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GE Innovation Forum 2016
Innovation Breakthrough for Korea Inc.
© GE Korea Communication, Apr 2016
CO N TENTS
008	 인사말
	
012	 행사 안내
	
016	 발표자 소개
	 	
02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 한국		
082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동물적 감각으로 혁신에 투자하라!
		 혁신하거나 사라지거나
	
09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Opening Remarks8
21세기 한국 기업의 지속 성장의 길을 함께 모색하는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에 오신 것을 환영합
니다.
GE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글로벌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아 ‘주식회사 한국’의 혁신 돌파 아이디어를 논
의 모색할 ‘GE이노베이션 포럼2016’을 개최합니다. 이 행사는 GE가 실시한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조사에 나타난 한국 기업의 혁신 추진 현황을 배경으로, 한국이 당면한 혁신 과제 해결을 위해 GE의 글
로벌 리더와 국내외 파트너들이 함께 지혜를 모으는 자리입니다.
글로벌 경제 상황은 매 순간 치열하고 급박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이 경쟁에서 훌륭하게 산업
경쟁력을 혁신하고, 세계의 산업과 경제 부문을 재선도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잠재된 가능성을 최대
한 발휘해야 하는 때입니다. GE는 디지털 혁신이 바로 그 열쇠라고 생각합니다.
GE는 에디슨이 창업한 이래 138년 동안 끊임 없는 자기 혁신을 통해 기술, 인재, 시장에서 세계적인 경
쟁력을 바탕으로 산업계를 선도해 오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1976년부터 GE코리아의 출범 이래 한
국 경제 성장의 믿을 수 있는 동반자였습니다. 오늘날, 견고한 듯 보였던 여러 산업 간의 장벽이 허물어
지며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때, GE는 디지털 산업 기업(The Digital Industrial Company)으
‘주식회사 한국’의 혁신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글로벌 패러다임 전환기를
함께 돌파합시다
GE Innovation Forum 2016 9
로 거듭나며 전력, 항공, 에너지, 헬스케어, 조명 등 인프라 산업의 미래를 디지털 혁신으로 바꾸고 있
습니다. 저희는 그 혁신의 비결을 한국의 파트너들과 공유하여 한국 제조업의 재도약에 함께 하고 싶습
니다. 한국 기업의 핵심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지난해에 이어 마련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에
기쁜 마음으로 귀하를 초대합니다.
강성욱
GE코리아 총괄사장
Welcome to ‘GE Innovation Forum 2016’, a collaborative event where we invite our Korean
partners to explore idea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GE Innovation Forum 2016’ seeks breakthrough innovations for Korea Inc. as the world en-
ters a new paradig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leaders from GE and Korea have
joined in the forum to look into Korea’s current status in innovation and the key challenges the
country faces that were found from the comprehensive global research, the ‘GE Global Inno-
vationBarometer2016’.WewillalsoshareideasandinsightsonhowKoreacanaddressthose
challenges and trigger innov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Industrial Internet in the manufac-
turing sector.
The global economy is changing at an unprecedented speed. For Korea to be at the forefront
of innovation and lead the world’s industry and economy, we need to maximize our potential.
GE believes digital innovation is the key.
Founded by Edison, GE has been leading the industry for over 138 years by driving innovation
in the industrial world. In Korea, GE has been a long-term trustful partner for Korea’s economic
growth since its launch in 1976. Today, the barriers between industries that once seemed stur-
Opening Remarks10
Please join us on our journey
in pursuing innovations
for Korea Inc. to create a
breakthrough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y are breaking down, and uncertainty in the market is greater than ever. Under such times
of uncertainty and volatility, GE is transforming into a Digital Industrial Company and leading
the future of the energy, aviation, healthcare, lighting, and other infra industries with digital
innovations.
GE hopes to share the key to these innovations with Korean partners. Please join us at ‘GE In-
novation Forum 2016’, organized to support Korea and Korean companies on their journey to-
wards bolstering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driving the growth of both Korea and the global
economy.
Chris Khang
President & CEO of GE Korea
GE Innovation Forum 2016 11
GE이노베이션포럼
2016
2016년 4월 15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Programme12
오프닝 세션
09:00 ~ 10:10
10:10 ~ 10:50
기조 세션
21세기 기업 경쟁력과 혁신의 대전환
◦ GE의 혁신 – 디지털 산업 기업
제프 이멜트(Jeff Immelt), GE 회장 및 최고경영자
좌담: 김도훈(DoHoon Kim), 산업연구원 원장
혁신 – 주식회사 한국 돌파의 핵심 동력
◦ GE의 글로벌 및 한국 혁신 지표 조사 결과
앙투앙 하라리(Antoine Harary), 에델만 인텔리전스 글
로벌 총괄
◦ 한국 기업 혁신의 과제와 대안
최원식(Wonsik Choi),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
모더레이터: 김남국(Namkuk Kim), 동아비즈니스리뷰 & 하
버드 비즈니스리뷰 코리아 편집장
종합 세션
산업인터넷 –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파괴적 혁신
◦ 산업 고객의 경쟁 우위와 GE의 디지털 전략
마크 쉐퍼드(Mark Sheppard), GE 디지털 아태지역 총
괄 겸 최고커머셜책임자
좌담: 이병태(Byungtae Lee), KAIST 경영대 교수
11:00 ~ 12:00
GE Innovation Forum 2016 13
GEInnovationForum
2016
15 Apr 2016
Grand InterContinental Seoul Parnas
Programme14
Opening Session
09:00 ~ 10:10
10:10 ~ 10:50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 Transfor-
mative Innovation
◦ GE- The Digital Industrial Company
Jeff Immelt, Chairman & CEO, GE
# DoHoon Kim, President of KIET(Korea Institute for In-
dustrial Economics & Trade)
Innovation, key driver for breakthrough Korea Inc.
◦ Innovation, key driver for breakthrough Korea Inc.
Antoine Harary, Global Managing Director, Edelman
Intelligence
◦ Driving innovation - the challenges and opportu-
nities for Korean companies
Wonsik Choi, Country Head / Senior Partner, McK-
insey&Company Korea
# Moderar: Namkuk Kim, Editor-in-Chief, Donga Business
Review & Harvard Business Review KOREA
Industrial Internet, disruptive innov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Vision and strategy of GE Digital for industrial cus-
tomers
Mark Sheppard, APAC Commercial Leader, GE Digital
# Byungtae Lee,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KAIST
Keynote Session
Plenary Session
GE Innovation Forum 2016 15
11:00 ~ 12:00
Speakers
on Innovation
GE
Innovation
Forum
2016
강성욱(Chris Khang) 사장은 2012년 1월 GE코리아 총괄
대표이사 및 사장으로 취임했다. 강성욱 사장은 한국 시장
에서 GE의 전사 성장 전략을 선도하고, 사업 부문과의 긴밀
한 협력과 시너지를 통해 GE의 중대한 성장을 이끌고 있다.
또한 조직, 인력, 문화 및 운영 시스템의 고도화 등 경영 전
반에 걸쳐 변화를 주도해 나가고 있다.
강성욱 사장은 시스코시스템즈의 기업 및 커머셜 사업부 아
시아 태평양 지역 사장으로서 40억 달러 이상 규모의 ‘엔터
프라이즈’ 사업을 이끌었다. 2002년부터 시스코시스템즈
에 근무하며 한국을 포함, 아시아 지역의 성장을 주도하는
여러 중책을 맡았다. 또한, 강 사장은 한국 HP에서 엔터프
라이즈 시스템 사업 담당 사장, 컴팩코리아 대표이사, 탠덤
컴퓨터 북아시아 사장 등 주요 다국적 기업에서 요직을 역
임했다. 글로벌 영업 및 마케팅 분야에서 높은 성과와 전문
성이 입증된 강 사장은 1985년 한국 IBM의 공공기관 사
업부에서 시스템 엔지니어로 본격적인 커리어를 시작했다.
강 사장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MIT 슬
론 경영대학원에서 석사학위(MBA)를 취득했다.
Chris Khang, President & CEO of GE Korea, is driv-
ing one GE initiative by closely working with all the
business leaders in Korea to accelerate GE’s organic
and inorganic growth, build compliance rigor, devel-
op leadership capability and enhance GE’s reputa-
tion in Korea.
Prior to the nomination as President and CEO of GE
Korea in 2012, Mr. Khang has held several senior
roles in Cisco over the years, with his most recent
being the President of Cisco’s Enterprise and Com-
mercial business in Asia Pacific, Japan and Greater
China in 2011. Earlier, he was Vice President of Asia
region, covering Korea, Taiwan, ASEAN and Indochi-
na. He also headed the North Asia Operations and
Sales Operations in Asia Pacific. Before joining Cisco,
he was General Manager, Enterprise Systems Group
for Hewlett-Packard in Korea. Prior to HP’s merger
with Compaq, he was Compaq’s Managing Director
of Korean Operations and, before that, he served
with Tandem Computers as Regional Managing Di-
rector for East Asia Operations based in Hong Kong.
He started his career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with IBM in 1984.
Mr. Khang earned a Bachelor of Art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n MBA from the
Sloan School of Management at M.I.T. in the United
States.
강성욱
| GE코리아 총괄사장
Speakers’ Profiles18
앙투앙 하라리 대표는 시장의 정보와 통찰력을 바탕으로 효
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이해관계자 소통 전략을 제시하는
전문가다. 하라리 대표는 2007년 에델만에 합류해 에델만
벌랜드의 파리 지사를 설립했으며, 이후 그는 2012년 에델
만 벌랜드 유럽 총괄로 임명되어 유럽 및 아시아태평양 전역
을 총괄하는 책임을 맡았다. 현재 하라리 대표는 에델만 벌랜
드의 새로운 브랜드인 에델만 인텔리전스를 이끌고 있으며,
고객 및 파트너를 위한 리서치, 인사이트, 분석 업무의 통합
을 주도하고 있다.
그는 150여 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을 이끌며, 50개국 이상
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리서치 및 컨설팅 프로젝트를 총괄하
고 있다. 전세계 27개국을 대상으로 혁신의 견인 요소와 정책
에 대한 글로벌 인식을 조사하는 ‘GE글로벌혁신지표’ 보고서
를 개발했으며, 올해로 5년째 진행하고 있다.
에델만 벌랜드에서 근무하는 지난 10년간 EU(유럽연합), 유
럽공동체상표청(OHIM) 등 다양한 공공 기관의 컨설팅을 맡
았다. 또 GE를 비롯해 애비브, 마이크로소프트, 토탈, PSA 푸
조 시트로엥, 리치몬드, 모엣 헤네시, RDF, 스타벅스, 쉘, 페
라로, 유니레버 등 업계를 선도하는 다양한 기업들과 일했다.
하라리 대표는 2005년부터 소르본대학 등 여러 대학원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소르본대학(CELSA)에서 국제PR학 석사, 엑상프로방스 정
치학교(Science Po Aix)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Antoine Harary, Global Managing Director, Edel-
man Intelligence, is an expert in using insight and
market intelligence to design effective communica-
tions and stakeholder engagement strategies. An-
toine joined the Edelman Group in 2007 to establish
and develop the Paris office of Edelman Berland. In
2012, he was appointed to Head of Edelman Berland
Europe, the first regional lead overseeing the entire
Europe and APAC operation. Now, Antoine leads the
business under the new brand, Edelman Intelligence,
driving the integration between research, insight,
and analytics for the Edelman network.
With his team of over 150 business intelligence ex-
perts, he manages international research and con-
sulting projects across more than 50 countries.
His client portfolio is composed of international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cluding, General Elec-
tric - for which he created a Global Observatory of
Innovation Drivers and Policies, The GE Global Inno-
vation Barometer now in its 5th year and covering 27
International markets
During his tenure at Edelman Berland, Antoine con-
sulted for various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the Eu-
ropean Union / OHIM. He also worked for a diversity
industry leaders including - Abbvie, Microsoft, TOTAL,
PSA PEUGEOT CITROEN, Richemont, Moet Hennessy,
GRDF, Starbucks, Shell, Ferrero and Unilever.
Since 2005, Antoine has been a guest lecturer at
various universities including La Sorbonne University
(CELSA)- where he teaches classes at Masters Level.
Antoine holds two master's degrees: International PR
(CELSA /Sorbonne), and Political Sciences (Science Po
Aix).
앙투앙 하라리
| 에델만 인텔리전스 글로벌 총괄
GE Innovation Forum 2016 19
최원식 맥킨지 한국사무소(서울사무소) 대표는 또한 맥킨
지 아시아 전략 프랙티스 및 맥킨지 아시아 센터 리더를 맡
고 있다.
최원식 대표는 한국 및 아시아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
장하는 것을 돕고, 한국 및 아시아 기업들의 해외 M&A 및
PMI를 지원했다. 그리고 혁신적인 기술을 가진 신흥 한국기
업이 성공 기회를 잡도록 도움을 주며, 업계 리더가 될 가능
성을 갖춘 중소기업의 성장에 관심을 갖고 있다.
2013년 4월, 1998년에 이어 15년 만에 발표된 <맥킨지
제2차 한국보고서: 신 성장공식>에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민경제 자
문회의에서 창조경제 분과장을 맡았다. 또한 미래창조과학
부의 창조경제 평가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맥킨지에 앞서 B2B 이커머스 벤처기업을 창업, 경영했으
며, 미국 Honeywell사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기계/항공우주 학사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Wharton 경영대학원에서 재무전공 MBA를 받
았다.
Wonsik Choi is a Senior Partner of McKinsey &
Company and heads the Korean Office. He is a
leader of McKinsey’s Asia Strategy and Corporate
Finance Practice and Advanced Industries Practice.
Areas of his specialization and experiences include:
- Supporting Asian companies on their journey to
become global champions
- Advising Asian companies on cross-border M&A
and PMI issues
- Helping Korean companies capture opportuni-
ties emerging from disruptive technologies
- Helping mid-tier Korean companies to become
industry leaders
Wonsik co-authored McKinsey’s Korea report: Be-
yond Korean Style – Shaping a New Growth Formu-
la, which was published in April 2013. From 2013 to
2015, Wonsik served in the National Economic Ad-
visory Council, which is an advisory entity stipul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In the Council, he led the
subcommittee that was responsible for aiding the
President in implementing a ‘creative economy’.
He also headed the Creative Economy Assessment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Prior to McKinsey, Wonsik headed an entrepreneur-
ial venture and also worked as an engineer at Hon-
eywell.
Wonsik holds a BSE degree in Mechanical and Aero-
space Engineering from Princeton University and
an MBA in Finance from The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최원식
|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
20 Speakers’ Profiles
김남국 편집장은 DBR(동아비즈니스리뷰)와 HBR KOREA
(하버드 비즈니스리뷰 코리아)에서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
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국제경영 박사학위를 취
득했으며 개방형 혁신, 협력적 혁신, 중소기업 혁신, 글로벌
전략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R&D Management’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실었다.
현재까지 기업 전략과 혁신 방법론 등을 다룬 6권의 책을
저술했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9년 씨티언론인대상, 215회 이달의기자상 등
을 수상했다.
Namkuk Kim currently serves as Editor-in-Chief
of DBR (Donga Business Review) and Harvard
Business Review KOREA. He received his doctor-
al degree in international business from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Yonsei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mostly on open innova-
tion, collaborative innovation, innovation in SMEs,
and global strategy, and his research work has
been published in ‘R&D Management’ and several
other journals. He wrote 6 books mainly about cor-
porate strategy and innovation methods. He has
been working as a journalist since 1995, and he was
named the winner of the 2009 Citi Journalistic Ex-
cellence Awards and 215th Journalist of the Month
Awards.
김남국
| 동아비즈니스리뷰 &
하버드 비즈니스리뷰 코리아 편집장
GE Innovation Forum 2016 21
제프리 이멜트 회장은 1982년 GE입사 후 GE플라스틱, 가
전, 의료사업 등에서 글로벌 리더십 역할을 수행했다. 이멜
트 회장은 1989년 GE의 오피서(Officer)에 선임되었으며,
1997년에는 GE캐피털의 이사회 멤버가 되었다. 2000년
GE의 사장 및 최고경영자(CEO), 2001년 9월 회장 및 최고
경영자(CEO)에 임명되었다.
‘배런스’는 이멜트 회장을 "세계 최고의 CEO"로 세 번 지명
한 바 있으며, GE는 이멜트 회장 선임 이후 ‘포춘’의 "미국
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과 ‘배런스’와 ‘파이낸셜타임즈’의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에 선정되었다.
이멜트 회장은 오바마 행정부의 일자리·경쟁력 위원회 의장
을 역임했으며, 미국 예술 및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다.  
1978년 다트머스대학에서 응용 수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
고, 1982년 하버드대학교의 MBA를 마쳤다. 부인과 한 명
의 딸이 있다.
Jeffrey R. Immelt, Chairman and CEO of GE, has
held several global leadership positions since com-
ing to GE in 1982, including roles in GE's Plastics,
Appliances, and Healthcare businesses. In 1989 he
became an officer of GE and joined the GE Capital
Board in 1997. A couple years later, in 2000, Mr. Im-
melt was appointed president and chief executive
officer.
Mr. Immelt has been named one of the "World's
Best CEOs" three times by ‘Barron's’, and since he
began serving as chief executive officer, GE has
been named "America's Most Admired Company" in
a poll conducted by ‘Fortune magazine’ and one of
"The World's Most Respected Companies" in polls by
‘Barron's’ and ‘the Financial Times’.
Mr. Immelt was the chair of President Obama's
Council on Jobs and Competitiveness. He is a mem-
b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Mr. Immelt earned a B.A. degree in applied math-
ematics from Dartmouth College in 1978 and an
M.B.A. from Harvard University in 1982. He and his
wife have one daughter.
제프리 이멜트
| GE 회장 및 최고경영자
22 Speakers’ Profiles
김도훈 원장은 한국 산업경제정책 싱크탱크인 산업연구원
의 수장이다. 산업연구원의 원장으로 취임하기 전, 1979년
부터 2013년 5월까지 산업연구원 연구본부장, 동향분석실
장, 산업정책실장, 국제산업협력실장 등의 다양한 리더십
역할을 역임했다.
1997년 9월부터 1999년 9월까지 OECD 파리에서 무역국
수석행정관으로 근무했고, 워싱턴 대학의 IERI에서 객원 연
구원으로 근무했다.
김도훈 원장은 동반성장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의 재정정
책자문회의 민간위원, 고용노동부의 고용정책심의회 위원,
국방부․ 산업부의 국방산업발전협의회 자문위원, 교육과학
기술부의 인재포럼(Global HR Forum) 자문위원, 기획재
정부의 세제발전심의위원회 민간위원 등 다수의 정부 정책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실적으로는 <한국경제 60년사-산업>(한국개발
연구원, 2010년 12월), <한미·한EU FTA의 제조업에 미치
는 영향>(KIET 연구보고서, 2011년 12월) 등이 있다.
Kim, Dohoon is the President of the Korea Insti-
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KIET),
one of Korea’s public economic think tanks. Before
being appointed as President of KIET, he worked as
director of several research divisions in KIET, such
as Division of Current Survey and Forecasting, Di-
vision of Industrial Policy and Division of Industrial
Cooperation and Globalization and served as Vice
President for Research, spanning the years from
1979 through May 2013.
He was detached from KIET to work for the OECD
in Paris as principal administrator at the Trade Di-
rectorate between September 1997 and September
1999. He worked for IERI at University of Washing-
ton as a visiting scholar.
He has been also members for many government
policy advisory committees. His major publications
include “Six Decades of Korea’s Industrial Devel-
opment, KDI, December 2010” and “An Impact
Analysis of the Korea-US FTA and Korea-EU FTA on
Korea’s Manufacturing Industries, KIET, December
2011”.
김도훈
| 산업연구원 원장
GE Innovation Forum 2016 23
마크 쉐퍼드
| GE디지털 아태지역 총괄 겸
최고커머셜책임자
24
마크 쉐퍼드는 GE의 소프트웨어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새로운 사업조직인 GE디지털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책
임지고 있다. GE호주-뉴질랜드, GE글로벌 마이닝(Global
Mining)의 최고정보책임자(CIO)를 역임했으며, 가장 빠르
게 성장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에너지, 오일앤가스,
항공, 헬스케어, 파이낸셜 서비스 등 GE의 다양한 산업 분
야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과 비전을 담당해왔다.
마크 쉐퍼드는 GE에 입사하기 이전에는 인공지능 (신경망
응용)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후 영국에서 컴퓨터 과
학을 강의했다.
GE디지털은 기계에서 발생되는 엄청나 규모의 데이터를
막강한 분석 기술 및 사람과 서로 연결한다. 산업 기업들
에 가치 있는 통찰을 제공하여 산업 자산 관리와 운영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
재들과 소프트웨어 역량을 보유한 GE는 디지털 산업 변혁
을 견인하며 생산성, 유용성, 지속성 등의 측면에서 큰 개
선을 제공한다. GE는 산업 수준에서 요구되는 안전성과 보
안성을 갖춘 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인 프레딕스를 활용하
여 지원한다.
Mark is the General Manager and Chief Commer-
cial Officer in the Asia Pacific Region of GE Digital,
which is a newly formed business that drives the
development and delivery of GE's software strategy
across the company.
Prior to this new role, he was the Chief Information
Officer (CIO) for GE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s
well as the CIO for GE Global Mining. Mark drives the
strategy and vision for how technology supports
the growth of GE’s Energy, Oil and Gas, Aviation,
Healthcare and Financial Services businesses in
one of the company’s largest and fastest growing
regions.
Prior to joining GE, Mark lectured in Computer Sci-
ence in the UK, after having completed his PhD
studi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specializing in the
use of Neural Network.
GE Digital connects streams of machine data to
powerful analytics and people, providing industrial
companies with valuable insights to manage assets
and operations more efficiently. World-class talent
