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5년도
「제17회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BARAM_HELPER :
사용자와 협업하는 Robot Arm
2015. 10.
〔참가팀 소개〕
No. 구분 성명 소속 전공 학년
1 팀장 주인호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3
2 팀원 김태경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3
3 팀원 전명환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4
4 팀원 정래훈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3
5 팀원 이승민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3
요 약 본
개요
팀 명 BARAM
로 봇 명 HELPER : 사용자와 협업하는 Robot Arm
활용분야 Service / Housework / Automation
개발목표 사람과 로봇팔의 상호작용 및 협업
개발
내용
필요성
및
목적
▪ 인공지능 필요성 (로봇팔 기준)
→ 스스로 판단가능, 여러 Task 수행 가능,
작업 변경 시 편리함, 물리적 및 기회비용 감소.
▪ 사람과 로봇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협업을 하는 것
→ HRI(Human Robot Interaction) 구현.
주요기능
▪ Robot
1. DLS방식을 활용한 Inverse Kinematics과 Null Space Motion
2. 로봇 팔 End Effector 경로 생성 (Path Planning)
▪ HRI
1. 안전성 & 공존
1) 사람인식 및 회피기능
(1) 2대의 Kinect를 사용한 Dead Zone 축소 및 좌표계 일치
(2) 사람 인식 및 회피
2. 협업
1) 음성인식 기능
2) 물체 특징 매칭을 통한 물체인식
3) Passive Compliance
(3) End Effector의 새로운 FT Sensor 제작
소요예산 ▪ 로봇 제작비용 약 1500만원
기대효과
▪ 기존 산업용 로봇팔의 문제점 개선
→ pHRI적용 안전성 보장, 로봇팔과 협업 가능
▪ 1인 사업자 편의성 증대
→ 제 3의 팔로서 편의성 증대
▪ 기존 서비스용 로봇의 문제점 개선
→ 사용자와 로봇팔간의 직접적인 Interaction 가능
로봇
특징
▪ End Effector부분의 새로운 FT Sensor 제작
→ 사용자가 FT Sensor의 축을 잡고 이동 시 로봇팔은 사용자가
이끄는 방향으로 순응하며  ×   의 수식으로 따라옴.
→ 총 6개의 압력 Sensor를 사용하여 받은 힘의 크기를
벡터 합으로 3차원의 모든 방향과 힘의 정도를 알 수 있음.
- 1 -
로 봇 이 미 지
❍ 로봇사진
전체 사진 전체 구성도
❍ 설계도면
로봇 설계도면(전체) FT Sensor
- 2 -
구성 및 특징
❍ 로봇 소개
개발 동기
·인공지능의 필요성 (로봇팔 기준)
인공지능 개발 이전 인공 지능 개발 이후
· 로봇 스스로 판단 불가 · 로봇 스스로 판단 가능
· 단순 반복 작업 · 여러 테스크 수행 가능
· 작업 변경 시 인건비 발생 · 작업 변경 시 편리함
· 물리적 및 기회비용 증가 · 물리적 및 기회비용 감소
·사람과 로봇팔의 상호작용(HRI : Human Robot Interaction)의 효과
→ 사람 혹은 로봇 단독으로 수행 할 수 없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
·사람과 로봇팔이 한 공간에서 안전성이 보장되어 협업을 할 수 있게 함
→ cHRI(Cognition Human Robot Interaction)와
pHRI(Physical Human Robot Interaction)를 구현함.
개발 목표
1. Robot
1) DLS방식을 활용한 Inverse Kinematics과 Null Space Motion
2) 로봇 팔 End Effector 경로 생성 (Path Planning)
2. HRI
1) 안전성 & 공존
(1) 사람인식 및 회피기능
① 2대의 Kinect를 사용한 Dead Zone 축소 및 좌표계 일치
② 사람 인식 및 회피
2) 협업
(1) 음성인식 기능
(2) 물체 특징 매칭을 통한 물체인식
(3) Passive Compliance
① End Effector부분의 새로운 FT Sensor 제작
- 3 -
❍ 시스템 구성
개발 내용
·H/W
Linear Yaw arm1 arm2 arm_roll arm_pitch end_Yaw
motor
YASKAWA 400W AC motor
(Torque=1.27 N.m 3000rpm)
MX-106
(Torque=10 N.m 55rpm)
MX-64
(Torque=7.3
N.m
78rpm)
RX-24F
(Torque=2.6
N.m
126rpm)
gear ratio X 1:50 1:25 1:2 X 1:1 X
Degree
of Freedom
6+1(Linear actuator) => 7
하중 Maximum: 700g specified: 450g
전체 크기 가로: 1219mm 세로: 1640mm 높이: 1440mm
(Axis & Link data) (Work Space)
·S/W
- 4 -
1. Robot
1) DLS방식을 활용한 Inverse Kinematics과 Null Space Motion.
(1) DLS방식을 활용한 Inverse Kinematics
   
