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2
< 한국 팝의 건축학 : 모바일한 서울의 사운드스케이프 8090> 홍대 앞
0. 홍대 앞의 범위
1) 홍대 앞 = 서교동 일대
2) 90 년대 초반부터 현재까
지 문화적으로 의미화된
지역
3) 1980 년대 ~1990 년대에는
홍익대학교 정문과 ‘피카
소 거리’를 일컫는 의미로
사용됨
4) 2013 년 현재 상수동 - 합
정동 - 동교동 - 연남동으로
범위가 확장 중
서교동
상수동
합정동
동교동
1. 홍대 앞의 자원 현황
1) 서교동 지역에 미술 / 클럽이 분포하는
데 , 서교로를 중심으로 동편으로 미
술 자원 , 서편으로 클럽 ( 음악 ) 자
원이 배치
2) 미술 자원은 7-80 년대에 ,
클럽 자원은 90 년대 이후에 형성
3) 카페 자원은 서교동과 상수동에 걸쳐
고르게 분포 .
4) 단 , 체인점은 서교로 , 전철역 주변
등
접근성이 높은 곳에 집중 .
5) 일반 카페보다 갤러리 카페의 수가
적고 , 갤러리 카페들은 중심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 . (2010 년도 기준으
로 , 2013 년 기준으로는 이 범위는 합
정 - 상수 - 연남동으로 확산 )
6) ‘ 홍대 앞’의 범위 확장은 일반 / 갤러
리 카페의 확장과 거의 동일한 맥락에
있다 . ( 그렇다고 음악적 장소로서의
영향력이 약화된 건 아님 )
서울시 마포구의 서교동 , 창전동 , 상수동 , 동교동을 포괄하며 , 면적은
1,372,123m2(415,000 평 ) 이다 .
홍대 지역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서교동은 과거 연희동쪽에서 흘러 내려오던 개울이 지
세가 평평한 이곳에 와서 여러 갈래로 흐르게 되어 자잘한 다리가 많이 생겨났다고 하여 ‘잔다 
리 ( 細橋 ) 라고 했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당시 동과 서 두 군데에 있던 잔다리 중 지금
의 서교동사무소 일대에 해당하는 ’서쪽의 잔다리‘란 뜻 , 즉 ’서세교‘에서 서교동의 지명이 유래
되었다 . ( 두산백과사전 )
- 1946: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1 가에서 홍문대학관 설립
- 1955: 홍익대학교 서교동으로 이전
- 1957: 서울시의 서교 택지 조성 사업 진행
- 1961: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설립
- 1972: 산업미술대학원 설립
당시 서교동은 전형적인 주거지역 형태 . 1980 년대까지 미술학원 , 공방 , 갤러리
등이 밀집
- 1984: 지하철 2 호선 개통 . 홍대입구역 - 대학 정문을 잇는 서교로 일대에 상업지구 형성
- 1986: 와우산길을 중심으로 미술학원 거리가 형성 ( 피카소거리 : 홍대 정문 - 극동방송국 -
주차장거리 )
- 1987: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신설
- 1994: 드럭을 중심으로 라이브 클럽 활성 ( 이후 댄스 클럽들 등장 )
- 1999: 라이브 클럽 합법화 ( 식품위생법 개정 ) / 클럽 NB( 양현석 사장 ) 오픈
- 2001~2: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 / 클럽데이 / 2002 한일 월드컵
- 2003: 홍대 앞의 문화지구 지정에 관한 논의 . 댄스클럽이 현행법상 불법이라는 이유로 무산
됨
-> 시어터 제로의 폐관에 영향 .
2. 홍대 앞의 형성
3. 1980 년대 홍대 앞 (1)
1) 1970 년대 중반까지 홍대 앞으로 미술학원이 결집되었음 .
2) 1980 년대에 이르러
- 대학입학 정원이 늘어나고 미대 진학생이 급증하며 미
술
학원 거리화가 진행됨
- 극동방송국부터 동교동에 이르는 1km 가 미술학원 거
리로
부상
- 원인 : 일반고에서 미술실기 수업이 부재 ,
학원에서 배울 수밖에 없는 구조
- 같은 시기 , 강남 압구정동 주변에도 미술학원 거리가
형성
( 신사동 마성아파트부터 압구정 한양아파트 )3) 1984 년
- 지하철 2 호선 개통으로 신촌 . 이대역 상권이 급속도로 발달
- 2 호선 순환선은 특히 대학가를 연결하는 노선이 되었음 ( 대학이름이 붙은 역이 11 개 등장 )
- 순환선의 등장 이후 대학문화 평준화
- 서울시 도시설계 완성 (1985 년부터 시행 )
a. 테헤란로 지역 영동지역을 도심권으로 육성
b. 김포가로변 보도신설 및 공항입구 상업지역 정비
c. 신촌 일대의 상업지역 확대 ( 역세권 상업지구 및 대학문화 중심지 )
- 강북의 부도심으로 육성 . 대학문화중심지로 성장 .
- 지하철역 중심의 개발 .
- 신촌 - 이대는 상업지역으로 변경 . 합정 - 아현은 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변경 .
- 아현로는 가구점 전문상점가 .
- 이대 . 연대는 문화상업지역으로 개발 .
- 신촌로터리는 대형건물 . 로터리 축소 보도 확장 . 신촌시장을 17 층 규모로 신축 .
- 마포구 도시기본계획 : 서교 365 골목을 가로형 공원 ( 차도 + 보도 ) 으로 조성 .
3. 1980 년대 홍대 앞 (2)
4) 1985 년
- 7 월 . 신촌 일대 개발
a. 낡은 한옥이 밀집된 신촌 로터리의 재개발
b. 동교동 + 아현동 + 연세대 + 서강로 + 창전로 재개발 . 신촌 부도심권의 핵 .
c. 신촌역 앞 광장 조성 , 상업지역 확대방안 .
d. 이대 / 연대 입구는 청소년중심의 문화 상업 지역으로 조성
5) 1987 년
-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설립 . ( 실기와 이론의 균형 교육 )
- 종합예술대학으로 특화되는 기틀을 마련 .
- 90 년대 이후 홍대 주변으로 미술가를 비롯해 이론가와 비평가들이 모이는 계기가 됨 .
6) 1989 년
- 해외여행 자율화 : 90 년대 ‘신세대’와 ‘오렌지족’의 등장에 영향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1)
1) 1992 년 : 신촌 상권의 부상
- 92 년부터 서울시 , 5 대 부도심권 개발 시작
a. 일산 신도시 개발 영향으로 신촌로터리가 서울 북서부 지역
의
교통 / 유통의 중심지로 부상 (10 월 , 신촌 그레이스 백화점
오픈 )
b. 그전까지 서울시 도심재개발은 4 대문 안으로 국한되었다가
92 년부터 영등포 - 청량리 등으로 확대
c. 10 월부터 12 월까지 이대앞 - 신촌로터리 - 연대앞의 341 개
업소 단속
d. 92 년 11 월부터 93 년 1 월까지 신촌 / 방배동 카페촌 집중
단속으로
100 개 업소 영업정지
e. 신촌 일대의 1 일 평균 3~5 만 명 야간유동인구가 5 천 ~1 만
명
수준으로 격감
f. 결과적으로 홍대 앞이 신흥 유흥가로 부상
- 서울시 , 대학가 건전문화의 거리 조성안 : 구 단위로 도시기본계
획에 주차장 , 공원 , 야외무대 , 녹지 등을 추가
a. ‘ 대학가 정비사업’은 서울시와 경찰청이 협력해 신촌을 중심으
로
서울 전역의 대학가 퇴폐 및 심야 불법영업유흥업소 집중 단
속 .
b. 서울시장 ( 이상배 ) 과 신촌지역 5 개 대학 총장이 [ 신촌지
역의 대학문
화 중심지역화 공동위원회 ] 구성
c. 록카페를 향락업소로 규정 , 단속 . 절반 이상이 업종 전환
- 62 개 중
30 여개가 호프집 / 식당 / 옷가게로 전환 ( 신촌 일대의 록카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2)
2) 1993 년 : 신세대론 , 락월드 오픈 , 거리 미술
제
- 2 월 : 라이브 카페 락월드 오픈 .
a. 최초의 라이브 클럽
b. 와우산 언덕길에 위치
c. 강기주 사장 ( 현재 미국 거주 )
d. 1997 년에 문 닫음 .
- 10 월 . 1 회 < 거리미술제 >
: 홍대 미술대학 학생회 주최 . 마포구청
후원
: 홍대 놀이터의 거리 음악제 개최 예산 활
용
: 오렌지족의 향락 문화에 대항하는 문화행
사
3) 1994 년 : 역세권 재개발 계획
- 7 월 . 홍대 일대에 원룸타운 조성
- 10 월 . 성수대교 붕괴
-> 이후 오렌지족은 2 부류로 분화 .
-> 홍콩 / 싱가폴 vs 홍대 앞
- 10 월 . 노이즈가든 톰보이 록콘테스트 대상
- 12 월 . 역세권 개발 및 상업지역 확대 정책
.
a.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의 변경을 골자로
함 .
b. 4 대문 안 도심지역의 과밀화를 막는
라이브 카페 락월드 마지막 날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3)
4) 1994 년 홍대 앞 상권과 홍대 앞 정화운동
서
교
로
놀이터
피
카
소
거
