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KAYWON UNIVERSITY OF ART DESIGN
SMART PRODUCT DESIGN LAB
DESIGN THINKING
디자인 싱킹
kwonjeongeun naver.com
11강 Step 1. 공감하기 완결 편
Step 2. 문제 정의하기
/ 49
1
지난 과제 Critique
공감하기 주의사항 관찰 중심으로
문제 정의하기 주의사항
금주 과제 실습
/ 49
2
Design Thinking? 사람?
/ 49
3
사람으로부터 데이터를 얻고
사람의 요구를 중심에 놓고
사람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해결 방법을 찾고
사람으로부터 테스트를 받아
해결 방법을 최종 제시하는 과정
Design Thinking? 사람?
/ 49
4
사람, 人 사전적 정의 :
1 고도의 지혜와 영혼이 있는 동물
2 다른 사람. 자신 이외의 사람
3 모든 사람
4 특성, 성격, 품격
하나의 종 種
자신
다른 사람
명사 생물
추상 개성, 태도
Design Thinking? 사람을 이해하는 것?
/ 49
5
1 사람 의 행위 모델 및 그 행위 뒤에 숨겨진 동기를
이해해야 한다.
그 사람 이 무슨 일을 하는가,
무슨 말을 하는가,
무엇을 위해 이렇게 하는가를
끊임없이 생각해야 한다.
Design Thinking? 사람을 이해하는 것?
/ 49
6
2 나 외에 다른 사람 을 이해해야 한다.
모든 사람 은 유일무이한 존재인 동시에 공통점이
있다.
그러므로 공통점이 많아 보이는 사람들 속에서
서로 다른 부분을 찾아내고,
다른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의 공통점을 찾아내야 한
다.
Design Thinking? 사람을 이해하는 것?
/ 49
7
3 각각의 생각, 개성, 가치관, 편견 및 기호를 이해해
야 한다.
이것들은 모두 사람 을 구성하는 중요한 원소지만
무형이기에 겉모습만 보아서는 절대 파악할 수 없다.
Design Thinking? 사람을 이해하는 것?
/ 49
8
귀 눈
Step 1.
공감하기
Step 2.
문제 정의하기
뇌
뇌를 멈추고
왜? 라는 호기심 어린 눈으로
세상을 기록하기
경청 관찰 이해 필요
학습 예측
해석, 추리
뒤
예외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9
디자인 싱킹, #디자인에 관한 것이 아니다.
파편 수집 문제 정의 문제 해결하는 범용 방법
따라서 디자인 싱킹 프로세스는 결과를 보장하지 않는
다. 디자인 결과물을 내는 공식이 아니다.
#경영학
#정보 #데이터 #자세 #태도 #마음가짐 #합리적 결론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10
디자인 싱킹, 첫 단계는 문제 듣기 아니고 공감하기 다.
인터뷰
X 실례지만 생활하면서 불편한 점이 있으신가요?
말할 수 있는 니즈, 새로운 제안 X
O 할머니, 평소 아드님 댁에 자주 가세요?
새로운 제안
말문을 트게 함. 왜?
질문 10 , 답변 90 이상적 인터뷰.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11
디자인 싱킹, 첫 단계는 문제 듣기 아니고 공감하기
다.
Q. 설문조사와 차이?
선택사항이 있는 질문지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가
설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
노인들은 분명히 이것이 필요할 것 이라는 가정 아래
에서는 그들의 요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으며 당연
히 문제를 해결할 방법도 없다.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12
디자인 싱킹, 첫 단계는 문제 듣기 아니고 공감하기
다.
인터뷰 관찰
인터뷰 후, 사회교육센터의 실버교실을 방문해서 일
본어 수업 참관
공원으로 이동해서 산책 중인 노인 인터뷰
대학 병원과 지하철역에서 노인들과 대화하고 관찰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3
A E I O U
인터뷰 동안 대상을 관찰하는 일
또는 대상자를 독립 관찰하는 것도 문
제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이렇듯 각각 관찰 영역이 조금씩 겹친다.
지나치게 하나하나 따져가면서 관찰할 필요는 없지만
이렇게 보는 훈련을 추천한다.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4
Activities 활동
관찰 대상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눈여겨보아야 한
다.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무엇을 먹는지,
주로 어떤 사람들과 이야기하는지 등
모두 꼼꼼히 살피는 것이 좋다.
A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5
Environment 환경
인터뷰 장소 혹은 관찰 지점의 주변 환경을 관찰한
다.
공원, 커피숍, 백화점, 호텔 로비 등 그곳의 조명은
어떠한지, 테이블과 의자의 디자인 및 배치는 어떠한
지, 어떤 음악이 흘러나오는지 등 모두 확인하자.
환경과 관련된 정보는 카메라로 기록하는 것이 좋다.
E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6
Interaction 상호작용
관찰 대상이 주변 사람, 각종 사건, 사물 등과 서로 어
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 그 과정에서 특이한 점이 있
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예 : 헬스클럽 사용자 관찰
어떤 운동 기구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는지 주목한
다. 그러면 그가 정확한 사용법을 알고 있는지, 모를 때
는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I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7
