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식민지 양식.
213140023 곽선미.
Colonial Style.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I n d e x .
1. Colonial 어원.
2. Colonial Style background.
3. 건축 특성과 색채.
4. 실내 인테리어 특성과 색채.
5. 실내 건축 요소.
6. 재료적 특성.
7. 형태적 특성.
8. 식민지 양식의 가구.
9. 식민지 양식의 조명과 장식품.
10. 영화 속 식민지 양식.
11. 식민지 시대 영화.
식민지 시대의 미국의 건축 양식. 영국의 고전주의 양식을
간략화하여 적응시킨 것.
식민지 풍’의 의미로서 19∼20세기에 걸쳐서 유럽의 식민지
시대에 백인들이 선호했던 감각이나 이미지를 가리킨다.
소재는 마직, 목면 등 통풍이 잘되는 것으로 색상은 마직의
자연적인 색상이거나, 흰색, 또는 베이지의 사파리 룩이 그
원형이다. 기능성을 중요시한 딱딱한 디자인이지만 어딘지
모르게 식민지 시대의 우아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풍긴다
해서 colonial이라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Colonial (모발학 사전, 2003.5.22, 광문각)
Colonial 어원
출처 : Pinterest.
C o l o n i a l S t y l e .
식민지의 주민이 모국의 건축을 본떠 세운 건축양식으
로 풍토, 재료, 기술수준, 생활수준의 차이에서 모국의
양식과는 다른 독특한 특색이나 내용을 나타내 보인다.
미국에는 영국계, 네덜란드 계, 스웨덴 계, 프랑스 계,
스페인 계의 각종 콜로니얼 양식이 있으며 오스트레일
리아나 인도에는 영국계의 콜로니얼 양식이 있다.
유럽대륙에는 이태리 르네상스의 우아한 경향이 휩쓸
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680년대 까지 미국은 영국에
전적으로 의존하였으므로 실내는 단순하고 중세적 경
향을 띠었다. 17세기 말에는 상업의 발달로 인도, 스페
인, 동양의 유행이 소개되고 부의 축적으로 편리함과
아름다움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으며 주요 도시가 등
장하고 타운의 성장에 따라 스타일에 있어 매우 강한
지역적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죠지안의 영향으로 좌우 대칭을 보인며, 유럽에 본국을 갖는 식민지에서 본국의 건축 · 공예의 양식을 모방하여 식민지풍으로
한 것. 특히 19세기 미국에서 발달한 건축 · 인테리어의 양식으로, 영국의 영향이 강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콜로니얼 스타일 [colonial style] (용어해설)
출처 : Pinterest.
실내에서는 벽난로가 있는 면에 패널로 마감하였으며 나머지 벽에는
몰딩없이 회칠하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소규모 실내에서는 패널과 세부장식이 더욱 간소하여졌으며 거의 장식
이 없는 상태에 실내 건축적 요소들은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졌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STAIRS.
계단은 간단한 사다리 형태로 다락방을 오르는데 사용되
었다. 식민지 시기에는 박스 형태의 나선 계단으로 발전
하였으나 아직까지 원형 계단의 사용은 드물었다. 난간
기둥은 죠지안의 영향으로 3종의 돌려깎기 조각을 반복
하여 설치하는 디자인이 독특하였으며 손잡이와 계단 가
장자리를 정교하게 조각하였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WINDOW & DOOR.
식 민지 초기에 소형 주택의 현관문은 수평으로 상을 댄 평범한 문이었으며 나무나
철로 단순하게 만들어 졌다.18세기 들어서는 몰딩으로 장식한 패널의 문으로 발전하
였다.
초기 주택에는 크기가 매우 작고 수도 적었으며 비대칭으로 배치되었다 창문에는 나
무로 만든 셔터를 내부나 외부에 설치하였다.
18세기 후반에는 죠지안 양식의 영향을 받아 새시창문이 설치되었으며 점차 수도 증
가하고 균형을 이루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마감재로는 왼쪽 상단부터 실크, 다마스크, 새틴, 브로케이드의 견직물과 면종류인 타프타 그밖에 머슬린, 홈스
펀 등의 수입재료가 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초기 북미 스타일의 패턴으로는 체크, 선이나 꽃가지를 그린 문양이 사용되었다. 대저택의 실내에는 이와 같은 패턴의 간소한
형태의 커튼을 설치하였고 나무봉에 걸어 장식술로 장식하였다.
18세기 북미에 주로 사용된 실내 색채는 자극적이고 활기 넘치는 색채 사용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실내의 자극적인 색채가
벽과 천장에 강한 대비를 주지 않도록 몰딩과 패널을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황갈색, 탁한 붉은색, 엷은 회색계열,
갈색과 노란색은 이시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색채였다.
벽의 장식을 위해 스텐실이 사용되었으며 가구에 칠로 마감하였는데 녹색을 바탕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올이 치밀한 자카드직의 천. 같은 올로 짜도 한 쪽 면에는 광택이 있고 다른 면은 어둡게 되어 무늬가 도드라져 보
인다. 원래는 중국산 견직물을 가리켰으나 시리아의 다마스커스를 통해 유럽에 소개되면서부터 이런 명칭이 붙