리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4)
5) 1995 년
- 서울시 도시계획안
a. 한남동 일대 일반거주구 / 준주거지역에서 일반
상업
지역으로 용도변경
b. 이태원동 도시설계지구 지정
c. 신촌 / 양화 / 서강로 주변 마포도시설계지구 지
정
- 아파트 , 주유소는 신설 불가 , 재건축은
허용 .
d. 신축 건물에 조형물 설치 의무화 (1% 법 )
- 신촌 유흥업소 1 천 곳 기록 : 연대 566 개 / 서강
대 223 개 /
홍익대 190 개 / 이대 179 개 ( 카페 196 개 / 노래
방 148 개 /
당구장 102 개 / 호텔 . 여관 84 개 ) 서점은 8 곳 .
- 3 월 . 홍대 앞 지하보도 계획 (96 년 완공 ).
상수동 - 강변북로 연결 (96 년 완공 )
- 4 월 . 드럭 밴드 결성 , 너바나 커트코베인 추모 공
연 .
- 병역미필자들의 해외여행자율화
- 30 대 미혼인구 급증 . 836 만명 중 미혼자는 9% 인 75
만명 .
- 10 명 중 1 명 꼴 . 80 년에는 3.3%, 90 년에 6.9% 로
점차 증가 .
- 최초의 인터넷 카페 < 네트 스케이프 > 홍대 앞에 개
업
- 최초의 CD 롬 잡지 등장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5)
6) 1995 년의 피카소 거리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1)
1) 1996 년 : 국민소득 1 만 달러 시대 진입
- 5 월 . 25 일 스트리트 펑크 쇼 . ( 홍대 노상 주차장 , 26 일에는 명동 코스모스 플라자 앞 ) 드럭 밴드들 중심
행사 .
- 6 월 . 대중음악 사전심의제 철폐 기념 < 자유 > 콘서트 . 3 일간 진행 .
서울대 . 한겨레신문사 주최 / 뮤직센터 21 세기 , 정태춘 기획 / 김민기 , 강헌 , 임진모 기획자문
윤도현 , 강산에 , 안치환 , 양희은 , 천지인 , 삐삐밴드 , 꽃다지 , 노찾사 , 신성우 , 시나위 , 조국
과청춘 , 크래시 , 넥스트 ,
조동진 , 한영애 , 리아 등
- 7 월 . 홍대입구 역사 주변이 주거 / 준주거지역에서 근린상업지역으로 용도변경 .
- 8 월 . 드럭 밴드들 , 신촌 라이브극장 < 벗 > 에서 합동 공연 .
연세대학교 집회 ( 연대사태 ). 최장기 집회 , 최다 구속 , 한총련 와해 .
- 9 월 . 아워네이션 1 집 . 신대철 스튜디오에서 3 일 만에 녹음 .
신촌 롤링스톤즈 화재 . 라이브 클럽이 록카페로 기사화되며 라이브클럽 , 록카페에 대한 사회적 편견
이 강화 .
- 10 월 . 소란 페스티벌 . 서울대 . PC 통신 동호회 얼트바이러스 기획 . 인디 밴드로 구성한 최초의 록 페스티
벌 .
- 홍대 앞 주요 클럽
a. 발전소 : 92 년 오픈 . 극동방송국 건너편 2 층 구조 . 배창호 , 마광수 단
골 .
영화 < 젊은 남자 > 에 등장 ( 이정재 데뷔작 ).
96 년 , 록카페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 . 변종근 사장 .
b. 곰팡이 : 95 년 황신혜 밴드의 결성 장소 . 김형태 ( 화가 )+ 조윤석 ( 건축
가 ).
c. 황금투구 : 발전소에서 분화된 공간 . 곰팡이 / 상수도와도 같은 식구 .
7 월 , 삐삐밴드 2 집 < 불가능한 작전 > 발표회 장소 .
d. 드럭 : 94 년 오픈 . 크라잉넛 . 옐로키친 . 갈매기 . 벤치 . 위퍼 . 노브레
인
e. 프리버드 : 95 년 10 월 오픈 . 광화문 음악사 주인이었던 김한택 사장 . 델
리스파이스 .
f. 블루데블 : 95 년 6 월 오픈 . 김광석 밴드 , 유앤미블루 , 자우림 .
g. 재머스 : 96 년 1 월 오픈 . 아마추어 밴드도 쉽게 무대에 설 수 있던 클럽 .
h. 스팽글 : 96 년 8 월 오픈 . 마이앤트메리 . 슬로우 . 네이키드 런치 . 굴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1)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2)
2) 1996 년 : 홍대 앞 상권 변화
- 주차 단속으로 이면도로 상권 분화 .
-> 공간문제로 술집보다 카페가 성업 .
- 홍대입구역 주변의 근린상업지역 용도 변경 .
-> 대형 오피스텔 건립 활성화 . 금융기관 중심으로
입주 .
-> 2000 년 이후 인천국제공항 , 경의선 전철 환승역
계획 .
- 극동방송국 주변 임대료 평균 10% 상승 .
-> 1 층 40 평 카페 : 보증금 5 천 / 월세 180 만원이
1 년 사이
월세 280 만원으로 . ( 신축건물 임대료는 평당
800~1 천 )
- 12 월 31 일 : 당산철교 폐쇄 . (97 년 2 월까지 셔틀버
스로 연결 )
-> 정류장과 가까운 미화당 레코드 매출 상승 .
- 합정역의 신역세권 대두
a. 95 년 11 월 . 준주거지와 일반주거지를 포함해 상
업지구
로 용도변경 .
b. 당산철교 철거와 6 호선 신설로 상업지역 확대 .
(94 년
공사 시작 )
c. 마포구 합정동 + 망원동 + 서교동을 잇는 상업지구
로 ,
영등포 - 강서권을 연결하는 교통 요지
교육환경 확보를 위한 홍익가족 인간띠 잇기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3)
3) 1997 년 : IMF 돌입
- 2 월 : 개방적 클럽 연대 발족 . 안이영노 ( 크리스찬 아
카데미
연구원 ), 김종휘 ( 뮤직센터 21 세기 ), 황옥주
( 서울아이 ),
원종우 ( 배드테이스트 ) 운영진
- 3 월 . 개클련 + 팬진공 = 땅밑달리기 . 클럽 언더그라운
드
( 하성채 대표 ) -> 클럽 출연료 2 만원 / 입장료
3 천원 .
- 5 월 . 이화여대 . 반 - 신촌문화축제 개최 . 연세대 ,
서강대 ,
홍익대 동아리들 연대 . 변질된 지역 축제를 거
부 . ->
신촌문화축제는 92 년부터 시작된 신촌지역 상인
+ 유지
+ 서대문구청의 지역 축제 .
- 6 월 . 팬진공 , 폐간호 발간 .
- 7 월 . 성수대교 개통 . 압구정 상권 부활 . 이후 압구
정동은
수입자동차 전시장 / 미용실 / 록카페 / 고급 레스
토랑으로
재편 . 모델라인 입주로 포토 스튜디오 활성화 .
강남구는 성수대교 사거리 - 청담동 , 갤러리아 -
학동사거
리를 패션 거리로 지정 .
- 8 월 : 델리스파이스 첫 단독공연 : 신촌 라이브 극장
< 벗 >
(98 년 단독공연은 대학로 라이브 극장 )
- 11 월 . 여성전용 문화공간 < 마녀 > 오픈 . 여성문화예 1998 년 포스터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4)
4) 1997 년 홍대 앞 지도
- 시티비트 . 레코드포럼 . 시완레코
드 . 퍼플레코드 등 레코드 점 호황 .
http://youtu.be/qbFI-cBSZg0
- 드럭 : 18 크럭 . 새봄에핀딸기꽃 .
- 롤링스톤즈 : 윤도현밴드 . 블랙
홀 . 토미기타 . 힙포켓 . 내귀에도청
장치 .
- 스팽글 : 허클베리핀 . 노브레인 .
코코어 . 위퍼 . 모레인 .
- 코다 : 모쿠스틱 . 선샤워 . 힙포켓
.
- 대학로 : 바로크 난장의 밴드 기획
공연
- 일본문화개방 논의
: 한일합작 / 국제영화제수상작 우선
: 영화 , 비디오 , 음반 , 공연 , 방
송
단계적 개방 .
-퇴마록 개봉 1 주일 만에 30 만 관객 .
http://youtu.be/neXA4PLtChI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5)
5) 1997 년 홍대 앞 공간들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6)
6) 1998 년
- 홍대입구역에 LG 팰리스오피스텔 , 서교타워 개공 .
- 4 월 . 단속으로 폐업한 ‘블루데빌을 위한 우정의 무대’
-> 대학로 라이브극장 . 자우림 / 정원영 / 한상원밴드
/ 신윤철
/ 임현정 / 정경화 / 유앤미블루 ( 재결성 ) 등
- 6 월 . 대학로 클럽 < 살 > 벌금형 .
- 7 월 . 문화관광부는 클럽합법화 지지 .
‘ 라이브클럽 합법화를 위한 하드 록 파티 ' 후
원 .
보건복지부는 반대 . 청소년 유해환경이 될 소지
가 있음 .
- 8 월 . 국회의원회관 ' 현장공연활성화를 통한 대중문화
발전
방안 ' 공청회 .
[ 대중음악공연 문화 발전을 위한 시민연대 ] 발
족
홍대 일대에서 대규모 라이브 클럽 공연 개최
대학로에서 98 독립예술제 개최 . 11 개 장르
92 개 팀 .
-> 아름다운밴드연합 .( 김현 의장 / 프리다칼
로 )
성북구 돈암동 활인소극장에서 아밴연 공연 .
-> ' 메이든 인 코리아 언더록 버전 업 '
- 9 월 . 라이브클럽 합법화 운동 본격화 .
: 식품위생법 위반 ' 룸살롱 / 나이트클럽에서만 2 인
이상 연주 할 수 있다‘는 규정 .
- 10 월 . 홍대 앞 집중 조명 기사들 등장 .