Obejcts 사물
관찰 대상 주변에 특이하거나 재미있는 사물을 눈여겨보자.
그 장소와 어울리지 않거나 같이 있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
진다면 따로 관찰하고 기록해 두는 것이 좋다.
예 : 고등학교 교실 관찰
책상과 의자 등 당연한 물건 외 특이한 물건이 있는지 살펴
보는 것. 헤어드라이어나 삽처럼 생각하지 못한 물건들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O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8
User 사용자
인터뷰나 관찰의 대상뿐 아니라 그 주변 인물들을 모
두 살펴보자.
옷차림이나 평소에 사용하는 물건들은 모두 한 사람
의 개성을 드러내는 요소이므로 자세히 관찰해야 한
다.
이외에 먹는 것, 표정과 몸짓까지 확인해야 한다.
U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9
인터뷰 동안 대상을 관찰하는 일
또는 대상자를 독립 관찰하는 것도 문
제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이렇듯 각각 관찰 영역이 조금씩 겹친다.
지나치게 하나하나 따져가면서 관찰할 필요는 없지만
초보자라면, 이렇게 보는 훈련을 추천한다.
A E I O U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20
디자인 싱킹, #문제를 사용 불편함 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problem 해답을 필요로 하는 쟁점
issue
question
matter
trouble 말썽
subject 과제
conflict 갈등, 충돌
tangle 엉킴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21
디자인 싱킹, #갈등 이 있는 곳에 언제나 미처 발견하
지 못한 문제가 숨어 있다.
인터뷰 관찰의 목적?
우리가 생각했던 모습과 크게 달랐다?는 새로운 사실
을 깨달았다. #편견 #사실 #발견
왜, 이런 갈등이 발생했을까?
이 갈등을 해결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2
STEP 1
주제 선정
STEP 2
대상자 결정
STEP 3
대상자 특성 결정
STEP 4
질문지 작성
STEP 5
파일럿 실행
STEP 6
질문지 수정
STEP 7
실대상자 선별
STEP 8
인터뷰 실행
STEP 9
데이터 수집
STEP 10
데이터 해석
STEP 11
결과 정리
❶
공감하기
❷
정의하기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3
STEP 1
주제 선정
STEP 5
파일럿 실행
STEP 3
대상자 특성 결정
팀이 집중하는 공간은 어디인가요?
팀의 서비스 대상은 누구인가요? # 액티브 시니어
소비자 Consumer의 특성은 무엇인가요?
# Consumer vs # Customer vs # User
# 액티브 시니어 소비자의 특성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4
공감 목적에 부합하는 질문들인가?
STEP 4
질문지 작성
A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질문
B
응답률을
높일 수 있는
질문
C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질문
Q. 공감 목적에 부합하는 질문들인가?
/ 49
25
질문의 형태
날씨 어때요?
언제 입을 옷을 찾으세요?
후속 진행
남자 바지 사러 오셨어요?
계산해 드릴까요?
Yes or No / O or X
개방형 질문
Open ended Question Closed ended Question
폐쇄형 질문
다지선다형
척도형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6
공감 목적에 부합하는 질문들인가?
STEP 4
질문지 작성
왜, 무엇 때문에 묻는 것은 꽤 좋은 인터뷰 방법이다.
이외 추천 방법 :
세 가지 형용사로 묘사해 주세요.
마음속에 떠오르는 것을 그려 주세요.
대학 을 음료수에 빗대어 설명해 주세요. vs 대학을
설명해 주세요.
앞에 놓여 있는 블록으로 심리 상태를 표현해 보세요.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7
STEP 5
파일럿 실행
STEP 6
질문지 수정
STEP 7
실대상자 선별
Pilot 인터뷰는 데이터 수집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Pilot 인터뷰로 구성한 질문들이 대답하기 어렵지 않은
가? 의미 있는 정보 수집에 적합한 질문인가?
3명 대상자의 인터뷰를 실행한다. 관찰 병행
Pilot 인터뷰 질문들을 테스트하고 수정한다.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8
STEP 8
인터뷰 실행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9
STEP 8
인터뷰 실행
인터뷰 질문지 : 담당자 1
카메라 삼각대 : 진행 상황 녹화
녹음기 휴대폰 앱 : 인터뷰 녹음
스크립터 휴대폰 앱 : 담당자 2,
3
다과 등 감사 표시 : 담당자 4, …
인터뷰 관찰 : 담당자 4, …
문제 정의하기 프로세스
/ 49
30
STEP 9
데이터 수집
문제 정의하기 프로세스
/ 49
31
STEP 10
데이터 해석
STEP 11
결과 정리
데이터를 정리합니다.
의미 있는 데이터를 선정합니다.
/ 49
32
지난 과제 Critique
공감하기 주의사항 관찰 중심으로
문제 정의하기 주의사항
금주 과제 실습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33
대상자의 말이 모두 금 은 아니다. 걸러내야 한다.
#PAN FOR GOLD사람은 일화로 경험을 기억하기 때문에
하나의 주제만 떼서 이야기하기가 어렵다.
사람은 가장 최근 경험 위주로 기억을 회상하기 때문에 실
제 일어난 일들을 여정 또는 주제별로 논하는 게 어렵다.
사람의 경험은 여러 가지의 맥락이 동시 다발적으로 결합되
