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75
Download to read offline
ISSN 2234-3873
VOL15-5
2015.5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PD 기술 이슈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ISSUE 5 플랜트 핵심시스템 산업 동향 분석
ISSUE 6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첨단뿌리기술과의 연계성 조사·분석
ISSUE 7 일괄 인쇄 공정을 통한 OLED 화소 형성 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특집
창조경제시대 창의 비즈니스 모델 탐색
(3D 프린팅 및 패션의류 분야 New 비즈니스 모델)
➊	 [ FOCUSING ISSUE ] 인류 편익을 높이는 컴퓨팅	 07
➋	 [ PD 기술 이슈 1 ]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13
기술 및 산업 동향
➌	 [ PD 기술 이슈 2 ] 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 	 39
➍	 [ PD 기술 이슈 3 ] 유동안정성 확보 기술 및 발전 전망	 57
➎	 [ PD 기술 이슈 4 ] 북극항로 개방현황 및 관련 조선 산업 기술동향	 73
➏	 [ PD 기술 이슈 5 ] 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85
➏	 [ PD 기술 이슈 5 ] 건축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131
➑	 [ 특집 1 ] 2013년도 정보통신 기술진흥 투자방향 및 계획	 145
➑	 [ 특집 2 ] 전문가-논문-특허-시장 관점에서 바라본 S/W,	 165
시스템반도체 분야 기술수준
VOL 15-5 2015.5
KEIT PD ISSUE REPORT
➊	 [ FOCUSING ISSUE ]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07
➋	 [ PD 기술 이슈 1 ]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13
➌	 [ PD 기술 이슈 2 ]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21	
➍	 [ PD 기술 이슈 3 ]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39
➎	 [ PD 기술 이슈 4 ]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49
➏	 [ PD 기술 이슈 5 ] 플랜트 핵심시스템 산업 동향 분석 	 69
➐	 [ PD 기술 이슈 6 ]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첨단뿌리기술과의 연계성 조사·분석	 83	
➑	 [ PD 기술 이슈 7 ] 일괄 인쇄 공정을 통한 OLED 화소 형성 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101
❾	 [ 특집 ] 창조경제시대 창의 비즈니스 모델 탐색	 119
(3D 프린팅 및 패션의류 분야 New 비즈니스 모델)
VOL15-5
2015.05
ISSN 2234-3873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PD 기술 이슈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ISSUE 5 플랜트 핵심시스템 산업 동향 분석
ISSUE 6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첨단뿌리기술과의 연계성 조사·분석
ISSUE 7 일괄 인쇄 공정을 통한 OLED 화소 형성 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특집
특집 창조경제시대 창의 비즈니스 모델 탐색
(3D 프린팅 및 패션의류 분야 New
비즈니스 모델)
▶ KEIT PD ISSUE REPORT VOL 15-5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문종덕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스마트카 PD
ㅣ저 자ㅣ 문종덕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스마트카 PD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KEIT PD Issue Report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8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KEIT PD Issue Report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4일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 발표 회를 개최했다.
발표회는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가
될 핵심 전략산업과 미래성장동력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고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이후 마련한 실행계획을 전
국민에게 알리는 자리였다. 이 중
주 력 산 업의 대 표주자로 자 율 주행
자동차(스마트자동차)가 포함돼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산업부가 13대 산업엔진 중 하나로
선정했다. 또 미래부, 국토부와 공동으로
추진단을 구성해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개발을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도 구축했다. 추진단을 중심으로 부처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상세 이행계획을
수립하는 등 부처 간 벽을 넘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적 공동 목표를 한마음으로 추진하고 있다.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프랑스는 지난해 미래를 이끌 새로운 산업 기술 34개를 선정하고, 그 중에 자율주행자동차를 포함시켰다. 특히
카를로스 곤 르노-닛산 회장을 책임자로 정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도 향후 자국의 경제 및 산업 경쟁력에 중요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략적 이노베이션
창조프로그램(SIP)’에 10개 과제를 선정했다. 이 중 하나로 자율주행 시스템 기술을 선정하고 2020년에는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과 보급을 목표로 하는 등 국가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은 1991년에 AHS(Auotmated Highway System) 프로젝트를 시작해 1997년에는 대규모 자동 운전을
시범 운행했다. 또 미국 국방부의 무인차 경진대회를 통해 확보된 기술을 기반으로 2010년도에는 구글이
자율주행 자동차를 공개했다. 네바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면허를 발급해 자율주행차의 일반도로 실증평가
길을 터줬다.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9
유럽은 2008년 HAVit 프로젝트를 통해 부분 자율주행 기술과 운전자와 차량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2013년 메르세데스-벤츠는 100㎞ 자율주행에 성공했다. 특히 올해 초 아우디는
자율주행이 가능한 A7 모델을 기반으로 스탠퍼드대가 있는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서 라스베이거스까지
900㎞를 운전자 도움 없이 달려 가장 앞선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였다. 이 차는 차량 스스로 가속 및 제동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차선 변경과 추월도 가능하고, 일반 자동차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상용화가 가능한
센서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은 지금까지 자동차 기술과 다른 새로운 기술이다. 고속으로 달리면서도 주변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판단해 원하는 경로로 자동차를 안전하게 제어하는 기술은 130년 간 기계 중심이었던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이 같은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완성차 업체는 해외 선진 부품을 활용해 일정 부분 기술개발이
가능하다. 하지만 국내 부품기업은 자금과 기술이 부족해 준비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은 특정 센서 부품 기술이 개발됐다고 해서 완성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다. 다양한
센서 융합을 기반으로 정확한 판단과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종합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단 한 번의
실수로도 사람이 다칠 수 있고, 이로 인한 리콜로 기업이 순식간에 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완벽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해 과제 간 긴밀한 연계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별도 사업’으로 장기간 집중적인
투자가 절실하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70여년이나 늦게 출발했지만, 세계 5위 자동차 생산국으로
도약했다. 또 세계 최고의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런 장점들이 잘 융합될 수 있도록
별도 사업으로 집중 투자한다면 자동차, 도로, ICT와 연계한 다양한 신시장을 창출하고 세계 최고의 자율주행
자동차 강국이 될 것이다.
전자신문 2015. 03 .24.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자율주행 자동차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
▶ KEIT PD ISSUE REPORT VOL 15-5
PD 기술 이슈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 KEIT 시스템반도체 PD실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KEIT 디스플레이 PD실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 KEIT LED/광 PD실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 KEIT 디자인 PD실
ISSUE 5
플랜트 핵심시스템 산업 동향 분석
- KEIT 플랜트 PD실
ISSUE 6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첨단뿌리기술과의 연계성 조사·분석
- KEIT 소재부품산업 PD지원TF
ISSUE 7
일괄 인쇄 공정을 통한 OLED 화소 형성 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 KEIT 화학공정 PD실
SUMMARY
목적
새롭고 다양한 사용자 경험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급격히
늘어가고 있음
서비스 다양성, 시스템 복잡성, 능동적 정보처리 등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사항을 시스템의 크기, 복잡도, 소비
전력의 증가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는 지능형 가속기 기술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해 조망해 보고자 함
주요현황
반도체기술의 발전과 딥-뉴럴(Deep Neural)과 같은 새로운 학습이론의 등장에 따라 2010년부터 뇌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는 형태의 프로세서가 IBM의 코어릿(Corlet)을 시작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2014년부터
퀄컴(Qualcomm)은 인간의 뇌를 모방한 차세대 Co-processor인 제로스(Zeroth)를 발표하고 인지컴퓨팅
플랫폼이 들어간 스냅드래곤 820 AP(Application Processor)를 양산함
미국을 선두로 영국, 독일, 중국, 일본 등이 국가차원에서 뇌 모방형 프로세서 연구를 실시 또는 완료하였으며
모바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자동차, 무인비행기, 스마트공장, 운영체제,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적용되고 있음
가트너와 MIT의 미래기술 예측결과 뇌 모방형 하드웨어 기술을 중요한 미래기술로 정의하고 있으며 미래
컴퓨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기반 기술로 예측하고 있음
시사점 및 정책제안
새로운 서비스 및 디바이스의 등장에 따라 기존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패러다임 기술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향후 활용범위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되는 뇌 모방형 반도체 핵심기술의 조기 확보가 필요하며, 원천기술 및
응용 반도체 개발을 위해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임
l저자l 손광준 PD / KEIT 시스템반도체 PD실
전준표 선임 / KEIT 시스템반도체 PD실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1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1. 목적
기술의 개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다양화 및 지능화를 위한 요구사항 만족을 위해 멀티미디어 코덱, 센서 신호처리, 전원관리,
그래픽처리 등과 같이 필요한 특정 기능을 가속하는 전용시스템이 기존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큰 규모와 높은 복잡도, 고성능화, 다기능화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현재 폰-노이만 구조의 프로세서는 인간의 인지, 지각, 판단 등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공통된 인식에 따라 인간의
뉴런(Neuron)과 시냅스(Synapse)를 모방한 뇌 모방 가속기(Neuromorphic Co-Processing Unit)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그림 1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프로세서 진화 |
* 참조문헌: http://www.computerhope.com/ & MIT Technology Review
전자부품연구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융합연구센터- 스마트 디바이스 프로세서 로드맵’ 가공
특히, 시스템의 크기와 복잡도, 소모전원의 증가 없이 요구하는 학습에 따른 지능적 판단을 수행하는 전용 가속
장치(Neuromorphic Co-processor Unit) 기반 가속 기술을 미국과 유럽은 2008년부터 SyNAPSE(Systems of
1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Neuromorphic Adaptive Plastic Scalable Electronics), FET(Future and Emerging Technologies of the EU)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으며 뉴런과 시냅스 관련 모사 및 동작에 따른 원천기술을 다수 확보한 상태임
뇌 모방형 가속 기술은 과거 인공지능 분야에서 정체되었던 신경망, 퍼지 등의 한계를 뛰어넘는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뇌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는 다양한 형태의 인지컴퓨팅 기술 개발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음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하는 방식의 구조적인 컴퓨팅 모델을 최적화하고 작은 크기의 HW로 집적화하며, 이를 기반으로
SW 프레임워크 또는 이기종 컴퓨팅기반 라이브러리, 컴파일러를 통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정해진 영역의 경험을
학습하여 지능형 처리 판단을 전담하는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과거 인공지능 분야에서 연구되었던 신경망(Neural Network)은 단순히 정해진 입력과 출력을 학습하여 제한적인
SW상에 연결 가중 방식의 모델인 반면, 최근 연구되는 딥-러닝 모델기반 지능 모방형 컴퓨팅(Neuromorphic
Computing) 기술은 “brain-like” 모델로서 인간 두뇌의 뉴런과 시냅스를 구조적으로 모델링하여 사물인식, 상황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정보들을 서로 다른 펄스의 패턴들로 인코딩하여 전달 및 저장하고 이를 하드웨어적인 구현으로
병렬 처리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방향(Parallel connected Positive Result)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기술임
2. 2015 CES 자동차관
2. 주요현황
국내 연구 개발 동향
대학을 중심으로 2000년도부터 SW기반의 지능 모방형 처리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주로 슈퍼컴퓨터 기반의 지능
처리 연구가 주축이 되고 있으며 2013년도부터 서울대를 중심으로 아날로그 기반 뉴런 셀 회로 등이 연구되고 있음
- 서울대에서는 슈퍼컴퓨터와 빅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 모방형 처리 기술과 삼성미래재단 지원으로 Fin 구조의
공정기술을 이용한 시냅스 모방형 소자를 연구하고 있음
- KAIST 뇌 과학 연구센터에서는 청각 또는 시각의 단일 모탈리티에 대한 주의·집중 기술을 개발하여 정보 인식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중임
- 광주과기원에서는 최근 멤리스터를 이용한 뉴로모픽 화상인식 시스템을 SW로 개발하여 발표하였음
- 삼성미래재단에서 2013년부터 대학(KAIST, 서울대, 포항공대)을 주축으로 하는 지능 모방형 플랫폼 개발 사업에
대한 연구 지원을 개별 교수단위로 진행하고 있음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2014년부터 미래부의 뉴로모픽과제를 통한 생물학적 뉴런을 모델링한 뉴로모픽 SW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포항공대는 최근 기계 학습연구센터를 설립하여 4년간 SW 플랫폼 기반에 지능형 처리 시스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지능 모방형 하드웨어 기술의 초기 연구가 대학을 중심으로 201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4년도부터는 연구소와
삼성전자의 참여가 시작되었음
1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포항공대에서는 2013년부터 저전력 뉴런셀 회로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KAIST에서는 2014년부터 HTM이론 모델을 칩으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음
국외 연구 및 산업 동향
미국 DARPA는 SyNAPSE라는 동물의 뇌를 모방한 전자두뇌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2008년부터 IBM, HRL(Hughes
Research Laboratories), HP, 스탠포드, 코넬 등에서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뇌 모방형 프로세서를 개발
- IBM은 100만개의 디지털 뉴런과 2억 5,600만개의 시냅스를 집적한 트루노스(TrueNorth)라는 뇌모방형 칩을
개발하였음
퀄컴은 2013년 스마트 디바이스에 Co-Processor로 연결 가능한 뉴로모픽(Neuromorphic co-processor Unit)인
제로스(Zeroth)를 개발하였음
- 퀄컴은 2012년 DARPA의 힐튼(Hylton)을 영입하고 2013년에 제로스 개발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고도화하여
2015년에는 차세대 모바일 AP인 스냅드래곤 820(Snapdragon 802)에 인지컴퓨팅 기능을 추가하여 직관적인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됨
EU는 미래기술지원의원회(FET)에서 인간의 뇌 연구와 관련 시냅스 구현을 위해 2005년부터 대학교를 중심으로 소규모
지원을 해왔으며, HB(Human Brain)를 2011년에 설립하고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조 6천억원을 투자하여 지능
모방가속 컴퓨팅 기술개발에 집중할 예정임
- 스위스 EPFL, 키르히호프 연구소, 독일 Heidelberg University 등이 주도함
중국은 2008년 ‘China Brain’을 시작으로 지능형 프로세서 연구와 개발을 과학기술부(MOST) 주도로 지원하고 있음
- 중국은 1단계 China Brain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2단계 화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2단계 개발부터는 비공개로
연구 진행 중임
글로벌 IT업체는 지능 모방형 가속기술을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고 차세대 신사업분야에 연계 활용을 위한 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임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등은 지능 모방형 가속기술을 자사의 웹 검색, 스트리트 뷰, windows
10, 감성형 제품검색 등 상용제품 개발에 적용하고 이를 모바일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 드론 등의 차세대 서비스
플랫폼에 연계ㆍ확대 제공하고 있음
- 중국은 2014년에 바이두가 실리콘벨리에 인공지능센터를 설립하고 딥-러닝 SW와 코어 개발을 위해 3억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2016년까지 자사의 엔진에 지능 모방형 기술을 적용할 예정임
- 가트너 분석결과 뇌 모방형 비지니스(Neurobusiness)가 10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IT업체의 다양한 서비스 적용과 원천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음
- 애플은 뉴럴 프로세싱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싱크탱크 역할의 SRI-인터를 인수하여 관련 연구를 진행 중임
1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SpeechRecognition
ConsumerTelematics
3DScanners
InternetofThings
Enterprise3DPrinting
Consumer 3DPrinting
CryptoCurrencies
ActivityStreams
In-MemoryAnalytics
GestureControl
VirtualReality
AugmentedReality
Monitoring
MobileHealth
Communication
Services
expectations
time
Innovation
Trigger
Troughof
Disillusionment
SlopeofEnlightenment
Plateauof
Productivity
Plateauwillbereachedin:
AsofJuly2014
Peakof
Inflated
Expectations
lessthan2years 2to5years morethan10years
obsolete
beforeplateau5to10years
Machine-to-Machine
HybridCloudComputing
Gamification
ContentAnalytics
In-MemoryDatabaseManagementSystems
BigData
Complex-EventProcessing
Natural-LanguageQuestionAnswering
WearableUserInterfaces
Speech-to-SpeechTranslation
AutonomousVehicles
SmartAdvisors
DataScience
PrescriptiveAnalytics
Neurobusiness
Biochips
AffectiveComputing
SmartRobots
3DBioprintingSystems
VolumetricandHolographicDisplays
Software-DefinedAnything
QuantumComputing
QuantifiedSelf
SmartWorkspace
HumanAugmentation
Brain-ComputerInterface
ConnectedHome
VirtualPersonalAssistants
DigitalSecurity
BioacousticSensing
CloudComputing
NFC
| 그림 2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
* 출처: 가트너(2014)
2013년도부터 실리콘벨리의 스타트업(Start-up) 기업을 중심으로 지능 모방형 가속 기술을 이용한 사업화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
- 산업용 로봇, 스마트용 디바이스 관련된 스타트업(Start-up)기업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오보틱스는 ‘생체모사형 메카트로닉스 융합기술’로 지능 모사형 기반에 자율비행과 로봇개발에 600백만불을 지원
받음
구글 X랩과 스탠포드 대학 앤드류 잉에 의해 시작된 뉴로모픽 연구는 딥 마인드 라는 구글 자회사에서 ‘딥
Q-네트워크’라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공개함
- 총 49개의 게임을 인공지능 시스템이 플레이하여 29개의 게임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게임 스코어를 기록한 바 있음
* 스탠포드 앤드류 잉 교수는 현재 중국의 바이두에서 검색엔진을 향상하는 뉴로모픽 연구를 진행 중임
일본 소프트뱅크는 IBM과 뉴럴 기술의 공동연구를 위해 협약을 체결하고 2014년에 인간형 감정인식 로봇인
‘페퍼(Pepper)’를 공개함
- 일본은 로봇분야에서 인공지능 연구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적인 연구 개발 지원보다는 로봇과 자동차 기업
위주로 활발히 연구를 진행되고 있음
1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시장 전망
Natural-LanguageQuestionAnswering
Natural-LanguageProcessing(NLP)
DeepLearning
ConsumerSmartAppliances
SocialNetworkAnalysis
EnterpriseSocialGraph
ProactiveSearch
QuantifiedSelf
NeuromorphicHardware
CommercialUAVs(Drones)
CognitiveComputing
cognisantComputing
GeneralPurposeMachineIntelligence
SentimentAnalysis
GraphAnalysis
BusinessRule
ManagementSystems
EnsembleLearning
AdvancedProcessControl
Speech
Recognition
Speech-to-Speech
Translation
ContentCurationPlatforms
AutonomousVehicles
SmartAdvisors
SmartRobots
PredictiveAnalytics
PrescriptiveAnalytics
MachineLearning
expectations
time
Innovation
Trigger
Troughof
Disillusionment
SlopeofEnlightenment
Plateauof
Productivity
Plateauwillbereachedin:
AsofJuly2014
Peakof
Inflated
Expectations
PredictiveCoding
VirtualCustomerAssistants
VirtualReality
VirtualPersonalAssistants
lessthan2years 2to5years morethan10years
obsolete
beforeplateau5to10years
DigitalWorkplaceGraph
| 그림 3 Hype Cycle for Smart Machines |
* 출처: 가트너(2014)
가트너의 2014년 하이프사이클(Hype Cycle) 자료에 따르면 딥-러닝(Deep Learning) 인지컴퓨팅 기술은 약 5년 이후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뇌 모방형 프로세서(Neuromorphic Hardware) 기술은 10년 정도 후에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 될 것으로 예상함
세계 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는 2015년 혁신기술 중 하나로 두뇌 모방형 칩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가트너는 향후 10년 이내에 클라우딩 컴퓨팅(Cloud computing), 빅데이터(Big data), 인터넷 서비스(Internet of
Everything), 로보틱스(Robotics), 스마트 단말(Smart Device) 분야가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s)이라는 신
비지니스 분야로 통합될 것으로 예상함
BCC Research 2014년 연구에서 스마트 머신 시장은 2024년까지 연평균 22.8%의 경제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뉴로 컴퓨팅 직접 시장은 2014년 492조원에서 2019년 1,590조원 그리고 2024년에는 4,685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간접효과까지 포함한다면 약 9배인 41,215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됨
19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2013
Total
Growthrate2014~2019
Growthrate2014~2024
inmillionsof$
Source:BCCResearch,Wellesley,Massachusetts,USA
5,339
6,292
15,279
41,215
2014 2019 2024 2013 2014 2019 2024 2013 2014 2019 2024 2013 2014 2019 2024 2013 2014 2019 2024
3,050 3,508
7,055
Expert Systems
15%
Autonomous Robots
Autonomous Robots to Surpass Expert Systems : Forecast Share of the
Smart Machine Market
Digital assistants Embedded systems Neurocomputers
12,433
~ ~ ~ ~ ~
12% 23% 31% 30% 30% 16% 19% 20% 22%
5,339
6,292
15,279
13,927
5,339
6,292
15,279
5,339 5,339
6,292 6,292
15,279 15,279
41,215 41,215 41,215 41,215
1,109
450 400 425 877
2,095
330 492
1,590
4,685
585
2,175
8,075
1,282
3,582
* 출처: BCC Research (2014)
3. 시사점 및 정책제안
정부 지원 전략 및 시사점
앞서 살펴본 동향을 근거로 예상할 때, 지능형 가속기 반도체 기술은 향후 가까운 미래에는 기존 스마트 전자기기에
