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v
국방아키텍처(MND-AF) 소개
March 2017
박 진 원
국방아키텍처(MND-AF)
중점사항
• 시스템 모델링
• 아키텍처 개념 및 활용목적
• 국방아키텍처(MND-AF)
• 교육성과 및 교훈
목 표
• 아키텍처 개념 이해와 국방아키텍팅 도구인
MND-AF의 우리 업무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
유도
2
시스템 모델링
Modeling of Systems
SYSTEM
4
5
6
7
8
시스템의 例: 태양계(Solar system)
https://www.tes.com/lessons/XpPm628l1B7T2g/solar-system
9
http://donellameadows.org/systems-thinking-resources/
10
http://m.blog.daum.net/sa55jung/11399211?categoryId=603644
11
진짜 태양계가 앞의 그림들과 같이
생겼을까?
12
우주인들이 지구밖에서 본 태양계는
정말 이럴까?
13
우주인들은 좁은 우주선 안에서 전
체 태양계를 다 살펴볼수 있을까?
14
시스템 모델링
시스템 본질: 구성품, 구성품간의 유기적 작용 또는 관계
15
시스템 모델링
시스템 본질: 구성품, 구성품간의 유기적 작용 또는 관계
15
시스템 표현: 같은 것인데 다양한 설명(크기, 관계, 순서 등), 아무도
보지 못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
시스템 모델링
시스템 본질: 구성품, 구성품간의 유기적 작용 또는 관계
15
시스템 표현: 같은 것인데 다양한 설명(크기, 관계, 순서 등), 아무도
보지 못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
시스템 모델링: 시스템에 대해 핵심적인 것(본질), 우리가 알고 싶은
것만 설명하는 것
Car
Suspension
Units
16
Mass-Spring-Damper System
17
Fm + Fd + Fc = f (t)
18
Fm + Fd + Fc = f (t)
m
d2
x
dt2
+ c
dx
dt
+ kx = f (t)
18
http://www.shimrestackor.com/Physics/Spring_Mass_Damper/spring-mass-damper.htm
19
Human
20
21
Modeling of Systems
22
우리가 직접 볼수 없는 구성품과 구성
품간의 유기적 관계를 우리가 알고 싶
은 핵심(본질)만으로 표현하는 행위
23
핵심 (核心)
사물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
24
핵심 (核心)
사물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
“사물이나 행동에서 매우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부분”
25
본질 (本質)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사물 자체의 성질이나 모습,
사물이나 현상을 성립시키는 근본적인 성질
26
https://kr.pinterest.com/pin/458311699549466868/
27
Beyond System
복합시스템(System of Systems)
시스템군(Family of Systems)
28
복합시스템(System of Systems)
여러 시스템이 모여 또 다른 공통의(더 큰) 목표를 가짐
마치 하나의 시스템 처럼 하나라도 그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목표
달성이 불가함
개별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지리적으로 분산되고 운영조직도 다름
생각하지 못했던 창발효과(Emergence) 발생으로 시너지 유도
29
시스템군(Family of Systems)
SOS와 같이 독립적으로 때론 다른 장소에서 운영될수도 있음
목적은 같으나 다른 방법(수단)을 통해 더 좋은 양질의 성능(정보)를
얻을수 있음
하나가 없더라도 실패가 아니며 다만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
30
SOS/FOS 例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1
SOS 1: 방어작전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2
SOS 2: 종심공격작전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3
SOS 3: 상륙작전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4
FOS 1: 영상탐지 체계군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5
아키텍처
Architecture
Copyrighted @ Jason Park
아키텍처의 기원
인류의 7000년 역사는 복잡함과 변화를 다루는
유일한 전략으로 아키텍처를 제시할 것이다.
Seven thousand years of history would suggest the only way known
strategy for addressing complexity and change is ‘Architecture’.
By John A. Zachman
37
38
John A. Zachman (born December 16, 1934)
“IBM System Journal 1987”
39
Why
주어진 대상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통해
의사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40
How
주어진 대상의 구성요소간 관계를 가시화
41
What
실체가 없는 것 (예. 도시계획, S/W)
거대, 복잡하여 직접 다루기 어려운 것
(예. 지하철, 유무선 네트워크)
복잡성은 물론 변화를 동반하는 것(시스
템)
42
So what
대상물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관리
대상물을 다양한 관점과 형태로 가시화함
으로써 의사소통 지원
現 시스템을 역설계 할수 있으므로 기능/
성능 개선 가능
43
Why so
핵심(본질)만을 체계적으로 단순/가시화함
으로써 이해관계자의 인지부하 감소
44
Loading
45
Loading
글(Text)
45
Loading
표(Table)
45
Loading
그림(Figure)
45
Loading
동영상(Ani.)
45
But
대상(계획)의 완전무결성 보장 X
성공적 추진 보장 X
46
아키텍처의 정의
시스템의 구성요소, 구성요소간의 관계, 구성요
소와 환경과의 관계 그리고 시스템의 설계와 진
화를 안내하는 원칙을 포함하는(체화된) 시스템
의 근본적인(핵심적인) 구조
47
2013년 10월 이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48
2015년 10월 위례지구(서울-하남-성남)
49
50
51
52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NnPw&articleno=1943
53
54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
55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Viewer
인식한다
55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Viewer
인식한다
만든다
선입견
관심사
55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
개념(Concept)
Viewer
인식한다
만든다
선입견
관심사
55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
개념(Concept)
Viewer
인식한다
표현한다
만든다
선입견
관심사
55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
개념(Concept)
Viewer
인식한다
표현한다
표현(View) 모델(언어)
다른 Viewer
(이해관계자) 소통한다
만든다
선입견
관심사
55
아키텍처 활용 목적
묘사(Description) : As-Is
현재 수준을 가시화함으로써 의사결정 지원
처방(Prescription) : To-Be
강한 의지로 조직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앞으로의(미
래) 방향을 제시
56
국방분야 아키텍처 활용 영역
작전임무수행절차
검증 및 개선
조직편성의 실효성 검증
작전요구능력(ROC)의
명확한 제시
체계간의 상호운용성 증진
능력기반의 소요기획 추진
단위체계사업 아키텍처 지원
국방통합
임무영역
(전장/자원/..)
각군
단위체계
국방아키텍처
국방 주요업무의
과학적 의사결정
소요기획
전투발전요소
(DOTMLPF)
기획예산(PPBE)
획득
체계공학
의
사
결
정
지
원
1
2
3
4
5
6
57
국방아키텍처 적용 근거
전자정부법(제4조, 제45~47조)
제4조 2항(전자정부 원칙) 행정기관 등은 전자정부의 구현.운영 및 발
전을 추진할때 정보기술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국방정보화법(제3조, 제8조)
제8조 (1) 국방부장관은 전자정부법 제46조에 따라 국방정보기술아
키텍처를 도입.운영하여 효율적인 네트워크 중심의 작전 환경을 구축
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국방정보화법 시행령(제11~12조)
제12조(활용) 기본계획 수립 및 정보화 평가, 정보화사업의 계획수립
및 예산편성, 정보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확보 및 표준화 업무, 기타 58
국방아키텍처 프레임워크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Framework
(MND-AF)
59
범정부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
60
60
국방아키텍처 개념
국방 전체 관점에서 업무, 체
계, 기술 등의 정보화 구성요소
에 대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 살아있는
정보화 종합설계도
경영전략 : 미션, 비전, 전략
업무 : 프로세스, 조직
정보기술 : 체계, 기술, 데이터
표준분류 : 기술참조분류, 업무참조모델
61
국방아키텍처 계층적 구조
국방 상위아키텍처(MND-EA)
임무영역별 아키텍처(EA)
(전장EA/정책자원EA/정보화환경EA)
각군 아키텍처
(육군EA/공군EA/해군EA/해병대EA)
단위체계 아키텍처
62
국방아키텍처 기본 구조: 2가지 관점
핵심요소
정보
운용활동
운용
노드
역할
니드
라인
정보교환
조직
지식/ 스킬
프로
세스
프로
세스
인터페이스
데이터 교환
네트워크
성능
핵심 요소
데이터
체계기능
체계
노드
체계
What
Product
How
Function
Where
Container
Who
Mechanism
When
Behavior
운용아키텍처 체계아키텍처Why
Strategy
군사작전
개념
설계
전략
운용 관점: 軍 기술 관점: 엔지니어
“왜 만들어야 하는지?” “어떻게 만들것인지?”
핵심요소
정보
운용활동
운용
노드
역할
니드
라인
정보교환
조직
지식/ 스킬
프로
세스
프로
세스
인터페이스
데이터 교환
네트워크
성능
핵심 요소
데이터
체계기능
체계
노드
체계
What
Product
How
Function
Where
Container
Who
Mechanism
When
Behavior
운용아키텍처 체계아키텍처Why
Strategy
군사작전
개념
설계
전략
Why
Strategy
What
Product
How
Function
Where
Container
Who
Mechanism
When
Behavior
63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Architecture Framework
64
다양한 아키텍처 산출물을
어떤 틀에 맞춰서 만들어 달
라는 서로 다른 관점에 있
는 사람(조직)들간의 공통
의 언어(모델링) 모음(틀)
65
예) Zachman Framework, DoD-AF, MoD-AF, NAF, TOGAF, FEAP, MND-AF
절차 및 지침 제공
산출물
(템플릿, 모델 등)
작성방법
및
도구
등
66
Zachman
1987
TAFIM and TRM
~1990
TOGAF
1995
C4ISR
Arch Framework
1997
DODAF 1.0
(2003)
EA Planning
1992
US FEAF
1999- Present
US Joint
Tech Arch
X-Windows
1995
Open Software
Foundation
1995
UK MODAF
2005
NATO C3 Tech
Arch 2003
CA DNDAF
2007
DAF 2003/4
1987 1990 1992 1995 1999 2003 2004 2005 2007 2008
UK MODAF
V1.2 2008
NAF
2002/2003/2007
DODAF 1.5
(2007)
DODAF 2.0
(2009)
DAF 2007
Source : Architecture in Defence Organisations –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US FEA
MNDAF 1.0
(2005)
MNDAF 1.2
(2007)
History of Architecture Framework
68
I. DoDAF 1.0
- 미군 GIG 아키텍처 구축 용도
- OA/SA/TA
- DoD 전체 적용
2. DoDAF 1.5 (2.0을 위한 임시적 성격)
- 네트워크 중심을 강조 시작
- Vol III은 CADM과 데이터전략을 다룸
- 아키텍처 연합을 강조
3. DoDAF 2.0
- Fit for Purpose
- 능력/프로젝트/데이터 관점
추가
- 서비스개념 도입
- 데이터 중심 아키텍처 관리
- AV-1을 아키텍처 연합용 메
타화
DoDAF 버전 2.0은 1997년에 발
표된 C4ISR(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ing,
Intelligence, Security and
Reconnaissance)의 최신판이다.
2000년 C4ISR에서 DoDAF로 변
경되어서 DoDAF 버전 1.0으로
발표됨. 2007년 발표된 DoDAF
버전 1.5는 중간 단계 버전.
History of DoD-AF
69
History of MND-AF
MND-AF v1.0: 2005.2
- 목적: 국방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 정보화사업 조정, 통제 및 효율성
제고, 효율적 정보자원관리 방안 수립, 대규모 정보체계의 체계분석
및 설계의 공통적 표현법 제공
- 참고: DoDAF v1.0
MND-AF v1.2: 2007. 8
- 목적: 행정자치부에서 요구하는 메타데이터 반영, 국방EA를 범정부의
EA 비전, 원칙 및 목적에 정렬
- 산출물: DoDAF v1.0 기준 8종 아키텍처 산출물 추가
(AV 2종, OV 2종, SV 3종, TV 1종)
70
MND-AF 구성
60페이지, 정의와 지침, MND-AF 개요,
원리/산출물/개발절차 개요 등
377페이지, 산출물 작성지침 및 관계 등
국방아키텍처
메타모델 정의서
(MND-AMM)
아키텍처 산출물 메타모
델, 범정부 연계 및 상용도
구 연계를 위한 XML 스키
마 설명
71
정보화 분야 설계
업무 분야 설계
운용 관점
• 업무 수행을 위한 업무기능 식별 및 정보
흐름 정의
• 조직 전체의 업무활동, 업무/조직간 관계,
• 조직 내부/조직간 교환정보 등 작성
• 운용 관점에서 제시된 요구사항 충족을
위해 IT 기술을 적용한 최적의 체계 설계
• 체계 구성/기능, 체계 성능, 체계간 관계,
업무활동과 관계, 체계 보안 등 작성
• 체계 구성요소 별로 적용되는 기술표준
정의
• H/W, S/W, 네트워크 등에 대한
적용표준 작성
MND-AF 3가지(OV, SV, TV) 관점
운용 관점
72
• SV-1a 체계정의 기술서
• SV-1b 체계 인터페이스 기술서
• SV-2 체계통신 기술서
• SV-3 체계관계 추적상관표
• SV-4 체계기능 기술서
• SV-5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추적상관표
• SV-6 체계데이터 교환목록
• SV-7 체계 성능요소 목록
• TV-1 기술표준 목록
• TV-2 미래표준 목록
• TV-3 제품 목록
• SV-8 체계진화 기술서
• SV-9 체계기술 예측목록
• SV-10a 체계규칙 모델
• SV-10b 체계상태 전이기술서
• SV-10c 체계사건 추적기술서
• SV-11 물리 데이터 모델
• SV-12 체계 기반구조 기술서
• SV-13 체계보안 기술서
• OV-6a 운용규칙 모델
• OV-6b 운용상태 전환기술서
• OV-6c 운용사건 추적기술서
• OV-7 논리데이터 모델
• OV-1 운용개념도
• OV-2 운용노드 연결기술서
• OV-3 운용정보 교환상관표
• OV-4 조직 관계도
• OV-5 운용활동 모델
• AV-3 아키텍처 원칙정의서
• AV-4 기관 비전/미션
• AV-1 개요/요약정보
• AV-2 통합사전
MND-AF 1.2 산출물: 34종
73
4
11
16
3
• OV-7a 데이터 구성도
• OV-7b 개념데이터 모델
• OV-7c 논리데이터 모델
DoDAF v1.0 vs. MND-AF v1.2
AV-1 개요와 요약 정보
AV-2 통합 사전
AV-3 아키텍처 원칙정의서
AV-4 기관의 비전 및 미션
TV-1 기술표준 목록
TV-2 미래표준 목록
TV-3 제품 목록
AV-1
Overview and Summary
Information
AV-2 Integrated Dictionary
OV-1
High Level Operational
Concept Graphic
OV-2
Operational Node
Connectivity Description
OV-3
Operational Information
Exchange Matrix
OV-4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Chart
OV-5
Operational Activity
Model
OV-6a Operational Rules Model
OV-6b
Operational State Transition
Description
OV-6c
Operational Event-Trace
Description
OV-7 Logical Data Model
TV-1
Technical Standard
Profile
TV-2
Technical Standard
Forecast
OV-1 운용 개념도
OV-2 운용노드연결 기술서
OV-3 운용 정보교환 상관표
OV-4 조직 관계도
OV-5 운용활동 모델
OV-6a 운용 규칙 모델
OV-6b 운용 상태 전환 기술서
OV-6c 운용 사건-추적 기술서
OV-7a 데이터 구성도
OV-7b 개념데이터 모델
OV-7c 논리데이터 모델
MND-AFv1.2DoDAFv1.0
74
SV-1 Systems Interface Description
SV-2 Systems Communications Description
SV-3 Systems-Systems Matrix
SV-4 Systems Functionality Description
SV-5 Operational Activity to Systems Function
Traceability Matrix
SV-6 Systems Data Exchange Matrix
SV-7 Systems Performance Parameters Matrix
SV-8 Systems Evolution Description
SV-9 Systems Technology Forecast
SV-10a Systems Rules Model
SV-10b Systems State Transition Description
SV-10c Systems Event-Trace Description
SV-11 Physical Schema
SV-1a 체계정의 기술서
SV-1b 체계인터페이스 기술서
SV-2 체계통신 기술서
SV-3 체계관계추적 상관표
SV-4 체계기능 기술서
SV-5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추적 상관표
SV-6 체계데이터 교환 목록
SV-7 체계 성능요소 목록
SV-8 체계진화 기술서
SV-9 체계기술예측 목록
SV-10a 체계규칙 모델
SV-10b 체계상태전이 기술서
SV-10c 체계사건추적 기술서
SV-11 물리 데이터 모델
SV-12 체계기반구조 기술서
SV-13 체계보안 기술서
MND-AFv1.2DoDAFv1.0
75
공통관점(All Views) 산출물: 4종
식별
자
산출물 명칭 정 의
AV-1
아키텍처
개요 및 요약정보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목적과 목표, 배경, 필요성, 범주 등 전반적인
아키텍처 주요 내용을 기술하는 산출물이다.
아키텍처 개발계획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완료 후에는 아키텍처에
관련된 종합정보를 제공한다.
AV-2 통합 사전
아키텍처에서 사용된 용어 중 관리가 필요한 중요한 용어에 대하여,
용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 아키텍처 데이터 요소를 정의하기 위한
산출물이다.
AV-3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아키텍처 개발 목적과 범위를 기준으로 산출물 작성을 포함한 아키텍처
작업에 대한 상세 원칙을 기술한 산출물이다.
AV-4
기관의 비전 및
미션
국방 비전 및 미션, 목표, 전략을 기술하고 이행과제를 정의
76
목적
– 산출물의 범위, 목적, 사용자, 환경, 분석결과 등의 개요 및 요약 정보
– who, what, when, why, how 와 관련된 요약정보를 문서화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아키텍처
개요 및 요약
표 필수 필수
아키텍처의 5W1H 원칙 정보(배경, 목표, 제약사
항, 향후 발전방향 등), 이력정보(버전, 작성일 등
), 유지보수 정보(아키텍처 개발자, 소속, 연락처
등), GITAMS와의 연계정보를 기술하는 ''표'' 형태
의 템플릿.
AV-1(아키텍처 개요 및 요약정보)
77
(Page 1/2) (Page 2/2)
78
목적
– 아키텍처 산출물에서 사용된 용어의 중앙 저장소를 제공 한다.
