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01.
와이어프레임 스케치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DEMO TEST
NANAL
01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주요 Task
NANAL
사용자 일정 캘린더 연동 후
일정이 마무리하는 시간대에 맞추어
“지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요?”
라는 메세지를 상단바 혹은 메인 알람.
하루 일과 속 자신의 세부 감정을 살피도록 유도
02
하루가 마무리되는 시간에 (디폴트 값 오후 11시)
삶에 관한 명언과 함께 일정을 마무리하는 메세지 알람.
“하루가 거의 다 지나가고 있네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였길 나날이 응원합니다.
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하루였나요?”
하루를 정리하고 스스로에 대해 되묻는 시간을 가진다.
03
일상 중 랜덤으로, 틈틈히 삶에 관련된 질문 알람.
“요즈음 즐겨듣는 노래가 있나요?”
“당신의 스트레스 해소법은?”
“당신은 어떻게 기억되고 싶나요?”
등 생각해보지 못했던 자신의 삶에 대한 소소하면서도
깊은 질문에 대해 답하는 시간을 가진다.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NANAL
INFORMATION
연령대 50대 초반
이름 장ㅇㅇ
타임블록/유튜브/카카오톡/바둑/트위터
일정 질문 후 3일 동안, 일정에 맞추어 일정 끝나는 시간에 감정 질문
인생 질문 3일 동안, 랜덤으로 질문
하루 마감하는 시간에 맞추어 명언 및 마무리 메세지 알람주요 사용하는 어플
2020.05.22.11:00 동네모임에서 영화 약속.
영화는 생각했던 것 보다 별로였다. 기대했던만큼 미치지 못해서 아쉬웠다.
다만 모임에서 축하해주며 꽃다발을 선물로 주어, 기분이 좋았다.
그래서 아쉬웠지만, 마무리가 좋았기 때문에 기분은 보통인 것 같다.
매우 별로 / 별로 / 보통 / 좋음 / 매우 좋음
돌아오는 길에 날씨가 좋았어서, 이 봄 날씨를 기록해서 남기고 싶다.
그리고 선물로 받은 꽃다발을 주며, 축하해주시던 말이 너무 기억에 남아서 함께 남기면 좋을 것 같다.
그 감정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방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원호님의 감정은 어떤가요?
혹시 해당 일정에 남기고 싶은 다른 기록이 있나요?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2020.05.23.13:30~20:30 지인 모임
시골에 내려가셨던 전 이사님을 오랜만에 만나는 자리여서 반갑고 좋았다.
해주실 이야기가 많으셨던지 많은 이야기를 나누어서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다.
다만 조금 피곤하다.
매우 별로 / 별로 / 보통 / 좋음 / 매우 좋음
오늘 먹은 횟집이 맛있어서 가족을 데려오고 싶기 때문에 기억하면 좋겠다.
그 감정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방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원호님의 감정은 어떤가요?
혹시 해당 일정에 남기고 싶은 다른 기록이 있나요?
2020.05.24. 16:00 작업
속이 시원하다. 작업을 마감해서 기쁘다.
매우 별로 / 별로 / 보통 / 좋음 / 매우 좋음
없다.
그 감정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방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원호님의 감정은 어떤가요?
혹시 해당 일정에 남기고 싶은 다른 기록이 있나요?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2020.05.24. 19:00~22:00 지인 회의
맥주 사업에 대한 이야기였으나 준비가 덜 되었긴 했다,
그래도 다같이 열정을 가지고 이야기 하는 자리여서 분위기가 좋았다.
매우 별로 / 별로 / 보통 / 좋음 / 매우 좋음
없다.
그 감정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방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원호님의 감정은 어떤가요?
혹시 해당 일정에 남기고 싶은 다른 기록이 있나요?
Q.일정을 기록하면서 혹시 좋았던 부분이나 불편했던 지점이 있나요?
* 매 순간 순간 기록해야 하는 일이, 타이핑을 해야해서 조금 귀찮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객관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지표가 있었으면 한다.
