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연구 기관
스 마 트 미 디 어 산 업 진 흥 협 회
엠 앤 엠 네 트 웍 스
제 출 문
스마트미디어산업진흥협회 귀하
본 보고서를「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의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6년 10월
공동연구책임자 :김 인 성 사 무 국 장 (스마트미디어산업진흥협회)
김 성 원 이 사 (엠앤엠네트웍스)
참 여 연 구 원 :이 춘 성 팀 장 (스마트미디어산업진흥협회)
이 세 리 책임연구원 (엠앤엠네트웍스)
주 연 경 연 구 원 (엠앤엠네트웍스)
유 한 나 연 구 원 (엠앤엠네트웍스)
i
- 목 차 -
I. 연구 개요................................................................. 1
1. 연구 목적 및 의의........................................................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의의............................................................ 2
2. 서비스 모델 발굴 필요성.................................................. 4
2.1. 서비스 모델 개요..................................................... 4
2.2. 서비스 모델의 융합 추세.............................................. 5
2.3. 서비스 모델 유형..................................................... 7
2.4. 서비스 모델의 사업영역............................................... 8
3.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배경......................................... 9
3.1.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기획.......................................... 9
4. 스마트 사이니지 모델 사업화 성공요소.................................... 12
4.1. 서비스 모델 개발 추진 배경과 목적을 명확화.......................... 12
4.2.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 모델을 정확히 이해............................. 12
4.3. 사업화 성공을 위한 필요 자원 조달 방안은?........................... 14
4.4. 서비스 기획에 의한 정확한 실행...................................... 16
5. 연구 구성............................................................... 17
6. 연구 방법............................................................... 20
II. 연구 내용............................................................... 23
1. 과제 연구를 위한 개념 정의.............................................. 23
2.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동향............................................... 29
2.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흐름........................................... 29
2.2. 스마트 사이니지 주요 기술 동향...................................... 30
2.3. 하드웨어(Hardware).................................................. 31
2.3.1. 디스플레이(Display)............................................... 31
2.3.2. 플레이어(Player).................................................. 32
2.3.3. 센서(Sensor)...................................................... 32
2.4. 소프트웨어 (Software)............................................... 33
2.4.1. 클라우드(Cloud) 솔루션 ............................................ 33
2.4.2. 상황 인지 솔루션 .................................................. 33
2.4.3. 가상화 및 비정형 디스플레이 콘텐츠 표출 기술 ...................... 33
2.4.4.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 34
2.4.5. 데이터 분석 ....................................................... 34
2.4.6. 지능형 콘텐츠 편성 및 운영 ........................................ 34
2.4.7. VR(Virtual Reality) & AR(Argument Reality)........................ 34
2.4.8. 보안(Security).................................................... 35
2.5. 연결(Connectivity).................................................. 35
2.5.1. 비콘(Beacon)...................................................... 35
2.6. 콘텐츠(Contents).................................................... 36
2.6.1. 재난 재해, 구조 구급(Emergency)................................... 36
2.6.2. 공공 정보 (Public Information).................................... 36
2.6.3. O2O(Online to Offline)............................................ 36
ii
2.6.4. 전시(Exhibition) & 테마 파크(Theme Park).......................... 37
2.7. 디자인(Design)...................................................... 37
2.7.1. 컨셉 디자인(Concept Design)....................................... 37
2.7.2. 콘텐츠 디자인(Contents Design).................................... 37
2.7.3. 제품 디자인 & 기구 설계 ........................................... 37
2.8. 사업 영역(Business)................................................. 38
2.8.1. 서비스 디자인(Service Design)..................................... 38
2.8.2. 시장 조사 및 진출(Research & Lunching)............................ 38
2.8.3. 신규 서비스 & 제품, 솔루션 개발 지원 .............................. 39
3. IoT 기술 및 산업 동향................................................... 39
3.1. IoT 기술 동향....................................................... 39
3.1.1. IoT 주요 기술 ..................................................... 39
3.1.2. 센싱 기술 ......................................................... 39
3.1.3.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40
3.1.4.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 40
3.2. IoT 시장 현황....................................................... 41
3.3. 시장 규모........................................................... 41
3.4. IoT 서비스 분야..................................................... 43
4.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및 분석....................... 45
4.1.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45
4.2.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 면담 – FGI(Focus Group Interview) ..... 46
5. 국내외 사례 조사 및 분석................................................ 50
5.1. 사례 조사 목적 및 방법.............................................. 50
5.2. 국내외 IoT/스마트 사이니지 주요 서비스 현황 및 분석................. 52
6.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 56
6.1. 서비스 모델 개발 개요............................................... 56
6.2. 융합 서비스 모델 확장............................................... 57
6.3. 연속적 혁신을 통한 서비스 모델 개발................................. 60
6.4.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현장 조사................................... 61
6.5. 서비스 모델 선정 배경............................................... 68
7.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71
7.1. 공공(Smart Cities: 관광)............................................ 71
7.1.1. 서비스 개요 ....................................................... 71
7.1.2. 서비스 구조 및 시나리오 ........................................... 71
7.1.3. 서비스 기대 효과 .................................................. 72
7.2. 공공(Smart Cities: 재난, 재해)...................................... 72
7.2.1. 서비스 개요 ....................................................... 72
7.2.2. 서비스 구조 및 시나리오 ........................................... 73
7.2.3. 서비스 기대 효과 .................................................. 73
7.3. 헬스케어(Healthcare: 요양시설)...................................... 73
7.3.1. 서비스 개요 ....................................................... 73
7.3.2. 서비스 구조 및 시나리오 ........................................... 74
7.3.3. 서비스 기대 효과 .................................................. 74
8.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방안 도출........................................ 75
8.1. 기술과 시장 신규성에 따른 기술 사업화 조사 분석..................... 75
8.2.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사업화 분석.................................... 82
8.3.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사업화에 따른 성공률........................... 85
iii
8.4.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을 위한 사업화 검토...................... 87
9. 서비스 모델 별 기술 사업화 방안 도출.................................... 92
9.1. 기술 사업화에 따른 서비스 모델 분야 검토............................ 92
9.1.1. 공공 (Smart Cities)............................................... 92
9.1.2. 헬스케어(Healthcare).............................................. 94
9.2. 서비스 모델 별 기술 사업화 분석..................................... 97
9.3. 서비스 모델 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 적용을 통한 사업화 방안........ 100
9.3.1. 공공(Smart Cities)의 관광 ........................................ 101
9.3.2. 공공(Smart Cities)의 재난/재해 ................................... 102
9.3.3. 헬스케어(Healthcare)의 요양 시설 ................................. 103
III. 결 론................................................................. 105
- 별 첨 -
별첨 I.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_서비스 모델 시나리오
별첨 II.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_현장조사및아이디어발굴
별첨 III. IoT 기반 스마트사이니지 사례조사 및 FGI, 회의록
iv
- 그 림 목 차 -
[그림 1] IT 서비스 2.0 DOMAIN ...................................................5
[그림 2] 교통종합 서비스 ......................................................6
[그림 3] IT 서비스에 의한 가치사슬 상향곡선 ....................................7
[그림 4] 서울시 교통카드 융합 서비스 모델 ......................................7
[그림 5] 서비스 정체성 ........................................................9
[그림 6] 서비스 구축 단계별 분석 요소 .........................................10
[그림 7]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11
[그림 8] 과제 연구를 위한 프로세스 방법 .......................................20
[그림 9] 사업화 검토를 위한 도구 ..............................................22
[그림 10] IOT 개념도..........................................................23
[그림 11] 시스코의 IOE 개념 ...................................................24
[그림 12] IOT 정의 공통점과 차이점 ............................................25
[그림 13] 스마트 기능 정의....................................................25
[그림 14] IOE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요소 .........................26
[그림 15] IOT 플랫폼 연동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개념도..........................27
[그림 16] 스마트 사이니지 요소 기술 ...........................................30
[그림 17] 국내외 IOT 시장 전망 ................................................42
[그림 18] IOT 기반 센서.스마트기기 연결 구조 ..................................43
[그림 19] IOT/디지털 사이니지 사례 조사 계획 ..................................51
[그림 20] IOT/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사례 조사 프로세스 .........................51
[그림 21] 서비스/기회 요소 매트릭스(SERVICE/OPPORTUNITY MATRIX)...................57
[그림 22] 사업 모델 개발 방법 요소 ............................................88
[그림 23]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모델 요 ..............................89
[그림 24]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91
[그림 25]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100
[그림 26] 공공(SMART CITIES)의 관광 부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 ..................101
[그림 27] 공공(SMART CITIES)의 재난, 재해 부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 ............102
[그림 28] 헬스케어(HEALTHCARE) 부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103
v
- 표 목 차 -
<표 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발전 방향 .........................................29
<표 2> 세계 IOT 시장 규모 .....................................................41
<표 3> 국내 IOT 시장 규모 .....................................................42
<표 4> IOT 서비스 분류 ........................................................45
<표 5> 스마트 사이니지 & IOT 전문가 리스트 ....................................47
<표 6>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기회 확장 모델 매트릭스 .........................58
<표 7> 서비스 모델 선정을 위한 현장 조사 ......................................62
<표 8> 기술 사업화에 따른 시장과 기술 신규성 구분 .............................75
<표 9> 스마트 사이니지 시장 기술 신규성에 따른 사업화 요소.....................84
<표 10> 시장과 기술 신규성에 따른 성공 확률 ...................................85
<표 1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사업화 성공 포지션 ...............................87
<표 12>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의 공공 시장 진입에 따른 신규 ..................93
<표 13>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의 헬스케어 시장 진입에 따른 신규성 ............95
<표 14> 관광/재난재해의 기술 사업화 요소 포지션 ...............................98
<표 15> 헬스케어(HEALTHCARE) 요양 시설 기술 사업화 포지션 .......................99
1
I. 연구 개요
1. 연구 목적 및 의의
1.1. 연구 목적
국내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 역량의
차이가 많다.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한 대기업은 세계 최고 기술을
가지고 글로벌 시장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국내 시장을 중심으로 치열한 경쟁을 하면서 좁은 시장에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른 응용 기술 개발에 치중하고 있다. 국내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춘 응용 기술은 글로벌 시장 진출에 있어 제약 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사업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특정 산업의 특정 고객 중심의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 사업을 지양해야 한다. 시스템 통합 사업
은 고객 맞춤형이 될 수 있지만 개별 고객의 특성에 맞추어 개발, 제작,
생산, 운영되기 때문에 시장의 확장성과 표준화에 걸림돌이 되며, 중소
기업의 핵심 기술 개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특정 산업에서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을 갖고 고객 군에게
필요로 하는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정
산업에 대한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도
고객이 속한 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핵심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기업과 같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글로벌
표준 제품을 개발, 생산, 공급하는 방식으로는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화되고 특정 산업에 전문화된 지식과 경험을 갖고 기술과 서비스를
융합시켜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량의
2
강화를 위해서는 보편적인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옥외 광고 산업 분야를 넘어서서 다른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이 해당
산업에서 필요와 욕구를 내재 및 수용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다른 산업과의 융합을 위해서는 기술의 진보와 확장, 기존 시장에
대한 이해와 신규 시장에 대한 전망과 위험 요소 점검이 필수적이다.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을 하는 기업에게 있어 레드오션(Red Ocean)에서
벗어나 블루오션(Blue Ocean)으로 전환하는 방향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전망과 서비스 모델 개발의 접근과 사업화 방안 도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다.
본 과제의 연구 목적은 기술과 서비스 그리고 산업의 융합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사업화 방안을 도출하여 국내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이 다양한 시장에 진출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대중소 상생 협력으로 디스플레이 기술 경쟁력 중심의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이 전문화된 기술과 서비스를 갖고 글로벌 특정 산업을
이끌 수 있는 역량의 기회의 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1.2. 연구 의의
본 과제는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로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IoT 는 기술적 영역으로 다양한 산업에 융합되어
기존의 산업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옥외 광고 산업과
융 복합되면서 신 산업으로 형성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과제 연구에서 IoT 를 진보된 기술로 스마트 사이니지가 수용하면서
새로운 서비스와 사업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의의이며 핵심적인 부분이다. 이를 위해서
IoT 기술로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있어야 한다.
3
또한 IoT 서비스가 갖는 특징을 파악하여 스마트 사이니지와의 융합을
통한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IoT 기반의 서비스와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의 융합 가치와, 서비스
모델 개발에 따른 사업화 가치 검토를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IoT,
스마트 사이니지, 광고, 유통, 서비스 디자인, O2O)의 자문과 현장
조사를 통해 실제 구축 가능하며, 향후 사업화 가치를 갖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사업화 방안까지 제안한 것은 연구 차원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사업 적용화 단계까지 진행된 보고서로서 의의를 갖는다.
서비스 모델 개발과 사업화 방안 도출을 위해 각각의 IoT 기반
서비스와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가 적용된 현장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각각의 현장에서 제기된 문제를 정의하고 풀어가는
해결 방안으로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가 그 역할을 담당
하는 서비스 모델을 연구였다. 그리고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융합에
따른 기술 사업화 성공 요소를 찾아 내고, 서비스와 사업 기회의 확장을
위한 포지셔닝을 분석하여 융합에 따른 가치 측정과 명확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신규 서비스의 사업화에 따른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리스크를 최소화 시키는 가이드를 제시한 부분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국내에서 기술 사업화에 따른 서비스 모델 및 사업화 방안에 대한
인식이 낮아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는 기술 기업의 경영에는 한계가
있었다.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수용
하면서 시장을 이끌기 위해서는 문제 정의와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하는
서비스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와 함께 기술 사업화 성공을 위한 기업
포지셔닝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했다.
본 과제 연구는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간의 융합 관점에서
접근을 하였고, IoT 를 스마트 사이니지의 부분 기술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신규 시장 진입 및 만드는 과정과 사업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에서는 서비스 모델
개발에 대한 이해도와 고객 군으로 분류된 산업에 대한 전문성이 낮아
새로운 서비스와 시장에 대한 필요성 대비 준비가 많이 부족했다. 본
4
과제 연구가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서비스와 신규
시장의 개척에 있어 방향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대는 현장의 상황과 전문가들의 의견 그리고 연구원들의 조사와
분석에 근거한 전망이다.
2. 서비스 모델 발굴 필요성
2.1. 서비스 모델 개요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에 IoT 기술이 도입이 되어 융합된 서비스를 할
경우 새로운 서비스 모델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서
융합이란 서로 다른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공정(process)간의 화학적
결합을 통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현상이다. 융합의 사전적
정의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것이 하나로 합쳐지는 일, 물리적인
합이 아닌, 화학적인 합을 의미하기도 하고 특히, 기술적인 측면에서
융합을 컨버전스(convergence)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한 점으로 집
합’하는 ‘수렴’을 의미한다. 학문적인 출발점에서 융합은 경제학에서
번들로 두 상품을 하나의 상품으로 묶어서 판매하는 전략이고 경영학
에서 서로 다른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공정 간의 결합현상이다. 주요
관심사항은 경제학은 결합상품간의 가치의 상관관계 혹은 상품간 대체/
보완 관계, 산업 내 경쟁에 따른 최적 상품 판매 전략이고 경영학은
가치사슬의 변화, 이종 산업간의 M&A, 지분투자 현상, 산업구조 의
변화에 있다.
융합 서비스 모델차원에서 융합이란 디지털, 네트워크 고도화, 신기술
들의 통합(technology integration), 영역확대(convergence extension),
새로운 가치창출(value creation)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ITU(1996)은
기존 인프라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새로운 형태의
인프라를 개발하는 것, 새로운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와
기술들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하였고, EU(1997)은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 및 전화, PC, TV 기기 등이
통합되는 현상, 하버드(1997)은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며, 통신, 가전,
5
컴퓨터 등의 기기들이 서로 유사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 현상,
OECD(2003)은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한 동일한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전달하거나 상이한 기기들이 동일한 구성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기존
서비스와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였다.
2.2. 서비스 모델의 융합 추세
새로운 수익 원천과 신시장 발굴을 위해서 제품의 서비스화, 서비스의
상품화 등 새로운 사업모델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그림 1] IT 서비스 2.0 Domain
1
제조기업은 제품의 제조중심으로 기업의 주 활동과 인접 활동, 또는
종합적인 시각에서 사업기회를 발견하여 서비스를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구글, 아마존, 디즈니 등 세계적인 대기업들은 축적된 서비스를 토대로
융합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구글 웹 서비스 사용을 최적화 시킨 휴대폰
을 개발, 서비스를 제품화하고 있고, 아마존은 온라인 Book 쇼핑몰 서비
스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e-Book(Kindle)을 개발 상품화, 디즈니
랜드는 영화 등의 서비스 콘텐츠에 기반하여 테마파크, 캐릭터 상품
등을 개발하여 사업화, SAP 은 IT 서비스에 대한 노하우, 프로세스 등을
1
출처: 삼성 SDS, 2008
6
패키지화하여 SW 제품을 서비스화하고 있다. 융합 서비스 모델의 국내
서비스 제품화 사례로는 교통 종합 서비스로 유관기관에 분산된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 및 가공하여 차량, 유무선 단말기, 대중 교통
정류장, 키오스크 등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림 2] 교통종합 서비스
2
IT 융합 기술의 발전 정도에 따라 IT 제품과 기능간 컨버전스,
네트워크와 서비스간의 컨버전스, 사물과 기기와 사람과의 융합유형으로
구분된다. 사물과 기기의 융합은 IoT(Internet Of Things)로 IT 기술의
보편화와 센싱, BT/NT 등 신기술의 융합으로 기기, 사물, 시설물, 인간
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고도화된 가치를 창출하거나
로봇을 통한 생활의 변화까지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가치사슬에서
새로운 형태로 변모되는데, 새로운 가치사슬의 상향 이동에는 IT 서비스
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출처: 그림 2,3,4 NIPA
7
[그림 3] IT 서비스에 의한 가치사슬 상향곡선
2.3. 서비스 모델 유형
서비스 모델을 서비스, 업무, 기능, 기타 조합 등의 5 가지 모델로
패키지 상품화가 가능할 수 있다. 서울시 교통카드 서비스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카드와 IT 기술을 조합하여 적용한 성공적인 융합
서비스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림 4] 서울시 교통카드 융합 서비스 모델
공인 전자문서 서비스도 기업에서 발생하는 전자 및 전자화 문서를
공식적으로 보관, 열람, 유통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구축하여 사용자들
8
로부터 서비스 사용료를 징수하는 성공적인 서비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융합 서비스 모델은 서비스 적용 범위와 수준에 따라서 기업, 산업,
국가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기업이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산업, 국가 수준의 서비스 모델 개발은 정부의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도 기업 차원에서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산업으로 국가적 차원의 산업 진흥과 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융합 공공 서비스 모델은 IT 와 다른 Product, Service 를 융합하여 공공
영역의 이슈나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고객 가치와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도 과거 민간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여 오다가 산업적인 성장의 한계로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융합 공공 서비스 모델의
주요한 특징으로는 첫째, 공공성으로 국가와 경제적, 사회적 이슈를
IT 서비스로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어서 공익적 측면에 매우
중요하다. 둘째, 수익성 측면에서 민간자본이 투자에 참여하는 사업으로
운영 수익 창출을 통해 투자비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기대 수익이
필요하다. 셋째, 개방성 측면에서 사업기획, 실행에 민간기업과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의 사업이다. 넷째, 사회적, 정책적
차원에서 사회문제 해소, 산업육성, 경제발전 등의 효과성이 요구된다.
다섯째, 혁신성으로 제품과 서비스 기업과 SI 기업 간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하며 신규 사업 진출로 신시장
창출이 가능해야 한다.
2.4. 서비스 모델의 사업영역
스마트 사이니지의 융합 공공 서비스 모델의 사업영역은 공공영역,
산업 영역, 공통 플랫폼 영역 등의 3 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
영역은 순수 공공 서비스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공공기관의
9
민원 서비스로 IoT 기술을 활용해서 공공기관 및 민원 서비스가 가능하다.
법 규제가 이슈로 옥외 광고물 법이 발효됨에 따라 사이니지의 설치가
과거보다 자유로워 짐에 따라 공공영역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가 현안 해결 서비스 차원에서 국가 경제 영역인 교통
/물류, 에너지/환경, 도시/시설과 국민 생활 영역의 의료, 문화/관광,
통신/미디어 서비스분야에서 스마트 사이니지가 공공 사업적 활동의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로 산업 영역으로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제조업 서비스화 강화, 공공과 민간 산업의 융합서비스 분야가 있고,
공통 플랫폼 서비스차원에서 스마트 사이니지가 주요하게 될 것이다.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도 신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새로운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3.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배경
3.1.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기획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을 계획한다고 하면, 일반적인 서비스
기획에 필요한 요소들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왜 그 장소에 설치를
해야 하고 무엇을 서비스 하는지, 어떻게 구축을 해야 하는지를 고민을
해야 한다. 일례로 사이니지를 교통 시설물에 구축을 할 경우에도 동일
한 기획의 과정이 필요하다.
[그림 5] 서비스 정체성
10
스마트 사이니지는 설치장소가 공공장소 즉, 공간적인 요소가 반영된
콘텐츠를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Why, What, How 에
대한 질문을 반복하면서 서비스정체성을 해결해 나가면서 솔루션을 만들
어 나가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를 구축하면서 가장
많은 오류를 범하는 것이 서비스 제공자가 얻고자 하는 목적에 중점을
두고 어떻게(How) 구축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많이 있다.
공급자 관점에서 어떻게(How)라는 요소에 중점을 두게 되면, 사용자
또는 고객관점에서 필요한 서비스가 간과되는 경우가 많이 발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설치 공간과 장소에 부합되지
않아서 사용자와는 무관한 행동이 유발되거나 제공되는 광고나 정보가
효과를 제대로 발생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행
착오는 왜(Why)해야 하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과 답에 필요한 사전
조사 과정이 생략되어 스마트 사이니지를 공급하는 사업 주체가 주관적
으로 판단하거나 무엇(What)을 보여줘야 하는지에 대한 사전 고려 없이
진행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공공 미디어인 스마트 사이니지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와 정보에 대한 서비스 정체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기획에 대한 접근방법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그림 6] 서비스 구축 단계별 분석 요소
11
