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건강기능식품학
질환별 건강기능식품-고혈압


경남과기대 농학한약자원학부
고혈압이란




   심장박동 사이에 심장은 이완되며 혈압은
    떨어진다. 가장 압력이 낮을 때는 확장기 혈
    압으로 알려진다. 정상혈압은 성인의 경우
    120 (수축기)/80 (이완기)로 알려진다. 고
    혈압은 여러 다른 등급으로 나누어진다
고혈압의 분류
① 일차성 고혈압(본태성 고혈압, 원발성 고혈압)
 원인을 설명하기 어렵다.
  고혈압은 유전적 소인, 식이 등 생활습관, 심리적∙환경적 요인 등 다양
  한 요인들과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직접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는 드물다. 전체 고혈압 환자의 95% 정도가 이와 같이 원인
  을 설명하기 어려운 일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② 이차성 고혈압(속발성 고혈압)
 확인된 다른 특정 질환으로 인하여 혈압이 높아진 경우.
 이 경우 원인을 제거하면 혈압을 낮출 수 있고 비교적 젊은 나이에 나타
  난 고혈압에서 그 빈도가 높다.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질환으로는 신장
  질환(만성 신우신염, 급성 및 만성 사구체신염), 내분비 질환(갑상선
  기능항진증, 갈색종, 말단비대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신경계 질환
  (다발성신경염), 심혈관계 질환(대동맥 협착), 약물복용(과음), 급성
  스트레스, 기타(납중독 등) 등이있다.
질환의 증상과 증후
 검사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상을
  인지할 수 없음.
 고혈압 자각 증상 의 예

■ 두통, 나른함, 정신착란
■ 손발 저림, 마비증상
■ 토혈, 비강출혈
■ 숨 가쁨
관련질환
■ 동맥 경화증: 동맥의 건강은 임상적으로 정상혈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동맥이 콜레스테롤 운
  반 플라그의 축적에 의한 경화로 혈압은 상승한다.

■ 알코올중독: 과도한 음주는 혈당의 급격한 상승과
  활성산소의 생성을 증가시켜 대동맥에 손상을 준
  다. 게다가 알코올중독자는 심혈관 건강에 필수적
  인 비타민과 미네랄의 부족을 야기한다.

■ 신장질환: 신장은 체액정화작용을 하며 신장이 정상
  적인 작용을 하지 못할 경우 결국 혈압은 상승하게
  된다.
생활요인
■ 비만: 과도한 혈당은 동맥에 손상을 준다. 높은 콜레스테롤과 동
  맥경화는 비만한 사람들에게 항상 수반되는 일반적인 증상임

■ 좌식생활 : 의자에 앉아있는 것이 서있는 것보다 8배나 높은 심
  장마비나 발작의 위험도가 높다는 연구가 알려졌다. 앉아서 근
  무하는 사람의 경우 1시간 운동 시, 2시간의 수명이 증가한다고
  추정함.
■ 스트레스: 스트레스 속에서는 동맥경화가 심해지거나 마그네슘
  의 농도가 낮아지는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마그네슘
  은 자연적인 이완제로서 혈관벽의 확장의 원인이 되고, 칼륨과
  함께 세포 밖으로 나트륨을 퍼내는 펌프작용을 한다. 세포내에
  서 과도한 나트륨은 혈압의 상승의 원인이 된다.

■ 흡연: 미국 외과 의사들에 따르면, “흡연은 심장의 관상동맥질환
  에 가장 심각한 위험 인자로 판단된다.”고 한다
식이 요인
   커피 caffeine 알코올의 섭취
   낮은 칼륨/나트륨 비율: 식이 칼륨의 감소와 연결되는 과도한
    식이 염분의 소비는 특히 염분에 예민한 사람에게서 일반적으
    로 고혈압에 원인이 된다.
-   칼륨: 나트륨의 섭취 비율이 2:1 가 평균이나 실제로는 1:5 로 현
    재에 비해 칼륨의 섭취비율이 10배 증가해야 된다고 알려져 있
    다.
-   낮은 섬유질, 고당분 식이: 과도한 혈당은 동맥 혈관벽에 손상
    의 원인이 되며 섬유질 섭취가 적은 것도 동맥경화와 연결된다.
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C 부족한 식이: 임상시험에서 칼슘, 마
    그네슘과 비타민 C 부족이 혈압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높은 포화 지방산 식이 : 포화지방산 섭취와 콜레스테롤수치 상
    승과 동맥경화와 직결되어 있다.
   필수 지방산의 낮은 섭취: 임상실험결과 식물종자유 또는 생선
    에서 추출한 오메가-3 기름을 섭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
    에 비해서 심혈관계 질환의 이환율이 낮았다고 전한다.
고혈압 위험인자
   유전적 요인: 고혈압, 발작, 심장마비 등의 가족력.
   피임약, 스테로이드(steroids), 식욕 억제제의 복용:
    이런 약들은 물질대사를 변화시켜 고혈압을 촉진시킨
    다.