었다. 두 가지 색을 써서 안팎의 바탕과 무늬가 반대색을 보여주기도 한다. 주로 이브닝 드레스・식탁보 ・커튼 등
에 쓰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다마스크 [Damask] (패션전문자료사전, 1997.8.25, 한국사전연구사)
출처 : Pinterest & 네이버 지식백과 이미지
식민지 시대 벽지는 매우 고가이었다. 고전양식의 모티브를 그린 파노라마식 패턴이 유행하였고 프랑
스와 영국에서 유입된 중국풍의 디자인이 많이 사용되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식민지의 전통적인 인테리어나 가구디자인의 발전과는 고립된 상태에서 오늘날 주목되고 있
는 것이 쉐이커(Shaker)교도가 제작한 극히 소박한 가구이다. 18세기말부터 19세기초에 걸쳐
서 쉐이커들이 제작한 가구는 일체의 외면적 장식을 배제하여 실용적 기능에 근거한 직선구성
에 의한 단순한 형태의 것이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보스톤”타입, 등받이가 사닥다리 모양으로된 의자, 화살형 등받이 의자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특한
미국식 윈저 의자가 대표적이다. 이 윈저 의자는 등받이가 물레 가락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직선적인 형태를 띠었
으나 둥근 조각 장식을 첨가해 안락함과 우아함으로 나타내었다.
효용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졌고 성장하면서 취향이 반영된 독특한 지역 특성의 가구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예로 뚜껑 달린 대형 궤 인체스트 등이 있다. 주로 펜실바니아의 독일 이주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며 표면에 양
식화된 튤립이 조각되었다.
식민지 양식 가구는 처음에 영국의 영향으로 고딕양식의 단순하고 수직형의 가구로 제작되었다. 의자는 돌려깎
기로 조각되고 테이블은 버팀다리 혓태의 구조적으로 튼튼한 가구이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마호가니는 이시기 대표적인 재료이었고 뉴 잉글랜드 지방의 벗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단풍나무과 호두나무 등 지역에
서 나는 재료들로 가구가 제작되엇다. 유럽으로 부터의 숙련된 공예가의 유입과 패턴북에 의한 디자인 보급으로 가구 제
조업은 빠르게 필라델피아, 보스톤과 찰스톤 등의 도시를 중심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북미의 조명으로 사용된 촛대는 작은 원반이 있는 스탠드형과 삼각대
받침을 갖는 형태가 많았다.
대부분의 조명 디자인은 소박하고 장식없이 단순한 구조를 가졌으며
기능적이었다. 그러므로 샨데리어에 있어서도 간단하게 철로 마감한
독일 스타일의 샨테리어가 자주 사용되었고 주철로 만든 벽 부착형
촛대는 중심기둥이 목재로 만들어지는 것과 같이 소박한 자연미를 주
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우승컵은 식민지 양식의 실내에 독특한 특색을 나타내주는 장식품이었다. 양식과
조화를 이루는 그 밖의 장식물로는 투박한 도자기, 나무로 만든 움푹한 그릇, 수공
예품과 같은 정통적 장식품과 프랑스의 도자기와 영국의 은그릇 같은 18세기 치펜
데일 스타일의 실내에 적합한 장식품들이 있다. 또, 벽난로 앞의 화이어 보드나 의
자 좌판에 아름답게 수 놓은 직물을 사용하였고 집에서 만든 퀼트 패취 워크도 장
식품으로 사용하였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한 ‘오만과 편견’
1813년도 ‘제인 오스틴‘ 소설의 원작으로 2006년 3월
조 라이트 감독에 의해 영화로 제작되었다.
아름답고 매력적인 '엘리자베스’는 사랑하는 사람과
의 결혼을 믿는 자존심 강하고 영리한 소녀. 좋은 신
랑감에게 다섯 딸들을 시집 보내는 것을 남은 인생
의 목표로 생각하는 극성스러운 어머니와 자식들을
극진히 사랑하는 너그러운 아버지와 함께 화기애애
한 '베넷가(家)'의 다섯 자매 중 둘째이다.
조용한 시골에 부유하고 명망있는 가문의 신사 '빙
리'와 그의 친구 '다아시(매튜 맥파든)'가 여름 동안
대저택에 머물게 되고, 대저택에서 열리는 댄스 파
티에서 처음 만난 '엘리자베스'와 '다아시'는 서로에
게 눈을 떼지 못한다. 하지만 자존심 강한 '엘리자베
스'와 무뚝뚝한 '다아시'는 만날 때 마다 서로에게 속
마음을 드러내지 않고 사랑의 줄다리기를 하는데, '
다아시'는 아름답고 지적인 그녀의 매력에 점점 빠
져들고 폭우가 쏟아지는 날, 비바람이 몰아치는 언
덕에서 가슴 속 깊은 곳에 담아둔 뜨거운 사랑을 그
녀에게 고백한다.
출처 : 네이버 영화 줄거리.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rowasang/220136321515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rowasang/220136321515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rowasang/220136321515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rowasang/220136321515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Post modernism
Post modernismPost modernism
Post modernism
ljh1993320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예담 설
 