    
 
  

 
     

:목표위치 :현재말단위치 :목표관절각속도 :가중치행렬
:자코비안행렬 :Damping상수 :Null Space Motion
① DLS방식은 행렬 요소에 일정 값(Damping)을
더하여 특이점 부근에서의 안정성을 증대함.
② 가중치를 지정, 각 관절의 활성도를 조정, 움직임을 최소화 함.
(2) 안전성 증대를 위한 Null Space Motion
① DLS 수식에서 값을 조정하여 Null Space Motion을 수행할 수 있음.
② 여러 Null Space Motion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다음 수식을 사용하며,
각  은 가중치를 주어 에 미치는 영향을 조정, 우선순위를 지정함.



 
 
 


③ 안전성 증대를 위해 다음 세 개의 Null Space Motion을 할당하며
우선순위를 장애물회피, 특이점회피, 조작성 증대 순으로 지정함.
⓵ 장애물 회피 : 자석간의 척력원리를 이용하여 장애물이나
사용자와의 충돌을 방지하여 안전하도록 함.
  × 

 k=가중치, L=조작량, p=조인트위치, o=장애물 위치
⓶ 특이점 회피 : 기구적으로 불안정해지는 특이점을
회피하여 로봇팔의 안전성을 높임.
  
det 
 k:가중치
- 5 -
⓷ 조작성 증대 : 로봇팔 관절 각도를 관절 움직임 범위의
중앙으로 오도록 하여 조작성을 최대화 함.
:가중치 :관절현재각도 :관절중심
 :관절최대각도 :관절최소각도
2) 로봇 팔 End Effector 경로 생성 (Path Planning)
(1) 충돌 없이 목적 지점으로 가기 위한 경로 생성
(Potential Field Algorithm을 활용한 경로 생성)
① 출발지점에서 목적지까지 가려고 하는 에너지와 장애물로부터 멀어
지려고 하는 에너지의 합을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
⦁Attractive Force : 목적지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
   
⦁Repulsive Force : 장애물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힘
  

 




  
if  ≤ 
  if   
⦁Force Sum : 위의 두 힘의 합
    ∑
② 최단 거리는 아니지만 부드러운 경로 계획 가능.
   

 

 
  