공공 디자인 측면에서는 설치장소가 공공장소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공간 간의 소통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설계 요소를 반드시 디자인에 반영
을 해야 한다. 스마트 미디어 측면에서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광고와 정보제공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 즉
고객에게는 서비스 가치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공간 기반의 공공
미디어가 되는 것이다. ICT 기술, 공공 디자인, 스마트 미디어인 스마트
사이니지는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공간에 따라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새로운 서비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에 따라 특정한 공간에 서비스 구축이 제대로 되어야 한다.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기준에 의해서 구축된 공간인 광장, 보행로,
쇼핑몰, 지하철, 병원 등에서 스마트 사이니지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개념과 가치가 달라진다. 서비스 디자인의 요소인 기술, 기획과 설계,
운영 측면에서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이 되어야 한다.
[그림 7]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공간이 갖는 의미와 사용자와의 관계를 분석, 진단하며 공간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관찰하여 미디어를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과 서비스
제공의 이유를 찾아서 사용자의 경험에 적용한다. 궁극적으로 스마트
12
사이니지 디자인 서비스 구축 방법론의 목표는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에
비추어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계 및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다.
4. 스마트 사이니지 모델 사업화 성공요소
4.1. 서비스 모델 개발 추진 배경과 목적을 명확화
성공적인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의 사업화 성공요인으로는 사업
을 왜 추진하려고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명확하게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맥락과 상황에서 사업 또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려고 하는
가를 이해해야 한다. 먼저 신규 서비스 모델을 추진하게 된 기업 내.
외부 및 환경을 분석하고 추구하는 목표와 사업의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방법으로는 사업 환경 문헌조사를 통하여 신규 서비스
모델 관련 산업, 소비자, 정책 이슈를 조사하고 참여기업의 핵심 역량
및 사업 현황을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신규 서비스 모델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서는 사업환경 요약, 참여
기업의 핵심역량 요약이 포함되어야 한다. 신규 서비스 추진배경
정의에서 사업환경분석은 서비스 모델 관련 시장의 현황 및 거시적
사업환경(사회, 산업, 정부, 정책 등)을 조사하여 사업의 필요성을
정의하는 활동을 말한다. 핵심역량 정의는 참여 기업의 핵심역량 및
사업현황을 요약 정리함으로써 참여 기업이 본 서비스 모델을 어떻게
추진하려고 하는지를 명확하게 하는 활동이다. 또한, 신 서비스 모델
추진 목적 및 목표 정의서는 사업개발 범위 및 수행 방법을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신규 서비스 모델 목표 정의는 국가/사회적 측면, 정책적
측면, IT 산업 측면, 연관 산업 측면에서 어떤 편익 및 효과가 있을지
개략적으로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4.2.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 모델을 정확히 이해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모델을 수립해서 현실적으로 추진 가능한 초기
서비스 모델을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 모델에 참여하는
13
이해관계자, 즉 생태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해 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잘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초기 사업모델에서 고객의
서비스 방안을 수용하여 확장된 사업모델을 수립하여 제시가 되어야
한다.
첫째, 사업모델 단계에서는 현재 수준에서 실행 가능한 구체적인 신규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사업모델의 구성요소를 분석해야 한다.
사업모델 수립에는 목표 고객, 제공 서비스, 수익 흐름, 제공 인프라,
사업참여자를 구체화해야 한다. 고객 요구 분석은 마케팅의 STP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기법과 Interview, 설문, 관찰
등 마켓 리서치 기법을 활용한다. 산업 분석은 가치사슬 분석, 기존
서비스 및 공급자 분석을 실시한다. 융합 서비스 컨셉 도출은 사용자
상황(Context)분석과 브레인스토밍 및 아이디어 도출 기법을 토대로
서비스 컨셉을 기술한다. 최종 서비스 도출은 주로 스토리보드 형태의
시나리오로 표현하여 서비스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기
쉽게 표현한다. 서비스 컨셉 테스트는 도출된 서비스 컨셉을 타겟
고객에게 제시하여 고객의 수용 가능성을 테스트한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주요 사업모델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장 표에 이해하기
쉽도록 도식화 한다. 그 주요한 산출물로는 고객분석서(목표고객의 현황,
속성, 니즈를 조사 분석한 기술서), 기존 서비스 분석서(현행서비스
수준, 공급자, 문제점 및 개선사항 기술서), 사업모델 구성도(사업모델
구성요소 간의 서비스/수익 원천의 흐름을 도식화한 그림), 서비스 컨셉
기술서(서비스 내용 및 기능, 용도, 제공 방식)가 있다.
둘째, 이해관계자 분석은 직접 참여하는 Product/Service 업체,
IT 업체뿐만 아니라 사업과 관련성이 있는 공공기관, 기존 사업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현황과 니즈를 분석하고 쟁점사항을 사전에 도출
및 조정하여 신규 서비스 모델에 반영토록 한다. 분석의 목적은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를 사전에 조정하여
제공 서비스, 추진 조직, 프로세스 등을 신규 서비스 모델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해관계자 단계별 분석 방법은 1 단계 이해관계자 분석,
2 단계 이해관계자 우선순위 도출, 3 단계 이해관계자 별 현황 및 계획
분석, 4 단계 이해관계자 분석 요약 및 조정 필요 분야 도출, 5 단계
14
이해관계자 조정방안이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이해관계자분석(사업 참여
이해관계자의 현황, 속성, 니즈를 조사 분석한 기술서), 정부정책
현황분석서(해당 사업과 관련된 정부 부처 추진 정책과제와 예산을 분석
한 기술서), 이해관계자 Map(이해관계자 현황 조사를 통해 도출된 현재
사업 구조 그림), 이해관계자 조정 계획서(이해관계자들의 갈등 요인,
정책 등의 이슈와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분석한 계획서)이다.
셋째, 확장 서비스 모델은 초기 서비스 모델 수립 단계에서 도출된
1 차 사업모델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 특히 정보/공공부분의 요구
및 추진 정책을 최적 조정 및 통합 할 수 있는 확장 서비스 모델을 도출
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의 수요예측을 통해서 신 서비스 시장의 규모가
추정될 수 있다. 확장 서비스 모델의 목적은 사업 참여가 있는 기업차원
의 융합 서비스 모델을 발전 시켜 산업/국가 차원의 대규모 혁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신규 사업모델을 도출하는 것이다. 도출 방법으로는 1 차
서비스 모델 구성요소를 확대 변경하여 목표 고객, 고객 가치, 제공
서비스, 서비스 인프라, 공급사슬, 서비스 운영 조직, 운영 프로세스,
수익모델 등을 도출할 수 있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확장 서비스
모델(1 차 서비스 모델 구성도에 이해관계자 이슈를 조정하고 서비스
범위를 확장 및 재 구성한 그림), 단계별 서비스 및 고객 확장
계획서(서비스 모델을 고객과 서비스 측면에서 어떤 단계로 어떻게 확대
시켜 갈 것인지에 대한 계획)로 구성되어 있다.
4.3. 사업화 성공을 위한 필요 자원 조달 방안은?
사업모델관련 필요 기술 도출 및 정부 정책 연계방안을 면밀히 검토를
해야 한다. ICT 기술과 연동되는 스마트 사이니지의 기술 환경 분석, IoT
센서, 빅 데이터, C-P-N-D 와 관련된 기술을 제대로 분석을 해야 한다.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의 진흥을 위한 미래부의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정책과 행정자치부의 옥외광고물법 디지털 사이니지 시행령,
조례, 기술 가이드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서비스 모델에 이해
관계자들과의 관계에서 재무적 관점에서 예산 및 비용을 누가 조달을 할
15
것인가가 먼저 파악이 되어야 한다. 아울러 시장성, 수익성측면에서
분석이 되어야 한다.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성공을 위해서 첫째, 기술 분석 단계에서는
신 서비스 모델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IoT 기술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
정부의 관련 육성정책 및 IT 정책에 부합되는 최적의 기술 도달 방안을
수립한다. 기술 분석 방법으로는 필요 기술 분석을 위해서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술요소들을 분석하고
기술 조달은 필요 현재 상용화된 기술, 개발 중인 기술, 신규 개발이
필요한 기술을 구분하여 구체적인 조달 방안을 도출한다. 주요한 산출물
로는 필요 기술 분석표(기술 구성 요소별 상세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조달방안을 도출하여 기술한 문서), 신규 기술개발 필요 과제 제안
목록(신규 기술 개발이 필요한 기술로써 정보의 기술 개발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부에 선 제안할 수 있는 과제 목록), 특허 출원 기술 명세
서(기술 기반의 사업모델 또는 요소 기술 특허 출원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여 명세화)가 있다.
둘째, 재무분석단계에서는 해당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투자
비, 운영비 등의 소요되는 자금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신 서비스 모델
의 경제성(시장성, 수익성 등)을 평가하는 활동을 말한다. 그 주요한
목적으로는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소요자금, 자금 적기 조달 방법,
적정 수익 등을 추정하고 소요자금 대비 수익성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익구조 모델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재무분석
방법에는 소요자금 분석, 수익모델 도출, 시장성 분석, 수익성 분석
등이 있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투자비/운영비 산정 내역서(SW, HW, 기반
시설 등의 인프라 구축비와 이를 운영하기 위한 인건비, 시스템 운영비,
유지보수비, 제 경비 등의 추정 목록), 수익 모델 구성도(서비스/제품
흐름에 따라 생성되는 자금 요소 및 흐름도를 도식화한 그림), 시장성
분석(서비스/제품의 시장 매력도와 판매 가능성을 분석한 기술서),
수익성 분석서(투자비/운영비 산정 내역과 시장성을 기반으로 한 예상
매출액 분석으로 투자 자금 회수 가능 기간, 이익금 발생 정도 및 시점
등을 추정한 기술서)이다.
16
4.4. 서비스 기획에 의한 정확한 실행
스마트 사이니지 법. 제도 개선 및 민관협력 모델, 정부와 지자체와의
지원과제 도출 및 민간 프로젝트의 과제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
하다. 서비스 프로젝트 추진 계획 및 로드맵에 의한 세부 실행계획을
단계별로 Action 과제를 도출하여 일정 계획에 맞추어서 실행해 나가는
것이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다.
본 사업의 사업화 및 시장 확보를 위해 첫째, 정부차원에서 지원 되어
야 할 요소(법·제도 이슈, 추진 조직 구성 등)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향후 정부지원 추진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접근방법
으로는 법·제도 분석, 사업 참여 대상 및 역할 분석, 정부지원 과제
분석 등이 있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법·제도 분석서(해당 사업과 관련
된 법·제도를 분석하여 사업 추진 장애요인을 도출한 기술서), 사업
추진 조직 구성도(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운영 조직 구성을 위해
사업참여 형태, 참여 내용, 활동 역할 등을 분석하여 도식화), 정부지원
필요사항 목록(기술, 재무, 법·제도 타당성 분석을 통해 본 사업 구현
을 위해 필요한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을 도출한 기술서)가 있다.
둘째,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선행단계에서 검토된 사업의
핵심 단계 요소(서비스 개념도, 시스템 구축, 운영 조직 설립, 홍보 및
마케팅 등)와 달성 가능한 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과정이다.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사업 기반 구축부터 서비스 활성화까지 장단기적
으로 단계별로 구축 되어야 할 필수 활동 내역과 시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방법으로는 사업 추진 단계별 활동 요소 분석, 인프라 및
시스템 구축 소요 기간 분석, 사업 추진 일정 Mapping 활동이 있다. 그
주요한 산출물로는 사업 추진 로드 맵(장기적 차원에서 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수행 활동 내역과 소요기간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한 일정표), 상세 추진 일정 계획표(단기적으로 수행
해야 할 활동 내역을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한
계획표)가 있다.
17
5. 연구 구성
본 과제의 연구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분석. 두 번째는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세 번째는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방안 도출 등이 연구 내용이다.
첫 번째,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분석에서는 스마트
사이지에 적용된 기술에 대한 조사와 함께 현재 국내외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형태 등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의 발전 과정
과 동향을 조사하고, IoT 기반으로 한 서비스와의 접목에 있어서 시장
에서의 수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분석은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
를 대상으로 하여 사업 성공을 위한 요소와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에 따른 요구 사항 등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이 옥외 광고 중심의 사업화에서 벗어나 기존 산업영역
에서 미디어 역할을 담당하면서 사업화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이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다.
기존의 옥외 광고 산업 기반의 사업화 모델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사이니지가 사업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산업과
발전되고 새로운 기술의 융 복합을 통해 새로운 사업화가 가속화 될
것이다. 이를 위한 준비로 문헌 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사업화에 대한 요소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IoT 서비스 분야 중에서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와의 융합을 이끌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가와 종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필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핵심 기술에
대한 조사와 흐름과 사례 조사와 분석을 통해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사업은 지속성을 바탕으로
혁신을 추구해야 하며, 혁신은 새롭거나,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것을
만드는 것이다. 이 명제를 위해 기술과 서비스, 산업과 시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방향성에 대한 연구 조사를 진행하였다.
18
두 번째,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에서는 서비
스 모델의 도출 과정을 제시하였다. 서비스 모델 개발에 따른 프로세스
와 조사, 연구, 도출 과정을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또한 본 과제의 주요
연구 사항으로 중소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실제 시장에서 적용
가능하고 사업화가 가능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조사로 문제 정의와 해결 과정을 거쳐,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이 적용 가능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기술 사업화와 서비스
기획 확장 등을 검토하였다.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 콘티, 서비스 흐름도, 서비스 프레임 워크 등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해 관계자들 간의 의견을 수렴하고 기술과 사업
구현 및 서비스 수용자와 제공자 간의 이해 관계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서비스는 제공과 수용의 관계에서 확장되어, 문제를 정의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 문제 해결과 동시에 더 나은(Better), 차이가
나는(Different), 그리고 전에 없는 (Creative) 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기존의 산업과 발전된 기술 그리고 우리의 문화 생활이
결합되어 제시되는 것이다. 지금은 기술의 발전이 산업을 이끄는 시대가
아니라 사람의 필요와 욕구 그리고 새로운 문화 흐름에 따라 기술이
함께 발전하는 시대이다. 서비스 모델 개발은 기술 관점에서 확장하여
사용자(User)와 보편적 사람(Universal Design)을 고려하여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연구를 본
과제에서는 실제 구축 가능한 수준의 시나리오 형태와 기술 기반에 대한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세 번째,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방안 도출은 수익 창출을
위해 사전에 검토하고, 위험요소를 점검함으로써 사업 계획 수립의
기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사업화에 중요한 요소는 현실성과
구체성 그리고 위험 요소 파악과 함께 가능성, 수익성에 대한 가치
측정이다. 이러한 다양한 사업화 요소 부분을 검토, 검증하기 위해 사업
기획 및 계획을 위한 도구인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를 활용하였다.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는 사업을 실행하는 데
있어 반드시 검토할 부분에 대해 사업 주체가 점검함으로써 사업의
구성과 계획을 면밀히 검토해 볼 수 있는 도구이다. 사업화를 위한 측정
19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사업화에 따른 준비와 이해관계자 간의 역할
그리고 투입 대비 수익의 효용성 부분에 이르는 가시적인 시뮬레이션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사업화에 따른 서비스의 가치 측정을
할 수 있다.
사업에 있어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내부 역량을 객관화 하여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본 과제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중점을 두었다.
본 과제 연구 내용은 첫 번째,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분석.
두 번째,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세 번째,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방안 도출이다. 연구 내용은 실 구축을
위한 기획과 설계, 마스터 플랜 수립 단계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서비스가 재해석되고, 새로운 서비스가 개발 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누구나 알 수 있고 뻔한 기술 (low Technology)이 문제 해결을 위한
좋은 서비스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기술과 기술이 만나(Convergence
Technology) 새로운 기술(Application Technology)이 되어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또는 고도의 기술(Core & Hi Technology)이 우리가
상상하고 꿈꾸던 세상에 없는 서비스를 실현시켜 주기도 한다. 가까운
미래는 기술 기반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안하고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지속적인 발전의 핵심은 바로 우리 삶에 의미를 주는
가치에서 시작되며, 그러한 가치는 사업화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연속성에 대한 이해를 본 과제에서 담도록 연구를 구성하였다.
20
6. 연구 방법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사업화 방안 마련을
위한 과제 연구를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문헌조사, 전문가 면담
등을 기본으로 하였다. 그리고 문헌 조사와 전문가 면담을 통해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서비스 사업 분야와 범위 그리고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 개발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설계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국내외 IoT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사례 조사와 동향에
대한 부분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가 옥외 광고
이외의 시장에서 활동하는 사례와 IoT 기술과 접목된 스마트 사이니지
사례 조사 등을 통해 향후 사업 방향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에 두었다.
기술의 흐름과 서비스의 방향성에 대한 조사는 전문가 면담 시 활용되는
사전 조사이며,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사업 분야 선정을 위해
필요하다.
[그림 8] 과제 연구를 위한 프로세스 방법
전문가 면담에서는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하여 기업 규모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그리고 스타트 업 등으로 다양화
하고 전문가는 해당 분야에서 최소 7 년이상 근무한 분들을 위주로
선정을 하였다. 전문가 면담의 목적은 해당 기업이 현재 주력으로 하고
있는 사업 분야와 개인적 의견으로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를
21
적용하였을 때 적절하고, 사업적으로 유의미한 분야와 서비스에 대한
개별적인 의견에 대한 자문이었다. 이를 통해 문헌 조사와 비교하여
방향성 설정에 목적을 두었다.
서비스 사업 분야에서는 문헌 조사와 전문가 면담을 통해 얻은 사업
분야에 대한 검토와 함께 해당 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을 선정하고, 개발한 후 사업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리고 사업화 분야와 서비스 모델 개발이 되면 앞서
참여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 모델에 대한 검증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연구 방법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전문가 면담이다. 해당 분야 전문가에
의해 방향성을 잡고, 그리고 서비스 모델에 대한 검증과 자문을 통해
향후 2~3 년 후에 서비스 가능한 모델을 발굴하고 사업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 방법을 설계하였다. 전문가는 마케팅, 개발, 사업
기획 등의 다양한 구성원으로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에 대한 이해
도가 있는 분들로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전문가분들이 소속된
기업에서 현재 향후 서비스를 준비 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기업 내부 사업을 언급해 할 수 없는 한계는 있었지만, 서비스
모델 개발에 따른 방향성과 적정성 그리고 가능성에 대한 자문과 협업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여 본 과제의 연구 개발에 있어 전문가
구성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기로 하였다.
본 과제 연구에는 사업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서비스 모델 개발
이후 사업화 방안에 대한 도출을 위해 2 가지 도구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하나는 기술 사업화 요소와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이다.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업화 모델이며, 사업화를 위한 아이템
으로 서비스 모델이 필요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래서 먼저 기술과 시장
이라는 관점에서 사업화 요소로 강점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가 필요했다.
기술 사업화에 따른 시장과 기술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시장
에서의 포지셔닝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모델 개발과 분석이
22
필요하다. 기술 사업화 요소를 통해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서비스가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9] 사업화 검토를 위한 도구
기술 사업화 요소를 통해 선정된 사업 분야의 시장 포지셔닝이
설정되면 구체적 서비스 모델을 위한 관계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업화의 가능성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비지니스 모델 캔버
스라는 도구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는 사업화에
따른 핵심적인 사항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하였고, 사업에
필요한 관계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의
사업성과 수익에 대한 가치와 서비스 모델이 갖는 특징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과제 연구가 국내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향후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에
대한 사업화 방안과 서비스 모델 개발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론과 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기업에게 가능성 있고
타당한 서비스 모델 개발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개별 기업들이 각 사가
갖고 있는 역량을 기준으로 향후 사업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의도를 연구에 함께 반영을 하였다.
23
II. 연구 내용
1. 과제 연구를 위한 개념 정의
IoT(Internet Of Thing)
3
기반에 대한 의미적 해석은 사물(Thing)에
대한 정의에서부터 필요하다. 본 연구 과제에서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gnage)서비스를 위한 전제가 IoT 이기 때문이다.
[그림 10] IoT 개념도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를 위한 사물(Thing)의 범위와 규정에 있어
인터넷을 이용한 사물과 사물(M2M), 사물과 사람(M2P), 그리고 소셜
3
참조: 1999 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오토아이디센터(Auto-ID Center) 소장
케빈 애시턴(Kevin Ashton)이 향후 RFID(전자태그)와 기타 서를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사물에 탑재한 사물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물 인터넷 기술의 유래
및 정의 (사물인터넷의 미래, 2014. 11. 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신문사)
24
네트워킹 같은 사람과 사람(P2P)이 연결된 것(IoE: Internet of Everyt-
hing)
4
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림 11] 시스코의 IoE 개념
IoT 와 IoE 에 대한 구분은 다음과 같다. IoT 는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로서 사람과 사물을 중심으로 공간과 데이터 등이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초 연결 인터넷(Hyper Connected Internet)을
4
참조: 시스코 소프트웨어&서비스플랫폼 수석부사장(SVP)은 "IoE 는 IoT 에서
시작한다"며 "IoT 는 이전에 연결되지 않았던 것을 연결하려는
움직임이고, IoE 는 규모 있는 비즈니스 변환에 대한 약속을 가진
패러다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IoE 연결은 로봇과 센서 같은 사물과
사물(M2M), 사물과 사람(M2P), 소셜네트워킹 같은 사람과 사람(P2P)의 세
형태가 있다"며 "IoE 의 세계는 다른 수준의 복잡성을 만들어낸다"고
덧붙였다. - 지디넷: 시스코가 IoT 대신 IoE 라 부르는 이유: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0522025920 ]
25
의미하고 있다. IoE 는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의 개념을 넘어 연결
가능한 모든 것으로 사물과 사물(M2M), 사물과 사람(M2P), 소셜
네트워킹 같은 사람과 사람(P2P)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림 12] IoT 정의 공통점과 차이점
5
IoT 와 IoE 개념 구분의 기준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서비스 되는 대상의
범위이다. 인터넷으로 사물이 연결된 이후 상호 연결, 상호 작용, 상호
운영 등의 개념적 통합을 거쳐 사물(Thing)이라는 물리적 차원을 넘어
모든 것(Everything)이 연결되는 것이 IoE 의 개념이다. 설정하였다.
[그림 13] 스마트 기능 정의
5
출처: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2014.10-산업통상자원부)
26
스마트 사이니지에 대한 정의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스마트(SMART)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의미로 스마트(SMART)는 편리함을 주는 똑똑한
기능을 가진 ICT 솔루션을 의미한다. 편리함과 똑똑한 기능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을 기술적으로 살펴 보면, [그림 13]에서 제시한
요소들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 기능들을 살펴보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센서에 의해 데이터가 수집되고 분석되고,
사용자와 소통하면서 상황에 따른 콘텐츠가 서비스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갖추고 있는 ICT 솔루션에 대해 스마트(SMART)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림 14] IOE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요소
IoT 서비스 관점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를 보면, 스마트 사이니지가 사물
(Thing)에 해당한다. 스마트 사이니지의 가장 큰 특징은 소통(Comm-
unication)이다. 정보(Information)를 적재적소에 사람(사용자, 고객)
에게 전달하기 위해 기기 간의 연동, 기기와 사람과의 연결, 사람과
사람과의 소통에 따른 데이터 수집 분석이 수행된다. 정보의 소통은
스마트 사이니지가 미디어로서 갖는 핵심적인 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는 시스코에서 제안한 개념의 IoE 와
부합하고 있다.
서비스(Service)에 대한 정의는 “사람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을 상품
으로 하여 판매하는 행위이다. 서비스는 소유권이 설정될 수 있는 독립
27
된 실체가 아니며, 그 생산과 분리하여 거래될 수 없고, 소비자에게
제공되어야 생산이 완료된다. 서비스는 주문에 따라 생산되는 이질적인
산출물로서, 전형적으로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생산자의 활동으로
실현되는 소비 단위의 제 여건 변화들로 이루어진다. 서비스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① 소비재 조건의 변화: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수송, 청소, 수송 및 변형 등 ② 개인의 육체적 조건의
변화: 운송, 숙박, 의료, 미용 등 ③ 개인의 정신적 조건의 변화: 교육,
정보, 상담, 오락 및 유사 서비스 ④ 제도 단위의 경제적 상태의 변화:
보험, 금융중개, 보증 등” 이라고 한다.
6
[그림 15] IoT 플랫폼 연동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개념도
7
서비스 정의에 근거하면 본 과제 연구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IoT
기반 스마트 사이지니 서비스는 IoT 기술을(데이터 수집 분석을 의미)
활용하여 정보(Information)와 콘텐츠(Contents)를 생산하고 소비자에게
제공되어 생산을 완료 시키는 모델이다. 그리고 그것은 사람에게 편리함
을 주는 것을 서비스 상품으로 유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행위이다.
본 과제 연구는 서비스 정의에 근거해 보면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생산자의 활동으로 실현되는 소비 단위의 제 여건 변화에 따른 스마트
사이니지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6
참조: 서비스 (매일경제, 매경닷컴)
7
출처: ETRI 연구 자료 발췌
28
IoT(Internet of Thing)는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Thing)에서 출발하고,
IoE(Internet of Everything)는 연결 가능한 모든 것(Everything-사람
포함)으로 확장하였다. IoT 는 M2M(Machine2Machine)의 확장이었고,
IoE8
는 M2M, P2P(Peer2Peer), M2P(Machine2People)로 그 개념을 넓혔다.
스마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소통기기이다. 그리고
사물(Thing)로서, IoE 를 구현하는 서비스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IoE 를 통해 생산(자료, 정보, 콘텐츠 등등)되는 자료를 사람에게
편리함을 주는 서비스 상품으로 수요에 따라 다양한 생산(자료, 정보,
콘텐츠 등등)이 이루어진다. 스마트 사이니지를 통해 소비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여 산업과 시장의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 수행이 본 과제
연구의 여러 목적 중 일부이다.
본 과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를 위해 개념 정의 부분에 큰 틀이
되는 것이 “초 연결 사회(Hyper Connected Society)”이다. 초 연결
사회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기, 기기와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만물인터넷 (IoE:
int-ernet of everything) 등을 기반으로 구현되며 스마트 홈, 스마트 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초연결사회는 개인 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여론형성 과정, 정책 결정, 의사결정 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9
정의한 내용을 살펴보면, IoT 와 IoE 는 인프라이며 서비스는 연결된
사회를 유기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모습이다. 초 연결 사회는 시스템과
프로세스에 의해 위험 요소를 줄이고, 사람들의 의사가 능동적으로
개진되고, 공유되는 사회를 그리고 있다. 초 연결 사회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준비 역시 필요하며, 그와 관련된 연구와 기술 개발 또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함께 고려되고 있다.
