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종연, 박상훈, 강혜진, 박성열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테솔대학원 Study 요약 자료
1. Flipped Learning이란?
• 전통적인 수업방식을 뒤집은 학습 형태 -
전통적으로 수업 시간에 진행되었던 활동
들이 수업 밖에서 이루어지고, 수업 밖에서
이루어졌던 활동들이 수업시간에 진행된다
는 것이 특징
2. Flipped Learning의 기원
• Aaron Sams(2007) - 수업할 내용 녹화해서 숙제
로 예습해 오게 하고, 수업시간에는 힘들어하는
애들 도와주자.
• 역사, 문학 등의 과목에서 학생들이 수업 전 미리
책을 읽어오고 수업시간에는 읽은 내용에 대해 토
론하는 방식의 수업 진행
• IT 기술 발달로 다양한 온라인 학습도구 등장:
Khan Academy(2004), Youtube(2005), - 수많은
동영상 콘텐츠, 무한 반복학습 가능
3. Flipped Learning의 등장 배경
Digital Immigrants와 Digital Natives
1) Digital Immigrants: 1980년 이전에 태어나 후천적으로 디지털
기술에 적응해 간 기성세대
2) Digital Natives: 1980년 이후 태어나 PC와 유·무선인터넷을 통
해 필요한 정보를 찾고 SNS를 이용, 타인과 소통하는 등 디지
털 언어와 장비를 마치 특정 언어의 원어민처럼 자유자재로 사
용하는 세대
교실의 변화
수업에서 배우게 될 주요내용을 온라인으로 미리 학습한 상태로
수업에 참석할 수 있게 됨
4. Flipped Learning의 장점
• 학생 간,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
• 교사의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학생에 대한 관심과 개별지도 등 상
호작용을 위한 시간을 확보(질의응답, 토론,
실습 확대 가능→ 개인 수준/능력별 완전학
습 가능)
• 교사의 역할 변화 : teacher → facilitator
• 완전학습 구현
5. Flipped Learning의 정의
• Lisa W. Johnson, Jeremy D. Renner: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집에서 먼저 학습하
고 수업 시간에는 동료들과 협업을 하는 것
• Gerald C. Gannod, Janet E. Burge 등:
교사의 강의가 주였던 교실은 실험과 실내
활동을 위한 장소가 되고, 강의는 VOD 등
의 매체를 통해 교실 밖에서 전달
• Jonathan Bergmann, Aaron Sams:
전통적으로 교실에서 이루어지던 것이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숙제로 처리되던 것이 교실에서 완성
• Thomas M. Abbot:
전달받은 정보를 재사용하는 것은 비판적 사고와
응용을 위한 사전 단계로서 교실 밖에서 이루어지
고, 급우들과 지도교사들이 함께 하는 교실에서는
비판적 사고, 토의, 협업 등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6. Flipped Learning의 의의
학생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가 : 학생-학생/학생
-교사
2) 완전학습의 구현 : 자기주도적 예습 후 수
업을 들으면 다수가 교육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수업 중 Feedback 활성화)
교사
1) 수업진행에 대한 부담 감소 : 한 번 만든 동
영상 자료는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
2) 권태 해소 : 학생들과 소통하며 학습을 도와
주는 살아있는 수업 가능(즉각 Feedback)
3) 전문성 향상에 따른 성취감 : 동영상 제작 공
유 방법 등 새로운 수업방안의 연구, 실천
7. 성공적인 Flipped Learning을
위한 교육 환경
• 학생 참여 : 교사의 칭찬, 격려, 배려를 통해
• 학부모 동의 : 충분한 사전 설명과 동의를 구
하는 과정 필요, 결과물을 확인시킬 필요
• 교사 훈련 : 동영상 제작, 시연 방법 등에 대한
연수
• 학교, 정부의 지원 : 교사 업무 감소, 장비 지원
8. 결론 - Flipped Learning은…
• 최적의 수업방법을 찾는데 의의
• 개인별 맞춤형 학습
•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활
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소통이 새로운 교육
의 패러다임
• 학습의 본질은 가르침이 아니라 탐구하여
깨달음에 있다는 것을 체험하게 함
• 다양한 교수학습모형과 동영상 제작 가이
드 개발 필요
• 개발된 것을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장이
열려야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Mooc 입문기 20140418
Mooc 입문기 20140418Mooc 입문기 20140418
Mooc 입문기 20140418
hyeonmo koo
 