- 11 월 . 시어터 제로 오픈 . 심철종 연출가 .
서울시 . 걷고싶은거리 사업대상지 선정 .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7)
7) 1999 년
- 4 월 . 홍대 . 정문 옆 유흥업소 건물 공사부지 52 억원 매입 .
95 년 5 월에 청원서 제출 ->10 월 가처분신청 ->97 년 7 월 법원 판결 -> 경매 -> 홍익대 낙찰
- 6 월 . 라이브클럽 합법화 . 식품위생법 개정 .
' 전국 라이브클럽 합법화 기념 페스티벌 '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야외무대 .
개정내용 : “ 댄서 , 가수 , 연주자 또는 만담 및 곡예를 하는 자 등은 손님과 함께 술을 마시는 등 흥을
돋우는 유흥종사자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 댄스클럽은 해당 안 됨 )
- 8 월 . 트라이포트 록 페스티벌 .
- 10 월 . 테크노 ( 일렉트로니카 ) 붐 . / 조윤석 , 홍대앞 지도 매거진 < 맵진 > 발행 .
- 이현우와 김광민이 진행하는 < 수요예술무대 >(93 년 4 월부터 방송 ) 에 크라잉넛 , 노이즈가든 등 출연 .
- 12 월 . 대학총학생회 선거에 DDR 등장 .
연세대 ' 여성 ' 총학생회장 정나리 당선 .
레드재플린 : http://youtu.be/GHQ30V-e67Y
타임투락 : http://youtu.be/L31HcbTHRX0
마스터플랜 : http://youtu.be/i8pUbQVUOqs
8) 2000 년 이후
- 홍대 앞의 음악 씬은 2000 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분화되었다고 보는 게 적절할 듯 .
: 2002 년 한일월드컵 , 이태원 집중단속으로 인한 홍대 외국인 유입 , 음원 산업으로의 전환 등이
홍대 앞의 음악 환경에 영향을 미쳤고 , 그로 인한 산업적 , 문화적 갈등과 융화가 현재진행형인 공간으로
자리잡음 .
- 90 년대 확정된 서울시 도시계발 정책 아래 홍대 - 합정 - 상암 지역의 부도심권 개발이 순차적으로 진행
: 그로 인한 도심재개발 사태와 씬의 분화 : 두리반 투쟁과 51+ 페스티벌 , 자립음악생산조합의 등장
- 대중음악을 듣는 세대의 변화 : 80 년대 이후에 태어난 세대들이 음악 생산과 향유의 주체로 등장 .
- 현재진행형의 모델이라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관찰과 이해를 요구하는 장 (field).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8)
9) 홍대 앞 라이브 / 댄스 클럽들의 형성과 분화
- 94~97 년 사이에 개업한 라이브 클럽들은 홍대 씬의 형성에 크게 이바지했으나 99 년 이후 유명무실해지거나 몇
년 후 폐업하는 길을 걸었음 .
- 댄스 클럽들은 99 년 전후로 개업해 2000 년 이후 홍대 문화적 정체성을 좌우하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 동시
에 소비향락문화의 주체라는 비판을 받음 .
- 2000 년 이후 쌈넷 바람 라이브 , 상상마당 라이브홀 , 롤링홀 , CJ 아지트 , 인터파크홀 , lig 홀 등이 순차적으
로 오픈하며
500~1000 석 규모의 공연장이 등장 . 빵은 이대 후문에서 홍대 앞으로 이전해 복합문화공간에서 밴드 공연장으
로 전환 .
- 2009 년을 전후로 카페 라이브가 확산됨 . 최근엔 버스킹과 클럽 공연 사이의 간극이 더 커지는 경향 .
6. 198-90 년대 홍대 앞 RE-VIEW
1) ‘ 문화특화지역’으로서 홍대 앞의 단계별 분화
- 1970 년 말 이후 1987 년 무렵까지 형성기
: 지하철 2 호선 개통 , 서북부 재개발 이슈와 홍
익대
특성화 작업이 결합해 관련 자원을 발생시키고
주목현상을 유발 .
- 1987 년 이후 1999 년까지는 성장기
: 클럽 씬의 등장과 분화 , 심화와 갈등이 반복적
으로
진행되며 홍대 앞에서 음악이 본격적으로 주도권
을
잡는 시기 .
- 2000 년 이후
: 성숙기와 진화기에 걸쳐 있는 상태로 ,
균형상태를 지나 특화발전 / 소멸의 과정 중에
있다고
볼 수 있음 .
- 2000 년 이후 상황에 대한 참고 자료들
a. 홍대 상권 알아보기 http://blog.naver.com/rednut005/30111786849
b. 홍대 상권 분석 http://blog.naver.com/hmhwlove/100104538596
c. ‘ 걷고 싶은 거리’ 조감도 http://www.extraod.com/?p=600
7. 결론과 질문들
1) 결론
- 198~90 년대 홍대 앞은 다층적인 원인으로 인해 음악적 특화 과정을 겪음 .
- 다만 음악 주체들의 출발이 특정 공간에 기인한다기보다는 PC 통신 / 인터넷 / 타 지역 등 복잡한 위치에서 출
발해서
홍대 앞으로 집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 이전 시기와 뚜렷하게 구분되는 지점이기도 함 .
- 요컨대 ‘고아들’처럼 , 뿌리 없는 곳에서 시작하는 서사 = 96 년 이후 , ‘ 한국 록의 뿌리찾기’ 프로젝트도 그
결핍 때문 ?
- 80 년대 후반 이후 도시 개발 이슈가 가속화되는 중에 우연히 홍대 앞의 상권 발달과 클럽 씬 형성이 겹쳐지며
‘문화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얻게 됨 . 참고로 2000 년 이후 홍대 앞 ‘문화지구’ 지정에 대한 논의는 지지부진
하다가 소멸 .
< 한국의 국토계획 발전사 >
- 1 차 국토계획 : 1972-1981. 고도경제성장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을 목표 . 수도권과 동남해안 공업벨트 중심의 거점 개발 추진 .
- 2 차 국토계획 : 1982-1991. 인구의 지방정착과 생활환경 개선을 목표 . 수도권 집중 억제와 권역 개발 추진 .
- 3 차 국토계획 : 1992-2001. 국민복지향상과 환경보전을 목표 . 서해안 산업지대와 지방도시육성을 통한 지방분산형 국토개발추진 .
- 4 차 국토계획 : 2000-2020. 지식기반산업의 성장 및 정보화 . 각종 권한의 지방분산에 적극 대처 . 세계 경제의 전면적 자유화 . 문화관광기반
의 체계적 확충 .
< 문화지구 (cultural district)>
- 한국에서는 90 년대 중반 이후부터 사용되기 시작 . 99 년 문화예술진흥법에 반영되었고 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이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으로
규정되고 시행 중 . 2000 년 내에 30 개의 문화지구가 지정될 예정 . | < 문화벨트 및 문화도시 조성방안 연구 > / 2000. 한국문화정책개발원 .
- 초기 홍대 앞은 사교의 장소로 의미화 , 산업적 장소는 외부에서 충족 . ( 레코딩 , 유통 , 간간이 공연 )
- 인디 레이블의 분화 , 홈레코딩의 보편화 , 공연장의 질적 향상 등이 충족되는 2000 년 이후에는 이 간극이
해소 .
2) 한계와 질문
- 증언과 기록의 부족함 , 그리고 힙합 - 전자 음악 - 댄스 클럽의 부재 .
- ‘ 도시 개발과 인디 씬의 심화’라는 주제를 특화시켜도 좋을까 ?
- 서교동이 다른 지역에 비해 어느 정도 오랫동안 상업자본과 끈질기게 투쟁하고 있다고 본다면 ,
그것은 일단 이 지역이 평평하고 넓기 때문이기도 할까 . 요컨대 이 ‘내구력’과 ‘맷집’은 ‘덩치’에서 나오는 게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Seongwon Kim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Ressources numériques en bibliothèque : quelles offres ? Quelle médiation
Ressources numériques en bibliothèque : quelles offres ? Quelle médiationRessources numériques en bibliothèque : quelles offres ? Quelle médiation
Ressources numériques en bibliothèque : quelles offres ? Quelle médiationDujol Lionel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Seongwon Kim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Seongwon Kim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Seongwon Kim
 