and software capabilities driving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for big gains in productivity, avail-
ability and longevity. We do this by leveraging Pre-
dix, our industrial cloud platform purpose built for
the demanding safety & security needs of industri-
als.
Speakers’ Profiles
이병태 교수는 2001년 7월부터 현재까지 KAIST 경영대 교
수로 재직 중이다. 2014년 11월부터는 KAIST 청년창업투
자지주 주식회사의 대표 이사를 맡고 있기도 하다. 그 외에
도 SK 사회적기업 연구센타 센터장, 사회책임연구센터장,
디지털 경제 및 서비스 혁신연구센터장 등을 겸직하고 있다.
KAIST에서 경영대학 부학장(2010.1- 2011.6), 테크노
경영연구소장(2011.7-2013.7), 경영대학 학장(2011.7-
2013.7) 등을 맡았었다. 미국 시카고의 일리노이주립대학
에서 경영대학 부교수(1998.8-2002.09)를, 아리조나주립
대학에서 경영대학 조교수(1994.6-1999.6)로 근무했었다.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신도리코에서 전산팀장(CIO) 및
신규사업팀장으로 일하였다.
이병태 교수는 1983년 서울대학교 공학학사(전공 산업공
학)를, 1985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석사(전공 경영과
학)를, 1994년 미국 오스틴의 텍사스주립대학에서 경영학
박사(전공 MIS,부전공 경제학)를 받았다.
• CEO of KAIST Venture Investment Holdings,
2014.11-Present
•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KAIST, 2001.7-Pres-
ent
- Director of SK Center for Social Entrepreneur-
ship (Present)
- Director of Research Center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esent)
- Director of Research Center on Digital Economy
and Innovation (Present)
- Dean of College of Business, 2011.7- 2013.7
- Director of Techno Management Institute,
2011.7-2013.7
- Associate Dean of Academic Affairs, 2010.1-
2011.6
- Dean of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2010.1-2011.6
•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Admin-
istration,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1998.8-2002.09
- Ph.D. Director 1999-2000
•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Admin-
stration, The University of Arizona, 1994.6-1999.6
• CIO and General Manager of Business Planning,
SindoRicoh 1985.3-1994.6
이병태
| KAIST 경영대 교수
GE Innovation Forum 2016 25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2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한국
27
올해로 5년째 발표하는 GE글로벌혁신지
표(Global Innovation Barometer)는 세
계 각 기업의 혁신 담당 고위 임원(Senior
Innovation Executive)을 대상으로 진행하
는 글로벌 리서치이다. 특히, 이번에는 전세
계 23개국의 기업임원 외에도 13개국의 여
론주도층(Informed Public)의 의견을 추가로
취합하였다.
이 지표는 혁신 담당 임원과 여론주도층, 두
주체의 의견을 통해, 복잡하고 글로벌한 환경
속에서 혁신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개별 국가들은 자국이 발전시킨 혁
신 체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
색한다.
또한, 이 지표는 혁신의 가치 및 영향, 혁신을
이끌고 지원하는 주체와 책임에 대한 여론주
도층의 인식과 산업의 미래에 대한 의견도 탐
색한다.
GE Innovation Forum 2016
혁신 담당 임원
• 기업의 혁신 프로세스 및
정책과 관련된 일이
주요 업무에 포함
• 각 기업의 혁신 및
제품 개발, R&D 관련
의사 결정을 담당
응답한 임원 2,748명
그중 1,915명은
C레벨(C-suite)
여론주도층
• 대졸 이상의 교육 수준
• 각 국가에서 상위 소득 25%
이내 그룹
• 정기적으로 주요 비즈니스 뉴스
간행물을 구독
• 정기적으로 뉴스 보도를 접하며
최신 공공정책을 이해
응답한 여론주도층
1,346명
2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응답자 분포
23개국, 10개 비즈니스 부문에 걸친
혁신 담당 임원 2,748명 (C레벨 1,915명)
기업 임원만 조사
기업 임원 및 여론주도층을 함께 조사
한국에서는 혁신 관련 기업 임원 102명과
여론주도층 105명을 대상으로 진행
13개국, 여론주도층 1,346명
현장 인터뷰 진행일:
2015년 10월 13일 ~ 2015년 12월 7일
(전세계 임원 조사 대상자들은 이후 ‘글로벌 기업 임원’으로 표기)
29GE Innovation Forum 2016
환영 받는 혁명: 기업 임원과 여론
주도층 모두 세계의 디지털 전환에 대
해 낙관적이다. 응답자 중 임원의 68%
와 여론주도층 64%가 제4차 산업혁명
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표명했으
며, 응답자 모두 첨단제조(Advanced
Manufacturing)기술에 의한 산업 부
문의 급진적 변화를 예상했다. 그중 신흥
경제국, 특히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디지
털 혁명 추진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인
반면, 선진국 여론주도층은 통제에 대한
불안감을 표명했다.
1
새로운 모델 및 기술의 수용: 기업 임원들은 신규 투자와 파트너십을 통해 변화에 적
응하고 있다. 응답한 임원의 61%가 의사 결정에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하고 있으며
(2014년 53%에서 상승), 협업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고 응답한 임원은 77%에 달
했다(2014년 64%에서 상승).
68%의 임원들은 협력 이니셔티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매출 창출 및 감소를 포함하여, 자
신들의 회사가 혁신과 관련된 위험을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2
2016년 글로벌 주요 조사결과
혁신을 위한
혁명을 환영하다:
혁신 압박은 증대되나,
혁신에 대한
낙관적 입장이
지배적
3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혁신, ‘스타트-업’하고 있는가?: 응답한 기업 임원의 57%는 여전히 점진적 혁신
(Incremental Innovation)의 추구와 핵심 사업부문 보호를 통한 ‘안전한’ 접근법을 선호했
다. 타성과 위험회피 경향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응답한 기업 임원 81%는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스타트-업(Start-up)’ 정신이 기업의 혁신 문화를 창조하는 데 표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4
마인드 + 머신 (Minds and Machines), 인간과 기계가 함께 일하다: 디지털
혁명에 의해 일터가 더욱 안전해지고 직원의 역할이 제고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기업 임원은
각각 43%와 48%였다.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는 기업 임
원은 거의 없었다.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두려워하는 응답자는 17%(기업 임원)와 15%
(여론주도층)에 불과했다. 미국, 인도, 중국, 독일 등의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으로 인한
긍정적 결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본, 프랑스, 스웨덴의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의 영향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5
파괴적 혁신, 해결책과 도전과제: 응답한 기업 임원 중 90%는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
시장을 창출하는 기업이 가장 혁신적이라고 생각하기에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급진적 혁
신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반면, “디지털 다윈주의(Darwinism, 진화론)"의 위험 역시
염두에 두고 있었다. 혁신에 대한 적응 속도보다 기술의 발전 속도가 더 빨라 자신의 기업이
뒤처질 것에 대한 우려, 즉 구식이 되어 버리는 것에 대한 공포(Fear of Becoming Obsolete,
FOBO)를 느낀다고 응답한 임원은 전체의 81%에 달했다.
3
31GE Innovation Forum 2016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미래 인재의 핵심 자질: 미래의 인력 상(像)은 변화하
고 있다.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직원을 찾고 있는 임원은 56%, 창의성을 가진 직원을 원
하는 임원은 54%로 나타났다. 제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특정 카테고리에 속한 고급기
술자에 대한 수요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론주도층은 스타트-업 정신과 유연한
가치(89%), 그리고 원격 근무(79%)를 수용하고 있다. 자국의 교육 시스템을 통해 미래의
직업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고 느끼는 국가는 극히 일부에 불과했으나, 인도(81%)와 중국
(78%), 그리고 인도네시아(76%) 등 일부 국가의 여론주도층은 이 부분에서 강한 자신감
을 내비쳤다.
6
정부의 지원 확대를 요구: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 혁신에 있어 관계 당국의 지원
과 역할이 더욱 커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여론주도층의 12%만이 현재 정부가 자국의 혁신
을 주도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향후 정부가 혁신 추진에 더 큰 책임을 맡아야 한다고 응답
한 비율은 30%에 달했다. 자국의 규제가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
답한 여론주도층이 57%에 달했으나, 신흥경제국가는 자국의 규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
봤다. 응답한 기업 임원 대부분은 데이터와 기밀 관련 규제가 기업의 급진적 혁신을 저해한다
는 데 의견을 모은 반면, 자신의 데이터가 더 나은 서비스에 보탬이 된다면 데이터에 대한 접
근권을 기꺼이 공유하겠다고 응답한 여론주도층은 64%에 달했다.
7
3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Speakers' Profiles 0033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한국 조사 결과
33GE Innovation Forum 2016
환영 받는 혁명
전세계적으로,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응답자 모두 세계의 디지
털 전환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응답자 중 기업 임원 68%와 여론주도층 64%가 제4차 산업혁명
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나타냈고, 디지털 혁명의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응답자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한국의 기업 임원 및 여론주도층은 기술적 발전이 산업의
미래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가장 확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3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60%
34%
응답한
글로벌 기업 임원 중
60%가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해
자신감을 보였다.
응답한
한국 기업 임원의
34%(약 1/3) 만이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있었다.
35GE Innovation Forum 2016
혁신의 미래를 이끄는 거시적 트렌드에
대해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디지털 혁명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응답자는 거의 없었다.
17% 15%
23% 11%
★ ★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3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의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 향후 10년 내,
첨단제조기술이 산업 부문을 급진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 생각한다
첨단제조기술
첨단제조기술에 의해 산업 부문이 급격히 변화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대부분이었다.
86% 90%
90% 88%
37GE Innovation Forum 2016
그러나 한국의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은
글로벌 응답자와 비교하여 제4차 산업혁명
진입 전망에 대해 낙관적으로 보는
경향이 덜했다
제4차 산업혁명 진입 전망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
70%
66%
61%
59%
68%
50%
62%
37%
59%
37%
60%
34%
흥미롭다
흥분된다
낙관적이다
영향력을 갖는다
제어 가능하다
자신 있다
글로벌
한국
3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72%
57%
65%
51%
64%
41%
55%
27%
48%
30%
60%
38%
흥미롭다
흥분된다
낙관적이다
영향력을 갖는다
제어 가능하다
자신 있다
글로벌
한국
39GE Innovation Forum 2016
새로운 모델 및
기술의 수용
기업들은 투자와 파트너십을 통해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 있고,
이러한 노력은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77%) 협업의 실질적 성과를 목도하고 있으며
(2014년 64%에서 증가), 빅데이터에 전략적 중요성을 점점 더
부여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협업을 통해 창출되는 매출이 증대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66%, 2014년 55%에서 증가).
지난 해, 한국 기업의 대다수가 자사의 빅데이터 능력을 증대시켰
다(65%, 2014년 26%에서 증가).
4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65%
한국 기업 임원의 65%가
의사결정에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2014년 26%에서 증가)
41GE Innovation Forum 2016
전세계적으로 협업 활동을 통한
이익이 증대되었다
82%
41%
2014
2015
72%
41%
89%
60%
86%
61%
82%
57%
88%
64%
85%
61%
87%
68%
81%
64%
88%
72%
77%
63%
프
랑
스
러
시
아
중
국
캐
나
다
폴
란
드
미
국
독
일
맥
시
코
말
레
이
시
아
인
도
호
주
지난해, 대부분의 국가에서 협업적 혁신 활동으로 창출된
매출과 이익이 증가했다.
증가
4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협업적 혁신 활동으로 이익을 창출한
한국 기업의 비율은 66%로 증가했다
(2014년 52%에서 증가)
66%
52%
80%
67%
85%
75%
70%
60%
79%
70%
83%
76%
82%
76%
54%
50%
67%
65%
66%
71%
65%
71%
67%
79%
브
라
질
아
랍
에
미
레
이
트
나
이
지
리
아사
우
디
아
라
비
아
터
키
인
도
네
시
아
일
본
남
아
프
리
카
공
화
국
스
웨
덴
대
한
민
국
이
스
라
엘
알
제
리
유지 감소
43GE Innovation Forum 2016
파괴적 혁신:
해결책과 도전과제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응답자 대부분(90%)이 가장 혁신적인
기업이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뿐 아니라 이전에 존재
하지 않았던 신규 시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한국
89%, 글로벌 90%).
그러나 기업이 적응하는 속도보다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가 더 빠
르다면 어떻게 될까?
4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 기업 임원의 88%가
‘디지털 다윈주의(Digital
Darwinism)’의 위험,
즉, 구식이 되어 버리는
것에 대한 공포(Fear of
Becoming Obsolete,
FOBO)를 느낀다고
응답했다.
글로벌 기업 임원
81%
88%
45GE Innovation Forum 2016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에게
‘파괴적인 것’은 이미 황금률이 되었지만,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가장 혁신적인 기업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뿐 아니라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 시장을 만들어 낸다.
90% 89%
93% 여론주도층 93%
4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것은 어렵지만, 효율적
혁신을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2015년).
60% 72%
40% 여론주도층 31%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
★
지난 수년간, 완전히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이 성과로
이어졌다고 응답한 기업은 47%에 달했다.
47%
40%
47GE Innovation Forum 2016
‘파괴적인 것’이 ‘혁신 챔피언’ 국가들에게
점점 더 어려운 도전과제가 되고 있다
(중국 제외)
76%
51%
2014
2015
72%
48%
68%
46%
73%
53%
72%
55%
70%
59%
55%
46%
60%
51%
64%
58%
62%
56%
55%
51%
도전과제 증가
★ 혁신 챔피언 국가
48
프
랑
스
러
시
아
캐
나
다
미
국
호
주
나
이
지
리
아
터
키
일
본
남
아
프
리
카
공
화
국
스
웨
덴
대
한
민
국
★ ★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의 기업 임원들도 ‘파괴적인 것’을
점점 더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긴다
69%
65%
70%
69%
43%
44%
55%
57%
67%
70%
56%
61%
51%
61%
51%
63%
61%
73%
38%
51%
47%
63%
49%
65%
도전과제 감소
49GE Innovation Forum 2016
중
국
폴
란
드
독
일
맥
시
코
말
레
이
시
아
인
도
브
라
질
아
랍
에
미
레
이
트
사
우
디
아
라
비
아
인
도
네
시
아
이
스
라
엘
알
제
리
★ ★
81% 88%
72%
기업 임원들과 여론주도층 모두 ‘디지털 다윈주의’, 즉 기업이 적응하는 속도보다 기술 발전
속도가 더 빨라 제품이나 서비스가 구식이 되는 현상에 직면하는 기업이 점차 많아지는 것
을 우려한다.
84%
5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아주 일부 응답자만이 그들의 기업이 새로운 기술에 빠르게 적응하고 도입하고 있다고 답
했다.
24% 17%
51GE Innovation Forum 2016
혁신을 위한 성공 조건을 찾는 것이
기업의 과제이다
급진적이지만 신뢰성 있는 혁신을 가능케 하는 성공 조건 세 가지는?
45%
아이디어 공유가
촉진되고, 참여자 기여가
파악 및 보상되는 연결형
문화(Connected Culture)
형성
혁신적 직원을 장려하고
보상하는 체계 구축
혁신 관리를 위한 명확한
프로세스 및 구조 마련
데이터 및 애널리틱스를
실질적인
의사결정도구로 활용
54%
45%
49%
40%
33%
40%
58%
5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급진적이지만 신뢰성 있는 혁신을 지원하는
문제에 있어, 한국 기업 임원들은 아이디어 공유를
촉진하는 연결형 문화(Connected Culture)의
형성이 가장 어렵다고 느끼고 있다
글로벌 기업 임원
한국 기업 임원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식으로 만드는 차세대 혁신을
이루어 낸 직원에게 보상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
개발의 기반이 되는
소비자조사 수행
장기적 관점에서
CEO에게 직접 보고하는
혁신 팀 구축
투자 또는 중단할 제품을
결정하는 매트릭스 개발
36%
32% 31%
29% 30%
25%
32%
21%
53GE Innovation Forum 2016
혁신,
‘스타트-업’하고 있는가?
‘파괴적인 것’은 황금률이 되었고, 기업 임원의 81%가 ‘스타트-
업’ 정신이 점점 더 비즈니스의 기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인지하
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이러한 경향을 인지하는 임원이 적었다
(68%).
전세계적으로 기업 임원들은 업계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급진적
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나, 업계 리더 대부분은
좀 더 ‘안전한’ 접근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성과 위험 회피 경향이 증대되는 가운데, 점진적 혁신이 여전히
대부분 기업의 수익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5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 기업 임원 68%가
‘스타트-업’ 정신이
비즈니스의 표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 임원
81%
68%
55GE Innovation Forum 2016
‘스타트-업’ 정신이
표준이 되어 가고 있다
글로벌 기업 임원들과 비교하여, 한국 기업 임원들은 ‘스타트-업’
정신이 점점 더 비즈니스의 기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인지하는
경향이 적었다.
기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스타트-업’ 정신이 기업의 혁신 문화를 창조하는 표준이 되어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81%
68%
81%
66%
기업 임원 여론주도층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노마드 직원
(Nomad Employees)’의 수가 늘어
가고 있다.
71%
동의
75%
동의
5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여론주도층은 ‘스타트-업’ 정신이
가장 생산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 생산적인 업무 환경을 만드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중요한
요소들
탄력적인 근무 시간 직원들이 자
신의 근무 시간을 어느 정도 자유
롭게 선택할 수 있다.
84% 94%
참여 경영 원칙 직원들이 기업 리
더를 선출하고, 자신들의 관리자
에 대한 평가와 임명에 발언권이
있다.
84% 84%
원격 근무 직원들이 가정, 카페
등의 장소에서 일상적으로 업무
를 할 수 있다.
84% 83%
57GE Innovation Forum 2016
기업 임원 대부분은 ‘더 안전한’ 접근을
통한 혁신을 선호했다
58% 42%
47% 53%
기존 매출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
성과를 극대화
신규 매출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
5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글로벌 트렌드와는 반대로, 한국의 기업 임원들은
신규 매출 구조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4% 36%
65% 35%
핵심 비즈니스를
최대한 보호하여
연구개발과 혁신에
필요한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핵심 비즈니스에
끼칠 수 있는 부정적인
단기적 영향을
우려하지 않고,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를
최대한 빨리 시장에 출시
59GE Innovation Forum 2016
마인드+머신
(MINDS AND MACHINES)
인간과 기계가 함께 일하다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에 의해 일터가 더욱 안전해지고 직원
의 역할이 제고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부정
적인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는 기업 임원은 적었다.
한국에서는 글로벌 응답자와 비교하여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는 기업 임원 응답자의 비율이 더 적
었고, 응답자 4명 중 1명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한국 응답자 23%, 글로벌 응답자 17%).
한국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의 잠재적 순영향에 대해 상대적
으로 확신을 덜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에 대
해 생각할 때 실업률 상승을 떠올리는 경향이 짙었고, 한국의 여론
주도층 역시 글로벌 응답자보다 디지털 혁명에 대해 확신을 덜 가
졌다. 글로벌 임원과 비교하여 자동화의 순영향을 기대하는 기업
임원의 숫자 역시 한국이 적었다.
6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 기업 임원 41%가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라 예상했다41%
29%글로벌 기업 임원
61GE Innovation Forum 2016
기업 임원들과 여론주도층은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다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58% 42%47% 53%54%
21%
17%
8%
47% 53%
25%
23%
10%
43%
★
★
6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에서는 글로벌 응답자와 비교하여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는
기업 임원의 비율이 더 적었다
64%
15%
15%
9%
61%
고용에 긍정적 영향
고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고용에 부정적 영향
잘 모르겠다
65%
33%
11%
12%
44%
★
★
★
63GE Innovation Forum 2016
★
디지털 혁명은
일의 본질(Nature of Work)을
변화시킬 것이다
다음 중 디지털 혁명의 결과로서 귀하의 국가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결과는 무엇인가?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53%
특정 카테고리의
고급 기술자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아질 것이다
구식 직종이 사라지는
동시에 신규 직종이
생겨날 것이다
디지털 혁명이 일하는
방식을 보다 새롭고
유연하게 만들 것이다
30%
48%
36%
42%
20%
★
★
★
6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의 주요 결과로서
실업률 상승을 예상했고, 디지털 혁명으로 인한
기존 직업의 퀄리티 제고는 없을 것이라 예상했다
글로벌 기업 임원
한국 기업 임원
디지털 혁명을 통해 기존
일의 퀄리티가 제고되어
직원들이 업무를 더 즐겁게
하게 될 것이다
34%
14%
★
디지털 혁명에 맞는 업무
능력을 배양키 위해
임직원에 대한 교육지원
제공의 의무가 커질 것이다
32%
14%
★
많은 직업이 사라져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다
29%
41%
★
65GE Innovation Forum 2016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
미래 인재의 핵심 자질
미래의 인재상은 지금과 달라진다. 기업 임원들은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지닌 인재를 찾고 있으며, 여론주도층은 스타트-업 정신
과 유연한 가치, 그리고 원격 근무를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직능 니즈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준비해야 할 것이 많다는 것이 다수
의 의견이다.
한국 기업 임원 역시 ‘전체를 보는 안목을 가진 사고가’를 찾고 있다.
6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전체를 보는 안목을 가진
사고가’를 찾고 있는
한국 기업 임원50%
글로벌 기업 임원
38%
67GE Innovation Forum 2016
창의적이고 문제해결 능력을 지닌
사람이 이상적인 인재이나, 아직 기업가
정신까지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채용 시 귀하가 가장 중요시하는 지원자의 자질은 무엇인가?
54%
58%
56%
57%
38%
50%
44%
45%
40%
44%
창의성 문제해결 능력 전체를 보는 안목 분석력 기존 업무 방식의
개선점 제안 능력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
6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글로벌 임원들과 마찬가지로 한국 기업 임원들은
창의적이고 문제 해결능력이 있는 인재를 찾고
있으며, 전체를 보는 안목을 가진 직원의 가치를
높이 사고 있다. 하지만 기업가 정신은 아직 그리
중요한 자질 요소로 평가하지 않았다
글로벌 기업 임원
한국 기업 임원
43%
41%
34%
39%
34%
39%
27%
29%
41%
23%
32%
17%
대인 관계 능력 기업의 비전에
대한 열정
기업문화에 쉽게
적응하는 능력
불확실성을 쉽게
헤쳐나가는 능력
장기지향성 지원자의
기업가 정신
★ ★
★
★
69GE Innovation Forum 2016
일부 국가만이 자국의 교육 시스템이
미래의 직능 관련 문제를 해결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했다
기업 임원
여론주도층
83%
85%
80%
79%
47%
79%
90%
77%
55%
74%
74%
41%
72%
70%
41%
70%
68%
29%
63%
“현재의 교육 시스템이 변화에 적응하여 새로운 재능과 직능에
대한 민간부문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다”
70
프
랑
스
중
국
캐
나
다
미
국
독
일
말
레
이
시
아
인
도
호
주
아
랍
에
미
레
이
트
인
도
네
시
아
일
본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 기업 임원 및 여론주도층의 약 50%(각각 48%,
55%)가 현재의 교육 시스템이 변화에 적응하여
새로운 재능과 직능에 대한
민간부문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응답했다
66%
62%
48%
56%
54%
54%
53%
48%
55%
48%
49%
42%
23%
39%
38%
38%
24%
59% 54%
71GE Innovation Forum 2016
러
시
아
폴
란
드
맥
시
코
브
라
질
나
이
지
리
아
사
우
디
아
라
비
아
터
키
남
아
프
리
카
공
화
국
스
웨
덴
대
한
민
국
이
스
라
엘
알
제
리
정부의 지원 확대를 요구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 혁신 지원에 있어 관계 당국이 더욱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론주도층의 12%만이 현재 정
부가 자국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향후 정부가 혁신
추진에 더 큰 책임을 맡아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0%에 달했다.
특히 한국에서는 혁신 지원에 있어 정부의 역할이 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한국 여론주도층 응답자
절반 이상(52%)은 정부 지원이 더욱 증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향후 정부가 혁신에 있어 가장 주도적인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응답
했다.
 
