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Post
Modernism
213140025 강민지 23140009 김
CONTENTS
1. 포스트모더니즘 개념
2. 건축적 개념
3.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발생배경 및 특징
4.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 비교 표
5. 포스트모던 건축의 한계
6.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
7.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가와 건축물
8. 포스트모더니즘의 가구
9. 포스트모더니즘 스타일 영화
10. 포스트모더니즘 그 이후
Post-mordernism (1960년대~
1.개념
포스트 모더니즘을 어휘 그대로 해석하면 후기(Post) 모더니즈미다. 하지만 이것은 단어를 그대로
해석했을 뿐
실제로 포스트 모더니즘을 한마디로 요약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한 개념이
아직까지 확
실하게 서 잇지 않고 여러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의 대상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원래 포스
트 모더니즘
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일어난 미국의 문화운동에 대해 뒤 늦게 평론가들이 정과 핵실험, 그리고
산업사회가
가져온 환경파괴와 자유의 상실에 저항하는 실험이었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확산은 ‘모더니티의 위
기와 관련 되
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을 쉽게 말하자면 현재 우리를 애워싸고 있는 문화상황, 예를 들면 후기산업사회
전자 매체
시대, 후기 자본주의 사회, 정보화 사회, 컴퓨터 시대, 다국적 소비자본주의 시대 등을 포스트 모던
사회라 할
수 있고, 이에 따르는 문화 운동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2. 건축적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적 개념은 20세기 중반부터 문화, 예술 전반에 나타나기 시작한 휴머니티 회
복적인 사상
이라고 할 수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이라는 용어가 건축적 문맥으로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건축 비평가인
찰스 젠크로 (Char les Jenks) 저서 “포스트모던 건축의 언어” 에서 건축의 새로운 경향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
를 채택한 이후부터 라고 할 수 있다.
찰스 젱크스에 의하면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대중과 건축가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전통성과 현
대적 테크닉
사이를 조합을 의미하는 <이중적 코드>로 정의” 하고 있다.
그가 말한 이중적 코드라는 것은 엘리트적인 것과 대중적인 것, 새로운 것과 전통적인 것을 대립시
키는 개념을 뜻
한다.
이것은 건축이 단순한 물리적 기능을 충족만이 아닌 인간의 정서에 부합하고 도시 시각 환경에 새로
운 디자인을
전달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은 <기호 문화들> 이 만들어내는 다양성과 복
합성에서 기
반 한다는 것이다.
*찰스 젠크리 – “전통성과 현대적 테크닉 사이를 조합” (이중적 코드)
▷기호문화들이 만들어 내는 다양성과 복합성에 기반
▷엘리트 코드(Elite code)와 대중코드(Popular code)를 모두 사용하여
건물을 이중 코드화(Dual coding)하려는 건축’ 이라고 정의한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3.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발생배경 및 특징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발생배경은 196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근대건축의 지나친 기능주의추구에
반발하여 건
축형태에 시각 환경의 다양성과 인간가치에 근거한 조형철학을 탐색하게 됨으로써 발생하게 되었
다. 포스트모
더니즘 이전에는 모더니즘 건축이 지배적 이였다. 모더니즘 건축가들은 기계문명의 시대적 가치를
잘 조합해 내
어 이상적 건축을 완성시켜 나가면서 모더니즘을 전 세계에 전파시켰다.
이는 획일화된 건축물들을 도시에 양산하는 결과로 이어졌으며, 획일화된 건축에서는 색채의 다양
성, 은유, 상
징성 등의 양식은 나타나지 않았다. 단순하고 획일적인 형태에 대한 집착은 건축가의 자유로운 표
현의지를 막아
버렸고, 인간의 상상력 상실을 초래하게 되었다. 즉, 심리적, 정서적 기능이 무시 되고 물리적 기능
만을 충족시키
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렇게 기능주의의 한계에 회의를 갖게 된 건축가들은 건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보다 다원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근대 디자인 이념을 바탕으로 한 현대적 조형철학을 제시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조형철학이
곧 포스트 모
더니즘이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극단적인 장식성의 배제, 지나친 기능주의 추구에 반발
하여 건축, 예
술에 있어서 인간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운동이었으며, 모더니즘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것이 아닌, 모
더니즘에서
발달된 기술을 바탕으로 전통적이고 상징적인 양식을 참조하여 대중 감성에 부합하는 건축물을 시
도하려는 운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4.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 비교 표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5. 포스트모던 건축의 한계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도시문제에 대한 착상, 건축물에 대한 모더니즘의 비판적 견해 등을 가미해
개념의 전
환과 새로운 건축에 대한 설득력 있는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어쩐 일인지 포스트모던 건
축은 높이 날
아 오르기도 전에 추락하고 말았다. 그 추락의 원인을 이론의 취약성이라는 내적인 한계에서 찾아
보기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근대건축을 이런저런 각도에서 비판했으나 새로운 건축이 가야 할 뚜렷한
방향성, 곧 정
립 된 이론적 틀과 미학적 당위성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비판을 넘어 (새로운) 생성의 이론으로
정립되지 못한
포스트모던 건축이 한 시대를 이끌어갈 사조로 자리 잡을 수 는 없던 것이다.
그들이 역사적 형태를 참조하는 방식이란 상당히 포섭적이고 절충적이어서, 다양하긴 하나 그 참조
의 양상이
단편적인 콜라주의 상태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어떤 미학적 원리에 의한 통합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공간적 다의성을 위한 수법들 역시 개념상의 시험을 위한 매너리즘
(Mannerism)적 방법
에 의존하고 있으며 구조, 기능, 공간, 형태 등의 상관성에서 나온 논리적 과정에 이르지 못하였다.
공간과 구조,
기능의 창조적 해결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였던 것 이다.
그들은 특히 고전주의의 건축요소를 참조하곤 하였으나, 고전주의적 재료의 특성을 현대의 기술로
재생하는 것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6.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1980년대 우리 건축계에 두 가지의 부류를 만들어 내었다. 하나는 포스트모더니
즘 조차
입하는 부류이다. ‘두손 갤러리(동승동)’ 와 ‘앙스모드’ 같은 건물들이 여기에 속한다. 또 하나는 포스
트모더니
즘의 정신에 입각해서 한국 전통건축을 무차별로 인용하는 경향이다. 여기에는 ‘전주시청사’와 ‘독립
기념관’ 같
은 건물이 속한다. 좋든 싫든 그것들은 바람직한 도시건축과 건축의 전통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끌어낸 바
탕이 되었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분명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지만 한편으로는 모더니즘에 뿌리를 두고 진
화한 사조이
다. 역사에서 단절이란 없던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포스트모던 건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더니즘
디자인을 먼저
알아야 한다. 그러나 우리 디자이너들에게는 그럴만한 시간이나 노력이 없었다. 그런 채,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현
상만을 우리의 땅에 옮기다보니 기이한 작품만 낳게 되는 폐단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지역 환경에 대
한 고려가 없
이 단편적으로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참조하여 나타난 건축의 이미지는 우리 고개를 갸우뚱 하게
했다.