- 6 -
2. HRI
1) 안전성 & 공존
(1) 사람인식 및 회피기능
① 2대의 Kinect를 사용한 Dead Zone 축소 및 좌표계 일치
⓵ 두 개의 Kinect 좌표계 일치
- 두 개의 카메라가 고정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카메라 간의 각도 차이를 측정하여 회전 변환을 수행함.
- 카메라의 화각 내에서 Dead Zone이 거의 존재 하지
않는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음.
⓶ Base 좌표계와 Kinect 좌표계의 축 일치
- Kinect가 가지는 고유의 좌표계와 실제 사용할
Base 좌표계는 Z축과 Y축이 바뀌어 있기 때문에 변환 필요.
⓷ 로봇 팔과 Kinect의 좌표계 일치
- 로봇 팔의 경로 생성과 제어에 편의를 주기 위해
로봇팔의 원점과 Kinect의 원점을 맞추어야 함.
② 사람 인식 및 회피
- Kinect의 Skeleton을 이용해 사람의 위치를 인식 및 사람의
위치 모두 장애물로 인지 후 회피
2) 협업
(1) 음성인식 기능
① Kinect의 MIC Array 사용
② 필요한 명령어들만 인식 단어로 저장하고,
명령어들의 비슷한 발음을 추가함으로서 인식을 높임.
- 7 -
(2) 물체 특징 매칭을 통한 물체인식
① ②
(Kinect 영상) (Top View 이미지) (수첩 인식 결과)
① 키넥트의 RGB영상을 위에서 보는 시점의 영상으로 변경함(Top View).
② Labeling후 사각형 검출 및 사각형의 특징,
영역 컬러모멘트 매칭을 통하여 물체를 인식함.
(3) Passive Compliance
- 사용자가 FT Sensor의 축을 잡고 이동시 로봇팔은 사용자가
이끄는 방향으로 순응하며
 ×   의 수식으로 따라옴.
① End Effector부분의 새로운 FT Sensor 제작
- 총 6개의 압력 Sensor를 사용하여 받은 힘의 크기를
벡터 합으로 3차원의 모든 방향과 힘의 정도를 알 수 있음.
❍ 추진 체계
- 8 -
❍ 주요 특징(신규 및 진보된 기술)
구 분 내 용
지능능력
외부환경 인식기능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해진 물체 인식 가능
→ Top View 및 물체 특징 매칭을 통하여 물체를 인식
·사람의 지속적인 움직임 인식 가능
·두 개의 Kinect를 사용하여 Dead Zone 및 가려짐 해결
외부환경에 따른
계획 및 학습기능
·장애물 인지 후 로봇팔 회피 가능
→ 자석의 척력의 원리를 이용한 회피 알고리즘 구현
·End Effector의 충돌 없는 경로 실시간 계획
·각 Task에 가중치를 주어 가중치 높은 Task 우선 시행
·사용자의 여러 지정 목표 반복 수행 가능
자기위치 인식 및
환경 지도 작성 기능
·Encoder를 통해 실시간 위치 추종 가능
Human Robot
Interaction 기능
·FT Sensor를 통한 목표지점 지시 가능 (Passive Compliance)
·장애물 회피 가능
·사용자의 손 추종 가능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인식 가능
주어진 작업 수행 기능
·사용자가 지정한 물품 이동 및 전달 가능
·이상 징후 감지 시 로봇팔 회피 가능
메커니즘 메커니즘
·리니어 엑츄에이터 사용으로 여유자유도 추가 및 Work Space 확장
·End Effector부분 공압 및 Gripper를 새로운 설계 방식 구현
제어능력 제어 부분
·DLS 방식을 이용한 로봇팔 Kinematics
·상위 제어기 지령 수령을 위한 MCU 하위 제어기 설계
센 서 새로운 센서의 구현 ·FT Sensor 자체 제작
- 9 -
❍ 진행 시나리오
※ 홀딩을 제외한 모든 명령 시 pHRI 적용.
- 물품에 따라 End Effector의 공압 또는 Gripper를 스스로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가져다 줌
- “따라와”: 명령어를 수행 시 사용자가 End Effector를 잡고 이동 가능,
움직임을 정지한 뒤 Passive Compliance 진행
- “자비스”: 명령 시작 인지 및 반응 모션 수행
※ 트레이닝
- 트레이닝 명령어를 제외한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Position ID → 위치저장 순서로 명령 시 위치저장 가능 (최대 3개)
(Ex_Training)
→“자비스”“물품이름_1”“Position ID_1”“위치저장”
“물품이름_2”“Position ID_2”“위치저장”
“물품이름_3”“Position ID_3”“위치저장”“정리해”
물건이 놓여 있음 물건의 놓을 위치를 저장함 정해진 순서대로 정리함 정리 완료 후 대기 상태
- 10 -
❍ 기대 효과
1. 기존 산업용 로봇팔의 문제점 개선
1) 산업용 6관절 로봇팔 특이점, 장애물 해결 불가
→ 6관절 + 여유자유도 특이점, 장애물 회피 가능
2) 보장되지 않은 안전성으로 인한 사람과 로봇팔의 협업 불가
→ pHRI(Physical Human Robot Interaction)적용 안전성 보장
사람과 로봇팔간의 협업 가능
3) 코드를 입력하여 모션을 제작함으로 변경이 어려움
→ 움직임 입력 방식 변화에 따른 편리성 증대
( FT Sensor을 이용한 End Effector 움직임을 통한 입력 )
4) FT Sensor의 비용 문제
→ 저비용으로 새로운 FT Sensor 제작 및 비용 절감
2. 1인 사업자 편의성 증대
1) 작업 도중 특정 물건을 찾기 위해 작업 중단 및 찾는 번거로움
→ 작업 중단 없이 음성으로 특정 물건 찾기 입력, 로봇팔 스스로
인식 및 사용자에게 전달
2) 간단한 도움 필요 및 손이 부족한 경우 불편함
→ 제 3의 팔로 사용 가능
(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물건을 Holding [ex_랜턴 비추기] )
3. 기존 서비스용 로봇의 문제점 개선
1) 사용자와 로봇팔간의 Interaction 제한 및 불가
→ 사용자와 로봇팔간의 직접적인 Interaction 가능
증 빙 자 료
- Introuction to Robotics / John J.Crag(PEARSON)
- Robotics / Bruno Siciliano(Springer)
- Integrated control for pHRI : Collision avoidance, detection, reaction
and collaboration / Alessandro De Luca, Fabrizio Flacco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지능 Baram 보고서