어 일어나는데 이 전부를 상호 관계까지 일일이 설명하기 어
렵다.
사람들은 하나의 경험 요소에 대해서 고충이 두드러질 때
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항상 일정한 불만 또는 니
즈 를 야기시키는 경험 요소는 많지 않다.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34
대상자의 말이 모두 금 은 아니다. 걸러내야 한다.
#PAN FOR GOLD
사람은 일화로 경험을 기억한다.
사람은 최근 경험 위주로 기억을 회상하고 일어난 일을 여
정 또는 주제별로 논하는 게 어렵다.
경험이란 여러 가지의 맥락이 동시다발적으로 결합한 산물
로 사람이 이 상호 관계를 모두 설명하기는 어렵다.
사람은 하나의 경험 요소에 대해서 고충이 두드러질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항상 일정한 불만 또는 니즈 를 야기하는 경험 요소는 많지
않다.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35
디자인 싱킹, 따라서 두 번째 단계가 더 큰 의미를 갖는
다.
앞과 같은 한계로 리서치 수행보다 이를 해석하는 후 과
정 Key Findings, Insights 이 더 큰 의미를 가진다.
같은 것을 보고 남다르게 보는 눈, 해석의 탁월함.
우리는 과학자가 아니며, 우리의 결과도 과학적 산물이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할 일은 남들을 설득하기에 충분한 필
요 타당한 논리를 산출해야 한다.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36
디자인 싱킹, 따라서 두 번째 단계가 더 큰 의미를 갖는
다.
이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이러한 유형들이 존재합니다.
문제 정의하기 프로세스
/ 49
37
STEP 9
데이터 수집
문제 정의하기 프로세스
/ 49
38
STEP 10
데이터 해석
STEP 11
결과 정리
데이터를 정리합니다.
의미 있는 데이터를 선정합니다.
포스트잇 활용법
/ 49
39
❶ 공감하기 : 대상자 이해
인터뷰 후, 알아낸 내용을 쓴다.
만약 대상자들이 판이하게 다른 입장을 보이면, 다른
색깔로 기록해서 나중에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절대적인 활용법은 아니므로 더 편리한 방법을 개발해도 좋음.
포스트잇 활용법
/ 49
40
❷ 문제 정의하기
인터뷰 후, 얻은 자료와 대상자에 관한 내용을 종류별
로 정리하고 중요도에 따라 배열할 수 있다.
여러 번 배열, 재배열로 붙였다 뗐다…
넓은 공간 추천.
다음 단계에서 나오는 수많은 아이디어를 붙이기 위
함.
절대적인 활용법은 아니므로 더 편리한 방법을 개발해도 좋음.
1.쭉정이 골라내기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41
우리 이슈와는 상관없는 결과
근거는 없고, 현상만 기록된 결과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
우리 디자인에 영감을 주지 못하
는 결과
2.일반화 우린 모두 다르면서 같다
쭉정이를 골라낸 다음에 가장 먼저 시도하는 것은 일
반화. 모든 리서치 결과는 1차적으로 일반화가 가능
해야 한다.
모든 액티브 시니어 들이 겪는 고충 …
대부분의 액티브 시니어 들이 원하는 OO 방식
은…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42
3.유형화 우린 모두 다르면서 같다
일반화가 가능하지 않을 때에는 차례로 유형화, 개별
화를 시도한다.
OO을 자주 하는 액티브 시니어 들은 에서 이
걸 원하고 …
후, 를 한 시간 하는 경우에는, …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43
4.개별화 우린 모두 다르면서 같다
일반화가 가능하지 않을 때에는 차례로 유형화, 개별
화를 시도한다.
각자 자신만의 취향과 관심사가 다르기 때문에 …
이전에 했던 행동, 현재 맥락을 바탕으로 …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44
/ 49
45
지난 과제 Critique
공감하기 주의사항 관찰 중심으로
문제 정의하기 주의사항
금주 과제 실습
기말 과제 계획
/ 49
46
09강 04/30 : 공감하기 데스크 리서치 진행
10강 05/07 : 공감하기 필드 리서치 Pilot 1명 인터뷰 관찰 진행
11강 05/14 : 공감하기 필드 리서치 3명 인터뷰 관찰 진행 후
12강 05/21 : 문제 정의하기
13강 05/28 : 아이디어 내기
14강 06/04 : 프로토타입 만들기 테스트하기
15강 06/11 : 기말 발표
11주 차 과제 공지
/ 49
47
이하 내용을 1건 PPT 문서로 제출합니다.
1.금주는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필드 리서치를 완료합니다.
2.포함할 내용 : #대상자 조건 키워드 #대상자 프로파일 #인터뷰 질문 설계 #인터뷰
질문지 #스크립트 일부 #인터뷰 후기
액티브 시니어 3명 섭외. 프로파일 필요. 3명 인터뷰 진행.
인터뷰 질문지, 인터뷰 진행 사진, 인터뷰 질문에 대한 답변 필수.
미포함 : #인터뷰 자료 동영상, 오디오, 풀 스크립트
3.이 조사의 목적이 무엇? 어떤 내용? 어떤 순서로 정리? 온전히 팀 자율에 맡깁니다.
4.지난 과제를 정리하면서 이번 과제를 포함 시킵니다.
5.목차 맨 뒤, Appendix. 챕터를 만들고 #파일럿 내용을 이동시킵니다.
다음 주, 11주 차 과제 발표
/ 49
48
매주 Critique이 있습니다.
과제 제출 : 월, 오후 10시.
과제 발표 : 화, 수업 첫 세션, 두 팀 발표.
다음 주, 발표 : 과제 공지 글 참조.
반 대표? 발표 자료 준비 부탁합니다.
kwonjeongeun naver.com
/ 49
49
끝.
다음 주 과제 :
# 액티브 시니어 필드 리서치 3건 진행하기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DesignThinking_11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pxdstory
 