– 아키텍처 산출물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 용어의 정확성과 명료성을 제공하여 장기적으로 상호운용성을 지원한다.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통합사전 표 필수 필수
아키텍처 개발자가 등록하고 사용해야 할 중요한
표준 용어를 정의하는 ''표'' 형태의 템플릿임.
AV-2(통합사전)
79
80
목적
– 아키텍처 계획, 구축, 운용, 유지보수 등의 생명주기 전반에 기준으로 활용한다.
– 아키텍처 산출물 개발에 적용되는 규칙 및 지침을 제공한다.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표 필수 필수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는 아키텍처 원칙에 대한
이해를 이해관계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도
록 ''도'' 형태로 표현한 템플릿임.
AV-3(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81
<AV-3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템플릿> <AV-3 지침목록 설명서>
<AV-3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설명서>
82
목적
– 비전 및 미션의 정의
– 목표 수행을 위한 이행과제 및 사업의 정의
– 비전 및 미션, 목표, 전략에 대한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이해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기관의
비전 및 미션
도 필수 보조
'기관의 비전 및 미션'을 “도” 형태로 표현한 산출
물로써, 필요에 따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
과 성과지표(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s)를
도출하고 이행과제와 사업을 연계하여 표현한다.
AV-4(기관의 비전 및 미션)
83
<AV-4 기관의 비전 및 미션 템플릿> <AV-4 사업정의 설명서>
<AV-4 기관의 비전 및 미션 설명서>
84
운용관점(Operational View) 산출물: 11종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OV-1 운용개념도
조직(체계)에 대한 임무수행, 핵심운용노드(조직), 운용능력(특수작전, 예외
적인 업무절차, 불특정한 현상) 등에 대한 총체적인 모습을 표현한 산출물.
OV-2
운용노드연결
기술서
상호작용하는 운용노드(또는 조직)와 그들이 교환하는 정보 형태의 식별을
통해 기술되고 운용노드와 운용노드 사이의 관계를 그래픽 적으로 묘사한
산출물.
OV-3
운용정보교환
목록
조직간의 정보 정보교환과 목적을 식별하고, 정보교환의 방법이 표현된 정
보교환을 상세화한 산출물.
OV-4 조직관계도
아키텍처의 핵심 수행자들에 관한 운용역할들과 조직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산출물.
OV-5 운용활동모델
조직이나 개인에게 할당된 업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활동
명세를 작성하는 산출물.
85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OV-6a 운용규칙모델 임무, 작전, 업무 및 아키텍처 등에 대한 제약사항을 정의하는 산출물.
OV-6b
운용상태전이
기술서
운용노드 또는 활동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다양한 사건에 응답하는 방법
을 그래픽적인 방법으로 기술한 산출물.
OV-6c
운용상태추적
기술서
특정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 운용노드간의 정보교환 내용을 시간중심으로
표현한 산출물.
OV-7a 데이터구성도
최상위자 수준에서 조직의 운용활동에 필요한 주요 데이터의 구성 현황과
계획, 관련 시스템을 정의
OV-7b 개념데이터모델 운용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참조모형에 따라 그룹핑하여 정의
OV-7c 논리데이터모델 설계자 수준에서 논리적 수준의 데이터 모델
86
OV-1(운용개념도)
목적
– 아키텍처 또는 체계에 대한 개념을 신속히 이해
– 아키텍처와 관련된 모든 이해당사자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개념의 전달 및 습득
이 용이
– 의사결정권자(지휘관)등에게 운용에 대한 보고용으로 사용 가능
– 아키텍처 개발을 위한 최상위 임무(업무)영역을 정의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개념도 도 - 필수
임무수행, 핵심운용노드, 조직, 체계 등
의 상호작용에 대한 총체적인 모습을 표
현한 템플릿이다
업무구성도 도 필수 -
업무대기능과 중기능간의 관계를 도 형
태로 표현한 템플릿이다.
87
OV-1(운용개념도) 예
사단
연대 연대 연대
군단
88
목적
– 운용노드 (임무 및 업무 중심)를 정의 및 식별
– 운용노드에서 수행되는 활동을 정의
– 노드간의 정보교환 소요를 추적
– 특정 시나리오에 의해 구성된 운용노드간의 교환되는 정보를 손쉽게 추적
– 아키텍처 개발을 위한 목적과 목표, 임무수행에 대한 기준점 제공
– 현행/미래 업무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임무 또는 정보의 중복 그리고 불필요한
임무요구 등을 식별
– 외부노드를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업무 관계도 도 필수
업무기능간 관계와 조직 사람간의 상호작용을 도의 형태로 표
현한 템플릿
운용노드
연결관계도
도 필수
운용노드와 운용노드간의 정보교환을 도의 형태로 표현한 템플
릿
OV-2(운용노드연결기술서)
89
군단-UAV
영상촬영
영상정보
전송
연대
공격 지시
정보접수
상황보고
사단
피아
상황파악
목표물 공격
지시
작전 계획
정찰요철
군단
정찰요청
접수
정찰계획
정찰 요청 정보
정찰지시
90
목적
– 운용노드간에 유통되는 정보교환 요구사항을 정의
– 정보교환의 상세 속성을 식별(매체유형, 품질, 처리량, 상호운용성 수준)
– 운용관점의 핵심요소인 운용활동, 운용노드, 정보흐름을 통해 정보의 특징을 표
현
– 핵심 임무를 정보교환을 통해 나타낼 경우 각각의 임무에 관련된 특징 및 속성들
을 표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정보교환목록 표
P - P -
니드라인별 정보교환별 정보교환내역을 표의
형태로 표현한 템플릿 이다.
O 필수 O 필수
D - D -
OV-3(운용정보교환목록)
91
니드라인
명칭
정보교환목록
명칭
생성
운용노드
소비
운용노드
생성
운용활동
소비
운용활동
트리거
사건
매체
유형
보안
등급 적시성 주기
군수정책/기획 to군
수소요/예산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군수소요/예산 최종안확정
관련자료
분석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조
달/보급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조달/보급
최종안확정/시
달
관련자료
분석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평문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운
영/관리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운영/관리
최종안확정/시
달
관련자료
분석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평문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
정책기획 계획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정책기획 계획 최종안확정 정책서 접수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
재난재해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재난재해
중기계획
확정
중기계획서
접수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
중장기재원판단및
배분
중기계획서 군수정책/기획
중장기재원판단
및배분
최종안확정
중기계획서
접수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각군본부 to
군수소요/예산
중기계획요구서 각군본부 군수소요/예산
중기계획요구
서작성
중기계획요구
서접수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92
OV-4(조직관계도)
목적
– 조직이나 조직 유형들 간의 관계(지휘, 통제, 협조 등)를 식별
– 업무범위를 식별
– 정보체계 배치를 위한 대상을 식별
– 업무담당자 역할 및 관계를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 식별
자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OV-4 조직관계도 도 필수 필수
조직과 조직간의 관계를“도”형태로 표현
한 템플릿 이다.
93
<OV-4 조직관계도 템플릿> <OV-4 조직관계 설명서>
94
목적
– 임무 및 업무목표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활동을 식별한다.
– 활동에 요구되는 정보를 식별한다.
– 활동과 연관된 운용노드간의 소요정보를 식별한다.
– 임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요소의 범위를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업무기능분할도 도 필수 업무기능을 계층적으로 표현한 템플릿
운용활동 업무절차
흐름도
도 보조
운용활동의 흐름을 단위과제별 업무처리단계별로
표현
운용활동계층도 도 - 필수 운용활동의 수준에 따라 계층적으로 표현한 템플릿
운용활동흐름도 도 보조 운용활동 간의 흐름을 표현한 템플릿
OV-5(운용활동모델)
95
96
OV-5 운용활동 계층도
OV-5 운용활동 흐름도
목적
– 운용개념을 구체화
– 상세화된 규칙 개발의 기준을 제공
– 아키텍처 수행에 대한 동기를 제공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규칙모델 표
P - P -
실행선언기법을 이용한 규칙모델 템플릿O - O -
D 보조 D 보조
OV-6a(운용규칙모델)
97
98
OV-6 운용규칙 모델 例
목적
– 운용노드, 운용활동의 외부 및 내부 사건에 대한 순차적 표현
– 체계 내부의 정적인 상태 변화를 분석함으로 행위와 정보 식별
– 주로 실시간처리 체계의 기능 및 요구분석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상태전이기술서 도
P - P -
상태간 전이를 표현한 템플릿O - O -
D 보조 D 보조
OV-6b(운용상태전이기술서)
99
6b 운용규칙모델 템플릿>
-6b 운용규칙모델 – 예시>
100
<OV-6b 운용규칙모델 템플릿>
<OV-6b 운용규칙모델 – 예시>
OV-6b 운용상태전이기술도
OV-6b 운용상태전이기술도 例
OV-6c(운용사건추적기술서)
목적
– 운용개념에 대한 상세화 지원
– 운용노드간의 상호작용 정의
– 각 시점별 운용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운용노드의 소요 정보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사건추적기술서 도
P - P -
활동 또는 아키텍처 내용에 대한 순차적
흐름을 추적하여 표현한 템플릿이다.
O - O -
D 보조 D 보조
101
102
OV-6C 운용사건 추적기술서 例
OV-7a(데이터구성도)
목적
– 데이터 구성요소 식별 및 정의
– 업무규칙 식별 및 정의
– 정보의 의미 식별 및 정의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데이터 구성도 도 필수 -
데이터 구성에 대한 분류체계를
식별하여 데이터 주제영역, 데이
터그룹,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함.
103
<OV-7a 데이터 구성도 템플릿> <OV-7a 데이터 구성도 설명서>
104
목적
– 개념데이터엔티티 식별 및 정의
– 업무규칙 식별 및 정의
– 정보에 대한 의미와 관계식별 및 정의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개념데이터모델 도 필수 -
데이터베이스 단위로 개념엔티티타
입을 식별하고 엔티티타입 간의 관
계를 표현함.
OV-7b(개념데이터모델)
105
106
OV-7b 개념데이터 모델 例
목적
– 논리엔티티타입 식별 및 정의
– 업무규칙 식별 및 정의
– 정보에 대한 의미와 관계식별 및 정의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논리데이터모델 도 보조 보조
개념엔티티타입을 기반으로 논리
엔티티타입을 식별하고 논리엔티
티타입 간의 관계 및 속성을 표현
함
OV-7c(논리데이터모델)
107
<OV-7c 논리데이터모델 템플릿> <OV-7c 논리데이터모델 - 예시>
<OV-7c 논리데이터모델 설명서>
108
체계관점(System View) 산출물: 16종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SV-1a
체계정의기술
서
운용관점에서 식별된 조직이나 개인의 임무와 역할, 역량과 능력을 체계관
점에서의 기능적 요구사항으로 전환한 산출물
SV-1b
체계인터페이
스
기술서
체계노드와 체계를 식별하고, 체계노드간의 인터페이스 체계간 인터페이스,
체계노드 내의 체계간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는 산출물
SV-2
체계통신기술
서
체계노드와 체계노드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 데 있어 통신장
비, 통신 경로, 통신 서비스 등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기술하는 산출물
SV-3
체계관계
추적 상관표
체계인터페이스 기술서에서 표현한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매트릭스 형식으
로 표현한 산출물
SV-4
체계기능
정의서
체계의 기능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계층화시켜서 체계 기능 간 데이터 흐름
을 표현하고 프로그램 목록을 식별하는 산출물
SV-5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추적
상관표
아키텍처에 적용된 운용활동과 체계 기능 사이의 관계를 상세화 한 산출물
110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SV-6
체계데이터
교환목록
체계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요구사항과 요소(Element)를 명세화하며 체
계 내에서 구현될 데이터교환 정보를 기술하는 산출물
SV-7 체계성능목록
체계, 체계 내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통신장비, 체계기능의 현재 성
능 파라메터와 특정 시간에 기대되거나 요구되는 성능 파라미터를 정량적
으로 설명한 산출물
SV-8
체계진화기술
서
장기적으로 개발되는 아키텍처 또는 체계의 경우, 시간선상에 따라 설계 및
배치되는 진화 계획을 정의하는 산출물
SV-9
체계기술
예측목록
중요한 현재 및 예측되는 지원 기술을 정의하는 산출물
SV-10a 체계규칙모델
아키텍처, 체계 또는 체계 컴포넌트, 그리고 체계 기능 등에 대한 제약사항
을 정의하고, 체계 또는 체계 컴포넌트 수준에서는 특정 조건하에 아키텍처
나 체계가 행하는 규칙을 기술하는 산출물
SV-10b
체계상태전이
기술서
체계 또는 체계기능이 그들의 상태를 변화함으로써 다양한 사건에 응답하
는 방법을 그래픽적인 방으로 기술하는 산출물
SV-10c
체계사건추적
기술서
특정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 체계/체계기능간의 체계데이터교환내용을 시간
중심으로 표현한 산출물
111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SV-11
물리데이터
모델
논리 엔티티 타입을 물리데이터 환경을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물리스키마 생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현한 산출물
SV-12
체계기반구조
기술서
체계노드 별 체계를 지원하는 물리적인 플랫폼 구성항목을 기술
하는 산출물
SV-13
체계보안
기술서
운용요구사항과 운용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을 통해
제기될 수 있는 위험, 위협 등을 식별하여, 이들을 관리 및 제어 할
수 있는 모델, 서비스,기술을 정의한 산출물
112
목적
– 체계의 전체적인 구조와 구성에 대한 이해와 SV-1b의 체계노드에 존재하는 체계
및 기능을 식별
– 논리적인 체계식별을 통해 향후 아키텍처 수행에 필요한 기본 요건들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정의기술서 도
P 필수 P 필수
체계의 전체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인지하도록
해당 조직, 사람, 체계도메인, 체계를 도식화한 템
플릿이다.
O - O -
D - D -
SV-1a(체계정의기술서)
113
<SV-1a 체계정의기술서 템플릿> <SV-1a 체계정의기술서 설명서 - 2>
<SV-1a 체계정의기술서 설명서 - 1>
114
목적
– 운용노드를 지원하는 체계노드와 체계를 식별
– 조직적인 경계를 교차하는 체계인터페이스(핵심인터페이스)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 관계도 도
P - P - 국방 EA 개발 시 체계간의 인터페이스 관계를 표
현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체계간, 체계와 체계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를 기술한다.
O 필수 O -
D - D -
체계 노드간
인터페이스
도
P 필수 P 필수 상위수준에서 체계노드와 체계노드 내의 체계를
식별하고 체계노드간의 인터페이스를 기술한 템
플릿이다.
O - O -
D - D -
체계간
인터페이스
도
P - P -
체계노드간 인터페이스를 체계간 인터페이스로
구체화한 템플릿이다.
O - O 필수
D - D -
체계노드
내부 인터페이스
도
P - P -
체계노드 내의 체계간 인터페이스와 외부 노드와
의 관계를 정의한 템플릿이다.
O - O 필수
D - D -
SV-1b(체계인터페이스기술서)
115
<SV-1b 체계관계도 템플릿> <SV-1b 체계간 인터페이스 템플릿>
<SV-1b 체계노드내부 인터페이스
템플릿>
<SV-1b 체계노드간 인터페이스
템플릿>
116
1군단
1군단-UAV
UAV
영상데이터
전송
비행관리
1사단
지휘통제
체계 작전관리
정보관리
1사단
군단
지휘통제
체계작전관리
정보관리
100연대
지휘통제
체계 작전관리
영상데이
터수신
1사단-200연대
200연대
지휘통제
체계 작전관리
영상데이
터수신
1사단-
300연대
117
SV-2(체계통신기술서)
목적
– 체계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물리 매체 (동축 케이블, 광 케이블 등) 구성 제공
– 물리적 노드와 이들 간의 통신 경로 표현
– 통신장비와 네트워크의 경로를 표현하고 운용 노드와 체계 인터페이스의 구성
제공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통신 구성도 도 필수 -
전군 혹은 체계 내 네트워크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계획자 차원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현함.
체계통신 관계도 도 보조 보조
체계노드와 체계노드 간의 통신장비와 통신링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형태로 표현함.
체계통신 설계도 도 보조 보조
체계노드 내부의 체계와 통신장비 간의 구성을 “도”
형태로 표현함.
118
1군단
1군단-
UAV
1사단-
200연대
1사단
전술유선
통신망
전술무선
통신망
예비
전술망
LAN
SV-2(체계통신구성도 예)
119
<SV-2 체계통신 관계도 템플릿>
정의
– 책임자 관점에서 “체계통신 구성도”를 구
체화 한 외부망 템플릿이고, 체계노드 사이
의 통신링크를 세부적으로 분해하여, 체계
노드 간 연결된 통신장비와 경로를 식별할
수 있는 “도” 템플릿임.
작성방법
– “체계통신망 구성도”를 참고하여 체계노드,
체계노드 간 네트워크 정보를 표현함.
– 외부 네트워크 망과 연결된 통신장비를 식
별한 후 각 체계 노트 간 통신장비의 구성
과 통신경로 표현.
– 통신장비 : 체계노드 혹은 체계 사이의 데
이터 혹은 정보의 전송 기능 (스위칭, 라우
팅 등)을 가지고 있는 통신장비의 명칭을
정의하고, 각 통신장비 간의 통신링크를 도
식화 함.
– 경로 : 하나의 체계노드/체계에서 다른 체
계노드/체계로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링크의 경로를 도식화 함.
120
<SV-2 체계통신 설계도 템플릿>
SV-2(체계통신설계도) : 템플릿
<SV-2 체계통신 설계도 설명서>
정의
– 설계자 관점에서 체계노드 내의 체계
와 통신 장비들 간의 연결정보를 네트
워크 중심으로 표현한 “도”형식의 템
플릿임.
작성방법
– “체계통신 구성도”에서 식별된 체계노
드 내부의 네트워크 구성을 표현함.
– 체계노드 내의 각 체계를 식별하고 체
계와 연결된 통신장비들 간의 연결정
보를 표현함.
– 체계노드 외부의 네트워크들과 연결
된 통신장비를 식별하고 이를 표현함.
– 체계노드 내의 통신장비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함.