적용될 것이며, 이에 따른 신규 스마트 서비스와 응용제품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측 할 수 있음
선진국은 이미 두뇌 모방형 칩 및 스마트 디바이스와 관련된 연동 기술 분야에서 상당한 수준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은 반도체분야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검색엔진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HRL과
대학을 통해 빠르게 글로벌 IT기업에 기술을 적용하는 등 국가주도로 성과를 확산, 보급하고 있음
유럽은 미래기술지원의원회(FET)를 통해 광범위한 분야에서 인간의 뇌 모방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연구를 위해 연구소와 대학 중심의 HB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미국과 동등한 수준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음
국내는 미래창조과학부의 국가 혁신기술 개발형 R&D 과제로 엑소-브레인(Exo-brain)과 같은 SW 기반 대규모
인공지능 기술개발 과제를 진행하고 있으나 비메모리 반도체 기반의 뇌 모방형 칩 연구개발을 위한 지원은 아직 없음
- 이에 따라 비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뇌 모방형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정책적인 지원과 함께 미래 프로세서 개발을
위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며,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을 중심으로 한 뇌 모방형 칩 개발 사업의 조기 착수가 절실한
실정임
- 미국의 퀄컴, 인텔, 애플, TI, 일본의 도시바, 대만의 미디어텍(Mediatek), 중국의 스프레드트럼(Spreadtrum
Communication), 락칩, 올위너 등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AP를 차세대 성장동력 제품으로 정의하고
관련 연구와 기업 M&A를 활발하게 추진 중임
2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하지만, 국내는 삼성전자, LG전자 이외에 관련 비메모리 반도체 프로세서 개발 및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업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국내시장 활성화와 기술 고도화를 위한 중소ㆍ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이 정책적으로 필요함
주변상황과 개인성향 등 비규칙적인 환경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 스마트 반도체 가속기와 같은 신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차세대 비메모리
반도체와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집중적인 투자가 요구됨
(참고문헌)
1. “Forecast:IoT Endpoints-Sensing,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Semiconductors”,
Worldwide 2013-2020, Gartner, 2014
2. “MIT Technology Review : http://www.technologyreview.com/,” MIT, 2015
3. “McKinsey writes about Smart Machines McKinsey Quarterly,
Manager and machine: The new leadership equation” , Sep 2014
4. “Good to read book about the topic www.smartmachines.fi The Intelligent Web: Search,
smart algorithms, and big data.”, G. Shroff 2014
5. "The smart machine era will be the most disruptive in the history of IT", Gartner 2014
(국내외 주요 기술개발 현황)
연구기관명 프로젝트명 개요 연구기간
키르히 호프 연구소 (EU) • FACETS • 신경망 모델링 구현 및 연구 2005 - 2010
하문대학 (Xiamen, CA) • China Brains • 신경망 기능을 가진 모듈을 개발 2008 - 2011
고등연구계획국 (DARPA, USA) • SyNAPSE • 동물의 뇌를 모방한 시스템 구현 2008.01 - 2013.12
에콜 폴리 테크닉 대학 (EU)
• HBP(Human Brain
Project)
• 인간의 전체 뇌를 모델링을 하기 위한 연구 2013.01 - 2024.01
키르히 호프 연구소 (EU) • BrainScaleS • 두뇌의 처리방식을 모사한 프로세서 개발 2010.01 - 2015.12
스탠포드 & 구글 • ImageNet • 인간수준의 이미지 식별능력 개발 2014.03 -
마이크로소프트 • Adam
• 인간 뇌를 모방해 직관적으로 물체를 인식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2014.01 -
SUMMARY
목적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개발에 경쟁국간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표준화 이슈를 파악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
주요 현황
디스플레이 시장의 정체 극복 및 경쟁국 간의 기술·시장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치열해지고 있음
LCD 위주의 디스플레이가 성숙기로 진입함에 따라 AM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무안경
3D와 같은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발전
국가별로 디스플레이 표준화의 의장국 및 의장으로 적극적인 활동으로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점하고자
노력 중
시사점 및 정책제안
세계최고의 양산기술을 바탕으로 국제표준에서도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신기술 관련 국제표준 제정에 신속히
대응 필요
3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터치 및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에 대한 각국의 기술개발이
치열해짐에 따라 핵심기술의 표준우위를 통한 신기술시장 선점 필요
l저자l 안성덕 책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정노 PD / KEIT 디스플레이 PD실
전호승 책임 / KEIT 디스플레이 PD실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2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1. 차세대 디스플레이 현황 및 기술개발 방향
산업현황
LCD산업의 성숙단계 진입 및 동북아 선도업체를 중심으로 과점화 양상에 따라, 국가간 주도권 경쟁을 위한 경쟁 치열
- 최근 중국의 LCD산업 본격 육성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조기선점을 위해 막대한 투자 등으로 기술 격차 축소에
대한 대응책 마련 필요
* ‘13년 전세계 디스플레이 설비 투자금액의 50%이상이 중국에서 집행(8세대LCD 기준)
- 일본은 연구소 중심으로 연구개발은 활발하며 2015년 설립된 JOLED에서 태블릿용 AMOLED 양산을 준비 중
- 대만은 중국의 자급률 확대 정책에 따라 일본 업체들과 기술 제휴 강화를 통해 수익성 확보 노력 중
산업현황
Transparent Curved Dash Board
Smart Window Free-form Public Display Door Display
| 그림 1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발전 |
디스플레이 시장의 정체 극복 및 경쟁국 간의 기술·시장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 기존의 단순한 디스플레이에서 벗어나 성능이 대폭 향상되고 기능이 다양화된 디스플레이로 발전
- LCD 위주의 디스플레이가 성숙기로 진입함에 따라 AM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무안경 3D와
같은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발전
- 기존의 노트북, 모니터 및 TV 등과 같은 전통적인 디스플레이 응용 범위에 부가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응용 범위 확대
2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디스플레이 기술을 응용하여 OLED 조명과 같은 유관산업으로 산업의 범위 확대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
TV,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서 향후 플렉서블, 웨어러블 및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벗어난
새로운 시장 창출
| 그림 2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 경로 |
기 구축된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이에 대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표준을 활용 개선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접목하여 표준선점에 유리한 고지 선점 필요
-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1위 수성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기술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국제표준 활동
등을 강화하여 기반 마련 필요
2. 디스플레이 산업 국제표준 현황
IEC 국제 표준화 현황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 기술위원회)는 전기, 전자, 통신, 원자력 등의 분야에서
각국의 규격·표준의 조정을 행하는 국제기관으로 1906년에 설립되어 1947년 이후는 ISO의 전기ㆍ전자 부문을 담당
'New Paradigm' 시대'ManufacturerCentric'시대 'Consumer Centric' 시대
2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IEC의 회원가입 현황은 2012년 10월 현재 정회원국(Full Member) 60개국, 준회원국(Associate Member) 22개국
등 82개국이 가입하여 활동
- IEC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s)는 97개이며, 분과위원회(Subcommittees)는 77개로 총 174개의 위원회가
존재
- 한국은 1963년 상공부 표준국이 우리나라를 대표하여 ISO에 Member body로 최초 가입하였고, 1973년 상공부
표준국이 독립하여 공업진흥청으로 변경되었으며, 1996년 이후로는 현재의 국가기술표준원(KAT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이 정회원으로 활동
- IEC/TC 110 (Electronic display devices) 기술위원회
- IEC/TC 47C (Flat panel display devices)에서 출발한 분과위원회는 1993년에 IEC/TC 110 기술위원회로 독립하여,
2012년에 Electronic display device으로 명칭 변경
- IEC/TC 110 기술위원회의 간사국은 일본이고, 현재 의장은 중국의 Baoping Wang이며, 간사는 일본의 Yoshi
Shibahara이며, 일본의 Kei Hyodo와 Shin-ichi Uehara가 보조 간사를 역임하고 있음
- IEC/TC 110 기술위원회의 P-Member은 9개국이고, O-Member은 18개국임
- IEC/TC 110은 현재 7개의 작업반(Working groupo), 1개의 Project team, 1개의 Maintenance team과 1개의
Advisory Group이 있음
| 그림 3 IEC 조직 현황 |
이사회
(Committee of Action)
섹터보드
(Sector Boards)
총회(IEC COUNCIL)
모든 회원국
총회상임위원회
(Council Board)
집행위원회
(Executive Committee)
적합성평가위원회
(ConformityAssessmentBoard)
인증업무관리
IECO : 전자부품시험결과의 상호 인정
IECEE : 전자제품인증의 상호인정(C8 SCHENE)
IECEX : 위험한경쟁비방욕구조종
기술자문위원회
(TechnicalAdvisoryCommittees)
ACOS : 안전
ACEC : 전자기적합성
ACEX : 환경
기술자문위원회
(TechnicalCommittees)
행정자문위원회
(Management
Advisory
Committees)
중앙사무국
(CentralOffice)
2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IEC/TC 110 기술위원회에서 7개의 작업반에서 한국이 4개의 의장을, 일본이 3개의 의장을, 중국이 1개의 의장을 맡고
있음
- IEC/TC 110은 일본이 주도하던 기술위원회였으나, 한국이 수년째 세계 1위를 점유하고 있는 TFT-LCD 산업의
결과로 현재는 한국의 표준을 주도
* IEC/TC 110에 제정된 표준은 123개(브라운관 분야 포함)이고, 현재 33개의 표준 진행 중
IEC/TC 110/WG 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작업반
- IEC/TC 110/WG 2의 경우 많은 표준의 작성이 완료되었으며, 투명 LCD 측정방법, 밝은 환경하에서 대조비 측정방법,
UHD 디스플레이의 특성 측정방법 등에 대한 것이 연구상태에 있음
* 작업반의 의장은 일본의 Hidefumi Yoshida이며, 제정된 표준 22건, 진행 중인 표준 2건
| 표 1 IEC TC 110 기술위원회 현황 |
WG/PT/MT 명칭 의장/PL 담당 표준 현황
TC110/WG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Mr Hidefumi
Yoshida (일본)
LCD 관련 표준
TC110/WG5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OLED)
이정노(한국) OLED 관련 표준
TC110/WG6 3D Display Devices (3DDD) 김남(한국) 3DD 관련 표준
TC110/WG7 Electronic Paper displays (EPD)
Mr Tatsumi
Takahashi(일본)
EPD 관련 표준
TC110/WG8 Flexible display devices (FDD) 홍용택 (한국) FDD 관련 표준
TC110/WG9 Touch and interactive displays 이태윤 (한국)
Touch와 interactive
displays 관련 표준
TC110/WG10 Laser display devices Mr Weidong Liu (중국) Laser display 관련 표준
Project Teams
Electronic display devices – Evalu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 Mura
Mr Steve
Hasegawa (일본)
모든 디스플레이에서 Mura
관련 표준
Maintenance Teams Display lighting unit
Mr Junichi
Kinoshita (일본)
BLU 관련 표준
Advisory Groups Advisory Group on Strategy (AGS)
Mr Yoshi
Shibahara (일본)
TC 110 로드맵,
작업반 구조, 시장에 필요한
표준안 제정관련 논의
IEC/TC110/WG4 (Plasma Display Panel) 작업반
* 작업반의 의장은 일본의 Masataka Uchidoi 이며, 제정된 표준은 11건임
- IEC/TC110/WG4 작업반 활동은 2014년에 종료됨
2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표 2 IEC TC110/WG2 작업반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1747-1-1: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1-1: Generic
– Generic specification
2014-08-12 1.0
IEC 61747-1-2: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1-2: Generic
–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4-08-12 1.0
IEC 61747-2: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Sectional specification
2015-04-09 2.0
IEC 61747-2-1:2013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art 2-1: Passive matrix monochrome
LCD modules – Blank detail specification
2013-03-18 2.0
IEC 61747-2-2: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2: Matrix colour LCD modules
– Blank detail specification
2014-11-07 2.0
IEC 61747-3: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3: Liquid crystal display (LCD)
cells - Sectional specification
2015-04-09 3.0
IEC 61747-3-1: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art 3-1: Liquid crystal display (LCD)
cells – Blank detail specification
2015-04-09 3.0
IEC 61747-4:201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and cells - Essential ratings and characteristics
2012-09-26 2.0
IEC 61747-4-1: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art 4-1: Matrix colour LCD modules
– Essential ratings and characteristics
2014-10-15 2.0
IEC 61747-5:1998
Liquid crystal and solid-state display devices
– Part 5: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1998-06-05 1.0
IEC 61747-5-2:20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5-2: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 Visual inspection of active matrix
colou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2011-06-16 1.0
IEC 61747-5-3:200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5-3: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 Glass strength and reliability
2009-04-20 1.0
IEC 61747-6-2:20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6-2: Measuring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Reflective type
2011-06-10 1.0
IEC 61747-6-3:20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6-3: Measuring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Motion artifact measurement of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2011-07-13 1.0
IEC 61747-10-1:2013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10-1: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 Mechanical
2013-07-10 1.0
IEC 61747-10-2: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10-2: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 Environmental and endurance
2014-09-03 1.0
2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EC 61747-20-1: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0-1: Visual inspection -
Monochrom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excluding all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2015-02-17 1.0
IEC 61747-20-2: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0-2: Visual inspection -
Monochrom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excluding all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2015-03-25 1.0
IEC 61747-30-1:201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30-1 : Measuring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Transmissivetype
2012-06-25 1.0
IEC 61747-40-1:2013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0-1: Mechanical testing of
display cover glass for mobile devices - Guidelines
2013-06-18 1.0
IEC 61747-40-2: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0-2: Mechanical testing of
display cover glass for mobile devices – Uni-axial flexural strength
(4-point bend)
2015-01-20 1.0
IEC 61747-40-3: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0-3: Mechanical testing of
display cover glass for mobile devices – Biaxial flexural energy to
failure (ball drop)
2015-01-20 1.0
IEC 61747-40-4: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0-4: Mechanical testing of
display cover glass for mobile devices - Biaxial flexural strength (ring-
on-ring)
2015-01-20 1.0
| 표 3 IEC TC110/WG2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1747-20-3 Ed. 1.0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0-3: Visual inspection - Active
matrix colou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김일호
(한국)
CDV
IEC 61747-30-4 Ed. 1.0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30-4: Measuring methods of LCD
modules with dynamic backlight units
T. Mou
(중국)
CDV
| 표 4 IEC TC110/WG4 작업반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1988-1:2011 Plasma display panels - Part 1: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1-07-26 2.0
IEC 61988-2-1:2012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1: Measuring methods - Optical and
optoelectrical
2012-01-24 2.0
IEC 61988-2-3:2009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3: Measuring methods – Image
quality: defects and degradation
2009-07-23 1.0
2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IEC 61988-2-4:2011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4: Measuring methods - Visual
quality: Image artifacts
2011-08-25 1.0
IEC 61988-2-5:2012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5: Measuring methods - Acoustic noise 2012-05-15 1.0
IEC 61988-2-6:2015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6: Measuring methods - APL
dependent gamma and colour characteristics
2015-03-25 1.0
IEC 61988-3-1:2005 Plasma display panels –Part 3-1: Mechanical interface 2005-10-24 1.0
IEC 61988-3-2:2009 Plasma display panels - Part 3-2: Interface - Electrical interface 2009-08-06 1.0
IEC 61988-4-1:2015
Plasma display panels - Part 4-1: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
Climatic and mechanical
2015-03-25 1.0
IEC 61988-4-2:2012
Plasma display panels - Part 4-2: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
Panel strength
2012-04-27 1.0
IEC 61988-5:2009 Plasma display panels - Part 5: Generic specification 2009-11-25 1.0
IEC/TC110/WG5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작업반
- IEC/TC110/WG5 작업반의 의장은 한국의 이정노 박사이며, 제정된 표준은 8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4건임
- IEC/TC110/WG5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3건에 대하여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표 5 IEC TC 110/WG 5 작업반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341-1-1:200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1-1: Generic
specifications
2009-04-07 1.0
IEC 62341-1-1:201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1-2: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4-04-24 1.0
IEC 62341-1-1:201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5: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2009-11-20 1.0
IEC 62341-1-1:2012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5-2: Mechanical
endurance testing methods
2013-07-09 1.0
IEC 62341-1-1:201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5-3: Measuring
methods of image sticking and lifetime
2013-08-26 1.0
IEC 62341-1-1:2014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1: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and electro-optical parameters
2009-05-13 1.0
IEC 62341-1-1:2015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2: Measuring
methods of visual quality and ambient performance
2012-01-24 1.0
29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EC 62341-1-1:2016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3: Measuring
methods of image quality
2012-08-09 1.0
| 표 6 IEC TC 110/WG 5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341-6-1 Ed. 2.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1: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and electro-optical parameters
J. Penczek
(미국)
CD
IEC 62341-6-2 Ed. 2.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2: Measuring
methods of visual quality and ambient performance
정종호/
J. Penczek
(한국/미국)
CDV
IEC 62341-6-3 Ed. 2.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3: Measuring
methods of image quality
이돈규
(한국)
CD
IEC 62341-6-4 Ed. 1.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4: Measuring
methods of transparent properties
이돈규
(한국)
CD
IEC/TC 110/WG 6 (3D display devices) 작업반
- IEC/TC 110/WG 6 작업반의 의장은 한국의 김남 교수이며, 제정된 표준은 3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4건임
- IEC/TC 110/WG 6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3건에 대하여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표 7 IEC TC 110/WG6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629-1-2:2013
3D display devices – Part 1-2: Generic –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3-06-27 1.0
IEC 62629-12-1:2014
3D display devices - Part 12-1: Measuring methods for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 Optical
2014-01-09 1.0
IEC 62629-22-1:2013
3D display devices – Part 22-1: Measuring methods for
autostereoscopic displays -Optical
2013-02-06 1.0
3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표 8 IEC TC 110/WG 6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629-13-1 Ed. 1.0
