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전시 정보 모델링 정의
마일스톤 6.1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2015. 04. 30
2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Version Date Description Writer
0.1 2015.04.12 초기 작성 이세리, 윤소연, 양지석
0.12 2015.04.20 중간 점검 김성원, 박기태
0.2 2015.04.30 마무리 작성 이세리, 윤소연, 양지석
3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목 차
Exhibition Information Modeling 화면설계 .................................................................4
Exhibition Information System 화면 설계..................................................................14
Exhibition Information Modeling 사용자 시나리오 ...............................................29
Exhibition Information System 사용자 시나리오 ....................................................67
4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Exhibition Information Modeling
User Interface
5
첫 화면 / 기본 화면
설 명
① EIM 별도의 확장자로 저장된 파일명
② 전시실 탭 (엑셀의 탭 개념)
- 탭 1 개가 전시실 1 개의 정보
- 전시실 1 개의 도면, 전시물 정보, 도면 배치, 시뮬레이션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사용 예, 한 주제 전시를 복수의 전시실에서 전시할 경우
③ 전시실 1 개의 탭의 기본 메뉴
④ 전시도면위에 배치하는
설치물 / 전시물 리스트
⑤ 화면 전체가 전시실 도면 불러오기 버튼
6
파일 메뉴
설 명
① 첫 화면에서 ‘파일’메뉴 클릭 시 뜨는 메뉴
7
새 전시 생성 첫 화면
설 명
• 전시정보 입력 시, 첫 팝업 창
① 전시명
② 전시 기간 및 오픈 시간
③ 전시 유형 (박물관,미술관 / 박람회)
④ 전시장소
- 박물관,미술관 선택시, 텍스트 박스
- 박람회 선택시, 박람회장 드롭다운 메뉴
⑤ 키워드
- EIS 에서 전시정보 검색시 활용
8
전시물 정보 입력화면
설 명
① 엑셀 또는 CSV 등으로 저장한 전시물 정보 파일 불러오기
② 엑셀 또는 CSV 등으로 전시물 정보 저장하기 (전시물 정보 파일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③ 전시물 정보를 별도의 파일(엑셀 또는 CSV 등)로 저장하고자 할 때 포맷 다운로드 기능
④ 전시물 1 개의 정보바(전시물명과 그 외 정보, +버튼으로 입력 추가)
⑤ 전시실의 주제리스트 (+버튼으로 입력 추가)
⑥ 3D 도면에 매핑할 전시물 이미지 업로드
⑦ 전시물 1 개의 기본 정보
9
전시도면에 배치 화면
설 명
① 도면을 불러온 후, 도면 위에 전시물 / 설치물 배치
② 2D/3D 모드 전환 , 도면 위에 전시물 관련 정보 표시버튼
③ 도면 확대, 축소
④ 설치물 리스트 ( 입출구, 가벽, 의자, 그리드 등)
전시물 리스트
10
3D 전시실 도면 배치 화면
설 명
① 3D 전시실 도면 화면
② 2D/3D 모드 전환 버튼
③ 도면 이동 (상하좌우 이동, 확대/축소, 2D 도면 작은 창 버튼)
④ 2D 맵 클릭하면 나타나는 창
- 네모박스 : 관찰자의 위치
- 보고자 하는 위치로 네모박스를 움직이면 3D 전시실 도면에 반영되어 보인다.
11
: 시뮬레이션 설정 화면
설 명
① 밀집도, 동선의 동선에 표시하는 척도
② 시뮬레이션 정보 입력
( 요일/시간,
예상 관람객 수,
주/부 관람객 층 정보)
12
시뮬레이션 결과 화면
설 명
① 시뮬레이션 결과의 밀집도, 동선을 도면위에 표시
② 시뮬레이션 결과 요약표
13
전시 결과 분석 화면
설 명
① 전시결과보고서 내용
- 전시가 끝난 후, 클라우드에 저장된 관람객 정보 및 전시실 관람 정보를
요약해서 보여준다.
② 분석표 출력 버튼
14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Exhibition Information System
User Interface
15
첫 화면
설 명
① 검색창
- 전시관 또는 전시 검색
② 메인 전시
③ - 광고 혹은 중요한 전시 배너
④ 모든 전시 리스트
16
전시 클릭 시, 정보 화면
설 명
① 전시 제목
② 회원 정보 안내 및 수정
③ 전시 검색 아이콘
④ 검색해서 들어온 전시 정보
⑤ 해당 전시를 하는 전시관의 다른 전시들
⑥ 전시 정보 (화면 스크롤 다운)
⑦ 관람코스 짜기 버튼
- 해당 전시 관람을 위한 관람코스 메뉴로 이동
17
관람코스 짜기 화면
설 명
① 기획자 코스 선택 버튼
② 나만의 코스 선택 버튼
18
기획자 추천코스 선택 화면
설 명
① 기획자 추천 코스
- 전체코스 / 테마코스 / 어린이 코스 중 선택
- 기획자가 기획한 코스
② 전시물 리스트 보기
- 기획자 추천 코스 선택 후, 해당 코스의 전시물 리스트로 이동
19
관람코스 선택 후, 전시리스트 안내 화면
설 명
① 선택한 코스 정보 안내
② 기획자 코스 중 선택한 코스 안내 & 예상 관람 시간
③ 전체 전시관 도면 버튼
- 첫 관람 전시관 위치 안내를 볼 수 있다.
- 전시물 리스트가 아래로 밀려지면서 도면정보가 뜬다.
④ 관람할 전시물 리스트
⑤ 안내 시작 버튼
20
관람코스 선택 후, 전시리스트 안내에서 전체 도면
설 명
① 전시관 도면 화면이 닫히면서 전시물 리스트로 돌아간다.
② 전시관 전체 도면
- 선택한 코스로 관람할 때, 첫번째 관람 전시실 표시
21
나만의 코스 짜기 선택 화면
설 명
① 전체 전시물 리스트
-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에 체크박스에 체크한다.
② 그림이미지가 있는 전체 전시물 리스트로 표시해 주는 버튼
③ 전시물 선택 후, 선택 완료 버튼
22
안내 시작 후, 첫 화면
설 명
① 전체 전시관 도면
- 첫 번째 관람할 전시실 위치 표시
- 관람 코스 순서대로 전시실 관람 순서를 화살표로 표시
② 관람할 코스의 전시물 리스트
③ .전시관 전체 도면
- 사용자가 전시실안에 있을 때, 활성화
④ 전시실별로 밀집도 현황을 알 수 있다
23
전시관 전체 밀집도 화면
설 명
① 선택한 관람코스 안내 및 관람예상 시간 안내
② 전체 전시관의 전시실별 밀집도 현황
24
관람 코스의 전시물 리스트 화면 (오른 쪽 사이드에서 팝업)
설 명
① 전체 도면에서 “관람코스의 전시물 리스트"선택한 화면
- 전시물별 밀집도 현황을 색으로 표시
25
전시실 도면 화면
설 명
l 전시실 입장하면 화면 자동 변환
① 관람 코스에 따른 전시실안내 동선 안내
② 해당 전시실의 전시물 리스트
③ 전시관 전체 도면
④ 해당 전시실의 밀집도 현황
26
메인 전시물 정보 화면
설 명
l 메인 전시물 앞에 서면 화면 하단에서 팝업화면이 자동으로 올라온다.
① 메인 전세물 안내 화면
② 안내 화면 닫기
② 메인 전시물 오디오 재생,중단
27
전시실 도면에서 전시물리스트 화면
설 명
① 관람중인 전시실의 전시물 리스트
- 전시실 도면에서 오른쪽 상단의 전시물 리스트 선택하면 뜨는 화면 (오른쪽에서
슬라이드로 나타남)
28
회원 정보 안내 화면
설 명
① 회원 정보
②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29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Exhibition Information Modeling
사용자 시나리오
30
EIM 실행 첫 화면
31
“전시실” 탭
[설명]
- 하나의 주제의 전시를 2 개 이상의 전시실에서 전시할 때, 탭 하나에 전시실 1 개의
정보를 담을 수 있다.
- 전시실 탭 1 개에는 도면정보, 전시물 정보, 도면위에 배치 정보가 담긴다.
[ 방법]
- 탭 위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면, “삭제 / 이름 바꾸기 / 복사”기능을 할 수 있다.
32
파일 메뉴
[설명]
- EIM 에서 작업한 것은 eim 확장자를 가진 파일 포맷으로 저장된다.
- eim 파일에는 1 개의 전시정보를 담는다.
- 파일 메뉴에서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거나, eim 파일로 저장하거나, eim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 방법]
