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일본민가재생협회의 활동
Play AT-생활기술과 놀이멋짓연구소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NPO일본민가재생협회(NPONPO日本民家再生協会)
http://www.minka.or.jp
1997년 9월 설립, 2001년 6월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등록, 회원제 운영
일본의 고민가를 다음 세대에게 계승하는 것을 단체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 일본 고민가 가치 확산을 위한 정보제공 및 홍보활동
· 정보지 '민가' 의 발행, 민가에 관한 출판물 의 편집 · 발행
· 「민가 포럼 "매년 개최, · 견학, 세미나 등의 이벤트 의 개최
· 「민가의 학교」 「민가 학원 '등의 연속 강좌 개최
· 전국 각지의 민가 조사와 국제 교류
- 민가의 복원과 재생
· 전문가에 의한 민가 재생 상담 데스크 의 개설
· 민가 제공자와 인수 희망자 간 중개를 위해 ' 민가 뱅크 '의 운영
· 고재의 유통을 촉진하기 " JMRA 고재 네트워크 " 운영
· 민가 재생을 할 전문가 네트워크 등록 사업자 모임 운영
· 설계자, 시공자의 민가 재생 기술-디자인 정보 제공
· 민가 재생 장려상 표창
- 민가의 활용
· 민가의 활용과 마을 만들기의 사례 수집 및 견학
· 유지 어려운 민가를 복지 · 교육 · 문화 · 교류 시설로
이용하므로 지역 재생을 도모
· 민가 트러스트 운영
* 유사단체 : (사)전국고민가재생협회 (http://www.g-cpc.org)
(NPO문화기획부회)
민가의 놀이, 교육, 공예, 음식, 사진, 미술 등 다양한 생활문화와 예술 모임과 행사, 민가여행 등을
개최한다.
(NPO민가활용부회)
민가의 활용과 보존, 계승을 주제로 현장 견학, 체험, 민가생활자와 간담회, 교류회를 담당.
(NPO마을만들기회)
마을경관보전 학습, 정책 제안, 마을 견학, 지역만들기 단체와 교류회 개최, 주민교육 등 활동
(NPO민가재생기술부회)
민가 건축기술, 민가 재생기술의 연구, 보급 활동
(NPO민가학교)
민가,재생, 건축에 관한 연속 강좌
(NPO민가자원봉사대)
민가재생 과정에 참여하는 회원 자원봉사대, 건물조사, 초가 복원, 철거, 벽체 미장, 등
자원봉사활동과 필요한 교육
(NPO국제교류부회)
고민가 재생과 관련한 국제적 교류 활동, 프랑스, 독일, 한국 등 교류
(NPO민가재생추진위원회)
민가재생전문가로 등록된 사업자들의 전문위원회. 작업장 견학회, 개최, 민가 상담, 민가 뱅크 등록,
민가 기본 조사 등 실시
전문부회 활동
1938 년 "식령 단색 인 '(1963 년) 벨기에 국제 실험 영화제에서 심사 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1977 년 'HOUSE'에서 극장 영화에도 진출. 「전학생」 「시간을
달리는 소녀」 「녹 신보 "는"오노 미치 부작 "로 불리우고있다. "두 사람」 「
이인들과의 여름」, 「청춘 덴데케데케데케"(1992 년)에서 1992 년도 문화청 우수
영화 작품상 'SADA "베를린 국제 영화제 국제 비평가 연맹 상, 미야 베 미유키
원작'이유 ' (1904 년) 일본 영화 비평가 대상 · 감독상 후지모토 장려상을
수상했다. 기타 "자취 눈」 「22 세의 이별 Lycoris 잎 보지 않고 꽃놀이 않고 이야기」
「전학생 안녕 당신" "그 날의 앞에." 제 21 회 일본 문예 대상 특별상 수상 "날들
세상은好日好日'등 저서 다수. 현재倉敷芸術科 大 에서 객원 교수를 쇼비 학원 대학学大学에서 객원 교수를 쇼비 학원 대학  学大学에서 객원 교수를 쇼비 학원 대학 
대학원에서 교수로 취임 중. 또한 매년 개최되는 홋카이도芦別시에서의 시에서의 "별이
내리는 마을 ·芦別시에서의 영화 학교 '에서는 교장도 역임했다. 2004 년 봄의 자수 포장
수상 2009 년 가을 욱일 소綬章수상수상.
회장
오바야시 노부히大林 宣彦(영화작가大林 宣彦(영화작가영화작가)
특별회원
* 그리하따 히大林 宣彦(영화작가로노브 降幡 廣信 (건축가)
* 하야시 노조무 林望(작가)
* 하마 미에 浜 美枝 (배우)
* 이치게 요시에 市毛 良枝 (배우)
* 니토 가즈히大林 宣彦(영화작가코 日塔 和彦 (문화재건조물복원기술자)
* C.W.니콜 (작가)
* 기타 토시유키 喜多 俊之(영화작가산업디자이너)
* 오야 에이코 大宅 映子 (평론가)
* 오쿠라 겐지로 大倉源次郎  (전통음악가)
* 우치야마 타카시 山 節内山 節  (철학자)
회원 제도
                        