   연수(軟水) :연수는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적다. 이들
    두 미네랄은 고혈압으로부터 보호를 하는 역할을 하는
    데 (日)오까야마대학조사에서 수질이 경수인 지역에서
    는 뇌졸중이 나 고혈압이 적고, 반대로 연수인 지역에서
    는 고혈압 환자가 많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또 칼슘과 마그네슘의 균형이 맞지않으면 근육의 수축
    의 문제로 쥐가 나거나 다리가 저리거나 하는 문제 야기
예방,관리방법
   금연- 흡연은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의 정도를 악화시킴
   체중 조절-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간접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므
    로 약간 땀이 베일 정도의 가벼운 운동을 지속적∙규칙적으로 하는 것
    이 효과가 있다. 30분씩 일주일에 최소 3회 운동. 계속적인 유산소 운
    동 프로그램은 필수적이다. 지속적인 걷기운동을 추천한다.

   술(알코올), 커피의 섭취 최소화- 알코올 양을 기준으로 하루에 20ml
    이하가 적정수준으로 권고되는데 이것은 대략 소주 2잔, 맥주 한
    병, 양주 한 잔 정도.
   식이제한- 가공되지 않은, 유기농산물(과일, 야채, 곡물 등)의 섭취권
    장

   염분섭취제한- 일반적으로 권고되는 일일 4~6gm 이하로 염분섭취를
    줄이려면 소금을 거의 먹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주의해야.

   화를 통제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야 된다.
증상별 약물요법
1) Mild hypertension (140–160/90–104)
 만약, 식이와 lifestyle이 경증 고혈압에 권장하는 데로 바꾸면
   된다. 3-6개월 뒤에 혈압이 정상으로 되돌아가지 않으면 비약물
   요법에 대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
2)Moderate hypertension (140–180/105–114)
 만약 중등 고혈압에 권장하는 대로 하여도 1-3개월 뒤에 혈압이
   140/105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전문가와 조언을 구하고 최대한
   신속히 의료방법에 대하여 선택하라. 만약 약 처방이 필요하다
   면, 가장 안전한 calcium channel blocker나 ACE 저해제로 선택
   하여 복용하라.
3)Severe hypertension (160+/115+)
 즉시 의사와 상담해라. 혈압조절을 위해 의사처방약을 반드시
   복용하여 고혈압에 대한 만족스런 조절이 될 때까지 의사의 지
   시를 따르라.
식이요법
   채소류 섭취의 증가 ,녹색 채소의 섭취 증가: 칼슘과 마그네슘이 풍부
    하여 혈압관리.
    콩, 곡물류 섭취 증가: 높은 섬유질 식이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
    다.
    감귤류 과일, 브로콜리의 섭취 증가: 이 음식들은 vitamin C가 풍부하
    다. 역학조사와 임상연구에서 vitamin C의 섭취가 높은 군이, 혈압은
    더 낮다는 것이 보여 지고 있다.
    매일 샐러리 4줄기 섭취: 샐러리에 함유된 3-n-butyl phthalide 가 혈
    압을 낮춘다. 혈압 12–14%,감소 , 콜레스테롤이 7% 감소
    양파, 마늘의 고른 섭취: 양파와 마늘의 sulfur-containing
    compounds는 고혈압의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졌다.
    포화 지방산을 피하라. 육가공제품 및 마가린과 같이 트랜스 지방산
    을 포함하는 가공식품 등- 가공식품은 탄수화물로 정의되어지는 설탕
    의 구성성분들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과 비
    만, 당뇨의 위험도를 높인다.
    omega-3 필수지방산의 섭취 증가 1일 1회 1큰술의 아마씨유
    (flaxseed oil)를 복용하거나 1주일에 3회 이상의 110g 이상의 등푸른
    생선을 복용할 경우 필수지방산 섭취를 하게 되어 다양한 심혈관질환
    예방
건강기능식품으로 관리법
  경증 고혈압 (140–160/90–104):일 경우
■ 복합비타민과 미네랄복용
■ 오메가(omega)-3 필수지방산 (아마씨유: flaxseed oil): 1일 1회, 1
   회 1큰술
■ magnesium citrate or aspartate: 1일 800–1,200 mg 복용
■ vitamin C: 1일 3회, 1회 500–1,000 mg 복용
■ vitamin E: 1일 1회 400–800 IU 복용
■ 생마늘: 1일 1회 4g
 중간 정도의 고혈압 (140–180/105–114): 위에서 언급한 기능
   식품에 추가적으로 복용.
■ coenzyme Q10: 1일 2-3회의 50 mg 복용
■ 산사추출물 (10% procyanidins 또는 1.8% vitexin-4′-
   rhamnoside): 1일 3회 100–250 mg 복용
건강보조식품-비타민,필수지방산
   ■높은 영향력 있는 복합 비타민과 미네랄 공급: 이것은 400g의
    엽산, 400g의 비타민 B12와 50~100mg의 비타민 B6를 함유해
    야한다. 매일 복합 비타민과 미네랄을 공급하는 것은 개인적인
    건강 프로모션 프로그램을 확립하는 기초 역할을 한다.
   ■ Omega-3 필수 지방산: 60개 이상의 이중 맹검 실험결과에
    따르면 오메가(omega)-3의 가장 중요한 원천인 생선유의 공급
    또는 아마씨유(Flaxseeds oil) 공급이 혈압을 낮출 때 매우 효과
    적이다. 생선유보다 아마씨유가 혈압강하에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더 적은 용량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는 포화 지방의 섭취량을 줄이면서, 1일 1회 1큰술의 아마씨유
    의 복용으로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9mmHg까지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   ■ 복용량: 아마씨유(flaxseed oil): 1일 1회. 1회 1큰술
칼륨과 고혈압
■ 칼륨:  몇몇 연구는 칼륨의 공급은 고혈압 주제에서 혈압을 상당히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구들은 2.5~5.0g의 칼륨을 투약하였다. 상당량이 심장 수축과 이
    완에 모두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에서 칼륨 공급은 수축 혈압을 평균 12mmHg, 이완 혈압은 평균 16mmHg 낮춘다.
    칼륨 공급은 특히 혈압약이 종종 제대로 작용하지 않는 65세 이상의 사람의 심각한 고혈압
    의 치료약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한 이중 맹검법의 연구를 살펴보면 평균 75세 이상의 수
    축 혈압이 160mmHg이상, 이완 혈압이 95mmHg이상인 KCL (칼륨2.5g공급됨)을 4주 동안
    공급 받았던 18명의 환자를 통하여 연구하였는데 결과는 수축기 혈압 12mmHg, 이완기 혈
    압 7mmHg가 낮아졌다. 이 결과는 부정적 부작용이 없는 약물 요법이다.