- 새 전시 생성 클릭
33
파일 / 새 전시 생성
[설명]
- 전시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 키워드는 EIS 에서 전시 검색할 때, 키워드로도 활용된다.
[ 방법]
- 전시명, 기간, 오픈 시간을 입력한다.
- 전시유형을 박물관, 미술관 , 박람회 중 선택한다.
- 박람회를 선택하면 전시장소가 드롭다운 메뉴로 제시된다.
- 키워드는 자유롭게 기입한다.
34
전시 불러오기
[설명]
- EIM 에서 작업한 기존 파일을 불러온다.
- 간단한 전시명, 기간, 장소, 키워드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
- 전시 기본 정보의 내용별로 검색할 수 있다. (전시명, 기간, 유형, 전시장소, 키워드 중
조건 1 개만으로도 검색 가능)
- 블러오면, 해당 전시의 eim 파일이 불려진다. (도면, 전시물, 도면 배치 정보)
[ 방법]
- 불러오고자 하는 전시박스를 클릭한다.
35
저장하기
[설명]
- Eim 포맷의 파일로 저장한다.
[ 방법]
- 파일명을 입력하고, 확인 or 취소 버튼을 클릭한다.
36
전시 정보 변경하기
[설명]
- Eim 포맷의 파일로 저장한다.
[ 방법]
- 파일명을 입력하고, 확인 or 취소 버튼을 클릭한다.
37
전시물 정보 입력
[설명]
- 전시물 리스트 : (+) 버튼을 클릭하여 오른쪽 전시물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
- 소주제 리스트 : 1 개의 전시실에 전시물이 배치되는 주제리스트
- 전시물 리스트는 전시물 정보 입력 , 소주제 리스트는 소주제명 입력
[ 방법]
- 하나의 전시실에 놓이는 전시물 리스트와 소주제 리스트를 작성한다.
38
전시물 정보 불러오기
[설명]
- 전시물 리스트의 상단의 “전시물 정보 불러오기” 버튼 클릭시 뜨는 팝업창
- 전시물 정보를 엑셀 또는 csv 등의 외부 파일에 저장하여 불러올 수 있다.
[ 방법]
- 전시물 정보를 저장한 외부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 자동으로 전시물 리스트와 전시물 정보가 입력된다.
39
전시물 정보 내보내기
[설명]
- 전시물 리스트의 상단의 “전시물 정보 내보내기” 버튼 클릭시 뜨는 팝업창
- eim 에서 작성한 전시물 정보를 외부 파일(엑셀 또는 csv 등)로 저장할 수 있다.
- 별도로 전시물 정보를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작업 또는 협업할 때, 용이하다.
[ 방법]
- 전시물 정보를 저장할 파일명을 기입하고 확인버튼 클릭한다.
- 입력한 전시물 정보가 외부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40
전시물 / 소주제 입력
[설명]
- 소주제 리스트의 (+)버튼을 클릭하면 소주제를 기입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가 뜬다.
- 입력 후, 마우스를 다른 곳을 클릭하거나 다른 작업을 하면 자동으로 리스트에
추가된다.
- 수정할 때, 소주제바를 더블클릭한다.
[ 방법]
- (+) 버튼을 클릭하여 소주제바를 추가한다.
- 소주제바에 소주제를 기입한다.
- 더블클릭하여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41
전시물 리스트를 소주제로 이동하기
[설명]
- 전시물은 해당하는 소주제의 밑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시실은 소주제로 나뉘고,
전시물은 소주제에 따라 전시실에 배치된다.)
-
[ 방법]
- 이동을 원하는 전시물바를 드래그 앤 드롭으로 해당하는 소주제바로 이동한다.
- 이동하면, 전시물 리스트에서는 해당 전시물이 없어지고, 소주제 리스트에 추가된다.
42
전시물 리스트를 소주제로 이동한 상태
[설명]
- 전시물은 해당하는 소주제의 밑으로 이동한 모습
[ 방법]
- 소주제바 옆의 삼각형을 클릭하면 소주제의 전시물 리스트를 접거나 펼 수 있다.
- 소주제 옆의 “전체”버튼을 클릭하면 소주제의 모든 전시물 목록을 볼 수 있다.
43
전시물 / 소주제 리스트에서 내용을 삭제하는 경우
[설명]
- 전시물 / 소주제 리스트에서 삭제를 원할 때 사용
[ 방법]
- 전시물 / 소주제 타이틀의 오른쪽 “편집”아이콘 클릭하면 리스트바 옆에 체크박스가
생긴다.
-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내용이 삭제된다.
(전시물은 전시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44
전시물 이미지 업로드
[설명]
- Eim 은 2D , 3D 모드에서 전시물을 배치할 수 있다.
- 전시물의 이미지는 3D 모드에서 전시물을 배치할 때, 직육면체에 전시물 이미지를
매핑하여 보여지기 때문이다.
- 이미지 불러오기의 상단의 “정면”직육면체를 클릭하면 직육면체가 펼쳐진다.
- 원하는 면을 클릭하고 “이미지 불러오기”를 클릭하면 해당하는 면에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다, (정면이미지는 필수이고, 나머지 면은 옵션이다.)
[ 방법]
- “정면”직육면체 아이콘을 클릭하면 직육면체가 펼쳐진다.
- 원하는 면을 선택하고 이미지 불러오기를 클릭한다.
45
전시물 이미지 업로드 팝업창
[설명]
- 전시실 3D 모드에 보여진 전시물의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 방법]
- 전시물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 불러온 이미지가 화면에 보인다.
46
전시물 정보 입력 (박물관, 미술관)
[설명]
- 전시물은 크게 2D/3D 로 나뉜다. (“유형”에서 선택)
- 전시물 유형(2D/3D)에 에 따라 세부분류 (전시물 분류)가 달라진다.
- 규모는 2D 의 경우, height 와 width 가 필수 입력사항이고, 3D 의 경우, Depth 까지
필수 입력사항이다.
- 중요도는 4 단계 (매우중요, 중요, 보통, 낮음)으로 나뉘고, 전시 주제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예, 메인컨텐츠는 매우중요가 될 수 있다.)
- 보존순위는 4 단계 (매우중요, 중요, 보통, 낮음)으로 나뉘고, 학술적이나 유물로서의
가치를 설정한다. (전시물 배치할 때, 보존순위가 고려사항이 되는 경우를 고려)
[ 방법]
- 전시물의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한다.
47
전시물 정보에서 중요도 설정환 화면(박물관, 미술관)
[설명]
- 전시물의 중요도를 설정하면 리스트에서 해당하는 전시물바의 색상이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예, 매우 높음 – 짙은 파랑, 낮음 – 옆은 파랑)
- 소주제에 따른 중요도이므로 소주제별로 메인컨텐츠가 어떤 전시물인지,
메인컨텐츠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다.
[ 방법]
- 중요도를 설정하면 리스트에서 전시물바의 색상에 반영된다.
48
전시물 리스트가 모두 소주제별로 분류된 화면
[설명]
- 모든 전시물이 소수제별로 분류한 화면이다.
[ 방법]
49
전시물 정보 입력 (박람회)
[설명]
- 박람회는 전시기본정보 입력에서 “박람회”를 선택하면 박람회 입력 정보로 반영되어
보인다.
- 박람회는 박물관, 미술관의 전시물이 엽체명으로 변경되었다.
- 부스 종류는 크기 기본 / 제작 부스로 분류된다.
- 부스크기는 기본 부스 한 개의 크기이고, 한 번 입력하면 다른 업체명 정보에
자동으로 반영된다.
- 부스 개수는 한 업체에 할당되는 부스의 개수이다.
- 인지도는 업체 또는 업체의 컨텐츠가 대중에게 알려져 있는 정도로 4 단계(매우높음,
높음, 보통, 낮음)로 분류된다.
[ 방법]
- 박물관, 미술관과 동일하다.
50
도면 불러오기
[설명]
- 전시물 정보를 입력 및 분류한 후, 도면 정보를 불러온다.
- Cad 도면 파일을 불러온다. (도면 외부 파일은 논의 중)
[ 방법]
- 화면 상단의 도면배치 탭을 클릭하고, “도면 불러오기” 클릭
- 도면 정보를 불러올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51
도면 불러온 화면
[설명]
- 도면 정보를 불러오면 화면에 도면이 뜬다.
- 3D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 컨텐츠, 보존순위 : 도면위에 전시물을 배치한 후, 컨텐츠를 클릭하면 전시물명을 볼
수 있고, 보존순위를 클릭하면 1~4 단계를 숫자로 된 전시물 순위를 볼 수 있다.
(1 단계 : 높음, 4 단계: 낮음)
- 오른쪽 “설치물”, “전시물” 도구박스가 활성화된다.