전 세계가 초 연결 사회로 변화와 혁신의 흐름인 것은 분명하다.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도 초 연결 사회를 준비하는 지금의 시점에서 네트
워크 연결과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넘어 초 연결 사회에서 스마트
8
참조: 본 보고서에서는 개념적으로는 IoE 를 기반으로 하며, 용어상으로는 과제
명에 따라 IoT 로 명명하여 작성 함
9
참조: 초 연결사회 [hyper-connected society](시사상식사전,박문각)
29
사이니지 산업에 대한 발전 전망을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본 절에서는 관련한 개념과 정의에 대해 다시 한번
규정하고자 하였다.
2.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동향
2.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흐름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gnage)”라는 용어는 국내에서 주로
통용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광고 기반
의 단뱡향 Push 형 정보 서비스로 규정하고, 스마트 사이니지는 인터넷
및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서비스 및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공간
미디어로 규정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의 현재는 <표 1>의 스마트
사이니지 발전 방향에서 제시한 2.0 에 근접해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
2.0 의 모습을 우리는 향후 1~2 년이내 일상에서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사이니지 3.0 에 대한 기술 개발은 현재 진행형이며 향후 3~4 년
후 일상에서 일부의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표 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발전 방향
스마트 사이니지는 여러 산업의 기술들이 융 복합 및 협업을 통해
서비스되는 산업 구조를 갖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30
스마트 사이니지 솔루션이 개발이 되고 그에 따른 더욱 다양한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 될 것으로 전망한다. 서비스의 다양화를 이끄는 것은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분야와 산업에서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의 도입
필요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를 진단하고 기술의 발전 방향과
적재적소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스마트 사이니지에 대한 핵심 기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2.2. 스마트 사이니지 주요 기술 동향
ICT 중심의 기술 관점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를 접근하면 C(Contents) –
P(Platform) – N(Networks) – D(Device)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C-P-
N-D 의 기술 중심에서 서비스와 사업 중심으로 산업을 분류한 것이 [그림
16]의 스마트 사이니지 요소 기술 분류이다. [그림 16]의 분류는 스마트
사이니지 생태계 산업이 모두 포함이 되어 있으며, 서비스 모델
관점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본 과제 연구에서는 [그림
16]의 분류 기준으로 하여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동향을 조사하였다.
[그림 16] 스마트 사이니지 요소 기술
10
10
출처: “The Roadmap to Digital Signage Success” White Paper, Digital
Signage Expert Group.
31
[그림 16]에 제시된 스마트 사이니지 요소 기술을 기준으로 기술 현황
및 산업의 특성을 조사하여 기술하였다. 각 부분별로 현재 상용화된
기술과 향후 3 년이내에 시장에 나올 기술 들에 대한 현황 및 특성을
조사 기술하였다.
2.3. 하드웨어(Hardware)
2.3.1. 디스플레이(Display)
전기 소자 기반의 디스플레이의 진보와 함께 타 산업과의 융 복합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등장하는 추세
Ÿ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상용화
Ÿ 표현의 소자가 물리적 재료를 기반으로 한 물리적
디스플레이(Physical Display)의 지속적인 개발
Ÿ 디스플레이와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11
기술의 융
복합에 따른 키네틱(Kinetic)
12
디스플레이 개발 및
상용화
Ÿ 옥외용(Outdoor) 디스플레이 증가는 옥외에 스마트
사이니지 설치를 위한 시장의 요구 사항에 따라 고휘도
패널과 옥외 환경에서 구동 가능한 성능 때문
11
참조: 메카트로닉스란 이름은 일본 야스카와 회사의 수석 기술자, 테츠로
모리(Tetsuro Mori)가 처음 사용(1969).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는
Mechanics(기계공학)와 Electronics (전자공학)의 합성어. '메카'는
기구나 기계요소 등의 기계 기술을 의미하고, '트로닉스'는 제어 요소나
신호처리 등의 전자기술을 의미.
12
참조: 연구자 주: 기계 기술과 전자제어 공학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운동성을
주는 형태
32
2.3.2. 플레이어(Player)
플레이어 부분은 셋탑(Set-top)과 컴퓨터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
Ÿ 안드로이드 셋탑: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의 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단방향 송출 및 간단한 인터랙티브 기능
구현에 있어 적합. 특히 가격대비 효용성이라는 측면에서
수요 증가
Ÿ 스마트 사이니지 전용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PC) 수준의
내구성과 신뢰성으로 운영되기 어려운 환경의 스마트
사이니지 설치 장소에 따른 서비스 증가로 전용 컴퓨터
개발 및 보급. 전용 컴퓨터는 내구 성과 신뢰성 및 데이터
자동 복구와 전원 및 원격관리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음.
일부 전용 컴퓨터는 스마트 사이니지용 소프트웨어를
내장시킨 일체형으로 개발
Ÿ 신 클라이언트(Thin Client)
13
: 클라우드 서비스 증가와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플레이어 부분의 역할을 최소화
하고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증가에 따른 도입 추세
2.3.3. 센서(Sensor)
초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모니터링 용도로 장착을 하였으나, 이후
상황인지(Context Awareness)와 상호작용(Interactive) 그리고 IoT 서비
스 등이 급증하는 흐름에 따라 셋탑(Set-top)과 컴퓨터(Computer)가
수행하는 기능과 역할이 다양화 되고 있음
13
참조: 자신의 계산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른 일부 컴퓨터(서버)에 크게
의존하는 컴퓨터. 서버가 추정하는 특정 역할은 데이터 영속성에서부터
실질적인 정보 처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신 클라이언트 컴퓨팅은 또한
소유권의 총 비용을 낮추면서 계산 서비스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33
센서류는 상호작용에 따른 터치와 제스처, 음성, 동작 등등이 있으며,
상황인지 부분에서는 조도, 온도, 습도, 밀도, 비전, 위치, 공기, 근접,
자이로 등등 수 많은 센서들이 도입 적용 활용되고 있음
2.4. 소프트웨어 (Software)
2.4.1. 클라우드(Cloud) 솔루션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및 시스템 운영 솔루션이 증가하는
추세. 구글, 아마존, MS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SaaS 와
PaaS 를 지원하는 솔루션이 증가. 안드로이드 OS 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솔루션이 최근 많은 성장을 하는 추세
2.4.2. 상황 인지 솔루션
센서와 콘텐츠 및 공간과 환경, 사용자에 따른 데이터 수집 분석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증가. 비전 센서(Vision Sen-
sor)가 많이 보급되었으며, 공간과 장소 환경을 감지하고 사용성에 따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율적으로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솔루션들이
공급되고 있음.
2.4.3. 가상화 및 비정형 디스플레이 콘텐츠 표출 기술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디스플레이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콘텐츠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콘텐츠 표시에 따른 가상화 기술과 Sync 에 따른
기술들이 개발 운영되고 있음. 가상화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여 서버
에서 콘텐츠 표시에 따른 컨트롤을 하며, Sync 는 서버 또는 기준 클라이
언트를 기반으로 하여 멀티 디스플레이의 콘텐츠를 송출하는 방식.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비 정형성이 평면성(x,y)에서 확장하여 입체
(x,y,z)형태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어 그에 따른 콘텐츠 표시 방법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음.
34
2.4.4.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OS 를 기반으로 하여 부팅(Booting) 전후의 단계에서 시스템을 점검하고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적용. 원격지의 하드웨어
상태 및 콘텐츠 운영 현황 등에 대한 모니터링과 이상 현상에 따른 제어
기능 등을 탑재하여 상시 관리할 수 있는 유지보수 체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확산.
2.4.5. 데이터 분석
시청 효과 측정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센서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맞춤형, 상황인지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공급이 확산되는 추세.
2.4.6. 지능형 콘텐츠 편성 및 운영
상황인지, 맞춤형, 상호작용에 따른 콘텐츠를 자동 분류하고 운영하여
필요한 시점과 장소의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를 해주는 소프트웨어. 넓은
지역에 다양한 장소에 수 많은 콘텐츠를 운영해야 할 경우 콘텐츠
편성의 기준과 데이터 분석에 따라 최적의 콘텐츠 편성표를 구성하고
제안해주는 기능으로 미디어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음
2.4.7. VR(Virtual Reality) & AR(Argument Reality)
VR & AR 콘텐츠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른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사례 증가. 상호작용(Interactive) 콘텐츠로 사실감과 몰입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주로 전시장, 박물관, 테마 파크 등에
적용되는 콘텐츠 제작에 따른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35
2.4.8. 보안(Security)
스마트 사이니지 관련한 보안 부분은 기존의 ICT 부분에서 다루고 있던
보안 가이드에서 확장하여 크게 두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다루어 짐.
스마트 사이니지를 위한 보안 부분의 표준 가이드라인이 필요.
Ÿ 물리적 보안: 특정 공간의 지정된 장소 또는 이동 및 장소
변경에 따른 물리적 제품의 보안에 대한 인식 강화.
물리적 보안을 위한 제품 개발 시 설계와 설치에 반영하며
운영 부분으로 보험을 통해 장치를 하며, 운영 유지
측면에서는 원격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관리
Ÿ ICT 보안: 네트워크 & 통신, 콘텐츠 암호화 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14
, 외부 침입 대응 및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보안 관리, 스트리밍 보안, 개인
정보 보호 등등의 이슈와 개발에 대한 가이드 라인 설정이
필요한 상황.
2.5. 연결(Connectivity)
2.5.1.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 기술로 10cm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기술이었으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사용성이 확산되지 못했음.
비콘(Beacon)은 블루투스(Bluetooth) 4.0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통신이 가능하며, 5~10cm 단위의 구별이
가능하고, 정확도가 높고, 저전력의 장점으로 IoT 기기로 부상됨. 특히
O2O 산업의 발전으로 가장 많은 관련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적용이 되고
있음
14
참조: DRM 부분은 보안 보다는 저작권에 대한 이슈에 대한 부분. 본
보고서에서는 보안 영역에서 조사 내용을 제시
36
2.6. 콘텐츠(Contents)
콘텐츠 부분은 기존의 광고 중심에서 점차 다양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비 광고 부분과 O2O(Online to Offline)부분의 콘텐츠
증가는 두드러진 특징
2.6.1. 재난 재해, 구조 구급(Emergency)
공간을 기반으로 한 정보와 콘텐츠 서비스를 하는 스마트 사이니지
특성상 공공 장소에 대한 고려는 반드시 필요. 공공 장소에 설치 되어
운영됨에 따른 공익성 정보와 콘텐츠 제작과 개발이 필수. 재난, 재해,
구조, 구급에 따른 신속하고 빠른 판단과 의사 결정을 위한 콘텐츠.
2.6.2. 공공 정보(Public Information)
공공 장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콘텐츠.
길 찾기, 관광 안내도, 건물의 층별 안내도, 시설물 이용 가이드, 민원
접수, 날씨, 교통, 정부 및 시 정책, 생활 정보 등등의 콘텐츠.
2.6.3. O2O(Online to Offline)
도소매 유통 부분에서의 채널(Channel) 다양화에 따른 옴니채널(Omni-
channel) 전략에 따른 O2O 의 도입이 확산되는 추세. O2O 의 주요 콘텐츠
는 구매 유도 및 구매 지원을 위한 세일즈, 마케팅, 홍보, 이벤트,
프로모션 등등의 콘텐츠.
37
2.6.4. 전시(Exhibition) & 테마 파크(Theme Park)
박물관 미술관의 전시 부분에 참여형 콘텐츠의 제공에 따른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입. 실내 테마 파크에 대한 수요
급증과 VR 과 AR 기술의 발전에 따라 관련 부분 콘텐츠가 급증.
2.7. 디자인(Design)
스마트 사이니지의 디자인 부분은 기획, 콘텐츠, 공간, 장소, 제품
등으로 나누어짐. 서비스 목적과 운영 방법 그리고 사용자에게 제공하
고자 하는 콘텐츠에 따라 디자인 되어야 하는 부분.
2.7.1. 컨셉 디자인(Concept Design)
서비스의 목적에 부합하면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설계하는 분야.
스마트 사이니지 전반의 산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와 제품 및 솔루션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등을 수행하는
컨설팅 산업.
2.7.2. 콘텐츠 디자인(Contents Design)
컨셉 디자인의 기획 안에 따라 콘텐츠 제작에 따른 시나리오, UI(User
Interface), UX(User eXperience), 그래픽 & 편집 디자인 등을 수행하는
분야. 전통적인 디자인 전공 분야로 사용자 접점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자인 산업.
2.7.3. 제품 디자인 & 기구 설계
설치 장소와 제품화에 따른 상황에 따라 함체(Housing) 디자인 및
설계가 필요. 함체 디자인은 스마트 사이니지의 제품 디자인에 해당
38
하는 부분으로 공간과 장소에 따른 서비스 정체성과 사용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 기구 설계도 운영과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 및 부품들의
상호 간섭 및 환경의 영향을 보호하기 위한 설계 반영 등을 수행하는
디자인 공학 산업
실내(Indoor)에 스마트 사이니지를 설치 구축 운영 할 경우 인테리어와
전시의 컨셉에 따라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에 대한 고려를 함께 함.
건축 기반의 영역에서 ICT 부분에 대한 이해와 전체 컨셉에 대한 일관성
을 유지하면서 실제 구축을 위한 부분으로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와 융합
되는 산업.
2.8. 사업 영역(Business)
2.8.1. 서비스 디자인(Service Design)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문제를 정의하고 개선하면서
새로운 그리고 개선된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세스 로직(Process
Logic). ICT 중심의 기술적 서비스 한계를 넘어 고객과 사용자 중심의
필요와 욕구 충족을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에 적극적으로 도입 및
활용되는 분야. 디자인 산업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전문 분야별로 경험을
쌓은 컨셉 디자인 회사들이 많이 진출한 컨설팅 산업.
2.8.2. 시장 조사 및 진출(Research & Lunching)
스마트 사이니지 관련한 신규 서비스 및 제품, 솔루션에 대한 시장
조사를 통해 사용자 및 시장 반응을 조사하여 서비스 및 제품 출시
이전에 리스크 보완 및 수익성 검토의 컨설팅 사업.
서비스 및 제품 개발 이후 시장 진출을 위해 마케팅 및 생태계 협업
등을 통해 시장에 연착륙을 유도하고, 목표 시장에 서비스 및 제품의
레퍼런스(Reference)를 구축지원을 하는 컨설팅 영역
39
스마트 사이니지 관련 서비스와 제품 및 솔루션의 증가에 따라 개발
전문 기업들이 시장 진입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사업 분야.
2.8.3. 신규 서비스 & 제품, 솔루션 개발 지원
제조, 개발 전문 기업의 신규 서비스 및 제품 솔루션의 개발을 위한
토탈 솔루션 지원 서비스. 스마트 사이니지 특성상 특정 기업이 모든
것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으로 서비스 및 제품 솔루션에 대한 검증과
개발, 제작, 제조에 다른 팀 빌딩이 필요. 해당 부분에 대한 신규 사업
개발 및 팀 빌딩 등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및 컨설팅 사업
3. IoT 기술 및 산업 동향
3.1. IoT 기술 동향
3.1.1. IoT 주요 기술
IoT 기술은 가트너(Gartner)가 선정하는 주요 10 대 전략기술에도
2012 년부터 꾸준히 3~4 위로 거론되고 있다. 기존의 사물지능통신(M2M,
Machine to Machine)서비스 기술과 함께 성장하고 있고, 근래에는 IoT 의
경우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는 성숙기에 접어들기까지는 10 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3.1.2. 센싱 기술
Ÿ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에서부터 원격
감지,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 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 센서를 포함
Ÿ 물리적인 센서는 응용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이미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40
가상 센싱 기능도 포함되며 가상 센싱 기술은 실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구현
Ÿ 기존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다분야)
센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
3.1.3.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Ÿ IoT 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로는 기존의 WPAN
15
,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16
,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
17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 포함.
3.1.4.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Ÿ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IoT 의 주요 3 대 구성 요소(인간·
사물·서비스)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
Ÿ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API, 가상화, 위치 확인, 프로세스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15
참조: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10m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개인 통신망. UWB, ZigBee, 블루투스 기술
등이 활용된다.
16
참조: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인터넷망, 유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방송망 등을 하나로 통합한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 BcN 은
새로 네트워크를 깔지 않고 기존 광동축 혼합망이나 초고속 인터넷망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교환장치나 전송장치, 단말장치를 업그레이드해
가입자들이 100Mbps 속도로 인터넷과 통신, 방송망을 융합한 서비스를
받게 한다.
17
참조: PLC: 전력선 통신 (Power Line Communication)
41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 수행.
3.2. IoT 시장 현황
플랫폼/솔루션업체, 네트워크/서비스업체 등 4 가지로 크게 구성된다.
특히, IoT 칩셋을 제조하는 칩 벤더와 모듈을 공급하는 제조업체는 해외
주요 소수 기업에 의해 생산 및 공급이 되고 있음. 칩셋은 Qualcomm, TI,
Infineon 등에 의해 주도되고 있고, 모듈의 경우 전세계 공급량의 78%를
Cinterion, Telit, Sierra, SIMCOM 등 4 개 회사가 공급한다. 맞춤형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솔루션 업체는 비교적 중소·
중견 기업에 의해 주도하고 있다 네트워크/서비스업체는 새로운 수익원
으로써 IoT 를 인지하고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각 나라 및 지역별 대규모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자신만의 인증단말 센터, 개방형 플랫폼 연구, 솔루션 업체와의 협력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3.3. 시장 규모
향후 모든 것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초 연결 사회(Hyper Connected
Society) 확산으로 산업 전반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결된 사물의 수가 2013 년 26 억 개에서 2020 년
260 억 개로 10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Stracorp,Gartner,2013) 했다.
(단위: 십억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CAGR(%)
시장 237 292 3698 505 661 839 1,035 26.21
성장률 16.7% 23.5% 26.4% 36.7% 30.8% 26.9% 23.30% -
<표 2> 세계 IoT 시장 규모
18
18
출처: Machina Research,STRACORP,2013
42
(단위: 십억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CAGR(%)
시장 2,704 3,349 4,448 6,892 9,635 12,863 17,076 32.8%
성장률 15.2% 23.8% 32.8% 54.9% 39.8% 33.5% 32.8% -
<표 3> 국내 IoT 시장 규모
19
최근 현대경제연구소의 “사물 인터넷(IoT) 관련 유망산업 동항 및
시사점”
20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외 IoT 시장은 연평균 20%이상 고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그림 17] 국내외 IoT 시장 전망
세계 IoT 시장 규모는 2015 년 약 3 천억달러에서 2020 년 1 조달러로
연평균 28.8% 성장을 전망하고 국내 IoT 시장 규모는 동기간 3.3 조원
에서 17.1 조원으로 연평균 38.5%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19
출처: STRACORP,2014
20
출처: 현대경제연구소 (16-24 (통권 662 호) 2016. 07. 11)
43
3.4. IoT 서비스 분야
외부 센서를 스마트 기기에 적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전세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추진해 온
유틸리티관리, LBS 기반의 지능형 자동차와 더불어 헬스케어, 공공복지,
건설 분야에서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그림 18] IoT 기반 센서.스마트기기 연결 구조
21
IoT 에서 IoE 로 확장하면서 소비자들의 인터넷(Consumer Internet),
비즈니스 인터넷(Business Internet),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등이 통합되어 개방형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개방형
글로벌 네트워크는 소비자, 비즈니스 산업 인터넷을 모두 아우르는 지능
적 융합 서비스 개발을 촉진함으로 초 연결 사회(Hyper Connected Socie-
ty)를 구현하게 된다.
21
출처: IT 융합기술 특집
44
1.Smart Cities
1 Smart Parking
2 Structural Health
3 Noise Urban Maps
4 Traffic Congestion
5 Smart Lighting
6 Waste Management
7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2.Smart
Environment
8 Forest Fire Detection
9 Air Pollution
10 Landside and Avalanche Prevention
11 Earthquake Early Detection
3.Smart Water
12 Water Quality
13 Water Leakage
14 River Floods
4.Smart Metering
15 Smart Grid
16 Tank Level
17 Photovoltaic Installations
18 Water Flow
19 Silos Stock Calculation
5.Security &
Emergencies
20 Perimeter Access Control
21 Liquid Presence
22 Radiation Levels
6.Retail
23 Supply Chain Control
24 NFC Payment
25 Intelligent Shopping Applications
26 Smart Product Management
7.Logistics
27 Quality of Shipment Conditions
28 Item Location
29 Storage Incompatibility Detection
30 Fleet Tracking
8.Smart Agriculture
31 Wine Quality Enhancing
32 Green Houses
33 Golf Courses
34 Meteorological Station Network
9.Smart Animal
Farming
35 Hydroponics
36 Offspring Care
37 Animal Tracking
10.Home
Application
38 Energy and Water Use
39 Remote Control Appliances
45
40 Intrusion Detection Systems
41 Art and Goods Preservation
11.eHealth
42 Fall Detection
43 Medical Fridges
44 Sportsmen Care
45 Patients Surveillance
46 Ultraviolet Radiation
<표 4> IoT 서비스 분류
22
IoT 관련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 자료가 많았다. <표 4>는 전자
부품연구원의 IoT 융합연구센터에서 작성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국내
외 사례”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분류와 서
비스 종류가 정리되어 있다.
4.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및 분석
4.1.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사업화 요구 사항 조사의 목적은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융합에 따른
사업화 필요성으로 정의 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 기업 및 관련 산업
또는 고객군으로 분류되는 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IoT 기반 스마트 사이
니지 사업화 요구에 대한 접점이 다양하고, 개별 이해관계에 따라 사업
화 형태가 상이하다. 그래서 연구 조사의 방향을 IoT 기반 스마트 사이
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및 타당성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옥외 광고 중심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은 2016 년 이후 유통 산업에서
옴니채널(Omni channel)전략 수행에 따라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도입으로 산업의 확장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지속적으로 여러 산업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를 도입하며 활용에 대한 시도는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은 광고, 홍보, 정보 전달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O2O 의 서비스
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는 광고, 홍보, 정보 전달의 수준을 넘어 경험과
정보를 함께 제공하면서 구매 유도와 인지 효과를 증가시키는 요소와
22
참조: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국내외 사례 (이상학 IoT 융합연구센터)
46
매장에서 판매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역할까지 수행하는 부분으로 발전
을 하고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가 단방향 전달 중심의 미디어 역할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는 미디어로 발전하면서 그 용도와 사용 범위
가 넓어졌고, 그에 따른 역할의 기대도 커지고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가
여러 산업에 걸쳐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것은 기술 발전과 기술 및
서비스의 융합이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과
그에 따라 산업의 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의 출현은 시장
에서 사업화를 위한 검토와 기획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사업화를 위한 요소로 검토 가능하고, 사전에 추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고, 이를 직접 본 과제 연구에 적용 및 활용 하였다.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조사를 위해 본 과제
연구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Focus Group Interv-
iew)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의
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서비스 형태 및 사업화 사례를 통해 IoT 및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가 제안한 사업화 요구 사항들이 반영된
서비스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서비스 모델 개발에 따른
서비스 선정 및 서비스 모델 사업화 방안 도출의 기반이 되는 연구
조사였다.
4.2.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 면담 – FGI(Focus Group Interview)
기술, 서비스, 마케팅, 기획 등을 담당하고 있는 IoT 와 스마트 사이니
지 분야의 전문가 6 명을 대상으로 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FGI 목적은 각 분야의 현재의 핵심적인 기술과 서비스
그리고 현재 및 향후 시장 동향에 대한 의견과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가
융합된 서비스에 대한 사업화 전망 및 서비스 추천을 받는 것이다.
면담을 하기 위한 진행 방법은 다음과 같이 했다. 각 분야별 관련 기업
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 총 7 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In depth
47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IoT 서비스 관련 실무 전문가에게는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현업에서 집중하고 있는 IoT 산업 분야 내지 다양한
도메인과의 접목 가능성(스마트 사이니지를 중심)에 대한 내용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 관련 전문가에게는 현재 스마트
사이니지의 기술 융합을 통한 산업 전망과 융합 가능 분야에 대한
내용으로 각 종사 분야를 고려하여 면담 질문지를 구성했다. 그리고
면담 대상자 별로 약 1 시간 정도 진행하였다. 면담에는 Moderator 1 명,
Recorder 2 명 전문가 1 인 내외로 진행했다.
전문가 선정 기준은 국내 기업 중 글로벌 사업을 하고 있거나, 경험이
있는 해당 분야의 전문성이 확보된 기술, 서비스, 마케팅, 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업의 실무 책임자를 중심으로 하여 자체 선정 및 추천
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을 하였다. 전문가 구성은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
에서 제조, 서비스, 솔루션, 광고 분야로 구성이 되었다. IoT 부분은
솔루션과 기획, 마케팅 부분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로 구성이 되었다.
기업명 전문가 명 전문 분야
LG 전자 문성훈 부장 스마트 사이니지 마케팅
KT 오정석 대리 스마트 사이니지 광고
모온 컴퍼니 이재중 실장 인터랙티브 개발자
클라우드캐스트 이주강 과장 스마트 사이니지 UI/UX
인텔리안 김길종 부장 스마트 사이니지 솔루션
LG U+ 송태민 과장 IoT
<표 5> 스마트 사이니지 & IoT 전문가 리스트
전문가 면담에서 얻은 공통적인 부분은 IoT 는 개인화, 상황, 환경에
따른 서비스를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사이니지도 IoT
의 Thing(사물) 중의 하나로 정의 내리고 있었다. IoT 와 스마트 사이니
지와의 융합에 대해서는 공공장소에서의 개인화, 상황과 환경에 따른
48
서비스를 이해관계자들에게 어떻게 서비스할 수 있는 것인가가 중요하다
는 의견이 많았다.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융합에 따른 가장 큰 걸림돌
은 공공 장소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할 때 개인화에 따른 개인정
보 보호에 대한 문제와 이를 극복하는 서비스를 선정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가 하나의 사물로서 IoT 와 융합되어 기술 개발과 서비스는 확산
될 것으로 전망을 하였으며, 지금은 그 시작점이라는 의견에 대해 대체
로 인식을 같이 하고 있었다.
전문가 중에서 IoT 부서에서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을 검토하였던 경험
을 가진 분은 현재 IoT 사업은 사내에서는 B2B 부분에 주력을 하고 있고
향후 B2C 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었다. 이는 사업의 수익성 구조가
B2B 에서 시작되어 B2C 로 확장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했다. IoT 의 핵심
은 서비스 모델이며, 향후 서비스 모델이 정착하면 데이터가 서비스의
킬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에게 광고 이외의 부분으로 IoT 를 기반으로 한
산업에 대한 의견에서 유통(Retail), 헬스케어(Healthcare), 교육(Educ-
ation), 공공(Smart City)분야에 대해 공통적으로 언급을 하였다.
이중에서 현재 가장 활발하게 사업이 이루어지는 분야가 유통(Retail)
부분이라고 하였다. 향후에는 공공(Smart City), 헬스케어(Healthcare),
교육(Education) 순으로 확산되고 저변 확대 될 것으로 대체로 전망하
였다.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는 향후 2~3 년
정도의 소요 기간을 전망하였으며, 이는 IoT 인프라와 서비스의 확대와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의 서비스 모델이 광고 이외의 부분으로 확대되는
시점에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IoT 전문가에게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들이 전망한 유통(Retail),
헬스케어(Healthcare), 교육(Education), 공공(Smart City 분야) 등에서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에 대한 의견에 대해서는 긍정적
이었다. 다만 스마트 사이니지는 서비스가 B2C 중심이며, 미디어 특성을
갖고 있어 서비스를 키우고 확산시키는 데 있어 시간이 소요된다는 전망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봉조 김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Donghyung Shin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cheolhwa
 