Landspace Ar.martha schwart
Landspace Ar.martha schwartLandspace Ar.martha schwart
Landspace Ar.martha schwartRohiniTRRohini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Seongwon Kim
 
Design Research of Cancer Infusion Treatment Environments
Design Research of Cancer Infusion Treatment EnvironmentsDesign Research of Cancer Infusion Treatment Environments
Design Research of Cancer Infusion Treatment EnvironmentsCannonDesign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Seongwon Kim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Seongwon Kim
 
Art Nouveau- Hector Guimard
Art Nouveau- Hector GuimardArt Nouveau- Hector Guimard
Art Nouveau- Hector GuimardMohit Yadav
 
Pulitzer Foundation for the Arts
Pulitzer Foundation for the ArtsPulitzer Foundation for the Arts
Pulitzer Foundation for the ArtsElmestad
 

What's hot (20)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지속가능한 그린 학교-학교운동장재구조화, 학습정원, 실내외 연결, 쾌적한 환경 조성, 탄소제로 학교 등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Ressources numériques en bibliothèque : quelles offres ? Quelle médiation
Ressources numériques en bibliothèque : quelles offres ? Quelle médiationRessources numériques en bibliothèque : quelles offres ? Quelle médiation
Ressources numériques en bibliothèque : quelles offres ? Quelle médiation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밧줄과 그물 놀이터 워크숍 워크북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Upcycling plyaground examples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Landspace Ar.martha schwart
Landspace Ar.martha schwartLandspace Ar.martha schwart
Landspace Ar.martha schwart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Design Research of Cancer Infusion Treatment Environments
Design Research of Cancer Infusion Treatment EnvironmentsDesign Research of Cancer Infusion Treatment Environments
Design Research of Cancer Infusion Treatment Environments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Art Nouveau- Hector Guimard
Art Nouveau- Hector GuimardArt Nouveau- Hector Guimard
Art Nouveau- Hector Guimard
 