[141]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연구 소개
[141]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연구 소개[141]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연구 소개
[141]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연구 소개
NAVER D2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atelier t*h
 
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
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
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
Jonghoon Seo
 
AR drone 2.0 - Object tracking project
AR drone 2.0 - Object tracking projectAR drone 2.0 - Object tracking project
AR drone 2.0 - Object tracking project
Dae Woon Kim
 
Workshop 210417 dhlee
Workshop 210417 dhleeWorkshop 210417 dhlee
Workshop 210417 dhlee
Dongheon Lee
 
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_로운팀.pptx
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_로운팀.pptx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_로운팀.pptx
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_로운팀.pptx
ssuser20022f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ssuserfb6a2f
 
닥치고 동작 모션인식2.0 키넥트 이후의 모션인식 기술
닥치고 동작 모션인식2.0 키넥트 이후의 모션인식 기술닥치고 동작 모션인식2.0 키넥트 이후의 모션인식 기술
닥치고 동작 모션인식2.0 키넥트 이후의 모션인식 기술
Jonghoon Seo
 
Pathfinding 관련 GPG스터디 발표
Pathfinding 관련 GPG스터디 발표Pathfinding 관련 GPG스터디 발표
Pathfinding 관련 GPG스터디 발표Frank Junghyun Kim
 
자료구조02
자료구조02자료구조02
자료구조02
herojoon1378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ssuserfb6a2f
 
Finalterm report in korean.
Finalterm report in korean.Finalterm report in korean.
Finalterm report in korean.nao takatoshi
 
Functional Kotlin makes Kotlin functional
Functional Kotlin makes Kotlin functionalFunctional Kotlin makes Kotlin functional
Functional Kotlin makes Kotlin functional
HyunWoo Lee
 
10 helicopter design
10 helicopter design10 helicopter design
10 helicopter designzvukoja6
 
KGC2010 김주복, 김충효 - M2 프로젝트의 절차적 리깅 시스템
KGC2010   김주복, 김충효 - M2 프로젝트의 절차적 리깅 시스템KGC2010   김주복, 김충효 - M2 프로젝트의 절차적 리깅 시스템
KGC2010 김주복, 김충효 - M2 프로젝트의 절차적 리깅 시스템Jubok Kim
 
인공지능: 변화와 능력개발
인공지능: 변화와 능력개발인공지능: 변화와 능력개발
인공지능: 변화와 능력개발
Taegyun Jeon
 
Io t에서의 소프트웨어단위테스트_접근사례
Io t에서의 소프트웨어단위테스트_접근사례Io t에서의 소프트웨어단위테스트_접근사례
Io t에서의 소프트웨어단위테스트_접근사례
SangIn Choung
 
THiRA-UTECH x THiRAbot
THiRA-UTECH x THiRAbotTHiRA-UTECH x THiRAbot
THiRA-UTECH x THiRAbot
THiRA-UTECH
 
Recast Detour.pptx
Recast Detour.pptxRecast Detour.pptx
Recast Detour.pptx
MUUMUMUMU
 

Similar to 지능 Baram 보고서 (20)

[141]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연구 소개
[141]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연구 소개[141]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연구 소개
[141]네이버랩스의 로보틱스 연구 소개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
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
Research Works of Jonghoon seo
 
AR drone 2.0 - Object tracking project
AR drone 2.0 - Object tracking projectAR drone 2.0 - Object tracking project
AR drone 2.0 - Object tracking project
 
Workshop 210417 dhlee
Workshop 210417 dhleeWorkshop 210417 dhlee
Workshop 210417 dhlee
 
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_로운팀.pptx
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_로운팀.pptx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_로운팀.pptx
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_로운팀.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닥치고 동작 모션인식2.0 키넥트 이후의 모션인식 기술
닥치고 동작 모션인식2.0 키넥트 이후의 모션인식 기술닥치고 동작 모션인식2.0 키넥트 이후의 모션인식 기술
닥치고 동작 모션인식2.0 키넥트 이후의 모션인식 기술
 
Pathfinding 관련 GPG스터디 발표
Pathfinding 관련 GPG스터디 발표Pathfinding 관련 GPG스터디 발표
Pathfinding 관련 GPG스터디 발표
 
자료구조02
자료구조02자료구조02
자료구조02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시스템종합설계_R&D_최종발표자료.pptx
 
Finalterm report in korean.
Finalterm report in korean.Finalterm report in korean.
Finalterm report in korean.
 
