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반려동물 프로젝트
Companion Animal Project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About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
•애완동물을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라는 뜻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로 개칭
•198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를 주제로 하는 국제 심포지엄에서 처음으로 제안
애완동물[愛玩動物, pet animals]
사랑스러워 구경하고 싶은 동물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출처-국립축산과학원
About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가족 권리 교감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
애완동물[愛玩動物, pet animals]
사랑스러워 구경하고 싶은 동물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
동물들의 행복할
권리에 대한 관심 증가
소유물이 아닌
정서적 교감의 대상
인간에게
즐거움을 주는 동물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동물 등록 현황 및 문제점
동물 등록 현황 및 관련 인식 부재
동물등록제의 의무시행이후 지속적인
등록동물 수는 늘어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반려동물 수에 비해 적은 상황
등록제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등록안한 보호자는 절반.
이유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유기동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동물등록제의 취지가 보호자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고 있는 실정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유기동물 관련 문제점
유실, 유기동물의 수가 해마다 증가
2018년 기준 유실 유기동물의 수 12만 마리.
유기동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 부족
민간위탁 위주로 구성된 동물보호센터
반려인의 장기간 부재시 반려동물 위탁 시설의 부족
민간위탁시설은 225소 인 것에 비해, 지자체 직영의 수는 31개소
반려동물을 키우다가 더이상 키우지 못하는 이유로
‘장기간 부재’가 큰 비율(25%)을 차지
반려동물을 키우게 된 이유로 ‘예쁘고 귀여워서/
동물을 좋아해서’가 큰 비율(53.3%)을 차지했으나
유기견중 1살 미만이 가장 많은 상황(29.9%)
유기동물 입양 찬성에 대한 의견은 늘고 있으나 실제 입양으로 이어지는 경우의 적음
‘더러움’ ‘질병’등의 이유로 유기동물 입양에 대해 부정적이고 왜곡된 시선 존재.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반려동물 인식 조사 진행
(총 조사 인구 : 115명)
Survey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24.1
17.1
3.4
13.8
10.2
6.8
20.7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은 이유에
단순히 외로워서, 주변에서 많이 키워서, 유투브
혹은 방송을 봐서 등의 사유들이 있었다.
: 비반려인의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개선 필요
SNS에서 활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작 방향
동물을 좋아하고 또 하나의 친구, 가족을 갖고 싶어 반려동물을 입양했으나,
환경 문제와 관리가 힘들다는 이유로 파양하는 모습을 보임.
- 반려동물 파양 문제의 원인
반려동물을 1년~5년 미만 키우다가 파양한 사람이 69%.
끝까지 책임지지 않고, 여러 이유로 파양하는 반려인들이 다수인 실정
- 반려동물 파양 문제 실태
- 알레르기 문제
- 반려인 중 35-40%는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
- 반려동물의 종에 따라 알레르기 유발 빈도가 다름 -> 키우기 전 해당 정보 필요
- 유전병 문제
- 반려동물 종마다 앓는 유전병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고려하지 않던 유전병 발발로 반려동물을 파양하는 경우도 다수
- 예방접종 문제
- 반려동물 입양 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예방접종
- 필수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 경우가 40%
- 1차 후에 추가적으로 받아야 하는 경우와 생후 주기별로 받아야
하는 예방접종이 달라 복잡함
- 병원비 부담 문제
- 대다수의 반려인들이 반려동물 병원비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음
- 개 관련 사고부상 증가
- 입마개를 하지 않은 반려견이 일반인을 물어 사고 발생
- 조기 교육이 필요하나 반려인의 ‘우리 아이는 물지 않는다'라는 막연한 생각이 문제
- 배변처리, 입마개/목줄 사용 등 펫티켓 요구 증가
- 반려동물 양육 가구와 비양육 가구의 펫티켓에 대한 상반된 의견
-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나 펫티켓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음
- 펫티켓 관련 교육의 필요성
- 여성과 남성 모두 반려동물의 위협적 행동과 배설물 미처리가 불편하다고 응답
- 반려동물의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45%가 펫티켓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
펫티켓 교육
45.4%
2017년과 2018년 실시한 설문조사를 비교한 결과,
반려견을 브리더로부터 분양받았거나 동물보호시설로부터 입양한 경우는 소폭 감소
했고, 펫샵에서 분양했다는 응답자 비율은 오히려 증가
- 반려동물 입양처 실태
동물보호센터에서 반려동물 입양 관련 법령
- 동물보호법」제20조 및 제21조제1항
공공장소에서 구조된 후 일정기간이 지나도 소유자를 알 수 없는 반려동물은
그 소유권이 관할 지방자치단체로 이전되므로 일반인이 입양할 수 있습니다.
- 동물보호법」제21조제3항
동물보호센터에서 반려동물을 입양하려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서 정하는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
추어야 합니다.
아파트에서 반려동물 기르기 관련 법령
찾기쉬운 생활법령- 반려동물과 생활하기
반려동물의 사육・관리 의무 관련 법령
- 동물보호법 제 8조 제 2항 제 3호의 2
반려목적으로 기르는 개, 고양이, 토끼, 페럿, 기니피그 및 햄스터는 최소한의 사육공간 제공 등 다음
과 같은 사육・관리 의무를 준수해야 합니다
- 동물보호법 제 46조 제 1항 제 1호
반려목적으로 기르는 개, 고양이, 토끼, 페럿, 기니피그 및 햄스터는 최소한의 사육공간 제공 등
사육・관리 의무를 준수하지 않아 동물을 학대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동물등록 관련 법령
- 동물보호법 제 47조 제 2항제 5호
반려동물 등록을 하지 않은 소유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습니다.
반려동물의 관리 책임(상해) 관련 법령
- 손해배상책임 - 민법 제750조 및 제759조제1항 전단
반려동물이 사람의 다리를 물어 상처를 내는 등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끼쳤다면 치료비 등 그 손해를 배상해 주
어야 합니다.
- 형사책임 - 형법 제 266조제1항, 형법 제267조
반려견이 사람을 물어 다치게 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될 경우
① 과실로 인하여 사람의 신체를 상해에 이르게 한 사람은 50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할 수 있
고 ② 과실로 인하여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한 사람은 2년 이하의 금고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 형법 제366조
또한, 다른 사람의 반려견을 다치게 하거나 죽인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
다
동물병원 이용시 관련 법률
- 진료거부 금지- 수의사법 제 11조
수의사는 반려동물의 진료를 요구 받았을 때에는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해서는 안 됩니다.
이를 위반하면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수의사 면허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고,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습니다.
반려동물과 공원 관련 법률
- 반려동물 입장제한 공원 - 자연공원법 제29조제1항, 자연공원법 시행령 제 26조제4호
공원관리청 홈페이지를 통해서 반려동물의 출입이 허용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자연공원을 관리하는 공원관리청이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반려동물의 입장을 제
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중간발표3
중간발표3중간발표3
중간발표3
윤소 최
 