전세계적으로 자국의 규제가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여론주도층은 57%에 달했고, 특히 같은 의견을
가진 한국 여론주도층은 82%에 달했다.
7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한국의 여론주도층은 혁신에 있어
정부의 역할 증대를 원했다
오늘날 혁신을
가장 강력히 주도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어떤 주체가
혁신 추진에 대한
가장 무거운 책임을 져야 하는가?
64% 46% 42% 25%
16% 7% 6% 6%
12% 27% 30% 52%
3% 3% 5% 5%
2% 10% 5% 11%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
★
★ ★
★ ★
민간부문
대학 및 연구소
정부 및 관계당국
공기업
지역 관계당국
73GE Innovation Forum 2016
한국의 여론주도층 대다수는
자국의 규제가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자국의 규제는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된다
자국의 규제는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43%
57%
7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58%
56%
52%
50%
45%
41%
19%
중국캐나다미국독일인도 호주나이지리아
82%
80%
72%
63% 62%
60%
프랑스멕시코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대한민국
자국의 규제는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75GE Innovation Forum 2016
데이터와 기밀 관련 규제는
기업의 급진적 혁신 도입 및 착수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5%
82%
79%
77%
76%
76%
75%
75%
65%
74%
73%
73%
74%
71%
69%
70%
79%
70%
65%
69%
69%
68%
도입
착수
76
중
국
캐
나
다
미
국
독
일
맥
시
코
말
레
이
시
아
인
도
호
주
아
랍
에
미
레
이
트
인
도
네
시
아
대
한
민
국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65%
64%
61%
62%
63%
61%
55%
59%
60%
58%
62%
58%
61%
58%
61%
57%
55%
56%
49%
53%
47%
43%
30%
32%
한국 기업 임원의 동의
데이터와 기밀 관련 규제는
기업의 급진적/변형적 혁신의
착수를 방해한다
데이터와 기밀 관련 규제는
기업의 급진적/변형적 혁신의
도입을 방해한다
73% 73%
77GE Innovation Forum 2016
프
랑
스
러
시
아
폴
란
드
브
라
질
나
이
지
리
아
사
우
디
아
라
비
아
터
키
일
본
남
아
프
리
카
공
화
국
스
웨
덴
이
스
라
엘
알
제
리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한국
핵심 요약
7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환영 받는 혁명
◦ 로봇, 자동화 등의 기술적 발전이 고용 시장과 일의 본질을 급진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 생각
하는 한국 기업 임원은 86%에 달했다.
◦ 기업 임원, 여론주도층 모두 제4차 산업혁명 진입의 전망에 대해 흥미롭고 궁금하다고 응답했
지만, 두 주체 모두 제4차 산업혁명을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도,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생
각하지도 않았다.
◦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한 한국 기업 임원의 비율이 외국과 비
교하여 더 적었다. 한국의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을 실업률 상승과 연계시키는 경향이 강했다.
새로운 모델과 기술의 수용
◦ 지난 2014년, 한국은 협업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국가 중 하나였다.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고
있으며, 협업을 통해 발생하는 매출 창출이나 손실을 공유하는 데 열려 있다. 또한 공동 혁신
활동으로 인해 창출된 매출과 이익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다.
◦ 전략적 의사결정에 있어 빅데이터와 애널리틱스 역할의 중요성은 2015년에 더욱 증대되었다.
기업들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을 증대시켰다. 그러나 데이터를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가장 실행하기 어려운 과제로 생각하는 임원이 37%에 달했다.
79GE Innovation Forum 2016
파괴적 혁신: 해결책과 도전과제
◦ 오늘날, 혁신적인 기업이란 신규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뿐만 아니라, 신규 시장을 창출한다
는 의견에 대부분의 한국 임원이 동의했다. 하지만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아이디어 발상의 어
려움이 주요 난제 중 하나라고 응답한 한국 기업 임원은 72%에 달했다.
◦ 또한 한국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다윈주의(Digital Darwinism)’ 같은 비즈니스 위험이 존재
함을 염두에 두고 있다.
혁신, ‘스타트-업’하고 있는가?
◦ 한국 기업은 점진적인 혁신 접근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효율적인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
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 금전적 지원 부족, 타성, 위험회피 경향(2014년 44%
에서 68%로 증가) 등 기업의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이 커지고 있으며, 최고경영층의 지원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 스타트-업 정신이 기업활동의 핵심이 되고 있다고 보는 한국 기업 임원의 백분위는 외국 임
원보다 작았다.
8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 미래 인재의 핵심 자질
◦ 글로벌 기업 임원들과 마찬가지로 한국 임원은 창의성,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신규 채용 대상
자를 찾고 있으며, 전체 상황을 보는 능력을 지닌 인재를 찾고 있다.
정부의 지원 확대를 요구
◦ 한국 기업 임원 및 여론주도층 모두 한국 내에서 혁신이 추진되고 있으며, 대기업이 혁신을 선
두적으로 이끌고 있다고 생각한다.
◦ 한국 여론주도층은 한국의 혁신 추진에 있어 기업보다 정부가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느끼
면서도, 앞으로도 정부가 지금보다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81GE Innovation Forum 2016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동물적 감각으로
혁신에 투자하라!
GE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가 설명하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국가 지도자, 유력 경제인, 유명 자선가, 영향력 있는 사상가들이 모이는 다보스포럼이 최근 막을
내렸다. 언제나처럼 GE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르코 아눈지아타(Marco Annunziata) 역시 흰
눈이 쌓인 스위스의 작은 마을로 향했다. GE리포트(이하 GER)는 이 여행에 동행하여, 혁신 측정
의 중요성 그리고 GE가 다보스 포럼에서 발표한 GE 글로벌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 관한 이야기
를 마르코 아눈지아타 이코노미스트(이하 M.A.)와 함께 나누었다.
GER. GE는 2010년부터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보고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
가요?
M.A. 혁신의 상태를 평가하는 문제에 대해 수많은 토론과 혼란이 있습니다. 얼마만큼의 혁신이
발생했는가? 혁신이 과연 사업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가? 혁신을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그
런 측면에서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는 엄청난 가치가 있습니다. 이 모든 이슈에 대한 통찰(과 데
이터)을 제공하기 때문이죠.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84
GER. 그렇다면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누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까?
M.A. 누구나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만 특히 세 종류의 집단에게는 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경제학자, 정책입안자, 비즈니스 리더이죠.
우선 저와 같은 경제학자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를 통해 혁신이 얼마나 빠르게 발생하는지, 어떤
국가에서 더 빠르게 진행될지, 과연 혁신이 경제 성장과 일자리, 생활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책 입안자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를 통해 혁신을 장려하는 법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규제를 바꿔야 할지, 교육 시스템을 강화해야 할지, 예산 배정을 도와야 할지 등이 이에 해당하겠
죠. 이에 대한 답은 국가마다 다를 것입니다. 또한, 정책 입안자들은 스스로를 테스트해볼 수 있
을 것입니다. 어떤 국가가 혁신을 더 잘하는지 이해하고, 최선의 방법을 알아내고 따를 수 있겠죠.
마지막으로. 비즈니스 리더는 혁신을 실행하는 동료 기업을 보며 귀중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
다보스 포럼이 개최되는 스위스의 작은 마을, 다보스
85GE Innovation Forum 2016
다. 협업을 향상시켰는가? 인재 확보에 우선 순위를 두는가? 지금까지 혁신을 통한 편익을 얼마
나 얻었는가? 파괴적 혁신이나 점진적 혁신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경쟁사와 자신을 비교해볼 단연 최고의 기회입니다. 오늘날 혁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더 넓고 깊
게 이해하고, 성공적인 혁신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 수 있는 것이죠.
GER. 2016년 보고서 결과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M.A. 2016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보고서에서 가장 흥미롭고 놀라운 점은, 사람들이 대부분의 언
론이 말하는 것과 달리 혁신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언론 보도는 사실과 전혀 달라
요. 기업체 중역 중 겨우 17%, 지식인층 중에서 단지 15%만이 ‘디지털 산업 혁신이 ‘일자리에
“인간과 기계가 한 공간에서 나란히 함께 일하는 것이 미래 산업의 모습이란 점을 이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GE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의 이야기이다.
86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는 아주 놀라운 결과입니다. 수많은 언론에서 유
언비어처럼 혁신이 일자리를 파괴할 것이라고 떠드는 것을 감안하면 말이죠.
저는 그 이유를 이렇게 생각합니다. 디지털 산업 혁신은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이 혁신
이 일자리를 파괴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켜보았죠. 미래 산업 현장은 인간과 기계가 나란히 함께
일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 혁신은 더 많은 그리고 더 나은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란 사실을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혁신에 대한 사
람들의 전반적인 태도의 일부이긴 합니다. 하지만 저에겐 가장 놀랍고 영감을 주는 결과였습니다.
GER. GE가 왜 혁신을 측정하기 시작한 것인가요?
M.A. 혁신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합니다. 일단 비즈니스의 관점에
서 본다면, 혁신을 이루고 싶다면 먼저 혁신에 투자해야 합니다. 케인스가 말했듯, 투자는 궁극적
으로 비즈니스 리더와 엔지니어의 “동물적 감각 또는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s)”에 달려 있습
니다. 투자란 비즈니스 리더와 엔지니어가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지, 위험을 감수할 준비
가 되어 있는지에 달려 있는 것이죠. 또 정책적 관점에서는, 혁신에 관한 대중적 정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향후 혁신을 촉진하거나 막을 수 있는 정책과 규제의 방향을 정하는 데 도
움이 되니까요.
GER.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보고서와 같은 것이 또 있을까요?
M.A. 지금까지 제가 지켜본 바로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독특한 도구입니다. 바로 혁신 그
자체의 관점에 집중하기 때문이죠. 반면, 다른 지표나 설문조사는 경쟁이나, 경제 발전 같은 더 광
범위한 이슈에 집중합니다.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실제 혁신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만들었고, 조
사의 대상도 기업의 전략적 혁신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비즈니스 리더들이기에 더욱 독특합니다.
또한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생생하게 살아 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독특합니다.. 해마다 질문이 바
뀌면서, 지속적인 변화를 추적하죠. 이러한 방식은 혁신에 대한 인식이나 혁신을 위한 환경이 어
떻게 진화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87GE Innovation Forum 2016
혁신하거나
사라지거나
2016 GE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디지털 기술,
기회인가 압박인가
토마스 에디슨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발명 특허를 가진 인물 중 하나이다. 그는 삶의 주요 목적이
더 많은 발명을 하기 위해 돈을 버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나는 세상이 필요로 하는 것을 찾
아낸다. 그리고 곧바로 그것을 발명하려 노력한다.”
GE의 설립자인 에디슨의 이런 발명 정신은 오늘날까지도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GE가 매
년 진행하는 ‘글로벌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비즈니스 리더와 대중들이 혁신을 보는 시각을 발
굴해서 알려준다. 올해 발표한 설문결과에서 응답자들은 가장 혁신적인 기업의 특징으로 “완전
히 새로운 시장이나 상품을 창출하며, 기존의 시장을 개선하거나 반복하지 않는”것이라고 했다.
GE의 2016년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다보스 세계경제포럼 개최 하루 전에 발표되었다. 이번 이
노베이션 바로미터에서 응답자들은 디지털 기술과 빅데이터의 사업 잠재력에 대해 긍정적인 태
도를 보였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에 관심을 표명했다.
88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그러나, 적지 않은 응답자들은 ‘기술의 발전 속도가 실제 적응할 수 있는 것보다 빨라져 거기에 뒤
처질 것’을 두려워 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그에 따라 대부분은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점진적
으로 혁신에 접근하는 편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혁신은 이미
미래를 바꾸고 있다
기술 혁신은 더 많은, 더 나은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이 이 사실을 점점 더 잘 인
식하고 있다. 이는 2016 GE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서 나타난 놀라운 발견 중 하나이다.
특히 전체 응답자 중 비즈니스 중역의 17%, 대중의 15% 응답자만이 “디지털 산업 혁신이 일자
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았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부분은 긍정
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생각했고(54%, 61%), 첨단제조기술이 산업에 급진적이고 긍정적
인 변화를 이끌 것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86%, 90%). 수많은 언론에서 “혁신으로 인해 많
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라는 막연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런 결
과는 매우 신선하게 느껴진다.
GE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는 “디지털 산업 혁신은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사람
들은 이 혁신이 일자리를 파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미래의 산업 현장에서는 인
간과 기계가 나란히 함께 일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진다는 점을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게 된 것이
죠.”라고 말한다.
GE의 혁신 전략을 책임지고 있는 베스 콤스탁(Beth Comstock) GE 부회장은 이번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를 통해 기업들이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에 대해 얼마나 높은 압박을 느
끼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이 가져올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기
대는 여전하며”, 이는 오늘날 더욱 치열해져 가는 사업 환경에서 기업들이 노력하고 적응해 나가
는 원동력이 된다고 덧붙였다.
설문에 참여한 많은 임원들은 데이터와 분석을 전략 및 투자에 대한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기업의 73%는 지난 한 해 동안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개선했고(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 61%가 의사 결정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2014년: 53%) 설
89GE Innovation Forum 2016
문에 참여한 기업 임원들과 대중은 산업을 최적화하고 연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대
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했다(각각 68%, 64%).
영역과 고정관념을
파괴하는 혁신
이제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서 파괴적인 사고는 임원들과 대중 모두에게 핵심적인 가치로 자리잡
았다. 하지만 실제 사업 실행 단계에서는 여전히 도전과제가 존재한다. 임원들은 의사결정을 돕
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파트너십, 데이터, 분석에 투자를 늘리는 등 과거에 쉽게 투자
하지 않았던 것들을 실제 실행에 옮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시장에서 협력이 증가했고, 전세계 기업들이 이를 통해 실제 성과를 냈다고 대답했
다. 77%의 응답자들이 2015년 한 해 동안 협력을 통해 수익과 이익이 증가되었다고 응답했으며
(2014년: 64%), 68%는 협력으로 인해 창출되는 수익이나 손실을 포함, 혁신에서 비롯되는 리
스크를 파트너와 공유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중 72%는 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들의 혁신 촉진 문화가 기존 정책과 업무 방식에
90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도전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81%의 임원들은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아이디
어를 얻기 위해 여전히 노력하고있지만, 자신이 속한 회사가 새로운 기술 적용 및 실행을 잘하고
있다고 대답한 비율은 24%에 불과했다.
2016년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 따르면, 디지털 혁명의 중심지는 실리콘밸리이며, 아직까지 미
국이 글로벌 혁신을 선도하는 상황이다. 일본은 2014년 3위에서 올해 2위로 올라섰으며, 독일
은 한 단계 하락한 3위에 머물렀다. 그 외 중국이 4위, 한국은 지난해와 동일한 5위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인도네시아, 알제리, 나이지리아, 터키와 같은 신흥 경제국에서 혁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국가들에서는 글로벌 디지털 변화가 산업의 긍정적 변화
에 매우 큰 도움이 된 느낀다고 답했다.
81%의 글로벌 임원들은 스타트업 정신이 향후 산업을 이끌어갈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 데에 동
의했다. 또, 임원들과 대중들 모두, 신뢰할 수 있는 급진적 혁신을 이루기 위한 다음 세 가지 필요
사항에 대해 전반적으로 의견을 같이 했다. 첫 번째, 혁신을 관리할 수 있는 투명한 구조와 절차
(49%), 두 번째는 혁신적인 인재에 대한 개발 및 보상 (45%),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아이디어
공유를 촉진하는 소통 문화 창조(45%)이다.
마르코 아눈지아타 GE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올해의 이노베이션 바로미터가 “점점 파괴적
(Disruptive)으로 변화해 가는 비즈니스 환경에 기업들이 적응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지만, 기업
과 대중들은 새로운 세상은 인간과 기계가 나란히 함께 일하는 곳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혁신이 새롭고 더 나은 일자리 기회를 창출할 것임은 명백하다. 혁신
을 통한 디지털 기술을 통해 기존의 일자리가 보다 개선되고, 가치가 높아지며, 생산성도 향상될
것이다. 교육과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빠르게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야 하며, 기업은 미래 인재
를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법을 고민해야 한다.
GE코리아는 한국 경제 및 산업 발전의 혁신 방향을 제시하는 한국 혁신 보고서를 2016년 4월
발표했다.
91GE Innovation Forum 2016
gereports.kr/olympics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글로벌
파트너 GE. GE는 첨단기술로 평
창에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 인
프라를 구축하고, 지역사회 전체
에 장기적으로 쓰일 수 있는 혁신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GE코
리아 2018 평창동계올림픽 마이
크로 사이트에서 그 소식을 확인
하세요.
facebook.com/GEKorea
GE의 첨단 기술과 경영 리더십에
대한 이야기를 한국 현지 관점에
서 풀어내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가 매일 페이스북으로 찾아갑니
다. 언제 어디서든 GE의 이야기
를 가족, 친구, 동료들과 더욱 쉽
고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GEblog.kr
GE코리아에서 매달 어떤 혁신
이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하세요?
GE코리아의 각종 행사 및 채용소
식, 세상을 움직이는 최신 기술 정
보까지 GE코리아 공식 블로그에
서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GE코리아 디지털 미디어 소개
GE코리아는 세상을 움직이는 GE의 이야기를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모바일 사용 환경에 맞춰 개발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등 어떤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GE의 수준 높은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혁신과 첨단 기술 브랜드 저널리즘의 대표
GE리포트 코리아
www.gereports.kr
youtube.com/GEKorea
GE코리아 유튜브에는 GE의 브
랜드와 기술에 대한 최신 동영상
이 가득합니다. 글로는 잘 이해되
지 않았던 GE의 첨단 기술을 쉽
고 재밌는 동영상을 통해 감상해
보세요.
slideshare.com/GEKorea
산업인터넷과 빅데이터, GE 사
업부의 미래 기술 동향까지, GE
의 깊이 있는 최신 자료들을 공유
하여 산업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gereports.kr/newsletter
구독 신청 한 번으로 GE의 모든
디지털 채널에서 큐레이션한 콘
텐츠를 메일로 편리하게 받아보
실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
하세요.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9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
Korea
95
Now in its fifth edition and spanning
across 23 countries, the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 is an
international opinion survey of senior
innovation executives all actively
engaged in the management of their
firm’s innovation strategy. In addition,
this year, the GE GIB also surveyed
the views of informed publics in 13
countries.
With both audiences, the Barometer
explores how the perception of
innovation is changing in a complex,
globalized environment, and how
they appreciate the framework
for innovation their country has
developed.
In addition, it explores the perceptions
of informed publics on the impact and
value of innovation, the associated
responsibilities with driving and
supporting innova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future of work.
GE Innovation Forum 2016
Innovation
Business Executives
All respondents’ line of work involves
taking part in their company’s
innovation process/policies
Responsible for making decisions
related to innovation, product
development o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ctivities in their
company
2,748 Business
Executives,
of which 1,915 are
C-suite
Informed Publics/
Informed Citizens
University education or above
In the upper quartile income of their
country
Regularly consume top tier business
news publications
Regularly follow public policy
matters in the news
1,346 Informed
Publics
96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This year, we talked to…
2,748 Innovation Business Executives,
of which 1,915 are C-suite, in 23 markets across 10 sectors
Business executives only
Business executives and informed publics
In South Korea, we talked to 102
Innovation Business Executives and 105
members of the Informed Public
1,346 Informed Publics in 13 countries
Fieldwork dates:
13th of October – 7th of December 2015
97GE Innovation Forum 2016
A Welcome Revolution:
Both business executives and
citizens are optimistic abou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world.
68% of execs and 64% of citizens
cite a positive anticip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ll
anticipate a radical transforma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by Advanced
Manufacturing. Emerging markets feel
especially empowered. Asian markets
are amongst the most excited and
curious, with Informed Citizens in
developed markets feeling the least in
control.
1
Embracing New Models and Technologies: Business executives
are adapting through new investments and partnerships. 61% are using
big data to inform decision-making (up from 53% in 2014), and 77% are
seeing increasing financial results from collaboration (up from 64% in 2014).
In addition 68% of executives declare their firm is open to risk-sharing
associated with innovation, including revenue streams or losses that could be
generated through collaborative initiatives.
2
2016 Global Key Findings
Welcoming
the Revolution:
Pressure Rises,
Optimism Prevails
98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Everybody’s Starting Up?: Still, 57% favor a “safer” approach,
pursuing incremental innovation and protecting their core business. Inertia
and risk aversion are growing. Meanwhile 81% of business executives
recognize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for
creating an innovation culture within companies of all sizes.
4
Minds and Machines Working Together: Business executives
expect the digital revolution will make the workplace safer (43%) and
create higher-value roles for workers (48%). Few fear any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digital revolution; only 17% of business
executives and 15% of citizens fear potential negative impact. Executives in
the US, India, China or Germany anticipate a positive outcome in their country,
while Japanese, French or Swedish execs are more skeptical.   
5
Disruptive Innovation: The Solution and the Challenge:
Although business executives recognize they need to innovate radically to
keep up—90% think that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create new markets
that didn’t previously exist—most are also mindful of the risk of “Digital
Darwinism”. 81% worry about being left behind as technology evolves faster
than they can adapt, creating a fear of becoming obsolete (FOBO).
3
99GE Innovation Forum 2016
Creativity & Problem-Solving Key for Future Workforce:
future worker is changing. Executives are seeking problem solvers (56%) and
creativity (54%), and an expected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at some categories of skilled workers will be in high demand. Citizens are
embracing the start-up ethos and value flexible (89%) and remote (79%) work.
Only a few countries feel their education system is ready to address future
skills, with informed citizens in countries like India (81%), China (78%) and
Indonesia (76%) most confident.
6
A Call for Greater Government Support: Executives and citizens
alike are calling for public authorities to play a more supportive role in
innovation. While few citizens (12%) believe their government is the top driver
of innovation in their country, more (30%) think it should be. 57% say their
country’s regulations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although
emerging markets are more positive in their assessment. Most executives
agree that data & privacy regulations are preventing more radical innovation
by businesses, while citizens (64%) are willing to share access to their data if it
leads to better service.
7
100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Speakers' Profiles 00101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
GLOBAL FINDINGS
IN THE LIGHT OF
THE SOUTH KOREA
RESULTS
101GE Innovation Forum 2016
A WELCOME
REVOLUTION
Globally, Business Executives and Informed Citizens are
optimistic abou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world.
Business Executives (68%) and Informed Citizens (64%)
both cite positive anticip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few worrying that the digital revolution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However, South Korean executives and Informed Citizens
are amongst the least assured about the potential impacts
of technological advances on the future of work.
102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60%
34%
Of Business
Executives
globally are
confident about
the prospect
of en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ly a third
of Korean
business
executives
feel confident
103GE Innovation Forum 2016
Both business leaders and citizens
have a positive view of macro
trends shaping the innovation
landscape.
DIGITAL REVOLUTION
Few fear a potential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of the digital revolution
17% 15%
23% 11%
★ ★
★ Over-index
★ Under - index
10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South Korean executives and informed publics
agree that in the next 10 years, Advanced
Manufacturing will radically transform the
industrial sector.
ADVANCED MANUFACTURING
Most believe Advanced Manufacturing will
radically transform the industrial sector
86% 90%
90% 88%
105GE Innovation Forum 2016
However, South Korean executives
and informed citizens are less
positive than their peers about
the prospect of entering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 does the prospect of entering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ke you feel?
70%
66%
61%
59%
68%
50%
62%
37%
59%
37%
60%
34%
Curious
Excited
Optimistic
Empowered
In control
Confident
Global
South Korea
106
★ Over-index
★ Under - index
★
★
★
★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72%
57%
65%
51%
64%
41%
55%
27%
48%
30%
60%
38%
107GE Innovation Forum 2016
Curious
Excited
Optimistic
Empowered
In control
Confident
Global
South Korea
★
★
★
★
★
★
EMBRACING
NEW MODELS
AND TECHNOLOGIES
Businesses are adapting to this new context through
investments and partnerships, and it is paying dividends.
The majority of businesses (77%) are seeing financial
results from collaboration (up from 64% in 2014) and
attributing greater strategic importance to Big Data.
In South Korea, we se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seeing increases in revenue generated through
collaboration (66% vs. 55% in 2014). Over the past year the
majority of South Korean companies have also increased
their Big Data capabilities (65% vs. 26% in 2014)
108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65%
of Business Executives are
using big data to inform
decision-making
(up from 26% in 2014).
109GE Innovation Forum 2016
The gains from collaborative
activities have increased
in most markets.
82%
41%
2014
2015
72%
41%
89%
60%
86%
61%
82%
57%
88%
64%
81%
61%
87%
68%
81%
64%
88%
72%
77%
63%
France
Russia
China
Canada
Poland
USA
Germ
any
M
exico
M
alaysia
India
Australia
The revenue and profit generated by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has been growing over the last year.
Increased
110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Two-in-three businesses have seen gains from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last year,
and increase from one-in-two in 2014.
66%
52%
80%
67%
85%
75%
70%
60%
79%
70%
83%
76%
82%
76%
54%
50%
67%
65%
66%
71%
65%
71%
67%
79%
Brazil
UAE
Nigeria
KSA
Turkey
Indonesia
Japan
South
Africa
Sw
eden
South
Korea
Israel
Algeria
Stable Decreased
111GE Innovation Forum 2016
DISRUPTIVE
INNOVATION:
THE SOLUTION AND
THE CHALLENGE
There is general agreement among executives and citizens
alike, that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not only launch
new products and services but also create a new market
that didn’t previously exist. (89% South Korea, 90%
globally)
Yet, what if technology evolves faster than businesses can
adapt?
112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of South Korean
Business Executives
are mindful of the
risk of “Digital
Darwinism” or fear
of becoming obsolete
(FOBO).
globally
81%
88%
113GE Innovation Forum 2016
Being disruptive is the gold
standard for both executives
and citizens but remains
a challenging goal.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not only launch new products and services but
also create a new market that didn’t previously exist.
90% 89%
93% Informed Public 93%
11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The difficulty to come up with “radical and disruptive ideas” is a key challenge
to innovate efficiently (2015).
60% 72%
40% Informed Public 31%
★
★
In the past few years, the development of entirely
new products or services has contributed to the
performance of 47% of companies.47%
40%
115GE Innovation Forum 2016
★ Over-index
★ Under - index
Being disruptive is a growing
challenge for the “Innovation
Champions,” with China as an
exception.
76%
51%
2014
2015
72%
48%
68%
46%
73%
53%
72%
55%
70%
59%
55%
46%
60%
51%
64%
58%
62%
56%
55%
51%
France
Russia
Canada
USA
Australia
Nigeria
Turkey
Japan
South
Africa
Sw
eden
South
Korea
Growing challenge
★ Innovation champions
★ ★
116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South Korean executives have seen one of the
biggest increases with this challenge.
69%
65%
70%
69%
43%
44%
55%
57%
67%
70%
56%
61%
51%
61%
51%
63%
61%
73%
38%
51%
47%
63%
49%
65%
China
Poland
Germ
any
M
exico
M
alaysia
India
Brazil
UAE
KSA
Indonesia
Israel
Algeria
Reducing challenge
★
★
117GE Innovation Forum 2016
81% 88%
72%
Business Executives and Informed Publics are mindful that
more and more businesses face “DIGITAL DARWINISM” -
becoming obsolete as technology is evolving faster than
they can adapt.
84%
118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Only few feel their company is performing very well at
quickly adapting and implementing emerging technologies.
24% 17%
119GE Innovation Forum 2016
Identifying best practices is a
challenge for businesses.
The top 3 best practices to foster and enable reliable and
radical innovation?
45%
To create a connect
culture where idea sharing
is facilitated and where all
the contributing parties are
recognized and rewarded
To encourage and
reward innovative
people
To have a clear process
and structure in place to
manage innovation
Turn data and analytics
into actionable decision
making tool
54%
45%
49%
40%
33%
40%
58%
120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When it comes to supporting radical and
reliable innovations, South Korean businesses
most struggle to create a connect culture that
facilitates idea sharing.
To reward those within the
organization who create
the next innovation that will
make one of their products/
services obsolete
To rely on consumer
research as a foundation
for innovative products/
services
To have innovation
teams report
directly to the CEO
on a long term basis
To create a set of
metrics to decide which
product or service
should be funded or be
killed
36%
32% 31%
29% 30%
25%
32%
21%
121GE Innovation Forum 2016
Global
South Korea
EVERYBODY’S
STARTING UP?
Being disruptive is the gold standard and 81% of Business
Executives recognize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However, in South Korea,
fewer executives recognize this trend (68%).
Globally, executives recognize they need to innovate
radically to keep up, but most business leaders favor a
“safer” approach.
With inertia and risk aversion on the rise, incremental
innovation is still driving the bottom line for most business
leaders, especially those in developed markets.
122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of Business
Executives recognize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globally
81%
68%
123GE Innovation Forum 2016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start-up ethos’,
whilst still recognized by the majority of business
executives in South Korea, is less acknowledged
than their peers globally.
believe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for
creating an innovation culture within companies of all sizes.
81%
68%
81%
66%
of Business Executives of Informed Publics
With digital transformation we
are observing the rise of ‘nomad
employees’
71%
agree
75%
agree
12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The Informed Public thinks the
“start-up ethos” provides the most
productive work environment.
Top elements thought to create a more productive work
environment
Flexible working hours - where employees
have a degree of freedom to choose their
own working hours
84% 94%
Participative management
principles – where employees
elect corporate leadership and
have a say in the appointment and
appraisal of their managers
84% 84%
Remote working - where
employees work from home, cafes,
etc., on a regular basis
84% 83%
125GE Innovation Forum 2016
The majority of Business Executives
continue to favor a “safer”
approach to Innovation.
58% 42%
47% 53%
Maximizing
performance of
existing revenue
streams and
business models
Opening up new
revenue streams
and inventing
new business
models
★★
126
★ Over-index
★ Under - index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Against the global trend, in South Korea, business
executives favour opening up new revenue
streams and inventing new business models.
64% 36%
65% 35%
To protect the
core business as
much as possible,
so it continues
to generate the
profitability needed
to support research
and innovation
efforts
To bring innovative
products and/or
services to market
as fast as possible
without worrying
about the short term
impact it can have
on the core business
127GE Innovation Forum 2016
MINDS AND
MACHINES
WORKING TOGETHER
Business Executives expect the digital revolution will make
the workplace safer and create higher-value roles for
workers. Few fear any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In South Korea, a smaller proportion of business executives
than we see in many markets anticipate the digital
revolutio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with
one-in-four expecting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23% vs. 17% globally).
Executives in South Korea are less sure of the potential
positive outcomes Execs associate the digital revolution
more strongly with a rise in unemployment, with Informed
citizens less assertive than their peers.
128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of South Korean
Business Executives
expect the digital
revolution to lead to a
rise in unemployment41%
29%globally
129GE Innovation Forum 2016
Executives and citizens anticipate
a positive or neutral net impact
on 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digital revolution.
58% 42%47% 53%54%
21%
17%
8%
47% 53%
25%
23%
10%
43%
★
★
130
★ Over-index
★ Under - index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In South Korea, a smaller proportion of
executives than we see in many markets
anticipate the digital revolutio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64%
15%
15%
9%
61%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A neutral impact on employment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Don’t know
65%
33%
11%
12%
44%
★
★
★
131GE Innovation Forum 2016
★
The digital revolution is expected to
change the nature of work.
Which are the most likely outcomes in your country as a result
of the digital revolution?
53%
Some categories of
skilled workers will be in
high demand
New types of jobs will
be created as old ones
are lost
It will enable new and
more flexible ways of
working
30%
48%
36%
42%
20%
★
★
★
132
★ Over-index
★ Under - index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In South Korea, executives are expecting an
increase in unemployment as a key outcome
of the digital revolution and do not expect it to
increase the quality of existing jobs.
I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existing jobs, making them
more enjoyable for employees/
workers
34%
14%
★
It will increase businesses'
responsibility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to their employees so they
ensure their skills are up-to-date
32%
14%
★
There will be a rise in
unemployment due to
jobs being destroyed
29%
41%
★
133GE Innovation Forum 2016
Global
South Korea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KEY FOR FUTURE
WORKFORCE
The future worker is changing. Business Executives are
seeking problem solvers and creativity and the Informed
Public value flexible and remote work. However, many
think we have a lot to do to prepare for tomorrow’s skills
needs.
In South Korea executives also seek ‘big picture thinkers’.
13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of Business Executives
are searching for ‘Big
picture thinkers’
50%
globally
38%
135GE Innovation Forum 2016
The ideal talent are creative
problem solvers, but entrepreneurs
are not fully embraced.
What are the main attributes you look for in CANDIDATES
when considering them for a job application?
54%
58%
56%
57%
38%
50%
44%
45%
40%
44%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ies
See the big
picture
Analytical
skills
The ability to suggest
improvements to existing
ways of working
★
136
★ Over-index
★ Under - index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South Korean business executives, like their
peers globally, seek creative problem solvers,
but also value employees who can see the big
picture. Entrepreneurial spirit is not a valued
trait by many.
43%
41%
34%
39%
34%
39%
27%
29%
41%
23%
32%
17%
Interpersonal
skills
Enthusiasm for
company vision
Ability to fit
easily within the
company culture
A candidate's
ability to navigate
uncertainty with
ease
Long term
commitment
A candidate's
entrepreneurial spirit
★ ★
★
★
137GE Innovation Forum 2016
Global
South Korea
Only a few countries feel their
education system is ready to
answer the future skills challenge.
83%
85%
80%
79%
47%
79%
90%
77%
55%
74%
74%
41%
72%
70%
41%
70%
68%
29%
63%
France
China
Canada
USA
Germ
any
M
alaysia
India
Australia
UAE
Indonesia
Japa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is adapted to fulfill the private
sectors’ demand for new talent and skills”
138
Business Executives
Informed Publics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Approximately one-in-two execs and informed
publics (48% and 55% respectively) feel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is
adapted to fulfil the private sectors demands.
66%
62%
48%
56%
54%
54%
53%
48%
55%
48%
49%
42%
23%
39%
38%
38%
24%
Russia
Poland
M
exico
Brazil
Nigeria
KSA
Turkey
South
Africa
Sw
eden
South
Korea
Israel
Algeria
59% 54%
139GE Innovation Forum 2016
A CALL FOR GREATER
GOVERNMENT
SUPPORT
Executives and citizens alike call for public authorities
to play a more supportive role in innovation. While few
citizens (12%) believe their government is the top driver of
innovation in their country, more (30%) think it should be.
In South Korea, we see bigger role being played by
Government today than in many markets, however there is
still a call for improved Government support with over half
of informed publics (52%) believing Government should be
driving innovation the most.
Globally 57% say their country’s regulations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and this feeling is
more prominent in South Korea with 82% of informed
citizens agreeing.
140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Informed publics in South
Korea want to see an increased
role for Government in driving
innovation.
Who is driving innovation
the most today?
Who should be responsible for
driving Innovation the most?
64% 46% 42% 25%
16% 7% 6% 6%
12% 27% 30% 52%
3% 3% 5% 5%
2% 10% 5% 11%
★★
★
★ ★
★ ★
Private
sector
Universities and
research labs
Government and
public authorities
State owned
enterprises
Public
authorities at
a local level
141GE Innovation Forum 2016
★ Over-index
★ Under - index
The majority of informed citizens
in South Korea believe that
regulations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Regulations in
my country today
are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Regulations in my
country today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43%
57%
142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58%
56%
52%
50%
45%
41%
19%
ChinaCanadaUSAGermanyIndia AustraliaNigeria
82%
80%
72%
63% 62%
60%
FranceMexicoBrazil KSA IndonesiaSouth Korea
Regulations in my country today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143GE Innovation Forum 2016
Data and privacy regulations are
seen to prevent the adoption and
launch of more radical innovation
by businesses.
85%
82%
79%
77%
76%
76%
75%
75%
65%
74%
73%
73%
74%
71%
69%
70%
79%
70%
65%
69%
69%
68%
China
Canada
USA
Germ
any
M
exico
M
alaysia
India
Australia
UAE
Indonesia
South
Korea
Adopting
Launching
14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65%
64%
61%
62%
63%
61%
55%
59%
60%
58%
62%
58%
61%
58%
61%
57%
55%
56%
49%
53%
47%
43%
30%
32%
France
Russia
Poland
Brazil
Nigeria
KSA
Turkey
Japan
South
Africa
Sw
eden
Israel
Algeria
Business Executives agree
REGULATIONS AROUND PRIVACY
and DATA PROTECTION are
preventing businesses from
LAUNCHING more radical /
transformative innovations
REGULATIONS around PRIVACY
and DATA PROTECTION are
preventing businesses from
ADOPTING more radical /
transformative innovations
73% 73%
145GE Innovation Forum 2016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
SOUTH KOREA
KEY TAKEAWAYS
146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GE의 디지털 산업 변화 - GE's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Playbook
GE의 디지털 산업 변화 - GE's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PlaybookGE의 디지털 산업 변화 - GE's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Playbook
GE의 디지털 산업 변화 - GE's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Playbook
GE코리아
 