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Jeongeun Kwon
 
Ass 10.10 ideo hcd h
Ass 10.10 ideo hcd hAss 10.10 ideo hcd h
Ass 10.10 ideo hcd hYoung Choi
 
[2023-1학기 아산 유스프러너 앙트십 프로젝트] 별가람고등학교 2조
[2023-1학기 아산 유스프러너 앙트십 프로젝트] 별가람고등학교 2조[2023-1학기 아산 유스프러너 앙트십 프로젝트] 별가람고등학교 2조
[2023-1학기 아산 유스프러너 앙트십 프로젝트] 별가람고등학교 2조
Freewill Inc.
 
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Jeongeun Kwon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JAEHUN KIM
 
Interviewbox 140227
Interviewbox 140227Interviewbox 140227
Interviewbox 140227
pxdstory
 
140227 interview
140227 interview140227 interview
140227 interview
영일 송
 
2021 Graduation Project - Collaboration Tool for Student
2021 Graduation Project - Collaboration Tool for Student2021 Graduation Project - Collaboration Tool for Student
2021 Graduation Project - Collaboration Tool for Student
ssuser918bf9
 
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2- 5factors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2- 5factors
종익 주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seekly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THE LAB h
 
6th.lecture.step2.observation
6th.lecture.step2.observation6th.lecture.step2.observation
6th.lecture.step2.observation
Jeongeun Kwon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thecirclefoundation
 
20140127 액션러닝 원장님강의
20140127 액션러닝 원장님강의20140127 액션러닝 원장님강의
20140127 액션러닝 원장님강의humana12
 
Non customerdisvoer v2.51
Non customerdisvoer v2.51Non customerdisvoer v2.51
Non customerdisvoer v2.51
Potentialeyes, Inc.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NAVER D2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Yoonjeong Kwon
 
Beyond post it
Beyond post itBeyond post it
Beyond post it
Yoojung Kim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퀵스타트 가이드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퀵스타트 가이드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퀵스타트 가이드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퀵스타트 가이드
pxdstory
 

Similar to DesignThinking_11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20)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DesignThinking_12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Ass 10.10 ideo hcd h
Ass 10.10 ideo hcd hAss 10.10 ideo hcd h
Ass 10.10 ideo hcd h
 
[2023-1학기 아산 유스프러너 앙트십 프로젝트] 별가람고등학교 2조
[2023-1학기 아산 유스프러너 앙트십 프로젝트] 별가람고등학교 2조[2023-1학기 아산 유스프러너 앙트십 프로젝트] 별가람고등학교 2조
[2023-1학기 아산 유스프러너 앙트십 프로젝트] 별가람고등학교 2조
 
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DesignThinking_10th.Lecture.Step.1.Empathize.pdf 자료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강의용) 사회적 경제와 디자인 띵킹_김재훈
 
Interviewbox 140227
Interviewbox 140227Interviewbox 140227
Interviewbox 140227
 
140227 interview
140227 interview140227 interview
140227 interview
 
2021 Graduation Project - Collaboration Tool for Student
2021 Graduation Project - Collaboration Tool for Student2021 Graduation Project - Collaboration Tool for Student
2021 Graduation Project - Collaboration Tool for Student
 
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2- 5factorsHow to startup 02- 5factors
How to startup 02- 5factors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발상법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Syllabus 2018 Fall Korea Univ PR Case
 
6th.lecture.step2.observation
6th.lecture.step2.observation6th.lecture.step2.observation
6th.lecture.step2.observation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20140127 액션러닝 원장님강의
20140127 액션러닝 원장님강의20140127 액션러닝 원장님강의
20140127 액션러닝 원장님강의
 
Non customerdisvoer v2.51
Non customerdisvoer v2.51Non customerdisvoer v2.51
Non customerdisvoer v2.51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개발을잘하고싶어요-네이버랩스 송기선님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팀빌딩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Beyond post it
Beyond post itBeyond post it
Beyond post it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퀵스타트 가이드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퀵스타트 가이드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퀵스타트 가이드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퀵스타트 가이드
 

More from Jeongeun Kwon

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
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
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
Jeongeun Kwon
 
DesignThinking_7th.Lecture.1.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7th.Lecture.1.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DesignThinking_7th.Lecture.1.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7th.Lecture.1.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
Jeongeun Kwon
 
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
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
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
Jeongeun Kwon
 
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
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
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
Jeongeun Kwon
 
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
Jeongeun Kwon
 
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
Jeongeun Kwon
 
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
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
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
Jeongeun Kwon
 
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
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
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
Jeongeun Kwon
 
14th.Lecture.Final.Assignment.Guideline.pdf
14th.Lecture.Final.Assignment.Guideline.pdf14th.Lecture.Final.Assignment.Guideline.pdf
14th.Lecture.Final.Assignment.Guideline.pdf
Jeongeun Kwon
 
13th.Lecture.Prototyping.and.Usability.Test.pdf
13th.Lecture.Prototyping.and.Usability.Test.pdf13th.Lecture.Prototyping.and.Usability.Test.pdf
13th.Lecture.Prototyping.and.Usability.Test.pdf
Jeongeun Kwon
 
7th.Lecture.UI.Design.and.Middle.Team.Assignment.Guideline.pdf
7th.Lecture.UI.Design.and.Middle.Team.Assignment.Guideline.pdf7th.Lecture.UI.Design.and.Middle.Team.Assignment.Guideline.pdf
7th.Lecture.UI.Design.and.Middle.Team.Assignment.Guideline.pdf
Jeongeun Kwon
 
6th.Lecture.Personal.Assignment.Guideline.pdf
6th.Lecture.Personal.Assignment.Guideline.pdf6th.Lecture.Personal.Assignment.Guideline.pdf
6th.Lecture.Personal.Assignment.Guideline.pdf
Jeongeun Kwon
 
