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사)한국U러닝연합회 사무총장 정현재
23차시 1교시
목 표
주요 목차
메이커 교육이 무엇인가 설명할 수 있다.
제4차 산업혁명기에 왜 메이커 교육인지 그 이유를 말할 수 있다
메이커 교육의 성공사례를 통해 메이커교육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
1. 메이커 개요
2. 메이커 교육 개요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4. 메이커 교육 사례 - 1Day1Make
5. 교육공학에의 시사점
6. 정리
7. 학습평가
3
미리보기
메이커 교육
제4차 산업혁명 1Day1Make
호모 파베르
(Homo Faber)
1인 제조시대 및
다품종소량생산
flipped learning
과학 기술 융합
STEAM 교육
4
생각해보기
어릴 적 뭔가를 만지고 놀아본 기억을 되돌려 보면 어떤 감정이
떠오르는가요?
인간은 바벨탑을 만들어 신에게 도전하려 했는데, 지금의 바벨탑은?
왜, 사람은 끊임없이
물건을 만들어 낼까요?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뭘까요?
(1/2)
5
생각해보기
최근에 직접 만들어 본 경험은?
‘자기 손으로 직접 만들고 체험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M Mankind
A Artificial
K Know
E Emotion
(2/2)
1) 개념
6
1. 메이커 개요
메이커란?
‘만드는 활동은 인간의 본성이라는 관점에서, 제작방식에 관계없이 우리는 모두 만드
는 사람’
데일 도허티 (Dale Dougherty) (MAKE 미디어 설립자)
‘다가올 새로운 산업혁명을 주도하며, 제품 제작 및 판매의 디지털화를 이끄는 사람, 기
업’
크리스 앤더슨 (Chris Anderson) (MAKERS 저자)
‘메이커는 어디에나 존재함, 물리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초래하는 모든 사람’
데이비드 랭 (David Lang) (Zero to Maker 저자)
‘발명가, 공예가, 기술자 등 기존의 제작자 카테고리에 구속 받지 않으며,
손쉬워진 제작기술을 응용해서 폭넓은 만들기 활동을 하는 대중’
마크 해치 (Mark Hatch) (Tech Shop 설립자)
1) 개념
7
1. 메이커 개요
호모 파베르 (Homo Faber)
도구적 인간, 인간의 본질을 도구를 사용하고 제작할 줄 아는 점에서
파악하는 인간관으로 베르그송(Bergson)에 의해서 창출되었다.
인간은 유형, 무형의 도구를 만드는 동시에 자기 자신도 만든다고 여김
→ 첨단 기술의 발달로 도구적 인간의 활동이 더욱 넓어지고 깊어짐
메이커를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
1. 메이커 개요
2) 메이커 정의 재조명
8
▐ 용어의 재개념화 및 재조명?
요즘 메이커란?
디지털 기기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 창의적인 만들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사람으로서 함께 만드는 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고, 만든 결과물과 지식,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
예전 메이커는? – 나이키 등 브랜드 있는 제품 혹은 제조사?
1) 메이커 교육 개요
9
2. 메이커 교육 개요
메이커 교육이란?
메이커 양성 및 참여와 체험 중심의 교육
- 제4차 산업혁명기에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최첨단 기술진화와 맞물려
감성적인 인간교육 차원에서 접근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 실제로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적정 기술과 학습환경에 맞춘 눈높이 교육
(불필요한 지식주입으로 인지 과부하가 일어 나지 않도록)
학교를 메이커 스페이스로
2017년 3월 31일자 “서울경제 신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석수 원장 칼럼
-”제4차 산업혁명과 학교교육”이라는 제목의 칼럼 결론에 창의적 인재양성을 실현하기
위해 학교가 ‘메이커 스페이스’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
3D 프린팅 - 쌓아가는 방식
3D 모델링 SW
STL 파일
G-code 생성 SW
3D 프린터 PLA 필라멘트
2. 메이커 교육 개요
2)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교육
Laser cutter - 잘라내는 방식
레이저커터 교육
레이저 광선은 반사경(벤딩 거울)으로 반사되어,
렌즈로 집광(集光)되고, 이 집광된 에너지가
가공 재료에 조사(照射)되어 가공(절단)이 된다.
2. 메이커 교육 개요
2)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교육
Coding 및 Arduino & Robot 교육
2. 메이커 교육 개요
2)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교육
VR - 가상교육
2. 메이커 교육 개요
2)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교육
2. 메이커 교육 개요
3) 취미생활에서 창업, 창직으로 진화가능
과 정 명 : 디지털 크리에이터
수 업 과 목
3D Pen, 3D Printer, 3D 모델링(초급)
Paper Cutter, Laser Cutter
수 업 난 이 도 ★★★☆☆
대 상 주부, 일반인, 은퇴(예정)자
비 고 창작, 동아리 활동
과 정 명 : 메이커스 디렉터
수 업 과 목
3D Pen, 3D Printer, 3D 모델링(고급),
Paper Cutter, Laser Cutter, 후가공
수 업 난 이 도 ★★★★★
대 상 창직, 경력단절여성, 구직자
비 고 장비 운영, 교육이론, 콘텐츠 개발 외
과 정 명 : 메이커스 프로
수 업 과 목
3D Pen, 3D Printer, 3D 모델링(고급), Laser Cutt
er, 후가공
수 업 난 이 도 ★★★★☆
대 상 (예비)창업자, 개발자
비 고 제작 프로세스, 제작실습, 시장조사, 창업교육 외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
15
▐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 정의 및 시대적 변화?
“4차 산업혁명은 단순하게 기술의 진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면 안됩니다.
