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ICT 활용 교육!
수업 혁신의 날개를 달다.
전주교육대학교 정영식
(nurunso@Hotmail.com)
출처 : mojix.com
발표 순서
I. 이러닝 동향
II. 인공지능 교육
III. 수업 혁신의 길
2
I. 이러닝 동향
Gamification
4
I. 이러닝 동향
게임화의 원칙게임화 수업 전략
게임 요소재미 요소
Mobile Learning
5
I. 이러닝 동향
 편리성 : 손 끝에서 모든
학습이 이루어진다.
 짤강 : 간결한 코스는 참여와
동기를 유발한다.
 집중 : 전반적인 이해와
전달이 가능하다.
 마이크로 러닝 : 학습 모듈
단위에 집중한다.
 배포 : 전세계로 즉시 학습을
제공한다.
 평가 : 미디어 활용을 통한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다.
https://www.gyrus.com
모바일 -> 효과적인 모바일
Video-Based Learning
6
I. 이러닝 동향
 편리성 : 언제 어디서나 녹화된 비디오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 참여성 : 시각과 음향이 조화된 비디오를 통해 배우는 것이 더 재미있다.
 유연성 : 시작, 중지, 되감기를 활용하여 유연하게 학습할 수 있다.
 효과성 : 추가 내용이나 놓친 내용을 완벽하게 학습할 수 있다.
 경제성 : 학습 뿐만 아니라 코칭하는 데에도 비용이 적게 든다.
 접근성 : 어떤 장치에서든, 인터넷 연결 없이도 활용할 수 있다.
2019년
https://www.youtube.com/watch?v=f2VJ6l7a254
Social Media Learning
7
I. 이러닝 동향
http://www.alpc.org
限定
偏見 Social Media의 장점
Blended Learning
8
I. 이러닝 동향
https://www.qts.edu.vn
개별학습
개인학습
협력학습
교실수업
Micro Learning
9
I. 이러닝 동향
간결함 학습자중심 접근성 피드백 스토리텔링 실사례 해설자막
 학습 내용을 3~10분 정도로 짧게 제시하여 학습 목표에 집중하는 학습법
Augmented Reality
10
I. 이러닝 동향
Learning Analytics
11
I. 이러닝 동향
Mohammad Khalil
학습 분석 시 고려 사항
12
I. 이러닝 동향
 개방성 : 기존 데이터 활용 가능
 확장성 : 분석 범위의 확장 가능
 분산성 : 분산된 환경에서 실행 가능
 상호운용성 : 기존 시스템과 통합 운영 가능
 재사용성 : 재조합하여 복잡한 작업 가능
 즉시성 : 일정 시간 내에 실시간 분석 가능
 용이성 : 시각화로 누구나 쉽게 이해 가능
 보안성 : 암호화 및 보안으로 작업 추적 가능
II. 인공 지능 교육
인공지능 교육이란?
14
II. 인공지능 교육
•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 체험, 활용, 지원, 보조
인공지능
이해 교육
인공지능
활용 교육
인공지능
개발 교육
•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
• 개념, 원리, 영향, 윤리
• 알고리즘 설계 교육
• 인공지능 제작 교육
인공 지능
융합 교육
About
UsingMaking
인공지능 이해 교육
15
II-1. 이해 교육
• 인식 : 센서를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
• 표현과 추론 : 세상을 표현하고 추론한다.
• 학습 : 데이터로 학습한다.
• 상호작용 : 인간과 자연스런 상호작용한다.
• 사회적 영향 : 긍정/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출처 : AI4K12.org
인공지능 이해교육의 내용
16
II-1. 이해 교육
출처 : Eze Sunday
출처 : 매일경제(2016)
출처 : AI4K12.org
출처 : AI4K12.org
출처 : AI4K12.org
출처 : Waymo 유튜브
인식
인간과 상호작용
사회적 영향
표현과 추론
학습
인공지능은 정확한가?
17
II-1. 이해 교육
가천대 길병원 암센터(2016)
출처 : 동아사이언스(2017)
• 방대한 입력은?
• 인종적 차이는?
• 제도의 차이는?
중앙일보(2018)
차별성
비윤리성
불통제성
불튜명성
인공지능은 공정한가?
18
II-1. 이해 교육
한국일보(2015)
https://www.techrepublic.com
공공성
책무성
통제성
투명성
https://medium.com
동아사이언스
인공지능의 영향과 윤리
19
II-1. 이해 교육
출처 : 파이낸셜뉴스 출처 : 카카오
출처 : 매일경제
출처 : 김명주(2017)
인공지능 활용 교육
20
II-2. 활용 교육
• (협력) 교사와 AI의 협력 : Ai는 효율화+개인화>간소화, 교사는 AI의 보충(이해와 적응)
• (차별) 학생을 위한 개별화 학습 : 학습, 평가, 피드백의 정교화
• (평등) 모든 학생을 위한 접근 : 장애 학생이나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 기회 제공
• (자동) 학습 관리의 자동화 : 출제, 채점의 간소화 -> 학생을 위한 시간 확대
• (확대) 교실 밖 학습 확대 : 가정에서의 과제나 시험 준비, 개인 지도 가능
출처 : Bernard Marr(2019. 7. 25), https://www.forbes.com
출처 Microsoft사 PPT 읽어주기출처 : https://www.forbes.com/
인공지능 활용교육 사례
21
II-2. 활용 교육
인공지능 보조 교사
출처 : https://nypost.com
인공지능 튜터링(Carnegie Learning)
학습 관리 및 분석(EBS 단추시스템) 조교 시스템(애리조나주립대, eAdvisor)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 학습
22
II-2. 활용 교육
적응 분석관계 분석
평가 분석
예측 분석
정보 분석
인공지능 기반 학습분석출처 : 서진화, 정영식(2016)
지능형 e학습터
23
II-2. 활용 교육
출처 : 정영식 외(2019)
인공지능 제작 교육
24
II-3. 제작 교육
중국의 人工智能实验教材(인공지능실험교재 33권). 허난인민출판사
• 중국과학원 자동화연구소 발행(국책기관)
• 2019년 7월 발행(유치원 6권, 초등학교 12권,
중학교 6권, 고등학교 6권, 전문교육 3권)
• 구글 등 인공지능 관련 기업 전문가 참여
• 클라우드 환경(趣AI)에서 실습과 검증
• Scratch, Python, JavaScript, Node.js 활용
• 초등학교 : 인공지능 찾기, 체감, 활용, 제작, 확대
• 중학교 : 인공지능 원리와 실제 조작
• 고등학교 :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구현
• 전문학교 : 인공지능 응용 기술
차세대 정보과교육 표준 모델
25
II-3. 제작 교육
대수준 중수준 초등34 초등56 중(1단계) 중(2단계) 중(3단계) 고(1단계) 고(2단계)
인공지능
과
융합
데이터과학 빅데이터의 이해
빅데이터의 적용
(사회적영향,사례)
데이터 수집 및 가공
I(제공데이터)
데이터 수집 및 가
공II(웹데이터)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I(예제중심)
빅데이터 응용
(타학문응용)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활용
I
(인공지능프로그
램,음성인식체험)
인공지능의 개념 이
해, 인공지능의활용
II(머신러닝체험)
인공지능 기술의 이해 I
(지도, 비지도, 강화), 인
공지능과지식표현의이해
(IFTHEN,TREE등)
인공지능 기술의 이해
II ( 학 습 , 추 론 , 인
지)(제공데이터)
인공지능과 지식
(도메인지식연결)
인공지능과 기계
학습(선형대수,확
률포함)
기계학습 알고리즘
의 이해(간단한인
공신경망실습)
로보틱스
생활속 로봇의
종류 이해
로봇의 기본 구조 이
해
로봇의 체험과 기본제어