초보 유투버의 IT과목 실시간 온.오프라인 융합 강의 사례
초보 유투버의 IT과목 실시간 온.오프라인 융합 강의 사례초보 유투버의 IT과목 실시간 온.오프라인 융합 강의 사례
초보 유투버의 IT과목 실시간 온.오프라인 융합 강의 사례
Jong-Hyun Kim
 
Online course 이야기
Online course 이야기Online course 이야기
Online course 이야기Hakhyun Kim
 
수업모델
수업모델수업모델
수업모델byeong
 
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
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
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
engedukamall
 
집합교육학습지원시스템 Weki 위키_소개
집합교육학습지원시스템 Weki 위키_소개집합교육학습지원시스템 Weki 위키_소개
집합교육학습지원시스템 Weki 위키_소개
De Ro Bae
 
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현진 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리딩하기 위한 통합 교육 솔루션 Edupresso!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리딩하기 위한 통합 교육 솔루션 Edupresso!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리딩하기 위한 통합 교육 솔루션 Edupresso!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리딩하기 위한 통합 교육 솔루션 Edupresso!
Edupresso
 
2012 evernote edu(박상혁) v2.0
2012 evernote edu(박상혁) v2.02012 evernote edu(박상혁) v2.0
2012 evernote edu(박상혁) v2.0Sanghyeok Park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선영 이
 
Patrol 모형의 설계
Patrol 모형의 설계Patrol 모형의 설계
Patrol 모형의 설계
거꾸로 교실 함께 열기
 
2 2 김우성 학생
2 2 김우성 학생2 2 김우성 학생
2 2 김우성 학생Gina J Kim
 
1 1 이호진 선생님
1 1 이호진 선생님1 1 이호진 선생님
1 1 이호진 선생님Gina J Kim
 

What's hot (13)

Mooc 입문기 20140418
Mooc 입문기 20140418Mooc 입문기 20140418
Mooc 입문기 20140418
 
초보 유투버의 IT과목 실시간 온.오프라인 융합 강의 사례
초보 유투버의 IT과목 실시간 온.오프라인 융합 강의 사례초보 유투버의 IT과목 실시간 온.오프라인 융합 강의 사례
초보 유투버의 IT과목 실시간 온.오프라인 융합 강의 사례
 
Online course 이야기
Online course 이야기Online course 이야기
Online course 이야기
 
수업모델
수업모델수업모델
수업모델
 
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
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
스마트클래스 활용과 참여동기 유발
 
집합교육학습지원시스템 Weki 위키_소개
집합교육학습지원시스템 Weki 위키_소개집합교육학습지원시스템 Weki 위키_소개
집합교육학습지원시스템 Weki 위키_소개
 
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근덕보고(서울교대)
근덕보고(서울교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리딩하기 위한 통합 교육 솔루션 Edupresso!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리딩하기 위한 통합 교육 솔루션 Edupresso!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리딩하기 위한 통합 교육 솔루션 Edupresso!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리딩하기 위한 통합 교육 솔루션 Edupresso!
 
2012 evernote edu(박상혁) v2.0
2012 evernote edu(박상혁) v2.02012 evernote edu(박상혁) v2.0
2012 evernote edu(박상혁) v2.0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클라우드] Google edu edu20_fronter
 
Patrol 모형의 설계
Patrol 모형의 설계Patrol 모형의 설계
Patrol 모형의 설계
 
2 2 김우성 학생
2 2 김우성 학생2 2 김우성 학생
2 2 김우성 학생
 
1 1 이호진 선생님
1 1 이호진 선생님1 1 이호진 선생님
1 1 이호진 선생님
 

Similar to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요약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Lally Jung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한샘 서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한샘 서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한샘 서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경험학습 발표자료100407
경험학습 발표자료100407경험학습 발표자료100407
경험학습 발표자료100407guest4e9cd67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한샘 서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지현 김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견지 심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Hyunjeong Joo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Jung Hyojung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engedukamall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Jung Hyojung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은영 김
 