[ 방법]
52
도면에 그리드 설정하는 팝업창
[설명]
- 설치물 / 그리드를 선택하면 팝업창이 뜬다. (그리드는 전시물 배치할 때 위치잡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 균등 분할 그리드 : 전체 도면을 개수만큼 분할하기 위해 사용한다.
단위 고정 그리드 : 절대적인 길이를 가진 정사각형의 그리드를 넣는다. 일정 간격을
두고 전시물이나 설치물을 배치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방법]
- 설치물 / 그리드를 클릭한다.
- 설치한 그리드를 선택하고, 값을 설정한다.
53
도면에 그리드, 출입구, 소주제를 설치한 화면
[설명]
- 전시물 외에 도면위에 배치하는 설치물로 그리드, 입구, 출구, 입출구, 접근불가영역,
수조제글, 직육면체, 원기둥, 의자영역이 있다.
- 입출구 : EIS 에서 관람객 동선 가이드할 때, 시뮬레이션에서 관람객 동선 및 밀집도를
예측할 때 정보로 활용된다.
- 접근 불가영역 : 관람객이 이동할 수 없는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예, 전시물 보호를
위한 가드)
- 소주제글 : 전시실의 주제를 적은 글이 놓일 위치를 설정한다.
- 화면에 배치된 그리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잠금이 가능하다.
[ 방법]
- 원하는 설치물을 클릭하여 설정값을 넣는다.
54
도면배치에서 의자수 입력 팝업 창
[설명]
- 의자수를 입력하면 기본 의자 템플릿이 도면에 보여진다.
[ 방법]
- 의자수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 화면에 배치된 의자를 원하는 위치로 옮긴다.
55
도면배치에서 직육면체 설치 화면
[설명]
- 설치물 / 직육면체는 가벽 또는 아일랜드형 전시물의 받침대에 활용될 수 있다.
- 가로, 세로, 높이값을 설정할 수 있다.
[ 방법]
- 직육면체를 클릭하고 원하는 위치에 왼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원하는 크기만큼
이동한다.
- 가로, 세로의 크기 조절은 마우스로 크기 조절하거나, 값을 클릭하여 변경가능하다.
- 높이는 값을 클릭하여 입력한다.
56
도면배치에서 전시물 설치 화면
[설명]
- 전시물 리스트는 소주제별로 분류되어 보인다.
- 전시물 리스트나 도면위의 전시물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전시물 정보 편집
메뉴가 나타난다.
- 전시물의 크기는 전시물 정보에 기입된 크기로 비율에 맞게 도면에 배치된다, 크기
조절은 안 된다. 회전은 가능하다.
[ 방법]
- 소주제를 선택하고, 원하는 전시물을 도면에 드래그앤드롭하여 배치한다.
- 배치된 전시물은 전시물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바뀐다.
57
도면배치에서 전시물 정보편집을 선택시 뜨는 팝업창
[설명]
- 전시물 리스트나 도면위의 전시물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전시물 정보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전시물 정보 편집 팝업창이 뜬다.
- 전시물 정보 편집에서 정보를 수정하면 전시물탭에 있는 전시물 정보도 수정된다.
- 전시물의 크기는 도면에서는 수정이 불가하다. 전시물 정보 편집 팝업창에서만
가능하다.
[ 방법]
- 전시물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전시물 정보 편집메뉴가 뜬다. (전시물 리스트
또는 도면에서)
- 전시물 정보 편집창에서 정보를 수정하고 확인을 한다.
58
도면배치에서 전시물을 소제주간에 이동할 때
[설명]
- 전시물을 소주제간에 이동할 때는 Ctrl-x 로 자르기 후, 원하는 곳에 Ctrl + v 로
복사한다.
[ 방법]
- 원하는 전시물을 선택하고 Ctrl-x 한다.
- 원하는 소주제에서 Ctrl-v 한다.
59
도면배치에서 컨텐츠 , 보존순위 표시 버튼 클릭한 화면
[설명]
- 전시물명과 보존순위를 화면에 보고 싶은 때 사용한다.
[ 방법]
- 컨텐츠 클릭 : 전시물명에 도면위의 전시물의 옆에 보인다. 다시 클릭하면 사라진다.
- 보존순위 클릭 : 보존순위 4 단계가 도면위의 전시물 옆에 숫자( 1 ~ 4 )로 표시된다.
다시 클릭하면 사라진다.
60
박람회 도면배치 화면
[설명]
- 박물관, 미술관과 도면배치 사용방식이 거의 비슷하다.
- 다만, 업체마다 부스개수가 다르므로, 도면에 배치할 때, 기본부스 1 개씩 그려나가는
방식을 취한다.
[ 방법]
도면에 업체의 부스를 배치할 때,
- 업체명 선택
- 도면의 원하는 위치에 클릭하면 부스 1 개가 놓인다.
- 부스의 상하좌우로 마우스를 이동하여 클릭하면 추가로 놓일 부스의 위치가 된다.
- 해당 업체의 부스개수만큼 부스를 추가하여 부스의 모양을 잡는다.
61
도면배치에서 3D 모드로 전환
[설명]
- 3D 모드로 전환하면 전시실 공간에 전시물 이미지를 볼 수 있다.
- 설치물의 직육면체와 전시물이 매핑된 직육면체는 색상변경을 할 수 있다. (기본색은
회색이다.)
- 상하좌우로 View 를 이동할 수 있다.
[ 방법]
- 이동하거나 확대축소하고 싶으면, 화면 왼쪽의 컨트롤바를 이용한다.
- 설치물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색상변경”메뉴가 보인다.
62
3D 모드에서 직육면체 설치물 색상변경 팝업창
[설명]
- 설치물(가벽, 전시물 받침대 등)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 방법]
- 직육면체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고 “삭생변경”메뉴 선택한다.
- 변경하고자 하는 색상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63
3D 모드에서 2D 맵 보기
[설명]
- 화면 왼쪽의 “맵”을 클릭하면 전시실의 2D 맵 작은 팝업창이 뜬다.
- 2D 맵을 통해 전시실에서 3D 화면에 보이는 장소를 확인 및 위치이동할 수 있다.
[ 방법]
- 2D 맵에서 빨간색 사각형을 보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 전시실의 해당하는 위치의 모습으로 3D 회면이 바뀐다.
64
시뮬레이션
[설명]
- 도면위에 설치물 / 전시물 배치를 끝낸 후에 가상으로 전시실에서 관람객의 동선 및
밀집도 등을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 정보들(요일, 시간, 예상 관람객 수, 주/부 관람객층)을 통해
가상의 전시실 공간에서의 군중들의 예측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해 본다.
[ 방법]
- 시뮬레이션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 시작버튼을 누르고 결과를 기다린다.
-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보내기”로 별도저장할 수도 있다.
65
시뮬레이션 결과
[설명]
- 전시실 도면, 전시물, 도면위에 배치 정보와 시뮬레이션을 위한 관람객의 정보를
토대로 군중들의 예상 동선 및 밀집도 상태를 볼 수 있다.
- 전시기획자의 의도에 맞게 군중움직임이 보이는지 확인한다.
- 전시물 또는 도면배치 정보를 바꾸면 시뮬레이션 결과가 바뀔 수 있다.
[ 방법]
-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고 원하는 의도대로 군중들의 움직임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한다.
- 문제점이나, 의도와 다르다면 도면배치 정보등을 수정하여 변경된 내용으로 다시
시뮬레이션을 실행해 본다.
66
전시 결과 보고서
[설명]
- Eim 은 전시공간 기획을 마친 후, 전시공간을 꾸미기 전에 가상으로 전시공간을
만들고, 군중의 움직임을 예측해 보는 솔루션이다.
- 실제 전시가 진행되면서 생기는 real data 는 클라우드에 수집되어 분석과정을 거친다.
- 전시가 종료된 후, real data 에 대한 분석 결과 보고서를 볼 수 있다.
[ 방법]
- 전시가 종료되고, 분석된 실제 전시 데이터 자료를 확인한다.
- 사전 시뮬레이션된 결과와 실제 전시의 결과가 어느 정도 일치했는지 비교 분석해
본다.
67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Exhibition Information System
사용자 시나리오
68
EIS 첫 화면
[설명]
- 진행중인 전시 중에 EIS 서비스가 가능한 리스트가 뜬다.
[ 방법]