(완제품형)
로봇 구성 장치 이해
및 기본 제어(제작형)
로봇 제작 및 제어
프로그래밍I(로봇)
로봇과 융합I(타
학문응용)
로봇과 융합II(타학
문응용심화)
출처 : 한국정보과학교육연합회(2019)
• 초1:가정/학교생활에서접하는인공지능을체험하고,인공지능이무엇인지이해한다.
• 초2:간단한인공지능프로그램을체험하고,인공지능의개념을이해한다.
• 초3 :인공지능의개념을이해하고,기계학습체험을통해인공지능의활용가능성을탐색한다.
• 중1 :인공지능의기술을이해하고지식표현방법을이해한다.
• 중2 :인공지능기술을적용하여간단한실험을수행한다.
• 중3 :인공지능기술을이용하여간단한예제를설계하고구현한다.
• 고1 :인공지능과기계학습의개념을이해하고간단한기계학습알고리즘을작성한다.
• 고2 :기계학습알고리즘을작성하고문제해결에적용한다. 출처 : 김갑수(2019). 차세대 정보과교육 표준모델
인공지능 모델 만들기
26
II-3. 제작 교육
머신 러닝(https://machinelearningforkids.co.uk/) : IBM Watson 활용
III. 수업 혁신의 길
핵심 역량을 길러주자.
28
III. 수업 혁신의 길
Reading wRiting aRithmetic pRogramming
4R
4C
의사소통
협력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비판적인 지식 습득이 필요하다.
29
III. 수업 혁신의 길
非難 批判vs
현상이나 사물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밝히거나
잘못된 점을 지적함.
남의 잘못이나 결점을
책잡아서 나쁘게 말함.
Wonderful Mind eSchool News
http://www.edutopia.org/
창의성을 길러주자.
30
III. 수업 혁신의 길
1차(1954) : 창조적 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
2차(1963) : 창의력 함양
4차(1981) : 문제를 슬기롭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창조적인 사람
5차(1987) :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창조적인 사람
6차(1992) :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7차(1997) :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2007 :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2009 :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2015 :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우리 교육의 문제점 III. 수업 혁신의 길
31
Nairaland Forum
삶에 대한 만족도(64/71개국)
OECD(2018)
https://www.youtube.com/watch?v=gigEwXTM-Bg
그 이유는? 경직된 교육과정 III. 수업 혁신의 길
32
영국의 2013 개정 Computing 교육과정(5쪽)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30쪽)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창의성을 어떻게 키우는가?
33
III. 수업 혁신의 길
mangthuvien.net
지식 + 몰입 = 전문성
발문 + 격려
정책기자마당
이정문(1965)
좋아하고, 하고 싶고, 잘하는 것
예측할 수 없는 붓터치! 원 안에서 벗어나는 것
다양한 매체 교육이 필요하다.
34
III. 수업 혁신의 길
사진 : 사이언스온
사진 : 문경시민뉴스
사진 : 서울신문
사진 :ihumancom.net
디지털교과서로 자유발행제를 보완하자.
35
III. 수업 혁신의 길
교사 역량 서책 한계 극복
제도 정비
재구성
통섭으로 연결
다양한 활동
 다양한 자료
 다양한 모형
 활동 중심
 스마트기기 및 앱 활용
 콘텐츠 활용 능력
 교수학습 전략 수립
 수업 실행 능력
 독립적 디지털교과서 개발
 저작권 제한 근거 마련
 교과용도서로서의 근거
 보상금 지급 제도 정비
 교사가 원하는 수업
 직접 제작한 자료 추가
 외부 링크 추가
 교사용 디지털교과서 필요
 서책교과서 기반 탈피
 외부 링크 허용
 반응형 레이아웃
 즉시 수정 가능한 체제
 학년 간 및 교과 간 통합
 교과와 융합된 상호작용
 인간관계를 가상세계로 확대
e학습터로 거꾸로 교실을 운영하자.
36
III. 수업 혁신의 길
36
지식중심 수업은 가정에서 : 클라우드, 학습 플랫폼 필요
ileighanne.wordpress.com(2012)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학교에서
교사와 함께
가정에서
개별 과제로
Bloom의 교육목표(인지)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교사 중심의
수업
학생 중심의
활동
Bloom의 교육목표(정서)
활동중심 수업은 학교에서 : 보조교사 필요, 학부모의 역할 재고
기초에 충실한 교육을 실현하자.
37
III. 수업 혁신의 길
다음 동영상
추천 영상
추천 영상
의견 작성
다음 학습
영상
반복 학습
구간 안내
해당 학습의
형성평가
문제
e학습터
영상 콘텐츠
다른 영상
검색
view : 7,000
view : 4,500
(★★☆)
정답 확인
1 2 3
학습자료
오답노트
Q&A
학
습
자
료
오
답
노
트
1
2
3
4
5
6
7
8
스마트 기기로 소통하고 협력하자.
38
III. 수업 혁신의 길
좌운월운 노천
출처 : 연합뉴스, 교육부
온라인 교육으로 기회를 제공하자.
39
III. 수업 혁신의 길
기본이수과목
확대 및 복수
전공
소수선택과목의
온라인수업과
온라인공동교육과정
확대
개설 과목을
중심으로 선택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학점제의 문제점
선택중심
교육과정
온라인교육
확대
교사자격
고시개정
제한된
교사와 시설
교사 수급의
불균형
양성체제의
개선
개별형 모둠형 단체형
정보 인프라를 확충하자.
40
III. 수업 혁신의 길
출처 : KERIS(2017)
• 5년이상 노후 PC : 35.6%
41위/42개국 62.7% -> 41.9%
• 무선 가능한 교실 : 18.9%
교육용 데이터를 개방하자.
41
III. 수업 혁신의 길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 데이터 활용 제도 정비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제공(표준)
정제된 데이터
교육분야 : 1,395건
: 4.7%
표준데이터 : 9건
: 0.03%
전체 데이터 : 29,462건
https://yourstory.com/
교사가 참여하는 정책을 수립하자.
42
III. 수업 혁신의 길
인터넷
기반교육
수요자
맞춤교육
• 기술
• 학생
• 사람
• 교사
(2004) (2005) (2011)
교육정보화 2.0
스마트교육
(2011)
ICT교육
(2000)
But, 잘 만들어진 콘텐츠와 시스템이 있어도 교사의 역할 중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 그런데 왜?
혁신의 도구에서 통합의 도구로 활용하자.
43
어디서
(Anywhere)
언제
(Anytime)
누구나
(Anyone)
right Now
right Here
only Me
적시성
적절성
효과성
충분성
공감
효율성(혁신) 효과성(통합)
III. 수업 혁신의 길
• 천재지변 피해자
• 전염병 감염자
• 학교 부적응자
• 특수교육대상자
• 성인학습자
• 소수선택과목 이수자
• 해외 체류자
• 기타
잘 쓰게 하는 교육하자.
44
III. 수업 혁신의 길
교육 정보화
정책사랑방 Ict활용교육.수업혁신의 날개를 달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정책사랑방 Ict활용교육.수업혁신의 날개를 달다

