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약성영향,
식물유지제거
진해,지혈
 胆汁制黃連 ( )
 白礬制半夏 ( )
 生薑制黃連 ( )
 麸炒枳實 ( )
 상외: 독성이 있는 한약에 해독 작용을 하는 한약을 섞
을 때 독성이 약해지는 경우
 상오: 한약 상호간의 길항(拮抗) 작용에 의하여 약효가
약해지는 경우
A: 종제
B: 반제
C: 상외제
D: 상오제
 柏子仁을 진정작용, 영심안신(寧心安神)의 목적으
로 이용할 때는 백자인의 사하작용(滑腸致瀉)을 제
거 해서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이를 위해필요한 포
제법은 ?
 去油制霜
 독성단백질을 함유한 종자류 한약재는 가열을 통
해 단백질이 변성되어 독성이 제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 견우자, 파두,백편두,피마자,창이자 가 있다.
 Pharbitin(사하작용,조충구제),와 지방유로 구성
 - Pharbitin이 가수분해되어 Pharbitic acid 가 되
면 사하작용이 감소됨.
 Pharnitisin 위장자극 > 가열후 감소
 찌거나 볶으면 사하작용이 감소.용출율증가
 지방유가 40% 함유됨
 전통적으로 가시에 독이 있다고 하여 가시를 제거
하기 위해 가열함.
 지방유에 함유된 독성단백질의 변성을 위해서 가
열, 가열후 독성단백질이 응고되어 용출되지 않으
므로 독성감소.
 지방유가 40%, 단백질이 18%(유독성)
 -전통적으로 씨의 기름을 짜버리고 파두상을 만듦
phorbol 은 발암물질,
 독성단백질인 crotin 은 적혈구용해,세포괴사
 제상후에는 지방유가 10% 이하로 감소됨,점막자
극완화,사하작용 감소.
 종자에 지방유가 40-50% 함유
 종자에서 추출되는 독성단백질 ricin
 炒한 후에 독성감소
 제상후에는 사하작용이 나타나지 않음.
 款冬花、紫菀等 Ⓐ ____药 에 속하는 약재들은
蜜炙후에 Ⓑ ____作用이 증가되는데 이는 꿀을 보
료로 사용한 후에 약재와 의 협동작용에 의해 효력
이 증강된 것이다.
 Ⓐ化痰止咳,
 Ⓑ潤肺止咳
 대계,괴화,지유,우절,천초근
 황금,황백,치자,목단피,하엽
 탄화과정으로 다양한 약효를 포기하고 지혈작용
및 항균작용에만 집중하기 위한 포제방법
 엉겅퀴 전초 태운것
 출혈억제,혈액응고시간 단축
 지혈작용으로 토혈,객혈등을 치료
 대계에 함유된 알카로이드,정유성분들이 탄화과정
에서 소실, 특히 알카로이드의 소실로 혈압강하작
용이 발현되지 않음. 지혈작용,항균작용만 발현됨.
 처방예: 십회산
 회화나무 꽃을 태운 것
 열을 가하여 볶다가 표면이 검게되고 속이 노랗게
변하고 불이 붙기 직전에 물을 뿌려 가열을 멈춘다.
 괴화를 태우면 탄닌은 4~6배로 증가됨.
- 대신 rutin 은 소실됨(혈압강하, 어지럼증- 무효)
- 190℃ 30분 가열 시 탄닌 6배 증가
(250℃ 이상 가열 시 탄닌 소실)
 소화기계 (위궤양)출혈,치질치료에 이용
 지유탄: 250℃ 에서 7.5분 가열시 탄닌 최적
지혈,항균작용 나타냄.
-출혈시간 단축 45.5% (생품 31.9%)
: 지혈작용 43% 증가
 방법: 센불로 가열하여 표면이 흑갈색이 되면 정제
수를 뿌려 말린다.
 효능: 지혈작용이 강화되어 각종 출혈성 질환(예,
혈변, 객혈, 혈뇨 등)
 -천초탄이 천초에 비해 지혈시간이 단축됨
 대표처방: 십회산(十灰散)
 charred Granati Pericarpium
 150g 을 400℃에서 20분 가열하여 표면이 흑색
이고 내부가 갈색일때 gallic acid and ellagic
acid가 최적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Yong-wook Shin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Yong-wook Shin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Yong-wook Shin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Yong-wook Shin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Yong-wook Shin
 
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Yong-wook Shin
 
창업대학원 June 12th
창업대학원 June 12th창업대학원 June 12th
창업대학원 June 12thYong-wook Shin
 
How a graphic spotlights
How a graphic spotlightsHow a graphic spotlights
How a graphic spotlights
Yong-wook Shin
 
Creativity comes from the connection
Creativity comes from the connectionCreativity comes from the connection
Creativity comes from the connection
Yong-wook Shin
 
귀농후 재배유망한 약이되는 식물
귀농후 재배유망한 약이되는 식물귀농후 재배유망한 약이되는 식물
귀농후 재배유망한 약이되는 식물
Yong-wook Shin
 
한방산업과 엑스포
한방산업과 엑스포한방산업과 엑스포
한방산업과 엑스포Yong-wook Shin
 
Gntech_ gtep
Gntech_ gtepGntech_ gtep
Gntech_ gtep
Yong-wook Shin
 

More from Yong-wook Shin (20)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
 