이것은 정치적, 사회적 변화이자 인류의 도전입니다. ”
- 클라우스 슈왑(Klaus Schwab)(다보스포럼 회장)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16
▐ IoT와 인공지능시대에 새롭게 메이커 등장?
“제조업은 세계에서 가장 큰 산업 가운데 하나다. 1차 산업혁명 이후 대량으로 물건을 만들 수 있는
힘은 생산수단을 소유한 이의 손 안에 있었다. 지금까지 생산수단이라고 하면 커다란 공장, 큰 회사,
또는 이런 곳에서 만든 상품 등을 뜻했다. 20세기 대중매체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우린 인터넷과 콘텐츠의 롱테일 법칙이 대중매체를 어떻게 바꿔놨는지 목격했다.
이제 상상해보자. 상품의 롱테일 법칙을 말이다. 웹의 디지털 혁신 모델이 바꿔 놓은 물리적 생산
과정의 변화. 이것이 메이커 운동이다.”
- <와이어드(WIRED)> ‘메이커 운동’, 크리스 앤더슨(2012) 인용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
17
제4차 산업혁명은 첨단 IT기술을 통한 제조업의 혁신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디지털 기기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새롭게 제품을 만들고 그 경험을 공유하는 메이커스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메이커스 운동은 기존 전통산업 생산양식에서 한걸음 나아가 인터넷을 활용해 함께 기획하고
아이디어를 모아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제품을 만드는 등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을 열어
나가는 것이기에 어릴 적 학교교육부터 그 기본 인식틀을 만들어 사회전반적으로 확산시켜 나가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메이커스 운동이 등장한 배경은 크게 3가지다.
• 제조업의 문턱이 낮아졌다는 점
• IT기술발전으로 협력하기 좋아졌다는 점
• 생산공정이 유연해졌다는 점
특히 산업 현장 곳곳에 컴퓨터가 스며들어 생산성이 높아지고 최근에는 사물인터넷(IoT) 덕분에
획기적인 생산공정의 혁신이 이뤄지는 등 “한계비용 제로 사회(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에 까지 이를 정도로 엄청난 기술 진화가 이뤄졌다.
DIY 혹은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 만들어 먹기 처럼 개인별 맞춤 생산시대의 산물?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2) 왜 메이커스 운동인가?
18
첨단 기술 발전에 따른 급격한 사회변화로 교육계에도 지각변동이 이뤄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하기에 아래와 같은 새로운 교육 흐름이 도입되기 시작
1) 크리에이터 양성교육
2) STEAM 교육
3) 컴퓨팅 사고
4) Make 교육 - STEAM과 같은 융합교육이면서 또한 체험 중심의 교육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아울러 학습방법에도 아래처럼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
1) 블렌디드 러닝 (Blended Learning)
2) 영역초월 학습 (Cross-over Learning)
3) 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
4) 플립러닝 (Flipped Learning)
5) 게이미피케이션 (Gamification)
6) 적응적 학습 (Adaptive Learning)
7)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Storytelling-based Learning)
*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과 콘텐츠(한동숭, 2016) 인용 및 일부 수정
3) 교육의 변화
만들라 나누라 주라
배우라
도구를
갖추라
가지고
놀라
참여하라 후원하라 변화하라
OPENSOURCE
SHARE
COMMUNITY
4) 메이커스 문화의 특징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4. 메이커 교육 사례
20
▐ 대구, 부산의 1Day1make 교육
▪ 학습자 눈높이에 맞춘 적정 기술 교육
▪ 장비 활용교육을 받아 하루에 하나씩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을 만들어
직접 가져 갈 수 있게 하는 교육 시행 (2017년 1~2월, 과학창의재단 예산지원)
4. 메이커 교육 사례
21
▐ 학생들 및 성인의 취미 차원 메이커 교육
4. 메이커 교육 사례
22
▐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 만들기 및 시제품 제작
첨단 기술로 세상이 바뀌는 제4차 산업혁명기를 맞아 메이커 교육은 창
의인재개발 전략인 동시에 인간의 만들기 본능을 되살려 존재의 의미 재
발견하는 계기
또한 수요자가 직접 참여해 자신의 콘텐츠 개발 및 상호작용으로 세상을
바꾸는데 기여하는 재미 제공
-단지 주변환경 속 일상 재료 활용한 만들기 뿐만 아니라 VR/AR, 인공지
능 활용 등 대중화된 첨단 기술을 적극 수용하여 DIY 처럼 만들어 공유
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즐거움
-비단 학교교육 뿐만 아니라 시니어 등 평생교육으로 까지 무한확장가능
(어린이와 노인이 함께 배울 수 있는 매력적인 아이템)
-일상생활 속의 소소한 활동이 쌓여 매니아 혹은 전문가로 발돋움
(유희적 인간의 취미생활에서 창직, 창업으로 승화 가능)
23
5. 미래교육에의 시사점
-4차산업혁명기에 메이커교육의 의의
메이커 교육으로 체험형 수업분위기 조성해 자기주도적 놀이 학습
24
기존 주입식 전달학습에서 탈피해 수요자인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만들기 놀이를 통해
동기부여 및 체험학습으로 미래형 인재개발에 기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메이커 교육으로 21세기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구체적으로 실천해 나갈 수 있는 학습
도구의 활용으로 인지능력 향상 및 자존감 고양, 성과중심 학습으로 이어져 즐거운 학교생활
가능
6. 정리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제4차산업혁명과 메이커스문화

