 가을 은 재료의 색상은 가장 잘 골라내었으나 사진으로 색을 담아내기 매우 힘들었다. 봄-여름-가을-겨울 모든 작품은 이러한 과정으로 완성하였다.
  • 35. Result 봄 (Spring) 소품은 계절마다 반복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같은 형태라도 색채가 달라짐에 따라 다른 분위기와 형태로 느낌이 전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 55. 작업 후기 그동안 나는 오직 디지털로만 이루어진 작업만을 해왔다. 하지만, 만드는 것을 좋아하고 그림을 그리는 것도 좋아하여 이번에는 색다른 기법으로 작품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레이저 커팅기 가 들어온 이후로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 본 적도 없기에 그 점이 가장 많이 아쉬웠다. 그리고 ‘색채’를 이용한 연구와 조사를 한다는 주제는 작년에 색채의 변화만을 주어 흥미롭게 작업했 던 사계절을 떠올리게 하였다. 평소에 해왔던 생각과 영감들은, 이번 색채학 시간을 계기로 작업을 기획하고 결과물까지 만들어낼 수 있 었다. 물론 컴퓨터로만 작업하는 것이 아닌 직접 재료를 구하고, 만들어내고, 오리고 붙이는 등 수작업이 많이 따랐기에 힘들었지만, 결과물이 굉장히 흡족하게 나와 뿌듯하였다. 학교를 다니면서 자유로운 주제를 할 수 있는 일이 잘 없기에 이번 색채학을 통해 색채를 공부하면서도 재미있는 작업을 할 수 있어 정말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