(주)오픈아이티 서원대학교 발표자료_20170816
(주)오픈아이티 서원대학교 발표자료_20170816(주)오픈아이티 서원대학교 발표자료_20170816
(주)오픈아이티 서원대학교 발표자료_20170816
duriweb
 
스타트업랩 I Pet Life 자료
스타트업랩 I Pet Life 자료스타트업랩 I Pet Life 자료
스타트업랩 I Pet Life 자료
J_gyuwon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은지 조
 
Interactive Media Design PAS
Interactive Media Design PASInteractive Media Design PAS
Interactive Media Design PAS
ssusercad1f9
 
펫로스 증후군
펫로스 증후군 펫로스 증후군
펫로스 증후군
은지 조
 

Similar to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6)

중간발표3
중간발표3중간발표3
중간발표3
 
(주)오픈아이티 서원대학교 발표자료_20170816
(주)오픈아이티 서원대학교 발표자료_20170816(주)오픈아이티 서원대학교 발표자료_20170816
(주)오픈아이티 서원대학교 발표자료_20170816
 
스타트업랩 I Pet Life 자료
스타트업랩 I Pet Life 자료스타트업랩 I Pet Life 자료
스타트업랩 I Pet Life 자료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반려동물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Interactive Media Design PAS
Interactive Media Design PASInteractive Media Design PAS
Interactive Media Design PAS
 
펫로스 증후군
펫로스 증후군 펫로스 증후군
펫로스 증후군
 

More from Muzzua

Shin light
Shin lightShin light
Shin light
Muzzua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Muzzua
 