5th.Lecture.What.is.Information.Architecture.pdf
5th.Lecture.What.is.Information.Architecture.pdf5th.Lecture.What.is.Information.Architecture.pdf
5th.Lecture.What.is.Information.Architecture.pdf
Jeongeun Kwon
 
4th.Lecture.Service.Design.Process.pdf
4th.Lecture.Service.Design.Process.pdf4th.Lecture.Service.Design.Process.pdf
4th.Lecture.Service.Design.Process.pdf
Jeongeun Kwon
 
3rd.Lecture.What.is.Interaction.pdf
3rd.Lecture.What.is.Interaction.pdf3rd.Lecture.What.is.Interaction.pdf
3rd.Lecture.What.is.Interaction.pdf
Jeongeun Kwon
 
2nd.Lecture.What.is.Interface.pdf
2nd.Lecture.What.is.Interface.pdf2nd.Lecture.What.is.Interface.pdf
2nd.Lecture.What.is.Interface.pdf
Jeongeun Kwon
 
1st.Lecture.Introduction.pdf
1st.Lecture.Introduction.pdf1st.Lecture.Introduction.pdf
1st.Lecture.Introduction.pdf
Jeongeun Kwon
 
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
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
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
Jeongeun Kwon
 
12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2_JourneyMap.pdf
12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2_JourneyMap.pdf12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2_JourneyMap.pdf
12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2_JourneyMap.pdf
Jeongeun Kwon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1_Persona.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1_Persona.pdf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1_Persona.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1_Persona.pdf
Jeongeun Kwon
 

More from Jeongeun Kwon (20)

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
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
DesignThinking_9th.Lecture.Understanding.Design.Thinking.pdf 자료
 
DesignThinking_7th.Lecture.1.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7th.Lecture.1.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DesignThinking_7th.Lecture.1.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7th.Lecture.1.Dollar.Design.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
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
DesignThinking_6th.Lecture.Shape.Mix.Workshop.Part.2.pdf 자료
 
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
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
DesignThinking_5th.Lecture.Shape.Mix.Workshop.Part.1.pdf 자료
 
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4th.Lecture.Scale.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3rd.Lecture.Context.Mix.Workshop.pdf 자료
 
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
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
DesignThinking_2nd.Lecture.Warm-Up.pdf 자료
 
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
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
DesignThinking_1st.Lecture.Introduction.pdf 자료
 
14th.Lecture.Final.Assignment.Guideline.pdf
14th.Lecture.Final.Assignment.Guideline.pdf14th.Lecture.Final.Assignment.Guideline.pdf
14th.Lecture.Final.Assignment.Guideline.pdf
 
13th.Lecture.Prototyping.and.Usability.Test.pdf
13th.Lecture.Prototyping.and.Usability.Test.pdf13th.Lecture.Prototyping.and.Usability.Test.pdf
13th.Lecture.Prototyping.and.Usability.Test.pdf
 
7th.Lecture.UI.Design.and.Middle.Team.Assignment.Guideline.pdf
7th.Lecture.UI.Design.and.Middle.Team.Assignment.Guideline.pdf7th.Lecture.UI.Design.and.Middle.Team.Assignment.Guideline.pdf
7th.Lecture.UI.Design.and.Middle.Team.Assignment.Guideline.pdf
 
6th.Lecture.Personal.Assignment.Guideline.pdf
6th.Lecture.Personal.Assignment.Guideline.pdf6th.Lecture.Personal.Assignment.Guideline.pdf
6th.Lecture.Personal.Assignment.Guideline.pdf
 
5th.Lecture.What.is.Information.Architecture.pdf
5th.Lecture.What.is.Information.Architecture.pdf5th.Lecture.What.is.Information.Architecture.pdf
5th.Lecture.What.is.Information.Architecture.pdf
 
4th.Lecture.Service.Design.Process.pdf
4th.Lecture.Service.Design.Process.pdf4th.Lecture.Service.Design.Process.pdf
4th.Lecture.Service.Design.Process.pdf
 
3rd.Lecture.What.is.Interaction.pdf
3rd.Lecture.What.is.Interaction.pdf3rd.Lecture.What.is.Interaction.pdf
3rd.Lecture.What.is.Interaction.pdf
 
2nd.Lecture.What.is.Interface.pdf
2nd.Lecture.What.is.Interface.pdf2nd.Lecture.What.is.Interface.pdf
2nd.Lecture.What.is.Interface.pdf
 
1st.Lecture.Introduction.pdf
1st.Lecture.Introduction.pdf1st.Lecture.Introduction.pdf
1st.Lecture.Introduction.pdf
 
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
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
14th.Lecture.Final.PT.Guideline.pdf
 
12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2_JourneyMap.pdf
12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2_JourneyMap.pdf12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2_JourneyMap.pdf
12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2_JourneyMap.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1_Persona.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1_Persona.pdf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1_Persona.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_1_Persona.pdf
 

