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김형채 대표 (hckim@invesume.com)
2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 교육혁신을 위해 필요한 사람과 기술을 오픈소스 관점에서 살펴보고 어
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 대안을 논의
발표자 소개
타 분야 대비 공개소프트웨어 활용이 저조한 국내 운영체제 분야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운영체제 하모니카OS를 무료로 제공하여, 현재 민간부문 12만 건 이상의 다
운로드를 제공, 국내 22개 국방부, 경찰청 등 공공기관 및 지자체, 학교에 개방형OS 보급
3
국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개소프트웨어 운영체제 하모니카를 무료로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공공기관 및 기업의 개방형 OS 도입을 지원하여 공개소프트웨어 확산을 위하여 노력
김형채 (hckim@invesume.com)
- 개방형OS 하모니카 프로젝트 리더/ ㈜인베슘 대표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공개소프트웨어 표준화 위원
- 한중일 오픈소스 활성화포럼 표준화분과 한국위원
1. 오픈소스
2. 교육 환경의 변화
3. 미래교육을 돕는 오픈소스
5
소프트웨어의 혁명 오픈소스
• 1984년 시작된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1998년 오픈소스 소프
트웨어(Open Source Software)라는 용어의 등장을 거쳐 국내에서는 누구나 소스코드를 접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라 분류하고 있다.
• 현재 국내에서는 FOSS, OSS, 자유소프트웨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오픈소스라는 용어가 현
재 함께 사용되고 있어 다소 혼란이 있을 수 있으나, 이 용어들은 소스코드를 공개하고 공유
하자는 근본취지와 그 사상적 근원은 같다.
• 소프트웨어 사용의 라이선스 비용이 없으며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는 소프트
웨어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으며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
6
Linux
• 다른 사람에게 판매하지 않고, 코드를 향상 시키면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코드를 공개하는 조건
• 리눅스는 구입을 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편집, 수정이 가능해 지속적인 업그레
이드가 이루어지고 있는 운영체제. 널리 쓰이고 있
는 모바일 운영 체제 안드로이드 또한 리눅스 커
널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오픈 소스 플랫폼.
• 세계 스마트폰의 82%, 임베디드 기기의 62%, 슈
퍼 컴퓨터 시장의 99%가 리눅스로 작동
https://hamonikr.org/index.php?mid=oss&page=1&document_srl=57358
7
Operating System Market Share
Source : https://gs.statcounter.com/os-market-share/
8
Revolution OS
• 오픈소스,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의 20년을 추적한 다큐멘터리
• https://www.youtube.com/watch?v=4ZHloJVhcRY (1h 20m)
공개된 정보와 기술의 자유로운 교환을 통하여 컴퓨터 사용자를 해방시키려는 목적의 운동.
9
위키피디아
• 위키피디아 창시자 지미 웨일스의 TED 강연
• https://www.ted.com/talks/jimmy_wales_on_the_birth_of_wikipedia?language=ko#t-554074
저희는 사람들이 원하는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공짜 모델을 선택했습니다.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우리 백과사전의 내용으로 상업적, 비상업적 모든 용도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10
오픈소스 운동의 확산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오픈소스 하드웨어
• 오픈 콘텐츠
• 오픈 디자인
• 위키피디아
• 오픈소스 공간정보
• 오픈 API
• 개방형 교육환경 MOOC
• 개방,공유,참여에 의한 발전 - 정부3.0
출처: FabLife - デジタルファブリケ-ションから生まれる「つくりかたの未來(2012)
11
Industry of Open Source
출처: 국토정책(2016,국토연구원)
12
Education of Open Source Movement
• MIT, 하버드, 스탠포드 학생 백만명 시대 - 학교가 필요 없어진다?
•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참여
적 거대규모의 교육
13
Government of Open Source Movement
• 국가 - 개방, 공유, 참여에 의한 발전
14
해외 정부의 오픈소스 동향
• 미국, 영국, EU 등 정보화 선도 국가들은 전자정부의 구현, 공공정보의 개방, 클라우드 환
경구성의 기술적 통합을 위한 재료로 오픈소스SW의 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공공
부문에서의 오픈소스SW 확산 속도를 높여가고 있음.
미국의 오픈소스, 오픈 거버먼트, 클라우드 등에 대한 정
보공유채널 OSFA, GovLoop
15
한국의 ICT R&D 정책
• 선진국 기술의 catch-up에 중점
- 초고속정보통신망기반구축 종합계획(’95), 정보화촉진기본계획(’96)
• 전략기술 중심으로 대형 국책과제 집중 투자
- Cyber Korea 21(’99), e-Korea 21(’02)
• 지속성장 견인을 위한 ICT 신성장동력 선정
- IT839전략(‘04), IT839전략 기술개발 Master Plan(‘05)
• ICT 융합 기술개발 중점 추진
- New IT전략(‘09), IT R&D 발전전략(’10)
• C-P-N-D-S별 도전적 핵심기술 개발
- 창조경제비타민프로젝트(‘13)
’93 ~ ’97
’98 ~ ’02
’03 ~ ’07
’08 ~ ’12
’13 ~ ’17
현재
• 4차산업혁명 주도를 위한 ICT 강국실현, 공개소프트웨어 방식 연구개발 추진
국가정보화
산업육성
ICT 융합
16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
• 개방형 혁신은 안으로의 지식 흐름(inflow)과 밖으로의 지식 흐름(outflow)을 적절히 활
용하여 내부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혁신의 외부 활용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다. 자사의 기
술을 상업화하여 시장에 진출할 때 내부 뿐 아니라 외부 경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사용
해야함을 전제하는 혁신 패러다임이다. (Chesbrough 2006)
• 폐쇄형 혁신 : R&D에서 수익을 얻으려면 우리 회사가 직접 발명, 개발, 판매를 모두 담
당해야 한다.
• 개방형 혁신 : 외부의 R&D도 중요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 기술개발 비용증가로 외부 지식의 탐색 및 중개의 중요성 대두
17
대세는 오픈소스
너도 나도 오픈소스를 도입하는 이유는 영리 기업들이 수십조의 연구개발비를 들여서
도 만들지 못한 혁신을 오픈소스가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능동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총 직원 수전세계 기업 시가총액 Top10
18
전 산업의 오픈소스 활용
The 2014 North Bridge & Black Duck
19
오픈소스 철학의 핵심
참여와 공유를 통한 발전방향에 대한 믿음
20
현재 : 모든 사람이 오픈소스를 사랑하는 중
1. 오픈소스
2. 교육 환경의 변화
3. 미래교육을 돕는 오픈소스
22
교육과 기술의 만남 에듀테크 산업의 약진
에듀테크 분야는 전 세계 시장의 45%를 차지하는 세계 1위 산업 시장
• 미국 시장조사 업체 글로벌인더스트리애널리스츠(GIA)도 전 세계 에듀테크 시장 규모를 2017
년 2200억달러(약 246조원)에서 2020년에는 4300억달러(약 481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국내의 경우 과거 이러닝 산업을 선도했으나 현재는 에듀테크 세계시장의 5% 미만 수준
Source : http://www.home-learn.co.kr/sigongweb/newsroom/news/A/447
23
글로벌 경쟁 국가들의 과감한 교육 혁신 도전
‘보편적이고 시간이 필요한 교육’ 과 ‘빠른 변화와 파괴적 혁신을 만들어내는 기술’ 의 융합 노력
• 과거 1차, 2차 산업혁명을 통해 국가의 번영 경험이 있는 영국, 프랑스 미국 등의 국가들은 창의적 인재 육
성을 위해 과감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혁신 실험을 오래전부터 시도하고 있고, 작지만 우수한 성적을 보이
고 있는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핀란드 등의 국가들 역시 미래 역량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리더십을 기
반으로 숨가쁘게 교육 혁신의 성공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 1987년 설립된 교육자치 실천 사례인 영국 샌즈스쿨, IT 기술 기반의 몬테소리 교육 형식을 도입한 네덜란
드 스티브잡스 스쿨, 칸아카데미 플랫폼 기반 하에 운영 중인 실험 학교 칸랩스쿨, 기업가 정신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몬드라곤 대학, 토론 중심의 온라인 학습과 글로벌 7개국을 기반으로 실세계 프로젝
