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글로벌 메가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 과제
- 2020 IT 메가트렌드 -
2010. 9
요 약
연구 목적 및 연구 내용
✓ IT산업을 성장 동력으로 지속 발전시키기 위해 IT산업 환경변화를 전망하여 중․장기 발전
모델을 제시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변화가 빠른 IT산업 발전 방향의 예측가능성을 높여
IT산업 정책방향과 목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제반 환경에서
이번 연구는 국내외 IT산업 환경변화 및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 파악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이를 위해 STEEP 분석을 통한 거시 환경 분석과 Futures Wheel 기법을 통해 IT산업의 변
화상을 파악했으며, 각계 영역의 오피니언 리더를 선별해 총 12명을 대상으로 심도 있는 인
터뷰를 진행했다. 각 오피니언 리더는 IT 영역을 비롯해 비 IT 영역의 전문가를 망라해 깊은
통찰력과 미래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모두 수용했으며, 미래 기술 관련 전문가와 미래 예측
관련 저명인사의 거시적 예측까지 포괄했다.
글로벌 미래 트렌드
✓ 5개 거시 영역의 STEEP 분석 결과 글로벌 미래 트렌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사회/인구 구조변화 : 저출산, 고령화를 통해 실버 컨슈머의 등장과 이들을 타깃으로 한 고
령화 상품과 특화 서비스의 등장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인구감소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
는외국인 노동자의 확대와 이를 기반으로 한다문화/다민족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평생학습, 다문화 운동, 대안 학교의 확대 등이 나타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 기술변화 : 기술 변화의 가장 큰키워드는 스마트라 할수있다. 각종 IT기기 및단말기가 스
마트화를 통해 인공지능이 강화되고 보다 인간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모습을 진화해 가고 있
다. 디바이스 및 단말기의 진화는 증강현실 등의 연관 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
다. 이외에 환경 친화 및 환경 관리 기술은 친환경이라는 거대 명제로 인해 지속적인 개발과
확산이 예상되며, 갈수록 인공지능과 자동화되는 스마트의 흐름과 동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3) 환경/기후 변화 : 환경재해에 대한 우려와 자원고갈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생태계 보호라는
전 지구적 차원의 핵심이슈로 그 영향력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 소비 증대
와 물 부족 현상이 심회되면서 국제 환경 규제는 강화가 불가피하며,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
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문제가 대두될수록 그린생산, 그린인증 등 신규 환경 산업의
부상이 예상된다.
4) 경제/산업구조 변화 : 경제 구조 소프트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양극화와 저극화가 동시에 나
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들이 제품 정보에 상시적으로 접근할 수있는 환경이 제공되면
서 소비자중심주의가 크게 강화될 것이다. 또한 기술 차별화의 어려움으로 브랜드를 제외한
다른 공정은 아웃소싱 형태로 운영하는 이른바 생산시설 없는 제조업이 등장하게 되고, 구매
정보 등 핵심 기업 자산을 파트너와 공유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종추종 전략의 확대가 전
망된다.
5) 문화/ 삶의 변화 : 소비자가 제품 생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중심주의가 크게 강화
될 것으로 보이며, 각종 제품 정보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힘있는 개인이 등장하면서 이
들이 직접 제품의 기획과 생산, 유통에 참여하는 CEO형 소비자의 등장도 예상된다. IT 기술
발달로 빠르고 정확하고 광범위한 의사결정 가능해짐에 따라 개인화된 정치참여, 자발적 참
여가 확대된다.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IT산업
✓ STEEP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5개 영역의 미래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
이 나타났다.
1) 사회/인구 구조변화와 IT산업 : 실버 컨슈머의 등장으로 실버형 IT기기 수요 증대 및 고령인
구 보장 서비스의 특화 등과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 고령화에 따라 노령
인구를 타깃으로 한 신규 서비스의 등장이 크게 증가하고 노령 인구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 및 관련 제품들의 출시가 뒤따를 것이다.
2) 기술변화와 IT산업 : 스마트, 친환경, 리얼리티로 대표된다. 스마트를 통해 인간과 교감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의 등장이 이뤄질 것이고, 그 과정에서 각종 단말기의 통합과 분화가 나타
날 것으로 예상된다. 친환경 기술은 그린IT란 영역을 이루며 각국의 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리얼리티 기술 부문은 각종 디스플레이의 연결성을 기반으로 가상/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빠른 진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3) 환경기후변화와 IT시장 : 신 환경 시장 대두에 따른 기반 인프라로서 IT 및 IT 융합 시장의
중요성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런 환경에서 IT 산업은 전통 산업의 친환경 산업으로의 변환
을지원하고 친환경 설계및운송, 재활용 등친환경 라이프사이클지원하는 정보 시스템으로
서의 모습을 띌 것으로 전망된다.
4) 경제/산업 구조 변화와 IT시장 : 글로벌화의 진전으로 기업 환경 변화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자생적인 개발과 유통 메커니즘을 가진 앱스토어 등을 통해 IT 산업의 비즈니스 생
태계 역시지금과는 크게다른모습을보일것으로전망된다. 또한개인의창의성, 재능 등을
이용하는 창조경제가 크게 활성화 될것이며, 개개인의 지식을기반으로 하는 집단지성의 구
현이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5) 문화/삶의 변화와 IT산업 : IT산업은 문화/삶의 변화에 있어 삶의 질을 크게 높이는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오피스 등의 구현으로 일하는 방식이 크게 바뀔 것으로 보이며,
어디에서나 일할 수 있는 환경은 일과 여가가 점점 결합되는 라이프스타일의 등장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종 쌍방향 미디어 등의 등장은 개인의 정치 참여를 증진시키고, SNS
등은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의 힘을 강화시킬 것이다.
IT산업 6대 키워드
✓ STEEP 분석과 Futures Wheel 분석 결과를 통해 IT산업 6대 키워드를 도출했다.
1) Smart화 : Human Centric IT로 진화
2) Convergence와 Divergence의 공존 시대
3) 감성-상상력 시대 : 감성과 창의력 기반 사회
4) 소셜 네이티브 : 새로운 부족, 호모 나란스
5) 힘 있는 개인 : IT DIY 시대
6) 협업지성 : 엔터프라이즈 3.0의 등장
IT산업의 지향점
✓ IT미래상으로 성숙한 사회로 이끄는 IT, 국가 생산성을 제고하는 IT, 일반인이 주체가 되는
IT, 인간 중심의 IT 등의 비전이 도출됐다.
1) 성숙한사회로 이끄는IT : IT가 행복에기여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해야할 것이다. 남을배
려하고 성숙한 시민의식에 IT가 충분히 기여할 수 있고 인간의 부족한 면을 메워줄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2) 국가 생산성을 제고하는 IT : 산업에서 차지하는 IT의 비중은 커질 것이고 수출비중도 늘어
날 것이다. 그동안 IT수출의 가장 큰 장벽이던 언어 문제가 점차 해결되고 있어 개선이 가능
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창의성, 콘텐츠에 눈을 돌리면 빠른 개선이 이뤄질 것이다.
3) 일반인이 혁신주체로 부각되는 IT : IT시장의 중심이 IT벤더, 개발자, 엔지니어에서 일반 사
용자로 옮겨가는 IT환경의 시대가 올 것이다. 현재는 개발자를 소유하는 개념이 아니라 마켓
을만들어주고 활동할 수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향후에는
IT벤더, 개발자가 아닌 비전문가들이 나서서 변혁을 이끄는 환경으로 변모할 것이다.
4) 인간 중심의 IT : 정보의 다변화 시대에 필요한 정보를 필요할 때 실시간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인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인간 중심의 디지털 컨버전스와 다이버전스가 나타날
것이다.
국내 IT산업의 기회요인 / 위협요인
✓ 기회요인
1) 하드웨어 기반의 신시장 유망 : 국내가 강점을 가진 하드웨어 시장에도 새로운 붐이 만들어
진다. 태블릿 PC를 TV와, 통신사와, 백색가전과 연결하면 새로운 형태의 단말기, 새로운 홈
네트워크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2) HW가 앞서면 SW는 뒤따른다 : HW없는 SW는 한계가 존재한다. 동시에 HW가 발달하면
SW가 동반 발전한다. 제조업 기반 하드웨어 경쟁력을 높이다보면 HW와 SW는결국 만나게
된다.
3) 제조업이 강하면 서비스는 따라온다 : 본원적 산업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면 관련 서비스 산
업은 불가피하게 뒤따르게 된다. 국내의 본원적 산업은 제조업이다.
4) 모바일 시장에 적합한 역동성 : 생각하고 움직일 시간이 짧은 모바일 시장은 국내 민족성과
부합한다. IT매니아적이면서 손재주가 좋고 민첩한 국민성은 모바일 시장 특성과 부합한다.
✓ 위협요인
1) IT강국 효과의 상실 : IT 인프라 강국 및 신기술 테스트 베드 역할 등이 후발국의 추월과 경
쟁 고조로 상실된다.
2) 접점이 막힌 생태계 : 수직적 구조의 산업 생태계로는 미래를 대비할 수 없다. 앱스토어의
개념을 확대해 각 주체가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이 요구된다.
3) 이해관계를 뛰어넘고 Risk Taking 기업 부족 : 각 산업마다 리스크를 감수하고 적극적인 투
자를 감행하는 시장 선도 기업이 부족하다.
4) 창의적 인재 육성 토대 부족 :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교육이 이뤄지지 않으면,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 같은 인재는 만들어 지지 않는다.
산업 육성을 위한 시사점
✓ 이상적 IT 미래상을 위한 전략과제로 창의력을 키우는 미래교육, HW 신시장 창출을 통한
SW 견인, SNS를 활용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 창의력을 키우는 미래 교육 : 디지털 교육의 교과 편입
2) 본원적 경쟁력을 살린 신시장 창출 : 새로운 시장의 창출과 파생시장 선점
3) SNS 활용한생태계조성 : 치열한토론, 지식교류, 결론도출 등에SNS를활용해새로운형
태의 생태계 조성
4) 디지털 호모나랜스, 글로벌을 누벼라! : 디지털 호모나랜스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환경을
보다 폭넓게 제공할 때 미래 국가 경쟁력은 제고된다.
5) 역동적 국민성, 모바일에서 꽃피운다 : 모바일시장은 생각하고 움직일시간이 부족한 매우
역동적인 시장이라 민첩하고 손재주가 우수한 국내 민족적 특성과 부합한다.
CONTENTS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 내용 ·········································································································3
제 3 절 연구 방법론 ·····································································································5
1. STEEP ······················································································································6
2. Futures Wheel ·········································································································7
3. 전문가 In-Depth Interview ······················································································7
제 2 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 9
제 1 절 글로벌 미래 트렌드 ························································································9
1. 사회/인구 구조 변화 ·····························································································11
2. 기술변화 ·················································································································17
3. 환경/기후 변화 ······································································································21
4. 경제/산업구조의 변화 ···························································································24
5. 문화 / 삶의 변화 ···································································································28
제 2 절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IT산업·········································································32
1. 사회/인구 구조 변화와 IT산업 ··········································································32
2. 기술변화와 IT산업 ······························································································36
3. 환경/기후 변화와 IT산업 ······················································································42
CONTENTS
4. 경제/산업구조 변화와 IT산업 ············································································44
5. 문화 / 삶의 변화와 IT산업 ················································································46
제 3 장 2020 IT산업 변화상 ·············································································· 48
제 1 절 2020 6대 키워드 ··························································································48
1. Smart化 : Human Centric IT로 진화 ·································································48
2. Convergence와 Divergence의 공존 시대 ··························································51
3. 융합과 창의력 기반 사회 ·····················································································53
4. 소셜 네이티브 : 새로운 부족의 시대 ·································································55
5. 힘 있는 개인이 여는 IT DIY 시대 ···································································57
6. 협업지성 ·················································································································60
제 2 절 키워드에 따른 IT 미래상 ···········································································62
제 4 장 IT산업 변화의 지향점 ············································································· 64
제 1 절 IT산업의 이상적 미래상 ··············································································64
1. 성숙한 사회로 이끄는 IT ·····················································································64
2. 국가 생산성을 제고하는 IT ·················································································65
3. 일반인이 혁신주체로 부각되는 IT ····································································65
4. 인간 중심의 IT ······································································································66
제 2 절 IT 변화상과 이상적 미래상 ·········································································67
CONTENTS
제 5 장 이상적 IT 미래상을 위한 전략 과제 ··················································· 68
제 1 절 국내 IT산업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68
1. 국내 IT산업 현황 ··································································································68
2. 국내 IT산업의 기회 요인 ·····················································································72
3. 국내 IT 산업의 위협요인 ·····················································································76
제 2 절 5대 전략 과제·································································································81
1. 창의력을 키우는 미래 교육 ·················································································81
2. 본원적 경쟁력을 살린 신시장 창출 ···································································81
3. SNS 활용한 생태계 조성 ····················································································82
4. 디지털 나랜스, 글로벌을 누벼라! ·······································································82
5. 역동적 국민성, 모바일에서 꽃 피운다 ·······························································84
CONTENTS
<표 목차>
[표 1] 연구내용 개요··············································································································3
[표 2] 전문가 인뎁스 인터뷰 개요·······················································································8
[표 3] 정보화 사회와 미래 사회·························································································10
[표 4] 저출산/고령화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12
[표 5] 다민족/다문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4
[표 6]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14
[표 7] 사회적 책임 증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5
[표 8] 스마트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7
[표 9] Eco Friendly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8
[표 10] Reality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9
[표 11] 통합과 다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0
[표 12] 기후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2
[표 13] 에너지 자원 고갈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22
[표 14] 국제 환경 규제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3
[표 15] 경제 패러다임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4
[표 16]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5
[표 17] 제조 생산 방식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6
[표 18] 개방성 증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6
[표 19] 소비자 중심주의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8
CONTENTS
[표 20] 사회 참여 확산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29
[표 21] 체험/감성사회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9
[표 22] 삶의 질과 여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30
[표 23] 이상적 IT 미래상 도출 전문가풀··········································································62
[표 24] 이상적 미래상과 IT 7대 변화상············································································65
CONTENTS
<그림 목차>
그림 1 2020 메가트렌드 연구 목표 ···················································································2
그림 2 연구방법론··················································································································5
그림 3 STEEP 분석방법론 개요··························································································6
그림 4 본 연구에 적용된 5대 거시환경 ············································································6
그림 5 Futures Wheel 분석 방법론 개요 ·········································································7
그림 6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9
그림 7 국내 출산율 변화와 향후 인구 변화 추이 ·························································11
그림 8 고령화에 따른 국내 인구구조변화 전망 ·····························································12
그림 9 한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추이 ··············································································13
그림 10 사회/인구 구조변화의 STEEP 분석····································································16
그림 11 그린 IT 주요 영역·································································································18
그림 12 기술변화의 STEEP 분석······················································································20
그림 13 환경/기후변화의 STEEP 분석 ···········································································23
그림 14 경제/산업구조 변화의 STEEP 분석····································································27
그림 15 문화/삶의 변화의 STEEP 분석···········································································31
그림 16 사회 인구구조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35
그림 17 M2M 커뮤니케이션 구현도 ················································································37
그림 18 각국의 그린 관련 재정 투자 ··············································································39
그림 19 비디오월 이미지····································································································40
CONTENTS
그림 20 기술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41
그림 21 환경/기후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43
그림 22 경제/산업구조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45
그림 23 문화/삶의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47
그림 24 개인정보 통신기기 부문 시장 전망 ··································································49
그림 25 미래 디스플레이의 변화상···················································································51
그림 26 애플과 MS의 시가 총액 역전··············································································53
그림 27 국가별 트위터 이용자 비율·················································································56
그림 28 IT키워드와 추상화한 IT미래상 ···········································································60
그림 29 국내외 IT 시장 규모 및 추세 ············································································66
그림 30 시가총액 TOP 10 IT 기업의 변화 ····································································67
그림 31 국내 IT산업 구조 ·································································································68
그림 32 IT산업의 GDP 기여율···························································································69
그림 33 국내 IT산업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78
제1장 서론
1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글로벌 경기 둔화세와 더불어 IT산업의 시장 성숙, 공급과잉 등으로 수익성이
저하되고 성장률이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IT산업의 성장
둔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거
와 같은 Catch-up 전략으로는 한계가 분명한 상황이다.
그동안 국내 IT산업은 IT 인프라 강국이란 찬사 속에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많
은 기여를 해왔다. 하지만 갈수록 IT강국으로서의 입지는 약화되고 있으며, HW
를 제외한 여타 IT산업 분야에서는 글로벌 시장과의 격차가 줄지 않고 있다. 더
불어 산업 내에서의 IT활용도 역시 만족만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전 세계 IT시장은 스마트폰과 앱스토어로 대표되는 새로운 트렌드가 등
장하면서 IT산업은 물론 일상생활을 크게 바꿔놓고 있다. 또 그 과정에서 기존
시장질서와 산업 생태계 역시 크게 변화하고 있다. 각계의 전문가들은 글로벌 시
장의 변화 폭과 속도는 점차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등 미래에 대한 사전
준비와 대응 전략 마련은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미래 사회의 변화 방향과 그 방향에 따라 IT산업의 변화 요소와 기여 요소에
대한 접근과 연구는 IT산업계는 물론 국가적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할 문제다.
IT산업을 장기적인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유지하고, 변화 속도가 매우 빠른 IT산
업의 특성에 맞는 정책 방향 및 목표 설정이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
문이다. 또한 우리나라가 미래 선진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미래 산업예측과
국내 IT산업의 특성이 반영된 장기적인 예측 기반하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지원과 육성이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기 수행된 연구 결과물들은 세부적인 기술 중심의 기술예
측에 그치거나, 인구/환경 문제 등 거시적 변화요인을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다.
다양한 거시적 요인에 따른 미래 변화상 등은 비교적 풍부한 접근이 이뤄졌지만,
IT산업을 중심에 둔 심층적인 접근은 매우 드물었다.
2020 IT 메가트렌드
2
이번 연구는 이러한 기존 문제점을 개선하고 손에 잡히는 결과물을 통해 5년
뒤, 10년 뒤 우리 IT산업의 청사진 제시를 위해 기획 및 설계됐다. 연구는 크게
2가지 핵심 주제로 설계됐다. 미래 변화 메가트렌드와 이런 메가트렌드에 의한
IT산업의 변화상 조망이 한 축이었고, 또 다른 연구 축은 국내 IT산업의 지향점
과 이를 위한 전략과제 도출이었다.
그림 1 2020 메가트렌드 연구 목표
제1장 서론
3
제 2 절 연구 내용
글로벌 메가트렌드를 기반으로 한 국내외 IT산업 변화상을 살펴보고, 이상적인
IT미래상과 이를 위한 전략과제 도출을 위해 연구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설계했
고, 각 단계마다 연구 내용을 세분화했다.
IT산업 변화상을 조망하기 위해 미래 변화 메가트렌드와 IT산업 메가트렌드를
순차적으로 바라보고, 각각의 영역을 사회/인구구조변화, 기술변화, 환경/기후
변화, 경제/산업구조 변화, 문화/삶의 변화 등 5개 영역으로 세분화해 살펴봤다.
5가지 세부 영역들은 미래 거시 환경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STEEP의 각 영역을
본 연구에 맞게 변형한 항목들이다.
구분 내용
IT산업 변화상
미래 변화
Mega Trend
사회/인구 구조 변화
기술변화
환경 / 기후 변화
경제 /산업구조 변화
문화 / 삶의 변화
Mega Trend와
IT 산업
사회/인구 구조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기술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환경 / 기후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경제 /산업구조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문화 / 삶의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IT산업
전략과제
국내 IT 산업
지향점
전문가들이 제시한 이상적 IT 미래상
이상적 IT 미래상과 IT 변화상 매칭
IT산업 변화상의 이상적 미래상