- 원하는 전시가 있으면 선택한다.
- 원하는 전시를 찾기 힘들면, 검색기능을 이용한다.
69
전시 검색 결과 화면
[설명]
- 원하는 전시명이나,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검색결과를 보여준다.
[ 방법]
- 검색결과에서 원하는 전시를 선택한다.
70
전시 상세정보 페이지
[설명]
- 전시를 클릭하면, 상세 전시정보 페이지로 이동한다.
- 맨 위에는 검색한 전시의 간단한 정보가 보이고, 하단에 스크롤 다운하면 상세 전시
정보를 볼 수 있다.
- 가운데는 같은 전시관에서 전시중인 다른 전시목록이 보인다. (양 옆으로 스크롤된다.)
[ 방법]
- 전시 상세 정보를 스크롤 다운하면 본다.
- 같은 전시관의 또 다른 전시리스트 중에 상세 정보를 원하면 선택한다.
- 관람을 원한다면 하단의 “관람코스짜기”를 선택한다.
71
로그인 페이지
[설명]
- 전시 정보를 확인하고, “관람코스짜기”를 선택했다면, 로그인이 필요하다.
- 로그인을 이전에 한 상태라면 바로 관람코스짜기 메뉴로 이동한다.
- 로그인이 안된 상태이거나 회원가입이 필요한 상태라면 로그인 화면이 뜬다.
[ 방법]
회원가입이 된 경우,
- 이미 설정한 이메일 , 패스워드를 기입하여 로그인한다.
회원가입이 안 된 경우,
- 회원가입이나, SNS 를 통해 로그인하기를 선택한다.
72
관람코스 선택하기
[설명]
- 전시상세 정보페이지에서 “관람코스짜기”선택시 이동하는 화면 (로그인 과정 필요)
[ 방법]
- 기획자 추천코스 : 전시 기획자가 전시 의도를 고려하여 짠 코스대로 관람한다.
- 나만의 코스 :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을 선택하고 최적의 경로를 안내받으며 관람할
수 있다.
-
73
관람코스 선택하기 / 기획자 추천 코스
[설명]
- 관람코스 선택하기에서 기획자 추천코스 선택한 화면
- 기획자가 추천하는 코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 방법]
- 기획자 추천코스의 리스트 중에 하나를 선택하고 “전시물 리스트 보기”를 선택한다.
74
기획자 추천 코스중 하나를 선택하고 전시물 리스트보기 선택한 화면
[설명]
- 기획자 추천 코스의 관람할 전시물 리스트를 볼 수 있다.
- 오른쪽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채 전시관 도면을 볼 수 있다.
-
[ 방법]
- 관람할 전시물 목록을 확인한다.
- 아이콘을 클릭하여 전시관에서 첫 번째로 관람할 전시실의 위치를 확인한다.
- 예상 관람 소요 시간을 확인한다.
75
기획자 추천 코스중 전시물 리스트에서 전시관 도면 선택한 화면
[설명]
- 관람 코스의 전시물 리스트에서 오른쪽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체 전시관
도면이 위에서 아래로 펼쳐지면서 보인다.
- 다시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면이 접히면서 전시물 리스트가 보인다.
- 첫 번째 관람할 전시실의 위치를 표시해 준다.
[ 방법]
- 전체 전시관 도면에서 자신의 현재위치에서 첫 번째 관람할 전시실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한다.
- “안내 시작”을 클릭한다.
76
나만의 코스 선택한 화면
[설명]
- 모든 전시물 리스트가 보이고,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을 체크한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텍스트 형식의 전시물 리스트가 작은 그림 형태의 리스트로
바뀐다.
[ 방법]
-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을 선택한다.
- 선택이 끝나면, “선택완료” 버튼을 클릭한다.
77
나만의 코스 선택한 화면
[설명]
- 나만의 코스짜기에서 아이콘을 클릭하여 작은 그림 형태의 전시물 리스트로 바꾼
하면
- 아이콘을 클릭하면 텍스트 형식의 리스트로 돌아간다.
[ 방법]
-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을 선택한다.
- 선택이 끝나면, “선택완료” 버튼을 클릭한다.
78
나만의 코스에서 전시물을 선택완료한 화면
[설명]
- 나만의 코스짜기에서 전시물을 선택하고 “선택완료”를 클릭한 화면
- 선택한 전시물 리스트를 볼 수 있다.
[ 방법]
- 선택한 전시물 리스트를 확인해 본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체 전시관 도면을 보고 첫 번째 관람할 전시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선택한 전시물 수와 관람 예상 소요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 다시 선택을 클릭하면 나만의 코스짜기의 전시물 리스트 화면으로 돌아간다.
79
블루투스 연결 확인
[설명]
- 관람 코스 짜기가 끝난 후 “안내시작”을 클릭하면 본격적인 관람코스 안내 서비스가
실행된다.
- 관람코스 안내를 위해 사용자의 위치확인은 위한 블루투스 연결 확인을 묻는다.
[ 방법]
- 안내를 받으며 관람하고자 한다면 블루투스를 연결한다.
80
블루투스 연결 후, 전체 관람 이동경로 안내
[설명]
- 블루투스 연결을 하고, 관람코스 안내를 받게 되면 뜨는 첫 페이지
- 전체 전시관에서 첫 번째 방문할 전시실을 표시해 주고, 이동경로를 표시한다.
- 아이콘을 선택하면 전시실별 밀집도 현황을 볼 수 있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시물별 밀집도 현황을 볼 수 있다.
[ 방법]
- 첫 번째 방문할 전시실 위치를 확인한다.
- 전시실간의 이동 경로를 확인한다.
81
전체 관람 이동경로에서 전시실별 밀집도 현황
[설명]
- 전체 전시관 이동경로 화면에서 아이콘을 클릭한 화면
- 전시실별 밀집도 현황을 보여준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이전 화면 (전체 전시관 이동경로 화면)이 보인다.
[ 방법]
- 첫 번째 방문할 전시실 위치를 확인한다.
- 전시실간의 이동 경로를 확인한다.
82
전체 관람 이동경로에서 전시물별 밀집도 현황
[설명]
- 전체 전시관 이동경로 화면에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오른쪽에서 화면이 나온다.
- 전시물별 밀집도 현황을 보여준다.
- 왼쪽 여백을 클릭하면 화면이 오른쪽으로 다시 들어간다.
[ 방법]
- 아이콘을 클릭하여 관람할 전시물 중에 관람객들이 밀집되어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전시물들을 확인해 본다,
83
전시실 입장시 뜨는 화면
[설명]
- 전시실에 입장하면 자동으로 전시실 도면으로 바뀐다.
- 전시실에서 이동경로를 안내받는다.
- 관람할 전시물은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 아이콘을 클릭하여 전체 전시관의 이동경로 및 밀집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 방법]
- 전시실안에 관람할 전시물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안내받는다.
84
메인 컨텐츠 설명
[설명]
- 전시실에서 메인 컨텐츠 앞에 서면 자동으로 메인컨텐츠 정보가 화면 하단에서
나온다.
- 오디오 가이드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 방법]
- 메인 컨텐츠앞에 서면 자동으로 푸시되는 전시물 안내 서비스를 받는다.
85
전시실의 전시물 리스트
[설명]
-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시실안의 전시물 리스트를 볼 수 있다.
[ 방법]
- 전시실의 전시물 리스트가 궁금할 때, 아이콘을 클릭하여 확인한다.
- 왼쪽의 여백을 클릭하면 화면이 오른쪽으로 사라진다.
86
전시실의 밀집도 현황
[설명]
- 전시실에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시실안의 밀집도 현황을 볼 수 있다.
- 아이콘은 전체 전시관 이동경로를 보여준다.
[ 방법]
- 전시실안의 밀집도 현황이 궁금하다면, 아이콘을 클릭한다.
87
회원 정보 안내
[설명]
- 아이콘을 크릭하면 회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돌아가기” 를 클릭하면, 이전 화면으로 이동한다.
[ 방법]
- 아이콘을 클릭하여 회원정보를 확인한다.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M&M Networks