트를 경험하는 미네르바 대학 등 혁신교육의 다양한 사례.
• 학교 밖에서도 학교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프로젝트 학습 사례를 모으고 학교의 혁신을 지원하는 비아이
이(BIE), 사회정서 학습 기반의 학교혁신을 지원하는 카셀(CASEL), 킥보드(Kickboard), 꺼꾸로 학습 모형을
확산하는 에프엘글로벌(Flglobal) 등의 비영리 조직들이 운영
24
Social Reputation based Assessment
25
세대 교체 - Generation Z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능동적 문제해결, 공유와 협업이 생활, 자기주도 학습, 글로벌 친화, e포트폴리오
26
IT기술을 융합하는 교수학습 설계모형 - Flipped Learning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육
• 강의가 아닌 동료학습 및 협업능력 강화
• 학습동기의 극대화, 자기주도 학습능력 강화, 우수학습자 몰입 강화
27
수업이 게임이 되다 – Gamification
게임속에 있는 스토리, 다양한 미션, 재미 요소 등을 교육에 접목
• 플레이어들 간에 자유로운 소통을 돕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학생과 교수 간 학습과정에서 서
로의 생각을 나누며 성장시키는 과정이 있는 교육 가능
(좌)닌텐도 라보/ (우)구글 카드보드
28
궁금하면 직접 하버드, MIT, 스탠퍼드 강의로 공부한다 – MOOC
온라인 공개 수업 방식
• 온라인 공개 수업 수강생 간의 피드백, 상
호 채점, 협동과제
• 온라인 퀴즈와 시험의 자동화된 채점 방
식
왜 온라인 공개 수업을 제공하는가?
• 온라인 공개 수업은 기존의 강좌 제공 방
식과 분명히 다르며, 강의 뿐만 아니라 학
생들이 사용한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을
모아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재가공 및 개
선이 가능한 신기술이라고 언급
(https://ko.wikipedia.org/wiki/MOOC)
29
글로벌 선두 IT 기업은 에듀테크 산업의 주도권 확보 노력 중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교두보는 에듀테크 산업
Google Classroom Apple Classroom
Microsoft Classroom
30
미국 교육산업의 플랫폼 시장 현황
Source : https://www.digitalinformationworld.com/2019/03/who-is-winning-in-education-google-apple-microsoft.html
31
미국 교육산업 시장 현황
IT 공룡 구글은 각종 서비스와 콘텐츠를 퍼주는 대가로 유저의 신뢰를 얻은 대표적인 기업이다. 특히
교육용 소프트웨어(SW) 부문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학생이 구글 ‘익스페디션’을 활용해 증강
현실(AR)·가상현실(VR)로 박물관과 유적지 체험을 하고, ‘지스위트’(G suite)로 지메일과 캘린더 드라
이브를 이용하며, 구글 클래스룸으로 수업자료를 공유하는 데 드는 돈은 모두 합쳐 0원이다.
• 사파리 몽타주(Safari Montage) 같은 교육용 SW를 전교생이 천 명인 학교가 쓰면 인당 한 달
사용료 5,000원, 일 년이면 6만 원으로 총 매년 6,000만 원의 돈이 나가지만, 구글은 천 명이든
만 명이든 공짜다.
• 학교에 판매되는 구글 크롬북은 18만 원이다. 애플의 교육용 아이패드(36만 원)와 마이크로소
프트(MS) 윈도10 교육용 노트북(22만 원)보다 저렴하다. 싼 게 비지떡일 것 같지만 각종 구글
앱과 교육 SW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스펙은 갖췄다. 가성비가 뛰어난 셈이다.
덕분에 크롬북은 각국 교육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특히 미국 초중고 교육시장 점유율은 58%
로 단연 압도적이다. MS(22%)와 애플(12%)의 점유율을 다 합쳐도 구글 하나를 못 넘는다.
32
Chromebook
• 크롬북은 공유개방형 웹브라우저와 플랫폼, HW의 결합과 구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많은 장점을 제
공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인터넷과 교육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음
• 공유와 개방을 표방하지만 결국 구글과 크롬북이라는 또 다른 독점적 상업플랫폼이 될 수 있음
1. 오픈소스
2. 교육 환경의 변화
3. 미래교육을 돕는 오픈소스
34
함께 생각해보기
• 전 세계가 에듀테크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융합의 최적점을 찾아내는 노력 중
• Z세대 학생에 맞는 교육 혁신
• 교수법 또한 What 에 대한 교육은 IT기술(YouTube, Alexa 등)로 대체하고 How, Why에
대한 교육으로 변화 중
• IT 공룡들이 교육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 중인 이유는?
• 구글의 크롬북은 어떻게 미국시장을 차지했을까?
• 아이패드는 왜 스마트 키보드를 출시했을까? 미래에도 키보드는 중요한 입력 장치일까?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교육을 위해 필요한 플랫폼은?
35
교육용 디바이스 부문
갤럭시탭, 아이패드, 노트북, 크롬북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만 점차 사용과 관리가
편한 기기로 시장이 집중되는 경향
• 가상 키보드 보다는 물리적 키보드가 있는 것이 다양한 활용 가능
• 클라우드 기반의 계정관리를 통한 사용자 데이터 복원
• 모든 데이터는 삭제하지 않는 한 보관이 영구적이며, 데이터 제한이 없다.
• 화면잠금장치(Lock in mode)를 통해 현장 온라인 시험을 볼 수 있는 기능
• 개별 학생의 앱(Applications)을 통제할 수 있어 교사의 통제권이 자연 강화된다.
• 프로그램들은 더 이상 오프라인 기반 하드드라이브에 저장되는 것이 아닌 클라우드 링크로 바
로 돌아가는 시스템. 컴퓨터 하드드라이브에서 소프트웨어 충돌 문제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걱정이 사라지는 것
36
애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 부문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제공이 쉬운 환경 조성
•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디지털 교수도구들과 상호호환성을 보장해야 함
• 누구나 교육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도구의 공급
•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과정과 결과를 보존하는 e포트폴리오의 신뢰성 강화
• 인공지능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SDK 또는 OPEN API
• 교사의 업무를 자동화 기술로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서비스
• Edge AI 기술적용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37
교육 플랫폼 부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교육 플랫폼 생태계 필요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메이저 회사부터 중소 에듀테크 앱까지 자체 생태계로 영역을 확장·
지속하려 해 왔으며 지나치게 폐쇄적인 생태계와 디지털 독과점을 자행
• 클라우드 시대에서 더 이상의 시장 확장과 지속성 유지를 힘들게 하고 있음
• 종국에는 사용자들 스스로 기존의 오프라인 툴과 연계성이 너무나 불편하다는 것을 자연스레
알게 되어 기기 뿐만 아니라 플랫폼까지도 갈아타는 중.
• UI(사용자환경) 측면에서 동시성과 연계성을 지녀야 그 범용성은 인정되고 편리한 사용 가능
• 인공지능이 활약하기 위해서는 더욱 편리하고 쉽게 빅데이터를 가용할 수 있는 플랫폼의 주도
가 필요
38
OS 분야 기술 동향
• 미국이 PC분야의 MS, 모바일OS 분야의 구글/애플, 개방형 OS분야의 리눅스, RTOS 분야
의 WindRiver 등 전 분야에 걸쳐 기술을 선도하고 확고한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음.
• 원천기술에서는 러시아가 운영체제 분야의 미국과 비슷한 기술을 보유
• 자체 운영체제를 가지고 10억 인구를 소화해내는 클러스터 시스템과 모바일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도 기술수준이 빠르게 성장하였음
• 유럽은 오픈소스 커뮤니티나 리눅스를 만들었기 때문에 사업화의 잠재력 매우 큼
상대수준(100%)
시스템SW
운영체제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77.8 100 78.6 78.2 81.8
출처 : 2017 ICT 기술수준조사
39
OS 분야 기술 동향
 미국
• SW 분야의 시가 총액 1위부터 10위 까지를 미국이 모두 장악하고 있으며, 원천기술도 많이
확보 중이며 기업용 SW 시장을 기술적으로 선도하는 Major 업체(MS, IBM, Oracle,
Salesforce.com)들이 대부분 미국 기업임
• 미국은 메인 프레임, 워크스테이션, PC, 모바일, IoT 등 현존하는 하드웨어를 다루기 위하여
다양한 운영체제를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함으로써, 학문적으로나, 상업적으로나 큰 성공을 거
두었음
• 현재는 운영체제 자체는 이익이 되지 않지만 이를 근간으로 하는 2차 상업화에 경쟁력을 유
지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도 막대한 자원과 인력을 투여하여 그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