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
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
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
Jihoon Roh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Donghyung Shin
 
사물인터넷 강의
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강의
사물인터넷 강의
Daesung Yeon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sam Cyberspace
 
000000035508 1355302319872 0.8278298791397142
000000035508 1355302319872 0.8278298791397142000000035508 1355302319872 0.8278298791397142
000000035508 1355302319872 0.8278298791397142jkim02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M&M Networks
 
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
M&M Networks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Donghyung Shin
 
Neural stream
Neural streamNeural stream
Neural stream
Mk Kim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1)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1)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1)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1)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증강현실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증강현실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증강현실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증강현실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빅데이터실습교육 소비분야 영남대_언론정보_20141117
빅데이터실습교육 소비분야 영남대_언론정보_20141117빅데이터실습교육 소비분야 영남대_언론정보_20141117
빅데이터실습교육 소비분야 영남대_언론정보_20141117Han Woo PARK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Donghyung Shin
 
Adam Park on Information Technology
Adam Park on Information TechnologyAdam Park on Information Technology
Adam Park on Information TechnologyAdam Park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봉조 김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ssuser54247f1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S.K. Cha of ACS in Korea
 

Similar to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20)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Softbox coding - raspberrypi3 b+ 2019 Lecture File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
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
Termproject ATM 사용편의성평가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CES 2014
 
사물인터넷 강의
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강의
사물인터넷 강의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KEIT PD Issue Report_Keit pd(15 5)-전체
 
000000035508 1355302319872 0.8278298791397142
000000035508 1355302319872 0.8278298791397142000000035508 1355302319872 0.8278298791397142
000000035508 1355302319872 0.8278298791397142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2018_ 디지털 사이니지 트랜드 소개
 
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Neural stream
Neural streamNeural stream
Neural stream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1)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1)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1)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1)
 
증강현실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증강현실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증강현실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증강현실 기술 및 응용 사례 분석
 
빅데이터실습교육 소비분야 영남대_언론정보_20141117
빅데이터실습교육 소비분야 영남대_언론정보_20141117빅데이터실습교육 소비분야 영남대_언론정보_20141117
빅데이터실습교육 소비분야 영남대_언론정보_20141117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신동형의 발로 뛰는 ICT Insight
 
Adam Park on Information Technology
Adam Park on Information TechnologyAdam Park on Information Technology
Adam Park on Information Technology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202011 머신비전협회보.pdf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Lighthouse factory in ee industry
 

More from M&M Networks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
M&M Networks
 
4. Smart Exhibition M&M Networks vol1
4. Smart Exhibition M&M Networks vol14. Smart Exhibition M&M Networks vol1
4. Smart Exhibition M&M Networks vol1
M&M Networks
 
3.Smart Bus Shelter M&M Networks vol1
3.Smart Bus Shelter M&M Networks vol13.Smart Bus Shelter M&M Networks vol1
3.Smart Bus Shelter M&M Networks vol1
M&M Networks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M&M Networks
 
1. Smart Retail M&M Networks vol1
1. Smart Retail M&M Networks vol11. Smart Retail M&M Networks vol1
1. Smart Retail M&M Networks vol1
M&M Networks
 
Mirror signage
Mirror signageMirror signage
Mirror signage
M&M Networks
 
Wanfujing media Street
Wanfujing media StreetWanfujing media Street
Wanfujing media Street
M&M Networks
 