모두의 AI 교육 : 산 ⦁ 학 ⦁ 관 협력으로 모색해 보는 부산 AI 교육
모두의 AI 교육 : 산 ⦁ 학 ⦁ 관 협력으로 모색해 보는 부산 AI 교육모두의 AI 교육 : 산 ⦁ 학 ⦁ 관 협력으로 모색해 보는 부산 AI 교육
모두의 AI 교육 : 산 ⦁ 학 ⦁ 관 협력으로 모색해 보는 부산 AI 교육
Jong-Hyun Kim
 
학교 메이커 교육 세미나 2017 - 메이커 교육의 국내외 트렌드 by 이지선 교수
학교 메이커 교육 세미나 2017 - 메이커 교육의 국내외 트렌드 by 이지선 교수학교 메이커 교육 세미나 2017 - 메이커 교육의 국내외 트렌드 by 이지선 교수
학교 메이커 교육 세미나 2017 - 메이커 교육의 국내외 트렌드 by 이지선 교수
brainerymakers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나영 한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융합 SW 교육 사례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융합  SW 교육 사례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융합  SW 교육 사례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융합 SW 교육 사례
Jong-Hyun Kim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Ji Lee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Maker Eduation Korea 2016 Forum book
Maker Eduation Korea 2016 Forum bookMaker Eduation Korea 2016 Forum book
Maker Eduation Korea 2016 Forum book
Henry Sung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현재 정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주) Story21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Kyubok Cho
 
