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Social Learning의 특성과 성공요인 윤영민(정보사회학, 한양대 교수) 2011 S-HRD Open Seminar
차례 들어가면서 Social Learning의 정의 Social Learning의 특성 Social Learning의 핵심 요소 Social Learning의 성공요인 토론 및 Q & A 2011 S-HRD Open Seminar
I. 들어가면서 2011 S-HRD Open Seminar Internet과 Social Media는 교육의 새로운 Paradigm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음 학습자 중심의 교육 Community 중심의 교육 새로운 커뮤니티 문화: 참여•공유•협력 교육의 新 paradigm                                    Social Learning
II. Social Learning의 정의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Media based Participatory Learning(SMPL)
III. Social Learning의 특성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Media 기반에 기인한 특성 상호작용성의 확대 교실의 통제적 개방 실제상황의 실습 환경 수평적 구조 네트워크로 연결된 학습 참여적 학습에 기인한 특성 집단 지성과 협력 학습 자율 학습 추정된 권위에서 집합적 신빙성으로 탈중심적 교육
3-1-1. 상호작용성의 확대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media는 학습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확대할 수 있게 해줌 교수자, 학생, 지역 주민, 기업 임원, 퇴임 직원등 Social Learning의 성패는 ‘학습성과’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학습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얼마나 활발하게 끌어낼 수 있는가에 달려 있음  social media는 이점에 있어 발군의 도구
3-1-2. 교실의 통제적 개방 2011 S-HRD Open Seminar 수업의 개방은 교수자와 학습자를 모두 긴장하게 만듦  폭발적인 특성 교수와 학생들의 합의하에 수업의 공개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음
3-1-3. 실제 상황의 실습 환경 2011 S-HRD Open Seminar 실험실이나 가상 실험이 아니라 현실 세계에 투입  교육 주제에 따라 효과적 적용 가능 온라인 기획, 마케팅, 온라인 영업, 온라인 서비스, 온라인 Customer Service
3-1-4. 수평적 구조 2011 S-HRD Open Seminar
3-1-5. 네트워크로 연결된 학습 2011 S-HRD Open Seminar
3-2-1. 집단지성과 협력 학습 2011 S-HRD Open Seminar
3-2-2. 자율 학습(self-learning) 2011 S-HRD Open Seminar 웹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또 그것과 관련된 문건이나 사이트를 찾아 읽어가면서 스스로 지식을 습득 그러나 참여적 학습에서 자율학습은 집단지성이나 협력학습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음, 즉, 개인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함축하지 않음
3-2-3. 추정된 권위에서 집합적 신빙성으로 2011 S-HRD Open Seminar 인터넷에 지식과 정보가 넘쳐남에 따라, 학습이 ‘어떤 것(that)’을배우는 활동에서 ‘어떻게(how)’를 배우는 활동, 즉, 학습의 중심이 ‘내용(content)’에서 ‘과정(process)’으로 넘어가는데, 이 때는 지식에 대한 판단(평가)가 중요함 그런데 지식에 대한 판단이, 기존에는 교육기관의 명성, 교수(혹은 저자)의 학위나 업적 등으로부터 추정된 권위에 의존했는데, 이제는 여러 참여자들의 토론을 통해서 신빙성이 검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3-2-4. 탈중심적 교육 2011 S-HRD Open Seminar 전문가-교수자가 홀로 판단하고 수행하는 교육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검증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교육
IV. Social Learning의 핵심요소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Mentoring 정의 10가지 key points Team Blogging 주제 선정 팀별 협력/팀간 경쟁 환경의 조성 Coaching & Facilitating 성찰과 기록 기록 주체와 대상 기록 시점과 방법 성찰의 방법 평가의 혁신 ‘학습성과’의 평가 평가와 학습의 통합
4-1-1. Social Mentoring의 정의 2011 S-HRD Open Seminar 경험 많은 사람과 초보자의 온라인 학습커뮤니티에서 일어나는 배움의 상호작용 수평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배움이 발생 Cross-mentoring: Mentoring + Reverse-mentoring
4-1-2. Social Mentoring의 10가지 Key Points 2011 S-HRD Open Seminar 멘토링 활용 이유와 목표가 분명해야 멘토를 잘 선정한다 멘토링 매뉴얼 제공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활발한 대화 유도 멘토-멘티 공동의 mission 수행 수업진행 상황에 대한 지속적 공지 돌발상황에 대해 차분히 대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노력 멘토에 대한 감시 표시 멘토들이 보람과 즐거움을 느끼게 함
4-2-1. Team Blogging의 주제선정 2011 S-HRD Open Seminar Team blogging이라고는 했지만 꼭 블로그를 이용할 필요는 없고페이스북의 커뮤니티 페이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해서 운영해 보는 활동을 가리킴 팀블로깅에는 최소한 두 달 정도의 활동 기간이 필요함 팀블로깅이 어느 주제에나 적합하지는 않겠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주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임 관심을 갖는 사람이 아주 희소한 주제가 아니라면 시도해 볼 만함
4-2-2. Team Blogging의 환경조성 2011 S-HRD Open Seminar 팀별 협력 환경 조성 Free-riding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리더십의 역할이 큼 팀간 경쟁 환경 조성 Negative sanction보다는 positive sanction이 효과적
4-2-3. Team Blogging의 Coaching & Facilitating 2011 S-HRD Open Seminar Blog(혹은 fb커뮤니티 페이지)를 성공적으로 프로모션할 수 있도록 다양한 skills를 전수 매주 팀별 보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분석, 평가, 반성, 계획을 반복하고, 그 보고회를 통해 조언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주별 보고서를 꼼꼼히 작성하도록 유도
4-3-1. 기록의 주체와 대상 2011 S-HRD Open Seminar 기록은 교수와 학생이 수행 가급적 모든 활동을 기록
4-3-2. 기록의 시점과 방법 2011 S-HRD Open Seminar 가급적 매주 단위 기록, 길어도 2주를 넘기지 않는다 App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한 통계적 집계 및 게시 정성적 측면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기록 및 게시(수업 그룹 혹은 사이트)
4-3-3. 성찰의 방법 2011 S-HRD Open Seminar 매주 학생과 교수에 의한 활동 review 및 기록 기록을 정기적으로 게시하여 공개적으로 토론 학습 커뮤니티 구성원 모두가 토론에 참여하도록 유도
4-4-1. ‘학습성과’의 평가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Learning의 평가는 기존 방식의 평가와 달라져야 함 소셜 러닝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기 때문. 소셜 러닝에서는 교수가 가르쳐 준 것을 얼마나 잘 습득했는가가 아니라, 학습자가 무엇을 깨우치고 무엇을 할 수 있게 되었는가, 즉 학습성과(learning ourtcomes)를 평가해야 소셜 러닝은 협력적 학습이기 때문에 학습자 개개인 뿐 아니라 학습자들이 함께 무엇을 성취했는가를 평가해야
4-4-2. 평가와 학습의 통합 2011 S-HRD Open Seminar 소셜 러닝에서 평가는 학습성과와 협력활동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평가가 단지 수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가 아니라 학습 과정을 효과적이 되게 만드는 도구가 되어야 평가는 소셜 러닝의 성과에 대한 측정이며 동시에 소셜 러닝을 촉진하는 수단 따라서 수업의 전 과정에 걸쳐 평가가 적절히 배치되어야
V. Social Learning의 성공요인 2011 S-HRD Open Seminar 교수자의 새로운 역할 학습 커뮤니티의 형성
5-1. 교수자의 새로운 역할 2011 S-HRD Open Seminar 연출 및 기획자(Director & Designer) ,[object Object],코치(Coach) ,[object Object],참여 촉진자(Facilitator) ,[object Object],커뮤니티 매니저(Community manager) ,[object Object],[object Object]
VI. 토론 및 Q & A 2011 S-HRD Open Seminar 기업에서의 Social Learning 활용
Social learning의 특성과 성공요인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Social learning의 특성과 성공요인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현재 정
 