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
M&M Networks
 
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
M&M Networks
 
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
M&M Networks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M&M Networks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M&M Network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M&M Networks
 
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
M&M Networks
 
Tomaru
TomaruTomaru
Tomaru
M&M Networks
 
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
M&M Networks
 
Ux matrix
Ux matrixUx matrix
Ux matrix
M&M Networks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
M&M Network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M&M Networks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M&M Networks
 

More from M&M Networks (20)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
0. Smart public media reference m&amp;m networks vol1
 
4. Smart Exhibition M&M Networks vol1
4. Smart Exhibition M&M Networks vol14. Smart Exhibition M&M Networks vol1
4. Smart Exhibition M&M Networks vol1
 
3.Smart Bus Shelter M&M Networks vol1
3.Smart Bus Shelter M&M Networks vol13.Smart Bus Shelter M&M Networks vol1
3.Smart Bus Shelter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2. Smart Media M&M Networks vol1
 
1. Smart Retail M&M Networks vol1
1. Smart Retail M&M Networks vol11. Smart Retail M&M Networks vol1
1. Smart Retail M&M Networks vol1
 
Mirror signage
Mirror signageMirror signage
Mirror signage
 
Wanfujing media Street
Wanfujing media StreetWanfujing media Street
Wanfujing media Street
 
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
 
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
 
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
 
Tomaru
TomaruTomaru
Tomaru
 
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
 
Ux matrix
Ux matrixUx matrix
Ux matrix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_2016 smart signage service model