Colonial candle product 2
Colonial candle product 2Colonial candle product 2
Colonial candle product 2
Everymarket Eric
 
데코
데코데코
데코suel87
 
인테리어 고려사항 마인드맵(mindmap)
인테리어 고려사항 마인드맵(mindmap)인테리어 고려사항 마인드맵(mindmap)
인테리어 고려사항 마인드맵(mindmap)
Lee Jihoon
 
Cross country pipeline _Telecom_Instrumentation and SCADA
Cross country pipeline _Telecom_Instrumentation and SCADACross country pipeline _Telecom_Instrumentation and SCADA
Cross country pipeline _Telecom_Instrumentation and SCADA
Rakesh Ujjawal
 
엠파이어빅토리아 211140055설예담211140063조수아
엠파이어빅토리아 211140055설예담211140063조수아엠파이어빅토리아 211140055설예담211140063조수아
엠파이어빅토리아 211140055설예담211140063조수아Su A Jo
 
새로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1분리형일체형테이블
새로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1분리형일체형테이블새로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1분리형일체형테이블
새로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1분리형일체형테이블Gordon Lee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민지 강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younj
 
조수연 포스트모더니즘 PPT
조수연 포스트모더니즘 PPT조수연 포스트모더니즘 PPT
조수연 포스트모더니즘 PPT
Cho Soo yeon
 
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
LeeNael
 
213140012 황미현
213140012 황미현213140012 황미현
213140012 황미현
mihyun1008
 
보나베띠 인테리어 (Neo con)
보나베띠 인테리어 (Neo con)보나베띠 인테리어 (Neo con)
보나베띠 인테리어 (Neo con)
영동 권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아선 최
 
1410883 정희진
1410883 정희진1410883 정희진
1410883 정희진
희진 정
 
시에프와 타이포 피티 최종
시에프와 타이포 피티 최종시에프와 타이포 피티 최종
시에프와 타이포 피티 최종Young Ok Joeng
 
الشعلة الخامسة-..-ميال..ميال-..1988
الشعلة الخامسة-..-ميال..ميال-..1988الشعلة الخامسة-..-ميال..ميال-..1988
الشعلة الخامسة-..-ميال..ميال-..1988
Mahmoud Elfeky
 

Viewers also liked (19)

Post modernism
Post modernismPost modernism
Post modernism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211140055설예담_인테리어데코레이션
 
Colonial candle product 2
Colonial candle product 2Colonial candle product 2
Colonial candle product 2
 
데코
데코데코
데코
 
인테리어 고려사항 마인드맵(mindmap)
인테리어 고려사항 마인드맵(mindmap)인테리어 고려사항 마인드맵(mindmap)
인테리어 고려사항 마인드맵(mindmap)
 
App-attadaegi?
App-attadaegi?App-attadaegi?
App-attadaegi?
 