일본 민가 재생 협회 (JMRA)에는 수시로 회원을 모집하고 있다. 민가 재생에 관심있는 이들과 협회의
취지 · 목적에 찬동하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은好日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다.
정회원 (NPO개인)
입회금 10,000 엔 연회비 12,000 엔
총회에서의 의결권을 가지며, 본 협회의 모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정보지 '민가'(정보지 구독료는 회비에 포함) 및 회보 "JMRA 통신」등이 정기적 배포된다.
회 회원 (NPO개인)
입회금 필요, 연회비 6,000 엔
정보지 「민가」(정보지 구독료는 회비에 포함) 및 회보 "JMRA 통신」등 정기적 배포
각종 이벤트에 참여, 총회의 의결권은好日 없음.
회 회원 (NPO학생)
입회금 필요, 연회비 3,000 엔
연회비 외에는 회 회원 (개인)와 같다.
■ 단체 정회원, 협찬 회원
이 밖에 주로 지자체와 교육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단체 정회원과 재정적으로 후원하기 협찬 회원 있음.
■ 사업자 등록 제도
민가 재생 실적이 있는 설계 · 시공 전문가 (정회원 대상)을 등록 · 공개하는 사업자 등록 제도 운영
등록 사업자에 대한 연수, 연찬회 등 실시. .
"민가 학교」는 생활 체험 · 목공 · 산림 작업 등의 체험 강좌를 통해 살아있는
민가를 피부로 느끼는 '체감 학교". 매년 4 월에 개강하여 12 월까지 거의 한
달에 1 회, 총 8 회 연속 강좌. 강좌에서는 문화재 · 재생 민가를 포함한 민가
견학, 전통 경관을 보존한 마을 방문, 전통 민가 숙박, 미장, 목수 작업 체험,
임업 현장 방문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https://www.facebook.com/minka.school/
민가 트러스트 (NPO민가 신탁)
민가는 "지역의 공유 재산"으로 지역 주민의 협력 "두레"에 의해 유지되며, 그 지역의 기후, 풍토, 역사,
생업,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하면서 문화와 경관을 형성하는 자산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개인이나
부재 가옥주가 유지 관리하기 어려운 대형 민가를 신탁받아 지역의 복지, 교육, 교류, 문화 등 공동체
시설로 활용하는 사업. ‘민가 트러스트 뱅크’를 설립하고 관리운영자를 모집하고, 지역 문화, 복지 등
단체와 결연하며, 운영 경험을 공유한다.
민가 뱅크의 이용
민가를 개축(보수)을 계획하거나, 기존 노후 민가의 철거가 필요한 경우 전문가 심사 후 ‘민가 뱅크’에
유료로 등록할 수 있다. 철거 과정에서 획득한 고재(건축부재)는 판매할 있다. 민가 인수 희망자가
나올 경우 방문한 후 합의 후 개축, 해체 부재 운반
* 고재 네트워크 사업자 연결 (고 부재, 문짝, 오래된 인테리어 전등 및 각종 기물, 고재 활용 건축 등)
* 민가숙소, 민가카페나 식당, 민가 소유자, 민가 구매희망자, 민가향유자, 민가건축기술 희망자,
민가 전문가, 고재 구입처 등 연결
유사사례 : 일본빈집재생협회(NPO日本空き家再生協会き家再生協会家再生協会)
https://www.akiyasaisei.or.jp
일본의 빈집 문제가 심각하다. 빈집 문제는 단순한 부동산 문제가 아니라 빈집이 되어 버린 배경으로
상속 문제, 세금 문제, 매각 문제, 철거 문제, 건축 재생 문제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돕는 전문가집단이자 창구 역할을 한다. (상담+자산관리+부동산 중계적 성격)
* 빈집재생상담사 양성
* 빈집문제에 대한 종합 상담
* 빈집의 관리 대행
* 유효한 빈집의 재생 (NPO매각, 임대, 전용, 자가 이용을 위한 재생) 자문
*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2018년 10월 시점에서 전국 빈집률 13.6% 약 846만건, 민간
예상으로는 2020년대에 빈집률 20%, 30년대에 30%, 50년에 40%.
<빈집 활용 사례>
* 철거 후 토지 활용
* 그대로 매각
* 그대로 임대
* 쉐어하우스나 별장으로 임대
* 재생 후 민박 등 비즈니스에 활용
참고 : https://www.tochikatsuyou.net/house/vacant/vacant-usage/katsuyou-3/
