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5년도 제5차 조합원 정기총회
空動體恩行 貧樂
Commune Bank BINGO
일시 : 2015년 3월 7일 토요일 오후 3시
장소 : 까페해방촌 빈가게
자료집 차례
자료집 차례 2
총회 식순 3
들어가며 – 좌파곰 3인의 대표활동 소감 4
공동체은행 빈고 걸어온 길 5
전 회의록 검토 7
2014년도 활동보고 9
2014년도 사업평가 18
2014년도 결산(안) 19
2014년도 잉여금처분(안) 21
2015년도 사업계획(안) 22
2015년도 조직구성(안) 및 임원구성(안) 29
2015년도 예산(안) 30
기타 안건 31
2014년도 결산보고서 32
2
총회 식순
1부 : 사전행사
1. 빈고 OX퀴즈
2. 2014 빈고 활동 보기
3. 시상식
2부 : 본회의
1. 성원확인 및 보고
2. 개회선언
3. 의사일정 확정 및 서기 선임
4. 안건채택
5. 전 회의록 승인
6. 안건심의
제1호의 안. 2014년도 활동보고 및 평가
제2호의 안. 2014년도 결산(안) 및 잉여금처분(안)
제3호의 안. 2014년도 감사보고
제4호의 안. 2015년도 사업계획(안)
제5호의 안. 2015년도 조직구성(안) 및 임원구성(안)
제6호의 안. 2015년도 예산(안)
7. 기타 안건
8. 폐회 선언
3부 : 저녁 식사 및 뒤풀이
3
들어가며
좌파곰 3인의 대표활동 소감
헤어나올 수 없는 매력의 소유자 – 곰자
2013년 해방촌 마을 아카이빙 활동을 하면서 빈고를 알게 됐다. 빈고에 관심은 있었으나 조합원 교육을 한 번 들어도 뭘 하는 곳인지는
알 수가 없었다. 그래도 어떤 곳인지 궁금해 2014년에 빈고활동에 참여하고 싶다고 얘기했는데 덜컥 대표를 맡게 됐다. 빈고 총회를 앞두
고 빈고 운영에 대한 설명을 열 번을 들어도 도대체 빈고 구조가 어떤지 파악이 안 됐다. 두 달 동안 한 10번 정도 들으니 간신히 알게 됐
고 1년 동안 활동하니 이제야 조금 빈고 구조와 활동이 파악됐다. 이 의미는 빈고는 그만큼 운영자가 단독으로 일을 진행하는 구조가 아
니라 조합원과 공동체 활동가 모두가 합의하에 하나씩 일을 해나가는 구조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그 안에서 나는 우리가 상투적으로
말하던 ‘반자본’과 ‘공동체정신’에 대해 배우게 됐다.
조합원모임에 사람이 없을 때, 일이 몰려들 때 힘들다고 느낀 적도 있었다. 하지만 언제나 즐겁게 빈고운영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좌인,
오디, 파스 등 공동대표와 상임 활동가가 내 부족한 면을 채워주고 이해해줬으며 공동체 활동가들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며 빈고활
동을 함께 해줬기 때문이다. 다른 활동을 할 때 나는 항상 내 부족한 면에 초점을 맞추며 괴로워했는데 빈고활동에서는 내가 잘할 수 있는
면에 초점을 맞춰 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 잘하는 것이 별로 없는데 대표에 이어 올해는 덜컥 상임 활동가를 맡게 됐다. 부담이 크지
만, 같이 잘 해내 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어설프게 시작했던 재무상담이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올해는 재무상담을 확대해 상임 활동가로서 재무설계 워크숍도 진행하고 조합원들
과의 소통에도 좀 더 신경 쓰려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조합원의 참여로 가능하니 적극 조합원들에게 손을 내밀려고 한다. 함께 해주
시길.