Bigcamp in sxs_wedu
Bigcamp in sxs_weduBigcamp in sxs_wedu
Bigcamp in sxs_weduJudyoon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견지 심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Jihyun Kim
 
인공지능기반 디지털교과서비스 전략 탐색
인공지능기반 디지털교과서비스 전략 탐색인공지능기반 디지털교과서비스 전략 탐색
인공지능기반 디지털교과서비스 전략 탐색
Euisuk Jeong
 
스마트러닝의이해 이정훈V1
스마트러닝의이해 이정훈V1스마트러닝의이해 이정훈V1
스마트러닝의이해 이정훈V1
Jeong Hun Lee
 
Intel teach element 연수안내
Intel teach element 연수안내Intel teach element 연수안내
Intel teach element 연수안내
Seong Uk Kim
 
Smvd dmc maker_movement
Smvd dmc maker_movementSmvd dmc maker_movement
Smvd dmc maker_movement
Haewa_dzz
 
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
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
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2015 개정 교육과정의 SW 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의 SW 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의 SW 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의 SW 교육
songej
 

Similar to 정책사랑방 Ict활용교육.수업혁신의 날개를 달다 (20)

제본용
제본용제본용
제본용
 
모두의 AI 교육 : 산 ⦁ 학 ⦁ 관 협력으로 모색해 보는 부산 AI 교육
모두의 AI 교육 : 산 ⦁ 학 ⦁ 관 협력으로 모색해 보는 부산 AI 교육모두의 AI 교육 : 산 ⦁ 학 ⦁ 관 협력으로 모색해 보는 부산 AI 교육
모두의 AI 교육 : 산 ⦁ 학 ⦁ 관 협력으로 모색해 보는 부산 AI 교육
 
학교 메이커 교육 세미나 2017 - 메이커 교육의 국내외 트렌드 by 이지선 교수
학교 메이커 교육 세미나 2017 - 메이커 교육의 국내외 트렌드 by 이지선 교수학교 메이커 교육 세미나 2017 - 메이커 교육의 국내외 트렌드 by 이지선 교수
학교 메이커 교육 세미나 2017 - 메이커 교육의 국내외 트렌드 by 이지선 교수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0416) 디지털미디어컨텐츠 리서치+인사이트+아이디어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융합 SW 교육 사례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융합  SW 교육 사례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융합  SW 교육 사례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 초등학교의 프로젝트 기반 창의융합 SW 교육 사례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Maker Eduation Korea 2016 Forum book
Maker Eduation Korea 2016 Forum bookMaker Eduation Korea 2016 Forum book
Maker Eduation Korea 2016 Forum book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소셜러닝발표자료 V1.0
소셜러닝발표자료 V1.0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 방안(20231208)
 