력함
• 구글, 아마존 등의 클라우드 기반의 대용량 스토리지, 산업용 플래시 파일시스템은 오픈소스
를 중심으로 미국이 지속적으로 주도
40
OS 분야 기술 동향
 중국
• 중국 SW 개발의 방향성은 한마디로 ‘탈미국’ 으로 표현할 수 있음. 이를 모토로 자본을 투자
하고 시장을 만들어가고 있어 중국의 10년 후 발전된 모습이 기대됨
• 논문저널시장에서도 중국 논문이 반 이상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연구와 대학 투자가 활발하
며, 이는 인재 양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
• 시스템 SW나 음성인식기술의 응용 단에서는 조만간 시장지배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 중국
은 미국보다 현재는 기술력이 낮지만 빠른 속도로 1위국을 추격중임
41
OS 분야 기술 동향
 유럽
• 기술수준변화 속도는 빠르지 않지만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을 중심
으로 관련기술이 파급되고 있음
• 독일을 중심으로 4차산업혁명 관련 최신 SW기술을 제조업(스마트 제조분야)에 활용하면서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음
• 환경 산업, 에너지 절약, 재활용 관련 최적화 솔루션들이 굉장히 많음
• 특히 아일랜드는 MS, IBM, Intel, Google 등 400여개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업이 활동 중이
며, IBM의 Smarter Cities Technology Centre, NUI Maynooth 대학의 Dublinked Initiative 등
정보분석(data analytics) 분야 등 다양한 ICT 프로젝트가 진행중
• 아일랜드는 EU 회원국 중 △산업 R&D 투자규모 10위, △ 산업 R&D 성장률(13.3%) 3위국
출처 : EU집행위, EU R&D Scoreboard-The 2012 EU Industrial R&D Investment Scoreboard(2012.12월)
42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중인 개방형 OS
용도 배포판 명
서버, 웍스테이션
CentOS, ClearOS, Debian, Novell Open Enterprise Server, Oracle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일반 데스크톱
Arch Linux, Bodhi Linux, Debian, Deepin, Elementary OS, Fedora, Gentoo Linux, HamoniKR
Linux, Linux Mint, Mandriva Linux, Manjaro Linux, openSUSE, PCLinuxOS, Salix OS, Slackwa
re, Zorin OS
일반사용자, 학교 Antergos, Debian Edu, Univention Corporate Server
저사양 하드웨어 ALT Linux, Kali Linux
공공기관 Canaima(Government of Venezuela)
보안감사, 포렌식 Alpine Linux, Pentoo, Grml
웹 어플리케이션 Chrome OS, webOS
무설치, 초경량 Damn Small Linux, Knoppix, Porteus, Puppy Linux, Slax, Tiny Core Linux
임베디드 ELinOS, Emdebian Grip
키오스크, 디지털사이니지 Webconverger, Instant WebKiosk
게임, 멀티미디어 SteamOS, SparkyLinux, Musix GNU+Linux, Kodibuntu
개발업체에서 OS를 완전히 소유/통제하며 사용하
려면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
는 OS
누구든지 소스를 받아 자유롭게 수정, 배포, 판매
가 가능한 OS
폐쇄형 OS 개방형 OS
다른 계통의 소프트웨어나 기술을 허용하지 않고
최적화된 소프트웨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
성과 최적화면에서 우수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시리즈와 윈도 모바일,
애플의 iOS 와 아이폰 OS, 블랙베리 OS, 티맥스
OS 등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너무 많은 다
양성을 수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혼란과 불편
함을 초래할 가능성 보유
구글 안드로이드 OS, 수세, 페도라, 우분투, 하모
니카 등
43
개방형 OS
44
제3자 제공 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데스크톱 환경
운영체제 커널 https://www.kernel.org/
어떤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하는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어떻
게 제공하는가?
지원되는 제3자 제공 프로그램들은 무
엇인가?
HamoniK
R
개방형 OS의 구성요소
45
제3자 제공 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데스크톱 환경
운영체제 커널 https://www.kernel.org/
HamoniK
R
개방형 OS의 지배구조
GNOME / Cinnamon / KDE
Plasma / MATE / Unity 커뮤니티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 커뮤니티
제공되는 프로그램 제조사
46
전 세계 국가별 개방형 OS 현황
미국
Fedora
독일
OpenSUSE
인도
BOSS
중국
Kylin
러시아
Astra
일본
Turbo
북한
붉은별
한국
하모니카
47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공개소프트웨어는 기술의 특성상 커뮤니티의 지속성이 가
장 중요한 요소이며, 자사는 국내에서 일반 사용자가 활용
할 수 있는 공개소프트웨어 커뮤니티가 유지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커뮤니티 전담관리 인력을 배정하여 운영 중
이며, 하모니카 커뮤니티(https://hamonikr.org/)는 월간 평
균 방문자 1만3천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음
48
개방형OS 하모니카 기술 아키텍처
Linux Kernel 4.15 (LTS)
CORE
보안 네트워크 접근성 국제화 계정
그래픽 통신 멀티미디어 스토리지 전역설정
Input Methods Policy Mgmt. Indicators Notification Touch
런처 바탕화면 패널 Theme 소프트웨어관리DESKTOP
PLATFORM
GTK+ QT XUL HTML5
Python C C++ JavaScript Java QML Vala C#LANGUAGES
APPLICATIONS
Ubuntu Apps Linux Mint Apps HamoniKR Apps
오피스 그래픽 멀티미디어 개발도구 유틸리티
49
개방형OS 하모니카 주요기능
50
개방형OS 하모니카 주요기능
1
51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 운영체제를 보호하는 강력한 3단계 풀스택 보안기술 적용
• 커널 보안, 응용프로그램 보안, 사용자 보안 레이어 보안 기술 적용
커널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암호화된 저장공간, USB 보안 프로그램, 개인방화벽, 바이러스 백신
커널 무결성을 보증하는 Secure Channing
리눅스 보안 모듈
(LSM : Linux Security Modules)
52
개방형OS 하모니카 주요기능
1
2
3
53
개방형OS 하모니카 주요기능
1
2
54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 향상된 원격 디바이스 관리 및 통제
• ‘하모나이즈’ 솔루션을 통해 하모니카OS 사용자에 대한 자산관리, 보안관리, 사용자 관리, 활
동감사, 원격제어 등을 수행
55
개방형OS 하모니카 주요기능
1
2
56
개방형OS 하모니카 주요기능
1
2
57
개방형OS 하모니카 주요기능
1
2
58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 제품의 지속성을 보장하는 오픈소스 커뮤니티 기반 보유
하모니카 커뮤니티
https://github.com/hamonikr
https://hamonikr.org/https://oss.hamonikr.org/
하모니카 Offcial Website
하모니카 패키지 저장소(launchpad)
https://launchpad.net/hamonikr
하모니카 소스코드 저장소(Github)
HamoniKR
59
60
61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62
개방형OS 하모니카의 에듀테크 활용
• 다양한 IT환경을 활용할 수 있는 장치 호환성 제공(63종 데스크탑, 160종 노트북 지원)
• 키보드 및 음성인식 입력 인터페이스 지원
• 개인별 데이터 저장 공간 제공(보관하는 데이터에 대한 강력한 보안 기술 포함)
• 다양한 방식의 교육 콘텐츠 활용을 위한 드라이버 지원
• 교육 콘텐츠 제작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편집 및 관리 도구 지원
• 쉬운 장치관리를 위한 사용자별 환경 백업 및 복구 기능
• 디바이스 보급에 소요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비용 최소화
• 인공지능 기반 기술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위한 프레임워크 내장
• 누구나 데이터를 활용한 제 3자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Open API 제공
교사와 학생의 미래교육을 돕는
에듀테크 플랫폼
개방형OS 하모니카 프로젝트 리더 김형채 / hckim@invesume.com / 010-3838-8378
국내 G-Suite for Education 사용현황(2019.10.28)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Kevin Kim
 
