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아토피 피부염의 관리와 보습
유전적 소인이 있으면서 면역학적 불균형
등의 요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음식물 ,
흡입성 물질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등이 피부염의 형태로
나타나는 복합적 상태
-2-
 주로 유아와 소아에서 발생하는 만성 또는 재
발성 피부염으로 아토피는 음식물 혹은 흡입성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반응이 유전적으로 발생
하는 경우를 말한다 .
 아토피 (atopy) 는 그리스어로 atopos, 즉 이상
한 , 유별난 이란 뜻이다 .
 아토피 질환 :
◦ 아토피피부염
◦ 천식
◦ 알레르기성 비염
◦ 알레르기성 결막염
 기관지 천식 , 비염 , 결막염 , 아토피 피부염 , 두
드러기 , 음식물 알레르기 등의 알레르기 증상이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는 증상 .
 아토피 피부염 -> 천식 -> 알레르기 비염 , 결
막염
유아기 아토피 피부염의 호발부위
 주 진단기준
1. 소양증
2. 비교적 특징적인 피부염의 모양 및 부위
1) 2 세 미만의 환자 얼굴 , 몸통 , 사지 신측부 습
진
2) 2 세 이상의 환자 얼굴 , 목 , 사지 굴측부 습진
3. 아토피 질환 ( 천식 , 알레르기성 비염 , 아토피피
부염 ) 의 병력 및 가족력
1. 피부 건조증
2. 백색 비강진
3. 눈 주위의 습진성 병변
혹은 색소침착
4. 귀 주위의 습진성 병변
5. 구순염
6. 손 , 발의 비특이적 습진
7. 두피 인설
8. 모공 주위 피부의 두드러짐
9. 유두 습진
10. 땀 흘릴때 소양감
11. 백색 피부묘기증
12. 피부단자시험 양성 반응
13. 증가된 혈중 IgE 치
14. 피부감염의 증가
 아직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
 Hygiene hypothesis ( 위생가설 ): David
Strachan, 1989
어린 시절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형제나 다른
아이들로부터 세균 등에 감염되는 것이 아토피
의 발현을 막거나 감소 시킬 수 있다 .
 아토피 가족력이 환자의 70% 에서 발견됨
 부모 모두 아토피가 있으면 자녀에서 아토피피부염 발생
확률 매우 높다 ( 약 80%)
 부모 중 어머니의 영향이 더 크다
 부모 - 자식 보다 형제 / 자매간 연관성이 더 크다
 일란성 쌍생아 사이가 이란성 쌍생아 보다 연관성이 더
크다
 아토피피부염에 특이적인 단독 유전자는 아직까지 발견
되지 않았다 . 즉 , 아토피피부염은 환경적인 요소의 영향
을 받아서 여러 유전자의 발현에 의해서 다인성으로 유
전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
 아토피피부염 병변에 침윤된 림프구는 주로 활성
화된 T 세포와 관련되어 있으며 , 활성화 되었을
때 분비하는 물질 ( 사이토카인 ) 에 따라 TH1 과
TH2 T 세포로 나눈다 .
 알레르기 질환은 TH2 T 세포 우세로 발생한다 .
 혈중 IgE 와 알레르겐
 랑게르한스세포 , 단핵세포 , 호산구
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
 영아기 : 음식과 관계
( 계란 , 우유 , 콩 , 땅콩 , 생선 , 밀 )
 소아기 : 흡입 항원과 관계
( 집먼지 진드기 , 개나 고양이 털 , 곰팡이 , 바퀴벌레 ,
꽃가루 )
 피부 반응검사
 알레르겐 특이 항체 (IgE) 검사
 반응 검사가 양성이라고 해서 모두 증상을 유발하는 것은
아님
 신경펩티드 (VIP, SP) 의 불균형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아토피피부염의 악화와의 연관성
시사
 호르몬의 변화
 사춘기 , 임신
아토피 피부염
핀도수
다인자성 유전성 피부
질환
유전성 소인
아토피 소인
아토피 피부염
공동 요인 알레르기성 항원
공동 요인 :
1. 감염
2. 주변환경
3. 정신적 요인
4. 원인 미상
알레르기성 항원
아토피 소인
SM (sphingomyelin) deacylase 활성도 증가
 ceramide 감소
 피부건조
피부장벽기능의 장애가 있으면 , 환경인자 ( 자극물질 ,
알레르겐 , 미생물 등 ) 에 취약 , 외부 환경 알레르겐의
유입에 의한 TH2 ( 급성기 ) 면역상태 유도
  보습이 필요
 포도상 구균
- 아토피 피부염 피부 : 90% 에서 균이 동정됨
- 정상인의 피부 : 5% 이하
 초항원을 내어 T 세포를 매우 강력하게 활성화시켜 아
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킴 .
 포도상 구균의 균집락 정도와 아토피 피부염 증상과 밀
접한 관련이 있다 .
 아토피 환아의 피부에 포도상 구균 집락이 증가하는 이
유
- 피부장벽의 파괴 , 피부의 알칼리화 , 세균을 박멸하는
능력의 결함 , 건조한 피부 등으로 포도상 구균이 잘 부
착하고 제거되지 않는다 .
표피 지질 장애와 & 아토피 피부염
ㆍ피부 장벽으로서의 표피 지질
: 세라마이드 , 유리 지방산 , 콜레스테롤
ㆍ In 아토피 피부염 ,
: 세라마이드의 감소 ( 특히 , cer1,3 아형 ),
유리 지방산의 감소 ( 특히 linolenic acid)
 피부장벽 기능의 손상 ,
경피 수분 손실 증가 , 피부 건조 , 인설 증가
1) 일반적인 방법
• 미지근한 물에 샤워나 담금 목욕 , 제한적인 비누
사용 , 문지르는 것 금함 , 매일 1 회
• 물이 마르기 전에 (3 분이내 ) 보습제 사용
2) 피부 방어 능력을 회복시키는 목욕
• Oil 목욕
• 쌀 녹말 : 하루 2 회 15 분씩 , 가루를 물에 타서
사용할 수도
• 곡식 colloidal suspension ( 귀리나 쌀 ): 목욕 외에
바를수도 , 2 세 이하도 사용
• 쌀겨 수프 : 욕조에 풀어서
3) 항세균 효과를 얻기 위한 목욕
• 과망간산칼륨 함유하는 물 (1 일 1 회 )
• 클로르헥시딘 함유하는 물
• Triclosan 항세균제를 함유하는 비누가 일반비누보다
효과적 (1 일 1 회 )
4) 사우나
• 피부의 각질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나 , 땀으로 인해 과반수가 악화될 수 있음
 피부장벽 각질층의 지질조성 변화
→ 피부건조
항원 / 자극원의 투과 증가
 각질층에 수분을 공급하고 증발을 방지
◦ 수분 공급 : 간단한 샤워나 침수욕
◦ 증발 방지 : 적절한 보습제
보습제의 종류
 밀폐제 : 지성으로 피부에 불투과성 막 형성
◦ 오일 ( 식물성 , 동물성 , 광물성 )
 습윤제 : 친수성으로 수분 함유 능력 지님
◦ 천연보습인자 , Polyol( 글리세린 ),
◦ 고분자 물질
 첨가제 : 보습제 효과 향상