유사사례 : 일본고민가재생협회(NPO全 古民家再生協国古民家再生協会 会)
http://www.g-cpc.org
일본민가재생협회와 동일한 활동, 고민가재생설계시공 기준 마련,
* 고민가 조사 연구, 견학, 사진전, 고민가 재생, 신축 및 상담, 고민가 재건축 대상, 주거체육학교
운영, 목조주택교실, 나무 소믈리에 투어, 고재 재활용, 지해피해 지원활동, 도편수 육성활동, 고민가
활용
* 주거체육학교는 소비자가 자신의 주택을 선택할 수 있는 힘(안목)을 키우는 교육 과정.
* 고민가 활용 : 고민가재생협회는 글로벌 주택대여 사이트인 Home Away, 민박중계 플렛폼인
Rakuten Lifull Stay(일본 글로벌 인터넷 쇼핑몰 회사 Rakuten과 부동산중계회사인 Liful Home’s가
합작한 회사)와 협약을 맺고 고민가 개발, 판매, 대여, 민박 예약, 민박 운용 대행 등 고민가 활용 추진
일본의 현대총유운동
도쿄 세타가야구는 일본의 시민운동, 특히大林 宣彦(영화작가 생협운동의 ‘성지’와 같은好日 곳. 1960년 중반 여기서 몇
명으로 시작된 생협이 1990년대 2천만 명으로 성장. 그런데 이런 곳이 인구 감소에 따른 빈집이 가장
많은好日 곳이 됐다. 빈집은好日 소유권과 결합해서 더욱 복잡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서
일본의 시민운동, 학계, 행정은好日 ‘현대 총유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총유’는 한 집단/단체가
공동소유하고 개별 지분을 인정하지 않는 소유제다. 이렇게 하면 개별 소유자를 넘어서 동네/단체
차원의 재개발을 원활히大林 宣彦(영화작가 추진할 수 있고, 소유자가 상속자 없이 죽고 빈집이 생겼을 때 동네/단체가
원활히大林 宣彦(영화작가 처리할 수 있다.
빈집 활용 사례 : 온사카노 이에 (NPO언덕 위의 집)
http://www.onsaka.jp/simple_site/
오카야마현 쿠라시키시는 인구 약 47만명인 도시이다. 쿠라시키시는 관광의 도시로서 일본 최초로
전통미관조례 제정을 통해 역사경관의 우수성을 인정받은好日 곳이기도 하다. 쿠라시키 미관지구에는 지금도
당시의 유족한 상인들의 곳간이나 가옥이 보존되고 있어 근세 상인들의 영화와 문화를 현재에 전하고 있다.
100년 이상된 골목과 건축물을 보존하고 관리하고 있는 구라시키, 통일된 경관 안에서 다채로운 카페,
음식점 등 먹거리와 역사의 켜를 간직한 볼거리가 이 지역의 매력을 높이고 있다.역사와 전통이 잘 가꾸어진
쿠라시키에도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바로 고령화와 젊은好日이들의 이탈로 인해 마을의 활력이 줄어들고
있는 문제. 그 결과 마을 내 빈집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마을의 활력이 줄기 시작했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민들은好日 마치야 트러스트라는 NPO를 설립했고 오늘 소개하는 온사카노 이에(언덕위의 집)
게스트하우스는 마을 주민이 첫 번째로 빈집을 재생해서 불을 다시 밝힌 첫 번째 장소다. 마을 주민이
합심하여 고치고 함께 운영하기에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한 게스트하우스
빈집 활용 사례 : 히가시마 예술인 공간 서비스
http://haps-kyoto.com/
교토시는 '교토 문화 예술 도시 창생 조례」에 근거하여 교토 문화 예술 도시 창생 계획」(2007 년 3 월)
에서 "젊은好日 예술가 등의 거주 · 제작 · 발표의 장소 만들기 '사업 을 계획했다. 09 년 4 월부터 조사를
시작하고 사업 계획에 착수. 11 년 9 월 위 사업을 주로 수행하는 조직으로서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히大林 宣彦(영화작가가시야마 예술인 공간 서비스 실행위원회 ' 설립.
* 예술가와 전문가, 빈집, 레지던시, 전시공간 예술작품....
일본의 빈집 활용 사례들과 활동- 일본민가재생협회를 중심으로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Seongwon Kim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Seongwon Kim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Seongwon Kim
 