미래상 구현을
위한 전략 과제
국내 IT산업의 기회요인 / 위협요인
전략과제
[표 1] 연구내용 개요
IT산업 전략과제 도출을 위해서는 전문가 인뎁스 인터뷰를 통해 이상적인 IT
미래상 도출을 우선 진행했다. 전략과제 도출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2020 IT 메가트렌드
4
할 지향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각계 전문가들을 통해 국내 IT산업이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IT 미래상을 들어봤고, 이를 전 단계에서 도출한 IT 변화상과 매칭
을 통해 각각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들을 살펴봤다. 이 과정에서 각계 영역의 전
문가 10여명 이상을 심층 인터뷰했다. 전문가는 IT 영역을 비롯해 비 IT 영역의
전문가를 망라해 이들의 깊은 통찰력과 미래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모두 수용
할 수 있도록 했다.
제1장 서론
5
제 3 절 연구 방법론
본 연구에서는 크게 3가지 연구 방법론을 적용했다. 우선 미래변화 메가트렌드
를 살펴보는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거시 환경 분석 기법인 STEEP 분석1)
을
이용했다. STEEP 분석을 통해 도출된 메가트렌드를 IT산업과 매칭하는 연구에서
는 최근 들어 널리 사용되는 미래 연구 기법인 Futures Wheel2)
기법을 활용해
다양한 시각을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국내 IT산업이 지향해야할 국내 IT산업
지향점을 살펴보는 단계에서는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행했고, 구체적인 전
략 과제 도출에서는 전문가 인터뷰와 각종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메타 분석을
병행했다.
그림 2 연구방법론
1) STEEP 분석은 산업 내의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거시적 환경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로 본 연구에서는 2020년 미래 변화를 가져오는 거시 환경 분석에 적용
2) 사회 Trend와 특정 사건들이 가져오는 2차, 3차 영향과 그 결과를 밝히는 방법론. 미래 관련 질문과 생각들을
조리 있게 정리하는 것으로 토론과정을 구조화해 앞으로 다가올 잠재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가능성, 시
장, 상품, 서비스들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
2020 IT 메가트렌드
6
1. STEEP
STEEP 분석은 미래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먼저 그것을 둘러싼 사회
적·기술적·경제적 영역의 환경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시
적 환경요인이 무엇인지를 유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STEEP 분
석은 통상 사회(Society), 기술(Technology), 경제(Economics), 생태( Ecology), 정
치(Politics)와 같은 다섯 영역으로 분류해 영향력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각각의
환경적 특성을 정의 및 이해하고, 중요한 동향과 이슈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정확
하고 객관적인 미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림 3 STEEP 분석방법론 개요
본 연구에서는 STEEP 분석의 기존 5가지 영역을 다음과 같이 변형해 연구 목
적에 부합하는 결과물이 도출되도록 했다.
그림 4 본 연구에 적용된 5대 거시환경
제1장 서론
7
2. Futures Wheel
퓨처스 휠 기법은 미래 관련 질문과 생각들을 손쉽고 조리 있게 정리하는 방
식이다. 즉,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토론 과정을 구조화한 것으로 미래 트렌드나
앞으로 도래할 잠재성 있는 사건을 중심에 놓고, 중앙부터 바퀴모양으로 점차 생
각을 확장해 나간다. 일차적 영향이나 결과물들로 첫 번째 고리를 만들고, 2차
영향과 결과물들은 두 번째 고리를 이어나간다. 이런 방식으로 계속해서 영향들
과 결과들이 고리의 형태로 겹겹이 새겨나가다 보면 사회 트렌드나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결과들을 논리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퓨처스 휠 기법은 STEEP 분석을 통해 도출된 거시 환경 변화
의 트렌드들이 IT산업에서는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화하는데 사용
됐다.
그림 5 Futures Wheel 분석 방법론 개요
3. 전문가 In-Depth Interview
전문가 인텝스 인터뷰는 미래의 환경 및 패러다임 변화와 이슈를 파악을 위해
2020 IT 메가트렌드
8
각계 영역의 저명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도 있는 질의 응답을 진행하는 기법으
로 바람직한 미래 IT상 도출에 적용했다. 전문가들은 각 산업별 영역별로 세분화
해 다양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했고, 사전에 특화된 질의서를 전달해 심층
적인 내용을 도출할 수 있도록 진행했다.
다양한 전문가를 통해 깊이 있는 통찰력과 미래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수용
할 수 있었으며, 실질적인 사례들을 통해 산업에 미치는 영향, 파급력 현황 및
전망, 미래의 전략적 정책 등 폭넓은 분야의 다양한 논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구분 내용
대상 선정기준 국내외 IT전문가 가운데 분야별 할당을 통해 선정
인터뷰 방법 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에 의한 전문 연구기자의 직접 방문 인터뷰
인터뷰 인원 12명
[표 2] 전문가 인뎁스 인터뷰 개요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9
제 2 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제 1 절 글로벌 미래 트렌드
향후 미래 사회는 IT를 비롯하여 융합기술의 급격한 발전, 기후와 에너지를 비
롯한 글로벌 수준의 중요 이슈의 대두 등으로 지난 어느 때보다 변화 폭과 속도
가 빠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유엔을 비롯하여 OECD, 선진국의 주요 미
래기관, 국내 연구기관에서는 역사상 유래가 없을 정도로 사회 전반의 변동이 크
게 일어나고 다양한 기회와 함께 해결해야 할 위험 요소가 공존하는 시기로 전
망하고 있다. 불과 몇 년 내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사회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세계는 그동안 채집/수렵 경제에서 농경 사회를 거쳐 산업 사회, 정보 사회로
진화해 왔다. 미래사회에서는 정보사회 이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세상
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다가올 미래에서는 이성보다는 감성이나 상상력 등
이 크게 부각될 것으로 보여 사회의 핵심가치 역시 변모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림 6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
자료 : 김진화, e-비즈니스의 현신과 미래 변화, 2010
지금까지 사회적 요구나 사회적 가치가 개인의 의사결정을 결정짓는 주요 동
기였으나, 다가올 미래사회에서는 개인적 성장이나 도전기회가 주요 동기로 작동
2020 IT 메가트렌드
10
할 것이며, 상상력이 뛰어난 사람이 좋은 인재로 평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구분 산업 사회 정보 사회 향후
조직 계층, 서열 기업 네트워크
동기 물질적 요구, 안정 사회적 요구, 가치 개인적 성장, 도전기회
좋은 직장 물리적 근무 환경 좋은 사회적 관계 좋은 상상력 환경
좋은 인재 안정적인 숙련 노동자 충성도가 높은 인재 상상력이 풍부한 인재
제품선택기준 저렴한 가격, 사용 편의성 이야기 있는 제품, 브랜드 개인적 촉각, 선택
이상형 백만장자 이야기꾼 상상력이 뛰어난 사람
[표 3] 정보화 사회와 미래 사회
자료 : 전문가 인터뷰 재정리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1
1. 사회/인구 구조 변화
가. 저출산/고령화
우리나라 사회/인구 구조변화에서 가장 큰 미래 이슈는 저출산/고령화로 압축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한 성장 잠재력 저하 및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사회
적 비용 증대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높다. 저출산은 단지 인구 감소에 그치지 않
고, 인구구조의 기형화를 초래하고, 다양한 2차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당장 여
성의 경제활동 확대,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등이 급진전될 2차 영향으로
꼽히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국내 총인구는 1990년대 후반 이후 저출산
기조로 인해 인구성장이 정체되고 있으며, 2018년 4,934만 명을 정점으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생산가능 인구의 경우 이보다 빠른 2016년
3,619만 명을 정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3)
그림 7 국내 출산율 변화와 향후 인구 변화 추이
자료 : 통계청, 향후 10년간 사회변화 요인분석 및 시사점, 2009
고령화의 경우 보건복지부 자료에 의하면 국내 노인인구는 2026년경 전체 인
구의 20%가 65세를 넘어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2050년 이전에 국내 인구
가운데 50대 이상이 절반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4)
이보다 앞서 그동안
각종 시장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켜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5~10년 내 시
3) 통계청, 향후 10년간 사회변화 요인분석 및 시사점, 2009
4) 보건복지부, 50세 이상 인구구조변화
2020 IT 메가트렌드
12
작될 것으로 보여, 내수 위축 등의 저성장 기조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고령화 서비스 산업’이라는 신규 유망 산업의
부각을 가져오는 서비스 산업의 변화를 촉진하는 요소로도 작용하고 있다.
그림 8 고령화에 따른 국내 인구구조변화 전망
자료 : 통계청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저출산
우머노믹스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및 소비재 구매의 70%를 차지
다문화/다민족 사회 동조화되는 세계 문화
사회적 책임 여성 경제활동 증대로 육아/보육의 사회적 책임 증대
고령화
실버 컨슈머 2020년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인 초고령 사회 진입
안티 에이징 노화 예방 차원의 관리를 위한 투자 증대
평생학습시스템 부족한 인력/ 생산성 유지를 위한 사회적 투자 수요 증대
고령 적합 업무 등장 인력 재교육을 통한 신규 업종 등장
[표 4] 저출산/고령화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다민족/다문화 사회로 진입
저출산으로 인한 절대 인구수 감소 및 생산가능 인구수의 감소는 해외 인력의
국내 진출을 촉진시켜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크게 앞당길 것이다. 이
미 세계 도처는 문화의 생산지, 문화적 다양성을 의미하는 다문화사회, 다문화주
의, 다문화정책, 다문화가정과 같은 ‘다문화’가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다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3
민족 및 다문화 관련 전문가들은 다문화를 이종 문화 융합의 확산과 동조화되어
가는 세계 문화 속에서 이를 추동하는 핵심 트렌드로 평가하고 있다.
그림 9 한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추이
자료 : 행정안전부
다문화 가정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자연스레 습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자라
났기 때문에 단일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문화적 수용력과 이해도
가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측면에서 정치, 경제, 문화 전 영역에서 다
문화 가정 출신 집단(엣지워커, Edgewalker)이 부상하고 있으며, 이들의 영향력
은 더욱 다양한 분야에 파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예컨데 일상적인
서비스 영역을 넘어 다양성 교육이 중요한 영역에서 이들의 능력이 더욱 발휘될
수 있다는 것이다.
2009년 7월 기준 행정안전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은 1,106,884명으로 전체 인구(49,593,665명)의 2.2%에 달하며, 2008년 891,341명에
서 1년 새 24.2%(215,543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의 경우 2008년
14.4만 세대에서 2030년에는 53.8만 세대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5)
이외에 농림수산식품부가 조사한 ‘2020년 다문화 자녀와 이주여성농업인 전망
치’에 따르면 2020년 19세 미만 농가인구 중 다문화 자녀가 차지하는 비중은
4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6)
5) 행정안전부,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조사 결과(2009.7)
6) 다문화 가정의 증가는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 미국 인구센서
2020 IT 메가트렌드
14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민족/다문화
글로벌 2.0 경제활동이 다문화 속에서 글로벌화
다문화 운동 글로벌 시장의 구매력 증대를 위한 활동 강화
엣지워커 다문화 가정 출신 집단의 부각
다문화 신규 직종 등장 다문화 교육전문가, 세계시민문화 전문가 등
[표 5] 다민족/다문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새로운 교육 시스템
인구 변화에 파생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변화로 사회의 고학력화 및 평생교육
의 확산을 들 수 있다. 고령화 추세, 다양한 직업군 등장 및 세분화, 노동시장이
점차 탄력적으로 변화하면서 평생교육, 평생학습사회의 도래가 전망된다. 홈스쿨
링, 계약제학교(Charter school)7)
등 다양한 형태의 대안학교가 등장할 것으로 예
상되며, 대안적 교육 기회의 증가에 따라 네트워크 학습사회(network learning
society)의 등장도 전망된다. 이는 기존 공급자 중심의 교육시스템에 대한 불만과
교육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학교를 뛰어넘어 학습 네트워크의 형성을 촉진하게
될 것이며, IT기술은 이러한 광범위한 네트워크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
상된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새로운 교육
시스템
학교 2.0 디지털 세계에서 살아갈 것을 염두에 전제로 한 新 교육
대안학교 공교육의 약화와 다양한 형태의 대안학교 활성롸
네트워크 학습사회 학교를 뛰어 넘어 IT 기반의 학습 네트워크 형성
평생교육 다양한 형태의 재교육 기회 제공
[표 6]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사회적 책임 증대 및 스마트 SoC 확대
스에 의하면 미국내 다문화 가정 인구수는 520만 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0
년 센서스 조사 결과와 대비하면 33% 증가한 수치다.
7) 교육여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공교육의 대안으로 지역과 관할기관과의 계약에 의해 운영되는 학교로써 학부모
와 약속한 교육성과를 달성하지 못할 때 계약취소 등의 책임을 지게 됨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5
사회 시스템 부분에서 미래 사회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상황인지 기술의 진
화로 모든 서비스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지원하는 환경과 자연재해 및 인적 재난
을 사전에 감지해 국민의 복지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든 서비스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지원하고 개인 평생 정보를 집적해 신체처럼 이용할 수 있는
u단말의 등장하고, 공간적 치안 서비스가 개인에 특화된 경호 서비스로 확대되
는 등 개인에 특화된 서비스의 확대가 나타날 것이다. 평생교육 시스템과 더불어
언제 어디서나 교육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학습자 중심의 지능형 교육 시스템
등도 보편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 복지가 크게 증대되는 만큼 정부의 책임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각종 범죄 및 테러가 과학기술 진보에 따라 글로벌화되고 갈수록 사이버화
되면서 초국가적 범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강력해질 것으로
보인다. 맞춤형 개인 서비스 확대와 IT 인프라의 클라우드화로 개인 사생활 정보
유출 가능성이 증가하고, 현실과 가상세계를 넘나드는 환경 구현으로 가상공간
범죄 급증하는 것도 사회적 책임을 더욱 크게 하고 있다. 국민의 풍요로운 문화
생활 보장 욕구, 국민의 학습권, 학습복지 보장, 국민의 건장 증진 의무 등에 국
민적 요구는 증대될 것이 분명해 국가의 의무는 증대되는 시대가 될 것이다. 정
부 차원에서는 국민과의 효율적인 소통 필요성 증대로 전자정부 시스템의 활용
과 지능화 요구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책임
스마트 SoC
U 단말 개인정보를 신체처럼 이용할 수 있는 환경구현 단말
개인 경호 서비스 치안 서비스가 개인에 특화된 서비스로 진화
초국가 범죄 범죄의 글로벌화&사이버화
스마트 SoC 국민의 복지를 증진하는 형태의 사회 기반 시스템 확대
[표 7] 사회적 책임 증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마. 소결
사회/인구 구조변화에서는 우선 저출산, 고령화를 통해 실버 컨슈머의 등장과
이들을 타깃으로 한 고령화 상품과 특화 서비스의 등장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
2020 IT 메가트렌드
16
인구감소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외국인 노동자의 확대와 이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다민족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평생
학습, 다문화 운동, 대안 학교의 확대 등이 나타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가 점차 초국가적 범죄의 위험에 노출되고 각종 개인 정보의 노출 가능성
이 커짐에 따라 국가의 사회적 책임은 증대되고 각종 국민 복지와 후생을 지능
화된 시스템을 통해 구현하는 스마트 SoC의 확대가 나타날 것이다.
그림 10 사회/인구 구조변화의 STEEP 분석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7
2. 기술변화
가. SMART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화는 기기의 인공지능이 강화되고 사람이 중심
이 된 제품, 기기, 서비스의 등장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를 비롯해 전
세계적 핵심 키워드로 부각된 스마트폰은 센스+터치+위치 인식 등으로 구현돼
매우 인간적인 제품이란 평가를 듣고 있다. 또 일부에서는 상당 수준의 휴먼터치
를 통해 인간의 의도를 해석하는 기술을 다수 구현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휴먼 인터페이스는 향후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되며, 2020년에는 키보드
를 대체할 인터페이스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령, 손가락 움직임이나 눈
깜박임, 인간의 언어 등으로 작동하는 인터페이스들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
인공지능 사람이 중심이 된 똑똑한 제품과 기기의 확대
인간과 소통 사용자를 인지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
집단지성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 집단 지능 구현
M2M 커뮤니케이션 기기간 소통으로 만물지능통신
[표 8] 스마트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Eco Friendly
미래 사회에서는 친환경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면서 환경 친화적인 기술이
크게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청정생산 기술, 환경지능기술, 전통산업의
친환경화를 지원 기술 등의 부각이 예상된다. 청정 생산기술에서는 환경 친화적
인 제품설계, 청결공장, 바이오에너지 관련 기술, 신재생 에너지 등을 중심으로
활발한 기술경쟁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 지능기술에서는 그린가전, 환경복원 시스템, 친환경 재료/소재 기술 등이,
전통산업의 친환경화 영역에서는 친환경 자동차나 항공기, 그린 시티, 초저전력
기기 등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2020 IT 메가트렌드
18
그동안 그린 IT는 소비 전력 절감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이룰 수 있
는 제품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최근 들어 이른바 그린SW8)
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림 11 그린 IT 주요 영역
자료 :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9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Eco
Friendly
그린가전 일상속에 파고드는 친환경 기술 트렌드
청결공장 환경 친화적 제품 설계 및 청결공장의 등장
친환경자동차 전통산업의 친환경화
[표 9] Eco Friendly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Reality
리얼리티 구현을 위한 접근은 모든 기기에 IP와 네트워크 센서가 부착된 유비
쿼터스 환경 구현을 통한 빈틈없는 연결성(Seamless Connectivity) 보장으로 구
8) 그린 SW는 저탄소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서비스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9
체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모든 디바이스간 콘텐츠 공유를 구현하고, 가상/증강
현실 기반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얼리티를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원격
진료, 텔레프리젠스(TelePresence) 등은 가장 대표적인 증강현실 모델로 꼽히며,
가상공간의 가치증대9)
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Reality
가상현실 원격진료, 텔레프리젠스의 상용화
차세대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에이, 비디오 월의 구현
커넥션 IP와 네트워크 센서의 결합
[표 10] Reality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통합과 다변화
미래 사회에서는 각종 산업의 통합과 다변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시대가 될 것
으로 전망된다. 실제 유무선 인터넷이나 방송 등은 하나로 융합돼 방송사라는 용
어가 생소해질 수도 있을 것이며, TV라는 디스플레이는 존재하겠지만 방송을 시
청하는 디바이스는 매우 다양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를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보는 환경에서 일방적인 독주
보다는 디바이스간 상호 보완적인 모습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마치 현재 유
선전화도 존재하고 무선 전화기도 존재하는 방식이 이와 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컨버전스가 큰 축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동안 다변화 역시 중요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복합적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등장하는 동시에 단순화된 단말기(PMP, e북
등)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동시에 범용 이동 단말기와 함께 특정 용도의 이동
단말기가 별도 출시될 것이다.
9) 가상공간의 가치 증대에 따른 가상경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두고 비추얼노믹스(Virtualnomics)
라 일컫음. .
2020 IT 메가트렌드
20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통합과 다변화
Convergence 디스플레이+커뮤니케이션+센서의 결합
Divergence 특정 용도 단말기 등장
Mobility Foldable&Slim, Design Freedom, Wearable 기기
[표 11] 통합과 다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마. 소결
기술변화 부문에서 가장 큰 키워드는 스마트라 할 수 있다. 각종 IT기기 및 단
말기가 스마트화를 통해 인공지능이 강화되고 보다 인간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모습을 진화해 가고 있다. 디바이스 및 단말기의 진화는 증강현실 등의 연관 산
업의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환경 친화 및 환경 관리 기술은 친
환경이라는 거대 명제로 인해 지속적인 개발과 확산이 예상되며, 갈수록 인공지
능과 자동화되는 스마트의 흐름과 동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2 기술변화의 STEEP 분석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1
3. 환경/기후 변화
지난 100년 동안 지구의 온도는 0.74℃상승했고, 이런 추세로 온도 상승이 나
타날 경우 2020년경에는 야생동물 중 온도변화에 민감한 개구리, 뱀 등 양서/파
충류가 멸종하고 적게는 4억 명, 많게는 17억 명이 물 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전
망되고 있다. 또한 지구의 온도가 섭씨 1도 상승하면 국내 5대 전염병 발생률
4%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는 국내외 환경 변화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국내 5대 질환 진료비가 2005년 70억 2700만원에서 2007년에는
77억 8900만원으로 증가했고, 갈수룩 그 비용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환경/기후 변화로 인해 북극 빙하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해 얼음으
로 뒤덮인 면적이 460만 ㎢로 하락(2007년: 430만 ㎢, 2008년: 470만 ㎢)으로 가
파른 빙하 감소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평균하면 32년 후면 얼음이 없는 북극
해가 될 것이며, 심한 경우 11년 후에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런 배
경에서 북극 자원을 겨냥한 군사적 접근 가능성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가. 기후변화
기후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친환경 재료/소재, 신재생 에너지 등 새로운 환경
시장의 대두가 예상되며, 청정생산 기술의 등장으로 산업구조가 친환경으로 변환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친환경 자동차, 친환경 항공기, 차세대 선박이라 일컬
어지는 그린쉽(Green Ship), 친환경 에너지 플랜트, 그린 시티 등이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전통적 산업 구조가 친환경적으로 변모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
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환경오염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생산기술인
청정생산기술 등장해 제품의 설계단계부터 저공해, 저폐기물, 리사이클링, 에너지
효율 등이 고려된 환경 친화형 제품 설계 기술 등이 포함될 것이다. 과거 오염물
질 배출원이자 청결치 못한 공간으로 인식됐던 공장이 환경 친화적이고 청결한
개념(청결 공장)으로 변모된다. 이를 통해 공장 내 전 공정이 청정화 된 환경 친
화적 프로세스 및 공간으로 변모하게 된다.
2020 IT 메가트렌드
22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그린시티 온난화 가속을 막기 위한 범사회적 접근 강화
빙하 감소 남북극 선박여행 및 북극 영토 전쟁
친환경 산업 패러다임이 친환경화
[표 12] 기후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에너지 자원고갈
에너지 자원고갈에 대한 위기감으로 에너지원의 다양화 및 신재생에너지, 바이
오 기반 에너지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질 것이다. 향후 50년간 경제 성장 및
인구 증가로 에너지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문제
에 대한 관심 증대로 풍력, 지열, 태양에너지, 바닷물 등 생물연료의 부각이 예상
된다. 화석 에너지 사용절감을 위한 대표적 해결방안으로 신재생 에너지 개발 가
속화와 BT 기반의 에너지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다. 식물이나 미생
물들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바이오매스의 다양화 및 이를 활용한 수소 에너
지 원천 확보 기술이 대표적이다. 산업 환경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으로 BT/ET/
융합기술의 진화가 가장 효과적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 자원
고갈
바이오매스 친환경 에너지원 개발
태양 전력위성 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 경쟁
BT 융합 산업 환경 문제 해결책
[표 13] 에너지 자원 고갈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국제 환경 규제
유독성 물질의 사용금지 및 재활용을 염두에 둔 설계를 의무화하는 그린 생산
등 생산, 물류 등 전 영역에서 친환경 요구가 급증하며, 그린 인증, 그린 조달 등
관련 산업이 활기를 보일 것이다. 그린 생산, 친환경 물류 서비스, 그린 인증제
도, 그린 조달 등 환경 규제가 생산 및 유통망 전 영역으로 확산되며, 새로운 무
역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3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국제 환경
규제
그린SCM 공급망 관리의 친환경화
그린 생산 친환경 제품 표준의 확대
환경 장벽 새로운 무역 장벽으로 대두
[표 14] 국제 환경 규제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소결
환경/기후 변화는 환경재해에 대한 우려와 자원고갈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생
태계 보호하는 전 지구적 차원의 메가 트렌드로 그 영향력이 갈수록 커질 것으
로 전망된다. 에너지 소비 증대와 물 부족 현상이 심회되면서 국제 환경 규제는
강화가 불가피하며,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문제가
대두될수록 그린생산, 그린인증 등 신규 환경 산업의 부상이 예상된다.
그림 13 환경/기후변화의 STEEP 분석
2020 IT 메가트렌드
24
4. 경제/산업구조의 변화
가.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과거 G7 선진국 10억 명 가량이 견인하던 세계경제가 점차 신흥개도국이 참여
하는 G20 40억명의 新경제질서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미 경제 성장축이 ‘+30억
신흥시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각국 GDP 통계에서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로 올라섰으며,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의 Global Trend 2025
전망에 따르면 중국은 2030년 즈음해서 미국 GDP 규모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
고 있다.
한편 경제시스템 내 윤리 문제의 부각, 삶의 질 등을 포괄하는 새로운
GNP/GDP 개념이 등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으며, 공기 해양 등 글로벌