Functional Kotlin makes Kotlin functional
Functional Kotlin makes Kotlin functionalFunctional Kotlin makes Kotlin functional
Functional Kotlin makes Kotlin functional
 
10 helicopter design
10 helicopter design10 helicopter design
10 helicopter design
 
KGC2010 김주복, 김충효 - M2 프로젝트의 절차적 리깅 시스템
KGC2010   김주복, 김충효 - M2 프로젝트의 절차적 리깅 시스템KGC2010   김주복, 김충효 - M2 프로젝트의 절차적 리깅 시스템
KGC2010 김주복, 김충효 - M2 프로젝트의 절차적 리깅 시스템
 
인공지능: 변화와 능력개발
인공지능: 변화와 능력개발인공지능: 변화와 능력개발
인공지능: 변화와 능력개발
 
Io t에서의 소프트웨어단위테스트_접근사례
Io t에서의 소프트웨어단위테스트_접근사례Io t에서의 소프트웨어단위테스트_접근사례
Io t에서의 소프트웨어단위테스트_접근사례
 
THiRA-UTECH x THiRAbot
THiRA-UTECH x THiRAbotTHiRA-UTECH x THiRAbot
THiRA-UTECH x THiRAbot
 
Recast Detour.pptx
Recast Detour.pptxRecast Detour.pptx
Recast Detour.pptx
 
Hardware
HardwareHardware
Hardware
 

More from NAVER D2

[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
[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
[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
NAVER D2
 
[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
[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
[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
NAVER D2
 
[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
[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
[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
NAVER D2
 
[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
[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
[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
NAVER D2
 
[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
[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
[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
NAVER D2
 
[235]Wikipedia-scale Q&A
[235]Wikipedia-scale Q&A[235]Wikipedia-scale Q&A
[235]Wikipedia-scale Q&A
NAVER D2
 
[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
[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
[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
NAVER D2
 
[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
[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
[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
NAVER D2
 
[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
[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
[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
NAVER D2
 
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NAVER D2
 
[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
[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
[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
NAVER D2
 
[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
[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
[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
NAVER D2
 
[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
[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
[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
NAVER D2
 
[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NAVER D2
 
[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
[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
[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
NAVER D2
 
[213] Fashion Visual Search
[213] Fashion Visual Search[213] Fashion Visual Search
[213] Fashion Visual Search
NAVER D2
 
[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
[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
[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
NAVER D2
 
[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
[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
[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
NAVER D2
 
[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
[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
[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
NAVER D2
 
[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
[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
[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
NAVER D2
 

More from NAVER D2 (20)

[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
[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
[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
 
[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
[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
[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
 
[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
[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
[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
 
[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
[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
[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
 
[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
[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
[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
 
[235]Wikipedia-scale Q&A
[235]Wikipedia-scale Q&A[235]Wikipedia-scale Q&A
[235]Wikipedia-scale Q&A
 
[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
[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
[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
 
[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
[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
[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
 
[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
[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
[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
 
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
[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
[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
 
[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
[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
[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
 
[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
[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
[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
 
[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
[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
[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
 
[213] Fashion Visual Search
[213] Fashion Visual Search[213] Fashion Visual Search
[213] Fashion Visual Search
 
[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
[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
[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
 
[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
[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
[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
 
[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
[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
[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
 
[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
[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
[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
 