탈근대 건축의 근 사회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재인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고 믿고 형태언어를 우리의
전통건축에
서 차용한 경우 역시도 제대로 성공적인 결과물을 낳지 못하였다. 오늘날 전통건축의 직설적 인용과
복고적 재현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7.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와 건축물
1) 로버트 벤츄리 (Rovert Charles Venturi Jr.)
*1925년 6월 25일 출생(미국), 현 90세
*프린스턴 학사, 프린스턴 대학원석사, 예일대교수, 프린스턴 교수
*벤츄리, 스캇브라운 앤 어소시에이츠 건축가
로버트 벤츄리는 건축에 대한 영향력 있는 논리를 전개한 대표적 포스트모던 건축가로서 1966년
미국 뉴욕
근대미술관에서 발행된 벤츄리의 초기기저서인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에서 건축에 대한 새로
운 방향을
제시하는 이론을 발표하였다.
기본이념을 살펴보면 ‘건축물은 도시, 환경과 그 도시의 맥락에 잘 어울릴 수 있어야하며 건물 외관은
내부와의 상호작용까지 표현하는 의미전달의 유기체’ 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로 모더니즘 건축
의 단조로움에 대한 반발을 그의 건축적 출발점으로 보고 다원적인 복합성의 건축을 제시하였던 것 이
다.
이는 근대 건축의 단순성 대신에 모호성을 의미의 명료성을, 양자택일적 태도보다는 양자 수용적 태도
를, 명확한 것보다는 난해한 통일성의 개념을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이념으로 제시 하였다.
벤츄리의 중요한 작품특성은 상징성으로 건축가의 창조 성이라는 것은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는데 있
기보다는 이미 알려져 있는 상지들을 적합하게 만닮으로서 얻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축물은 전
통적 요소가 지니고 있는 기억, 연상, 이미지 등을 통하여 상징적 효과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한 그는 복합적 건축의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장식된 오두막' 이라는 건물을 만들어 제시하기도
하였따. 벤츄리의 이러한 생각은 대중에게 익숙하고 친숙한 요소들이 디자인의 새로운 원천으로 삼을
수 있음을 강조했으며, 건축물을 통하여 도시 시각 환경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또한 그는 건축은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현실적인 문제로써 건축가들은 열린 마음으로 대중소비
산업사회에서 대두되는 문화와 대중의 가치를 건축이미지로 나타내어 대중들에게 즐거움을 주어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건축가들에게 새로운 건축형태의 모티브를 찾아내는 발상의 전환이 되는 계
기를 열어 주었다.
그의 작품이 지니는 우수성은 대중적 코드를 지향함과 동시에 건축물을 환경의 일부로 보고 문화의 중
요성을 건축물을 통하여 융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벤츄리는 단순화된 표피에만 맴도는 모더니즘 디자인의 모습을 인식하고 '미스 반 데 로에'의 "
적을수록 더 많은 것을 줄 수 있다" 에 대하여 "적을수록 더 지루하다"의 개념으로 대응하였다.
◁ Vanna Venturi House
설계 로버트 벤추리 펜실베니아, 1961
벤추리가 어머니를 위해 설계한 이 주택은 포스트모더
니즘을
시작한 건물로 일컬어진다. 삼각형의 박공벽을 통해 건
축이 역
사적 준거를 가져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http://jinsub0707.blog.me/140010342394
◁Robert Venturi Guild House
앞서 언급한 공간의 다의성을 위한 수법들도 개념상의
시험을 위한 매너리즘 (Mannerism)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구조, 기능, 공간, 형태 등의 상관성에서 나온 논
리적 과정에 이르지 못하였다. 공간과 구조, 기능의 창
조적 해결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였던 것이다. 그들은 특
히 고전주의의 건축요소를 참조하곤 하였으나, 전주의
적 재료의 특성을 현대의 기술로 재생하는 것은 시대성
을 갖지 못하는 태도에 불과했다.
http://jinsub0707.blog.me/140010342394
시애틀미술관 - Robert Venturi ▷
시애틀 중심에 위치하며, 남쪽 하부는 길고 깊은 음영이
만들어지고 수직 홈 이 그 위로 길게 연속되어 있다.
상부에는 건물명이 크게 새겨져 있으며, 입구의 아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전형적 기호이다.
내부의 로비는 대형계단과 함께 빛에 의해서 정리되어
진다.
[출처] [펌] [세계의 건축가] 07.로버트 벤츄리|작성자 깜밥
포스트 모더니즘 가구
로버트 벤츄리의 가구들 중 합판을 구부려 만든 의자 시리즈가 대표
적이다.
등받이와 뒷다리, 좌판과 앞다리 두 개의 합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의자는 그 동안 존재했던 가구양식들의 특징을 담아 모양을 만
들고
그림을 그려넣었다.
http://blog.naver.com/freeinternet/10163779864
2) 필립 존슨 (Philip Cortelyou Johnson)
*1906년 7월 8일 ~ 2005년 1월 25일 (미국)출생.
*하버드대학교 철학전공, 하버드대학교 건축대학원
*1979년 프리츠커상
뒤늦게 건축을 시작한 필립존슨은 원래 하버드 대학교 철학교수였다가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전시회를 주최한 후 그의 건축에 심취하여 건축대학원에 입학한다. 철학전공이었던 그는
비평가 , 언론인, 작가 등으로 살다가 서른다섯이 넘어서야 건축가가 되기로 마음먹고 건축대학원을 졸
업하면서, 졸업논물을 위해 지은 집이 “글리스 하우스”이다. 그는 뉴욕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 중
하나로 뉴욕의 명소인 AT&T 본사, 뮤지엄타워, 립스틱, 링컨센터 등을 설계한 세계최고의 건축가이
다. 뿐만 아니라 뉴욕현대 미술관(MOMA)을 세계적인 미술관으로 키운 아티드렉터로서 뛰어난 미국
현대 미술의 컬렉터이자 뉴욕 지식인 사회의 리더이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1978년 존슨은 미국 전신전화 회사 AT&T로부터 과시용 사옥을 지
어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회사 지도부는 강철과 유리로 된 상자가 아
니라 확고한 토대와 먼진 지붕이 있고 권력을 과시하는 마천루를 원
했던 것이다. 존슨은 주문 받은 대로 하였고 메디슨 에비뉴 550번지
에 뉴??최초의 포스트모더니즘 마천루가 세워졌다. 이로서 포스트 모
더니즘이 관철되는 일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그가 그것을 창안한 것은 아니었다. 당시 미국도처에서 역사
주의 건물들이 생겨나고 있었다.
이 건물은 그에게 1979년 프리츠커 건축상을 안겨주었다. 미디어가
그에 관해 다룬 사건 1호였고, 두 번째는 건물 자체였다. 건물은 자주
전 세계 잡지의 표지그림이 되곤 하였는데, <타임>지는 "포스트모더
니즘의 기념비"라는 제목으로 기사로 실었다. 뉴 캐이넌에 있는 글라
스 하우스를 빼고는 이 빌딩만큼 그를 유명하게 만든 것이 없을 것이
다. 이 건물은 수 많은 논쟁을 만들어 냈고, 한편 사람들은 이것이 미
스 반 데어 로에에 대한 존슨의 독립선언이라고 평가했다.
◇뉴욕 AT&T 빌딩
그는 자주 “미스 반 데어 존슨” 이라고 불렸다. 다른 사람들은 효과를 노리는 깨진 박공과 제1차 대전
이후로 유행했던 건축유형으로 돌아간 것을 비난했다. 벽돌을 쌓아올린 건물이 아닌 돌을 입힌 강철
콘크리트 건물이긴 하지만 어쨌이든 희고적인 방식이었다. 존슨은 고전적인 기둥 건축, 곧 기둥받침,
기둥몸통, 기둥모리 구조를 선택했다. 건물은 거의 20미터 높이의 토대위에 서 있었다. 이 토대는 하
나의 아치 복도를 이루는데, 주출입구 아치는 높이가 35M에 이른다. 그 사이에 아치복도는 유리로 덮
여서 상점들로 쓰이게 되었따. 전통적 유리 지붕이 덮인 상가지역, 55번과 56번 도로를 가로질러 연
결시켜주는 보행자 도로 등이 새롭고 모법적인
방식으로 내부와 외부 영역에 공공 공간을 만들어 주었다.
이건물은 총 37층이고 탑과 같은 건물의 덩어리는 높이가 197M이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글라스 하우스
이 작품은 1950년 첫 작품으로 그의 집을 실현시켰고, 코네티컷 주 뉴캐년에 유리주택을 혼자의 힘으로 지
었다. 이 집은
미스 판 스워드 하우스(1945)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이 명백하지만 그의 우아한 유리 프리즘은 독창
적인 작품에 해당한다.
이 집이 위치한 곳은 매우 한적하고, 멋진 풍광이 있는 장소로, 집은 주변 풍경과 조화를 잘 이룬다. 최소한의
유리와 최소한의 철로 건축가는 자연과 잘 어울리는 집 , 자연의 일부인 집을 만들었다.
외관부분은 모든 시선을 통과시키는 유리가 쓰인다. 그리고 집을 세우기 위한
구도체도 최대한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강철로 만들었다. 경사진 푸른
잔디밭 너머 멀리 펼쳐진 들판과 인공 연못 사이, 크지 않은 넓이의 대지 위에
인간과 자연과 역사의 깊은 교감이 아름다운 건축공간으로 만들어져 있다.
주변 자연과의 조화는 경이롭기까지 하다. 내부 공간의 절제된 아름다움이
자연의 깊이를 집 곳곳에 베어 들게 한다.
여기서 사람들은 누구나 낮과 밤, 하늘과 땅 사이를 교감을 느낄 것이다.
글라스 하우스는 도시가 아닌, 자연 속에 세워졌고, 외관을 투명하게 만들어
보여주려고 한 이유 보다는 내부에서 외부로 보이는 풍경에 초점을 맞춘 집이다.