Cross country pipeline _Telecom_Instrumentation and SCADA
Cross country pipeline _Telecom_Instrumentation and SCADACross country pipeline _Telecom_Instrumentation and SCADA
Cross country pipeline _Telecom_Instrumentation and SCADA
 
엠파이어빅토리아 211140055설예담211140063조수아
엠파이어빅토리아 211140055설예담211140063조수아엠파이어빅토리아 211140055설예담211140063조수아
엠파이어빅토리아 211140055설예담211140063조수아
 
새로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1분리형일체형테이블
새로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1분리형일체형테이블새로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1분리형일체형테이블
새로쓴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1분리형일체형테이블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2313140025 강민지 포스트모더니즘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213140010 박윤정 213140014 노채림
 
조수연 포스트모더니즘 PPT
조수연 포스트모더니즘 PPT조수연 포스트모더니즘 PPT
조수연 포스트모더니즘 PPT
 
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210140048이나엘
210140048이나엘
 
213140012 황미현
213140012 황미현213140012 황미현
213140012 황미현
 
보나베띠 인테리어 (Neo con)
보나베띠 인테리어 (Neo con)보나베띠 인테리어 (Neo con)
보나베띠 인테리어 (Neo con)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색채학 기말발표 계획
 
1410883 정희진
1410883 정희진1410883 정희진
1410883 정희진
 
시에프와 타이포 피티 최종
시에프와 타이포 피티 최종시에프와 타이포 피티 최종
시에프와 타이포 피티 최종
 
الشعلة الخامسة-..-ميال..ميال-..1988
الشعلة الخامسة-..-ميال..ميال-..1988الشعلة الخامسة-..-ميال..ميال-..1988
الشعلة الخامسة-..-ميال..ميال-..1988
 