공유재를 보존하기 위한 국가간 노력 등도 주요한 변화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
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경제 패러다임
변화
리버스 이노베이션 경제 성장 축이 선진국에서 개도국의 이동
글로벌 2.0 글로벌화의 강화 및 보편화
Born Global 기업 출발부터 글로벌라이제이션 시도
[표 15] 경제 패러다임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지식기반 경제 및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
개인의 창의성, 기술, 재능 등을 이용해 지적재산권을 설정하고, 이를 활용해
소득과 고용을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대두와 함께 핵심 역량에 집중하는 사업 모
델의 재정의가 이뤄질 것이다. 또한 제조업의 핵심 기능이 조립가공에서 디자인
/서비스로 이동하는 추세가 강화되며, 궁극적으로 물건은 무료, 서비스를 판매하
는 형태의 사업모델의 확산될 것이다.
기술 차별화의 어려움으로 브랜드를 제외한 다른 가치 사슬은 아웃소싱해 생
산 시설 없는 제조업의 등장하게 되고, 구매 정보 등 기업 자산을 파트너와 공유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5
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종추종 전략의 확대가 이뤄진다. 이와 함께 가상 글로
벌 비즈니스 경영 역량 확보를 위한 전략 기획, 원격 프로젝트 관리 등 고부가가
치 신규 직업군의 등장하게 되며, 경험 가치를 중시하는 기업 전략, 가령 라이프
스타일을 파는 기업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이 유효하게 될 것이다.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과정에 외부인의 참여를 통해 혁신을 유도하는 클라우드
소싱의 확대와 다양한 영역에의 접목되며, 집단지성 활용 증대와 집단지성 기반
의 집단 기업의 등장한다. 사회운동 강화로 윤리경영, 환경 경영 등 기업의 사회
적 책임성 증가하게 되며, 시장을 창조 또는 선점한 기업이 성과를 독식하는 수
확체증 경제의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
클라우드 소싱 개발과정에 외부인의 참여를 통해 혁신을 유도
위키노믹스 집단지성의 활용 증대
창조경제 상상력과 아이디어가 최대 경쟁력 시대
[표 16]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제조 생산 방식의 변화
생산 단계 아웃소싱의 보편화로 개도국의 생산기지화 가속된다. 이는 가치사슬
에서 생산 공정 이외 중요성이 증대해 고부가가치 서비스 영역의 확대, 이로 인
해 인프라 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IT/NT 등의 발달로 초정밀 가공의 필요성, 맞춤형 다품종 소량 생산 확대, 무
공해 첨단 생산공정에 대한 수요 확대로 마이크로 공장 및 화이트칼라 생산직
증가한다. 기존 제조업과 차별화되는 소프트화의 확대로 디지털 기술과 창조산업
의 부각되고, 상품 기획, 생산, 유통 단계에 소비자가 참여하는 CEO형 소비자의
등장하게 된다.
2020 IT 메가트렌드
26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제조/생산
방식의 변화
글로벌 아웃소싱 개도국의 생산기지화 가속
마이크로 공장 소수 엔지니어 중심의 기술 집약적 공장
CEO형 소비자 제품 기획, 생산, 유통 전 단계에 소비자가 참여
[표 17] 제조 생산 방식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개방성의 증대
인터넷을 통한 전 세계의 통합이 한층 강화되는 글로벌 2.0 시대로 진입하게
되고, 글로벌화가 강화되는 과정에서 지역 중심의 글로벌화가 촉진돼 지역 블록
경제의 강화된다. 선진국의 투자 매력 감소와 동시에 개도국의 투자 증대로 신흥
개도국의 약진이 나타난다. 범용 기술에 의한 무선망 개방과 유무선 인터넷의 통
합이 나타나, LCD 전광판, PACS, 모바일 단말기 등을 통해 클라우드와 교신해
정보 공유가 이뤄지며, 수많은 OS가 각종 기기에서 글로벌 범용 OS로 통일화
되는 시기가 될 것이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개방성
증대
글로벌 2.0 한층 강화된 글로벌라이제이션
오픈 플랫폼 오픈 네트워크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정착
Convergence 범용 기술에 의한 각종 기술과 기기의 통합
[표 18] 개방성 증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마. 소결
경제/산업구조의 변화는 경제 구조 소프트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양극화와 저
극화가 동시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들이 제품 정보에 상시적으로 접
근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면서 소비자중심주의가 크게 강화될 것이다. 또한 기
술 차별화의 어려움으로 브랜드를 제외한 다른 공정은 아웃소싱 형태로 운영하
는 이른바 생산시설 없는 제조업이 등장하게 되고, 구매 정보 등 핵심 기업 자산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7
을 파트너와 공유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종추종 전략의 확대가 전망된다. 다문
화 시대로의 진입은 경제/산업 구조에도 문화 보편적인 상품의 가치를 높일 것
으로 보이며, 세계성과 지역성의 적절한 결합 능력과 지식 콘텐츠 생산 능력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4 경제/산업구조 변화의 STEEP 분석
2020 IT 메가트렌드
28
5. 문화 /삶의 변화
가. 소비자 중심주의 문화
소비자가 가격정보, 제품평가, 사용 후기 등 관련정보에 항시 접근 가능함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권 강화가 나타나는 소비자 중심주의(consumerism) 부상한
다. 기존 오프라인으로 거래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온라인 참여 확
대에 따라 소비자가 거의 동일한 정보를 파악, 소비자들의 모니터링 기능 강화로
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CEO형 소비 트랜드가 나타나 상품의 기획 단계부터 소비자의 참여
보편화, 생산자와 소비자의 동반 마케팅 전략 확산이 예상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소비도 확산될 것이다. 이성적 소비와 감성적소비의 결합돼 다양한 소비군과 트
랜드의 복합화 현상이 나타나며, 소비 패턴 역시 소유에서 체험 중심으로 이동될
것이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중심주의
파워 컨슈머 상시적인 정보 접근성으로 강력해진 소비자 파워
하이브리드 소비 이성소비+감성소비, 다양한 소비군과 트랜드의 결합
트라이슈머 체험을 중시하는 소비 풍토 확대
[표 19] 소비자 중심주의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사회적 참여 확산
IT 기술발달로 빠르고 정확하고 광범위한 의사결정 가능해짐에 따라 개인화된
정치참여, 자발적 참여가 확대된다.
개방적 시스템, 민주화, 쌍방향 미디어, UCC 공유 사이트 등은 보다 많은 사
람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를 유도하며, 갈수록 확대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집단지성 시대의 도래는 의사결정에 필요한 지식을 즉각 얻을 수 있게 하여 의
사결정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전망이다. IT 네트워크 및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통한 민족간 이해 및 문화적 교류 증대가 예상된다.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9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참여
확산
민주주의 2.0 쌍방향 미디어 등으로 정치 참여 확대
집단 지성 다양한 의견 취합 및 의사 결정의 향상
[표 20] 사회 참여 확산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체험/감성 사회
시각 언어 사용 일상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확산은 ‘아이코닉(Iconic)’ 문화
확대로 이성보다 꿈과 감성이 중시된다. 이미지 음향 문자 신체 조형 미각 촉각
등 다양한 감성 정보가 핵심요소로, 문자 메신저에서 플래시콘 사용과 동영상 메
일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시장의 확대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
된다.
가상체험 및 감성적 교감도 중시된다. 자신을 대신하는 아바타를 통한 세컨드
라이프 생활 확산 → 아이코닉 사회가 되며,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의 진화․
발전에 따라 개인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망이 점차 고도화 → 개인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상당한 정보의 생산 및 유통능력을 갖추게 됨에 따라 ‘힘 있는 개인’의
등장하게 된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체험/감성
사회
아이코닉 사회 문자 대신 디지털 이미지 중심의 사회
가상 체험 가상공간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를 중시
힘있는 개인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영향력이 큰 개인의 등장
[표 21] 체험/감성사회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삶의 질과 여가
건강, 레저, 웰빙 등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가해, 원격진료 확산, 온라인 의료
정보 시장 등장 예상되며, 환자와 의사간의 정보의 비대칭성이 점차 완화될 것으
로 전망된다. 일과 여가의 결합(Labortainment)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4D 체험
2020 IT 메가트렌드
30
공간 확산이 예상된다.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재택근무지원시스템 신규 수요 발생한다. 이미 급속한
스마트폰 네트워크화로 모바일 오피스 시장 급성장하고 있다. 2013년까지 연평균
6%의 성장률이 전망(IDC)되며, 국내에서도 정부가 202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를
2005년 대비 4% 감축 목표를 설정함에 따라 저탄소 업무환경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원격근무 도입률은 2005년 기준 전체 사업자의 0.7%이며, 공공부
문 도입률은 2.4%로 나타나 향후 적극적인 투자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삶의 질
레어버테인먼트 일과 여가의 결합
스마트오피스 자유로운 업무 환경 구현
Me Generation 자기애가 강한 세대의 등장
[표 22] 삶의 질과 여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마. 소결
문화/ 삶의 변화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가 제
품 생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중심주의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각종 제품 정보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힘있는 개인이 등장하면서 이들이 직
접 제품의 기획과 생산, 유통에 참여하는 CEO형 소비자의 등장도 예상된다.
IT 기술발달로 빠르고 정확하고 광범위한 의사결정 가능해짐에 따라 개인화된
정치참여, 자발적 참여가 확대된다. 또한 시각 언어 사용 일상화, 이미지 커뮤니
케이션 확산은 자신을 브랜드화하는 아이콘 시대로의 진입을 이끌 것이다.
이외에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모바일 오피스의 확대로 일과 여가가 결
합되는 현상이 강화되고 건강, 레져, 웰빙 등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관련 서비
스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1
그림 15 문화/삶의 변화의 STEEP 분석
2020 IT 메가트렌드
32
제 2 절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IT산업
1. 사회/인구 구조 변화와 IT산업
가. 저출산/고령화
급격한 고령화 추세는 실버 컨슈머의 등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실버 소
비자들의 가장 큰 욕구는 건강하게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적 차원의 관리를 위한 투자가 증대되고 안티 에이징 관련 트렌드의 부각이
예상된다. 또한 실버 소비자들의 정서적인 소외와 단절을 해결할 수 있는 정서적
케어 서비스가 크게 각광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족대여업, 노인 맞선 회사, 노
인 전용 오락실, 온라인 커뮤니티교류, 노인 전문 정보공유 등이 신규 서비스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고령 인구의 IT 소비 역시 다른 연령대와는 상당한 차
이를 보일 것이다. 고령 인구들은 사용하기 쉽고 튼튼한 것 선호하는 특성을 보
이며, 한 대의 PC에 모든 기능을 갖춘 상품이나 대형 스크린의 TV나 큰 화면의
컴퓨터가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10)
고령친화의료기기 및 재활기기 관련 전세계 시장 규모는 2010년 현재 59,160
만 달러에 달하며, 연평균 8.5%의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주요
분야로는 휄체어, 보청기, 자동배변배뇨처리장치, 이동 및 생활지원기기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향후 무선페이징시스템, 사회안전망 시스템, 건강 체크 변기 센
서, 침대센서, 독거노인 U-Care 시스템 구축 등이 유망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009년 2월 발표한 ‘해외 신개발 유망상품 트
렌드’에 따르면, 2007년에는 고령인구 증가로 인해 고령친화산업이 부각되면서
노인 전용용품의 출시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1)
한편 보건복지부는 국
내 고령친화기기 시장이 2018년에 약 5조 7,4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한다.
10) 실버 컨슈머에 대한 IT기업들의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인텔의 경우 IT기술을 접목해서 고령 소비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 진행하고 있으며, IBM, 산요, 도시바 등의 기업들은 고령 소비자에게 맞는
IT 기기 니즈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 미국 국가재택노화협회는 고령 인구에게 필요한 첨단기구, 기기,
네트워크, 텔레케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1) 하지만 2008년에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기구가 많이 출시돼, 건강을 평소에 챙겨야 한다는 의식이
확산된 것으로 분석됨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3
한편 생산가능인구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청장년층 인력 확보에 어려
움은 인건비 부담과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며, 이는 채용 방식의 변화, 고령 인구
에 필요한 직무의 개발, 평생학습 시스템 등의 등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령 인구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교육하는 멀티캠퍼스, 고령화 사
회 서비스의 수준을 표준화하는 작업, 독립생활과 고령의료전문가를 교육시키는
작업, 전화, 초고속망, 텔레메디슨, 센서, 휠체어 등 고령인구의 생활에 필요한 기
기 및 기구, 식사 등을 해결하는 인테리어 리모델링, 친구와 함께 책읽기 등 소
일하는 프로그램 등도 개발될 것이다.
나. 다민족/다문화 사회
미래 사회에서는 경제 활동이 다문화 속에서 글로벌화되는 변모를 통해 신진
개도국의 부각, 국제결혼/해외 노동자 등을 통한 다문화 가정의 확대, 여성의 사
회진출 및 경제 활동 강화, 노년층의 증가 등 기존 약자로 존재했던 계층의 파워
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화가 진행될수록 소비자들을 점점 동질적
인 집단으로 변모시키고 있어 공급자 중심 경재에서 소비자 중심 경제로, 현지화
보다는 문화보편적인 제품으로의 변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다문화의 증가는 사회 통합 이슈가 크게 증가될 것이며, 다문화 관련된 각종
신규 직종의 증가와 다양한 네트워크, 문화 교육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
다. 글로벌 비즈니스 무대에 다문화 체험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두 문화
에 능통한 사람이 탁월한 협상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협상활동 뿐만 아니라 혁
신활동에 있어서도 다문화 혼혈인들의 강점이 발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
전문가, 다문화복지사, 다문화교육전문가, 세계시민문화교육가, 세계시민권단체,
세계문화단체, 세계다문화네트워크 종사자, 세계다문화링크기술자, 인터넷다문화
접속전문가, 다문화를 위한 다언어교육가, 세계인의 서바이벌 교육담당자, 세계일
자리 전문가 등 다양하고 새로운 직업이 등장하고 있다.
다. 네트워크 기반 사회
2020 IT 메가트렌드
34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확대에 따른 신규 개인화 서비스의 활성화에 이를 효율
적으로 지원하는 기반 인프라 확대 요구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물지능네트워크의 상용화 촉진, 각종 위치기반 서비스의 등장, 상황인지 및
첨단 센서 기술의 보편화 등이 이를 앞당길 것이고, 언제 어디서나 클라우드 정
보를 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신뢰할 수 있고, 유의미한 정보를 선별하는 사회적
여과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될 것이다.
이미 정보 과잉으로 개인 삶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고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데이터 스모그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갈수록 가치 있는 정보의 선별하는 기술
및 서비스의 중요성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라. 소결
사회/인구 구조변화는 IT산업에 있어 실버 컨슈머의 등장으로 실버형 IT기기
수요 증대 및 고령인구 보장 서비스의 특화 등과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된다. 사회 고령화에 따라 노령 인구를 타깃으로 한 신규 서비스의 등장이 크게
증가하고 노령 인구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 및 관련 제품들의 출시가 뒤
따를 것이다.
생산 가능 인구의 고령화와 청장년층 인구 감소는 경제적 측면에서 생산 방식,
인력 운용 및 채용, 조직문화 등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기업의 핵심 역
량으로서 인재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태어나고 자랄 시기부터 디지털 문명이 발달해 있었기 때문에 각종 디지털 기
기 사용에 익숙하고 신기술에 대한 저항감이 매우 적은 새로운 집단으로 디지털
네이티브의 대두가 나타날 것이다. 이들은 개인용 컴퓨터, 휴대전화 등 휴대용
단말기와 인터넷의 대중화 등의 디지털 혁명으로 탄생한 신인류로서, 콘텐츠 생
산자 역할을 주도할 것이다. 또한 이들은 기존 세대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 정보
소비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 기존 인류와 다른 삶의 패턴을 가
진 이들의 등장 등으로 인해 일반인들에게 시장의 힘이 집중되는 파워 쉬프트
등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5
그림 16 사회 인구구조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2020 IT 메가트렌드
36
2. 기술변화와 IT산업
가. SMART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화의 진전은 사람들이 배워서 기계를 이용하던
시기에서 점점 기계가 인간에 가까워져 일용품화되고 가전제품화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디바이스들의 구분은 점점 없어질 것이다. 스마트화는 지금까지 IT벤
더, 전문가, 엔지니어 등이 이끌던 IT시장이 점차 일반인이 주도하는 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스마트는 정보와 각종 기기가 좀 더 똑똑해졌
다는 의미를 넘어 인텔리전트 구현을 통해 사람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의미
한다.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는 향후 사회상을 크게 바꿔놓을 주요
키워가 될 것이다. 이미 스마트폰은 2010년 전 세계적인 이슈를 이루면서 많은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스마트폰은 아이폰이 선도하고 안드로이드가 추격하는
가운데, 내년 상반기 되면 본격적인 애플 vs 구글 연합군의 경쟁이 시작될 것이
다. 둘 모두 혁신적인 회사이고 이들로 인해 ‘smartphone&related’ 디바이스, PC
아닌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본격 등장과 웹 표준의 확산이 가속될 것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등장과 HTML5의 확산으로 인한 웹
표준화가 올 연말에서 내년까지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곧 2~3년 후 LTE 등 4G 이통망이 깔릴 경우 ‘스마트폰 & related’ 기기
가 급속도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웹 표준화로 액티브x 등 인터넷 이용을
가로막는 장벽들이 사라지고 보다 광범위한 웹에 자유롭게 접근하게 된다. 빠른
네트워크를 가진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와 웹 표준의 확산으로 공상 과학에서
본 것 같은 수준의 기기들이 가능해지기 시작할 것이다.
이런 변화와 함께 PC의 절대적인 위치는 흔들린다. PC 보는 시간이 줄어들고,
PC 아닌 다른 기기로도 무엇인가 할 수 있다는 점이 명확해지면서 PC의 위상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진다. 윈도 시리즈가 끊임없이 발전해 윈도XP에 이르러 사용성
과 안정성이 모두 훌륭한 수준에 이른 것처럼 이때쯤이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도 안정적 수준에 이를 것이다. 그동안 얘기만 무성하던 포스트PC, 어플라이언스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7
의 시대가 드디어 시작되는 것이다.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그 단초라 할 수 있다.
아이폰4에서 보듯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격 인하와 웹 표준화로 모든
것의 비용과 가격이 싸지게 된다. 이는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에 기여하고 웹, IT,
교과서 민간 콘텐츠, 공공 콘텐츠 등이 대중화될 것이다. 지금까진 뉴스나 가벼
운 게임류 등이 주로 대중화되었다면 앞으로는 고급 정보도 대중화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것이 app에 연결되며 cost가 내려간다.
이외에 스마트화는 인간과 교감하는 디바이스의 등장으로 한층 구체화될 것으
로 예상된다. 시청자를 인지하는 TV가 등장하고, 사용자를 인지해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리모콘 등이 조만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마트화는 작게는
기기간 소통을 의미하는 M2M Communication의 중요요소로서 각국의 기술경쟁
이 가열되고 있으며, 더 크게는 만물이 지능통신을 보유하는 만물지능통신12)
영
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스마트화의 핵심요소가 반영되고 있다. 또한 검색
부문에서는 온톨로지(Ontology) 기술을 통해 지능형 DB 구축 등은 사회 전반의
집단지성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 전반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그림 17 M2M 커뮤니케이션 구현도
12) 모든 시설, 콘텐츠, 공간 등이 스마트하게 상호 통신한다는 개념으로 제1공간(물리공간), 제2공간(전자=웹 공
간), 제3공간(증강현실/확장가상)이 결합돼 과거와 현재, 미래 정보가 모두 제공되는 환경을 의미함
2020 IT 메가트렌드
38
나. Eco Friendly
유럽을 중심으로 각종 환경 규제들이 기세를 더해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
세계적인 합의에 의해 이행되고 있는 기후변화협약 등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
계 산업계를 크게 바꿔놓고 있다. 이런 환경 변화로 인해 21세기는 녹색 성장의
시대라 불리고 있으며, 최근 들어 그린IT가 새로운 이슈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그동안 그린 IT는 소비 전력 절감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이룰 수 있는
제품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특히 데이터 센터를 중심으로 한 그린IT가
논의의 중심이 되어왔었다. 하지만 그린IT는 단순히 제품의 에너지 소비량 절감
또는 특정 기술을 적용하여 데이터센터 또는 시설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만으
로 대표되지 않는다.
SW 업계를 중심으로 이른바 그린SW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
프트웨어는 기업들이 PC,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 하드웨어의 전력 사
용량과 발열량을 줄임으로써 탄소 배출을 저감시키거나,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
모량을 모니터링하고 자동화하거나, 다양한 IT 활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애플리
케이션을 통하여 에너지 효율화를 극대화하는 기능들의 지원이 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그린 SW는 저탄소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서비스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업들의 녹색경영 체계가 가속화되고, IT 솔루션을 활용한 에너지 효율화 및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노력은 그린 SW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SW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데스크
탑, 데이터센터 등의 물리적인 서버 수 증가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가상화 기
술, 에너지 소비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해주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소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분석 SW, RFID와 같은 원격센싱 네트
워크, 제품 생산 과정을 모델링하고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거나 친환경 건물 설
계 및 물류 운송 네트워크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SW, 그리고 전력, 물
류, 건물, 환경 유해물질 관리 등에서 시설물 관리, 물류 추적, 환경연구를 위한
공간정보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9
[그림 18] 각국의 그린 관련 재정 투자
국내 30대 기업들이 그린 관련 총투자액은 22조 4000억원으로 3년 전과 비교
해 4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재생에너지 등 청정에너지 분야가 8조
9000억원에 달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녹색성장위원회 자료에 의하면
2020년까지 탄소포집저장(CCS) 기술에 2조 3000억원, 이차전지 영역에 15조 이상
투자될 전망에 있어 환경 친화 기술에 대한 열기는 더욱 뜨거워 질 것으로 예상
된다. 해외에서도 에너지 절감형 주택인 그린홈에 이어 청정건강주택인 클린홈이
확산되는 등 친환경 관련 기술의 부각이 이뤄지고 있다. 유럽연합과 미국은 2020
년까지 모든 신축주택에 대해 제로에너지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다. Reality
리얼리티 구현에서는 3D 디스플레이 등 새로운 디스플레이 등이 큰 역할을 하
고 있다. 특정 분야에서 시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비디오월(Video Wall), 디지
털 월 페이퍼(Digital Wall Paper), 투명한 디스 플레이 등이 대표적이다. 리얼리
티 구현에서는 생체센서와 생체신호 처리 기술,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근거
리 무선통신 기술, 인간-로봇 상호작용 매개 기술 분야 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
2020 IT 메가트렌드
40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그림 19 비디오월 사례
리얼리티를 구현하는 기술 가운데 최근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분야는 다름
아닌 가상현실/ 증강현실 영역으로, 온라인을 비롯한 실생활에서 적용분야가 빠르
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향후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이 가능한 영역으로 높
은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3D 산업의 부각과 함께 디스플
레이의 스마트화, 각종 기술의 융합 등을 통해 관련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가상현실은 점차 현실세계의 경제 및 사회 활동과 밀접하게 연결되고 있으며,
점점 가상현실과 현실 세계를 명확히 구분하고자 하는 것은 무의미해지고 있다.
분리되어 존재하던 두 세계는 웹의 한계를 벗어나 가상현실이 현실세계를 흡수
하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사람들이 교류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인터넷 인터페이
스로 진화해 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모든 디바이스들이 인터넷 IP와 네트워크 센서를 보유하는 디스플레이의
연결성(Connectivity)이 구현되면서 정보를 어떤 디스플레이에서도 공유할 수 있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41
는 증강현실 및 VR(Vitual Reality)가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다. 무안경식 3D TV
역시 10년내 충분히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상현실/ 증강현실은 새로운 소비 트랜드까지 선도하고 있다. 개개인의 개성
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온라인상에서도 그대로 재현되면서 사이버 공간에서
의 자아표현을 위한 소비 지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선박, 항공
기, 자동차 제조업 등에 가상 작업 공간 등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스포츠 분야에
서도 스크린 골프장, 스크린 경마 등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라. 소결
기술변화는 스마트, 친환경, 리얼리티로 대표된다. 스마트를 통해 인간과 교감
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의 등장이 이뤄질 것이고, 그 과정에서 각종 단말기의 통
합과 분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친환경 기술은 그린IT란 영역을 이루며 각
국의 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리얼리티 기술 부문은 각종 디스플레
이의 연결성을 기반으로 가상/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빠른 진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림 20 기술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50 Powerful Questions from Escobar's Designs for the Pluriverse
50 Powerful Questions from Escobar's Designs for the Pluriverse50 Powerful Questions from Escobar's Designs for the Pluriverse
50 Powerful Questions from Escobar's Designs for the Pluriverse
R. Sosa
 