   복용금기: Digitalis(강심제), 이뇨제 와 혈압강하제중 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저해제 종류의 약이 포함된 약사의 처방약을 복용 시 칼륨 공급은 절대 금한다.
   신장질환자는 마그네슘과 칼륨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   (과다복용의 경우)음식이나 칼륨 함유 음식을 통해 이미 체내에 칼륨 섭취 요구량에 도달
    한 경우, 약을 통해 칼륨을 복용하면 메스꺼움, 구토, 설사, 궤양 등이 과다 투여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식이를 통해서만 증가하였을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마그네슘과 고혈압
   마그네슘: 칼륨과 함께 상호 작용하고 세포 안에 칼륨과
    함께 집중한다. 연구들은 낮은 세포 간의 칼륨 함유량은
    마그네슘의 함유가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한다.
   임상실험결과 마그네슘의 높은 섭취가 혈압을 낮추는
    것에 연관이 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시한다.
   경수(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물)과 고혈압 사이의 역 상
    호관계를 증명하고 있다.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은 물이
    있는 곳에서 고혈압과 심장병에 걸린 경우가 드물었다.
   식이요법 연구에서도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은 경우 혈
    압이 낮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   투여량: 마그네슘 1일 1회 800–1,200 mg
비타민과 고혈압
  Vitamin C: 비타민 C의 섭취량이 높으면 혈압이
  낮아진다
투여량: 비타민C 1일 1,000–2,000 mg (2회에 나눠서
  복용가능)
 Vitamin E: 모든 the antioxidants, the fat-soluble
  antioxidant, vitamin E은 동맥이 경화되는것을 예
  방하는 첩경. - 비타민 E는 LDL peroxidation의 감
  소뿐만 아니라 plasma LDL의 파손을 증가시킨다.
  과도한 혈소판을 제제하고, HDL과 cholesterol
  levels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fibrin의 파손과 clot-
  forming protein을 증가시킨다.
 투여량: 400–800 IU mixed tocopherols 1일 1회
Coenzyme Q10과 고혈압
 Coenzyme Q10: CoQ10 은 세포내에서 에너
  지를 만들어내는 미토콘드리아의 필수 요소이
  다.-CoQ10 체내에서만 합성될 수 있음에도 고
  혈압을 가진 환자의 39%에서 결핍이 관찰된
  다.
 4-12주 복용해야 효과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CoQ10 은 고혈압 환자의 10%에서 즉시 혈압
  을 낮추는 효과가 관찰된다.
 원인 (1)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2) 항산화효과
  로 인해 동맥경화 예방의 효과를 가진다.
 투여량: 1일 2-4회, 1회 50 mg.
비타민 B군과 고혈압
   Vitamin B6: B6 은 혈압을 내리는 방법에서 신경계
    에 영향을 준다. vitamin B6 공급은 수축기와 이완
    기 혈압을 감소시키는데 스트레스 유도와 관련된 호
    르몬인, norepinephrine (noradrenaline)의 혈중 농
    도 만큼 중요한 결과를 가져온다..
   B6 는 4주간의 복용으로 수축기 혈압을 167 to 153
    mmHg 로 감소시키거나 이완기 혈압을 108 에서
    98 mmHg로 감소시키는 효과와 같은 커다란 임상
    적 의미를 가져올 수 있다.
   투여량: 4주간 매일 체중을 고려하여 5 mg/kg을 복
    용 (예. 체중 60kg 일때 300mg 복용)
생약과 고혈압
   마늘: 매일 최소한 10 mg의 alliin이나 전체적으로
    allicin potential of 4,000 μg을 제공하는 상용품의 경우
    수축기 혈압을 8–11 mmHg 이완기 혈압을 5–8mmHg
    정도 1-3달안에 떨어뜨리는 효과를 보인다.
    투여량: 1일 1회 4g 의 생마늘 복용
    산사자 (hawthorn): 산사나무의 추출물이 의사들에
    의해 널리 사용된 유럽에서의 연구에 의하면 산사나무
    추출물은 혈압을 낮추고 심기능 향상의 효과가 증명되
    었다.산사가 효과를 보기 시작할 때까지 대개 2–4주가
    필요하고 혈압을 내리는 효과는 완만하다.
   투여량: 1일 2회 1회 산사추출물 100~250mg 복용 (추출
    물내에 10% procyanidins 또는 1.8% vitexin-4′-
    rhamnoside 함유됨을 가정)
식품과 약물상호작용
 산사자 추출물과 digitalis와의 병용투여에서
  산사추출물은 디기탈리스의 강심작용을 강화
  시킨다.
 청어나 바나나, 맥주, 치즈, 누에콩, 와
  인, 간, 효모제품 등의 ‘티라민(tyramine)’이라
  는 성분이 들어 있는 음식물은 MAO저해제가
  주성분인 고혈압 치료제 파르길린(유토닐)의
  작용을 억제시키므로 파르길린을 복용하는 고
  혈압환자는 이러한 음식을 먹지 않도록 주의해
  야 한다.
고혈압과 건강기능식품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건강식품4강