GE LV5 1500V 태양광 인버터(LV5 1500V Solar Inverter)
GE LV5 1500V 태양광 인버터(LV5 1500V Solar Inverter)GE LV5 1500V 태양광 인버터(LV5 1500V Solar Inverter)
GE LV5 1500V 태양광 인버터(LV5 1500V Solar Inverter)
GE코리아
 
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 프레딕스, Industrial cloud platform – Predix, 2016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 프레딕스, Industrial cloud platform – Predix, 2016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 프레딕스, Industrial cloud platform – Predix, 2016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 프레딕스, Industrial cloud platform – Predix, 2016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GE코리아
 
GE의 스마트 공장, 생각하는 공장(Brilliant Factory) - 2016 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GE의 스마트 공장, 생각하는 공장(Brilliant Factory) - 2016 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GE의 스마트 공장, 생각하는 공장(Brilliant Factory) - 2016 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GE의 스마트 공장, 생각하는 공장(Brilliant Factory) - 2016 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GE코리아
 
산업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산업인터넷이란 무엇인가산업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산업인터넷이란 무엇인가
GE코리아
 
[GE Innovation Forum 2015] Technology Innovation at GE by Danielle Merfeld
[GE Innovation Forum 2015] Technology Innovation at GE by Danielle Merfeld[GE Innovation Forum 2015] Technology Innovation at GE by Danielle Merfeld
[GE Innovation Forum 2015] Technology Innovation at GE by Danielle Merfeld
GE코리아
 
GE RailConnect™ 360
GE RailConnect™ 360GE RailConnect™ 360
GE RailConnect™ 360
GE코리아
 
리더십 사관학교 GE크로톤빌 원장이 전하는 새로운 리더십
리더십 사관학교 GE크로톤빌 원장이 전하는 새로운 리더십리더십 사관학교 GE크로톤빌 원장이 전하는 새로운 리더십
리더십 사관학교 GE크로톤빌 원장이 전하는 새로운 리더십
GE코리아
 
Ge Presentation
Ge PresentationGe Presentation
Ge Presentation
Mcudworth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SeungMo Oh
 
경영의 미래[목차 체계도]
경영의 미래[목차 체계도]경영의 미래[목차 체계도]
경영의 미래[목차 체계도]장휴 유
 
System Management Reference Seminar(Nh Bank)
System Management Reference Seminar(Nh Bank)System Management Reference Seminar(Nh Bank)
System Management Reference Seminar(Nh Bank)xpert13
 
Fastest Sales Network in online TV commerce
Fastest Sales Network in online TV commerceFastest Sales Network in online TV commerce
Fastest Sales Network in online TV commerce
Hanwha System / ICT
 
The art of war
The art of warThe art of war
The art of war
대갑 김
 
Startup Mentalities and Big Business: The Truth No One Wants to Admit
Startup Mentalities and Big Business: The Truth No One Wants to AdmitStartup Mentalities and Big Business: The Truth No One Wants to Admit
Startup Mentalities and Big Business: The Truth No One Wants to Admit
Digiday
 
Unitas food delivery application(배달어플) business proposal
Unitas food delivery application(배달어플) business proposalUnitas food delivery application(배달어플) business proposal
Unitas food delivery application(배달어플) business proposal
Geun Seob Song
 
아킬레스 테스트 플랫폼 | The Achilles® Test Platform
아킬레스 테스트 플랫폼 | The Achilles® Test Platform아킬레스 테스트 플랫폼 | The Achilles® Test Platform
아킬레스 테스트 플랫폼 | The Achilles® Test Platform
GE코리아
 

Viewers also liked (20)

GE의 디지털 산업 변화 - GE's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Playbook
GE의 디지털 산업 변화 - GE's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PlaybookGE의 디지털 산업 변화 - GE's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Playbook
GE의 디지털 산업 변화 - GE's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Playbook
 
GE LV5 1500V 태양광 인버터(LV5 1500V Solar Inverter)
GE LV5 1500V 태양광 인버터(LV5 1500V Solar Inverter)GE LV5 1500V 태양광 인버터(LV5 1500V Solar Inverter)
GE LV5 1500V 태양광 인버터(LV5 1500V Solar Inverter)
 
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 프레딕스, Industrial cloud platform – Predix, 2016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 프레딕스, Industrial cloud platform – Predix, 2016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 프레딕스, Industrial cloud platform – Predix, 2016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 - 프레딕스, Industrial cloud platform – Predix, 2016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GE의 스마트 공장, 생각하는 공장(Brilliant Factory) - 2016 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GE의 스마트 공장, 생각하는 공장(Brilliant Factory) - 2016 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GE의 스마트 공장, 생각하는 공장(Brilliant Factory) - 2016 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GE의 스마트 공장, 생각하는 공장(Brilliant Factory) - 2016 스마트공장 국제 컨퍼런스
 
산업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산업인터넷이란 무엇인가산업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산업인터넷이란 무엇인가
 
[GE Innovation Forum 2015] Technology Innovation at GE by Danielle Merfeld
[GE Innovation Forum 2015] Technology Innovation at GE by Danielle Merfeld[GE Innovation Forum 2015] Technology Innovation at GE by Danielle Merfeld
[GE Innovation Forum 2015] Technology Innovation at GE by Danielle Merfeld
 
GE RailConnect™ 360
GE RailConnect™ 360GE RailConnect™ 360
GE RailConnect™ 360
 
리더십 사관학교 GE크로톤빌 원장이 전하는 새로운 리더십
리더십 사관학교 GE크로톤빌 원장이 전하는 새로운 리더십리더십 사관학교 GE크로톤빌 원장이 전하는 새로운 리더십
리더십 사관학교 GE크로톤빌 원장이 전하는 새로운 리더십
 
Ge Presentation
Ge PresentationGe Presentation
Ge Presentation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아이씨엔 매거진 Nov 2014.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 MAGAZINE
 
경영의 미래[목차 체계도]
경영의 미래[목차 체계도]경영의 미래[목차 체계도]
경영의 미래[목차 체계도]
 
nichia performer led strips english
nichia performer led strips englishnichia performer led strips english
nichia performer led strips english
 
led matrix catalog
led matrix catalogled matrix catalog
led matrix catalog
 
System Management Reference Seminar(Nh Bank)
System Management Reference Seminar(Nh Bank)System Management Reference Seminar(Nh Bank)
System Management Reference Seminar(Nh Bank)
 
Fastest Sales Network in online TV commerce
Fastest Sales Network in online TV commerceFastest Sales Network in online TV commerce
Fastest Sales Network in online TV commerce
 
The art of war
The art of warThe art of war
The art of war
 
Deloitt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Deloitt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Deloitt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Deloitte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tartup Mentalities and Big Business: The Truth No One Wants to Admit
Startup Mentalities and Big Business: The Truth No One Wants to AdmitStartup Mentalities and Big Business: The Truth No One Wants to Admit
Startup Mentalities and Big Business: The Truth No One Wants to Admit
 
Unitas food delivery application(배달어플) business proposal
Unitas food delivery application(배달어플) business proposalUnitas food delivery application(배달어플) business proposal
Unitas food delivery application(배달어플) business proposal
 
아킬레스 테스트 플랫폼 | The Achilles® Test Platform
아킬레스 테스트 플랫폼 | The Achilles® Test Platform아킬레스 테스트 플랫폼 | The Achilles® Test Platform
아킬레스 테스트 플랫폼 | The Achilles® Test Platform
 

Similar to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맥킨지 한국벤처 현황 및 문제해결
맥킨지 한국벤처 현황 및 문제해결 맥킨지 한국벤처 현황 및 문제해결
맥킨지 한국벤처 현황 및 문제해결
종목 신
 
Next 2013: Innovation and The Future (Post Conference Overview) Korean Version
Next 2013: Innovation and The Future (Post Conference Overview) Korean VersionNext 2013: Innovation and The Future (Post Conference Overview) Korean Version
Next 2013: Innovation and The Future (Post Conference Overview) Korean Version
Bernard Moon
 
GE코리아를 소개합니다.
GE코리아를 소개합니다.GE코리아를 소개합니다.
GE코리아를 소개합니다.
GE코리아
 
Beyond the Enterprise: Open innovation
Beyond the Enterprise: Open innovationBeyond the Enterprise: Open innovation
Beyond the Enterprise: Open innovation
SungHyuk Park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HRyon Lim
 
[KOTRA] 쿠빌_회사소개서
[KOTRA] 쿠빌_회사소개서[KOTRA] 쿠빌_회사소개서
[KOTRA] 쿠빌_회사소개서
startupkorea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Mike 김일영
 
특강 안내 미래 Ict 트렌드 따라잡기
특강 안내   미래 Ict 트렌드 따라잡기특강 안내   미래 Ict 트렌드 따라잡기
특강 안내 미래 Ict 트렌드 따라잡기
SB Consulting
 
[제6회 앙트십 코리아] 2-2. 박유진 - Real Open Innovation
[제6회 앙트십 코리아] 2-2. 박유진 - Real Open Innovation[제6회 앙트십 코리아] 2-2. 박유진 - Real Open Innovation
[제6회 앙트십 코리아] 2-2. 박유진 - Real Open Innovation
StartupAlliance
 
KAIST TBIC Overview
KAIST TBIC OverviewKAIST TBIC Overview
KAIST TBIC Overview
Lee Jongsuk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더게임체인저스
 
STRONG KOREA 20130609
STRONG KOREA 20130609STRONG KOREA 20130609
STRONG KOREA 20130609
Leo Kim
 
28th brochure
28th brochure28th brochure
28th brochurenceo
 
B2B FORUM 2016 소개서
B2B FORUM 2016 소개서 B2B FORUM 2016 소개서
B2B FORUM 2016 소개서
Lilly Chun
 
value@bsc
value@bscvalue@bsc
value@bsc
Woongseok Yun
 
kor_CorpIntroduction_22Q3_DS_v6.1.1.pdf
kor_CorpIntroduction_22Q3_DS_v6.1.1.pdfkor_CorpIntroduction_22Q3_DS_v6.1.1.pdf
kor_CorpIntroduction_22Q3_DS_v6.1.1.pdf
ssuser6c8b3a
 
Gew2009 행사개요 091101
Gew2009 행사개요 091101Gew2009 행사개요 091101
Gew2009 행사개요 091101
Jin-Young Kang
 
WevioKorea 회사소개서
WevioKorea 회사소개서WevioKorea 회사소개서
WevioKorea 회사소개서
Weviokorea
 

Similar to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20)

맥킨지 한국벤처 현황 및 문제해결
맥킨지 한국벤처 현황 및 문제해결 맥킨지 한국벤처 현황 및 문제해결
맥킨지 한국벤처 현황 및 문제해결
 
Next 2013: Innovation and The Future (Post Conference Overview) Korean Version
Next 2013: Innovation and The Future (Post Conference Overview) Korean VersionNext 2013: Innovation and The Future (Post Conference Overview) Korean Version
Next 2013: Innovation and The Future (Post Conference Overview) Korean Version
 
GE코리아를 소개합니다.
GE코리아를 소개합니다.GE코리아를 소개합니다.
GE코리아를 소개합니다.
 