Young Maker project book
Young Maker project bookYoung Maker project book
Young Maker project book
Jiho Sung
 
Young Maker Project book(2016)
Young Maker Project book(2016)Young Maker Project book(2016)
Young Maker Project book(2016)
Henry Sung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sam Cyberspace
 
4차 혁명 시대와 메이커 무브먼트를 바라보는 관점
4차 혁명 시대와 메이커 무브먼트를 바라보는 관점4차 혁명 시대와 메이커 무브먼트를 바라보는 관점
4차 혁명 시대와 메이커 무브먼트를 바라보는 관점
Ju Yong Park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Ji Lee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Ji Lee
 
Maker education cases in US
Maker education cases in US Maker education cases in US
Maker education cases in US
Ju Yong Park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Kevin Kim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soarnagi1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Youngju Oh
 
2016 메이커 교육 코리아 포럼집
2016 메이커 교육 코리아 포럼집2016 메이커 교육 코리아 포럼집
2016 메이커 교육 코리아 포럼집
Ji Lee
 
Smvd dmc maker_movement
Smvd dmc maker_movementSmvd dmc maker_movement
Smvd dmc maker_movement
Haewa_dzz
 
메이커 생태계 (Maker Ecosystem)
메이커 생태계 (Maker Ecosystem)메이커 생태계 (Maker Ecosystem)
메이커 생태계 (Maker Ecosystem)
Ho Hyun Lee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애란 최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atelier t*h
 
7th Innovation 과학기술자와 적정기술
7th Innovation 과학기술자와 적정기술7th Innovation 과학기술자와 적정기술
7th Innovation 과학기술자와 적정기술
CornixTripesGroup
 
메이커 교육 2016 포럼
메이커 교육 2016 포럼메이커 교육 2016 포럼
메이커 교육 2016 포럼
makered
 
커리어 관리
커리어 관리커리어 관리
커리어 관리
JeongHeon Lee
 
4차산업혁명과 AI
4차산업혁명과 AI4차산업혁명과 AI
4차산업혁명과 AI
Daekyeong KIM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Hugh Choi 최형욱
 

Similar to 제4차산업혁명과 메이커스문화 (20)

Young Maker project book
Young Maker project bookYoung Maker project book
Young Maker project book
 