– (체계노드 명, 통신장비 유형, 자산관
리 번호 등)
121
1사단-200연대
1사단-200연대 지휘통제체계
200연대
백본스위치
200연대
데이터
수신기
200연대
라우터
200연대
방화벽
200연대
CSU-1
200연대
암호
장비 1
200연대
암호
장비 2
200연대
DB서버
200연대
전술통제
서버
200연대
영상처리
서버
UAV
데이터
송신기
1사단
CSU-1
122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관계추적상
관표
표
P - P -
체계와 체계간의 상관관계를 N2-유형 매트릭스
(N2-type Matrix) 형태로 표현한 템플릿이다.
O 필수 O 필수
D - D -
목적
– 인터페이스의 잠재적 공통성과 중복성에 대한 신속한 평가 와 정의된 체계들 간의
관계 설정 파악
– 아키텍처 목적에 부합하는 체계간의 관계를 강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임무영
역별, 체계도메인별, 체계별, 능력별 등)으로 작성
템플릿 목록
SV-3(체계관계추적상관표)
123
<SV-3 체계관계 추적상관표 템플릿> <SV-3 체계관계 추적상관표 예시>
124
목적
– 각 체계에 의해 요구된 필요 정보(데이터 흐름)를 명백하게 설명
– 체계기능간 연결에 대한 완전성 확인
– 체계기능 분할에 대한 적절성 및 상세화 수준 확인
– 체계의 요구 기능을 만족하는 프로그램 및 모듈(컴포넌트) 포트폴리오 정의
– 시스템 개발비용 산정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기능분할도 도
P - P -
체계와 체계기능간의 관계를 계층적으로 표현하여 각 체계
기능의 분할 구조를 식별하고 체계기능간의 연결성과 분할
의 적절성 및 상세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템플릿이다.
O 필수 O 필수
D - D -
데이터흐름도 도
P - P -
체계기능, 외부 소스 및 목적지, 데이터 저장소간의 데이
터 흐름을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보조 D 보조
프로그램목록 표
P - P -
분산계층 관점에서 체계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목록
과 리소스 정보를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보조 D 보조
SV-4(체계기능기술서)
125
<SV-4 체계기능분할도 템플릿> <SV-4 데이터 흐름도 템플릿>
<SV-4 체계기능분할도 설명서> <SV-4 프로그램 목록 템플릿>
126
목적
– 계획자 수준에서,
§ 운용능력이 배치될 체계로 적절히 반영되는가를 식별.
§ 의사 결정자가 연통형 체계(Stovepipe), 중복(redundant/ duplicative) 체계, 능력
이 부족한 체계, 시간 주기에 따라 가능한 미래 투자 전략 등을 식별 가능하게
함.
– 사용자 수준에서
§ 운용 요구사항이 체계에 의해 수행되는 행위로 적절히 반영되는가를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활동 대 체계
기능 추적상관표
표
P - P -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을 추적하는 템플릿이다.O 필수 O 필수
D - D -
능력 대 체계 추
적상관표
표
P - P -
능력 대 운용활동,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체계기
능 대 체계 그리고 이와 관련된 능력 대 체계를 지
원하는 요소들을 추적한 템플릿이다.
O 보조 O 보조
D - D -
SV-5(운용할동대체계기능추적상관표)
127
<SV-5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추적 상관표 템플릿>
128
<SV-5 능력 대 체계 추적 상관표 템플릿>
운용활동2는 체계1의 체계기능1
과 체계기능2 사이에 배치되어
지원되고 있고,
체계2의 체계기능1이 현재는 배
치되어 있지 않지만 개발이 완료
되고 배치될 예정임을 보여준다.
운용활동8은 현재는 배치되어 있
지 않지만 일부 체계 개발이 계획
되거나 예정되어있음을 보여준
다.
공란은 운용활동을 위한 체계 지
원 계획의 미정 또는 운용활동과
체계기능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을 뜻할 수 있다
129
목적
– 체계관점(체계 기능, 체계, 데이터 흐름)의 3가지 기본적인 아키텍처 데이터 요소
의 교차하는 관계를 표현
– 운용 임무의 중대한 영향이 주거나 잠재적인 과부하나 제약을 주는 체계 데이터
흐름과 체계 데이터 내역 파악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데이터교환
목록
표
P - P -
체계 기능간의 데이터 교환 및 관계(체계인터페
이스, 체계, 체계기능)를 표현한 “표” 형태의 템플
릿이다.
O 보조 O 보조
D - D -
SV-6(체계데이터교환목록)
130
<SV-6 체계데이터 교환목록 템플릿> <SV-6 체계데이터 교환목록 예시>
131
SV-7(체계성능요소목록)
목적
– 체계에 할당된 임무 목표를 충족하기 위하여, 어떤 성능 특성이 가장 핵심적인지
를 식별함
– 식별된 성능 특성은 획득 및 배치 결정에 결정적인 요소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획
득결정절차와 체계설계 상세화를 위한 체계분석과 시뮬레이션에 사용됨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성능목록 표 보조 보조
체계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현재 및 특정 미래 시점
의 성능에 대해 정량적 , 정성적으로 표현함.
132
133
목적
– 아키텍처와 체계가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에 대한 명백한 설명 제공
– 아키텍처 진화 프로젝트 계획으로 사용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진화 기술
서
도
P 보조 P 보조 체계 진화의 흐름을 발전(evolution : 범위의 확장
과 기능성 및 융통성의 증가)과 전환(migration :
보다 개선된, 효율적인, 소형의, 저렴한 체계의 점
증적인 개발)의 관점에서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 D -
SV-8(체계진화기술서)
134
135
목적
– 아키텍처 및 현존하거나 계획된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기술 요약
– 아키텍처와 체계의 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원 기술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기술예측목
록
표
P 보조 P 보조
체계기술예측목록은 소유자(책임자) 관점에서
체계진화에 요구되는 기술표준과 제품을 식별하
여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 D -
SV-9(체계기술예측목록)
136
<SV-9 체계기술예측 목록 템플릿>
<SV-9 체계기술예측 목록 예시>
137
목적
– 체계와 체계기능에 부여되어 있는 규칙과 제약사항 이해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규칙모델 표
P - P -
체계나 체계 속성 수준에서, 체계규칙모델은 특
정한 상황 하에 아키텍처의 행동에 대한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템플릿이다.
O - O -
D - D 보조
SV-10a(체계규칙기술서)
138
139
SV-10b(체계상태전이기술서)
목적
– "SV-4 체계기능기술서“에서 표현되지 않는 외부 및 내부 사건에 응답하는 체계기능들
의 시간 순차를 기술
– 문자적으로 의미 손실 없이 체계 사건의 타이밍과 이들 사건에 응답을 설명
– 그래픽 형태로 누락된 조건 검출과 규칙의 완전성을 신속히 분석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상태전이
기술서
도
P - P -
상태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사건에 반응하는 체
계 또는 체계기능을 그래픽적 방법으로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 D 보조
140
<SV-10b 체계상태전이 기술서 예시>
141
SV-10c(체계사건추적기술서)
목적
– 체계개념에 대한 상세화 지원
– 체계노드의 인터페이스 구체화 지원
– 필요한 정보를 가진 체계 또는 체계기능 확인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사건추적
기술서
도
P - P -
특별한 시나리오의 결과로써 체계/ 체계기능 사
이에서의 체계데이터교환을 시간 순서별로 표현
하기 위한 템플릿이다.
O - O -
D - D 보조
142
<SV-10c 체계사건추적 기술서 템플릿>
143
목적
– 체계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가능한 한 상세하게 서술함으로써 상호운
용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최소화
– 필요하다면, 체계설계 단계에서 유용한 데이터 구조 제공
템플릿 목록
템플릿
식별자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SV-11 물리데이터모델 도 보조 보조
논리엔티티타입을 기반으로 물
리엔티티타입을 식별하고 물리
엔티티 간의 관계 및 물리속성
을 표현함.
SV-11(물리데이터모델)
144
<SV-11 물리데이터 모델 템플릿> <SV-11 물리데이터 모델 예시>
<SV-11 물리데이터 모델 설명서>
145
목적
– 체계 설계 및 개발의 기반 제공
– 플랫폼 구성항목을 식별하여, 하드웨어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설계 효율성 제고
– C/S 또는 DCE 기반의 하부구조 정의, 정보 수행 및 교환의 기반체계로 활용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기반구성도 도 필수 -
전군 혹은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하드웨어, 시스템소프트웨어
를 계획자 관점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표현함.
체계기반분산
구조도
도 보조 필수
체계의 분산구조계층을 식별하고, 각 계층별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배치하여 표현함.
하드웨어 구성도 도 보조 보조
전군 혹은 체계 내부의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제품을 식별하여
표현함.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 보조 보조
전군 혹은 체계 내부의 시스템소프트웨어와 시스템소프트웨
어 제품을 식별하여 표현함.
SV-12(체계기반구조기술서)
146
147
148
목적
– 조직의 효과적인 보안관리 체계를 개발, 시행, 감시하기 위한 공통 지침제공
– 조직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공유를 위한 기반 제공
– 보안 정책의 확인, 보안영역 및 보안요소 도출
– 체계구조에 보안 서비스의 정의 및 구현 템플릿 목록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보안정책 구조도 도 필수 -
계획자 수준에서 기관 혹은 체계의 보안 영역별 보안 정책을
정의하는 산출물 템플릿.
체계보안구조 구성
도
도 필수 필수
책임자 수준에서 기관 혹은 체계의 전체적인 보안영역과 보안
요소에 대한 현황 및 목표 청사진을 도식화하여 표현함.
체계보안관계 기술
서
도 필수 필수
책임자 수준에서 보안요소를 관리, 기술, 물리보안으로 분류하
고, 이들과 관련된 체계, 하드웨어, 통신장비와의 관계를 식별
하여 표현함.
SV-13(체계보안기술서)
149
정의
– 책임자 수준에서 기관 혹은 체계의 전
체적인 보안영역과 보안요소에 대한 현
황 및 목표 청사진을 도식화하여 표현
한 “도”형식의 템플릿임.
작성방법
– 기관의 아키텍처(EA : Enterprise
Architecture)를 개발 할 경우에는 기관
에서 정의한 보안정책 구조에 따라 보
안요소와 하부보안요소를 식별하고, 이
를 관리보안, 물리보안, 기술보안으로
분류하여 표현함.
– 체계 EA를 개발 할 경우에는 체계를 위
협할 수 있는 보안요소를 관리보안, 물
리보안, 기술보안으로 분류하여 표현함.
– 세부 작성방법은 “MND-AF 1.2 2권 산
출물 정의서”를 참조하여 작성함.
<SV-13 체계보안구조 구성도 템플릿>
<SV-13 체계보안구조 구성도 설명서>
150
151
기술표준관점(Technical Standard View) 산출물: 3종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TV-1 기술표준목록
아키텍처의 설계 및 구현에서 선택에 제한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법, 정책, 체
계표준규칙을 수집하여 기술한 산출물
TV-2 미래표준 목록
아키텍처에 의해 발견된 체계들이 발전하는 기술 표준들 또는 최근에 만들
어진 기술 표준 목록이며 이들은 “기술표준 목록” 산출물에서 작성된 표준
에 대한 미래 발전 변화를 포함한 산출물
TV-3 제품목록
체계 혹은 전군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이 적용된 제품에 대해 제품구분 및 유
형에 따라 목록화 한 산출물
152
목적
– 아키텍처 구현에 적용하는 표준과 규칙을 설명
– 제품 평가 및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기술표준목록 표
P - P - 체계에서 사용되는 기술표준을 목록 화
한 템플릿으로서, 국방TRM 기술서비스
분야에서 분류한 서비스와 국방TRM 세
부기술분야에 따른 표준을 식별하여 표
현함.
O 필수 O 필수
D - D -
TV-1(기술표준 목록)
153
154
목적
– 핵심 기술 표준, 기술 표준의 약점, 그리고 아키텍처의 미래 개발과 유지보수성에
대한 기술 표준의 영향을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미래표준목록 표
P - P -
체계 발전에 따른 기술표준들 혹은 최근
에 만들어진 기술 표준들을 목록화 하여
표현함.
O - O 필수
D - D -
TV-2(미래 표준목록)
155
156
TV-3(제품목록)
목적
– 국방 정보체계간의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정보 관리를 가능
–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제품 조달(구매)을 보장
– 체계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제품 목록 제시
– 비 개발 품목(COTS, GOTS) 및 연구개발 대상 식별
–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제품목록 표
P - P -
체계 혹은 전군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이 적용된 제품에 대해 제품구분 및 유
형에 따라 목록화 한 템플릿
O - O -
D 보조 D 보조
157
158
아키텍처 작성 6단계 절차
159
MND-AF 순서도
160
MND-AF는 작성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의사소통 수단으로 이해, 활용되어야 함
161
TOYOTA New Global Architecture
https://tw.autos.yahoo.com/news/tnga%E6%A8%A1%E7%B5%84%E5%8C%96%E5%BA%95%E7%9B%A4%E4%B9%9F%E5%B0%87%E5%85%A5%E5%88%97-
toyota%E4%B8%AD%E5%9C%8B%E5%A4%A9%E6%B4%A5%E5%BB%A0%E8%A8%AD%E7%AB%8B%E6%96%B0%E7%94%A2%E7%B7%9A-162258744.html#
162
동북아 정치적 아키텍처
http://n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857433&sc=30000001
163
소요/획득단계
국방아키텍처 활용
Use of MND-AF for requirement
and acquisition process
전략적 방향
합동 개념
합동 실험
평가 및대안선정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합동전투발전요소별 대안구축
합동능력 전력화
164
소요결정 방법론
부분적 상호운용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획득 후통합
서비스 획득
서비스 실험
평가 및대안선정
서비스 소요
전략적 방향
합동 개념
합동 실험
평가 및대안선정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합동전투발전요소별 대안구축
합동능력 전력화
상향식(위협기반) 하향식(능력기반)
165
개념
국가 군사전략 합동비전
합동작전개념
기능 개념 서비스 개념
합동능력 아키텍처 평가
체계 1
체계 2
체계 3
체계 4
체계 5
체계 6
과제a
과제b
과제c
과제d
과제e
과제f
과제g
능력 능력 능력
능력 로드맵
능력
과제 a
과제 b
과제 c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능력
체계 2
기능개선
체계 5
기능개선
신규 체계
개발
교육훈련 조직개편
체계2
서비스 종료
목표능력
이행 계획
전력운용 아키텍처
지휘통제 아키텍처
전장인식 아키텍처
방호 아키텍처
….
참고 : “Delivering an Information Advantage
Through Enterprise Architecture : Capability Assessment
” 발표자료, 미국방부 EA 국장 Brian Wilczynski, 2009,03,24
美 능력기반 소요창출 방법론
166
美 획득단계 활용
AV-1
AV-2
OV-1
OV-2
OV-3
OV-4
OV-5
OV-6C
SV-2
SV-4
SV-5
SV-6
TV-1
TV-2
OV-1 AV-1
AV-2
OV-1
OV-2
OV-3
OV-4
OV-5
OV-6C
SV-2
SV-4
SV-5
SV-6
SV-11
TV-1
TV-2
ICD CPD ISPB
Milestone
C
Milestone
A
Milestone
CDD
AV-1
AV-2
OV-1
OV-2
OV-3
OV-4
OV-5
OV-
6C
SV-2
SV-4
SV-5
SV-6
TV-1
TV-2
AV-1
AV-2
OV-1
OV-2
OV-3
OV-4
OV-5
OV-6C
OV-7
SV-2
SV-4
SV-5
SV-6
SV-11
TV-1
TV-2
TEMP
NR
KPP
NR
KPP
TEMP
AV-1 AV-2
OV-2 OV-3
OV-4 OV-5
OV-6C SV-1
SV-2 SV-3
SV-4 SV-5
SV-6 SV-7
SV-10 TV-1
AV-1 AV-2
OV-2 OV-3
OV-4 OV-5
OV-6C SV-1
SV-2 SV-3
SV-4 SV-5
SV-6 SV-7
SV-10 TV-1
ISP
DoDEA &
Solution Architecture
물질적 요소 접근
업무분석과 능력 평가
합동 운용 개념
합동 통합 개념
합동
운용
개념
합동
운용
개념
시험평가 기본계획서를 토대로 시험평가시 아키텍처 기반 평가
소요/획득 문서와 시험평가 문서와의 평가기준 연관성 유지
JCIDS 분석
[FAA, FNA, FSA]
167
MND-AF 아키텍처 요구
조직관계도
운용개념도
168
169
운용개념도(OV-1)
170
운용노드연결기술서(OV-2)
171
운용활동모델(OV-5)
172
체계정의도(SV-1)
173
美 DOD-AF 2.0 현황
DoDAF V1.0
175
DODAF-2.0: 목적에 맞는 아키텍처 개발
176
결 론
Conclusion
주어진 자기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지시에 따라!
주어진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주어진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주어진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험난한 물결!
주어진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예상할 수 없는 미래!
주어진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때론 실패할수도!
주어진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실패가 아닌 다시 시
주어진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급변하는 환경! 각자 역할을 이해하
고 큰 그림, 함께 보고 함께 나아가야!
아키텍팅 적용시 고려사항
“생각은 크게, 실행은 작게” - 작은 성공사례 기반 점진적 확대 필요
기존 업무에 활용 고민을 동시에 하여야 할 것임
추상화 수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시행착오 필요
온톨로지(공통의 이해) 우선 필요
180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KGC 2012]Boost.asio를 이용한 네트웍 프로그래밍
[KGC 2012]Boost.asio를 이용한 네트웍 프로그래밍[KGC 2012]Boost.asio를 이용한 네트웍 프로그래밍
[KGC 2012]Boost.asio를 이용한 네트웍 프로그래밍
흥배 최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2) - Perfornance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2) - Perfornance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2) - Perfornance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2) - Perfornance
상현 조
 