미로 놀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0190811
미로 놀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0190811미로 놀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0190811
미로 놀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0190811
Seongwon Kim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Seongwon Kim
 
도시재생에서 마을만들기로
도시재생에서 마을만들기로 도시재생에서 마을만들기로
도시재생에서 마을만들기로
Seongwon Kim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Seongwon Kim
 
[스페이스클라우드] 공유공간으로 문화도시를 - Workshop Report
[스페이스클라우드] 공유공간으로 문화도시를 - Workshop Report[스페이스클라우드] 공유공간으로 문화도시를 - Workshop Report
[스페이스클라우드] 공유공간으로 문화도시를 - Workshop Report
SPACECLOUD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Seongwon Kim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Seongwon Kim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Seongwon Kim
 
대나무로 만들 수 있는 놀이기구 사례
대나무로 만들 수 있는 놀이기구 사례 대나무로 만들 수 있는 놀이기구 사례
대나무로 만들 수 있는 놀이기구 사례
Seongwon Kim
 
도시 업싸이클링 모델 Urban upcycling center
도시 업싸이클링 모델 Urban upcycling center도시 업싸이클링 모델 Urban upcycling center
도시 업싸이클링 모델 Urban upcycling center
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Seongwon Kim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Seongwon Kim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Sang Hyun Park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Seongwon Kim
 

What's hot (20)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미로 놀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0190811
미로 놀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0190811미로 놀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0190811
미로 놀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0190811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세계의 놀이터와 유형20170205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도시재생에서 마을만들기로
도시재생에서 마을만들기로 도시재생에서 마을만들기로
도시재생에서 마을만들기로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트렌드가 된 적정기술을 다시 묻다
 
[스페이스클라우드] 공유공간으로 문화도시를 - Workshop Report
[스페이스클라우드] 공유공간으로 문화도시를 - Workshop Report[스페이스클라우드] 공유공간으로 문화도시를 - Workshop Report
[스페이스클라우드] 공유공간으로 문화도시를 - Workshop Report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세계의 놀이터 역사와 디자인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인디언 티피 제작 방법 20150718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대나무로 만들 수 있는 놀이기구 사례
대나무로 만들 수 있는 놀이기구 사례 대나무로 만들 수 있는 놀이기구 사례
대나무로 만들 수 있는 놀이기구 사례
 