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
M&M Networks
 
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
M&M Networks
 
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
M&M Networks
 
SMART Retail report_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SMART Retail report_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
M&M Networks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M&M Networks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M&M Network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M&M Networks
 
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
M&M Networks
 
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
M&M Networks
 
Tomaru
TomaruTomaru
Tomaru
M&M Networks
 
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
M&M Networks
 
Ux matrix
Ux matrixUx matrix
Ux matrix
M&M Networks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
M&M Network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M&M Networks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M&M Networks
 
Exhibition space pattern
Exhibition  space patternExhibition  space pattern
Exhibition space pattern
M&M Networks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M&M Networks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M&M Networks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M&M Networks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M&M Networks
 

More from M&M Networks (20)

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
 
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
 
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SMART Retail report_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
 
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
 
Tomaru
TomaruTomaru
Tomaru
 
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
 
Ux matrix
Ux matrixUx matrix
Ux matrix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space pattern
Exhibition  space patternExhibition  space pattern
Exhibition space pattern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2020 디지털 사이니지 전망과 기대
 

Exhibition ux & ui

  • 1. 1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전시 정보 모델링 정의 마일스톤 6.1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2015. 04. 30
  • 2. 2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Version Date Description Writer 0.1 2015.04.12 초기 작성 이세리, 윤소연, 양지석 0.12 2015.04.20 중간 점검 김성원, 박기태 0.2 2015.04.30 마무리 작성 이세리, 윤소연, 양지석
  • 3. 3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목 차 Exhibition Information Modeling 화면설계 .................................................................4 Exhibition Information System 화면 설계..................................................................14 Exhibition Information Modeling 사용자 시나리오 ...............................................29 Exhibition Information System 사용자 시나리오 ....................................................67
  • 4. 4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Exhibition Information Modeling User Interface
  • 5. 5 첫 화면 / 기본 화면 설 명 ① EIM 별도의 확장자로 저장된 파일명 ② 전시실 탭 (엑셀의 탭 개념) - 탭 1 개가 전시실 1 개의 정보 - 전시실 1 개의 도면, 전시물 정보, 도면 배치, 시뮬레이션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사용 예, 한 주제 전시를 복수의 전시실에서 전시할 경우 ③ 전시실 1 개의 탭의 기본 메뉴 ④ 전시도면위에 배치하는 설치물 / 전시물 리스트 ⑤ 화면 전체가 전시실 도면 불러오기 버튼
  • 6. 6 파일 메뉴 설 명 ① 첫 화면에서 ‘파일’메뉴 클릭 시 뜨는 메뉴
  • 7. 7 새 전시 생성 첫 화면 설 명 • 전시정보 입력 시, 첫 팝업 창 ① 전시명 ② 전시 기간 및 오픈 시간 ③ 전시 유형 (박물관,미술관 / 박람회) ④ 전시장소 - 박물관,미술관 선택시, 텍스트 박스 - 박람회 선택시, 박람회장 드롭다운 메뉴 ⑤ 키워드 - EIS 에서 전시정보 검색시 활용
  • 8. 8 전시물 정보 입력화면 설 명 ① 엑셀 또는 CSV 등으로 저장한 전시물 정보 파일 불러오기 ② 엑셀 또는 CSV 등으로 전시물 정보 저장하기 (전시물 정보 파일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③ 전시물 정보를 별도의 파일(엑셀 또는 CSV 등)로 저장하고자 할 때 포맷 다운로드 기능 ④ 전시물 1 개의 정보바(전시물명과 그 외 정보, +버튼으로 입력 추가) ⑤ 전시실의 주제리스트 (+버튼으로 입력 추가) ⑥ 3D 도면에 매핑할 전시물 이미지 업로드 ⑦ 전시물 1 개의 기본 정보
  • 9. 9 전시도면에 배치 화면 설 명 ① 도면을 불러온 후, 도면 위에 전시물 / 설치물 배치 ② 2D/3D 모드 전환 , 도면 위에 전시물 관련 정보 표시버튼 ③ 도면 확대, 축소 ④ 설치물 리스트 ( 입출구, 가벽, 의자, 그리드 등) 전시물 리스트
  • 10. 10 3D 전시실 도면 배치 화면 설 명 ① 3D 전시실 도면 화면 ② 2D/3D 모드 전환 버튼 ③ 도면 이동 (상하좌우 이동, 확대/축소, 2D 도면 작은 창 버튼) ④ 2D 맵 클릭하면 나타나는 창 - 네모박스 : 관찰자의 위치 - 보고자 하는 위치로 네모박스를 움직이면 3D 전시실 도면에 반영되어 보인다.
  • 11. 11 : 시뮬레이션 설정 화면 설 명 ① 밀집도, 동선의 동선에 표시하는 척도 ② 시뮬레이션 정보 입력 ( 요일/시간, 예상 관람객 수, 주/부 관람객 층 정보)
  • 12. 12 시뮬레이션 결과 화면 설 명 ① 시뮬레이션 결과의 밀집도, 동선을 도면위에 표시 ② 시뮬레이션 결과 요약표
  • 13. 13 전시 결과 분석 화면 설 명 ① 전시결과보고서 내용 - 전시가 끝난 후, 클라우드에 저장된 관람객 정보 및 전시실 관람 정보를 요약해서 보여준다. ② 분석표 출력 버튼
  • 14. 14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Exhibition Information System User Interface
  • 15. 15 첫 화면 설 명 ① 검색창 - 전시관 또는 전시 검색 ② 메인 전시 ③ - 광고 혹은 중요한 전시 배너 ④ 모든 전시 리스트
  • 16. 16 전시 클릭 시, 정보 화면 설 명 ① 전시 제목 ② 회원 정보 안내 및 수정 ③ 전시 검색 아이콘 ④ 검색해서 들어온 전시 정보 ⑤ 해당 전시를 하는 전시관의 다른 전시들 ⑥ 전시 정보 (화면 스크롤 다운) ⑦ 관람코스 짜기 버튼 - 해당 전시 관람을 위한 관람코스 메뉴로 이동
  • 17. 17 관람코스 짜기 화면 설 명 ① 기획자 코스 선택 버튼 ② 나만의 코스 선택 버튼
  • 18. 18 기획자 추천코스 선택 화면 설 명 ① 기획자 추천 코스 - 전체코스 / 테마코스 / 어린이 코스 중 선택 - 기획자가 기획한 코스 ② 전시물 리스트 보기 - 기획자 추천 코스 선택 후, 해당 코스의 전시물 리스트로 이동
  • 19. 19 관람코스 선택 후, 전시리스트 안내 화면 설 명 ① 선택한 코스 정보 안내 ② 기획자 코스 중 선택한 코스 안내 & 예상 관람 시간 ③ 전체 전시관 도면 버튼 - 첫 관람 전시관 위치 안내를 볼 수 있다. - 전시물 리스트가 아래로 밀려지면서 도면정보가 뜬다. ④ 관람할 전시물 리스트 ⑤ 안내 시작 버튼