Pulitzer Foundation for the Arts
Pulitzer Foundation for the ArtsPulitzer Foundation for the Arts
Pulitzer Foundation for the Arts
 

Similar to [한국팝의 건축학] 8강.홍대앞.차우진 (2013.0820)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ESCAPE
 
북경탐방 보고서
북경탐방 보고서북경탐방 보고서
북경탐방 보고서경태 민
 
20150324_수미네 기자회견 자료
20150324_수미네 기자회견 자료20150324_수미네 기자회견 자료
20150324_수미네 기자회견 자료humandasan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별일사무소
 
20120319 행궁동마을만들기 사례 수원kyc
20120319 행궁동마을만들기 사례 수원kyc20120319 행궁동마을만들기 사례 수원kyc
20120319 행궁동마을만들기 사례 수원kyc융선 최
 
20150817수미네 기자회견
20150817수미네 기자회견20150817수미네 기자회견
20150817수미네 기자회견humandasan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ssuser26638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Similar to [한국팝의 건축학] 8강.홍대앞.차우진 (2013.0820) (9)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세계 속 음악 시장
세계 속 음악 시장세계 속 음악 시장
세계 속 음악 시장
 
북경탐방 보고서
북경탐방 보고서북경탐방 보고서
북경탐방 보고서
 
20150324_수미네 기자회견 자료
20150324_수미네 기자회견 자료20150324_수미네 기자회견 자료
20150324_수미네 기자회견 자료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격동의 반세기, 서울중앙시장상인 이야기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20120319 행궁동마을만들기 사례 수원kyc
20120319 행궁동마을만들기 사례 수원kyc20120319 행궁동마을만들기 사례 수원kyc
20120319 행궁동마을만들기 사례 수원kyc
 
20150817수미네 기자회견
20150817수미네 기자회견20150817수미네 기자회견
20150817수미네 기자회견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한국팝의 건축학] 8강.홍대앞.차우진 (2013.0820)