Beyond the Enterprise: Open innovation
Beyond the Enterprise: Open innovationBeyond the Enterprise: Open innovation
Beyond the Enterprise: Open innovation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KOTRA] 쿠빌_회사소개서
[KOTRA] 쿠빌_회사소개서[KOTRA] 쿠빌_회사소개서
[KOTRA] 쿠빌_회사소개서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Lean startup Korea Introduction
 
특강 안내 미래 Ict 트렌드 따라잡기
특강 안내   미래 Ict 트렌드 따라잡기특강 안내   미래 Ict 트렌드 따라잡기
특강 안내 미래 Ict 트렌드 따라잡기
 
[제6회 앙트십 코리아] 2-2. 박유진 - Real Open Innovation
[제6회 앙트십 코리아] 2-2. 박유진 - Real Open Innovation[제6회 앙트십 코리아] 2-2. 박유진 - Real Open Innovation
[제6회 앙트십 코리아] 2-2. 박유진 - Real Open Innovation
 
KAIST TBIC Overview
KAIST TBIC OverviewKAIST TBIC Overview
KAIST TBIC Overview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STRONG KOREA 20130609
STRONG KOREA 20130609STRONG KOREA 20130609
STRONG KOREA 20130609
 
28th brochure
28th brochure28th brochure
28th brochure
 
B2B FORUM 2016 소개서
B2B FORUM 2016 소개서 B2B FORUM 2016 소개서
B2B FORUM 2016 소개서
 
value@bsc
value@bscvalue@bsc
value@bsc
 
kor_CorpIntroduction_22Q3_DS_v6.1.1.pdf
kor_CorpIntroduction_22Q3_DS_v6.1.1.pdfkor_CorpIntroduction_22Q3_DS_v6.1.1.pdf
kor_CorpIntroduction_22Q3_DS_v6.1.1.pdf
 
P&G
P&GP&G
P&G
 
화폐와행복 07+08 웹
화폐와행복 07+08 웹화폐와행복 07+08 웹
화폐와행복 07+08 웹
 
Gew2009 행사개요 091101
Gew2009 행사개요 091101Gew2009 행사개요 091101
Gew2009 행사개요 091101
 
WevioKorea 회사소개서
WevioKorea 회사소개서WevioKorea 회사소개서
WevioKorea 회사소개서
 

More from GE코리아

GE 2021 지속가능성 보고서 - 래리 컬프 GE 회장 서한
GE 2021 지속가능성 보고서 - 래리 컬프 GE 회장 서한GE 2021 지속가능성 보고서 - 래리 컬프 GE 회장 서한
GE 2021 지속가능성 보고서 - 래리 컬프 GE 회장 서한
GE코리아
 
Proficy Historian & Operations Hub - 통합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Proficy Historian & Operations Hub - 통합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Proficy Historian & Operations Hub - 통합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Proficy Historian & Operations Hub - 통합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GE코리아
 
Proficy CSense 글로벌 고객 경험 및 사례 연구
Proficy CSense 글로벌 고객 경험 및 사례 연구Proficy CSense 글로벌 고객 경험 및 사례 연구
Proficy CSense 글로벌 고객 경험 및 사례 연구
GE코리아
 
GE디지털 제품 브로슈어 (2022년)
GE디지털 제품 브로슈어 (2022년)GE디지털 제품 브로슈어 (2022년)
GE디지털 제품 브로슈어 (2022년)
GE코리아
 
에너지의 미래 - GE가스파워 백서
에너지의 미래 - GE가스파워 백서에너지의 미래 - GE가스파워 백서
에너지의 미래 - GE가스파워 백서
GE코리아
 
GE Additive Korea 금속 3D 프린팅 사업 안내
GE Additive Korea 금속 3D 프린팅 사업 안내GE Additive Korea 금속 3D 프린팅 사업 안내
GE Additive Korea 금속 3D 프린팅 사업 안내
GE코리아
 
How to Uncover Successful Additive Applications that Lead to Profitable Growth
How to Uncover Successful Additive Applications that Lead to Profitable GrowthHow to Uncover Successful Additive Applications that Lead to Profitable Growth
How to Uncover Successful Additive Applications that Lead to Profitable Growth
GE코리아
 
LOGIQ E10 초음파
LOGIQ E10 초음파LOGIQ E10 초음파
LOGIQ E10 초음파
GE코리아
 
GE Additive, 21st century Paradigm Shifter - Use cases in GE
GE Additive, 21st century Paradigm Shifter - Use cases in GEGE Additive, 21st century Paradigm Shifter - Use cases in GE
GE Additive, 21st century Paradigm Shifter - Use cases in GE
GE코리아
 
GE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원활한 전력운영 지원
GE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원활한 전력운영 지원GE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원활한 전력운영 지원
GE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원활한 전력운영 지원
GE코리아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GE Digital 사장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GE Digital 사장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GE Digital 사장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GE Digital 사장
GE코리아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임채성 한국 인더스트리4.0협회장 및 건국대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교수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임채성 한국 인더스트리4.0협회장 및 건국대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교수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임채성 한국 인더스트리4.0협회장 및 건국대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교수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임채성 한국 인더스트리4.0협회장 및 건국대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교수
GE코리아
 
GE는 어떻게 차기 CEO를 선출하는가
GE는 어떻게 차기 CEO를 선출하는가GE는 어떻게 차기 CEO를 선출하는가
GE는 어떻게 차기 CEO를 선출하는가
GE코리아
 
GE 글로벌 파워플랜트 분석 보고서
GE 글로벌 파워플랜트 분석 보고서GE 글로벌 파워플랜트 분석 보고서
GE 글로벌 파워플랜트 분석 보고서
GE코리아
 
GE디지털 월드테크 브로셔(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 브로셔(GE Digital Wurldtech)GE디지털 월드테크 브로셔(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 브로셔(GE Digital Wurldtech)
GE코리아
 
GE디지털 월드테크(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GE Digital Wurldtech)GE디지털 월드테크(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GE Digital Wurldtech)
GE코리아
 
HMI/SCADA 리스크 감소
HMI/SCADA 리스크 감소HMI/SCADA 리스크 감소
HMI/SCADA 리스크 감소
GE코리아
 
GE iFIX
GE iFIXGE iFIX
GE iFIX
GE코리아
 
GE Cimplicity
GE CimplicityGE Cimplicity
GE Cimplicity
GE코리아
 
운영기술용 사이버 보안 핵심 가이드 | 월드테크(Wurldtech)
운영기술용 사이버 보안 핵심 가이드 | 월드테크(Wurldtech)운영기술용 사이버 보안 핵심 가이드 | 월드테크(Wurldtech)
운영기술용 사이버 보안 핵심 가이드 | 월드테크(Wurldtech)
GE코리아
 

More from GE코리아 (20)

GE 2021 지속가능성 보고서 - 래리 컬프 GE 회장 서한
GE 2021 지속가능성 보고서 - 래리 컬프 GE 회장 서한GE 2021 지속가능성 보고서 - 래리 컬프 GE 회장 서한
GE 2021 지속가능성 보고서 - 래리 컬프 GE 회장 서한
 
Proficy Historian & Operations Hub - 통합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Proficy Historian & Operations Hub - 통합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Proficy Historian & Operations Hub - 통합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Proficy Historian & Operations Hub - 통합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관리
 
Proficy CSense 글로벌 고객 경험 및 사례 연구
Proficy CSense 글로벌 고객 경험 및 사례 연구Proficy CSense 글로벌 고객 경험 및 사례 연구
Proficy CSense 글로벌 고객 경험 및 사례 연구
 
GE디지털 제품 브로슈어 (2022년)
GE디지털 제품 브로슈어 (2022년)GE디지털 제품 브로슈어 (2022년)
GE디지털 제품 브로슈어 (2022년)
 
에너지의 미래 - GE가스파워 백서
에너지의 미래 - GE가스파워 백서에너지의 미래 - GE가스파워 백서
에너지의 미래 - GE가스파워 백서
 
GE Additive Korea 금속 3D 프린팅 사업 안내
GE Additive Korea 금속 3D 프린팅 사업 안내GE Additive Korea 금속 3D 프린팅 사업 안내
GE Additive Korea 금속 3D 프린팅 사업 안내
 
How to Uncover Successful Additive Applications that Lead to Profitable Growth
How to Uncover Successful Additive Applications that Lead to Profitable GrowthHow to Uncover Successful Additive Applications that Lead to Profitable Growth
How to Uncover Successful Additive Applications that Lead to Profitable Growth
 
LOGIQ E10 초음파
LOGIQ E10 초음파LOGIQ E10 초음파
LOGIQ E10 초음파
 
GE Additive, 21st century Paradigm Shifter - Use cases in GE
GE Additive, 21st century Paradigm Shifter - Use cases in GEGE Additive, 21st century Paradigm Shifter - Use cases in GE
GE Additive, 21st century Paradigm Shifter - Use cases in GE
 
GE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원활한 전력운영 지원
GE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원활한 전력운영 지원GE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원활한 전력운영 지원
GE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EMS),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원활한 전력운영 지원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GE Digital 사장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GE Digital 사장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GE Digital 사장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빌 루 GE 최고디지털책임자 겸 GE Digital 사장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임채성 한국 인더스트리4.0협회장 및 건국대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교수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임채성 한국 인더스트리4.0협회장 및 건국대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교수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임채성 한국 인더스트리4.0협회장 및 건국대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교수
GE 이노베이션 포럼 2017 LIVE 발표자료 - 임채성 한국 인더스트리4.0협회장 및 건국대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교수
 
GE는 어떻게 차기 CEO를 선출하는가
GE는 어떻게 차기 CEO를 선출하는가GE는 어떻게 차기 CEO를 선출하는가
GE는 어떻게 차기 CEO를 선출하는가
 
GE 글로벌 파워플랜트 분석 보고서
GE 글로벌 파워플랜트 분석 보고서GE 글로벌 파워플랜트 분석 보고서
GE 글로벌 파워플랜트 분석 보고서
 
GE디지털 월드테크 브로셔(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 브로셔(GE Digital Wurldtech)GE디지털 월드테크 브로셔(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 브로셔(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GE Digital Wurldtech)GE디지털 월드테크(GE Digital Wurldtech)
GE디지털 월드테크(GE Digital Wurldtech)
 