또한, 지금 기록 남기는 일을 지치거나 정신이 없어 미루었을 때, 하루의 끝에 다시 되물어 준다면 좋을 것 같다.
* 한 가지 일정에 복잡한 감정이 드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하나의 잣대로 감정을 선택하려고 하니 곤혹스럽다.
두가지 이상의 감정을 선택할 수 있거나 다양한 감정의 잣대가 있다면 좋겠다.
* 감정을 다루어주는 지점에 서있는 어플인지, 그래서 내 감정이 더 좋음을 유지하길 바라는지 아니면 내가 내 감정을 허투루 흘리지 않고,
충실히 여기며 하루하루 ‘나’에게 초점을 맞추어 하루를 관통하는 걸 선명히 느끼게 하기 위함인지 좀 더 명확한 위치에 설 필요가 있는 것 같다.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Q.나날을 사용하면서 하루를 보내고, 마무리를 하니 하루의 느낌이 어떻게 달랐나요?
* 하루를 마감하는 느낌이 들어서 좋았지만 어떤 포지션을 취하느냐가 상당히 중요할 것 같다. 끝난다고 바로 그걸 적을 정신이 없으니
뭔가 시그널이 있다면 어떨까? 곧 있으면 마음을 정리하고 되새길 수 있도록 찾아올테니, 당신이 바쁠 수도 있는데 잠시 환기시킬 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정도의 메세지? 메세지같은 게 와서. 화면에 찻잔 하나 놓고 물을 쭉 따르는- 5초정도 멈춘다거나 숨쉬거나 약간 고요히 잠시 멈춰보는 시간의 그런게 가미되면 좋겠다.
* 회의할때와서 못하게 되었을 때, 기록하지 못해 초조해하거나 의무적으로 하게 되는 느낌이 없어야 할 것 같다.
* 현재 시계가 느리게 가는 경험을 줄 수 있다면 좋겠다. 기록하면서 시간이 느리게 가는 경험을 했으면 좋겠다.
시간이 멈춘 듯한 느낌. 생각이 정리되고 고요해지는 느낌. 그 시간 만큼은 온전히 나를 위해 쓰는 느낌 세상의 시간과 별개로 가는 느낌.
하루 마감하는 메세지와 명언 전달
“원호님, 하루가 거의 다 지나가고 있네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였길 나날이 응원합니다. 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하루였나요?”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인생 질문 3일 동안, 랜덤으로 질문
“당신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인가요?””
->정의.평화. 연대. 평등. 전 세계가 행복했으면 좋겠다. 나쁜 사람도 좀 적고.
“요즘 즐겨 듣는 노래가 있나요?”
->선우정아의 city sunset. - 가사가 좋아서.
당신이 요즈음에 이 노래를 들었다는 걸 기록하고 싶나요?
->응. 내가 이 노래를 현재 좋아했다는 건, 그 가사에 내 마음이 담겨있다는 거니까.그 순간의 내 마음을 기억할 수 있을 것 같아서.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사진 처럼 내 감정을 기록할 수 있을 것 같아. 이 노래를 들을 때 이 마음을 떠올릴 수 있다면, 의미가 있을 것 같아.
2020년 5월 쯔음에 이 노래를 즐겨 들었다는 거잖아. 매일 매일 들었던, 그 날에 그 노래가 매일 하나씩 쌓였으면 좋겠어.
페이스북에 몇년 전에 찍었던 오늘 사진 뜨는 것 처럼, 지금 내가 이 노래를 어떤 마음으로 들었던지 찾아보지 않아도,
한 눈에 볼 수 있다면 마음을 떠올리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앨범처럼.
이 노래를 어떻게 기억하고 싶나요?
->유튜브 링크 같은 걸로 기억할 것 같아.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인생 질문 3일 동안, 랜덤으로 질문
“당신의 스트레스 해소법은?”
->바둑. 바둑도 혼자 두는 것이 아니고 상대방이 있는데, 그 돌을 놓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마음이 느껴질 때가 많아.
돌의 움직임이 이 사람에 대해서 드러낼 때가 있어. 그 말 없는 대화가 좋아.
“당신은 어떻게 기억되고 싶나요?”
->세상이 조금 나아지는데에 좀 도움이 되었던 사람. 나름 행복했던 사람.
이런 질문들이 일상 속에서 던져졌을 때 어떻게 느껴지나요?
->이렇게 질문을 던져서, 답을 하는게 가끔은 좋을 것 같아. 다만 영화 her 처럼은 안 되었으면 좋겠어.
의존하지 않되, 내 필요에 의한 기록이라면 좋겠어. 적당한 거리감을 지켜서.
그리고 처음에는 좀 뜬금 없게 느껴졌지만, 돌이켜보니 곰곰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 하루의 잔잔한, 쉼표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
이런 질문들이 3일에 한번, 4일에 한 번 등 일상 속에 랜덤으로 던져진다면 어떨 것 같나요?
