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손상감시체계와 손상분류척도
Injury Surveillance & Scoring System
2015년 6월 24일(수)
응급의학과 송성욱
•  손상의 심각성
–  연간 사망 약 30,000명 (전체 사망의 약 12.5%)
–  45세 미만 인구집단 사망 원인 1위
-  보건복지부. 외상진료체계 분야별 구축방안 연구. 2011
Health USDOSH. Model Trauma System Planning and Evaluation. 2006.
Phase of a Pre-Planned Trauma Care Continuum
자료를 근거로
문제점을 확인
(Assessment)
중재안 개발/적용
(Policy Develop.)
결과를 평가
(Assurance)
손상 감시체계의 필요성
•  얼마나 많은 손상이 일어나는가 ?
•  언제 일어나는가 ?
•  누구한테 일어나는가 ?
•  문제 크기의 정의
•  관련 원인과 위험요인의 확인
•  개입의 설계와 실행
•  개입의 평가
Regular systematic collection,
assembly, analysis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n the health of the community
손상감시체계 (Injury Surveillance)
손상 예방
• 중재 목표 설정
• 위험요인 규명
• 중재프로그램 적용 및 평가
병원 전 및 병원단계 체계
• 병원 전 단계 이송 적절성
• 외상체계 처치 적절성
재활 및 사회복귀
•  장애 평가
•  삶의 질 평가
•  질병부담 평가
Road fatalities and preventive health action in Australia 1968–2012
손상감시체계의 유형
수동(passive) 감시체계
•  별도의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자료수집체계로부터 이차적으
로 손상정보를 얻는 방법
•  통계청사망자료, 자동차/건강/
산재보험 심사청구자료
•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광
범위한 지역/인구기반 자료를
획득할 수 있음.
•  보고의 완전성, 대표성 문제
능동(active) 감시체계
•  손상사례를 직접 조사하여 정
보를 얻는 방법
•  국민건강영양조사, 응급실기
반 손상감시체계
•  예방이나 치료와 관련된 역학
정보를 풍부하게 획득 가능
•  많은 인원, 비용, 시간 필요
손상(외상) 등록 체계
•  등록자료(Registry data)
–  A file of data concerning all cases of a particular disease or other
health-relevant condition in a defined population such that the
cases can be related to a population base
•  등록사업(Registry project)
–  장기적인 관점에서 발생양상의 관찰과 환자들에 대한 추적조사가 필요한
질병들은 보건 당국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중재활동 (예: 암등록사업)
•  손상(외상)등록체계: 손상 연구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기본 자료 구축
–  병원 기반 등록 체계, 구급체계 기반 등록 체계
–  지역사회기반 등록 체계
–  질 향상을 위한 3요소: 적절한 케이스 수, 등록의 충실도, 데이터의 정확도
- S.Ruchholtz et al, 2011, Eur J Trauma Emerg Surg.
국내 손상 감시체계
•  국가손상통합감시사업(질병관리본부)
의료기관 기반 손상 감시체계
퇴원손상 심층조사
모집단
100병상 이상 일반병원
입원후 퇴원한 모든 환자
병상 규모별 표본병원
표본 병원 내에서 퇴원한
환자 중 표본 환자 추출
응급실 기반 손상감시체계
응급실 기반의 장점
•  minor ~ severe
•  24/7
•  1st gateway
•  comprehensive
손상 감시체계 적용의 제한점
사망
입원
외래
의료이용 없음
두경부손상
흉부손상
복부손상
사지손상
단일손상
다발성손상
경증손상
중증손상
실제로는 매우 다양한
유형의 의학적 문제들임
•  표준/가이드라인이 거의 없음
•  인구집단 기반 자료가 부족
•  데이터체계가 유연하지 않음
•  데이터체계 통합이 어려움
•  중요한 자료요소 수집 어려움
표준화된 자료 수집 체계 및 보고서식
Uniform reporting in major trauma
•  Utstein style templete for major trauma DB
– object-oriented model for trauma data structure
Dick WF, Baskett PJ. Recommendations for uniform reporting of data following major trauma--the U
tstein style. A report of a working party of the International Trauma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S
ociety (ITACCS). Resuscitation. 1999;42(2):81–100.
•  Factors relating to the event of trauma
•  System factors
•  Patient factors
•  Treatment and outcome
type of injury
severity of the injury: AIS
mechanism of the injury
location of the injury
Health USDOSH. Model Trauma System Planning and Evaluation. 2006.
Phase of a Pre-Planned Trauma Care Continuum
손상 분류 척도
Injury Scoring System
•  GCS
•  TS
•  RTS
Physiologic
•  AIS
•  ISS
•  ICISS
•  EMR-ISS
Anatomical
•  TRISS
•  ASCOT
Combined
•  중증도 보정의 필요
•  환자별 비교 : 다발성 손상
•  연도별, 기전별 환자 특성 및 결과 비교
•  여러 지역 또는 기관의 치료 효과 비교
병원전단계 : Field Triage scheme for major trauma
손상후 재활단계 : DALY, QALY
Prehospital Field Triage Tool
•  미국 질병관리본부: 외상환자의 현장 중증도 분류
1단계 :
생리학적 기준
2단계 :
해부학적 기준
3단계 :
손상 기전
4단계 :
특수 고려 사항
Guidelines for Field Triage of Injured Patients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Expert Panel on Field Triage, 2011
119 구급서비스 표준지침
TS(Trauma Score)
5 variables
range: 16(best) to 1 (worst)
RTS(Revised Trauma Score)
TS 에서 Respiratory effort, carpillary refill 을 제외
RTS 는 survival 에 대하여 logistic regression 을 하여 만들어진 값 : 0(worst) ~ 7.84(best)
cf. T(triage)-RTS: 병원전 triage 를 위해 각 항목의 값을 더한 값: 0(worst) ~ 12(best)
ISS(Injury Severity Score)
AIS 기반의 외상분류척도
각 부위별로 가장 높은 AIS 한개만
range: 0 (best) ~ 75 (worst)
NISS(New Injury Severity Score)
AIS
Small subdural haematoma 4
Parietal lobe swelling 4
Major liver laceration 4
Upper tibial fracture (displaced) 3
ISS = 42 + 42 + 32 = 41
NISS = 42 + 42 + 42 = 48
•  ISS: 동일부위 다발손상 저평가에 대한 비판
•  NISS: AIS of the three most severe injury (신체부위 상관없이)
ICISS
(ICD-9-based Injury Severity Score)
•  Anatomical Injury scoring system
•  AIS 대신 ICD-9 code를 이용
– 300,000 trauma cases (NCHDR)
– 2,034 trauma related ICD-9 (code 800-959.9)
– survival probabilities: 0 (0%) ~ 1 (100%)
ICISS = (SRR of 1st injury) x (SRR of 2nd injury) x
… x (SRR of last injury) SRR: survival rate ratio
TRISS
(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ISS
RTS
생존(survival)에 대해 4 variable 로 logistic regression ! 생존확률
TRISS : 0 (worst 0%) ~ 1 (best 100%)
TRISS
(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ISS
RTS
ASCOT
(A Severity Characterisation Of Trauma)
•  TRISS 와 산출방법이 기본적으로 다르지 않음.
•  Age 를 10살 구간으로 범주화
•  ISS 값을 AP(Anatomical Profile) 로 변경하여 이용
•  A = AIS >= 3 : head, brain, spinal cord
•  B = AIS >=3 : thorax, anterior neck
•  C = AIS >=3 : rest of the body
•  D = all minor and moderate injury (AIS < 3)
손상 분류 도구의 특성
•  생리학적 기준: RTS, GCS 등
–  동일 환자에서도 평가 시점에 따라 변화함
–  사망을 예측할수 있으나 장애, 의료 이용 등 예측 어려움
•  진단명: ICISS, EMR-ISS 등
–  인구집단의 진단명별 생존확률, 초과사망률 정보가 사전
에 산출되어야함.
–  사망에 대한 예측은 효과적이나 장애 평가는 어려움
•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 ISS
–  국가나 지역간의 차이가 없이 적용 가능
–  객관적이고 영구적인 지표로 활용 가능
국내외 손상 척도 분류 도구의 활용 현황
사용한 손상 척도 분류 도구
구급기반 다중중증손상 데이터베이스 RTS, AIS, ISS
한국형 외상등록체계 (KTDB) RTS, AIS, ISS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EMR-ISS, RTS, ICISS
National Trauma Data Bank (NTDB, 미국) AIS, ISS
National Trauma Registry
Comprehensive Data Set (NTR, 캐나다)
AIS, ISS
National Data Standards
for injury surveillance(NDS-IS, 호주)
AIS, ISS
AIS/ISS 손상분류척도
Abbreviated Injury Scale
•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AAAM. Ilinois, USA)
•  1971년 교통사고조사원을 위해 개발됨
•  1990년 의료 조사원과 연구원을 위해 확장됨
1.  Anatomically based
2.  Consensus derived
3.  Global severity scoring system
AIS History
•  1971- 최초의 AIS(미국의학회지)
•  1976- 손상용어의 명확한 정의
•  1980- Brain 파트 개정
•  1985- 의료 관리자 및 연구자를 위해 확장
•  1990- 15세 미만 도입
•  1990- update-98,
코딩규칙 확장, 명확한 외부손상 코딩
장기 손상 scale 을 포함
•  2004- 정형외과 코드 확장
Origins of Today’s AIS
•  최초의 AIS는 1971년에 미국의학회지에 실림
“Rating the Severity of Tissue Damage – The
Abbreviated Injury Scale”
•  1975~76년에 최초의 손상 코딩 사전이 개발되어 출
판됨. 이때 약 500개의 손상에 대한 중증도를 1~6까
지 구분하였음
•  1970년대 중반에 AIS가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 자
동차 사고 조사의 표준으로 인정됨.
•  원래 목적은 자동차 사고에 의한 손상의 중증도와 유
형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음
Origins of Today’s AIS
•  AIS 담당 기관
–  Committee on Injury Scal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AIS에 포괄된 손상이 3배
정도 증가하였음
•  1985년에 각 손상에 대한 숫자 코드를 적용함
•  1990, 1998년에 각각 대규모 수정을 거침
•  현재 AIS 2005(update 2008)이 최신임
–  상지와 하지, 골반의 손상 분류를 재정비
–  6.1 (2+2) 2000 codes (and them some)
AIS의 철학적 기반
•  AIS는 중증도에 따라 손상의 순위를 매기는 간단
한 방법이어야 함
•  손상을 표현하는 용어가 표준화되어야 함
•  AIS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손상에서 사용할 수 있
어야 함
•  AIS는 대규모 자료 수집이나 소규모 자료 수집에
모두 호환이 되어야 함.
•  손상에 대한 기술은 생리학적인 기준이 아닌 해부
학적 기준에 따라 구성해야 함
AIS의 철학적 기반
•  개별 손상에 대한 중증도 점수는 1개만 있어야 하
고 시간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값이어야 함