Spring cloud on kubernetes
Spring cloud on kubernetesSpring cloud on kubernetes
Spring cloud on kubernetes
SangSun Park
 
김민욱, (달빛조각사) 엘릭서를 이용한 mmorpg 서버 개발, NDC2019
김민욱, (달빛조각사) 엘릭서를 이용한 mmorpg 서버 개발, NDC2019김민욱, (달빛조각사) 엘릭서를 이용한 mmorpg 서버 개발, NDC2019
김민욱, (달빛조각사) 엘릭서를 이용한 mmorpg 서버 개발, NDC2019min woog kim
 
운영개념(ConOps) 개발 방법론
운영개념(ConOps) 개발 방법론운영개념(ConOps) 개발 방법론
운영개념(ConOps) 개발 방법론
Jinwon Park
 
Apache kafka 모니터링을 위한 Metrics 이해 및 최적화 방안
Apache kafka 모니터링을 위한 Metrics 이해 및 최적화 방안Apache kafka 모니터링을 위한 Metrics 이해 및 최적화 방안
Apache kafka 모니터링을 위한 Metrics 이해 및 최적화 방안
SANG WON PARK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1)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1)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1)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1)
상현 조
 
Open source APM Scouter로 모니터링 잘 하기
Open source APM Scouter로 모니터링 잘 하기Open source APM Scouter로 모니터링 잘 하기
Open source APM Scouter로 모니터링 잘 하기
GunHee Lee
 
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
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
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
DaeMyung Kang
 
[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
[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
[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
Chanwoong Kim
 
[오픈소스컨설팅] 쿠버네티스와 쿠버네티스 on 오픈스택 비교 및 구축 방법
[오픈소스컨설팅] 쿠버네티스와 쿠버네티스 on 오픈스택 비교  및 구축 방법[오픈소스컨설팅] 쿠버네티스와 쿠버네티스 on 오픈스택 비교  및 구축 방법
[오픈소스컨설팅] 쿠버네티스와 쿠버네티스 on 오픈스택 비교 및 구축 방법
Open Source Consulting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Chris Ohk
 
[2018] NHN 모니터링의 현재와 미래 for 인프라 엔지니어
[2018] NHN 모니터링의 현재와 미래 for 인프라 엔지니어[2018] NHN 모니터링의 현재와 미래 for 인프라 엔지니어
[2018] NHN 모니터링의 현재와 미래 for 인프라 엔지니어
NHN FORWARD
 
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
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
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
yonsei87
 
[기본과정] 코드 테스트와 커버리지 기본 교육(개념)
[기본과정] 코드 테스트와 커버리지 기본 교육(개념)[기본과정] 코드 테스트와 커버리지 기본 교육(개념)
[기본과정] 코드 테스트와 커버리지 기본 교육(개념)
SangIn Choung
 
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
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
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
IMQA
 
負荷テストを行う際に知っておきたいこと 初心者編
負荷テストを行う際に知っておきたいこと 初心者編負荷テストを行う際に知っておきたいこと 初心者編
負荷テストを行う際に知っておきたいこと 初心者編
まべ☆てっく運営
 
Log design
Log designLog design
Log design
Soo-Kyung Choi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Seungmo Koo
 
[164] pinpoint
[164] pinpoint[164] pinpoint
[164] pinpoint
NAVER D2
 

What's hot (20)

[KGC 2012]Boost.asio를 이용한 네트웍 프로그래밍
[KGC 2012]Boost.asio를 이용한 네트웍 프로그래밍[KGC 2012]Boost.asio를 이용한 네트웍 프로그래밍
[KGC 2012]Boost.asio를 이용한 네트웍 프로그래밍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2) - Perfornance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2) - Perfornance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2) - Perfornance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2) - Perfornance
 
Spring cloud on kubernetes
Spring cloud on kubernetesSpring cloud on kubernetes
Spring cloud on kubernetes
 
김민욱, (달빛조각사) 엘릭서를 이용한 mmorpg 서버 개발, NDC2019
김민욱, (달빛조각사) 엘릭서를 이용한 mmorpg 서버 개발, NDC2019김민욱, (달빛조각사) 엘릭서를 이용한 mmorpg 서버 개발, NDC2019
김민욱, (달빛조각사) 엘릭서를 이용한 mmorpg 서버 개발, NDC2019
 
운영개념(ConOps) 개발 방법론
운영개념(ConOps) 개발 방법론운영개념(ConOps) 개발 방법론
운영개념(ConOps) 개발 방법론
 
Apache kafka 모니터링을 위한 Metrics 이해 및 최적화 방안
Apache kafka 모니터링을 위한 Metrics 이해 및 최적화 방안Apache kafka 모니터링을 위한 Metrics 이해 및 최적화 방안
Apache kafka 모니터링을 위한 Metrics 이해 및 최적화 방안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1)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1)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1)
GCGC- CGCII 서버 엔진에 적용된 기술 (1)
 
Open source APM Scouter로 모니터링 잘 하기
Open source APM Scouter로 모니터링 잘 하기Open source APM Scouter로 모니터링 잘 하기
Open source APM Scouter로 모니터링 잘 하기
 
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
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
How to build massive service for advance
 
[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
[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
[NDC18] 만들고 붓고 부수고 - 〈야생의 땅: 듀랑고〉 서버 관리 배포 이야기
 
[오픈소스컨설팅] 쿠버네티스와 쿠버네티스 on 오픈스택 비교 및 구축 방법
[오픈소스컨설팅] 쿠버네티스와 쿠버네티스 on 오픈스택 비교  및 구축 방법[오픈소스컨설팅] 쿠버네티스와 쿠버네티스 on 오픈스택 비교  및 구축 방법
[오픈소스컨설팅] 쿠버네티스와 쿠버네티스 on 오픈스택 비교 및 구축 방법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특강 - 대학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2018] NHN 모니터링의 현재와 미래 for 인프라 엔지니어
[2018] NHN 모니터링의 현재와 미래 for 인프라 엔지니어[2018] NHN 모니터링의 현재와 미래 for 인프라 엔지니어
[2018] NHN 모니터링의 현재와 미래 for 인프라 엔지니어
 
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
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
프로젝트관리­ 2회(블로그용)
 
[기본과정] 코드 테스트와 커버리지 기본 교육(개념)
[기본과정] 코드 테스트와 커버리지 기본 교육(개념)[기본과정] 코드 테스트와 커버리지 기본 교육(개념)
[기본과정] 코드 테스트와 커버리지 기본 교육(개념)
 
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
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
웹서버 부하테스트 실전 노하우
 
負荷テストを行う際に知っておきたいこと 初心者編
負荷テストを行う際に知っておきたいこと 初心者編負荷テストを行う際に知っておきたいこと 初心者編
負荷テストを行う際に知っておきたいこと 初心者編
 
Log design
Log designLog design
Log design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164] pinpoint
[164] pinpoint[164] pinpoint
[164] pinpoint
 

Similar to Introductory to MND-AF

마케팅분석검토보고서 방위산업
마케팅분석검토보고서 방위산업마케팅분석검토보고서 방위산업
마케팅분석검토보고서 방위산업
Seung Min Shin
 
함정 시스템공학 기술검토(SETR) 프로세스 모델링 최적화 방안
함정 시스템공학 기술검토(SETR) 프로세스 모델링 최적화 방안함정 시스템공학 기술검토(SETR) 프로세스 모델링 최적화 방안
함정 시스템공학 기술검토(SETR) 프로세스 모델링 최적화 방안
Jinwon Park
 
Sensor web
Sensor webSensor web
Sensor webH K Yoon
 
[232] 수퍼컴퓨팅과 데이터 어낼리틱스
[232] 수퍼컴퓨팅과 데이터 어낼리틱스[232] 수퍼컴퓨팅과 데이터 어낼리틱스
[232] 수퍼컴퓨팅과 데이터 어낼리틱스
NAVER D2
 
통합함정시스템공학(Total ship systems engineering) 기반 ROC 및 OMOE 개발연구
통합함정시스템공학(Total ship systems engineering) 기반 ROC 및 OMOE 개발연구통합함정시스템공학(Total ship systems engineering) 기반 ROC 및 OMOE 개발연구
통합함정시스템공학(Total ship systems engineering) 기반 ROC 및 OMOE 개발연구
Jinwon Park
 
제3회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세미나 - Pacemaker
제3회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세미나 - Pacemaker제3회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세미나 - Pacemaker
제3회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세미나 - Pacemaker
Tommy Lee
 
Ttak.ko 11.0227-part2 (4M1E data management)
Ttak.ko 11.0227-part2 (4M1E data management)Ttak.ko 11.0227-part2 (4M1E data management)
Ttak.ko 11.0227-part2 (4M1E data management)
S.K. Cha of ACS in Korea
 
Klug pacemaker the opensource high-availability_1.0_f
Klug pacemaker the opensource high-availability_1.0_fKlug pacemaker the opensource high-availability_1.0_f
Klug pacemaker the opensource high-availability_1.0_f
동현 김
 
K ems 20060428
K ems 20060428K ems 20060428
K ems 20060428
상진 정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성능 최적화 보고서 6장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성능 최적화 보고서 6장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성능 최적화 보고서 6장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성능 최적화 보고서 6장
JamGun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SANGHEE SHIN
 
정보공학(IE) 방법론.pptx
정보공학(IE) 방법론.pptx정보공학(IE) 방법론.pptx
정보공학(IE) 방법론.pptx
Seong-Bok Lee
 
IRIS
IRISIRIS
IRIS
ymtech
 
Cloud-Barista 제3차 오픈 컨퍼런스 : CB-Dragonfly - 멀티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프레임워크(Multi-Cloud ...
Cloud-Barista 제3차 오픈 컨퍼런스 : CB-Dragonfly - 멀티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프레임워크(Multi-Cloud ...Cloud-Barista 제3차 오픈 컨퍼런스 : CB-Dragonfly - 멀티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프레임워크(Multi-Cloud ...
Cloud-Barista 제3차 오픈 컨퍼런스 : CB-Dragonfly - 멀티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프레임워크(Multi-Cloud ...
Cloud-Barista Community
 
[20170328]sdn nfv intro
[20170328]sdn nfv intro[20170328]sdn nfv intro
[20170328]sdn nfv intro
Kyunghee Univ
 
Eyecatcher artwall 제품소개서
Eyecatcher artwall 제품소개서Eyecatcher artwall 제품소개서
Eyecatcher artwall 제품소개서
Goodmorning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How to build oneM2M application solution based on open source
How to build oneM2M application solution based on open sourceHow to build oneM2M application solution based on open source
How to build oneM2M application solution based on open source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ssuserde0b2d
 
[경북] I'mcloud information
[경북] I'mcloud information[경북] I'mcloud information
[경북] I'mcloud information
startupkorea
 
Splunk6.3 소개서 2015_11
Splunk6.3 소개서 2015_11Splunk6.3 소개서 2015_11
Splunk6.3 소개서 2015_11
JunMyoung(준명) Youn(연)
 

Similar to Introductory to MND-AF (20)

마케팅분석검토보고서 방위산업
마케팅분석검토보고서 방위산업마케팅분석검토보고서 방위산업
마케팅분석검토보고서 방위산업
 
함정 시스템공학 기술검토(SETR) 프로세스 모델링 최적화 방안
함정 시스템공학 기술검토(SETR) 프로세스 모델링 최적화 방안함정 시스템공학 기술검토(SETR) 프로세스 모델링 최적화 방안
함정 시스템공학 기술검토(SETR) 프로세스 모델링 최적화 방안
 
Sensor web
Sensor webSensor web
Sensor web
 
[232] 수퍼컴퓨팅과 데이터 어낼리틱스
[232] 수퍼컴퓨팅과 데이터 어낼리틱스[232] 수퍼컴퓨팅과 데이터 어낼리틱스
[232] 수퍼컴퓨팅과 데이터 어낼리틱스
 
통합함정시스템공학(Total ship systems engineering) 기반 ROC 및 OMOE 개발연구
통합함정시스템공학(Total ship systems engineering) 기반 ROC 및 OMOE 개발연구통합함정시스템공학(Total ship systems engineering) 기반 ROC 및 OMOE 개발연구
통합함정시스템공학(Total ship systems engineering) 기반 ROC 및 OMOE 개발연구
 
제3회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세미나 - Pacemaker
제3회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세미나 - Pacemaker제3회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세미나 - Pacemaker
제3회난공불락 오픈소스 인프라세미나 - Pacemaker
 
Ttak.ko 11.0227-part2 (4M1E data management)
Ttak.ko 11.0227-part2 (4M1E data management)Ttak.ko 11.0227-part2 (4M1E data management)
Ttak.ko 11.0227-part2 (4M1E data management)
 
Klug pacemaker the opensource high-availability_1.0_f
Klug pacemaker the opensource high-availability_1.0_fKlug pacemaker the opensource high-availability_1.0_f
Klug pacemaker the opensource high-availability_1.0_f
 
K ems 20060428
K ems 20060428K ems 20060428
K ems 20060428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성능 최적화 보고서 6장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성능 최적화 보고서 6장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성능 최적화 보고서 6장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성능 최적화 보고서 6장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다분야 공동활용 디지털 플랫폼 사례 공유
 
정보공학(IE) 방법론.pptx
정보공학(IE) 방법론.pptx정보공학(IE) 방법론.pptx
정보공학(IE) 방법론.pptx
 
IRIS
IRISIRIS
IRIS
 
Cloud-Barista 제3차 오픈 컨퍼런스 : CB-Dragonfly - 멀티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프레임워크(Multi-Cloud ...
Cloud-Barista 제3차 오픈 컨퍼런스 : CB-Dragonfly - 멀티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프레임워크(Multi-Cloud ...Cloud-Barista 제3차 오픈 컨퍼런스 : CB-Dragonfly - 멀티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프레임워크(Multi-Cloud ...
Cloud-Barista 제3차 오픈 컨퍼런스 : CB-Dragonfly - 멀티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프레임워크(Multi-Cloud ...
 