->이 질문 자체가, 나의 내부에 대한 외부적인 자극이라면 우리가 코드가 맞을 때, 그 때 더 빛이 될 질문들 일 것 같다.
날씨,계절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발맞추어 질문을 던져야 겠다. 눈치없는 어플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어.
그 시간대에 그 사람이 올리는 감정이나, 문구,단어등을 데이터베이스 해서. 그 사람에 대한 맞춤 무언가를 제공 할 수 있다면 좋겠다.
“매 순간 순간 일정 후 감정을 기록할 때,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나’를 기록한다는 것에 대해 습관이 생기기까지 지속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 지속가능성 낮음
“한가지 일정에 하나로 딱 구분 지을 수 없는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들.
좋은 감정 혹은 나쁜 감정으로 정의내릴 수 없는 다양한 감정의 특징을 체킹할 수 있을 필요성이 있다.”
”처음에 시작할 때 너무 내가 설정하고 골라야 할 것이 많아 피곤하고, 진입 장벽이 높다.”
“기록하고 싶은데, 아직 일정을 마무리하고 ‘나’에 집중하기 까지에 간극이 있어, 패스를 자주 누르게 될 것 같다.”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
NANAL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매 순간 순간 일정 후 감정을 기록할 때,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나’를 기록한다는 것에 대해 습관이 생기기까지 지속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나’를 알아간다 라는 개념을 대두. - ‘나’에 대한 정보들이 쌓이고/채워지고/차오른다의 시각적 개념 필요성. 단계를 넘어서거나, 성장하는 느낌 부여
어플의 예기치 못한 메세지가 삶 속에서 위로를 주거나 감성을 자극하는 방향. 당근 효과를 통해 친밀감 높이기.
‘공유’기능 부여, 내가 설정한 타인과 공유한다면 흥미도 증가
오늘 하루 중 ‘나’만을 위해 쓴 시간, 나에게 들여다 본 시간 등 그게 모인다면 ? 내가 나를 위해 쓴 하루들 카운팅된다면 어떨까?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한가지 일정에 하나로 딱 구분 지을 수 없는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들.
좋은 감정 혹은 나쁜 감정으로 정의내릴 수 없는 다양한 감정의 특징을 체킹할 수 있을 필요성이 있다.”
감정 스펙트럼의 확장, 감정 디폴트 값 추가.
‘공유’기능 부여, 다른 이의 적당한 때 마침 적합한 감정을 내 감정 아카이빙에 리그램 할 수 있다면?
해시태그 기능.
하나의 일정 안, 여러 갈래의 감정을 표현해야 할까?
내가 이 감정을 느끼는 ‘이유’에 초점을 맞추어 선택하게 한다면 감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지 않을까?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처음에 시작할 때 너무 내가 설정하고 골라야 할 것이 많아 피곤하고, 진입 장벽이 높다.”
초기 디폴트 설정 값 강화.
시간 대 기본 설정 (9시~12시) / 구글 캘린더 연동 / 추후 변동 가능
감정색 기본 고정 / 추후 변동 가능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기록하고 싶은데, 아직 일정을 마무리하고 ‘나’에 집중하기 까지에 간극이 있어, 패스를 자주 누르게 될 것 같다.”
.
->하루 동안 패스한 감정에 대해서 하루 마무리 시간에 다시 되물어야 할까?
만약 계속 패스하게 되어 어플을 사용하지 않은 기간이 늘어난다면, 부담스럽지 않게 전에 사용자가 기록했던
데이터에 맞추어 메세지를 보낸다면, 유대감이 생겨나지 않을까? ex)동물의 숲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 동기부여 - 지속가능성 - 습관화의 중요성.
* ‘감정’ - 사람의 감정에 교감하고 유대감 형성 필요성.
.
“더 나은 순간들로, 나의 하루 하루를 조금씩 바꾸어 나가는 것. 더 나은 나날들로 나의 삶을 채워 나가는 것.”
이 지점이 사용자가 이 어플을 계속 사용하고 싶게 만드는 마음을 만드는 데 기초가 될 것.
단순히 삶의 커다란 목표,성취,가치관이 아닌 일상과의 접목. 결국은 하루가 모여 삶이 되므로, 일상의 소중함에 초점.
사용자가 하루를 보내다 미처 놓쳤을 지 모르는 지점이나 마음을 짚어주고 건드려주어, 스스로에게 되묻고 집중하는 시간을 늘릴수 있도록.
날씨/계절 등 일상적인 것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Interaction 0525