자칭 빈고 대표 페이스를 주장하는 - 파스
2013년 초 빈마을에 처음 왔을 때 낯설고도 신기한 경험이었는데 내가 여기서 빈고 대표까지 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었다. 내가 하고
싶은 것도 있었고 큰 기대를 한 것 같지는 않으나 나한테 바라던 역할도 있었던 것 같은데 개인적인 사정상 두 군데서 활동하게 되었고 한
군데도 제대로 활동하지 못했던 것 같아 좀 아쉽다. 그래도 빈고에 대해서 그리고 공동체는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하고 공
부할 수 있었던 시간이고 내가 앞으로 살아 자양분이 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나보다 좋은 새로운 대표가 오게 되니 빈고가 좀 더 발전해
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오디의 등쌀을 견뎌내고 곰자의 푼수 질을 받아준 나 자신에게 격려를 보낸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말썽 꾸러미 - 좌인
'여긴 뭐지?' 경계심을 갖고 빈고 운영회의에 기웃거린 지 3년이 됐다. 자본주의 논리가 머릿속에 알알이 들어박힌 데다, 돈이라곤 관심도
없던 나는 이해되지 않는 용어와 가치판단 기준에 어리둥절해 하며 1년을 보냈다. 회의 때마다 머리가 하얘졌던 것 말고는 딱히 기억나는
게 없다.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곤 매월 신협에 쏟아 붓던 적금을 빈고로 옮기는 것뿐이었다. 빈고가 망하면 4년간 모은 내 돈도 날아간다는
생각을 하니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내 돈은 안전한가. 허투루 쓰는 건 아닌가. 상임 활동가는 뭘 숨기려고 말할 때마다 뜸을 들이
나. '우주살림'을 지향하는 포부는 헛소리인가 실체 있는 행동인가. 뭔 회의를 4시간이나 진행하나. 의심하고 불평하다 보니 얼떨결에
2015년 대표조합원까지 맡게 됐다.
내가 한 일은 회의 시간을 줄인 것밖에는 없다.(이것도 좋은 것만은 아니더라) 첫 포부와 달리, 하지 못한(않은) 일들이 너무 많다. 10만 원
도 채 안 되는 돈을 받으며 일해 온 상임 활동가들, 빈고를 믿고 출자한 조합원들, 지혜롭게 이용하고 신뢰를 지키는 이용자들, 모두가 고
마웠다. 지구분담금, 공동체기금, 대출이란 용어를 '이용'으로 변경하는 등 빈고 곳곳에 녹아있는 운영 원칙들이 자랑스러웠다.
빈고의 자산은 서울에서 4인 가족 전셋집 구하기도 어려운 규모다. 그래도 공유지 10곳이(누적-약 25곳) 만들어지는 데 힘을 보탰고, 수
많은 관계망이 형성됐다. 빈고 그리고 빈고와 같은 은행들이 전국으로 퍼져나가면 어떤 가능성이 펼쳐질까? 가난한 이들이 서로 연대하
여 넉넉하고 풍요로운 삶의 터전들을 크게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빈고 활동에 긴밀하게 간섭하는 조합원들이 많아지면 좋겠다. 특히 같
이 해 준 대표들과 상임 활동가 오디에게 특별한 애정을 전한다.
4
공동체은행 빈고 걸어온 길
2008년 02월 21일 해방촌 게스츠하우스 빈집 시작. 빈집들이.
11월 윗집 시작.
2009년 02월 옆집 시작.
03월 가파른집 시작.
03월 빈마을회의 시작.
05월 빈마을금고 논의 시작.
08월 ~ 10월 참길음집.
09년 10월 빈농집 시작.
2010년 02월 앞집 시작. 윗집 정리.
05월 빈집 1차 재배치 – 사다리타기
05월 빈마을금고 창립준비위원회 시작.
06월 27일 우주살림협동조합 빈고 시작.
10월 빈집 2차 재배치 - 조정위원회
10월 빈가게 공동체 공간이용.
11월 하늘집 공동체 공간이용.
2011년 03월 빈고 1차 총회.
04월 가파른집 정리.
05월 빈집 3차 재배치 – 테마집.
05월 공부집 공동체 공간이용.