◦ 세라마이드 , 비타민 , 항균제
보습제의 선택
 병의 증상 고려 : 급성일 때 로숀이나 크림 형
태 만성일 때 연고형
태
 내 피부에 맞는 것 : 바른 후 따갑거나 가렵거
나 , 붉어지는 자극 증상 없는 것
 자극제 : 비누와 세제 , 화학약품 , 모직과 나일론 의류
 기온과 습도 : 덥고 습할때 , 차고 건조할때
 햇볕 , 스트레스
 알레르겐 : 음식물 , 식품 첨가물 ( 방부제 , 색소 , 조
미료 ), 흡입 알레르겐
 실내의 자극요인
◦ 화학적 요인 : 이산화질소 ( 가스난로나 등유 가스히
터 ), 포름알데히드 ( 단열재 )
◦ 생물학적 요인 : 집먼지진드기 , 진균 (Aspergillus,
Penicillium), 세균 감염 ( 포도상 구균 )
 자극요인 피하는 방법
1.충분한 수면 , 스트레스 피하기
2.피부 청결 ( 땀 , 분비물 , 피부 감염 )
3.순면 착용
4.일정한 온도와 습도 유지
5.실내 환기
 항히스타민제 : 가려움증을 완화 , 1 세대 , 2 세대
 항생제 : 피부 표면을 긁어서 피가 나거나 세균에 감
염되었을 때 사용
 스테로이드제
 면역 억제제 , 면역 조절제
 광선치료
◦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 발병부위가 전신에
퍼져 있을 때 사용
◦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은 피할 것 ( 피부 노화 , 암
유발 )
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경향이 있는 사람에서 환경적
요인의 자극으로 생긴다 .
 다른 아토피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
 한번의 치료로 뿌리 뽑는 병이 아니고 , 미리 예방할
수 없다 .
 피부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
 급성 악화시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스테로이드제
투여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길이다 .
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고 무작정 음식을 제한하면 성장
장애 , 영양결핍이 올 수 있다 .
피부 장벽 이상
( 세라마이드 감소 )
표피 증식
염증
- Outside -
- Inside -
치료 목표 3:
표피증식 억제
치료 목표 1:
손상장벽 복구
특정 T 세포 :
비만세포 활성
치료 목표 2:
항염증 치료
Cytokine
cascade
-28
-
1) 유전적 인자
2) 면역학
적
이상
3) 환경적 요인
4) 기타
:unknown
-29
-
일란성 쌍둥이 약 70%31
2 골수 이식 후 아토피성 피부염 발생
33 아토피 부모 아이의 아토피 확률
 1/2 : 40%
 2/2 : 70%
-30
-
Th-2> Th-131
TH1 TH2
정상인 = 면역균형상
태
TH1
TH2
급성기
만성기
TH1
TH2
-31
-
피부자극 : 비누 , 세제 , 화장품 , 의류 등2
스트레스 : 입시생4
피부감염 : 포도상구균 -> 내독소 -> 초항원33
온도습도31
건조한 환경 ( 겨
울 )
습한 환경 ( 여름 )
환절기
-32
-
3) 아토피
아토피 ( 천식 , 알레르기성 비염 , 아토피성
피부염 )
의 개인 및 가족력
2) 피부의
특징적 소견
2 세 미만 : 얼굴 , 몸통 , 팔 다리의 신전 부위
병변
2 세 이상 : 얼굴 , 목 , 팔 , 다리의 굴곡 부위 병
변
 주 진단기준
1) 소양증
-33
-
• 발한 시 소양증
• 백색 피부묘기증
• 피부단자시험 +
• 혈청면역 글로불린 E
상승
• 피부감염 증가
 부 진단기준
• 구순염
• 손발의 비특이
성
습진
• 두피인설
• 유두습진
• 모공주위 피부
의
두드러기
• 피부건조증
• 백색비강진
• 눈 주위의 습진
혹은 색소 침착
• 귀 주위의 습진
1. 유발 혹은 악화 인자 제거
2. 피부보습 및 관리
3. 국소 스테로이드제제
4. 국소 면역 조절제
5. 항히스타민제
-34
-
6. 항생제 , 항바이러스제 , 항진균제
7. 감마 - 리놀렌산
8. 자외선을 이용한 광선치료
9. 전신 면역 억제제
( 스테로이드 , 사이클로스포린 )
10. 인터페론 감마
-35
-
11. 면역 글로불린
12. 한방요법
13. 민간요법
14. 영양요법 - Vit B1 – 천식
15. 식이요법
16. 항원조절 : Avoidance
Immunotherapy
17. 목욕치료 ( 음이온 , 온천수 , 소금물 등 ),
-36
-
-37
-
11 유발 혹은 악화 인자 제거
22 피부보습 및 관리
33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
44 국소 면역 조절제
55 항히스타민제
66 항생제 , 항바이러스제 , 항진균제
77 감마 - 리놀렌산
-38
-
1. 유발 혹은 악화 인자 제거
a. 항히스타민제
(Hydroxyzine, Ceitrizin)
b. 가려움증 유발 환경이나 조건 회피
c. 손톱을 짧게 깎고 수면 시 장갑 착용
d. 심한 경우는 수면 중 팔꿈치를 고정
e. 피부감염을 없애고 충분한 보습
-39
-
 가려움증
-40
-
 의복
a. 면제품 옷
b. 헐렁한 옷
c. 새 옷은 세탁 후 사용
d. 세탁 시 세제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함
-41
-
 환경
a. 적절한 온도와 습도 .
b. 집먼지 , 진드기 , 화학물질 , 애완동물 제거
c. 카펫 , 인형 , 커튼 , 털이불 제거 ( 진드기 서식
처 )
d. 침대 보다는 온돌
-42
-
 정서
a. 부드럽고 편안한 분위기
b. 가족들의 사랑과 관심
c. 좌절 , 불안 , 분노와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는
증상 악화
d. 낙관적인 생활 태도
 아이 앞에서 피부염을 걱정 하지 말기
 긁었다고 , 감작된 음식물을 먹었다고 나무라지 말기
 반드시 낫는다는 생각 가지기
-43
-
 운동
a. 아이에 알맞은 운동 종류와 운동 강도
 땀을 흘렸을 때는 빨리 씻음
 너무 더울 때나 추울 때는 운동을 금함
 수영 금지
-44
-
2. 피부보습 및 관리
a. 피지막 -> 각질층의 수분과 유분을 충분히 유지
 진드기와 세균 , 바이러스의 침입 방지
b. 가려움을 느끼는 신경섬유 말단은 표피와
진피의 경계
-45
-
-46
-
장내 환경이
나빠지는 등
면역력이
감소 하면
피지막 얇게 됨 ->
각질층의 수분 , 유분소실
-> 건조 -> 세포와
세포 사이 간격 생김
진드기 , 세균이 간격으로
침범 -> 알레르기 반응 ->
가려움 , 염증 초래 -> 동시
에 피부가 건조하면 표피내
Keratocyte 가 다량의 신경
성장인자를 배출 ->
가려움을 느끼는 신경섬유
가 길게 자라서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아 들이기 쉬움
① 청결 ( 항균을 포함 )