교육매체의 개념과 속성
교육매체의 개념과 속성교육매체의 개념과 속성
교육매체의 개념과 속성Jinsook Kan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guest917038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지현 김
 
최부열
최부열최부열
최부열6K5XKC
 

Similar to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요약 (20)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랩실소개
랩실소개랩실소개
랩실소개
 
경험학습 발표자료100407
경험학습 발표자료100407경험학습 발표자료100407
경험학습 발표자료100407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랩실소개(Slideshare 업로드용)2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정보처리이론 파헤치기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06 다양한교수학습방법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교육매체의 개념과 속성
교육매체의 개념과 속성교육매체의 개념과 속성
교육매체의 개념과 속성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이러닝 교수 설계 업그레이드 전략[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최부열
최부열최부열
최부열
 
ET Journal
ET JournalET Journal
ET Journal
 

More from Noh Kwon Kwak

Gerund02
Gerund02Gerund02
Gerund02
Noh Kwon Kwak
 
Gerund01
Gerund01Gerund01
Gerund01
Noh Kwon Kwak
 
Participle03
Participle03Participle03
Participle03
Noh Kwon Kwak
 
Participle02
Participle02Participle02
Participle02
Noh Kwon Kwak
 
Participle 01
Participle 01Participle 01
Participle 01
Noh Kwon Kwak
 
Open, Share, and Grow
Open, Share, and GrowOpen, Share, and Grow
Open, Share, and Grow
Noh Kwon Kwak
 
Korea's Phenomenal Education Fever
Korea's Phenomenal Education FeverKorea's Phenomenal Education Fever
Korea's Phenomenal Education Fever
Noh Kwon Kwak
 

More from Noh Kwon Kwak (7)

Gerund02
Gerund02Gerund02
Gerund02
 
Gerund01
Gerund01Gerund01
Gerund01
 
Participle03
Participle03Participle03
Participle03
 
Participle02
Participle02Participle02
Participle02
 
Participle 01
Participle 01Participle 01
Participle 01
 
Open, Share, and Grow
Open, Share, and GrowOpen, Share, and Grow
Open, Share, and Grow
 
Korea's Phenomenal Education Fever
Korea's Phenomenal Education FeverKorea's Phenomenal Education Fever
Korea's Phenomenal Education Fever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요약