도시 업싸이클링 모델 Urban upcycling center
도시 업싸이클링 모델 Urban upcycling center도시 업싸이클링 모델 Urban upcycling center
도시 업싸이클링 모델 Urban upcycling center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어린이 친화적인 박물관-미술관 만들기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마을공유공간 커뮤니티공간의 이해 Community Space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자연주의 놀이전경 디자인 시공 가이드-김성원
 

Similar to 일본의 빈집 활용 사례들과 활동- 일본민가재생협회를 중심으로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seekly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seekly
 
Yokohama Kotobuki Style
Yokohama Kotobuki StyleYokohama Kotobuki Style
Yokohama Kotobuki Stylepersonweb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SEO YUN MI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redsun5629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opencontentslab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seekly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economad
 
안산 신길동
안산 신길동안산 신길동
안산 신길동
주호 정
 
지리산문화공간
지리산문화공간지리산문화공간
지리산문화공간cafejirisan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seekly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seekly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4년 홍보물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4년 홍보물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4년 홍보물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4년 홍보물
문화유산기금 내셔널트러스트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seed:s corporation
 

Similar to 일본의 빈집 활용 사례들과 활동- 일본민가재생협회를 중심으로 (20)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안산의제21 커뮤니티비즈니스 강의 김재현
 
Yokohama Kotobuki Style
Yokohama Kotobuki StyleYokohama Kotobuki Style
Yokohama Kotobuki Style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일본 에코투어리즘 현장보고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오픈콘텐츠랩 / 밸류가든] 왜 지역인가? 지역활동 퍼실리테이터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마젤란 완주공무원 일본연수 보고 김준호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Yka dosan
Yka dosanYka dosan
Yka dosan
 
안산 신길동
안산 신길동안산 신길동
안산 신길동
 
지리산문화공간
지리산문화공간지리산문화공간
지리산문화공간
 
Ntrust025 2012가을
Ntrust025 2012가을Ntrust025 2012가을
Ntrust025 2012가을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080514지역에퍼져가는잇부쿠운동(今尾常務)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4년 홍보물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4년 홍보물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4년 홍보물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4년 홍보물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More from Seongwon Kim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Seongwon Kim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Seongwon Kim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Seongwon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Seongwon Kim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Seongwon Kim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Seongwon Kim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Seongwon Kim
 

More from Seongwon Kim (20)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일본학교건축의 변천과 사례들-학습공간 모델, 시설복합화 등 다양한 주제 포함 20240603.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현대 학교의 체육관 혁신 방향과 과제 그리고 사례들을 정리한 자료.pdf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일본의 빈집 활용 사례들과 활동- 일본민가재생협회를 중심으로