 피지막은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 피부에 묻어있는 진드기 ,
세균 , 집먼지 진드기 씨를 씻어내어 진드기나 세균의 침범을
방지
② 보습
 피부에 수분을 공급 해서 가려움의 원인이 되는 건조함을
제거 → 목욕 후 3 분 내 보습이 중요
-47
-
면역력의 감소로 변화된 피부상태를 정상적인 피부와
비슷하게 만들려고 노력 하는 것
a. 간단한 사우나 후 10 분 정도의 입욕
b. 미지근한 물
c. 비누
 저자극성 중성비누
 2-3 일에 한번 정도
 염증부위는 피해서
 때밀이는 금지
d. 보조 입욕제 사용
e. 목욕 후 3 분 내 보습제
f. 지나친 목욕은 피부 건조와 AD 의 악화
( 온천 , 사우나 등 ) -48
-
-49
-
31 피부에 불투과성 막 형성 , 수분소실 방지
32 보습효과는 높으나 피부호흡 억제 , 열감 초래
33 오일 제품
34 번들거림 , 끈끈한 느낌 , 하얀 각질 , 두꺼워진 피부
 밀폐제
-50
-
31 로션제품 ( 천연보습인자 , 고분자물질 , 폴리
올 )
32 수분에 강한 친화성 물질
33 진피에서 수분을 각질층으로 끌어옴
34 흡수에 좋지만 물에 잘 씻김
35 붉거나 진물이 나는 피부에 적용
 습윤제
-51
-
 연화제
31 각질 사이를 채워주는 역할
32 피부에 얇은 오일 막 ( 투과성막 ) 형성
33 세라마이드 , 콜레스테롤 , 지방산
-52
-
- 수분함량 높음수분함량 높음
-- 접히거나 땀이 나는 부위접히거나 땀이 나는 부위
-- 여름에 적합여름에 적합
로션 크림
-- 오일함량이 높음오일함량이 높음
-- 겨울에 적합겨울에 적합
연고
a. 면역력의 감소로 변화된 상태를 정상적인 피부와
비슷하게 하려고 노력하는 것
b. 현재 : 청결 , 보습 중심
c. 미래 : 어떻게 하면 감소된 피부의
면역력을 증가 시킬까 ? 의 방향으로
-53
-
-54
-
감마 - 리놀렌산
-54-
• 필수지방산의 대사이상 정상화 → 가려움 감소
(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불균형이 정상화 )
• 손상된 신경세포 재생 → 가려움 감소
• PE 에 의해 말초혈관 확장 , 혈소판 응집 억제 → 말초순환 개선
GLA(r-linolenic acid) 를 공급
 현재 서구 생활을 하는 국가의 소아 중 6-8%
 한국 소아 : 6.2%
 어린이에 있어서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1/3
 성인에서는 아직 잘 모름
-55
-
 Milk, egg, soy, wheat, peanut, tree nuts,
fish : 90%
 A.D 인 어린이의 food challenge 에 의해서
진단된 음식의 80% 가 milk, egg, peanut
 성인 : peanut, tree nuts, fish, shell fish
-56
-
-57
-
계란 우유
대두콩
쌀 밀
 이 아토피 환자는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을까 ?
1) 병력
2) 식품일지
3) 식품 섭취 후 증상
4) 검사실 소견
-58
-
a. 증상을 일으킨 식품의 종류와 양
b. 어떤 증상
c. 식품 섭취 후 증상 발현되기까지의 시간
d. 가장 최근의 반응
e. 운동 등 증상 유발과 관계 있는 행동
-59
-
 소장에서 식물 분자가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흡수
-> 면역세포는 이물로 간주 -> 공격
=>=> 아토피성 피부염 발생아토피성 피부염 발생
-60
-
-61
-
소아 식품 알레르기 질환이 소아가 성장할수록 발생빈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 “ 소화관의 성숙” 때문
이유 )
a. 소장 : 70%
대장 : 10%
a. Leaky gut syndrome
b. 유익 유기산
인체 면역 담당
-62
-
유산균을 장내에 넣어서
→ 유산균에 의해서 장에 있는 면역세포가 활성화 되고
→ 활성화 된 면역세포가 면역 균형 지령을 보내
→ TH1 과 TH2 가 균형을 이루고
→ 아토피가 개선된다는 이론이 있음
-63
-
지금까지의 내용을 보면 아토피성 피부염은 다른 질환과 전혀 관계
없는 독립적인 질환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실제로 비염 , 천식 , 결
막염은 물론이고 시력저하 , 잠혈소변 , 위장결핵 , 류마티스성 관
절염 등과 같이 존재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예 ) 알레르기 – 자가면역성 비염
-64
-
국화과
(73건)
초롱꽃과
(9건)
괭이밥과
(7건)
감람과
(4건)
원지과
(1건)
운향과
(48건)
아마과
(9건)
멀구슬나무
과
(1건)
남가새과
(8건)
대극과
(6건)
0
50
100
150
가지목
초롱꽃목
장미목
쥐손이풀목
꿀풀과
(79건)
가지과
(11건)
현삼과
(22건)
참깨과
(2건)
지치과
(16건)
쥐꼬리망초과
(2건)
메꽃과
(3건)
능소화과
(2건)
마편초과
(2건)
두충과
(1건)돌나물과
(1건)
콩과
(76건)
조록나무과
(1건)
범의귀과
(4건)
장미과
(40건)
꿀풀과
(25건)
가지과
(5건)
현삼과
(6건)
참깨과
(1건)
지치과
(8건)
메꽃과
(2건)
쥐꼬리
망초과 (1건)
괭이밥과
(7건)
감람과
(4건)
원지과
(1건)
운향과
(48건)
아마과
(9건)
멀구슬나무
과 (1건)
남가새과
(8건)
대극과
(6건)
0
20
40
장미목
가지목
초롱꽃목
쥐손이풀목
두충과
(1건)
돌나물과
(1건)
장미과
(11건)
콩과
(31건)
초롱꽃과
(5건)
국화과
(25건)
주요목별 주요
과
초롱꽃과
(1건)
국화과
(38건)
드릅나무과
(3건)
두릅나무과
(6건)
미나리과 (29
건)
조록나무과
(1건)
장미과
(24건)콩과
(29건)
범의귀과
(4건)
벼과
(1건)
마편초과
(2건)
능소화과
(2건)
메꽃과
(1건)
쥐꼬리망초과
(1건)
지치과
(6건)
참깨과
(1건)
현삼과
(11건)
가지과
(6건)
꿀풀과
(44건)
0
30
60
가지목
장미목
초롱꽃목쥐손이풀목
미나리목
멀구슬나무
과 (1건)
대극과
(5건)
아마과
(3건)
운향과
(26건)
원지과
(1건)
감람과
(2건)
괭이밥과
(1건)
주요목별 주요
과
 천연물 유래물질에 대한 특허의 비율이 점차 증가
 개발방향 :
 천연물 유래물질을 통하여 신규물질 후보 접근
 발전도를 통해 화학구조가 나타나지 않은 천연물을 발
굴하여 단독 또는 타 성분과 조합하여 신조성물 개발
 동일한 식물“과”에 속하고 있으나 , 아직은 널리 활용되
지 않은 “속”의 식물의 성분을 개발
 아토피성 질환은 면역질환이므로 , 면역제제를 생산하는
업체의 기술과 천연식물 유래 물질을 추출한 업체의 기
술을 접목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3D 레이저 스캐닝
 3D 레이저 스캐닝 3D 레이저 스캐닝
3D 레이저 스캐닝
Taiheon Choi
 