DesignThinking_11th.Lecture.Step.2.Define.a.Problem.pdf 자료

  • 1. KAYWON UNIVERSITY OF ART DESIGN SMART PRODUCT DESIGN LAB DESIGN THINKING 디자인 싱킹 kwonjeongeun naver.com 11강 Step 1. 공감하기 완결 편 Step 2. 문제 정의하기 / 49 1
  • 2. 지난 과제 Critique 공감하기 주의사항 관찰 중심으로 문제 정의하기 주의사항 금주 과제 실습 / 49 2
  • 3. Design Thinking? 사람? / 49 3 사람으로부터 데이터를 얻고 사람의 요구를 중심에 놓고 사람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해결 방법을 찾고 사람으로부터 테스트를 받아 해결 방법을 최종 제시하는 과정
  • 4. Design Thinking? 사람? / 49 4 사람, 人 사전적 정의 : 1 고도의 지혜와 영혼이 있는 동물 2 다른 사람. 자신 이외의 사람 3 모든 사람 4 특성, 성격, 품격 하나의 종 種 자신 다른 사람 명사 생물 추상 개성, 태도
  • 5. Design Thinking? 사람을 이해하는 것? / 49 5 1 사람 의 행위 모델 및 그 행위 뒤에 숨겨진 동기를 이해해야 한다. 그 사람 이 무슨 일을 하는가, 무슨 말을 하는가, 무엇을 위해 이렇게 하는가를 끊임없이 생각해야 한다.
  • 6. Design Thinking? 사람을 이해하는 것? / 49 6 2 나 외에 다른 사람 을 이해해야 한다. 모든 사람 은 유일무이한 존재인 동시에 공통점이 있다. 그러므로 공통점이 많아 보이는 사람들 속에서 서로 다른 부분을 찾아내고, 다른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의 공통점을 찾아내야 한 다.
  • 7. Design Thinking? 사람을 이해하는 것? / 49 7 3 각각의 생각, 개성, 가치관, 편견 및 기호를 이해해 야 한다. 이것들은 모두 사람 을 구성하는 중요한 원소지만 무형이기에 겉모습만 보아서는 절대 파악할 수 없다.
  • 8. Design Thinking? 사람을 이해하는 것? / 49 8 귀 눈 Step 1. 공감하기 Step 2. 문제 정의하기 뇌 뇌를 멈추고 왜? 라는 호기심 어린 눈으로 세상을 기록하기 경청 관찰 이해 필요 학습 예측 해석, 추리 뒤 예외
  • 9.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9 디자인 싱킹, #디자인에 관한 것이 아니다. 파편 수집 문제 정의 문제 해결하는 범용 방법 따라서 디자인 싱킹 프로세스는 결과를 보장하지 않는 다. 디자인 결과물을 내는 공식이 아니다. #경영학 #정보 #데이터 #자세 #태도 #마음가짐 #합리적 결론
  • 10.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10 디자인 싱킹, 첫 단계는 문제 듣기 아니고 공감하기 다. 인터뷰 X 실례지만 생활하면서 불편한 점이 있으신가요? 말할 수 있는 니즈, 새로운 제안 X O 할머니, 평소 아드님 댁에 자주 가세요? 새로운 제안 말문을 트게 함. 왜? 질문 10 , 답변 90 이상적 인터뷰.
  • 11.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11 디자인 싱킹, 첫 단계는 문제 듣기 아니고 공감하기 다. Q. 설문조사와 차이? 선택사항이 있는 질문지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가 설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 노인들은 분명히 이것이 필요할 것 이라는 가정 아래 에서는 그들의 요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으며 당연 히 문제를 해결할 방법도 없다.
  • 12.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12 디자인 싱킹, 첫 단계는 문제 듣기 아니고 공감하기 다. 인터뷰 관찰 인터뷰 후, 사회교육센터의 실버교실을 방문해서 일 본어 수업 참관 공원으로 이동해서 산책 중인 노인 인터뷰 대학 병원과 지하철역에서 노인들과 대화하고 관찰
  • 13.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3 A E I O U 인터뷰 동안 대상을 관찰하는 일 또는 대상자를 독립 관찰하는 것도 문 제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이렇듯 각각 관찰 영역이 조금씩 겹친다. 지나치게 하나하나 따져가면서 관찰할 필요는 없지만 이렇게 보는 훈련을 추천한다.
  • 14.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4 Activities 활동 관찰 대상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눈여겨보아야 한 다.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무엇을 먹는지, 주로 어떤 사람들과 이야기하는지 등 모두 꼼꼼히 살피는 것이 좋다. A
  • 15.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5 Environment 환경 인터뷰 장소 혹은 관찰 지점의 주변 환경을 관찰한 다. 공원, 커피숍, 백화점, 호텔 로비 등 그곳의 조명은 어떠한지, 테이블과 의자의 디자인 및 배치는 어떠한 지, 어떤 음악이 흘러나오는지 등 모두 확인하자. 환경과 관련된 정보는 카메라로 기록하는 것이 좋다. E
  • 16.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6 Interaction 상호작용 관찰 대상이 주변 사람, 각종 사건, 사물 등과 서로 어 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 그 과정에서 특이한 점이 있 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예 : 헬스클럽 사용자 관찰 어떤 운동 기구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는지 주목한 다. 그러면 그가 정확한 사용법을 알고 있는지, 모를 때 는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I