  • 1. 일본민가재생협회의 활동 Play AT-생활기술과 놀이멋짓연구소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 2. NPO일본민가재생협회(NPONPO日本民家再生協会) http://www.minka.or.jp 1997년 9월 설립, 2001년 6월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등록, 회원제 운영 일본의 고민가를 다음 세대에게 계승하는 것을 단체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 일본 고민가 가치 확산을 위한 정보제공 및 홍보활동 · 정보지 '민가' 의 발행, 민가에 관한 출판물 의 편집 · 발행 · 「민가 포럼 "매년 개최, · 견학, 세미나 등의 이벤트 의 개최 · 「민가의 학교」 「민가 학원 '등의 연속 강좌 개최 · 전국 각지의 민가 조사와 국제 교류 - 민가의 복원과 재생 · 전문가에 의한 민가 재생 상담 데스크 의 개설 · 민가 제공자와 인수 희망자 간 중개를 위해 ' 민가 뱅크 '의 운영 · 고재의 유통을 촉진하기 " JMRA 고재 네트워크 " 운영 · 민가 재생을 할 전문가 네트워크 등록 사업자 모임 운영 · 설계자, 시공자의 민가 재생 기술-디자인 정보 제공 · 민가 재생 장려상 표창 - 민가의 활용 · 민가의 활용과 마을 만들기의 사례 수집 및 견학 · 유지 어려운 민가를 복지 · 교육 · 문화 · 교류 시설로 이용하므로 지역 재생을 도모 · 민가 트러스트 운영 * 유사단체 : (사)전국고민가재생협회 (http://www.g-cpc.org)
  • 3.
  • 4.
  • 5.
  • 6. (NPO문화기획부회) 민가의 놀이, 교육, 공예, 음식, 사진, 미술 등 다양한 생활문화와 예술 모임과 행사, 민가여행 등을 개최한다. (NPO민가활용부회) 민가의 활용과 보존, 계승을 주제로 현장 견학, 체험, 민가생활자와 간담회, 교류회를 담당. (NPO마을만들기회) 마을경관보전 학습, 정책 제안, 마을 견학, 지역만들기 단체와 교류회 개최, 주민교육 등 활동 (NPO민가재생기술부회) 민가 건축기술, 민가 재생기술의 연구, 보급 활동 (NPO민가학교) 민가,재생, 건축에 관한 연속 강좌 (NPO민가자원봉사대) 민가재생 과정에 참여하는 회원 자원봉사대, 건물조사, 초가 복원, 철거, 벽체 미장, 등 자원봉사활동과 필요한 교육 (NPO국제교류부회) 고민가 재생과 관련한 국제적 교류 활동, 프랑스, 독일, 한국 등 교류 (NPO민가재생추진위원회) 민가재생전문가로 등록된 사업자들의 전문위원회. 작업장 견학회, 개최, 민가 상담, 민가 뱅크 등록, 민가 기본 조사 등 실시 전문부회 활동
  • 7. 1938 년 "식령 단색 인 '(1963 년) 벨기에 국제 실험 영화제에서 심사 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1977 년 'HOUSE'에서 극장 영화에도 진출. 「전학생」 「시간을 달리는 소녀」 「녹 신보 "는"오노 미치 부작 "로 불리우고있다. "두 사람」 「 이인들과의 여름」, 「청춘 덴데케데케데케"(1992 년)에서 1992 년도 문화청 우수 영화 작품상 'SADA "베를린 국제 영화제 국제 비평가 연맹 상, 미야 베 미유키 원작'이유 ' (1904 년) 일본 영화 비평가 대상 · 감독상 후지모토 장려상을 수상했다. 기타 "자취 눈」 「22 세의 이별 Lycoris 잎 보지 않고 꽃놀이 않고 이야기」 「전학생 안녕 당신" "그 날의 앞에." 제 21 회 일본 문예 대상 특별상 수상 "날들 세상은好日好日'등 저서 다수. 현재倉敷芸術科 大 에서 객원 교수를 쇼비 학원 대학学大学에서 객원 교수를 쇼비 학원 대학 学大学에서 객원 교수를 쇼비 학원 대학 대학원에서 교수로 취임 중. 또한 매년 개최되는 홋카이도芦別시에서의 시에서의 "별이 내리는 마을 ·芦別시에서의 영화 학교 '에서는 교장도 역임했다. 2004 년 봄의 자수 포장 수상 2009 년 가을 욱일 소綬章수상수상. 회장 오바야시 노부히大林 宣彦(영화작가大林 宣彦(영화작가영화작가) 특별회원 * 그리하따 히大林 宣彦(영화작가로노브 降幡 廣信 (건축가) * 하야시 노조무 林望(작가) * 하마 미에 浜 美枝 (배우) * 이치게 요시에 市毛 良枝 (배우) * 니토 가즈히大林 宣彦(영화작가코 日塔 和彦 (문화재건조물복원기술자) * C.W.니콜 (작가) * 기타 토시유키 喜多 俊之(영화작가산업디자이너) * 오야 에이코 大宅 映子 (평론가) * 오쿠라 겐지로 大倉源次郎 (전통음악가) * 우치야마 타카시 山 節内山 節 (철학자)