05월 팔당집 시작.
09월 빈마을 집사회의 시작.
2012년 01월 만행 해방촌 행간 공동체 공간이용.
02월 빈가게 정리 및 이전. 까페해방촌 공동체 공간이용.
02월 아랫집 아듀파티. 해방채와 계단집으로 나눠서 공동체 공간이용.
03월 빈고 2차 총회
04월 ~ 10월 빈집회계 분리
05월 낭만집 정리. 작은집 공동체 공간이용.
08월 청주 공룡 공동체 공간이용.
08월 살림집 공동체 공간이용.
11월 해방채 정리
11월 해방촌연구소, 구름집 공동체 공간이용.
11월 마실집, 옥상집 시작
12월 수유너머R 해방촌 공동체 공간이용.
2013년 01월 빈고 총회준비위원회 활동.
03월 빈고 3차 총회.
07월 해방촌민박 공동체 공간이용.
07월 빈고 상임 활동가회의 시작
09월 마실집 공동체 공간이용.
10월 모두들 활동가 회의 참가.
12월 공룡 새 공간으로 이전.
5
2014년 02월 해방촌연구소 + 해방촌민박 → 사랑채 변경.
02월 부천 모두들 공동체 공간이용.
02월 부산 잘자리집 공동체 공간이용.
03월 빈고 4차 총회.
04월 더 스페이스 시작.
04월 마실집 공동체공간 추가이용.
06월 구름집 공동체공간 추가이용.
06월 작은집 정리.
11월 인천 비행 공동체 공간이용.
2015년 02월 마실집 정리.
03월 빈고 5차 총회.
6
전 회의록 검토
우주살림협동조합 빈고 (공동체은행 빈고) 2014년도 제4차 조합원 정기총회
- 일시: 2014년 3월 1일 토요일 오후 3시
- 장소: 까페해방촌 빈가게
- 참석자: 총 57명 (의결권 29명 / 위임 31)
사회: 좌인 / 서기: 정민 / 사진: 오디, 우더
1부. 사전행사
1. 빈고 소개 PPT 발표
2. 공동체활동 소개
1. 해방촌 빈집 발표
2. 부산 빈집 발표
3. 청주 공룡 발표
4. 부천 모두들 발표
3. 축하공연
1. 악단네마리 공연 – 해방촌 조합원
2. 혼양 공연 – 부산 빈집
3. 오재환 – 청주생활교육공동체 공룡
4. 조합원 빙고 게임
2부. 본회의
1. 2013년도 활동보고 및 평가 (지음 / 파스)
: 원안대로 승인
2. 2013년도 결산(안) (지음)
: 원안대로 승인
3. 2013년도 감사(안) (테아)
: 원안대로 승인
4. 2013년도 잉여금처분(안)
: <2안 지구분담금 보강안> 결정
출자지지금 19.0%
공동체기금 19.0%
지구분담금 19.0%
활동가기금 3.0%
빈고적립금 40.1%
5. 2014년도 사업계획(안)
: 원안대로 승인
7
6. 2014년도 조직구성(안) 및 임원구성(안)
1.조직구성
1. 총회 : 연 1회
2. 활동가회의 : 월 2회
- 운영회의 : 월 1회 (매달 두 번째 월요일)
- 연구모임 : 월 1회 (매달 네 번째 월요일)
3. 상임 활동가회의 : 주 1회 (대표활동가 + 상임 활동가)
4. 지역연대회의 : 두 달에 1회
5. 조합원 소모임
2. 임원구성
1. 공동대표
좌인(사랑채, 현 대표) - 운영회의
파스(살림집, 살림집 활동가) - 연구모임
곰자(사랑채, 사랑채 활동가) – 상임 활동가회의
2. 상임 활동가
오디(구름집, 현 상임 활동가)
3. 공동체활동가
자유(넓은집), 정민(까페해방촌), 종민(공룡), 하람(구름집), 매콩(마실집), 땡땡(모두들),
테아(옥상집), 돌고래(맛집), 시오(우리집), 파스(살림집), 곰자(사랑채) 이상 11명
4. 감사
지음(현 상임 활동가), 말랴(전 옆집)
7. 2014년도 예산(안)
: 원안대로 승인
8. 조합 명칭 변경(안)
- 부결
- 제 의결
: 온라인상에서 의견수렴 및 사전설명 과정 추진 (2개월 내 마무리)
9. 조합원 규정 변경(안)
: 원안대로 승인
8
2014년도 활동보고
1. 일반현황
2. 조합원 현황
1. 신입 조합원 (61명)
2. 탈퇴 조합원 : 4명
3. 전체 조합원 명단
9
월 사람수 신입조합원
1 월 6 명