The Rise of S&OE Article - Journal of Business Forecasting Fall 2022.pdf
The Rise of S&OE Article - Journal of Business Forecasting Fall 2022.pdfThe Rise of S&OE Article - Journal of Business Forecasting Fall 2022.pdf
The Rise of S&OE Article - Journal of Business Forecasting Fall 2022.pdf
Steven Hainey
 
Skeleton Culture Code
Skeleton Culture CodeSkeleton Culture Code
Skeleton Culture Code
Skeleton Technologies
 
Dynamic Roadmap: Combining Strategy and Design Thinking
Dynamic Roadmap: Combining Strategy and Design ThinkingDynamic Roadmap: Combining Strategy and Design Thinking
Dynamic Roadmap: Combining Strategy and Design Thinking
1508 A/S
 
Finance and Investment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Finance and Investment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Finance and Investment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Finance and Investment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Aurelien Domont, MBA
 
Do's and Don'ts of Giving a Killer Presentation
Do's and Don'ts of Giving a Killer PresentationDo's and Don'ts of Giving a Killer Presentation
Do's and Don'ts of Giving a Killer Presentation
SketchBubble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a set of criteria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a set of criteria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a set of criteria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a set of criteria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daveaddy
 
A non designer's guide to creating memorable visual slides
A non designer's guide to creating memorable visual slidesA non designer's guide to creating memorable visual slides
A non designer's guide to creating memorable visual slides
JORGE HERNAN GUTIERREZ
 
Management Consulting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Management Consulting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Management Consulting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Management Consulting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Aurelien Domont, MBA
 
Stop Selling Start Helping
Stop Selling Start HelpingStop Selling Start Helping
Stop Selling Start Helping
Slides That Rock
 
Post merger integration
Post merger integrationPost merger integration
Post merger integration
Philip Corsano
 
A Business Guide to Visual Communication
A Business Guide to Visual CommunicationA Business Guide to Visual Communication
A Business Guide to Visual Communication
Visage
 
Balanced scorecard
Balanced scorecardBalanced scorecard
Balanced scorecard
Charles Cotter, PhD
 
Introduction To Consulting Slides
Introduction To Consulting SlidesIntroduction To Consulting Slides
Introduction To Consulting Slides
Joe O'Mahoney
 
12 Rules of Engagement for Strategic Meetings and Retreats
12 Rules of Engagement for Strategic Meetings and Retreats12 Rules of Engagement for Strategic Meetings and Retreats
12 Rules of Engagement for Strategic Meetings and Retreats
Chris Ward CMC
 
PS-Problem-Solving-Toolkit.pptx
PS-Problem-Solving-Toolkit.pptxPS-Problem-Solving-Toolkit.pptx
PS-Problem-Solving-Toolkit.pptx
AbdirazaqAhmed
 
Method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Method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Method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Method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DATAVERSITY
 
Reptrak model 1
Reptrak model 1Reptrak model 1
Reptrak model 1
consue_cz
 
Presentation Mastering Strategy Execution
Presentation Mastering Strategy ExecutionPresentation Mastering Strategy Execution
Presentation Mastering Strategy Execution
Dr. Arnoud van der Maas
 
The Product Mindset- Jonny Schneider
The Product Mindset- Jonny SchneiderThe Product Mindset- Jonny Schneider
The Product Mindset- Jonny Schneider
Thoughtworks
 

What's hot (20)

50 Powerful Questions from Escobar's Designs for the Pluriverse
50 Powerful Questions from Escobar's Designs for the Pluriverse50 Powerful Questions from Escobar's Designs for the Pluriverse
50 Powerful Questions from Escobar's Designs for the Pluriverse
 
The Rise of S&OE Article - Journal of Business Forecasting Fall 2022.pdf
The Rise of S&OE Article - Journal of Business Forecasting Fall 2022.pdfThe Rise of S&OE Article - Journal of Business Forecasting Fall 2022.pdf
The Rise of S&OE Article - Journal of Business Forecasting Fall 2022.pdf
 
Skeleton Culture Code
Skeleton Culture CodeSkeleton Culture Code
Skeleton Culture Code
 
Dynamic Roadmap: Combining Strategy and Design Thinking
Dynamic Roadmap: Combining Strategy and Design ThinkingDynamic Roadmap: Combining Strategy and Design Thinking
Dynamic Roadmap: Combining Strategy and Design Thinking
 
Finance and Investment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Finance and Investment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Finance and Investment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Finance and Investment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Do's and Don'ts of Giving a Killer Presentation
Do's and Don'ts of Giving a Killer PresentationDo's and Don'ts of Giving a Killer Presentation
Do's and Don'ts of Giving a Killer Presentation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a set of criteria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a set of criteria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a set of criteria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Vision and mission statements, a set of criteria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A non designer's guide to creating memorable visual slides
A non designer's guide to creating memorable visual slidesA non designer's guide to creating memorable visual slides
A non designer's guide to creating memorable visual slides
 
Management Consulting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Management Consulting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Management Consulting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Management Consulting Toolkit - Framework, Best Practices and Templates
 
Stop Selling Start Helping
Stop Selling Start HelpingStop Selling Start Helping
Stop Selling Start Helping
 
Post merger integration
Post merger integrationPost merger integration
Post merger integration
 
A Business Guide to Visual Communication
A Business Guide to Visual CommunicationA Business Guide to Visual Communication
A Business Guide to Visual Communication
 
Balanced scorecard
Balanced scorecardBalanced scorecard
Balanced scorecard
 
Introduction To Consulting Slides
Introduction To Consulting SlidesIntroduction To Consulting Slides
Introduction To Consulting Slides
 
12 Rules of Engagement for Strategic Meetings and Retreats
12 Rules of Engagement for Strategic Meetings and Retreats12 Rules of Engagement for Strategic Meetings and Retreats
12 Rules of Engagement for Strategic Meetings and Retreats
 
PS-Problem-Solving-Toolkit.pptx
PS-Problem-Solving-Toolkit.pptxPS-Problem-Solving-Toolkit.pptx
PS-Problem-Solving-Toolkit.pptx
 
Method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Method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Method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Methods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Reptrak model 1
Reptrak model 1Reptrak model 1
Reptrak model 1
 
Presentation Mastering Strategy Execution
Presentation Mastering Strategy ExecutionPresentation Mastering Strategy Execution
Presentation Mastering Strategy Execution
 
The Product Mindset- Jonny Schneider
The Product Mindset- Jonny SchneiderThe Product Mindset- Jonny Schneider
The Product Mindset- Jonny Schneider
 

Viewers also liked

창의성을 통한 미래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수할 것인가?
창의성을 통한 미래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수할 것인가?창의성을 통한 미래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수할 것인가?
창의성을 통한 미래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수할 것인가?
Jeongtae Kim
 
패러다임의 전환과 e-비즈니스 전략
패러다임의 전환과 e-비즈니스 전략패러다임의 전환과 e-비즈니스 전략
패러다임의 전환과 e-비즈니스 전략권수 김
 
It전망 3x(김재윤) (1) (1)
It전망 3x(김재윤) (1) (1)It전망 3x(김재윤) (1) (1)
It전망 3x(김재윤) (1) (1)
gilforum
 
2013 사대부고 강연
2013 사대부고 강연2013 사대부고 강연
2013 사대부고 강연Seungmin Jang
 
Crossing the chasm jeoffrey moore powerpoint ppt slides.
Crossing the chasm jeoffrey moore powerpoint ppt slides.Crossing the chasm jeoffrey moore powerpoint ppt slides.
Crossing the chasm jeoffrey moore powerpoint ppt slides.
SlideTeam.net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University of Ulsan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동향 및 발전방안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동향 및 발전방안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동향 및 발전방안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동향 및 발전방안Smith Kim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University of Ulsan
 
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
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
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
현주 유
 
모바일 악세서리와 앱세서리 산업 트랜드. (국문)
모바일 악세서리와 앱세서리 산업 트랜드. (국문)모바일 악세서리와 앱세서리 산업 트랜드. (국문)
모바일 악세서리와 앱세서리 산업 트랜드. (국문)
Phillip Kim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봉조 김
 
의류시장 동향 및 전망
의류시장 동향 및 전망의류시장 동향 및 전망
의류시장 동향 및 전망
DMC미디어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Viewers also liked (13)

창의성을 통한 미래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수할 것인가?
창의성을 통한 미래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수할 것인가?창의성을 통한 미래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수할 것인가?
창의성을 통한 미래 사회문제 해결: 사회적기업가정신을 어떻게 개발하고 전수할 것인가?
 