  • 20. 20 관람코스 선택 후, 전시리스트 안내에서 전체 도면 설 명 ① 전시관 도면 화면이 닫히면서 전시물 리스트로 돌아간다. ② 전시관 전체 도면 - 선택한 코스로 관람할 때, 첫번째 관람 전시실 표시
  • 21. 21 나만의 코스 짜기 선택 화면 설 명 ① 전체 전시물 리스트 -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에 체크박스에 체크한다. ② 그림이미지가 있는 전체 전시물 리스트로 표시해 주는 버튼 ③ 전시물 선택 후, 선택 완료 버튼
  • 22. 22 안내 시작 후, 첫 화면 설 명 ① 전체 전시관 도면 - 첫 번째 관람할 전시실 위치 표시 - 관람 코스 순서대로 전시실 관람 순서를 화살표로 표시 ② 관람할 코스의 전시물 리스트 ③ .전시관 전체 도면 - 사용자가 전시실안에 있을 때, 활성화 ④ 전시실별로 밀집도 현황을 알 수 있다
  • 23. 23 전시관 전체 밀집도 화면 설 명 ① 선택한 관람코스 안내 및 관람예상 시간 안내 ② 전체 전시관의 전시실별 밀집도 현황
  • 24. 24 관람 코스의 전시물 리스트 화면 (오른 쪽 사이드에서 팝업) 설 명 ① 전체 도면에서 “관람코스의 전시물 리스트"선택한 화면 - 전시물별 밀집도 현황을 색으로 표시
  • 25. 25 전시실 도면 화면 설 명 l 전시실 입장하면 화면 자동 변환 ① 관람 코스에 따른 전시실안내 동선 안내 ② 해당 전시실의 전시물 리스트 ③ 전시관 전체 도면 ④ 해당 전시실의 밀집도 현황
  • 26. 26 메인 전시물 정보 화면 설 명 l 메인 전시물 앞에 서면 화면 하단에서 팝업화면이 자동으로 올라온다. ① 메인 전세물 안내 화면 ② 안내 화면 닫기 ② 메인 전시물 오디오 재생,중단
  • 27. 27 전시실 도면에서 전시물리스트 화면 설 명 ① 관람중인 전시실의 전시물 리스트 - 전시실 도면에서 오른쪽 상단의 전시물 리스트 선택하면 뜨는 화면 (오른쪽에서 슬라이드로 나타남)
  • 28. 28 회원 정보 안내 화면 설 명 ① 회원 정보 ②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 29. 29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Exhibition Information Modeling 사용자 시나리오
  • 31. 31 “전시실” 탭 [설명] - 하나의 주제의 전시를 2 개 이상의 전시실에서 전시할 때, 탭 하나에 전시실 1 개의 정보를 담을 수 있다. - 전시실 탭 1 개에는 도면정보, 전시물 정보, 도면위에 배치 정보가 담긴다. [ 방법] - 탭 위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면, “삭제 / 이름 바꾸기 / 복사”기능을 할 수 있다.
  • 32. 32 파일 메뉴 [설명] - EIM 에서 작업한 것은 eim 확장자를 가진 파일 포맷으로 저장된다. - eim 파일에는 1 개의 전시정보를 담는다. - 파일 메뉴에서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거나, eim 파일로 저장하거나, eim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 방법] - 새 전시 생성 클릭
  • 33. 33 파일 / 새 전시 생성 [설명] - 전시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 키워드는 EIS 에서 전시 검색할 때, 키워드로도 활용된다. [ 방법] - 전시명, 기간, 오픈 시간을 입력한다. - 전시유형을 박물관, 미술관 , 박람회 중 선택한다. - 박람회를 선택하면 전시장소가 드롭다운 메뉴로 제시된다. - 키워드는 자유롭게 기입한다.
  • 34. 34 전시 불러오기 [설명] - EIM 에서 작업한 기존 파일을 불러온다. - 간단한 전시명, 기간, 장소, 키워드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 - 전시 기본 정보의 내용별로 검색할 수 있다. (전시명, 기간, 유형, 전시장소, 키워드 중 조건 1 개만으로도 검색 가능) - 블러오면, 해당 전시의 eim 파일이 불려진다. (도면, 전시물, 도면 배치 정보) [ 방법] - 불러오고자 하는 전시박스를 클릭한다.
  • 35. 35 저장하기 [설명] - Eim 포맷의 파일로 저장한다. [ 방법] - 파일명을 입력하고, 확인 or 취소 버튼을 클릭한다.
  • 36. 36 전시 정보 변경하기 [설명] - Eim 포맷의 파일로 저장한다. [ 방법] - 파일명을 입력하고, 확인 or 취소 버튼을 클릭한다.
  • 37. 37 전시물 정보 입력 [설명] - 전시물 리스트 : (+) 버튼을 클릭하여 오른쪽 전시물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 - 소주제 리스트 : 1 개의 전시실에 전시물이 배치되는 주제리스트 - 전시물 리스트는 전시물 정보 입력 , 소주제 리스트는 소주제명 입력 [ 방법] - 하나의 전시실에 놓이는 전시물 리스트와 소주제 리스트를 작성한다.
  • 38. 38 전시물 정보 불러오기 [설명] - 전시물 리스트의 상단의 “전시물 정보 불러오기” 버튼 클릭시 뜨는 팝업창 - 전시물 정보를 엑셀 또는 csv 등의 외부 파일에 저장하여 불러올 수 있다. [ 방법] - 전시물 정보를 저장한 외부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 자동으로 전시물 리스트와 전시물 정보가 입력된다.
  • 39. 39 전시물 정보 내보내기 [설명] - 전시물 리스트의 상단의 “전시물 정보 내보내기” 버튼 클릭시 뜨는 팝업창 - eim 에서 작성한 전시물 정보를 외부 파일(엑셀 또는 csv 등)로 저장할 수 있다. - 별도로 전시물 정보를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작업 또는 협업할 때, 용이하다. [ 방법] - 전시물 정보를 저장할 파일명을 기입하고 확인버튼 클릭한다. - 입력한 전시물 정보가 외부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 40. 40 전시물 / 소주제 입력 [설명] - 소주제 리스트의 (+)버튼을 클릭하면 소주제를 기입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가 뜬다. - 입력 후, 마우스를 다른 곳을 클릭하거나 다른 작업을 하면 자동으로 리스트에 추가된다. - 수정할 때, 소주제바를 더블클릭한다. [ 방법] - (+) 버튼을 클릭하여 소주제바를 추가한다. - 소주제바에 소주제를 기입한다. - 더블클릭하여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 41. 41 전시물 리스트를 소주제로 이동하기 [설명] - 전시물은 해당하는 소주제의 밑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시실은 소주제로 나뉘고, 전시물은 소주제에 따라 전시실에 배치된다.) - [ 방법] - 이동을 원하는 전시물바를 드래그 앤 드롭으로 해당하는 소주제바로 이동한다. - 이동하면, 전시물 리스트에서는 해당 전시물이 없어지고, 소주제 리스트에 추가된다.
  • 42. 42 전시물 리스트를 소주제로 이동한 상태 [설명] - 전시물은 해당하는 소주제의 밑으로 이동한 모습 [ 방법] - 소주제바 옆의 삼각형을 클릭하면 소주제의 전시물 리스트를 접거나 펼 수 있다. - 소주제 옆의 “전체”버튼을 클릭하면 소주제의 모든 전시물 목록을 볼 수 있다.
  • 43. 43 전시물 / 소주제 리스트에서 내용을 삭제하는 경우 [설명] - 전시물 / 소주제 리스트에서 삭제를 원할 때 사용 [ 방법] - 전시물 / 소주제 타이틀의 오른쪽 “편집”아이콘 클릭하면 리스트바 옆에 체크박스가 생긴다. -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휴지통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내용이 삭제된다. (전시물은 전시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 44. 44 전시물 이미지 업로드 [설명] - Eim 은 2D , 3D 모드에서 전시물을 배치할 수 있다. - 전시물의 이미지는 3D 모드에서 전시물을 배치할 때, 직육면체에 전시물 이미지를 매핑하여 보여지기 때문이다. - 이미지 불러오기의 상단의 “정면”직육면체를 클릭하면 직육면체가 펼쳐진다. - 원하는 면을 클릭하고 “이미지 불러오기”를 클릭하면 해당하는 면에 이미지를 업로드할 수 있다, (정면이미지는 필수이고, 나머지 면은 옵션이다.) [ 방법] - “정면”직육면체 아이콘을 클릭하면 직육면체가 펼쳐진다. - 원하는 면을 선택하고 이미지 불러오기를 클릭한다.
  • 45. 45 전시물 이미지 업로드 팝업창 [설명] - 전시실 3D 모드에 보여진 전시물의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 방법] - 전시물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 불러온 이미지가 화면에 보인다.
  • 46. 46 전시물 정보 입력 (박물관, 미술관) [설명] - 전시물은 크게 2D/3D 로 나뉜다. (“유형”에서 선택) - 전시물 유형(2D/3D)에 에 따라 세부분류 (전시물 분류)가 달라진다. - 규모는 2D 의 경우, height 와 width 가 필수 입력사항이고, 3D 의 경우, Depth 까지 필수 입력사항이다. - 중요도는 4 단계 (매우중요, 중요, 보통, 낮음)으로 나뉘고, 전시 주제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예, 메인컨텐츠는 매우중요가 될 수 있다.) - 보존순위는 4 단계 (매우중요, 중요, 보통, 낮음)으로 나뉘고, 학술적이나 유물로서의 가치를 설정한다. (전시물 배치할 때, 보존순위가 고려사항이 되는 경우를 고려) [ 방법] - 전시물의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한다.