지능 Baram 보고서

  • 1. 2015년도 「제17회 한국지능로봇경진대회」 BARAM_HELPER : 사용자와 협업하는 Robot Arm 2015. 10. 〔참가팀 소개〕 No. 구분 성명 소속 전공 학년 1 팀장 주인호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3 2 팀원 김태경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3 3 팀원 전명환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4 4 팀원 정래훈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3 5 팀원 이승민 광운대학교 로봇학부 정보제어시스템 3
  • 2. 요 약 본 개요 팀 명 BARAM 로 봇 명 HELPER : 사용자와 협업하는 Robot Arm 활용분야 Service / Housework / Automation 개발목표 사람과 로봇팔의 상호작용 및 협업 개발 내용 필요성 및 목적 ▪ 인공지능 필요성 (로봇팔 기준) → 스스로 판단가능, 여러 Task 수행 가능, 작업 변경 시 편리함, 물리적 및 기회비용 감소. ▪ 사람과 로봇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협업을 하는 것 → HRI(Human Robot Interaction) 구현. 주요기능 ▪ Robot 1. DLS방식을 활용한 Inverse Kinematics과 Null Space Motion 2. 로봇 팔 End Effector 경로 생성 (Path Planning) ▪ HRI 1. 안전성 & 공존 1) 사람인식 및 회피기능 (1) 2대의 Kinect를 사용한 Dead Zone 축소 및 좌표계 일치 (2) 사람 인식 및 회피 2. 협업 1) 음성인식 기능 2) 물체 특징 매칭을 통한 물체인식 3) Passive Compliance (3) End Effector의 새로운 FT Sensor 제작 소요예산 ▪ 로봇 제작비용 약 1500만원 기대효과 ▪ 기존 산업용 로봇팔의 문제점 개선 → pHRI적용 안전성 보장, 로봇팔과 협업 가능 ▪ 1인 사업자 편의성 증대 → 제 3의 팔로서 편의성 증대 ▪ 기존 서비스용 로봇의 문제점 개선 → 사용자와 로봇팔간의 직접적인 Interaction 가능 로봇 특징 ▪ End Effector부분의 새로운 FT Sensor 제작 → 사용자가 FT Sensor의 축을 잡고 이동 시 로봇팔은 사용자가 이끄는 방향으로 순응하며  ×   의 수식으로 따라옴. → 총 6개의 압력 Sensor를 사용하여 받은 힘의 크기를 벡터 합으로 3차원의 모든 방향과 힘의 정도를 알 수 있음.
  • 3. - 1 - 로 봇 이 미 지 ❍ 로봇사진 전체 사진 전체 구성도 ❍ 설계도면 로봇 설계도면(전체) FT Sensor
  • 4. - 2 - 구성 및 특징 ❍ 로봇 소개 개발 동기 ·인공지능의 필요성 (로봇팔 기준) 인공지능 개발 이전 인공 지능 개발 이후 · 로봇 스스로 판단 불가 · 로봇 스스로 판단 가능 · 단순 반복 작업 · 여러 테스크 수행 가능 · 작업 변경 시 인건비 발생 · 작업 변경 시 편리함 · 물리적 및 기회비용 증가 · 물리적 및 기회비용 감소 ·사람과 로봇팔의 상호작용(HRI : Human Robot Interaction)의 효과 → 사람 혹은 로봇 단독으로 수행 할 수 없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 ·사람과 로봇팔이 한 공간에서 안전성이 보장되어 협업을 할 수 있게 함 → cHRI(Cognition Human Robot Interaction)와 pHRI(Physical Human Robot Interaction)를 구현함. 개발 목표 1. Robot 1) DLS방식을 활용한 Inverse Kinematics과 Null Space Motion 2) 로봇 팔 End Effector 경로 생성 (Path Planning) 2. HRI 1) 안전성 & 공존 (1) 사람인식 및 회피기능 ① 2대의 Kinect를 사용한 Dead Zone 축소 및 좌표계 일치 ② 사람 인식 및 회피 2) 협업 (1) 음성인식 기능 (2) 물체 특징 매칭을 통한 물체인식 (3) Passive Compliance ① End Effector부분의 새로운 FT Sensor 제작
  • 5. - 3 - ❍ 시스템 구성 개발 내용 ·H/W Linear Yaw arm1 arm2 arm_roll arm_pitch end_Yaw motor YASKAWA 400W AC motor (Torque=1.27 N.m 3000rpm) MX-106 (Torque=10 N.m 55rpm) MX-64 (Torque=7.3 N.m 78rpm) RX-24F (Torque=2.6 N.m 126rpm) gear ratio X 1:50 1:25 1:2 X 1:1 X Degree of Freedom 6+1(Linear actuator) => 7 하중 Maximum: 700g specified: 450g 전체 크기 가로: 1219mm 세로: 1640mm 높이: 1440mm (Axis & Link data) (Work Space) ·S/W