•  장기 결과가 아닌 손상 자체만을 고려함
•  사망률 또는 치명률 예측 이상이어야 함
•  건강한 성인에서 손상의 중증도를 반영함
•  특정 손상의 중증도는 전신에 대한 중요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기술
Over time things have…
…remained constant:
•  Pre dot injury descriptor
•  Post dot severity descriptor
•  Severity range 0-6
•  Expert assessment of severity
..or changed:
•  Definition of severity –narrowed to
threat to life
•  Expanded to non motor vehicle
injuries (e.g., burns)
•  Expanded to pediatric injuries
•  Expanded to include LOC for brain
injury –only exception to anatomic
basis
Full AIS code
AIS coding Format
“6자리 숫자”+구두점(.)+”5자리숫자”
•  구두점 앞 6자리 숫자(pre-dot code)
–  1 body region
–  1 Type of Anatomic Structure
–  2 Specific Anatomic Structure
–  2 Level of Injury
•  구두점 뒤 5자리 숫자(post-dot code)
–  1 Severity
–  2 Localizer1
–  2 Localizer2
Post-dot severity
AIS coding Dictionary form
•  AIS 코드폼 : AIS는 코더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폼으로 구성됨
– Boxed and bold text : AIS 코딩 규칙
– [Brackets] : 포함기준 또는 예외기준
– (Parentheses) : 약어 또는 비임상용어
– ; : 손상을 구분함. “또는”으로 이해하면됨
– Bold type : 해부학적 구조를 정의함
– Italics : 고유명사화된 해부학적 구조나 손상 또는
OIS 단계
AIS coding dictionary 실제 (Abdomen part 중 일부)
AIS coding rules
•  일반적으로 지켜야 할 사항
–  보수적으로 적용하라 : 주어진 자료로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의문이 있다면 줄 수 있는 최저점 중증도 점수로 평가
–  AIS 6는 특정 손상에 대해서만 적용하고, 환자가 죽었다
고 해서 6을 적용하는 것은 아니다.
–  손상의 증거 : 반드시 진단 검사나 영상검사, 수술, 부검 등
에 의해 증명된 손상에 대해서만 AIS를 적용해야 한다.
‘rule out’, ‘suspicious for’, ‘probable’, ‘possible’ 등의
진단명은 무시해라. 그리고 치료 술기만 있는 경우에도
AIS를 지레짐작하여 적용하지 않는다.
AIS coding rules
•  출혈은 손상 중증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20%
의 출혈은 손상의 중증도를 구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동일한 신체부위에서 한 개 이상의 손상이 발생하
여 20%이상의 출혈이 있다면, 가장 심각하게 손
상된 장기에만 출혈을 적용한 점수를 준다. 만약
모든 손상이 동일한 중증도라면 그 중 하나에 출
혈을 적용한다.
AIS coding rules
•  “Not further specified”(NFS)는 세부 정보가 부
족할 때 적용한다. AIS 2005에서 사지 손상 중 개방
성 손상이 아닌 경우 NFS를 적용한다.
–  Injury unspecified : 특정 장기나 구조물에 손상이 있지
만 정확한 유형을 모르는 경우
•  “kidney injury”는 contusion일수도 있고, laceration일 수도 있
는데 추가 정보가 없는 것임. 이 경우 “kidney injury NFS
(541699.2)”로 코딩해야함
–  Severity unspecified : 특정 손상이 있는데 중증도를
알 수 없거나 불명확한 경우.
•  “kidney laceration”이라고 되어 있으나 다른 정보가 없는 경우
에 “kidney laceration NFS(541620.2)”로 코딩해야함.
Localizers
•  모든 코더나 데이터베이스가 이렇게 자세할 필요
는 없음 . 필요한 경우에 적용하면 됨
•  구성요소 2가지: 각각 2자리 숫자임. Post-dot
AIS severity 뒤에 추가함
– AIS severity 자리 + L1(2자리) + L2(2자리)
•  L1, L2가 해당 없는 경우 0000
– Localizer 1(L1): side and aspect
– Localizer 2(L2): spine, finger, toe…
Full AIS code
양측성 손상(bilaterality)
•  AIS 2005에서 부터는 이전에 제한적으로 사용하
던 양측성 손상에 대한 코드를 대폭 확대하여 중
증도를 평가함.
•  대부분의 손상에서 양측성일 경우 중증도가 한단
계 상승하게 됨
Organ Injury Scales (OIS)
•  OIS와 AIS의 호환을 위해 용어 통일 작업을 함.
OIS는 [이탤릭]으로 표시함(88쪽 등)
•  완벽히 일치하지 않음
– OIS는 개별 장기의 손상을 해부학적으로 1~6으로 구
분하여 사망에 대한 위험만 구분함. AIS는 사망 뿐 아
니라 다른 측면도 고려함. 즉 같은 1~6이지만 서로 다
른 의미임
– OIS는 같은 유형의 손상이라도 개수가 많으면 중증도
가 증가함(spleen laceration이 1개면 grade 2, 한 개
이상이면 grade 3임). AIS는 이를 구분하지 않음.
Functional Capacity Index
•  predicted Functional Capacity Index based
on AIS descriptors (pFCI-AIS)
– 각 진단명 코드별로 전문가 합의에 기반함
– 5(perfect state) to 1(the worst possible state)
– 모든 AIS6은 FCI1
– AIS9는 해당 사항 없음
– www.unav.es/ecip(ECIP 2008a, ECIP 2008b).
Multiple Injuries
•  AIS 자체는 다발성 손상을 평가하지 않음
– MAIS : 가장 높은 AIS 이용함
– ISS : 각기 다른 3곳의 신체 부위별 가장 높은 AIS를
제곱후 합함.
– NISS : 신체부위에 상관없이 높은 순으로 AIS 3개를
제곱하여 더함
Multiple Injuries
•  ISS의 계산
– ISS의 body region :6개임(AIS와 다름)
53쪽, 163쪽 참고
1 Head
2 Face
3 Neck
4 Thorax
5 Abdomen & pelvic contents
6 Upper extremities
7 Lower extremities
8 External, burns & other trauma
9 Spine
Multiple Injuries
•  ISS : 1~75
– 75: 3개의 AIS injury 또는 1개의 AIS 6
•  AIS 6 이 하나라도 있으면 자동으로 75
•  AIS 9는 ISS 계산에 사용하지 않는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존 연구 사례
2014’ 병원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코디네이터 대상 중증도 및 장애평가 교육 및 평가
–  AIS 해부학적 부위(7) 별 교육 자료(강의+실습) 개발
–  AIS 중증도 코딩 교육을 받은 시범조사 병원 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개발된 표준화된 손상 12증례에 대한 자료(의무기록, 영상소견)을 보
여주고 60분동안 이에 대한 AIS 코딩을 수행하도록 하여 평가함
사후평가를 수행한 손상 12 증례사례 AIS code 손상 진단명 해부학적 부위
1
650634.3 vertebral body, major compression (>20% loss of anterior height)
Spine
Lower extremity
853271.3 complex; comminuted; segmental; Winquist IV
856151.2 pelvic ring fracture, posterior arch intact; isolated fracture not destroying the integrity of the pelvic ring
2
140210.5 Brain stem [hypothalamus, medulla, midbrain, pons], injury involving hemorrhage
Head
140640.4 Cerebum, intracerebral, small; ≤30cc or ≤15cc if ≤age 10; 1-4cm diameter or ≤1cm if ≤age 10;
140652.4 Cerebrum, subdural, small; moderate; ≤50cc or ≤25cc if ≤age 10; 0.6-1cm thick
140694.2 Cerebrum, subarachnoid hemorrhage, not associated with coma >6 hours
3
140650.3 Cerebrum, subdural NFS
Head
Face
Spine
Lower extremity
251000.1 Nose, fracture, closed or NFS
640218.4
C-spine, incomplete cord syndrome (preservation of some sensation or motor function; includes anterior cord, central cord, lateral
cord (Brown-Sequard) syndromes), with both fracture and dislocation
650620.2 Fracture with or without dislocation but no cord involvement , transverse process
856151.2 Pelvic ring fracture, posterior arch intact; isolated fracture not destroying the integrity of the pelvic ring
4
640618.4
L-spine, incomplete cord syndrome (preservation of some sensation or motor function; includes anterior cord, central cord, lateral
cord (Brown-Sequard) syndromes), with both fracture and dislocation Spine
650430.2 T-spine, vertebral body NFS [“burst fracture”]
5 544610.1 Testes, contusion; hematoma [OIS I] Abdomen & Pelvis
6
240408.1 Canaliculus (lacrimal/tear duct) laceration
Face
251900.3 Panfacial fracture
7 340208.3 Larynx, including thyroid and cricoid cartilage, perforation; full thickness; “fracture” Neck
8 341608.3 Trachea injury in Neck, perforation; full thickness; “fracture” Neck
9 542222.2 Omentum, laceration, minor; superficial Abdomen & Pelvis
10
80002.3 Electrical injury, with muscle necrosis
Lower extremity
External, burn
912002.1 1st degree; superficial if >1yo , any
912018.3 2nd or 3rd degree; partial or full thickness, 20-29%
11 751261.2 Humerus shaft fracture , wedge; “butterfly” segment Upper extremity
12
441408.3 Lung, contusion, unilateral, major; >1 lobe
Thorax442205.3 Hemopneumothorax NFS
450203.3 Rib Cage, ≥3 ribs [OIS II]
실제 사후평가 증례 (예 증례 2)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  분석방법: 작성된 AIS code를 다음과 같이 분류
•  기술분석: 각 사례별, 해부학적 부위별, 평가대상별 오류 빈도/비율 산출
•  손상코디네이터에 의한 AIS 중증도 코딩의 일치도
분류 정의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AIS 코드 pre dot code 의 첫번째 숫자가 정답과 다를 경우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AIS 코드 pre dot code 의 두번째 숫자가 정답과 다를 경우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AIS 코드 pre dot code 의 세번째 이하의 숫자가 정답과 다를 경우
규칙 오류 (Rule Error) 각 사례별로 작성되어야 할 AIS 중증도 손상 코드 개수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
중증도 오류 (Severity Error) AIS 코드 post dot code 에 해당하는 중증도 숫자가 정답과 다를 경우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중증도 오류가 있을 경우 실제 기입한 중증도와 정답과의 차이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  참가대상 특성
•  출제된 사례 특성
성별 남성 2 9.1 %
여성 20 90.9 %
연령 (세) 26.6 ± 3.3 (최소 21 - 최대 34)
경력 (개월) 22.9 ± 18.8 (최소 1 – 최대 60)
Anatomical site No. %