HMI/SCADA 리스크 감소
HMI/SCADA 리스크 감소HMI/SCADA 리스크 감소
HMI/SCADA 리스크 감소
 
GE iFIX
GE iFIXGE iFIX
GE iFIX
 
GE Cimplicity
GE CimplicityGE Cimplicity
GE Cimplicity
 
운영기술용 사이버 보안 핵심 가이드 | 월드테크(Wurldtech)
운영기술용 사이버 보안 핵심 가이드 | 월드테크(Wurldtech)운영기술용 사이버 보안 핵심 가이드 | 월드테크(Wurldtech)
운영기술용 사이버 보안 핵심 가이드 | 월드테크(Wurldtech)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 1.
  • 2.
  • 3. GE Innovation Forum 2016 Innovation Breakthrough for Korea Inc.
  • 4.
  • 5.
  • 6. © GE Korea Communication, Apr 2016
  • 7. CO N TENTS 008 인사말 012 행사 안내 016 발표자 소개 02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 한국 082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동물적 감각으로 혁신에 투자하라! 혁신하거나 사라지거나 09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8. Opening Remarks8 21세기 한국 기업의 지속 성장의 길을 함께 모색하는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에 오신 것을 환영합 니다. GE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글로벌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아 ‘주식회사 한국’의 혁신 돌파 아이디어를 논 의 모색할 ‘GE이노베이션 포럼2016’을 개최합니다. 이 행사는 GE가 실시한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조사에 나타난 한국 기업의 혁신 추진 현황을 배경으로, 한국이 당면한 혁신 과제 해결을 위해 GE의 글 로벌 리더와 국내외 파트너들이 함께 지혜를 모으는 자리입니다. 글로벌 경제 상황은 매 순간 치열하고 급박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이 경쟁에서 훌륭하게 산업 경쟁력을 혁신하고, 세계의 산업과 경제 부문을 재선도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잠재된 가능성을 최대 한 발휘해야 하는 때입니다. GE는 디지털 혁신이 바로 그 열쇠라고 생각합니다. GE는 에디슨이 창업한 이래 138년 동안 끊임 없는 자기 혁신을 통해 기술, 인재, 시장에서 세계적인 경 쟁력을 바탕으로 산업계를 선도해 오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1976년부터 GE코리아의 출범 이래 한 국 경제 성장의 믿을 수 있는 동반자였습니다. 오늘날, 견고한 듯 보였던 여러 산업 간의 장벽이 허물어 지며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때, GE는 디지털 산업 기업(The Digital Industrial Company)으 ‘주식회사 한국’의 혁신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글로벌 패러다임 전환기를 함께 돌파합시다
  • 9. GE Innovation Forum 2016 9 로 거듭나며 전력, 항공, 에너지, 헬스케어, 조명 등 인프라 산업의 미래를 디지털 혁신으로 바꾸고 있 습니다. 저희는 그 혁신의 비결을 한국의 파트너들과 공유하여 한국 제조업의 재도약에 함께 하고 싶습 니다. 한국 기업의 핵심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지난해에 이어 마련된 GE이노베이션 포럼 2016에 기쁜 마음으로 귀하를 초대합니다. 강성욱 GE코리아 총괄사장
  • 10. Welcome to ‘GE Innovation Forum 2016’, a collaborative event where we invite our Korean partners to explore idea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industries in the 21st century. ‘GE Innovation Forum 2016’ seeks breakthrough innovations for Korea Inc. as the world en- ters a new paradig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leaders from GE and Korea have joined in the forum to look into Korea’s current status in innovation and the key challenges the country faces that were found from the comprehensive global research, the ‘GE Global Inno- vationBarometer2016’.WewillalsoshareideasandinsightsonhowKoreacanaddressthose challenges and trigger innovation, especially by utilizing the Industrial Internet in the manufac- turing sector. The global economy is changing at an unprecedented speed. For Korea to be at the forefront of innovation and lead the world’s industry and economy, we need to maximize our potential. GE believes digital innovation is the key. Founded by Edison, GE has been leading the industry for over 138 years by driving innovation in the industrial world. In Korea, GE has been a long-term trustful partner for Korea’s economic growth since its launch in 1976. Today, the barriers between industries that once seemed stur- Opening Remarks10 Please join us on our journey in pursuing innovations for Korea Inc. to create a breakthrough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11. dy are breaking down, and uncertainty in the market is greater than ever. Under such times of uncertainty and volatility, GE is transforming into a Digital Industrial Company and leading the future of the energy, aviation, healthcare, lighting, and other infra industries with digital innovations. GE hopes to share the key to these innovations with Korean partners. Please join us at ‘GE In- novation Forum 2016’, organized to support Korea and Korean companies on their journey to- wards bolstering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driving the growth of both Korea and the global economy. Chris Khang President & CEO of GE Korea GE Innovation Forum 2016 11
  • 12. GE이노베이션포럼 2016 2016년 4월 15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Programme12
  • 13. 오프닝 세션 09:00 ~ 10:10 10:10 ~ 10:50 기조 세션 21세기 기업 경쟁력과 혁신의 대전환 ◦ GE의 혁신 – 디지털 산업 기업 제프 이멜트(Jeff Immelt), GE 회장 및 최고경영자 좌담: 김도훈(DoHoon Kim), 산업연구원 원장 혁신 – 주식회사 한국 돌파의 핵심 동력 ◦ GE의 글로벌 및 한국 혁신 지표 조사 결과 앙투앙 하라리(Antoine Harary), 에델만 인텔리전스 글 로벌 총괄 ◦ 한국 기업 혁신의 과제와 대안 최원식(Wonsik Choi),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 모더레이터: 김남국(Namkuk Kim), 동아비즈니스리뷰 & 하 버드 비즈니스리뷰 코리아 편집장 종합 세션 산업인터넷 –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파괴적 혁신 ◦ 산업 고객의 경쟁 우위와 GE의 디지털 전략 마크 쉐퍼드(Mark Sheppard), GE 디지털 아태지역 총 괄 겸 최고커머셜책임자 좌담: 이병태(Byungtae Lee), KAIST 경영대 교수 11:00 ~ 12:00 GE Innovation Forum 2016 13
  • 14. GEInnovationForum 2016 15 Apr 2016 Grand InterContinental Seoul Parnas Programme14
  • 15. Opening Session 09:00 ~ 10:10 10:10 ~ 10:50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 Transfor- mative Innovation ◦ GE- The Digital Industrial Company Jeff Immelt, Chairman & CEO, GE # DoHoon Kim, President of KIET(Korea Institute for In- dustrial Economics & Trade) Innovation, key driver for breakthrough Korea Inc. ◦ Innovation, key driver for breakthrough Korea Inc. Antoine Harary, Global Managing Director, Edelman Intelligence ◦ Driving innovation - the challenges and opportu- nities for Korean companies Wonsik Choi, Country Head / Senior Partner, McK- insey&Company Korea # Moderar: Namkuk Kim, Editor-in-Chief, Donga Business Review & Harvard Business Review KOREA Industrial Internet, disruptive innov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Vision and strategy of GE Digital for industrial cus- tomers Mark Sheppard, APAC Commercial Leader, GE Digital # Byungtae Lee,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KAIST Keynote Session Plenary Session GE Innovation Forum 2016 15 11:00 ~ 12:00
  • 16.
  • 18. 강성욱(Chris Khang) 사장은 2012년 1월 GE코리아 총괄 대표이사 및 사장으로 취임했다. 강성욱 사장은 한국 시장 에서 GE의 전사 성장 전략을 선도하고, 사업 부문과의 긴밀 한 협력과 시너지를 통해 GE의 중대한 성장을 이끌고 있다. 또한 조직, 인력, 문화 및 운영 시스템의 고도화 등 경영 전 반에 걸쳐 변화를 주도해 나가고 있다. 강성욱 사장은 시스코시스템즈의 기업 및 커머셜 사업부 아 시아 태평양 지역 사장으로서 40억 달러 이상 규모의 ‘엔터 프라이즈’ 사업을 이끌었다. 2002년부터 시스코시스템즈 에 근무하며 한국을 포함, 아시아 지역의 성장을 주도하는 여러 중책을 맡았다. 또한, 강 사장은 한국 HP에서 엔터프 라이즈 시스템 사업 담당 사장, 컴팩코리아 대표이사, 탠덤 컴퓨터 북아시아 사장 등 주요 다국적 기업에서 요직을 역 임했다. 글로벌 영업 및 마케팅 분야에서 높은 성과와 전문 성이 입증된 강 사장은 1985년 한국 IBM의 공공기관 사 업부에서 시스템 엔지니어로 본격적인 커리어를 시작했다. 강 사장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MIT 슬 론 경영대학원에서 석사학위(MBA)를 취득했다. Chris Khang, President & CEO of GE Korea, is driv- ing one GE initiative by closely working with all the business leaders in Korea to accelerate GE’s organic and inorganic growth, build compliance rigor, devel- op leadership capability and enhance GE’s reputa- tion in Korea. Prior to the nomination as President and CEO of GE Korea in 2012, Mr. Khang has held several senior roles in Cisco over the years, with his most recent being the President of Cisco’s Enterprise and Com- mercial business in Asia Pacific, Japan and Greater China in 2011. Earlier, he was Vice President of Asia region, covering Korea, Taiwan, ASEAN and Indochi- na. He also headed the North Asia Operations and Sales Operations in Asia Pacific. Before joining Cisco, he was General Manager, Enterprise Systems Group for Hewlett-Packard in Korea. Prior to HP’s merger with Compaq, he was Compaq’s Managing Director of Korean Operations and, before that, he served with Tandem Computers as Regional Managing Di- rector for East Asia Operations based in Hong Kong. He started his career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with IBM in 1984. Mr. Khang earned a Bachelor of Art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n MBA from the Sloan School of Management at M.I.T. in the United States. 강성욱 | GE코리아 총괄사장 Speakers’ Profiles18
  • 19. 앙투앙 하라리 대표는 시장의 정보와 통찰력을 바탕으로 효 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이해관계자 소통 전략을 제시하는 전문가다. 하라리 대표는 2007년 에델만에 합류해 에델만 벌랜드의 파리 지사를 설립했으며, 이후 그는 2012년 에델 만 벌랜드 유럽 총괄로 임명되어 유럽 및 아시아태평양 전역 을 총괄하는 책임을 맡았다. 현재 하라리 대표는 에델만 벌랜 드의 새로운 브랜드인 에델만 인텔리전스를 이끌고 있으며, 고객 및 파트너를 위한 리서치, 인사이트, 분석 업무의 통합 을 주도하고 있다. 그는 150여 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팀을 이끌며, 50개국 이상 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리서치 및 컨설팅 프로젝트를 총괄하 고 있다. 전세계 27개국을 대상으로 혁신의 견인 요소와 정책 에 대한 글로벌 인식을 조사하는 ‘GE글로벌혁신지표’ 보고서 를 개발했으며, 올해로 5년째 진행하고 있다. 에델만 벌랜드에서 근무하는 지난 10년간 EU(유럽연합), 유 럽공동체상표청(OHIM) 등 다양한 공공 기관의 컨설팅을 맡 았다. 또 GE를 비롯해 애비브, 마이크로소프트, 토탈, PSA 푸 조 시트로엥, 리치몬드, 모엣 헤네시, RDF, 스타벅스, 쉘, 페 라로, 유니레버 등 업계를 선도하는 다양한 기업들과 일했다. 하라리 대표는 2005년부터 소르본대학 등 여러 대학원에서 객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소르본대학(CELSA)에서 국제PR학 석사, 엑상프로방스 정 치학교(Science Po Aix)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Antoine Harary, Global Managing Director, Edel- man Intelligence, is an expert in using insight and market intelligence to design effective communica- tions and stakeholder engagement strategies. An- toine joined the Edelman Group in 2007 to establish and develop the Paris office of Edelman Berland. In 2012, he was appointed to Head of Edelman Berland Europe, the first regional lead overseeing the entire Europe and APAC operation. Now, Antoine leads the business under the new brand, Edelman Intelligence, driving the integration between research, insight, and analytics for the Edelman network. With his team of over 150 business intelligence ex- perts, he manages international research and con- sulting projects across more than 50 countries. His client portfolio is composed of international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cluding, General Elec- tric - for which he created a Global Observatory of Innovation Drivers and Policies, The GE Global Inno- vation Barometer now in its 5th year and covering 27 International markets During his tenure at Edelman Berland, Antoine con- sulted for various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the Eu- ropean Union / OHIM. He also worked for a diversity industry leaders including - Abbvie, Microsoft, TOTAL, PSA PEUGEOT CITROEN, Richemont, Moet Hennessy, GRDF, Starbucks, Shell, Ferrero and Unilever. Since 2005, Antoine has been a guest lecturer at various universities including La Sorbonne University (CELSA)- where he teaches classes at Masters Level. Antoine holds two master's degrees: International PR (CELSA /Sorbonne), and Political Sciences (Science Po Aix). 앙투앙 하라리 | 에델만 인텔리전스 글로벌 총괄 GE Innovation Forum 2016 19
  • 20. 최원식 맥킨지 한국사무소(서울사무소) 대표는 또한 맥킨 지 아시아 전략 프랙티스 및 맥킨지 아시아 센터 리더를 맡 고 있다. 최원식 대표는 한국 및 아시아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 장하는 것을 돕고, 한국 및 아시아 기업들의 해외 M&A 및 PMI를 지원했다. 그리고 혁신적인 기술을 가진 신흥 한국기 업이 성공 기회를 잡도록 도움을 주며, 업계 리더가 될 가능 성을 갖춘 중소기업의 성장에 관심을 갖고 있다. 2013년 4월, 1998년에 이어 15년 만에 발표된 <맥킨지 제2차 한국보고서: 신 성장공식>에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민경제 자 문회의에서 창조경제 분과장을 맡았다. 또한 미래창조과학 부의 창조경제 평가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맥킨지에 앞서 B2B 이커머스 벤처기업을 창업, 경영했으 며, 미국 Honeywell사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기계/항공우주 학사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Wharton 경영대학원에서 재무전공 MBA를 받 았다. Wonsik Choi is a Senior Partner of McKinsey & Company and heads the Korean Office. He is a leader of McKinsey’s Asia Strategy and Corporate Finance Practice and Advanced Industries Practice. Areas of his specialization and experiences include: - Supporting Asian companies on their journey to become global champions - Advising Asian companies on cross-border M&A and PMI issues - Helping Korean companies capture opportuni- ties emerging from disruptive technologies - Helping mid-tier Korean companies to become industry leaders Wonsik co-authored McKinsey’s Korea report: Be- yond Korean Style – Shaping a New Growth Formu- la, which was published in April 2013. From 2013 to 2015, Wonsik served in the National Economic Ad- visory Council, which is an advisory entity stipul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In the Council, he led the subcommittee that was responsible for aiding the President in implementing a ‘creative economy’. He also headed the Creative Economy Assessment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Prior to McKinsey, Wonsik headed an entrepreneur- ial venture and also worked as an engineer at Hon- eywell. Wonsik holds a BSE degree in Mechanical and Aero- space Engineering from Princeton University and an MBA in Finance from The Wharton School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최원식 |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 20 Speakers’ Profiles
  • 21. 김남국 편집장은 DBR(동아비즈니스리뷰)와 HBR KOREA (하버드 비즈니스리뷰 코리아)에서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 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국제경영 박사학위를 취 득했으며 개방형 혁신, 협력적 혁신, 중소기업 혁신, 글로벌 전략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R&D Management’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실었다. 현재까지 기업 전략과 혁신 방법론 등을 다룬 6권의 책을 저술했다. 1995년부터 지금까지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9년 씨티언론인대상, 215회 이달의기자상 등 을 수상했다. Namkuk Kim currently serves as Editor-in-Chief of DBR (Donga Business Review) and Harvard Business Review KOREA. He received his doctor- al degree in international business from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Yonsei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are mostly on open innova- tion, collaborative innovation, innovation in SMEs, and global strategy, and his research work has been published in ‘R&D Management’ and several other journals. He wrote 6 books mainly about cor- porate strategy and innovation methods. He has been working as a journalist since 1995, and he was named the winner of the 2009 Citi Journalistic Ex- cellence Awards and 215th Journalist of the Month Awards. 김남국 | 동아비즈니스리뷰 & 하버드 비즈니스리뷰 코리아 편집장 GE Innovation Forum 2016 21
  • 22. 제프리 이멜트 회장은 1982년 GE입사 후 GE플라스틱, 가 전, 의료사업 등에서 글로벌 리더십 역할을 수행했다. 이멜 트 회장은 1989년 GE의 오피서(Officer)에 선임되었으며, 1997년에는 GE캐피털의 이사회 멤버가 되었다. 2000년 GE의 사장 및 최고경영자(CEO), 2001년 9월 회장 및 최고 경영자(CEO)에 임명되었다. ‘배런스’는 이멜트 회장을 "세계 최고의 CEO"로 세 번 지명 한 바 있으며, GE는 이멜트 회장 선임 이후 ‘포춘’의 "미국 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과 ‘배런스’와 ‘파이낸셜타임즈’의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에 선정되었다. 이멜트 회장은 오바마 행정부의 일자리·경쟁력 위원회 의장 을 역임했으며, 미국 예술 및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다.   1978년 다트머스대학에서 응용 수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 고, 1982년 하버드대학교의 MBA를 마쳤다. 부인과 한 명 의 딸이 있다. Jeffrey R. Immelt, Chairman and CEO of GE, has held several global leadership positions since com- ing to GE in 1982, including roles in GE's Plastics, Appliances, and Healthcare businesses. In 1989 he became an officer of GE and joined the GE Capital Board in 1997. A couple years later, in 2000, Mr. Im- melt was appointed president and chief executive officer. Mr. Immelt has been named one of the "World's Best CEOs" three times by ‘Barron's’, and since he began serving as chief executive officer, GE has been named "America's Most Admired Company" in a poll conducted by ‘Fortune magazine’ and one of "The World's Most Respected Companies" in polls by ‘Barron's’ and ‘the Financial Times’. Mr. Immelt was the chair of President Obama's Council on Jobs and Competitiveness. He is a mem- ber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Mr. Immelt earned a B.A. degree in applied math- ematics from Dartmouth College in 1978 and an M.B.A. from Harvard University in 1982. He and his wife have one daughter. 제프리 이멜트 | GE 회장 및 최고경영자 22 Speakers’ Profiles
  • 23. 김도훈 원장은 한국 산업경제정책 싱크탱크인 산업연구원 의 수장이다. 산업연구원의 원장으로 취임하기 전, 1979년 부터 2013년 5월까지 산업연구원 연구본부장, 동향분석실 장, 산업정책실장, 국제산업협력실장 등의 다양한 리더십 역할을 역임했다. 1997년 9월부터 1999년 9월까지 OECD 파리에서 무역국 수석행정관으로 근무했고, 워싱턴 대학의 IERI에서 객원 연 구원으로 근무했다. 김도훈 원장은 동반성장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의 재정정 책자문회의 민간위원, 고용노동부의 고용정책심의회 위원, 국방부․ 산업부의 국방산업발전협의회 자문위원, 교육과학 기술부의 인재포럼(Global HR Forum) 자문위원, 기획재 정부의 세제발전심의위원회 민간위원 등 다수의 정부 정책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실적으로는 <한국경제 60년사-산업>(한국개발 연구원, 2010년 12월), <한미·한EU FTA의 제조업에 미치 는 영향>(KIET 연구보고서, 2011년 12월) 등이 있다. Kim, Dohoon is the President of the Korea Insti- 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KIET), one of Korea’s public economic think tanks. Before being appointed as President of KIET, he worked as director of several research divisions in KIET, such as Division of Current Survey and Forecasting, Di- vision of Industrial Policy and Division of Industrial Cooperation and Globalization and served as Vice President for Research, spanning the years from 1979 through May 2013. He was detached from KIET to work for the OECD in Paris as principal administrator at the Trade Di- rectorate between September 1997 and September 1999. He worked for IERI at University of Washing- ton as a visiting scholar. He has been also members for many government policy advisory committees. His major publications include “Six Decades of Korea’s Industrial Devel- opment, KDI, December 2010” and “An Impact Analysis of the Korea-US FTA and Korea-EU FTA on Korea’s Manufacturing Industries, KIET, December 2011”. 김도훈 | 산업연구원 원장 GE Innovation Forum 2016 23
  • 24. 마크 쉐퍼드 | GE디지털 아태지역 총괄 겸 최고커머셜책임자 24 마크 쉐퍼드는 GE의 소프트웨어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새로운 사업조직인 GE디지털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책 임지고 있다. GE호주-뉴질랜드, GE글로벌 마이닝(Global Mining)의 최고정보책임자(CIO)를 역임했으며, 가장 빠르 게 성장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에너지, 오일앤가스, 항공, 헬스케어, 파이낸셜 서비스 등 GE의 다양한 산업 분 야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과 비전을 담당해왔다. 마크 쉐퍼드는 GE에 입사하기 이전에는 인공지능 (신경망 응용)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후 영국에서 컴퓨터 과 학을 강의했다. GE디지털은 기계에서 발생되는 엄청나 규모의 데이터를 막강한 분석 기술 및 사람과 서로 연결한다. 산업 기업들 에 가치 있는 통찰을 제공하여 산업 자산 관리와 운영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 재들과 소프트웨어 역량을 보유한 GE는 디지털 산업 변혁 을 견인하며 생산성, 유용성, 지속성 등의 측면에서 큰 개 선을 제공한다. GE는 산업 수준에서 요구되는 안전성과 보 안성을 갖춘 산업용 클라우드 플랫폼인 프레딕스를 활용하 여 지원한다. Mark is the General Manager and Chief Commer- cial Officer in the Asia Pacific Region of GE Digital, which is a newly formed business that drives the development and delivery of GE's software strategy across the company. Prior to this new role, he was the Chief Information Officer (CIO) for GE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s well as the CIO for GE Global Mining. Mark drives the strategy and vision for how technology supports the growth of GE’s Energy, Oil and Gas, Aviation, Healthcare and Financial Services businesses in one of the company’s largest and fastest growing regions. Prior to joining GE, Mark lectured in Computer Sci- ence in the UK, after having completed his PhD studi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specializing in the use of Neural Network. GE Digital connects streams of machine data to powerful analytics and people, providing industrial companies with valuable insights to manage assets and operations more efficiently. World-class talent and software capabilities driving digital industrial transformation for big gains in productivity, avail- ability and longevity. We do this by leveraging Pre- dix, our industrial cloud platform purpose built for the demanding safety & security needs of industri- als. Speakers’ Profiles
  • 25. 이병태 교수는 2001년 7월부터 현재까지 KAIST 경영대 교 수로 재직 중이다. 2014년 11월부터는 KAIST 청년창업투 자지주 주식회사의 대표 이사를 맡고 있기도 하다. 그 외에 도 SK 사회적기업 연구센타 센터장, 사회책임연구센터장, 디지털 경제 및 서비스 혁신연구센터장 등을 겸직하고 있다. KAIST에서 경영대학 부학장(2010.1- 2011.6), 테크노 경영연구소장(2011.7-2013.7), 경영대학 학장(2011.7- 2013.7) 등을 맡았었다. 미국 시카고의 일리노이주립대학 에서 경영대학 부교수(1998.8-2002.09)를, 아리조나주립 대학에서 경영대학 조교수(1994.6-1999.6)로 근무했었다.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신도리코에서 전산팀장(CIO) 및 신규사업팀장으로 일하였다. 이병태 교수는 1983년 서울대학교 공학학사(전공 산업공 학)를, 1985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석사(전공 경영과 학)를, 1994년 미국 오스틴의 텍사스주립대학에서 경영학 박사(전공 MIS,부전공 경제학)를 받았다. • CEO of KAIST Venture Investment Holdings, 2014.11-Present •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KAIST, 2001.7-Pres- ent - Director of SK Center for Social Entrepreneur- ship (Present) - Director of Research Center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esent) - Director of Research Center on Digital Economy and Innovation (Present) - Dean of College of Business, 2011.7- 2013.7 - Director of Techno Management Institute, 2011.7-2013.7 - Associate Dean of Academic Affairs, 2010.1- 2011.6 - Dean of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2010.1-2011.6 •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Admin- istration,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1998.8-2002.09 - Ph.D. Director 1999-2000 •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Admin- stration, The University of Arizona, 1994.6-1999.6 • CIO and General Manager of Business Planning, SindoRicoh 1985.3-1994.6 이병태 | KAIST 경영대 교수 GE Innovation Forum 2016 25
  • 2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26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한국
  • 27. 27 올해로 5년째 발표하는 GE글로벌혁신지 표(Global Innovation Barometer)는 세 계 각 기업의 혁신 담당 고위 임원(Senior Innovation Executive)을 대상으로 진행하 는 글로벌 리서치이다. 특히, 이번에는 전세 계 23개국의 기업임원 외에도 13개국의 여 론주도층(Informed Public)의 의견을 추가로 취합하였다. 이 지표는 혁신 담당 임원과 여론주도층, 두 주체의 의견을 통해, 복잡하고 글로벌한 환경 속에서 혁신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개별 국가들은 자국이 발전시킨 혁 신 체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 색한다. 또한, 이 지표는 혁신의 가치 및 영향, 혁신을 이끌고 지원하는 주체와 책임에 대한 여론주 도층의 인식과 산업의 미래에 대한 의견도 탐 색한다. GE Innovation Forum 2016
  • 28. 혁신 담당 임원 • 기업의 혁신 프로세스 및 정책과 관련된 일이 주요 업무에 포함 • 각 기업의 혁신 및 제품 개발, R&D 관련 의사 결정을 담당 응답한 임원 2,748명 그중 1,915명은 C레벨(C-suite) 여론주도층 • 대졸 이상의 교육 수준 • 각 국가에서 상위 소득 25% 이내 그룹 • 정기적으로 주요 비즈니스 뉴스 간행물을 구독 • 정기적으로 뉴스 보도를 접하며 최신 공공정책을 이해 응답한 여론주도층 1,346명 2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29. 응답자 분포 23개국, 10개 비즈니스 부문에 걸친 혁신 담당 임원 2,748명 (C레벨 1,915명) 기업 임원만 조사 기업 임원 및 여론주도층을 함께 조사 한국에서는 혁신 관련 기업 임원 102명과 여론주도층 105명을 대상으로 진행 13개국, 여론주도층 1,346명 현장 인터뷰 진행일: 2015년 10월 13일 ~ 2015년 12월 7일 (전세계 임원 조사 대상자들은 이후 ‘글로벌 기업 임원’으로 표기) 29GE Innovation Forum 2016
  • 30. 환영 받는 혁명: 기업 임원과 여론 주도층 모두 세계의 디지털 전환에 대 해 낙관적이다. 응답자 중 임원의 68% 와 여론주도층 64%가 제4차 산업혁명 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표명했으 며, 응답자 모두 첨단제조(Advanced Manufacturing)기술에 의한 산업 부 문의 급진적 변화를 예상했다. 그중 신흥 경제국, 특히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디지 털 혁명 추진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인 반면, 선진국 여론주도층은 통제에 대한 불안감을 표명했다. 1 새로운 모델 및 기술의 수용: 기업 임원들은 신규 투자와 파트너십을 통해 변화에 적 응하고 있다. 응답한 임원의 61%가 의사 결정에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하고 있으며 (2014년 53%에서 상승), 협업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고 응답한 임원은 77%에 달 했다(2014년 64%에서 상승). 68%의 임원들은 협력 이니셔티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매출 창출 및 감소를 포함하여, 자 신들의 회사가 혁신과 관련된 위험을 감당할 수 있다고 답했다. 2 2016년 글로벌 주요 조사결과 혁신을 위한 혁명을 환영하다: 혁신 압박은 증대되나, 혁신에 대한 낙관적 입장이 지배적 3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31. 혁신, ‘스타트-업’하고 있는가?: 응답한 기업 임원의 57%는 여전히 점진적 혁신 (Incremental Innovation)의 추구와 핵심 사업부문 보호를 통한 ‘안전한’ 접근법을 선호했 다. 타성과 위험회피 경향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응답한 기업 임원 81%는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스타트-업(Start-up)’ 정신이 기업의 혁신 문화를 창조하는 데 표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4 마인드 + 머신 (Minds and Machines), 인간과 기계가 함께 일하다: 디지털 혁명에 의해 일터가 더욱 안전해지고 직원의 역할이 제고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기업 임원은 각각 43%와 48%였다.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는 기업 임 원은 거의 없었다.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두려워하는 응답자는 17%(기업 임원)와 15% (여론주도층)에 불과했다. 미국, 인도, 중국, 독일 등의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으로 인한 긍정적 결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본, 프랑스, 스웨덴의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의 영향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5 파괴적 혁신, 해결책과 도전과제: 응답한 기업 임원 중 90%는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 시장을 창출하는 기업이 가장 혁신적이라고 생각하기에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급진적 혁 신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는 반면, “디지털 다윈주의(Darwinism, 진화론)"의 위험 역시 염두에 두고 있었다. 혁신에 대한 적응 속도보다 기술의 발전 속도가 더 빨라 자신의 기업이 뒤처질 것에 대한 우려, 즉 구식이 되어 버리는 것에 대한 공포(Fear of Becoming Obsolete, FOBO)를 느낀다고 응답한 임원은 전체의 81%에 달했다. 3 31GE Innovation Forum 2016
  • 32.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미래 인재의 핵심 자질: 미래의 인력 상(像)은 변화하 고 있다.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직원을 찾고 있는 임원은 56%, 창의성을 가진 직원을 원 하는 임원은 54%로 나타났다. 제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특정 카테고리에 속한 고급기 술자에 대한 수요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론주도층은 스타트-업 정신과 유연한 가치(89%), 그리고 원격 근무(79%)를 수용하고 있다. 자국의 교육 시스템을 통해 미래의 직업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고 느끼는 국가는 극히 일부에 불과했으나, 인도(81%)와 중국 (78%), 그리고 인도네시아(76%) 등 일부 국가의 여론주도층은 이 부분에서 강한 자신감 을 내비쳤다. 6 정부의 지원 확대를 요구: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 혁신에 있어 관계 당국의 지원 과 역할이 더욱 커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여론주도층의 12%만이 현재 정부가 자국의 혁신 을 주도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향후 정부가 혁신 추진에 더 큰 책임을 맡아야 한다고 응답 한 비율은 30%에 달했다. 자국의 규제가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 답한 여론주도층이 57%에 달했으나, 신흥경제국가는 자국의 규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 봤다. 응답한 기업 임원 대부분은 데이터와 기밀 관련 규제가 기업의 급진적 혁신을 저해한다 는 데 의견을 모은 반면, 자신의 데이터가 더 나은 서비스에 보탬이 된다면 데이터에 대한 접 근권을 기꺼이 공유하겠다고 응답한 여론주도층은 64%에 달했다. 7 3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33. Speakers' Profiles 0033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한국 조사 결과 33GE Innovation Forum 2016