06주차 졸업프로젝트
06주차 졸업프로젝트06주차 졸업프로젝트
06주차 졸업프로젝트
JihyunP
 
20200512 interaction design
20200512 interaction design20200512 interaction design
20200512 interaction design
Muzzua
 
생생한 글쓰기를 위해 관찰하고 인터뷰 하는 법 How to observe and interview for lively writing
생생한 글쓰기를 위해 관찰하고 인터뷰 하는 법 How to observe and interview for lively writing 생생한 글쓰기를 위해 관찰하고 인터뷰 하는 법 How to observe and interview for lively writing
생생한 글쓰기를 위해 관찰하고 인터뷰 하는 법 How to observe and interview for lively writing
해란 박
 
수면정복(이지혜)
수면정복(이지혜)수면정복(이지혜)
수면정복(이지혜)
Eun-su Jang
 
인터렉 중간
인터렉 중간인터렉 중간
인터렉 중간
Heeji Yang
 
인턴이 본 코드마 人
인턴이 본 코드마 人인턴이 본 코드마 人
인턴이 본 코드마 人
해원 최
 
[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
[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
[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
Hyekyoung Yun
 
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up 01 mind set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up 01 mind set종익 주
 
[퍼블리] 프로젝트 매니저 4개월 해보니 - 장수은
[퍼블리] 프로젝트 매니저 4개월 해보니 - 장수은[퍼블리] 프로젝트 매니저 4개월 해보니 - 장수은
[퍼블리] 프로젝트 매니저 4개월 해보니 - 장수은
Publy-co
 
9조 아까주문한사람인데요 최종보고서
9조 아까주문한사람인데요 최종보고서9조 아까주문한사람인데요 최종보고서
9조 아까주문한사람인데요 최종보고서
Jeong Min Hwang
 
실패한 프로젝트들의 개발문화_개발방법론
실패한 프로젝트들의 개발문화_개발방법론실패한 프로젝트들의 개발문화_개발방법론
실패한 프로젝트들의 개발문화_개발방법론Suwon Chae
 
졸업프로젝트중간발표_박지현
졸업프로젝트중간발표_박지현졸업프로젝트중간발표_박지현
졸업프로젝트중간발표_박지현
JihyunP
 
1031 아로마테라피
1031 아로마테라피1031 아로마테라피
1031 아로마테라피
tae1141
 
[14.06.28] 이 구역의 프로그래머는 나야(devrookie - 공개용)
[14.06.28]  이 구역의 프로그래머는 나야(devrookie - 공개용)[14.06.28]  이 구역의 프로그래머는 나야(devrookie - 공개용)
[14.06.28] 이 구역의 프로그래머는 나야(devrookie - 공개용)해강
 
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
pxdstory
 
Interactive Media Design2 Midterm PPT
Interactive Media Design2 Midterm PPTInteractive Media Design2 Midterm PPT
Interactive Media Design2 Midterm PPT
Eunsoo Kim
 
인터랙- 데이터 리서치단계
인터랙- 데이터 리서치단계인터랙- 데이터 리서치단계
인터랙- 데이터 리서치단계
jiyein
 
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
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
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
Unyong (Sheldon) Choi
 
Unitas Matrix_마케팅 기획안_2013.06.27
Unitas Matrix_마케팅 기획안_2013.06.27Unitas Matrix_마케팅 기획안_2013.06.27
Unitas Matrix_마케팅 기획안_2013.06.27
Jiyeon CHOE
 

Similar to Interaction 0525 (20)

06주차 졸업프로젝트
06주차 졸업프로젝트06주차 졸업프로젝트
06주차 졸업프로젝트
 
20200512 interaction design
20200512 interaction design20200512 interaction design
20200512 interaction design
 
생생한 글쓰기를 위해 관찰하고 인터뷰 하는 법 How to observe and interview for lively writing
생생한 글쓰기를 위해 관찰하고 인터뷰 하는 법 How to observe and interview for lively writing 생생한 글쓰기를 위해 관찰하고 인터뷰 하는 법 How to observe and interview for lively writing
생생한 글쓰기를 위해 관찰하고 인터뷰 하는 법 How to observe and interview for lively writing
 