은수
은수은수
은수nexfra
 
[MakeON] 피부순환케어
[MakeON] 피부순환케어[MakeON] 피부순환케어
[MakeON] 피부순환케어
MakeON, Amorepacific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eunkorea
 
서비스디자인 코스트코
서비스디자인 코스트코서비스디자인 코스트코
서비스디자인 코스트코LEE JOOAH
 
병원 브랜딩과 블로그
병원 브랜딩과 블로그병원 브랜딩과 블로그
병원 브랜딩과 블로그장성 류
 
10_Human Skin Rendering
10_Human Skin Rendering10_Human Skin Rendering
10_Human Skin Rendering
noerror
 
12 DEADLY HUMAN DISEASES OF ALL TIME
12 DEADLY HUMAN DISEASES OF ALL TIME12 DEADLY HUMAN DISEASES OF ALL TIME
12 DEADLY HUMAN DISEASES OF ALL TIME
BruceCarl
 
Food Allergen Management
Food Allergen ManagementFood Allergen Management
Food Allergen Management
Alois Fellinger
 
메디이벤트 제안서 병원 Ver2
메디이벤트 제안서 병원 Ver2메디이벤트 제안서 병원 Ver2
메디이벤트 제안서 병원 Ver2
thecen
 
PRP Art & science
PRP Art & sciencePRP Art & science
PRP Art & science
islam kassem
 
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장 트렌드 (2013년)
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장 트렌드 (2013년)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장 트렌드 (2013년)
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장 트렌드 (2013년)
훈주 윤
 
Skin graft and skin flap
Skin graft and skin flapSkin graft and skin flap
Skin graft and skin flap
Patinya Yutchawit
 
skin care cosmetics
skin care cosmeticsskin care cosmetics
skin care cosmeticsjoan vijetha
 
Skin care product PPT
Skin care product PPTSkin care product PPT
Skin care product PPT
Anu James
 
배달의민족 회사소개서
배달의민족 회사소개서배달의민족 회사소개서
배달의민족 회사소개서범준 신
 

Viewers also liked (19)