213140023 곽선미 인테리어데코레이션

  • 1. 식민지 양식. 213140023 곽선미. Colonial Style.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 2. I n d e x . 1. Colonial 어원. 2. Colonial Style background. 3. 건축 특성과 색채. 4. 실내 인테리어 특성과 색채. 5. 실내 건축 요소. 6. 재료적 특성. 7. 형태적 특성. 8. 식민지 양식의 가구. 9. 식민지 양식의 조명과 장식품. 10. 영화 속 식민지 양식. 11. 식민지 시대 영화.
  • 3. 식민지 시대의 미국의 건축 양식. 영국의 고전주의 양식을 간략화하여 적응시킨 것. 식민지 풍’의 의미로서 19∼20세기에 걸쳐서 유럽의 식민지 시대에 백인들이 선호했던 감각이나 이미지를 가리킨다. 소재는 마직, 목면 등 통풍이 잘되는 것으로 색상은 마직의 자연적인 색상이거나, 흰색, 또는 베이지의 사파리 룩이 그 원형이다. 기능성을 중요시한 딱딱한 디자인이지만 어딘지 모르게 식민지 시대의 우아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풍긴다 해서 colonial이라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Colonial (모발학 사전, 2003.5.22, 광문각) Colonial 어원 출처 : Pinterest.
  • 4. C o l o n i a l S t y l e . 식민지의 주민이 모국의 건축을 본떠 세운 건축양식으 로 풍토, 재료, 기술수준, 생활수준의 차이에서 모국의 양식과는 다른 독특한 특색이나 내용을 나타내 보인다. 미국에는 영국계, 네덜란드 계, 스웨덴 계, 프랑스 계, 스페인 계의 각종 콜로니얼 양식이 있으며 오스트레일 리아나 인도에는 영국계의 콜로니얼 양식이 있다. 유럽대륙에는 이태리 르네상스의 우아한 경향이 휩쓸 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680년대 까지 미국은 영국에 전적으로 의존하였으므로 실내는 단순하고 중세적 경 향을 띠었다. 17세기 말에는 상업의 발달로 인도, 스페 인, 동양의 유행이 소개되고 부의 축적으로 편리함과 아름다움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였으며 주요 도시가 등 장하고 타운의 성장에 따라 스타일에 있어 매우 강한 지역적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5. 죠지안의 영향으로 좌우 대칭을 보인며, 유럽에 본국을 갖는 식민지에서 본국의 건축 · 공예의 양식을 모방하여 식민지풍으로 한 것. 특히 19세기 미국에서 발달한 건축 · 인테리어의 양식으로, 영국의 영향이 강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콜로니얼 스타일 [colonial style] (용어해설) 출처 : Pinterest.
  • 6. 실내에서는 벽난로가 있는 면에 패널로 마감하였으며 나머지 벽에는 몰딩없이 회칠하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소규모 실내에서는 패널과 세부장식이 더욱 간소하여졌으며 거의 장식 이 없는 상태에 실내 건축적 요소들은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졌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7. STAIRS. 계단은 간단한 사다리 형태로 다락방을 오르는데 사용되 었다. 식민지 시기에는 박스 형태의 나선 계단으로 발전 하였으나 아직까지 원형 계단의 사용은 드물었다. 난간 기둥은 죠지안의 영향으로 3종의 돌려깎기 조각을 반복 하여 설치하는 디자인이 독특하였으며 손잡이와 계단 가 장자리를 정교하게 조각하였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WINDOW & DOOR. 식 민지 초기에 소형 주택의 현관문은 수평으로 상을 댄 평범한 문이었으며 나무나 철로 단순하게 만들어 졌다.18세기 들어서는 몰딩으로 장식한 패널의 문으로 발전하 였다. 초기 주택에는 크기가 매우 작고 수도 적었으며 비대칭으로 배치되었다 창문에는 나 무로 만든 셔터를 내부나 외부에 설치하였다. 18세기 후반에는 죠지안 양식의 영향을 받아 새시창문이 설치되었으며 점차 수도 증 가하고 균형을 이루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 8. 마감재로는 왼쪽 상단부터 실크, 다마스크, 새틴, 브로케이드의 견직물과 면종류인 타프타 그밖에 머슬린, 홈스 펀 등의 수입재료가 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9. 초기 북미 스타일의 패턴으로는 체크, 선이나 꽃가지를 그린 문양이 사용되었다. 대저택의 실내에는 이와 같은 패턴의 간소한 형태의 커튼을 설치하였고 나무봉에 걸어 장식술로 장식하였다. 18세기 북미에 주로 사용된 실내 색채는 자극적이고 활기 넘치는 색채 사용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실내의 자극적인 색채가 벽과 천장에 강한 대비를 주지 않도록 몰딩과 패널을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황갈색, 탁한 붉은색, 엷은 회색계열, 갈색과 노란색은 이시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색채였다. 벽의 장식을 위해 스텐실이 사용되었으며 가구에 칠로 마감하였는데 녹색을 바탕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 10. 올이 치밀한 자카드직의 천. 같은 올로 짜도 한 쪽 면에는 광택이 있고 다른 면은 어둡게 되어 무늬가 도드라져 보 인다. 원래는 중국산 견직물을 가리켰으나 시리아의 다마스커스를 통해 유럽에 소개되면서부터 이런 명칭이 붙 었다. 두 가지 색을 써서 안팎의 바탕과 무늬가 반대색을 보여주기도 한다. 주로 이브닝 드레스・식탁보 ・커튼 등 에 쓰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다마스크 [Damask] (패션전문자료사전, 1997.8.25, 한국사전연구사) 출처 : Pinterest & 네이버 지식백과 이미지