2 월 10 명
3 월 12 명
4 월 3 명
5 월 4 명
6 월 5 명
7 월 3 명
8 월 2 명
9 월 1 명 이능금
10 월 8 명
11 월 1 명 여린두발
12 월 6 명
전체
유월,지비,느루,김민정,신비,종민
찰스,혼양,이랑,부깽,이름,서원,피터,윤우,산들,들불
노상,박승옥,그링,김두겁,장아리,김연두,빙거,루쓰,오경주,김유숙,소다수,김기수
김기민,양수정,김선희
태양열,한돌,홍,김하운
유동,이재연,활쑨,아리데,틈
렐라,형석,뚜비두
슉슉,지후
저니,파파장,우루,라일락,오렌지,하밍,황채연,키키
고은,샘,김동섭,풀,초록,무심
61 명
말랴 존도우 섬 노랑사 곤조 치실 돌고래 학봉 정민모 루쓰 이능금
지음 덕산 들깨 나루 오미옥 메이린 테라 한솔 지비 오경주 저니
살구 라브 잔잔 이경 규섭 눈 감언니 개미 민정 김유숙 파파장
양군 지선 모모 짱돌 인철 로보 베로 땡땡 느루 소다수 우루
곤룡 희공 나마스떼 체 고유 그림 파스 순대 종민 김기수 라일락
복돌이 봄날 김환수 봉봉 준 나무 멍구 그래 찰스 김기민 오렌지
지각생 홍진 공룡나비 참새 두부 하람 김샛별 삐요 혼양 양수정 하밍
승욱 디디 석류 레미 좌인 모기 멍 어무녕 이랑 김선희 황채연
달군 함피 우더 청하 위어도 연금 부깽 태양열 키키
디온 라봉 사포 크트 죠스 해씨 녹갱이 카야 이름 한돌 여린두발
자주 가리 아침 쐐기 소연 덴마 정민 곰자 서원 홍 고은
깜찍이 동글이 날맹 숲이아 유농 주노정 최효정 머털 피터 김하운 샘
슈아 게름 염 칡 경목 그름 윤자 비비 윤우 유동 김동섭
연두 샛별 쌩쌩 이음 화림 김삼권 자유 보스 산들 이재연 풀
몽애 코살라 다홍 현민 유선 이수희 병민 제임스본드 들불 활쑨 초록
이발사 시금치 오디 탱탱 화니짱 임명희 말랑 죠죠 노상 아리데 무심
잇을 가온 최송 주영 산하 아리 도담 두물 박승옥 틈
미나 겨울 우중산책 못조 메뤼 러니 찬 가제트 그링 렐라
데반 노래 광대 쿠우 하루 멍니 지원 사티 김두겁 형석
켄짱 이건의 기보 파이 보선 성재 선민 안진구 장아리 뚜비두
우마 김이봄 소윤 김냉 영은 현수영 최그림 신 김연두 슉슉
제프 이슷 숨 사사 테아 정애 강가 하지메 빙거 지후
미스터리L 돌~
당기 증감
조합원수 133%
출자총액 135,530,000 111,900,000 90,950,000 130,830,000 128,860,000 1,970,000 98%
자산총액 330,315,818 275,100,589 208,083,728 219,444,876 254,228,021 34,783,145 116%
41% 41% 44% 60% 51%
평균출자금 3,662,973 1,271,591 745,492 756,243 560,261
(단위 : 원)
1기 2기 3기 4기 5기 당기/전기
37 명 88 명 122 명 173 명 230 명 57 명
출자/자산
3. 공동체 현황
(이용금 단위 : 만 원)
4. 조합운영 현황
1. 활동가
1. 공동체활동가(총회 선임) : 자유, 정민, 종민, 하람, 매콩, 땡땡, 테아, 돌고래, 시오, 파스, 곰자 (이상 11명)
2. 공동체활동가 교체/추가 : 정민(켄짱), 매콩(몽애), 땡땡(그링), 하람(한돌)
3. 총회준비위 참가 : 좌인, 곰자, 파스, 오디, 정민, 부깽
2. 대표활동가 (공동대표)
1. 좌인(운영회의), 파스(연구모임), 곰자(상임 활동가회의)
3. 상임 활동가
1. 오디(1월~현재)
4. 감사
1. 지음, 말랴
10
순서 집 이용금 계약책임자 등
1 넓은집 1,000
2 까페해방촌 2,000 연장
3 작은집 1,000 해지
4 살림집 2,000 연장
5 구름집 2,000 전환 연장
6 해방촌연구소 2,000 사랑채 연장
7 마실집 2,000 전환 해지
8 해방촌민박 1,500 사랑채
9 공룡 새공간 1,500 계약
10 사랑채 3,500 전환
11 부산 잘자리 1,000 계약