3D display devices - Part 13-1: Visual inspection methods for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홍영기
(한국)
CD
IEC 62629-22-1 Ed. 2.0
3D display devices - Part 22-1: Measuring methods for
autostereoscopic displays - Optical
이종서
(한국)
CD
PWI 110-13 Ed. 1.0 3D motion blur
최희진
(한국)
PWI
PWI 110-3 Ed. 1.0 Gray-to-gray crosstalk measurements
X. H. Li
(중국)
PWI
IEC/TC 110/WG 7 (Electronic paper displays) 작업반
- IEC/TC 110/WG 7 작업반의 의장은 일본의 Tatsumi Takahashi이며, 제정된 표준은 3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과
보고서는 각각 2건, 1건임
- IEC/TC 110/WG 6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2건에 대하여 미국과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음
| 표 9 IEC TC 110/WG7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679-1-1:2014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1-1: Terminology 2014-05-13 1.0
IEC 62679-3-1:2014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3-1: Optical measuring methods 2014-04-24 1.0
IEC 62679-3-2:2013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3-2: Measuring method - Electro-
optical
2013-09-09 1.0
| 표 10 IEC TC 110/WG 7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679-3-3 Ed. 1.0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3-3: Optical measuring methods with
integrated lighting unit
J. Penczek
(미국)
CD
IEC 62679-4-2 Ed. 1.0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4-2: Environmental test method
안성덕
(한국)
CDV
IEC/TR 62679-5-1
Ed. 1.0
Electronic paper displays -Part 5-1: Legibility of EPD in spatial
frequency
T. Takahashi
(일본)
CD
31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EC/TC 110/WG 8 (Flexible display devices) 작업반
- IEC/TC 110/WG 8 작업반의 의장은 한국의 홍용택 교수이며, 제정된 표준은 2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5건임
- IEC/TC 110/WG 8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3건에 대하여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표 11 IEC TC 110/WG8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715-1-1:2013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1-1: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3-12-10 1.0
IEC 62715-6-1:2014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6-1: Mechanical stress test methods 2014-02-12 1.0
| 표 12 IEC TC 110/WG 8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715-5-1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1: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performance
J. Penczek,
/정종호
(미국/한국)
CD
IEC 62715-5-3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3: Visual assessment
Y. Shibahara
(일본)
NP
IEC 62715-6-2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6-2: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J. Xie
(중국)
NP
IEC/TS 62715-5-2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2: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characteristics for curved displays
강경진
(한국)
CD
PWI 110-2 Ed. 1.0 Measuring methods of waviness and distortion
정종호
(한국)
PWI
IEC/TC 110/WG 9 (Touch and interactive displays) 작업반
- IEC/TC 110/WG 9 작업반의 의장은 한국의 이태윤 교수이며,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5건임
- IEC/TC 110/WG 9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3건에 대하여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3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표 13 IEC TC 110/WG 9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908-1-2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1: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performance
이태윤
(한국)
CD
IEC 62908-12-10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3: Visual assessment
최동욱/
M. Miyamoto
(한국/일본)
CD
IEC 62908-13-10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6-2: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T. Nishida
(일본)
NP
PWI 110-8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2: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characteristics for curved displays
이종서
(한국)
PWI
PWI 110-9 Ed. 1.0 Measuring methods of waviness and distortion
Z.G. Zhang
(중국)
PWI
IEC/TC 110/WG 10 (Laser display devices) 작업반
- IEC/TC 110/WG 10 작업반의 의장은 중국의 Weidong Liu이며,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2건임
- IEC/TC 110/WG 10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2건에 대하여 일본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일본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IEC/TC 110/WG 10의 경우 Laser Front Projector의 광학적 특성 측정방법, color speckle의 광학적 특성
측정방법, Visual quality 측정 방법 등에 대한 것이 연구상태에 있음
| 표 14 IEC TC 110/WG 10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906-1-2 Ed. 1.0 Laser display devices - Part 1-2: Vocabulary and letter symbols
M. Kurashige
(일본)
FDIS
IEC 62906-5-2 Ed. 1.0
Laser display devices - Part 5-2: Optical measuring methods of
speckle contrast
H. Murata
(일본)
CDV
IEC/TC 110/MT 64595 (LCD backlight unit)
- IEC/TC 110/MT 64595의 의장은 일본의 Junichi Kinoshita이며, 제정된 표준은 3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5건임
- IEC/TC 110/WG 10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4건에 대하여 일본과 중국이 각각 2명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일본과 중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3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표 15 IEC TC 110/MT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595-1-1:2013 LCD backlight unit - Part 1-1: Generic specification 2013-04-09 1.0
IEC 62595-1-2:2011 LCD backlight unit - Part 1-2: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1-12-14 1.0
IEC 62595-2:2012
LCD backlight unit - Part 2: Electro-optical measurement methods of
LED backlight unit
2012-09-27 1.0
| 표 16 IEC TC 110/MT 62595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595-1-2 Ed. 2.0 Display lighting unit - Part 1-2: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J. Kinoshita
(일본)
CD
IEC 62595-2 Ed. 2.0
Display lighting unit - Part 2: Electro-optical measuring methods of
LED backlight unit
J. Kinoshita /
조미령
(일본/한국)
NP
PWI 110-10 Ed. 1.0 Measuring methods of LED light bars for BLU
T.S. Mou
(중국)
NP
PWI 110-11 Ed. 1.0 Electrical interface of LED BLU
W.D. Liu
(중국)
CD
PWI 110-12 Ed. 1.0 Electro-optical measuring methods of frontlight unit
K. Kalantar
(일본)
PWI
IEC/TC 110/HHG2
- IEC/TC 110/HHG2의 의장은 네덜란드의 A.V. Henzen이며, 디스플레이의 색차이에 대한 표준을 하나의 표준으로
통합하고 있음
| 표 17 IEC TC 110/HHG2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PWI 110-5 Ed. 1.0 Colour difference – based evaluation on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V. Henzen
(네덜란드)
PWI
IEC/TC 110/PT 62977
- IEC/TC 110/PT 62977의 의장은 일본의 S. Hasegawa이며, 디스플레이의 mura에 대한 표준을 하나의 표준으로
통합하고 있음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3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표 18 IEC TC 110/PT 62977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TR 62977-3-2
Ed. 1.0
Electronic display devices – Part 3-2: Evalu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 Mura
S. Hasegawa
(일본)
CD
IEC/TC 110 표준의 특징
- IEC의 화질 표준은 국가간 합의 도달에 의하여 표준화가 진행되며, 표준의 제정 과정에서 각 국가의 National
Committee 멤버가 주로 기술 개발 및 생산에 관여되는 제조사의 전문가나 관련 기술 분야를 연구하는 교수들로
구성되어 있음
- 화질 표준 각 항목의 한계치를 규정하지 않고 평가 방법만을 규정함
- 개발된 표준은 주로 패널 제조사와 완제품 제조사 사이의 기술적 커뮤니게이션에 활용됨
- 표준 개발의 목적 자체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인간의 눈에 어떻게 보일 것인가에 대한 규정보다는 디바이스
자체가 어떠한 물리량을 가질 것인가를 평가하는 표준임
ISO 국제 표준화 현황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국제표준은 스위스 민법에 의한 민간기관으로 국제적인 표준
개발을 위해 1947년 설립
ISO의 표준은 ISO/TC 159(Ergonomics)내 ISO/TC 159/SC 04(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내에서
각 Working Group에 의해 표준의 개발 및 제정
- Working Group 2(Visual display requirements)에서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인간공학적 요구사항 및 그 평가 방법에
대한 표준 다룸
- Working Group 9(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에서는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에 대한 표준 다룸
- Working Group 12(Image safety)에서는 3D디스플레이의 인간 공학적 평가 방법과 Safety 관련 규정에 대한 표준
다룸
| 표 19 ISO/TC 159/SC 4 디스플레이 관련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ISO 9241-300: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0: Introduction to electronic visual display
requirements
ISO 9241-302: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2: Terminology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 9241-303:2011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3: Requirement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3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SO 9241-304: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4: User performance test method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 9241-305: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5: Optical laboratory test method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 9241-307: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7: Analysis and compliance test method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TR 9241-308: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8: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s (SED)
ISO/TR 9241-309: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9: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s
ISO/TR 9241-310:2010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10: Visibility, aesthetics and ergonomics of
pixel defects
ISO/TR 9241-331:2012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31: Optical characteristics of
autostereoscopic displays
ISO 9241-910:2011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910: Framework for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
ISO 9241-920:2009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920: Guidance on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s
| 표 20 ISO/TC 159/SC 4 디스플레이 관련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ISO/CD 9241-306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6: Field assessment method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AWI 9241-333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33: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ISO/DIS 9241-391.2
Ergonomics of Human System Interaction - Part 391: Requirements, analysis and compliance
test methods for the reduction of photosensitive seizures
ISO 9241-392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92: Ergonomic recommendations for the
reduction of visual fatigue from stereoscopic images
ISO/DIS 9241-940 Ergonomic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 Part 940: Evaluation of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s
ISO/CD 9241-960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960: Framework and guidance for gesture
interactions
ISO/TC 159/SC 04/WG 2 표준의 특징
- ISO의 화질 표준은 각 화질 평가 항목의 평가방법과 수학적 정의 뿐 아니라, 해당 평가 방법의 Pass/Fail 기준치를
표준에 제시함
- ISO 화질 표준은 평가 방법(ISO 9241-305)과 Pass/Fail 기준치(ISO 9241-307)를 규정하는 두 개의 표준 모두가
3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인간공학에 그 근거를 두고 개발됨
- 다른 화질 표준의 각 평가 방법에서 도출되는 값이 해당 평가 항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물리적 성능을 제시하는
반면, 이 표준은 도출 되는 값이나 결과가 인간의 시각계 (Human Visual System) 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치가 됨
- 해당 평가 항목의 수학적 정의에 있어서도 타 표준이 물리적인 특성치 값 간의 관계 모델인 반면, ISO 화질 표준은
일부 평가 항목에서 인지 실험의 결과로 만들어진 실험적 모델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음
- 개발된 표준은 주요 표준 인증 회사에서 표준을 인증하고 인증 라벨을 제품에 부여하는 기능으로 활용됨
- ISO 표준화의 활동 국가 현황을 보면 우선 표준화 전반에 걸쳐 네덜란드, 독일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2007년 이후 일본이 적극적인 활동을 진행하여 현재는 주요 표준의 리더 역할을 유럽 국가들과 분담하고 있음
- 한국의 경우 National Committee 멤버들이 정해져 있으나 아직 Project Leader를 수임할 만큼 적극적인 활동을
진행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제조사 중심의 표준이 작성되고 있는 IEC에서는 제조사 국가들 중심으로 표준이 개발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품의
소비 시장만이 형성되어 있는 유럽에서는 제품 중심이 아닌 인간 중심의 규격에 집중하고 있음
ICDM 및 기타 국제 표준화 현황
ICDM(Information Committee for Display Metrology)은 화질 표준 전문가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만들어진
표준화 조직임
2012년 6월에 IDMS(Information Display Measurements Standard)라는 첫 번째 표준집을 발간하였으며, 이
IDMS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시작과 함께 가장 많이 활용되어온 VESA의 FPDM 표준을 그 근간으로 개발되었음
ICDM은 2007년 VESA FPDM 표준을 만들었던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SID(Society of Information Display)내
Committee로 재출발 하여, IDMS은 현재 존재하는 거의 대부분의 평가 방법들이 약 560여 페이지의 분량으로 총 18개
Chapter에 걸쳐 망라되어 있음
이 표준의 상당 부분은 IEC나 ISO는 물론이고 다양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들에서도 그 방법을 참조하고
있는 백과사전식 표준임
총 12개의 분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도 일부 전문가들이 전문 분야에서 문서 작성, 의견제시 등의 적극적 활동을
통하여 표준화에 기여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표준화 중 SEMI FPD라는 표준이 있는데, 이것은 미국, 유럽에서 반도체
표준화를 위하여 시작하였으나 현재 한국, 일본, 대만의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화질 표준화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
SEMI FPD 표준의 경우 국가간의 합의나 전문가 개인의 합의가 아닌 표준 개발자의 소속 회사의 의결권으로 표준화가
진행되는 표준임
3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3. 시사점 및 대응전략
국제 표준화 대응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는 세계최고의 양산기술을 바탕으로 국제표준에서도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신기술 관련 국제표준
제정에 신속히 대응
3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터치 및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에 대한 각국의 기술개발이 치열해짐에 따라
핵심기술의 표준우위를 통한 신기술시장 선점
원천기술 경쟁력 확보
세계 1위의 디스플레이 패널 양산 기술을 통하여 지속적인 세계 1위의 기술력을 유지하기 위한 소재, 부품관련 원천 기술
확보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초슬림, 저전력, 고화질 경향에 맞는 소재·공정 기술 및 인간 공학적 기술 개선을 통한 시점 선점
차세대 디스플레이 표준 선점
기 구축된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이에 대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표준을 활용 개선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접목하여 표준 선점에 유리한 고지 선점
기 구축된 산학연 표준전문가 그룹의 국제표준화 활동 수행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지속적인
국책과제 지원시스템 필요
원천기술 R&D 수행 시 표준전문가 연계 활동을 통해 개발 후 국가표준 제정 및 국제표준 등록으로 추진되는 표준화
시스템 구축
(참고문헌)
1. “디스플레이 화질 표준화 동향”, 이돈규, 2013, Display Focus
2.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동향 및 전망”, 문대규, 2103, Insideoptics
3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SUMMARY
목적
세계 LED 광원 기업 Top10에 국내 기업 4개사가 진입하여 있으나 국내 LED 산업 시장 위축 및 LED 광원의
공급 과잉에 따른 재고 누적, 가격 하락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어 향후 시장현황에 대한 정확한 전망이
필요함
주요현황
세계 LED 광원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국내 LED 산업 시장 위축 및 LED 광원의 공급 과잉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후발국의 추월이 가시화 되었음
LED 산업은 후방산업인 에피/칩과 전방산업인 조명/융합제품으로 구분되며 후방산업은 기술난이도와
초기투자비용이 높고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자본이 많지 않은 중소기업은 진입장벽이
높음
소량다품종이 요구되는 LED 융합시장은 중소기업이 진입하기에 적합하나 여러 파장대의 에피를 공급하는
곳이 없어 시장진출에 어려움이 있음
LED시장은 청색 LED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LED를 필요로 하는데도 불구하고, 대기업은 청색 LED
생산에 집중하고 중소기업은 에피사업의 어려움으로 시장대응이 어려운 현실임
시사점
국내 LED산업은 최근까지 BLU 및 조명시장에 치중하여 청색 LED 기반의 소재, 장비, 부품 등의 생태계는 잘
이루어져서 일부 생산량 조절을 위한 수입품을 제외하면 자립화가 잘되었으나, UV LED, IR LED 등의 다양한
파장의 LED는 생태계가 거의 이루어져있지 않음
이에 따라, 현재 LED 광원 시장의 정체를 타파하고 새로운 분야 확대를 통한 신 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청색
LED 이외의 다양한 파장의 LED 지원책이 필요함
l저자l 전기영 PD / KEIT LED/광 PD실
김유곤 선임 / KEIT LED/광 PD실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4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1. 시장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 세계 LED 광원 시장은 견실한 성장세를 보임
• 세계 LED 광원 기업 Top10에 국내 기업 4개사 포함
(세계 시장) 세계 LED 광원 시장은 ‘14년 약 230억불에서 ’20년 약 480억불로 연 13.6%
성장 전망
| 세계 LED 광원 시장 |
60,000
50,000
40,000
30,000
(단위:백만불)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8 2020
13,150 15,220 17,568 20,104 23,218 26,230 36,233 47,982
* 출처 : 한국광산업진흥회(Strategies Unlimited, Yole Developpement, LED산업통계 자문위원 자문), 2014. 8
국가별 시장 점유율(매출액 기준)
‘13년 매출액 기준 세계 순위는 일본이 전체의 26.4%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한국이 25.8%로 바짝 쫓고 있음
41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8.43%
26.44%
Revenue by Geography, 2013
Japan
Korea
USA
Europe
Taiwan / SE Asia
China
16.23%
25.79%
9.70%
13.42%
* 출처 : Strategies Unlimited 2014 The Worldwide Market for LEDs
| [참고] LED 산업(전체) 세계시장 |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단위:백만불)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8년
광원
조명
응용
융합
‘20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8 2020
광원 13,150 15,220 17,568 20,104 23,218 26,230 36,233 47,982
조명 5,861 7,299 9,378 11,322 13,459 15,193 24,905 36,907
응용 7,234 7,127 7,068 6,734 6,556 6,418 6,306 6,202
융합 1,293 1,718 2,024 2,474 3,119 3,907 8,098 13,002
* 출처 : - Strategies Unlimited 2013 - LED Luminaires Market Analysis and Forecast 2013,
- Strategies Unlimited 2014 Worldwide LED Market (Application Analysis and forecast 2013
- ElectroniCast, LEDs used in Medical and Biophotonics Devices 2012 등
4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산업환경과 트렌드의 변화
우리나라는 LED 광원 강국으로 세계 LED 광원 기업 Top10에 국내 기업 4개사 포함
그러나, 세계 11~25위 기업에 대만 7개사, 중국 6개사로 후발국가가 무서운 속도로 추격하고 있음
| LED 광원 기업 세계 순위 |
순위 기업명 매출액(‘13년) 국가
1 Nichia $2,059 apan
2 Samsung $1,470 South Korea
3 Osram Opto $1,190 Germany
4 Philips Lumileds $ 920 USA
5 Cree $895 USA
6 Seoul Semi $833 South Korea
7 LG Innotek $794 South Korea
8 Lumens $574 South Korea
9 TG $539 Japan
10 Sharp $487 Japan
11 Everlight $448 Taiwan
12 Lextar $394 Taiwan
13 Lite-On $354 Taiwan
14 Kingbright $315 Taiwan
15 Citizen $245 Japan
16 Stanley $213 Japan
17 AOT (FoxConn) $231 Taiwan
18 Foshan NationStar Opto $180 China
19 Mulinsen $169 China
20 Unity Opto $165 Taiwan
21 Xiamen Hualian Electronics $164 China
22 Shenzhen Jufei Opto $142 China
23 Shenzhen Refond Opto $110 China
24 Guangzhou Hongli Opto $105 China
25 Harvatek $104 Taiwan
4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 국내 LED 산업 시장 위축 및 LED 광원의 공급 과잉에 따른 재고 누적, 가격 하락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됨
• 그럼에도, 무역수지는 글로벌 조명기업 및 중국의 저가공세 등 어려움 속에서도 최근 5년간 무역흑자 유지