Bigcamp in sxs_wedu
Bigcamp in sxs_weduBigcamp in sxs_wedu
Bigcamp in sxs_wedu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인공지능기반 디지털교과서비스 전략 탐색
인공지능기반 디지털교과서비스 전략 탐색인공지능기반 디지털교과서비스 전략 탐색
인공지능기반 디지털교과서비스 전략 탐색
 
스마트러닝의이해 이정훈V1
스마트러닝의이해 이정훈V1스마트러닝의이해 이정훈V1
스마트러닝의이해 이정훈V1
 
Intel teach element 연수안내
Intel teach element 연수안내Intel teach element 연수안내
Intel teach element 연수안내
 
Smvd dmc maker_movement
Smvd dmc maker_movementSmvd dmc maker_movement
Smvd dmc maker_movement
 
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
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
Learning 3.0 시대, 지식·콘텐츠·서비스의 융합 전략 : 학습의 경계를 허물다 - 민경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SW 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의 SW 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의 SW 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의 SW 교육
 

More from YoungSik Jeong

운영체제의 개념과 활용
운영체제의 개념과 활용운영체제의 개념과 활용
운영체제의 개념과 활용
YoungSik Jeong
 
Code.org 단계별 분석
Code.org 단계별 분석Code.org 단계별 분석
Code.org 단계별 분석
YoungSik Jeong
 
청탁금지법 질의응답사례 모음(학교 및 학교법인 대상 )
청탁금지법 질의응답사례 모음(학교 및 학교법인 대상 )청탁금지법 질의응답사례 모음(학교 및 학교법인 대상 )
청탁금지법 질의응답사례 모음(학교 및 학교법인 대상 )
YoungSik Jeong
 
[팸플릿]2016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팸플릿]2016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팸플릿]2016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팸플릿]2016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YoungSik Jeong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서비스경제 발전전략서비스경제 발전전략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YoungSik Jeong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YoungSik Jeong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YoungSik Jeong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YoungSik Jeong
 
Code.org프레임워크분석
Code.org프레임워크분석Code.org프레임워크분석
Code.org프레임워크분석
YoungSik Jeong
 
Code.org평가유형 기초자료
Code.org평가유형 기초자료Code.org평가유형 기초자료
Code.org평가유형 기초자료
YoungSik Jeong
 
구글 인사드 Hq 간단 분석
구글 인사드 Hq 간단 분석구글 인사드 Hq 간단 분석
구글 인사드 Hq 간단 분석
YoungSik Jeong
 
Code.org분석
Code.org분석Code.org분석
Code.org분석
YoungSik Jeong
 

More from YoungSik Jeong (12)

운영체제의 개념과 활용
운영체제의 개념과 활용운영체제의 개념과 활용
운영체제의 개념과 활용
 
Code.org 단계별 분석
Code.org 단계별 분석Code.org 단계별 분석
Code.org 단계별 분석
 
청탁금지법 질의응답사례 모음(학교 및 학교법인 대상 )
청탁금지법 질의응답사례 모음(학교 및 학교법인 대상 )청탁금지법 질의응답사례 모음(학교 및 학교법인 대상 )
청탁금지법 질의응답사례 모음(학교 및 학교법인 대상 )
 
[팸플릿]2016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팸플릿]2016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팸플릿]2016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팸플릿]2016 한국정보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서비스경제 발전전략서비스경제 발전전략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Code.org프레임워크분석
Code.org프레임워크분석Code.org프레임워크분석
Code.org프레임워크분석
 