3D 레이저 스캐닝
 3D 레이저 스캐닝 3D 레이저 스캐닝
3D 레이저 스캐닝
 
은수
은수은수
은수
 
[MakeON] 피부순환케어
[MakeON] 피부순환케어[MakeON] 피부순환케어
[MakeON] 피부순환케어
 
origins
originsorigins
origins
 
피부트러블
피부트러블피부트러블
피부트러블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의료인의의무와환자의권리
 
서비스디자인 코스트코
서비스디자인 코스트코서비스디자인 코스트코
서비스디자인 코스트코
 
병원 브랜딩과 블로그
병원 브랜딩과 블로그병원 브랜딩과 블로그
병원 브랜딩과 블로그
 
10_Human Skin Rendering
10_Human Skin Rendering10_Human Skin Rendering
10_Human Skin Rendering
 
12 DEADLY HUMAN DISEASES OF ALL TIME
12 DEADLY HUMAN DISEASES OF ALL TIME12 DEADLY HUMAN DISEASES OF ALL TIME
12 DEADLY HUMAN DISEASES OF ALL TIME
 
Food Allergen Management
Food Allergen ManagementFood Allergen Management
Food Allergen Management
 
메디이벤트 제안서 병원 Ver2
메디이벤트 제안서 병원 Ver2메디이벤트 제안서 병원 Ver2
메디이벤트 제안서 병원 Ver2
 
PRP Art & science
PRP Art & sciencePRP Art & science
PRP Art & science
 
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장 트렌드 (2013년)
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장 트렌드 (2013년)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장 트렌드 (2013년)
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장 트렌드 (2013년)
 
Food allergy
Food allergyFood allergy
Food allergy
 
Skin graft and skin flap
Skin graft and skin flapSkin graft and skin flap
Skin graft and skin flap
 
skin care cosmetics
skin care cosmeticsskin care cosmetics
skin care cosmetics
 
Skin care product PPT
Skin care product PPTSkin care product PPT
Skin care product PPT
 
배달의민족 회사소개서
배달의민족 회사소개서배달의민족 회사소개서
배달의민족 회사소개서
 

Similar to 아토피와 보습

아토피토론회자료집 (2007)
아토피토론회자료집 (2007)아토피토론회자료집 (2007)
아토피토론회자료집 (2007)여성환경연대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의 실태와 의학적 관리방안(2008)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의 실태와 의학적 관리방안(2008)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의 실태와 의학적 관리방안(2008)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의 실태와 의학적 관리방안(2008)
여성환경연대
 
Ppt
PptPpt
it s up 크림
it s up 크림it s up 크림
it s up 크림ksaday
 

Similar to 아토피와 보습 (6)

제3강
제3강제3강
제3강
 
아토피토론회자료집 (2007)
아토피토론회자료집 (2007)아토피토론회자료집 (2007)
아토피토론회자료집 (2007)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의 실태와 의학적 관리방안(2008)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의 실태와 의학적 관리방안(2008)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의 실태와 의학적 관리방안(2008)
아토피 등 환경성 질환의 실태와 의학적 관리방안(2008)
 
Ppt
PptPpt
Ppt
 
it s up 크림
it s up 크림it s up 크림
it s up 크림
 
5.적정기술+이동근
5.적정기술+이동근5.적정기술+이동근
5.적정기술+이동근
 

More from Yong-wook Shin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Yong-wook Shin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Yong-wook Shin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8강[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8강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7강[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7강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Yong-wook Shin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Yong-wook Shin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Yong-wook Shin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Yong-wook Shin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Yong-wook Shin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Yong-wook Shin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Yong-wook Shin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Yong-wook Shin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Yong-wook Shin
 
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Yong-wook Shin
 

More from Yong-wook Shin (20)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8강[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7강[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
 