[20170328]sdn nfv intro
[20170328]sdn nfv intro[20170328]sdn nfv intro
[20170328]sdn nfv intro
 
Eyecatcher artwall 제품소개서
Eyecatcher artwall 제품소개서Eyecatcher artwall 제품소개서
Eyecatcher artwall 제품소개서
 
How to build oneM2M application solution based on open source
How to build oneM2M application solution based on open sourceHow to build oneM2M application solution based on open source
How to build oneM2M application solution based on open source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1. 개방형 데이터 허브 핵심 기술 V2.pdf
 
[경북] I'mcloud information
[경북] I'mcloud information[경북] I'mcloud information
[경북] I'mcloud information
 
Splunk6.3 소개서 2015_11
Splunk6.3 소개서 2015_11Splunk6.3 소개서 2015_11
Splunk6.3 소개서 2015_11
 

More from Jinwon Park

Concept design methodology
Concept design methodologyConcept design methodology
Concept design methodology
Jinwon Park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Jinwon Park
 
함정시스템공학 강의자료 - Unit12 trade off-study_practice
함정시스템공학 강의자료 - Unit12 trade off-study_practice함정시스템공학 강의자료 - Unit12 trade off-study_practice
함정시스템공학 강의자료 - Unit12 trade off-study_practice
Jinwon Park
 
창의공장 - Skunk works의 비밀
창의공장 - Skunk works의 비밀창의공장 - Skunk works의 비밀
창의공장 - Skunk works의 비밀
Jinwon Park
 
잠수함(노틸러스)의 탄생과 창의적 함정설계 방법에 대하여
잠수함(노틸러스)의 탄생과 창의적 함정설계 방법에 대하여잠수함(노틸러스)의 탄생과 창의적 함정설계 방법에 대하여
잠수함(노틸러스)의 탄생과 창의적 함정설계 방법에 대하여
Jinwon Park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8 system analysis and contr...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8 system analysis and contr...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8 system analysis and contr...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8 system analysis and contr...
Jinwon Park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6 design synthesis 2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6 design synthesis 2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6 design synthesis 2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6 design synthesis 2
Jinwon Park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3 requirement analysis and ...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3 requirement analysis and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3 requirement analysis and ...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3 requirement analysis and ...
Jinwon Park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1 se general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1 se general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1 se general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1 se general
Jinwon Park
 
함정 초기단계 설계를 위한 PIDO 프레임워크 소개
함정 초기단계 설계를 위한 PIDO 프레임워크 소개함정 초기단계 설계를 위한 PIDO 프레임워크 소개
함정 초기단계 설계를 위한 PIDO 프레임워크 소개
Jinwon Park
 
개념설계를 위한 Proces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PMTE) paradigm
개념설계를 위한 Proces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PMTE) paradigm개념설계를 위한 Proces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PMTE) paradigm
개념설계를 위한 Proces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PMTE) paradigm
Jinwon Park
 
Introduction to the us defense and usn acuqisition system
Introduction to the us defense and usn acuqisition systemIntroduction to the us defense and usn acuqisition system
Introduction to the us defense and usn acuqisition system
Jinwon Park
 
미해군의 설계조합도구인 ASSET 소개 및 사용법
미해군의 설계조합도구인 ASSET 소개 및 사용법미해군의 설계조합도구인 ASSET 소개 및 사용법
미해군의 설계조합도구인 ASSET 소개 및 사용법
Jinwon Park
 
NATO Ship Design Capability Group (SDCG) Conference 발표자료
NATO Ship Design Capability Group (SDCG) Conference 발표자료NATO Ship Design Capability Group (SDCG) Conference 발표자료
NATO Ship Design Capability Group (SDCG) Conference 발표자료
Jinwon Park
 
미 국방획득대학(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기본과정 교육내용
미 국방획득대학(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기본과정 교육내용미 국방획득대학(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기본과정 교육내용
미 국방획득대학(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기본과정 교육내용
Jinwon Park
 
2016년 과학적사업관리기법 발표회 - 함정시스템공학
2016년 과학적사업관리기법 발표회 - 함정시스템공학2016년 과학적사업관리기법 발표회 - 함정시스템공학
2016년 과학적사업관리기법 발표회 - 함정시스템공학
Jinwon Park
 
DoDI 5000.2 2015년 개정 이유와 함의
DoDI 5000.2 2015년 개정 이유와 함의DoDI 5000.2 2015년 개정 이유와 함의
DoDI 5000.2 2015년 개정 이유와 함의
Jinwon Park
 
석유산업계의 시스템공학 적용 필요성, The necessity for systems engineering within the oil and...
석유산업계의 시스템공학 적용 필요성, The necessity for systems engineering within the oil and...석유산업계의 시스템공학 적용 필요성, The necessity for systems engineering within the oil and...
석유산업계의 시스템공학 적용 필요성, The necessity for systems engineering within the oil and...
Jinwon Park
 
함정의 초기단계 설계영역탐색(design space exploration)의 효과적 적용
함정의 초기단계 설계영역탐색(design space exploration)의 효과적 적용함정의 초기단계 설계영역탐색(design space exploration)의 효과적 적용
함정의 초기단계 설계영역탐색(design space exploration)의 효과적 적용
Jinwon Park
 
[일본자료] 왜 시스템엔지니어링인가
[일본자료] 왜 시스템엔지니어링인가[일본자료] 왜 시스템엔지니어링인가
[일본자료] 왜 시스템엔지니어링인가
Jinwon Park
 

More from Jinwon Park (20)

Concept design methodology
Concept design methodologyConcept design methodology
Concept design methodology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Introduction to 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nnpp) and lessons learned
 
함정시스템공학 강의자료 - Unit12 trade off-study_practice
함정시스템공학 강의자료 - Unit12 trade off-study_practice함정시스템공학 강의자료 - Unit12 trade off-study_practice
함정시스템공학 강의자료 - Unit12 trade off-study_practice
 
창의공장 - Skunk works의 비밀
창의공장 - Skunk works의 비밀창의공장 - Skunk works의 비밀
창의공장 - Skunk works의 비밀
 
잠수함(노틸러스)의 탄생과 창의적 함정설계 방법에 대하여
잠수함(노틸러스)의 탄생과 창의적 함정설계 방법에 대하여잠수함(노틸러스)의 탄생과 창의적 함정설계 방법에 대하여
잠수함(노틸러스)의 탄생과 창의적 함정설계 방법에 대하여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8 system analysis and contr...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8 system analysis and contr...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8 system analysis and contr...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8 system analysis and contr...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6 design synthesis 2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6 design synthesis 2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6 design synthesis 2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6 design synthesis 2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3 requirement analysis and ...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3 requirement analysis and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3 requirement analysis and ...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3 requirement analysis and ...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1 se general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1 se general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1 se general
시스템공학 기본(Fundamental of systems engineering) - Day1 se general
 
함정 초기단계 설계를 위한 PIDO 프레임워크 소개
함정 초기단계 설계를 위한 PIDO 프레임워크 소개함정 초기단계 설계를 위한 PIDO 프레임워크 소개
함정 초기단계 설계를 위한 PIDO 프레임워크 소개
 
개념설계를 위한 Proces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PMTE) paradigm
개념설계를 위한 Proces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PMTE) paradigm개념설계를 위한 Proces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PMTE) paradigm
개념설계를 위한 Process, Methods, Tools and Environment (PMTE) paradigm
 
Introduction to the us defense and usn acuqisition system
Introduction to the us defense and usn acuqisition systemIntroduction to the us defense and usn acuqisition system
Introduction to the us defense and usn acuqisition system
 
미해군의 설계조합도구인 ASSET 소개 및 사용법
미해군의 설계조합도구인 ASSET 소개 및 사용법미해군의 설계조합도구인 ASSET 소개 및 사용법
미해군의 설계조합도구인 ASSET 소개 및 사용법
 
NATO Ship Design Capability Group (SDCG) Conference 발표자료
NATO Ship Design Capability Group (SDCG) Conference 발표자료NATO Ship Design Capability Group (SDCG) Conference 발표자료
NATO Ship Design Capability Group (SDCG) Conference 발표자료
 
미 국방획득대학(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기본과정 교육내용
미 국방획득대학(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기본과정 교육내용미 국방획득대학(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기본과정 교육내용
미 국방획득대학(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기본과정 교육내용
 
2016년 과학적사업관리기법 발표회 - 함정시스템공학
2016년 과학적사업관리기법 발표회 - 함정시스템공학2016년 과학적사업관리기법 발표회 - 함정시스템공학
2016년 과학적사업관리기법 발표회 - 함정시스템공학
 
DoDI 5000.2 2015년 개정 이유와 함의
DoDI 5000.2 2015년 개정 이유와 함의DoDI 5000.2 2015년 개정 이유와 함의
DoDI 5000.2 2015년 개정 이유와 함의
 
석유산업계의 시스템공학 적용 필요성, The necessity for systems engineering within the oil and...
석유산업계의 시스템공학 적용 필요성, The necessity for systems engineering within the oil and...석유산업계의 시스템공학 적용 필요성, The necessity for systems engineering within the oil and...
석유산업계의 시스템공학 적용 필요성, The necessity for systems engineering within the oil and...
 
함정의 초기단계 설계영역탐색(design space exploration)의 효과적 적용
함정의 초기단계 설계영역탐색(design space exploration)의 효과적 적용함정의 초기단계 설계영역탐색(design space exploration)의 효과적 적용
함정의 초기단계 설계영역탐색(design space exploration)의 효과적 적용
 