수면정복(이지혜)
수면정복(이지혜)수면정복(이지혜)
수면정복(이지혜)
 
인터렉 중간
인터렉 중간인터렉 중간
인터렉 중간
 
인턴이 본 코드마 人
인턴이 본 코드마 人인턴이 본 코드마 人
인턴이 본 코드마 人
 
[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
[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
[스마트스터디] 재택근무 잘 하고 있어요
 
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up 01 mind setHow to startup 01 mind set
How to startup 01 mind set
 
[퍼블리] 프로젝트 매니저 4개월 해보니 - 장수은
[퍼블리] 프로젝트 매니저 4개월 해보니 - 장수은[퍼블리] 프로젝트 매니저 4개월 해보니 - 장수은
[퍼블리] 프로젝트 매니저 4개월 해보니 - 장수은
 
9조 아까주문한사람인데요 최종보고서
9조 아까주문한사람인데요 최종보고서9조 아까주문한사람인데요 최종보고서
9조 아까주문한사람인데요 최종보고서
 
실패한 프로젝트들의 개발문화_개발방법론
실패한 프로젝트들의 개발문화_개발방법론실패한 프로젝트들의 개발문화_개발방법론
실패한 프로젝트들의 개발문화_개발방법론
 
종합 1차
종합 1차종합 1차
종합 1차
 
졸업프로젝트중간발표_박지현
졸업프로젝트중간발표_박지현졸업프로젝트중간발표_박지현
졸업프로젝트중간발표_박지현
 
1031 아로마테라피
1031 아로마테라피1031 아로마테라피
1031 아로마테라피
 
[14.06.28] 이 구역의 프로그래머는 나야(devrookie - 공개용)
[14.06.28]  이 구역의 프로그래머는 나야(devrookie - 공개용)[14.06.28]  이 구역의 프로그래머는 나야(devrookie - 공개용)
[14.06.28] 이 구역의 프로그래머는 나야(devrookie - 공개용)
 
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
 
Interactive Media Design2 Midterm PPT
Interactive Media Design2 Midterm PPTInteractive Media Design2 Midterm PPT
Interactive Media Design2 Midterm PPT
 
인터랙- 데이터 리서치단계
인터랙- 데이터 리서치단계인터랙- 데이터 리서치단계
인터랙- 데이터 리서치단계
 
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
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
Pair programming how_to_20140930-1
 
Unitas Matrix_마케팅 기획안_2013.06.27
Unitas Matrix_마케팅 기획안_2013.06.27Unitas Matrix_마케팅 기획안_2013.06.27
Unitas Matrix_마케팅 기획안_2013.06.27
 

More from Muzzua

Shin light
Shin lightShin light
Shin light
Muzzua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Muzzua
 
mori minzu_youzin
mori minzu_youzinmori minzu_youzin
mori minzu_youzin
Muzzua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Muzzua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Muzzua
 
Brand design logo trend
Brand design logo trendBrand design logo trend
Brand design logo trend
Muzzua
 
City branding final
City branding finalCity branding final
City branding final
Muzzua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Muzzua
 
Mapo minju
Mapo minjuMapo minju
Mapo minju
Muzzua
 

More from Muzzua (9)

Shin light
Shin lightShin light
Shin light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mori minzu_youzin
mori minzu_youzinmori minzu_youzin
mori minzu_youzin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go trend
Brand design logo trendBrand design logo trend
Brand design logo trend
 
City branding final
City branding finalCity branding final
City branding final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Mapo minju
Mapo minjuMapo minju
Mapo minju
 