패러다임의 전환과 e-비즈니스 전략
패러다임의 전환과 e-비즈니스 전략패러다임의 전환과 e-비즈니스 전략
패러다임의 전환과 e-비즈니스 전략
 
It전망 3x(김재윤) (1) (1)
It전망 3x(김재윤) (1) (1)It전망 3x(김재윤) (1) (1)
It전망 3x(김재윤) (1) (1)
 
2013 사대부고 강연
2013 사대부고 강연2013 사대부고 강연
2013 사대부고 강연
 
Crossing the chasm jeoffrey moore powerpoint ppt slides.
Crossing the chasm jeoffrey moore powerpoint ppt slides.Crossing the chasm jeoffrey moore powerpoint ppt slides.
Crossing the chasm jeoffrey moore powerpoint ppt slides.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07. 한국 산업의 미래전망 (KDI 우천식 박사)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동향 및 발전방안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동향 및 발전방안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동향 및 발전방안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동향 및 발전방안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04. 한국의 전자산업 (김현철 교수)
 
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
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
빅 데이터, 새로운 통찰력
 
모바일 악세서리와 앱세서리 산업 트랜드. (국문)
모바일 악세서리와 앱세서리 산업 트랜드. (국문)모바일 악세서리와 앱세서리 산업 트랜드. (국문)
모바일 악세서리와 앱세서리 산업 트랜드. (국문)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의류시장 동향 및 전망
의류시장 동향 및 전망의류시장 동향 및 전망
의류시장 동향 및 전망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Similar to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봉조 김
 
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
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
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Webometrics Class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atelier t*h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활 김
 
(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
(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
(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
sam Cyberspace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atelier t*h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Taesung Yun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봉조 김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atelier t*h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배훈 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배훈 최
 
Design meet the future
Design meet the futureDesign meet the future
Design meet the future
Jonghun Heo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sy kim
 
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 Business Platform Day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 Business Platform Day
ROA Consulting Inc.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Myungho (Mark) Lee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f Korea 20191217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f Korea 20191217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f Korea 20191217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f Korea 20191217
wehome.me, a home sharing on blockchain owned by hosts and guests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Donghan Kim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디자인전략2020
디자인전략2020 디자인전략2020
디자인전략2020
USABLE 윤
 

Similar to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20)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
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
8회 IT정보 기술 동향_ria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
(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
(2011)CIO가 꼭 알아야 할 ICT 트렌드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Keit 13-03-특집2-산업별 산업융합원천 r&d전략(2013-2017)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모바일 시대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다 Iot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t soceity 8호_2012년_주목할만한_it_기술_트렌드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Ict insight 2014 ict 산업10대 이슈 전망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인공지능, 자동화, 그리고 경제
 
Design meet the future
Design meet the futureDesign meet the future
Design meet the future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차세대 모바일 발전동향 김선영 20130620
 
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 Business Platform Day2013 Business Platform Day
2013 Business Platform Day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IT 기술예측조사 2025 - IT 미래시나리오 이명호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f Korea 20191217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f Korea 20191217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f Korea 20191217
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of Korea 20191217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2016 국가정보화백서(국문 )-빅데이터 part-2016-12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디자인전략2020
디자인전략2020 디자인전략2020
디자인전략2020
 

More from sam Cyberspace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2023.12)-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2023.12)-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침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2023.12)-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2023.12)-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침
sam Cyberspace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sam Cyberspace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sam Cyberspace
 
Webtoon platform
Webtoon platformWebtoon platform
Webtoon platform
sam Cyberspace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sam Cyberspace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sam Cyberspace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sam Cyberspace
 
드론에 대하여
드론에 대하여드론에 대하여
드론에 대하여
sam Cyberspace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sam Cyberspace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sam Cyberspace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sam Cyberspace
 
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
sam Cyberspace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sam Cyberspace
 
Exif2.2 MetaData Spec
Exif2.2 MetaData SpecExif2.2 MetaData Spec
Exif2.2 MetaData Spec
sam Cyberspace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sam Cyberspace
 
(미래부)2015업무계획
(미래부)2015업무계획(미래부)2015업무계획
(미래부)2015업무계획sam Cyberspace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sam Cyberspace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sam Cyberspace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sam Cyberspace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sam Cyberspace
 

More from sam Cyberspace (20)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2023.12)-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2023.12)-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침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2023.12)-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2023.12)-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지침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Webtoon platform
Webtoon platformWebtoon platform
Webtoon platform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드론에 대하여
드론에 대하여드론에 대하여
드론에 대하여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Exif2.2 MetaData Spec
Exif2.2 MetaData SpecExif2.2 MetaData Spec
Exif2.2 MetaData Spec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미래부)2015업무계획
(미래부)2015업무계획(미래부)2015업무계획
(미래부)2015업무계획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글로벌 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과제