  • 1.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 연구 기관 스 마 트 미 디 어 산 업 진 흥 협 회 엠 앤 엠 네 트 웍 스
  • 2.
  • 3. 제 출 문 스마트미디어산업진흥협회 귀하 본 보고서를「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의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6년 10월 공동연구책임자 :김 인 성 사 무 국 장 (스마트미디어산업진흥협회) 김 성 원 이 사 (엠앤엠네트웍스) 참 여 연 구 원 :이 춘 성 팀 장 (스마트미디어산업진흥협회) 이 세 리 책임연구원 (엠앤엠네트웍스) 주 연 경 연 구 원 (엠앤엠네트웍스) 유 한 나 연 구 원 (엠앤엠네트웍스)
  • 4.
  • 5. i - 목 차 - I. 연구 개요................................................................. 1 1. 연구 목적 및 의의........................................................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의의............................................................ 2 2. 서비스 모델 발굴 필요성.................................................. 4 2.1. 서비스 모델 개요..................................................... 4 2.2. 서비스 모델의 융합 추세.............................................. 5 2.3. 서비스 모델 유형..................................................... 7 2.4. 서비스 모델의 사업영역............................................... 8 3.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배경......................................... 9 3.1.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기획.......................................... 9 4. 스마트 사이니지 모델 사업화 성공요소.................................... 12 4.1. 서비스 모델 개발 추진 배경과 목적을 명확화.......................... 12 4.2.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 모델을 정확히 이해............................. 12 4.3. 사업화 성공을 위한 필요 자원 조달 방안은?........................... 14 4.4. 서비스 기획에 의한 정확한 실행...................................... 16 5. 연구 구성............................................................... 17 6. 연구 방법............................................................... 20 II. 연구 내용............................................................... 23 1. 과제 연구를 위한 개념 정의.............................................. 23 2.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동향............................................... 29 2.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흐름........................................... 29 2.2. 스마트 사이니지 주요 기술 동향...................................... 30 2.3. 하드웨어(Hardware).................................................. 31 2.3.1. 디스플레이(Display)............................................... 31 2.3.2. 플레이어(Player).................................................. 32 2.3.3. 센서(Sensor)...................................................... 32 2.4. 소프트웨어 (Software)............................................... 33 2.4.1. 클라우드(Cloud) 솔루션 ............................................ 33 2.4.2. 상황 인지 솔루션 .................................................. 33 2.4.3. 가상화 및 비정형 디스플레이 콘텐츠 표출 기술 ...................... 33 2.4.4.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 34 2.4.5. 데이터 분석 ....................................................... 34 2.4.6. 지능형 콘텐츠 편성 및 운영 ........................................ 34 2.4.7. VR(Virtual Reality) & AR(Argument Reality)........................ 34 2.4.8. 보안(Security).................................................... 35 2.5. 연결(Connectivity).................................................. 35 2.5.1. 비콘(Beacon)...................................................... 35 2.6. 콘텐츠(Contents).................................................... 36 2.6.1. 재난 재해, 구조 구급(Emergency)................................... 36 2.6.2. 공공 정보 (Public Information).................................... 36 2.6.3. O2O(Online to Offline)............................................ 36
  • 6. ii 2.6.4. 전시(Exhibition) & 테마 파크(Theme Park).......................... 37 2.7. 디자인(Design)...................................................... 37 2.7.1. 컨셉 디자인(Concept Design)....................................... 37 2.7.2. 콘텐츠 디자인(Contents Design).................................... 37 2.7.3. 제품 디자인 & 기구 설계 ........................................... 37 2.8. 사업 영역(Business)................................................. 38 2.8.1. 서비스 디자인(Service Design)..................................... 38 2.8.2. 시장 조사 및 진출(Research & Lunching)............................ 38 2.8.3. 신규 서비스 & 제품, 솔루션 개발 지원 .............................. 39 3. IoT 기술 및 산업 동향................................................... 39 3.1. IoT 기술 동향....................................................... 39 3.1.1. IoT 주요 기술 ..................................................... 39 3.1.2. 센싱 기술 ......................................................... 39 3.1.3.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 40 3.1.4.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 40 3.2. IoT 시장 현황....................................................... 41 3.3. 시장 규모........................................................... 41 3.4. IoT 서비스 분야..................................................... 43 4.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및 분석....................... 45 4.1.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45 4.2.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 면담 – FGI(Focus Group Interview) ..... 46 5. 국내외 사례 조사 및 분석................................................ 50 5.1. 사례 조사 목적 및 방법.............................................. 50 5.2. 국내외 IoT/스마트 사이니지 주요 서비스 현황 및 분석................. 52 6.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 56 6.1. 서비스 모델 개발 개요............................................... 56 6.2. 융합 서비스 모델 확장............................................... 57 6.3. 연속적 혁신을 통한 서비스 모델 개발................................. 60 6.4.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현장 조사................................... 61 6.5. 서비스 모델 선정 배경............................................... 68 7.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71 7.1. 공공(Smart Cities: 관광)............................................ 71 7.1.1. 서비스 개요 ....................................................... 71 7.1.2. 서비스 구조 및 시나리오 ........................................... 71 7.1.3. 서비스 기대 효과 .................................................. 72 7.2. 공공(Smart Cities: 재난, 재해)...................................... 72 7.2.1. 서비스 개요 ....................................................... 72 7.2.2. 서비스 구조 및 시나리오 ........................................... 73 7.2.3. 서비스 기대 효과 .................................................. 73 7.3. 헬스케어(Healthcare: 요양시설)...................................... 73 7.3.1. 서비스 개요 ....................................................... 73 7.3.2. 서비스 구조 및 시나리오 ........................................... 74 7.3.3. 서비스 기대 효과 .................................................. 74 8.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방안 도출........................................ 75 8.1. 기술과 시장 신규성에 따른 기술 사업화 조사 분석..................... 75 8.2.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사업화 분석.................................... 82 8.3.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사업화에 따른 성공률........................... 85
  • 7. iii 8.4.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을 위한 사업화 검토...................... 87 9. 서비스 모델 별 기술 사업화 방안 도출.................................... 92 9.1. 기술 사업화에 따른 서비스 모델 분야 검토............................ 92 9.1.1. 공공 (Smart Cities)............................................... 92 9.1.2. 헬스케어(Healthcare).............................................. 94 9.2. 서비스 모델 별 기술 사업화 분석..................................... 97 9.3. 서비스 모델 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 적용을 통한 사업화 방안........ 100 9.3.1. 공공(Smart Cities)의 관광 ........................................ 101 9.3.2. 공공(Smart Cities)의 재난/재해 ................................... 102 9.3.3. 헬스케어(Healthcare)의 요양 시설 ................................. 103 III. 결 론................................................................. 105 - 별 첨 - 별첨 I.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_서비스 모델 시나리오 별첨 II.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_현장조사및아이디어발굴 별첨 III. IoT 기반 스마트사이니지 사례조사 및 FGI, 회의록
  • 8. iv - 그 림 목 차 - [그림 1] IT 서비스 2.0 DOMAIN ...................................................5 [그림 2] 교통종합 서비스 ......................................................6 [그림 3] IT 서비스에 의한 가치사슬 상향곡선 ....................................7 [그림 4] 서울시 교통카드 융합 서비스 모델 ......................................7 [그림 5] 서비스 정체성 ........................................................9 [그림 6] 서비스 구축 단계별 분석 요소 .........................................10 [그림 7]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11 [그림 8] 과제 연구를 위한 프로세스 방법 .......................................20 [그림 9] 사업화 검토를 위한 도구 ..............................................22 [그림 10] IOT 개념도..........................................................23 [그림 11] 시스코의 IOE 개념 ...................................................24 [그림 12] IOT 정의 공통점과 차이점 ............................................25 [그림 13] 스마트 기능 정의....................................................25 [그림 14] IOE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요소 .........................26 [그림 15] IOT 플랫폼 연동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개념도..........................27 [그림 16] 스마트 사이니지 요소 기술 ...........................................30 [그림 17] 국내외 IOT 시장 전망 ................................................42 [그림 18] IOT 기반 센서.스마트기기 연결 구조 ..................................43 [그림 19] IOT/디지털 사이니지 사례 조사 계획 ..................................51 [그림 20] IOT/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사례 조사 프로세스 .........................51 [그림 21] 서비스/기회 요소 매트릭스(SERVICE/OPPORTUNITY MATRIX)...................57 [그림 22] 사업 모델 개발 방법 요소 ............................................88 [그림 23]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모델 요 ..............................89 [그림 24]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91 [그림 25]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 생태계 ........................................100 [그림 26] 공공(SMART CITIES)의 관광 부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 ..................101 [그림 27] 공공(SMART CITIES)의 재난, 재해 부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 ............102 [그림 28] 헬스케어(HEALTHCARE) 부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103
  • 9. v - 표 목 차 - <표 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발전 방향 .........................................29 <표 2> 세계 IOT 시장 규모 .....................................................41 <표 3> 국내 IOT 시장 규모 .....................................................42 <표 4> IOT 서비스 분류 ........................................................45 <표 5> 스마트 사이니지 & IOT 전문가 리스트 ....................................47 <표 6>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기회 확장 모델 매트릭스 .........................58 <표 7> 서비스 모델 선정을 위한 현장 조사 ......................................62 <표 8> 기술 사업화에 따른 시장과 기술 신규성 구분 .............................75 <표 9> 스마트 사이니지 시장 기술 신규성에 따른 사업화 요소.....................84 <표 10> 시장과 기술 신규성에 따른 성공 확률 ...................................85 <표 1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사업화 성공 포지션 ...............................87 <표 12>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의 공공 시장 진입에 따른 신규 ..................93 <표 13>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의 헬스케어 시장 진입에 따른 신규성 ............95 <표 14> 관광/재난재해의 기술 사업화 요소 포지션 ...............................98 <표 15> 헬스케어(HEALTHCARE) 요양 시설 기술 사업화 포지션 .......................99
  • 10. 1 I. 연구 개요 1. 연구 목적 및 의의 1.1. 연구 목적 국내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기술 역량의 차이가 많다.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한 대기업은 세계 최고 기술을 가지고 글로벌 시장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국내 시장을 중심으로 치열한 경쟁을 하면서 좁은 시장에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따른 응용 기술 개발에 치중하고 있다. 국내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춘 응용 기술은 글로벌 시장 진출에 있어 제약 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사업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특정 산업의 특정 고객 중심의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 사업을 지양해야 한다. 시스템 통합 사업 은 고객 맞춤형이 될 수 있지만 개별 고객의 특성에 맞추어 개발, 제작, 생산, 운영되기 때문에 시장의 확장성과 표준화에 걸림돌이 되며, 중소 기업의 핵심 기술 개발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특정 산업에서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을 갖고 고객 군에게 필요로 하는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정 산업에 대한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 보다도 고객이 속한 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핵심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기업과 같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글로벌 표준 제품을 개발, 생산, 공급하는 방식으로는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화되고 특정 산업에 전문화된 지식과 경험을 갖고 기술과 서비스를 융합시켜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량의
  • 11. 2 강화를 위해서는 보편적인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옥외 광고 산업 분야를 넘어서서 다른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이 해당 산업에서 필요와 욕구를 내재 및 수용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다른 산업과의 융합을 위해서는 기술의 진보와 확장, 기존 시장에 대한 이해와 신규 시장에 대한 전망과 위험 요소 점검이 필수적이다.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을 하는 기업에게 있어 레드오션(Red Ocean)에서 벗어나 블루오션(Blue Ocean)으로 전환하는 방향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전망과 서비스 모델 개발의 접근과 사업화 방안 도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다. 본 과제의 연구 목적은 기술과 서비스 그리고 산업의 융합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사업화 방안을 도출하여 국내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이 다양한 시장에 진출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대중소 상생 협력으로 디스플레이 기술 경쟁력 중심의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이 전문화된 기술과 서비스를 갖고 글로벌 특정 산업을 이끌 수 있는 역량의 기회의 틀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1.2. 연구 의의 본 과제는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사업화 방안 연구”로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한다. IoT 는 기술적 영역으로 다양한 산업에 융합되어 기존의 산업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옥외 광고 산업과 융 복합되면서 신 산업으로 형성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과제 연구에서 IoT 를 진보된 기술로 스마트 사이니지가 수용하면서 새로운 서비스와 사업화를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의의이며 핵심적인 부분이다. 이를 위해서 IoT 기술로 서비스 가능한 영역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있어야 한다.
  • 12. 3 또한 IoT 서비스가 갖는 특징을 파악하여 스마트 사이니지와의 융합을 통한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IoT 기반의 서비스와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의 융합 가치와, 서비스 모델 개발에 따른 사업화 가치 검토를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IoT, 스마트 사이니지, 광고, 유통, 서비스 디자인, O2O)의 자문과 현장 조사를 통해 실제 구축 가능하며, 향후 사업화 가치를 갖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사업화 방안까지 제안한 것은 연구 차원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사업 적용화 단계까지 진행된 보고서로서 의의를 갖는다. 서비스 모델 개발과 사업화 방안 도출을 위해 각각의 IoT 기반 서비스와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가 적용된 현장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각각의 현장에서 제기된 문제를 정의하고 풀어가는 해결 방안으로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가 그 역할을 담당 하는 서비스 모델을 연구였다. 그리고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융합에 따른 기술 사업화 성공 요소를 찾아 내고, 서비스와 사업 기회의 확장을 위한 포지셔닝을 분석하여 융합에 따른 가치 측정과 명확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신규 서비스의 사업화에 따른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리스크를 최소화 시키는 가이드를 제시한 부분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국내에서 기술 사업화에 따른 서비스 모델 및 사업화 방안에 대한 인식이 낮아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는 기술 기업의 경영에는 한계가 있었다.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수용 하면서 시장을 이끌기 위해서는 문제 정의와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하는 서비스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와 함께 기술 사업화 성공을 위한 기업 포지셔닝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했다. 본 과제 연구는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간의 융합 관점에서 접근을 하였고, IoT 를 스마트 사이니지의 부분 기술로 수용하면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신규 시장 진입 및 만드는 과정과 사업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에서는 서비스 모델 개발에 대한 이해도와 고객 군으로 분류된 산업에 대한 전문성이 낮아 새로운 서비스와 시장에 대한 필요성 대비 준비가 많이 부족했다. 본
  • 13. 4 과제 연구가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서비스와 신규 시장의 개척에 있어 방향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대는 현장의 상황과 전문가들의 의견 그리고 연구원들의 조사와 분석에 근거한 전망이다. 2. 서비스 모델 발굴 필요성 2.1. 서비스 모델 개요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에 IoT 기술이 도입이 되어 융합된 서비스를 할 경우 새로운 서비스 모델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서 융합이란 서로 다른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공정(process)간의 화학적 결합을 통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현상이다. 융합의 사전적 정의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것이 하나로 합쳐지는 일, 물리적인 합이 아닌, 화학적인 합을 의미하기도 하고 특히, 기술적인 측면에서 융합을 컨버전스(convergence)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한 점으로 집 합’하는 ‘수렴’을 의미한다. 학문적인 출발점에서 융합은 경제학에서 번들로 두 상품을 하나의 상품으로 묶어서 판매하는 전략이고 경영학 에서 서로 다른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공정 간의 결합현상이다. 주요 관심사항은 경제학은 결합상품간의 가치의 상관관계 혹은 상품간 대체/ 보완 관계, 산업 내 경쟁에 따른 최적 상품 판매 전략이고 경영학은 가치사슬의 변화, 이종 산업간의 M&A, 지분투자 현상, 산업구조 의 변화에 있다. 융합 서비스 모델차원에서 융합이란 디지털, 네트워크 고도화, 신기술 들의 통합(technology integration), 영역확대(convergence extension), 새로운 가치창출(value creation)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ITU(1996)은 기존 인프라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새로운 형태의 인프라를 개발하는 것, 새로운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와 기술들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하였고, EU(1997)은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 및 전화, PC, TV 기기 등이 통합되는 현상, 하버드(1997)은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며, 통신, 가전,
  • 14. 5 컴퓨터 등의 기기들이 서로 유사한 기능을 가지게 되는 현상, OECD(2003)은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한 동일한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전달하거나 상이한 기기들이 동일한 구성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기존 서비스와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였다. 2.2. 서비스 모델의 융합 추세 새로운 수익 원천과 신시장 발굴을 위해서 제품의 서비스화, 서비스의 상품화 등 새로운 사업모델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그림 1] IT 서비스 2.0 Domain 1 제조기업은 제품의 제조중심으로 기업의 주 활동과 인접 활동, 또는 종합적인 시각에서 사업기회를 발견하여 서비스를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구글, 아마존, 디즈니 등 세계적인 대기업들은 축적된 서비스를 토대로 융합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구글 웹 서비스 사용을 최적화 시킨 휴대폰 을 개발, 서비스를 제품화하고 있고, 아마존은 온라인 Book 쇼핑몰 서비 스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e-Book(Kindle)을 개발 상품화, 디즈니 랜드는 영화 등의 서비스 콘텐츠에 기반하여 테마파크, 캐릭터 상품 등을 개발하여 사업화, SAP 은 IT 서비스에 대한 노하우, 프로세스 등을 1 출처: 삼성 SDS, 2008
  • 15. 6 패키지화하여 SW 제품을 서비스화하고 있다. 융합 서비스 모델의 국내 서비스 제품화 사례로는 교통 종합 서비스로 유관기관에 분산된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 및 가공하여 차량, 유무선 단말기, 대중 교통 정류장, 키오스크 등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림 2] 교통종합 서비스 2 IT 융합 기술의 발전 정도에 따라 IT 제품과 기능간 컨버전스, 네트워크와 서비스간의 컨버전스, 사물과 기기와 사람과의 융합유형으로 구분된다. 사물과 기기의 융합은 IoT(Internet Of Things)로 IT 기술의 보편화와 센싱, BT/NT 등 신기술의 융합으로 기기, 사물, 시설물, 인간 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고도화된 가치를 창출하거나 로봇을 통한 생활의 변화까지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가치사슬에서 새로운 형태로 변모되는데, 새로운 가치사슬의 상향 이동에는 IT 서비스 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출처: 그림 2,3,4 NIPA
  • 16. 7 [그림 3] IT 서비스에 의한 가치사슬 상향곡선 2.3. 서비스 모델 유형 서비스 모델을 서비스, 업무, 기능, 기타 조합 등의 5 가지 모델로 패키지 상품화가 가능할 수 있다. 서울시 교통카드 서비스는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카드와 IT 기술을 조합하여 적용한 성공적인 융합 서비스 모델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림 4] 서울시 교통카드 융합 서비스 모델 공인 전자문서 서비스도 기업에서 발생하는 전자 및 전자화 문서를 공식적으로 보관, 열람, 유통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구축하여 사용자들
  • 17. 8 로부터 서비스 사용료를 징수하는 성공적인 서비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융합 서비스 모델은 서비스 적용 범위와 수준에 따라서 기업, 산업, 국가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기업이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산업, 국가 수준의 서비스 모델 개발은 정부의 참여와 지원이 필요하다.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도 기업 차원에서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산업으로 국가적 차원의 산업 진흥과 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융합 공공 서비스 모델은 IT 와 다른 Product, Service 를 융합하여 공공 영역의 이슈나 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고객 가치와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도 과거 민간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여 오다가 산업적인 성장의 한계로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융합 공공 서비스 모델의 주요한 특징으로는 첫째, 공공성으로 국가와 경제적, 사회적 이슈를 IT 서비스로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어서 공익적 측면에 매우 중요하다. 둘째, 수익성 측면에서 민간자본이 투자에 참여하는 사업으로 운영 수익 창출을 통해 투자비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기대 수익이 필요하다. 셋째, 개방성 측면에서 사업기획, 실행에 민간기업과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의 사업이다. 넷째, 사회적, 정책적 차원에서 사회문제 해소, 산업육성, 경제발전 등의 효과성이 요구된다. 다섯째, 혁신성으로 제품과 서비스 기업과 SI 기업 간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하며 신규 사업 진출로 신시장 창출이 가능해야 한다. 2.4. 서비스 모델의 사업영역 스마트 사이니지의 융합 공공 서비스 모델의 사업영역은 공공영역, 산업 영역, 공통 플랫폼 영역 등의 3 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 영역은 순수 공공 서비스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공공기관의
  • 18. 9 민원 서비스로 IoT 기술을 활용해서 공공기관 및 민원 서비스가 가능하다. 법 규제가 이슈로 옥외 광고물 법이 발효됨에 따라 사이니지의 설치가 과거보다 자유로워 짐에 따라 공공영역의 서비스가 활발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가 현안 해결 서비스 차원에서 국가 경제 영역인 교통 /물류, 에너지/환경, 도시/시설과 국민 생활 영역의 의료, 문화/관광, 통신/미디어 서비스분야에서 스마트 사이니지가 공공 사업적 활동의 역할을 할 것이다. 둘째로 산업 영역으로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제조업 서비스화 강화, 공공과 민간 산업의 융합서비스 분야가 있고, 공통 플랫폼 서비스차원에서 스마트 사이니지가 주요하게 될 것이다.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도 신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새로운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3.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배경 3.1.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기획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을 계획한다고 하면, 일반적인 서비스 기획에 필요한 요소들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왜 그 장소에 설치를 해야 하고 무엇을 서비스 하는지, 어떻게 구축을 해야 하는지를 고민을 해야 한다. 일례로 사이니지를 교통 시설물에 구축을 할 경우에도 동일 한 기획의 과정이 필요하다. [그림 5] 서비스 정체성
  • 19. 10 스마트 사이니지는 설치장소가 공공장소 즉, 공간적인 요소가 반영된 콘텐츠를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Why, What, How 에 대한 질문을 반복하면서 서비스정체성을 해결해 나가면서 솔루션을 만들 어 나가야 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를 구축하면서 가장 많은 오류를 범하는 것이 서비스 제공자가 얻고자 하는 목적에 중점을 두고 어떻게(How) 구축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많이 있다. 공급자 관점에서 어떻게(How)라는 요소에 중점을 두게 되면, 사용자 또는 고객관점에서 필요한 서비스가 간과되는 경우가 많이 발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설치 공간과 장소에 부합되지 않아서 사용자와는 무관한 행동이 유발되거나 제공되는 광고나 정보가 효과를 제대로 발생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행 착오는 왜(Why)해야 하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과 답에 필요한 사전 조사 과정이 생략되어 스마트 사이니지를 공급하는 사업 주체가 주관적 으로 판단하거나 무엇(What)을 보여줘야 하는지에 대한 사전 고려 없이 진행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공공 미디어인 스마트 사이니지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와 정보에 대한 서비스 정체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기획에 대한 접근방법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그림 6] 서비스 구축 단계별 분석 요소