Interaction 0525

  • 1.
  • 3. 01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주요 Task NANAL 사용자 일정 캘린더 연동 후 일정이 마무리하는 시간대에 맞추어 “지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요?” 라는 메세지를 상단바 혹은 메인 알람. 하루 일과 속 자신의 세부 감정을 살피도록 유도 02 하루가 마무리되는 시간에 (디폴트 값 오후 11시) 삶에 관한 명언과 함께 일정을 마무리하는 메세지 알람. “하루가 거의 다 지나가고 있네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였길 나날이 응원합니다. 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하루였나요?” 하루를 정리하고 스스로에 대해 되묻는 시간을 가진다. 03 일상 중 랜덤으로, 틈틈히 삶에 관련된 질문 알람. “요즈음 즐겨듣는 노래가 있나요?” “당신의 스트레스 해소법은?” “당신은 어떻게 기억되고 싶나요?” 등 생각해보지 못했던 자신의 삶에 대한 소소하면서도 깊은 질문에 대해 답하는 시간을 가진다.
  • 4.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NANAL INFORMATION 연령대 50대 초반 이름 장ㅇㅇ 타임블록/유튜브/카카오톡/바둑/트위터 일정 질문 후 3일 동안, 일정에 맞추어 일정 끝나는 시간에 감정 질문 인생 질문 3일 동안, 랜덤으로 질문 하루 마감하는 시간에 맞추어 명언 및 마무리 메세지 알람주요 사용하는 어플 2020.05.22.11:00 동네모임에서 영화 약속. 영화는 생각했던 것 보다 별로였다. 기대했던만큼 미치지 못해서 아쉬웠다. 다만 모임에서 축하해주며 꽃다발을 선물로 주어, 기분이 좋았다. 그래서 아쉬웠지만, 마무리가 좋았기 때문에 기분은 보통인 것 같다. 매우 별로 / 별로 / 보통 / 좋음 / 매우 좋음 돌아오는 길에 날씨가 좋았어서, 이 봄 날씨를 기록해서 남기고 싶다. 그리고 선물로 받은 꽃다발을 주며, 축하해주시던 말이 너무 기억에 남아서 함께 남기면 좋을 것 같다. 그 감정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방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원호님의 감정은 어떤가요? 혹시 해당 일정에 남기고 싶은 다른 기록이 있나요?
  • 5.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2020.05.23.13:30~20:30 지인 모임 시골에 내려가셨던 전 이사님을 오랜만에 만나는 자리여서 반갑고 좋았다. 해주실 이야기가 많으셨던지 많은 이야기를 나누어서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다. 다만 조금 피곤하다. 매우 별로 / 별로 / 보통 / 좋음 / 매우 좋음 오늘 먹은 횟집이 맛있어서 가족을 데려오고 싶기 때문에 기억하면 좋겠다. 그 감정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방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원호님의 감정은 어떤가요? 혹시 해당 일정에 남기고 싶은 다른 기록이 있나요? 2020.05.24. 16:00 작업 속이 시원하다. 작업을 마감해서 기쁘다. 매우 별로 / 별로 / 보통 / 좋음 / 매우 좋음 없다. 그 감정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방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원호님의 감정은 어떤가요? 혹시 해당 일정에 남기고 싶은 다른 기록이 있나요?
  • 6.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2020.05.24. 19:00~22:00 지인 회의 맥주 사업에 대한 이야기였으나 준비가 덜 되었긴 했다, 그래도 다같이 열정을 가지고 이야기 하는 자리여서 분위기가 좋았다. 매우 별로 / 별로 / 보통 / 좋음 / 매우 좋음 없다. 그 감정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방금 일정이 끝났어요! 지금 원호님의 감정은 어떤가요? 혹시 해당 일정에 남기고 싶은 다른 기록이 있나요? Q.일정을 기록하면서 혹시 좋았던 부분이나 불편했던 지점이 있나요? * 매 순간 순간 기록해야 하는 일이, 타이핑을 해야해서 조금 귀찮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객관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지표가 있었으면 한다. 또한, 지금 기록 남기는 일을 지치거나 정신이 없어 미루었을 때, 하루의 끝에 다시 되물어 준다면 좋을 것 같다. * 한 가지 일정에 복잡한 감정이 드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하나의 잣대로 감정을 선택하려고 하니 곤혹스럽다. 두가지 이상의 감정을 선택할 수 있거나 다양한 감정의 잣대가 있다면 좋겠다. * 감정을 다루어주는 지점에 서있는 어플인지, 그래서 내 감정이 더 좋음을 유지하길 바라는지 아니면 내가 내 감정을 허투루 흘리지 않고, 충실히 여기며 하루하루 ‘나’에게 초점을 맞추어 하루를 관통하는 걸 선명히 느끼게 하기 위함인지 좀 더 명확한 위치에 설 필요가 있는 것 같다.