  • 1. 글로벌 메가트렌드로 본 IT산업 변화상과 5대 전략 과제 - 2020 IT 메가트렌드 - 2010. 9
  • 2. 요 약 연구 목적 및 연구 내용 ✓ IT산업을 성장 동력으로 지속 발전시키기 위해 IT산업 환경변화를 전망하여 중․장기 발전 모델을 제시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변화가 빠른 IT산업 발전 방향의 예측가능성을 높여 IT산업 정책방향과 목표 설정에 활용하기 위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제반 환경에서 이번 연구는 국내외 IT산업 환경변화 및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 파악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이를 위해 STEEP 분석을 통한 거시 환경 분석과 Futures Wheel 기법을 통해 IT산업의 변 화상을 파악했으며, 각계 영역의 오피니언 리더를 선별해 총 12명을 대상으로 심도 있는 인 터뷰를 진행했다. 각 오피니언 리더는 IT 영역을 비롯해 비 IT 영역의 전문가를 망라해 깊은 통찰력과 미래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모두 수용했으며, 미래 기술 관련 전문가와 미래 예측 관련 저명인사의 거시적 예측까지 포괄했다. 글로벌 미래 트렌드 ✓ 5개 거시 영역의 STEEP 분석 결과 글로벌 미래 트렌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사회/인구 구조변화 : 저출산, 고령화를 통해 실버 컨슈머의 등장과 이들을 타깃으로 한 고 령화 상품과 특화 서비스의 등장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인구감소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 는외국인 노동자의 확대와 이를 기반으로 한다문화/다민족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평생학습, 다문화 운동, 대안 학교의 확대 등이 나타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 기술변화 : 기술 변화의 가장 큰키워드는 스마트라 할수있다. 각종 IT기기 및단말기가 스 마트화를 통해 인공지능이 강화되고 보다 인간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모습을 진화해 가고 있 다. 디바이스 및 단말기의 진화는 증강현실 등의 연관 산업의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 다. 이외에 환경 친화 및 환경 관리 기술은 친환경이라는 거대 명제로 인해 지속적인 개발과 확산이 예상되며, 갈수록 인공지능과 자동화되는 스마트의 흐름과 동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3. 3) 환경/기후 변화 : 환경재해에 대한 우려와 자원고갈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생태계 보호라는 전 지구적 차원의 핵심이슈로 그 영향력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 소비 증대 와 물 부족 현상이 심회되면서 국제 환경 규제는 강화가 불가피하며,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 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문제가 대두될수록 그린생산, 그린인증 등 신규 환경 산업의 부상이 예상된다. 4) 경제/산업구조 변화 : 경제 구조 소프트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양극화와 저극화가 동시에 나 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들이 제품 정보에 상시적으로 접근할 수있는 환경이 제공되면 서 소비자중심주의가 크게 강화될 것이다. 또한 기술 차별화의 어려움으로 브랜드를 제외한 다른 공정은 아웃소싱 형태로 운영하는 이른바 생산시설 없는 제조업이 등장하게 되고, 구매 정보 등 핵심 기업 자산을 파트너와 공유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종추종 전략의 확대가 전 망된다. 5) 문화/ 삶의 변화 : 소비자가 제품 생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중심주의가 크게 강화 될 것으로 보이며, 각종 제품 정보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힘있는 개인이 등장하면서 이 들이 직접 제품의 기획과 생산, 유통에 참여하는 CEO형 소비자의 등장도 예상된다. IT 기술 발달로 빠르고 정확하고 광범위한 의사결정 가능해짐에 따라 개인화된 정치참여, 자발적 참 여가 확대된다.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IT산업 ✓ STEEP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5개 영역의 미래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 이 나타났다. 1) 사회/인구 구조변화와 IT산업 : 실버 컨슈머의 등장으로 실버형 IT기기 수요 증대 및 고령인 구 보장 서비스의 특화 등과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 고령화에 따라 노령 인구를 타깃으로 한 신규 서비스의 등장이 크게 증가하고 노령 인구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 및 관련 제품들의 출시가 뒤따를 것이다.
  • 4. 2) 기술변화와 IT산업 : 스마트, 친환경, 리얼리티로 대표된다. 스마트를 통해 인간과 교감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의 등장이 이뤄질 것이고, 그 과정에서 각종 단말기의 통합과 분화가 나타 날 것으로 예상된다. 친환경 기술은 그린IT란 영역을 이루며 각국의 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리얼리티 기술 부문은 각종 디스플레이의 연결성을 기반으로 가상/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빠른 진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3) 환경기후변화와 IT시장 : 신 환경 시장 대두에 따른 기반 인프라로서 IT 및 IT 융합 시장의 중요성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런 환경에서 IT 산업은 전통 산업의 친환경 산업으로의 변환 을지원하고 친환경 설계및운송, 재활용 등친환경 라이프사이클지원하는 정보 시스템으로 서의 모습을 띌 것으로 전망된다. 4) 경제/산업 구조 변화와 IT시장 : 글로벌화의 진전으로 기업 환경 변화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자생적인 개발과 유통 메커니즘을 가진 앱스토어 등을 통해 IT 산업의 비즈니스 생 태계 역시지금과는 크게다른모습을보일것으로전망된다. 또한개인의창의성, 재능 등을 이용하는 창조경제가 크게 활성화 될것이며, 개개인의 지식을기반으로 하는 집단지성의 구 현이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5) 문화/삶의 변화와 IT산업 : IT산업은 문화/삶의 변화에 있어 삶의 질을 크게 높이는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오피스 등의 구현으로 일하는 방식이 크게 바뀔 것으로 보이며, 어디에서나 일할 수 있는 환경은 일과 여가가 점점 결합되는 라이프스타일의 등장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종 쌍방향 미디어 등의 등장은 개인의 정치 참여를 증진시키고, SNS 등은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의 힘을 강화시킬 것이다. IT산업 6대 키워드 ✓ STEEP 분석과 Futures Wheel 분석 결과를 통해 IT산업 6대 키워드를 도출했다. 1) Smart화 : Human Centric IT로 진화 2) Convergence와 Divergence의 공존 시대 3) 감성-상상력 시대 : 감성과 창의력 기반 사회
  • 5. 4) 소셜 네이티브 : 새로운 부족, 호모 나란스 5) 힘 있는 개인 : IT DIY 시대 6) 협업지성 : 엔터프라이즈 3.0의 등장 IT산업의 지향점 ✓ IT미래상으로 성숙한 사회로 이끄는 IT, 국가 생산성을 제고하는 IT, 일반인이 주체가 되는 IT, 인간 중심의 IT 등의 비전이 도출됐다. 1) 성숙한사회로 이끄는IT : IT가 행복에기여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해야할 것이다. 남을배 려하고 성숙한 시민의식에 IT가 충분히 기여할 수 있고 인간의 부족한 면을 메워줄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2) 국가 생산성을 제고하는 IT : 산업에서 차지하는 IT의 비중은 커질 것이고 수출비중도 늘어 날 것이다. 그동안 IT수출의 가장 큰 장벽이던 언어 문제가 점차 해결되고 있어 개선이 가능 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창의성, 콘텐츠에 눈을 돌리면 빠른 개선이 이뤄질 것이다.
  • 6. 3) 일반인이 혁신주체로 부각되는 IT : IT시장의 중심이 IT벤더, 개발자, 엔지니어에서 일반 사 용자로 옮겨가는 IT환경의 시대가 올 것이다. 현재는 개발자를 소유하는 개념이 아니라 마켓 을만들어주고 활동할 수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향후에는 IT벤더, 개발자가 아닌 비전문가들이 나서서 변혁을 이끄는 환경으로 변모할 것이다. 4) 인간 중심의 IT : 정보의 다변화 시대에 필요한 정보를 필요할 때 실시간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인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인간 중심의 디지털 컨버전스와 다이버전스가 나타날 것이다. 국내 IT산업의 기회요인 / 위협요인 ✓ 기회요인 1) 하드웨어 기반의 신시장 유망 : 국내가 강점을 가진 하드웨어 시장에도 새로운 붐이 만들어 진다. 태블릿 PC를 TV와, 통신사와, 백색가전과 연결하면 새로운 형태의 단말기, 새로운 홈 네트워크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2) HW가 앞서면 SW는 뒤따른다 : HW없는 SW는 한계가 존재한다. 동시에 HW가 발달하면 SW가 동반 발전한다. 제조업 기반 하드웨어 경쟁력을 높이다보면 HW와 SW는결국 만나게 된다. 3) 제조업이 강하면 서비스는 따라온다 : 본원적 산업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면 관련 서비스 산 업은 불가피하게 뒤따르게 된다. 국내의 본원적 산업은 제조업이다. 4) 모바일 시장에 적합한 역동성 : 생각하고 움직일 시간이 짧은 모바일 시장은 국내 민족성과 부합한다. IT매니아적이면서 손재주가 좋고 민첩한 국민성은 모바일 시장 특성과 부합한다. ✓ 위협요인 1) IT강국 효과의 상실 : IT 인프라 강국 및 신기술 테스트 베드 역할 등이 후발국의 추월과 경 쟁 고조로 상실된다. 2) 접점이 막힌 생태계 : 수직적 구조의 산업 생태계로는 미래를 대비할 수 없다. 앱스토어의 개념을 확대해 각 주체가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이 요구된다.
  • 7. 3) 이해관계를 뛰어넘고 Risk Taking 기업 부족 : 각 산업마다 리스크를 감수하고 적극적인 투 자를 감행하는 시장 선도 기업이 부족하다. 4) 창의적 인재 육성 토대 부족 :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교육이 이뤄지지 않으면,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 같은 인재는 만들어 지지 않는다. 산업 육성을 위한 시사점 ✓ 이상적 IT 미래상을 위한 전략과제로 창의력을 키우는 미래교육, HW 신시장 창출을 통한 SW 견인, SNS를 활용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 창의력을 키우는 미래 교육 : 디지털 교육의 교과 편입 2) 본원적 경쟁력을 살린 신시장 창출 : 새로운 시장의 창출과 파생시장 선점 3) SNS 활용한생태계조성 : 치열한토론, 지식교류, 결론도출 등에SNS를활용해새로운형 태의 생태계 조성 4) 디지털 호모나랜스, 글로벌을 누벼라! : 디지털 호모나랜스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환경을 보다 폭넓게 제공할 때 미래 국가 경쟁력은 제고된다. 5) 역동적 국민성, 모바일에서 꽃피운다 : 모바일시장은 생각하고 움직일시간이 부족한 매우 역동적인 시장이라 민첩하고 손재주가 우수한 국내 민족적 특성과 부합한다.
  • 8. CONTENTS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 내용 ·········································································································3 제 3 절 연구 방법론 ·····································································································5 1. STEEP ······················································································································6 2. Futures Wheel ·········································································································7 3. 전문가 In-Depth Interview ······················································································7 제 2 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 9 제 1 절 글로벌 미래 트렌드 ························································································9 1. 사회/인구 구조 변화 ·····························································································11 2. 기술변화 ·················································································································17 3. 환경/기후 변화 ······································································································21 4. 경제/산업구조의 변화 ···························································································24 5. 문화 / 삶의 변화 ···································································································28 제 2 절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IT산업·········································································32 1. 사회/인구 구조 변화와 IT산업 ··········································································32 2. 기술변화와 IT산업 ······························································································36 3. 환경/기후 변화와 IT산업 ······················································································42
  • 9. CONTENTS 4. 경제/산업구조 변화와 IT산업 ············································································44 5. 문화 / 삶의 변화와 IT산업 ················································································46 제 3 장 2020 IT산업 변화상 ·············································································· 48 제 1 절 2020 6대 키워드 ··························································································48 1. Smart化 : Human Centric IT로 진화 ·································································48 2. Convergence와 Divergence의 공존 시대 ··························································51 3. 융합과 창의력 기반 사회 ·····················································································53 4. 소셜 네이티브 : 새로운 부족의 시대 ·································································55 5. 힘 있는 개인이 여는 IT DIY 시대 ···································································57 6. 협업지성 ·················································································································60 제 2 절 키워드에 따른 IT 미래상 ···········································································62 제 4 장 IT산업 변화의 지향점 ············································································· 64 제 1 절 IT산업의 이상적 미래상 ··············································································64 1. 성숙한 사회로 이끄는 IT ·····················································································64 2. 국가 생산성을 제고하는 IT ·················································································65 3. 일반인이 혁신주체로 부각되는 IT ····································································65 4. 인간 중심의 IT ······································································································66 제 2 절 IT 변화상과 이상적 미래상 ·········································································67
  • 10. CONTENTS 제 5 장 이상적 IT 미래상을 위한 전략 과제 ··················································· 68 제 1 절 국내 IT산업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68 1. 국내 IT산업 현황 ··································································································68 2. 국내 IT산업의 기회 요인 ·····················································································72 3. 국내 IT 산업의 위협요인 ·····················································································76 제 2 절 5대 전략 과제·································································································81 1. 창의력을 키우는 미래 교육 ·················································································81 2. 본원적 경쟁력을 살린 신시장 창출 ···································································81 3. SNS 활용한 생태계 조성 ····················································································82 4. 디지털 나랜스, 글로벌을 누벼라! ·······································································82 5. 역동적 국민성, 모바일에서 꽃 피운다 ·······························································84
  • 11. CONTENTS <표 목차> [표 1] 연구내용 개요··············································································································3 [표 2] 전문가 인뎁스 인터뷰 개요·······················································································8 [표 3] 정보화 사회와 미래 사회·························································································10 [표 4] 저출산/고령화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12 [표 5] 다민족/다문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4 [표 6]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14 [표 7] 사회적 책임 증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5 [표 8] 스마트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7 [표 9] Eco Friendly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8 [표 10] Reality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9 [표 11] 통합과 다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0 [표 12] 기후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2 [표 13] 에너지 자원 고갈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22 [표 14] 국제 환경 규제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3 [표 15] 경제 패러다임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4 [표 16]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5 [표 17] 제조 생산 방식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6 [표 18] 개방성 증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6 [표 19] 소비자 중심주의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8
  • 12. CONTENTS [표 20] 사회 참여 확산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29 [표 21] 체험/감성사회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29 [표 22] 삶의 질과 여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30 [표 23] 이상적 IT 미래상 도출 전문가풀··········································································62 [표 24] 이상적 미래상과 IT 7대 변화상············································································65
  • 13. CONTENTS <그림 목차> 그림 1 2020 메가트렌드 연구 목표 ···················································································2 그림 2 연구방법론··················································································································5 그림 3 STEEP 분석방법론 개요··························································································6 그림 4 본 연구에 적용된 5대 거시환경 ············································································6 그림 5 Futures Wheel 분석 방법론 개요 ·········································································7 그림 6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9 그림 7 국내 출산율 변화와 향후 인구 변화 추이 ·························································11 그림 8 고령화에 따른 국내 인구구조변화 전망 ·····························································12 그림 9 한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추이 ··············································································13 그림 10 사회/인구 구조변화의 STEEP 분석····································································16 그림 11 그린 IT 주요 영역·································································································18 그림 12 기술변화의 STEEP 분석······················································································20 그림 13 환경/기후변화의 STEEP 분석 ···········································································23 그림 14 경제/산업구조 변화의 STEEP 분석····································································27 그림 15 문화/삶의 변화의 STEEP 분석···········································································31 그림 16 사회 인구구조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35 그림 17 M2M 커뮤니케이션 구현도 ················································································37 그림 18 각국의 그린 관련 재정 투자 ··············································································39 그림 19 비디오월 이미지····································································································40
  • 14. CONTENTS 그림 20 기술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41 그림 21 환경/기후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43 그림 22 경제/산업구조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45 그림 23 문화/삶의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47 그림 24 개인정보 통신기기 부문 시장 전망 ··································································49 그림 25 미래 디스플레이의 변화상···················································································51 그림 26 애플과 MS의 시가 총액 역전··············································································53 그림 27 국가별 트위터 이용자 비율·················································································56 그림 28 IT키워드와 추상화한 IT미래상 ···········································································60 그림 29 국내외 IT 시장 규모 및 추세 ············································································66 그림 30 시가총액 TOP 10 IT 기업의 변화 ····································································67 그림 31 국내 IT산업 구조 ·································································································68 그림 32 IT산업의 GDP 기여율···························································································69 그림 33 국내 IT산업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78
  • 15. 제1장 서론 1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글로벌 경기 둔화세와 더불어 IT산업의 시장 성숙, 공급과잉 등으로 수익성이 저하되고 성장률이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IT산업의 성장 둔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거 와 같은 Catch-up 전략으로는 한계가 분명한 상황이다. 그동안 국내 IT산업은 IT 인프라 강국이란 찬사 속에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많 은 기여를 해왔다. 하지만 갈수록 IT강국으로서의 입지는 약화되고 있으며, HW 를 제외한 여타 IT산업 분야에서는 글로벌 시장과의 격차가 줄지 않고 있다. 더 불어 산업 내에서의 IT활용도 역시 만족만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전 세계 IT시장은 스마트폰과 앱스토어로 대표되는 새로운 트렌드가 등 장하면서 IT산업은 물론 일상생활을 크게 바꿔놓고 있다. 또 그 과정에서 기존 시장질서와 산업 생태계 역시 크게 변화하고 있다. 각계의 전문가들은 글로벌 시 장의 변화 폭과 속도는 점차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등 미래에 대한 사전 준비와 대응 전략 마련은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미래 사회의 변화 방향과 그 방향에 따라 IT산업의 변화 요소와 기여 요소에 대한 접근과 연구는 IT산업계는 물론 국가적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할 문제다. IT산업을 장기적인 국가 성장 동력원으로 유지하고, 변화 속도가 매우 빠른 IT산 업의 특성에 맞는 정책 방향 및 목표 설정이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 문이다. 또한 우리나라가 미래 선진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미래 산업예측과 국내 IT산업의 특성이 반영된 장기적인 예측 기반하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지원과 육성이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기 수행된 연구 결과물들은 세부적인 기술 중심의 기술예 측에 그치거나, 인구/환경 문제 등 거시적 변화요인을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다. 다양한 거시적 요인에 따른 미래 변화상 등은 비교적 풍부한 접근이 이뤄졌지만, IT산업을 중심에 둔 심층적인 접근은 매우 드물었다.
  • 16. 2020 IT 메가트렌드 2 이번 연구는 이러한 기존 문제점을 개선하고 손에 잡히는 결과물을 통해 5년 뒤, 10년 뒤 우리 IT산업의 청사진 제시를 위해 기획 및 설계됐다. 연구는 크게 2가지 핵심 주제로 설계됐다. 미래 변화 메가트렌드와 이런 메가트렌드에 의한 IT산업의 변화상 조망이 한 축이었고, 또 다른 연구 축은 국내 IT산업의 지향점 과 이를 위한 전략과제 도출이었다. 그림 1 2020 메가트렌드 연구 목표
  • 17. 제1장 서론 3 제 2 절 연구 내용 글로벌 메가트렌드를 기반으로 한 국내외 IT산업 변화상을 살펴보고, 이상적인 IT미래상과 이를 위한 전략과제 도출을 위해 연구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설계했 고, 각 단계마다 연구 내용을 세분화했다. IT산업 변화상을 조망하기 위해 미래 변화 메가트렌드와 IT산업 메가트렌드를 순차적으로 바라보고, 각각의 영역을 사회/인구구조변화, 기술변화, 환경/기후 변화, 경제/산업구조 변화, 문화/삶의 변화 등 5개 영역으로 세분화해 살펴봤다. 5가지 세부 영역들은 미래 거시 환경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STEEP의 각 영역을 본 연구에 맞게 변형한 항목들이다. 구분 내용 IT산업 변화상 미래 변화 Mega Trend 사회/인구 구조 변화 기술변화 환경 / 기후 변화 경제 /산업구조 변화 문화 / 삶의 변화 Mega Trend와 IT 산업 사회/인구 구조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기술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환경 / 기후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경제 /산업구조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문화 / 삶의 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IT산업 전략과제 국내 IT 산업 지향점 전문가들이 제시한 이상적 IT 미래상 이상적 IT 미래상과 IT 변화상 매칭 IT산업 변화상의 이상적 미래상 미래상 구현을 위한 전략 과제 국내 IT산업의 기회요인 / 위협요인 전략과제 [표 1] 연구내용 개요 IT산업 전략과제 도출을 위해서는 전문가 인뎁스 인터뷰를 통해 이상적인 IT 미래상 도출을 우선 진행했다. 전략과제 도출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 18. 2020 IT 메가트렌드 4 할 지향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각계 전문가들을 통해 국내 IT산업이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IT 미래상을 들어봤고, 이를 전 단계에서 도출한 IT 변화상과 매칭 을 통해 각각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들을 살펴봤다. 이 과정에서 각계 영역의 전 문가 10여명 이상을 심층 인터뷰했다. 전문가는 IT 영역을 비롯해 비 IT 영역의 전문가를 망라해 이들의 깊은 통찰력과 미래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모두 수용 할 수 있도록 했다.