(국내 시장) ‘14년 LED 광원 산업의 국내시장은 ’20년까지 연 18.5% 성장 전망
'14년 국내 LED 광원 시장은 약 2.7조원으로 국내 LED 전체 시장의 46% 차지
| 국내 LED 광원 시장 |
(단위:십억원)
5,000
4,000
3,000
2,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8 2020
2,032 1,401 2,142 2,481 2,666 2,873 3,652 4,337
국내 LED 산업(전체)의 시장은 ‘14년 약 5.7조원에서 ’20년 약 20조원 까지 연평균 18.5%의 성장 기대
- 특히, LED 조명은 연평균 41%의 가파른 성장세 예상
4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참고] LED 산업(전체) 국내시장 |
(단위:십억원)
14,000
12,000
10,000
8,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8 2020
광원 2,032 1,401 2,142 2,481 2,666 2,873 3,652 4,337
조명 438 590 723 813 1,244 1,882 6,188 13,285
응용/융합 1,242 1,407 1,626 1,724 1,836 1,955 2,359 2,674
* 출처 : 한국광산업진흥회 2013년 전수결과 및 관세청 수출입 통계 LED 분야를 이용하여 재산정,
LED 산업 통계 자문위원 자문
(수출·수지) ‘08년 LED를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 계획 수립 이후 7년간, LED 광원의 무역은
수출 4.6배 증가
‘14년 수출 증가(2,148백만불, ’08년 대비 462%), 무역흑자(1,018억불, ‘08년 적자에서 ‘10년 흑자전환, ’10년 대비
460%) 기록
4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 LED 광원 무역 동향 |
(단위:백만불)
3,000
(단위:백만불)
3,000
2,000
1,000
-1,000
465
1,925 2,148
816
1,818
1,656
-351 107
492
0
‘08 ‘10 ‘14 ‘08 ‘10 ‘14 ‘08 ‘10 ‘14
수 출 수 입 수 지
* 자료 : 한국광산업진흥회(관세청 수출입 통계 LED 분야만 산정), 2015. 4
(수익성 악화) LED 과잉 공급으로 심각한 재고 누적과 가격 하락 등으로 수익성 악화
‘수년째 LED 시장 상황이 호전되지 않아 국내에선 최근 만들수록 손해나는 형국
* 최근 국내 LED 칩 제조업체 구조조정 현황 : 에피플러스, 갤럭시아포토닉스, 에피벨리, 세미머티어리얼스, 더리즈,
나이넥스 등
(후발국 추월) 중국, 대만 등 후발국의 추격으로 국내 대비 기술경쟁력 격차는 축소되고,
저가공세로 국내시장이 급속히 잠식됨
국내 대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신규 장비 투자를 하지 못해 원가경쟁력에서 중국과 대만에 비해 열세
한국은 중국에 LED 조명 내수시장 상당부분을 내주었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열세
4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2. 산업생태계 현황
1) 국내외 주요기업의 밸류체인
Wafer LED 패키지 조명/응용/융합LED Epi/Chip
필립스
삼성그룹
오스람
LG그룹
크리
서울반도체
루멘스
SSLM(스미토모 합작사)
LG실트론
필립스루미레즈(필립스 지분 100%인수)
삼성전자(LED)
오스람옵토(지멘스 합작)
LG이노텍
크리(에피칩) 크리(패키지)
서울반도체
루멘스
필립스
삼성전자(가전)
오스람
LG전자/CNS
크리라이팅크리(SiC)
•서울바이오시스(에피칩)
•SETI(미국) 지분인수(UN)
세미콘라이트(칩)
•루비콘(미)
•모노크리스탈(러)
•교세라(일)
•중국 신생기업 다수 신규
•니치아(일)
•도시바(일)
•도요타고세
•산안(중)
•칭화동방(중)
•에피스타(대)
•스탠리(일)
•시티즌(일)
•샤프(일)
•에버라이트(대)
•포샨(중)
•렉스타(대)
•줌토벨(오)
•네오네온(중)
•바코(유)-스크린
•헬라(독)-자동차
•덴소(일)-항공
•아투아시그널(독)-선박
Color kinetics 외 다수(매입)
삼성코닝정밀유리(GaN기판 사업포기)
Captive공급 & 외국수입
Captive공급 & 외국수입
수출, 국내기업 공급
삼성전자 공급
수출




Upstream 진출
Upstream 진출(그룹) Downstream 진출(그룹)
Upstream 진출후 (스미토모에 지분양도) Upstream 진출 (내부사업부)
Downstream 진출 Downstream 진출
Upstream 진출
Upstream 진출
Downstream 진출(협력사)
Upstream 진출
일진그룹
일진반도체일진LED
Upstream(패키징사업매각)Downstream 진출 Downstream 진출(매입)
해
외
기
업
국
내
기
업
일진디스플레이 루미리치
•사파이어테크놀로지
•아즈텍
•하이쏠라
•루미지앤테크
•한솔테크닉스
•루미스탈
•버티클(칩)
•한빔(칩)
•이츠웰(칩)
•소프트에피(에피칩)
•레이토피아(칩)
•프라우텍(에피)
•금호전기
•필룩스
•유양디앤유
•동부라이텍(동부)
•알토
•남영전구
•루미마이크로(금호)
•목산전자
•현대LED
•동부LED(동부)
•럭스피아
4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2) 국내 LED 광원 제작·수급 현황
❖ 국내 LED 산업 생태계는 광원은 대기업에서 모듈ㆍ시스템은 중소ㆍ중견기업이 주로 생산
기판 에피 패키지 모듈ㆍ시스템
삼성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일진 LED
LG이노텍
수입
(일본, 미국)
광전자(리모콘)
수입(고출력)
수입
(대만, 독일) 대양전기, 오디텍
파루, 유양디앤유,
루트로닉스
현대모비스
SL
루멘스
삼성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루멘스, 삼성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LG이노텍
서울반도체
수입
(일본, 미국)
LG디스플레이
삼성전자
희성전자
필룩스
유양디앤유
금호전기
삼성전자
LG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제이앤테크
청색
UV-A
UV-B,C
IR
적색 중저출력
(신호등, 전광판)
신호등,전광판
농생명,해양,의료
IR
(자동차, CCTV)
중저출력(BLU)
중고출력
(자동차, 조명)
UV(가전)
UV
(노광기, 의료)
BLU
조명
UV(가전)
UV
(노광, 의료)
사파이어
테크놀로지
아즈텍
일진디스플레이
루미지앤테크
루비스탈
국산화 진행중(고출력)
사파이어
GaN, AIN
4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국내 LED 광원 수급 관련 주요 특징
에피 분야는 가장 높은 기술력과 자금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국내 Big3 기업(삼성, LG, 서울바이오시스(서울반도체))
및 일진LED등 대기업 위주의 산업군을 형성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패키지, 조명, 응용, 융합 등 모듈과 시스템 위주의 사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일부 전문성 있는
중소기업 중에는 칩 비즈니스에 종사하는 경우도 있음
대부분의 에피기업은 칩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으나 반대로 중소 칩 전문기업의 경우 투자비용의 부담으로 대부분
에피는 아웃소싱
- 삼성전자는 자체 칩을 제작하여 활용하고 일부 중국산 모색 중
- LG이노텍은 자사의 패키지를 LG디스플레이, LG전자 등의 계열사 공급 위주로 생산하고 부족한 부분은 중국을 통한
아웃소싱 검토 중
- 서울반도체는 자체 칩 제작 외에 중국 기업과 합작하여 수급
- 루멘스 자회사인 세미콘 라이트는 에피를 전량 아웃소싱으로 수급하고 있으며 최근 수급처를 미국, 중국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음
- 중소기업은 칩을 대만(에피스타, 렉스타 등)과 중국(산안, 화찬세미텍 등) 업체로부터 대부분 수급
LED 광원 시장은 청색 LED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LED를 필요로 함에도 대기업은 청색 LED 생산에 집중
- 특수 파장의 경우 소량 다품종 품목이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단기 진입이 용이하나 높은 기술 전문성이 필요하고
시장대응에 어려움
소량다품종이 요구되는 LED 융합시장은 중소기업이 진입하기에 적합하나 여러 파장대의 에피를 공급하는 곳이 없어
시장진출에 어려움이 있음
3. 시사점
국내 LED산업은 최근까지 BLU 및 조명시장에 치중하여 청색 LED 기반의 소재, 장비, 부품 등의 생태계는 잘
이루어져서 일부 생산량 조절을 위한 수입품을 제외하면 자립화가 잘되었으나,
- UV LED, IR LED 등의 비가시광 특수파장의 LED는 생태계가 거의 이루어져있지 않음. LG이노텍이 최근 가전용
UV-A LED를 출시한 것이 거의 유일한 제품임
- UV B, UV-C 등의 단파장에서는 장비, 소재 등의 산업군이 전무하여 이에 대한 생태계 지원이 절실함
- 적색 LED, 녹색 LED 등의 비인기 파장 (시장규모 측면에서)의 LED도 국내 기업이 소홀히 한 제품인데 최근
융합산업의 태동으로 특수파장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대한 지원책이 시급함
SUMMARY
목적
국내 제조업의 위기상황에서 서비스디자인을 혁신의 도구로 활용함에 따라 제조기업의 혁신을 도모하고, 국내
제조업, 디자인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
통합적 경험 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는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잠재고객의 니즈를 도출하고, 국내
중소제조기업과 다양한 산업을 연계, 융합한 서비스 모델 구축을 통해 제조업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주요현황
국내 제조업은 최근 산업적 위기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산업의 패러다임은 제조산업 중심의
시장체제에서 서비스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음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통합 서비스 경험을 소비자에게 소구하는 방법이 창조시장 경제 진입의 핵심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은 이미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소비자에 대한 경험 및 감성에 대한 연구를 제품과
서비스에 반영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음
시사점 및 정책제안
서비스디자인의 고도화를 위한 투자를 통해 국내 중소 제조기업들의 서비스영역으로 확대 진출할 수 있는
발판 필요
국내 중소 제조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서비스디자인 관점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제품-서비스 확대 필요
l저자l 허석 디자인 PD / KEIT 디자인 PD실
김광순 대표 / 디멘드컨설팅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5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1. 제조업 현황
국내 제조업은 한국 경제 성장에 있어 중요한 역할
국내 제조업은 노동집약적 수출산업에서 컴퓨터, 정보통신 등의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발전해왔으며, 제조업이 한국경제
성장을 주도해왔음
- 1960년대 노동 집약적 경공업부터 2000년대 반도체, 전자제품, 자동차 등 첨단 산업까지 제조업과 함께 한국 경제는
발전해왔으며, 현재 한국을 정보통신기술(ICT)강국으로 올라서게 한 주역도 제조업이었음1)
| 그림 1 시대별 주요 수출품목 |
- 한국 제조업의 국민총생산(GDP)대비 부가가치 비중은 ‘09년 28.3%에서 ’10년 30.6%로 큰 폭 상승하면서 현재
31%수준을 유지2)
| 그림 2 국내 전체 부가가치 중 제조업 비중3)
|
* 자료: 한국은행
1) “대한민국, 무역규모 1조 달러 시대 진입-국민의 손으로 이룬 기적같은 성장의 자산을 국민모두와 공유해 나가는 새로운 출발점으로”,
(2011,12,05),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 “장기 저성장 대응 시리즈(8):제조업 성장동력 문제 없나“, 곽영훈(2014), 하나금융정보-장기 저성장 대응시리즈 제 15호, 하나금융그룹
3) “제조업의 힘. 총 부가가치의 30% 생산”, 홍정규(2011,01,30), Available on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1/28/
0200000000AKR20110128184400002.HTML
생사, 중석,
선어, 합판,
면직물
섬유, 합판,
가발
철광석,
전자제품
의류, 철광판
신발, 선박
음향기기
의류, 반도체
신발,
영상기기
선박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
석유제품,
선박
반도체, 선박,
자동차,
디스플레이,
석유제품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 이후
35
30
25
20
단위:%
2003 2004
25.7
27.0 27.5
28.3 28.8 28.9
28.3
30.6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51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GDP대비 30% 내외의 수준까지 상승하지만 정점을 기록한
후에는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는 것이 역사적인 경험임
성장정체기에 접어든 한국 제조업
최근 들어 국내 제조업은 성장률이 현저히 둔화되고 있으며, 특히 수출주도의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인해 전체 경제의
활력이 크게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제조업 성장률은 지난 2010년 14.7%에서 2012년 2.2%까지 떨어진 데 이어 2013년에는 3.3%로 소폭 상승하는데에
그침4)
| 그림 3 한국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성장률 추이 |
* 자료: 한국은행
- 한국은 2012년 기준 세계 제조업 수출 시장에서 4%를 점유한 후 정체되고 있으며, 세계 제조업 부가가치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5년 2.9%에서 2012년 2.8%로 오히려 하락5)
4) “2012년 국민 계정으로 본 우리나라 경제 현황 및 특징”, 연기수(2012), 한국은행 금융 강좌 발표자료
5) “제조업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 결정한다-美,日 경쟁력 강화 전략과 시사점”, 새로운 경제 시스템 창출을 위한 경제 주평,
현대경제연구원(2013,09,08), (Weekly Economic Review) 13-38[통권 555호]
16
10
6.2
2.4
3.5
4..4
8.1
7.2
2.9
1.2
3.9
2.6
2.2
-1.5
14.7
7.2
2.4
14
12
10
8
6
4
2
0
-2
-4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5.1
2.8
제 조 업
서비스업
5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2. 제| 그림 4 (좌)세계 제조업 수출액 대비 한ㆍ중ㆍ일 비중 (우)세계 제조업 부가가치액 대비 한ㆍ중ㆍ일 비중 |
2. 제조업 혁신의 필요성
제조업에 새로운 혁신 요구
21세기에 들어 제조업은 글로벌화와 도시화, 인구구조의 변화, 에너지 형태의 전환 등과 같은 제조업을 둘러싼 환경에
의해 새로운 혁신이 요구되는 추세
| 그림 5 Waves of Innovation6)
|
6) Timothy Aeppel, Have we run out of things to invent?, The Wall Street Journal, June 20, 2014. Accessed Sep 4, 2014.
http://www.theaustralian.com.au/business/wall-street-journal/have-we-run-out-of-things-to-invent/
story-fnay3ubk-1226960502436?nk=0890917c22a179c17d84303f1070cca8
35.0
28.0
21.0
14.0
7.0
0.0
00
2.6
19.3
28.9 29.5
(%)
18.8 17.0
9.9
2.9 2.4 2.8
9.9
10.5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미국
일본
한국
15.0
12.0
9.0
6.0
3.0
0.0
00
3.3
9.6
13.8
(%)
8.7
6.1
6.2
8.8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미국
일본
한국
4.03.9
RealGDPpercapitain2009dollars
Jetengine
1930
AirPlane
1903
Aspirin
1899
VacuumLube
1907
Penicillin
1928
phonograph
1877
Electric
powergrid
Microwave
1945
Industrial
robot
1961
CATscan
1972
MRI
1977
Internet
1989
Ipadtablet
2010
$100,000
50,000
10,000
Transistor
1947
Laser
1958
Email
1971
Iphone
2007
1870-2007
annualaverage
2.1%
Gordon’s
projection
0.9%
?
또 다른 획기적 신제품 기대?
제조업의 혁신을 기대?
* 자료 : UN, National Accounts Main Aggregates Database
주:1. 명목달러 기준임
2.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임
* 자료 : WTO
주: 제조업 부문 수출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수출액 비중임
5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 미국 Northwestern 대학의 Robert J. Gorden 교수는 미국의 제조업뿐 아니라 세계의 제조업 및 산업은 앞으로
그 발전에 있어서 과거에 경험했던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하면서, 제조업의 혁신이
요구되어진다고 말하고 있음
글로벌 제조기업의 서비스기업화
첨단 제조업에서는 이미 서비스 영역의 비중이 50% 이상 차지
- 맥킨지에 따르면, 제조업 중 R&D, 고객관리, 마케팅, 관리, 물류 등 서비스 관련 일자리의 비중은 ‘02년 32%에서
’10년 37%로 증가7)
- 특히 컴퓨터, 반도체 및 전자제품, 정밀, 과학 등이 속한 글로벌 기술, 혁신 분야에서 서비스 영역의 비중이 55%에
이르고 있음
| 그림 6 제조업에서 서비스 활동의 비중 |
* 자료: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McKinsey Global Institute Analysis
- 이와 같이 첨단 제조업에서 서비스 매출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미래 제조업에서 서비스가 더욱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음
제조기업이 제품을 판매하는 구조에서 서비스를 판매하는 구조로 점차 변화
| 그림 7 가치이동-제조기업의 서비스기업화 |
- 이는 제품과 서비스 사용주기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겠다는 고객 지향성과
다양한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IT기술의 발전과 지속가능성을 생각한 다양한 규제와 노력들로 인한 필연적이고
자연스러운 결과임을 알 수 있음
7) “Manufacturing the future: the next era of global practice, growth and innovation”, McKinsey Global Institute, McKinsey Opera, 2012,11
미국 제조업 직종 구성비(%)
글로벌 기술/
혁신 분야
전체제조 유형 서비스 유형
서비스 유형 제조 유형
현지 시장
글로벌 혁신 분야
현지 가공
분야
에너지/자원
집약적 상품 분야
노동 집약적
교역분야
55 45
40 60
63
37 100
31 69
31 69
30 70
제조
중심
제품서비스
융합
서비스
중심 
5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제조업 서비스화로 차별화 가능
기업들은 제품과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판매 경쟁력을 높이고 수익을 증대시켜 옴8)
- ICT를 만난 제조업의 영역이 무한히 확장하고 있어 제조업의 중요성은 한층 더 주목받고 있으며, 서비스와 제조업의
융합 등 경제의 서비스 化로 인해 새롭게 나타나는 분야가 확대되고 있음
| 표 1 산업별 주요 기업의 제품/서비스 결합 |
분야 기업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
전 자
Apple 제품(Ipod, Iphone)과 서비스(아이튠스, 앱스토어)를 통합한 서비스 생태계 구축
Xerox 복사기 제조기업에서 문서관리 시스템 기업으로 변화
Philips 의료서비스 사업을 위해 헬스와치 등 인수
자동차 GM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스타의 550만명 가입자 확보
중공업 캐터필러 GPS를 통한 원격관리 시스템으로 굴삭기 상태/ 이력 분석, 부품교체, 연비향상 등의 서비스 제공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는 제조업 혁신 사례
Apple I-tuens Store
- 애플은 H/W뿐 아니라 서비스를 함께 설계하고 플랫폼(I-Tunes Store)을 구축하여, 소비자와 컨텐츠 제공자를
스토어에 연결하는 새로운 소비 생태계를 탄생시킴. 단순 제품의 판매를 넘어 소비자의 사용단계에 대한 서비스
확대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 대표적인 사례임
| 그림 8 제조업 혁신 사례, Apple9)
|
8) “제조업의 미래와 ICT의 역할”, 오윤수, 박현수, 오기환, KT 경제경영연구소(2013), DIGIECO, Available on: www.digieco.co.kr/KTFront/
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7992&board_id=issue_trend#
9) 제조업의 미래와 ICT의 역할”, 오윤수, 박현수, 오기환, KT 경제경영연구소(2013), DIGIECO, Available on: www.digieco.co.kr/KTFront/
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7992&board_id=issue_trend#
iPhone 가격의 66%는 서비스 분야 새로운 소비 생태계 구축
Apple
R&D, 디자인, 마케팅 등
: $368(65.7%)
LG,Samsung
Farcom
Display, Memory 등
부속품: $178(31.8%)
조립: $14(2.5%)
AppStore iPhone
Network
Terminal
Platform
Contents
제조업과 서비스의 결합으로 새로운 소비 생태계 구축
애플이 제공하는 서비스
(아이튠스 스토어, 앱스토어, 아이북스토어)
5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Amazon Dash
- 세계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은 식료품 시장의 선점을 위해, Dash(음성과 바코드 스캐닝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무선기기)를 개발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유통시스템의 혁신을 보여줬으며,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새로운 스마트라이프의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임
| 그림 9 제조업 혁신사례, Amazon Dash10)
|
Google Android Auto
- 세계 최대의 인터넷 검색 서비스 기업인 구글은 스마트카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를 개발하여
운전자 차량의 기기를 활용해 구글과 구글나우 서비스가 지니고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행환경에 적합한 정보를
자동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함
| 그림 10 제조업 혁신사례, Amazon Dash11)
|
10) Available on https://fresh.amazon.com/dash/
11) “구글 I/O(1):구글은 자동차-TV-손목시계도 노린다”, 필명 광파리(2014,06,26), Available on http://kwang82.hankyung.com/2014/06/io-1-tv.html
5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3. 제조업 혁신과 서비스디자인
제품에 대한 고객의 경험욕구 변화
제품의 사용에 있어 다양한 서비스와 경험 요구12)
- 사용자들은 제조업이 제공하고 있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경험에 있어 기존의 ‘One size fits all’이라는 방식의
획일적인 제품의 구매와 활용의 형태를 넘어서 자신만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제품과 서비스 사용의 독창성 추구를
원하고 있음
| 그림 11 제품에 대한 고객의 경험욕구 변화 |
-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보면 사용자의 다양한 방식의 경험을 중시하는 패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제품이 사용자에게 단일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다양한 서비스의 경험이 가능한 플랫폼(Platform)성격의 제품을 공급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것을 의미함
- 사용자 개개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경험이 가능한 구조를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느냐가 제조업에서 제공하는 제품
혁신의 관건이 되고 있음
12) “제조업혁신, 서비스디자인이 주도할 시점이다”, 김광순(2014,10,28),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동향정보지 2014 가을호 통권 제 18호
제품의 유ㆍ무에 중점
"남들에게 뒤쳐지지 않게"
"외톨이가 아니"
"나도 남들과 같은 수준"
•궁핍의 시대/보급의 시대
•Mass Production
다양한 서비스와
경험에 중점
"내가 원하는 경험"
"제품의 활용 수준"
"내게 필요한 서비스"
•풍요의 시대
•Holistic Experience
제품에 대한
고객의
경험욕구의 변화
과거
Product
Product
Contents/
Service
User
User
User User
현재&미래
동일한 경험
나만의 경험
Game Movie
Music
5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고객의 잠재욕구를 가시화하는 것이 제조업 혁신의 관건
사용자 개개인이 제품을 통해 기대하는 잠재적 욕구를 포착하고, 그것을 원하는 방식으로 경험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제조업 혁신의 관건이 되고 있다고 함13)
| 그림 12 제조업 혁신의 3대 성공요소 |
* Meta Product: 네트워크 역할을 하는 제품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주변의 환경속에서 서비스, 제품, 사람들과
연결되어 사용자 경험의 플랫폼(Platform)역할을 하는 제품을 말함. ‘Meta’라는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더 높은,
넘어서는’으로, Meta Products는 더 나은 제품이나 더 많은 요소들이 추가된 제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부가적인 제품 또는 제품과 서비스가 연계된 사용자 기반의 경험을 제공함
- 사용자의 통합적 경험(Holistic Experience)라는 것은 명백하게 드러나 있는 것이 아니며, 사람들의 경험세계에 대한
섬세한 접근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임
- 제조업 혁신의 3대 성공 요소의 저변에는 결국, 사용자의 잠재욕구 포착능력, 새로운 제품, 서비스에 대한 상상력과
이러한 것들을 가시화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것은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를 통해서 해석될 수 있음
서비스디자인의 정의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은 고객 접점마다의 사용자 경험을 통해 서비스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
-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이란, 고객이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이용하면서 접하게 되는 접점에서 경험하는 서비스
가치를 모든 이해관계자가 협력하여 디자인함으로써, 서비스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고객에게 더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가리킴14)
13) “서비스디자인산업육성로드맵 개발”, 한국디자인진흥원(2014)
14) “서비스디자인을 성공시키는 핵심키워드”, 손동범 외 5인(2013), 한국디자인진흥원
SENSITIVITY
사용자 경험 세계 연구 전문성
IMAGINATION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상상력
- DESIGN THIKING -
VISUALIZATION
안 가본 것에 대한 구체화/시각화
User Demand -
New Service -
통합적 경험 -
User Perspectives -
- Eco-system
- Business Model
- Operational Model
Service Platform -
Networked Service -
Meta Products -
Holistic
Experience
Meta
Products
Business
System
5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그림 13 서비스디자인의 정의 |
제조업 혁신에 있어 서비스디자인의 역할15)
제조산업과 서비스산업을 포함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사업모델을 설계하는
서비스디자인이 혁신활동을 활발히 주도하고 있음
- 가전제품에 있어서 사용자의 잠재된 경험 분석을 통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 스마트 자동차와 모바일을
연동시키는 새로운 서비스 개발 사업, 전자칠판의 서비스 발굴을 통한 신시장 개척 프로젝트 등 조금씩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제조혁신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좋은 출발점으로 보여지고 있지만, 아직 시작단계에
진입하고 있어 협업적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16)
-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제조업 혁신은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비스를 바탕으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임
| 그림 14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제조업의 사업구조와 매출 변화 |
* 제조업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제품/상품의 경쟁력을 확장하여, 제품에 서비스를 추가함으로써 기존 제품의 사용자
가치를 확장함과 동시에 기업의 사업범위를 확장한다는 것을 의미함
15) “서비스디자인산업육성로드맵 개발“, 한국디자인진흥원(2014)
16) “제조업혁신, 서비스디자인이 주도할 시점이다”, 김광순(2014,10,28),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동향정보지 2014 가을호 통권 제 18호
고객 접점마다 어떤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가치를 향상시킬 것인가?