  • 1.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종연, 박상훈, 강혜진, 박성열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테솔대학원 Study 요약 자료
  • 2. 1. Flipped Learning이란? • 전통적인 수업방식을 뒤집은 학습 형태 - 전통적으로 수업 시간에 진행되었던 활동 들이 수업 밖에서 이루어지고, 수업 밖에서 이루어졌던 활동들이 수업시간에 진행된다 는 것이 특징
  • 3. 2. Flipped Learning의 기원 • Aaron Sams(2007) - 수업할 내용 녹화해서 숙제 로 예습해 오게 하고, 수업시간에는 힘들어하는 애들 도와주자. • 역사, 문학 등의 과목에서 학생들이 수업 전 미리 책을 읽어오고 수업시간에는 읽은 내용에 대해 토 론하는 방식의 수업 진행 • IT 기술 발달로 다양한 온라인 학습도구 등장: Khan Academy(2004), Youtube(2005), - 수많은 동영상 콘텐츠, 무한 반복학습 가능
  • 4. 3. Flipped Learning의 등장 배경 Digital Immigrants와 Digital Natives 1) Digital Immigrants: 1980년 이전에 태어나 후천적으로 디지털 기술에 적응해 간 기성세대 2) Digital Natives: 1980년 이후 태어나 PC와 유·무선인터넷을 통 해 필요한 정보를 찾고 SNS를 이용, 타인과 소통하는 등 디지 털 언어와 장비를 마치 특정 언어의 원어민처럼 자유자재로 사 용하는 세대 교실의 변화 수업에서 배우게 될 주요내용을 온라인으로 미리 학습한 상태로 수업에 참석할 수 있게 됨
  • 5. 4. Flipped Learning의 장점 • 학생 간,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 • 교사의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학생에 대한 관심과 개별지도 등 상 호작용을 위한 시간을 확보(질의응답, 토론, 실습 확대 가능→ 개인 수준/능력별 완전학 습 가능) • 교사의 역할 변화 : teacher → facilitator • 완전학습 구현
  • 6. 5. Flipped Learning의 정의 • Lisa W. Johnson, Jeremy D. Renner: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집에서 먼저 학습하 고 수업 시간에는 동료들과 협업을 하는 것 • Gerald C. Gannod, Janet E. Burge 등: 교사의 강의가 주였던 교실은 실험과 실내 활동을 위한 장소가 되고, 강의는 VOD 등 의 매체를 통해 교실 밖에서 전달
  • 7. • Jonathan Bergmann, Aaron Sams: 전통적으로 교실에서 이루어지던 것이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숙제로 처리되던 것이 교실에서 완성 • Thomas M. Abbot: 전달받은 정보를 재사용하는 것은 비판적 사고와 응용을 위한 사전 단계로서 교실 밖에서 이루어지 고, 급우들과 지도교사들이 함께 하는 교실에서는 비판적 사고, 토의, 협업 등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 8. 6. Flipped Learning의 의의 학생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가 : 학생-학생/학생 -교사 2) 완전학습의 구현 : 자기주도적 예습 후 수 업을 들으면 다수가 교육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수업 중 Feedback 활성화)
  • 9. 교사 1) 수업진행에 대한 부담 감소 : 한 번 만든 동 영상 자료는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 2) 권태 해소 : 학생들과 소통하며 학습을 도와 주는 살아있는 수업 가능(즉각 Feedback) 3) 전문성 향상에 따른 성취감 : 동영상 제작 공 유 방법 등 새로운 수업방안의 연구, 실천
  • 10. 7. 성공적인 Flipped Learning을 위한 교육 환경 • 학생 참여 : 교사의 칭찬, 격려, 배려를 통해 • 학부모 동의 : 충분한 사전 설명과 동의를 구 하는 과정 필요, 결과물을 확인시킬 필요 • 교사 훈련 : 동영상 제작, 시연 방법 등에 대한 연수 • 학교, 정부의 지원 : 교사 업무 감소, 장비 지원
  • 11. 8. 결론 - Flipped Learning은… • 최적의 수업방법을 찾는데 의의 • 개인별 맞춤형 학습 • 자기주도적 학습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활 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소통이 새로운 교육 의 패러다임
  • 12. • 학습의 본질은 가르침이 아니라 탐구하여 깨달음에 있다는 것을 체험하게 함 • 다양한 교수학습모형과 동영상 제작 가이 드 개발 필요 • 개발된 것을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장이 열려야

Editor's Notes

  1. 전통적 방식을 뒤집었다? 언제, 어떤 계기로, 무엇이, 어떻게 바뀌었단 말인가?
  2. 그런데 사실 고속인터넷이 초고속인터넷으로 이미 전환되고 있던 한국에서는 Youtube나 Khan Academy 이전인 1999~2000년 경부터 GVA 등의 툴을 이용한 녹화된 전자칠판 기반 학습자료들이 등장. 우리나라와 서구 나라들의 차이는 우리는 개발자들이 기술을 독점하고 저작물들을 폐쇄적 루트 통해 판매한 반면 Youtube나 Khan Academy는 정보의 공개, 공유를 외침. – User Created Contents라는 신조어 등장: 교육계로 치자면 학생들로부터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
  3. 신세대들에게 최초로 ‘X 세대’라는 별칭이 붙었던 시대, 그들이 청소년기를 거치던 시기가 ’80년대 – 박진영 왈 그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의 전환기를 경험하고 문화의 흐름을 주도하던 세대. ’90년대말~2000년대초’ 컴퓨터는 386-486-586 Pentium; 전화 모뎀-ADSL-VDSL-초고속인터넷-광대역Broadband으로 초고속 발전
  4. 1-2-3의 조건이 갖추어지다 보니 수업시간이 온전히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 수업시간은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 간의 질의응답, 토론, 실습을 하는 데 활용되며, 학생들이 일괄적으로 수업 진도를 따라가는 수동적 방식에서 탈피하여, 교사가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과 능력을 고려해 학생들과 수업 내내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수준별 완전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집에서 공부해와. 너희끼리 협업하고, 안 풀리는 건 가르쳐줄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