  • 6. - 4 - 1. Robot 1) DLS방식을 활용한 Inverse Kinematics과 Null Space Motion. (1) DLS방식을 활용한 Inverse Kinematics                         :목표위치 :현재말단위치 :목표관절각속도 :가중치행렬 :자코비안행렬 :Damping상수 :Null Space Motion ① DLS방식은 행렬 요소에 일정 값(Damping)을 더하여 특이점 부근에서의 안정성을 증대함. ② 가중치를 지정, 각 관절의 활성도를 조정, 움직임을 최소화 함. (2) 안전성 증대를 위한 Null Space Motion ① DLS 수식에서 값을 조정하여 Null Space Motion을 수행할 수 있음. ② 여러 Null Space Motion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다음 수식을 사용하며, 각  은 가중치를 주어 에 미치는 영향을 조정, 우선순위를 지정함.            ③ 안전성 증대를 위해 다음 세 개의 Null Space Motion을 할당하며 우선순위를 장애물회피, 특이점회피, 조작성 증대 순으로 지정함. ⓵ 장애물 회피 : 자석간의 척력원리를 이용하여 장애물이나 사용자와의 충돌을 방지하여 안전하도록 함.   ×    k=가중치, L=조작량, p=조인트위치, o=장애물 위치 ⓶ 특이점 회피 : 기구적으로 불안정해지는 특이점을 회피하여 로봇팔의 안전성을 높임.    det   k:가중치
  • 7. - 5 - ⓷ 조작성 증대 : 로봇팔 관절 각도를 관절 움직임 범위의 중앙으로 오도록 하여 조작성을 최대화 함. :가중치 :관절현재각도 :관절중심  :관절최대각도 :관절최소각도 2) 로봇 팔 End Effector 경로 생성 (Path Planning) (1) 충돌 없이 목적 지점으로 가기 위한 경로 생성 (Potential Field Algorithm을 활용한 경로 생성) ① 출발지점에서 목적지까지 가려고 하는 에너지와 장애물로부터 멀어 지려고 하는 에너지의 합을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 ⦁Attractive Force : 목적지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     ⦁Repulsive Force : 장애물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힘              if  ≤    if    ⦁Force Sum : 위의 두 힘의 합     ∑ ② 최단 거리는 아니지만 부드러운 경로 계획 가능.               
  • 8. - 6 - 2. HRI 1) 안전성 & 공존 (1) 사람인식 및 회피기능 ① 2대의 Kinect를 사용한 Dead Zone 축소 및 좌표계 일치 ⓵ 두 개의 Kinect 좌표계 일치 - 두 개의 카메라가 고정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카메라 간의 각도 차이를 측정하여 회전 변환을 수행함. - 카메라의 화각 내에서 Dead Zone이 거의 존재 하지 않는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음. ⓶ Base 좌표계와 Kinect 좌표계의 축 일치 - Kinect가 가지는 고유의 좌표계와 실제 사용할 Base 좌표계는 Z축과 Y축이 바뀌어 있기 때문에 변환 필요. ⓷ 로봇 팔과 Kinect의 좌표계 일치 - 로봇 팔의 경로 생성과 제어에 편의를 주기 위해 로봇팔의 원점과 Kinect의 원점을 맞추어야 함. ② 사람 인식 및 회피 - Kinect의 Skeleton을 이용해 사람의 위치를 인식 및 사람의 위치 모두 장애물로 인지 후 회피 2) 협업 (1) 음성인식 기능 ① Kinect의 MIC Array 사용 ② 필요한 명령어들만 인식 단어로 저장하고, 명령어들의 비슷한 발음을 추가함으로서 인식을 높임.
  • 9. - 7 - (2) 물체 특징 매칭을 통한 물체인식 ① ② (Kinect 영상) (Top View 이미지) (수첩 인식 결과) ① 키넥트의 RGB영상을 위에서 보는 시점의 영상으로 변경함(Top View). ② Labeling후 사각형 검출 및 사각형의 특징, 영역 컬러모멘트 매칭을 통하여 물체를 인식함. (3) Passive Compliance - 사용자가 FT Sensor의 축을 잡고 이동시 로봇팔은 사용자가 이끄는 방향으로 순응하며  ×   의 수식으로 따라옴. ① End Effector부분의 새로운 FT Sensor 제작 - 총 6개의 압력 Sensor를 사용하여 받은 힘의 크기를 벡터 합으로 3차원의 모든 방향과 힘의 정도를 알 수 있음. ❍ 추진 체계