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arpark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인식 유
 
기업교육론 발표2
기업교육론 발표2기업교육론 발표2
기업교육론 발표2
ourwonnie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조현경
 
Facebook&socialteaching
Facebook&socialteachingFacebook&socialteaching
Facebook&socialteachingYoung-Min Yun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etbob
 
학습전이
학습전이학습전이
학습전이dcjin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21ERICK
 
Active Tutor_Social Learning Service Platform
Active Tutor_Social Learning Service PlatformActive Tutor_Social Learning Service Platform
Active Tutor_Social Learning Service Platform
Hyekyoung Lee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B Society)
 
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
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
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ByeongJoo Oh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koreaspeaks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Npocenter Seoul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
thecirclefoundation
 
2011 ASTD future of learning 진동철 - 공개용
2011 ASTD future of learning 진동철 - 공개용2011 ASTD future of learning 진동철 - 공개용
2011 ASTD future of learning 진동철 - 공개용dcjin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humana12
 
세계시민교육 강사 워크샵
세계시민교육 강사 워크샵세계시민교육 강사 워크샵
세계시민교육 강사 워크샵
JaeUng Ha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현재 정
 

Similar to Social learning의 특성과 성공요인 (2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기업교육소셜러닝 V1 0
 
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기업교육론 발표2
기업교육론 발표2기업교육론 발표2
기업교육론 발표2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Facebook&socialteaching
Facebook&socialteachingFacebook&socialteaching
Facebook&socialteaching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2011 09 21_bob_한정선_김진희 최종
 
학습전이
학습전이학습전이
학습전이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학교변화 원리와 20가지 핵심원리
 
제본용
제본용제본용
제본용
 
Active Tutor_Social Learning Service Platform
Active Tutor_Social Learning Service PlatformActive Tutor_Social Learning Service Platform
Active Tutor_Social Learning Service Platform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
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
2013춘계이러닝학회 유비온 오병주_발표자료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
[동그라미재단] ㄱ찾기프로젝트 3차 공유회 : SCEP을 활용한 진로교육
 
2011 ASTD future of learning 진동철 - 공개용
2011 ASTD future of learning 진동철 - 공개용2011 ASTD future of learning 진동철 - 공개용
2011 ASTD future of learning 진동철 - 공개용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20150112 액션러닝 원장님강의09
 
세계시민교육 강사 워크샵
세계시민교육 강사 워크샵세계시민교육 강사 워크샵
세계시민교육 강사 워크샵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Social learning의 특성과 성공요인