  • 8. 회원 제도                          일본 민가 재생 협회 (JMRA)에는 수시로 회원을 모집하고 있다. 민가 재생에 관심있는 이들과 협회의 취지 · 목적에 찬동하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은好日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다. 정회원 (NPO개인) 입회금 10,000 엔 연회비 12,000 엔 총회에서의 의결권을 가지며, 본 협회의 모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정보지 '민가'(정보지 구독료는 회비에 포함) 및 회보 "JMRA 통신」등이 정기적 배포된다. 회 회원 (NPO개인) 입회금 필요, 연회비 6,000 엔 정보지 「민가」(정보지 구독료는 회비에 포함) 및 회보 "JMRA 통신」등 정기적 배포 각종 이벤트에 참여, 총회의 의결권은好日 없음. 회 회원 (NPO학생) 입회금 필요, 연회비 3,000 엔 연회비 외에는 회 회원 (개인)와 같다. ■ 단체 정회원, 협찬 회원 이 밖에 주로 지자체와 교육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단체 정회원과 재정적으로 후원하기 협찬 회원 있음. ■ 사업자 등록 제도 민가 재생 실적이 있는 설계 · 시공 전문가 (정회원 대상)을 등록 · 공개하는 사업자 등록 제도 운영 등록 사업자에 대한 연수, 연찬회 등 실시. .
  • 9. "민가 학교」는 생활 체험 · 목공 · 산림 작업 등의 체험 강좌를 통해 살아있는 민가를 피부로 느끼는 '체감 학교". 매년 4 월에 개강하여 12 월까지 거의 한 달에 1 회, 총 8 회 연속 강좌. 강좌에서는 문화재 · 재생 민가를 포함한 민가 견학, 전통 경관을 보존한 마을 방문, 전통 민가 숙박, 미장, 목수 작업 체험, 임업 현장 방문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https://www.facebook.com/minka.school/
  • 10. 민가 트러스트 (NPO민가 신탁) 민가는 "지역의 공유 재산"으로 지역 주민의 협력 "두레"에 의해 유지되며, 그 지역의 기후, 풍토, 역사, 생업,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하면서 문화와 경관을 형성하는 자산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개인이나 부재 가옥주가 유지 관리하기 어려운 대형 민가를 신탁받아 지역의 복지, 교육, 교류, 문화 등 공동체 시설로 활용하는 사업. ‘민가 트러스트 뱅크’를 설립하고 관리운영자를 모집하고, 지역 문화, 복지 등 단체와 결연하며, 운영 경험을 공유한다.
  • 11. 민가 뱅크의 이용 민가를 개축(보수)을 계획하거나, 기존 노후 민가의 철거가 필요한 경우 전문가 심사 후 ‘민가 뱅크’에 유료로 등록할 수 있다. 철거 과정에서 획득한 고재(건축부재)는 판매할 있다. 민가 인수 희망자가 나올 경우 방문한 후 합의 후 개축, 해체 부재 운반 * 고재 네트워크 사업자 연결 (고 부재, 문짝, 오래된 인테리어 전등 및 각종 기물, 고재 활용 건축 등) * 민가숙소, 민가카페나 식당, 민가 소유자, 민가 구매희망자, 민가향유자, 민가건축기술 희망자, 민가 전문가, 고재 구입처 등 연결
  • 12. 유사사례 : 일본빈집재생협회(NPO日本空き家再生協会き家再生協会家再生協会) https://www.akiyasaisei.or.jp 일본의 빈집 문제가 심각하다. 빈집 문제는 단순한 부동산 문제가 아니라 빈집이 되어 버린 배경으로 상속 문제, 세금 문제, 매각 문제, 철거 문제, 건축 재생 문제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돕는 전문가집단이자 창구 역할을 한다. (상담+자산관리+부동산 중계적 성격) * 빈집재생상담사 양성 * 빈집문제에 대한 종합 상담 * 빈집의 관리 대행 * 유효한 빈집의 재생 (NPO매각, 임대, 전용, 자가 이용을 위한 재생) 자문 *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2018년 10월 시점에서 전국 빈집률 13.6% 약 846만건, 민간 예상으로는 2020년대에 빈집률 20%, 30년대에 30%, 50년에 40%. <빈집 활용 사례> * 철거 후 토지 활용 * 그대로 매각 * 그대로 임대 * 쉐어하우스나 별장으로 임대 * 재생 후 민박 등 비즈니스에 활용 참고 : https://www.tochikatsuyou.net/house/vacant/vacant-usage/katsuyou-3/