head 5 18.5
face 3 11.1
neck 2 7.4
thorax 3 11.1
abd & pelvis 2 7.4
spine 5 18.5
Upper Ext. 1 3.7
Lower Ext. 4 14.8
External, burn & other 2 7.4
AIS severity No. %
1 4 14.8
2 7 25.9
3 11 40.7
4 4 14.8
5 1 3.7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증례별 AIS coding 사후 평가 결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Total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96.80% 98.50% 99.00% 100.00% 100.00% 100.00% 91.70% 95.70% 100.00% 100.00% 100.00% 100.00% 98.70%
Yes 3.20% 1.50% 1.00% 0.00% 0.00% 0.00% 8.30% 4.30% 0.00% 0.00% 0.00% 0.00% 1.3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92.10% 98.50% 98.00% 95.70% 100.00% 79.40% 91.70% 95.70% 85.70% 100.00% 100.00% 98.60% 94.60%
Yes 7.90% 1.50% 2.00% 4.30% 0.00% 20.60% 8.30% 4.30% 14.30% 0.00% 0.00% 1.40% 5.40%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No 58.70% 56.70% 64.30% 26.10% 100.00% 17.50% 45.80% 43.50% 76.20% 50.00% 20.00% 49.30% 50.00%
Yes 41.30% 43.30% 35.70% 73.90% 0.00% 82.50% 54.20% 56.50% 23.80% 50.00% 80.00% 50.70% 50.00%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0 98.40% 88.10% 82.70% 60.90% 100.00% 27.00% 45.80% 43.50% 90.50% 57.90% 100.00% 74.60% 72.70%
1 0.00% 7.50% 11.20% 34.80% 0.00% 44.40% 37.50% 56.50% 9.50% 39.50% 0.00% 25.40% 21.00%
2 1.60% 4.50% 6.10% 2.20% 0.00% 28.60% 16.70% 0.00% 0.00% 2.60% 0.00% 0.00% 6.10%
3 0.00% 0.00% 0.00% 2.2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20%
규칙 오류 (Rule error)
No 81.00% 53.70% 51.00% 39.10% 100.00% 34.90% 83.30% 91.30% 100.00% 31.60% 100.00% 21.10% 55.40%
Yes 19.00% 46.30% 49.00% 60.90% 0.00% 65.10% 16.70% 8.70% 0.00% 68.40% 0.00% 78.90% 44.6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42.90% 43.30% 36.70% 73.90% 0.00% 82.50% 54.20% 56.50% 23.80% 55.30% 80.00% 50.70% 50.70%
Yes 57.10% 56.70% 63.30% 26.10% 100.00% 17.50% 45.80% 43.50% 76.20% 44.70% 20.00% 49.30% 49.30%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해부학적 위치별 AIS coding 사후 평가 결과
head face neck thorax abd & pelvis spine Upper Ext. Lower Ext.
External, burn
& other
Total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100.00% 97.70% 97.80% 98.60% 95.60% 99.10% 100.00% 100.00% 100.00% 98.70%
Yes 0.00% 2.30% 2.20% 1.40% 4.40% 0.90% 0.00% 0.00% 0.00% 1.3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100.00% 82.80% 93.30% 97.20% 88.90% 95.40% 100.00% 100.00% 100.00% 94.60%
Yes 0.00% 17.20% 6.70% 2.80% 11.10% 4.60% 0.00% 0.00% 0.00% 5.40%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No 64.70% 35.60% 46.70% 48.60% 84.40% 48.10% 20.00% 50.70% 21.10% 50.00%
Yes 35.30% 64.40% 53.30% 51.40% 15.60% 51.90% 80.00% 49.30% 78.90% 50.00%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0 88.20% 44.80% 46.70% 73.60% 93.30% 74.10% 100.00% 89.30% 36.80% 72.70%
1 7.10% 33.30% 44.40% 26.40% 4.40% 21.30% 0.00% 9.30% 57.90% 21.00%
2 4.70% 21.80% 8.90% 0.00% 2.20% 3.70% 0.00% 1.30% 5.30% 6.10%
3 0.00% 0.00% 0.00% 0.00% 0.00% 0.90% 0.00% 0.00% 0.00% 0.20%
규칙 오류 (Rule error)
No 54.10% 37.90% 86.70% 20.80% 95.60% 52.80% 100.00% 62.70% 42.10% 55.40%
Yes 45.90% 62.10% 13.30% 79.20% 4.40% 47.20% 0.00% 37.30% 57.90% 44.6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36.50% 64.40% 53.30% 51.40% 15.60% 52.80% 80.00% 52.00% 78.90% 50.70%
Yes 63.50% 35.60% 46.70% 48.60% 84.40% 47.20% 20.00% 48.00% 21.10% 49.30%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해부학적 위치별 AIS coding 사후 평가 결과
head face neck thorax abd & pelvis spine Upper Ext. Lower Ext.
External, burn
& other
Total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100.00% 97.70% 97.80% 98.60% 95.60% 99.10% 100.00% 100.00% 100.00% 98.70%
Yes 0.00% 2.30% 2.20% 1.40% 4.40% 0.90% 0.00% 0.00% 0.00% 1.3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100.00% 82.80% 93.30% 97.20% 88.90% 95.40% 100.00% 100.00% 100.00% 94.60%
Yes 0.00% 17.20% 6.70% 2.80% 11.10% 4.60% 0.00% 0.00% 0.00% 5.40%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No 64.70% 35.60% 46.70% 48.60% 84.40% 48.10% 20.00% 50.70% 21.10% 50.00%
Yes 35.30% 64.40% 53.30% 51.40% 15.60% 51.90% 80.00% 49.30% 78.90% 50.00%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0 88.20% 44.80% 46.70% 73.60% 93.30% 74.10% 100.00% 89.30% 36.80% 72.70%
1 7.10% 33.30% 44.40% 26.40% 4.40% 21.30% 0.00% 9.30% 57.90% 21.00%
2 4.70% 21.80% 8.90% 0.00% 2.20% 3.70% 0.00% 1.30% 5.30% 6.10%
3 0.00% 0.00% 0.00% 0.00% 0.00% 0.90% 0.00% 0.00% 0.00% 0.20%
규칙 오류 (Rule error)
No 54.10% 37.90% 86.70% 20.80% 95.60% 52.80% 100.00% 62.70% 42.10% 55.40%
Yes 45.90% 62.10% 13.30% 79.20% 4.40% 47.20% 0.00% 37.30% 57.90% 44.6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36.50% 64.40% 53.30% 51.40% 15.60% 52.80% 80.00% 52.00% 78.90% 50.70%
Yes 63.50% 35.60% 46.70% 48.60% 84.40% 47.20% 20.00% 48.00% 21.10% 49.30%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코디네이터별 AIS coding 사후 평가 결과
1 2 3 4 5 6 7 8 9 10 11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96.7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Yes 0.00% 0.00% 0.00% 0.00% 0.00% 3.30% 0.00% 0.00% 0.00% 0.00% 0.0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96.40% 96.40% 96.30% 100.00% 93.30% 93.30% 100.00% 90.90% 87.50% 96.30% 100.00%
Yes 3.60% 3.60% 3.70% 0.00% 6.70% 6.70% 0.00% 9.10% 12.50% 3.70% 0.0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35.70% 35.70% 33.30% 38.50% 60.00% 56.70% 41.40% 72.70% 75.00% 14.80% 50.00%
Yes 64.30% 64.30% 66.70% 61.50% 40.00% 43.30% 58.60% 27.30% 25.00% 85.20% 50.00%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100.00% 100.00% 100.00% 94.40% 100.00% 96.60% 100.00% 92.60% 97.10% 100.00% 95.80%
Yes 0.00% 0.00% 0.00% 5.60% 0.00% 3.40% 0.00% 7.40% 2.90% 0.00% 4.2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88.50% 93.10% 92.00% 94.40% 96.20% 96.60% 96.70% 92.60% 91.20% 94.70% 95.80%
Yes 11.50% 6.90% 8.00% 5.60% 3.80% 3.40% 3.30% 7.40% 8.80% 5.30% 4.2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57.70% 34.50% 60.00% 55.60% 53.80% 48.30% 60.00% 63.00% 70.60% 42.10% 58.30%
Yes 42.30% 65.50% 40.00% 44.40% 46.20% 51.70% 40.00% 37.00% 29.40% 57.90% 41.70%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코디네이터 경력에 따른 AIS 중증도 평가 능력 및 일치도(kappa)
1년 미만 1년 이상 Total P-value (정확도검정)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99.40% 98.90% 98.70%
0.994
Yes 0.60% 1.10% 1.3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96.50% 93.80% 94.60%
0.498
Yes 3.50% 6.20% 5.40%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No 61.60% 45.40% 50.00%
0.016
Yes 38.40% 54.60% 50.00%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0 82.60% 68.60% 72.70%
0.032
1 11.00% 25.20% 21.00%
2 6.40% 5.90% 6.10%
3 0.00% 0.30% 0.20%
규칙 오류 (Rule error)
No 58.10% 52.70% 55.40%
0.569
Yes 41.90% 47.30% 44.6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38.40% 55.70% 50.70%
0.016
Yes 61.60% 44.30% 49.30%
정확한 AIS coding 일치도 (kappa)
Kappa 0.6905 0.4426 0.5159
-
P-value <0.001 <0.001 <0.001
주요 결과
•  평가에 있어 코디네이터 경력 이외의 개인별 차이가 존재
•  손상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평가 오류 크기 변동 존재
•  평가자간 일치도는 moderate 수준(kappa=0.5199)
•  중증도 평가에 관련된 영향인자를 고려한 교육 체계 개발 필요
•  교육 이수에 대한 양적 기준 제시 및 인증제도 필요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Dt parameters
Dt parametersDt parameters
Dt parameterssangwa85
 