고객 접점
현 매출구조
서비스(1%미만)
미래 매출구조
서비스(10%)

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봉조 김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 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 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 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 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atelier t*h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S.K. Cha of ACS in Korea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Kevin Kim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에너지 절감형 센서노드 운영체제 NanoQplus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에너지 절감형 센서노드 운영체제 NanoQplus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에너지 절감형 센서노드 운영체제 NanoQplus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에너지 절감형 센서노드 운영체제 NanoQplusJongsoo Jeong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봉조 김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SeungMo Oh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ssuser54247f1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Jonathan Jeon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M&M Networks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SeungMo Oh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Daeyoung Kim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BruceDong WinnersLab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Daeyoung Kim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Youn Sang Jang
 

Similar to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20)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 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 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 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 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The System Architecture and Standardization of Production IT Convergence for ...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2-1. SSM2021-AI.DATA-인공지능.pdf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에너지 절감형 센서노드 운영체제 NanoQplus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에너지 절감형 센서노드 운영체제 NanoQplus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에너지 절감형 센서노드 운영체제 NanoQplus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에너지 절감형 센서노드 운영체제 NanoQplus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대한민국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선정 2016년 08월 10일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102) Aug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Short Summary of IT Key Trends - HTML5, Cloud, M2M, Big Data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분석 및 연구 2017_ Digital signage eco research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99) May 2015.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GS1 Tutorial (Korean) by Daeyoung Kim, Auto-ID Labs, KAIST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2018 Industry4.0과 전력 ICT기술의 미래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초음파 모터를 이용한 다지 로봇 손 및 제어시스템 개발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More from sam Cyberspace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sam Cyberspace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sam Cyberspace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sam Cyberspace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sam Cyberspace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sam Cyberspace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sam Cyberspace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sam Cyberspace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sam Cyberspace
 
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sam Cyberspace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sam Cyberspace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sam Cyberspace
 
(미래부)2015업무계획
(미래부)2015업무계획(미래부)2015업무계획
(미래부)2015업무계획sam Cyberspace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sam Cyberspace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sam Cyberspace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sam Cyberspace
 
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
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
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sam Cyberspace
 

More from sam Cyberspace (20)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2022]_SW사업_대가산정_가이드(2022년_개정판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Webtoon platform
Webtoon platformWebtoon platform
Webtoon platform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공공빅데이터 업무적용 가이드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3D 프린팅은 어떻게 소비 문화를 바꾸는가(kidp)
 
드론에 대하여
드론에 대하여드론에 대하여
드론에 대하여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정보화사업 단계별 관리점검가이드V3.0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141110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_지침(고시)_개정(전문)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TTA H/W 규모산정 지침 Ttak.ko 10.0292
 
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Open edx 통합테스트 보고서
 
Exif2.2 MetaData Spec
Exif2.2 MetaData SpecExif2.2 MetaData Spec
Exif2.2 MetaData Spec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It법제연구시리즈 제2호 전자문서를 둘
 
(미래부)2015업무계획
(미래부)2015업무계획(미래부)2015업무계획
(미래부)2015업무계획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안)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3D􀀃프린팅 기술이 바꿀 보건산업의 미래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Keit pd(15 2) 특집1-아이디어를 자산화하자
 
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
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
3D 프린팅의 다양한 신공정 기술 및 특징 소개
 
3D printing-guide
3D printing-guide3D printing-guide
3D printing-guide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 1. ISSN 2234-3873 VOL15-5 2015.5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PD 기술 이슈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ISSUE 5 플랜트 핵심시스템 산업 동향 분석 ISSUE 6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첨단뿌리기술과의 연계성 조사·분석 ISSUE 7 일괄 인쇄 공정을 통한 OLED 화소 형성 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특집 창조경제시대 창의 비즈니스 모델 탐색 (3D 프린팅 및 패션의류 분야 New 비즈니스 모델)
  • 2. ➊ [ FOCUSING ISSUE ] 인류 편익을 높이는 컴퓨팅 07 ➋ [ PD 기술 이슈 1 ]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13 기술 및 산업 동향 ➌ [ PD 기술 이슈 2 ] 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 39 ➍ [ PD 기술 이슈 3 ] 유동안정성 확보 기술 및 발전 전망 57 ➎ [ PD 기술 이슈 4 ] 북극항로 개방현황 및 관련 조선 산업 기술동향 73 ➏ [ PD 기술 이슈 5 ] 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85 ➏ [ PD 기술 이슈 5 ] 건축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IT융합 기술동향 131 ➑ [ 특집 1 ] 2013년도 정보통신 기술진흥 투자방향 및 계획 145 ➑ [ 특집 2 ] 전문가-논문-특허-시장 관점에서 바라본 S/W, 165 시스템반도체 분야 기술수준 VOL 15-5 2015.5 KEIT PD ISSUE REPORT ➊ [ FOCUSING ISSUE ]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07 ➋ [ PD 기술 이슈 1 ]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13 ➌ [ PD 기술 이슈 2 ]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21 ➍ [ PD 기술 이슈 3 ]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39 ➎ [ PD 기술 이슈 4 ]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49 ➏ [ PD 기술 이슈 5 ] 플랜트 핵심시스템 산업 동향 분석 69 ➐ [ PD 기술 이슈 6 ]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첨단뿌리기술과의 연계성 조사·분석 83 ➑ [ PD 기술 이슈 7 ] 일괄 인쇄 공정을 통한 OLED 화소 형성 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101 ❾ [ 특집 ] 창조경제시대 창의 비즈니스 모델 탐색 119 (3D 프린팅 및 패션의류 분야 New 비즈니스 모델)
  • 3. VOL15-5 2015.05 ISSN 2234-3873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PD 기술 이슈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ISSUE 5 플랜트 핵심시스템 산업 동향 분석 ISSUE 6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첨단뿌리기술과의 연계성 조사·분석 ISSUE 7 일괄 인쇄 공정을 통한 OLED 화소 형성 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특집 특집 창조경제시대 창의 비즈니스 모델 탐색 (3D 프린팅 및 패션의류 분야 New 비즈니스 모델)
  • 4.
  • 5. ▶ KEIT PD ISSUE REPORT VOL 15-5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문종덕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스마트카 PD
  • 6.
  • 7. ㅣ저 자ㅣ 문종덕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스마트카 PD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KEIT PD Issue Report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 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8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KEIT PD Issue Report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4일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 발표 회를 개최했다. 발표회는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가 될 핵심 전략산업과 미래성장동력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고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이후 마련한 실행계획을 전 국민에게 알리는 자리였다. 이 중 주 력 산 업의 대 표주자로 자 율 주행 자동차(스마트자동차)가 포함돼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산업부가 13대 산업엔진 중 하나로 선정했다. 또 미래부, 국토부와 공동으로 추진단을 구성해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개발을 위한 범부처 협력체계도 구축했다. 추진단을 중심으로 부처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상세 이행계획을 수립하는 등 부처 간 벽을 넘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적 공동 목표를 한마음으로 추진하고 있다.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프랑스는 지난해 미래를 이끌 새로운 산업 기술 34개를 선정하고, 그 중에 자율주행자동차를 포함시켰다. 특히 카를로스 곤 르노-닛산 회장을 책임자로 정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도 향후 자국의 경제 및 산업 경쟁력에 중요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략적 이노베이션 창조프로그램(SIP)’에 10개 과제를 선정했다. 이 중 하나로 자율주행 시스템 기술을 선정하고 2020년에는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과 보급을 목표로 하는 등 국가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은 1991년에 AHS(Auotmated Highway System) 프로젝트를 시작해 1997년에는 대규모 자동 운전을 시범 운행했다. 또 미국 국방부의 무인차 경진대회를 통해 확보된 기술을 기반으로 2010년도에는 구글이 자율주행 자동차를 공개했다. 네바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면허를 발급해 자율주행차의 일반도로 실증평가 길을 터줬다.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 9.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9 유럽은 2008년 HAVit 프로젝트를 통해 부분 자율주행 기술과 운전자와 차량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2013년 메르세데스-벤츠는 100㎞ 자율주행에 성공했다. 특히 올해 초 아우디는 자율주행이 가능한 A7 모델을 기반으로 스탠퍼드대가 있는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서 라스베이거스까지 900㎞를 운전자 도움 없이 달려 가장 앞선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였다. 이 차는 차량 스스로 가속 및 제동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차선 변경과 추월도 가능하고, 일반 자동차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상용화가 가능한 센서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은 지금까지 자동차 기술과 다른 새로운 기술이다. 고속으로 달리면서도 주변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판단해 원하는 경로로 자동차를 안전하게 제어하는 기술은 130년 간 기계 중심이었던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이 같은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완성차 업체는 해외 선진 부품을 활용해 일정 부분 기술개발이 가능하다. 하지만 국내 부품기업은 자금과 기술이 부족해 준비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은 특정 센서 부품 기술이 개발됐다고 해서 완성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다. 다양한 센서 융합을 기반으로 정확한 판단과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종합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단 한 번의 실수로도 사람이 다칠 수 있고, 이로 인한 리콜로 기업이 순식간에 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완벽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해 과제 간 긴밀한 연계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별도 사업’으로 장기간 집중적인 투자가 절실하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70여년이나 늦게 출발했지만, 세계 5위 자동차 생산국으로 도약했다. 또 세계 최고의 전기·전자 및 정보통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런 장점들이 잘 융합될 수 있도록 별도 사업으로 집중 투자한다면 자동차, 도로, ICT와 연계한 다양한 신시장을 창출하고 세계 최고의 자율주행 자동차 강국이 될 것이다. 전자신문 2015. 03 .24. Focusing Issue 자율주행차 연구개발 집중 투자를 자율주행 자동차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
  • 10.
  • 11. ▶ KEIT PD ISSUE REPORT VOL 15-5 PD 기술 이슈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 KEIT 시스템반도체 PD실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KEIT 디스플레이 PD실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 KEIT LED/광 PD실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 KEIT 디자인 PD실 ISSUE 5 플랜트 핵심시스템 산업 동향 분석 - KEIT 플랜트 PD실 ISSUE 6 산업엔진 프로젝트와 첨단뿌리기술과의 연계성 조사·분석 - KEIT 소재부품산업 PD지원TF ISSUE 7 일괄 인쇄 공정을 통한 OLED 화소 형성 기술의 필요성 및 현황 - KEIT 화학공정 PD실
  • 12.
  • 13. SUMMARY 목적 새롭고 다양한 사용자 경험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급격히 늘어가고 있음 서비스 다양성, 시스템 복잡성, 능동적 정보처리 등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사항을 시스템의 크기, 복잡도, 소비 전력의 증가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는 지능형 가속기 기술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해 조망해 보고자 함 주요현황 반도체기술의 발전과 딥-뉴럴(Deep Neural)과 같은 새로운 학습이론의 등장에 따라 2010년부터 뇌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는 형태의 프로세서가 IBM의 코어릿(Corlet)을 시작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2014년부터 퀄컴(Qualcomm)은 인간의 뇌를 모방한 차세대 Co-processor인 제로스(Zeroth)를 발표하고 인지컴퓨팅 플랫폼이 들어간 스냅드래곤 820 AP(Application Processor)를 양산함 미국을 선두로 영국, 독일, 중국, 일본 등이 국가차원에서 뇌 모방형 프로세서 연구를 실시 또는 완료하였으며 모바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자동차, 무인비행기, 스마트공장, 운영체제,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적용되고 있음 가트너와 MIT의 미래기술 예측결과 뇌 모방형 하드웨어 기술을 중요한 미래기술로 정의하고 있으며 미래 컴퓨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기반 기술로 예측하고 있음 시사점 및 정책제안 새로운 서비스 및 디바이스의 등장에 따라 기존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패러다임 기술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향후 활용범위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되는 뇌 모방형 반도체 핵심기술의 조기 확보가 필요하며, 원천기술 및 응용 반도체 개발을 위해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임 l저자l 손광준 PD / KEIT 시스템반도체 PD실 전준표 선임 / KEIT 시스템반도체 PD실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 14. 1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1. 목적 기술의 개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다양화 및 지능화를 위한 요구사항 만족을 위해 멀티미디어 코덱, 센서 신호처리, 전원관리, 그래픽처리 등과 같이 필요한 특정 기능을 가속하는 전용시스템이 기존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큰 규모와 높은 복잡도, 고성능화, 다기능화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현재 폰-노이만 구조의 프로세서는 인간의 인지, 지각, 판단 등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공통된 인식에 따라 인간의 뉴런(Neuron)과 시냅스(Synapse)를 모방한 뇌 모방 가속기(Neuromorphic Co-Processing Unit)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그림 1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프로세서 진화 | * 참조문헌: http://www.computerhope.com/ & MIT Technology Review 전자부품연구원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융합연구센터- 스마트 디바이스 프로세서 로드맵’ 가공 특히, 시스템의 크기와 복잡도, 소모전원의 증가 없이 요구하는 학습에 따른 지능적 판단을 수행하는 전용 가속 장치(Neuromorphic Co-processor Unit) 기반 가속 기술을 미국과 유럽은 2008년부터 SyNAPSE(Systems of
  • 15. 1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Neuromorphic Adaptive Plastic Scalable Electronics), FET(Future and Emerging Technologies of the EU)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으며 뉴런과 시냅스 관련 모사 및 동작에 따른 원천기술을 다수 확보한 상태임 뇌 모방형 가속 기술은 과거 인공지능 분야에서 정체되었던 신경망, 퍼지 등의 한계를 뛰어넘는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뇌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는 다양한 형태의 인지컴퓨팅 기술 개발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음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하는 방식의 구조적인 컴퓨팅 모델을 최적화하고 작은 크기의 HW로 집적화하며, 이를 기반으로 SW 프레임워크 또는 이기종 컴퓨팅기반 라이브러리, 컴파일러를 통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정해진 영역의 경험을 학습하여 지능형 처리 판단을 전담하는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과거 인공지능 분야에서 연구되었던 신경망(Neural Network)은 단순히 정해진 입력과 출력을 학습하여 제한적인 SW상에 연결 가중 방식의 모델인 반면, 최근 연구되는 딥-러닝 모델기반 지능 모방형 컴퓨팅(Neuromorphic Computing) 기술은 “brain-like” 모델로서 인간 두뇌의 뉴런과 시냅스를 구조적으로 모델링하여 사물인식, 상황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정보들을 서로 다른 펄스의 패턴들로 인코딩하여 전달 및 저장하고 이를 하드웨어적인 구현으로 병렬 처리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방향(Parallel connected Positive Result)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기술임 2. 2015 CES 자동차관 2. 주요현황 국내 연구 개발 동향 대학을 중심으로 2000년도부터 SW기반의 지능 모방형 처리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주로 슈퍼컴퓨터 기반의 지능 처리 연구가 주축이 되고 있으며 2013년도부터 서울대를 중심으로 아날로그 기반 뉴런 셀 회로 등이 연구되고 있음 - 서울대에서는 슈퍼컴퓨터와 빅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 모방형 처리 기술과 삼성미래재단 지원으로 Fin 구조의 공정기술을 이용한 시냅스 모방형 소자를 연구하고 있음 - KAIST 뇌 과학 연구센터에서는 청각 또는 시각의 단일 모탈리티에 대한 주의·집중 기술을 개발하여 정보 인식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중임 - 광주과기원에서는 최근 멤리스터를 이용한 뉴로모픽 화상인식 시스템을 SW로 개발하여 발표하였음 - 삼성미래재단에서 2013년부터 대학(KAIST, 서울대, 포항공대)을 주축으로 하는 지능 모방형 플랫폼 개발 사업에 대한 연구 지원을 개별 교수단위로 진행하고 있음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2014년부터 미래부의 뉴로모픽과제를 통한 생물학적 뉴런을 모델링한 뉴로모픽 SW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포항공대는 최근 기계 학습연구센터를 설립하여 4년간 SW 플랫폼 기반에 지능형 처리 시스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지능 모방형 하드웨어 기술의 초기 연구가 대학을 중심으로 201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4년도부터는 연구소와 삼성전자의 참여가 시작되었음
  • 16. 1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포항공대에서는 2013년부터 저전력 뉴런셀 회로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 KAIST에서는 2014년부터 HTM이론 모델을 칩으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음 국외 연구 및 산업 동향 미국 DARPA는 SyNAPSE라는 동물의 뇌를 모방한 전자두뇌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2008년부터 IBM, HRL(Hughes Research Laboratories), HP, 스탠포드, 코넬 등에서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뇌 모방형 프로세서를 개발 - IBM은 100만개의 디지털 뉴런과 2억 5,600만개의 시냅스를 집적한 트루노스(TrueNorth)라는 뇌모방형 칩을 개발하였음 퀄컴은 2013년 스마트 디바이스에 Co-Processor로 연결 가능한 뉴로모픽(Neuromorphic co-processor Unit)인 제로스(Zeroth)를 개발하였음 - 퀄컴은 2012년 DARPA의 힐튼(Hylton)을 영입하고 2013년에 제로스 개발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고도화하여 2015년에는 차세대 모바일 AP인 스냅드래곤 820(Snapdragon 802)에 인지컴퓨팅 기능을 추가하여 직관적인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됨 EU는 미래기술지원의원회(FET)에서 인간의 뇌 연구와 관련 시냅스 구현을 위해 2005년부터 대학교를 중심으로 소규모 지원을 해왔으며, HB(Human Brain)를 2011년에 설립하고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조 6천억원을 투자하여 지능 모방가속 컴퓨팅 기술개발에 집중할 예정임 - 스위스 EPFL, 키르히호프 연구소, 독일 Heidelberg University 등이 주도함 중국은 2008년 ‘China Brain’을 시작으로 지능형 프로세서 연구와 개발을 과학기술부(MOST) 주도로 지원하고 있음 - 중국은 1단계 China Brain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2단계 화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2단계 개발부터는 비공개로 연구 진행 중임 글로벌 IT업체는 지능 모방형 가속기술을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고 차세대 신사업분야에 연계 활용을 위한 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임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등은 지능 모방형 가속기술을 자사의 웹 검색, 스트리트 뷰, windows 10, 감성형 제품검색 등 상용제품 개발에 적용하고 이를 모바일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 드론 등의 차세대 서비스 플랫폼에 연계ㆍ확대 제공하고 있음 - 중국은 2014년에 바이두가 실리콘벨리에 인공지능센터를 설립하고 딥-러닝 SW와 코어 개발을 위해 3억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2016년까지 자사의 엔진에 지능 모방형 기술을 적용할 예정임 - 가트너 분석결과 뇌 모방형 비지니스(Neurobusiness)가 10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IT업체의 다양한 서비스 적용과 원천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음 - 애플은 뉴럴 프로세싱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싱크탱크 역할의 SRI-인터를 인수하여 관련 연구를 진행 중임