12 부천 모두들 1,000 계약
13 2,500 전환
14 인천 비행 2,000 계약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계약
만료
5월 청하, 해씨
지음,살구,켄짱
파스,좌인,지후
오디,우더,나마스떼
지음,살구,크트,경목
주노정, 연두, 산하
우중산책,보선,영은,종민
10월, 6월좌인, 지비, 나마스떼
시오, 혼양. 이랑
땡땡,순대,개미
구름집시즌2 11월 한돌, 글쎄, 오디
아리데, 하밍, 라일락
5. 활동가회의
6. 상임 활동가회의
7. 총회준비위
11
회차 날짜 회차 날짜 회차 날짜 회차 날짜
2014/03/04 2014/06/19 2014/08/29 2014/11/10
2014/03/10 2014/06/27 2014/09/15 2014/11/17
2014/03/31 2014/07/02 2014/09/22 2014/11/25
2014/04/11 2014/07/07 2014/09/29 2014/12/02
2014/04/18 2014/07/14 2014/10/06 2014/12/08
2014/05/01 2014/07/28 2014/10/13 2014/12/15
2014/05/09 2014/08/06 2014/10/20 2014/12/23
2014/05/16 2014/08/11 2014/10/27 2014/12/30
2014/05/27 2014/08/18 2014/11/03 2015/01/05
2014/06/06
1차 11차 20차 29차
2차 12차 21차 30차
3차 13차 22차 31차
4차 14차 23차 32차
5차 15차 24차 33차
6차 16차 25차 34차
7차 17차 26차 35차
8차 18차 27차 36차
9차 19차 28차 37차
10차
회차 날짜 내용 회차 날짜 내용
2015/01/09 워크숍준비 2015/02/10 총회준비회의
2015/01/13 총회준비회의 2015/02/17 총회준비회의
2015/01/19 총회준비회의 2015/02/23 총회준비회의
2015/01/22 리플렛제작회의 2015/03/02 총회준비회의
2015/01/26 총회준비회의 2015/03/02 홈페이지회의
2015/01/31 홈페이지 기획회의 2015/03/04 총회준비회의
2015/02/02 총회준비회의 2015/03/05 총회준비회의
2015/02/05 홈페이지 기획회의 2015/03/06 총회준비회의
1차 9차
2차 10차
3차 11차
4차 12차
5차 13차
6차 14차
7차 15차
8차 16차
회차 날짜 내용 참가자
2014/03/11
2014/03/25
2014/04/15
2014/04/29
2014/05/13
2014/05/27
2014/06/10
2014/06/16
2014/07/08
2014/07/22
2014/08/12
2014/08/24 빈고 바캉스에서 진행
2014/09/16
2014/09/30
2014/10/14
2014/10/28
2014/11/11
2014/11/25
2014/12/09
2014/12/23
2015/01/20
2015/02/10
1차 1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오디, 좌인, 하람, 매콩, 테아, 돌고래, 지음, 나마스떼, 켄짱
2차 2차 활동가모임 정민, 파스, 오디, 좌인, 하람, 테아, 곰자, 나마스떼, 지비
3차 3차 활동가회의 자유,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하람, 테아, 나마스떼, 켄짱
4차 4차 활동가모임 오디, 자유, 좌인, 파스, 곰자, 지비, 유농, 정민, 테아, 하람
5차 5차 활동가회의 자유, 파스, 곰자, 오디, 좌인, 하람
6차 6차 활동가모임 나마, 파스, 오디, 좌인, 화림
7차 7차 활동가회의 자유, 파스, 곰자, 오디, 좌인