Interaction 0525
Interaction 0525Interaction 0525
Interaction 0525
Muzzua
 
20200512 interaction design
20200512 interaction design20200512 interaction design
20200512 interaction design
Muzzua
 
mori minzu_youzin
mori minzu_youzinmori minzu_youzin
mori minzu_youzin
Muzzua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Muzzua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Muzzua
 
Brand design logo trend
Brand design logo trendBrand design logo trend
Brand design logo trend
Muzzua
 
City branding final
City branding finalCity branding final
City branding final
Muzzua
 
Mapo minju
Mapo minjuMapo minju
Mapo minju
Muzzua
 

More from Muzzua (10)

Shin light
Shin lightShin light
Shin light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Digital carbon footprint project_ saerim chaewon_minzu
 
Interaction 0525
Interaction 0525Interaction 0525
Interaction 0525
 
20200512 interaction design
20200512 interaction design20200512 interaction design
20200512 interaction design
 
mori minzu_youzin
mori minzu_youzinmori minzu_youzin
mori minzu_youzin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Interactive media design minju youzin 200420_low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cal
 
Brand design logo trend
Brand design logo trendBrand design logo trend
Brand design logo trend
 
City branding final
City branding finalCity branding final
City branding final
 
Mapo minju
Mapo minjuMapo minju
Mapo minju
 

Companion animal project 191001

  • 1. 반려동물 프로젝트 Companion Animal Project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 2. About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 •애완동물을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라는 뜻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로 개칭 •198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를 주제로 하는 국제 심포지엄에서 처음으로 제안 애완동물[愛玩動物, pet animals] 사랑스러워 구경하고 싶은 동물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출처-국립축산과학원
  • 3. About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가족 권리 교감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 애완동물[愛玩動物, pet animals] 사랑스러워 구경하고 싶은 동물 인간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 동물들의 행복할 권리에 대한 관심 증가 소유물이 아닌 정서적 교감의 대상 인간에게 즐거움을 주는 동물
  • 4.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동물 등록 현황 및 문제점 동물 등록 현황 및 관련 인식 부재 동물등록제의 의무시행이후 지속적인 등록동물 수는 늘어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반려동물 수에 비해 적은 상황 등록제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등록안한 보호자는 절반. 이유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유기동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동물등록제의 취지가 보호자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고 있는 실정
  • 7. Problem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유기동물 관련 문제점 유실, 유기동물의 수가 해마다 증가 2018년 기준 유실 유기동물의 수 12만 마리. 유기동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 부족 민간위탁 위주로 구성된 동물보호센터 반려인의 장기간 부재시 반려동물 위탁 시설의 부족 민간위탁시설은 225소 인 것에 비해, 지자체 직영의 수는 31개소 반려동물을 키우다가 더이상 키우지 못하는 이유로 ‘장기간 부재’가 큰 비율(25%)을 차지 반려동물을 키우게 된 이유로 ‘예쁘고 귀여워서/ 동물을 좋아해서’가 큰 비율(53.3%)을 차지했으나 유기견중 1살 미만이 가장 많은 상황(29.9%) 유기동물 입양 찬성에 대한 의견은 늘고 있으나 실제 입양으로 이어지는 경우의 적음 ‘더러움’ ‘질병’등의 이유로 유기동물 입양에 대해 부정적이고 왜곡된 시선 존재.
  • 12. 반려동물 인식 조사 진행 (총 조사 인구 : 115명) Survey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류한솔 장민주 차유나 한유진