  • 1. Social Learning의 특성과 성공요인 윤영민(정보사회학, 한양대 교수) 2011 S-HRD Open Seminar
  • 2. 차례 들어가면서 Social Learning의 정의 Social Learning의 특성 Social Learning의 핵심 요소 Social Learning의 성공요인 토론 및 Q & A 2011 S-HRD Open Seminar
  • 3. I. 들어가면서 2011 S-HRD Open Seminar Internet과 Social Media는 교육의 새로운 Paradigm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음 학습자 중심의 교육 Community 중심의 교육 새로운 커뮤니티 문화: 참여•공유•협력 교육의 新 paradigm  Social Learning
  • 4. II. Social Learning의 정의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Media based Participatory Learning(SMPL)
  • 5. III. Social Learning의 특성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Media 기반에 기인한 특성 상호작용성의 확대 교실의 통제적 개방 실제상황의 실습 환경 수평적 구조 네트워크로 연결된 학습 참여적 학습에 기인한 특성 집단 지성과 협력 학습 자율 학습 추정된 권위에서 집합적 신빙성으로 탈중심적 교육
  • 6. 3-1-1. 상호작용성의 확대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media는 학습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을 최대한 확대할 수 있게 해줌 교수자, 학생, 지역 주민, 기업 임원, 퇴임 직원등 Social Learning의 성패는 ‘학습성과’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학습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얼마나 활발하게 끌어낼 수 있는가에 달려 있음  social media는 이점에 있어 발군의 도구
  • 7. 3-1-2. 교실의 통제적 개방 2011 S-HRD Open Seminar 수업의 개방은 교수자와 학습자를 모두 긴장하게 만듦  폭발적인 특성 교수와 학생들의 합의하에 수업의 공개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음
  • 8. 3-1-3. 실제 상황의 실습 환경 2011 S-HRD Open Seminar 실험실이나 가상 실험이 아니라 현실 세계에 투입  교육 주제에 따라 효과적 적용 가능 온라인 기획, 마케팅, 온라인 영업, 온라인 서비스, 온라인 Customer Service
  • 9. 3-1-4. 수평적 구조 2011 S-HRD Open Seminar
  • 10. 3-1-5. 네트워크로 연결된 학습 2011 S-HRD Open Seminar
  • 11. 3-2-1. 집단지성과 협력 학습 2011 S-HRD Open Seminar
  • 12. 3-2-2. 자율 학습(self-learning) 2011 S-HRD Open Seminar 웹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또 그것과 관련된 문건이나 사이트를 찾아 읽어가면서 스스로 지식을 습득 그러나 참여적 학습에서 자율학습은 집단지성이나 협력학습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음, 즉, 개인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를 함축하지 않음
  • 13. 3-2-3. 추정된 권위에서 집합적 신빙성으로 2011 S-HRD Open Seminar 인터넷에 지식과 정보가 넘쳐남에 따라, 학습이 ‘어떤 것(that)’을배우는 활동에서 ‘어떻게(how)’를 배우는 활동, 즉, 학습의 중심이 ‘내용(content)’에서 ‘과정(process)’으로 넘어가는데, 이 때는 지식에 대한 판단(평가)가 중요함 그런데 지식에 대한 판단이, 기존에는 교육기관의 명성, 교수(혹은 저자)의 학위나 업적 등으로부터 추정된 권위에 의존했는데, 이제는 여러 참여자들의 토론을 통해서 신빙성이 검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 14. 3-2-4. 탈중심적 교육 2011 S-HRD Open Seminar 전문가-교수자가 홀로 판단하고 수행하는 교육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검증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교육
  • 15. IV. Social Learning의 핵심요소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Mentoring 정의 10가지 key points Team Blogging 주제 선정 팀별 협력/팀간 경쟁 환경의 조성 Coaching & Facilitating 성찰과 기록 기록 주체와 대상 기록 시점과 방법 성찰의 방법 평가의 혁신 ‘학습성과’의 평가 평가와 학습의 통합