아토피와 보습

  • 2. 유전적 소인이 있으면서 면역학적 불균형 등의 요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음식물 , 흡입성 물질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등이 피부염의 형태로 나타나는 복합적 상태 -2-
  • 3.  주로 유아와 소아에서 발생하는 만성 또는 재 발성 피부염으로 아토피는 음식물 혹은 흡입성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반응이 유전적으로 발생 하는 경우를 말한다 .  아토피 (atopy) 는 그리스어로 atopos, 즉 이상 한 , 유별난 이란 뜻이다 .  아토피 질환 : ◦ 아토피피부염 ◦ 천식 ◦ 알레르기성 비염 ◦ 알레르기성 결막염
  • 4.  기관지 천식 , 비염 , 결막염 , 아토피 피부염 , 두 드러기 , 음식물 알레르기 등의 알레르기 증상이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나타나는 증상 .  아토피 피부염 -> 천식 -> 알레르기 비염 , 결 막염
  • 6.  주 진단기준 1. 소양증 2. 비교적 특징적인 피부염의 모양 및 부위 1) 2 세 미만의 환자 얼굴 , 몸통 , 사지 신측부 습 진 2) 2 세 이상의 환자 얼굴 , 목 , 사지 굴측부 습진 3. 아토피 질환 ( 천식 , 알레르기성 비염 , 아토피피 부염 ) 의 병력 및 가족력
  • 7. 1. 피부 건조증 2. 백색 비강진 3. 눈 주위의 습진성 병변 혹은 색소침착 4. 귀 주위의 습진성 병변 5. 구순염 6. 손 , 발의 비특이적 습진 7. 두피 인설 8. 모공 주위 피부의 두드러짐 9. 유두 습진 10. 땀 흘릴때 소양감 11. 백색 피부묘기증 12. 피부단자시험 양성 반응 13. 증가된 혈중 IgE 치 14. 피부감염의 증가
  • 8.  아직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  Hygiene hypothesis ( 위생가설 ): David Strachan, 1989 어린 시절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형제나 다른 아이들로부터 세균 등에 감염되는 것이 아토피 의 발현을 막거나 감소 시킬 수 있다 .
  • 9.  아토피 가족력이 환자의 70% 에서 발견됨  부모 모두 아토피가 있으면 자녀에서 아토피피부염 발생 확률 매우 높다 ( 약 80%)  부모 중 어머니의 영향이 더 크다  부모 - 자식 보다 형제 / 자매간 연관성이 더 크다  일란성 쌍생아 사이가 이란성 쌍생아 보다 연관성이 더 크다  아토피피부염에 특이적인 단독 유전자는 아직까지 발견 되지 않았다 . 즉 , 아토피피부염은 환경적인 요소의 영향 을 받아서 여러 유전자의 발현에 의해서 다인성으로 유 전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
  • 10.  아토피피부염 병변에 침윤된 림프구는 주로 활성 화된 T 세포와 관련되어 있으며 , 활성화 되었을 때 분비하는 물질 ( 사이토카인 ) 에 따라 TH1 과 TH2 T 세포로 나눈다 .  알레르기 질환은 TH2 T 세포 우세로 발생한다 .  혈중 IgE 와 알레르겐  랑게르한스세포 , 단핵세포 , 호산구
  • 11. 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  영아기 : 음식과 관계 ( 계란 , 우유 , 콩 , 땅콩 , 생선 , 밀 )  소아기 : 흡입 항원과 관계 ( 집먼지 진드기 , 개나 고양이 털 , 곰팡이 , 바퀴벌레 , 꽃가루 )  피부 반응검사  알레르겐 특이 항체 (IgE) 검사  반응 검사가 양성이라고 해서 모두 증상을 유발하는 것은 아님
  • 12.  신경펩티드 (VIP, SP) 의 불균형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아토피피부염의 악화와의 연관성 시사  호르몬의 변화  사춘기 , 임신
  • 13. 아토피 피부염 핀도수 다인자성 유전성 피부 질환 유전성 소인 아토피 소인 아토피 피부염 공동 요인 알레르기성 항원 공동 요인 : 1. 감염 2. 주변환경 3. 정신적 요인 4. 원인 미상 알레르기성 항원 아토피 소인
  • 14. SM (sphingomyelin) deacylase 활성도 증가  ceramide 감소  피부건조 피부장벽기능의 장애가 있으면 , 환경인자 ( 자극물질 , 알레르겐 , 미생물 등 ) 에 취약 , 외부 환경 알레르겐의 유입에 의한 TH2 ( 급성기 ) 면역상태 유도   보습이 필요
  • 15.
  • 16.  포도상 구균 - 아토피 피부염 피부 : 90% 에서 균이 동정됨 - 정상인의 피부 : 5% 이하  초항원을 내어 T 세포를 매우 강력하게 활성화시켜 아 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킴 .  포도상 구균의 균집락 정도와 아토피 피부염 증상과 밀 접한 관련이 있다 .  아토피 환아의 피부에 포도상 구균 집락이 증가하는 이 유 - 피부장벽의 파괴 , 피부의 알칼리화 , 세균을 박멸하는 능력의 결함 , 건조한 피부 등으로 포도상 구균이 잘 부 착하고 제거되지 않는다 .
  • 17. 표피 지질 장애와 & 아토피 피부염 ㆍ피부 장벽으로서의 표피 지질 : 세라마이드 , 유리 지방산 , 콜레스테롤 ㆍ In 아토피 피부염 , : 세라마이드의 감소 ( 특히 , cer1,3 아형 ), 유리 지방산의 감소 ( 특히 linolenic acid)  피부장벽 기능의 손상 , 경피 수분 손실 증가 , 피부 건조 , 인설 증가
  • 18. 1) 일반적인 방법 • 미지근한 물에 샤워나 담금 목욕 , 제한적인 비누 사용 , 문지르는 것 금함 , 매일 1 회 • 물이 마르기 전에 (3 분이내 ) 보습제 사용 2) 피부 방어 능력을 회복시키는 목욕 • Oil 목욕 • 쌀 녹말 : 하루 2 회 15 분씩 , 가루를 물에 타서 사용할 수도 • 곡식 colloidal suspension ( 귀리나 쌀 ): 목욕 외에 바를수도 , 2 세 이하도 사용 • 쌀겨 수프 : 욕조에 풀어서
  • 19. 3) 항세균 효과를 얻기 위한 목욕 • 과망간산칼륨 함유하는 물 (1 일 1 회 ) • 클로르헥시딘 함유하는 물 • Triclosan 항세균제를 함유하는 비누가 일반비누보다 효과적 (1 일 1 회 ) 4) 사우나 • 피부의 각질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나 , 땀으로 인해 과반수가 악화될 수 있음
  • 20.  피부장벽 각질층의 지질조성 변화 → 피부건조 항원 / 자극원의 투과 증가  각질층에 수분을 공급하고 증발을 방지 ◦ 수분 공급 : 간단한 샤워나 침수욕 ◦ 증발 방지 : 적절한 보습제