[일본자료] 왜 시스템엔지니어링인가
[일본자료] 왜 시스템엔지니어링인가[일본자료] 왜 시스템엔지니어링인가
[일본자료] 왜 시스템엔지니어링인가
 

Introductory to MND-AF

  • 2. 국방아키텍처(MND-AF) 중점사항 • 시스템 모델링 • 아키텍처 개념 및 활용목적 • 국방아키텍처(MND-AF) • 교육성과 및 교훈 목 표 • 아키텍처 개념 이해와 국방아키텍팅 도구인 MND-AF의 우리 업무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 유도 2
  • 5. 5
  • 6. 6
  • 7. 7
  • 8. 8
  • 9. 시스템의 例: 태양계(Solar system) https://www.tes.com/lessons/XpPm628l1B7T2g/solar-system 9
  • 12. 진짜 태양계가 앞의 그림들과 같이 생겼을까? 12
  • 13. 우주인들이 지구밖에서 본 태양계는 정말 이럴까? 13
  • 14. 우주인들은 좁은 우주선 안에서 전 체 태양계를 다 살펴볼수 있을까? 14
  • 15. 시스템 모델링 시스템 본질: 구성품, 구성품간의 유기적 작용 또는 관계 15
  • 16. 시스템 모델링 시스템 본질: 구성품, 구성품간의 유기적 작용 또는 관계 15 시스템 표현: 같은 것인데 다양한 설명(크기, 관계, 순서 등), 아무도 보지 못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
  • 17. 시스템 모델링 시스템 본질: 구성품, 구성품간의 유기적 작용 또는 관계 15 시스템 표현: 같은 것인데 다양한 설명(크기, 관계, 순서 등), 아무도 보지 못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 시스템 모델링: 시스템에 대해 핵심적인 것(본질), 우리가 알고 싶은 것만 설명하는 것
  • 20. Fm + Fd + Fc = f (t) 18
  • 21. Fm + Fd + Fc = f (t) m d2 x dt2 + c dx dt + kx = f (t) 18
  • 24. 21
  • 26. 우리가 직접 볼수 없는 구성품과 구성 품간의 유기적 관계를 우리가 알고 싶 은 핵심(본질)만으로 표현하는 행위 23
  • 27. 핵심 (核心) 사물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 24
  • 28. 핵심 (核心) 사물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 “사물이나 행동에서 매우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부분” 25
  • 29. 본질 (本質)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사물 자체의 성질이나 모습, 사물이나 현상을 성립시키는 근본적인 성질 26
  • 31. Beyond System 복합시스템(System of Systems) 시스템군(Family of Systems) 28
  • 32. 복합시스템(System of Systems) 여러 시스템이 모여 또 다른 공통의(더 큰) 목표를 가짐 마치 하나의 시스템 처럼 하나라도 그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목표 달성이 불가함 개별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지리적으로 분산되고 운영조직도 다름 생각하지 못했던 창발효과(Emergence) 발생으로 시너지 유도 29
  • 33. 시스템군(Family of Systems) SOS와 같이 독립적으로 때론 다른 장소에서 운영될수도 있음 목적은 같으나 다른 방법(수단)을 통해 더 좋은 양질의 성능(정보)를 얻을수 있음 하나가 없더라도 실패가 아니며 다만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 30
  • 34. SOS/FOS 例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1
  • 35. SOS 1: 방어작전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2
  • 36. SOS 2: 종심공격작전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3
  • 37. SOS 3: 상륙작전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4
  • 38. FOS 1: 영상탐지 체계군 감시/정찰 지휘통제 타격 백두 KNTDS 금강 전방 관측소 적외선 탐지 레이더 EO/ SAR MCRC UAV TPQ 36/37 A-WAK MIMS KNCCS KJCCS 육군방 공 C2 ATCIS 공군전술 C4I F15K F16 DDG LPH DDH 다련장 포 아파치 자주포 장갑차 전차 35
  • 40. 아키텍처의 기원 인류의 7000년 역사는 복잡함과 변화를 다루는 유일한 전략으로 아키텍처를 제시할 것이다. Seven thousand years of history would suggest the only way known strategy for addressing complexity and change is ‘Architecture’. By John A. Zachman 37
  • 41. 38
  • 42. John A. Zachman (born December 16, 1934) “IBM System Journal 1987” 39
  • 43. Why 주어진 대상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통해 의사결정을 보조하기 위해 40
  • 44. How 주어진 대상의 구성요소간 관계를 가시화 41
  • 45. What 실체가 없는 것 (예. 도시계획, S/W) 거대, 복잡하여 직접 다루기 어려운 것 (예. 지하철, 유무선 네트워크) 복잡성은 물론 변화를 동반하는 것(시스 템) 42
  • 46. So what 대상물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관리 대상물을 다양한 관점과 형태로 가시화함 으로써 의사소통 지원 現 시스템을 역설계 할수 있으므로 기능/ 성능 개선 가능 43
  • 47. Why so 핵심(본질)만을 체계적으로 단순/가시화함 으로써 이해관계자의 인지부하 감소 44
  • 53. But 대상(계획)의 완전무결성 보장 X 성공적 추진 보장 X 46
  • 54. 아키텍처의 정의 시스템의 구성요소, 구성요소간의 관계, 구성요 소와 환경과의 관계 그리고 시스템의 설계와 진 화를 안내하는 원칙을 포함하는(체화된) 시스템 의 근본적인(핵심적인) 구조 47
  • 55. 2013년 10월 이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48
  • 57. 50
  • 58. 51
  • 59. 52
  • 61. 54
  • 62.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 55
  • 63.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Viewer 인식한다 55
  • 64.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Viewer 인식한다 만든다 선입견 관심사 55
  • 65.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 개념(Concept) Viewer 인식한다 만든다 선입견 관심사 55
  • 66.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 개념(Concept) Viewer 인식한다 표현한다 만든다 선입견 관심사 55
  • 67. 아키텍처의 수단적 정의 - 소통의 수단 시스템(System) 개념(Concept) Viewer 인식한다 표현한다 표현(View) 모델(언어) 다른 Viewer (이해관계자) 소통한다 만든다 선입견 관심사 55
  • 68. 아키텍처 활용 목적 묘사(Description) : As-Is 현재 수준을 가시화함으로써 의사결정 지원 처방(Prescription) : To-Be 강한 의지로 조직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앞으로의(미 래) 방향을 제시 56
  • 69. 국방분야 아키텍처 활용 영역 작전임무수행절차 검증 및 개선 조직편성의 실효성 검증 작전요구능력(ROC)의 명확한 제시 체계간의 상호운용성 증진 능력기반의 소요기획 추진 단위체계사업 아키텍처 지원 국방통합 임무영역 (전장/자원/..) 각군 단위체계 국방아키텍처 국방 주요업무의 과학적 의사결정 소요기획 전투발전요소 (DOTMLPF) 기획예산(PPBE) 획득 체계공학 의 사 결 정 지 원 1 2 3 4 5 6 57
  • 70. 국방아키텍처 적용 근거 전자정부법(제4조, 제45~47조) 제4조 2항(전자정부 원칙) 행정기관 등은 전자정부의 구현.운영 및 발 전을 추진할때 정보기술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국방정보화법(제3조, 제8조) 제8조 (1) 국방부장관은 전자정부법 제46조에 따라 국방정보기술아 키텍처를 도입.운영하여 효율적인 네트워크 중심의 작전 환경을 구축 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국방정보화법 시행령(제11~12조) 제12조(활용) 기본계획 수립 및 정보화 평가, 정보화사업의 계획수립 및 예산편성, 정보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확보 및 표준화 업무, 기타 58
  • 71. 국방아키텍처 프레임워크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Architecture Framework (MND-AF) 59
  • 73. 60
  • 74. 국방아키텍처 개념 국방 전체 관점에서 업무, 체 계, 기술 등의 정보화 구성요소 에 대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 살아있는 정보화 종합설계도 경영전략 : 미션, 비전, 전략 업무 : 프로세스, 조직 정보기술 : 체계, 기술, 데이터 표준분류 : 기술참조분류, 업무참조모델 61
  • 75. 국방아키텍처 계층적 구조 국방 상위아키텍처(MND-EA) 임무영역별 아키텍처(EA) (전장EA/정책자원EA/정보화환경EA) 각군 아키텍처 (육군EA/공군EA/해군EA/해병대EA) 단위체계 아키텍처 62
  • 76. 국방아키텍처 기본 구조: 2가지 관점 핵심요소 정보 운용활동 운용 노드 역할 니드 라인 정보교환 조직 지식/ 스킬 프로 세스 프로 세스 인터페이스 데이터 교환 네트워크 성능 핵심 요소 데이터 체계기능 체계 노드 체계 What Product How Function Where Container Who Mechanism When Behavior 운용아키텍처 체계아키텍처Why Strategy 군사작전 개념 설계 전략 운용 관점: 軍 기술 관점: 엔지니어 “왜 만들어야 하는지?” “어떻게 만들것인지?” 핵심요소 정보 운용활동 운용 노드 역할 니드 라인 정보교환 조직 지식/ 스킬 프로 세스 프로 세스 인터페이스 데이터 교환 네트워크 성능 핵심 요소 데이터 체계기능 체계 노드 체계 What Product How Function Where Container Who Mechanism When Behavior 운용아키텍처 체계아키텍처Why Strategy 군사작전 개념 설계 전략 Why Strategy What Product How Function Where Container Who Mechanism When Behavior 63
  • 78. 다양한 아키텍처 산출물을 어떤 틀에 맞춰서 만들어 달 라는 서로 다른 관점에 있 는 사람(조직)들간의 공통 의 언어(모델링) 모음(틀) 65
  • 79. 예) Zachman Framework, DoD-AF, MoD-AF, NAF, TOGAF, FEAP, MND-AF 절차 및 지침 제공 산출물 (템플릿, 모델 등) 작성방법 및 도구 등 66
  • 80.
  • 81. Zachman 1987 TAFIM and TRM ~1990 TOGAF 1995 C4ISR Arch Framework 1997 DODAF 1.0 (2003) EA Planning 1992 US FEAF 1999- Present US Joint Tech Arch X-Windows 1995 Open Software Foundation 1995 UK MODAF 2005 NATO C3 Tech Arch 2003 CA DNDAF 2007 DAF 2003/4 1987 1990 1992 1995 1999 2003 2004 2005 2007 2008 UK MODAF V1.2 2008 NAF 2002/2003/2007 DODAF 1.5 (2007) DODAF 2.0 (2009) DAF 2007 Source : Architecture in Defence Organisations –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US FEA MNDAF 1.0 (2005) MNDAF 1.2 (2007) History of Architecture Framework 68
  • 82. I. DoDAF 1.0 - 미군 GIG 아키텍처 구축 용도 - OA/SA/TA - DoD 전체 적용 2. DoDAF 1.5 (2.0을 위한 임시적 성격) - 네트워크 중심을 강조 시작 - Vol III은 CADM과 데이터전략을 다룸 - 아키텍처 연합을 강조 3. DoDAF 2.0 - Fit for Purpose - 능력/프로젝트/데이터 관점 추가 - 서비스개념 도입 - 데이터 중심 아키텍처 관리 - AV-1을 아키텍처 연합용 메 타화 DoDAF 버전 2.0은 1997년에 발 표된 C4ISR(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ing, Intelligence, Security and Reconnaissance)의 최신판이다. 2000년 C4ISR에서 DoDAF로 변 경되어서 DoDAF 버전 1.0으로 발표됨. 2007년 발표된 DoDAF 버전 1.5는 중간 단계 버전. History of DoD-AF 69
  • 83. History of MND-AF MND-AF v1.0: 2005.2 - 목적: 국방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 정보화사업 조정, 통제 및 효율성 제고, 효율적 정보자원관리 방안 수립, 대규모 정보체계의 체계분석 및 설계의 공통적 표현법 제공 - 참고: DoDAF v1.0 MND-AF v1.2: 2007. 8 - 목적: 행정자치부에서 요구하는 메타데이터 반영, 국방EA를 범정부의 EA 비전, 원칙 및 목적에 정렬 - 산출물: DoDAF v1.0 기준 8종 아키텍처 산출물 추가 (AV 2종, OV 2종, SV 3종, TV 1종) 70
  • 84. MND-AF 구성 60페이지, 정의와 지침, MND-AF 개요, 원리/산출물/개발절차 개요 등 377페이지, 산출물 작성지침 및 관계 등 국방아키텍처 메타모델 정의서 (MND-AMM) 아키텍처 산출물 메타모 델, 범정부 연계 및 상용도 구 연계를 위한 XML 스키 마 설명 71
  • 85. 정보화 분야 설계 업무 분야 설계 운용 관점 • 업무 수행을 위한 업무기능 식별 및 정보 흐름 정의 • 조직 전체의 업무활동, 업무/조직간 관계, • 조직 내부/조직간 교환정보 등 작성 • 운용 관점에서 제시된 요구사항 충족을 위해 IT 기술을 적용한 최적의 체계 설계 • 체계 구성/기능, 체계 성능, 체계간 관계, 업무활동과 관계, 체계 보안 등 작성 • 체계 구성요소 별로 적용되는 기술표준 정의 • H/W, S/W, 네트워크 등에 대한 적용표준 작성 MND-AF 3가지(OV, SV, TV) 관점 운용 관점 72
  • 86. • SV-1a 체계정의 기술서 • SV-1b 체계 인터페이스 기술서 • SV-2 체계통신 기술서 • SV-3 체계관계 추적상관표 • SV-4 체계기능 기술서 • SV-5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추적상관표 • SV-6 체계데이터 교환목록 • SV-7 체계 성능요소 목록 • TV-1 기술표준 목록 • TV-2 미래표준 목록 • TV-3 제품 목록 • SV-8 체계진화 기술서 • SV-9 체계기술 예측목록 • SV-10a 체계규칙 모델 • SV-10b 체계상태 전이기술서 • SV-10c 체계사건 추적기술서 • SV-11 물리 데이터 모델 • SV-12 체계 기반구조 기술서 • SV-13 체계보안 기술서 • OV-6a 운용규칙 모델 • OV-6b 운용상태 전환기술서 • OV-6c 운용사건 추적기술서 • OV-7 논리데이터 모델 • OV-1 운용개념도 • OV-2 운용노드 연결기술서 • OV-3 운용정보 교환상관표 • OV-4 조직 관계도 • OV-5 운용활동 모델 • AV-3 아키텍처 원칙정의서 • AV-4 기관 비전/미션 • AV-1 개요/요약정보 • AV-2 통합사전 MND-AF 1.2 산출물: 34종 73 4 11 16 3 • OV-7a 데이터 구성도 • OV-7b 개념데이터 모델 • OV-7c 논리데이터 모델
  • 87. DoDAF v1.0 vs. MND-AF v1.2 AV-1 개요와 요약 정보 AV-2 통합 사전 AV-3 아키텍처 원칙정의서 AV-4 기관의 비전 및 미션 TV-1 기술표준 목록 TV-2 미래표준 목록 TV-3 제품 목록 AV-1 Overview and Summary Information AV-2 Integrated Dictionary OV-1 High Level Operational Concept Graphic OV-2 Operational Node Connectivity Description OV-3 Operational Information Exchange Matrix OV-4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Chart OV-5 Operational Activity Model OV-6a Operational Rules Model OV-6b Operational State Transition Description OV-6c Operational Event-Trace Description OV-7 Logical Data Model TV-1 Technical Standard Profile TV-2 Technical Standard Forecast OV-1 운용 개념도 OV-2 운용노드연결 기술서 OV-3 운용 정보교환 상관표 OV-4 조직 관계도 OV-5 운용활동 모델 OV-6a 운용 규칙 모델 OV-6b 운용 상태 전환 기술서 OV-6c 운용 사건-추적 기술서 OV-7a 데이터 구성도 OV-7b 개념데이터 모델 OV-7c 논리데이터 모델 MND-AFv1.2DoDAFv1.0 74
  • 88. SV-1 Systems Interface Description SV-2 Systems Communications Description SV-3 Systems-Systems Matrix SV-4 Systems Functionality Description SV-5 Operational Activity to Systems Function Traceability Matrix SV-6 Systems Data Exchange Matrix SV-7 Systems Performance Parameters Matrix SV-8 Systems Evolution Description SV-9 Systems Technology Forecast SV-10a Systems Rules Model SV-10b Systems State Transition Description SV-10c Systems Event-Trace Description SV-11 Physical Schema SV-1a 체계정의 기술서 SV-1b 체계인터페이스 기술서 SV-2 체계통신 기술서 SV-3 체계관계추적 상관표 SV-4 체계기능 기술서 SV-5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추적 상관표 SV-6 체계데이터 교환 목록 SV-7 체계 성능요소 목록 SV-8 체계진화 기술서 SV-9 체계기술예측 목록 SV-10a 체계규칙 모델 SV-10b 체계상태전이 기술서 SV-10c 체계사건추적 기술서 SV-11 물리 데이터 모델 SV-12 체계기반구조 기술서 SV-13 체계보안 기술서 MND-AFv1.2DoDAFv1.0 75
  • 89. 공통관점(All Views) 산출물: 4종 식별 자 산출물 명칭 정 의 AV-1 아키텍처 개요 및 요약정보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목적과 목표, 배경, 필요성, 범주 등 전반적인 아키텍처 주요 내용을 기술하는 산출물이다. 아키텍처 개발계획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며 완료 후에는 아키텍처에 관련된 종합정보를 제공한다. AV-2 통합 사전 아키텍처에서 사용된 용어 중 관리가 필요한 중요한 용어에 대하여, 용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 아키텍처 데이터 요소를 정의하기 위한 산출물이다. AV-3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아키텍처 개발 목적과 범위를 기준으로 산출물 작성을 포함한 아키텍처 작업에 대한 상세 원칙을 기술한 산출물이다. AV-4 기관의 비전 및 미션 국방 비전 및 미션, 목표, 전략을 기술하고 이행과제를 정의 76