  • 10. - 8 - ❍ 주요 특징(신규 및 진보된 기술) 구 분 내 용 지능능력 외부환경 인식기능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해진 물체 인식 가능 → Top View 및 물체 특징 매칭을 통하여 물체를 인식 ·사람의 지속적인 움직임 인식 가능 ·두 개의 Kinect를 사용하여 Dead Zone 및 가려짐 해결 외부환경에 따른 계획 및 학습기능 ·장애물 인지 후 로봇팔 회피 가능 → 자석의 척력의 원리를 이용한 회피 알고리즘 구현 ·End Effector의 충돌 없는 경로 실시간 계획 ·각 Task에 가중치를 주어 가중치 높은 Task 우선 시행 ·사용자의 여러 지정 목표 반복 수행 가능 자기위치 인식 및 환경 지도 작성 기능 ·Encoder를 통해 실시간 위치 추종 가능 Human Robot Interaction 기능 ·FT Sensor를 통한 목표지점 지시 가능 (Passive Compliance) ·장애물 회피 가능 ·사용자의 손 추종 가능 ·사용자의 음성 명령어 인식 가능 주어진 작업 수행 기능 ·사용자가 지정한 물품 이동 및 전달 가능 ·이상 징후 감지 시 로봇팔 회피 가능 메커니즘 메커니즘 ·리니어 엑츄에이터 사용으로 여유자유도 추가 및 Work Space 확장 ·End Effector부분 공압 및 Gripper를 새로운 설계 방식 구현 제어능력 제어 부분 ·DLS 방식을 이용한 로봇팔 Kinematics ·상위 제어기 지령 수령을 위한 MCU 하위 제어기 설계 센 서 새로운 센서의 구현 ·FT Sensor 자체 제작
  • 11. - 9 - ❍ 진행 시나리오 ※ 홀딩을 제외한 모든 명령 시 pHRI 적용. - 물품에 따라 End Effector의 공압 또는 Gripper를 스스로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가져다 줌 - “따라와”: 명령어를 수행 시 사용자가 End Effector를 잡고 이동 가능, 움직임을 정지한 뒤 Passive Compliance 진행 - “자비스”: 명령 시작 인지 및 반응 모션 수행 ※ 트레이닝 - 트레이닝 명령어를 제외한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Position ID → 위치저장 순서로 명령 시 위치저장 가능 (최대 3개) (Ex_Training) →“자비스”“물품이름_1”“Position ID_1”“위치저장” “물품이름_2”“Position ID_2”“위치저장” “물품이름_3”“Position ID_3”“위치저장”“정리해” 물건이 놓여 있음 물건의 놓을 위치를 저장함 정해진 순서대로 정리함 정리 완료 후 대기 상태
  • 12. - 10 - ❍ 기대 효과 1. 기존 산업용 로봇팔의 문제점 개선 1) 산업용 6관절 로봇팔 특이점, 장애물 해결 불가 → 6관절 + 여유자유도 특이점, 장애물 회피 가능 2) 보장되지 않은 안전성으로 인한 사람과 로봇팔의 협업 불가 → pHRI(Physical Human Robot Interaction)적용 안전성 보장 사람과 로봇팔간의 협업 가능 3) 코드를 입력하여 모션을 제작함으로 변경이 어려움 → 움직임 입력 방식 변화에 따른 편리성 증대 ( FT Sensor을 이용한 End Effector 움직임을 통한 입력 ) 4) FT Sensor의 비용 문제 → 저비용으로 새로운 FT Sensor 제작 및 비용 절감 2. 1인 사업자 편의성 증대 1) 작업 도중 특정 물건을 찾기 위해 작업 중단 및 찾는 번거로움 → 작업 중단 없이 음성으로 특정 물건 찾기 입력, 로봇팔 스스로 인식 및 사용자에게 전달 2) 간단한 도움 필요 및 손이 부족한 경우 불편함 → 제 3의 팔로 사용 가능 (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물건을 Holding [ex_랜턴 비추기] ) 3. 기존 서비스용 로봇의 문제점 개선 1) 사용자와 로봇팔간의 Interaction 제한 및 불가 → 사용자와 로봇팔간의 직접적인 Interaction 가능 증 빙 자 료 - Introuction to Robotics / John J.Crag(PEARSON) - Robotics / Bruno Siciliano(Springer) - Integrated control for pHRI : Collision avoidance, detection, reaction and collaboration / Alessandro De Luca, Fabrizio Flac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