  • 17. 1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SpeechRecognition ConsumerTelematics 3DScanners InternetofThings Enterprise3DPrinting Consumer 3DPrinting CryptoCurrencies ActivityStreams In-MemoryAnalytics GestureControl VirtualReality AugmentedReality Monitoring MobileHealth Communication Services expectations time Innovation Trigger Troughof Disillusionment SlopeofEnlightenment Plateauof Productivity Plateauwillbereachedin: AsofJuly2014 Peakof Inflated Expectations lessthan2years 2to5years morethan10years obsolete beforeplateau5to10years Machine-to-Machine HybridCloudComputing Gamification ContentAnalytics In-MemoryDatabaseManagementSystems BigData Complex-EventProcessing Natural-LanguageQuestionAnswering WearableUserInterfaces Speech-to-SpeechTranslation AutonomousVehicles SmartAdvisors DataScience PrescriptiveAnalytics Neurobusiness Biochips AffectiveComputing SmartRobots 3DBioprintingSystems VolumetricandHolographicDisplays Software-DefinedAnything QuantumComputing QuantifiedSelf SmartWorkspace HumanAugmentation Brain-ComputerInterface ConnectedHome VirtualPersonalAssistants DigitalSecurity BioacousticSensing CloudComputing NFC | 그림 2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 * 출처: 가트너(2014) 2013년도부터 실리콘벨리의 스타트업(Start-up) 기업을 중심으로 지능 모방형 가속 기술을 이용한 사업화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 - 산업용 로봇, 스마트용 디바이스 관련된 스타트업(Start-up)기업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오보틱스는 ‘생체모사형 메카트로닉스 융합기술’로 지능 모사형 기반에 자율비행과 로봇개발에 600백만불을 지원 받음 구글 X랩과 스탠포드 대학 앤드류 잉에 의해 시작된 뉴로모픽 연구는 딥 마인드 라는 구글 자회사에서 ‘딥 Q-네트워크’라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공개함 - 총 49개의 게임을 인공지능 시스템이 플레이하여 29개의 게임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게임 스코어를 기록한 바 있음 * 스탠포드 앤드류 잉 교수는 현재 중국의 바이두에서 검색엔진을 향상하는 뉴로모픽 연구를 진행 중임 일본 소프트뱅크는 IBM과 뉴럴 기술의 공동연구를 위해 협약을 체결하고 2014년에 인간형 감정인식 로봇인 ‘페퍼(Pepper)’를 공개함 - 일본은 로봇분야에서 인공지능 연구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적인 연구 개발 지원보다는 로봇과 자동차 기업 위주로 활발히 연구를 진행되고 있음
  • 18. 1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시장 전망 Natural-LanguageQuestionAnswering Natural-LanguageProcessing(NLP) DeepLearning ConsumerSmartAppliances SocialNetworkAnalysis EnterpriseSocialGraph ProactiveSearch QuantifiedSelf NeuromorphicHardware CommercialUAVs(Drones) CognitiveComputing cognisantComputing GeneralPurposeMachineIntelligence SentimentAnalysis GraphAnalysis BusinessRule ManagementSystems EnsembleLearning AdvancedProcessControl Speech Recognition Speech-to-Speech Translation ContentCurationPlatforms AutonomousVehicles SmartAdvisors SmartRobots PredictiveAnalytics PrescriptiveAnalytics MachineLearning expectations time Innovation Trigger Troughof Disillusionment SlopeofEnlightenment Plateauof Productivity Plateauwillbereachedin: AsofJuly2014 Peakof Inflated Expectations PredictiveCoding VirtualCustomerAssistants VirtualReality VirtualPersonalAssistants lessthan2years 2to5years morethan10years obsolete beforeplateau5to10years DigitalWorkplaceGraph | 그림 3 Hype Cycle for Smart Machines | * 출처: 가트너(2014) 가트너의 2014년 하이프사이클(Hype Cycle) 자료에 따르면 딥-러닝(Deep Learning) 인지컴퓨팅 기술은 약 5년 이후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뇌 모방형 프로세서(Neuromorphic Hardware) 기술은 10년 정도 후에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 될 것으로 예상함 세계 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는 2015년 혁신기술 중 하나로 두뇌 모방형 칩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가트너는 향후 10년 이내에 클라우딩 컴퓨팅(Cloud computing), 빅데이터(Big data), 인터넷 서비스(Internet of Everything), 로보틱스(Robotics), 스마트 단말(Smart Device) 분야가 스마트 머신(Smart Machines)이라는 신 비지니스 분야로 통합될 것으로 예상함 BCC Research 2014년 연구에서 스마트 머신 시장은 2024년까지 연평균 22.8%의 경제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뉴로 컴퓨팅 직접 시장은 2014년 492조원에서 2019년 1,590조원 그리고 2024년에는 4,685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간접효과까지 포함한다면 약 9배인 41,215조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됨
  • 19. 19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2013 Total Growthrate2014~2019 Growthrate2014~2024 inmillionsof$ Source:BCCResearch,Wellesley,Massachusetts,USA 5,339 6,292 15,279 41,215 2014 2019 2024 2013 2014 2019 2024 2013 2014 2019 2024 2013 2014 2019 2024 2013 2014 2019 2024 3,050 3,508 7,055 Expert Systems 15% Autonomous Robots Autonomous Robots to Surpass Expert Systems : Forecast Share of the Smart Machine Market Digital assistants Embedded systems Neurocomputers 12,433 ~ ~ ~ ~ ~ 12% 23% 31% 30% 30% 16% 19% 20% 22% 5,339 6,292 15,279 13,927 5,339 6,292 15,279 5,339 5,339 6,292 6,292 15,279 15,279 41,215 41,215 41,215 41,215 1,109 450 400 425 877 2,095 330 492 1,590 4,685 585 2,175 8,075 1,282 3,582 * 출처: BCC Research (2014) 3. 시사점 및 정책제안 정부 지원 전략 및 시사점 앞서 살펴본 동향을 근거로 예상할 때, 지능형 가속기 반도체 기술은 향후 가까운 미래에는 기존 스마트 전자기기에 적용될 것이며, 이에 따른 신규 스마트 서비스와 응용제품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측 할 수 있음 선진국은 이미 두뇌 모방형 칩 및 스마트 디바이스와 관련된 연동 기술 분야에서 상당한 수준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은 반도체분야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검색엔진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하고 있으며 HRL과 대학을 통해 빠르게 글로벌 IT기업에 기술을 적용하는 등 국가주도로 성과를 확산, 보급하고 있음 유럽은 미래기술지원의원회(FET)를 통해 광범위한 분야에서 인간의 뇌 모방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연구를 위해 연구소와 대학 중심의 HB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미국과 동등한 수준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음 국내는 미래창조과학부의 국가 혁신기술 개발형 R&D 과제로 엑소-브레인(Exo-brain)과 같은 SW 기반 대규모 인공지능 기술개발 과제를 진행하고 있으나 비메모리 반도체 기반의 뇌 모방형 칩 연구개발을 위한 지원은 아직 없음 - 이에 따라 비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뇌 모방형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정책적인 지원과 함께 미래 프로세서 개발을 위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며, 비메모리 반도체 기업을 중심으로 한 뇌 모방형 칩 개발 사업의 조기 착수가 절실한 실정임 - 미국의 퀄컴, 인텔, 애플, TI, 일본의 도시바, 대만의 미디어텍(Mediatek), 중국의 스프레드트럼(Spreadtrum Communication), 락칩, 올위너 등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AP를 차세대 성장동력 제품으로 정의하고 관련 연구와 기업 M&A를 활발하게 추진 중임
  • 20. 2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하지만, 국내는 삼성전자, LG전자 이외에 관련 비메모리 반도체 프로세서 개발 및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업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국내시장 활성화와 기술 고도화를 위한 중소ㆍ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이 정책적으로 필요함 주변상황과 개인성향 등 비규칙적인 환경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 스마트 반도체 가속기와 같은 신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차세대 비메모리 반도체와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집중적인 투자가 요구됨 (참고문헌) 1. “Forecast:IoT Endpoints-Sensing, Processing and Communications Semiconductors”, Worldwide 2013-2020, Gartner, 2014 2. “MIT Technology Review : http://www.technologyreview.com/,” MIT, 2015 3. “McKinsey writes about Smart Machines McKinsey Quarterly, Manager and machine: The new leadership equation” , Sep 2014 4. “Good to read book about the topic www.smartmachines.fi The Intelligent Web: Search, smart algorithms, and big data.”, G. Shroff 2014 5. "The smart machine era will be the most disruptive in the history of IT", Gartner 2014 (국내외 주요 기술개발 현황) 연구기관명 프로젝트명 개요 연구기간 키르히 호프 연구소 (EU) • FACETS • 신경망 모델링 구현 및 연구 2005 - 2010 하문대학 (Xiamen, CA) • China Brains • 신경망 기능을 가진 모듈을 개발 2008 - 2011 고등연구계획국 (DARPA, USA) • SyNAPSE • 동물의 뇌를 모방한 시스템 구현 2008.01 - 2013.12 에콜 폴리 테크닉 대학 (EU) • HBP(Human Brain Project) • 인간의 전체 뇌를 모델링을 하기 위한 연구 2013.01 - 2024.01 키르히 호프 연구소 (EU) • BrainScaleS • 두뇌의 처리방식을 모사한 프로세서 개발 2010.01 - 2015.12 스탠포드 & 구글 • ImageNet • 인간수준의 이미지 식별능력 개발 2014.03 - 마이크로소프트 • Adam • 인간 뇌를 모방해 직관적으로 물체를 인식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2014.01 -
  • 21. SUMMARY 목적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개발에 경쟁국간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표준화 이슈를 파악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 주요 현황 디스플레이 시장의 정체 극복 및 경쟁국 간의 기술·시장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치열해지고 있음 LCD 위주의 디스플레이가 성숙기로 진입함에 따라 AM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무안경 3D와 같은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발전 국가별로 디스플레이 표준화의 의장국 및 의장으로 적극적인 활동으로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점하고자 노력 중 시사점 및 정책제안 세계최고의 양산기술을 바탕으로 국제표준에서도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신기술 관련 국제표준 제정에 신속히 대응 필요 3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터치 및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에 대한 각국의 기술개발이 치열해짐에 따라 핵심기술의 표준우위를 통한 신기술시장 선점 필요 l저자l 안성덕 책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정노 PD / KEIT 디스플레이 PD실 전호승 책임 / KEIT 디스플레이 PD실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22. 2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1. 차세대 디스플레이 현황 및 기술개발 방향 산업현황 LCD산업의 성숙단계 진입 및 동북아 선도업체를 중심으로 과점화 양상에 따라, 국가간 주도권 경쟁을 위한 경쟁 치열 - 최근 중국의 LCD산업 본격 육성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조기선점을 위해 막대한 투자 등으로 기술 격차 축소에 대한 대응책 마련 필요 * ‘13년 전세계 디스플레이 설비 투자금액의 50%이상이 중국에서 집행(8세대LCD 기준) - 일본은 연구소 중심으로 연구개발은 활발하며 2015년 설립된 JOLED에서 태블릿용 AMOLED 양산을 준비 중 - 대만은 중국의 자급률 확대 정책에 따라 일본 업체들과 기술 제휴 강화를 통해 수익성 확보 노력 중 산업현황 Transparent Curved Dash Board Smart Window Free-form Public Display Door Display | 그림 1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발전 | 디스플레이 시장의 정체 극복 및 경쟁국 간의 기술·시장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 기존의 단순한 디스플레이에서 벗어나 성능이 대폭 향상되고 기능이 다양화된 디스플레이로 발전 - LCD 위주의 디스플레이가 성숙기로 진입함에 따라 AM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무안경 3D와 같은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발전 - 기존의 노트북, 모니터 및 TV 등과 같은 전통적인 디스플레이 응용 범위에 부가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응용 범위 확대
  • 23. 2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디스플레이 기술을 응용하여 OLED 조명과 같은 유관산업으로 산업의 범위 확대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 TV,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서 향후 플렉서블, 웨어러블 및 투명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벗어난 새로운 시장 창출 | 그림 2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 경로 | 기 구축된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이에 대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표준을 활용 개선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접목하여 표준선점에 유리한 고지 선점 필요 -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1위 수성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기술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국제표준 활동 등을 강화하여 기반 마련 필요 2. 디스플레이 산업 국제표준 현황 IEC 국제 표준화 현황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 기술위원회)는 전기, 전자, 통신, 원자력 등의 분야에서 각국의 규격·표준의 조정을 행하는 국제기관으로 1906년에 설립되어 1947년 이후는 ISO의 전기ㆍ전자 부문을 담당 'New Paradigm' 시대'ManufacturerCentric'시대 'Consumer Centric' 시대
  • 24. 2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IEC의 회원가입 현황은 2012년 10월 현재 정회원국(Full Member) 60개국, 준회원국(Associate Member) 22개국 등 82개국이 가입하여 활동 - IEC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s)는 97개이며, 분과위원회(Subcommittees)는 77개로 총 174개의 위원회가 존재 - 한국은 1963년 상공부 표준국이 우리나라를 대표하여 ISO에 Member body로 최초 가입하였고, 1973년 상공부 표준국이 독립하여 공업진흥청으로 변경되었으며, 1996년 이후로는 현재의 국가기술표준원(KAT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이 정회원으로 활동 - IEC/TC 110 (Electronic display devices) 기술위원회 - IEC/TC 47C (Flat panel display devices)에서 출발한 분과위원회는 1993년에 IEC/TC 110 기술위원회로 독립하여, 2012년에 Electronic display device으로 명칭 변경 - IEC/TC 110 기술위원회의 간사국은 일본이고, 현재 의장은 중국의 Baoping Wang이며, 간사는 일본의 Yoshi Shibahara이며, 일본의 Kei Hyodo와 Shin-ichi Uehara가 보조 간사를 역임하고 있음 - IEC/TC 110 기술위원회의 P-Member은 9개국이고, O-Member은 18개국임 - IEC/TC 110은 현재 7개의 작업반(Working groupo), 1개의 Project team, 1개의 Maintenance team과 1개의 Advisory Group이 있음 | 그림 3 IEC 조직 현황 | 이사회 (Committee of Action) 섹터보드 (Sector Boards) 총회(IEC COUNCIL) 모든 회원국 총회상임위원회 (Council Board) 집행위원회 (Executive Committee) 적합성평가위원회 (ConformityAssessmentBoard) 인증업무관리 IECO : 전자부품시험결과의 상호 인정 IECEE : 전자제품인증의 상호인정(C8 SCHENE) IECEX : 위험한경쟁비방욕구조종 기술자문위원회 (TechnicalAdvisoryCommittees) ACOS : 안전 ACEC : 전자기적합성 ACEX : 환경 기술자문위원회 (TechnicalCommittees) 행정자문위원회 (Management Advisory Committees) 중앙사무국 (CentralOffice)
  • 25. 2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IEC/TC 110 기술위원회에서 7개의 작업반에서 한국이 4개의 의장을, 일본이 3개의 의장을, 중국이 1개의 의장을 맡고 있음 - IEC/TC 110은 일본이 주도하던 기술위원회였으나, 한국이 수년째 세계 1위를 점유하고 있는 TFT-LCD 산업의 결과로 현재는 한국의 표준을 주도 * IEC/TC 110에 제정된 표준은 123개(브라운관 분야 포함)이고, 현재 33개의 표준 진행 중 IEC/TC 110/WG 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작업반 - IEC/TC 110/WG 2의 경우 많은 표준의 작성이 완료되었으며, 투명 LCD 측정방법, 밝은 환경하에서 대조비 측정방법, UHD 디스플레이의 특성 측정방법 등에 대한 것이 연구상태에 있음 * 작업반의 의장은 일본의 Hidefumi Yoshida이며, 제정된 표준 22건, 진행 중인 표준 2건 | 표 1 IEC TC 110 기술위원회 현황 | WG/PT/MT 명칭 의장/PL 담당 표준 현황 TC110/WG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Mr Hidefumi Yoshida (일본) LCD 관련 표준 TC110/WG5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OLED) 이정노(한국) OLED 관련 표준 TC110/WG6 3D Display Devices (3DDD) 김남(한국) 3DD 관련 표준 TC110/WG7 Electronic Paper displays (EPD) Mr Tatsumi Takahashi(일본) EPD 관련 표준 TC110/WG8 Flexible display devices (FDD) 홍용택 (한국) FDD 관련 표준 TC110/WG9 Touch and interactive displays 이태윤 (한국) Touch와 interactive displays 관련 표준 TC110/WG10 Laser display devices Mr Weidong Liu (중국) Laser display 관련 표준 Project Teams Electronic display devices – Evalu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 Mura Mr Steve Hasegawa (일본) 모든 디스플레이에서 Mura 관련 표준 Maintenance Teams Display lighting unit Mr Junichi Kinoshita (일본) BLU 관련 표준 Advisory Groups Advisory Group on Strategy (AGS) Mr Yoshi Shibahara (일본) TC 110 로드맵, 작업반 구조, 시장에 필요한 표준안 제정관련 논의 IEC/TC110/WG4 (Plasma Display Panel) 작업반 * 작업반의 의장은 일본의 Masataka Uchidoi 이며, 제정된 표준은 11건임 - IEC/TC110/WG4 작업반 활동은 2014년에 종료됨
  • 26. 2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표 2 IEC TC110/WG2 작업반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1747-1-1: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1-1: Generic – Generic specification 2014-08-12 1.0 IEC 61747-1-2: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1-2: Generic –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4-08-12 1.0 IEC 61747-2: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Sectional specification 2015-04-09 2.0 IEC 61747-2-1:2013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art 2-1: Passive matrix monochrome LCD modules – Blank detail specification 2013-03-18 2.0 IEC 61747-2-2: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2: Matrix colour LCD modules – Blank detail specification 2014-11-07 2.0 IEC 61747-3: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3: Liquid crystal display (LCD) cells - Sectional specification 2015-04-09 3.0 IEC 61747-3-1: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art 3-1: Liquid crystal display (LCD) cells – Blank detail specification 2015-04-09 3.0 IEC 61747-4:201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and cells - Essential ratings and characteristics 2012-09-26 2.0 IEC 61747-4-1: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art 4-1: Matrix colour LCD modules – Essential ratings and characteristics 2014-10-15 2.0 IEC 61747-5:1998 Liquid crystal and solid-state display devices – Part 5: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1998-06-05 1.0 IEC 61747-5-2:20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5-2: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 Visual inspection of active matrix colou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2011-06-16 1.0 IEC 61747-5-3:200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5-3: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 Glass strength and reliability 2009-04-20 1.0 IEC 61747-6-2:20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6-2: Measuring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Reflective type 2011-06-10 1.0 IEC 61747-6-3:20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6-3: Measuring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Motion artifact measurement of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2011-07-13 1.0 IEC 61747-10-1:2013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10-1: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 Mechanical 2013-07-10 1.0 IEC 61747-10-2:201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10-2: Environmental, endurance and mechanical test methods - Environmental and endurance 2014-09-03 1.0
  • 27. 2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EC 61747-20-1: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0-1: Visual inspection - Monochrom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excluding all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2015-02-17 1.0 IEC 61747-20-2: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0-2: Visual inspection - Monochrom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excluding all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2015-03-25 1.0 IEC 61747-30-1:2012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30-1 : Measuring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Transmissivetype 2012-06-25 1.0 IEC 61747-40-1:2013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0-1: Mechanical testing of display cover glass for mobile devices - Guidelines 2013-06-18 1.0 IEC 61747-40-2: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0-2: Mechanical testing of display cover glass for mobile devices – Uni-axial flexural strength (4-point bend) 2015-01-20 1.0 IEC 61747-40-3: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0-3: Mechanical testing of display cover glass for mobile devices – Biaxial flexural energy to failure (ball drop) 2015-01-20 1.0 IEC 61747-40-4:2015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40-4: Mechanical testing of display cover glass for mobile devices - Biaxial flexural strength (ring- on-ring) 2015-01-20 1.0 | 표 3 IEC TC110/WG2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1747-20-3 Ed. 1.0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20-3: Visual inspection - Active matrix colou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김일호 (한국) CDV IEC 61747-30-4 Ed. 1.0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Part 30-4: Measuring methods of LCD modules with dynamic backlight units T. Mou (중국) CDV | 표 4 IEC TC110/WG4 작업반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1988-1:2011 Plasma display panels - Part 1: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1-07-26 2.0 IEC 61988-2-1:2012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1: Measuring methods - Optical and optoelectrical 2012-01-24 2.0 IEC 61988-2-3:2009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3: Measuring methods – Image quality: defects and degradation 2009-07-23 1.0