  • 1. < 한국 팝의 건축학 : 모바일한 서울의 사운드스케이프 8090> 홍대 앞
  • 2. 0. 홍대 앞의 범위 1) 홍대 앞 = 서교동 일대 2) 90 년대 초반부터 현재까 지 문화적으로 의미화된 지역 3) 1980 년대 ~1990 년대에는 홍익대학교 정문과 ‘피카 소 거리’를 일컫는 의미로 사용됨 4) 2013 년 현재 상수동 - 합 정동 - 동교동 - 연남동으로 범위가 확장 중 서교동 상수동 합정동 동교동
  • 3. 1. 홍대 앞의 자원 현황 1) 서교동 지역에 미술 / 클럽이 분포하는 데 , 서교로를 중심으로 동편으로 미 술 자원 , 서편으로 클럽 ( 음악 ) 자 원이 배치 2) 미술 자원은 7-80 년대에 , 클럽 자원은 90 년대 이후에 형성 3) 카페 자원은 서교동과 상수동에 걸쳐 고르게 분포 . 4) 단 , 체인점은 서교로 , 전철역 주변 등 접근성이 높은 곳에 집중 . 5) 일반 카페보다 갤러리 카페의 수가 적고 , 갤러리 카페들은 중심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 . (2010 년도 기준으 로 , 2013 년 기준으로는 이 범위는 합 정 - 상수 - 연남동으로 확산 ) 6) ‘ 홍대 앞’의 범위 확장은 일반 / 갤러 리 카페의 확장과 거의 동일한 맥락에 있다 . ( 그렇다고 음악적 장소로서의 영향력이 약화된 건 아님 )
  • 4. 서울시 마포구의 서교동 , 창전동 , 상수동 , 동교동을 포괄하며 , 면적은 1,372,123m2(415,000 평 ) 이다 . 홍대 지역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서교동은 과거 연희동쪽에서 흘러 내려오던 개울이 지 세가 평평한 이곳에 와서 여러 갈래로 흐르게 되어 자잘한 다리가 많이 생겨났다고 하여 ‘잔다  리 ( 細橋 ) 라고 했던 것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 당시 동과 서 두 군데에 있던 잔다리 중 지금 의 서교동사무소 일대에 해당하는 ’서쪽의 잔다리‘란 뜻 , 즉 ’서세교‘에서 서교동의 지명이 유래 되었다 . ( 두산백과사전 ) - 1946: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1 가에서 홍문대학관 설립 - 1955: 홍익대학교 서교동으로 이전 - 1957: 서울시의 서교 택지 조성 사업 진행 - 1961: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설립 - 1972: 산업미술대학원 설립 당시 서교동은 전형적인 주거지역 형태 . 1980 년대까지 미술학원 , 공방 , 갤러리 등이 밀집 - 1984: 지하철 2 호선 개통 . 홍대입구역 - 대학 정문을 잇는 서교로 일대에 상업지구 형성 - 1986: 와우산길을 중심으로 미술학원 거리가 형성 ( 피카소거리 : 홍대 정문 - 극동방송국 - 주차장거리 ) - 1987: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신설 - 1994: 드럭을 중심으로 라이브 클럽 활성 ( 이후 댄스 클럽들 등장 ) - 1999: 라이브 클럽 합법화 ( 식품위생법 개정 ) / 클럽 NB( 양현석 사장 ) 오픈 - 2001~2: 걷고 싶은 거리 조성사업 / 클럽데이 / 2002 한일 월드컵 - 2003: 홍대 앞의 문화지구 지정에 관한 논의 . 댄스클럽이 현행법상 불법이라는 이유로 무산 됨 -> 시어터 제로의 폐관에 영향 . 2. 홍대 앞의 형성
  • 5. 3. 1980 년대 홍대 앞 (1) 1) 1970 년대 중반까지 홍대 앞으로 미술학원이 결집되었음 . 2) 1980 년대에 이르러 - 대학입학 정원이 늘어나고 미대 진학생이 급증하며 미 술 학원 거리화가 진행됨 - 극동방송국부터 동교동에 이르는 1km 가 미술학원 거 리로 부상 - 원인 : 일반고에서 미술실기 수업이 부재 , 학원에서 배울 수밖에 없는 구조 - 같은 시기 , 강남 압구정동 주변에도 미술학원 거리가 형성 ( 신사동 마성아파트부터 압구정 한양아파트 )3) 1984 년 - 지하철 2 호선 개통으로 신촌 . 이대역 상권이 급속도로 발달 - 2 호선 순환선은 특히 대학가를 연결하는 노선이 되었음 ( 대학이름이 붙은 역이 11 개 등장 ) - 순환선의 등장 이후 대학문화 평준화 - 서울시 도시설계 완성 (1985 년부터 시행 ) a. 테헤란로 지역 영동지역을 도심권으로 육성 b. 김포가로변 보도신설 및 공항입구 상업지역 정비 c. 신촌 일대의 상업지역 확대 ( 역세권 상업지구 및 대학문화 중심지 ) - 강북의 부도심으로 육성 . 대학문화중심지로 성장 . - 지하철역 중심의 개발 . - 신촌 - 이대는 상업지역으로 변경 . 합정 - 아현은 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변경 . - 아현로는 가구점 전문상점가 . - 이대 . 연대는 문화상업지역으로 개발 . - 신촌로터리는 대형건물 . 로터리 축소 보도 확장 . 신촌시장을 17 층 규모로 신축 . - 마포구 도시기본계획 : 서교 365 골목을 가로형 공원 ( 차도 + 보도 ) 으로 조성 .
  • 6. 3. 1980 년대 홍대 앞 (2) 4) 1985 년 - 7 월 . 신촌 일대 개발 a. 낡은 한옥이 밀집된 신촌 로터리의 재개발 b. 동교동 + 아현동 + 연세대 + 서강로 + 창전로 재개발 . 신촌 부도심권의 핵 . c. 신촌역 앞 광장 조성 , 상업지역 확대방안 . d. 이대 / 연대 입구는 청소년중심의 문화 상업 지역으로 조성 5) 1987 년 -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설립 . ( 실기와 이론의 균형 교육 ) - 종합예술대학으로 특화되는 기틀을 마련 . - 90 년대 이후 홍대 주변으로 미술가를 비롯해 이론가와 비평가들이 모이는 계기가 됨 . 6) 1989 년 - 해외여행 자율화 : 90 년대 ‘신세대’와 ‘오렌지족’의 등장에 영향
  • 7.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1) 1) 1992 년 : 신촌 상권의 부상 - 92 년부터 서울시 , 5 대 부도심권 개발 시작 a. 일산 신도시 개발 영향으로 신촌로터리가 서울 북서부 지역 의 교통 / 유통의 중심지로 부상 (10 월 , 신촌 그레이스 백화점 오픈 ) b. 그전까지 서울시 도심재개발은 4 대문 안으로 국한되었다가 92 년부터 영등포 - 청량리 등으로 확대 c. 10 월부터 12 월까지 이대앞 - 신촌로터리 - 연대앞의 341 개 업소 단속 d. 92 년 11 월부터 93 년 1 월까지 신촌 / 방배동 카페촌 집중 단속으로 100 개 업소 영업정지 e. 신촌 일대의 1 일 평균 3~5 만 명 야간유동인구가 5 천 ~1 만 명 수준으로 격감 f. 결과적으로 홍대 앞이 신흥 유흥가로 부상 - 서울시 , 대학가 건전문화의 거리 조성안 : 구 단위로 도시기본계 획에 주차장 , 공원 , 야외무대 , 녹지 등을 추가 a. ‘ 대학가 정비사업’은 서울시와 경찰청이 협력해 신촌을 중심으 로 서울 전역의 대학가 퇴폐 및 심야 불법영업유흥업소 집중 단 속 . b. 서울시장 ( 이상배 ) 과 신촌지역 5 개 대학 총장이 [ 신촌지 역의 대학문 화 중심지역화 공동위원회 ] 구성 c. 록카페를 향락업소로 규정 , 단속 . 절반 이상이 업종 전환 - 62 개 중 30 여개가 호프집 / 식당 / 옷가게로 전환 ( 신촌 일대의 록카
  • 8.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2) 2) 1993 년 : 신세대론 , 락월드 오픈 , 거리 미술 제 - 2 월 : 라이브 카페 락월드 오픈 . a. 최초의 라이브 클럽 b. 와우산 언덕길에 위치 c. 강기주 사장 ( 현재 미국 거주 ) d. 1997 년에 문 닫음 . - 10 월 . 1 회 < 거리미술제 > : 홍대 미술대학 학생회 주최 . 마포구청 후원 : 홍대 놀이터의 거리 음악제 개최 예산 활 용 : 오렌지족의 향락 문화에 대항하는 문화행 사 3) 1994 년 : 역세권 재개발 계획 - 7 월 . 홍대 일대에 원룸타운 조성 - 10 월 . 성수대교 붕괴 -> 이후 오렌지족은 2 부류로 분화 . -> 홍콩 / 싱가폴 vs 홍대 앞 - 10 월 . 노이즈가든 톰보이 록콘테스트 대상 - 12 월 . 역세권 개발 및 상업지역 확대 정책 . a.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의 변경을 골자로 함 . b. 4 대문 안 도심지역의 과밀화를 막는 라이브 카페 락월드 마지막 날