  • 90. 목적 – 산출물의 범위, 목적, 사용자, 환경, 분석결과 등의 개요 및 요약 정보 – who, what, when, why, how 와 관련된 요약정보를 문서화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아키텍처 개요 및 요약 표 필수 필수 아키텍처의 5W1H 원칙 정보(배경, 목표, 제약사 항, 향후 발전방향 등), 이력정보(버전, 작성일 등 ), 유지보수 정보(아키텍처 개발자, 소속, 연락처 등), GITAMS와의 연계정보를 기술하는 ''표'' 형태 의 템플릿. AV-1(아키텍처 개요 및 요약정보) 77
  • 91. (Page 1/2) (Page 2/2) 78
  • 92. 목적 – 아키텍처 산출물에서 사용된 용어의 중앙 저장소를 제공 한다. – 아키텍처 산출물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 용어의 정확성과 명료성을 제공하여 장기적으로 상호운용성을 지원한다.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통합사전 표 필수 필수 아키텍처 개발자가 등록하고 사용해야 할 중요한 표준 용어를 정의하는 ''표'' 형태의 템플릿임. AV-2(통합사전) 79
  • 93. 80
  • 94. 목적 – 아키텍처 계획, 구축, 운용, 유지보수 등의 생명주기 전반에 기준으로 활용한다. – 아키텍처 산출물 개발에 적용되는 규칙 및 지침을 제공한다.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표 필수 필수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는 아키텍처 원칙에 대한 이해를 이해관계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도 록 ''도'' 형태로 표현한 템플릿임. AV-3(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81
  • 95. <AV-3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템플릿> <AV-3 지침목록 설명서> <AV-3 아키텍처 원칙 정의서 설명서> 82
  • 96. 목적 – 비전 및 미션의 정의 – 목표 수행을 위한 이행과제 및 사업의 정의 – 비전 및 미션, 목표, 전략에 대한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이해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기관의 비전 및 미션 도 필수 보조 '기관의 비전 및 미션'을 “도” 형태로 표현한 산출 물로써, 필요에 따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 과 성과지표(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s)를 도출하고 이행과제와 사업을 연계하여 표현한다. AV-4(기관의 비전 및 미션) 83
  • 97. <AV-4 기관의 비전 및 미션 템플릿> <AV-4 사업정의 설명서> <AV-4 기관의 비전 및 미션 설명서> 84
  • 98. 운용관점(Operational View) 산출물: 11종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OV-1 운용개념도 조직(체계)에 대한 임무수행, 핵심운용노드(조직), 운용능력(특수작전, 예외 적인 업무절차, 불특정한 현상) 등에 대한 총체적인 모습을 표현한 산출물. OV-2 운용노드연결 기술서 상호작용하는 운용노드(또는 조직)와 그들이 교환하는 정보 형태의 식별을 통해 기술되고 운용노드와 운용노드 사이의 관계를 그래픽 적으로 묘사한 산출물. OV-3 운용정보교환 목록 조직간의 정보 정보교환과 목적을 식별하고, 정보교환의 방법이 표현된 정 보교환을 상세화한 산출물. OV-4 조직관계도 아키텍처의 핵심 수행자들에 관한 운용역할들과 조직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산출물. OV-5 운용활동모델 조직이나 개인에게 할당된 업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활동 명세를 작성하는 산출물. 85
  • 99.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OV-6a 운용규칙모델 임무, 작전, 업무 및 아키텍처 등에 대한 제약사항을 정의하는 산출물. OV-6b 운용상태전이 기술서 운용노드 또는 활동의 상태가 변화함으로써 다양한 사건에 응답하는 방법 을 그래픽적인 방법으로 기술한 산출물. OV-6c 운용상태추적 기술서 특정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 운용노드간의 정보교환 내용을 시간중심으로 표현한 산출물. OV-7a 데이터구성도 최상위자 수준에서 조직의 운용활동에 필요한 주요 데이터의 구성 현황과 계획, 관련 시스템을 정의 OV-7b 개념데이터모델 운용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참조모형에 따라 그룹핑하여 정의 OV-7c 논리데이터모델 설계자 수준에서 논리적 수준의 데이터 모델 86
  • 100. OV-1(운용개념도) 목적 – 아키텍처 또는 체계에 대한 개념을 신속히 이해 – 아키텍처와 관련된 모든 이해당사자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개념의 전달 및 습득 이 용이 – 의사결정권자(지휘관)등에게 운용에 대한 보고용으로 사용 가능 – 아키텍처 개발을 위한 최상위 임무(업무)영역을 정의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개념도 도 - 필수 임무수행, 핵심운용노드, 조직, 체계 등 의 상호작용에 대한 총체적인 모습을 표 현한 템플릿이다 업무구성도 도 필수 - 업무대기능과 중기능간의 관계를 도 형 태로 표현한 템플릿이다. 87
  • 102. 목적 – 운용노드 (임무 및 업무 중심)를 정의 및 식별 – 운용노드에서 수행되는 활동을 정의 – 노드간의 정보교환 소요를 추적 – 특정 시나리오에 의해 구성된 운용노드간의 교환되는 정보를 손쉽게 추적 – 아키텍처 개발을 위한 목적과 목표, 임무수행에 대한 기준점 제공 – 현행/미래 업무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임무 또는 정보의 중복 그리고 불필요한 임무요구 등을 식별 – 외부노드를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업무 관계도 도 필수 업무기능간 관계와 조직 사람간의 상호작용을 도의 형태로 표 현한 템플릿 운용노드 연결관계도 도 필수 운용노드와 운용노드간의 정보교환을 도의 형태로 표현한 템플 릿 OV-2(운용노드연결기술서) 89
  • 103. 군단-UAV 영상촬영 영상정보 전송 연대 공격 지시 정보접수 상황보고 사단 피아 상황파악 목표물 공격 지시 작전 계획 정찰요철 군단 정찰요청 접수 정찰계획 정찰 요청 정보 정찰지시 90
  • 104. 목적 – 운용노드간에 유통되는 정보교환 요구사항을 정의 – 정보교환의 상세 속성을 식별(매체유형, 품질, 처리량, 상호운용성 수준) – 운용관점의 핵심요소인 운용활동, 운용노드, 정보흐름을 통해 정보의 특징을 표 현 – 핵심 임무를 정보교환을 통해 나타낼 경우 각각의 임무에 관련된 특징 및 속성들 을 표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정보교환목록 표 P - P - 니드라인별 정보교환별 정보교환내역을 표의 형태로 표현한 템플릿 이다. O 필수 O 필수 D - D - OV-3(운용정보교환목록) 91
  • 105. 니드라인 명칭 정보교환목록 명칭 생성 운용노드 소비 운용노드 생성 운용활동 소비 운용활동 트리거 사건 매체 유형 보안 등급 적시성 주기 군수정책/기획 to군 수소요/예산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군수소요/예산 최종안확정 관련자료 분석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조 달/보급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조달/보급 최종안확정/시 달 관련자료 분석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평문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운 영/관리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운영/관리 최종안확정/시 달 관련자료 분석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평문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 정책기획 계획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정책기획 계획 최종안확정 정책서 접수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 재난재해 군수정책서 군수정책/기획 재난재해 중기계획 확정 중기계획서 접수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군수정책/기획 to 중장기재원판단및 배분 중기계획서 군수정책/기획 중장기재원판단 및배분 최종안확정 중기계획서 접수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각군본부 to 군수소요/예산 중기계획요구서 각군본부 군수소요/예산 중기계획요구 서작성 중기계획요구 서접수 기획문서 결제시 국방망 III급 1일 수시 92
  • 106. OV-4(조직관계도) 목적 – 조직이나 조직 유형들 간의 관계(지휘, 통제, 협조 등)를 식별 – 업무범위를 식별 – 정보체계 배치를 위한 대상을 식별 – 업무담당자 역할 및 관계를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 식별 자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OV-4 조직관계도 도 필수 필수 조직과 조직간의 관계를“도”형태로 표현 한 템플릿 이다. 93
  • 107. <OV-4 조직관계도 템플릿> <OV-4 조직관계 설명서> 94
  • 108. 목적 – 임무 및 업무목표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활동을 식별한다. – 활동에 요구되는 정보를 식별한다. – 활동과 연관된 운용노드간의 소요정보를 식별한다. – 임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요소의 범위를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업무기능분할도 도 필수 업무기능을 계층적으로 표현한 템플릿 운용활동 업무절차 흐름도 도 보조 운용활동의 흐름을 단위과제별 업무처리단계별로 표현 운용활동계층도 도 - 필수 운용활동의 수준에 따라 계층적으로 표현한 템플릿 운용활동흐름도 도 보조 운용활동 간의 흐름을 표현한 템플릿 OV-5(운용활동모델) 95
  • 109. 96 OV-5 운용활동 계층도 OV-5 운용활동 흐름도
  • 110. 목적 – 운용개념을 구체화 – 상세화된 규칙 개발의 기준을 제공 – 아키텍처 수행에 대한 동기를 제공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규칙모델 표 P - P - 실행선언기법을 이용한 규칙모델 템플릿O - O - D 보조 D 보조 OV-6a(운용규칙모델) 97
  • 112. 목적 – 운용노드, 운용활동의 외부 및 내부 사건에 대한 순차적 표현 – 체계 내부의 정적인 상태 변화를 분석함으로 행위와 정보 식별 – 주로 실시간처리 체계의 기능 및 요구분석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상태전이기술서 도 P - P - 상태간 전이를 표현한 템플릿O - O - D 보조 D 보조 OV-6b(운용상태전이기술서) 99
  • 113. 6b 운용규칙모델 템플릿> -6b 운용규칙모델 – 예시> 100 <OV-6b 운용규칙모델 템플릿> <OV-6b 운용규칙모델 – 예시> OV-6b 운용상태전이기술도 OV-6b 운용상태전이기술도 例
  • 114. OV-6c(운용사건추적기술서) 목적 – 운용개념에 대한 상세화 지원 – 운용노드간의 상호작용 정의 – 각 시점별 운용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운용노드의 소요 정보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사건추적기술서 도 P - P - 활동 또는 아키텍처 내용에 대한 순차적 흐름을 추적하여 표현한 템플릿이다. O - O - D 보조 D 보조 101
  • 116. OV-7a(데이터구성도) 목적 – 데이터 구성요소 식별 및 정의 – 업무규칙 식별 및 정의 – 정보의 의미 식별 및 정의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데이터 구성도 도 필수 - 데이터 구성에 대한 분류체계를 식별하여 데이터 주제영역, 데이 터그룹,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함. 103
  • 117. <OV-7a 데이터 구성도 템플릿> <OV-7a 데이터 구성도 설명서> 104
  • 118. 목적 – 개념데이터엔티티 식별 및 정의 – 업무규칙 식별 및 정의 – 정보에 대한 의미와 관계식별 및 정의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개념데이터모델 도 필수 - 데이터베이스 단위로 개념엔티티타 입을 식별하고 엔티티타입 간의 관 계를 표현함. OV-7b(개념데이터모델) 105
  • 120. 목적 – 논리엔티티타입 식별 및 정의 – 업무규칙 식별 및 정의 – 정보에 대한 의미와 관계식별 및 정의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논리데이터모델 도 보조 보조 개념엔티티타입을 기반으로 논리 엔티티타입을 식별하고 논리엔티 티타입 간의 관계 및 속성을 표현 함 OV-7c(논리데이터모델) 107
  • 121. <OV-7c 논리데이터모델 템플릿> <OV-7c 논리데이터모델 - 예시> <OV-7c 논리데이터모델 설명서> 108
  • 122.
  • 123.
  • 124. 체계관점(System View) 산출물: 16종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SV-1a 체계정의기술 서 운용관점에서 식별된 조직이나 개인의 임무와 역할, 역량과 능력을 체계관 점에서의 기능적 요구사항으로 전환한 산출물 SV-1b 체계인터페이 스 기술서 체계노드와 체계를 식별하고, 체계노드간의 인터페이스 체계간 인터페이스, 체계노드 내의 체계간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는 산출물 SV-2 체계통신기술 서 체계노드와 체계노드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 데 있어 통신장 비, 통신 경로, 통신 서비스 등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기술하는 산출물 SV-3 체계관계 추적 상관표 체계인터페이스 기술서에서 표현한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매트릭스 형식으 로 표현한 산출물 SV-4 체계기능 정의서 체계의 기능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계층화시켜서 체계 기능 간 데이터 흐름 을 표현하고 프로그램 목록을 식별하는 산출물 SV-5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추적 상관표 아키텍처에 적용된 운용활동과 체계 기능 사이의 관계를 상세화 한 산출물 110
  • 125.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SV-6 체계데이터 교환목록 체계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요구사항과 요소(Element)를 명세화하며 체 계 내에서 구현될 데이터교환 정보를 기술하는 산출물 SV-7 체계성능목록 체계, 체계 내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 통신장비, 체계기능의 현재 성 능 파라메터와 특정 시간에 기대되거나 요구되는 성능 파라미터를 정량적 으로 설명한 산출물 SV-8 체계진화기술 서 장기적으로 개발되는 아키텍처 또는 체계의 경우, 시간선상에 따라 설계 및 배치되는 진화 계획을 정의하는 산출물 SV-9 체계기술 예측목록 중요한 현재 및 예측되는 지원 기술을 정의하는 산출물 SV-10a 체계규칙모델 아키텍처, 체계 또는 체계 컴포넌트, 그리고 체계 기능 등에 대한 제약사항 을 정의하고, 체계 또는 체계 컴포넌트 수준에서는 특정 조건하에 아키텍처 나 체계가 행하는 규칙을 기술하는 산출물 SV-10b 체계상태전이 기술서 체계 또는 체계기능이 그들의 상태를 변화함으로써 다양한 사건에 응답하 는 방법을 그래픽적인 방으로 기술하는 산출물 SV-10c 체계사건추적 기술서 특정 시나리오에 따른 대상 체계/체계기능간의 체계데이터교환내용을 시간 중심으로 표현한 산출물 111
  • 126.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SV-11 물리데이터 모델 논리 엔티티 타입을 물리데이터 환경을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물리스키마 생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현한 산출물 SV-12 체계기반구조 기술서 체계노드 별 체계를 지원하는 물리적인 플랫폼 구성항목을 기술 하는 산출물 SV-13 체계보안 기술서 운용요구사항과 운용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을 통해 제기될 수 있는 위험, 위협 등을 식별하여, 이들을 관리 및 제어 할 수 있는 모델, 서비스,기술을 정의한 산출물 112
  • 127. 목적 – 체계의 전체적인 구조와 구성에 대한 이해와 SV-1b의 체계노드에 존재하는 체계 및 기능을 식별 – 논리적인 체계식별을 통해 향후 아키텍처 수행에 필요한 기본 요건들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정의기술서 도 P 필수 P 필수 체계의 전체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인지하도록 해당 조직, 사람, 체계도메인, 체계를 도식화한 템 플릿이다. O - O - D - D - SV-1a(체계정의기술서) 113
  • 128. <SV-1a 체계정의기술서 템플릿> <SV-1a 체계정의기술서 설명서 - 2> <SV-1a 체계정의기술서 설명서 - 1> 114
  • 129. 목적 – 운용노드를 지원하는 체계노드와 체계를 식별 – 조직적인 경계를 교차하는 체계인터페이스(핵심인터페이스)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 관계도 도 P - P - 국방 EA 개발 시 체계간의 인터페이스 관계를 표 현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체계간, 체계와 체계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를 기술한다. O 필수 O - D - D - 체계 노드간 인터페이스 도 P 필수 P 필수 상위수준에서 체계노드와 체계노드 내의 체계를 식별하고 체계노드간의 인터페이스를 기술한 템 플릿이다. O - O - D - D - 체계간 인터페이스 도 P - P - 체계노드간 인터페이스를 체계간 인터페이스로 구체화한 템플릿이다. O - O 필수 D - D - 체계노드 내부 인터페이스 도 P - P - 체계노드 내의 체계간 인터페이스와 외부 노드와 의 관계를 정의한 템플릿이다. O - O 필수 D - D - SV-1b(체계인터페이스기술서) 115
  • 130. <SV-1b 체계관계도 템플릿> <SV-1b 체계간 인터페이스 템플릿> <SV-1b 체계노드내부 인터페이스 템플릿> <SV-1b 체계노드간 인터페이스 템플릿> 116
  • 132. SV-2(체계통신기술서) 목적 – 체계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물리 매체 (동축 케이블, 광 케이블 등) 구성 제공 – 물리적 노드와 이들 간의 통신 경로 표현 – 통신장비와 네트워크의 경로를 표현하고 운용 노드와 체계 인터페이스의 구성 제공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통신 구성도 도 필수 - 전군 혹은 체계 내 네트워크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계획자 차원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현함. 체계통신 관계도 도 보조 보조 체계노드와 체계노드 간의 통신장비와 통신링크를 식별할 수 있도록 “도”형태로 표현함. 체계통신 설계도 도 보조 보조 체계노드 내부의 체계와 통신장비 간의 구성을 “도” 형태로 표현함. 118
  • 134. <SV-2 체계통신 관계도 템플릿> 정의 – 책임자 관점에서 “체계통신 구성도”를 구 체화 한 외부망 템플릿이고, 체계노드 사이 의 통신링크를 세부적으로 분해하여, 체계 노드 간 연결된 통신장비와 경로를 식별할 수 있는 “도” 템플릿임. 작성방법 – “체계통신망 구성도”를 참고하여 체계노드, 체계노드 간 네트워크 정보를 표현함. – 외부 네트워크 망과 연결된 통신장비를 식 별한 후 각 체계 노트 간 통신장비의 구성 과 통신경로 표현. – 통신장비 : 체계노드 혹은 체계 사이의 데 이터 혹은 정보의 전송 기능 (스위칭, 라우 팅 등)을 가지고 있는 통신장비의 명칭을 정의하고, 각 통신장비 간의 통신링크를 도 식화 함. – 경로 : 하나의 체계노드/체계에서 다른 체 계노드/체계로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링크의 경로를 도식화 함. 120