왜냐하면 집안을 들여다 볼 외부사람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장소였기 때문이다.
집이 자연과 하나 된다는 조건을 수행하기 집엔 어떤 장식도 달려있지 않고, 그저 집으로서 필요한 최소한의
상태만으로 지어졌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립스틱 (Lipstick Building)
필립 존슨 과 존 버거가 설계한 34층의 이 건물은 타원형의 평면으로 박스와
각으로 된 건물의 숲인 맨해튼의 중심지에 전혀 예상하지 못 했던 스카이라인
을 형성함으로 서 확실한 주체성을 갖게 되었다. 건물의 형태는 4부분의 타원
기둥의 매스가 위로 올라갈 수록 점점 작아지게 만들어진 것으로 아래쪽 3매
스는 가장 동쪽의 축을 기준으로 같이 붙어 있고 나머지 매스는 아래의 3패스
의 중앙부분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건물의 측면은 매우 얇은 윤곽선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층별 크기로 인해
공간의 낭비가 없이 유동성 있는 임대공간을 만들어 냈다. 이 건물의 외장은
스웨덴제 최고급 화강암으로 붉은 색 부분은 광택을 냈고, 분홍색 부분은 불
꽃을 이용해 처리했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띠 장식을 대고, 창틀은 회색으로 처리했다.
◁ 미국 뉴욕 멘하탄 위치오피스 건물 1986년 완공.
최상부 부분의 2층 높이의 기계실에는 화강암으로 마감을 해 건물의 모자와 같은 효과를 냈다. 지상
층의 28개의 기둥은 화강암과 스테인리스강으로 되어 있고 기둥과 건물 외벽 사이의 공간은 아케이드
아 같이 보도로 되어 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3) 마리오 보타 (Mario Botta)
*1943년 4월 1일 (스위스)출생
*베니스건축학교, 아르헨티나 꼬르도바 국립대학교 명예교수
*수상내역 ; 1985 베통 건축부문상,
1989 CICA 건축상
1989 왕립 네덜란드 건축가협회 박스텐상
1991 스위스 ‘이시스, 시저, 라베짜리, 치아쏘’ 재단상 수상
1993 이탈리아 대리석 건축상, 국제 건축비평가상
그의 건축세계는 강력한 기하학적 형태, 홈이 파인 띠로 구성되는 파사드, 그리고 철저하고도 환상적인
디테일의 3대 요소로 특징 지워진다. 우리나라의 삼성 리움 미술관과 강남의 교보문고를 설계한 그는
기하학적인 형상에 스케일을 가미하고 또 이것을 단순하게 승화시킨다. 기존의 대지와 자신의 건축행
위가 변증법적 관계를 가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어느 한쪽으로 치우 치치 않고 서로의 모순
과 잘못된 점을 보완해 나가면서 더욱 발전해야 하는 관계로 디자인을 정의 내리고 있다.
특히 그는 스위스 티치노를 거의 떠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 이르기까지도 주택 이외의
작품을 설계한 경우가 거의 없는 까닭에 세계건축계에서는 마이로 보타는 지역적 특성이 강하게
표방되는 주택을 일련의 등식으로 이해하고 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SF Museum of Modern Art / SFMOMA)
‘글로벌적 성격의 대형 전시장’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의 설계는 섬세하고 오밀조밀한 설계가 특
징인 스위스의 건축가 마리 오보타가 맡았다. 이 미술관은 전체 면적
이 6300평방 미터로 거대하지만, 나름대로 디테일하게 꾸며져 있어
아기자기한 설계자의 취향을 엿 볼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은 미국이나 유럽의 명작컬렉션에 집착하
지 않고, 그 동안 주목받지 못해왔던 남미와 아시아권의 미술을 소개
하는 기회를 자주 마련하고 있다. 이것이 다른 유명 미술관들과 차별
화 된 글로벌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서울 – 교보타워
서초구 서초동의 교보생명 서초사옥은 건물 모양새부터 시선을 압도한다. 지상 25층 두개의 큰 기둥이 브
릿지를 사이에
두고 버티고 있는 독특한 모습은 지역 내 브랜드마크 빌딩으로 손색이 없다. 높이, 외관 등 웅장한 자태를
뽐내고 있지
만 주변 지역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모습에서 다른 초대형 건물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함이 느껴
진다. 교보생명 서초사옥이 탄생하기 까지는 10년간의 시간이 흘
렀다. 기본설계를 맡은 스위스 건축가 마리오 보타와 교보생
명 측은 다양한 실험적 시도를 거듭해 왔다. 타원형, 원형 건
물 등 여러 설계안이 나왔고 장고 끝에 현재의 서초사옥이 탄
생하게 된 것 이다.
이 건물은 우선 지상 25층 규모의 거대한 두 개의 건물을 브
릿지(다리)로 연결한 것이 특징이다. 브릿지는 투명한 유리연
결 통로를 사용했는데 원활한 동선 확보는 물론 도시를 비추
는 스크린 역할을 담당한다.
업무타워는 융통성 있게 설계됐다. 이에 따라 입주자가 열린 사무실과 밀폐된 회의실 등을 자유롭게
선택해 사용이 가능한 것이 돋보인다. 특히 건물 외벽에 사용된 적벽돌 판넬은 햇볕의 위치 변화에 따
라 각기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건물 내부 역시 특정 부위를 제외한 전체를 건축적 인테리어 디자인으
로 마감, 외관은 물론 내부도 함께 어우러지도록 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그의 디자인 작업
마리오 보타는 건축디자인 작업 외에 가구 만드는 일도 함께 병행했는데,
그의 작품세계는 인테리어 디자인 뿐만 아니라 전체의 공간을 창조적으
로 디자인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만든 가구는 기
초와 기본에 충실하여 절제되고 간결한 기능성을 갖도록 디자인 되었으
며, 그가 이루고자 하는 조형적인 표현은 그대로 담아서 표현을 하였다.
환경과 인공의 조화를 그의 철학대로 풀어 아름답고 고혹적인 디자인을
완성시켰다. 가구를 만드며 새로운 변화에 대한 생각을 게을리 하지 않았
으며 재료에 얽매이지도 않았다고 한다. 마리오 보타는 비판보다는 찬사
와 환호를 한 몸에 받아 온 천재적인 현대 건축가이며 포스트모더니즘 시
대에 큰 획을 그은 천재적인 디자이너이다.
결론적으로 그의 작품 세계는, 기하학적 형태들의 해체를 통해 디자
인의 해결점을 찾고 있으며, 재료적 측면에서는 기하학인 면과 자기
솔직성 이라는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단순하면서도 다
양하고 세련미 넘치는 보타의 작품을 보면 현대건축의 진솔한 면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프로스트 의자와 그로닝겐 박물관
http://blog.naver.com/siatiger/30102376100
안티 디자인은 이탈리아에서 출발한다. 모더니즘에 반발하고 이탈리아 당시
사정에 대해 고리타분함을 느낀 이들이 여러그룹-슈퍼스튜디오, 그 루포 스
트롬 등을 만들었고 활동해나갔다. 초창기는 알레산드로 맨디니
(Alessandro Mendini)가 1960년 안티디자인의 대명사로 불리며 1979년
알키미아 스튜디오(Studio Alchimia)를 만들었다. 그는 점표법을 이용한 프
로스트 의자를 만들면서 무엇을 추구하기 보다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작업했다.
HER (그녀) ; 2013
레드퍼플과 레드가 포까마이외 배색이 되어 전체적으로 레드의 강렬함이 느껴지는 포스터로 배경이 적용된 비비드
한 레드퍼플 칼라는 주인공 테오도르의 여성스러운 섬세함을 상징한다. 그윽한 눈빛으로 정면을 바라보는 테오도르
의 표정과 그가 입고 있는 붉은색 셔츠가 열정적인 사랑을 강망하는 듯하다. 조은믄 과하게 느껴지는 레드의 아날로
그한 감성, 이와는 반대로 눈동자의 블루그린 칼라에서는 기계문명의 차가움과 공허함이 느껴진다. 청록색인 블루
그린은 이지적인 칼라이다. 즉, 냉철함과이성을 상징한다고 할수 있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세상은 점점 빠르고
편리해졌다. 포스터에 적힌 'A SPKE JONZE LOVE STORY' 글자에 적용된 고명도의 퍼플블루는 디지털 한 세상
을 상징한다.
L_흑백으로 이루어진 창백한 숲이 그 삭막함을 이야기하고 있는 듯하다.
어두운 Yellow의 잘려나간 나무 기둥과 하얀(N9) 눈밭의 명도대비가 설
경의 멋스러움보다는 공허한 느낌을 자아낸다. 테오도르가 입고 있는 레
드 점퍼는 숲의 창백함에 덮여져 그 빛이 바래지고 있는 듯 하다.
R_어두운 회색빛 하늘이 테오도르의 어깨를 무겁게 누르고 있다 .건물과
하늘에 적용된 Gray의 적은 명도 차로 인해 전체적인 분위기가 침울하다.
도시 아래, 모든 것이 잠심 되어 주인공의 개성도 느낄 수가 없다. 어디론
가 바쁘게 향해 있는 군상들의 움직임 또한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출처 ;
http://blog.naver.com/sangaecom?Redirect=Log&lo
gNo=220226112008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 기존의
개념의 파괴의 성향이 강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해진 포스트 모더니즘의 모
습은 1980년대 까지는 초창기 반발의 모습이 여
실히 드러나다가 다시 1990년대기에 접어들면서
약간의 주춤하는 모습이 보였다. 과도한 모습 지
나친 파괴의 성향은 오히려 역작용으로 일어났고
이는 다시 이성에 대한 고찰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포스트 모더니즘 후에 여전히 반복되어 평가, 재
평가 받으며 이런 모습은 절충주의의 모습을 지향
하게 되었다.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Digital technology 1
Digital technology 1Digital technology 1
History
HistoryHistory
Measured Drawing Final report
Measured Drawing Final report Measured Drawing Final report
Measured Drawing Final report
Cindy Lim
 