8차 8차 활동가모임 좌인, 파스, 곰자, 오디, 베로, 자유
9차 9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몽애, 테아
10차 10차 활동가모임 파스, 곰자, 오디, 자유, 정민, 테아, 활쑨
11차 11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몽애
12차 12차 활동가모임
13차 13차 활동가회의 좌인, 파스, 곰자, 오디, 한돌, 나마스떼, 테아, 자유, 정민, 지비
14차 14차 활동가모임 좌인, 오디, 파스, 나마
15차 15차 활동가회의 자유,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나마스떼, 우루, 몽애
16차 16차 활동가모임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나마스떼, 우루, 키키
17차 17차 활동가회의 신비, 파스, 곰자, 오디, 좌인, 우루, 몽애, 나마스떼
18차 18차 활동가모임 좌인, 오디
19차 19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우루, 한돌, 몽애, 나마스떼, 부깽
20차 20차 활동가모임 신비, 파스, 곰자, 오디, 좌인, 우루, 부깽
21차 21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오디, 좌인, 한돌, 나마스떼, 하밍, 부깽
22차 22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한돌, 그링, 나마스떼, 라일락, 부깽, 아리데, 땡땡, 자유
8. 총회준비 1박 2일 워크숍
1. 일시 : 2015년 1월 10~11일
2. 장소 : 마실집
3. 참가자 : 지음(청주), 좌인(살림집), 곰자(미소속), 파스(살림집), 오디(구름집), 나마스떼(마실집), 몽애(마실집), 한돌(구름집),
정민(빈가게), 켄짱(빈가게), 땡땡(모두들), 그링(모두들), 부깽(연구소), 우루(살림집), 김기민(따로또같이), 신비(참관)
4. 프로그램
1. 다큐멘터리 상영 <중국CCTV 다큐 : 월스트리트 10부작 중 2부 & 3부>
2. 1차 워크숍 – 참가자 소개, 총회 준비 작업 (활동/결산 브리핑), 활동평가
3. 2차 워크숍 – 잉여금 처분안 논의, 총회준비 위원회 구성, 활동가 구성안 논의
4. 뒤풀이
9. 조합원 MT
1. 일시 : 2014년 8월 23일 ~25일
2. 참석 : 화림, 남현, 몽애, 지음, 느루, 영준, 광대, 좌인, 연두, 주노정, 곰자, 박승옥, 나마스떼, 한동희, 파스, 정민
3. 프로그램
1. 영상상영 : 영화 <멋진인생>
2. 계곡물놀이
3. 캠프파이어
4. 공주 공동체 미팅 & 빈고 소개
5. 대전 투어 (원도심레츠, 산호여인숙)
10. 감사 활동
1. 상반기 감사 : 2014. 09. 04 - 지음, 말랴 (곰자, 오디, 좌인, 파스)
2. 하반기 감사 : 2015. 02. 20 - 지음, 말랴 (오디, 곰자, 파스)
5. 운영활동
1. 뉴스레터
1. 홈페이지와 메일 발송을 통해, 매월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빈고 활동과 공동체 및 조합원 소식을 전하고자 했음
2. 정기적으로 발행하지 못함
2. 빈고폰
1. 빈고 상임 활동가와 직접 연락할 수 있는 핫라인 지속 운영
2. 전화번호 : 010–3058–1968
3. 계좌번호도 같은 번호로 운영 : 기업은행 010–3058-1968 빈마을금고
4. 출자시 알람 문자 발송, 출자반환, 이용신청 등 상시 업무 처리
3. 페이스북
1. 그룹 : https://www.facebook.com/groups/bingobank/
1. 빈고 조합원 그룹은 빈고 조합원만 가입할 수 있는 비밀 그룹입니다.
