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Daniel Libeskind     "  이 주전자가 세계라고 상상해보자 .  분쟁으로 인해 산산조각이 나있는 세계처럼 주전자도  깨뜨려서 산산조각을 내고 그 것을 세계라고 생각하자 .  깨어진 주전자의 조각들을 맞추면 이는 세계 중의 일 부로 만들어진 건물이 되는 것이다 . "       -  다니엘 리베스킨트 낙천주의 예술가 중에서
1946 ;  폴란드 로지 태생 1957 ;  이스라엘 이주 1960 ;  미국 이주 1965 ;  미국 시민권 취득 후 뉴욕 쿠퍼 유니온 학교에서 건축 수학 1975 - 1977 ;  런던 건축협회학교 강의 1978 - 1985 ;  미시건 크랜브룩미술대학 학장 1986 - 1988 ;  밀라노에 세계 공간건축연구소 설립 1989 ;  뉴욕 현대미술관의 해체주의 건축전 전시 .  유태인 박물관 현상 당선 .  베를린 이주 1994 ; LA  대학 교수 초빙 1998 ; Felix-Nussbaum-Haus [Berlin / Germany] 1999 ;  유태인 박물관  [Berlin / Germany] 2001 ; London Metropolitan University post Graduate center [London /England] 2002 ; Imperial WarMuseum [Manchester / England] 2003 ; Studio Weil [San Carlos / Spain] 2005 - ; Extension to The Denver Art Museum [Denver / USA] 2006 - ; Extension to the Victoria & Albert Museum [London / England]    Daniel Libeskind
리베스킨트의 건축 형태는 질서와 혼돈의 양상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으며 ,  전체 구성에서는 질서를  파기하고 무질서한 것에 질서를 다시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즉 ,  예술과 역사 ,  외부와 내부 ,  미로와 발견 등의 대립되는 내용을 번안하여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공간들을 밀착시켜 조화를 이루게  된다 .  또한 내부적 통합 ,  연속성 ,  기하학적 체계 등을 통해 혼돈 속의 질서를 추구하고 있다 .    이중성의 표현  -  리베스킨트는 이중성을 표현하기 위해 선과 축 ,  면 ,  형태의 중첩을  사용한다 .  주로 날카로운 예각으로 중첩되는 축을 사용함으로써 강렬한  형태적 이미지를 구축한다 .      무중력의 표현  -  리베스킨트의 무중력 표현은  주로 형태의  잘려나감과 일부분의  확장으로 나타난다 .  사각박스의  일부분을 확장하여 강력한  예각을 돌출시키거나 중첩시킨 공간에서  개구부나 벽의 기울어짐 등으로  표현한다 .    불확정한 개방성의 표현  -  리베스킨트 건축에서  불확정한 개방성은 스케일 링을 차용하여 표현한다 .   Daniel Libeskind
Extension to the Denver Art Museum  (Denver/USA)  비행기를 타고 덴버상공을 지나다 내려다본  전경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  비행기 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을 형상화하고 계곡과 고원 으로 번갈아 이어지며 숨이 멎을 만큼 웅장한  경관을 이루는 로키산맥의 기암절벽이 그의  이번 작품을 있게 한 것이다 .  Daniel Libeskind
JEWISH MUSEUM  (Berlin/Germany) 건물외관은 아연판으로 덮여 있고 ,  건물의 전체적인  모양은 유태인의 상징문양의 하나인 육각형 별 ( 다윗별 ) 이  기초가 되었다 .  건물의 외장은 유태인 자신들의 학살을  항의라도 하듯 칼로 난도질 당한 것 같으나 그 난도질 당한  것 같으나 그 난도질 당한 칼자국을 통해 내부로 파고드는  햇빛은 내부를 밝히며 전체를 온화하게 감싼다 .  건물 곳곳 에 은유와 상징으로 포장된 인상적인 공간들이 있다 . Daniel Libeskind
Graduate Center L.M.U  (London/England)  하늘에서 북쪽을 나타내는 표시인 오리온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한 것이다 .  세 개의 건물이  서로 엇갈리게끔 지어졌는데 이는 대중 및 새  빌딩과 그 뒤에 있는 대학의 연결 ,  대학에서  지하철 쪽을 향하여 도시로 이어지는 연결 ,  홀러 웨이가에 어울리는 새 빌딩 모습이 그것이다 .  Daniel Libeskind
Glass Courtyard  Daniel Libeskind Imperial War Museum North I-Park tower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Daniel Libeskind

안도 다다오
안도 다다오안도 다다오
안도 다다오
ghtjrqnwkddl
 
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
LeeNael
 
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Jj Kim
 
[현대건축] 루이스칸
[현대건축] 루이스칸[현대건축] 루이스칸
[현대건축] 루이스칸
heeju
 
207140060김지영
207140060김지영207140060김지영
207140060김지영
kjyyks87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채영 박
 

Similar to Daniel Libeskind (6)