  • 47. 47 전시물 정보에서 중요도 설정환 화면(박물관, 미술관) [설명] - 전시물의 중요도를 설정하면 리스트에서 해당하는 전시물바의 색상이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예, 매우 높음 – 짙은 파랑, 낮음 – 옆은 파랑) - 소주제에 따른 중요도이므로 소주제별로 메인컨텐츠가 어떤 전시물인지, 메인컨텐츠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다. [ 방법] - 중요도를 설정하면 리스트에서 전시물바의 색상에 반영된다.
  • 48. 48 전시물 리스트가 모두 소주제별로 분류된 화면 [설명] - 모든 전시물이 소수제별로 분류한 화면이다. [ 방법]
  • 49. 49 전시물 정보 입력 (박람회) [설명] - 박람회는 전시기본정보 입력에서 “박람회”를 선택하면 박람회 입력 정보로 반영되어 보인다. - 박람회는 박물관, 미술관의 전시물이 엽체명으로 변경되었다. - 부스 종류는 크기 기본 / 제작 부스로 분류된다. - 부스크기는 기본 부스 한 개의 크기이고, 한 번 입력하면 다른 업체명 정보에 자동으로 반영된다. - 부스 개수는 한 업체에 할당되는 부스의 개수이다. - 인지도는 업체 또는 업체의 컨텐츠가 대중에게 알려져 있는 정도로 4 단계(매우높음, 높음, 보통, 낮음)로 분류된다. [ 방법] - 박물관, 미술관과 동일하다.
  • 50. 50 도면 불러오기 [설명] - 전시물 정보를 입력 및 분류한 후, 도면 정보를 불러온다. - Cad 도면 파일을 불러온다. (도면 외부 파일은 논의 중) [ 방법] - 화면 상단의 도면배치 탭을 클릭하고, “도면 불러오기” 클릭 - 도면 정보를 불러올 파일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 51. 51 도면 불러온 화면 [설명] - 도면 정보를 불러오면 화면에 도면이 뜬다. - 3D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 컨텐츠, 보존순위 : 도면위에 전시물을 배치한 후, 컨텐츠를 클릭하면 전시물명을 볼 수 있고, 보존순위를 클릭하면 1~4 단계를 숫자로 된 전시물 순위를 볼 수 있다. (1 단계 : 높음, 4 단계: 낮음) - 오른쪽 “설치물”, “전시물” 도구박스가 활성화된다. [ 방법]
  • 52. 52 도면에 그리드 설정하는 팝업창 [설명] - 설치물 / 그리드를 선택하면 팝업창이 뜬다. (그리드는 전시물 배치할 때 위치잡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 - 균등 분할 그리드 : 전체 도면을 개수만큼 분할하기 위해 사용한다. 단위 고정 그리드 : 절대적인 길이를 가진 정사각형의 그리드를 넣는다. 일정 간격을 두고 전시물이나 설치물을 배치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방법] - 설치물 / 그리드를 클릭한다. - 설치한 그리드를 선택하고, 값을 설정한다.
  • 53. 53 도면에 그리드, 출입구, 소주제를 설치한 화면 [설명] - 전시물 외에 도면위에 배치하는 설치물로 그리드, 입구, 출구, 입출구, 접근불가영역, 수조제글, 직육면체, 원기둥, 의자영역이 있다. - 입출구 : EIS 에서 관람객 동선 가이드할 때, 시뮬레이션에서 관람객 동선 및 밀집도를 예측할 때 정보로 활용된다. - 접근 불가영역 : 관람객이 이동할 수 없는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예, 전시물 보호를 위한 가드) - 소주제글 : 전시실의 주제를 적은 글이 놓일 위치를 설정한다. - 화면에 배치된 그리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잠금이 가능하다. [ 방법] - 원하는 설치물을 클릭하여 설정값을 넣는다.
  • 54. 54 도면배치에서 의자수 입력 팝업 창 [설명] - 의자수를 입력하면 기본 의자 템플릿이 도면에 보여진다. [ 방법] - 의자수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 화면에 배치된 의자를 원하는 위치로 옮긴다.
  • 55. 55 도면배치에서 직육면체 설치 화면 [설명] - 설치물 / 직육면체는 가벽 또는 아일랜드형 전시물의 받침대에 활용될 수 있다. - 가로, 세로, 높이값을 설정할 수 있다. [ 방법] - 직육면체를 클릭하고 원하는 위치에 왼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원하는 크기만큼 이동한다. - 가로, 세로의 크기 조절은 마우스로 크기 조절하거나, 값을 클릭하여 변경가능하다. - 높이는 값을 클릭하여 입력한다.
  • 56. 56 도면배치에서 전시물 설치 화면 [설명] - 전시물 리스트는 소주제별로 분류되어 보인다. - 전시물 리스트나 도면위의 전시물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전시물 정보 편집 메뉴가 나타난다. - 전시물의 크기는 전시물 정보에 기입된 크기로 비율에 맞게 도면에 배치된다, 크기 조절은 안 된다. 회전은 가능하다. [ 방법] - 소주제를 선택하고, 원하는 전시물을 도면에 드래그앤드롭하여 배치한다. - 배치된 전시물은 전시물 리스트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바뀐다.
  • 57. 57 도면배치에서 전시물 정보편집을 선택시 뜨는 팝업창 [설명] - 전시물 리스트나 도면위의 전시물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전시물 정보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전시물 정보 편집 팝업창이 뜬다. - 전시물 정보 편집에서 정보를 수정하면 전시물탭에 있는 전시물 정보도 수정된다. - 전시물의 크기는 도면에서는 수정이 불가하다. 전시물 정보 편집 팝업창에서만 가능하다. [ 방법] - 전시물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전시물 정보 편집메뉴가 뜬다. (전시물 리스트 또는 도면에서) - 전시물 정보 편집창에서 정보를 수정하고 확인을 한다.
  • 58. 58 도면배치에서 전시물을 소제주간에 이동할 때 [설명] - 전시물을 소주제간에 이동할 때는 Ctrl-x 로 자르기 후, 원하는 곳에 Ctrl + v 로 복사한다. [ 방법] - 원하는 전시물을 선택하고 Ctrl-x 한다. - 원하는 소주제에서 Ctrl-v 한다.
  • 59. 59 도면배치에서 컨텐츠 , 보존순위 표시 버튼 클릭한 화면 [설명] - 전시물명과 보존순위를 화면에 보고 싶은 때 사용한다. [ 방법] - 컨텐츠 클릭 : 전시물명에 도면위의 전시물의 옆에 보인다. 다시 클릭하면 사라진다. - 보존순위 클릭 : 보존순위 4 단계가 도면위의 전시물 옆에 숫자( 1 ~ 4 )로 표시된다. 다시 클릭하면 사라진다.
  • 60. 60 박람회 도면배치 화면 [설명] - 박물관, 미술관과 도면배치 사용방식이 거의 비슷하다. - 다만, 업체마다 부스개수가 다르므로, 도면에 배치할 때, 기본부스 1 개씩 그려나가는 방식을 취한다. [ 방법] 도면에 업체의 부스를 배치할 때, - 업체명 선택 - 도면의 원하는 위치에 클릭하면 부스 1 개가 놓인다. - 부스의 상하좌우로 마우스를 이동하여 클릭하면 추가로 놓일 부스의 위치가 된다. - 해당 업체의 부스개수만큼 부스를 추가하여 부스의 모양을 잡는다.
  • 61. 61 도면배치에서 3D 모드로 전환 [설명] - 3D 모드로 전환하면 전시실 공간에 전시물 이미지를 볼 수 있다. - 설치물의 직육면체와 전시물이 매핑된 직육면체는 색상변경을 할 수 있다. (기본색은 회색이다.) - 상하좌우로 View 를 이동할 수 있다. [ 방법] - 이동하거나 확대축소하고 싶으면, 화면 왼쪽의 컨트롤바를 이용한다. - 설치물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색상변경”메뉴가 보인다.
  • 62. 62 3D 모드에서 직육면체 설치물 색상변경 팝업창 [설명] - 설치물(가벽, 전시물 받침대 등)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 방법] - 직육면체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고 “삭생변경”메뉴 선택한다. - 변경하고자 하는 색상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 63. 63 3D 모드에서 2D 맵 보기 [설명] - 화면 왼쪽의 “맵”을 클릭하면 전시실의 2D 맵 작은 팝업창이 뜬다. - 2D 맵을 통해 전시실에서 3D 화면에 보이는 장소를 확인 및 위치이동할 수 있다. [ 방법] - 2D 맵에서 빨간색 사각형을 보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 전시실의 해당하는 위치의 모습으로 3D 회면이 바뀐다.
  • 64. 64 시뮬레이션 [설명] - 도면위에 설치물 / 전시물 배치를 끝낸 후에 가상으로 전시실에서 관람객의 동선 및 밀집도 등을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 정보들(요일, 시간, 예상 관람객 수, 주/부 관람객층)을 통해 가상의 전시실 공간에서의 군중들의 예측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해 본다. [ 방법] - 시뮬레이션 기본 정보를 입력한다. - 시작버튼을 누르고 결과를 기다린다. -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보내기”로 별도저장할 수도 있다.
  • 65. 65 시뮬레이션 결과 [설명] - 전시실 도면, 전시물, 도면위에 배치 정보와 시뮬레이션을 위한 관람객의 정보를 토대로 군중들의 예상 동선 및 밀집도 상태를 볼 수 있다. - 전시기획자의 의도에 맞게 군중움직임이 보이는지 확인한다. - 전시물 또는 도면배치 정보를 바꾸면 시뮬레이션 결과가 바뀔 수 있다. [ 방법] -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고 원하는 의도대로 군중들의 움직임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한다. - 문제점이나, 의도와 다르다면 도면배치 정보등을 수정하여 변경된 내용으로 다시 시뮬레이션을 실행해 본다.