  • 135. <SV-2 체계통신 설계도 템플릿> SV-2(체계통신설계도) : 템플릿 <SV-2 체계통신 설계도 설명서> 정의 – 설계자 관점에서 체계노드 내의 체계 와 통신 장비들 간의 연결정보를 네트 워크 중심으로 표현한 “도”형식의 템 플릿임. 작성방법 – “체계통신 구성도”에서 식별된 체계노 드 내부의 네트워크 구성을 표현함. – 체계노드 내의 각 체계를 식별하고 체 계와 연결된 통신장비들 간의 연결정 보를 표현함. – 체계노드 외부의 네트워크들과 연결 된 통신장비를 식별하고 이를 표현함. – 체계노드 내의 통신장비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함. – (체계노드 명, 통신장비 유형, 자산관 리 번호 등) 121
  • 137.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관계추적상 관표 표 P - P - 체계와 체계간의 상관관계를 N2-유형 매트릭스 (N2-type Matrix) 형태로 표현한 템플릿이다. O 필수 O 필수 D - D - 목적 – 인터페이스의 잠재적 공통성과 중복성에 대한 신속한 평가 와 정의된 체계들 간의 관계 설정 파악 – 아키텍처 목적에 부합하는 체계간의 관계를 강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임무영 역별, 체계도메인별, 체계별, 능력별 등)으로 작성 템플릿 목록 SV-3(체계관계추적상관표) 123
  • 138. <SV-3 체계관계 추적상관표 템플릿> <SV-3 체계관계 추적상관표 예시> 124
  • 139. 목적 – 각 체계에 의해 요구된 필요 정보(데이터 흐름)를 명백하게 설명 – 체계기능간 연결에 대한 완전성 확인 – 체계기능 분할에 대한 적절성 및 상세화 수준 확인 – 체계의 요구 기능을 만족하는 프로그램 및 모듈(컴포넌트) 포트폴리오 정의 – 시스템 개발비용 산정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기능분할도 도 P - P - 체계와 체계기능간의 관계를 계층적으로 표현하여 각 체계 기능의 분할 구조를 식별하고 체계기능간의 연결성과 분할 의 적절성 및 상세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템플릿이다. O 필수 O 필수 D - D - 데이터흐름도 도 P - P - 체계기능, 외부 소스 및 목적지, 데이터 저장소간의 데이 터 흐름을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보조 D 보조 프로그램목록 표 P - P - 분산계층 관점에서 체계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목록 과 리소스 정보를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보조 D 보조 SV-4(체계기능기술서) 125
  • 140. <SV-4 체계기능분할도 템플릿> <SV-4 데이터 흐름도 템플릿> <SV-4 체계기능분할도 설명서> <SV-4 프로그램 목록 템플릿> 126
  • 141. 목적 – 계획자 수준에서, § 운용능력이 배치될 체계로 적절히 반영되는가를 식별. § 의사 결정자가 연통형 체계(Stovepipe), 중복(redundant/ duplicative) 체계, 능력 이 부족한 체계, 시간 주기에 따라 가능한 미래 투자 전략 등을 식별 가능하게 함. – 사용자 수준에서 § 운용 요구사항이 체계에 의해 수행되는 행위로 적절히 반영되는가를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운용활동 대 체계 기능 추적상관표 표 P - P -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을 추적하는 템플릿이다.O 필수 O 필수 D - D - 능력 대 체계 추 적상관표 표 P - P - 능력 대 운용활동,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체계기 능 대 체계 그리고 이와 관련된 능력 대 체계를 지 원하는 요소들을 추적한 템플릿이다. O 보조 O 보조 D - D - SV-5(운용할동대체계기능추적상관표) 127
  • 142. <SV-5 운용활동 대 체계기능 추적 상관표 템플릿> 128
  • 143. <SV-5 능력 대 체계 추적 상관표 템플릿> 운용활동2는 체계1의 체계기능1 과 체계기능2 사이에 배치되어 지원되고 있고, 체계2의 체계기능1이 현재는 배 치되어 있지 않지만 개발이 완료 되고 배치될 예정임을 보여준다. 운용활동8은 현재는 배치되어 있 지 않지만 일부 체계 개발이 계획 되거나 예정되어있음을 보여준 다. 공란은 운용활동을 위한 체계 지 원 계획의 미정 또는 운용활동과 체계기능 사이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을 뜻할 수 있다 129
  • 144. 목적 – 체계관점(체계 기능, 체계, 데이터 흐름)의 3가지 기본적인 아키텍처 데이터 요소 의 교차하는 관계를 표현 – 운용 임무의 중대한 영향이 주거나 잠재적인 과부하나 제약을 주는 체계 데이터 흐름과 체계 데이터 내역 파악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데이터교환 목록 표 P - P - 체계 기능간의 데이터 교환 및 관계(체계인터페 이스, 체계, 체계기능)를 표현한 “표” 형태의 템플 릿이다. O 보조 O 보조 D - D - SV-6(체계데이터교환목록) 130
  • 145. <SV-6 체계데이터 교환목록 템플릿> <SV-6 체계데이터 교환목록 예시> 131
  • 146. SV-7(체계성능요소목록) 목적 – 체계에 할당된 임무 목표를 충족하기 위하여, 어떤 성능 특성이 가장 핵심적인지 를 식별함 – 식별된 성능 특성은 획득 및 배치 결정에 결정적인 요소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획 득결정절차와 체계설계 상세화를 위한 체계분석과 시뮬레이션에 사용됨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성능목록 표 보조 보조 체계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현재 및 특정 미래 시점 의 성능에 대해 정량적 , 정성적으로 표현함. 132
  • 147. 133
  • 148. 목적 – 아키텍처와 체계가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에 대한 명백한 설명 제공 – 아키텍처 진화 프로젝트 계획으로 사용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진화 기술 서 도 P 보조 P 보조 체계 진화의 흐름을 발전(evolution : 범위의 확장 과 기능성 및 융통성의 증가)과 전환(migration : 보다 개선된, 효율적인, 소형의, 저렴한 체계의 점 증적인 개발)의 관점에서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 D - SV-8(체계진화기술서) 134
  • 149. 135
  • 150. 목적 – 아키텍처 및 현존하거나 계획된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기술 요약 – 아키텍처와 체계의 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원 기술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기술예측목 록 표 P 보조 P 보조 체계기술예측목록은 소유자(책임자) 관점에서 체계진화에 요구되는 기술표준과 제품을 식별하 여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 D - SV-9(체계기술예측목록) 136
  • 151. <SV-9 체계기술예측 목록 템플릿> <SV-9 체계기술예측 목록 예시> 137
  • 152. 목적 – 체계와 체계기능에 부여되어 있는 규칙과 제약사항 이해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규칙모델 표 P - P - 체계나 체계 속성 수준에서, 체계규칙모델은 특 정한 상황 하에 아키텍처의 행동에 대한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템플릿이다. O - O - D - D 보조 SV-10a(체계규칙기술서) 138
  • 153. 139
  • 154. SV-10b(체계상태전이기술서) 목적 – "SV-4 체계기능기술서“에서 표현되지 않는 외부 및 내부 사건에 응답하는 체계기능들 의 시간 순차를 기술 – 문자적으로 의미 손실 없이 체계 사건의 타이밍과 이들 사건에 응답을 설명 – 그래픽 형태로 누락된 조건 검출과 규칙의 완전성을 신속히 분석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상태전이 기술서 도 P - P - 상태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사건에 반응하는 체 계 또는 체계기능을 그래픽적 방법으로 기술하는 템플릿이다. O - O - D - D 보조 140
  • 156. SV-10c(체계사건추적기술서) 목적 – 체계개념에 대한 상세화 지원 – 체계노드의 인터페이스 구체화 지원 – 필요한 정보를 가진 체계 또는 체계기능 확인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사건추적 기술서 도 P - P - 특별한 시나리오의 결과로써 체계/ 체계기능 사 이에서의 체계데이터교환을 시간 순서별로 표현 하기 위한 템플릿이다. O - O - D - D 보조 142
  • 158. 목적 – 체계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가능한 한 상세하게 서술함으로써 상호운 용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최소화 – 필요하다면, 체계설계 단계에서 유용한 데이터 구조 제공 템플릿 목록 템플릿 식별자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SV-11 물리데이터모델 도 보조 보조 논리엔티티타입을 기반으로 물 리엔티티타입을 식별하고 물리 엔티티 간의 관계 및 물리속성 을 표현함. SV-11(물리데이터모델) 144
  • 159. <SV-11 물리데이터 모델 템플릿> <SV-11 물리데이터 모델 예시> <SV-11 물리데이터 모델 설명서> 145
  • 160. 목적 – 체계 설계 및 개발의 기반 제공 – 플랫폼 구성항목을 식별하여, 하드웨어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설계 효율성 제고 – C/S 또는 DCE 기반의 하부구조 정의, 정보 수행 및 교환의 기반체계로 활용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체계기반구성도 도 필수 - 전군 혹은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하드웨어, 시스템소프트웨어 를 계획자 관점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표현함. 체계기반분산 구조도 도 보조 필수 체계의 분산구조계층을 식별하고, 각 계층별 하드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배치하여 표현함. 하드웨어 구성도 도 보조 보조 전군 혹은 체계 내부의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제품을 식별하여 표현함.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 보조 보조 전군 혹은 체계 내부의 시스템소프트웨어와 시스템소프트웨 어 제품을 식별하여 표현함. SV-12(체계기반구조기술서) 146
  • 161. 147
  • 162. 148
  • 163. 목적 – 조직의 효과적인 보안관리 체계를 개발, 시행, 감시하기 위한 공통 지침제공 – 조직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공유를 위한 기반 제공 – 보안 정책의 확인, 보안영역 및 보안요소 도출 – 체계구조에 보안 서비스의 정의 및 구현 템플릿 목록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보안정책 구조도 도 필수 - 계획자 수준에서 기관 혹은 체계의 보안 영역별 보안 정책을 정의하는 산출물 템플릿. 체계보안구조 구성 도 도 필수 필수 책임자 수준에서 기관 혹은 체계의 전체적인 보안영역과 보안 요소에 대한 현황 및 목표 청사진을 도식화하여 표현함. 체계보안관계 기술 서 도 필수 필수 책임자 수준에서 보안요소를 관리, 기술, 물리보안으로 분류하 고, 이들과 관련된 체계, 하드웨어, 통신장비와의 관계를 식별 하여 표현함. SV-13(체계보안기술서) 149
  • 164. 정의 – 책임자 수준에서 기관 혹은 체계의 전 체적인 보안영역과 보안요소에 대한 현 황 및 목표 청사진을 도식화하여 표현 한 “도”형식의 템플릿임. 작성방법 – 기관의 아키텍처(EA : Enterprise Architecture)를 개발 할 경우에는 기관 에서 정의한 보안정책 구조에 따라 보 안요소와 하부보안요소를 식별하고, 이 를 관리보안, 물리보안, 기술보안으로 분류하여 표현함. – 체계 EA를 개발 할 경우에는 체계를 위 협할 수 있는 보안요소를 관리보안, 물 리보안, 기술보안으로 분류하여 표현함. – 세부 작성방법은 “MND-AF 1.2 2권 산 출물 정의서”를 참조하여 작성함. <SV-13 체계보안구조 구성도 템플릿> <SV-13 체계보안구조 구성도 설명서> 150
  • 165. 151
  • 166. 기술표준관점(Technical Standard View) 산출물: 3종 식별자 산출물 명칭 정 의 TV-1 기술표준목록 아키텍처의 설계 및 구현에서 선택에 제한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법, 정책, 체 계표준규칙을 수집하여 기술한 산출물 TV-2 미래표준 목록 아키텍처에 의해 발견된 체계들이 발전하는 기술 표준들 또는 최근에 만들 어진 기술 표준 목록이며 이들은 “기술표준 목록” 산출물에서 작성된 표준 에 대한 미래 발전 변화를 포함한 산출물 TV-3 제품목록 체계 혹은 전군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이 적용된 제품에 대해 제품구분 및 유 형에 따라 목록화 한 산출물 152
  • 167. 목적 – 아키텍처 구현에 적용하는 표준과 규칙을 설명 – 제품 평가 및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기술표준목록 표 P - P - 체계에서 사용되는 기술표준을 목록 화 한 템플릿으로서, 국방TRM 기술서비스 분야에서 분류한 서비스와 국방TRM 세 부기술분야에 따른 표준을 식별하여 표 현함. O 필수 O 필수 D - D - TV-1(기술표준 목록) 153
  • 168. 154
  • 169. 목적 – 핵심 기술 표준, 기술 표준의 약점, 그리고 아키텍처의 미래 개발과 유지보수성에 대한 기술 표준의 영향을 식별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미래표준목록 표 P - P - 체계 발전에 따른 기술표준들 혹은 최근 에 만들어진 기술 표준들을 목록화 하여 표현함. O - O 필수 D - D - TV-2(미래 표준목록) 155
  • 170. 156
  • 171. TV-3(제품목록) 목적 – 국방 정보체계간의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정보 관리를 가능 –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제품 조달(구매)을 보장 – 체계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제품 목록 제시 – 비 개발 품목(COTS, GOTS) 및 연구개발 대상 식별 – 템플릿 목록 템플릿명 형태 목적/적용수준 템플릿 설명 국방 EA 단위사업 제품목록 표 P - P - 체계 혹은 전군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이 적용된 제품에 대해 제품구분 및 유 형에 따라 목록화 한 템플릿 O - O - D 보조 D 보조 157
  • 172. 158
  • 175. MND-AF는 작성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의사소통 수단으로 이해, 활용되어야 함 161
  • 176. TOYOTA New Global Architecture https://tw.autos.yahoo.com/news/tnga%E6%A8%A1%E7%B5%84%E5%8C%96%E5%BA%95%E7%9B%A4%E4%B9%9F%E5%B0%87%E5%85%A5%E5%88%97- toyota%E4%B8%AD%E5%9C%8B%E5%A4%A9%E6%B4%A5%E5%BB%A0%E8%A8%AD%E7%AB%8B%E6%96%B0%E7%94%A2%E7%B7%9A-162258744.html# 162
  • 178. 소요/획득단계 국방아키텍처 활용 Use of MND-AF for requirement and acquisition process 전략적 방향 합동 개념 합동 실험 평가 및대안선정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합동전투발전요소별 대안구축 합동능력 전력화 164
  • 179. 소요결정 방법론 부분적 상호운용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획득 후통합 서비스 획득 서비스 실험 평가 및대안선정 서비스 소요 전략적 방향 합동 개념 합동 실험 평가 및대안선정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합동전투발전요소별 대안구축 합동능력 전력화 상향식(위협기반) 하향식(능력기반) 165
  • 180. 개념 국가 군사전략 합동비전 합동작전개념 기능 개념 서비스 개념 합동능력 아키텍처 평가 체계 1 체계 2 체계 3 체계 4 체계 5 체계 6 과제a 과제b 과제c 과제d 과제e 과제f 과제g 능력 능력 능력 능력 로드맵 능력 과제 a 과제 b 과제 c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 능력 체계 2 기능개선 체계 5 기능개선 신규 체계 개발 교육훈련 조직개편 체계2 서비스 종료 목표능력 이행 계획 전력운용 아키텍처 지휘통제 아키텍처 전장인식 아키텍처 방호 아키텍처 …. 참고 : “Delivering an Information Advantage Through Enterprise Architecture : Capability Assessment ” 발표자료, 미국방부 EA 국장 Brian Wilczynski, 2009,03,24 美 능력기반 소요창출 방법론 166
  • 181. 美 획득단계 활용 AV-1 AV-2 OV-1 OV-2 OV-3 OV-4 OV-5 OV-6C SV-2 SV-4 SV-5 SV-6 TV-1 TV-2 OV-1 AV-1 AV-2 OV-1 OV-2 OV-3 OV-4 OV-5 OV-6C SV-2 SV-4 SV-5 SV-6 SV-11 TV-1 TV-2 ICD CPD ISPB Milestone C Milestone A Milestone CDD AV-1 AV-2 OV-1 OV-2 OV-3 OV-4 OV-5 OV- 6C SV-2 SV-4 SV-5 SV-6 TV-1 TV-2 AV-1 AV-2 OV-1 OV-2 OV-3 OV-4 OV-5 OV-6C OV-7 SV-2 SV-4 SV-5 SV-6 SV-11 TV-1 TV-2 TEMP NR KPP NR KPP TEMP AV-1 AV-2 OV-2 OV-3 OV-4 OV-5 OV-6C SV-1 SV-2 SV-3 SV-4 SV-5 SV-6 SV-7 SV-10 TV-1 AV-1 AV-2 OV-2 OV-3 OV-4 OV-5 OV-6C SV-1 SV-2 SV-3 SV-4 SV-5 SV-6 SV-7 SV-10 TV-1 ISP DoDEA & Solution Architecture 물질적 요소 접근 업무분석과 능력 평가 합동 운용 개념 합동 통합 개념 합동 운용 개념 합동 운용 개념 시험평가 기본계획서를 토대로 시험평가시 아키텍처 기반 평가 소요/획득 문서와 시험평가 문서와의 평가기준 연관성 유지 JCIDS 분석 [FAA, FNA, FSA] 167
  • 183. 169
  • 188.
  • 189.
  • 190. 美 DOD-AF 2.0 현황 DoDAF V1.0 175
  • 191. DODAF-2.0: 목적에 맞는 아키텍처 개발 176
  • 193.
  • 194.
  • 195. 주어진 자기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지시에 따라!
  • 202. 주어진 역할만 충실히! 일사분란하게 급변하는 환경! 각자 역할을 이해하 고 큰 그림, 함께 보고 함께 나아가야!
  • 203. 아키텍팅 적용시 고려사항 “생각은 크게, 실행은 작게” - 작은 성공사례 기반 점진적 확대 필요 기존 업무에 활용 고민을 동시에 하여야 할 것임 추상화 수준에 대한 깊은 고민과 시행착오 필요 온톨로지(공통의 이해) 우선 필요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