  • 34. 환영 받는 혁명 전세계적으로,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응답자 모두 세계의 디지 털 전환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응답자 중 기업 임원 68%와 여론주도층 64%가 제4차 산업혁명 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나타냈고, 디지털 혁명의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응답자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한국의 기업 임원 및 여론주도층은 기술적 발전이 산업의 미래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가장 확신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3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35. 60% 34% 응답한 글로벌 기업 임원 중 60%가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해 자신감을 보였다. 응답한 한국 기업 임원의 34%(약 1/3) 만이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있었다. 35GE Innovation Forum 2016
  • 36. 혁신의 미래를 이끄는 거시적 트렌드에 대해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디지털 혁명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응답자는 거의 없었다. 17% 15% 23% 11% ★ ★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3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37. 한국의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 향후 10년 내, 첨단제조기술이 산업 부문을 급진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 생각한다 첨단제조기술 첨단제조기술에 의해 산업 부문이 급격히 변화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대부분이었다. 86% 90% 90% 88% 37GE Innovation Forum 2016
  • 38. 그러나 한국의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은 글로벌 응답자와 비교하여 제4차 산업혁명 진입 전망에 대해 낙관적으로 보는 경향이 덜했다 제4차 산업혁명 진입 전망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 70% 66% 61% 59% 68% 50% 62% 37% 59% 37% 60% 34% 흥미롭다 흥분된다 낙관적이다 영향력을 갖는다 제어 가능하다 자신 있다 글로벌 한국 3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40. 새로운 모델 및 기술의 수용 기업들은 투자와 파트너십을 통해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 있고, 이러한 노력은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77%) 협업의 실질적 성과를 목도하고 있으며 (2014년 64%에서 증가), 빅데이터에 전략적 중요성을 점점 더 부여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협업을 통해 창출되는 매출이 증대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66%, 2014년 55%에서 증가). 지난 해, 한국 기업의 대다수가 자사의 빅데이터 능력을 증대시켰 다(65%, 2014년 26%에서 증가). 4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41. 65% 한국 기업 임원의 65%가 의사결정에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2014년 26%에서 증가) 41GE Innovation Forum 2016
  • 42. 전세계적으로 협업 활동을 통한 이익이 증대되었다 82% 41% 2014 2015 72% 41% 89% 60% 86% 61% 82% 57% 88% 64% 85% 61% 87% 68% 81% 64% 88% 72% 77% 63% 프 랑 스 러 시 아 중 국 캐 나 다 폴 란 드 미 국 독 일 맥 시 코 말 레 이 시 아 인 도 호 주 지난해, 대부분의 국가에서 협업적 혁신 활동으로 창출된 매출과 이익이 증가했다. 증가 4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43. 협업적 혁신 활동으로 이익을 창출한 한국 기업의 비율은 66%로 증가했다 (2014년 52%에서 증가) 66% 52% 80% 67% 85% 75% 70% 60% 79% 70% 83% 76% 82% 76% 54% 50% 67% 65% 66% 71% 65% 71% 67% 79% 브 라 질 아 랍 에 미 레 이 트 나 이 지 리 아사 우 디 아 라 비 아 터 키 인 도 네 시 아 일 본 남 아 프 리 카 공 화 국 스 웨 덴 대 한 민 국 이 스 라 엘 알 제 리 유지 감소 43GE Innovation Forum 2016
  • 44. 파괴적 혁신: 해결책과 도전과제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응답자 대부분(90%)이 가장 혁신적인 기업이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뿐 아니라 이전에 존재 하지 않았던 신규 시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한국 89%, 글로벌 90%). 그러나 기업이 적응하는 속도보다 기술이 발전하는 속도가 더 빠 르다면 어떻게 될까? 4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45. 한국 기업 임원의 88%가 ‘디지털 다윈주의(Digital Darwinism)’의 위험, 즉, 구식이 되어 버리는 것에 대한 공포(Fear of Becoming Obsolete, FOBO)를 느낀다고 응답했다. 글로벌 기업 임원 81% 88% 45GE Innovation Forum 2016
  • 46.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에게 ‘파괴적인 것’은 이미 황금률이 되었지만,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가장 혁신적인 기업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뿐 아니라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 시장을 만들어 낸다. 90% 89% 93% 여론주도층 93% 4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47.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것은 어렵지만, 효율적 혁신을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2015년). 60% 72% 40% 여론주도층 31%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 ★ 지난 수년간, 완전히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이 성과로 이어졌다고 응답한 기업은 47%에 달했다. 47% 40% 47GE Innovation Forum 2016
  • 48. ‘파괴적인 것’이 ‘혁신 챔피언’ 국가들에게 점점 더 어려운 도전과제가 되고 있다 (중국 제외) 76% 51% 2014 2015 72% 48% 68% 46% 73% 53% 72% 55% 70% 59% 55% 46% 60% 51% 64% 58% 62% 56% 55% 51% 도전과제 증가 ★ 혁신 챔피언 국가 48 프 랑 스 러 시 아 캐 나 다 미 국 호 주 나 이 지 리 아 터 키 일 본 남 아 프 리 카 공 화 국 스 웨 덴 대 한 민 국 ★ ★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49. 한국의 기업 임원들도 ‘파괴적인 것’을 점점 더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긴다 69% 65% 70% 69% 43% 44% 55% 57% 67% 70% 56% 61% 51% 61% 51% 63% 61% 73% 38% 51% 47% 63% 49% 65% 도전과제 감소 49GE Innovation Forum 2016 중 국 폴 란 드 독 일 맥 시 코 말 레 이 시 아 인 도 브 라 질 아 랍 에 미 레 이 트 사 우 디 아 라 비 아 인 도 네 시 아 이 스 라 엘 알 제 리 ★ ★
  • 50. 81% 88% 72% 기업 임원들과 여론주도층 모두 ‘디지털 다윈주의’, 즉 기업이 적응하는 속도보다 기술 발전 속도가 더 빨라 제품이나 서비스가 구식이 되는 현상에 직면하는 기업이 점차 많아지는 것 을 우려한다. 84% 5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51. 아주 일부 응답자만이 그들의 기업이 새로운 기술에 빠르게 적응하고 도입하고 있다고 답 했다. 24% 17% 51GE Innovation Forum 2016
  • 52. 혁신을 위한 성공 조건을 찾는 것이 기업의 과제이다 급진적이지만 신뢰성 있는 혁신을 가능케 하는 성공 조건 세 가지는? 45% 아이디어 공유가 촉진되고, 참여자 기여가 파악 및 보상되는 연결형 문화(Connected Culture) 형성 혁신적 직원을 장려하고 보상하는 체계 구축 혁신 관리를 위한 명확한 프로세스 및 구조 마련 데이터 및 애널리틱스를 실질적인 의사결정도구로 활용 54% 45% 49% 40% 33% 40% 58% 5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53. 급진적이지만 신뢰성 있는 혁신을 지원하는 문제에 있어, 한국 기업 임원들은 아이디어 공유를 촉진하는 연결형 문화(Connected Culture)의 형성이 가장 어렵다고 느끼고 있다 글로벌 기업 임원 한국 기업 임원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식으로 만드는 차세대 혁신을 이루어 낸 직원에게 보상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 개발의 기반이 되는 소비자조사 수행 장기적 관점에서 CEO에게 직접 보고하는 혁신 팀 구축 투자 또는 중단할 제품을 결정하는 매트릭스 개발 36% 32% 31% 29% 30% 25% 32% 21% 53GE Innovation Forum 2016
  • 54. 혁신, ‘스타트-업’하고 있는가? ‘파괴적인 것’은 황금률이 되었고, 기업 임원의 81%가 ‘스타트- 업’ 정신이 점점 더 비즈니스의 기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인지하 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이러한 경향을 인지하는 임원이 적었다 (68%). 전세계적으로 기업 임원들은 업계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급진적 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나, 업계 리더 대부분은 좀 더 ‘안전한’ 접근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성과 위험 회피 경향이 증대되는 가운데, 점진적 혁신이 여전히 대부분 기업의 수익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5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55. 한국 기업 임원 68%가 ‘스타트-업’ 정신이 비즈니스의 표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 임원 81% 68% 55GE Innovation Forum 2016
  • 56. ‘스타트-업’ 정신이 표준이 되어 가고 있다 글로벌 기업 임원들과 비교하여, 한국 기업 임원들은 ‘스타트-업’ 정신이 점점 더 비즈니스의 기준이 되어 가고 있음을 인지하는 경향이 적었다. 기업의 규모에 관계없이 ‘스타트-업’ 정신이 기업의 혁신 문화를 창조하는 표준이 되어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81% 68% 81% 66% 기업 임원 여론주도층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노마드 직원 (Nomad Employees)’의 수가 늘어 가고 있다. 71% 동의 75% 동의 5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57. 여론주도층은 ‘스타트-업’ 정신이 가장 생산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 생산적인 업무 환경을 만드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중요한 요소들 탄력적인 근무 시간 직원들이 자 신의 근무 시간을 어느 정도 자유 롭게 선택할 수 있다. 84% 94% 참여 경영 원칙 직원들이 기업 리 더를 선출하고, 자신들의 관리자 에 대한 평가와 임명에 발언권이 있다. 84% 84% 원격 근무 직원들이 가정, 카페 등의 장소에서 일상적으로 업무 를 할 수 있다. 84% 83% 57GE Innovation Forum 2016
  • 58. 기업 임원 대부분은 ‘더 안전한’ 접근을 통한 혁신을 선호했다 58% 42% 47% 53% 기존 매출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 성과를 극대화 신규 매출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 5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59. 글로벌 트렌드와는 반대로, 한국의 기업 임원들은 신규 매출 구조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4% 36% 65% 35% 핵심 비즈니스를 최대한 보호하여 연구개발과 혁신에 필요한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핵심 비즈니스에 끼칠 수 있는 부정적인 단기적 영향을 우려하지 않고,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를 최대한 빨리 시장에 출시 59GE Innovation Forum 2016
  • 60. 마인드+머신 (MINDS AND MACHINES) 인간과 기계가 함께 일하다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에 의해 일터가 더욱 안전해지고 직원 의 역할이 제고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부정 적인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는 기업 임원은 적었다. 한국에서는 글로벌 응답자와 비교하여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는 기업 임원 응답자의 비율이 더 적 었고, 응답자 4명 중 1명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한국 응답자 23%, 글로벌 응답자 17%). 한국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의 잠재적 순영향에 대해 상대적 으로 확신을 덜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에 대 해 생각할 때 실업률 상승을 떠올리는 경향이 짙었고, 한국의 여론 주도층 역시 글로벌 응답자보다 디지털 혁명에 대해 확신을 덜 가 졌다. 글로벌 임원과 비교하여 자동화의 순영향을 기대하는 기업 임원의 숫자 역시 한국이 적었다. 6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61. 한국 기업 임원 41%가 디지털 혁명으로 인해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라 예상했다41% 29%글로벌 기업 임원 61GE Innovation Forum 2016
  • 62. 기업 임원들과 여론주도층은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다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58% 42%47% 53%54% 21% 17% 8% 47% 53% 25% 23% 10% 43% ★ ★ 6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63. 한국에서는 글로벌 응답자와 비교하여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는 기업 임원의 비율이 더 적었다 64% 15% 15% 9% 61% 고용에 긍정적 영향 고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고용에 부정적 영향 잘 모르겠다 65% 33% 11% 12% 44% ★ ★ ★ 63GE Innovation Forum 2016 ★
  • 64. 디지털 혁명은 일의 본질(Nature of Work)을 변화시킬 것이다 다음 중 디지털 혁명의 결과로서 귀하의 국가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결과는 무엇인가?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53% 특정 카테고리의 고급 기술자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아질 것이다 구식 직종이 사라지는 동시에 신규 직종이 생겨날 것이다 디지털 혁명이 일하는 방식을 보다 새롭고 유연하게 만들 것이다 30% 48% 36% 42% 20% ★ ★ ★ 6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65. 한국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의 주요 결과로서 실업률 상승을 예상했고, 디지털 혁명으로 인한 기존 직업의 퀄리티 제고는 없을 것이라 예상했다 글로벌 기업 임원 한국 기업 임원 디지털 혁명을 통해 기존 일의 퀄리티가 제고되어 직원들이 업무를 더 즐겁게 하게 될 것이다 34% 14% ★ 디지털 혁명에 맞는 업무 능력을 배양키 위해 임직원에 대한 교육지원 제공의 의무가 커질 것이다 32% 14% ★ 많은 직업이 사라져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다 29% 41% ★ 65GE Innovation Forum 2016
  • 66.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 미래 인재의 핵심 자질 미래의 인재상은 지금과 달라진다. 기업 임원들은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성을 지닌 인재를 찾고 있으며, 여론주도층은 스타트-업 정신 과 유연한 가치, 그리고 원격 근무를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직능 니즈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준비해야 할 것이 많다는 것이 다수 의 의견이다. 한국 기업 임원 역시 ‘전체를 보는 안목을 가진 사고가’를 찾고 있다. 66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67. ‘전체를 보는 안목을 가진 사고가’를 찾고 있는 한국 기업 임원50% 글로벌 기업 임원 38% 67GE Innovation Forum 2016
  • 68. 창의적이고 문제해결 능력을 지닌 사람이 이상적인 인재이나, 아직 기업가 정신까지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채용 시 귀하가 가장 중요시하는 지원자의 자질은 무엇인가? 54% 58% 56% 57% 38% 50% 44% 45% 40% 44% 창의성 문제해결 능력 전체를 보는 안목 분석력 기존 업무 방식의 개선점 제안 능력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 68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69. 글로벌 임원들과 마찬가지로 한국 기업 임원들은 창의적이고 문제 해결능력이 있는 인재를 찾고 있으며, 전체를 보는 안목을 가진 직원의 가치를 높이 사고 있다. 하지만 기업가 정신은 아직 그리 중요한 자질 요소로 평가하지 않았다 글로벌 기업 임원 한국 기업 임원 43% 41% 34% 39% 34% 39% 27% 29% 41% 23% 32% 17% 대인 관계 능력 기업의 비전에 대한 열정 기업문화에 쉽게 적응하는 능력 불확실성을 쉽게 헤쳐나가는 능력 장기지향성 지원자의 기업가 정신 ★ ★ ★ ★ 69GE Innovation Forum 2016
  • 70. 일부 국가만이 자국의 교육 시스템이 미래의 직능 관련 문제를 해결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응답했다 기업 임원 여론주도층 83% 85% 80% 79% 47% 79% 90% 77% 55% 74% 74% 41% 72% 70% 41% 70% 68% 29% 63% “현재의 교육 시스템이 변화에 적응하여 새로운 재능과 직능에 대한 민간부문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다” 70 프 랑 스 중 국 캐 나 다 미 국 독 일 말 레 이 시 아 인 도 호 주 아 랍 에 미 레 이 트 인 도 네 시 아 일 본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71. 한국 기업 임원 및 여론주도층의 약 50%(각각 48%, 55%)가 현재의 교육 시스템이 변화에 적응하여 새로운 재능과 직능에 대한 민간부문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응답했다 66% 62% 48% 56% 54% 54% 53% 48% 55% 48% 49% 42% 23% 39% 38% 38% 24% 59% 54% 71GE Innovation Forum 2016 러 시 아 폴 란 드 맥 시 코 브 라 질 나 이 지 리 아 사 우 디 아 라 비 아 터 키 남 아 프 리 카 공 화 국 스 웨 덴 대 한 민 국 이 스 라 엘 알 제 리
  • 72. 정부의 지원 확대를 요구 기업 임원과 여론주도층 모두 혁신 지원에 있어 관계 당국이 더욱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론주도층의 12%만이 현재 정 부가 자국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향후 정부가 혁신 추진에 더 큰 책임을 맡아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0%에 달했다. 특히 한국에서는 혁신 지원에 있어 정부의 역할이 타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한국 여론주도층 응답자 절반 이상(52%)은 정부 지원이 더욱 증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향후 정부가 혁신에 있어 가장 주도적인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응답 했다.   전세계적으로 자국의 규제가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여론주도층은 57%에 달했고, 특히 같은 의견을 가진 한국 여론주도층은 82%에 달했다. 72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73. 한국의 여론주도층은 혁신에 있어 정부의 역할 증대를 원했다 오늘날 혁신을 가장 강력히 주도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어떤 주체가 혁신 추진에 대한 가장 무거운 책임을 져야 하는가? 64% 46% 42% 25% 16% 7% 6% 6% 12% 27% 30% 52% 3% 3% 5% 5% 2% 10% 5% 11% ★ 기준지표 이상 ★ 기준지표 이하 ★★ ★ ★ ★ ★ ★ 민간부문 대학 및 연구소 정부 및 관계당국 공기업 지역 관계당국 73GE Innovation Forum 2016
  • 74. 한국의 여론주도층 대다수는 자국의 규제가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자국의 규제는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된다 자국의 규제는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43% 57% 74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75. 58% 56% 52% 50% 45% 41% 19% 중국캐나다미국독일인도 호주나이지리아 82% 80% 72% 63% 62% 60% 프랑스멕시코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대한민국 자국의 규제는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75GE Innovation Forum 2016
  • 76. 데이터와 기밀 관련 규제는 기업의 급진적 혁신 도입 및 착수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5% 82% 79% 77% 76% 76% 75% 75% 65% 74% 73% 73% 74% 71% 69% 70% 79% 70% 65% 69% 69% 68% 도입 착수 76 중 국 캐 나 다 미 국 독 일 맥 시 코 말 레 이 시 아 인 도 호 주 아 랍 에 미 레 이 트 인 도 네 시 아 대 한 민 국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77. 65% 64% 61% 62% 63% 61% 55% 59% 60% 58% 62% 58% 61% 58% 61% 57% 55% 56% 49% 53% 47% 43% 30% 32% 한국 기업 임원의 동의 데이터와 기밀 관련 규제는 기업의 급진적/변형적 혁신의 착수를 방해한다 데이터와 기밀 관련 규제는 기업의 급진적/변형적 혁신의 도입을 방해한다 73% 73% 77GE Innovation Forum 2016 프 랑 스 러 시 아 폴 란 드 브 라 질 나 이 지 리 아 사 우 디 아 라 비 아 터 키 일 본 남 아 프 리 카 공 화 국 스 웨 덴 이 스 라 엘 알 제 리
  • 79. 환영 받는 혁명 ◦ 로봇, 자동화 등의 기술적 발전이 고용 시장과 일의 본질을 급진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 생각 하는 한국 기업 임원은 86%에 달했다. ◦ 기업 임원, 여론주도층 모두 제4차 산업혁명 진입의 전망에 대해 흥미롭고 궁금하다고 응답했 지만, 두 주체 모두 제4차 산업혁명을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도,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생 각하지도 않았다. ◦ 디지털 혁명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응답한 한국 기업 임원의 비율이 외국과 비 교하여 더 적었다. 한국의 임원들은 디지털 혁명을 실업률 상승과 연계시키는 경향이 강했다. 새로운 모델과 기술의 수용 ◦ 지난 2014년, 한국은 협업이 가장 잘 이루어지는 국가 중 하나였다. 이러한 경향은 지속되고 있으며, 협업을 통해 발생하는 매출 창출이나 손실을 공유하는 데 열려 있다. 또한 공동 혁신 활동으로 인해 창출된 매출과 이익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다. ◦ 전략적 의사결정에 있어 빅데이터와 애널리틱스 역할의 중요성은 2015년에 더욱 증대되었다. 기업들은 많은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을 증대시켰다. 그러나 데이터를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가장 실행하기 어려운 과제로 생각하는 임원이 37%에 달했다. 79GE Innovation Forum 2016
  • 80. 파괴적 혁신: 해결책과 도전과제 ◦ 오늘날, 혁신적인 기업이란 신규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뿐만 아니라, 신규 시장을 창출한다 는 의견에 대부분의 한국 임원이 동의했다. 하지만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아이디어 발상의 어 려움이 주요 난제 중 하나라고 응답한 한국 기업 임원은 72%에 달했다. ◦ 또한 한국 기업 임원들은 ‘디지털 다윈주의(Digital Darwinism)’ 같은 비즈니스 위험이 존재 함을 염두에 두고 있다. 혁신, ‘스타트-업’하고 있는가? ◦ 한국 기업은 점진적인 혁신 접근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효율적인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 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 금전적 지원 부족, 타성, 위험회피 경향(2014년 44% 에서 68%로 증가) 등 기업의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이 커지고 있으며, 최고경영층의 지원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 스타트-업 정신이 기업활동의 핵심이 되고 있다고 보는 한국 기업 임원의 백분위는 외국 임 원보다 작았다. 80 2016 GE Innovation Barometer- Korea
  • 81.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 미래 인재의 핵심 자질 ◦ 글로벌 기업 임원들과 마찬가지로 한국 임원은 창의성,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신규 채용 대상 자를 찾고 있으며, 전체 상황을 보는 능력을 지닌 인재를 찾고 있다. 정부의 지원 확대를 요구 ◦ 한국 기업 임원 및 여론주도층 모두 한국 내에서 혁신이 추진되고 있으며, 대기업이 혁신을 선 두적으로 이끌고 있다고 생각한다. ◦ 한국 여론주도층은 한국의 혁신 추진에 있어 기업보다 정부가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느끼 면서도, 앞으로도 정부가 지금보다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81GE Innovation Forum 2016
  • 83.
  • 84. 동물적 감각으로 혁신에 투자하라! GE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가 설명하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국가 지도자, 유력 경제인, 유명 자선가, 영향력 있는 사상가들이 모이는 다보스포럼이 최근 막을 내렸다. 언제나처럼 GE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르코 아눈지아타(Marco Annunziata) 역시 흰 눈이 쌓인 스위스의 작은 마을로 향했다. GE리포트(이하 GER)는 이 여행에 동행하여, 혁신 측정 의 중요성 그리고 GE가 다보스 포럼에서 발표한 GE 글로벌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 관한 이야기 를 마르코 아눈지아타 이코노미스트(이하 M.A.)와 함께 나누었다. GER. GE는 2010년부터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보고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 가요? M.A. 혁신의 상태를 평가하는 문제에 대해 수많은 토론과 혼란이 있습니다. 얼마만큼의 혁신이 발생했는가? 혁신이 과연 사업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가? 혁신을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그 런 측면에서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는 엄청난 가치가 있습니다. 이 모든 이슈에 대한 통찰(과 데 이터)을 제공하기 때문이죠.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84
  • 85. GER. 그렇다면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누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까? M.A. 누구나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만 특히 세 종류의 집단에게는 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경제학자, 정책입안자, 비즈니스 리더이죠. 우선 저와 같은 경제학자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를 통해 혁신이 얼마나 빠르게 발생하는지, 어떤 국가에서 더 빠르게 진행될지, 과연 혁신이 경제 성장과 일자리, 생활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등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책 입안자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를 통해 혁신을 장려하는 법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규제를 바꿔야 할지, 교육 시스템을 강화해야 할지, 예산 배정을 도와야 할지 등이 이에 해당하겠 죠. 이에 대한 답은 국가마다 다를 것입니다. 또한, 정책 입안자들은 스스로를 테스트해볼 수 있 을 것입니다. 어떤 국가가 혁신을 더 잘하는지 이해하고, 최선의 방법을 알아내고 따를 수 있겠죠. 마지막으로. 비즈니스 리더는 혁신을 실행하는 동료 기업을 보며 귀중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 다보스 포럼이 개최되는 스위스의 작은 마을, 다보스 85GE Innovation Forum 2016
  • 86. 다. 협업을 향상시켰는가? 인재 확보에 우선 순위를 두는가? 지금까지 혁신을 통한 편익을 얼마 나 얻었는가? 파괴적 혁신이나 점진적 혁신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경쟁사와 자신을 비교해볼 단연 최고의 기회입니다. 오늘날 혁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더 넓고 깊 게 이해하고, 성공적인 혁신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 수 있는 것이죠. GER. 2016년 보고서 결과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M.A. 2016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보고서에서 가장 흥미롭고 놀라운 점은, 사람들이 대부분의 언 론이 말하는 것과 달리 혁신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언론 보도는 사실과 전혀 달라 요. 기업체 중역 중 겨우 17%, 지식인층 중에서 단지 15%만이 ‘디지털 산업 혁신이 ‘일자리에 “인간과 기계가 한 공간에서 나란히 함께 일하는 것이 미래 산업의 모습이란 점을 이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GE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의 이야기이다. 86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 87.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는 아주 놀라운 결과입니다. 수많은 언론에서 유 언비어처럼 혁신이 일자리를 파괴할 것이라고 떠드는 것을 감안하면 말이죠. 저는 그 이유를 이렇게 생각합니다. 디지털 산업 혁신은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사람들은 이 혁신 이 일자리를 파괴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켜보았죠. 미래 산업 현장은 인간과 기계가 나란히 함께 일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 혁신은 더 많은 그리고 더 나은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란 사실을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혁신에 대한 사 람들의 전반적인 태도의 일부이긴 합니다. 하지만 저에겐 가장 놀랍고 영감을 주는 결과였습니다. GER. GE가 왜 혁신을 측정하기 시작한 것인가요? M.A. 혁신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합니다. 일단 비즈니스의 관점에 서 본다면, 혁신을 이루고 싶다면 먼저 혁신에 투자해야 합니다. 케인스가 말했듯, 투자는 궁극적 으로 비즈니스 리더와 엔지니어의 “동물적 감각 또는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s)”에 달려 있습 니다. 투자란 비즈니스 리더와 엔지니어가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지, 위험을 감수할 준비 가 되어 있는지에 달려 있는 것이죠. 또 정책적 관점에서는, 혁신에 관한 대중적 정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향후 혁신을 촉진하거나 막을 수 있는 정책과 규제의 방향을 정하는 데 도 움이 되니까요. GER.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보고서와 같은 것이 또 있을까요? M.A. 지금까지 제가 지켜본 바로는,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독특한 도구입니다. 바로 혁신 그 자체의 관점에 집중하기 때문이죠. 반면, 다른 지표나 설문조사는 경쟁이나, 경제 발전 같은 더 광 범위한 이슈에 집중합니다.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실제 혁신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만들었고, 조 사의 대상도 기업의 전략적 혁신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비즈니스 리더들이기에 더욱 독특합니다. 또한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생생하게 살아 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독특합니다.. 해마다 질문이 바 뀌면서, 지속적인 변화를 추적하죠. 이러한 방식은 혁신에 대한 인식이나 혁신을 위한 환경이 어 떻게 진화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87GE Innovation Forum 2016
  • 88. 혁신하거나 사라지거나 2016 GE 이노베이션 바로미터 디지털 기술, 기회인가 압박인가 토마스 에디슨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발명 특허를 가진 인물 중 하나이다. 그는 삶의 주요 목적이 더 많은 발명을 하기 위해 돈을 버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나는 세상이 필요로 하는 것을 찾 아낸다. 그리고 곧바로 그것을 발명하려 노력한다.” GE의 설립자인 에디슨의 이런 발명 정신은 오늘날까지도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GE가 매 년 진행하는 ‘글로벌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비즈니스 리더와 대중들이 혁신을 보는 시각을 발 굴해서 알려준다. 올해 발표한 설문결과에서 응답자들은 가장 혁신적인 기업의 특징으로 “완전 히 새로운 시장이나 상품을 창출하며, 기존의 시장을 개선하거나 반복하지 않는”것이라고 했다. GE의 2016년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는 다보스 세계경제포럼 개최 하루 전에 발표되었다. 이번 이 노베이션 바로미터에서 응답자들은 디지털 기술과 빅데이터의 사업 잠재력에 대해 긍정적인 태 도를 보였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4차 산업혁명에 관심을 표명했다. 88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 89. 그러나, 적지 않은 응답자들은 ‘기술의 발전 속도가 실제 적응할 수 있는 것보다 빨라져 거기에 뒤 처질 것’을 두려워 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그에 따라 대부분은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점진적 으로 혁신에 접근하는 편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혁신은 이미 미래를 바꾸고 있다 기술 혁신은 더 많은, 더 나은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이 이 사실을 점점 더 잘 인 식하고 있다. 이는 2016 GE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서 나타난 놀라운 발견 중 하나이다. 특히 전체 응답자 중 비즈니스 중역의 17%, 대중의 15% 응답자만이 “디지털 산업 혁신이 일자 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았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부분은 긍정 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생각했고(54%, 61%), 첨단제조기술이 산업에 급진적이고 긍정적 인 변화를 이끌 것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86%, 90%). 수많은 언론에서 “혁신으로 인해 많 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라는 막연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런 결 과는 매우 신선하게 느껴진다. GE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르코 아눈지아타는 “디지털 산업 혁신은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사람 들은 이 혁신이 일자리를 파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미래의 산업 현장에서는 인 간과 기계가 나란히 함께 일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진다는 점을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게 된 것이 죠.”라고 말한다. GE의 혁신 전략을 책임지고 있는 베스 콤스탁(Beth Comstock) GE 부회장은 이번 이노베이션 바로미터를 통해 기업들이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에 대해 얼마나 높은 압박을 느 끼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이 가져올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기 대는 여전하며”, 이는 오늘날 더욱 치열해져 가는 사업 환경에서 기업들이 노력하고 적응해 나가 는 원동력이 된다고 덧붙였다. 설문에 참여한 많은 임원들은 데이터와 분석을 전략 및 투자에 대한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기업의 73%는 지난 한 해 동안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개선했고(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 61%가 의사 결정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2014년: 53%) 설 89GE Innovation Forum 2016
  • 90. 문에 참여한 기업 임원들과 대중은 산업을 최적화하고 연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대 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했다(각각 68%, 64%). 영역과 고정관념을 파괴하는 혁신 이제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서 파괴적인 사고는 임원들과 대중 모두에게 핵심적인 가치로 자리잡 았다. 하지만 실제 사업 실행 단계에서는 여전히 도전과제가 존재한다. 임원들은 의사결정을 돕 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파트너십, 데이터, 분석에 투자를 늘리는 등 과거에 쉽게 투자 하지 않았던 것들을 실제 실행에 옮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시장에서 협력이 증가했고, 전세계 기업들이 이를 통해 실제 성과를 냈다고 대답했 다. 77%의 응답자들이 2015년 한 해 동안 협력을 통해 수익과 이익이 증가되었다고 응답했으며 (2014년: 64%), 68%는 협력으로 인해 창출되는 수익이나 손실을 포함, 혁신에서 비롯되는 리 스크를 파트너와 공유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중 72%는 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들의 혁신 촉진 문화가 기존 정책과 업무 방식에 90 GE Reports가 바라본 2016 GE글로벌혁신지표
  • 91. 도전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81%의 임원들은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아이디 어를 얻기 위해 여전히 노력하고있지만, 자신이 속한 회사가 새로운 기술 적용 및 실행을 잘하고 있다고 대답한 비율은 24%에 불과했다. 2016년 이노베이션 바로미터에 따르면, 디지털 혁명의 중심지는 실리콘밸리이며, 아직까지 미 국이 글로벌 혁신을 선도하는 상황이다. 일본은 2014년 3위에서 올해 2위로 올라섰으며, 독일 은 한 단계 하락한 3위에 머물렀다. 그 외 중국이 4위, 한국은 지난해와 동일한 5위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인도네시아, 알제리, 나이지리아, 터키와 같은 신흥 경제국에서 혁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국가들에서는 글로벌 디지털 변화가 산업의 긍정적 변화 에 매우 큰 도움이 된 느낀다고 답했다. 81%의 글로벌 임원들은 스타트업 정신이 향후 산업을 이끌어갈 패러다임이 될 것이라 데에 동 의했다. 또, 임원들과 대중들 모두, 신뢰할 수 있는 급진적 혁신을 이루기 위한 다음 세 가지 필요 사항에 대해 전반적으로 의견을 같이 했다. 첫 번째, 혁신을 관리할 수 있는 투명한 구조와 절차 (49%), 두 번째는 혁신적인 인재에 대한 개발 및 보상 (45%),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아이디어 공유를 촉진하는 소통 문화 창조(45%)이다. 마르코 아눈지아타 GE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올해의 이노베이션 바로미터가 “점점 파괴적 (Disruptive)으로 변화해 가는 비즈니스 환경에 기업들이 적응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지만, 기업 과 대중들은 새로운 세상은 인간과 기계가 나란히 함께 일하는 곳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분석한다. 혁신이 새롭고 더 나은 일자리 기회를 창출할 것임은 명백하다. 혁신 을 통한 디지털 기술을 통해 기존의 일자리가 보다 개선되고, 가치가 높아지며, 생산성도 향상될 것이다. 교육과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이 빠르게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야 하며, 기업은 미래 인재 를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법을 고민해야 한다. GE코리아는 한국 경제 및 산업 발전의 혁신 방향을 제시하는 한국 혁신 보고서를 2016년 4월 발표했다. 91GE Innovation Forum 2016