  • 66. 66 전시 결과 보고서 [설명] - Eim 은 전시공간 기획을 마친 후, 전시공간을 꾸미기 전에 가상으로 전시공간을 만들고, 군중의 움직임을 예측해 보는 솔루션이다. - 실제 전시가 진행되면서 생기는 real data 는 클라우드에 수집되어 분석과정을 거친다. - 전시가 종료된 후, real data 에 대한 분석 결과 보고서를 볼 수 있다. [ 방법] - 전시가 종료되고, 분석된 실제 전시 데이터 자료를 확인한다. - 사전 시뮬레이션된 결과와 실제 전시의 결과가 어느 정도 일치했는지 비교 분석해 본다.
  • 67. 67 화면 설계, 사용자 시나리오, 스토리 보드 작성 하위번호 6.1 작성일 2015.04.12 최종 수정일 2015.04.30 Exhibition Information System 사용자 시나리오
  • 68. 68 EIS 첫 화면 [설명] - 진행중인 전시 중에 EIS 서비스가 가능한 리스트가 뜬다. [ 방법] - 원하는 전시가 있으면 선택한다. - 원하는 전시를 찾기 힘들면, 검색기능을 이용한다.
  • 69. 69 전시 검색 결과 화면 [설명] - 원하는 전시명이나,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검색결과를 보여준다. [ 방법] - 검색결과에서 원하는 전시를 선택한다.
  • 70. 70 전시 상세정보 페이지 [설명] - 전시를 클릭하면, 상세 전시정보 페이지로 이동한다. - 맨 위에는 검색한 전시의 간단한 정보가 보이고, 하단에 스크롤 다운하면 상세 전시 정보를 볼 수 있다. - 가운데는 같은 전시관에서 전시중인 다른 전시목록이 보인다. (양 옆으로 스크롤된다.) [ 방법] - 전시 상세 정보를 스크롤 다운하면 본다. - 같은 전시관의 또 다른 전시리스트 중에 상세 정보를 원하면 선택한다. - 관람을 원한다면 하단의 “관람코스짜기”를 선택한다.
  • 71. 71 로그인 페이지 [설명] - 전시 정보를 확인하고, “관람코스짜기”를 선택했다면, 로그인이 필요하다. - 로그인을 이전에 한 상태라면 바로 관람코스짜기 메뉴로 이동한다. - 로그인이 안된 상태이거나 회원가입이 필요한 상태라면 로그인 화면이 뜬다. [ 방법] 회원가입이 된 경우, - 이미 설정한 이메일 , 패스워드를 기입하여 로그인한다. 회원가입이 안 된 경우, - 회원가입이나, SNS 를 통해 로그인하기를 선택한다.
  • 72. 72 관람코스 선택하기 [설명] - 전시상세 정보페이지에서 “관람코스짜기”선택시 이동하는 화면 (로그인 과정 필요) [ 방법] - 기획자 추천코스 : 전시 기획자가 전시 의도를 고려하여 짠 코스대로 관람한다. - 나만의 코스 :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을 선택하고 최적의 경로를 안내받으며 관람할 수 있다. -
  • 73. 73 관람코스 선택하기 / 기획자 추천 코스 [설명] - 관람코스 선택하기에서 기획자 추천코스 선택한 화면 - 기획자가 추천하는 코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 방법] - 기획자 추천코스의 리스트 중에 하나를 선택하고 “전시물 리스트 보기”를 선택한다.
  • 74. 74 기획자 추천 코스중 하나를 선택하고 전시물 리스트보기 선택한 화면 [설명] - 기획자 추천 코스의 관람할 전시물 리스트를 볼 수 있다. - 오른쪽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채 전시관 도면을 볼 수 있다. - [ 방법] - 관람할 전시물 목록을 확인한다. - 아이콘을 클릭하여 전시관에서 첫 번째로 관람할 전시실의 위치를 확인한다. - 예상 관람 소요 시간을 확인한다.
  • 75. 75 기획자 추천 코스중 전시물 리스트에서 전시관 도면 선택한 화면 [설명] - 관람 코스의 전시물 리스트에서 오른쪽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체 전시관 도면이 위에서 아래로 펼쳐지면서 보인다. - 다시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면이 접히면서 전시물 리스트가 보인다. - 첫 번째 관람할 전시실의 위치를 표시해 준다. [ 방법] - 전체 전시관 도면에서 자신의 현재위치에서 첫 번째 관람할 전시실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한다. - “안내 시작”을 클릭한다.
  • 76. 76 나만의 코스 선택한 화면 [설명] - 모든 전시물 리스트가 보이고,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을 체크한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텍스트 형식의 전시물 리스트가 작은 그림 형태의 리스트로 바뀐다. [ 방법] -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을 선택한다. - 선택이 끝나면, “선택완료” 버튼을 클릭한다.
  • 77. 77 나만의 코스 선택한 화면 [설명] - 나만의 코스짜기에서 아이콘을 클릭하여 작은 그림 형태의 전시물 리스트로 바꾼 하면 - 아이콘을 클릭하면 텍스트 형식의 리스트로 돌아간다. [ 방법] - 관람을 원하는 전시물을 선택한다. - 선택이 끝나면, “선택완료” 버튼을 클릭한다.
  • 78. 78 나만의 코스에서 전시물을 선택완료한 화면 [설명] - 나만의 코스짜기에서 전시물을 선택하고 “선택완료”를 클릭한 화면 - 선택한 전시물 리스트를 볼 수 있다. [ 방법] - 선택한 전시물 리스트를 확인해 본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체 전시관 도면을 보고 첫 번째 관람할 전시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선택한 전시물 수와 관람 예상 소요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 다시 선택을 클릭하면 나만의 코스짜기의 전시물 리스트 화면으로 돌아간다.
  • 79. 79 블루투스 연결 확인 [설명] - 관람 코스 짜기가 끝난 후 “안내시작”을 클릭하면 본격적인 관람코스 안내 서비스가 실행된다. - 관람코스 안내를 위해 사용자의 위치확인은 위한 블루투스 연결 확인을 묻는다. [ 방법] - 안내를 받으며 관람하고자 한다면 블루투스를 연결한다.
  • 80. 80 블루투스 연결 후, 전체 관람 이동경로 안내 [설명] - 블루투스 연결을 하고, 관람코스 안내를 받게 되면 뜨는 첫 페이지 - 전체 전시관에서 첫 번째 방문할 전시실을 표시해 주고, 이동경로를 표시한다. - 아이콘을 선택하면 전시실별 밀집도 현황을 볼 수 있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시물별 밀집도 현황을 볼 수 있다. [ 방법] - 첫 번째 방문할 전시실 위치를 확인한다. - 전시실간의 이동 경로를 확인한다.
  • 81. 81 전체 관람 이동경로에서 전시실별 밀집도 현황 [설명] - 전체 전시관 이동경로 화면에서 아이콘을 클릭한 화면 - 전시실별 밀집도 현황을 보여준다. - 아이콘을 클릭하면 이전 화면 (전체 전시관 이동경로 화면)이 보인다. [ 방법] - 첫 번째 방문할 전시실 위치를 확인한다. - 전시실간의 이동 경로를 확인한다.
  • 82. 82 전체 관람 이동경로에서 전시물별 밀집도 현황 [설명] - 전체 전시관 이동경로 화면에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오른쪽에서 화면이 나온다. - 전시물별 밀집도 현황을 보여준다. - 왼쪽 여백을 클릭하면 화면이 오른쪽으로 다시 들어간다. [ 방법] - 아이콘을 클릭하여 관람할 전시물 중에 관람객들이 밀집되어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전시물들을 확인해 본다,
  • 83. 83 전시실 입장시 뜨는 화면 [설명] - 전시실에 입장하면 자동으로 전시실 도면으로 바뀐다. - 전시실에서 이동경로를 안내받는다. - 관람할 전시물은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 아이콘을 클릭하여 전체 전시관의 이동경로 및 밀집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 방법] - 전시실안에 관람할 전시물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안내받는다.
  • 84. 84 메인 컨텐츠 설명 [설명] - 전시실에서 메인 컨텐츠 앞에 서면 자동으로 메인컨텐츠 정보가 화면 하단에서 나온다. - 오디오 가이드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 방법] - 메인 컨텐츠앞에 서면 자동으로 푸시되는 전시물 안내 서비스를 받는다.
  • 85. 85 전시실의 전시물 리스트 [설명] -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시실안의 전시물 리스트를 볼 수 있다. [ 방법] - 전시실의 전시물 리스트가 궁금할 때, 아이콘을 클릭하여 확인한다. - 왼쪽의 여백을 클릭하면 화면이 오른쪽으로 사라진다.
  • 86. 86 전시실의 밀집도 현황 [설명] - 전시실에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시실안의 밀집도 현황을 볼 수 있다. - 아이콘은 전체 전시관 이동경로를 보여준다. [ 방법] - 전시실안의 밀집도 현황이 궁금하다면, 아이콘을 클릭한다.
  • 87. 87 회원 정보 안내 [설명] - 아이콘을 크릭하면 회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돌아가기” 를 클릭하면, 이전 화면으로 이동한다. [ 방법] - 아이콘을 클릭하여 회원정보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