Tugas stupa form a3
Tugas stupa form a3Tugas stupa form a3
Tugas stupa form a3
Dellariani Lambakada
 
Peter Eisenman.pptx
Peter Eisenman.pptxPeter Eisenman.pptx
Peter Eisenman.pptx
GauravGangwar30
 
High-tech Architecture
High-tech ArchitectureHigh-tech Architecture
High-tech Architecture
Khaled Almusa
 
ken_yeang (1).docx
ken_yeang (1).docxken_yeang (1).docx
ken_yeang (1).docx
YehezkielYogi
 
:Design of principle Bioclimatic Technology Menara Mesiniaga Tower presentati...
:Design of principle Bioclimatic Technology Menara Mesiniaga Tower presentati...:Design of principle Bioclimatic Technology Menara Mesiniaga Tower presentati...
:Design of principle Bioclimatic Technology Menara Mesiniaga Tower presentati...
AdnanSwat1
 
The Gherkin Building Analysis
The Gherkin Building AnalysisThe Gherkin Building Analysis
The Gherkin Building Analysis
dinda148794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
Seongwon Kim
 
Zaha hadid london aquatics centre
Zaha hadid  london aquatics centreZaha hadid  london aquatics centre
Zaha hadid london aquatics centre
Athira Suresh
 
Form follows function
Form follows function Form follows function
Form follows function
Yungchang Yang
 
Sustainable Cities: Urban Design
Sustainable Cities: Urban DesignSustainable Cities: Urban Design
Sustainable Cities: Urban Design
Anuradha Mukherji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Seongwon Kim
 
Eastgate centre.
Eastgate centre.Eastgate centre.
Eastgate centre.
aman verma
 
Tectonic design making
Tectonic design makingTectonic design making
Tectonic design making
harrietmaybe
 
Frank lloyd wright
Frank lloyd wrightFrank lloyd wright
Frank lloyd wright
Sufi Abdul Hakeem
 
Ludwig mies van der rohe
Ludwig mies van der roheLudwig mies van der rohe
Ludwig mies van der rohe
Wossen Demiss
 
Building service
Building serviceBuilding service
Building service
Ong Shi Hui
 
Robert venturi works
Robert venturi worksRobert venturi works
Robert venturi works
Akshat Bansal
 

What's hot (20)

Digital technology 1
Digital technology 1Digital technology 1
Digital technology 1
 
History
HistoryHistory
History
 
Measured Drawing Final report
Measured Drawing Final report Measured Drawing Final report
Measured Drawing Final report
 
Tugas stupa form a3
Tugas stupa form a3Tugas stupa form a3
Tugas stupa form a3
 
Peter Eisenman.pptx
Peter Eisenman.pptxPeter Eisenman.pptx
Peter Eisenman.pptx
 
High-tech Architecture
High-tech ArchitectureHigh-tech Architecture
High-tech Architecture
 
ken_yeang (1).docx
ken_yeang (1).docxken_yeang (1).docx
ken_yeang (1).docx
 
:Design of principle Bioclimatic Technology Menara Mesiniaga Tower presentati...
:Design of principle Bioclimatic Technology Menara Mesiniaga Tower presentati...:Design of principle Bioclimatic Technology Menara Mesiniaga Tower presentati...
:Design of principle Bioclimatic Technology Menara Mesiniaga Tower presentati...
 
The Gherkin Building Analysis
The Gherkin Building AnalysisThe Gherkin Building Analysis
The Gherkin Building Analysis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
 
Zaha hadid london aquatics centre
Zaha hadid  london aquatics centreZaha hadid  london aquatics centre
Zaha hadid london aquatics centre
 
Form follows function
Form follows function Form follows function
Form follows function
 
Sustainable Cities: Urban Design
Sustainable Cities: Urban DesignSustainable Cities: Urban Design
Sustainable Cities: Urban Design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Eastgate centre.
Eastgate centre.Eastgate centre.
Eastgate centre.
 