  • 17.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7 Obejcts 사물 관찰 대상 주변에 특이하거나 재미있는 사물을 눈여겨보자. 그 장소와 어울리지 않거나 같이 있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 진다면 따로 관찰하고 기록해 두는 것이 좋다. 예 : 고등학교 교실 관찰 책상과 의자 등 당연한 물건 외 특이한 물건이 있는지 살펴 보는 것. 헤어드라이어나 삽처럼 생각하지 못한 물건들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O
  • 18.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8 User 사용자 인터뷰나 관찰의 대상뿐 아니라 그 주변 인물들을 모 두 살펴보자. 옷차림이나 평소에 사용하는 물건들은 모두 한 사람 의 개성을 드러내는 요소이므로 자세히 관찰해야 한 다. 이외에 먹는 것, 표정과 몸짓까지 확인해야 한다. U
  • 19. 더 많은 것을 보는 방법, 관찰 / 49 19 인터뷰 동안 대상을 관찰하는 일 또는 대상자를 독립 관찰하는 것도 문 제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이렇듯 각각 관찰 영역이 조금씩 겹친다. 지나치게 하나하나 따져가면서 관찰할 필요는 없지만 초보자라면, 이렇게 보는 훈련을 추천한다. A E I O U
  • 20.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20 디자인 싱킹, #문제를 사용 불편함 으로 이해하면 안 된다. problem 해답을 필요로 하는 쟁점 issue question matter trouble 말썽 subject 과제 conflict 갈등, 충돌 tangle 엉킴
  • 21. Design Thinking : ❶ 공감하기 / 49 21 디자인 싱킹, #갈등 이 있는 곳에 언제나 미처 발견하 지 못한 문제가 숨어 있다. 인터뷰 관찰의 목적? 우리가 생각했던 모습과 크게 달랐다?는 새로운 사실 을 깨달았다. #편견 #사실 #발견 왜, 이런 갈등이 발생했을까? 이 갈등을 해결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 22.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2 STEP 1 주제 선정 STEP 2 대상자 결정 STEP 3 대상자 특성 결정 STEP 4 질문지 작성 STEP 5 파일럿 실행 STEP 6 질문지 수정 STEP 7 실대상자 선별 STEP 8 인터뷰 실행 STEP 9 데이터 수집 STEP 10 데이터 해석 STEP 11 결과 정리 ❶ 공감하기 ❷ 정의하기
  • 23.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3 STEP 1 주제 선정 STEP 5 파일럿 실행 STEP 3 대상자 특성 결정 팀이 집중하는 공간은 어디인가요? 팀의 서비스 대상은 누구인가요? # 액티브 시니어 소비자 Consumer의 특성은 무엇인가요? # Consumer vs # Customer vs # User # 액티브 시니어 소비자의 특성
  • 24.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4 공감 목적에 부합하는 질문들인가? STEP 4 질문지 작성 A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질문 B 응답률을 높일 수 있는 질문 C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질문
  • 25. Q. 공감 목적에 부합하는 질문들인가? / 49 25 질문의 형태 날씨 어때요? 언제 입을 옷을 찾으세요? 후속 진행 남자 바지 사러 오셨어요? 계산해 드릴까요? Yes or No / O or X 개방형 질문 Open ended Question Closed ended Question 폐쇄형 질문 다지선다형 척도형
  • 26.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6 공감 목적에 부합하는 질문들인가? STEP 4 질문지 작성 왜, 무엇 때문에 묻는 것은 꽤 좋은 인터뷰 방법이다. 이외 추천 방법 : 세 가지 형용사로 묘사해 주세요. 마음속에 떠오르는 것을 그려 주세요. 대학 을 음료수에 빗대어 설명해 주세요. vs 대학을 설명해 주세요. 앞에 놓여 있는 블록으로 심리 상태를 표현해 보세요.
  • 27.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7 STEP 5 파일럿 실행 STEP 6 질문지 수정 STEP 7 실대상자 선별 Pilot 인터뷰는 데이터 수집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Pilot 인터뷰로 구성한 질문들이 대답하기 어렵지 않은 가? 의미 있는 정보 수집에 적합한 질문인가? 3명 대상자의 인터뷰를 실행한다. 관찰 병행 Pilot 인터뷰 질문들을 테스트하고 수정한다.
  • 28.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8 STEP 8 인터뷰 실행
  • 29. 공감하기 인터뷰 프로세스 / 49 29 STEP 8 인터뷰 실행 인터뷰 질문지 : 담당자 1 카메라 삼각대 : 진행 상황 녹화 녹음기 휴대폰 앱 : 인터뷰 녹음 스크립터 휴대폰 앱 : 담당자 2, 3 다과 등 감사 표시 : 담당자 4, … 인터뷰 관찰 : 담당자 4, …
  • 30. 문제 정의하기 프로세스 / 49 30 STEP 9 데이터 수집
  • 31. 문제 정의하기 프로세스 / 49 31 STEP 10 데이터 해석 STEP 11 결과 정리 데이터를 정리합니다. 의미 있는 데이터를 선정합니다.
  • 32. / 49 32 지난 과제 Critique 공감하기 주의사항 관찰 중심으로 문제 정의하기 주의사항 금주 과제 실습