  • 28. 2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IEC 61988-2-4:2011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4: Measuring methods - Visual quality: Image artifacts 2011-08-25 1.0 IEC 61988-2-5:2012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5: Measuring methods - Acoustic noise 2012-05-15 1.0 IEC 61988-2-6:2015 Plasma display panels - Part 2-6: Measuring methods - APL dependent gamma and colour characteristics 2015-03-25 1.0 IEC 61988-3-1:2005 Plasma display panels –Part 3-1: Mechanical interface 2005-10-24 1.0 IEC 61988-3-2:2009 Plasma display panels - Part 3-2: Interface - Electrical interface 2009-08-06 1.0 IEC 61988-4-1:2015 Plasma display panels - Part 4-1: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 Climatic and mechanical 2015-03-25 1.0 IEC 61988-4-2:2012 Plasma display panels - Part 4-2: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 Panel strength 2012-04-27 1.0 IEC 61988-5:2009 Plasma display panels - Part 5: Generic specification 2009-11-25 1.0 IEC/TC110/WG5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작업반 - IEC/TC110/WG5 작업반의 의장은 한국의 이정노 박사이며, 제정된 표준은 8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4건임 - IEC/TC110/WG5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3건에 대하여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표 5 IEC TC 110/WG 5 작업반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341-1-1:200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1-1: Generic specifications 2009-04-07 1.0 IEC 62341-1-1:201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1-2: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4-04-24 1.0 IEC 62341-1-1:201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5: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2009-11-20 1.0 IEC 62341-1-1:2012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5-2: Mechanical endurance testing methods 2013-07-09 1.0 IEC 62341-1-1:201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5-3: Measuring methods of image sticking and lifetime 2013-08-26 1.0 IEC 62341-1-1:2014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1: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and electro-optical parameters 2009-05-13 1.0 IEC 62341-1-1:2015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2: Measuring methods of visual quality and ambient performance 2012-01-24 1.0
  • 29. 29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EC 62341-1-1:2016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3: Measuring methods of image quality 2012-08-09 1.0 | 표 6 IEC TC 110/WG 5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341-6-1 Ed. 2.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1: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and electro-optical parameters J. Penczek (미국) CD IEC 62341-6-2 Ed. 2.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2: Measuring methods of visual quality and ambient performance 정종호/ J. Penczek (한국/미국) CDV IEC 62341-6-3 Ed. 2.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3: Measuring methods of image quality 이돈규 (한국) CD IEC 62341-6-4 Ed. 1.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s - Part 6-4: Measuring methods of transparent properties 이돈규 (한국) CD IEC/TC 110/WG 6 (3D display devices) 작업반 - IEC/TC 110/WG 6 작업반의 의장은 한국의 김남 교수이며, 제정된 표준은 3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4건임 - IEC/TC 110/WG 6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3건에 대하여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표 7 IEC TC 110/WG6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629-1-2:2013 3D display devices – Part 1-2: Generic –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3-06-27 1.0 IEC 62629-12-1:2014 3D display devices - Part 12-1: Measuring methods for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 Optical 2014-01-09 1.0 IEC 62629-22-1:2013 3D display devices – Part 22-1: Measuring methods for autostereoscopic displays -Optical 2013-02-06 1.0
  • 30. 3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표 8 IEC TC 110/WG 6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629-13-1 Ed. 1.0 3D display devices - Part 13-1: Visual inspection methods for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홍영기 (한국) CD IEC 62629-22-1 Ed. 2.0 3D display devices - Part 22-1: Measuring methods for autostereoscopic displays - Optical 이종서 (한국) CD PWI 110-13 Ed. 1.0 3D motion blur 최희진 (한국) PWI PWI 110-3 Ed. 1.0 Gray-to-gray crosstalk measurements X. H. Li (중국) PWI IEC/TC 110/WG 7 (Electronic paper displays) 작업반 - IEC/TC 110/WG 7 작업반의 의장은 일본의 Tatsumi Takahashi이며, 제정된 표준은 3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과 보고서는 각각 2건, 1건임 - IEC/TC 110/WG 6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2건에 대하여 미국과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음 | 표 9 IEC TC 110/WG7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679-1-1:2014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1-1: Terminology 2014-05-13 1.0 IEC 62679-3-1:2014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3-1: Optical measuring methods 2014-04-24 1.0 IEC 62679-3-2:2013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3-2: Measuring method - Electro- optical 2013-09-09 1.0 | 표 10 IEC TC 110/WG 7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679-3-3 Ed. 1.0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3-3: Optical measuring methods with integrated lighting unit J. Penczek (미국) CD IEC 62679-4-2 Ed. 1.0 Electronic paper displays - Part 4-2: Environmental test method 안성덕 (한국) CDV IEC/TR 62679-5-1 Ed. 1.0 Electronic paper displays -Part 5-1: Legibility of EPD in spatial frequency T. Takahashi (일본) CD
  • 31. 31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EC/TC 110/WG 8 (Flexible display devices) 작업반 - IEC/TC 110/WG 8 작업반의 의장은 한국의 홍용택 교수이며, 제정된 표준은 2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5건임 - IEC/TC 110/WG 8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3건에 대하여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표 11 IEC TC 110/WG8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715-1-1:2013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1-1: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3-12-10 1.0 IEC 62715-6-1:2014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6-1: Mechanical stress test methods 2014-02-12 1.0 | 표 12 IEC TC 110/WG 8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715-5-1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1: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performance J. Penczek, /정종호 (미국/한국) CD IEC 62715-5-3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3: Visual assessment Y. Shibahara (일본) NP IEC 62715-6-2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6-2: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J. Xie (중국) NP IEC/TS 62715-5-2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2: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characteristics for curved displays 강경진 (한국) CD PWI 110-2 Ed. 1.0 Measuring methods of waviness and distortion 정종호 (한국) PWI IEC/TC 110/WG 9 (Touch and interactive displays) 작업반 - IEC/TC 110/WG 9 작업반의 의장은 한국의 이태윤 교수이며,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5건임 - IEC/TC 110/WG 9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3건에 대하여 한국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32. 3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표 13 IEC TC 110/WG 9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908-1-2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1: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performance 이태윤 (한국) CD IEC 62908-12-10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3: Visual assessment 최동욱/ M. Miyamoto (한국/일본) CD IEC 62908-13-10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6-2: Environmental testing methods T. Nishida (일본) NP PWI 110-8 Ed. 1.0 Flexible display devices - Part 5-2: Measuring methods of optical characteristics for curved displays 이종서 (한국) PWI PWI 110-9 Ed. 1.0 Measuring methods of waviness and distortion Z.G. Zhang (중국) PWI IEC/TC 110/WG 10 (Laser display devices) 작업반 - IEC/TC 110/WG 10 작업반의 의장은 중국의 Weidong Liu이며,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2건임 - IEC/TC 110/WG 10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2건에 대하여 일본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일본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IEC/TC 110/WG 10의 경우 Laser Front Projector의 광학적 특성 측정방법, color speckle의 광학적 특성 측정방법, Visual quality 측정 방법 등에 대한 것이 연구상태에 있음 | 표 14 IEC TC 110/WG 10 작업반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906-1-2 Ed. 1.0 Laser display devices - Part 1-2: Vocabulary and letter symbols M. Kurashige (일본) FDIS IEC 62906-5-2 Ed. 1.0 Laser display devices - Part 5-2: Optical measuring methods of speckle contrast H. Murata (일본) CDV IEC/TC 110/MT 64595 (LCD backlight unit) - IEC/TC 110/MT 64595의 의장은 일본의 Junichi Kinoshita이며, 제정된 표준은 3건, 현재 진행 중인 표준은 5건임 - IEC/TC 110/WG 10의 경우 진행 중인 표준 중에 4건에 대하여 일본과 중국이 각각 2명이 PL(Project Leader)을 맡고 있어 일본과 중국이 표준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임
  • 33. 3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 표 15 IEC TC 110/MT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제정날짜 판수 IEC 62595-1-1:2013 LCD backlight unit - Part 1-1: Generic specification 2013-04-09 1.0 IEC 62595-1-2:2011 LCD backlight unit - Part 1-2: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2011-12-14 1.0 IEC 62595-2:2012 LCD backlight unit - Part 2: Electro-optical measurement methods of LED backlight unit 2012-09-27 1.0 | 표 16 IEC TC 110/MT 62595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 62595-1-2 Ed. 2.0 Display lighting unit - Part 1-2: Terminology and letter symbols J. Kinoshita (일본) CD IEC 62595-2 Ed. 2.0 Display lighting unit - Part 2: Electro-optical measuring methods of LED backlight unit J. Kinoshita / 조미령 (일본/한국) NP PWI 110-10 Ed. 1.0 Measuring methods of LED light bars for BLU T.S. Mou (중국) NP PWI 110-11 Ed. 1.0 Electrical interface of LED BLU W.D. Liu (중국) CD PWI 110-12 Ed. 1.0 Electro-optical measuring methods of frontlight unit K. Kalantar (일본) PWI IEC/TC 110/HHG2 - IEC/TC 110/HHG2의 의장은 네덜란드의 A.V. Henzen이며, 디스플레이의 색차이에 대한 표준을 하나의 표준으로 통합하고 있음 | 표 17 IEC TC 110/HHG2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PWI 110-5 Ed. 1.0 Colour difference – based evaluation on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V. Henzen (네덜란드) PWI IEC/TC 110/PT 62977 - IEC/TC 110/PT 62977의 의장은 일본의 S. Hasegawa이며, 디스플레이의 mura에 대한 표준을 하나의 표준으로 통합하고 있음
  • 34.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3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표 18 IEC TC 110/PT 62977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ProjectLeader 상태 IEC/TR 62977-3-2 Ed. 1.0 Electronic display devices – Part 3-2: Evalu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 Mura S. Hasegawa (일본) CD IEC/TC 110 표준의 특징 - IEC의 화질 표준은 국가간 합의 도달에 의하여 표준화가 진행되며, 표준의 제정 과정에서 각 국가의 National Committee 멤버가 주로 기술 개발 및 생산에 관여되는 제조사의 전문가나 관련 기술 분야를 연구하는 교수들로 구성되어 있음 - 화질 표준 각 항목의 한계치를 규정하지 않고 평가 방법만을 규정함 - 개발된 표준은 주로 패널 제조사와 완제품 제조사 사이의 기술적 커뮤니게이션에 활용됨 - 표준 개발의 목적 자체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인간의 눈에 어떻게 보일 것인가에 대한 규정보다는 디바이스 자체가 어떠한 물리량을 가질 것인가를 평가하는 표준임 ISO 국제 표준화 현황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국제표준은 스위스 민법에 의한 민간기관으로 국제적인 표준 개발을 위해 1947년 설립 ISO의 표준은 ISO/TC 159(Ergonomics)내 ISO/TC 159/SC 04(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내에서 각 Working Group에 의해 표준의 개발 및 제정 - Working Group 2(Visual display requirements)에서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인간공학적 요구사항 및 그 평가 방법에 대한 표준 다룸 - Working Group 9(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에서는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에 대한 표준 다룸 - Working Group 12(Image safety)에서는 3D디스플레이의 인간 공학적 평가 방법과 Safety 관련 규정에 대한 표준 다룸 | 표 19 ISO/TC 159/SC 4 디스플레이 관련 표준 제정 현황 | 표준번호 명칭 ISO 9241-300: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0: Introduction to electronic visual display requirements ISO 9241-302: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2: Terminology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 9241-303:2011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3: Requirement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 35. 3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ISO 9241-304: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4: User performance test method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 9241-305: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5: Optical laboratory test method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 9241-307: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7: Analysis and compliance test method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TR 9241-308: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8: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s (SED) ISO/TR 9241-309:2008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9: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s ISO/TR 9241-310:2010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10: Visibility, aesthetics and ergonomics of pixel defects ISO/TR 9241-331:2012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31: Optical characteristics of autostereoscopic displays ISO 9241-910:2011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910: Framework for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 ISO 9241-920:2009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920: Guidance on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s | 표 20 ISO/TC 159/SC 4 디스플레이 관련 표준 진행 현황 | 표준번호 명칭 ISO/CD 9241-306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06: Field assessment methods for electronic visual displays ISO/AWI 9241-333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33: Stereoscopic displays using glasses ISO/DIS 9241-391.2 Ergonomics of Human System Interaction - Part 391: Requirements, analysis and compliance test methods for the reduction of photosensitive seizures ISO 9241-392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392: Ergonomic recommendations for the reduction of visual fatigue from stereoscopic images ISO/DIS 9241-940 Ergonomic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 Part 940: Evaluation of tactile and haptic interactions ISO/CD 9241-960 Ergonomics of human-system interaction - Part 960: Framework and guidance for gesture interactions ISO/TC 159/SC 04/WG 2 표준의 특징 - ISO의 화질 표준은 각 화질 평가 항목의 평가방법과 수학적 정의 뿐 아니라, 해당 평가 방법의 Pass/Fail 기준치를 표준에 제시함 - ISO 화질 표준은 평가 방법(ISO 9241-305)과 Pass/Fail 기준치(ISO 9241-307)를 규정하는 두 개의 표준 모두가
  • 36. 3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인간공학에 그 근거를 두고 개발됨 - 다른 화질 표준의 각 평가 방법에서 도출되는 값이 해당 평가 항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물리적 성능을 제시하는 반면, 이 표준은 도출 되는 값이나 결과가 인간의 시각계 (Human Visual System) 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치가 됨 - 해당 평가 항목의 수학적 정의에 있어서도 타 표준이 물리적인 특성치 값 간의 관계 모델인 반면, ISO 화질 표준은 일부 평가 항목에서 인지 실험의 결과로 만들어진 실험적 모델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음 - 개발된 표준은 주요 표준 인증 회사에서 표준을 인증하고 인증 라벨을 제품에 부여하는 기능으로 활용됨 - ISO 표준화의 활동 국가 현황을 보면 우선 표준화 전반에 걸쳐 네덜란드, 독일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2007년 이후 일본이 적극적인 활동을 진행하여 현재는 주요 표준의 리더 역할을 유럽 국가들과 분담하고 있음 - 한국의 경우 National Committee 멤버들이 정해져 있으나 아직 Project Leader를 수임할 만큼 적극적인 활동을 진행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임 - 제조사 중심의 표준이 작성되고 있는 IEC에서는 제조사 국가들 중심으로 표준이 개발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제품의 소비 시장만이 형성되어 있는 유럽에서는 제품 중심이 아닌 인간 중심의 규격에 집중하고 있음 ICDM 및 기타 국제 표준화 현황 ICDM(Information Committee for Display Metrology)은 화질 표준 전문가들의 자발적인 움직임으로 만들어진 표준화 조직임 2012년 6월에 IDMS(Information Display Measurements Standard)라는 첫 번째 표준집을 발간하였으며, 이 IDMS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시작과 함께 가장 많이 활용되어온 VESA의 FPDM 표준을 그 근간으로 개발되었음 ICDM은 2007년 VESA FPDM 표준을 만들었던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SID(Society of Information Display)내 Committee로 재출발 하여, IDMS은 현재 존재하는 거의 대부분의 평가 방법들이 약 560여 페이지의 분량으로 총 18개 Chapter에 걸쳐 망라되어 있음 이 표준의 상당 부분은 IEC나 ISO는 물론이고 다양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들에서도 그 방법을 참조하고 있는 백과사전식 표준임 총 12개의 분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도 일부 전문가들이 전문 분야에서 문서 작성, 의견제시 등의 적극적 활동을 통하여 표준화에 기여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표준화 중 SEMI FPD라는 표준이 있는데, 이것은 미국, 유럽에서 반도체 표준화를 위하여 시작하였으나 현재 한국, 일본, 대만의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화질 표준화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 SEMI FPD 표준의 경우 국가간의 합의나 전문가 개인의 합의가 아닌 표준 개발자의 소속 회사의 의결권으로 표준화가 진행되는 표준임
  • 37. 3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2 디스플레이 산업의 표준화 전략 3. 시사점 및 대응전략 국제 표준화 대응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는 세계최고의 양산기술을 바탕으로 국제표준에서도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신기술 관련 국제표준 제정에 신속히 대응 3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터치 및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에 대한 각국의 기술개발이 치열해짐에 따라 핵심기술의 표준우위를 통한 신기술시장 선점 원천기술 경쟁력 확보 세계 1위의 디스플레이 패널 양산 기술을 통하여 지속적인 세계 1위의 기술력을 유지하기 위한 소재, 부품관련 원천 기술 확보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초슬림, 저전력, 고화질 경향에 맞는 소재·공정 기술 및 인간 공학적 기술 개선을 통한 시점 선점 차세대 디스플레이 표준 선점 기 구축된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이에 대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표준을 활용 개선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접목하여 표준 선점에 유리한 고지 선점 기 구축된 산학연 표준전문가 그룹의 국제표준화 활동 수행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지속적인 국책과제 지원시스템 필요 원천기술 R&D 수행 시 표준전문가 연계 활동을 통해 개발 후 국가표준 제정 및 국제표준 등록으로 추진되는 표준화 시스템 구축 (참고문헌) 1. “디스플레이 화질 표준화 동향”, 이돈규, 2013, Display Focus 2.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동향 및 전망”, 문대규, 2103, Insideoptics
  • 39. SUMMARY 목적 세계 LED 광원 기업 Top10에 국내 기업 4개사가 진입하여 있으나 국내 LED 산업 시장 위축 및 LED 광원의 공급 과잉에 따른 재고 누적, 가격 하락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어 향후 시장현황에 대한 정확한 전망이 필요함 주요현황 세계 LED 광원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국내 LED 산업 시장 위축 및 LED 광원의 공급 과잉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후발국의 추월이 가시화 되었음 LED 산업은 후방산업인 에피/칩과 전방산업인 조명/융합제품으로 구분되며 후방산업은 기술난이도와 초기투자비용이 높고 고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자본이 많지 않은 중소기업은 진입장벽이 높음 소량다품종이 요구되는 LED 융합시장은 중소기업이 진입하기에 적합하나 여러 파장대의 에피를 공급하는 곳이 없어 시장진출에 어려움이 있음 LED시장은 청색 LED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LED를 필요로 하는데도 불구하고, 대기업은 청색 LED 생산에 집중하고 중소기업은 에피사업의 어려움으로 시장대응이 어려운 현실임 시사점 국내 LED산업은 최근까지 BLU 및 조명시장에 치중하여 청색 LED 기반의 소재, 장비, 부품 등의 생태계는 잘 이루어져서 일부 생산량 조절을 위한 수입품을 제외하면 자립화가 잘되었으나, UV LED, IR LED 등의 다양한 파장의 LED는 생태계가 거의 이루어져있지 않음 이에 따라, 현재 LED 광원 시장의 정체를 타파하고 새로운 분야 확대를 통한 신 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청색 LED 이외의 다양한 파장의 LED 지원책이 필요함 l저자l 전기영 PD / KEIT LED/광 PD실 김유곤 선임 / KEIT LED/광 PD실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 40. 4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1. 시장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 세계 LED 광원 시장은 견실한 성장세를 보임 • 세계 LED 광원 기업 Top10에 국내 기업 4개사 포함 (세계 시장) 세계 LED 광원 시장은 ‘14년 약 230억불에서 ’20년 약 480억불로 연 13.6% 성장 전망 | 세계 LED 광원 시장 | 60,000 50,000 40,000 30,000 (단위:백만불)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8 2020 13,150 15,220 17,568 20,104 23,218 26,230 36,233 47,982 * 출처 : 한국광산업진흥회(Strategies Unlimited, Yole Developpement, LED산업통계 자문위원 자문), 2014. 8 국가별 시장 점유율(매출액 기준) ‘13년 매출액 기준 세계 순위는 일본이 전체의 26.4%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한국이 25.8%로 바짝 쫓고 있음
  • 41. 41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8.43% 26.44% Revenue by Geography, 2013 Japan Korea USA Europe Taiwan / SE Asia China 16.23% 25.79% 9.70% 13.42% * 출처 : Strategies Unlimited 2014 The Worldwide Market for LEDs | [참고] LED 산업(전체) 세계시장 |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단위:백만불) ‘10년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8년 광원 조명 응용 융합 ‘20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8 2020 광원 13,150 15,220 17,568 20,104 23,218 26,230 36,233 47,982 조명 5,861 7,299 9,378 11,322 13,459 15,193 24,905 36,907 응용 7,234 7,127 7,068 6,734 6,556 6,418 6,306 6,202 융합 1,293 1,718 2,024 2,474 3,119 3,907 8,098 13,002 * 출처 : - Strategies Unlimited 2013 - LED Luminaires Market Analysis and Forecast 2013, - Strategies Unlimited 2014 Worldwide LED Market (Application Analysis and forecast 2013 - ElectroniCast, LEDs used in Medical and Biophotonics Devices 2012 등