Tectonic design making
Tectonic design makingTectonic design making
Tectonic design making
 
Frank lloyd wright
Frank lloyd wrightFrank lloyd wright
Frank lloyd wright
 
Ludwig mies van der rohe
Ludwig mies van der roheLudwig mies van der rohe
Ludwig mies van der rohe
 
Building service
Building serviceBuilding service
Building service
 
Robert venturi works
Robert venturi worksRobert venturi works
Robert venturi works
 

Viewers also liked

계원예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계원예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계원예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계원예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Young Choi
 
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
LeeNael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Young Choi
 
강의 개요 및 교안 2014 1차수_font
강의 개요 및 교안 2014 1차수_font강의 개요 및 교안 2014 1차수_font
강의 개요 및 교안 2014 1차수_fontYoung Choi
 
Microsoft power point 에리카학술대회 프로시딩-최영현_요약본1차_font_img
Microsoft power point   에리카학술대회 프로시딩-최영현_요약본1차_font_imgMicrosoft power point   에리카학술대회 프로시딩-최영현_요약본1차_font_img
Microsoft power point 에리카학술대회 프로시딩-최영현_요약본1차_font_imgYoung Choi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예담 설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
수진 송
 
데코
데코데코
데코suel87
 
거시조직
거시조직거시조직
거시조직
Kim Bongjo
 
광주 국민디자인단
광주 국민디자인단광주 국민디자인단
광주 국민디자인단
Young Choi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younj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Young Choi
 
회화과 1312096장진화 작가 조사 report
회화과 1312096장진화 작가 조사 report회화과 1312096장진화 작가 조사 report
회화과 1312096장진화 작가 조사 report
진화 장
 
2014151012
20141510122014151012
2014151012
sora7443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채영 박
 
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
GwakSunmi
 
Shoplink 브랜드 입점제안서
Shoplink 브랜드 입점제안서Shoplink 브랜드 입점제안서
Shoplink 브랜드 입점제안서
Jason Im
 
Should Animal Circuses Be Banned? Truth Behind The Curtain
Should Animal Circuses Be Banned? Truth Behind The CurtainShould Animal Circuses Be Banned? Truth Behind The Curtain
Should Animal Circuses Be Banned? Truth Behind The Curtain
Maps of World
 

Viewers also liked (18)

계원예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계원예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계원예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계원예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강의 개요 및 교안 2014 1차수_font
강의 개요 및 교안 2014 1차수_font강의 개요 및 교안 2014 1차수_font
강의 개요 및 교안 2014 1차수_font
 
Microsoft power point 에리카학술대회 프로시딩-최영현_요약본1차_font_img
Microsoft power point   에리카학술대회 프로시딩-최영현_요약본1차_font_imgMicrosoft power point   에리카학술대회 프로시딩-최영현_요약본1차_font_img
Microsoft power point 에리카학술대회 프로시딩-최영현_요약본1차_font_img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
알레산드로 멘디니(Alessandro mendini)
 
데코
데코데코
데코
 
거시조직
거시조직거시조직
거시조직
 
광주 국민디자인단
광주 국민디자인단광주 국민디자인단
광주 국민디자인단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4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회화과 1312096장진화 작가 조사 report
회화과 1312096장진화 작가 조사 report회화과 1312096장진화 작가 조사 report
회화과 1312096장진화 작가 조사 report
 
2014151012
20141510122014151012
2014151012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
 
Shoplink 브랜드 입점제안서
Shoplink 브랜드 입점제안서Shoplink 브랜드 입점제안서
Shoplink 브랜드 입점제안서
 
Should Animal Circuses Be Banned? Truth Behind The Curtain
Should Animal Circuses Be Banned? Truth Behind The CurtainShould Animal Circuses Be Banned? Truth Behind The Curtain
Should Animal Circuses Be Banned? Truth Behind The Curtain
 

Similar to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207140073 박정선
207140073 박정선207140073 박정선
207140073 박정선parkjungsun
 
하이테크
하이테크 하이테크
하이테크
슬기 백
 
207140060김지영
207140060김지영207140060김지영
207140060김지영
kjyyks87
 
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Jj Kim
 
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minette8
 
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minette8
 
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minette8
 
바우하우스 이시영(1412139)
바우하우스  이시영(1412139)바우하우스  이시영(1412139)
바우하우스 이시영(1412139)
johgo1004
 
건축가 김수근
건축가 김수근건축가 김수근
건축가 김수근gyts91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Jeong Boyeon
 
SW개발자가 얘기하는 건축이야기
SW개발자가 얘기하는 건축이야기SW개발자가 얘기하는 건축이야기
SW개발자가 얘기하는 건축이야기
Sangwon Ko
 
11.13.브로셔레이아웃
11.13.브로셔레이아웃11.13.브로셔레이아웃
11.13.브로셔레이아웃
rincho
 
Roma
RomaRoma
Roma
EUKP
 

Similar to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13)

207140073 박정선
207140073 박정선207140073 박정선
207140073 박정선
 
하이테크
하이테크 하이테크
하이테크
 
207140060김지영
207140060김지영207140060김지영
207140060김지영
 
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
 
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Daniel Libeskind
Daniel Libeskind
 
바우하우스 이시영(1412139)
바우하우스  이시영(1412139)바우하우스  이시영(1412139)
바우하우스 이시영(1412139)
 
건축가 김수근
건축가 김수근건축가 김수근
건축가 김수근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포스트모던패션_(1514660)
 