2. 조합원들의 참여가 거의 없어서 지속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12
호 발행일 월 주요내용
2014/04/05
2014/05/01
2014/06/03 공유주거협동조합 첫 프로젝트
2014/07/12 부천모두들 세 번째 집 준비
2014/11/27
8호 3월 뉴스레터 빈고 총회 결과 공유, 부산, 대구 공동체 방문
9호 4월 뉴스레터 빈고 명칭 변경, 해방화폐 시작
10호 5월 뉴스레터
11호 6월 뉴스레터
12호 10월 뉴스레터 빈고 메일계정 변경, 마포와 강남으로 외부 조합원 모임, 해방화폐 공개세미나
2.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communebank
1. 빈고와 공동체와 조합원의 활동을 모든 사람들에게 알리는 페이지입니다.
2. 누구나 볼 수 있고 글을 올릴 수 있습니다.
3. 꼭 '좋아요' 해주시고 빈고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과 나눌 얘기 올려주세요.
4. 공동체 활동가들은 페이지 매니저로 모든 내용을 관리할 수 있으니 협조가 필요하면 공동체 활동가에게 요청하세요.
3. 아이디 : https://www.facebook.com/bingobank
1. 빈고 아이디는 상임 활동가들이 관리합니다.
2. 빈고의 주요 공지사항은 이 아이디를 통해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4. 빈고 해방촌 지점 운영
1. 까페해방촌 빈가게에서 상임 활동가 업무를 보면서 조합원 상담. 화요일 오후 3시~7시
2. 통장 정리, 조합원 상담, 빈고 가입 상담, 수동 ATM 운영.
3. 외부 출장시 외엔 매주 운영 (페이스북으로 시작과 종료 알림)
4. 조합원 방문이 많지는 않았음. 상담 2팀, 통장정리, 출자금 입금
6. 기타 상임활동
1. 조합원 상담
2. 빈고 명칭 변경 투표 실시, ‘공동체은행 빈고’ 명칭 확정
3. 통장작업 완료
4. 출자독려 문자보내기, 출자선물카드 추진
5. 지구분담금 양식 및 절차 안내
6. 공유주거협동조합 프로젝트 시작
7. 집별 계약책임자 체크
8. 작년대비 전체 수입 체크, 새 공동체 이용 상담,
9. 각집 회계체크, 페이스북 홍보체크
10. 빈고 이용기준과 시스템 논의
11. 빈고메일계정 변경
12. 해방화폐 기획 및 운영 참여
13. 지구분담금 홍보 방안 논의, 공동체기금 집행 논의, 빈고활동지수 ‘덕’ 논의
14. 4평학교 운영 참여 논의
15. 빈고 홈페이지 논의
16. 2014년 재정 정산
7. 출자 / 수신 활동
1. 조합원 출자 활동
1. 출자자수 : 183명
2. 출자횟수 : 1,345회
3. 신규출자금액 : 8,393좌(1좌=1만 원)
4. 출자반환금액 : 8,590좌
5. 월평균 출자좌수 : -16좌
2. 공동체통장 운영
1. 공동체들이 잉여자금을 예치하는 수시입출금식 통장.