Ripitor(1)
Ripitor(1)Ripitor(1)
Ripitor(1)
seungjunej
 
Ripitor(1)
Ripitor(1)Ripitor(1)
Ripitor(1)
seungjunej
 
진료지침 5판 2부_당뇨병의 관리
진료지침 5판 2부_당뇨병의 관리진료지침 5판 2부_당뇨병의 관리
진료지침 5판 2부_당뇨병의 관리
봉조 김
 
유방암 환우를 위한 에코밥상 (2012)
유방암 환우를 위한 에코밥상 (2012)유방암 환우를 위한 에코밥상 (2012)
유방암 환우를 위한 에코밥상 (2012)
여성환경연대
 
Actos 20071375 차신영
Actos 20071375 차신영Actos 20071375 차신영
Actos 20071375 차신영
shinyoung722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mothersafe
 
파마넥스 전체품 총론 Ver.2
파마넥스 전체품 총론   Ver.2파마넥스 전체품 총론   Ver.2
파마넥스 전체품 총론 Ver.2
DonghaHan
 
임산부 영양상담
임산부 영양상담임산부 영양상담
임산부 영양상담
mothersafe
 
임신기 영양관리
임신기 영양관리임신기 영양관리
임신기 영양관리handawoori
 
Random 101013030411-phpapp01
Random 101013030411-phpapp01Random 101013030411-phpapp01
Random 101013030411-phpapp01kimbyoungki
 
2013 제 2 형 당뇨병 - 진료지침 5판 1부_총론
2013 제 2 형 당뇨병 - 진료지침 5판 1부_총론2013 제 2 형 당뇨병 - 진료지침 5판 1부_총론
2013 제 2 형 당뇨병 - 진료지침 5판 1부_총론봉조 김
 
(마더세이프라운드) 임신부 영양상담, maternal nutrition
(마더세이프라운드) 임신부 영양상담, maternal nutrition(마더세이프라운드) 임신부 영양상담, maternal nutrition
(마더세이프라운드) 임신부 영양상담, maternal nutrition
mothersafe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 mothersafe
 
유기화학 과제2
유기화학 과제2유기화학 과제2
유기화학 과제2HyunHae.Cho
 
Lotrel
LotrelLotrel
Lotrel
dunb27
 
고혈압
고혈압고혈압
고혈압
changhyuns
 
Choisongchul 강의요약
Choisongchul 강의요약Choisongchul 강의요약
Choisongchul 강의요약handawoori
 
우리몸을 지키는 항산화영양소 V2.0 20160601
우리몸을 지키는 항산화영양소 V2.0 20160601우리몸을 지키는 항산화영양소 V2.0 20160601
우리몸을 지키는 항산화영양소 V2.0 20160601
Jaerim Song
 
안성병원 당뇨교실(2009 01 13)
안성병원 당뇨교실(2009 01 13)안성병원 당뇨교실(2009 01 13)
안성병원 당뇨교실(2009 01 13)Daehoon Song
 

Similar to 건강식품4강 (20)

Ripitor(1)
Ripitor(1)Ripitor(1)
Ripitor(1)
 
Ripitor(1)
Ripitor(1)Ripitor(1)
Ripitor(1)
 
