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Women and Environmental Health
in the Health Care Setting



                                                                                   Faye V. Ferrer
                                          Health Care Without Harm Southeast Office
                                                                              Programme Officer



[Abstract]
The health care industry is a major contributor to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the processes of
waste disposal, including incineration, the health care industry is one of the largest contributors to
environmental dioxin and mercury. There are products and processes within and outside the hospital that
create health risks for the patients, health care staff, children and women. This presentation focuses on
the positive actions that were and can be taken to address the health threats posed by these exposures
These actions include: the need to push to purchase environmentally preferable products, implementation
of pollution prevention actions within the health care setting, and learning more about environmental
health.


Before, knowledge on the health effects of chemical exposure were limited only           in adult males.
However, in the last couple of decades, many more scientists have been expanding their exploration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s in women, including pregnant women, and to humans during
all of their stages of development, including embryonic and fetal development, early childhood, and
adolescence. With these developments, women now have become more engaged in the awareness raising
and direct action in making their communities. Some examples of this active engagement are (1) women
leading the movement to shut down a medical waste incinerator, (2) women nurses requesting for policy
changes within their facility for the promotion and use of alternatives to hazardous elements.     These
examples are testaments of women's growing involvement in making sure that health care does not do
harm to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의료산업에 있어서의 여성과 환경건강



                                                Faye V. Ferrer
                     Health Care Without Harm Southeast Office
                                            Programme Officer



[발표요약문]
의료산업은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해 왔습니다.
특히 의료 폐기물을 처리하고 소각하는 과정을 통해 의료산업은 다이옥신과 수은을 가장 많이
방출하는 산업의 하나입니다.
병원 안팎에서 환자의 보호자, 의료진, 산업 관련자, 그리고 아이들과 여성들의 건강에 해로운 많
은 물품들이 생산되고 있고, 또 다시 이와 관련된 의료행위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 발표는 이렇게 의료산업이 야기하는 건강 상의 위협에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 왔는지, 또한 앞
으로 어떤 적극적인 행동을 취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친환경적인 물품을 구매하고, 의료 시술 과정에서 오염 방지 조치를 실행하고
환경건강(보건)에 대해 더 많이 알아가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전에는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 건강상의 위험에 대한 정보나 지식이 성인 남자를 중심으로 이
루어져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십 년 간 더 많은 과학자들이 여성과 아이들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
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임신한 여성, 아직 태어나지 않은 배 속의 태아, 어린아이들, 청소년/녀 등
서로 다른 발달과정에 있거나 성인 남성의 기준과는 다른 여성들에게 말입니다.
이러한 발전과 더불어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자신들의 커뮤니티를 만들거나 환경건강과 관련된
인식을 키워가는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1) 여성들이 나서서 의료 폐기물 소각장을 폐쇄하는 운동을 주도하거
나 2) 여성 간호사들이 병원 내에서 해로운 물질의 대안을 사용하거나 그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
변화를 요구하는 활동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사례들은 여성들이 직접적인 활동에
나선다면 의료산업이 더 이상 환경과 인간에게 해롭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됩
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의료산업에 있어서의 여성과 환경건강 요약문 (2007)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여성환경연대
 
일상으로 들어간 여성환경운동 (2007)
일상으로 들어간 여성환경운동 (2007)일상으로 들어간 여성환경운동 (2007)
일상으로 들어간 여성환경운동 (2007)
여성환경연대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여성환경연대
 
14.북경여성대회 행동강령 k장 여성과 환경
14.북경여성대회 행동강령 k장 여성과 환경14.북경여성대회 행동강령 k장 여성과 환경
14.북경여성대회 행동강령 k장 여성과 환경여성환경연대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Kwangmo Yang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연대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여성환경연대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여성환경연대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Kwangmo Yang
 
20170526 월경에치얼스 보도자료
20170526 월경에치얼스 보도자료20170526 월경에치얼스 보도자료
20170526 월경에치얼스 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여성환경연대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여성환경연대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Yoon Sup Choi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여성환경연대
 
젠더관점에서 본 환경건강 의제 (2007)
젠더관점에서 본 환경건강 의제 (2007)젠더관점에서 본 환경건강 의제 (2007)
젠더관점에서 본 환경건강 의제 (2007)여성환경연대
 