Young Maker Project book(2016)
Young Maker Project book(2016)Young Maker Project book(2016)
Young Maker Project book(2016)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4차 혁명 시대와 메이커 무브먼트를 바라보는 관점
4차 혁명 시대와 메이커 무브먼트를 바라보는 관점4차 혁명 시대와 메이커 무브먼트를 바라보는 관점
4차 혁명 시대와 메이커 무브먼트를 바라보는 관점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학교에서의 메이커 운동 이지선 발표자료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education cases in US
Maker education cases in US Maker education cases in US
Maker education cases in US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4차산업혁명과 국제화 (2020).pdf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2016 메이커 교육 코리아 포럼집
2016 메이커 교육 코리아 포럼집2016 메이커 교육 코리아 포럼집
2016 메이커 교육 코리아 포럼집
 
Smvd dmc maker_movement
Smvd dmc maker_movementSmvd dmc maker_movement
Smvd dmc maker_movement
 
메이커 생태계 (Maker Ecosystem)
메이커 생태계 (Maker Ecosystem)메이커 생태계 (Maker Ecosystem)
메이커 생태계 (Maker Ecosystem)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24차 창조경제연구회 공개포럼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7th Innovation 과학기술자와 적정기술
7th Innovation 과학기술자와 적정기술7th Innovation 과학기술자와 적정기술
7th Innovation 과학기술자와 적정기술
 
메이커 교육 2016 포럼
메이커 교육 2016 포럼메이커 교육 2016 포럼
메이커 교육 2016 포럼
 
커리어 관리
커리어 관리커리어 관리
커리어 관리
 
4차산업혁명과 AI
4차산업혁명과 AI4차산업혁명과 AI
4차산업혁명과 AI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오픈콜라보레이션: 세상의 모두와 협력하라 - 최형욱
 