  • 7.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Q.나날을 사용하면서 하루를 보내고, 마무리를 하니 하루의 느낌이 어떻게 달랐나요? * 하루를 마감하는 느낌이 들어서 좋았지만 어떤 포지션을 취하느냐가 상당히 중요할 것 같다. 끝난다고 바로 그걸 적을 정신이 없으니 뭔가 시그널이 있다면 어떨까? 곧 있으면 마음을 정리하고 되새길 수 있도록 찾아올테니, 당신이 바쁠 수도 있는데 잠시 환기시킬 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정도의 메세지? 메세지같은 게 와서. 화면에 찻잔 하나 놓고 물을 쭉 따르는- 5초정도 멈춘다거나 숨쉬거나 약간 고요히 잠시 멈춰보는 시간의 그런게 가미되면 좋겠다. * 회의할때와서 못하게 되었을 때, 기록하지 못해 초조해하거나 의무적으로 하게 되는 느낌이 없어야 할 것 같다. * 현재 시계가 느리게 가는 경험을 줄 수 있다면 좋겠다. 기록하면서 시간이 느리게 가는 경험을 했으면 좋겠다. 시간이 멈춘 듯한 느낌. 생각이 정리되고 고요해지는 느낌. 그 시간 만큼은 온전히 나를 위해 쓰는 느낌 세상의 시간과 별개로 가는 느낌. 하루 마감하는 메세지와 명언 전달 “원호님, 하루가 거의 다 지나가고 있네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였길 나날이 응원합니다. 오늘은 당신에게 어떤 하루였나요?”
  • 8.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인생 질문 3일 동안, 랜덤으로 질문 “당신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인가요?”” ->정의.평화. 연대. 평등. 전 세계가 행복했으면 좋겠다. 나쁜 사람도 좀 적고. “요즘 즐겨 듣는 노래가 있나요?” ->선우정아의 city sunset. - 가사가 좋아서. 당신이 요즈음에 이 노래를 들었다는 걸 기록하고 싶나요? ->응. 내가 이 노래를 현재 좋아했다는 건, 그 가사에 내 마음이 담겨있다는 거니까.그 순간의 내 마음을 기억할 수 있을 것 같아서.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사진 처럼 내 감정을 기록할 수 있을 것 같아. 이 노래를 들을 때 이 마음을 떠올릴 수 있다면, 의미가 있을 것 같아. 2020년 5월 쯔음에 이 노래를 즐겨 들었다는 거잖아. 매일 매일 들었던, 그 날에 그 노래가 매일 하나씩 쌓였으면 좋겠어. 페이스북에 몇년 전에 찍었던 오늘 사진 뜨는 것 처럼, 지금 내가 이 노래를 어떤 마음으로 들었던지 찾아보지 않아도, 한 눈에 볼 수 있다면 마음을 떠올리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앨범처럼. 이 노래를 어떻게 기억하고 싶나요? ->유튜브 링크 같은 걸로 기억할 것 같아.
  • 9.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NANAL 인생 질문 3일 동안, 랜덤으로 질문 “당신의 스트레스 해소법은?” ->바둑. 바둑도 혼자 두는 것이 아니고 상대방이 있는데, 그 돌을 놓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마음이 느껴질 때가 많아. 돌의 움직임이 이 사람에 대해서 드러낼 때가 있어. 그 말 없는 대화가 좋아. “당신은 어떻게 기억되고 싶나요?” ->세상이 조금 나아지는데에 좀 도움이 되었던 사람. 나름 행복했던 사람. 이런 질문들이 일상 속에서 던져졌을 때 어떻게 느껴지나요? ->이렇게 질문을 던져서, 답을 하는게 가끔은 좋을 것 같아. 다만 영화 her 처럼은 안 되었으면 좋겠어. 의존하지 않되, 내 필요에 의한 기록이라면 좋겠어. 적당한 거리감을 지켜서. 그리고 처음에는 좀 뜬금 없게 느껴졌지만, 돌이켜보니 곰곰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 하루의 잔잔한, 쉼표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 이런 질문들이 3일에 한번, 4일에 한 번 등 일상 속에 랜덤으로 던져진다면 어떨 것 같나요? ->이 질문 자체가, 나의 내부에 대한 외부적인 자극이라면 우리가 코드가 맞을 때, 그 때 더 빛이 될 질문들 일 것 같다. 날씨,계절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발맞추어 질문을 던져야 겠다. 눈치없는 어플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어. 그 시간대에 그 사람이 올리는 감정이나, 문구,단어등을 데이터베이스 해서. 그 사람에 대한 맞춤 무언가를 제공 할 수 있다면 좋겠다.