  • 13. 유사사례 : 일본고민가재생협회(NPO全 古民家再生協国古民家再生協会 会) http://www.g-cpc.org 일본민가재생협회와 동일한 활동, 고민가재생설계시공 기준 마련, * 고민가 조사 연구, 견학, 사진전, 고민가 재생, 신축 및 상담, 고민가 재건축 대상, 주거체육학교 운영, 목조주택교실, 나무 소믈리에 투어, 고재 재활용, 지해피해 지원활동, 도편수 육성활동, 고민가 활용 * 주거체육학교는 소비자가 자신의 주택을 선택할 수 있는 힘(안목)을 키우는 교육 과정. * 고민가 활용 : 고민가재생협회는 글로벌 주택대여 사이트인 Home Away, 민박중계 플렛폼인 Rakuten Lifull Stay(일본 글로벌 인터넷 쇼핑몰 회사 Rakuten과 부동산중계회사인 Liful Home’s가 합작한 회사)와 협약을 맺고 고민가 개발, 판매, 대여, 민박 예약, 민박 운용 대행 등 고민가 활용 추진
  • 14. 일본의 현대총유운동 도쿄 세타가야구는 일본의 시민운동, 특히大林 宣彦(영화작가 생협운동의 ‘성지’와 같은好日 곳. 1960년 중반 여기서 몇 명으로 시작된 생협이 1990년대 2천만 명으로 성장. 그런데 이런 곳이 인구 감소에 따른 빈집이 가장 많은好日 곳이 됐다. 빈집은好日 소유권과 결합해서 더욱 복잡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해서 일본의 시민운동, 학계, 행정은好日 ‘현대 총유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 ‘총유’는 한 집단/단체가 공동소유하고 개별 지분을 인정하지 않는 소유제다. 이렇게 하면 개별 소유자를 넘어서 동네/단체 차원의 재개발을 원활히大林 宣彦(영화작가 추진할 수 있고, 소유자가 상속자 없이 죽고 빈집이 생겼을 때 동네/단체가 원활히大林 宣彦(영화작가 처리할 수 있다.
  • 15. 빈집 활용 사례 : 온사카노 이에 (NPO언덕 위의 집) http://www.onsaka.jp/simple_site/ 오카야마현 쿠라시키시는 인구 약 47만명인 도시이다. 쿠라시키시는 관광의 도시로서 일본 최초로 전통미관조례 제정을 통해 역사경관의 우수성을 인정받은好日 곳이기도 하다. 쿠라시키 미관지구에는 지금도 당시의 유족한 상인들의 곳간이나 가옥이 보존되고 있어 근세 상인들의 영화와 문화를 현재에 전하고 있다. 100년 이상된 골목과 건축물을 보존하고 관리하고 있는 구라시키, 통일된 경관 안에서 다채로운 카페, 음식점 등 먹거리와 역사의 켜를 간직한 볼거리가 이 지역의 매력을 높이고 있다.역사와 전통이 잘 가꾸어진 쿠라시키에도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바로 고령화와 젊은好日이들의 이탈로 인해 마을의 활력이 줄어들고 있는 문제. 그 결과 마을 내 빈집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마을의 활력이 줄기 시작했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민들은好日 마치야 트러스트라는 NPO를 설립했고 오늘 소개하는 온사카노 이에(언덕위의 집) 게스트하우스는 마을 주민이 첫 번째로 빈집을 재생해서 불을 다시 밝힌 첫 번째 장소다. 마을 주민이 합심하여 고치고 함께 운영하기에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한 게스트하우스
  • 16. 빈집 활용 사례 : 히가시마 예술인 공간 서비스 http://haps-kyoto.com/ 교토시는 '교토 문화 예술 도시 창생 조례」에 근거하여 교토 문화 예술 도시 창생 계획」(2007 년 3 월) 에서 "젊은好日 예술가 등의 거주 · 제작 · 발표의 장소 만들기 '사업 을 계획했다. 09 년 4 월부터 조사를 시작하고 사업 계획에 착수. 11 년 9 월 위 사업을 주로 수행하는 조직으로서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히大林 宣彦(영화작가가시야마 예술인 공간 서비스 실행위원회 ' 설립. * 예술가와 전문가, 빈집, 레지던시, 전시공간 예술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