진료지침 5판 2부_당뇨병의 관리
진료지침 5판 2부_당뇨병의 관리진료지침 5판 2부_당뇨병의 관리
진료지침 5판 2부_당뇨병의 관리
 
유방암 환우를 위한 에코밥상 (2012)
유방암 환우를 위한 에코밥상 (2012)유방암 환우를 위한 에코밥상 (2012)
유방암 환우를 위한 에코밥상 (2012)
 
Actos 20071375 차신영
Actos 20071375 차신영Actos 20071375 차신영
Actos 20071375 차신영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
 
파마넥스 전체품 총론 Ver.2
파마넥스 전체품 총론   Ver.2파마넥스 전체품 총론   Ver.2
파마넥스 전체품 총론 Ver.2
 
임산부 영양상담
임산부 영양상담임산부 영양상담
임산부 영양상담
 
임신기 영양관리
임신기 영양관리임신기 영양관리
임신기 영양관리
 
Random 101013030411-phpapp01
Random 101013030411-phpapp01Random 101013030411-phpapp01
Random 101013030411-phpapp01
 
2013 제 2 형 당뇨병 - 진료지침 5판 1부_총론
2013 제 2 형 당뇨병 - 진료지침 5판 1부_총론2013 제 2 형 당뇨병 - 진료지침 5판 1부_총론
2013 제 2 형 당뇨병 - 진료지침 5판 1부_총론
 
(마더세이프라운드) 임신부 영양상담, maternal nutrition
(마더세이프라운드) 임신부 영양상담, maternal nutrition(마더세이프라운드) 임신부 영양상담, maternal nutrition
(마더세이프라운드) 임신부 영양상담,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
Maternal Nutrition
 
유기화학 과제2
유기화학 과제2유기화학 과제2
유기화학 과제2
 
Lotrel
LotrelLotrel
Lotrel
 
옵티마이저
옵티마이저옵티마이저
옵티마이저
 
고혈압
고혈압고혈압
고혈압
 
Choisongchul 강의요약
Choisongchul 강의요약Choisongchul 강의요약
Choisongchul 강의요약
 
우리몸을 지키는 항산화영양소 V2.0 20160601
우리몸을 지키는 항산화영양소 V2.0 20160601우리몸을 지키는 항산화영양소 V2.0 20160601
우리몸을 지키는 항산화영양소 V2.0 20160601
 
안성병원 당뇨교실(2009 01 13)
안성병원 당뇨교실(2009 01 13)안성병원 당뇨교실(2009 01 13)
안성병원 당뇨교실(2009 01 13)
 

More from Yong-wook Shin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Yong-wook Shin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Yong-wook Shin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8강[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8강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7강[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7강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Yong-wook Shin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Yong-wook Shin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Yong-wook Shin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Yong-wook Shin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Yong-wook Shin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Yong-wook Shin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Yong-wook Shin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Yong-wook Shin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Yong-wook Shin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Yong-wook Shin
 
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Yong-wook Shin
 

More from Yong-wook Shin (20)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3] 과실류 02 지각-치자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2] 종자류 02 차전자, 과실류01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포제학5강01] 종자류 01 결명자-육두구
 
[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8강[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8강
 
[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7강[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7강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6강 씨,열매-2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제5강-씨,열매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4강 -근경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제3강 초본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용어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2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한약감정학]1강 한약재 관능검사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3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 근 및 근경02 백출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4강]근(根) 및 근경01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3강]02-포제의 약능에의 영향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강의]3강-01포제법의 활용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3중국 및 대만사례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2강]02약재가공과 벤조피렌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포제학 2강]01대한민국약전
 