  • 9.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3) 4) 1994 년 홍대 앞 상권과 홍대 앞 정화운동 서 교 로 놀이터 피 카 소 거 리
  • 10.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4) 5) 1995 년 - 서울시 도시계획안 a. 한남동 일대 일반거주구 / 준주거지역에서 일반 상업 지역으로 용도변경 b. 이태원동 도시설계지구 지정 c. 신촌 / 양화 / 서강로 주변 마포도시설계지구 지 정 - 아파트 , 주유소는 신설 불가 , 재건축은 허용 . d. 신축 건물에 조형물 설치 의무화 (1% 법 ) - 신촌 유흥업소 1 천 곳 기록 : 연대 566 개 / 서강 대 223 개 / 홍익대 190 개 / 이대 179 개 ( 카페 196 개 / 노래 방 148 개 / 당구장 102 개 / 호텔 . 여관 84 개 ) 서점은 8 곳 . - 3 월 . 홍대 앞 지하보도 계획 (96 년 완공 ). 상수동 - 강변북로 연결 (96 년 완공 ) - 4 월 . 드럭 밴드 결성 , 너바나 커트코베인 추모 공 연 . - 병역미필자들의 해외여행자율화 - 30 대 미혼인구 급증 . 836 만명 중 미혼자는 9% 인 75 만명 . - 10 명 중 1 명 꼴 . 80 년에는 3.3%, 90 년에 6.9% 로 점차 증가 . - 최초의 인터넷 카페 < 네트 스케이프 > 홍대 앞에 개 업 - 최초의 CD 롬 잡지 등장
  • 11. 4. 1990 년대 초반 홍대 앞 (5) 6) 1995 년의 피카소 거리
  • 12.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1) 1) 1996 년 : 국민소득 1 만 달러 시대 진입 - 5 월 . 25 일 스트리트 펑크 쇼 . ( 홍대 노상 주차장 , 26 일에는 명동 코스모스 플라자 앞 ) 드럭 밴드들 중심 행사 . - 6 월 . 대중음악 사전심의제 철폐 기념 < 자유 > 콘서트 . 3 일간 진행 . 서울대 . 한겨레신문사 주최 / 뮤직센터 21 세기 , 정태춘 기획 / 김민기 , 강헌 , 임진모 기획자문 윤도현 , 강산에 , 안치환 , 양희은 , 천지인 , 삐삐밴드 , 꽃다지 , 노찾사 , 신성우 , 시나위 , 조국 과청춘 , 크래시 , 넥스트 , 조동진 , 한영애 , 리아 등 - 7 월 . 홍대입구 역사 주변이 주거 / 준주거지역에서 근린상업지역으로 용도변경 . - 8 월 . 드럭 밴드들 , 신촌 라이브극장 < 벗 > 에서 합동 공연 . 연세대학교 집회 ( 연대사태 ). 최장기 집회 , 최다 구속 , 한총련 와해 . - 9 월 . 아워네이션 1 집 . 신대철 스튜디오에서 3 일 만에 녹음 . 신촌 롤링스톤즈 화재 . 라이브 클럽이 록카페로 기사화되며 라이브클럽 , 록카페에 대한 사회적 편견 이 강화 . - 10 월 . 소란 페스티벌 . 서울대 . PC 통신 동호회 얼트바이러스 기획 . 인디 밴드로 구성한 최초의 록 페스티 벌 . - 홍대 앞 주요 클럽 a. 발전소 : 92 년 오픈 . 극동방송국 건너편 2 층 구조 . 배창호 , 마광수 단 골 . 영화 < 젊은 남자 > 에 등장 ( 이정재 데뷔작 ). 96 년 , 록카페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 . 변종근 사장 . b. 곰팡이 : 95 년 황신혜 밴드의 결성 장소 . 김형태 ( 화가 )+ 조윤석 ( 건축 가 ). c. 황금투구 : 발전소에서 분화된 공간 . 곰팡이 / 상수도와도 같은 식구 . 7 월 , 삐삐밴드 2 집 < 불가능한 작전 > 발표회 장소 . d. 드럭 : 94 년 오픈 . 크라잉넛 . 옐로키친 . 갈매기 . 벤치 . 위퍼 . 노브레 인 e. 프리버드 : 95 년 10 월 오픈 . 광화문 음악사 주인이었던 김한택 사장 . 델 리스파이스 . f. 블루데블 : 95 년 6 월 오픈 . 김광석 밴드 , 유앤미블루 , 자우림 . g. 재머스 : 96 년 1 월 오픈 . 아마추어 밴드도 쉽게 무대에 설 수 있던 클럽 . h. 스팽글 : 96 년 8 월 오픈 . 마이앤트메리 . 슬로우 . 네이키드 런치 . 굴
  • 13.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1)
  • 14.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2) 2) 1996 년 : 홍대 앞 상권 변화 - 주차 단속으로 이면도로 상권 분화 . -> 공간문제로 술집보다 카페가 성업 . - 홍대입구역 주변의 근린상업지역 용도 변경 . -> 대형 오피스텔 건립 활성화 . 금융기관 중심으로 입주 . -> 2000 년 이후 인천국제공항 , 경의선 전철 환승역 계획 . - 극동방송국 주변 임대료 평균 10% 상승 . -> 1 층 40 평 카페 : 보증금 5 천 / 월세 180 만원이 1 년 사이 월세 280 만원으로 . ( 신축건물 임대료는 평당 800~1 천 ) - 12 월 31 일 : 당산철교 폐쇄 . (97 년 2 월까지 셔틀버 스로 연결 ) -> 정류장과 가까운 미화당 레코드 매출 상승 . - 합정역의 신역세권 대두 a. 95 년 11 월 . 준주거지와 일반주거지를 포함해 상 업지구 로 용도변경 . b. 당산철교 철거와 6 호선 신설로 상업지역 확대 . (94 년 공사 시작 ) c. 마포구 합정동 + 망원동 + 서교동을 잇는 상업지구 로 , 영등포 - 강서권을 연결하는 교통 요지 교육환경 확보를 위한 홍익가족 인간띠 잇기
  • 15.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3) 3) 1997 년 : IMF 돌입 - 2 월 : 개방적 클럽 연대 발족 . 안이영노 ( 크리스찬 아 카데미 연구원 ), 김종휘 ( 뮤직센터 21 세기 ), 황옥주 ( 서울아이 ), 원종우 ( 배드테이스트 ) 운영진 - 3 월 . 개클련 + 팬진공 = 땅밑달리기 . 클럽 언더그라운 드 ( 하성채 대표 ) -> 클럽 출연료 2 만원 / 입장료 3 천원 . - 5 월 . 이화여대 . 반 - 신촌문화축제 개최 . 연세대 , 서강대 , 홍익대 동아리들 연대 . 변질된 지역 축제를 거 부 . -> 신촌문화축제는 92 년부터 시작된 신촌지역 상인 + 유지 + 서대문구청의 지역 축제 . - 6 월 . 팬진공 , 폐간호 발간 . - 7 월 . 성수대교 개통 . 압구정 상권 부활 . 이후 압구 정동은 수입자동차 전시장 / 미용실 / 록카페 / 고급 레스 토랑으로 재편 . 모델라인 입주로 포토 스튜디오 활성화 . 강남구는 성수대교 사거리 - 청담동 , 갤러리아 - 학동사거 리를 패션 거리로 지정 . - 8 월 : 델리스파이스 첫 단독공연 : 신촌 라이브 극장 < 벗 > (98 년 단독공연은 대학로 라이브 극장 ) - 11 월 . 여성전용 문화공간 < 마녀 > 오픈 . 여성문화예 1998 년 포스터
  • 16.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4) 4) 1997 년 홍대 앞 지도 - 시티비트 . 레코드포럼 . 시완레코 드 . 퍼플레코드 등 레코드 점 호황 . http://youtu.be/qbFI-cBSZg0 - 드럭 : 18 크럭 . 새봄에핀딸기꽃 . - 롤링스톤즈 : 윤도현밴드 . 블랙 홀 . 토미기타 . 힙포켓 . 내귀에도청 장치 . - 스팽글 : 허클베리핀 . 노브레인 . 코코어 . 위퍼 . 모레인 . - 코다 : 모쿠스틱 . 선샤워 . 힙포켓 . - 대학로 : 바로크 난장의 밴드 기획 공연 - 일본문화개방 논의 : 한일합작 / 국제영화제수상작 우선 : 영화 , 비디오 , 음반 , 공연 , 방 송 단계적 개방 . -퇴마록 개봉 1 주일 만에 30 만 관객 . http://youtu.be/neXA4PLtChI
  • 17.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5) 5) 1997 년 홍대 앞 공간들