SW개발자가 얘기하는 건축이야기
SW개발자가 얘기하는 건축이야기SW개발자가 얘기하는 건축이야기
SW개발자가 얘기하는 건축이야기
 
11.13.브로셔레이아웃
11.13.브로셔레이아웃11.13.브로셔레이아웃
11.13.브로셔레이아웃
 
Roma
RomaRoma
Roma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 2. CONTENTS 1. 포스트모더니즘 개념 2. 건축적 개념 3.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발생배경 및 특징 4.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 비교 표 5. 포스트모던 건축의 한계 6.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 7.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가와 건축물 8. 포스트모더니즘의 가구 9. 포스트모더니즘 스타일 영화 10. 포스트모더니즘 그 이후
  • 3. Post-mordernism (1960년대~ 1.개념 포스트 모더니즘을 어휘 그대로 해석하면 후기(Post) 모더니즈미다. 하지만 이것은 단어를 그대로 해석했을 뿐 실제로 포스트 모더니즘을 한마디로 요약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한 개념이 아직까지 확 실하게 서 잇지 않고 여러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의 대상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원래 포스 트 모더니즘 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일어난 미국의 문화운동에 대해 뒤 늦게 평론가들이 정과 핵실험, 그리고 산업사회가 가져온 환경파괴와 자유의 상실에 저항하는 실험이었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확산은 ‘모더니티의 위 기와 관련 되 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을 쉽게 말하자면 현재 우리를 애워싸고 있는 문화상황, 예를 들면 후기산업사회 전자 매체 시대, 후기 자본주의 사회, 정보화 사회, 컴퓨터 시대, 다국적 소비자본주의 시대 등을 포스트 모던 사회라 할 수 있고, 이에 따르는 문화 운동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4. 2. 건축적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적 개념은 20세기 중반부터 문화, 예술 전반에 나타나기 시작한 휴머니티 회 복적인 사상 이라고 할 수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이라는 용어가 건축적 문맥으로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건축 비평가인 찰스 젠크로 (Char les Jenks) 저서 “포스트모던 건축의 언어” 에서 건축의 새로운 경향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 를 채택한 이후부터 라고 할 수 있다. 찰스 젱크스에 의하면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대중과 건축가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전통성과 현 대적 테크닉 사이를 조합을 의미하는 <이중적 코드>로 정의” 하고 있다. 그가 말한 이중적 코드라는 것은 엘리트적인 것과 대중적인 것, 새로운 것과 전통적인 것을 대립시 키는 개념을 뜻 한다. 이것은 건축이 단순한 물리적 기능을 충족만이 아닌 인간의 정서에 부합하고 도시 시각 환경에 새로 운 디자인을 전달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은 <기호 문화들> 이 만들어내는 다양성과 복 합성에서 기 반 한다는 것이다. *찰스 젠크리 – “전통성과 현대적 테크닉 사이를 조합” (이중적 코드) ▷기호문화들이 만들어 내는 다양성과 복합성에 기반 ▷엘리트 코드(Elite code)와 대중코드(Popular code)를 모두 사용하여 건물을 이중 코드화(Dual coding)하려는 건축’ 이라고 정의한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5. 3.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발생배경 및 특징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발생배경은 196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근대건축의 지나친 기능주의추구에 반발하여 건 축형태에 시각 환경의 다양성과 인간가치에 근거한 조형철학을 탐색하게 됨으로써 발생하게 되었 다. 포스트모 더니즘 이전에는 모더니즘 건축이 지배적 이였다. 모더니즘 건축가들은 기계문명의 시대적 가치를 잘 조합해 내 어 이상적 건축을 완성시켜 나가면서 모더니즘을 전 세계에 전파시켰다. 이는 획일화된 건축물들을 도시에 양산하는 결과로 이어졌으며, 획일화된 건축에서는 색채의 다양 성, 은유, 상 징성 등의 양식은 나타나지 않았다. 단순하고 획일적인 형태에 대한 집착은 건축가의 자유로운 표 현의지를 막아 버렸고, 인간의 상상력 상실을 초래하게 되었다. 즉, 심리적, 정서적 기능이 무시 되고 물리적 기능 만을 충족시키 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렇게 기능주의의 한계에 회의를 갖게 된 건축가들은 건축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보다 다원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근대 디자인 이념을 바탕으로 한 현대적 조형철학을 제시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조형철학이 곧 포스트 모 더니즘이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극단적인 장식성의 배제, 지나친 기능주의 추구에 반발 하여 건축, 예 술에 있어서 인간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운동이었으며, 모더니즘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것이 아닌, 모 더니즘에서 발달된 기술을 바탕으로 전통적이고 상징적인 양식을 참조하여 대중 감성에 부합하는 건축물을 시 도하려는 운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6. 4.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건축 비교 표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7. 5. 포스트모던 건축의 한계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도시문제에 대한 착상, 건축물에 대한 모더니즘의 비판적 견해 등을 가미해 개념의 전 환과 새로운 건축에 대한 설득력 있는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어쩐 일인지 포스트모던 건 축은 높이 날 아 오르기도 전에 추락하고 말았다. 그 추락의 원인을 이론의 취약성이라는 내적인 한계에서 찾아 보기로 한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근대건축을 이런저런 각도에서 비판했으나 새로운 건축이 가야 할 뚜렷한 방향성, 곧 정 립 된 이론적 틀과 미학적 당위성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비판을 넘어 (새로운) 생성의 이론으로 정립되지 못한 포스트모던 건축이 한 시대를 이끌어갈 사조로 자리 잡을 수 는 없던 것이다. 그들이 역사적 형태를 참조하는 방식이란 상당히 포섭적이고 절충적이어서, 다양하긴 하나 그 참조 의 양상이 단편적인 콜라주의 상태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어떤 미학적 원리에 의한 통합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공간적 다의성을 위한 수법들 역시 개념상의 시험을 위한 매너리즘 (Mannerism)적 방법 에 의존하고 있으며 구조, 기능, 공간, 형태 등의 상관성에서 나온 논리적 과정에 이르지 못하였다. 공간과 구조, 기능의 창조적 해결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였던 것 이다. 그들은 특히 고전주의의 건축요소를 참조하곤 하였으나, 고전주의적 재료의 특성을 현대의 기술로 재생하는 것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8. 6.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1980년대 우리 건축계에 두 가지의 부류를 만들어 내었다. 하나는 포스트모더니 즘 조차 입하는 부류이다. ‘두손 갤러리(동승동)’ 와 ‘앙스모드’ 같은 건물들이 여기에 속한다. 또 하나는 포스 트모더니 즘의 정신에 입각해서 한국 전통건축을 무차별로 인용하는 경향이다. 여기에는 ‘전주시청사’와 ‘독립 기념관’ 같 은 건물이 속한다. 좋든 싫든 그것들은 바람직한 도시건축과 건축의 전통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끌어낸 바 탕이 되었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분명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지만 한편으로는 모더니즘에 뿌리를 두고 진 화한 사조이 다. 역사에서 단절이란 없던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포스트모던 건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더니즘 디자인을 먼저 알아야 한다. 그러나 우리 디자이너들에게는 그럴만한 시간이나 노력이 없었다. 그런 채,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현 상만을 우리의 땅에 옮기다보니 기이한 작품만 낳게 되는 폐단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지역 환경에 대 한 고려가 없 이 단편적으로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참조하여 나타난 건축의 이미지는 우리 고개를 갸우뚱 하게 했다. 