20121129 lte basic procedures (2)
20121129 lte basic procedures (2)20121129 lte basic procedures (2)
20121129 lte basic procedures (2)Debasish Sahoo
 
Signal-Oriented ECUs in a Centraliz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calabil...
Signal-Oriented ECUs in a Centraliz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calabil...Signal-Oriented ECUs in a Centraliz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calabil...
Signal-Oriented ECUs in a Centraliz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calabil...
RealTime-at-Work (RTaW)
 
Symmetrical components
Symmetrical componentsSymmetrical components
Symmetrical components
Sirat Mahmood
 
Undergroun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
Undergroun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Undergroun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
Undergroun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
City of College Station
 
How to analyse sdcch drop due to
How to analyse sdcch drop due toHow to analyse sdcch drop due to
How to analyse sdcch drop due toIshanu Chakrabarty
 
Nokia dictionary
Nokia dictionaryNokia dictionary
Nokia dictionaryJetal Patel
 
Irat handover basics
Irat handover basicsIrat handover basics
Irat handover basics
ZIZI Yahia
 
SPS to RAS Special Protection Scheme Remedial Action Scheme
SPS to RAS Special Protection Scheme  Remedial Action SchemeSPS to RAS Special Protection Scheme  Remedial Action Scheme
SPS to RAS Special Protection Scheme Remedial Action Scheme
Power System Operation
 
GSM CALL FLOW
GSM CALL FLOWGSM CALL FLOW
GSM CALL FLOW
SugamTripathi1
 
S.steele functional safety ppt
S.steele functional safety pptS.steele functional safety ppt
S.steele functional safety ppt
Simon Steele
 
For spreading factor & channels
For spreading factor & channelsFor spreading factor & channels
For spreading factor & channelsShivendra Verma
 
Carrier aggregation LTE
Carrier aggregation LTECarrier aggregation LTE
Carrier aggregation LTE
nayeem043
 
TES-P-119-19-R1.pdf
TES-P-119-19-R1.pdfTES-P-119-19-R1.pdf
TES-P-119-19-R1.pdf
Hassan Talha
 
Ericsson LTE Commands.pdf
Ericsson LTE Commands.pdfEricsson LTE Commands.pdf
Ericsson LTE Commands.pdf
MbBot
 
Blackout Avoidance & Undervoltage Load Shedding
Blackout Avoidance & Undervoltage Load SheddingBlackout Avoidance & Undervoltage Load Shedding
Blackout Avoidance & Undervoltage Load Shedding
michaeljmack
 
wcdma-drive-test-analysis-ppt-libre
wcdma-drive-test-analysis-ppt-librewcdma-drive-test-analysis-ppt-libre
wcdma-drive-test-analysis-ppt-libre
Narcisse FOIDIENG
 

What's hot (18)

Dt parameters
Dt parametersDt parameters
Dt parameters
 
20121129 lte basic procedures (2)
20121129 lte basic procedures (2)20121129 lte basic procedures (2)
20121129 lte basic procedures (2)
 
Signal-Oriented ECUs in a Centraliz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calabil...
Signal-Oriented ECUs in a Centraliz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calabil...Signal-Oriented ECUs in a Centraliz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calabil...
Signal-Oriented ECUs in a Centralized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calabil...
 