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
Kevin Kim
 
공개SW거버넌스(개요)
공개SW거버넌스(개요)공개SW거버넌스(개요)
공개SW거버넌스(개요)
Kevin Kim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Kevin Kim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승우 백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 거버넌스 실무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Kevin Kim
 
기업과오픈소스 Fo4 s_ktds_v1.0_20160823
기업과오픈소스 Fo4 s_ktds_v1.0_20160823기업과오픈소스 Fo4 s_ktds_v1.0_20160823
기업과오픈소스 Fo4 s_ktds_v1.0_20160823
승우 백
 
오픈소스의 이해(교육자료)
오픈소스의 이해(교육자료) 오픈소스의 이해(교육자료)
오픈소스의 이해(교육자료)
정명훈 Jerry Jeong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SANGHEE SHIN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Ji-Woong Choi
 
한국에서 오픈소스GIS로 사업하기
한국에서 오픈소스GIS로 사업하기 한국에서 오픈소스GIS로 사업하기
한국에서 오픈소스GIS로 사업하기
SANGHEE SHIN
 
The four myths of open source (2013)
The four myths of open source (2013)The four myths of open source (2013)
The four myths of open source (2013)Channy Yun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SANGHEE SHIN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만 파는 스타트업_이야기_v1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만 파는 스타트업_이야기_v1[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만 파는 스타트업_이야기_v1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만 파는 스타트업_이야기_v1
Ji-Woong Choi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SANGHEE SHIN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SANGHEE SHIN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slhead1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SANGHEE SHIN
 
Enterprise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
Enterprise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Enterprise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
Enterprise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Yousun Jeong
 
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 GIS 개요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 GIS 개요
slhead1
 

What's hot (20)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
 
공개SW거버넌스(개요)
공개SW거버넌스(개요)공개SW거버넌스(개요)
공개SW거버넌스(개요)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오픈소스Sw이해와가치 송상효-20160811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 거버넌스 실무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기업과오픈소스 Fo4 s_ktds_v1.0_20160823
기업과오픈소스 Fo4 s_ktds_v1.0_20160823기업과오픈소스 Fo4 s_ktds_v1.0_20160823
기업과오픈소스 Fo4 s_ktds_v1.0_20160823
 
오픈소스의 이해(교육자료)
오픈소스의 이해(교육자료) 오픈소스의 이해(교육자료)
오픈소스의 이해(교육자료)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한국에서 오픈소스GIS로 사업하기
한국에서 오픈소스GIS로 사업하기 한국에서 오픈소스GIS로 사업하기
한국에서 오픈소스GIS로 사업하기
 
The four myths of open source (2013)
The four myths of open source (2013)The four myths of open source (2013)
The four myths of open source (2013)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한국오픈소스GIS포럼 소개 자료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만 파는 스타트업_이야기_v1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만 파는 스타트업_이야기_v1[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만 파는 스타트업_이야기_v1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만 파는 스타트업_이야기_v1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오픈소스GIS의 이해와활용 -제13회 지오매틱스포럼 주제 강연 자료
 
Enterprise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
Enterprise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Enterprise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
Enterprise 환경에서의 오픈소스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
 
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 GIS 개요오픈소스 GIS 개요
오픈소스 GIS 개요
 

Similar to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교육 분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 - JTC1 표준 전문가들을 위한 표준화 주제 탐구 -
교육 분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 - JTC1 표준 전문가들을 위한 표준화 주제 탐구 -교육 분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 - JTC1 표준 전문가들을 위한 표준화 주제 탐구 -
교육 분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 - JTC1 표준 전문가들을 위한 표준화 주제 탐구 -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Ji Lee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강의안 스마트교육동향 20120102(경북교육연수원)
강의안 스마트교육동향 20120102(경북교육연수원)강의안 스마트교육동향 20120102(경북교육연수원)
강의안 스마트교육동향 20120102(경북교육연수원)zyro park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테크 DIY(이지선 교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테크 DIY(이지선 교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테크 DIY(이지선 교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테크 DIY(이지선 교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brainerymakers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sam Cyberspace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YoungSik Jeong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Jaeheung Lee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현재 정
 
AWS 사업계획서 pt- Yoon Dong Jin
AWS 사업계획서 pt- Yoon Dong JinAWS 사업계획서 pt- Yoon Dong Jin
AWS 사업계획서 pt- Yoon Dong Jin
윤 동진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atelier t*h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Kevin Kim
 
교사, 아이들과 함께하는 테크 D.I.Y.
교사, 아이들과 함께하는 테크 D.I.Y. 교사, 아이들과 함께하는 테크 D.I.Y.
교사, 아이들과 함께하는 테크 D.I.Y.
Ji Lee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주) Story21
 
16년도 하반기 국민대 BIT 전자정부 연구실 학생모집 1
16년도 하반기 국민대 BIT 전자정부 연구실 학생모집 116년도 하반기 국민대 BIT 전자정부 연구실 학생모집 1
16년도 하반기 국민대 BIT 전자정부 연구실 학생모집 1
JaeYeoul Ahn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BruceDong WinnersLab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활 김
 
8 프로토타입제작
8 프로토타입제작8 프로토타입제작
8 프로토타입제작atelier t*h
 
모바일웹 생태계 조망
모바일웹 생태계 조망모바일웹 생태계 조망
모바일웹 생태계 조망
joongwon sung
 

Similar to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20)