  • 33.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33 대상자의 말이 모두 금 은 아니다. 걸러내야 한다. #PAN FOR GOLD사람은 일화로 경험을 기억하기 때문에 하나의 주제만 떼서 이야기하기가 어렵다. 사람은 가장 최근 경험 위주로 기억을 회상하기 때문에 실 제 일어난 일들을 여정 또는 주제별로 논하는 게 어렵다. 사람의 경험은 여러 가지의 맥락이 동시 다발적으로 결합되 어 일어나는데 이 전부를 상호 관계까지 일일이 설명하기 어 렵다. 사람들은 하나의 경험 요소에 대해서 고충이 두드러질 때 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항상 일정한 불만 또는 니 즈 를 야기시키는 경험 요소는 많지 않다.
  • 34.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34 대상자의 말이 모두 금 은 아니다. 걸러내야 한다. #PAN FOR GOLD 사람은 일화로 경험을 기억한다. 사람은 최근 경험 위주로 기억을 회상하고 일어난 일을 여 정 또는 주제별로 논하는 게 어렵다. 경험이란 여러 가지의 맥락이 동시다발적으로 결합한 산물 로 사람이 이 상호 관계를 모두 설명하기는 어렵다. 사람은 하나의 경험 요소에 대해서 고충이 두드러질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항상 일정한 불만 또는 니즈 를 야기하는 경험 요소는 많지 않다.
  • 35.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35 디자인 싱킹, 따라서 두 번째 단계가 더 큰 의미를 갖는 다. 앞과 같은 한계로 리서치 수행보다 이를 해석하는 후 과 정 Key Findings, Insights 이 더 큰 의미를 가진다. 같은 것을 보고 남다르게 보는 눈, 해석의 탁월함. 우리는 과학자가 아니며, 우리의 결과도 과학적 산물이 아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할 일은 남들을 설득하기에 충분한 필 요 타당한 논리를 산출해야 한다.
  • 36.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36 디자인 싱킹, 따라서 두 번째 단계가 더 큰 의미를 갖는 다. 이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이러한 유형들이 존재합니다.
  • 37. 문제 정의하기 프로세스 / 49 37 STEP 9 데이터 수집
  • 38. 문제 정의하기 프로세스 / 49 38 STEP 10 데이터 해석 STEP 11 결과 정리 데이터를 정리합니다. 의미 있는 데이터를 선정합니다.
  • 39. 포스트잇 활용법 / 49 39 ❶ 공감하기 : 대상자 이해 인터뷰 후, 알아낸 내용을 쓴다. 만약 대상자들이 판이하게 다른 입장을 보이면, 다른 색깔로 기록해서 나중에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절대적인 활용법은 아니므로 더 편리한 방법을 개발해도 좋음.
  • 40. 포스트잇 활용법 / 49 40 ❷ 문제 정의하기 인터뷰 후, 얻은 자료와 대상자에 관한 내용을 종류별 로 정리하고 중요도에 따라 배열할 수 있다. 여러 번 배열, 재배열로 붙였다 뗐다… 넓은 공간 추천. 다음 단계에서 나오는 수많은 아이디어를 붙이기 위 함. 절대적인 활용법은 아니므로 더 편리한 방법을 개발해도 좋음.
  • 41. 1.쭉정이 골라내기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41 우리 이슈와는 상관없는 결과 근거는 없고, 현상만 기록된 결과 신뢰하기 어려운 결과 우리 디자인에 영감을 주지 못하 는 결과
  • 42. 2.일반화 우린 모두 다르면서 같다 쭉정이를 골라낸 다음에 가장 먼저 시도하는 것은 일 반화. 모든 리서치 결과는 1차적으로 일반화가 가능 해야 한다. 모든 액티브 시니어 들이 겪는 고충 … 대부분의 액티브 시니어 들이 원하는 OO 방식 은…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42
  • 43. 3.유형화 우린 모두 다르면서 같다 일반화가 가능하지 않을 때에는 차례로 유형화, 개별 화를 시도한다. OO을 자주 하는 액티브 시니어 들은 에서 이 걸 원하고 … 후, 를 한 시간 하는 경우에는, …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43
  • 44. 4.개별화 우린 모두 다르면서 같다 일반화가 가능하지 않을 때에는 차례로 유형화, 개별 화를 시도한다. 각자 자신만의 취향과 관심사가 다르기 때문에 … 이전에 했던 행동, 현재 맥락을 바탕으로 … Design Thinking : ❷ 문제 정의하기 / 49 44
  • 45. / 49 45 지난 과제 Critique 공감하기 주의사항 관찰 중심으로 문제 정의하기 주의사항 금주 과제 실습
  • 46. 기말 과제 계획 / 49 46 09강 04/30 : 공감하기 데스크 리서치 진행 10강 05/07 : 공감하기 필드 리서치 Pilot 1명 인터뷰 관찰 진행 11강 05/14 : 공감하기 필드 리서치 3명 인터뷰 관찰 진행 후 12강 05/21 : 문제 정의하기 13강 05/28 : 아이디어 내기 14강 06/04 : 프로토타입 만들기 테스트하기 15강 06/11 : 기말 발표
  • 47. 11주 차 과제 공지 / 49 47 이하 내용을 1건 PPT 문서로 제출합니다. 1.금주는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필드 리서치를 완료합니다. 2.포함할 내용 : #대상자 조건 키워드 #대상자 프로파일 #인터뷰 질문 설계 #인터뷰 질문지 #스크립트 일부 #인터뷰 후기 액티브 시니어 3명 섭외. 프로파일 필요. 3명 인터뷰 진행. 인터뷰 질문지, 인터뷰 진행 사진, 인터뷰 질문에 대한 답변 필수. 미포함 : #인터뷰 자료 동영상, 오디오, 풀 스크립트 3.이 조사의 목적이 무엇? 어떤 내용? 어떤 순서로 정리? 온전히 팀 자율에 맡깁니다. 4.지난 과제를 정리하면서 이번 과제를 포함 시킵니다. 5.목차 맨 뒤, Appendix. 챕터를 만들고 #파일럿 내용을 이동시킵니다.
  • 48. 다음 주, 11주 차 과제 발표 / 49 48 매주 Critique이 있습니다. 과제 제출 : 월, 오후 10시. 과제 발표 : 화, 수업 첫 세션, 두 팀 발표. 다음 주, 발표 : 과제 공지 글 참조. 반 대표? 발표 자료 준비 부탁합니다.
  • 49. kwonjeongeun naver.com / 49 49 끝. 다음 주 과제 : # 액티브 시니어 필드 리서치 3건 진행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