안도 다다오
안도 다다오안도 다다오
안도 다다오
 
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
 
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르꼬르뷔제
르꼬르뷔제
 
[현대건축] 루이스칸
[현대건축] 루이스칸[현대건축] 루이스칸
[현대건축] 루이스칸
 
207140060김지영
207140060김지영207140060김지영
207140060김지영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212140045 박채영 인데코
 

Daniel Libeskind

  • 1. Daniel Libeskind   " 이 주전자가 세계라고 상상해보자 . 분쟁으로 인해 산산조각이 나있는 세계처럼 주전자도 깨뜨려서 산산조각을 내고 그 것을 세계라고 생각하자 . 깨어진 주전자의 조각들을 맞추면 이는 세계 중의 일 부로 만들어진 건물이 되는 것이다 . "      - 다니엘 리베스킨트 낙천주의 예술가 중에서
  • 2. 1946 ; 폴란드 로지 태생 1957 ; 이스라엘 이주 1960 ; 미국 이주 1965 ; 미국 시민권 취득 후 뉴욕 쿠퍼 유니온 학교에서 건축 수학 1975 - 1977 ; 런던 건축협회학교 강의 1978 - 1985 ; 미시건 크랜브룩미술대학 학장 1986 - 1988 ; 밀라노에 세계 공간건축연구소 설립 1989 ; 뉴욕 현대미술관의 해체주의 건축전 전시 . 유태인 박물관 현상 당선 . 베를린 이주 1994 ; LA 대학 교수 초빙 1998 ; Felix-Nussbaum-Haus [Berlin / Germany] 1999 ; 유태인 박물관 [Berlin / Germany] 2001 ; London Metropolitan University post Graduate center [London /England] 2002 ; Imperial WarMuseum [Manchester / England] 2003 ; Studio Weil [San Carlos / Spain] 2005 - ; Extension to The Denver Art Museum [Denver / USA] 2006 - ; Extension to the Victoria & Albert Museum [London / England]   Daniel Libeskind
  • 3. 리베스킨트의 건축 형태는 질서와 혼돈의 양상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으며 , 전체 구성에서는 질서를 파기하고 무질서한 것에 질서를 다시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즉 , 예술과 역사 , 외부와 내부 , 미로와 발견 등의 대립되는 내용을 번안하여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공간들을 밀착시켜 조화를 이루게 된다 . 또한 내부적 통합 , 연속성 , 기하학적 체계 등을 통해 혼돈 속의 질서를 추구하고 있다 .   이중성의 표현 - 리베스킨트는 이중성을 표현하기 위해 선과 축 , 면 , 형태의 중첩을 사용한다 . 주로 날카로운 예각으로 중첩되는 축을 사용함으로써 강렬한 형태적 이미지를 구축한다 .   무중력의 표현 - 리베스킨트의 무중력 표현은 주로 형태의 잘려나감과 일부분의 확장으로 나타난다 . 사각박스의 일부분을 확장하여 강력한 예각을 돌출시키거나 중첩시킨 공간에서 개구부나 벽의 기울어짐 등으로 표현한다 .   불확정한 개방성의 표현 - 리베스킨트 건축에서 불확정한 개방성은 스케일 링을 차용하여 표현한다 .   Daniel Libeskind
  • 4. Extension to the Denver Art Museum (Denver/USA) 비행기를 타고 덴버상공을 지나다 내려다본 전경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 비행기 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을 형상화하고 계곡과 고원 으로 번갈아 이어지며 숨이 멎을 만큼 웅장한 경관을 이루는 로키산맥의 기암절벽이 그의 이번 작품을 있게 한 것이다 . Daniel Libeskind
  • 5. JEWISH MUSEUM (Berlin/Germany) 건물외관은 아연판으로 덮여 있고 , 건물의 전체적인 모양은 유태인의 상징문양의 하나인 육각형 별 ( 다윗별 ) 이 기초가 되었다 . 건물의 외장은 유태인 자신들의 학살을 항의라도 하듯 칼로 난도질 당한 것 같으나 그 난도질 당한 것 같으나 그 난도질 당한 칼자국을 통해 내부로 파고드는 햇빛은 내부를 밝히며 전체를 온화하게 감싼다 . 건물 곳곳 에 은유와 상징으로 포장된 인상적인 공간들이 있다 . Daniel Libeskind
  • 6. Graduate Center L.M.U (London/England) 하늘에서 북쪽을 나타내는 표시인 오리온에서 영감을 얻어 개발한 것이다 . 세 개의 건물이 서로 엇갈리게끔 지어졌는데 이는 대중 및 새 빌딩과 그 뒤에 있는 대학의 연결 , 대학에서 지하철 쪽을 향하여 도시로 이어지는 연결 , 홀러 웨이가에 어울리는 새 빌딩 모습이 그것이다 . Daniel Libeskind
  • 7. Glass Courtyard Daniel Libeskind Imperial War Museum North I-Park t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