  • 11. 식민지 시대 벽지는 매우 고가이었다. 고전양식의 모티브를 그린 파노라마식 패턴이 유행하였고 프랑 스와 영국에서 유입된 중국풍의 디자인이 많이 사용되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 12. 식민지의 전통적인 인테리어나 가구디자인의 발전과는 고립된 상태에서 오늘날 주목되고 있 는 것이 쉐이커(Shaker)교도가 제작한 극히 소박한 가구이다. 18세기말부터 19세기초에 걸쳐 서 쉐이커들이 제작한 가구는 일체의 외면적 장식을 배제하여 실용적 기능에 근거한 직선구성 에 의한 단순한 형태의 것이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13. “보스톤”타입, 등받이가 사닥다리 모양으로된 의자, 화살형 등받이 의자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특한 미국식 윈저 의자가 대표적이다. 이 윈저 의자는 등받이가 물레 가락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직선적인 형태를 띠었 으나 둥근 조각 장식을 첨가해 안락함과 우아함으로 나타내었다. 효용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졌고 성장하면서 취향이 반영된 독특한 지역 특성의 가구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예로 뚜껑 달린 대형 궤 인체스트 등이 있다. 주로 펜실바니아의 독일 이주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며 표면에 양 식화된 튤립이 조각되었다. 식민지 양식 가구는 처음에 영국의 영향으로 고딕양식의 단순하고 수직형의 가구로 제작되었다. 의자는 돌려깎 기로 조각되고 테이블은 버팀다리 혓태의 구조적으로 튼튼한 가구이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14. 마호가니는 이시기 대표적인 재료이었고 뉴 잉글랜드 지방의 벗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단풍나무과 호두나무 등 지역에 서 나는 재료들로 가구가 제작되엇다. 유럽으로 부터의 숙련된 공예가의 유입과 패턴북에 의한 디자인 보급으로 가구 제 조업은 빠르게 필라델피아, 보스톤과 찰스톤 등의 도시를 중심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 15. 북미의 조명으로 사용된 촛대는 작은 원반이 있는 스탠드형과 삼각대 받침을 갖는 형태가 많았다. 대부분의 조명 디자인은 소박하고 장식없이 단순한 구조를 가졌으며 기능적이었다. 그러므로 샨데리어에 있어서도 간단하게 철로 마감한 독일 스타일의 샨테리어가 자주 사용되었고 주철로 만든 벽 부착형 촛대는 중심기둥이 목재로 만들어지는 것과 같이 소박한 자연미를 주 었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출처 : Pinterest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 16. 우승컵은 식민지 양식의 실내에 독특한 특색을 나타내주는 장식품이었다. 양식과 조화를 이루는 그 밖의 장식물로는 투박한 도자기, 나무로 만든 움푹한 그릇, 수공 예품과 같은 정통적 장식품과 프랑스의 도자기와 영국의 은그릇 같은 18세기 치펜 데일 스타일의 실내에 적합한 장식품들이 있다. 또, 벽난로 앞의 화이어 보드나 의 자 좌판에 아름답게 수 놓은 직물을 사용하였고 집에서 만든 퀼트 패취 워크도 장 식품으로 사용하였다. 출처 : 서양주택과 실내양식 (책)
  • 17.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한 ‘오만과 편견’ 1813년도 ‘제인 오스틴‘ 소설의 원작으로 2006년 3월 조 라이트 감독에 의해 영화로 제작되었다. 아름답고 매력적인 '엘리자베스’는 사랑하는 사람과 의 결혼을 믿는 자존심 강하고 영리한 소녀. 좋은 신 랑감에게 다섯 딸들을 시집 보내는 것을 남은 인생 의 목표로 생각하는 극성스러운 어머니와 자식들을 극진히 사랑하는 너그러운 아버지와 함께 화기애애 한 '베넷가(家)'의 다섯 자매 중 둘째이다. 조용한 시골에 부유하고 명망있는 가문의 신사 '빙 리'와 그의 친구 '다아시(매튜 맥파든)'가 여름 동안 대저택에 머물게 되고, 대저택에서 열리는 댄스 파 티에서 처음 만난 '엘리자베스'와 '다아시'는 서로에 게 눈을 떼지 못한다. 하지만 자존심 강한 '엘리자베 스'와 무뚝뚝한 '다아시'는 만날 때 마다 서로에게 속 마음을 드러내지 않고 사랑의 줄다리기를 하는데, ' 다아시'는 아름답고 지적인 그녀의 매력에 점점 빠 져들고 폭우가 쏟아지는 날, 비바람이 몰아치는 언 덕에서 가슴 속 깊은 곳에 담아둔 뜨거운 사랑을 그 녀에게 고백한다. 출처 : 네이버 영화 줄거리.
  • 18.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rowasang/220136321515
  • 19.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rowasang/220136321515
  • 20.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rowasang/220136321515
  • 21. 출처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krowasang/220136321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