  • 14.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은 이유에 단순히 외로워서, 주변에서 많이 키워서, 유투브 혹은 방송을 봐서 등의 사유들이 있었다. : 비반려인의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개선 필요
  • 15. SNS에서 활용 가능한 컨텐츠로 제작 방향
  • 16. 동물을 좋아하고 또 하나의 친구, 가족을 갖고 싶어 반려동물을 입양했으나, 환경 문제와 관리가 힘들다는 이유로 파양하는 모습을 보임. - 반려동물 파양 문제의 원인
  • 17. 반려동물을 1년~5년 미만 키우다가 파양한 사람이 69%. 끝까지 책임지지 않고, 여러 이유로 파양하는 반려인들이 다수인 실정 - 반려동물 파양 문제 실태
  • 18. - 알레르기 문제 - 반려인 중 35-40%는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 - 반려동물의 종에 따라 알레르기 유발 빈도가 다름 -> 키우기 전 해당 정보 필요
  • 19. - 유전병 문제 - 반려동물 종마다 앓는 유전병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고려하지 않던 유전병 발발로 반려동물을 파양하는 경우도 다수
  • 20. - 예방접종 문제 - 반려동물 입양 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예방접종 - 필수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 경우가 40% - 1차 후에 추가적으로 받아야 하는 경우와 생후 주기별로 받아야 하는 예방접종이 달라 복잡함
  • 21. - 병원비 부담 문제 - 대다수의 반려인들이 반려동물 병원비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음
  • 22. - 개 관련 사고부상 증가 - 입마개를 하지 않은 반려견이 일반인을 물어 사고 발생 - 조기 교육이 필요하나 반려인의 ‘우리 아이는 물지 않는다'라는 막연한 생각이 문제
  • 23. - 배변처리, 입마개/목줄 사용 등 펫티켓 요구 증가 - 반려동물 양육 가구와 비양육 가구의 펫티켓에 대한 상반된 의견 -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나 펫티켓은 잘 지켜지지 않고 있음
  • 24. - 펫티켓 관련 교육의 필요성 - 여성과 남성 모두 반려동물의 위협적 행동과 배설물 미처리가 불편하다고 응답 - 반려동물의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45%가 펫티켓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 펫티켓 교육 45.4%
  • 25. 2017년과 2018년 실시한 설문조사를 비교한 결과, 반려견을 브리더로부터 분양받았거나 동물보호시설로부터 입양한 경우는 소폭 감소 했고, 펫샵에서 분양했다는 응답자 비율은 오히려 증가 - 반려동물 입양처 실태
  • 26.
  • 27. 동물보호센터에서 반려동물 입양 관련 법령 - 동물보호법」제20조 및 제21조제1항 공공장소에서 구조된 후 일정기간이 지나도 소유자를 알 수 없는 반려동물은 그 소유권이 관할 지방자치단체로 이전되므로 일반인이 입양할 수 있습니다. - 동물보호법」제21조제3항 동물보호센터에서 반려동물을 입양하려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서 정하는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 추어야 합니다. 아파트에서 반려동물 기르기 관련 법령 찾기쉬운 생활법령- 반려동물과 생활하기
  • 28. 반려동물의 사육・관리 의무 관련 법령 - 동물보호법 제 8조 제 2항 제 3호의 2 반려목적으로 기르는 개, 고양이, 토끼, 페럿, 기니피그 및 햄스터는 최소한의 사육공간 제공 등 다음 과 같은 사육・관리 의무를 준수해야 합니다 - 동물보호법 제 46조 제 1항 제 1호 반려목적으로 기르는 개, 고양이, 토끼, 페럿, 기니피그 및 햄스터는 최소한의 사육공간 제공 등 사육・관리 의무를 준수하지 않아 동물을 학대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동물등록 관련 법령 - 동물보호법 제 47조 제 2항제 5호 반려동물 등록을 하지 않은 소유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습니다.
  • 29. 반려동물의 관리 책임(상해) 관련 법령 - 손해배상책임 - 민법 제750조 및 제759조제1항 전단 반려동물이 사람의 다리를 물어 상처를 내는 등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끼쳤다면 치료비 등 그 손해를 배상해 주 어야 합니다. - 형사책임 - 형법 제 266조제1항, 형법 제267조 반려견이 사람을 물어 다치게 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될 경우 ① 과실로 인하여 사람의 신체를 상해에 이르게 한 사람은 50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할 수 있 고 ② 과실로 인하여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한 사람은 2년 이하의 금고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 형법 제366조 또한, 다른 사람의 반려견을 다치게 하거나 죽인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 다
  • 30. 동물병원 이용시 관련 법률 - 진료거부 금지- 수의사법 제 11조 수의사는 반려동물의 진료를 요구 받았을 때에는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해서는 안 됩니다. 이를 위반하면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수의사 면허의 효력을 정지시킬 수 있고,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습니다. 반려동물과 공원 관련 법률 - 반려동물 입장제한 공원 - 자연공원법 제29조제1항, 자연공원법 시행령 제 26조제4호 공원관리청 홈페이지를 통해서 반려동물의 출입이 허용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자연공원을 관리하는 공원관리청이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반려동물의 입장을 제 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