교육 분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 - JTC1 표준 전문가들을 위한 표준화 주제 탐구 -
교육 분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 - JTC1 표준 전문가들을 위한 표준화 주제 탐구 -교육 분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 - JTC1 표준 전문가들을 위한 표준화 주제 탐구 -
교육 분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 - JTC1 표준 전문가들을 위한 표준화 주제 탐구 -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Maker movement & education changes - 메이커운동과 교육의 변화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강의안 스마트교육동향 20120102(경북교육연수원)
강의안 스마트교육동향 20120102(경북교육연수원)강의안 스마트교육동향 20120102(경북교육연수원)
강의안 스마트교육동향 20120102(경북교육연수원)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ISTE Live 2022 브리핑 리포트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테크 DIY(이지선 교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테크 DIY(이지선 교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테크 DIY(이지선 교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교사와 아이들이 함께 하는 테크 DIY(이지선 교수, 학교 창의 교육 세미나)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한 미 양국의 Ict기반 메이커 운동의 현황 비교 분석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소프트웨어교육론 전체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Digital Social innovation & Civic tech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01 2011 6 29 it융복합기반미래형학습모델전망
 
AWS 사업계획서 pt- Yoon Dong Jin
AWS 사업계획서 pt- Yoon Dong JinAWS 사업계획서 pt- Yoon Dong Jin
AWS 사업계획서 pt- Yoon Dong Jin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기술인문융합의 해외 주요 사례와 국내 기업 수요조사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교사, 아이들과 함께하는 테크 D.I.Y.
교사, 아이들과 함께하는 테크 D.I.Y. 교사, 아이들과 함께하는 테크 D.I.Y.
교사, 아이들과 함께하는 테크 D.I.Y.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16년도 하반기 국민대 BIT 전자정부 연구실 학생모집 1
16년도 하반기 국민대 BIT 전자정부 연구실 학생모집 116년도 하반기 국민대 BIT 전자정부 연구실 학생모집 1
16년도 하반기 국민대 BIT 전자정부 연구실 학생모집 1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발표자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스타트업분석 동우상_170720_v1.2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8 프로토타입제작
8 프로토타입제작8 프로토타입제작
8 프로토타입제작
 
모바일웹 생태계 조망
모바일웹 생태계 조망모바일웹 생태계 조망
모바일웹 생태계 조망
 

More from Kevin Kim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Kevin Kim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Kevin Kim
 
애자일이야기
애자일이야기애자일이야기
애자일이야기
Kevin Kim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Kevin Kim
 
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
Kevin Kim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Kevin Kim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
Kevin Kim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Kevin Kim
 
내 인생의 작전타임
내 인생의 작전타임내 인생의 작전타임
내 인생의 작전타임
Kevin Kim
 
becoming a technical leader(테크니컬리더)
becoming a technical leader(테크니컬리더)becoming a technical leader(테크니컬리더)
becoming a technical leader(테크니컬리더)
Kevin Kim
 
트렌드코리아 2013
트렌드코리아 2013트렌드코리아 2013
트렌드코리아 2013
Kevin Kim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Kevin Kim
 
누워서 읽는 퍼즐북
누워서 읽는 퍼즐북누워서 읽는 퍼즐북
누워서 읽는 퍼즐북
Kevin Kim
 
안철수의생각
안철수의생각안철수의생각
안철수의생각
Kevin Kim
 
201208 시간을 파는 상점
201208 시간을 파는 상점201208 시간을 파는 상점
201208 시간을 파는 상점
Kevin Kim
 
스마트 워크 들여보기
스마트 워크 들여보기스마트 워크 들여보기
스마트 워크 들여보기
Kevin Kim
 

More from Kevin Kim (16)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애자일이야기
애자일이야기애자일이야기
애자일이야기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IT 비즈니스 기획 전문가 로드맵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Agile 적용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내 인생의 작전타임
내 인생의 작전타임내 인생의 작전타임
내 인생의 작전타임
 
becoming a technical leader(테크니컬리더)
becoming a technical leader(테크니컬리더)becoming a technical leader(테크니컬리더)
becoming a technical leader(테크니컬리더)
 
트렌드코리아 2013
트렌드코리아 2013트렌드코리아 2013
트렌드코리아 2013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누워서 읽는 퍼즐북
누워서 읽는 퍼즐북누워서 읽는 퍼즐북
누워서 읽는 퍼즐북
 