  • 19. 제1장 서론 5 제 3 절 연구 방법론 본 연구에서는 크게 3가지 연구 방법론을 적용했다. 우선 미래변화 메가트렌드 를 살펴보는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거시 환경 분석 기법인 STEEP 분석1) 을 이용했다. STEEP 분석을 통해 도출된 메가트렌드를 IT산업과 매칭하는 연구에서 는 최근 들어 널리 사용되는 미래 연구 기법인 Futures Wheel2) 기법을 활용해 다양한 시각을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국내 IT산업이 지향해야할 국내 IT산업 지향점을 살펴보는 단계에서는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행했고, 구체적인 전 략 과제 도출에서는 전문가 인터뷰와 각종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메타 분석을 병행했다. 그림 2 연구방법론 1) STEEP 분석은 산업 내의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거시적 환경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로 본 연구에서는 2020년 미래 변화를 가져오는 거시 환경 분석에 적용 2) 사회 Trend와 특정 사건들이 가져오는 2차, 3차 영향과 그 결과를 밝히는 방법론. 미래 관련 질문과 생각들을 조리 있게 정리하는 것으로 토론과정을 구조화해 앞으로 다가올 잠재 문제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가능성, 시 장, 상품, 서비스들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
  • 20. 2020 IT 메가트렌드 6 1. STEEP STEEP 분석은 미래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먼저 그것을 둘러싼 사회 적·기술적·경제적 영역의 환경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거시 적 환경요인이 무엇인지를 유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STEEP 분 석은 통상 사회(Society), 기술(Technology), 경제(Economics), 생태( Ecology), 정 치(Politics)와 같은 다섯 영역으로 분류해 영향력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각각의 환경적 특성을 정의 및 이해하고, 중요한 동향과 이슈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정확 하고 객관적인 미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림 3 STEEP 분석방법론 개요 본 연구에서는 STEEP 분석의 기존 5가지 영역을 다음과 같이 변형해 연구 목 적에 부합하는 결과물이 도출되도록 했다. 그림 4 본 연구에 적용된 5대 거시환경
  • 21. 제1장 서론 7 2. Futures Wheel 퓨처스 휠 기법은 미래 관련 질문과 생각들을 손쉽고 조리 있게 정리하는 방 식이다. 즉,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토론 과정을 구조화한 것으로 미래 트렌드나 앞으로 도래할 잠재성 있는 사건을 중심에 놓고, 중앙부터 바퀴모양으로 점차 생 각을 확장해 나간다. 일차적 영향이나 결과물들로 첫 번째 고리를 만들고, 2차 영향과 결과물들은 두 번째 고리를 이어나간다. 이런 방식으로 계속해서 영향들 과 결과들이 고리의 형태로 겹겹이 새겨나가다 보면 사회 트렌드나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결과들을 논리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퓨처스 휠 기법은 STEEP 분석을 통해 도출된 거시 환경 변화 의 트렌드들이 IT산업에서는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화하는데 사용 됐다. 그림 5 Futures Wheel 분석 방법론 개요 3. 전문가 In-Depth Interview 전문가 인텝스 인터뷰는 미래의 환경 및 패러다임 변화와 이슈를 파악을 위해
  • 22. 2020 IT 메가트렌드 8 각계 영역의 저명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도 있는 질의 응답을 진행하는 기법으 로 바람직한 미래 IT상 도출에 적용했다. 전문가들은 각 산업별 영역별로 세분화 해 다양한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했고, 사전에 특화된 질의서를 전달해 심층 적인 내용을 도출할 수 있도록 진행했다. 다양한 전문가를 통해 깊이 있는 통찰력과 미래에 대한 폭 넓은 시각을 수용 할 수 있었으며, 실질적인 사례들을 통해 산업에 미치는 영향, 파급력 현황 및 전망, 미래의 전략적 정책 등 폭넓은 분야의 다양한 논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구분 내용 대상 선정기준 국내외 IT전문가 가운데 분야별 할당을 통해 선정 인터뷰 방법 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에 의한 전문 연구기자의 직접 방문 인터뷰 인터뷰 인원 12명 [표 2] 전문가 인뎁스 인터뷰 개요
  • 23.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9 제 2 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제 1 절 글로벌 미래 트렌드 향후 미래 사회는 IT를 비롯하여 융합기술의 급격한 발전, 기후와 에너지를 비 롯한 글로벌 수준의 중요 이슈의 대두 등으로 지난 어느 때보다 변화 폭과 속도 가 빠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유엔을 비롯하여 OECD, 선진국의 주요 미 래기관, 국내 연구기관에서는 역사상 유래가 없을 정도로 사회 전반의 변동이 크 게 일어나고 다양한 기회와 함께 해결해야 할 위험 요소가 공존하는 시기로 전 망하고 있다. 불과 몇 년 내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사회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세계는 그동안 채집/수렵 경제에서 농경 사회를 거쳐 산업 사회, 정보 사회로 진화해 왔다. 미래사회에서는 정보사회 이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세상 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다가올 미래에서는 이성보다는 감성이나 상상력 등 이 크게 부각될 것으로 보여 사회의 핵심가치 역시 변모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림 6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 자료 : 김진화, e-비즈니스의 현신과 미래 변화, 2010 지금까지 사회적 요구나 사회적 가치가 개인의 의사결정을 결정짓는 주요 동 기였으나, 다가올 미래사회에서는 개인적 성장이나 도전기회가 주요 동기로 작동
  • 24. 2020 IT 메가트렌드 10 할 것이며, 상상력이 뛰어난 사람이 좋은 인재로 평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구분 산업 사회 정보 사회 향후 조직 계층, 서열 기업 네트워크 동기 물질적 요구, 안정 사회적 요구, 가치 개인적 성장, 도전기회 좋은 직장 물리적 근무 환경 좋은 사회적 관계 좋은 상상력 환경 좋은 인재 안정적인 숙련 노동자 충성도가 높은 인재 상상력이 풍부한 인재 제품선택기준 저렴한 가격, 사용 편의성 이야기 있는 제품, 브랜드 개인적 촉각, 선택 이상형 백만장자 이야기꾼 상상력이 뛰어난 사람 [표 3] 정보화 사회와 미래 사회 자료 : 전문가 인터뷰 재정리
  • 25.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1 1. 사회/인구 구조 변화 가. 저출산/고령화 우리나라 사회/인구 구조변화에서 가장 큰 미래 이슈는 저출산/고령화로 압축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한 성장 잠재력 저하 및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사회 적 비용 증대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높다. 저출산은 단지 인구 감소에 그치지 않 고, 인구구조의 기형화를 초래하고, 다양한 2차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당장 여 성의 경제활동 확대,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등이 급진전될 2차 영향으로 꼽히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국내 총인구는 1990년대 후반 이후 저출산 기조로 인해 인구성장이 정체되고 있으며, 2018년 4,934만 명을 정점으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생산가능 인구의 경우 이보다 빠른 2016년 3,619만 명을 정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3) 그림 7 국내 출산율 변화와 향후 인구 변화 추이 자료 : 통계청, 향후 10년간 사회변화 요인분석 및 시사점, 2009 고령화의 경우 보건복지부 자료에 의하면 국내 노인인구는 2026년경 전체 인 구의 20%가 65세를 넘어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2050년 이전에 국내 인구 가운데 50대 이상이 절반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4) 이보다 앞서 그동안 각종 시장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켜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5~10년 내 시 3) 통계청, 향후 10년간 사회변화 요인분석 및 시사점, 2009 4) 보건복지부, 50세 이상 인구구조변화
  • 26. 2020 IT 메가트렌드 12 작될 것으로 보여, 내수 위축 등의 저성장 기조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고령화 서비스 산업’이라는 신규 유망 산업의 부각을 가져오는 서비스 산업의 변화를 촉진하는 요소로도 작용하고 있다. 그림 8 고령화에 따른 국내 인구구조변화 전망 자료 : 통계청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저출산 우머노믹스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및 소비재 구매의 70%를 차지 다문화/다민족 사회 동조화되는 세계 문화 사회적 책임 여성 경제활동 증대로 육아/보육의 사회적 책임 증대 고령화 실버 컨슈머 2020년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인 초고령 사회 진입 안티 에이징 노화 예방 차원의 관리를 위한 투자 증대 평생학습시스템 부족한 인력/ 생산성 유지를 위한 사회적 투자 수요 증대 고령 적합 업무 등장 인력 재교육을 통한 신규 업종 등장 [표 4] 저출산/고령화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다민족/다문화 사회로 진입 저출산으로 인한 절대 인구수 감소 및 생산가능 인구수의 감소는 해외 인력의 국내 진출을 촉진시켜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크게 앞당길 것이다. 이 미 세계 도처는 문화의 생산지, 문화적 다양성을 의미하는 다문화사회, 다문화주 의, 다문화정책, 다문화가정과 같은 ‘다문화’가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다
  • 27.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3 민족 및 다문화 관련 전문가들은 다문화를 이종 문화 융합의 확산과 동조화되어 가는 세계 문화 속에서 이를 추동하는 핵심 트렌드로 평가하고 있다. 그림 9 한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추이 자료 : 행정안전부 다문화 가정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자연스레 습득할 수 있는 환경에서 자라 났기 때문에 단일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문화적 수용력과 이해도 가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측면에서 정치, 경제, 문화 전 영역에서 다 문화 가정 출신 집단(엣지워커, Edgewalker)이 부상하고 있으며, 이들의 영향력 은 더욱 다양한 분야에 파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예컨데 일상적인 서비스 영역을 넘어 다양성 교육이 중요한 영역에서 이들의 능력이 더욱 발휘될 수 있다는 것이다. 2009년 7월 기준 행정안전부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은 1,106,884명으로 전체 인구(49,593,665명)의 2.2%에 달하며, 2008년 891,341명에 서 1년 새 24.2%(215,543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의 경우 2008년 14.4만 세대에서 2030년에는 53.8만 세대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5) 이외에 농림수산식품부가 조사한 ‘2020년 다문화 자녀와 이주여성농업인 전망 치’에 따르면 2020년 19세 미만 농가인구 중 다문화 자녀가 차지하는 비중은 4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6) 5) 행정안전부,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조사 결과(2009.7) 6) 다문화 가정의 증가는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 미국 인구센서
  • 28. 2020 IT 메가트렌드 14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민족/다문화 글로벌 2.0 경제활동이 다문화 속에서 글로벌화 다문화 운동 글로벌 시장의 구매력 증대를 위한 활동 강화 엣지워커 다문화 가정 출신 집단의 부각 다문화 신규 직종 등장 다문화 교육전문가, 세계시민문화 전문가 등 [표 5] 다민족/다문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새로운 교육 시스템 인구 변화에 파생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변화로 사회의 고학력화 및 평생교육 의 확산을 들 수 있다. 고령화 추세, 다양한 직업군 등장 및 세분화, 노동시장이 점차 탄력적으로 변화하면서 평생교육, 평생학습사회의 도래가 전망된다. 홈스쿨 링, 계약제학교(Charter school)7) 등 다양한 형태의 대안학교가 등장할 것으로 예 상되며, 대안적 교육 기회의 증가에 따라 네트워크 학습사회(network learning society)의 등장도 전망된다. 이는 기존 공급자 중심의 교육시스템에 대한 불만과 교육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학교를 뛰어넘어 학습 네트워크의 형성을 촉진하게 될 것이며, IT기술은 이러한 광범위한 네트워크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 상된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새로운 교육 시스템 학교 2.0 디지털 세계에서 살아갈 것을 염두에 전제로 한 新 교육 대안학교 공교육의 약화와 다양한 형태의 대안학교 활성롸 네트워크 학습사회 학교를 뛰어 넘어 IT 기반의 학습 네트워크 형성 평생교육 다양한 형태의 재교육 기회 제공 [표 6] 새로운 교육 시스템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사회적 책임 증대 및 스마트 SoC 확대 스에 의하면 미국내 다문화 가정 인구수는 520만 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0 년 센서스 조사 결과와 대비하면 33% 증가한 수치다. 7) 교육여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공교육의 대안으로 지역과 관할기관과의 계약에 의해 운영되는 학교로써 학부모 와 약속한 교육성과를 달성하지 못할 때 계약취소 등의 책임을 지게 됨
  • 29.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5 사회 시스템 부분에서 미래 사회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상황인지 기술의 진 화로 모든 서비스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지원하는 환경과 자연재해 및 인적 재난 을 사전에 감지해 국민의 복지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든 서비스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지원하고 개인 평생 정보를 집적해 신체처럼 이용할 수 있는 u단말의 등장하고, 공간적 치안 서비스가 개인에 특화된 경호 서비스로 확대되 는 등 개인에 특화된 서비스의 확대가 나타날 것이다. 평생교육 시스템과 더불어 언제 어디서나 교육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학습자 중심의 지능형 교육 시스템 등도 보편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 복지가 크게 증대되는 만큼 정부의 책임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각종 범죄 및 테러가 과학기술 진보에 따라 글로벌화되고 갈수록 사이버화 되면서 초국가적 범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강력해질 것으로 보인다. 맞춤형 개인 서비스 확대와 IT 인프라의 클라우드화로 개인 사생활 정보 유출 가능성이 증가하고, 현실과 가상세계를 넘나드는 환경 구현으로 가상공간 범죄 급증하는 것도 사회적 책임을 더욱 크게 하고 있다. 국민의 풍요로운 문화 생활 보장 욕구, 국민의 학습권, 학습복지 보장, 국민의 건장 증진 의무 등에 국 민적 요구는 증대될 것이 분명해 국가의 의무는 증대되는 시대가 될 것이다. 정 부 차원에서는 국민과의 효율적인 소통 필요성 증대로 전자정부 시스템의 활용 과 지능화 요구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책임 스마트 SoC U 단말 개인정보를 신체처럼 이용할 수 있는 환경구현 단말 개인 경호 서비스 치안 서비스가 개인에 특화된 서비스로 진화 초국가 범죄 범죄의 글로벌화&사이버화 스마트 SoC 국민의 복지를 증진하는 형태의 사회 기반 시스템 확대 [표 7] 사회적 책임 증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마. 소결 사회/인구 구조변화에서는 우선 저출산, 고령화를 통해 실버 컨슈머의 등장과 이들을 타깃으로 한 고령화 상품과 특화 서비스의 등장을 가져올 것이다. 또한
  • 30. 2020 IT 메가트렌드 16 인구감소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외국인 노동자의 확대와 이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다민족 사회로의 전환을 앞당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평생 학습, 다문화 운동, 대안 학교의 확대 등이 나타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가 점차 초국가적 범죄의 위험에 노출되고 각종 개인 정보의 노출 가능성 이 커짐에 따라 국가의 사회적 책임은 증대되고 각종 국민 복지와 후생을 지능 화된 시스템을 통해 구현하는 스마트 SoC의 확대가 나타날 것이다. 그림 10 사회/인구 구조변화의 STEEP 분석
  • 31.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7 2. 기술변화 가. SMART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화는 기기의 인공지능이 강화되고 사람이 중심 이 된 제품, 기기, 서비스의 등장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를 비롯해 전 세계적 핵심 키워드로 부각된 스마트폰은 센스+터치+위치 인식 등으로 구현돼 매우 인간적인 제품이란 평가를 듣고 있다. 또 일부에서는 상당 수준의 휴먼터치 를 통해 인간의 의도를 해석하는 기술을 다수 구현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휴먼 인터페이스는 향후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되며, 2020년에는 키보드 를 대체할 인터페이스가 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령, 손가락 움직임이나 눈 깜박임, 인간의 언어 등으로 작동하는 인터페이스들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 인공지능 사람이 중심이 된 똑똑한 제품과 기기의 확대 인간과 소통 사용자를 인지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 집단지성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 집단 지능 구현 M2M 커뮤니케이션 기기간 소통으로 만물지능통신 [표 8] 스마트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Eco Friendly 미래 사회에서는 친환경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면서 환경 친화적인 기술이 크게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청정생산 기술, 환경지능기술, 전통산업의 친환경화를 지원 기술 등의 부각이 예상된다. 청정 생산기술에서는 환경 친화적 인 제품설계, 청결공장, 바이오에너지 관련 기술, 신재생 에너지 등을 중심으로 활발한 기술경쟁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 지능기술에서는 그린가전, 환경복원 시스템, 친환경 재료/소재 기술 등이, 전통산업의 친환경화 영역에서는 친환경 자동차나 항공기, 그린 시티, 초저전력 기기 등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 32. 2020 IT 메가트렌드 18 그동안 그린 IT는 소비 전력 절감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이룰 수 있 는 제품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최근 들어 이른바 그린SW8) 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림 11 그린 IT 주요 영역 자료 :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9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Eco Friendly 그린가전 일상속에 파고드는 친환경 기술 트렌드 청결공장 환경 친화적 제품 설계 및 청결공장의 등장 친환경자동차 전통산업의 친환경화 [표 9] Eco Friendly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Reality 리얼리티 구현을 위한 접근은 모든 기기에 IP와 네트워크 센서가 부착된 유비 쿼터스 환경 구현을 통한 빈틈없는 연결성(Seamless Connectivity) 보장으로 구 8) 그린 SW는 저탄소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서비스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 33.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19 체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모든 디바이스간 콘텐츠 공유를 구현하고, 가상/증강 현실 기반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리얼리티를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원격 진료, 텔레프리젠스(TelePresence) 등은 가장 대표적인 증강현실 모델로 꼽히며, 가상공간의 가치증대9) 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Reality 가상현실 원격진료, 텔레프리젠스의 상용화 차세대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에이, 비디오 월의 구현 커넥션 IP와 네트워크 센서의 결합 [표 10] Reality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통합과 다변화 미래 사회에서는 각종 산업의 통합과 다변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시대가 될 것 으로 전망된다. 실제 유무선 인터넷이나 방송 등은 하나로 융합돼 방송사라는 용 어가 생소해질 수도 있을 것이며, TV라는 디스플레이는 존재하겠지만 방송을 시 청하는 디바이스는 매우 다양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를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보는 환경에서 일방적인 독주 보다는 디바이스간 상호 보완적인 모습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마치 현재 유 선전화도 존재하고 무선 전화기도 존재하는 방식이 이와 유사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컨버전스가 큰 축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동안 다변화 역시 중요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복합적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등장하는 동시에 단순화된 단말기(PMP, e북 등)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동시에 범용 이동 단말기와 함께 특정 용도의 이동 단말기가 별도 출시될 것이다. 9) 가상공간의 가치 증대에 따른 가상경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두고 비추얼노믹스(Virtualnomics) 라 일컫음. .
  • 34. 2020 IT 메가트렌드 20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통합과 다변화 Convergence 디스플레이+커뮤니케이션+센서의 결합 Divergence 특정 용도 단말기 등장 Mobility Foldable&Slim, Design Freedom, Wearable 기기 [표 11] 통합과 다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마. 소결 기술변화 부문에서 가장 큰 키워드는 스마트라 할 수 있다. 각종 IT기기 및 단 말기가 스마트화를 통해 인공지능이 강화되고 보다 인간과 소통이 가능해지는 모습을 진화해 가고 있다. 디바이스 및 단말기의 진화는 증강현실 등의 연관 산 업의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환경 친화 및 환경 관리 기술은 친 환경이라는 거대 명제로 인해 지속적인 개발과 확산이 예상되며, 갈수록 인공지 능과 자동화되는 스마트의 흐름과 동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2 기술변화의 STEEP 분석
  • 35.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1 3. 환경/기후 변화 지난 100년 동안 지구의 온도는 0.74℃상승했고, 이런 추세로 온도 상승이 나 타날 경우 2020년경에는 야생동물 중 온도변화에 민감한 개구리, 뱀 등 양서/파 충류가 멸종하고 적게는 4억 명, 많게는 17억 명이 물 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전 망되고 있다. 또한 지구의 온도가 섭씨 1도 상승하면 국내 5대 전염병 발생률 4%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는 국내외 환경 변화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국내 5대 질환 진료비가 2005년 70억 2700만원에서 2007년에는 77억 8900만원으로 증가했고, 갈수룩 그 비용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환경/기후 변화로 인해 북극 빙하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해 얼음으 로 뒤덮인 면적이 460만 ㎢로 하락(2007년: 430만 ㎢, 2008년: 470만 ㎢)으로 가 파른 빙하 감소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평균하면 32년 후면 얼음이 없는 북극 해가 될 것이며, 심한 경우 11년 후에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런 배 경에서 북극 자원을 겨냥한 군사적 접근 가능성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가. 기후변화 기후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친환경 재료/소재, 신재생 에너지 등 새로운 환경 시장의 대두가 예상되며, 청정생산 기술의 등장으로 산업구조가 친환경으로 변환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친환경 자동차, 친환경 항공기, 차세대 선박이라 일컬 어지는 그린쉽(Green Ship), 친환경 에너지 플랜트, 그린 시티 등이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전통적 산업 구조가 친환경적으로 변모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 으로 예상된다. 이외에 환경오염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생산기술인 청정생산기술 등장해 제품의 설계단계부터 저공해, 저폐기물, 리사이클링, 에너지 효율 등이 고려된 환경 친화형 제품 설계 기술 등이 포함될 것이다. 과거 오염물 질 배출원이자 청결치 못한 공간으로 인식됐던 공장이 환경 친화적이고 청결한 개념(청결 공장)으로 변모된다. 이를 통해 공장 내 전 공정이 청정화 된 환경 친 화적 프로세스 및 공간으로 변모하게 된다.
  • 36. 2020 IT 메가트렌드 22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그린시티 온난화 가속을 막기 위한 범사회적 접근 강화 빙하 감소 남북극 선박여행 및 북극 영토 전쟁 친환경 산업 패러다임이 친환경화 [표 12] 기후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에너지 자원고갈 에너지 자원고갈에 대한 위기감으로 에너지원의 다양화 및 신재생에너지, 바이 오 기반 에너지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질 것이다. 향후 50년간 경제 성장 및 인구 증가로 에너지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문제 에 대한 관심 증대로 풍력, 지열, 태양에너지, 바닷물 등 생물연료의 부각이 예상 된다. 화석 에너지 사용절감을 위한 대표적 해결방안으로 신재생 에너지 개발 가 속화와 BT 기반의 에너지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다. 식물이나 미생 물들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바이오매스의 다양화 및 이를 활용한 수소 에너 지 원천 확보 기술이 대표적이다. 산업 환경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으로 BT/ET/ 융합기술의 진화가 가장 효과적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 자원 고갈 바이오매스 친환경 에너지원 개발 태양 전력위성 에너지 저장 기술 개발 경쟁 BT 융합 산업 환경 문제 해결책 [표 13] 에너지 자원 고갈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국제 환경 규제 유독성 물질의 사용금지 및 재활용을 염두에 둔 설계를 의무화하는 그린 생산 등 생산, 물류 등 전 영역에서 친환경 요구가 급증하며, 그린 인증, 그린 조달 등 관련 산업이 활기를 보일 것이다. 그린 생산, 친환경 물류 서비스, 그린 인증제 도, 그린 조달 등 환경 규제가 생산 및 유통망 전 영역으로 확산되며, 새로운 무 역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37.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3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국제 환경 규제 그린SCM 공급망 관리의 친환경화 그린 생산 친환경 제품 표준의 확대 환경 장벽 새로운 무역 장벽으로 대두 [표 14] 국제 환경 규제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소결 환경/기후 변화는 환경재해에 대한 우려와 자원고갈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생 태계 보호하는 전 지구적 차원의 메가 트렌드로 그 영향력이 갈수록 커질 것으 로 전망된다. 에너지 소비 증대와 물 부족 현상이 심회되면서 국제 환경 규제는 강화가 불가피하며, 또 다른 무역장벽으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문제가 대두될수록 그린생산, 그린인증 등 신규 환경 산업의 부상이 예상된다. 그림 13 환경/기후변화의 STEEP 분석
  • 38. 2020 IT 메가트렌드 24 4. 경제/산업구조의 변화 가.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과거 G7 선진국 10억 명 가량이 견인하던 세계경제가 점차 신흥개도국이 참여 하는 G20 40억명의 新경제질서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미 경제 성장축이 ‘+30억 신흥시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각국 GDP 통계에서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로 올라섰으며,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의 Global Trend 2025 전망에 따르면 중국은 2030년 즈음해서 미국 GDP 규모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되 고 있다. 한편 경제시스템 내 윤리 문제의 부각, 삶의 질 등을 포괄하는 새로운 GNP/GDP 개념이 등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으며, 공기 해양 등 글로벌 공유재를 보존하기 위한 국가간 노력 등도 주요한 변화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 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경제 패러다임 변화 리버스 이노베이션 경제 성장 축이 선진국에서 개도국의 이동 글로벌 2.0 글로벌화의 강화 및 보편화 Born Global 기업 출발부터 글로벌라이제이션 시도 [표 15] 경제 패러다임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지식기반 경제 및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 개인의 창의성, 기술, 재능 등을 이용해 지적재산권을 설정하고, 이를 활용해 소득과 고용을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대두와 함께 핵심 역량에 집중하는 사업 모 델의 재정의가 이뤄질 것이다. 또한 제조업의 핵심 기능이 조립가공에서 디자인 /서비스로 이동하는 추세가 강화되며, 궁극적으로 물건은 무료, 서비스를 판매하 는 형태의 사업모델의 확산될 것이다. 기술 차별화의 어려움으로 브랜드를 제외한 다른 가치 사슬은 아웃소싱해 생 산 시설 없는 제조업의 등장하게 되고, 구매 정보 등 기업 자산을 파트너와 공유