  • 92. gereports.kr/olympics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글로벌 파트너 GE. GE는 첨단기술로 평 창에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 인 프라를 구축하고, 지역사회 전체 에 장기적으로 쓰일 수 있는 혁신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GE코 리아 2018 평창동계올림픽 마이 크로 사이트에서 그 소식을 확인 하세요. facebook.com/GEKorea GE의 첨단 기술과 경영 리더십에 대한 이야기를 한국 현지 관점에 서 풀어내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가 매일 페이스북으로 찾아갑니 다. 언제 어디서든 GE의 이야기 를 가족, 친구, 동료들과 더욱 쉽 고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GEblog.kr GE코리아에서 매달 어떤 혁신 이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하세요? GE코리아의 각종 행사 및 채용소 식, 세상을 움직이는 최신 기술 정 보까지 GE코리아 공식 블로그에 서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GE코리아 디지털 미디어 소개 GE코리아는 세상을 움직이는 GE의 이야기를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모바일 사용 환경에 맞춰 개발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등 어떤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GE의 수준 높은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93. 혁신과 첨단 기술 브랜드 저널리즘의 대표 GE리포트 코리아 www.gereports.kr youtube.com/GEKorea GE코리아 유튜브에는 GE의 브 랜드와 기술에 대한 최신 동영상 이 가득합니다. 글로는 잘 이해되 지 않았던 GE의 첨단 기술을 쉽 고 재밌는 동영상을 통해 감상해 보세요. slideshare.com/GEKorea 산업인터넷과 빅데이터, GE 사 업부의 미래 기술 동향까지, GE 의 깊이 있는 최신 자료들을 공유 하여 산업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gereports.kr/newsletter 구독 신청 한 번으로 GE의 모든 디지털 채널에서 큐레이션한 콘 텐츠를 메일로 편리하게 받아보 실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 하세요.
  • 9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9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 Korea
  • 95. 95 Now in its fifth edition and spanning across 23 countries, the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 is an international opinion survey of senior innovation executives all actively engaged in the management of their firm’s innovation strategy. In addition, this year, the GE GIB also surveyed the views of informed publics in 13 countries. With both audiences, the Barometer explores how the perception of innovation is changing in a complex, globalized environment, and how they appreciate the framework for innovation their country has developed. In addition, it explores the perceptions of informed publics on the impact and value of innovation, the associated responsibilities with driving and supporting innova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future of work. GE Innovation Forum 2016
  • 96. Innovation Business Executives All respondents’ line of work involves taking part in their company’s innovation process/policies Responsible for making decisions related to innovation, product development o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ctivities in their company 2,748 Business Executives, of which 1,915 are C-suite Informed Publics/ Informed Citizens University education or above In the upper quartile income of their country Regularly consume top tier business news publications Regularly follow public policy matters in the news 1,346 Informed Publics 96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97. This year, we talked to… 2,748 Innovation Business Executives, of which 1,915 are C-suite, in 23 markets across 10 sectors Business executives only Business executives and informed publics In South Korea, we talked to 102 Innovation Business Executives and 105 members of the Informed Public 1,346 Informed Publics in 13 countries Fieldwork dates: 13th of October – 7th of December 2015 97GE Innovation Forum 2016
  • 98. A Welcome Revolution: Both business executives and citizens are optimistic abou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world. 68% of execs and 64% of citizens cite a positive anticip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ll anticipate a radical transformation of the industrial sector by Advanced Manufacturing. Emerging markets feel especially empowered. Asian markets are amongst the most excited and curious, with Informed Citizens in developed markets feeling the least in control. 1 Embracing New Models and Technologies: Business executives are adapting through new investments and partnerships. 61% are using big data to inform decision-making (up from 53% in 2014), and 77% are seeing increasing financial results from collaboration (up from 64% in 2014). In addition 68% of executives declare their firm is open to risk-sharing associated with innovation, including revenue streams or losses that could be generated through collaborative initiatives. 2 2016 Global Key Findings Welcoming the Revolution: Pressure Rises, Optimism Prevails 98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99. Everybody’s Starting Up?: Still, 57% favor a “safer” approach, pursuing incremental innovation and protecting their core business. Inertia and risk aversion are growing. Meanwhile 81% of business executives recognize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for creating an innovation culture within companies of all sizes. 4 Minds and Machines Working Together: Business executives expect the digital revolution will make the workplace safer (43%) and create higher-value roles for workers (48%). Few fear any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digital revolution; only 17% of business executives and 15% of citizens fear potential negative impact. Executives in the US, India, China or Germany anticipate a positive outcome in their country, while Japanese, French or Swedish execs are more skeptical.    5 Disruptive Innovation: The Solution and the Challenge: Although business executives recognize they need to innovate radically to keep up—90% think that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create new markets that didn’t previously exist—most are also mindful of the risk of “Digital Darwinism”. 81% worry about being left behind as technology evolves faster than they can adapt, creating a fear of becoming obsolete (FOBO). 3 99GE Innovation Forum 2016
  • 100. Creativity & Problem-Solving Key for Future Workforce: future worker is changing. Executives are seeking problem solvers (56%) and creativity (54%), and an expected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at some categories of skilled workers will be in high demand. Citizens are embracing the start-up ethos and value flexible (89%) and remote (79%) work. Only a few countries feel their education system is ready to address future skills, with informed citizens in countries like India (81%), China (78%) and Indonesia (76%) most confident. 6 A Call for Greater Government Support: Executives and citizens alike are calling for public authorities to play a more supportive role in innovation. While few citizens (12%) believe their government is the top driver of innovation in their country, more (30%) think it should be. 57% say their country’s regulations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although emerging markets are more positive in their assessment. Most executives agree that data & privacy regulations are preventing more radical innovation by businesses, while citizens (64%) are willing to share access to their data if it leads to better service. 7 100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01. Speakers' Profiles 00101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 GLOBAL FINDINGS IN THE LIGHT OF THE SOUTH KOREA RESULTS 101GE Innovation Forum 2016
  • 102. A WELCOME REVOLUTION Globally, Business Executives and Informed Citizens are optimistic abou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world. Business Executives (68%) and Informed Citizens (64%) both cite positive anticipa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few worrying that the digital revolution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However, South Korean executives and Informed Citizens are amongst the least assured about the potential impacts of technological advances on the future of work. 102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03. 60% 34% Of Business Executives globally are confident about the prospect of en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ly a third of Korean business executives feel confident 103GE Innovation Forum 2016
  • 104. Both business leaders and citizens have a positive view of macro trends shaping the innovation landscape. DIGITAL REVOLUTION Few fear a potential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of the digital revolution 17% 15% 23% 11% ★ ★ ★ Over-index ★ Under - index 10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05. South Korean executives and informed publics agree that in the next 10 years, Advanced Manufacturing will radically transform the industrial sector. ADVANCED MANUFACTURING Most believe Advanced Manufacturing will radically transform the industrial sector 86% 90% 90% 88% 105GE Innovation Forum 2016
  • 106. However, South Korean executives and informed citizens are less positive than their peers about the prospect of entering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 does the prospect of entering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ke you feel? 70% 66% 61% 59% 68% 50% 62% 37% 59% 37% 60% 34% Curious Excited Optimistic Empowered In control Confident Global South Korea 106 ★ Over-index ★ Under - index ★ ★ ★ ★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07. 72% 57% 65% 51% 64% 41% 55% 27% 48% 30% 60% 38% 107GE Innovation Forum 2016 Curious Excited Optimistic Empowered In control Confident Global South Korea ★ ★ ★ ★ ★ ★
  • 108. EMBRACING NEW MODELS AND TECHNOLOGIES Businesses are adapting to this new context through investments and partnerships, and it is paying dividends. The majority of businesses (77%) are seeing financial results from collaboration (up from 64% in 2014) and attributing greater strategic importance to Big Data. In South Korea, we se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seeing increases in revenue generated through collaboration (66% vs. 55% in 2014). Over the past year the majority of South Korean companies have also increased their Big Data capabilities (65% vs. 26% in 2014) 108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09. 65% of Business Executives are using big data to inform decision-making (up from 26% in 2014). 109GE Innovation Forum 2016
  • 110. The gains from collaborative activities have increased in most markets. 82% 41% 2014 2015 72% 41% 89% 60% 86% 61% 82% 57% 88% 64% 81% 61% 87% 68% 81% 64% 88% 72% 77% 63% France Russia China Canada Poland USA Germ any M exico M alaysia India Australia The revenue and profit generated by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has been growing over the last year. Increased 110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11. Two-in-three businesses have seen gains from collaborative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last year, and increase from one-in-two in 2014. 66% 52% 80% 67% 85% 75% 70% 60% 79% 70% 83% 76% 82% 76% 54% 50% 67% 65% 66% 71% 65% 71% 67% 79% Brazil UAE Nigeria KSA Turkey Indonesia Japan South Africa Sw eden South Korea Israel Algeria Stable Decreased 111GE Innovation Forum 2016
  • 112. DISRUPTIVE INNOVATION: THE SOLUTION AND THE CHALLENGE There is general agreement among executives and citizens alike, that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not only launch new products and services but also create a new market that didn’t previously exist. (89% South Korea, 90% globally) Yet, what if technology evolves faster than businesses can adapt? 112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13. of South Korean Business Executives are mindful of the risk of “Digital Darwinism” or fear of becoming obsolete (FOBO). globally 81% 88% 113GE Innovation Forum 2016
  • 114. Being disruptive is the gold standard for both executives and citizens but remains a challenging goal. The most innovative companies not only launch new products and services but also create a new market that didn’t previously exist. 90% 89% 93% Informed Public 93% 11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15. The difficulty to come up with “radical and disruptive ideas” is a key challenge to innovate efficiently (2015). 60% 72% 40% Informed Public 31% ★ ★ In the past few years, the development of entirely new products or services has contributed to the performance of 47% of companies.47% 40% 115GE Innovation Forum 2016 ★ Over-index ★ Under - index
  • 116. Being disruptive is a growing challenge for the “Innovation Champions,” with China as an exception. 76% 51% 2014 2015 72% 48% 68% 46% 73% 53% 72% 55% 70% 59% 55% 46% 60% 51% 64% 58% 62% 56% 55% 51% France Russia Canada USA Australia Nigeria Turkey Japan South Africa Sw eden South Korea Growing challenge ★ Innovation champions ★ ★ 116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17. South Korean executives have seen one of the biggest increases with this challenge. 69% 65% 70% 69% 43% 44% 55% 57% 67% 70% 56% 61% 51% 61% 51% 63% 61% 73% 38% 51% 47% 63% 49% 65% China Poland Germ any M exico M alaysia India Brazil UAE KSA Indonesia Israel Algeria Reducing challenge ★ ★ 117GE Innovation Forum 2016
  • 118. 81% 88% 72% Business Executives and Informed Publics are mindful that more and more businesses face “DIGITAL DARWINISM” - becoming obsolete as technology is evolving faster than they can adapt. 84% 118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19. Only few feel their company is performing very well at quickly adapting and implementing emerging technologies. 24% 17% 119GE Innovation Forum 2016
  • 120. Identifying best practices is a challenge for businesses. The top 3 best practices to foster and enable reliable and radical innovation? 45% To create a connect culture where idea sharing is facilitated and where all the contributing parties are recognized and rewarded To encourage and reward innovative people To have a clear process and structure in place to manage innovation Turn data and analytics into actionable decision making tool 54% 45% 49% 40% 33% 40% 58% 120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21. When it comes to supporting radical and reliable innovations, South Korean businesses most struggle to create a connect culture that facilitates idea sharing. To reward those within the organization who create the next innovation that will make one of their products/ services obsolete To rely on consumer research as a foundation for innovative products/ services To have innovation teams report directly to the CEO on a long term basis To create a set of metrics to decide which product or service should be funded or be killed 36% 32% 31% 29% 30% 25% 32% 21% 121GE Innovation Forum 2016 Global South Korea
  • 122. EVERYBODY’S STARTING UP? Being disruptive is the gold standard and 81% of Business Executives recognize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However, in South Korea, fewer executives recognize this trend (68%). Globally, executives recognize they need to innovate radically to keep up, but most business leaders favor a “safer” approach. With inertia and risk aversion on the rise, incremental innovation is still driving the bottom line for most business leaders, especially those in developed markets. 122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23. of Business Executives recognize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globally 81% 68% 123GE Innovation Forum 2016
  • 124.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start-up ethos’, whilst still recognized by the majority of business executives in South Korea, is less acknowledged than their peers globally. believe the “start-up” ethos is increasingly becoming the example norm for creating an innovation culture within companies of all sizes. 81% 68% 81% 66% of Business Executives of Informed Publics With digital transformation we are observing the rise of ‘nomad employees’ 71% agree 75% agree 12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25. The Informed Public thinks the “start-up ethos” provides the most productive work environment. Top elements thought to create a more productive work environment Flexible working hours - where employees have a degree of freedom to choose their own working hours 84% 94% Participative management principles – where employees elect corporate leadership and have a say in the appointment and appraisal of their managers 84% 84% Remote working - where employees work from home, cafes, etc., on a regular basis 84% 83% 125GE Innovation Forum 2016
  • 126. The majority of Business Executives continue to favor a “safer” approach to Innovation. 58% 42% 47% 53% Maximizing performance of existing revenue streams and business models Opening up new revenue streams and inventing new business models ★★ 126 ★ Over-index ★ Under - index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27. Against the global trend, in South Korea, business executives favour opening up new revenue streams and inventing new business models. 64% 36% 65% 35% To protect the core business as much as possible, so it continues to generate the profitability needed to support research and innovation efforts To bring innovative products and/or services to market as fast as possible without worrying about the short term impact it can have on the core business 127GE Innovation Forum 2016
  • 128. MINDS AND MACHINES WORKING TOGETHER Business Executives expect the digital revolution will make the workplace safer and create higher-value roles for workers. Few fear any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In South Korea, a smaller proportion of business executives than we see in many markets anticipate the digital revolutio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with one-in-four expecting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23% vs. 17% globally). Executives in South Korea are less sure of the potential positive outcomes Execs associate the digital revolution more strongly with a rise in unemployment, with Informed citizens less assertive than their peers. 128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29. of South Korean Business Executives expect the digital revolution to lead to a rise in unemployment41% 29%globally 129GE Innovation Forum 2016
  • 130. Executives and citizens anticipate a positive or neutral net impact on 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digital revolution. 58% 42%47% 53%54% 21% 17% 8% 47% 53% 25% 23% 10% 43% ★ ★ 130 ★ Over-index ★ Under - index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31. In South Korea, a smaller proportion of executives than we see in many markets anticipate the digital revolutio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64% 15% 15% 9% 61%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A neutral impact on employment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Don’t know 65% 33% 11% 12% 44% ★ ★ ★ 131GE Innovation Forum 2016 ★
  • 132. The digital revolution is expected to change the nature of work. Which are the most likely outcomes in your country as a result of the digital revolution? 53% Some categories of skilled workers will be in high demand New types of jobs will be created as old ones are lost It will enable new and more flexible ways of working 30% 48% 36% 42% 20% ★ ★ ★ 132 ★ Over-index ★ Under - index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33. In South Korea, executives are expecting an increase in unemployment as a key outcome of the digital revolution and do not expect it to increase the quality of existing jobs. I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existing jobs, making them more enjoyable for employees/ workers 34% 14% ★ It will increase businesses' responsibility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to their employees so they ensure their skills are up-to-date 32% 14% ★ There will be a rise in unemployment due to jobs being destroyed 29% 41% ★ 133GE Innovation Forum 2016 Global South Korea
  • 134.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KEY FOR FUTURE WORKFORCE The future worker is changing. Business Executives are seeking problem solvers and creativity and the Informed Public value flexible and remote work. However, many think we have a lot to do to prepare for tomorrow’s skills needs. In South Korea executives also seek ‘big picture thinkers’. 13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35. of Business Executives are searching for ‘Big picture thinkers’ 50% globally 38% 135GE Innovation Forum 2016
  • 136. The ideal talent are creative problem solvers, but entrepreneurs are not fully embraced. What are the main attributes you look for in CANDIDATES when considering them for a job application? 54% 58% 56% 57% 38% 50% 44% 45% 40% 44%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ies See the big picture Analytical skills The ability to suggest improvements to existing ways of working ★ 136 ★ Over-index ★ Under - index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37. South Korean business executives, like their peers globally, seek creative problem solvers, but also value employees who can see the big picture. Entrepreneurial spirit is not a valued trait by many. 43% 41% 34% 39% 34% 39% 27% 29% 41% 23% 32% 17% Interpersonal skills Enthusiasm for company vision Ability to fit easily within the company culture A candidate's ability to navigate uncertainty with ease Long term commitment A candidate's entrepreneurial spirit ★ ★ ★ ★ 137GE Innovation Forum 2016 Global South Korea
  • 138. Only a few countries feel their education system is ready to answer the future skills challenge. 83% 85% 80% 79% 47% 79% 90% 77% 55% 74% 74% 41% 72% 70% 41% 70% 68% 29% 63% France China Canada USA Germ any M alaysia India Australia UAE Indonesia Japa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is adapted to fulfill the private sectors’ demand for new talent and skills” 138 Business Executives Informed Publics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39. Approximately one-in-two execs and informed publics (48% and 55% respectively) feel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is adapted to fulfil the private sectors demands. 66% 62% 48% 56% 54% 54% 53% 48% 55% 48% 49% 42% 23% 39% 38% 38% 24% Russia Poland M exico Brazil Nigeria KSA Turkey South Africa Sw eden South Korea Israel Algeria 59% 54% 139GE Innovation Forum 2016
  • 140. A CALL FOR GREATER GOVERNMENT SUPPORT Executives and citizens alike call for public authorities to play a more supportive role in innovation. While few citizens (12%) believe their government is the top driver of innovation in their country, more (30%) think it should be. In South Korea, we see bigger role being played by Government today than in many markets, however there is still a call for improved Government support with over half of informed publics (52%) believing Government should be driving innovation the most. Globally 57% say their country’s regulations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and this feeling is more prominent in South Korea with 82% of informed citizens agreeing. 140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41. Informed publics in South Korea want to see an increased role for Government in driving innovation. Who is driving innovation the most today? Who should be responsible for driving Innovation the most? 64% 46% 42% 25% 16% 7% 6% 6% 12% 27% 30% 52% 3% 3% 5% 5% 2% 10% 5% 11% ★★ ★ ★ ★ ★ ★ Private sector Universities and research labs Government and public authorities State owned enterprises Public authorities at a local level 141GE Innovation Forum 2016 ★ Over-index ★ Under - index
  • 142. The majority of informed citizens in South Korea believe that regulations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Regulations in my country today are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Regulations in my country today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43% 57% 142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43. 58% 56% 52% 50% 45% 41% 19% ChinaCanadaUSAGermanyIndia AustraliaNigeria 82% 80% 72% 63% 62% 60% FranceMexicoBrazil KSA IndonesiaSouth Korea Regulations in my country today are not supportive of innovative companies. 143GE Innovation Forum 2016
  • 144. Data and privacy regulations are seen to prevent the adoption and launch of more radical innovation by businesses. 85% 82% 79% 77% 76% 76% 75% 75% 65% 74% 73% 73% 74% 71% 69% 70% 79% 70% 65% 69% 69% 68% China Canada USA Germ any M exico M alaysia India Australia UAE Indonesia South Korea Adopting Launching 144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
  • 145. 65% 64% 61% 62% 63% 61% 55% 59% 60% 58% 62% 58% 61% 58% 61% 57% 55% 56% 49% 53% 47% 43% 30% 32% France Russia Poland Brazil Nigeria KSA Turkey Japan South Africa Sw eden Israel Algeria Business Executives agree REGULATIONS AROUND PRIVACY and DATA PROTECTION are preventing businesses from LAUNCHING more radical / transformative innovations REGULATIONS around PRIVACY and DATA PROTECTION are preventing businesses from ADOPTING more radical / transformative innovations 73% 73% 145GE Innovation Forum 2016
  • 146.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 SOUTH KOREA KEY TAKEAWAYS 146 2016 GE Global Innovation Barometer-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