제4차산업혁명과 메이커스문화

  • 2. 23차시 1교시 목 표 주요 목차 메이커 교육이 무엇인가 설명할 수 있다. 제4차 산업혁명기에 왜 메이커 교육인지 그 이유를 말할 수 있다 메이커 교육의 성공사례를 통해 메이커교육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 1. 메이커 개요 2. 메이커 교육 개요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4. 메이커 교육 사례 - 1Day1Make 5. 교육공학에의 시사점 6. 정리 7. 학습평가
  • 3. 3 미리보기 메이커 교육 제4차 산업혁명 1Day1Make 호모 파베르 (Homo Faber) 1인 제조시대 및 다품종소량생산 flipped learning 과학 기술 융합 STEAM 교육
  • 4. 4 생각해보기 어릴 적 뭔가를 만지고 놀아본 기억을 되돌려 보면 어떤 감정이 떠오르는가요? 인간은 바벨탑을 만들어 신에게 도전하려 했는데, 지금의 바벨탑은? 왜, 사람은 끊임없이 물건을 만들어 낼까요?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뭘까요? (1/2)
  • 5. 5 생각해보기 최근에 직접 만들어 본 경험은? ‘자기 손으로 직접 만들고 체험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M Mankind A Artificial K Know E Emotion (2/2)
  • 6. 1) 개념 6 1. 메이커 개요 메이커란? ‘만드는 활동은 인간의 본성이라는 관점에서, 제작방식에 관계없이 우리는 모두 만드 는 사람’ 데일 도허티 (Dale Dougherty) (MAKE 미디어 설립자) ‘다가올 새로운 산업혁명을 주도하며, 제품 제작 및 판매의 디지털화를 이끄는 사람, 기 업’ 크리스 앤더슨 (Chris Anderson) (MAKERS 저자) ‘메이커는 어디에나 존재함, 물리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초래하는 모든 사람’ 데이비드 랭 (David Lang) (Zero to Maker 저자) ‘발명가, 공예가, 기술자 등 기존의 제작자 카테고리에 구속 받지 않으며, 손쉬워진 제작기술을 응용해서 폭넓은 만들기 활동을 하는 대중’ 마크 해치 (Mark Hatch) (Tech Shop 설립자)
  • 7. 1) 개념 7 1. 메이커 개요 호모 파베르 (Homo Faber) 도구적 인간, 인간의 본질을 도구를 사용하고 제작할 줄 아는 점에서 파악하는 인간관으로 베르그송(Bergson)에 의해서 창출되었다. 인간은 유형, 무형의 도구를 만드는 동시에 자기 자신도 만든다고 여김 → 첨단 기술의 발달로 도구적 인간의 활동이 더욱 넓어지고 깊어짐 메이커를 통해 인간 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
  • 8. 1. 메이커 개요 2) 메이커 정의 재조명 8 ▐ 용어의 재개념화 및 재조명? 요즘 메이커란? 디지털 기기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 창의적인 만들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사람으로서 함께 만드는 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여하고, 만든 결과물과 지식,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 예전 메이커는? – 나이키 등 브랜드 있는 제품 혹은 제조사?
  • 9. 1) 메이커 교육 개요 9 2. 메이커 교육 개요 메이커 교육이란? 메이커 양성 및 참여와 체험 중심의 교육 - 제4차 산업혁명기에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최첨단 기술진화와 맞물려 감성적인 인간교육 차원에서 접근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 실제로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적정 기술과 학습환경에 맞춘 눈높이 교육 (불필요한 지식주입으로 인지 과부하가 일어 나지 않도록) 학교를 메이커 스페이스로 2017년 3월 31일자 “서울경제 신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석수 원장 칼럼 -”제4차 산업혁명과 학교교육”이라는 제목의 칼럼 결론에 창의적 인재양성을 실현하기 위해 학교가 ‘메이커 스페이스’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
  • 10. 3D 프린팅 - 쌓아가는 방식 3D 모델링 SW STL 파일 G-code 생성 SW 3D 프린터 PLA 필라멘트 2. 메이커 교육 개요 2)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교육
  • 11. Laser cutter - 잘라내는 방식 레이저커터 교육 레이저 광선은 반사경(벤딩 거울)으로 반사되어, 렌즈로 집광(集光)되고, 이 집광된 에너지가 가공 재료에 조사(照射)되어 가공(절단)이 된다. 2. 메이커 교육 개요 2)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교육
  • 12. Coding 및 Arduino & Robot 교육 2. 메이커 교육 개요 2)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교육
  • 13. VR - 가상교육 2. 메이커 교육 개요 2) 장비 및 소프트웨어 교육
  • 14. 2. 메이커 교육 개요 3) 취미생활에서 창업, 창직으로 진화가능 과 정 명 : 디지털 크리에이터 수 업 과 목 3D Pen, 3D Printer, 3D 모델링(초급) Paper Cutter, Laser Cutter 수 업 난 이 도 ★★★☆☆ 대 상 주부, 일반인, 은퇴(예정)자 비 고 창작, 동아리 활동 과 정 명 : 메이커스 디렉터 수 업 과 목 3D Pen, 3D Printer, 3D 모델링(고급), Paper Cutter, Laser Cutter, 후가공 수 업 난 이 도 ★★★★★ 대 상 창직, 경력단절여성, 구직자 비 고 장비 운영, 교육이론, 콘텐츠 개발 외 과 정 명 : 메이커스 프로 수 업 과 목 3D Pen, 3D Printer, 3D 모델링(고급), Laser Cutt er, 후가공 수 업 난 이 도 ★★★★☆ 대 상 (예비)창업자, 개발자 비 고 제작 프로세스, 제작실습, 시장조사, 창업교육 외
  • 15.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 15 ▐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 정의 및 시대적 변화? “4차 산업혁명은 단순하게 기술의 진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면 안됩니다. 이것은 정치적, 사회적 변화이자 인류의 도전입니다. ” - 클라우스 슈왑(Klaus Schwab)(다보스포럼 회장)