  • 16. 4-1-1. Social Mentoring의 정의 2011 S-HRD Open Seminar 경험 많은 사람과 초보자의 온라인 학습커뮤니티에서 일어나는 배움의 상호작용 수평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배움이 발생 Cross-mentoring: Mentoring + Reverse-mentoring
  • 17. 4-1-2. Social Mentoring의 10가지 Key Points 2011 S-HRD Open Seminar 멘토링 활용 이유와 목표가 분명해야 멘토를 잘 선정한다 멘토링 매뉴얼 제공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활발한 대화 유도 멘토-멘티 공동의 mission 수행 수업진행 상황에 대한 지속적 공지 돌발상황에 대해 차분히 대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노력 멘토에 대한 감시 표시 멘토들이 보람과 즐거움을 느끼게 함
  • 18. 4-2-1. Team Blogging의 주제선정 2011 S-HRD Open Seminar Team blogging이라고는 했지만 꼭 블로그를 이용할 필요는 없고페이스북의 커뮤니티 페이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해서 운영해 보는 활동을 가리킴 팀블로깅에는 최소한 두 달 정도의 활동 기간이 필요함 팀블로깅이 어느 주제에나 적합하지는 않겠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주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임 관심을 갖는 사람이 아주 희소한 주제가 아니라면 시도해 볼 만함
  • 19. 4-2-2. Team Blogging의 환경조성 2011 S-HRD Open Seminar 팀별 협력 환경 조성 Free-riding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리더십의 역할이 큼 팀간 경쟁 환경 조성 Negative sanction보다는 positive sanction이 효과적
  • 20. 4-2-3. Team Blogging의 Coaching & Facilitating 2011 S-HRD Open Seminar Blog(혹은 fb커뮤니티 페이지)를 성공적으로 프로모션할 수 있도록 다양한 skills를 전수 매주 팀별 보고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분석, 평가, 반성, 계획을 반복하고, 그 보고회를 통해 조언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주별 보고서를 꼼꼼히 작성하도록 유도
  • 21. 4-3-1. 기록의 주체와 대상 2011 S-HRD Open Seminar 기록은 교수와 학생이 수행 가급적 모든 활동을 기록
  • 22. 4-3-2. 기록의 시점과 방법 2011 S-HRD Open Seminar 가급적 매주 단위 기록, 길어도 2주를 넘기지 않는다 App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한 통계적 집계 및 게시 정성적 측면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기록 및 게시(수업 그룹 혹은 사이트)
  • 23. 4-3-3. 성찰의 방법 2011 S-HRD Open Seminar 매주 학생과 교수에 의한 활동 review 및 기록 기록을 정기적으로 게시하여 공개적으로 토론 학습 커뮤니티 구성원 모두가 토론에 참여하도록 유도
  • 24. 4-4-1. ‘학습성과’의 평가 2011 S-HRD Open Seminar Social Learning의 평가는 기존 방식의 평가와 달라져야 함 소셜 러닝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기 때문. 소셜 러닝에서는 교수가 가르쳐 준 것을 얼마나 잘 습득했는가가 아니라, 학습자가 무엇을 깨우치고 무엇을 할 수 있게 되었는가, 즉 학습성과(learning ourtcomes)를 평가해야 소셜 러닝은 협력적 학습이기 때문에 학습자 개개인 뿐 아니라 학습자들이 함께 무엇을 성취했는가를 평가해야
  • 25. 4-4-2. 평가와 학습의 통합 2011 S-HRD Open Seminar 소셜 러닝에서 평가는 학습성과와 협력활동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활용되어야 평가가 단지 수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가 아니라 학습 과정을 효과적이 되게 만드는 도구가 되어야 평가는 소셜 러닝의 성과에 대한 측정이며 동시에 소셜 러닝을 촉진하는 수단 따라서 수업의 전 과정에 걸쳐 평가가 적절히 배치되어야
  • 26. V. Social Learning의 성공요인 2011 S-HRD Open Seminar 교수자의 새로운 역할 학습 커뮤니티의 형성
  • 27.
  • 28. VI. 토론 및 Q & A 2011 S-HRD Open Seminar 기업에서의 Social Learning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