Code.org평가유형 기초자료
Code.org평가유형 기초자료Code.org평가유형 기초자료
Code.org평가유형 기초자료
 
구글 인사드 Hq 간단 분석
구글 인사드 Hq 간단 분석구글 인사드 Hq 간단 분석
구글 인사드 Hq 간단 분석
 
Code.org분석
Code.org분석Code.org분석
Code.org분석
 

정책사랑방 Ict활용교육.수업혁신의 날개를 달다

  • 1. ICT 활용 교육! 수업 혁신의 날개를 달다. 전주교육대학교 정영식 (nurunso@Hotmail.com) 출처 : mojix.com
  • 2. 발표 순서 I. 이러닝 동향 II. 인공지능 교육 III. 수업 혁신의 길 2
  • 4. Gamification 4 I. 이러닝 동향 게임화의 원칙게임화 수업 전략 게임 요소재미 요소
  • 5. Mobile Learning 5 I. 이러닝 동향  편리성 : 손 끝에서 모든 학습이 이루어진다.  짤강 : 간결한 코스는 참여와 동기를 유발한다.  집중 : 전반적인 이해와 전달이 가능하다.  마이크로 러닝 : 학습 모듈 단위에 집중한다.  배포 : 전세계로 즉시 학습을 제공한다.  평가 : 미디어 활용을 통한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다. https://www.gyrus.com 모바일 -> 효과적인 모바일
  • 6. Video-Based Learning 6 I. 이러닝 동향  편리성 : 언제 어디서나 녹화된 비디오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 참여성 : 시각과 음향이 조화된 비디오를 통해 배우는 것이 더 재미있다.  유연성 : 시작, 중지, 되감기를 활용하여 유연하게 학습할 수 있다.  효과성 : 추가 내용이나 놓친 내용을 완벽하게 학습할 수 있다.  경제성 : 학습 뿐만 아니라 코칭하는 데에도 비용이 적게 든다.  접근성 : 어떤 장치에서든, 인터넷 연결 없이도 활용할 수 있다. 2019년
  • 7. https://www.youtube.com/watch?v=f2VJ6l7a254 Social Media Learning 7 I. 이러닝 동향 http://www.alpc.org 限定 偏見 Social Media의 장점
  • 8. Blended Learning 8 I. 이러닝 동향 https://www.qts.edu.vn 개별학습 개인학습 협력학습 교실수업
  • 9. Micro Learning 9 I. 이러닝 동향 간결함 학습자중심 접근성 피드백 스토리텔링 실사례 해설자막  학습 내용을 3~10분 정도로 짧게 제시하여 학습 목표에 집중하는 학습법
  • 11. Learning Analytics 11 I. 이러닝 동향 Mohammad Khalil
  • 12. 학습 분석 시 고려 사항 12 I. 이러닝 동향  개방성 : 기존 데이터 활용 가능  확장성 : 분석 범위의 확장 가능  분산성 : 분산된 환경에서 실행 가능  상호운용성 : 기존 시스템과 통합 운영 가능  재사용성 : 재조합하여 복잡한 작업 가능  즉시성 : 일정 시간 내에 실시간 분석 가능  용이성 : 시각화로 누구나 쉽게 이해 가능  보안성 : 암호화 및 보안으로 작업 추적 가능
  • 14. 인공지능 교육이란? 14 II. 인공지능 교육 •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 체험, 활용, 지원, 보조 인공지능 이해 교육 인공지능 활용 교육 인공지능 개발 교육 •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 • 개념, 원리, 영향, 윤리 • 알고리즘 설계 교육 • 인공지능 제작 교육 인공 지능 융합 교육 About UsingMaking
  • 15. 인공지능 이해 교육 15 II-1. 이해 교육 • 인식 : 센서를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 • 표현과 추론 : 세상을 표현하고 추론한다. • 학습 : 데이터로 학습한다. • 상호작용 : 인간과 자연스런 상호작용한다. • 사회적 영향 : 긍정/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출처 : AI4K12.org
  • 16. 인공지능 이해교육의 내용 16 II-1. 이해 교육 출처 : Eze Sunday 출처 : 매일경제(2016) 출처 : AI4K12.org 출처 : AI4K12.org 출처 : AI4K12.org 출처 : Waymo 유튜브 인식 인간과 상호작용 사회적 영향 표현과 추론 학습
  • 17. 인공지능은 정확한가? 17 II-1. 이해 교육 가천대 길병원 암센터(2016) 출처 : 동아사이언스(2017) • 방대한 입력은? • 인종적 차이는? • 제도의 차이는? 중앙일보(2018)
  • 18. 차별성 비윤리성 불통제성 불튜명성 인공지능은 공정한가? 18 II-1. 이해 교육 한국일보(2015) https://www.techrepublic.com 공공성 책무성 통제성 투명성 https://medium.com 동아사이언스
  • 19. 인공지능의 영향과 윤리 19 II-1. 이해 교육 출처 : 파이낸셜뉴스 출처 : 카카오 출처 : 매일경제 출처 : 김명주(2017)