  • 20. 11 공공 디자인 측면에서는 설치장소가 공공장소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공간 간의 소통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설계 요소를 반드시 디자인에 반영 을 해야 한다. 스마트 미디어 측면에서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광고와 정보제공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 즉 고객에게는 서비스 가치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공간 기반의 공공 미디어가 되는 것이다. ICT 기술, 공공 디자인, 스마트 미디어인 스마트 사이니지는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공간에 따라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새로운 서비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에 따라 특정한 공간에 서비스 구축이 제대로 되어야 한다.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기준에 의해서 구축된 공간인 광장, 보행로, 쇼핑몰, 지하철, 병원 등에서 스마트 사이니지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개념과 가치가 달라진다. 서비스 디자인의 요소인 기술, 기획과 설계, 운영 측면에서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이 되어야 한다. [그림 7]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공간이 갖는 의미와 사용자와의 관계를 분석, 진단하며 공간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관찰하여 미디어를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과 서비스 제공의 이유를 찾아서 사용자의 경험에 적용한다. 궁극적으로 스마트
  • 21. 12 사이니지 디자인 서비스 구축 방법론의 목표는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에 비추어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계 및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다. 4. 스마트 사이니지 모델 사업화 성공요소 4.1. 서비스 모델 개발 추진 배경과 목적을 명확화 성공적인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의 사업화 성공요인으로는 사업 을 왜 추진하려고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명확하게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어떤 맥락과 상황에서 사업 또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려고 하는 가를 이해해야 한다. 먼저 신규 서비스 모델을 추진하게 된 기업 내. 외부 및 환경을 분석하고 추구하는 목표와 사업의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방법으로는 사업 환경 문헌조사를 통하여 신규 서비스 모델 관련 산업, 소비자, 정책 이슈를 조사하고 참여기업의 핵심 역량 및 사업 현황을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신규 서비스 모델 추진배경 및 목적 정의서는 사업환경 요약, 참여 기업의 핵심역량 요약이 포함되어야 한다. 신규 서비스 추진배경 정의에서 사업환경분석은 서비스 모델 관련 시장의 현황 및 거시적 사업환경(사회, 산업, 정부, 정책 등)을 조사하여 사업의 필요성을 정의하는 활동을 말한다. 핵심역량 정의는 참여 기업의 핵심역량 및 사업현황을 요약 정리함으로써 참여 기업이 본 서비스 모델을 어떻게 추진하려고 하는지를 명확하게 하는 활동이다. 또한, 신 서비스 모델 추진 목적 및 목표 정의서는 사업개발 범위 및 수행 방법을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신규 서비스 모델 목표 정의는 국가/사회적 측면, 정책적 측면, IT 산업 측면, 연관 산업 측면에서 어떤 편익 및 효과가 있을지 개략적으로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4.2.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 모델을 정확히 이해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모델을 수립해서 현실적으로 추진 가능한 초기 서비스 모델을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 모델에 참여하는
  • 22. 13 이해관계자, 즉 생태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해 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잘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초기 사업모델에서 고객의 서비스 방안을 수용하여 확장된 사업모델을 수립하여 제시가 되어야 한다. 첫째, 사업모델 단계에서는 현재 수준에서 실행 가능한 구체적인 신규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사업모델의 구성요소를 분석해야 한다. 사업모델 수립에는 목표 고객, 제공 서비스, 수익 흐름, 제공 인프라, 사업참여자를 구체화해야 한다. 고객 요구 분석은 마케팅의 STP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기법과 Interview, 설문, 관찰 등 마켓 리서치 기법을 활용한다. 산업 분석은 가치사슬 분석, 기존 서비스 및 공급자 분석을 실시한다. 융합 서비스 컨셉 도출은 사용자 상황(Context)분석과 브레인스토밍 및 아이디어 도출 기법을 토대로 서비스 컨셉을 기술한다. 최종 서비스 도출은 주로 스토리보드 형태의 시나리오로 표현하여 서비스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기 쉽게 표현한다. 서비스 컨셉 테스트는 도출된 서비스 컨셉을 타겟 고객에게 제시하여 고객의 수용 가능성을 테스트한다. 또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주요 사업모델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장 표에 이해하기 쉽도록 도식화 한다. 그 주요한 산출물로는 고객분석서(목표고객의 현황, 속성, 니즈를 조사 분석한 기술서), 기존 서비스 분석서(현행서비스 수준, 공급자, 문제점 및 개선사항 기술서), 사업모델 구성도(사업모델 구성요소 간의 서비스/수익 원천의 흐름을 도식화한 그림), 서비스 컨셉 기술서(서비스 내용 및 기능, 용도, 제공 방식)가 있다. 둘째, 이해관계자 분석은 직접 참여하는 Product/Service 업체, IT 업체뿐만 아니라 사업과 관련성이 있는 공공기관, 기존 사업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현황과 니즈를 분석하고 쟁점사항을 사전에 도출 및 조정하여 신규 서비스 모델에 반영토록 한다. 분석의 목적은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관계를 사전에 조정하여 제공 서비스, 추진 조직, 프로세스 등을 신규 서비스 모델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해관계자 단계별 분석 방법은 1 단계 이해관계자 분석, 2 단계 이해관계자 우선순위 도출, 3 단계 이해관계자 별 현황 및 계획 분석, 4 단계 이해관계자 분석 요약 및 조정 필요 분야 도출, 5 단계
  • 23. 14 이해관계자 조정방안이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이해관계자분석(사업 참여 이해관계자의 현황, 속성, 니즈를 조사 분석한 기술서), 정부정책 현황분석서(해당 사업과 관련된 정부 부처 추진 정책과제와 예산을 분석 한 기술서), 이해관계자 Map(이해관계자 현황 조사를 통해 도출된 현재 사업 구조 그림), 이해관계자 조정 계획서(이해관계자들의 갈등 요인, 정책 등의 이슈와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분석한 계획서)이다. 셋째, 확장 서비스 모델은 초기 서비스 모델 수립 단계에서 도출된 1 차 사업모델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관계자, 특히 정보/공공부분의 요구 및 추진 정책을 최적 조정 및 통합 할 수 있는 확장 서비스 모델을 도출 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의 수요예측을 통해서 신 서비스 시장의 규모가 추정될 수 있다. 확장 서비스 모델의 목적은 사업 참여가 있는 기업차원 의 융합 서비스 모델을 발전 시켜 산업/국가 차원의 대규모 혁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신규 사업모델을 도출하는 것이다. 도출 방법으로는 1 차 서비스 모델 구성요소를 확대 변경하여 목표 고객, 고객 가치, 제공 서비스, 서비스 인프라, 공급사슬, 서비스 운영 조직, 운영 프로세스, 수익모델 등을 도출할 수 있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확장 서비스 모델(1 차 서비스 모델 구성도에 이해관계자 이슈를 조정하고 서비스 범위를 확장 및 재 구성한 그림), 단계별 서비스 및 고객 확장 계획서(서비스 모델을 고객과 서비스 측면에서 어떤 단계로 어떻게 확대 시켜 갈 것인지에 대한 계획)로 구성되어 있다. 4.3. 사업화 성공을 위한 필요 자원 조달 방안은? 사업모델관련 필요 기술 도출 및 정부 정책 연계방안을 면밀히 검토를 해야 한다. ICT 기술과 연동되는 스마트 사이니지의 기술 환경 분석, IoT 센서, 빅 데이터, C-P-N-D 와 관련된 기술을 제대로 분석을 해야 한다.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의 진흥을 위한 미래부의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활성화 정책과 행정자치부의 옥외광고물법 디지털 사이니지 시행령, 조례, 기술 가이드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서비스 모델에 이해 관계자들과의 관계에서 재무적 관점에서 예산 및 비용을 누가 조달을 할
  • 24. 15 것인가가 먼저 파악이 되어야 한다. 아울러 시장성, 수익성측면에서 분석이 되어야 한다.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성공을 위해서 첫째, 기술 분석 단계에서는 신 서비스 모델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IoT 기술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 정부의 관련 육성정책 및 IT 정책에 부합되는 최적의 기술 도달 방안을 수립한다. 기술 분석 방법으로는 필요 기술 분석을 위해서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기술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다양한 기술요소들을 분석하고 기술 조달은 필요 현재 상용화된 기술, 개발 중인 기술, 신규 개발이 필요한 기술을 구분하여 구체적인 조달 방안을 도출한다. 주요한 산출물 로는 필요 기술 분석표(기술 구성 요소별 상세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조달방안을 도출하여 기술한 문서), 신규 기술개발 필요 과제 제안 목록(신규 기술 개발이 필요한 기술로써 정보의 기술 개발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부에 선 제안할 수 있는 과제 목록), 특허 출원 기술 명세 서(기술 기반의 사업모델 또는 요소 기술 특허 출원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여 명세화)가 있다. 둘째, 재무분석단계에서는 해당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투자 비, 운영비 등의 소요되는 자금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신 서비스 모델 의 경제성(시장성, 수익성 등)을 평가하는 활동을 말한다. 그 주요한 목적으로는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소요자금, 자금 적기 조달 방법, 적정 수익 등을 추정하고 소요자금 대비 수익성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익구조 모델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재무분석 방법에는 소요자금 분석, 수익모델 도출, 시장성 분석, 수익성 분석 등이 있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투자비/운영비 산정 내역서(SW, HW, 기반 시설 등의 인프라 구축비와 이를 운영하기 위한 인건비, 시스템 운영비, 유지보수비, 제 경비 등의 추정 목록), 수익 모델 구성도(서비스/제품 흐름에 따라 생성되는 자금 요소 및 흐름도를 도식화한 그림), 시장성 분석(서비스/제품의 시장 매력도와 판매 가능성을 분석한 기술서), 수익성 분석서(투자비/운영비 산정 내역과 시장성을 기반으로 한 예상 매출액 분석으로 투자 자금 회수 가능 기간, 이익금 발생 정도 및 시점 등을 추정한 기술서)이다.
  • 25. 16 4.4. 서비스 기획에 의한 정확한 실행 스마트 사이니지 법. 제도 개선 및 민관협력 모델, 정부와 지자체와의 지원과제 도출 및 민간 프로젝트의 과제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 하다. 서비스 프로젝트 추진 계획 및 로드맵에 의한 세부 실행계획을 단계별로 Action 과제를 도출하여 일정 계획에 맞추어서 실행해 나가는 것이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다. 본 사업의 사업화 및 시장 확보를 위해 첫째, 정부차원에서 지원 되어 야 할 요소(법·제도 이슈, 추진 조직 구성 등)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향후 정부지원 추진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접근방법 으로는 법·제도 분석, 사업 참여 대상 및 역할 분석, 정부지원 과제 분석 등이 있다. 주요한 산출물로는 법·제도 분석서(해당 사업과 관련 된 법·제도를 분석하여 사업 추진 장애요인을 도출한 기술서), 사업 추진 조직 구성도(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운영 조직 구성을 위해 사업참여 형태, 참여 내용, 활동 역할 등을 분석하여 도식화), 정부지원 필요사항 목록(기술, 재무, 법·제도 타당성 분석을 통해 본 사업 구현 을 위해 필요한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을 도출한 기술서)가 있다. 둘째,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선행단계에서 검토된 사업의 핵심 단계 요소(서비스 개념도, 시스템 구축, 운영 조직 설립, 홍보 및 마케팅 등)와 달성 가능한 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과정이다.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사업 기반 구축부터 서비스 활성화까지 장단기적 으로 단계별로 구축 되어야 할 필수 활동 내역과 시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방법으로는 사업 추진 단계별 활동 요소 분석, 인프라 및 시스템 구축 소요 기간 분석, 사업 추진 일정 Mapping 활동이 있다. 그 주요한 산출물로는 사업 추진 로드 맵(장기적 차원에서 사업 추진을 위해 필요한 수행 활동 내역과 소요기간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한 일정표), 상세 추진 일정 계획표(단기적으로 수행 해야 할 활동 내역을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한 계획표)가 있다.
  • 26. 17 5. 연구 구성 본 과제의 연구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분석. 두 번째는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세 번째는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방안 도출 등이 연구 내용이다. 첫 번째,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분석에서는 스마트 사이지에 적용된 기술에 대한 조사와 함께 현재 국내외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형태 등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의 발전 과정 과 동향을 조사하고, IoT 기반으로 한 서비스와의 접목에 있어서 시장 에서의 수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분석은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 를 대상으로 하여 사업 성공을 위한 요소와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에 따른 요구 사항 등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이 옥외 광고 중심의 사업화에서 벗어나 기존 산업영역 에서 미디어 역할을 담당하면서 사업화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이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다. 기존의 옥외 광고 산업 기반의 사업화 모델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사이니지가 사업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산업과 발전되고 새로운 기술의 융 복합을 통해 새로운 사업화가 가속화 될 것이다. 이를 위한 준비로 문헌 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사업화에 대한 요소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IoT 서비스 분야 중에서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와의 융합을 이끌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가와 종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필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핵심 기술에 대한 조사와 흐름과 사례 조사와 분석을 통해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사업은 지속성을 바탕으로 혁신을 추구해야 하며, 혁신은 새롭거나,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것을 만드는 것이다. 이 명제를 위해 기술과 서비스, 산업과 시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방향성에 대한 연구 조사를 진행하였다.
  • 27. 18 두 번째,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에서는 서비 스 모델의 도출 과정을 제시하였다. 서비스 모델 개발에 따른 프로세스 와 조사, 연구, 도출 과정을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또한 본 과제의 주요 연구 사항으로 중소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실제 시장에서 적용 가능하고 사업화가 가능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 조사로 문제 정의와 해결 과정을 거쳐,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이 적용 가능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기술 사업화와 서비스 기획 확장 등을 검토하였다.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 콘티, 서비스 흐름도, 서비스 프레임 워크 등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해 관계자들 간의 의견을 수렴하고 기술과 사업 구현 및 서비스 수용자와 제공자 간의 이해 관계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서비스는 제공과 수용의 관계에서 확장되어, 문제를 정의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 문제 해결과 동시에 더 나은(Better), 차이가 나는(Different), 그리고 전에 없는 (Creative) 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기존의 산업과 발전된 기술 그리고 우리의 문화 생활이 결합되어 제시되는 것이다. 지금은 기술의 발전이 산업을 이끄는 시대가 아니라 사람의 필요와 욕구 그리고 새로운 문화 흐름에 따라 기술이 함께 발전하는 시대이다. 서비스 모델 개발은 기술 관점에서 확장하여 사용자(User)와 보편적 사람(Universal Design)을 고려하여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연구를 본 과제에서는 실제 구축 가능한 수준의 시나리오 형태와 기술 기반에 대한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세 번째,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방안 도출은 수익 창출을 위해 사전에 검토하고, 위험요소를 점검함으로써 사업 계획 수립의 기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사업화에 중요한 요소는 현실성과 구체성 그리고 위험 요소 파악과 함께 가능성, 수익성에 대한 가치 측정이다. 이러한 다양한 사업화 요소 부분을 검토, 검증하기 위해 사업 기획 및 계획을 위한 도구인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를 활용하였다.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는 사업을 실행하는 데 있어 반드시 검토할 부분에 대해 사업 주체가 점검함으로써 사업의 구성과 계획을 면밀히 검토해 볼 수 있는 도구이다. 사업화를 위한 측정
  • 28. 19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사업화에 따른 준비와 이해관계자 간의 역할 그리고 투입 대비 수익의 효용성 부분에 이르는 가시적인 시뮬레이션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사업화에 따른 서비스의 가치 측정을 할 수 있다. 사업에 있어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내부 역량을 객관화 하여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본 과제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 중점을 두었다. 본 과제 연구 내용은 첫 번째,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분석. 두 번째,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세 번째,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방안 도출이다. 연구 내용은 실 구축을 위한 기획과 설계, 마스터 플랜 수립 단계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서비스가 재해석되고, 새로운 서비스가 개발 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누구나 알 수 있고 뻔한 기술 (low Technology)이 문제 해결을 위한 좋은 서비스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기술과 기술이 만나(Convergence Technology) 새로운 기술(Application Technology)이 되어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또는 고도의 기술(Core & Hi Technology)이 우리가 상상하고 꿈꾸던 세상에 없는 서비스를 실현시켜 주기도 한다. 가까운 미래는 기술 기반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안하고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지속적인 발전의 핵심은 바로 우리 삶에 의미를 주는 가치에서 시작되며, 그러한 가치는 사업화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연속성에 대한 이해를 본 과제에서 담도록 연구를 구성하였다.
  • 29. 20 6. 연구 방법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사업화 방안 마련을 위한 과제 연구를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문헌조사, 전문가 면담 등을 기본으로 하였다. 그리고 문헌 조사와 전문가 면담을 통해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서비스 사업 분야와 범위 그리고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 개발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설계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국내외 IoT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사례 조사와 동향에 대한 부분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가 옥외 광고 이외의 시장에서 활동하는 사례와 IoT 기술과 접목된 스마트 사이니지 사례 조사 등을 통해 향후 사업 방향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에 두었다. 기술의 흐름과 서비스의 방향성에 대한 조사는 전문가 면담 시 활용되는 사전 조사이며,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사업 분야 선정을 위해 필요하다. [그림 8] 과제 연구를 위한 프로세스 방법 전문가 면담에서는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하여 기업 규모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그리고 스타트 업 등으로 다양화 하고 전문가는 해당 분야에서 최소 7 년이상 근무한 분들을 위주로 선정을 하였다. 전문가 면담의 목적은 해당 기업이 현재 주력으로 하고 있는 사업 분야와 개인적 의견으로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를
  • 30. 21 적용하였을 때 적절하고, 사업적으로 유의미한 분야와 서비스에 대한 개별적인 의견에 대한 자문이었다. 이를 통해 문헌 조사와 비교하여 방향성 설정에 목적을 두었다. 서비스 사업 분야에서는 문헌 조사와 전문가 면담을 통해 얻은 사업 분야에 대한 검토와 함께 해당 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을 선정하고, 개발한 후 사업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리고 사업화 분야와 서비스 모델 개발이 되면 앞서 참여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 모델에 대한 검증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연구 방법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전문가 면담이다. 해당 분야 전문가에 의해 방향성을 잡고, 그리고 서비스 모델에 대한 검증과 자문을 통해 향후 2~3 년 후에 서비스 가능한 모델을 발굴하고 사업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 방법을 설계하였다. 전문가는 마케팅, 개발, 사업 기획 등의 다양한 구성원으로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에 대한 이해 도가 있는 분들로 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전문가분들이 소속된 기업에서 현재 향후 서비스를 준비 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기업 내부 사업을 언급해 할 수 없는 한계는 있었지만, 서비스 모델 개발에 따른 방향성과 적정성 그리고 가능성에 대한 자문과 협업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여 본 과제의 연구 개발에 있어 전문가 구성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기로 하였다. 본 과제 연구에는 사업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서비스 모델 개발 이후 사업화 방안에 대한 도출을 위해 2 가지 도구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하나는 기술 사업화 요소와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이다.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업화 모델이며, 사업화를 위한 아이템 으로 서비스 모델이 필요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래서 먼저 기술과 시장 이라는 관점에서 사업화 요소로 강점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가 필요했다. 기술 사업화에 따른 시장과 기술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시장 에서의 포지셔닝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모델 개발과 분석이
  • 31. 22 필요하다. 기술 사업화 요소를 통해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서비스가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림 9] 사업화 검토를 위한 도구 기술 사업화 요소를 통해 선정된 사업 분야의 시장 포지셔닝이 설정되면 구체적 서비스 모델을 위한 관계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업화의 가능성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비지니스 모델 캔버 스라는 도구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는 사업화에 따른 핵심적인 사항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하였고, 사업에 필요한 관계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의 사업성과 수익에 대한 가치와 서비스 모델이 갖는 특징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과제 연구가 국내 스마트 사이니지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향후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에 대한 사업화 방안과 서비스 모델 개발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론과 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기업에게 가능성 있고 타당한 서비스 모델 개발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개별 기업들이 각 사가 갖고 있는 역량을 기준으로 향후 사업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의도를 연구에 함께 반영을 하였다.
  • 32. 23 II. 연구 내용 1. 과제 연구를 위한 개념 정의 IoT(Internet Of Thing) 3 기반에 대한 의미적 해석은 사물(Thing)에 대한 정의에서부터 필요하다. 본 연구 과제에서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gnage)서비스를 위한 전제가 IoT 이기 때문이다. [그림 10] IoT 개념도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를 위한 사물(Thing)의 범위와 규정에 있어 인터넷을 이용한 사물과 사물(M2M), 사물과 사람(M2P), 그리고 소셜 3 참조: 1999 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오토아이디센터(Auto-ID Center) 소장 케빈 애시턴(Kevin Ashton)이 향후 RFID(전자태그)와 기타 서를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사물에 탑재한 사물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물 인터넷 기술의 유래 및 정의 (사물인터넷의 미래, 2014. 11. 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신문사)
  • 33. 24 네트워킹 같은 사람과 사람(P2P)이 연결된 것(IoE: Internet of Everyt- hing) 4 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림 11] 시스코의 IoE 개념 IoT 와 IoE 에 대한 구분은 다음과 같다. IoT 는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로서 사람과 사물을 중심으로 공간과 데이터 등이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초 연결 인터넷(Hyper Connected Internet)을 4 참조: 시스코 소프트웨어&서비스플랫폼 수석부사장(SVP)은 "IoE 는 IoT 에서 시작한다"며 "IoT 는 이전에 연결되지 않았던 것을 연결하려는 움직임이고, IoE 는 규모 있는 비즈니스 변환에 대한 약속을 가진 패러다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IoE 연결은 로봇과 센서 같은 사물과 사물(M2M), 사물과 사람(M2P), 소셜네트워킹 같은 사람과 사람(P2P)의 세 형태가 있다"며 "IoE 의 세계는 다른 수준의 복잡성을 만들어낸다"고 덧붙였다. - 지디넷: 시스코가 IoT 대신 IoE 라 부르는 이유: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0522025920 ]
  • 34. 25 의미하고 있다. IoE 는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의 개념을 넘어 연결 가능한 모든 것으로 사물과 사물(M2M), 사물과 사람(M2P), 소셜 네트워킹 같은 사람과 사람(P2P)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림 12] IoT 정의 공통점과 차이점 5 IoT 와 IoE 개념 구분의 기준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서비스 되는 대상의 범위이다. 인터넷으로 사물이 연결된 이후 상호 연결, 상호 작용, 상호 운영 등의 개념적 통합을 거쳐 사물(Thing)이라는 물리적 차원을 넘어 모든 것(Everything)이 연결되는 것이 IoE 의 개념이다. 설정하였다. [그림 13] 스마트 기능 정의 5 출처: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2014.10-산업통상자원부)
  • 35. 26 스마트 사이니지에 대한 정의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스마트(SMART)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의미로 스마트(SMART)는 편리함을 주는 똑똑한 기능을 가진 ICT 솔루션을 의미한다. 편리함과 똑똑한 기능 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을 기술적으로 살펴 보면, [그림 13]에서 제시한 요소들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 기능들을 살펴보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센서에 의해 데이터가 수집되고 분석되고, 사용자와 소통하면서 상황에 따른 콘텐츠가 서비스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갖추고 있는 ICT 솔루션에 대해 스마트(SMART)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림 14] IOE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 요소 IoT 서비스 관점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를 보면, 스마트 사이니지가 사물 (Thing)에 해당한다. 스마트 사이니지의 가장 큰 특징은 소통(Comm- unication)이다. 정보(Information)를 적재적소에 사람(사용자, 고객) 에게 전달하기 위해 기기 간의 연동, 기기와 사람과의 연결, 사람과 사람과의 소통에 따른 데이터 수집 분석이 수행된다. 정보의 소통은 스마트 사이니지가 미디어로서 갖는 핵심적인 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는 시스코에서 제안한 개념의 IoE 와 부합하고 있다. 서비스(Service)에 대한 정의는 “사람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을 상품 으로 하여 판매하는 행위이다. 서비스는 소유권이 설정될 수 있는 독립
  • 36. 27 된 실체가 아니며, 그 생산과 분리하여 거래될 수 없고, 소비자에게 제공되어야 생산이 완료된다. 서비스는 주문에 따라 생산되는 이질적인 산출물로서, 전형적으로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생산자의 활동으로 실현되는 소비 단위의 제 여건 변화들로 이루어진다. 서비스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① 소비재 조건의 변화: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수송, 청소, 수송 및 변형 등 ② 개인의 육체적 조건의 변화: 운송, 숙박, 의료, 미용 등 ③ 개인의 정신적 조건의 변화: 교육, 정보, 상담, 오락 및 유사 서비스 ④ 제도 단위의 경제적 상태의 변화: 보험, 금융중개, 보증 등” 이라고 한다. 6 [그림 15] IoT 플랫폼 연동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개념도 7 서비스 정의에 근거하면 본 과제 연구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IoT 기반 스마트 사이지니 서비스는 IoT 기술을(데이터 수집 분석을 의미) 활용하여 정보(Information)와 콘텐츠(Contents)를 생산하고 소비자에게 제공되어 생산을 완료 시키는 모델이다. 그리고 그것은 사람에게 편리함 을 주는 것을 서비스 상품으로 유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행위이다. 본 과제 연구는 서비스 정의에 근거해 보면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생산자의 활동으로 실현되는 소비 단위의 제 여건 변화에 따른 스마트 사이니지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6 참조: 서비스 (매일경제, 매경닷컴) 7 출처: ETRI 연구 자료 발췌
  • 37. 28 IoT(Internet of Thing)는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Thing)에서 출발하고, IoE(Internet of Everything)는 연결 가능한 모든 것(Everything-사람 포함)으로 확장하였다. IoT 는 M2M(Machine2Machine)의 확장이었고, IoE8 는 M2M, P2P(Peer2Peer), M2P(Machine2People)로 그 개념을 넓혔다. 스마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소통기기이다. 그리고 사물(Thing)로서, IoE 를 구현하는 서비스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IoE 를 통해 생산(자료, 정보, 콘텐츠 등등)되는 자료를 사람에게 편리함을 주는 서비스 상품으로 수요에 따라 다양한 생산(자료, 정보, 콘텐츠 등등)이 이루어진다. 스마트 사이니지를 통해 소비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여 산업과 시장의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 수행이 본 과제 연구의 여러 목적 중 일부이다. 본 과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를 위해 개념 정의 부분에 큰 틀이 되는 것이 “초 연결 사회(Hyper Connected Society)”이다. 초 연결 사회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기, 기기와 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만물인터넷 (IoE: int-ernet of everything) 등을 기반으로 구현되며 스마트 홈, 스마트 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초연결사회는 개인 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여론형성 과정, 정책 결정, 의사결정 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9 정의한 내용을 살펴보면, IoT 와 IoE 는 인프라이며 서비스는 연결된 사회를 유기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모습이다. 초 연결 사회는 시스템과 프로세스에 의해 위험 요소를 줄이고, 사람들의 의사가 능동적으로 개진되고, 공유되는 사회를 그리고 있다. 초 연결 사회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준비 역시 필요하며, 그와 관련된 연구와 기술 개발 또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함께 고려되고 있다. 전 세계가 초 연결 사회로 변화와 혁신의 흐름인 것은 분명하다.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도 초 연결 사회를 준비하는 지금의 시점에서 네트 워크 연결과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넘어 초 연결 사회에서 스마트 8 참조: 본 보고서에서는 개념적으로는 IoE 를 기반으로 하며, 용어상으로는 과제 명에 따라 IoT 로 명명하여 작성 함 9 참조: 초 연결사회 [hyper-connected society](시사상식사전,박문각)