안철수의생각
안철수의생각안철수의생각
안철수의생각
 
201208 시간을 파는 상점
201208 시간을 파는 상점201208 시간을 파는 상점
201208 시간을 파는 상점
 
스마트 워크 들여보기
스마트 워크 들여보기스마트 워크 들여보기
스마트 워크 들여보기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 1.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김형채 대표 (hckim@invesume.com)
  • 2. 2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 교육혁신을 위해 필요한 사람과 기술을 오픈소스 관점에서 살펴보고 어 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 대안을 논의
  • 3. 발표자 소개 타 분야 대비 공개소프트웨어 활용이 저조한 국내 운영체제 분야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운영체제 하모니카OS를 무료로 제공하여, 현재 민간부문 12만 건 이상의 다 운로드를 제공, 국내 22개 국방부, 경찰청 등 공공기관 및 지자체, 학교에 개방형OS 보급 3 국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개소프트웨어 운영체제 하모니카를 무료로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공공기관 및 기업의 개방형 OS 도입을 지원하여 공개소프트웨어 확산을 위하여 노력 김형채 (hckim@invesume.com) - 개방형OS 하모니카 프로젝트 리더/ ㈜인베슘 대표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공개소프트웨어 표준화 위원 - 한중일 오픈소스 활성화포럼 표준화분과 한국위원
  • 4. 1. 오픈소스 2. 교육 환경의 변화 3. 미래교육을 돕는 오픈소스
  • 5. 5 소프트웨어의 혁명 오픈소스 • 1984년 시작된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1998년 오픈소스 소프 트웨어(Open Source Software)라는 용어의 등장을 거쳐 국내에서는 누구나 소스코드를 접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라 분류하고 있다. • 현재 국내에서는 FOSS, OSS, 자유소프트웨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오픈소스라는 용어가 현 재 함께 사용되고 있어 다소 혼란이 있을 수 있으나, 이 용어들은 소스코드를 공개하고 공유 하자는 근본취지와 그 사상적 근원은 같다. • 소프트웨어 사용의 라이선스 비용이 없으며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는 소프트 웨어로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으며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
  • 6. 6 Linux • 다른 사람에게 판매하지 않고, 코드를 향상 시키면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코드를 공개하는 조건 • 리눅스는 구입을 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편집, 수정이 가능해 지속적인 업그레 이드가 이루어지고 있는 운영체제. 널리 쓰이고 있 는 모바일 운영 체제 안드로이드 또한 리눅스 커 널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오픈 소스 플랫폼. • 세계 스마트폰의 82%, 임베디드 기기의 62%, 슈 퍼 컴퓨터 시장의 99%가 리눅스로 작동 https://hamonikr.org/index.php?mid=oss&page=1&document_srl=57358
  • 7. 7 Operating System Market Share Source : https://gs.statcounter.com/os-market-share/
  • 8. 8 Revolution OS • 오픈소스,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의 20년을 추적한 다큐멘터리 • https://www.youtube.com/watch?v=4ZHloJVhcRY (1h 20m) 공개된 정보와 기술의 자유로운 교환을 통하여 컴퓨터 사용자를 해방시키려는 목적의 운동.
  • 9. 9 위키피디아 • 위키피디아 창시자 지미 웨일스의 TED 강연 • https://www.ted.com/talks/jimmy_wales_on_the_birth_of_wikipedia?language=ko#t-554074 저희는 사람들이 원하는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공짜 모델을 선택했습니다.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우리 백과사전의 내용으로 상업적, 비상업적 모든 용도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10. 10 오픈소스 운동의 확산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오픈소스 하드웨어 • 오픈 콘텐츠 • 오픈 디자인 • 위키피디아 • 오픈소스 공간정보 • 오픈 API • 개방형 교육환경 MOOC • 개방,공유,참여에 의한 발전 - 정부3.0 출처: FabLife - デジタルファブリケ-ションから生まれる「つくりかたの未來(2012)
  • 11. 11 Industry of Open Source 출처: 국토정책(2016,국토연구원)
  • 12. 12 Education of Open Source Movement • MIT, 하버드, 스탠포드 학생 백만명 시대 - 학교가 필요 없어진다? •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호참여 적 거대규모의 교육
  • 13. 13 Government of Open Source Movement • 국가 - 개방, 공유, 참여에 의한 발전
  • 14. 14 해외 정부의 오픈소스 동향 • 미국, 영국, EU 등 정보화 선도 국가들은 전자정부의 구현, 공공정보의 개방, 클라우드 환 경구성의 기술적 통합을 위한 재료로 오픈소스SW의 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공공 부문에서의 오픈소스SW 확산 속도를 높여가고 있음. 미국의 오픈소스, 오픈 거버먼트, 클라우드 등에 대한 정 보공유채널 OSFA, GovLoop
  • 15. 15 한국의 ICT R&D 정책 • 선진국 기술의 catch-up에 중점 - 초고속정보통신망기반구축 종합계획(’95), 정보화촉진기본계획(’96) • 전략기술 중심으로 대형 국책과제 집중 투자 - Cyber Korea 21(’99), e-Korea 21(’02) • 지속성장 견인을 위한 ICT 신성장동력 선정 - IT839전략(‘04), IT839전략 기술개발 Master Plan(‘05) • ICT 융합 기술개발 중점 추진 - New IT전략(‘09), IT R&D 발전전략(’10) • C-P-N-D-S별 도전적 핵심기술 개발 - 창조경제비타민프로젝트(‘13) ’93 ~ ’97 ’98 ~ ’02 ’03 ~ ’07 ’08 ~ ’12 ’13 ~ ’17 현재 • 4차산업혁명 주도를 위한 ICT 강국실현, 공개소프트웨어 방식 연구개발 추진 국가정보화 산업육성 ICT 융합
  • 16. 16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 • 개방형 혁신은 안으로의 지식 흐름(inflow)과 밖으로의 지식 흐름(outflow)을 적절히 활 용하여 내부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혁신의 외부 활용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다. 자사의 기 술을 상업화하여 시장에 진출할 때 내부 뿐 아니라 외부 경로도 사용할 수 있고, 또 사용 해야함을 전제하는 혁신 패러다임이다. (Chesbrough 2006) • 폐쇄형 혁신 : R&D에서 수익을 얻으려면 우리 회사가 직접 발명, 개발, 판매를 모두 담 당해야 한다. • 개방형 혁신 : 외부의 R&D도 중요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 기술개발 비용증가로 외부 지식의 탐색 및 중개의 중요성 대두
  • 17. 17 대세는 오픈소스 너도 나도 오픈소스를 도입하는 이유는 영리 기업들이 수십조의 연구개발비를 들여서 도 만들지 못한 혁신을 오픈소스가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능동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총 직원 수전세계 기업 시가총액 Top10
  • 18. 18 전 산업의 오픈소스 활용 The 2014 North Bridge & Black Duck
  • 19. 19 오픈소스 철학의 핵심 참여와 공유를 통한 발전방향에 대한 믿음
  • 20. 20 현재 : 모든 사람이 오픈소스를 사랑하는 중
  • 21. 1. 오픈소스 2. 교육 환경의 변화 3. 미래교육을 돕는 오픈소스
  • 22. 22 교육과 기술의 만남 에듀테크 산업의 약진 에듀테크 분야는 전 세계 시장의 45%를 차지하는 세계 1위 산업 시장 • 미국 시장조사 업체 글로벌인더스트리애널리스츠(GIA)도 전 세계 에듀테크 시장 규모를 2017 년 2200억달러(약 246조원)에서 2020년에는 4300억달러(약 481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국내의 경우 과거 이러닝 산업을 선도했으나 현재는 에듀테크 세계시장의 5% 미만 수준 Source : http://www.home-learn.co.kr/sigongweb/newsroom/news/A/447