  • 21. 보습제의 종류  밀폐제 : 지성으로 피부에 불투과성 막 형성 ◦ 오일 ( 식물성 , 동물성 , 광물성 )  습윤제 : 친수성으로 수분 함유 능력 지님 ◦ 천연보습인자 , Polyol( 글리세린 ), ◦ 고분자 물질  첨가제 : 보습제 효과 향상 ◦ 세라마이드 , 비타민 , 항균제
  • 22. 보습제의 선택  병의 증상 고려 : 급성일 때 로숀이나 크림 형 태 만성일 때 연고형 태  내 피부에 맞는 것 : 바른 후 따갑거나 가렵거 나 , 붉어지는 자극 증상 없는 것
  • 23.  자극제 : 비누와 세제 , 화학약품 , 모직과 나일론 의류  기온과 습도 : 덥고 습할때 , 차고 건조할때  햇볕 , 스트레스  알레르겐 : 음식물 , 식품 첨가물 ( 방부제 , 색소 , 조 미료 ), 흡입 알레르겐  실내의 자극요인 ◦ 화학적 요인 : 이산화질소 ( 가스난로나 등유 가스히 터 ), 포름알데히드 ( 단열재 ) ◦ 생물학적 요인 : 집먼지진드기 , 진균 (Aspergillus, Penicillium), 세균 감염 ( 포도상 구균 )
  • 24.  자극요인 피하는 방법 1.충분한 수면 , 스트레스 피하기 2.피부 청결 ( 땀 , 분비물 , 피부 감염 ) 3.순면 착용 4.일정한 온도와 습도 유지 5.실내 환기
  • 25.  항히스타민제 : 가려움증을 완화 , 1 세대 , 2 세대  항생제 : 피부 표면을 긁어서 피가 나거나 세균에 감 염되었을 때 사용  스테로이드제  면역 억제제 , 면역 조절제  광선치료 ◦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 발병부위가 전신에 퍼져 있을 때 사용 ◦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은 피할 것 ( 피부 노화 , 암 유발 )
  • 26. 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경향이 있는 사람에서 환경적 요인의 자극으로 생긴다 .  다른 아토피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  한번의 치료로 뿌리 뽑는 병이 아니고 , 미리 예방할 수 없다 .  피부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  급성 악화시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스테로이드제 투여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길이다 .  아토피 피부염이 있다고 무작정 음식을 제한하면 성장 장애 , 영양결핍이 올 수 있다 .
  • 27. 피부 장벽 이상 ( 세라마이드 감소 ) 표피 증식 염증 - Outside - - Inside - 치료 목표 3: 표피증식 억제 치료 목표 1: 손상장벽 복구 특정 T 세포 : 비만세포 활성 치료 목표 2: 항염증 치료 Cytokine cascade
  • 28. -28 - 1) 유전적 인자 2) 면역학 적 이상 3) 환경적 요인 4) 기타 :unknown
  • 29. -29 - 일란성 쌍둥이 약 70%31 2 골수 이식 후 아토피성 피부염 발생 33 아토피 부모 아이의 아토피 확률  1/2 : 40%  2/2 : 70%
  • 30. -30 - Th-2> Th-131 TH1 TH2 정상인 = 면역균형상 태 TH1 TH2 급성기 만성기 TH1 TH2
  • 31. -31 - 피부자극 : 비누 , 세제 , 화장품 , 의류 등2 스트레스 : 입시생4 피부감염 : 포도상구균 -> 내독소 -> 초항원33 온도습도31 건조한 환경 ( 겨 울 ) 습한 환경 ( 여름 ) 환절기
  • 32. -32 - 3) 아토피 아토피 ( 천식 , 알레르기성 비염 , 아토피성 피부염 ) 의 개인 및 가족력 2) 피부의 특징적 소견 2 세 미만 : 얼굴 , 몸통 , 팔 다리의 신전 부위 병변 2 세 이상 : 얼굴 , 목 , 팔 , 다리의 굴곡 부위 병 변  주 진단기준 1) 소양증
  • 33. -33 - • 발한 시 소양증 • 백색 피부묘기증 • 피부단자시험 + • 혈청면역 글로불린 E 상승 • 피부감염 증가  부 진단기준 • 구순염 • 손발의 비특이 성 습진 • 두피인설 • 유두습진 • 모공주위 피부 의 두드러기 • 피부건조증 • 백색비강진 • 눈 주위의 습진 혹은 색소 침착 • 귀 주위의 습진
  • 34. 1. 유발 혹은 악화 인자 제거 2. 피부보습 및 관리 3. 국소 스테로이드제제 4. 국소 면역 조절제 5. 항히스타민제 -34 -
  • 35. 6. 항생제 , 항바이러스제 , 항진균제 7. 감마 - 리놀렌산 8. 자외선을 이용한 광선치료 9. 전신 면역 억제제 ( 스테로이드 , 사이클로스포린 ) 10. 인터페론 감마 -35 -
  • 36. 11. 면역 글로불린 12. 한방요법 13. 민간요법 14. 영양요법 - Vit B1 – 천식 15. 식이요법 16. 항원조절 : Avoidance Immunotherapy 17. 목욕치료 ( 음이온 , 온천수 , 소금물 등 ), -36 -
  • 37. -37 - 11 유발 혹은 악화 인자 제거 22 피부보습 및 관리 33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 44 국소 면역 조절제 55 항히스타민제 66 항생제 , 항바이러스제 , 항진균제 77 감마 - 리놀렌산
  • 38. -38 - 1. 유발 혹은 악화 인자 제거
  • 39. a. 항히스타민제 (Hydroxyzine, Ceitrizin) b. 가려움증 유발 환경이나 조건 회피 c. 손톱을 짧게 깎고 수면 시 장갑 착용 d. 심한 경우는 수면 중 팔꿈치를 고정 e. 피부감염을 없애고 충분한 보습 -39 -  가려움증
  • 40. -40 -  의복 a. 면제품 옷 b. 헐렁한 옷 c. 새 옷은 세탁 후 사용 d. 세탁 시 세제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함
  • 41. -41 -  환경 a. 적절한 온도와 습도 . b. 집먼지 , 진드기 , 화학물질 , 애완동물 제거 c. 카펫 , 인형 , 커튼 , 털이불 제거 ( 진드기 서식 처 ) d. 침대 보다는 온돌
  • 42. -42 -  정서 a. 부드럽고 편안한 분위기 b. 가족들의 사랑과 관심 c. 좌절 , 불안 , 분노와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는 증상 악화 d. 낙관적인 생활 태도  아이 앞에서 피부염을 걱정 하지 말기  긁었다고 , 감작된 음식물을 먹었다고 나무라지 말기  반드시 낫는다는 생각 가지기
  • 43. -43 -  운동 a. 아이에 알맞은 운동 종류와 운동 강도  땀을 흘렸을 때는 빨리 씻음  너무 더울 때나 추울 때는 운동을 금함  수영 금지