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Mbc 시민교양강좌
Mbc 시민교양강좌
 

건강식품4강

  • 2. 고혈압이란  심장박동 사이에 심장은 이완되며 혈압은 떨어진다. 가장 압력이 낮을 때는 확장기 혈 압으로 알려진다. 정상혈압은 성인의 경우 120 (수축기)/80 (이완기)로 알려진다. 고 혈압은 여러 다른 등급으로 나누어진다
  • 3. 고혈압의 분류 ① 일차성 고혈압(본태성 고혈압, 원발성 고혈압)  원인을 설명하기 어렵다. 고혈압은 유전적 소인, 식이 등 생활습관, 심리적∙환경적 요인 등 다양 한 요인들과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직접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는 드물다. 전체 고혈압 환자의 95% 정도가 이와 같이 원인 을 설명하기 어려운 일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② 이차성 고혈압(속발성 고혈압)  확인된 다른 특정 질환으로 인하여 혈압이 높아진 경우. 이 경우 원인을 제거하면 혈압을 낮출 수 있고 비교적 젊은 나이에 나타 난 고혈압에서 그 빈도가 높다.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질환으로는 신장 질환(만성 신우신염, 급성 및 만성 사구체신염), 내분비 질환(갑상선 기능항진증, 갈색종, 말단비대증, 부갑상선기능항진증), 신경계 질환 (다발성신경염), 심혈관계 질환(대동맥 협착), 약물복용(과음), 급성 스트레스, 기타(납중독 등) 등이있다.
  • 4. 질환의 증상과 증후  검사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상을 인지할 수 없음.  고혈압 자각 증상 의 예 ■ 두통, 나른함, 정신착란 ■ 손발 저림, 마비증상 ■ 토혈, 비강출혈 ■ 숨 가쁨
  • 5. 관련질환 ■ 동맥 경화증: 동맥의 건강은 임상적으로 정상혈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동맥이 콜레스테롤 운 반 플라그의 축적에 의한 경화로 혈압은 상승한다. ■ 알코올중독: 과도한 음주는 혈당의 급격한 상승과 활성산소의 생성을 증가시켜 대동맥에 손상을 준 다. 게다가 알코올중독자는 심혈관 건강에 필수적 인 비타민과 미네랄의 부족을 야기한다. ■ 신장질환: 신장은 체액정화작용을 하며 신장이 정상 적인 작용을 하지 못할 경우 결국 혈압은 상승하게 된다.
  • 6. 생활요인 ■ 비만: 과도한 혈당은 동맥에 손상을 준다. 높은 콜레스테롤과 동 맥경화는 비만한 사람들에게 항상 수반되는 일반적인 증상임 ■ 좌식생활 : 의자에 앉아있는 것이 서있는 것보다 8배나 높은 심 장마비나 발작의 위험도가 높다는 연구가 알려졌다. 앉아서 근 무하는 사람의 경우 1시간 운동 시, 2시간의 수명이 증가한다고 추정함. ■ 스트레스: 스트레스 속에서는 동맥경화가 심해지거나 마그네슘 의 농도가 낮아지는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마그네슘 은 자연적인 이완제로서 혈관벽의 확장의 원인이 되고, 칼륨과 함께 세포 밖으로 나트륨을 퍼내는 펌프작용을 한다. 세포내에 서 과도한 나트륨은 혈압의 상승의 원인이 된다. ■ 흡연: 미국 외과 의사들에 따르면, “흡연은 심장의 관상동맥질환 에 가장 심각한 위험 인자로 판단된다.”고 한다
  • 7. 식이 요인  커피 caffeine 알코올의 섭취  낮은 칼륨/나트륨 비율: 식이 칼륨의 감소와 연결되는 과도한 식이 염분의 소비는 특히 염분에 예민한 사람에게서 일반적으 로 고혈압에 원인이 된다. - 칼륨: 나트륨의 섭취 비율이 2:1 가 평균이나 실제로는 1:5 로 현 재에 비해 칼륨의 섭취비율이 10배 증가해야 된다고 알려져 있 다. - 낮은 섬유질, 고당분 식이: 과도한 혈당은 동맥 혈관벽에 손상 의 원인이 되며 섬유질 섭취가 적은 것도 동맥경화와 연결된다. 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C 부족한 식이: 임상시험에서 칼슘, 마 그네슘과 비타민 C 부족이 혈압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높은 포화 지방산 식이 : 포화지방산 섭취와 콜레스테롤수치 상 승과 동맥경화와 직결되어 있다.  필수 지방산의 낮은 섭취: 임상실험결과 식물종자유 또는 생선 에서 추출한 오메가-3 기름을 섭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 에 비해서 심혈관계 질환의 이환율이 낮았다고 전한다.
  • 8. 고혈압 위험인자  유전적 요인: 고혈압, 발작, 심장마비 등의 가족력.  피임약, 스테로이드(steroids), 식욕 억제제의 복용: 이런 약들은 물질대사를 변화시켜 고혈압을 촉진시킨 다.  연수(軟水) :연수는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적다. 이들 두 미네랄은 고혈압으로부터 보호를 하는 역할을 하는 데 (日)오까야마대학조사에서 수질이 경수인 지역에서 는 뇌졸중이 나 고혈압이 적고, 반대로 연수인 지역에서 는 고혈압 환자가 많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또 칼슘과 마그네슘의 균형이 맞지않으면 근육의 수축 의 문제로 쥐가 나거나 다리가 저리거나 하는 문제 야기