탈근대 건축의 근 사회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재인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고 믿고 형태언어를 우리의 전통건축에 서 차용한 경우 역시도 제대로 성공적인 결과물을 낳지 못하였다. 오늘날 전통건축의 직설적 인용과 복고적 재현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9. 7.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가와 건축물 1) 로버트 벤츄리 (Rovert Charles Venturi Jr.) *1925년 6월 25일 출생(미국), 현 90세 *프린스턴 학사, 프린스턴 대학원석사, 예일대교수, 프린스턴 교수 *벤츄리, 스캇브라운 앤 어소시에이츠 건축가 로버트 벤츄리는 건축에 대한 영향력 있는 논리를 전개한 대표적 포스트모던 건축가로서 1966년 미국 뉴욕 근대미술관에서 발행된 벤츄리의 초기기저서인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에서 건축에 대한 새로 운 방향을 제시하는 이론을 발표하였다. 기본이념을 살펴보면 ‘건축물은 도시, 환경과 그 도시의 맥락에 잘 어울릴 수 있어야하며 건물 외관은 내부와의 상호작용까지 표현하는 의미전달의 유기체’ 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로 모더니즘 건축 의 단조로움에 대한 반발을 그의 건축적 출발점으로 보고 다원적인 복합성의 건축을 제시하였던 것 이 다. 이는 근대 건축의 단순성 대신에 모호성을 의미의 명료성을, 양자택일적 태도보다는 양자 수용적 태도 를, 명확한 것보다는 난해한 통일성의 개념을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이념으로 제시 하였다. 벤츄리의 중요한 작품특성은 상징성으로 건축가의 창조 성이라는 것은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는데 있 기보다는 이미 알려져 있는 상지들을 적합하게 만닮으로서 얻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축물은 전 통적 요소가 지니고 있는 기억, 연상, 이미지 등을 통하여 상징적 효과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한 그는 복합적 건축의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장식된 오두막' 이라는 건물을 만들어 제시하기도 하였따. 벤츄리의 이러한 생각은 대중에게 익숙하고 친숙한 요소들이 디자인의 새로운 원천으로 삼을 수 있음을 강조했으며, 건축물을 통하여 도시 시각 환경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10. 또한 그는 건축은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현실적인 문제로써 건축가들은 열린 마음으로 대중소비 산업사회에서 대두되는 문화와 대중의 가치를 건축이미지로 나타내어 대중들에게 즐거움을 주어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건축가들에게 새로운 건축형태의 모티브를 찾아내는 발상의 전환이 되는 계 기를 열어 주었다. 그의 작품이 지니는 우수성은 대중적 코드를 지향함과 동시에 건축물을 환경의 일부로 보고 문화의 중 요성을 건축물을 통하여 융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벤츄리는 단순화된 표피에만 맴도는 모더니즘 디자인의 모습을 인식하고 '미스 반 데 로에'의 " 적을수록 더 많은 것을 줄 수 있다" 에 대하여 "적을수록 더 지루하다"의 개념으로 대응하였다. ◁ Vanna Venturi House 설계 로버트 벤추리 펜실베니아, 1961 벤추리가 어머니를 위해 설계한 이 주택은 포스트모더 니즘을 시작한 건물로 일컬어진다. 삼각형의 박공벽을 통해 건 축이 역 사적 준거를 가져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http://jinsub0707.blog.me/140010342394
  • 11. ◁Robert Venturi Guild House 앞서 언급한 공간의 다의성을 위한 수법들도 개념상의 시험을 위한 매너리즘 (Mannerism)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구조, 기능, 공간, 형태 등의 상관성에서 나온 논 리적 과정에 이르지 못하였다. 공간과 구조, 기능의 창 조적 해결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였던 것이다. 그들은 특 히 고전주의의 건축요소를 참조하곤 하였으나, 전주의 적 재료의 특성을 현대의 기술로 재생하는 것은 시대성 을 갖지 못하는 태도에 불과했다. http://jinsub0707.blog.me/140010342394 시애틀미술관 - Robert Venturi ▷ 시애틀 중심에 위치하며, 남쪽 하부는 길고 깊은 음영이 만들어지고 수직 홈 이 그 위로 길게 연속되어 있다. 상부에는 건물명이 크게 새겨져 있으며, 입구의 아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전형적 기호이다. 내부의 로비는 대형계단과 함께 빛에 의해서 정리되어 진다. [출처] [펌] [세계의 건축가] 07.로버트 벤츄리|작성자 깜밥
  • 12. 포스트 모더니즘 가구 로버트 벤츄리의 가구들 중 합판을 구부려 만든 의자 시리즈가 대표 적이다. 등받이와 뒷다리, 좌판과 앞다리 두 개의 합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의자는 그 동안 존재했던 가구양식들의 특징을 담아 모양을 만 들고 그림을 그려넣었다. http://blog.naver.com/freeinternet/10163779864
  • 13. 2) 필립 존슨 (Philip Cortelyou Johnson) *1906년 7월 8일 ~ 2005년 1월 25일 (미국)출생. *하버드대학교 철학전공, 하버드대학교 건축대학원 *1979년 프리츠커상 뒤늦게 건축을 시작한 필립존슨은 원래 하버드 대학교 철학교수였다가 뉴욕 현대 미술관에서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전시회를 주최한 후 그의 건축에 심취하여 건축대학원에 입학한다. 철학전공이었던 그는 비평가 , 언론인, 작가 등으로 살다가 서른다섯이 넘어서야 건축가가 되기로 마음먹고 건축대학원을 졸 업하면서, 졸업논물을 위해 지은 집이 “글리스 하우스”이다. 그는 뉴욕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 중 하나로 뉴욕의 명소인 AT&T 본사, 뮤지엄타워, 립스틱, 링컨센터 등을 설계한 세계최고의 건축가이 다. 뿐만 아니라 뉴욕현대 미술관(MOMA)을 세계적인 미술관으로 키운 아티드렉터로서 뛰어난 미국 현대 미술의 컬렉터이자 뉴욕 지식인 사회의 리더이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14. 1978년 존슨은 미국 전신전화 회사 AT&T로부터 과시용 사옥을 지 어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회사 지도부는 강철과 유리로 된 상자가 아 니라 확고한 토대와 먼진 지붕이 있고 권력을 과시하는 마천루를 원 했던 것이다. 존슨은 주문 받은 대로 하였고 메디슨 에비뉴 550번지 에 뉴??최초의 포스트모더니즘 마천루가 세워졌다. 이로서 포스트 모 더니즘이 관철되는 일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그가 그것을 창안한 것은 아니었다. 당시 미국도처에서 역사 주의 건물들이 생겨나고 있었다. 이 건물은 그에게 1979년 프리츠커 건축상을 안겨주었다. 미디어가 그에 관해 다룬 사건 1호였고, 두 번째는 건물 자체였다. 건물은 자주 전 세계 잡지의 표지그림이 되곤 하였는데, <타임>지는 "포스트모더 니즘의 기념비"라는 제목으로 기사로 실었다. 뉴 캐이넌에 있는 글라 스 하우스를 빼고는 이 빌딩만큼 그를 유명하게 만든 것이 없을 것이 다. 이 건물은 수 많은 논쟁을 만들어 냈고, 한편 사람들은 이것이 미 스 반 데어 로에에 대한 존슨의 독립선언이라고 평가했다. ◇뉴욕 AT&T 빌딩 그는 자주 “미스 반 데어 존슨” 이라고 불렸다. 다른 사람들은 효과를 노리는 깨진 박공과 제1차 대전 이후로 유행했던 건축유형으로 돌아간 것을 비난했다. 벽돌을 쌓아올린 건물이 아닌 돌을 입힌 강철 콘크리트 건물이긴 하지만 어쨌이든 희고적인 방식이었다. 존슨은 고전적인 기둥 건축, 곧 기둥받침, 기둥몸통, 기둥모리 구조를 선택했다. 건물은 거의 20미터 높이의 토대위에 서 있었다. 이 토대는 하 나의 아치 복도를 이루는데, 주출입구 아치는 높이가 35M에 이른다. 그 사이에 아치복도는 유리로 덮 여서 상점들로 쓰이게 되었따. 전통적 유리 지붕이 덮인 상가지역, 55번과 56번 도로를 가로질러 연 결시켜주는 보행자 도로 등이 새롭고 모법적인 방식으로 내부와 외부 영역에 공공 공간을 만들어 주었다. 이건물은 총 37층이고 탑과 같은 건물의 덩어리는 높이가 197M이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15. ◇글라스 하우스 이 작품은 1950년 첫 작품으로 그의 집을 실현시켰고, 코네티컷 주 뉴캐년에 유리주택을 혼자의 힘으로 지 었다. 이 집은 미스 판 스워드 하우스(1945)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이 명백하지만 그의 우아한 유리 프리즘은 독창 적인 작품에 해당한다. 이 집이 위치한 곳은 매우 한적하고, 멋진 풍광이 있는 장소로, 집은 주변 풍경과 조화를 잘 이룬다. 최소한의 유리와 최소한의 철로 건축가는 자연과 잘 어울리는 집 , 자연의 일부인 집을 만들었다. 외관부분은 모든 시선을 통과시키는 유리가 쓰인다. 그리고 집을 세우기 위한 구도체도 최대한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강철로 만들었다. 경사진 푸른 잔디밭 너머 멀리 펼쳐진 들판과 인공 연못 사이, 크지 않은 넓이의 대지 위에 인간과 자연과 역사의 깊은 교감이 아름다운 건축공간으로 만들어져 있다. 주변 자연과의 조화는 경이롭기까지 하다. 내부 공간의 절제된 아름다움이 자연의 깊이를 집 곳곳에 베어 들게 한다. 여기서 사람들은 누구나 낮과 밤, 하늘과 땅 사이를 교감을 느낄 것이다. 