  • 45. a. 피지막 -> 각질층의 수분과 유분을 충분히 유지  진드기와 세균 , 바이러스의 침입 방지 b. 가려움을 느끼는 신경섬유 말단은 표피와 진피의 경계 -45 -
  • 46. -46 - 장내 환경이 나빠지는 등 면역력이 감소 하면 피지막 얇게 됨 -> 각질층의 수분 , 유분소실 -> 건조 -> 세포와 세포 사이 간격 생김 진드기 , 세균이 간격으로 침범 -> 알레르기 반응 -> 가려움 , 염증 초래 -> 동시 에 피부가 건조하면 표피내 Keratocyte 가 다량의 신경 성장인자를 배출 -> 가려움을 느끼는 신경섬유 가 길게 자라서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아 들이기 쉬움
  • 47. ① 청결 ( 항균을 포함 )  피지막은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 피부에 묻어있는 진드기 , 세균 , 집먼지 진드기 씨를 씻어내어 진드기나 세균의 침범을 방지 ② 보습  피부에 수분을 공급 해서 가려움의 원인이 되는 건조함을 제거 → 목욕 후 3 분 내 보습이 중요 -47 - 면역력의 감소로 변화된 피부상태를 정상적인 피부와 비슷하게 만들려고 노력 하는 것
  • 48. a. 간단한 사우나 후 10 분 정도의 입욕 b. 미지근한 물 c. 비누  저자극성 중성비누  2-3 일에 한번 정도  염증부위는 피해서  때밀이는 금지 d. 보조 입욕제 사용 e. 목욕 후 3 분 내 보습제 f. 지나친 목욕은 피부 건조와 AD 의 악화 ( 온천 , 사우나 등 ) -48 -
  • 49. -49 - 31 피부에 불투과성 막 형성 , 수분소실 방지 32 보습효과는 높으나 피부호흡 억제 , 열감 초래 33 오일 제품 34 번들거림 , 끈끈한 느낌 , 하얀 각질 , 두꺼워진 피부  밀폐제
  • 50. -50 - 31 로션제품 ( 천연보습인자 , 고분자물질 , 폴리 올 ) 32 수분에 강한 친화성 물질 33 진피에서 수분을 각질층으로 끌어옴 34 흡수에 좋지만 물에 잘 씻김 35 붉거나 진물이 나는 피부에 적용  습윤제
  • 51. -51 -  연화제 31 각질 사이를 채워주는 역할 32 피부에 얇은 오일 막 ( 투과성막 ) 형성 33 세라마이드 , 콜레스테롤 , 지방산
  • 52. -52 - - 수분함량 높음수분함량 높음 -- 접히거나 땀이 나는 부위접히거나 땀이 나는 부위 -- 여름에 적합여름에 적합 로션 크림 -- 오일함량이 높음오일함량이 높음 -- 겨울에 적합겨울에 적합 연고
  • 53. a. 면역력의 감소로 변화된 상태를 정상적인 피부와 비슷하게 하려고 노력하는 것 b. 현재 : 청결 , 보습 중심 c. 미래 : 어떻게 하면 감소된 피부의 면역력을 증가 시킬까 ? 의 방향으로 -53 -
  • 54. -54 - 감마 - 리놀렌산 -54- • 필수지방산의 대사이상 정상화 → 가려움 감소 (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불균형이 정상화 ) • 손상된 신경세포 재생 → 가려움 감소 • PE 에 의해 말초혈관 확장 , 혈소판 응집 억제 → 말초순환 개선 GLA(r-linolenic acid) 를 공급
  • 55.  현재 서구 생활을 하는 국가의 소아 중 6-8%  한국 소아 : 6.2%  어린이에 있어서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1/3  성인에서는 아직 잘 모름 -55 -
  • 56.  Milk, egg, soy, wheat, peanut, tree nuts, fish : 90%  A.D 인 어린이의 food challenge 에 의해서 진단된 음식의 80% 가 milk, egg, peanut  성인 : peanut, tree nuts, fish, shell fish -56 -
  • 58.  이 아토피 환자는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을까 ? 1) 병력 2) 식품일지 3) 식품 섭취 후 증상 4) 검사실 소견 -58 -
  • 59. a. 증상을 일으킨 식품의 종류와 양 b. 어떤 증상 c. 식품 섭취 후 증상 발현되기까지의 시간 d. 가장 최근의 반응 e. 운동 등 증상 유발과 관계 있는 행동 -59 -
  • 60.  소장에서 식물 분자가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흡수 -> 면역세포는 이물로 간주 -> 공격 =>=> 아토피성 피부염 발생아토피성 피부염 발생 -60 -
  • 61. -61 - 소아 식품 알레르기 질환이 소아가 성장할수록 발생빈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 “ 소화관의 성숙” 때문 이유 ) a. 소장 : 70% 대장 : 10% a. Leaky gut syndrome b. 유익 유기산 인체 면역 담당
  • 62. -62 - 유산균을 장내에 넣어서 → 유산균에 의해서 장에 있는 면역세포가 활성화 되고 → 활성화 된 면역세포가 면역 균형 지령을 보내 → TH1 과 TH2 가 균형을 이루고 → 아토피가 개선된다는 이론이 있음
  • 63. -63 - 지금까지의 내용을 보면 아토피성 피부염은 다른 질환과 전혀 관계 없는 독립적인 질환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실제로 비염 , 천식 , 결 막염은 물론이고 시력저하 , 잠혈소변 , 위장결핵 , 류마티스성 관 절염 등과 같이 존재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예 ) 알레르기 – 자가면역성 비염
  • 64. -64 -
  • 68.  천연물 유래물질에 대한 특허의 비율이 점차 증가  개발방향 :  천연물 유래물질을 통하여 신규물질 후보 접근  발전도를 통해 화학구조가 나타나지 않은 천연물을 발 굴하여 단독 또는 타 성분과 조합하여 신조성물 개발  동일한 식물“과”에 속하고 있으나 , 아직은 널리 활용되 지 않은 “속”의 식물의 성분을 개발  아토피성 질환은 면역질환이므로 , 면역제제를 생산하는 업체의 기술과 천연식물 유래 물질을 추출한 업체의 기 술을 접목

Editor's Notes

  1. 동일한 식물“과”에 속하고 있으나, 아직은 널리 활용되지 않은 “속”의 식물의 성분을 대체 후보물질로서 하여, 적어도 현재 나와 있는 같은“과” 내의 “속”의 추출물의 약효와는 동일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는 방법 또한 공백기술을 파악하여 특허 출원 및 기술 개발에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