  • 9. 예방,관리방법  금연- 흡연은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의 정도를 악화시킴  체중 조절-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간접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므 로 약간 땀이 베일 정도의 가벼운 운동을 지속적∙규칙적으로 하는 것 이 효과가 있다. 30분씩 일주일에 최소 3회 운동. 계속적인 유산소 운 동 프로그램은 필수적이다. 지속적인 걷기운동을 추천한다.  술(알코올), 커피의 섭취 최소화- 알코올 양을 기준으로 하루에 20ml 이하가 적정수준으로 권고되는데 이것은 대략 소주 2잔, 맥주 한 병, 양주 한 잔 정도.  식이제한- 가공되지 않은, 유기농산물(과일, 야채, 곡물 등)의 섭취권 장  염분섭취제한- 일반적으로 권고되는 일일 4~6gm 이하로 염분섭취를 줄이려면 소금을 거의 먹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주의해야.  화를 통제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야 된다.
  • 10. 증상별 약물요법 1) Mild hypertension (140–160/90–104)  만약, 식이와 lifestyle이 경증 고혈압에 권장하는 데로 바꾸면 된다. 3-6개월 뒤에 혈압이 정상으로 되돌아가지 않으면 비약물 요법에 대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다. 2)Moderate hypertension (140–180/105–114)  만약 중등 고혈압에 권장하는 대로 하여도 1-3개월 뒤에 혈압이 140/105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전문가와 조언을 구하고 최대한 신속히 의료방법에 대하여 선택하라. 만약 약 처방이 필요하다 면, 가장 안전한 calcium channel blocker나 ACE 저해제로 선택 하여 복용하라. 3)Severe hypertension (160+/115+)  즉시 의사와 상담해라. 혈압조절을 위해 의사처방약을 반드시 복용하여 고혈압에 대한 만족스런 조절이 될 때까지 의사의 지 시를 따르라.
  • 11. 식이요법  채소류 섭취의 증가 ,녹색 채소의 섭취 증가: 칼슘과 마그네슘이 풍부 하여 혈압관리.  콩, 곡물류 섭취 증가: 높은 섬유질 식이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 다.  감귤류 과일, 브로콜리의 섭취 증가: 이 음식들은 vitamin C가 풍부하 다. 역학조사와 임상연구에서 vitamin C의 섭취가 높은 군이, 혈압은 더 낮다는 것이 보여 지고 있다.  매일 샐러리 4줄기 섭취: 샐러리에 함유된 3-n-butyl phthalide 가 혈 압을 낮춘다. 혈압 12–14%,감소 , 콜레스테롤이 7% 감소  양파, 마늘의 고른 섭취: 양파와 마늘의 sulfur-containing compounds는 고혈압의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졌다.  포화 지방산을 피하라. 육가공제품 및 마가린과 같이 트랜스 지방산 을 포함하는 가공식품 등- 가공식품은 탄수화물로 정의되어지는 설탕 의 구성성분들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과 비 만, 당뇨의 위험도를 높인다.  omega-3 필수지방산의 섭취 증가 1일 1회 1큰술의 아마씨유 (flaxseed oil)를 복용하거나 1주일에 3회 이상의 110g 이상의 등푸른 생선을 복용할 경우 필수지방산 섭취를 하게 되어 다양한 심혈관질환 예방
  • 12. 건강기능식품으로 관리법  경증 고혈압 (140–160/90–104):일 경우 ■ 복합비타민과 미네랄복용 ■ 오메가(omega)-3 필수지방산 (아마씨유: flaxseed oil): 1일 1회, 1 회 1큰술 ■ magnesium citrate or aspartate: 1일 800–1,200 mg 복용 ■ vitamin C: 1일 3회, 1회 500–1,000 mg 복용 ■ vitamin E: 1일 1회 400–800 IU 복용 ■ 생마늘: 1일 1회 4g  중간 정도의 고혈압 (140–180/105–114): 위에서 언급한 기능 식품에 추가적으로 복용. ■ coenzyme Q10: 1일 2-3회의 50 mg 복용 ■ 산사추출물 (10% procyanidins 또는 1.8% vitexin-4′- rhamnoside): 1일 3회 100–250 mg 복용
  • 13. 건강보조식품-비타민,필수지방산  ■높은 영향력 있는 복합 비타민과 미네랄 공급: 이것은 400g의 엽산, 400g의 비타민 B12와 50~100mg의 비타민 B6를 함유해 야한다. 매일 복합 비타민과 미네랄을 공급하는 것은 개인적인 건강 프로모션 프로그램을 확립하는 기초 역할을 한다.  ■ Omega-3 필수 지방산: 60개 이상의 이중 맹검 실험결과에 따르면 오메가(omega)-3의 가장 중요한 원천인 생선유의 공급 또는 아마씨유(Flaxseeds oil) 공급이 혈압을 낮출 때 매우 효과 적이다. 생선유보다 아마씨유가 혈압강하에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더 적은 용량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는 포화 지방의 섭취량을 줄이면서, 1일 1회 1큰술의 아마씨유 의 복용으로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9mmHg까지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 ■ 복용량: 아마씨유(flaxseed oil): 1일 1회. 1회 1큰술