  • 20. 인공지능 활용 교육 20 II-2. 활용 교육 • (협력) 교사와 AI의 협력 : Ai는 효율화+개인화>간소화, 교사는 AI의 보충(이해와 적응) • (차별) 학생을 위한 개별화 학습 : 학습, 평가, 피드백의 정교화 • (평등) 모든 학생을 위한 접근 : 장애 학생이나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 기회 제공 • (자동) 학습 관리의 자동화 : 출제, 채점의 간소화 -> 학생을 위한 시간 확대 • (확대) 교실 밖 학습 확대 : 가정에서의 과제나 시험 준비, 개인 지도 가능 출처 : Bernard Marr(2019. 7. 25), https://www.forbes.com 출처 Microsoft사 PPT 읽어주기출처 : https://www.forbes.com/
  • 21. 인공지능 활용교육 사례 21 II-2. 활용 교육 인공지능 보조 교사 출처 : https://nypost.com 인공지능 튜터링(Carnegie Learning) 학습 관리 및 분석(EBS 단추시스템) 조교 시스템(애리조나주립대, eAdvisor)
  • 22. 인공지능을 활용한 맞춤 학습 22 II-2. 활용 교육 적응 분석관계 분석 평가 분석 예측 분석 정보 분석 인공지능 기반 학습분석출처 : 서진화, 정영식(2016)
  • 23. 지능형 e학습터 23 II-2. 활용 교육 출처 : 정영식 외(2019)
  • 24. 인공지능 제작 교육 24 II-3. 제작 교육 중국의 人工智能实验教材(인공지능실험교재 33권). 허난인민출판사 • 중국과학원 자동화연구소 발행(국책기관) • 2019년 7월 발행(유치원 6권, 초등학교 12권, 중학교 6권, 고등학교 6권, 전문교육 3권) • 구글 등 인공지능 관련 기업 전문가 참여 • 클라우드 환경(趣AI)에서 실습과 검증 • Scratch, Python, JavaScript, Node.js 활용 • 초등학교 : 인공지능 찾기, 체감, 활용, 제작, 확대 • 중학교 : 인공지능 원리와 실제 조작 • 고등학교 :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구현 • 전문학교 : 인공지능 응용 기술
  • 25. 차세대 정보과교육 표준 모델 25 II-3. 제작 교육 대수준 중수준 초등34 초등56 중(1단계) 중(2단계) 중(3단계) 고(1단계) 고(2단계) 인공지능 과 융합 데이터과학 빅데이터의 이해 빅데이터의 적용 (사회적영향,사례) 데이터 수집 및 가공 I(제공데이터) 데이터 수집 및 가 공II(웹데이터)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I(예제중심) 빅데이터 응용 (타학문응용)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활용 I (인공지능프로그 램,음성인식체험) 인공지능의 개념 이 해, 인공지능의활용 II(머신러닝체험) 인공지능 기술의 이해 I (지도, 비지도, 강화), 인 공지능과지식표현의이해 (IFTHEN,TREE등) 인공지능 기술의 이해 II ( 학 습 , 추 론 , 인 지)(제공데이터) 인공지능과 지식 (도메인지식연결) 인공지능과 기계 학습(선형대수,확 률포함) 기계학습 알고리즘 의 이해(간단한인 공신경망실습) 로보틱스 생활속 로봇의 종류 이해 로봇의 기본 구조 이 해 로봇의 체험과 기본제어 (완제품형) 로봇 구성 장치 이해 및 기본 제어(제작형) 로봇 제작 및 제어 프로그래밍I(로봇) 로봇과 융합I(타 학문응용) 로봇과 융합II(타학 문응용심화) 출처 : 한국정보과학교육연합회(2019) • 초1:가정/학교생활에서접하는인공지능을체험하고,인공지능이무엇인지이해한다. • 초2:간단한인공지능프로그램을체험하고,인공지능의개념을이해한다. • 초3 :인공지능의개념을이해하고,기계학습체험을통해인공지능의활용가능성을탐색한다. • 중1 :인공지능의기술을이해하고지식표현방법을이해한다. • 중2 :인공지능기술을적용하여간단한실험을수행한다. • 중3 :인공지능기술을이용하여간단한예제를설계하고구현한다. • 고1 :인공지능과기계학습의개념을이해하고간단한기계학습알고리즘을작성한다. • 고2 :기계학습알고리즘을작성하고문제해결에적용한다. 출처 : 김갑수(2019). 차세대 정보과교육 표준모델
  • 26. 인공지능 모델 만들기 26 II-3. 제작 교육 머신 러닝(https://machinelearningforkids.co.uk/) : IBM Watson 활용
  • 28. 핵심 역량을 길러주자. 28 III. 수업 혁신의 길 Reading wRiting aRithmetic pRogramming 4R 4C 의사소통 협력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 29. 비판적인 지식 습득이 필요하다. 29 III. 수업 혁신의 길 非難 批判vs 현상이나 사물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밝히거나 잘못된 점을 지적함. 남의 잘못이나 결점을 책잡아서 나쁘게 말함. Wonderful Mind eSchool News http://www.edutopia.org/
  • 30. 창의성을 길러주자. 30 III. 수업 혁신의 길 1차(1954) : 창조적 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 2차(1963) : 창의력 함양 4차(1981) : 문제를 슬기롭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창조적인 사람 5차(1987) : 사회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창조적인 사람 6차(1992) :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7차(1997) :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2007 :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2009 :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2015 :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 31. 우리 교육의 문제점 III. 수업 혁신의 길 31 Nairaland Forum 삶에 대한 만족도(64/71개국) OECD(2018) https://www.youtube.com/watch?v=gigEwXTM-Bg