창업대학원 June 12th
창업대학원 June 12th창업대학원 June 12th
창업대학원 June 12th
 
모발화장품
모발화장품모발화장품
모발화장품
 
모발화장품
모발화장품모발화장품
모발화장품
 
아토피와 보습
아토피와 보습아토피와 보습
아토피와 보습
 
How a graphic spotlights
How a graphic spotlightsHow a graphic spotlights
How a graphic spotlights
 
Creativity comes from the connection
Creativity comes from the connectionCreativity comes from the connection
Creativity comes from the connection
 
귀농후 재배유망한 약이되는 식물
귀농후 재배유망한 약이되는 식물귀농후 재배유망한 약이되는 식물
귀농후 재배유망한 약이되는 식물
 
한방산업과 엑스포
한방산업과 엑스포한방산업과 엑스포
한방산업과 엑스포
 
Gntech_ gtep
Gntech_ gtepGntech_ gtep
Gntech_ gtep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 2.  胆汁制黃連 ( )  白礬制半夏 ( )  生薑制黃連 ( )  麸炒枳實 ( )  상외: 독성이 있는 한약에 해독 작용을 하는 한약을 섞 을 때 독성이 약해지는 경우  상오: 한약 상호간의 길항(拮抗) 작용에 의하여 약효가 약해지는 경우 A: 종제 B: 반제 C: 상외제 D: 상오제
  • 3.  柏子仁을 진정작용, 영심안신(寧心安神)의 목적으 로 이용할 때는 백자인의 사하작용(滑腸致瀉)을 제 거 해서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이를 위해필요한 포 제법은 ?  去油制霜
  • 4.  독성단백질을 함유한 종자류 한약재는 가열을 통 해 단백질이 변성되어 독성이 제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 견우자, 파두,백편두,피마자,창이자 가 있다.
  • 5.  Pharbitin(사하작용,조충구제),와 지방유로 구성  - Pharbitin이 가수분해되어 Pharbitic acid 가 되 면 사하작용이 감소됨.  Pharnitisin 위장자극 > 가열후 감소  찌거나 볶으면 사하작용이 감소.용출율증가
  • 6.  지방유가 40% 함유됨  전통적으로 가시에 독이 있다고 하여 가시를 제거 하기 위해 가열함.  지방유에 함유된 독성단백질의 변성을 위해서 가 열, 가열후 독성단백질이 응고되어 용출되지 않으 므로 독성감소.
  • 7.  지방유가 40%, 단백질이 18%(유독성)  -전통적으로 씨의 기름을 짜버리고 파두상을 만듦 phorbol 은 발암물질,  독성단백질인 crotin 은 적혈구용해,세포괴사  제상후에는 지방유가 10% 이하로 감소됨,점막자 극완화,사하작용 감소.
  • 8.  종자에 지방유가 40-50% 함유  종자에서 추출되는 독성단백질 ricin  炒한 후에 독성감소  제상후에는 사하작용이 나타나지 않음.
  • 9.  款冬花、紫菀等 Ⓐ ____药 에 속하는 약재들은 蜜炙후에 Ⓑ ____作用이 증가되는데 이는 꿀을 보 료로 사용한 후에 약재와 의 협동작용에 의해 효력 이 증강된 것이다.  Ⓐ化痰止咳,  Ⓑ潤肺止咳
  • 10.
  • 11.  대계,괴화,지유,우절,천초근  황금,황백,치자,목단피,하엽  탄화과정으로 다양한 약효를 포기하고 지혈작용 및 항균작용에만 집중하기 위한 포제방법
  • 12.  엉겅퀴 전초 태운것  출혈억제,혈액응고시간 단축  지혈작용으로 토혈,객혈등을 치료  대계에 함유된 알카로이드,정유성분들이 탄화과정 에서 소실, 특히 알카로이드의 소실로 혈압강하작 용이 발현되지 않음. 지혈작용,항균작용만 발현됨.  처방예: 십회산
  • 13.  회화나무 꽃을 태운 것  열을 가하여 볶다가 표면이 검게되고 속이 노랗게 변하고 불이 붙기 직전에 물을 뿌려 가열을 멈춘다.  괴화를 태우면 탄닌은 4~6배로 증가됨. - 대신 rutin 은 소실됨(혈압강하, 어지럼증- 무효) - 190℃ 30분 가열 시 탄닌 6배 증가 (250℃ 이상 가열 시 탄닌 소실)  소화기계 (위궤양)출혈,치질치료에 이용
  • 14.  지유탄: 250℃ 에서 7.5분 가열시 탄닌 최적 지혈,항균작용 나타냄. -출혈시간 단축 45.5% (생품 31.9%) : 지혈작용 43% 증가
  • 15.  방법: 센불로 가열하여 표면이 흑갈색이 되면 정제 수를 뿌려 말린다.  효능: 지혈작용이 강화되어 각종 출혈성 질환(예, 혈변, 객혈, 혈뇨 등)  -천초탄이 천초에 비해 지혈시간이 단축됨  대표처방: 십회산(十灰散)
  • 16.  charred Granati Pericarpium  150g 을 400℃에서 20분 가열하여 표면이 흑색 이고 내부가 갈색일때 gallic acid and ellagic acid가 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