  • 38. 29 사이니지 산업에 대한 발전 전망을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본 절에서는 관련한 개념과 정의에 대해 다시 한번 규정하고자 하였다. 2.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동향 2.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흐름 “스마트 사이니지(SMART Signage)”라는 용어는 국내에서 주로 통용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광고 기반 의 단뱡향 Push 형 정보 서비스로 규정하고, 스마트 사이니지는 인터넷 및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서비스 및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공간 미디어로 규정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의 현재는 <표 1>의 스마트 사이니지 발전 방향에서 제시한 2.0 에 근접해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 2.0 의 모습을 우리는 향후 1~2 년이내 일상에서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사이니지 3.0 에 대한 기술 개발은 현재 진행형이며 향후 3~4 년 후 일상에서 일부의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표 1>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발전 방향 스마트 사이니지는 여러 산업의 기술들이 융 복합 및 협업을 통해 서비스되는 산업 구조를 갖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 39. 30 스마트 사이니지 솔루션이 개발이 되고 그에 따른 더욱 다양한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 될 것으로 전망한다. 서비스의 다양화를 이끄는 것은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분야와 산업에서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의 도입 필요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를 진단하고 기술의 발전 방향과 적재적소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스마트 사이니지에 대한 핵심 기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2.2. 스마트 사이니지 주요 기술 동향 ICT 중심의 기술 관점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를 접근하면 C(Contents) – P(Platform) – N(Networks) – D(Device)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C-P- N-D 의 기술 중심에서 서비스와 사업 중심으로 산업을 분류한 것이 [그림 16]의 스마트 사이니지 요소 기술 분류이다. [그림 16]의 분류는 스마트 사이니지 생태계 산업이 모두 포함이 되어 있으며, 서비스 모델 관점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본 과제 연구에서는 [그림 16]의 분류 기준으로 하여 스마트 사이니지 기술 동향을 조사하였다. [그림 16] 스마트 사이니지 요소 기술 10 10 출처: “The Roadmap to Digital Signage Success” White Paper, Digital Signage Expert Group.
  • 40. 31 [그림 16]에 제시된 스마트 사이니지 요소 기술을 기준으로 기술 현황 및 산업의 특성을 조사하여 기술하였다. 각 부분별로 현재 상용화된 기술과 향후 3 년이내에 시장에 나올 기술 들에 대한 현황 및 특성을 조사 기술하였다. 2.3. 하드웨어(Hardware) 2.3.1. 디스플레이(Display) 전기 소자 기반의 디스플레이의 진보와 함께 타 산업과의 융 복합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등장하는 추세 Ÿ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상용화 Ÿ 표현의 소자가 물리적 재료를 기반으로 한 물리적 디스플레이(Physical Display)의 지속적인 개발 Ÿ 디스플레이와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 11 기술의 융 복합에 따른 키네틱(Kinetic) 12 디스플레이 개발 및 상용화 Ÿ 옥외용(Outdoor) 디스플레이 증가는 옥외에 스마트 사이니지 설치를 위한 시장의 요구 사항에 따라 고휘도 패널과 옥외 환경에서 구동 가능한 성능 때문 11 참조: 메카트로닉스란 이름은 일본 야스카와 회사의 수석 기술자, 테츠로 모리(Tetsuro Mori)가 처음 사용(1969).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는 Mechanics(기계공학)와 Electronics (전자공학)의 합성어. '메카'는 기구나 기계요소 등의 기계 기술을 의미하고, '트로닉스'는 제어 요소나 신호처리 등의 전자기술을 의미. 12 참조: 연구자 주: 기계 기술과 전자제어 공학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운동성을 주는 형태
  • 41. 32 2.3.2. 플레이어(Player) 플레이어 부분은 셋탑(Set-top)과 컴퓨터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 Ÿ 안드로이드 셋탑: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의 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단방향 송출 및 간단한 인터랙티브 기능 구현에 있어 적합. 특히 가격대비 효용성이라는 측면에서 수요 증가 Ÿ 스마트 사이니지 전용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PC) 수준의 내구성과 신뢰성으로 운영되기 어려운 환경의 스마트 사이니지 설치 장소에 따른 서비스 증가로 전용 컴퓨터 개발 및 보급. 전용 컴퓨터는 내구 성과 신뢰성 및 데이터 자동 복구와 전원 및 원격관리 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음. 일부 전용 컴퓨터는 스마트 사이니지용 소프트웨어를 내장시킨 일체형으로 개발 Ÿ 신 클라이언트(Thin Client) 13 : 클라우드 서비스 증가와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플레이어 부분의 역할을 최소화 하고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증가에 따른 도입 추세 2.3.3. 센서(Sensor) 초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모니터링 용도로 장착을 하였으나, 이후 상황인지(Context Awareness)와 상호작용(Interactive) 그리고 IoT 서비 스 등이 급증하는 흐름에 따라 셋탑(Set-top)과 컴퓨터(Computer)가 수행하는 기능과 역할이 다양화 되고 있음 13 참조: 자신의 계산 역할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른 일부 컴퓨터(서버)에 크게 의존하는 컴퓨터. 서버가 추정하는 특정 역할은 데이터 영속성에서부터 실질적인 정보 처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신 클라이언트 컴퓨팅은 또한 소유권의 총 비용을 낮추면서 계산 서비스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 42. 33 센서류는 상호작용에 따른 터치와 제스처, 음성, 동작 등등이 있으며, 상황인지 부분에서는 조도, 온도, 습도, 밀도, 비전, 위치, 공기, 근접, 자이로 등등 수 많은 센서들이 도입 적용 활용되고 있음 2.4. 소프트웨어 (Software) 2.4.1. 클라우드(Cloud) 솔루션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및 시스템 운영 솔루션이 증가하는 추세. 구글, 아마존, MS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SaaS 와 PaaS 를 지원하는 솔루션이 증가. 안드로이드 OS 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솔루션이 최근 많은 성장을 하는 추세 2.4.2. 상황 인지 솔루션 센서와 콘텐츠 및 공간과 환경, 사용자에 따른 데이터 수집 분석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증가. 비전 센서(Vision Sen- sor)가 많이 보급되었으며, 공간과 장소 환경을 감지하고 사용성에 따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율적으로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솔루션들이 공급되고 있음. 2.4.3. 가상화 및 비정형 디스플레이 콘텐츠 표출 기술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디스플레이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콘텐츠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콘텐츠 표시에 따른 가상화 기술과 Sync 에 따른 기술들이 개발 운영되고 있음. 가상화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여 서버 에서 콘텐츠 표시에 따른 컨트롤을 하며, Sync 는 서버 또는 기준 클라이 언트를 기반으로 하여 멀티 디스플레이의 콘텐츠를 송출하는 방식.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비 정형성이 평면성(x,y)에서 확장하여 입체 (x,y,z)형태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어 그에 따른 콘텐츠 표시 방법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음.
  • 43. 34 2.4.4.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OS 를 기반으로 하여 부팅(Booting) 전후의 단계에서 시스템을 점검하고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적용. 원격지의 하드웨어 상태 및 콘텐츠 운영 현황 등에 대한 모니터링과 이상 현상에 따른 제어 기능 등을 탑재하여 상시 관리할 수 있는 유지보수 체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확산. 2.4.5. 데이터 분석 시청 효과 측정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센서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맞춤형, 상황인지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공급이 확산되는 추세. 2.4.6. 지능형 콘텐츠 편성 및 운영 상황인지, 맞춤형, 상호작용에 따른 콘텐츠를 자동 분류하고 운영하여 필요한 시점과 장소의 콘텐츠에 대한 가이드를 해주는 소프트웨어. 넓은 지역에 다양한 장소에 수 많은 콘텐츠를 운영해야 할 경우 콘텐츠 편성의 기준과 데이터 분석에 따라 최적의 콘텐츠 편성표를 구성하고 제안해주는 기능으로 미디어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음 2.4.7. VR(Virtual Reality) & AR(Argument Reality) VR & AR 콘텐츠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른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사례 증가. 상호작용(Interactive) 콘텐츠로 사실감과 몰입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주로 전시장, 박물관, 테마 파크 등에 적용되는 콘텐츠 제작에 따른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 44. 35 2.4.8. 보안(Security) 스마트 사이니지 관련한 보안 부분은 기존의 ICT 부분에서 다루고 있던 보안 가이드에서 확장하여 크게 두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다루어 짐. 스마트 사이니지를 위한 보안 부분의 표준 가이드라인이 필요. Ÿ 물리적 보안: 특정 공간의 지정된 장소 또는 이동 및 장소 변경에 따른 물리적 제품의 보안에 대한 인식 강화. 물리적 보안을 위한 제품 개발 시 설계와 설치에 반영하며 운영 부분으로 보험을 통해 장치를 하며, 운영 유지 측면에서는 원격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관리 Ÿ ICT 보안: 네트워크 & 통신, 콘텐츠 암호화 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14 , 외부 침입 대응 및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보안 관리, 스트리밍 보안, 개인 정보 보호 등등의 이슈와 개발에 대한 가이드 라인 설정이 필요한 상황. 2.5. 연결(Connectivity) 2.5.1.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 기술로 10cm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기술이었으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사용성이 확산되지 못했음. 비콘(Beacon)은 블루투스(Bluetooth) 4.0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통신이 가능하며, 5~10cm 단위의 구별이 가능하고, 정확도가 높고, 저전력의 장점으로 IoT 기기로 부상됨. 특히 O2O 산업의 발전으로 가장 많은 관련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적용이 되고 있음 14 참조: DRM 부분은 보안 보다는 저작권에 대한 이슈에 대한 부분. 본 보고서에서는 보안 영역에서 조사 내용을 제시
  • 45. 36 2.6. 콘텐츠(Contents) 콘텐츠 부분은 기존의 광고 중심에서 점차 다양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비 광고 부분과 O2O(Online to Offline)부분의 콘텐츠 증가는 두드러진 특징 2.6.1. 재난 재해, 구조 구급(Emergency) 공간을 기반으로 한 정보와 콘텐츠 서비스를 하는 스마트 사이니지 특성상 공공 장소에 대한 고려는 반드시 필요. 공공 장소에 설치 되어 운영됨에 따른 공익성 정보와 콘텐츠 제작과 개발이 필수. 재난, 재해, 구조, 구급에 따른 신속하고 빠른 판단과 의사 결정을 위한 콘텐츠. 2.6.2. 공공 정보(Public Information) 공공 장소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콘텐츠. 길 찾기, 관광 안내도, 건물의 층별 안내도, 시설물 이용 가이드, 민원 접수, 날씨, 교통, 정부 및 시 정책, 생활 정보 등등의 콘텐츠. 2.6.3. O2O(Online to Offline) 도소매 유통 부분에서의 채널(Channel) 다양화에 따른 옴니채널(Omni- channel) 전략에 따른 O2O 의 도입이 확산되는 추세. O2O 의 주요 콘텐츠 는 구매 유도 및 구매 지원을 위한 세일즈, 마케팅, 홍보, 이벤트, 프로모션 등등의 콘텐츠.
  • 46. 37 2.6.4. 전시(Exhibition) & 테마 파크(Theme Park) 박물관 미술관의 전시 부분에 참여형 콘텐츠의 제공에 따른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입. 실내 테마 파크에 대한 수요 급증과 VR 과 AR 기술의 발전에 따라 관련 부분 콘텐츠가 급증. 2.7. 디자인(Design) 스마트 사이니지의 디자인 부분은 기획, 콘텐츠, 공간, 장소, 제품 등으로 나누어짐. 서비스 목적과 운영 방법 그리고 사용자에게 제공하 고자 하는 콘텐츠에 따라 디자인 되어야 하는 부분. 2.7.1. 컨셉 디자인(Concept Design) 서비스의 목적에 부합하면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설계하는 분야. 스마트 사이니지 전반의 산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와 제품 및 솔루션을 기획하고 설계하는 등을 수행하는 컨설팅 산업. 2.7.2. 콘텐츠 디자인(Contents Design) 컨셉 디자인의 기획 안에 따라 콘텐츠 제작에 따른 시나리오, UI(User Interface), UX(User eXperience), 그래픽 & 편집 디자인 등을 수행하는 분야. 전통적인 디자인 전공 분야로 사용자 접점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디자인 산업. 2.7.3. 제품 디자인 & 기구 설계 설치 장소와 제품화에 따른 상황에 따라 함체(Housing) 디자인 및 설계가 필요. 함체 디자인은 스마트 사이니지의 제품 디자인에 해당
  • 47. 38 하는 부분으로 공간과 장소에 따른 서비스 정체성과 사용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 기구 설계도 운영과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 및 부품들의 상호 간섭 및 환경의 영향을 보호하기 위한 설계 반영 등을 수행하는 디자인 공학 산업 실내(Indoor)에 스마트 사이니지를 설치 구축 운영 할 경우 인테리어와 전시의 컨셉에 따라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에 대한 고려를 함께 함. 건축 기반의 영역에서 ICT 부분에 대한 이해와 전체 컨셉에 대한 일관성 을 유지하면서 실제 구축을 위한 부분으로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와 융합 되는 산업. 2.8. 사업 영역(Business) 2.8.1. 서비스 디자인(Service Design)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문제를 정의하고 개선하면서 새로운 그리고 개선된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세스 로직(Process Logic). ICT 중심의 기술적 서비스 한계를 넘어 고객과 사용자 중심의 필요와 욕구 충족을 위한 서비스 모델 개발에 적극적으로 도입 및 활용되는 분야. 디자인 산업에서 출발하여 현재는 전문 분야별로 경험을 쌓은 컨셉 디자인 회사들이 많이 진출한 컨설팅 산업. 2.8.2. 시장 조사 및 진출(Research & Lunching) 스마트 사이니지 관련한 신규 서비스 및 제품, 솔루션에 대한 시장 조사를 통해 사용자 및 시장 반응을 조사하여 서비스 및 제품 출시 이전에 리스크 보완 및 수익성 검토의 컨설팅 사업. 서비스 및 제품 개발 이후 시장 진출을 위해 마케팅 및 생태계 협업 등을 통해 시장에 연착륙을 유도하고, 목표 시장에 서비스 및 제품의 레퍼런스(Reference)를 구축지원을 하는 컨설팅 영역
  • 48. 39 스마트 사이니지 관련 서비스와 제품 및 솔루션의 증가에 따라 개발 전문 기업들이 시장 진입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사업 분야. 2.8.3. 신규 서비스 & 제품, 솔루션 개발 지원 제조, 개발 전문 기업의 신규 서비스 및 제품 솔루션의 개발을 위한 토탈 솔루션 지원 서비스. 스마트 사이니지 특성상 특정 기업이 모든 것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으로 서비스 및 제품 솔루션에 대한 검증과 개발, 제작, 제조에 다른 팀 빌딩이 필요. 해당 부분에 대한 신규 사업 개발 및 팀 빌딩 등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및 컨설팅 사업 3. IoT 기술 및 산업 동향 3.1. IoT 기술 동향 3.1.1. IoT 주요 기술 IoT 기술은 가트너(Gartner)가 선정하는 주요 10 대 전략기술에도 2012 년부터 꾸준히 3~4 위로 거론되고 있다. 기존의 사물지능통신(M2M, Machine to Machine)서비스 기술과 함께 성장하고 있고, 근래에는 IoT 의 경우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는 성숙기에 접어들기까지는 10 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3.1.2. 센싱 기술 Ÿ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에서부터 원격 감지, 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 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 센서를 포함 Ÿ 물리적인 센서는 응용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이미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 49. 40 가상 센싱 기능도 포함되며 가상 센싱 기술은 실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구현 Ÿ 기존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다분야) 센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음 3.1.3.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Ÿ IoT 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로는 기존의 WPAN 15 , Wi-Fi, 3G/4G/LTE, Bluetooth, Ethernet, BcN 16 ,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 17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 포함. 3.1.4.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Ÿ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IoT 의 주요 3 대 구성 요소(인간· 사물·서비스)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 Ÿ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API, 가상화, 위치 확인, 프로세스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15 참조: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10m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개인 통신망. UWB, ZigBee, 블루투스 기술 등이 활용된다. 16 참조: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인터넷망, 유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방송망 등을 하나로 통합한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 BcN 은 새로 네트워크를 깔지 않고 기존 광동축 혼합망이나 초고속 인터넷망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교환장치나 전송장치, 단말장치를 업그레이드해 가입자들이 100Mbps 속도로 인터넷과 통신, 방송망을 융합한 서비스를 받게 한다. 17 참조: PLC: 전력선 통신 (Power Line Communication)
  • 50. 41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 수행. 3.2. IoT 시장 현황 플랫폼/솔루션업체, 네트워크/서비스업체 등 4 가지로 크게 구성된다. 특히, IoT 칩셋을 제조하는 칩 벤더와 모듈을 공급하는 제조업체는 해외 주요 소수 기업에 의해 생산 및 공급이 되고 있음. 칩셋은 Qualcomm, TI, Infineon 등에 의해 주도되고 있고, 모듈의 경우 전세계 공급량의 78%를 Cinterion, Telit, Sierra, SIMCOM 등 4 개 회사가 공급한다. 맞춤형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솔루션 업체는 비교적 중소· 중견 기업에 의해 주도하고 있다 네트워크/서비스업체는 새로운 수익원 으로써 IoT 를 인지하고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각 나라 및 지역별 대규모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자신만의 인증단말 센터, 개방형 플랫폼 연구, 솔루션 업체와의 협력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3.3. 시장 규모 향후 모든 것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초 연결 사회(Hyper Connected Society) 확산으로 산업 전반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결된 사물의 수가 2013 년 26 억 개에서 2020 년 260 억 개로 10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Stracorp,Gartner,2013) 했다. (단위: 십억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CAGR(%) 시장 237 292 3698 505 661 839 1,035 26.21 성장률 16.7% 23.5% 26.4% 36.7% 30.8% 26.9% 23.30% - <표 2> 세계 IoT 시장 규모 18 18 출처: Machina Research,STRACORP,2013
  • 51. 42 (단위: 십억원)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CAGR(%) 시장 2,704 3,349 4,448 6,892 9,635 12,863 17,076 32.8% 성장률 15.2% 23.8% 32.8% 54.9% 39.8% 33.5% 32.8% - <표 3> 국내 IoT 시장 규모 19 최근 현대경제연구소의 “사물 인터넷(IoT) 관련 유망산업 동항 및 시사점” 20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외 IoT 시장은 연평균 20%이상 고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그림 17] 국내외 IoT 시장 전망 세계 IoT 시장 규모는 2015 년 약 3 천억달러에서 2020 년 1 조달러로 연평균 28.8% 성장을 전망하고 국내 IoT 시장 규모는 동기간 3.3 조원 에서 17.1 조원으로 연평균 38.5%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19 출처: STRACORP,2014 20 출처: 현대경제연구소 (16-24 (통권 662 호) 2016. 07. 11)
  • 52. 43 3.4. IoT 서비스 분야 외부 센서를 스마트 기기에 적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전세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추진해 온 유틸리티관리, LBS 기반의 지능형 자동차와 더불어 헬스케어, 공공복지, 건설 분야에서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그림 18] IoT 기반 센서.스마트기기 연결 구조 21 IoT 에서 IoE 로 확장하면서 소비자들의 인터넷(Consumer Internet), 비즈니스 인터넷(Business Internet),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등이 통합되어 개방형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개방형 글로벌 네트워크는 소비자, 비즈니스 산업 인터넷을 모두 아우르는 지능 적 융합 서비스 개발을 촉진함으로 초 연결 사회(Hyper Connected Socie- ty)를 구현하게 된다. 21 출처: IT 융합기술 특집
  • 53. 44 1.Smart Cities 1 Smart Parking 2 Structural Health 3 Noise Urban Maps 4 Traffic Congestion 5 Smart Lighting 6 Waste Management 7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2.Smart Environment 8 Forest Fire Detection 9 Air Pollution 10 Landside and Avalanche Prevention 11 Earthquake Early Detection 3.Smart Water 12 Water Quality 13 Water Leakage 14 River Floods 4.Smart Metering 15 Smart Grid 16 Tank Level 17 Photovoltaic Installations 18 Water Flow 19 Silos Stock Calculation 5.Security & Emergencies 20 Perimeter Access Control 21 Liquid Presence 22 Radiation Levels 6.Retail 23 Supply Chain Control 24 NFC Payment 25 Intelligent Shopping Applications 26 Smart Product Management 7.Logistics 27 Quality of Shipment Conditions 28 Item Location 29 Storage Incompatibility Detection 30 Fleet Tracking 8.Smart Agriculture 31 Wine Quality Enhancing 32 Green Houses 33 Golf Courses 34 Meteorological Station Network 9.Smart Animal Farming 35 Hydroponics 36 Offspring Care 37 Animal Tracking 10.Home Application 38 Energy and Water Use 39 Remote Control Appliances
  • 54. 45 40 Intrusion Detection Systems 41 Art and Goods Preservation 11.eHealth 42 Fall Detection 43 Medical Fridges 44 Sportsmen Care 45 Patients Surveillance 46 Ultraviolet Radiation <표 4> IoT 서비스 분류 22 IoT 관련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 자료가 많았다. <표 4>는 전자 부품연구원의 IoT 융합연구센터에서 작성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국내 외 사례”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분류와 서 비스 종류가 정리되어 있다. 4.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및 분석 4.1.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사업화 요구 사항 조사의 목적은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융합에 따른 사업화 필요성으로 정의 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 기업 및 관련 산업 또는 고객군으로 분류되는 산업을 대상으로 하여 IoT 기반 스마트 사이 니지 사업화 요구에 대한 접점이 다양하고, 개별 이해관계에 따라 사업 화 형태가 상이하다. 그래서 연구 조사의 방향을 IoT 기반 스마트 사이 니지 사업화 동향 조사 및 타당성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옥외 광고 중심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은 2016 년 이후 유통 산업에서 옴니채널(Omni channel)전략 수행에 따라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도입으로 산업의 확장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지속적으로 여러 산업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를 도입하며 활용에 대한 시도는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은 광고, 홍보, 정보 전달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O2O 의 서비스 에서 스마트 사이니지는 광고, 홍보, 정보 전달의 수준을 넘어 경험과 정보를 함께 제공하면서 구매 유도와 인지 효과를 증가시키는 요소와 22 참조: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국내외 사례 (이상학 IoT 융합연구센터)
  • 55. 46 매장에서 판매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역할까지 수행하는 부분으로 발전 을 하고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가 단방향 전달 중심의 미디어 역할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과 정보를 공유하는 미디어로 발전하면서 그 용도와 사용 범위 가 넓어졌고, 그에 따른 역할의 기대도 커지고 있다. 스마트 사이니지가 여러 산업에 걸쳐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것은 기술 발전과 기술 및 서비스의 융합이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과 그에 따라 산업의 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의 출현은 시장 에서 사업화를 위한 검토와 기획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사업화를 위한 요소로 검토 가능하고, 사전에 추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하고, 이를 직접 본 과제 연구에 적용 및 활용 하였다. IoT 기반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화 요구 사항 조사를 위해 본 과제 연구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Focus Group Interv- iew)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의 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서비스 형태 및 사업화 사례를 통해 IoT 및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가 제안한 사업화 요구 사항들이 반영된 서비스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 부분은 서비스 모델 개발에 따른 서비스 선정 및 서비스 모델 사업화 방안 도출의 기반이 되는 연구 조사였다. 4.2.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 면담 – FGI(Focus Group Interview) 기술, 서비스, 마케팅, 기획 등을 담당하고 있는 IoT 와 스마트 사이니 지 분야의 전문가 6 명을 대상으로 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FGI 목적은 각 분야의 현재의 핵심적인 기술과 서비스 그리고 현재 및 향후 시장 동향에 대한 의견과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가 융합된 서비스에 대한 사업화 전망 및 서비스 추천을 받는 것이다. 면담을 하기 위한 진행 방법은 다음과 같이 했다. 각 분야별 관련 기업 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 총 7 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In depth
  • 56. 47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IoT 서비스 관련 실무 전문가에게는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현업에서 집중하고 있는 IoT 산업 분야 내지 다양한 도메인과의 접목 가능성(스마트 사이니지를 중심)에 대한 내용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 관련 전문가에게는 현재 스마트 사이니지의 기술 융합을 통한 산업 전망과 융합 가능 분야에 대한 내용으로 각 종사 분야를 고려하여 면담 질문지를 구성했다. 그리고 면담 대상자 별로 약 1 시간 정도 진행하였다. 면담에는 Moderator 1 명, Recorder 2 명 전문가 1 인 내외로 진행했다. 전문가 선정 기준은 국내 기업 중 글로벌 사업을 하고 있거나, 경험이 있는 해당 분야의 전문성이 확보된 기술, 서비스, 마케팅, 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업의 실무 책임자를 중심으로 하여 자체 선정 및 추천 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을 하였다. 전문가 구성은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 에서 제조, 서비스, 솔루션, 광고 분야로 구성이 되었다. IoT 부분은 솔루션과 기획, 마케팅 부분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로 구성이 되었다. 기업명 전문가 명 전문 분야 LG 전자 문성훈 부장 스마트 사이니지 마케팅 KT 오정석 대리 스마트 사이니지 광고 모온 컴퍼니 이재중 실장 인터랙티브 개발자 클라우드캐스트 이주강 과장 스마트 사이니지 UI/UX 인텔리안 김길종 부장 스마트 사이니지 솔루션 LG U+ 송태민 과장 IoT <표 5> 스마트 사이니지 & IoT 전문가 리스트 전문가 면담에서 얻은 공통적인 부분은 IoT 는 개인화, 상황, 환경에 따른 서비스를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 사이니지도 IoT 의 Thing(사물) 중의 하나로 정의 내리고 있었다. IoT 와 스마트 사이니 지와의 융합에 대해서는 공공장소에서의 개인화, 상황과 환경에 따른
  • 57. 48 서비스를 이해관계자들에게 어떻게 서비스할 수 있는 것인가가 중요하다 는 의견이 많았다. IoT 와 스마트 사이니지 융합에 따른 가장 큰 걸림돌 은 공공 장소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할 때 개인화에 따른 개인정 보 보호에 대한 문제와 이를 극복하는 서비스를 선정하였다. 스마트 사이니지가 하나의 사물로서 IoT 와 융합되어 기술 개발과 서비스는 확산 될 것으로 전망을 하였으며, 지금은 그 시작점이라는 의견에 대해 대체 로 인식을 같이 하고 있었다. 전문가 중에서 IoT 부서에서 스마트 사이니지 사업을 검토하였던 경험 을 가진 분은 현재 IoT 사업은 사내에서는 B2B 부분에 주력을 하고 있고 향후 B2C 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었다. 이는 사업의 수익성 구조가 B2B 에서 시작되어 B2C 로 확장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했다. IoT 의 핵심 은 서비스 모델이며, 향후 서비스 모델이 정착하면 데이터가 서비스의 킬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에게 광고 이외의 부분으로 IoT 를 기반으로 한 산업에 대한 의견에서 유통(Retail), 헬스케어(Healthcare), 교육(Educ- ation), 공공(Smart City)분야에 대해 공통적으로 언급을 하였다. 이중에서 현재 가장 활발하게 사업이 이루어지는 분야가 유통(Retail) 부분이라고 하였다. 향후에는 공공(Smart City), 헬스케어(Healthcare), 교육(Education) 순으로 확산되고 저변 확대 될 것으로 대체로 전망하 였다.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는 향후 2~3 년 정도의 소요 기간을 전망하였으며, 이는 IoT 인프라와 서비스의 확대와 스마트 사이니지 분야의 서비스 모델이 광고 이외의 부분으로 확대되는 시점에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IoT 전문가에게 스마트 사이니지 전문가들이 전망한 유통(Retail), 헬스케어(Healthcare), 교육(Education), 공공(Smart City 분야) 등에서 IoT 기반의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모델에 대한 의견에 대해서는 긍정적 이었다. 다만 스마트 사이니지는 서비스가 B2C 중심이며, 미디어 특성을 갖고 있어 서비스를 키우고 확산시키는 데 있어 시간이 소요된다는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