  • 14. 칼륨과 고혈압 ■ 칼륨: 몇몇 연구는 칼륨의 공급은 고혈압 주제에서 혈압을 상당히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구들은 2.5~5.0g의 칼륨을 투약하였다. 상당량이 심장 수축과 이 완에 모두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에서 칼륨 공급은 수축 혈압을 평균 12mmHg, 이완 혈압은 평균 16mmHg 낮춘다. 칼륨 공급은 특히 혈압약이 종종 제대로 작용하지 않는 65세 이상의 사람의 심각한 고혈압 의 치료약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한 이중 맹검법의 연구를 살펴보면 평균 75세 이상의 수 축 혈압이 160mmHg이상, 이완 혈압이 95mmHg이상인 KCL (칼륨2.5g공급됨)을 4주 동안 공급 받았던 18명의 환자를 통하여 연구하였는데 결과는 수축기 혈압 12mmHg, 이완기 혈 압 7mmHg가 낮아졌다. 이 결과는 부정적 부작용이 없는 약물 요법이다.  복용금기: Digitalis(강심제), 이뇨제 와 혈압강하제중 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저해제 종류의 약이 포함된 약사의 처방약을 복용 시 칼륨 공급은 절대 금한다.  신장질환자는 마그네슘과 칼륨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 (과다복용의 경우)음식이나 칼륨 함유 음식을 통해 이미 체내에 칼륨 섭취 요구량에 도달 한 경우, 약을 통해 칼륨을 복용하면 메스꺼움, 구토, 설사, 궤양 등이 과다 투여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식이를 통해서만 증가하였을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15. 마그네슘과 고혈압  마그네슘: 칼륨과 함께 상호 작용하고 세포 안에 칼륨과 함께 집중한다. 연구들은 낮은 세포 간의 칼륨 함유량은 마그네슘의 함유가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한다.  임상실험결과 마그네슘의 높은 섭취가 혈압을 낮추는 것에 연관이 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시한다.  경수(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물)과 고혈압 사이의 역 상 호관계를 증명하고 있다.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은 물이 있는 곳에서 고혈압과 심장병에 걸린 경우가 드물었다.  식이요법 연구에서도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은 경우 혈 압이 낮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 투여량: 마그네슘 1일 1회 800–1,200 mg
  • 16. 비타민과 고혈압  Vitamin C: 비타민 C의 섭취량이 높으면 혈압이 낮아진다 투여량: 비타민C 1일 1,000–2,000 mg (2회에 나눠서 복용가능)  Vitamin E: 모든 the antioxidants, the fat-soluble antioxidant, vitamin E은 동맥이 경화되는것을 예 방하는 첩경. - 비타민 E는 LDL peroxidation의 감 소뿐만 아니라 plasma LDL의 파손을 증가시킨다. 과도한 혈소판을 제제하고, HDL과 cholesterol levels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fibrin의 파손과 clot- forming protein을 증가시킨다.  투여량: 400–800 IU mixed tocopherols 1일 1회
  • 17. Coenzyme Q10과 고혈압  Coenzyme Q10: CoQ10 은 세포내에서 에너 지를 만들어내는 미토콘드리아의 필수 요소이 다.-CoQ10 체내에서만 합성될 수 있음에도 고 혈압을 가진 환자의 39%에서 결핍이 관찰된 다.  4-12주 복용해야 효과가 나타나기는 하지만 CoQ10 은 고혈압 환자의 10%에서 즉시 혈압 을 낮추는 효과가 관찰된다.  원인 (1)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2) 항산화효과 로 인해 동맥경화 예방의 효과를 가진다.  투여량: 1일 2-4회, 1회 50 mg.
  • 18. 비타민 B군과 고혈압  Vitamin B6: B6 은 혈압을 내리는 방법에서 신경계 에 영향을 준다. vitamin B6 공급은 수축기와 이완 기 혈압을 감소시키는데 스트레스 유도와 관련된 호 르몬인, norepinephrine (noradrenaline)의 혈중 농 도 만큼 중요한 결과를 가져온다..  B6 는 4주간의 복용으로 수축기 혈압을 167 to 153 mmHg 로 감소시키거나 이완기 혈압을 108 에서 98 mmHg로 감소시키는 효과와 같은 커다란 임상 적 의미를 가져올 수 있다.  투여량: 4주간 매일 체중을 고려하여 5 mg/kg을 복 용 (예. 체중 60kg 일때 300mg 복용)
  • 19. 생약과 고혈압  마늘: 매일 최소한 10 mg의 alliin이나 전체적으로 allicin potential of 4,000 μg을 제공하는 상용품의 경우 수축기 혈압을 8–11 mmHg 이완기 혈압을 5–8mmHg 정도 1-3달안에 떨어뜨리는 효과를 보인다. 투여량: 1일 1회 4g 의 생마늘 복용  산사자 (hawthorn): 산사나무의 추출물이 의사들에 의해 널리 사용된 유럽에서의 연구에 의하면 산사나무 추출물은 혈압을 낮추고 심기능 향상의 효과가 증명되 었다.산사가 효과를 보기 시작할 때까지 대개 2–4주가 필요하고 혈압을 내리는 효과는 완만하다.  투여량: 1일 2회 1회 산사추출물 100~250mg 복용 (추출 물내에 10% procyanidins 또는 1.8% vitexin-4′- rhamnoside 함유됨을 가정)
  • 20. 식품과 약물상호작용  산사자 추출물과 digitalis와의 병용투여에서 산사추출물은 디기탈리스의 강심작용을 강화 시킨다.  청어나 바나나, 맥주, 치즈, 누에콩, 와 인, 간, 효모제품 등의 ‘티라민(tyramine)’이라 는 성분이 들어 있는 음식물은 MAO저해제가 주성분인 고혈압 치료제 파르길린(유토닐)의 작용을 억제시키므로 파르길린을 복용하는 고 혈압환자는 이러한 음식을 먹지 않도록 주의해 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