Similar to 의료산업에 있어서의 여성과 환경건강 요약문 (2007) (17)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20171017생리대국정감사기자회견 취재요청서
 
일상으로 들어간 여성환경운동 (2007)
일상으로 들어간 여성환경운동 (2007)일상으로 들어간 여성환경운동 (2007)
일상으로 들어간 여성환경운동 (2007)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14.북경여성대회 행동강령 k장 여성과 환경
14.북경여성대회 행동강령 k장 여성과 환경14.북경여성대회 행동강령 k장 여성과 환경
14.북경여성대회 행동강령 k장 여성과 환경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20170826 릴리안 사태 관련 여성환경연대 입장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20170526 월경에치얼스 보도자료
20170526 월경에치얼스 보도자료20170526 월경에치얼스 보도자료
20170526 월경에치얼스 보도자료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20170928생리대 행동 선포식 취재요청서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젠더관점에서 본 환경건강 의제 (2007)
젠더관점에서 본 환경건강 의제 (2007)젠더관점에서 본 환경건강 의제 (2007)
젠더관점에서 본 환경건강 의제 (2007)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의료산업에 있어서의 여성과 환경건강 요약문 (2007)

  • 1. Women and Environmental Health in the Health Care Setting Faye V. Ferrer Health Care Without Harm Southeast Office Programme Officer [Abstract] The health care industry is a major contributor to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the processes of waste disposal, including incineration, the health care industry is one of the largest contributors to environmental dioxin and mercury. There are products and processes within and outside the hospital that create health risks for the patients, health care staff, children and women. This presentation focuses on the positive actions that were and can be taken to address the health threats posed by these exposures These actions include: the need to push to purchase environmentally preferable products, implementation of pollution prevention actions within the health care setting, and learning more about environmental health. Before, knowledge on the health effects of chemical exposure were limited only in adult males. However, in the last couple of decades, many more scientists have been expanding their exploration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s in women, including pregnant women, and to humans during all of their stages of development, including embryonic and fetal development, early childhood, and adolescence. With these developments, women now have become more engaged in the awareness raising and direct action in making their communities. Some examples of this active engagement are (1) women leading the movement to shut down a medical waste incinerator, (2) women nurses requesting for policy changes within their facility for the promotion and use of alternatives to hazardous elements. These examples are testaments of women's growing involvement in making sure that health care does not do harm to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 2. 의료산업에 있어서의 여성과 환경건강 Faye V. Ferrer Health Care Without Harm Southeast Office Programme Officer [발표요약문] 의료산업은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해 왔습니다. 특히 의료 폐기물을 처리하고 소각하는 과정을 통해 의료산업은 다이옥신과 수은을 가장 많이 방출하는 산업의 하나입니다. 병원 안팎에서 환자의 보호자, 의료진, 산업 관련자, 그리고 아이들과 여성들의 건강에 해로운 많 은 물품들이 생산되고 있고, 또 다시 이와 관련된 의료행위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 발표는 이렇게 의료산업이 야기하는 건강 상의 위협에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 왔는지, 또한 앞 으로 어떤 적극적인 행동을 취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친환경적인 물품을 구매하고, 의료 시술 과정에서 오염 방지 조치를 실행하고 환경건강(보건)에 대해 더 많이 알아가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전에는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 건강상의 위험에 대한 정보나 지식이 성인 남자를 중심으로 이 루어져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십 년 간 더 많은 과학자들이 여성과 아이들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 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임신한 여성, 아직 태어나지 않은 배 속의 태아, 어린아이들, 청소년/녀 등 서로 다른 발달과정에 있거나 성인 남성의 기준과는 다른 여성들에게 말입니다. 이러한 발전과 더불어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자신들의 커뮤니티를 만들거나 환경건강과 관련된 인식을 키워가는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여성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1) 여성들이 나서서 의료 폐기물 소각장을 폐쇄하는 운동을 주도하거 나 2) 여성 간호사들이 병원 내에서 해로운 물질의 대안을 사용하거나 그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 변화를 요구하는 활동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사례들은 여성들이 직접적인 활동에 나선다면 의료산업이 더 이상 환경과 인간에게 해롭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됩 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