글라스 하우스는 도시가 아닌, 자연 속에 세워졌고, 외관을 투명하게 만들어 보여주려고 한 이유 보다는 내부에서 외부로 보이는 풍경에 초점을 맞춘 집이다. 왜냐하면 집안을 들여다 볼 외부사람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장소였기 때문이다. 집이 자연과 하나 된다는 조건을 수행하기 집엔 어떤 장식도 달려있지 않고, 그저 집으로서 필요한 최소한의 상태만으로 지어졌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16. ◇립스틱 (Lipstick Building) 필립 존슨 과 존 버거가 설계한 34층의 이 건물은 타원형의 평면으로 박스와 각으로 된 건물의 숲인 맨해튼의 중심지에 전혀 예상하지 못 했던 스카이라인 을 형성함으로 서 확실한 주체성을 갖게 되었다. 건물의 형태는 4부분의 타원 기둥의 매스가 위로 올라갈 수록 점점 작아지게 만들어진 것으로 아래쪽 3매 스는 가장 동쪽의 축을 기준으로 같이 붙어 있고 나머지 매스는 아래의 3패스 의 중앙부분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건물의 측면은 매우 얇은 윤곽선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층별 크기로 인해 공간의 낭비가 없이 유동성 있는 임대공간을 만들어 냈다. 이 건물의 외장은 스웨덴제 최고급 화강암으로 붉은 색 부분은 광택을 냈고, 분홍색 부분은 불 꽃을 이용해 처리했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띠 장식을 대고, 창틀은 회색으로 처리했다. ◁ 미국 뉴욕 멘하탄 위치오피스 건물 1986년 완공. 최상부 부분의 2층 높이의 기계실에는 화강암으로 마감을 해 건물의 모자와 같은 효과를 냈다. 지상 층의 28개의 기둥은 화강암과 스테인리스강으로 되어 있고 기둥과 건물 외벽 사이의 공간은 아케이드 아 같이 보도로 되어 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17. 3) 마리오 보타 (Mario Botta) *1943년 4월 1일 (스위스)출생 *베니스건축학교, 아르헨티나 꼬르도바 국립대학교 명예교수 *수상내역 ; 1985 베통 건축부문상, 1989 CICA 건축상 1989 왕립 네덜란드 건축가협회 박스텐상 1991 스위스 ‘이시스, 시저, 라베짜리, 치아쏘’ 재단상 수상 1993 이탈리아 대리석 건축상, 국제 건축비평가상 그의 건축세계는 강력한 기하학적 형태, 홈이 파인 띠로 구성되는 파사드, 그리고 철저하고도 환상적인 디테일의 3대 요소로 특징 지워진다. 우리나라의 삼성 리움 미술관과 강남의 교보문고를 설계한 그는 기하학적인 형상에 스케일을 가미하고 또 이것을 단순하게 승화시킨다. 기존의 대지와 자신의 건축행 위가 변증법적 관계를 가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어느 한쪽으로 치우 치치 않고 서로의 모순 과 잘못된 점을 보완해 나가면서 더욱 발전해야 하는 관계로 디자인을 정의 내리고 있다. 특히 그는 스위스 티치노를 거의 떠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 이르기까지도 주택 이외의 작품을 설계한 경우가 거의 없는 까닭에 세계건축계에서는 마이로 보타는 지역적 특성이 강하게 표방되는 주택을 일련의 등식으로 이해하고 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18.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SF Museum of Modern Art / SFMOMA) ‘글로벌적 성격의 대형 전시장’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의 설계는 섬세하고 오밀조밀한 설계가 특 징인 스위스의 건축가 마리 오보타가 맡았다. 이 미술관은 전체 면적 이 6300평방 미터로 거대하지만, 나름대로 디테일하게 꾸며져 있어 아기자기한 설계자의 취향을 엿 볼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은 미국이나 유럽의 명작컬렉션에 집착하 지 않고, 그 동안 주목받지 못해왔던 남미와 아시아권의 미술을 소개 하는 기회를 자주 마련하고 있다. 이것이 다른 유명 미술관들과 차별 화 된 글로벌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19. ◇서울 – 교보타워 서초구 서초동의 교보생명 서초사옥은 건물 모양새부터 시선을 압도한다. 지상 25층 두개의 큰 기둥이 브 릿지를 사이에 두고 버티고 있는 독특한 모습은 지역 내 브랜드마크 빌딩으로 손색이 없다. 높이, 외관 등 웅장한 자태를 뽐내고 있지 만 주변 지역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모습에서 다른 초대형 건물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함이 느껴 진다. 교보생명 서초사옥이 탄생하기 까지는 10년간의 시간이 흘 렀다. 기본설계를 맡은 스위스 건축가 마리오 보타와 교보생 명 측은 다양한 실험적 시도를 거듭해 왔다. 타원형, 원형 건 물 등 여러 설계안이 나왔고 장고 끝에 현재의 서초사옥이 탄 생하게 된 것 이다. 이 건물은 우선 지상 25층 규모의 거대한 두 개의 건물을 브 릿지(다리)로 연결한 것이 특징이다. 브릿지는 투명한 유리연 결 통로를 사용했는데 원활한 동선 확보는 물론 도시를 비추 는 스크린 역할을 담당한다. 업무타워는 융통성 있게 설계됐다. 이에 따라 입주자가 열린 사무실과 밀폐된 회의실 등을 자유롭게 선택해 사용이 가능한 것이 돋보인다. 특히 건물 외벽에 사용된 적벽돌 판넬은 햇볕의 위치 변화에 따 라 각기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건물 내부 역시 특정 부위를 제외한 전체를 건축적 인테리어 디자인으 로 마감, 외관은 물론 내부도 함께 어우러지도록 했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20. ◇그의 디자인 작업 마리오 보타는 건축디자인 작업 외에 가구 만드는 일도 함께 병행했는데, 그의 작품세계는 인테리어 디자인 뿐만 아니라 전체의 공간을 창조적으 로 디자인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만든 가구는 기 초와 기본에 충실하여 절제되고 간결한 기능성을 갖도록 디자인 되었으 며, 그가 이루고자 하는 조형적인 표현은 그대로 담아서 표현을 하였다. 환경과 인공의 조화를 그의 철학대로 풀어 아름답고 고혹적인 디자인을 완성시켰다. 가구를 만드며 새로운 변화에 대한 생각을 게을리 하지 않았 으며 재료에 얽매이지도 않았다고 한다. 마리오 보타는 비판보다는 찬사 와 환호를 한 몸에 받아 온 천재적인 현대 건축가이며 포스트모더니즘 시 대에 큰 획을 그은 천재적인 디자이너이다. 결론적으로 그의 작품 세계는, 기하학적 형태들의 해체를 통해 디자 인의 해결점을 찾고 있으며, 재료적 측면에서는 기하학인 면과 자기 솔직성 이라는 가치를 지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단순하면서도 다 양하고 세련미 넘치는 보타의 작품을 보면 현대건축의 진솔한 면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
  • 21. 프로스트 의자와 그로닝겐 박물관 http://blog.naver.com/siatiger/30102376100 안티 디자인은 이탈리아에서 출발한다. 모더니즘에 반발하고 이탈리아 당시 사정에 대해 고리타분함을 느낀 이들이 여러그룹-슈퍼스튜디오, 그 루포 스 트롬 등을 만들었고 활동해나갔다. 초창기는 알레산드로 맨디니 (Alessandro Mendini)가 1960년 안티디자인의 대명사로 불리며 1979년 알키미아 스튜디오(Studio Alchimia)를 만들었다. 그는 점표법을 이용한 프 로스트 의자를 만들면서 무엇을 추구하기 보다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작업했다.
  • 22. HER (그녀) ; 2013 레드퍼플과 레드가 포까마이외 배색이 되어 전체적으로 레드의 강렬함이 느껴지는 포스터로 배경이 적용된 비비드 한 레드퍼플 칼라는 주인공 테오도르의 여성스러운 섬세함을 상징한다. 그윽한 눈빛으로 정면을 바라보는 테오도르 의 표정과 그가 입고 있는 붉은색 셔츠가 열정적인 사랑을 강망하는 듯하다. 조은믄 과하게 느껴지는 레드의 아날로 그한 감성, 이와는 반대로 눈동자의 블루그린 칼라에서는 기계문명의 차가움과 공허함이 느껴진다. 청록색인 블루 그린은 이지적인 칼라이다. 즉, 냉철함과이성을 상징한다고 할수 있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세상은 점점 빠르고 편리해졌다. 포스터에 적힌 'A SPKE JONZE LOVE STORY' 글자에 적용된 고명도의 퍼플블루는 디지털 한 세상 을 상징한다. L_흑백으로 이루어진 창백한 숲이 그 삭막함을 이야기하고 있는 듯하다. 어두운 Yellow의 잘려나간 나무 기둥과 하얀(N9) 눈밭의 명도대비가 설 경의 멋스러움보다는 공허한 느낌을 자아낸다. 테오도르가 입고 있는 레 드 점퍼는 숲의 창백함에 덮여져 그 빛이 바래지고 있는 듯 하다. R_어두운 회색빛 하늘이 테오도르의 어깨를 무겁게 누르고 있다 .건물과 하늘에 적용된 Gray의 적은 명도 차로 인해 전체적인 분위기가 침울하다. 도시 아래, 모든 것이 잠심 되어 주인공의 개성도 느낄 수가 없다. 어디론 가 바쁘게 향해 있는 군상들의 움직임 또한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출처 ; http://blog.naver.com/sangaecom?Redirect=Log&lo gNo=220226112008
  • 23.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 기존의 개념의 파괴의 성향이 강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해진 포스트 모더니즘의 모 습은 1980년대 까지는 초창기 반발의 모습이 여 실히 드러나다가 다시 1990년대기에 접어들면서 약간의 주춤하는 모습이 보였다. 과도한 모습 지 나친 파괴의 성향은 오히려 역작용으로 일어났고 이는 다시 이성에 대한 고찰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포스트 모더니즘 후에 여전히 반복되어 평가, 재 평가 받으며 이런 모습은 절충주의의 모습을 지향 하게 되었다.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 출처 ; 실내건축 Design 양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