  • 39.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5 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종추종 전략의 확대가 이뤄진다. 이와 함께 가상 글로 벌 비즈니스 경영 역량 확보를 위한 전략 기획, 원격 프로젝트 관리 등 고부가가 치 신규 직업군의 등장하게 되며, 경험 가치를 중시하는 기업 전략, 가령 라이프 스타일을 파는 기업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이 유효하게 될 것이다.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과정에 외부인의 참여를 통해 혁신을 유도하는 클라우드 소싱의 확대와 다양한 영역에의 접목되며, 집단지성 활용 증대와 집단지성 기반 의 집단 기업의 등장한다. 사회운동 강화로 윤리경영, 환경 경영 등 기업의 사회 적 책임성 증가하게 되며, 시장을 창조 또는 선점한 기업이 성과를 독식하는 수 확체증 경제의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 클라우드 소싱 개발과정에 외부인의 참여를 통해 혁신을 유도 위키노믹스 집단지성의 활용 증대 창조경제 상상력과 아이디어가 최대 경쟁력 시대 [표 16] 비즈니스 생태계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제조 생산 방식의 변화 생산 단계 아웃소싱의 보편화로 개도국의 생산기지화 가속된다. 이는 가치사슬 에서 생산 공정 이외 중요성이 증대해 고부가가치 서비스 영역의 확대, 이로 인 해 인프라 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IT/NT 등의 발달로 초정밀 가공의 필요성, 맞춤형 다품종 소량 생산 확대, 무 공해 첨단 생산공정에 대한 수요 확대로 마이크로 공장 및 화이트칼라 생산직 증가한다. 기존 제조업과 차별화되는 소프트화의 확대로 디지털 기술과 창조산업 의 부각되고, 상품 기획, 생산, 유통 단계에 소비자가 참여하는 CEO형 소비자의 등장하게 된다.
  • 40. 2020 IT 메가트렌드 26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제조/생산 방식의 변화 글로벌 아웃소싱 개도국의 생산기지화 가속 마이크로 공장 소수 엔지니어 중심의 기술 집약적 공장 CEO형 소비자 제품 기획, 생산, 유통 전 단계에 소비자가 참여 [표 17] 제조 생산 방식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개방성의 증대 인터넷을 통한 전 세계의 통합이 한층 강화되는 글로벌 2.0 시대로 진입하게 되고, 글로벌화가 강화되는 과정에서 지역 중심의 글로벌화가 촉진돼 지역 블록 경제의 강화된다. 선진국의 투자 매력 감소와 동시에 개도국의 투자 증대로 신흥 개도국의 약진이 나타난다. 범용 기술에 의한 무선망 개방과 유무선 인터넷의 통 합이 나타나, LCD 전광판, PACS, 모바일 단말기 등을 통해 클라우드와 교신해 정보 공유가 이뤄지며, 수많은 OS가 각종 기기에서 글로벌 범용 OS로 통일화 되는 시기가 될 것이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개방성 증대 글로벌 2.0 한층 강화된 글로벌라이제이션 오픈 플랫폼 오픈 네트워크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정착 Convergence 범용 기술에 의한 각종 기술과 기기의 통합 [표 18] 개방성 증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마. 소결 경제/산업구조의 변화는 경제 구조 소프트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양극화와 저 극화가 동시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들이 제품 정보에 상시적으로 접 근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면서 소비자중심주의가 크게 강화될 것이다. 또한 기 술 차별화의 어려움으로 브랜드를 제외한 다른 공정은 아웃소싱 형태로 운영하 는 이른바 생산시설 없는 제조업이 등장하게 되고, 구매 정보 등 핵심 기업 자산
  • 41.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7 을 파트너와 공유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종추종 전략의 확대가 전망된다. 다문 화 시대로의 진입은 경제/산업 구조에도 문화 보편적인 상품의 가치를 높일 것 으로 보이며, 세계성과 지역성의 적절한 결합 능력과 지식 콘텐츠 생산 능력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4 경제/산업구조 변화의 STEEP 분석
  • 42. 2020 IT 메가트렌드 28 5. 문화 /삶의 변화 가. 소비자 중심주의 문화 소비자가 가격정보, 제품평가, 사용 후기 등 관련정보에 항시 접근 가능함에 따라 소비자의 선택권 강화가 나타나는 소비자 중심주의(consumerism) 부상한 다. 기존 오프라인으로 거래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온라인 참여 확 대에 따라 소비자가 거의 동일한 정보를 파악, 소비자들의 모니터링 기능 강화로 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CEO형 소비 트랜드가 나타나 상품의 기획 단계부터 소비자의 참여 보편화, 생산자와 소비자의 동반 마케팅 전략 확산이 예상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소비도 확산될 것이다. 이성적 소비와 감성적소비의 결합돼 다양한 소비군과 트 랜드의 복합화 현상이 나타나며, 소비 패턴 역시 소유에서 체험 중심으로 이동될 것이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중심주의 파워 컨슈머 상시적인 정보 접근성으로 강력해진 소비자 파워 하이브리드 소비 이성소비+감성소비, 다양한 소비군과 트랜드의 결합 트라이슈머 체험을 중시하는 소비 풍토 확대 [표 19] 소비자 중심주의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나. 사회적 참여 확산 IT 기술발달로 빠르고 정확하고 광범위한 의사결정 가능해짐에 따라 개인화된 정치참여, 자발적 참여가 확대된다. 개방적 시스템, 민주화, 쌍방향 미디어, UCC 공유 사이트 등은 보다 많은 사 람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를 유도하며, 갈수록 확대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집단지성 시대의 도래는 의사결정에 필요한 지식을 즉각 얻을 수 있게 하여 의 사결정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전망이다. IT 네트워크 및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통한 민족간 이해 및 문화적 교류 증대가 예상된다.
  • 43.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29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참여 확산 민주주의 2.0 쌍방향 미디어 등으로 정치 참여 확대 집단 지성 다양한 의견 취합 및 의사 결정의 향상 [표 20] 사회 참여 확산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다. 체험/감성 사회 시각 언어 사용 일상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확산은 ‘아이코닉(Iconic)’ 문화 확대로 이성보다 꿈과 감성이 중시된다. 이미지 음향 문자 신체 조형 미각 촉각 등 다양한 감성 정보가 핵심요소로, 문자 메신저에서 플래시콘 사용과 동영상 메 일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시장의 확대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 된다. 가상체험 및 감성적 교감도 중시된다. 자신을 대신하는 아바타를 통한 세컨드 라이프 생활 확산 → 아이코닉 사회가 되며,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의 진화․ 발전에 따라 개인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망이 점차 고도화 → 개인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상당한 정보의 생산 및 유통능력을 갖추게 됨에 따라 ‘힘 있는 개인’의 등장하게 된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체험/감성 사회 아이코닉 사회 문자 대신 디지털 이미지 중심의 사회 가상 체험 가상공간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를 중시 힘있는 개인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영향력이 큰 개인의 등장 [표 21] 체험/감성사회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라. 삶의 질과 여가 건강, 레저, 웰빙 등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가해, 원격진료 확산, 온라인 의료 정보 시장 등장 예상되며, 환자와 의사간의 정보의 비대칭성이 점차 완화될 것으 로 전망된다. 일과 여가의 결합(Labortainment)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4D 체험
  • 44. 2020 IT 메가트렌드 30 공간 확산이 예상된다.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재택근무지원시스템 신규 수요 발생한다. 이미 급속한 스마트폰 네트워크화로 모바일 오피스 시장 급성장하고 있다. 2013년까지 연평균 6%의 성장률이 전망(IDC)되며, 국내에서도 정부가 202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를 2005년 대비 4% 감축 목표를 설정함에 따라 저탄소 업무환경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원격근무 도입률은 2005년 기준 전체 사업자의 0.7%이며, 공공부 문 도입률은 2.4%로 나타나 향후 적극적인 투자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구분 키워드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삶의 질 레어버테인먼트 일과 여가의 결합 스마트오피스 자유로운 업무 환경 구현 Me Generation 자기애가 강한 세대의 등장 [표 22] 삶의 질과 여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마. 소결 문화/ 삶의 변화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가 제 품 생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중심주의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각종 제품 정보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힘있는 개인이 등장하면서 이들이 직 접 제품의 기획과 생산, 유통에 참여하는 CEO형 소비자의 등장도 예상된다. IT 기술발달로 빠르고 정확하고 광범위한 의사결정 가능해짐에 따라 개인화된 정치참여, 자발적 참여가 확대된다. 또한 시각 언어 사용 일상화, 이미지 커뮤니 케이션 확산은 자신을 브랜드화하는 아이콘 시대로의 진입을 이끌 것이다. 이외에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모바일 오피스의 확대로 일과 여가가 결 합되는 현상이 강화되고 건강, 레져, 웰빙 등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관련 서비 스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 45.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1 그림 15 문화/삶의 변화의 STEEP 분석
  • 46. 2020 IT 메가트렌드 32 제 2 절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IT산업 1. 사회/인구 구조 변화와 IT산업 가. 저출산/고령화 급격한 고령화 추세는 실버 컨슈머의 등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실버 소 비자들의 가장 큰 욕구는 건강하게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적 차원의 관리를 위한 투자가 증대되고 안티 에이징 관련 트렌드의 부각이 예상된다. 또한 실버 소비자들의 정서적인 소외와 단절을 해결할 수 있는 정서적 케어 서비스가 크게 각광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족대여업, 노인 맞선 회사, 노 인 전용 오락실, 온라인 커뮤니티교류, 노인 전문 정보공유 등이 신규 서비스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고령 인구의 IT 소비 역시 다른 연령대와는 상당한 차 이를 보일 것이다. 고령 인구들은 사용하기 쉽고 튼튼한 것 선호하는 특성을 보 이며, 한 대의 PC에 모든 기능을 갖춘 상품이나 대형 스크린의 TV나 큰 화면의 컴퓨터가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10) 고령친화의료기기 및 재활기기 관련 전세계 시장 규모는 2010년 현재 59,160 만 달러에 달하며, 연평균 8.5%의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주요 분야로는 휄체어, 보청기, 자동배변배뇨처리장치, 이동 및 생활지원기기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향후 무선페이징시스템, 사회안전망 시스템, 건강 체크 변기 센 서, 침대센서, 독거노인 U-Care 시스템 구축 등이 유망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009년 2월 발표한 ‘해외 신개발 유망상품 트 렌드’에 따르면, 2007년에는 고령인구 증가로 인해 고령친화산업이 부각되면서 노인 전용용품의 출시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1) 한편 보건복지부는 국 내 고령친화기기 시장이 2018년에 약 5조 7,48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한다. 10) 실버 컨슈머에 대한 IT기업들의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인텔의 경우 IT기술을 접목해서 고령 소비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 진행하고 있으며, IBM, 산요, 도시바 등의 기업들은 고령 소비자에게 맞는 IT 기기 니즈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 미국 국가재택노화협회는 고령 인구에게 필요한 첨단기구, 기기, 네트워크, 텔레케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11) 하지만 2008년에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기구가 많이 출시돼, 건강을 평소에 챙겨야 한다는 의식이 확산된 것으로 분석됨
  • 47.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3 한편 생산가능인구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청장년층 인력 확보에 어려 움은 인건비 부담과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며, 이는 채용 방식의 변화, 고령 인구 에 필요한 직무의 개발, 평생학습 시스템 등의 등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령 인구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교육하는 멀티캠퍼스, 고령화 사 회 서비스의 수준을 표준화하는 작업, 독립생활과 고령의료전문가를 교육시키는 작업, 전화, 초고속망, 텔레메디슨, 센서, 휠체어 등 고령인구의 생활에 필요한 기 기 및 기구, 식사 등을 해결하는 인테리어 리모델링, 친구와 함께 책읽기 등 소 일하는 프로그램 등도 개발될 것이다. 나. 다민족/다문화 사회 미래 사회에서는 경제 활동이 다문화 속에서 글로벌화되는 변모를 통해 신진 개도국의 부각, 국제결혼/해외 노동자 등을 통한 다문화 가정의 확대, 여성의 사 회진출 및 경제 활동 강화, 노년층의 증가 등 기존 약자로 존재했던 계층의 파워 가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화가 진행될수록 소비자들을 점점 동질적 인 집단으로 변모시키고 있어 공급자 중심 경재에서 소비자 중심 경제로, 현지화 보다는 문화보편적인 제품으로의 변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다문화의 증가는 사회 통합 이슈가 크게 증가될 것이며, 다문화 관련된 각종 신규 직종의 증가와 다양한 네트워크, 문화 교육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 다. 글로벌 비즈니스 무대에 다문화 체험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두 문화 에 능통한 사람이 탁월한 협상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협상활동 뿐만 아니라 혁 신활동에 있어서도 다문화 혼혈인들의 강점이 발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 전문가, 다문화복지사, 다문화교육전문가, 세계시민문화교육가, 세계시민권단체, 세계문화단체, 세계다문화네트워크 종사자, 세계다문화링크기술자, 인터넷다문화 접속전문가, 다문화를 위한 다언어교육가, 세계인의 서바이벌 교육담당자, 세계일 자리 전문가 등 다양하고 새로운 직업이 등장하고 있다. 다. 네트워크 기반 사회
  • 48. 2020 IT 메가트렌드 34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확대에 따른 신규 개인화 서비스의 활성화에 이를 효율 적으로 지원하는 기반 인프라 확대 요구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물지능네트워크의 상용화 촉진, 각종 위치기반 서비스의 등장, 상황인지 및 첨단 센서 기술의 보편화 등이 이를 앞당길 것이고, 언제 어디서나 클라우드 정 보를 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신뢰할 수 있고, 유의미한 정보를 선별하는 사회적 여과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될 것이다. 이미 정보 과잉으로 개인 삶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고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데이터 스모그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갈수록 가치 있는 정보의 선별하는 기술 및 서비스의 중요성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라. 소결 사회/인구 구조변화는 IT산업에 있어 실버 컨슈머의 등장으로 실버형 IT기기 수요 증대 및 고령인구 보장 서비스의 특화 등과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된다. 사회 고령화에 따라 노령 인구를 타깃으로 한 신규 서비스의 등장이 크게 증가하고 노령 인구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 및 관련 제품들의 출시가 뒤 따를 것이다. 생산 가능 인구의 고령화와 청장년층 인구 감소는 경제적 측면에서 생산 방식, 인력 운용 및 채용, 조직문화 등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기업의 핵심 역 량으로서 인재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태어나고 자랄 시기부터 디지털 문명이 발달해 있었기 때문에 각종 디지털 기 기 사용에 익숙하고 신기술에 대한 저항감이 매우 적은 새로운 집단으로 디지털 네이티브의 대두가 나타날 것이다. 이들은 개인용 컴퓨터, 휴대전화 등 휴대용 단말기와 인터넷의 대중화 등의 디지털 혁명으로 탄생한 신인류로서, 콘텐츠 생 산자 역할을 주도할 것이다. 또한 이들은 기존 세대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 정보 소비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 기존 인류와 다른 삶의 패턴을 가 진 이들의 등장 등으로 인해 일반인들에게 시장의 힘이 집중되는 파워 쉬프트 등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 49.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5 그림 16 사회 인구구조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
  • 50. 2020 IT 메가트렌드 36 2. 기술변화와 IT산업 가. SMART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화의 진전은 사람들이 배워서 기계를 이용하던 시기에서 점점 기계가 인간에 가까워져 일용품화되고 가전제품화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디바이스들의 구분은 점점 없어질 것이다. 스마트화는 지금까지 IT벤 더, 전문가, 엔지니어 등이 이끌던 IT시장이 점차 일반인이 주도하는 시장으로 옮겨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스마트는 정보와 각종 기기가 좀 더 똑똑해졌 다는 의미를 넘어 인텔리전트 구현을 통해 사람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의미 한다.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는 향후 사회상을 크게 바꿔놓을 주요 키워가 될 것이다. 이미 스마트폰은 2010년 전 세계적인 이슈를 이루면서 많은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스마트폰은 아이폰이 선도하고 안드로이드가 추격하는 가운데, 내년 상반기 되면 본격적인 애플 vs 구글 연합군의 경쟁이 시작될 것이 다. 둘 모두 혁신적인 회사이고 이들로 인해 ‘smartphone&related’ 디바이스, PC 아닌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본격 등장과 웹 표준의 확산이 가속될 것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등장과 HTML5의 확산으로 인한 웹 표준화가 올 연말에서 내년까지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곧 2~3년 후 LTE 등 4G 이통망이 깔릴 경우 ‘스마트폰 & related’ 기기 가 급속도로 확산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웹 표준화로 액티브x 등 인터넷 이용을 가로막는 장벽들이 사라지고 보다 광범위한 웹에 자유롭게 접근하게 된다. 빠른 네트워크를 가진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와 웹 표준의 확산으로 공상 과학에서 본 것 같은 수준의 기기들이 가능해지기 시작할 것이다. 이런 변화와 함께 PC의 절대적인 위치는 흔들린다. PC 보는 시간이 줄어들고, PC 아닌 다른 기기로도 무엇인가 할 수 있다는 점이 명확해지면서 PC의 위상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진다. 윈도 시리즈가 끊임없이 발전해 윈도XP에 이르러 사용성 과 안정성이 모두 훌륭한 수준에 이른 것처럼 이때쯤이면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도 안정적 수준에 이를 것이다. 그동안 얘기만 무성하던 포스트PC, 어플라이언스
  • 51.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7 의 시대가 드디어 시작되는 것이다.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그 단초라 할 수 있다. 아이폰4에서 보듯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격 인하와 웹 표준화로 모든 것의 비용과 가격이 싸지게 된다. 이는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에 기여하고 웹, IT, 교과서 민간 콘텐츠, 공공 콘텐츠 등이 대중화될 것이다. 지금까진 뉴스나 가벼 운 게임류 등이 주로 대중화되었다면 앞으로는 고급 정보도 대중화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것이 app에 연결되며 cost가 내려간다. 이외에 스마트화는 인간과 교감하는 디바이스의 등장으로 한층 구체화될 것으 로 예상된다. 시청자를 인지하는 TV가 등장하고, 사용자를 인지해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리모콘 등이 조만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마트화는 작게는 기기간 소통을 의미하는 M2M Communication의 중요요소로서 각국의 기술경쟁 이 가열되고 있으며, 더 크게는 만물이 지능통신을 보유하는 만물지능통신12) 영 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스마트화의 핵심요소가 반영되고 있다. 또한 검색 부문에서는 온톨로지(Ontology) 기술을 통해 지능형 DB 구축 등은 사회 전반의 집단지성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 전반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그림 17 M2M 커뮤니케이션 구현도 12) 모든 시설, 콘텐츠, 공간 등이 스마트하게 상호 통신한다는 개념으로 제1공간(물리공간), 제2공간(전자=웹 공 간), 제3공간(증강현실/확장가상)이 결합돼 과거와 현재, 미래 정보가 모두 제공되는 환경을 의미함
  • 52. 2020 IT 메가트렌드 38 나. Eco Friendly 유럽을 중심으로 각종 환경 규제들이 기세를 더해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 세계적인 합의에 의해 이행되고 있는 기후변화협약 등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 계 산업계를 크게 바꿔놓고 있다. 이런 환경 변화로 인해 21세기는 녹색 성장의 시대라 불리고 있으며, 최근 들어 그린IT가 새로운 이슈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그동안 그린 IT는 소비 전력 절감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를 이룰 수 있는 제품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특히 데이터 센터를 중심으로 한 그린IT가 논의의 중심이 되어왔었다. 하지만 그린IT는 단순히 제품의 에너지 소비량 절감 또는 특정 기술을 적용하여 데이터센터 또는 시설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만으 로 대표되지 않는다. SW 업계를 중심으로 이른바 그린SW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 프트웨어는 기업들이 PC,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 하드웨어의 전력 사 용량과 발열량을 줄임으로써 탄소 배출을 저감시키거나,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 모량을 모니터링하고 자동화하거나, 다양한 IT 활용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애플리 케이션을 통하여 에너지 효율화를 극대화하는 기능들의 지원이 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그린 SW는 저탄소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서비스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업들의 녹색경영 체계가 가속화되고, IT 솔루션을 활용한 에너지 효율화 및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노력은 그린 SW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SW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데스크 탑, 데이터센터 등의 물리적인 서버 수 증가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가상화 기 술, 에너지 소비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해주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소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분석 SW, RFID와 같은 원격센싱 네트 워크, 제품 생산 과정을 모델링하고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거나 친환경 건물 설 계 및 물류 운송 네트워크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뮬레이션 SW, 그리고 전력, 물 류, 건물, 환경 유해물질 관리 등에서 시설물 관리, 물류 추적, 환경연구를 위한 공간정보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 53.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39 [그림 18] 각국의 그린 관련 재정 투자 국내 30대 기업들이 그린 관련 총투자액은 22조 4000억원으로 3년 전과 비교 해 4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재생에너지 등 청정에너지 분야가 8조 9000억원에 달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녹색성장위원회 자료에 의하면 2020년까지 탄소포집저장(CCS) 기술에 2조 3000억원, 이차전지 영역에 15조 이상 투자될 전망에 있어 환경 친화 기술에 대한 열기는 더욱 뜨거워 질 것으로 예상 된다. 해외에서도 에너지 절감형 주택인 그린홈에 이어 청정건강주택인 클린홈이 확산되는 등 친환경 관련 기술의 부각이 이뤄지고 있다. 유럽연합과 미국은 2020 년까지 모든 신축주택에 대해 제로에너지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다. Reality 리얼리티 구현에서는 3D 디스플레이 등 새로운 디스플레이 등이 큰 역할을 하 고 있다. 특정 분야에서 시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비디오월(Video Wall), 디지 털 월 페이퍼(Digital Wall Paper), 투명한 디스 플레이 등이 대표적이다. 리얼리 티 구현에서는 생체센서와 생체신호 처리 기술,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근거 리 무선통신 기술, 인간-로봇 상호작용 매개 기술 분야 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
  • 54. 2020 IT 메가트렌드 40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그림 19 비디오월 사례 리얼리티를 구현하는 기술 가운데 최근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분야는 다름 아닌 가상현실/ 증강현실 영역으로, 온라인을 비롯한 실생활에서 적용분야가 빠르 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향후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이 가능한 영역으로 높 은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3D 산업의 부각과 함께 디스플 레이의 스마트화, 각종 기술의 융합 등을 통해 관련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가상현실은 점차 현실세계의 경제 및 사회 활동과 밀접하게 연결되고 있으며, 점점 가상현실과 현실 세계를 명확히 구분하고자 하는 것은 무의미해지고 있다. 분리되어 존재하던 두 세계는 웹의 한계를 벗어나 가상현실이 현실세계를 흡수 하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사람들이 교류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인터넷 인터페이 스로 진화해 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모든 디바이스들이 인터넷 IP와 네트워크 센서를 보유하는 디스플레이의 연결성(Connectivity)이 구현되면서 정보를 어떤 디스플레이에서도 공유할 수 있
  • 55.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및 IT산업 환경 변화 41 는 증강현실 및 VR(Vitual Reality)가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다. 무안경식 3D TV 역시 10년내 충분히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상현실/ 증강현실은 새로운 소비 트랜드까지 선도하고 있다. 개개인의 개성 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온라인상에서도 그대로 재현되면서 사이버 공간에서 의 자아표현을 위한 소비 지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선박, 항공 기, 자동차 제조업 등에 가상 작업 공간 등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스포츠 분야에 서도 스크린 골프장, 스크린 경마 등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라. 소결 기술변화는 스마트, 친환경, 리얼리티로 대표된다. 스마트를 통해 인간과 교감 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의 등장이 이뤄질 것이고, 그 과정에서 각종 단말기의 통 합과 분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친환경 기술은 그린IT란 영역을 이루며 각 국의 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리얼리티 기술 부문은 각종 디스플레 이의 연결성을 기반으로 가상/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빠른 진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림 20 기술변화가 IT산업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