Symmetrical components
Symmetrical componentsSymmetrical components
Symmetrical components
 
Undergroun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
Undergroun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Undergroun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
Underground Electric Distribution System
 
How to analyse sdcch drop due to
How to analyse sdcch drop due toHow to analyse sdcch drop due to
How to analyse sdcch drop due to
 
Nokia dictionary
Nokia dictionaryNokia dictionary
Nokia dictionary
 
Irat handover basics
Irat handover basicsIrat handover basics
Irat handover basics
 
SPS to RAS Special Protection Scheme Remedial Action Scheme
SPS to RAS Special Protection Scheme  Remedial Action SchemeSPS to RAS Special Protection Scheme  Remedial Action Scheme
SPS to RAS Special Protection Scheme Remedial Action Scheme
 
GSM CALL FLOW
GSM CALL FLOWGSM CALL FLOW
GSM CALL FLOW
 
S.steele functional safety ppt
S.steele functional safety pptS.steele functional safety ppt
S.steele functional safety ppt
 
For spreading factor & channels
For spreading factor & channelsFor spreading factor & channels
For spreading factor & channels
 
Carrier aggregation LTE
Carrier aggregation LTECarrier aggregation LTE
Carrier aggregation LTE
 
TES-P-119-19-R1.pdf
TES-P-119-19-R1.pdfTES-P-119-19-R1.pdf
TES-P-119-19-R1.pdf
 
Ericsson LTE Commands.pdf
Ericsson LTE Commands.pdfEricsson LTE Commands.pdf
Ericsson LTE Commands.pdf
 
Blackout Avoidance & Undervoltage Load Shedding
Blackout Avoidance & Undervoltage Load SheddingBlackout Avoidance & Undervoltage Load Shedding
Blackout Avoidance & Undervoltage Load Shedding
 
wcdma-drive-test-analysis-ppt-libre
wcdma-drive-test-analysis-ppt-librewcdma-drive-test-analysis-ppt-libre
wcdma-drive-test-analysis-ppt-libre
 
僵直性脊椎炎 2013.03.31
僵直性脊椎炎 2013.03.31僵直性脊椎炎 2013.03.31
僵直性脊椎炎 2013.03.31
 

More from Sung Wook Song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Sung Wook Song
 
Wound care
Wound care Wound care
Wound care
Sung Wook Song
 
CBRNE 격리이송장비요건
CBRNE 격리이송장비요건 CBRNE 격리이송장비요건
CBRNE 격리이송장비요건
Sung Wook Song
 
Emergency Radiology: Shoulder & Upper Extremities
Emergency Radiology: Shoulder & Upper ExtremitiesEmergency Radiology: Shoulder & Upper Extremities
Emergency Radiology: Shoulder & Upper Extremities
Sung Wook Song
 
CPR feedback device
CPR feedback deviceCPR feedback device
CPR feedback device
Sung Wook Song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Sung Wook Song
 
Triage tool i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tool i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tool i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tool in Emergency Department
Sung Wook Song
 
자료관리분석업무 노하우
자료관리분석업무 노하우자료관리분석업무 노하우
자료관리분석업무 노하우
Sung Wook Song
 

More from Sung Wook Song (8)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Wound care
Wound care Wound care
Wound care
 
CBRNE 격리이송장비요건
CBRNE 격리이송장비요건 CBRNE 격리이송장비요건
CBRNE 격리이송장비요건
 
Emergency Radiology: Shoulder & Upper Extremities
Emergency Radiology: Shoulder & Upper ExtremitiesEmergency Radiology: Shoulder & Upper Extremities
Emergency Radiology: Shoulder & Upper Extremities
 
CPR feedback device
CPR feedback deviceCPR feedback device
CPR feedback device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Triage tool i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tool i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tool i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tool in Emergency Department
 