  • 16.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16 ▐ IoT와 인공지능시대에 새롭게 메이커 등장? “제조업은 세계에서 가장 큰 산업 가운데 하나다. 1차 산업혁명 이후 대량으로 물건을 만들 수 있는 힘은 생산수단을 소유한 이의 손 안에 있었다. 지금까지 생산수단이라고 하면 커다란 공장, 큰 회사, 또는 이런 곳에서 만든 상품 등을 뜻했다. 20세기 대중매체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우린 인터넷과 콘텐츠의 롱테일 법칙이 대중매체를 어떻게 바꿔놨는지 목격했다. 이제 상상해보자. 상품의 롱테일 법칙을 말이다. 웹의 디지털 혁신 모델이 바꿔 놓은 물리적 생산 과정의 변화. 이것이 메이커 운동이다.” - <와이어드(WIRED)> ‘메이커 운동’, 크리스 앤더슨(2012) 인용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패러다임 전환
  • 17. 17 제4차 산업혁명은 첨단 IT기술을 통한 제조업의 혁신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디지털 기기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새롭게 제품을 만들고 그 경험을 공유하는 메이커스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메이커스 운동은 기존 전통산업 생산양식에서 한걸음 나아가 인터넷을 활용해 함께 기획하고 아이디어를 모아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제품을 만드는 등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을 열어 나가는 것이기에 어릴 적 학교교육부터 그 기본 인식틀을 만들어 사회전반적으로 확산시켜 나가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메이커스 운동이 등장한 배경은 크게 3가지다. • 제조업의 문턱이 낮아졌다는 점 • IT기술발전으로 협력하기 좋아졌다는 점 • 생산공정이 유연해졌다는 점 특히 산업 현장 곳곳에 컴퓨터가 스며들어 생산성이 높아지고 최근에는 사물인터넷(IoT) 덕분에 획기적인 생산공정의 혁신이 이뤄지는 등 “한계비용 제로 사회(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에 까지 이를 정도로 엄청난 기술 진화가 이뤄졌다. DIY 혹은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 만들어 먹기 처럼 개인별 맞춤 생산시대의 산물?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2) 왜 메이커스 운동인가?
  • 18. 18 첨단 기술 발전에 따른 급격한 사회변화로 교육계에도 지각변동이 이뤄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하기에 아래와 같은 새로운 교육 흐름이 도입되기 시작 1) 크리에이터 양성교육 2) STEAM 교육 3) 컴퓨팅 사고 4) Make 교육 - STEAM과 같은 융합교육이면서 또한 체험 중심의 교육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아울러 학습방법에도 아래처럼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 1) 블렌디드 러닝 (Blended Learning) 2) 영역초월 학습 (Cross-over Learning) 3) 디지털 리터러시 (Digital Literacy) 4) 플립러닝 (Flipped Learning) 5) 게이미피케이션 (Gamification) 6) 적응적 학습 (Adaptive Learning) 7)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Storytelling-based Learning) *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육과 콘텐츠(한동숭, 2016) 인용 및 일부 수정 3) 교육의 변화
  • 19. 만들라 나누라 주라 배우라 도구를 갖추라 가지고 놀라 참여하라 후원하라 변화하라 OPENSOURCE SHARE COMMUNITY 4) 메이커스 문화의 특징 3. 제4차 산업혁명과 메이커스 문화
  • 20. 4. 메이커 교육 사례 20 ▐ 대구, 부산의 1Day1make 교육 ▪ 학습자 눈높이에 맞춘 적정 기술 교육 ▪ 장비 활용교육을 받아 하루에 하나씩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을 만들어 직접 가져 갈 수 있게 하는 교육 시행 (2017년 1~2월, 과학창의재단 예산지원)
  • 21. 4. 메이커 교육 사례 21 ▐ 학생들 및 성인의 취미 차원 메이커 교육
  • 22. 4. 메이커 교육 사례 22 ▐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 만들기 및 시제품 제작
  • 23. 첨단 기술로 세상이 바뀌는 제4차 산업혁명기를 맞아 메이커 교육은 창 의인재개발 전략인 동시에 인간의 만들기 본능을 되살려 존재의 의미 재 발견하는 계기 또한 수요자가 직접 참여해 자신의 콘텐츠 개발 및 상호작용으로 세상을 바꾸는데 기여하는 재미 제공 -단지 주변환경 속 일상 재료 활용한 만들기 뿐만 아니라 VR/AR, 인공지 능 활용 등 대중화된 첨단 기술을 적극 수용하여 DIY 처럼 만들어 공유 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즐거움 -비단 학교교육 뿐만 아니라 시니어 등 평생교육으로 까지 무한확장가능 (어린이와 노인이 함께 배울 수 있는 매력적인 아이템) -일상생활 속의 소소한 활동이 쌓여 매니아 혹은 전문가로 발돋움 (유희적 인간의 취미생활에서 창직, 창업으로 승화 가능) 23 5. 미래교육에의 시사점 -4차산업혁명기에 메이커교육의 의의
  • 24. 메이커 교육으로 체험형 수업분위기 조성해 자기주도적 놀이 학습 24 기존 주입식 전달학습에서 탈피해 수요자인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만들기 놀이를 통해 동기부여 및 체험학습으로 미래형 인재개발에 기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메이커 교육으로 21세기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구체적으로 실천해 나갈 수 있는 학습 도구의 활용으로 인지능력 향상 및 자존감 고양, 성과중심 학습으로 이어져 즐거운 학교생활 가능 6.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