  • 32. 그 이유는? 경직된 교육과정 III. 수업 혁신의 길 32 영국의 2013 개정 Computing 교육과정(5쪽)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30쪽)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 33. 창의성을 어떻게 키우는가? 33 III. 수업 혁신의 길 mangthuvien.net 지식 + 몰입 = 전문성 발문 + 격려 정책기자마당 이정문(1965) 좋아하고, 하고 싶고, 잘하는 것 예측할 수 없는 붓터치! 원 안에서 벗어나는 것
  • 34. 다양한 매체 교육이 필요하다. 34 III. 수업 혁신의 길 사진 : 사이언스온 사진 : 문경시민뉴스 사진 : 서울신문 사진 :ihumancom.net
  • 35. 디지털교과서로 자유발행제를 보완하자. 35 III. 수업 혁신의 길 교사 역량 서책 한계 극복 제도 정비 재구성 통섭으로 연결 다양한 활동  다양한 자료  다양한 모형  활동 중심  스마트기기 및 앱 활용  콘텐츠 활용 능력  교수학습 전략 수립  수업 실행 능력  독립적 디지털교과서 개발  저작권 제한 근거 마련  교과용도서로서의 근거  보상금 지급 제도 정비  교사가 원하는 수업  직접 제작한 자료 추가  외부 링크 추가  교사용 디지털교과서 필요  서책교과서 기반 탈피  외부 링크 허용  반응형 레이아웃  즉시 수정 가능한 체제  학년 간 및 교과 간 통합  교과와 융합된 상호작용  인간관계를 가상세계로 확대
  • 36. e학습터로 거꾸로 교실을 운영하자. 36 III. 수업 혁신의 길 36 지식중심 수업은 가정에서 : 클라우드, 학습 플랫폼 필요 ileighanne.wordpress.com(2012)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학교에서 교사와 함께 가정에서 개별 과제로 Bloom의 교육목표(인지)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교사 중심의 수업 학생 중심의 활동 Bloom의 교육목표(정서) 활동중심 수업은 학교에서 : 보조교사 필요, 학부모의 역할 재고
  • 37. 기초에 충실한 교육을 실현하자. 37 III. 수업 혁신의 길 다음 동영상 추천 영상 추천 영상 의견 작성 다음 학습 영상 반복 학습 구간 안내 해당 학습의 형성평가 문제 e학습터 영상 콘텐츠 다른 영상 검색 view : 7,000 view : 4,500 (★★☆) 정답 확인 1 2 3 학습자료 오답노트 Q&A 학 습 자 료 오 답 노 트 1 2 3 4 5 6 7 8
  • 38. 스마트 기기로 소통하고 협력하자. 38 III. 수업 혁신의 길 좌운월운 노천 출처 : 연합뉴스, 교육부
  • 39. 온라인 교육으로 기회를 제공하자. 39 III. 수업 혁신의 길 기본이수과목 확대 및 복수 전공 소수선택과목의 온라인수업과 온라인공동교육과정 확대 개설 과목을 중심으로 선택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학점제의 문제점 선택중심 교육과정 온라인교육 확대 교사자격 고시개정 제한된 교사와 시설 교사 수급의 불균형 양성체제의 개선 개별형 모둠형 단체형
  • 40. 정보 인프라를 확충하자. 40 III. 수업 혁신의 길 출처 : KERIS(2017) • 5년이상 노후 PC : 35.6% 41위/42개국 62.7% -> 41.9% • 무선 가능한 교실 : 18.9%
  • 41. 교육용 데이터를 개방하자. 41 III. 수업 혁신의 길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 데이터 활용 제도 정비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제공(표준) 정제된 데이터 교육분야 : 1,395건 : 4.7% 표준데이터 : 9건 : 0.03% 전체 데이터 : 29,462건 https://yourstory.com/
  • 42. 교사가 참여하는 정책을 수립하자. 42 III. 수업 혁신의 길 인터넷 기반교육 수요자 맞춤교육 • 기술 • 학생 • 사람 • 교사 (2004) (2005) (2011) 교육정보화 2.0 스마트교육 (2011) ICT교육 (2000) But, 잘 만들어진 콘텐츠와 시스템이 있어도 교사의 역할 중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 그런데 왜?
  • 43. 혁신의 도구에서 통합의 도구로 활용하자. 43 어디서 (Anywhere) 언제 (Anytime) 누구나 (Anyone) right Now right Here only Me 적시성 적절성 효과성 충분성 공감 효율성(혁신) 효과성(통합) III. 수업 혁신의 길 • 천재지변 피해자 • 전염병 감염자 • 학교 부적응자 • 특수교육대상자 • 성인학습자 • 소수선택과목 이수자 • 해외 체류자 • 기타
  • 44. 잘 쓰게 하는 교육하자. 44 III. 수업 혁신의 길 교육 정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