  • 10. “매 순간 순간 일정 후 감정을 기록할 때,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나’를 기록한다는 것에 대해 습관이 생기기까지 지속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 지속가능성 낮음 “한가지 일정에 하나로 딱 구분 지을 수 없는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들. 좋은 감정 혹은 나쁜 감정으로 정의내릴 수 없는 다양한 감정의 특징을 체킹할 수 있을 필요성이 있다.” ”처음에 시작할 때 너무 내가 설정하고 골라야 할 것이 많아 피곤하고, 진입 장벽이 높다.” “기록하고 싶은데, 아직 일정을 마무리하고 ‘나’에 집중하기 까지에 간극이 있어, 패스를 자주 누르게 될 것 같다.”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 NANAL
  • 11.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매 순간 순간 일정 후 감정을 기록할 때,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나’를 기록한다는 것에 대해 습관이 생기기까지 지속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나’를 알아간다 라는 개념을 대두. - ‘나’에 대한 정보들이 쌓이고/채워지고/차오른다의 시각적 개념 필요성. 단계를 넘어서거나, 성장하는 느낌 부여 어플의 예기치 못한 메세지가 삶 속에서 위로를 주거나 감성을 자극하는 방향. 당근 효과를 통해 친밀감 높이기. ‘공유’기능 부여, 내가 설정한 타인과 공유한다면 흥미도 증가 오늘 하루 중 ‘나’만을 위해 쓴 시간, 나에게 들여다 본 시간 등 그게 모인다면 ? 내가 나를 위해 쓴 하루들 카운팅된다면 어떨까?
  • 12.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한가지 일정에 하나로 딱 구분 지을 수 없는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들. 좋은 감정 혹은 나쁜 감정으로 정의내릴 수 없는 다양한 감정의 특징을 체킹할 수 있을 필요성이 있다.” 감정 스펙트럼의 확장, 감정 디폴트 값 추가. ‘공유’기능 부여, 다른 이의 적당한 때 마침 적합한 감정을 내 감정 아카이빙에 리그램 할 수 있다면? 해시태그 기능. 하나의 일정 안, 여러 갈래의 감정을 표현해야 할까? 내가 이 감정을 느끼는 ‘이유’에 초점을 맞추어 선택하게 한다면 감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지 않을까?
  • 13.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처음에 시작할 때 너무 내가 설정하고 골라야 할 것이 많아 피곤하고, 진입 장벽이 높다.” 초기 디폴트 설정 값 강화. 시간 대 기본 설정 (9시~12시) / 구글 캘린더 연동 / 추후 변동 가능 감정색 기본 고정 / 추후 변동 가능
  • 14.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기록하고 싶은데, 아직 일정을 마무리하고 ‘나’에 집중하기 까지에 간극이 있어, 패스를 자주 누르게 될 것 같다.” . ->하루 동안 패스한 감정에 대해서 하루 마무리 시간에 다시 되물어야 할까? 만약 계속 패스하게 되어 어플을 사용하지 않은 기간이 늘어난다면, 부담스럽지 않게 전에 사용자가 기록했던 데이터에 맞추어 메세지를 보낸다면, 유대감이 생겨나지 않을까? ex)동물의 숲
  • 15. INTERACTIVE MIDEA DESIGN Ⅰ 사용성 TEST KEY FEEDBACK-IDEA NANAL * 동기부여 - 지속가능성 - 습관화의 중요성. * ‘감정’ - 사람의 감정에 교감하고 유대감 형성 필요성. . “더 나은 순간들로, 나의 하루 하루를 조금씩 바꾸어 나가는 것. 더 나은 나날들로 나의 삶을 채워 나가는 것.” 이 지점이 사용자가 이 어플을 계속 사용하고 싶게 만드는 마음을 만드는 데 기초가 될 것. 단순히 삶의 커다란 목표,성취,가치관이 아닌 일상과의 접목. 결국은 하루가 모여 삶이 되므로, 일상의 소중함에 초점. 사용자가 하루를 보내다 미처 놓쳤을 지 모르는 지점이나 마음을 짚어주고 건드려주어, 스스로에게 되묻고 집중하는 시간을 늘릴수 있도록. 날씨/계절 등 일상적인 것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