  • 18.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6) 6) 1998 년 - 홍대입구역에 LG 팰리스오피스텔 , 서교타워 개공 . - 4 월 . 단속으로 폐업한 ‘블루데빌을 위한 우정의 무대’ -> 대학로 라이브극장 . 자우림 / 정원영 / 한상원밴드 / 신윤철 / 임현정 / 정경화 / 유앤미블루 ( 재결성 ) 등 - 6 월 . 대학로 클럽 < 살 > 벌금형 . - 7 월 . 문화관광부는 클럽합법화 지지 . ‘ 라이브클럽 합법화를 위한 하드 록 파티 ' 후 원 . 보건복지부는 반대 . 청소년 유해환경이 될 소지 가 있음 . - 8 월 . 국회의원회관 ' 현장공연활성화를 통한 대중문화 발전 방안 ' 공청회 . [ 대중음악공연 문화 발전을 위한 시민연대 ] 발 족 홍대 일대에서 대규모 라이브 클럽 공연 개최 대학로에서 98 독립예술제 개최 . 11 개 장르 92 개 팀 . -> 아름다운밴드연합 .( 김현 의장 / 프리다칼 로 ) 성북구 돈암동 활인소극장에서 아밴연 공연 . -> ' 메이든 인 코리아 언더록 버전 업 ' - 9 월 . 라이브클럽 합법화 운동 본격화 . : 식품위생법 위반 ' 룸살롱 / 나이트클럽에서만 2 인 이상 연주 할 수 있다‘는 규정 . - 10 월 . 홍대 앞 집중 조명 기사들 등장 . - 11 월 . 시어터 제로 오픈 . 심철종 연출가 . 서울시 . 걷고싶은거리 사업대상지 선정 .
  • 19.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7) 7) 1999 년 - 4 월 . 홍대 . 정문 옆 유흥업소 건물 공사부지 52 억원 매입 . 95 년 5 월에 청원서 제출 ->10 월 가처분신청 ->97 년 7 월 법원 판결 -> 경매 -> 홍익대 낙찰 - 6 월 . 라이브클럽 합법화 . 식품위생법 개정 . ' 전국 라이브클럽 합법화 기념 페스티벌 '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 야외무대 . 개정내용 : “ 댄서 , 가수 , 연주자 또는 만담 및 곡예를 하는 자 등은 손님과 함께 술을 마시는 등 흥을 돋우는 유흥종사자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 댄스클럽은 해당 안 됨 ) - 8 월 . 트라이포트 록 페스티벌 . - 10 월 . 테크노 ( 일렉트로니카 ) 붐 . / 조윤석 , 홍대앞 지도 매거진 < 맵진 > 발행 . - 이현우와 김광민이 진행하는 < 수요예술무대 >(93 년 4 월부터 방송 ) 에 크라잉넛 , 노이즈가든 등 출연 . - 12 월 . 대학총학생회 선거에 DDR 등장 . 연세대 ' 여성 ' 총학생회장 정나리 당선 . 레드재플린 : http://youtu.be/GHQ30V-e67Y 타임투락 : http://youtu.be/L31HcbTHRX0 마스터플랜 : http://youtu.be/i8pUbQVUOqs 8) 2000 년 이후 - 홍대 앞의 음악 씬은 2000 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분화되었다고 보는 게 적절할 듯 . : 2002 년 한일월드컵 , 이태원 집중단속으로 인한 홍대 외국인 유입 , 음원 산업으로의 전환 등이 홍대 앞의 음악 환경에 영향을 미쳤고 , 그로 인한 산업적 , 문화적 갈등과 융화가 현재진행형인 공간으로 자리잡음 . - 90 년대 확정된 서울시 도시계발 정책 아래 홍대 - 합정 - 상암 지역의 부도심권 개발이 순차적으로 진행 : 그로 인한 도심재개발 사태와 씬의 분화 : 두리반 투쟁과 51+ 페스티벌 , 자립음악생산조합의 등장 - 대중음악을 듣는 세대의 변화 : 80 년대 이후에 태어난 세대들이 음악 생산과 향유의 주체로 등장 . - 현재진행형의 모델이라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관찰과 이해를 요구하는 장 (field).
  • 20. 5. 1990 년대 후반 홍대 앞 (8) 9) 홍대 앞 라이브 / 댄스 클럽들의 형성과 분화 - 94~97 년 사이에 개업한 라이브 클럽들은 홍대 씬의 형성에 크게 이바지했으나 99 년 이후 유명무실해지거나 몇 년 후 폐업하는 길을 걸었음 . - 댄스 클럽들은 99 년 전후로 개업해 2000 년 이후 홍대 문화적 정체성을 좌우하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 동시 에 소비향락문화의 주체라는 비판을 받음 . - 2000 년 이후 쌈넷 바람 라이브 , 상상마당 라이브홀 , 롤링홀 , CJ 아지트 , 인터파크홀 , lig 홀 등이 순차적으 로 오픈하며 500~1000 석 규모의 공연장이 등장 . 빵은 이대 후문에서 홍대 앞으로 이전해 복합문화공간에서 밴드 공연장으 로 전환 . - 2009 년을 전후로 카페 라이브가 확산됨 . 최근엔 버스킹과 클럽 공연 사이의 간극이 더 커지는 경향 .
  • 21. 6. 198-90 년대 홍대 앞 RE-VIEW 1) ‘ 문화특화지역’으로서 홍대 앞의 단계별 분화 - 1970 년 말 이후 1987 년 무렵까지 형성기 : 지하철 2 호선 개통 , 서북부 재개발 이슈와 홍 익대 특성화 작업이 결합해 관련 자원을 발생시키고 주목현상을 유발 . - 1987 년 이후 1999 년까지는 성장기 : 클럽 씬의 등장과 분화 , 심화와 갈등이 반복적 으로 진행되며 홍대 앞에서 음악이 본격적으로 주도권 을 잡는 시기 . - 2000 년 이후 : 성숙기와 진화기에 걸쳐 있는 상태로 , 균형상태를 지나 특화발전 / 소멸의 과정 중에 있다고 볼 수 있음 . - 2000 년 이후 상황에 대한 참고 자료들 a. 홍대 상권 알아보기 http://blog.naver.com/rednut005/30111786849 b. 홍대 상권 분석 http://blog.naver.com/hmhwlove/100104538596 c. ‘ 걷고 싶은 거리’ 조감도 http://www.extraod.com/?p=600
  • 22. 7. 결론과 질문들 1) 결론 - 198~90 년대 홍대 앞은 다층적인 원인으로 인해 음악적 특화 과정을 겪음 . - 다만 음악 주체들의 출발이 특정 공간에 기인한다기보다는 PC 통신 / 인터넷 / 타 지역 등 복잡한 위치에서 출 발해서 홍대 앞으로 집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 이전 시기와 뚜렷하게 구분되는 지점이기도 함 . - 요컨대 ‘고아들’처럼 , 뿌리 없는 곳에서 시작하는 서사 = 96 년 이후 , ‘ 한국 록의 뿌리찾기’ 프로젝트도 그 결핍 때문 ? - 80 년대 후반 이후 도시 개발 이슈가 가속화되는 중에 우연히 홍대 앞의 상권 발달과 클럽 씬 형성이 겹쳐지며 ‘문화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얻게 됨 . 참고로 2000 년 이후 홍대 앞 ‘문화지구’ 지정에 대한 논의는 지지부진 하다가 소멸 . < 한국의 국토계획 발전사 > - 1 차 국토계획 : 1972-1981. 고도경제성장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을 목표 . 수도권과 동남해안 공업벨트 중심의 거점 개발 추진 . - 2 차 국토계획 : 1982-1991. 인구의 지방정착과 생활환경 개선을 목표 . 수도권 집중 억제와 권역 개발 추진 . - 3 차 국토계획 : 1992-2001. 국민복지향상과 환경보전을 목표 . 서해안 산업지대와 지방도시육성을 통한 지방분산형 국토개발추진 . - 4 차 국토계획 : 2000-2020. 지식기반산업의 성장 및 정보화 . 각종 권한의 지방분산에 적극 대처 . 세계 경제의 전면적 자유화 . 문화관광기반 의 체계적 확충 . < 문화지구 (cultural district)> - 한국에서는 90 년대 중반 이후부터 사용되기 시작 . 99 년 문화예술진흥법에 반영되었고 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이 문화예술진흥법 시행령으로 규정되고 시행 중 . 2000 년 내에 30 개의 문화지구가 지정될 예정 . | < 문화벨트 및 문화도시 조성방안 연구 > / 2000. 한국문화정책개발원 . - 초기 홍대 앞은 사교의 장소로 의미화 , 산업적 장소는 외부에서 충족 . ( 레코딩 , 유통 , 간간이 공연 ) - 인디 레이블의 분화 , 홈레코딩의 보편화 , 공연장의 질적 향상 등이 충족되는 2000 년 이후에는 이 간극이 해소 . 2) 한계와 질문 - 증언과 기록의 부족함 , 그리고 힙합 - 전자 음악 - 댄스 클럽의 부재 . - ‘ 도시 개발과 인디 씬의 심화’라는 주제를 특화시켜도 좋을까 ? - 서교동이 다른 지역에 비해 어느 정도 오랫동안 상업자본과 끈질기게 투쟁하고 있다고 본다면 , 그것은 일단 이 지역이 평평하고 넓기 때문이기도 할까 . 요컨대 이 ‘내구력’과 ‘맷집’은 ‘덩치’에서 나오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