자료관리분석업무 노하우
자료관리분석업무 노하우자료관리분석업무 노하우
자료관리분석업무 노하우
 

손상감시체계와 손상분류척도

  • 1. 손상감시체계와 손상분류척도 Injury Surveillance & Scoring System 2015년 6월 24일(수) 응급의학과 송성욱
  • 2. •  손상의 심각성 –  연간 사망 약 30,000명 (전체 사망의 약 12.5%) –  45세 미만 인구집단 사망 원인 1위 -  보건복지부. 외상진료체계 분야별 구축방안 연구. 2011
  • 3. Health USDOSH. Model Trauma System Planning and Evaluation. 2006. Phase of a Pre-Planned Trauma Care Continuum
  • 4. 자료를 근거로 문제점을 확인 (Assessment) 중재안 개발/적용 (Policy Develop.) 결과를 평가 (Assurance)
  • 5.
  • 6.
  • 7. 손상 감시체계의 필요성 •  얼마나 많은 손상이 일어나는가 ? •  언제 일어나는가 ? •  누구한테 일어나는가 ? •  문제 크기의 정의 •  관련 원인과 위험요인의 확인 •  개입의 설계와 실행 •  개입의 평가
  • 8. Regular systematic collection, assembly, analysis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on the health of the community 손상감시체계 (Injury Surveillance) 손상 예방 • 중재 목표 설정 • 위험요인 규명 • 중재프로그램 적용 및 평가 병원 전 및 병원단계 체계 • 병원 전 단계 이송 적절성 • 외상체계 처치 적절성 재활 및 사회복귀 •  장애 평가 •  삶의 질 평가 •  질병부담 평가
  • 9. Road fatalities and preventive health action in Australia 1968–2012
  • 10. 손상감시체계의 유형 수동(passive) 감시체계 •  별도의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자료수집체계로부터 이차적으 로 손상정보를 얻는 방법 •  통계청사망자료, 자동차/건강/ 산재보험 심사청구자료 •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광 범위한 지역/인구기반 자료를 획득할 수 있음. •  보고의 완전성, 대표성 문제 능동(active) 감시체계 •  손상사례를 직접 조사하여 정 보를 얻는 방법 •  국민건강영양조사, 응급실기 반 손상감시체계 •  예방이나 치료와 관련된 역학 정보를 풍부하게 획득 가능 •  많은 인원, 비용, 시간 필요
  • 11. 손상(외상) 등록 체계 •  등록자료(Registry data) –  A file of data concerning all cases of a particular disease or other health-relevant condition in a defined population such that the cases can be related to a population base •  등록사업(Registry project) –  장기적인 관점에서 발생양상의 관찰과 환자들에 대한 추적조사가 필요한 질병들은 보건 당국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중재활동 (예: 암등록사업) •  손상(외상)등록체계: 손상 연구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기본 자료 구축 –  병원 기반 등록 체계, 구급체계 기반 등록 체계 –  지역사회기반 등록 체계 –  질 향상을 위한 3요소: 적절한 케이스 수, 등록의 충실도, 데이터의 정확도 - S.Ruchholtz et al, 2011, Eur J Trauma Emerg Surg.
  • 12.
  • 13.
  • 14. 국내 손상 감시체계 •  국가손상통합감시사업(질병관리본부)
  • 16. 퇴원손상 심층조사 모집단 100병상 이상 일반병원 입원후 퇴원한 모든 환자 병상 규모별 표본병원 표본 병원 내에서 퇴원한 환자 중 표본 환자 추출
  • 17. 응급실 기반 손상감시체계 응급실 기반의 장점 •  minor ~ severe •  24/7 •  1st gateway •  comprehensive
  • 18.
  • 19. 손상 감시체계 적용의 제한점 사망 입원 외래 의료이용 없음 두경부손상 흉부손상 복부손상 사지손상 단일손상 다발성손상 경증손상 중증손상 실제로는 매우 다양한 유형의 의학적 문제들임 •  표준/가이드라인이 거의 없음 •  인구집단 기반 자료가 부족 •  데이터체계가 유연하지 않음 •  데이터체계 통합이 어려움 •  중요한 자료요소 수집 어려움
  • 20. 표준화된 자료 수집 체계 및 보고서식 Uniform reporting in major trauma •  Utstein style templete for major trauma DB – object-oriented model for trauma data structure Dick WF, Baskett PJ. Recommendations for uniform reporting of data following major trauma--the U tstein style. A report of a working party of the International Trauma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S ociety (ITACCS). Resuscitation. 1999;42(2):81–100. •  Factors relating to the event of trauma •  System factors •  Patient factors •  Treatment and outcome type of injury severity of the injury: AIS mechanism of the injury location of the injury
  • 21. Health USDOSH. Model Trauma System Planning and Evaluation. 2006. Phase of a Pre-Planned Trauma Care Continuum
  • 22. 손상 분류 척도 Injury Scoring System •  GCS •  TS •  RTS Physiologic •  AIS •  ISS •  ICISS •  EMR-ISS Anatomical •  TRISS •  ASCOT Combined •  중증도 보정의 필요 •  환자별 비교 : 다발성 손상 •  연도별, 기전별 환자 특성 및 결과 비교 •  여러 지역 또는 기관의 치료 효과 비교 병원전단계 : Field Triage scheme for major trauma 손상후 재활단계 : DALY, QALY
  • 23. Prehospital Field Triage Tool •  미국 질병관리본부: 외상환자의 현장 중증도 분류 1단계 : 생리학적 기준 2단계 : 해부학적 기준 3단계 : 손상 기전 4단계 : 특수 고려 사항 Guidelines for Field Triage of Injured Patients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Expert Panel on Field Triage, 2011
  • 24.
  • 25.
  • 27.
  • 28. TS(Trauma Score) 5 variables range: 16(best) to 1 (worst)
  • 29. RTS(Revised Trauma Score) TS 에서 Respiratory effort, carpillary refill 을 제외 RTS 는 survival 에 대하여 logistic regression 을 하여 만들어진 값 : 0(worst) ~ 7.84(best) cf. T(triage)-RTS: 병원전 triage 를 위해 각 항목의 값을 더한 값: 0(worst) ~ 12(best)
  • 30. ISS(Injury Severity Score) AIS 기반의 외상분류척도 각 부위별로 가장 높은 AIS 한개만 range: 0 (best) ~ 75 (worst)
  • 31. NISS(New Injury Severity Score) AIS Small subdural haematoma 4 Parietal lobe swelling 4 Major liver laceration 4 Upper tibial fracture (displaced) 3 ISS = 42 + 42 + 32 = 41 NISS = 42 + 42 + 42 = 48 •  ISS: 동일부위 다발손상 저평가에 대한 비판 •  NISS: AIS of the three most severe injury (신체부위 상관없이)
  • 32. ICISS (ICD-9-based Injury Severity Score) •  Anatomical Injury scoring system •  AIS 대신 ICD-9 code를 이용 – 300,000 trauma cases (NCHDR) – 2,034 trauma related ICD-9 (code 800-959.9) – survival probabilities: 0 (0%) ~ 1 (100%) ICISS = (SRR of 1st injury) x (SRR of 2nd injury) x … x (SRR of last injury) SRR: survival rate ratio
  • 33. TRISS (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ISS RTS 생존(survival)에 대해 4 variable 로 logistic regression ! 생존확률 TRISS : 0 (worst 0%) ~ 1 (best 100%)
  • 34. TRISS (TRauma and Injury Severity Score) ISS RTS
  • 35. ASCOT (A Severity Characterisation Of Trauma) •  TRISS 와 산출방법이 기본적으로 다르지 않음. •  Age 를 10살 구간으로 범주화 •  ISS 값을 AP(Anatomical Profile) 로 변경하여 이용 •  A = AIS >= 3 : head, brain, spinal cord •  B = AIS >=3 : thorax, anterior neck •  C = AIS >=3 : rest of the body •  D = all minor and moderate injury (AIS < 3)
  • 36. 손상 분류 도구의 특성 •  생리학적 기준: RTS, GCS 등 –  동일 환자에서도 평가 시점에 따라 변화함 –  사망을 예측할수 있으나 장애, 의료 이용 등 예측 어려움 •  진단명: ICISS, EMR-ISS 등 –  인구집단의 진단명별 생존확률, 초과사망률 정보가 사전 에 산출되어야함. –  사망에 대한 예측은 효과적이나 장애 평가는 어려움 •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 ISS –  국가나 지역간의 차이가 없이 적용 가능 –  객관적이고 영구적인 지표로 활용 가능
  • 37. 국내외 손상 척도 분류 도구의 활용 현황 사용한 손상 척도 분류 도구 구급기반 다중중증손상 데이터베이스 RTS, AIS, ISS 한국형 외상등록체계 (KTDB) RTS, AIS, ISS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EMR-ISS, RTS, ICISS National Trauma Data Bank (NTDB, 미국) AIS, ISS National Trauma Registry Comprehensive Data Set (NTR, 캐나다) AIS, ISS National Data Standards for injury surveillance(NDS-IS, 호주) AIS, ISS
  • 38.
  • 40. Abbreviated Injury Scale •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AAAM. Ilinois, USA) •  1971년 교통사고조사원을 위해 개발됨 •  1990년 의료 조사원과 연구원을 위해 확장됨 1.  Anatomically based 2.  Consensus derived 3.  Global severity scoring system
  • 41. AIS History •  1971- 최초의 AIS(미국의학회지) •  1976- 손상용어의 명확한 정의 •  1980- Brain 파트 개정 •  1985- 의료 관리자 및 연구자를 위해 확장 •  1990- 15세 미만 도입 •  1990- update-98, 코딩규칙 확장, 명확한 외부손상 코딩 장기 손상 scale 을 포함 •  2004- 정형외과 코드 확장
  • 42. Origins of Today’s AIS •  최초의 AIS는 1971년에 미국의학회지에 실림 “Rating the Severity of Tissue Damage – The Abbreviated Injury Scale” •  1975~76년에 최초의 손상 코딩 사전이 개발되어 출 판됨. 이때 약 500개의 손상에 대한 중증도를 1~6까 지 구분하였음 •  1970년대 중반에 AIS가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 자 동차 사고 조사의 표준으로 인정됨. •  원래 목적은 자동차 사고에 의한 손상의 중증도와 유 형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음
  • 43. Origins of Today’s AIS •  AIS 담당 기관 –  Committee on Injury Scal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AIS에 포괄된 손상이 3배 정도 증가하였음 •  1985년에 각 손상에 대한 숫자 코드를 적용함 •  1990, 1998년에 각각 대규모 수정을 거침 •  현재 AIS 2005(update 2008)이 최신임 –  상지와 하지, 골반의 손상 분류를 재정비 –  6.1 (2+2) 2000 codes (and them some)
  • 44. AIS의 철학적 기반 •  AIS는 중증도에 따라 손상의 순위를 매기는 간단 한 방법이어야 함 •  손상을 표현하는 용어가 표준화되어야 함 •  AIS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손상에서 사용할 수 있 어야 함 •  AIS는 대규모 자료 수집이나 소규모 자료 수집에 모두 호환이 되어야 함. •  손상에 대한 기술은 생리학적인 기준이 아닌 해부 학적 기준에 따라 구성해야 함