  • 23. 23 글로벌 경쟁 국가들의 과감한 교육 혁신 도전 ‘보편적이고 시간이 필요한 교육’ 과 ‘빠른 변화와 파괴적 혁신을 만들어내는 기술’ 의 융합 노력 • 과거 1차, 2차 산업혁명을 통해 국가의 번영 경험이 있는 영국, 프랑스 미국 등의 국가들은 창의적 인재 육 성을 위해 과감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혁신 실험을 오래전부터 시도하고 있고, 작지만 우수한 성적을 보이 고 있는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핀란드 등의 국가들 역시 미래 역량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리더십을 기 반으로 숨가쁘게 교육 혁신의 성공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 1987년 설립된 교육자치 실천 사례인 영국 샌즈스쿨, IT 기술 기반의 몬테소리 교육 형식을 도입한 네덜란 드 스티브잡스 스쿨, 칸아카데미 플랫폼 기반 하에 운영 중인 실험 학교 칸랩스쿨, 기업가 정신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몬드라곤 대학, 토론 중심의 온라인 학습과 글로벌 7개국을 기반으로 실세계 프로젝 트를 경험하는 미네르바 대학 등 혁신교육의 다양한 사례. • 학교 밖에서도 학교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프로젝트 학습 사례를 모으고 학교의 혁신을 지원하는 비아이 이(BIE), 사회정서 학습 기반의 학교혁신을 지원하는 카셀(CASEL), 킥보드(Kickboard), 꺼꾸로 학습 모형을 확산하는 에프엘글로벌(Flglobal) 등의 비영리 조직들이 운영
  • 25. 25 세대 교체 - Generation Z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능동적 문제해결, 공유와 협업이 생활, 자기주도 학습, 글로벌 친화, e포트폴리오
  • 26. 26 IT기술을 융합하는 교수학습 설계모형 - Flipped Learning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육 • 강의가 아닌 동료학습 및 협업능력 강화 • 학습동기의 극대화, 자기주도 학습능력 강화, 우수학습자 몰입 강화
  • 27. 27 수업이 게임이 되다 – Gamification 게임속에 있는 스토리, 다양한 미션, 재미 요소 등을 교육에 접목 • 플레이어들 간에 자유로운 소통을 돕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학생과 교수 간 학습과정에서 서 로의 생각을 나누며 성장시키는 과정이 있는 교육 가능 (좌)닌텐도 라보/ (우)구글 카드보드
  • 28. 28 궁금하면 직접 하버드, MIT, 스탠퍼드 강의로 공부한다 – MOOC 온라인 공개 수업 방식 • 온라인 공개 수업 수강생 간의 피드백, 상 호 채점, 협동과제 • 온라인 퀴즈와 시험의 자동화된 채점 방 식 왜 온라인 공개 수업을 제공하는가? • 온라인 공개 수업은 기존의 강좌 제공 방 식과 분명히 다르며, 강의 뿐만 아니라 학 생들이 사용한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을 모아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재가공 및 개 선이 가능한 신기술이라고 언급 (https://ko.wikipedia.org/wiki/MOOC)
  • 29. 29 글로벌 선두 IT 기업은 에듀테크 산업의 주도권 확보 노력 중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교두보는 에듀테크 산업 Google Classroom Apple Classroom Microsoft Classroom
  • 30. 30 미국 교육산업의 플랫폼 시장 현황 Source : https://www.digitalinformationworld.com/2019/03/who-is-winning-in-education-google-apple-microsoft.html
  • 31. 31 미국 교육산업 시장 현황 IT 공룡 구글은 각종 서비스와 콘텐츠를 퍼주는 대가로 유저의 신뢰를 얻은 대표적인 기업이다. 특히 교육용 소프트웨어(SW) 부문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학생이 구글 ‘익스페디션’을 활용해 증강 현실(AR)·가상현실(VR)로 박물관과 유적지 체험을 하고, ‘지스위트’(G suite)로 지메일과 캘린더 드라 이브를 이용하며, 구글 클래스룸으로 수업자료를 공유하는 데 드는 돈은 모두 합쳐 0원이다. • 사파리 몽타주(Safari Montage) 같은 교육용 SW를 전교생이 천 명인 학교가 쓰면 인당 한 달 사용료 5,000원, 일 년이면 6만 원으로 총 매년 6,000만 원의 돈이 나가지만, 구글은 천 명이든 만 명이든 공짜다. • 학교에 판매되는 구글 크롬북은 18만 원이다. 애플의 교육용 아이패드(36만 원)와 마이크로소 프트(MS) 윈도10 교육용 노트북(22만 원)보다 저렴하다. 싼 게 비지떡일 것 같지만 각종 구글 앱과 교육 SW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스펙은 갖췄다. 가성비가 뛰어난 셈이다. 덕분에 크롬북은 각국 교육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특히 미국 초중고 교육시장 점유율은 58% 로 단연 압도적이다. MS(22%)와 애플(12%)의 점유율을 다 합쳐도 구글 하나를 못 넘는다.
  • 32. 32 Chromebook • 크롬북은 공유개방형 웹브라우저와 플랫폼, HW의 결합과 구글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많은 장점을 제 공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인터넷과 교육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음 • 공유와 개방을 표방하지만 결국 구글과 크롬북이라는 또 다른 독점적 상업플랫폼이 될 수 있음
  • 33. 1. 오픈소스 2. 교육 환경의 변화 3. 미래교육을 돕는 오픈소스
  • 34. 34 함께 생각해보기 • 전 세계가 에듀테크 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융합의 최적점을 찾아내는 노력 중 • Z세대 학생에 맞는 교육 혁신 • 교수법 또한 What 에 대한 교육은 IT기술(YouTube, Alexa 등)로 대체하고 How, Why에 대한 교육으로 변화 중 • IT 공룡들이 교육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 중인 이유는? • 구글의 크롬북은 어떻게 미국시장을 차지했을까? • 아이패드는 왜 스마트 키보드를 출시했을까? 미래에도 키보드는 중요한 입력 장치일까?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교육을 위해 필요한 플랫폼은?
  • 35. 35 교육용 디바이스 부문 갤럭시탭, 아이패드, 노트북, 크롬북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존재하지만 점차 사용과 관리가 편한 기기로 시장이 집중되는 경향 • 가상 키보드 보다는 물리적 키보드가 있는 것이 다양한 활용 가능 • 클라우드 기반의 계정관리를 통한 사용자 데이터 복원 • 모든 데이터는 삭제하지 않는 한 보관이 영구적이며, 데이터 제한이 없다. • 화면잠금장치(Lock in mode)를 통해 현장 온라인 시험을 볼 수 있는 기능 • 개별 학생의 앱(Applications)을 통제할 수 있어 교사의 통제권이 자연 강화된다. • 프로그램들은 더 이상 오프라인 기반 하드드라이브에 저장되는 것이 아닌 클라우드 링크로 바 로 돌아가는 시스템. 컴퓨터 하드드라이브에서 소프트웨어 충돌 문제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걱정이 사라지는 것
  • 36. 36 애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 부문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제공이 쉬운 환경 조성 •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디지털 교수도구들과 상호호환성을 보장해야 함 • 누구나 교육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도구의 공급 •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과정과 결과를 보존하는 e포트폴리오의 신뢰성 강화 • 인공지능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SDK 또는 OPEN API • 교사의 업무를 자동화 기술로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서비스 • Edge AI 기술적용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 37. 37 교육 플랫폼 부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교육 플랫폼 생태계 필요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메이저 회사부터 중소 에듀테크 앱까지 자체 생태계로 영역을 확장· 지속하려 해 왔으며 지나치게 폐쇄적인 생태계와 디지털 독과점을 자행 • 클라우드 시대에서 더 이상의 시장 확장과 지속성 유지를 힘들게 하고 있음 • 종국에는 사용자들 스스로 기존의 오프라인 툴과 연계성이 너무나 불편하다는 것을 자연스레 알게 되어 기기 뿐만 아니라 플랫폼까지도 갈아타는 중. • UI(사용자환경) 측면에서 동시성과 연계성을 지녀야 그 범용성은 인정되고 편리한 사용 가능 • 인공지능이 활약하기 위해서는 더욱 편리하고 쉽게 빅데이터를 가용할 수 있는 플랫폼의 주도 가 필요
  • 38. 38 OS 분야 기술 동향 • 미국이 PC분야의 MS, 모바일OS 분야의 구글/애플, 개방형 OS분야의 리눅스, RTOS 분야 의 WindRiver 등 전 분야에 걸쳐 기술을 선도하고 확고한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음. • 원천기술에서는 러시아가 운영체제 분야의 미국과 비슷한 기술을 보유 • 자체 운영체제를 가지고 10억 인구를 소화해내는 클러스터 시스템과 모바일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도 기술수준이 빠르게 성장하였음 • 유럽은 오픈소스 커뮤니티나 리눅스를 만들었기 때문에 사업화의 잠재력 매우 큼 상대수준(100%) 시스템SW 운영체제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77.8 100 78.6 78.2 81.8 출처 : 2017 ICT 기술수준조사