  • 42. 4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산업환경과 트렌드의 변화 우리나라는 LED 광원 강국으로 세계 LED 광원 기업 Top10에 국내 기업 4개사 포함 그러나, 세계 11~25위 기업에 대만 7개사, 중국 6개사로 후발국가가 무서운 속도로 추격하고 있음 | LED 광원 기업 세계 순위 | 순위 기업명 매출액(‘13년) 국가 1 Nichia $2,059 apan 2 Samsung $1,470 South Korea 3 Osram Opto $1,190 Germany 4 Philips Lumileds $ 920 USA 5 Cree $895 USA 6 Seoul Semi $833 South Korea 7 LG Innotek $794 South Korea 8 Lumens $574 South Korea 9 TG $539 Japan 10 Sharp $487 Japan 11 Everlight $448 Taiwan 12 Lextar $394 Taiwan 13 Lite-On $354 Taiwan 14 Kingbright $315 Taiwan 15 Citizen $245 Japan 16 Stanley $213 Japan 17 AOT (FoxConn) $231 Taiwan 18 Foshan NationStar Opto $180 China 19 Mulinsen $169 China 20 Unity Opto $165 Taiwan 21 Xiamen Hualian Electronics $164 China 22 Shenzhen Jufei Opto $142 China 23 Shenzhen Refond Opto $110 China 24 Guangzhou Hongli Opto $105 China 25 Harvatek $104 Taiwan
  • 43. 4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2) 국내 시장 ❖ 국내 LED 산업 시장 위축 및 LED 광원의 공급 과잉에 따른 재고 누적, 가격 하락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됨 • 그럼에도, 무역수지는 글로벌 조명기업 및 중국의 저가공세 등 어려움 속에서도 최근 5년간 무역흑자 유지 (국내 시장) ‘14년 LED 광원 산업의 국내시장은 ’20년까지 연 18.5% 성장 전망 '14년 국내 LED 광원 시장은 약 2.7조원으로 국내 LED 전체 시장의 46% 차지 | 국내 LED 광원 시장 | (단위:십억원) 5,000 4,000 3,000 2,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8 2020 2,032 1,401 2,142 2,481 2,666 2,873 3,652 4,337 국내 LED 산업(전체)의 시장은 ‘14년 약 5.7조원에서 ’20년 약 20조원 까지 연평균 18.5%의 성장 기대 - 특히, LED 조명은 연평균 41%의 가파른 성장세 예상
  • 44. 4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참고] LED 산업(전체) 국내시장 | (단위:십억원) 14,000 12,000 10,000 8,000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8 2020 광원 2,032 1,401 2,142 2,481 2,666 2,873 3,652 4,337 조명 438 590 723 813 1,244 1,882 6,188 13,285 응용/융합 1,242 1,407 1,626 1,724 1,836 1,955 2,359 2,674 * 출처 : 한국광산업진흥회 2013년 전수결과 및 관세청 수출입 통계 LED 분야를 이용하여 재산정, LED 산업 통계 자문위원 자문 (수출·수지) ‘08년 LED를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 계획 수립 이후 7년간, LED 광원의 무역은 수출 4.6배 증가 ‘14년 수출 증가(2,148백만불, ’08년 대비 462%), 무역흑자(1,018억불, ‘08년 적자에서 ‘10년 흑자전환, ’10년 대비 460%) 기록
  • 45. 4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 LED 광원 무역 동향 | (단위:백만불) 3,000 (단위:백만불) 3,000 2,000 1,000 -1,000 465 1,925 2,148 816 1,818 1,656 -351 107 492 0 ‘08 ‘10 ‘14 ‘08 ‘10 ‘14 ‘08 ‘10 ‘14 수 출 수 입 수 지 * 자료 : 한국광산업진흥회(관세청 수출입 통계 LED 분야만 산정), 2015. 4 (수익성 악화) LED 과잉 공급으로 심각한 재고 누적과 가격 하락 등으로 수익성 악화 ‘수년째 LED 시장 상황이 호전되지 않아 국내에선 최근 만들수록 손해나는 형국 * 최근 국내 LED 칩 제조업체 구조조정 현황 : 에피플러스, 갤럭시아포토닉스, 에피벨리, 세미머티어리얼스, 더리즈, 나이넥스 등 (후발국 추월) 중국, 대만 등 후발국의 추격으로 국내 대비 기술경쟁력 격차는 축소되고, 저가공세로 국내시장이 급속히 잠식됨 국내 대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신규 장비 투자를 하지 못해 원가경쟁력에서 중국과 대만에 비해 열세 한국은 중국에 LED 조명 내수시장 상당부분을 내주었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열세
  • 46. 4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2. 산업생태계 현황 1) 국내외 주요기업의 밸류체인 Wafer LED 패키지 조명/응용/융합LED Epi/Chip 필립스 삼성그룹 오스람 LG그룹 크리 서울반도체 루멘스 SSLM(스미토모 합작사) LG실트론 필립스루미레즈(필립스 지분 100%인수) 삼성전자(LED) 오스람옵토(지멘스 합작) LG이노텍 크리(에피칩) 크리(패키지) 서울반도체 루멘스 필립스 삼성전자(가전) 오스람 LG전자/CNS 크리라이팅크리(SiC) •서울바이오시스(에피칩) •SETI(미국) 지분인수(UN) 세미콘라이트(칩) •루비콘(미) •모노크리스탈(러) •교세라(일) •중국 신생기업 다수 신규 •니치아(일) •도시바(일) •도요타고세 •산안(중) •칭화동방(중) •에피스타(대) •스탠리(일) •시티즌(일) •샤프(일) •에버라이트(대) •포샨(중) •렉스타(대) •줌토벨(오) •네오네온(중) •바코(유)-스크린 •헬라(독)-자동차 •덴소(일)-항공 •아투아시그널(독)-선박 Color kinetics 외 다수(매입) 삼성코닝정밀유리(GaN기판 사업포기) Captive공급 & 외국수입 Captive공급 & 외국수입 수출, 국내기업 공급 삼성전자 공급 수출     Upstream 진출 Upstream 진출(그룹) Downstream 진출(그룹) Upstream 진출후 (스미토모에 지분양도) Upstream 진출 (내부사업부) Downstream 진출 Downstream 진출 Upstream 진출 Upstream 진출 Downstream 진출(협력사) Upstream 진출 일진그룹 일진반도체일진LED Upstream(패키징사업매각)Downstream 진출 Downstream 진출(매입) 해 외 기 업 국 내 기 업 일진디스플레이 루미리치 •사파이어테크놀로지 •아즈텍 •하이쏠라 •루미지앤테크 •한솔테크닉스 •루미스탈 •버티클(칩) •한빔(칩) •이츠웰(칩) •소프트에피(에피칩) •레이토피아(칩) •프라우텍(에피) •금호전기 •필룩스 •유양디앤유 •동부라이텍(동부) •알토 •남영전구 •루미마이크로(금호) •목산전자 •현대LED •동부LED(동부) •럭스피아
  • 47. 4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3 LED 광원 산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2) 국내 LED 광원 제작·수급 현황 ❖ 국내 LED 산업 생태계는 광원은 대기업에서 모듈ㆍ시스템은 중소ㆍ중견기업이 주로 생산 기판 에피 패키지 모듈ㆍ시스템 삼성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일진 LED LG이노텍 수입 (일본, 미국) 광전자(리모콘) 수입(고출력) 수입 (대만, 독일) 대양전기, 오디텍 파루, 유양디앤유, 루트로닉스 현대모비스 SL 루멘스 삼성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루멘스, 삼성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LG이노텍 서울반도체 수입 (일본, 미국) LG디스플레이 삼성전자 희성전자 필룩스 유양디앤유 금호전기 삼성전자 LG전자 LG이노텍 서울반도체 제이앤테크 청색 UV-A UV-B,C IR 적색 중저출력 (신호등, 전광판) 신호등,전광판 농생명,해양,의료 IR (자동차, CCTV) 중저출력(BLU) 중고출력 (자동차, 조명) UV(가전) UV (노광기, 의료) BLU 조명 UV(가전) UV (노광, 의료) 사파이어 테크놀로지 아즈텍 일진디스플레이 루미지앤테크 루비스탈 국산화 진행중(고출력) 사파이어 GaN, AIN
  • 48. 4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국내 LED 광원 수급 관련 주요 특징 에피 분야는 가장 높은 기술력과 자금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국내 Big3 기업(삼성, LG, 서울바이오시스(서울반도체)) 및 일진LED등 대기업 위주의 산업군을 형성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패키지, 조명, 응용, 융합 등 모듈과 시스템 위주의 사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일부 전문성 있는 중소기업 중에는 칩 비즈니스에 종사하는 경우도 있음 대부분의 에피기업은 칩 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으나 반대로 중소 칩 전문기업의 경우 투자비용의 부담으로 대부분 에피는 아웃소싱 - 삼성전자는 자체 칩을 제작하여 활용하고 일부 중국산 모색 중 - LG이노텍은 자사의 패키지를 LG디스플레이, LG전자 등의 계열사 공급 위주로 생산하고 부족한 부분은 중국을 통한 아웃소싱 검토 중 - 서울반도체는 자체 칩 제작 외에 중국 기업과 합작하여 수급 - 루멘스 자회사인 세미콘 라이트는 에피를 전량 아웃소싱으로 수급하고 있으며 최근 수급처를 미국, 중국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음 - 중소기업은 칩을 대만(에피스타, 렉스타 등)과 중국(산안, 화찬세미텍 등) 업체로부터 대부분 수급 LED 광원 시장은 청색 LED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LED를 필요로 함에도 대기업은 청색 LED 생산에 집중 - 특수 파장의 경우 소량 다품종 품목이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단기 진입이 용이하나 높은 기술 전문성이 필요하고 시장대응에 어려움 소량다품종이 요구되는 LED 융합시장은 중소기업이 진입하기에 적합하나 여러 파장대의 에피를 공급하는 곳이 없어 시장진출에 어려움이 있음 3. 시사점 국내 LED산업은 최근까지 BLU 및 조명시장에 치중하여 청색 LED 기반의 소재, 장비, 부품 등의 생태계는 잘 이루어져서 일부 생산량 조절을 위한 수입품을 제외하면 자립화가 잘되었으나, - UV LED, IR LED 등의 비가시광 특수파장의 LED는 생태계가 거의 이루어져있지 않음. LG이노텍이 최근 가전용 UV-A LED를 출시한 것이 거의 유일한 제품임 - UV B, UV-C 등의 단파장에서는 장비, 소재 등의 산업군이 전무하여 이에 대한 생태계 지원이 절실함 - 적색 LED, 녹색 LED 등의 비인기 파장 (시장규모 측면에서)의 LED도 국내 기업이 소홀히 한 제품인데 최근 융합산업의 태동으로 특수파장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대한 지원책이 시급함
  • 49. SUMMARY 목적 국내 제조업의 위기상황에서 서비스디자인을 혁신의 도구로 활용함에 따라 제조기업의 혁신을 도모하고, 국내 제조업, 디자인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 통합적 경험 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는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잠재고객의 니즈를 도출하고, 국내 중소제조기업과 다양한 산업을 연계, 융합한 서비스 모델 구축을 통해 제조업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주요현황 국내 제조업은 최근 산업적 위기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산업의 패러다임은 제조산업 중심의 시장체제에서 서비스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음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통합 서비스 경험을 소비자에게 소구하는 방법이 창조시장 경제 진입의 핵심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은 이미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소비자에 대한 경험 및 감성에 대한 연구를 제품과 서비스에 반영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음 시사점 및 정책제안 서비스디자인의 고도화를 위한 투자를 통해 국내 중소 제조기업들의 서비스영역으로 확대 진출할 수 있는 발판 필요 국내 중소 제조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서비스디자인 관점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제품-서비스 확대 필요 l저자l 허석 디자인 PD / KEIT 디자인 PD실 김광순 대표 / 디멘드컨설팅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 50. 5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1. 제조업 현황 국내 제조업은 한국 경제 성장에 있어 중요한 역할 국내 제조업은 노동집약적 수출산업에서 컴퓨터, 정보통신 등의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발전해왔으며, 제조업이 한국경제 성장을 주도해왔음 - 1960년대 노동 집약적 경공업부터 2000년대 반도체, 전자제품, 자동차 등 첨단 산업까지 제조업과 함께 한국 경제는 발전해왔으며, 현재 한국을 정보통신기술(ICT)강국으로 올라서게 한 주역도 제조업이었음1) | 그림 1 시대별 주요 수출품목 | - 한국 제조업의 국민총생산(GDP)대비 부가가치 비중은 ‘09년 28.3%에서 ’10년 30.6%로 큰 폭 상승하면서 현재 31%수준을 유지2) | 그림 2 국내 전체 부가가치 중 제조업 비중3) | * 자료: 한국은행 1) “대한민국, 무역규모 1조 달러 시대 진입-국민의 손으로 이룬 기적같은 성장의 자산을 국민모두와 공유해 나가는 새로운 출발점으로”, (2011,12,05), 지식경제부 보도자료 2) “장기 저성장 대응 시리즈(8):제조업 성장동력 문제 없나“, 곽영훈(2014), 하나금융정보-장기 저성장 대응시리즈 제 15호, 하나금융그룹 3) “제조업의 힘. 총 부가가치의 30% 생산”, 홍정규(2011,01,30), Available on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1/28/ 0200000000AKR20110128184400002.HTML 생사, 중석, 선어, 합판, 면직물 섬유, 합판, 가발 철광석, 전자제품 의류, 철광판 신발, 선박 음향기기 의류, 반도체 신발, 영상기기 선박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 석유제품, 선박 반도체, 선박, 자동차, 디스플레이, 석유제품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 이후 35 30 25 20 단위:% 2003 2004 25.7 27.0 27.5 28.3 28.8 28.9 28.3 30.6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 51. 51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GDP대비 30% 내외의 수준까지 상승하지만 정점을 기록한 후에는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는 것이 역사적인 경험임 성장정체기에 접어든 한국 제조업 최근 들어 국내 제조업은 성장률이 현저히 둔화되고 있으며, 특히 수출주도의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인해 전체 경제의 활력이 크게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제조업 성장률은 지난 2010년 14.7%에서 2012년 2.2%까지 떨어진 데 이어 2013년에는 3.3%로 소폭 상승하는데에 그침4) | 그림 3 한국의 제조업 및 서비스업 성장률 추이 | * 자료: 한국은행 - 한국은 2012년 기준 세계 제조업 수출 시장에서 4%를 점유한 후 정체되고 있으며, 세계 제조업 부가가치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5년 2.9%에서 2012년 2.8%로 오히려 하락5) 4) “2012년 국민 계정으로 본 우리나라 경제 현황 및 특징”, 연기수(2012), 한국은행 금융 강좌 발표자료 5) “제조업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 결정한다-美,日 경쟁력 강화 전략과 시사점”, 새로운 경제 시스템 창출을 위한 경제 주평, 현대경제연구원(2013,09,08), (Weekly Economic Review) 13-38[통권 555호] 16 10 6.2 2.4 3.5 4..4 8.1 7.2 2.9 1.2 3.9 2.6 2.2 -1.5 14.7 7.2 2.4 14 12 10 8 6 4 2 0 -2 -4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5.1 2.8 제 조 업 서비스업
  • 52. 5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2. 제| 그림 4 (좌)세계 제조업 수출액 대비 한ㆍ중ㆍ일 비중 (우)세계 제조업 부가가치액 대비 한ㆍ중ㆍ일 비중 | 2. 제조업 혁신의 필요성 제조업에 새로운 혁신 요구 21세기에 들어 제조업은 글로벌화와 도시화, 인구구조의 변화, 에너지 형태의 전환 등과 같은 제조업을 둘러싼 환경에 의해 새로운 혁신이 요구되는 추세 | 그림 5 Waves of Innovation6) | 6) Timothy Aeppel, Have we run out of things to invent?, The Wall Street Journal, June 20, 2014. Accessed Sep 4, 2014. http://www.theaustralian.com.au/business/wall-street-journal/have-we-run-out-of-things-to-invent/ story-fnay3ubk-1226960502436?nk=0890917c22a179c17d84303f1070cca8 35.0 28.0 21.0 14.0 7.0 0.0 00 2.6 19.3 28.9 29.5 (%) 18.8 17.0 9.9 2.9 2.4 2.8 9.9 10.5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미국 일본 한국 15.0 12.0 9.0 6.0 3.0 0.0 00 3.3 9.6 13.8 (%) 8.7 6.1 6.2 8.8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미국 일본 한국 4.03.9 RealGDPpercapitain2009dollars Jetengine 1930 AirPlane 1903 Aspirin 1899 VacuumLube 1907 Penicillin 1928 phonograph 1877 Electric powergrid Microwave 1945 Industrial robot 1961 CATscan 1972 MRI 1977 Internet 1989 Ipadtablet 2010 $100,000 50,000 10,000 Transistor 1947 Laser 1958 Email 1971 Iphone 2007 1870-2007 annualaverage 2.1% Gordon’s projection 0.9% ? 또 다른 획기적 신제품 기대? 제조업의 혁신을 기대? * 자료 : UN, National Accounts Main Aggregates Database 주:1. 명목달러 기준임 2. 212개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부가가치액 비중임 * 자료 : WTO 주: 제조업 부문 수출총액 대비 각국의 제조업 수출액 비중임
  • 53. 53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 미국 Northwestern 대학의 Robert J. Gorden 교수는 미국의 제조업뿐 아니라 세계의 제조업 및 산업은 앞으로 그 발전에 있어서 과거에 경험했던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하면서, 제조업의 혁신이 요구되어진다고 말하고 있음 글로벌 제조기업의 서비스기업화 첨단 제조업에서는 이미 서비스 영역의 비중이 50% 이상 차지 - 맥킨지에 따르면, 제조업 중 R&D, 고객관리, 마케팅, 관리, 물류 등 서비스 관련 일자리의 비중은 ‘02년 32%에서 ’10년 37%로 증가7) - 특히 컴퓨터, 반도체 및 전자제품, 정밀, 과학 등이 속한 글로벌 기술, 혁신 분야에서 서비스 영역의 비중이 55%에 이르고 있음 | 그림 6 제조업에서 서비스 활동의 비중 | * 자료: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McKinsey Global Institute Analysis - 이와 같이 첨단 제조업에서 서비스 매출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미래 제조업에서 서비스가 더욱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음 제조기업이 제품을 판매하는 구조에서 서비스를 판매하는 구조로 점차 변화 | 그림 7 가치이동-제조기업의 서비스기업화 | - 이는 제품과 서비스 사용주기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겠다는 고객 지향성과 다양한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IT기술의 발전과 지속가능성을 생각한 다양한 규제와 노력들로 인한 필연적이고 자연스러운 결과임을 알 수 있음 7) “Manufacturing the future: the next era of global practice, growth and innovation”, McKinsey Global Institute, McKinsey Opera, 2012,11 미국 제조업 직종 구성비(%) 글로벌 기술/ 혁신 분야 전체제조 유형 서비스 유형 서비스 유형 제조 유형 현지 시장 글로벌 혁신 분야 현지 가공 분야 에너지/자원 집약적 상품 분야 노동 집약적 교역분야 55 45 40 60 63 37 100 31 69 31 69 30 70 제조 중심 제품서비스 융합 서비스 중심 
  • 54. 5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제조업 서비스화로 차별화 가능 기업들은 제품과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판매 경쟁력을 높이고 수익을 증대시켜 옴8) - ICT를 만난 제조업의 영역이 무한히 확장하고 있어 제조업의 중요성은 한층 더 주목받고 있으며, 서비스와 제조업의 융합 등 경제의 서비스 化로 인해 새롭게 나타나는 분야가 확대되고 있음 | 표 1 산업별 주요 기업의 제품/서비스 결합 | 분야 기업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 전 자 Apple 제품(Ipod, Iphone)과 서비스(아이튠스, 앱스토어)를 통합한 서비스 생태계 구축 Xerox 복사기 제조기업에서 문서관리 시스템 기업으로 변화 Philips 의료서비스 사업을 위해 헬스와치 등 인수 자동차 GM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스타의 550만명 가입자 확보 중공업 캐터필러 GPS를 통한 원격관리 시스템으로 굴삭기 상태/ 이력 분석, 부품교체, 연비향상 등의 서비스 제공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는 제조업 혁신 사례 Apple I-tuens Store - 애플은 H/W뿐 아니라 서비스를 함께 설계하고 플랫폼(I-Tunes Store)을 구축하여, 소비자와 컨텐츠 제공자를 스토어에 연결하는 새로운 소비 생태계를 탄생시킴. 단순 제품의 판매를 넘어 소비자의 사용단계에 대한 서비스 확대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 대표적인 사례임 | 그림 8 제조업 혁신 사례, Apple9) | 8) “제조업의 미래와 ICT의 역할”, 오윤수, 박현수, 오기환, KT 경제경영연구소(2013), DIGIECO, Available on: www.digieco.co.kr/KTFront/ 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7992&board_id=issue_trend# 9) 제조업의 미래와 ICT의 역할”, 오윤수, 박현수, 오기환, KT 경제경영연구소(2013), DIGIECO, Available on: www.digieco.co.kr/KTFront/ 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7992&board_id=issue_trend# iPhone 가격의 66%는 서비스 분야 새로운 소비 생태계 구축 Apple R&D, 디자인, 마케팅 등 : $368(65.7%) LG,Samsung Farcom Display, Memory 등 부속품: $178(31.8%) 조립: $14(2.5%) AppStore iPhone Network Terminal Platform Contents 제조업과 서비스의 결합으로 새로운 소비 생태계 구축 애플이 제공하는 서비스 (아이튠스 스토어, 앱스토어, 아이북스토어)
  • 55. 55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Amazon Dash - 세계 최대의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은 식료품 시장의 선점을 위해, Dash(음성과 바코드 스캐닝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무선기기)를 개발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유통시스템의 혁신을 보여줬으며,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새로운 스마트라이프의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임 | 그림 9 제조업 혁신사례, Amazon Dash10) | Google Android Auto - 세계 최대의 인터넷 검색 서비스 기업인 구글은 스마트카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를 개발하여 운전자 차량의 기기를 활용해 구글과 구글나우 서비스가 지니고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행환경에 적합한 정보를 자동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함 | 그림 10 제조업 혁신사례, Amazon Dash11) | 10) Available on https://fresh.amazon.com/dash/ 11) “구글 I/O(1):구글은 자동차-TV-손목시계도 노린다”, 필명 광파리(2014,06,26), Available on http://kwang82.hankyung.com/2014/06/io-1-tv.html
  • 56. 5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3. 제조업 혁신과 서비스디자인 제품에 대한 고객의 경험욕구 변화 제품의 사용에 있어 다양한 서비스와 경험 요구12) - 사용자들은 제조업이 제공하고 있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경험에 있어 기존의 ‘One size fits all’이라는 방식의 획일적인 제품의 구매와 활용의 형태를 넘어서 자신만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제품과 서비스 사용의 독창성 추구를 원하고 있음 | 그림 11 제품에 대한 고객의 경험욕구 변화 | -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보면 사용자의 다양한 방식의 경험을 중시하는 패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제품이 사용자에게 단일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다양한 서비스의 경험이 가능한 플랫폼(Platform)성격의 제품을 공급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 것을 의미함 - 사용자 개개인이 원하는 방식으로 경험이 가능한 구조를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느냐가 제조업에서 제공하는 제품 혁신의 관건이 되고 있음 12) “제조업혁신, 서비스디자인이 주도할 시점이다”, 김광순(2014,10,28),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동향정보지 2014 가을호 통권 제 18호 제품의 유ㆍ무에 중점 "남들에게 뒤쳐지지 않게" "외톨이가 아니" "나도 남들과 같은 수준" •궁핍의 시대/보급의 시대 •Mass Production 다양한 서비스와 경험에 중점 "내가 원하는 경험" "제품의 활용 수준" "내게 필요한 서비스" •풍요의 시대 •Holistic Experience 제품에 대한 고객의 경험욕구의 변화 과거 Product Product Contents/ Service User User User User 현재&미래 동일한 경험 나만의 경험 Game Movie Music
  • 57. 57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SSUE 4 서비스디자인과 제조업 혁신 고객의 잠재욕구를 가시화하는 것이 제조업 혁신의 관건 사용자 개개인이 제품을 통해 기대하는 잠재적 욕구를 포착하고, 그것을 원하는 방식으로 경험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제조업 혁신의 관건이 되고 있다고 함13) | 그림 12 제조업 혁신의 3대 성공요소 | * Meta Product: 네트워크 역할을 하는 제품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주변의 환경속에서 서비스, 제품, 사람들과 연결되어 사용자 경험의 플랫폼(Platform)역할을 하는 제품을 말함. ‘Meta’라는 단어는 그리스어에서 ‘더 높은, 넘어서는’으로, Meta Products는 더 나은 제품이나 더 많은 요소들이 추가된 제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부가적인 제품 또는 제품과 서비스가 연계된 사용자 기반의 경험을 제공함 - 사용자의 통합적 경험(Holistic Experience)라는 것은 명백하게 드러나 있는 것이 아니며, 사람들의 경험세계에 대한 섬세한 접근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임 - 제조업 혁신의 3대 성공 요소의 저변에는 결국, 사용자의 잠재욕구 포착능력, 새로운 제품, 서비스에 대한 상상력과 이러한 것들을 가시화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것은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를 통해서 해석될 수 있음 서비스디자인의 정의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은 고객 접점마다의 사용자 경험을 통해 서비스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 -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이란, 고객이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이용하면서 접하게 되는 접점에서 경험하는 서비스 가치를 모든 이해관계자가 협력하여 디자인함으로써, 서비스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고객에게 더 매력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가리킴14) 13) “서비스디자인산업육성로드맵 개발”, 한국디자인진흥원(2014) 14) “서비스디자인을 성공시키는 핵심키워드”, 손동범 외 5인(2013), 한국디자인진흥원 SENSITIVITY 사용자 경험 세계 연구 전문성 IMAGINATION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상상력 - DESIGN THIKING - VISUALIZATION 안 가본 것에 대한 구체화/시각화 User Demand - New Service - 통합적 경험 - User Perspectives - - Eco-system - Business Model - Operational Model Service Platform - Networked Service - Meta Products - Holistic Experience Meta Products Business System
  • 58. 5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MAY 2015 VOL 15-5 KEIT PD Issue Report | 그림 13 서비스디자인의 정의 | 제조업 혁신에 있어 서비스디자인의 역할15) 제조산업과 서비스산업을 포함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사업모델을 설계하는 서비스디자인이 혁신활동을 활발히 주도하고 있음 - 가전제품에 있어서 사용자의 잠재된 경험 분석을 통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 스마트 자동차와 모바일을 연동시키는 새로운 서비스 개발 사업, 전자칠판의 서비스 발굴을 통한 신시장 개척 프로젝트 등 조금씩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제조혁신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좋은 출발점으로 보여지고 있지만, 아직 시작단계에 진입하고 있어 협업적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16) -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제조업 혁신은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비스를 바탕으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임 | 그림 14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제조업의 사업구조와 매출 변화 | * 제조업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제품/상품의 경쟁력을 확장하여, 제품에 서비스를 추가함으로써 기존 제품의 사용자 가치를 확장함과 동시에 기업의 사업범위를 확장한다는 것을 의미함 15) “서비스디자인산업육성로드맵 개발“, 한국디자인진흥원(2014) 16) “제조업혁신, 서비스디자인이 주도할 시점이다”, 김광순(2014,10,28),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동향정보지 2014 가을호 통권 제 18호 고객 접점마다 어떤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가치를 향상시킬 것인가? 고객 접점 현 매출구조 서비스(1%미만) 미래 매출구조 서비스(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