  • 45. AIS의 철학적 기반 •  개별 손상에 대한 중증도 점수는 1개만 있어야 하 고 시간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값이어야 함 •  장기 결과가 아닌 손상 자체만을 고려함 •  사망률 또는 치명률 예측 이상이어야 함 •  건강한 성인에서 손상의 중증도를 반영함 •  특정 손상의 중증도는 전신에 대한 중요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기술
  • 46. Over time things have… …remained constant: •  Pre dot injury descriptor •  Post dot severity descriptor •  Severity range 0-6 •  Expert assessment of severity ..or changed: •  Definition of severity –narrowed to threat to life •  Expanded to non motor vehicle injuries (e.g., burns) •  Expanded to pediatric injuries •  Expanded to include LOC for brain injury –only exception to anatomic basis
  • 48. AIS coding Format “6자리 숫자”+구두점(.)+”5자리숫자” •  구두점 앞 6자리 숫자(pre-dot code) –  1 body region –  1 Type of Anatomic Structure –  2 Specific Anatomic Structure –  2 Level of Injury •  구두점 뒤 5자리 숫자(post-dot code) –  1 Severity –  2 Localizer1 –  2 Localizer2
  • 49.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AIS coding Dictionary form •  AIS 코드폼 : AIS는 코더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폼으로 구성됨 – Boxed and bold text : AIS 코딩 규칙 – [Brackets] : 포함기준 또는 예외기준 – (Parentheses) : 약어 또는 비임상용어 – ; : 손상을 구분함. “또는”으로 이해하면됨 – Bold type : 해부학적 구조를 정의함 – Italics : 고유명사화된 해부학적 구조나 손상 또는 OIS 단계
  • 60. AIS coding dictionary 실제 (Abdomen part 중 일부)
  • 61.
  • 62. AIS coding rules •  일반적으로 지켜야 할 사항 –  보수적으로 적용하라 : 주어진 자료로 중증도를 평가하는 데 의문이 있다면 줄 수 있는 최저점 중증도 점수로 평가 –  AIS 6는 특정 손상에 대해서만 적용하고, 환자가 죽었다 고 해서 6을 적용하는 것은 아니다. –  손상의 증거 : 반드시 진단 검사나 영상검사, 수술, 부검 등 에 의해 증명된 손상에 대해서만 AIS를 적용해야 한다. ‘rule out’, ‘suspicious for’, ‘probable’, ‘possible’ 등의 진단명은 무시해라. 그리고 치료 술기만 있는 경우에도 AIS를 지레짐작하여 적용하지 않는다.
  • 63.
  • 64.
  • 65.
  • 66. AIS coding rules •  출혈은 손상 중증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20% 의 출혈은 손상의 중증도를 구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동일한 신체부위에서 한 개 이상의 손상이 발생하 여 20%이상의 출혈이 있다면, 가장 심각하게 손 상된 장기에만 출혈을 적용한 점수를 준다. 만약 모든 손상이 동일한 중증도라면 그 중 하나에 출 혈을 적용한다.
  • 67.
  • 68. AIS coding rules •  “Not further specified”(NFS)는 세부 정보가 부 족할 때 적용한다. AIS 2005에서 사지 손상 중 개방 성 손상이 아닌 경우 NFS를 적용한다. –  Injury unspecified : 특정 장기나 구조물에 손상이 있지 만 정확한 유형을 모르는 경우 •  “kidney injury”는 contusion일수도 있고, laceration일 수도 있 는데 추가 정보가 없는 것임. 이 경우 “kidney injury NFS (541699.2)”로 코딩해야함 –  Severity unspecified : 특정 손상이 있는데 중증도를 알 수 없거나 불명확한 경우. •  “kidney laceration”이라고 되어 있으나 다른 정보가 없는 경우 에 “kidney laceration NFS(541620.2)”로 코딩해야함.
  • 69.
  • 70.
  • 71.
  • 72. Localizers •  모든 코더나 데이터베이스가 이렇게 자세할 필요 는 없음 . 필요한 경우에 적용하면 됨 •  구성요소 2가지: 각각 2자리 숫자임. Post-dot AIS severity 뒤에 추가함 – AIS severity 자리 + L1(2자리) + L2(2자리) •  L1, L2가 해당 없는 경우 0000 – Localizer 1(L1): side and aspect – Localizer 2(L2): spine, finger, toe…
  • 74. 양측성 손상(bilaterality) •  AIS 2005에서 부터는 이전에 제한적으로 사용하 던 양측성 손상에 대한 코드를 대폭 확대하여 중 증도를 평가함. •  대부분의 손상에서 양측성일 경우 중증도가 한단 계 상승하게 됨
  • 75. Organ Injury Scales (OIS) •  OIS와 AIS의 호환을 위해 용어 통일 작업을 함. OIS는 [이탤릭]으로 표시함(88쪽 등) •  완벽히 일치하지 않음 – OIS는 개별 장기의 손상을 해부학적으로 1~6으로 구 분하여 사망에 대한 위험만 구분함. AIS는 사망 뿐 아 니라 다른 측면도 고려함. 즉 같은 1~6이지만 서로 다 른 의미임 – OIS는 같은 유형의 손상이라도 개수가 많으면 중증도 가 증가함(spleen laceration이 1개면 grade 2, 한 개 이상이면 grade 3임). AIS는 이를 구분하지 않음.
  • 76. Functional Capacity Index •  predicted Functional Capacity Index based on AIS descriptors (pFCI-AIS) – 각 진단명 코드별로 전문가 합의에 기반함 – 5(perfect state) to 1(the worst possible state) – 모든 AIS6은 FCI1 – AIS9는 해당 사항 없음 – www.unav.es/ecip(ECIP 2008a, ECIP 2008b).
  • 77. Multiple Injuries •  AIS 자체는 다발성 손상을 평가하지 않음 – MAIS : 가장 높은 AIS 이용함 – ISS : 각기 다른 3곳의 신체 부위별 가장 높은 AIS를 제곱후 합함. – NISS : 신체부위에 상관없이 높은 순으로 AIS 3개를 제곱하여 더함
  • 78. Multiple Injuries •  ISS의 계산 – ISS의 body region :6개임(AIS와 다름) 53쪽, 163쪽 참고 1 Head 2 Face 3 Neck 4 Thorax 5 Abdomen & pelvic contents 6 Upper extremities 7 Lower extremities 8 External, burns & other trauma 9 Spine
  • 79. Multiple Injuries •  ISS : 1~75 – 75: 3개의 AIS injury 또는 1개의 AIS 6 •  AIS 6 이 하나라도 있으면 자동으로 75 •  AIS 9는 ISS 계산에 사용하지 않는다
  • 81. 기존 연구 사례 2014’ 병원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 82. 코디네이터 대상 중증도 및 장애평가 교육 및 평가 –  AIS 해부학적 부위(7) 별 교육 자료(강의+실습) 개발 –  AIS 중증도 코딩 교육을 받은 시범조사 병원 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개발된 표준화된 손상 12증례에 대한 자료(의무기록, 영상소견)을 보 여주고 60분동안 이에 대한 AIS 코딩을 수행하도록 하여 평가함
  • 83. 사후평가를 수행한 손상 12 증례사례 AIS code 손상 진단명 해부학적 부위 1 650634.3 vertebral body, major compression (>20% loss of anterior height) Spine Lower extremity 853271.3 complex; comminuted; segmental; Winquist IV 856151.2 pelvic ring fracture, posterior arch intact; isolated fracture not destroying the integrity of the pelvic ring 2 140210.5 Brain stem [hypothalamus, medulla, midbrain, pons], injury involving hemorrhage Head 140640.4 Cerebum, intracerebral, small; ≤30cc or ≤15cc if ≤age 10; 1-4cm diameter or ≤1cm if ≤age 10; 140652.4 Cerebrum, subdural, small; moderate; ≤50cc or ≤25cc if ≤age 10; 0.6-1cm thick 140694.2 Cerebrum, subarachnoid hemorrhage, not associated with coma >6 hours 3 140650.3 Cerebrum, subdural NFS Head Face Spine Lower extremity 251000.1 Nose, fracture, closed or NFS 640218.4 C-spine, incomplete cord syndrome (preservation of some sensation or motor function; includes anterior cord, central cord, lateral cord (Brown-Sequard) syndromes), with both fracture and dislocation 650620.2 Fracture with or without dislocation but no cord involvement , transverse process 856151.2 Pelvic ring fracture, posterior arch intact; isolated fracture not destroying the integrity of the pelvic ring 4 640618.4 L-spine, incomplete cord syndrome (preservation of some sensation or motor function; includes anterior cord, central cord, lateral cord (Brown-Sequard) syndromes), with both fracture and dislocation Spine 650430.2 T-spine, vertebral body NFS [“burst fracture”] 5 544610.1 Testes, contusion; hematoma [OIS I] Abdomen & Pelvis 6 240408.1 Canaliculus (lacrimal/tear duct) laceration Face 251900.3 Panfacial fracture 7 340208.3 Larynx, including thyroid and cricoid cartilage, perforation; full thickness; “fracture” Neck 8 341608.3 Trachea injury in Neck, perforation; full thickness; “fracture” Neck 9 542222.2 Omentum, laceration, minor; superficial Abdomen & Pelvis 10 80002.3 Electrical injury, with muscle necrosis Lower extremity External, burn 912002.1 1st degree; superficial if >1yo , any 912018.3 2nd or 3rd degree; partial or full thickness, 20-29% 11 751261.2 Humerus shaft fracture , wedge; “butterfly” segment Upper extremity 12 441408.3 Lung, contusion, unilateral, major; >1 lobe Thorax442205.3 Hemopneumothorax NFS 450203.3 Rib Cage, ≥3 ribs [OIS II]
  • 84. 실제 사후평가 증례 (예 증례 2)
  • 85.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  분석방법: 작성된 AIS code를 다음과 같이 분류 •  기술분석: 각 사례별, 해부학적 부위별, 평가대상별 오류 빈도/비율 산출 •  손상코디네이터에 의한 AIS 중증도 코딩의 일치도 분류 정의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AIS 코드 pre dot code 의 첫번째 숫자가 정답과 다를 경우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AIS 코드 pre dot code 의 두번째 숫자가 정답과 다를 경우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AIS 코드 pre dot code 의 세번째 이하의 숫자가 정답과 다를 경우 규칙 오류 (Rule Error) 각 사례별로 작성되어야 할 AIS 중증도 손상 코드 개수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 중증도 오류 (Severity Error) AIS 코드 post dot code 에 해당하는 중증도 숫자가 정답과 다를 경우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중증도 오류가 있을 경우 실제 기입한 중증도와 정답과의 차이