  • 39. 39 OS 분야 기술 동향  미국 • SW 분야의 시가 총액 1위부터 10위 까지를 미국이 모두 장악하고 있으며, 원천기술도 많이 확보 중이며 기업용 SW 시장을 기술적으로 선도하는 Major 업체(MS, IBM, Oracle, Salesforce.com)들이 대부분 미국 기업임 • 미국은 메인 프레임, 워크스테이션, PC, 모바일, IoT 등 현존하는 하드웨어를 다루기 위하여 다양한 운영체제를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함으로써, 학문적으로나, 상업적으로나 큰 성공을 거 두었음 • 현재는 운영체제 자체는 이익이 되지 않지만 이를 근간으로 하는 2차 상업화에 경쟁력을 유 지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도 막대한 자원과 인력을 투여하여 그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 력함 • 구글, 아마존 등의 클라우드 기반의 대용량 스토리지, 산업용 플래시 파일시스템은 오픈소스 를 중심으로 미국이 지속적으로 주도
  • 40. 40 OS 분야 기술 동향  중국 • 중국 SW 개발의 방향성은 한마디로 ‘탈미국’ 으로 표현할 수 있음. 이를 모토로 자본을 투자 하고 시장을 만들어가고 있어 중국의 10년 후 발전된 모습이 기대됨 • 논문저널시장에서도 중국 논문이 반 이상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연구와 대학 투자가 활발하 며, 이는 인재 양성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 • 시스템 SW나 음성인식기술의 응용 단에서는 조만간 시장지배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됨. 중국 은 미국보다 현재는 기술력이 낮지만 빠른 속도로 1위국을 추격중임
  • 41. 41 OS 분야 기술 동향  유럽 • 기술수준변화 속도는 빠르지 않지만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을 중심 으로 관련기술이 파급되고 있음 • 독일을 중심으로 4차산업혁명 관련 최신 SW기술을 제조업(스마트 제조분야)에 활용하면서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음 • 환경 산업, 에너지 절약, 재활용 관련 최적화 솔루션들이 굉장히 많음 • 특히 아일랜드는 MS, IBM, Intel, Google 등 400여개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업이 활동 중이 며, IBM의 Smarter Cities Technology Centre, NUI Maynooth 대학의 Dublinked Initiative 등 정보분석(data analytics) 분야 등 다양한 ICT 프로젝트가 진행중 • 아일랜드는 EU 회원국 중 △산업 R&D 투자규모 10위, △ 산업 R&D 성장률(13.3%) 3위국 출처 : EU집행위, EU R&D Scoreboard-The 2012 EU Industrial R&D Investment Scoreboard(2012.12월)
  • 42. 42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중인 개방형 OS 용도 배포판 명 서버, 웍스테이션 CentOS, ClearOS, Debian, Novell Open Enterprise Server, Oracle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일반 데스크톱 Arch Linux, Bodhi Linux, Debian, Deepin, Elementary OS, Fedora, Gentoo Linux, HamoniKR Linux, Linux Mint, Mandriva Linux, Manjaro Linux, openSUSE, PCLinuxOS, Salix OS, Slackwa re, Zorin OS 일반사용자, 학교 Antergos, Debian Edu, Univention Corporate Server 저사양 하드웨어 ALT Linux, Kali Linux 공공기관 Canaima(Government of Venezuela) 보안감사, 포렌식 Alpine Linux, Pentoo, Grml 웹 어플리케이션 Chrome OS, webOS 무설치, 초경량 Damn Small Linux, Knoppix, Porteus, Puppy Linux, Slax, Tiny Core Linux 임베디드 ELinOS, Emdebian Grip 키오스크, 디지털사이니지 Webconverger, Instant WebKiosk 게임, 멀티미디어 SteamOS, SparkyLinux, Musix GNU+Linux, Kodibuntu
  • 43. 개발업체에서 OS를 완전히 소유/통제하며 사용하 려면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 는 OS 누구든지 소스를 받아 자유롭게 수정, 배포, 판매 가 가능한 OS 폐쇄형 OS 개방형 OS 다른 계통의 소프트웨어나 기술을 허용하지 않고 최적화된 소프트웨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 성과 최적화면에서 우수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시리즈와 윈도 모바일, 애플의 iOS 와 아이폰 OS, 블랙베리 OS, 티맥스 OS 등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너무 많은 다 양성을 수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혼란과 불편 함을 초래할 가능성 보유 구글 안드로이드 OS, 수세, 페도라, 우분투, 하모 니카 등 43 개방형 OS
  • 44. 44 제3자 제공 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데스크톱 환경 운영체제 커널 https://www.kernel.org/ 어떤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하는가?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어떻 게 제공하는가? 지원되는 제3자 제공 프로그램들은 무 엇인가? HamoniK R 개방형 OS의 구성요소
  • 45. 45 제3자 제공 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데스크톱 환경 운영체제 커널 https://www.kernel.org/ HamoniK R 개방형 OS의 지배구조 GNOME / Cinnamon / KDE Plasma / MATE / Unity 커뮤니티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 커뮤니티 제공되는 프로그램 제조사
  • 46. 46 전 세계 국가별 개방형 OS 현황 미국 Fedora 독일 OpenSUSE 인도 BOSS 중국 Kylin 러시아 Astra 일본 Turbo 북한 붉은별 한국 하모니카
  • 47. 47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공개소프트웨어는 기술의 특성상 커뮤니티의 지속성이 가 장 중요한 요소이며, 자사는 국내에서 일반 사용자가 활용 할 수 있는 공개소프트웨어 커뮤니티가 유지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커뮤니티 전담관리 인력을 배정하여 운영 중 이며, 하모니카 커뮤니티(https://hamonikr.org/)는 월간 평 균 방문자 1만3천명 이상이 이용하고 있음
  • 48. 48 개방형OS 하모니카 기술 아키텍처 Linux Kernel 4.15 (LTS) CORE 보안 네트워크 접근성 국제화 계정 그래픽 통신 멀티미디어 스토리지 전역설정 Input Methods Policy Mgmt. Indicators Notification Touch 런처 바탕화면 패널 Theme 소프트웨어관리DESKTOP PLATFORM GTK+ QT XUL HTML5 Python C C++ JavaScript Java QML Vala C#LANGUAGES APPLICATIONS Ubuntu Apps Linux Mint Apps HamoniKR Apps 오피스 그래픽 멀티미디어 개발도구 유틸리티
  • 51. 51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 운영체제를 보호하는 강력한 3단계 풀스택 보안기술 적용 • 커널 보안, 응용프로그램 보안, 사용자 보안 레이어 보안 기술 적용 커널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암호화된 저장공간, USB 보안 프로그램, 개인방화벽, 바이러스 백신 커널 무결성을 보증하는 Secure Channing 리눅스 보안 모듈 (LSM : Linux Security Modules)
  • 54. 54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 향상된 원격 디바이스 관리 및 통제 • ‘하모나이즈’ 솔루션을 통해 하모니카OS 사용자에 대한 자산관리, 보안관리, 사용자 관리, 활 동감사, 원격제어 등을 수행
  • 58. 58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 제품의 지속성을 보장하는 오픈소스 커뮤니티 기반 보유 하모니카 커뮤니티 https://github.com/hamonikr https://hamonikr.org/https://oss.hamonikr.org/ 하모니카 Offcial Website 하모니카 패키지 저장소(launchpad) https://launchpad.net/hamonikr 하모니카 소스코드 저장소(Github) HamoniKR
  • 59. 59
  • 60. 60
  • 61. 61 오픈소스 프로젝트 - 개방형 OS 하모니카
  • 62. 62 개방형OS 하모니카의 에듀테크 활용 • 다양한 IT환경을 활용할 수 있는 장치 호환성 제공(63종 데스크탑, 160종 노트북 지원) • 키보드 및 음성인식 입력 인터페이스 지원 • 개인별 데이터 저장 공간 제공(보관하는 데이터에 대한 강력한 보안 기술 포함) • 다양한 방식의 교육 콘텐츠 활용을 위한 드라이버 지원 • 교육 콘텐츠 제작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편집 및 관리 도구 지원 • 쉬운 장치관리를 위한 사용자별 환경 백업 및 복구 기능 • 디바이스 보급에 소요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비용 최소화 • 인공지능 기반 기술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위한 프레임워크 내장 • 누구나 데이터를 활용한 제 3자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Open API 제공
  • 63. 교사와 학생의 미래교육을 돕는 에듀테크 플랫폼 개방형OS 하모니카 프로젝트 리더 김형채 / hckim@invesume.com / 010-3838-8378 국내 G-Suite for Education 사용현황(2019.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