  • 86.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  참가대상 특성 •  출제된 사례 특성 성별 남성 2 9.1 % 여성 20 90.9 % 연령 (세) 26.6 ± 3.3 (최소 21 - 최대 34) 경력 (개월) 22.9 ± 18.8 (최소 1 – 최대 60) Anatomical site No. % head 5 18.5 face 3 11.1 neck 2 7.4 thorax 3 11.1 abd & pelvis 2 7.4 spine 5 18.5 Upper Ext. 1 3.7 Lower Ext. 4 14.8 External, burn & other 2 7.4 AIS severity No. % 1 4 14.8 2 7 25.9 3 11 40.7 4 4 14.8 5 1 3.7
  • 87.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증례별 AIS coding 사후 평가 결과 1 2 3 4 5 6 7 8 9 10 11 12 Total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96.80% 98.50% 99.00% 100.00% 100.00% 100.00% 91.70% 95.70% 100.00% 100.00% 100.00% 100.00% 98.70% Yes 3.20% 1.50% 1.00% 0.00% 0.00% 0.00% 8.30% 4.30% 0.00% 0.00% 0.00% 0.00% 1.3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92.10% 98.50% 98.00% 95.70% 100.00% 79.40% 91.70% 95.70% 85.70% 100.00% 100.00% 98.60% 94.60% Yes 7.90% 1.50% 2.00% 4.30% 0.00% 20.60% 8.30% 4.30% 14.30% 0.00% 0.00% 1.40% 5.40%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No 58.70% 56.70% 64.30% 26.10% 100.00% 17.50% 45.80% 43.50% 76.20% 50.00% 20.00% 49.30% 50.00% Yes 41.30% 43.30% 35.70% 73.90% 0.00% 82.50% 54.20% 56.50% 23.80% 50.00% 80.00% 50.70% 50.00%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0 98.40% 88.10% 82.70% 60.90% 100.00% 27.00% 45.80% 43.50% 90.50% 57.90% 100.00% 74.60% 72.70% 1 0.00% 7.50% 11.20% 34.80% 0.00% 44.40% 37.50% 56.50% 9.50% 39.50% 0.00% 25.40% 21.00% 2 1.60% 4.50% 6.10% 2.20% 0.00% 28.60% 16.70% 0.00% 0.00% 2.60% 0.00% 0.00% 6.10% 3 0.00% 0.00% 0.00% 2.2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20% 규칙 오류 (Rule error) No 81.00% 53.70% 51.00% 39.10% 100.00% 34.90% 83.30% 91.30% 100.00% 31.60% 100.00% 21.10% 55.40% Yes 19.00% 46.30% 49.00% 60.90% 0.00% 65.10% 16.70% 8.70% 0.00% 68.40% 0.00% 78.90% 44.6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42.90% 43.30% 36.70% 73.90% 0.00% 82.50% 54.20% 56.50% 23.80% 55.30% 80.00% 50.70% 50.70% Yes 57.10% 56.70% 63.30% 26.10% 100.00% 17.50% 45.80% 43.50% 76.20% 44.70% 20.00% 49.30% 49.30%
  • 88.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해부학적 위치별 AIS coding 사후 평가 결과 head face neck thorax abd & pelvis spine Upper Ext. Lower Ext. External, burn & other Total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100.00% 97.70% 97.80% 98.60% 95.60% 99.10% 100.00% 100.00% 100.00% 98.70% Yes 0.00% 2.30% 2.20% 1.40% 4.40% 0.90% 0.00% 0.00% 0.00% 1.3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100.00% 82.80% 93.30% 97.20% 88.90% 95.40% 100.00% 100.00% 100.00% 94.60% Yes 0.00% 17.20% 6.70% 2.80% 11.10% 4.60% 0.00% 0.00% 0.00% 5.40%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No 64.70% 35.60% 46.70% 48.60% 84.40% 48.10% 20.00% 50.70% 21.10% 50.00% Yes 35.30% 64.40% 53.30% 51.40% 15.60% 51.90% 80.00% 49.30% 78.90% 50.00%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0 88.20% 44.80% 46.70% 73.60% 93.30% 74.10% 100.00% 89.30% 36.80% 72.70% 1 7.10% 33.30% 44.40% 26.40% 4.40% 21.30% 0.00% 9.30% 57.90% 21.00% 2 4.70% 21.80% 8.90% 0.00% 2.20% 3.70% 0.00% 1.30% 5.30% 6.10% 3 0.00% 0.00% 0.00% 0.00% 0.00% 0.90% 0.00% 0.00% 0.00% 0.20% 규칙 오류 (Rule error) No 54.10% 37.90% 86.70% 20.80% 95.60% 52.80% 100.00% 62.70% 42.10% 55.40% Yes 45.90% 62.10% 13.30% 79.20% 4.40% 47.20% 0.00% 37.30% 57.90% 44.6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36.50% 64.40% 53.30% 51.40% 15.60% 52.80% 80.00% 52.00% 78.90% 50.70% Yes 63.50% 35.60% 46.70% 48.60% 84.40% 47.20% 20.00% 48.00% 21.10% 49.30%
  • 89.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해부학적 위치별 AIS coding 사후 평가 결과 head face neck thorax abd & pelvis spine Upper Ext. Lower Ext. External, burn & other Total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100.00% 97.70% 97.80% 98.60% 95.60% 99.10% 100.00% 100.00% 100.00% 98.70% Yes 0.00% 2.30% 2.20% 1.40% 4.40% 0.90% 0.00% 0.00% 0.00% 1.3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100.00% 82.80% 93.30% 97.20% 88.90% 95.40% 100.00% 100.00% 100.00% 94.60% Yes 0.00% 17.20% 6.70% 2.80% 11.10% 4.60% 0.00% 0.00% 0.00% 5.40%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No 64.70% 35.60% 46.70% 48.60% 84.40% 48.10% 20.00% 50.70% 21.10% 50.00% Yes 35.30% 64.40% 53.30% 51.40% 15.60% 51.90% 80.00% 49.30% 78.90% 50.00%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0 88.20% 44.80% 46.70% 73.60% 93.30% 74.10% 100.00% 89.30% 36.80% 72.70% 1 7.10% 33.30% 44.40% 26.40% 4.40% 21.30% 0.00% 9.30% 57.90% 21.00% 2 4.70% 21.80% 8.90% 0.00% 2.20% 3.70% 0.00% 1.30% 5.30% 6.10% 3 0.00% 0.00% 0.00% 0.00% 0.00% 0.90% 0.00% 0.00% 0.00% 0.20% 규칙 오류 (Rule error) No 54.10% 37.90% 86.70% 20.80% 95.60% 52.80% 100.00% 62.70% 42.10% 55.40% Yes 45.90% 62.10% 13.30% 79.20% 4.40% 47.20% 0.00% 37.30% 57.90% 44.6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36.50% 64.40% 53.30% 51.40% 15.60% 52.80% 80.00% 52.00% 78.90% 50.70% Yes 63.50% 35.60% 46.70% 48.60% 84.40% 47.20% 20.00% 48.00% 21.10% 49.30%
  • 90.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코디네이터별 AIS coding 사후 평가 결과 1 2 3 4 5 6 7 8 9 10 11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96.7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Yes 0.00% 0.00% 0.00% 0.00% 0.00% 3.30% 0.00% 0.00% 0.00% 0.00% 0.0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96.40% 96.40% 96.30% 100.00% 93.30% 93.30% 100.00% 90.90% 87.50% 96.30% 100.00% Yes 3.60% 3.60% 3.70% 0.00% 6.70% 6.70% 0.00% 9.10% 12.50% 3.70% 0.0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35.70% 35.70% 33.30% 38.50% 60.00% 56.70% 41.40% 72.70% 75.00% 14.80% 50.00% Yes 64.30% 64.30% 66.70% 61.50% 40.00% 43.30% 58.60% 27.30% 25.00% 85.20% 50.00%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100.00% 100.00% 100.00% 94.40% 100.00% 96.60% 100.00% 92.60% 97.10% 100.00% 95.80% Yes 0.00% 0.00% 0.00% 5.60% 0.00% 3.40% 0.00% 7.40% 2.90% 0.00% 4.2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88.50% 93.10% 92.00% 94.40% 96.20% 96.60% 96.70% 92.60% 91.20% 94.70% 95.80% Yes 11.50% 6.90% 8.00% 5.60% 3.80% 3.40% 3.30% 7.40% 8.80% 5.30% 4.2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57.70% 34.50% 60.00% 55.60% 53.80% 48.30% 60.00% 63.00% 70.60% 42.10% 58.30% Yes 42.30% 65.50% 40.00% 44.40% 46.20% 51.70% 40.00% 37.00% 29.40% 57.90% 41.70%
  • 91. 코디네이터 AIS 교육 후 평가 결과 코디네이터 경력에 따른 AIS 중증도 평가 능력 및 일치도(kappa) 1년 미만 1년 이상 Total P-value (정확도검정) 치명적 오류 (Critical error) No 99.40% 98.90% 98.70% 0.994 Yes 0.60% 1.10% 1.30% 심각한 오류 (Serious error) No 96.50% 93.80% 94.60% 0.498 Yes 3.50% 6.20% 5.40% 경미한 오류 (Minor error) No 61.60% 45.40% 50.00% 0.016 Yes 38.40% 54.60% 50.00% 중증도 차이 (Severity difference) 0 82.60% 68.60% 72.70% 0.032 1 11.00% 25.20% 21.00% 2 6.40% 5.90% 6.10% 3 0.00% 0.30% 0.20% 규칙 오류 (Rule error) No 58.10% 52.70% 55.40% 0.569 Yes 41.90% 47.30% 44.60% 완벽한 정답 ? (All correct?) No 38.40% 55.70% 50.70% 0.016 Yes 61.60% 44.30% 49.30% 정확한 AIS coding 일치도 (kappa) Kappa 0.6905 0.4426 0.5159 - P-value <0.001 <0.001 <0.001
  • 92. 주요 결과 •  평가에 있어 코디네이터 경력 이외의 개인별 차이가 존재 •  손상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평가 오류 크기 변동 존재 •  평가자간 일치도는 moderate 수준(kappa=0.5199) •  중증도 평가에 관련된 영향인자를 고려한 교육 체계 개발 필요 •  교육 이수에 대한 양적 기준 제시 및 인증제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