2. 기존 통장 : 까페해방촌, 빈마을, 차입자, 구름집, 넓은집, 해방촌연구소, 공룡, 사랑채
3. 신규 개설 : 따로또같이, 모두들, 상호부조기금
4. 기타 : 고양이공동체, 마당펀드, 해방촌 사람들, 해방화폐, 공유주거협동조합, 해보아연, 해방촌축제
13
3. 차입금
1. 추가차입
1. 적금형 차입금 : 5회 4,900만 원 차입.
2. 차입금 상환 : 개인1 차입금 전액 상환
8. 금융활동
1. 대안화폐 프로젝트
2. 곰자의 재무상담
9. 이용활동
1. 공동체 공간이용
1. 신규 이용 : 청주 공룡(1월, 공간이사), 부산 잘자리(2월), 부천 모두들(2월), 인천 비행(11월)
2. 이용 연장 : 살림집(8월), 구름집(10월), 연구소(10월)
3. 이용 반환 : 계단집(1월), 작은집(5월)
2. 공동체회원이용
1. 빈쌈짓돈 : 신용카드를 없애고, 현금서비스를 대체하는 프로그램 : 이용 : 31회 / 반환 39회
2. 채무탈출 : 악성채무를 전환하는 프로그램 : 이용 3회 / 반환 29회
3. 공동체회원 : 이용 35회 (교육비 2회, 사고처리비 3회, 사업비 5회, 생활비 14회, 여행비 4회, 이사비 7회), 반환 62회
4. 공동체활동 : 이용 3회 (해방촌민박, 잘자리 초기자금, 따로또같이), 반환 4회
14
날짜 내용 날짜 내용
2014/04/04 지역화폐회의 2014/07/08 움직이는 환전소
2014/04/07 지역화폐회의 2014/07/09 아르떼 해방화폐 기획회의
2014/04/14 지역화폐회의 2014/07/10 주민협의체 해방화폐 참석
2014/04/21 지역화폐기본준비 2014/07/12 움직이는 환전소
2014/04/23 해방화폐 위원회 발촉회의 2014/07/18 해방좌판
2014/04/28 해방화폐 설명회 2014/07/31 해방좌판
2014/05/26 지역화폐회의 2014/10/27 해방화폐 공개워크숍
2014/06/17 움직이는 환전소 2014/11/08 해방화페 체험단 미팅
2014/06/24 움직이는 환전소 2014/11/13 해방화폐 출장소
2014/06/24 해방화폐 연구모임 면접 2014/11/24 해방화폐 체험단 결과발표
2014/06/26 해방화폐 발행위원회 발족 2014/12/05 성당 해방화폐 설명회
2014/07/01 움직이는 환전소
날짜 내용
2014/03/07
2014/03/12
2014/03/17 곰자의 재무상담 알림
2014/03/27
2014/04/03
2014/04/15
2014/04/15
2014/05/16
2014/06/25
2014/07/02
2014/08/11
2014/09/16
2014/10/15
곰자의 재무상담 1차
곰자의 재무상담 2차
곰자의 재무상담 3차
곰자의 재무상담 4차
곰자의 재무상담 5차
곰자의 재무상담 6차
곰자의 재무상담 7차
곰자의 재무상담 8차
곰자의 재무상담 9차
곰자의 재무상담 10차
곰자의 재무상담 11차
곰자의 재무상담 12차
10. 연대활동
1. 지구분담금 사용
(단위 : 원)
2. 지연 연대회의 추진
1. 3월 1일 지역연대회의 첫 모임
2. 좌인(빈고), 지음(빈고), 나마스떼(해방촌 빈집), 지비(해방촌 빈집), 시오(부산 잘자리), 다옹(대구 그린집), 종민(청주 공룡),
땡땡(부천 모두들), 디온(팔당)
3. 공동체 방문
15
순서 날짜 내용 신청자 사용
1 2014/02/28 강정마을 평화책방 후원 베로 100,000
2 2014/03/14 유성기업 – 종민 공룡 100,000
3 2014/04/10 로자몬타냐 국제연대를 위한 지역 상영회 이름 100,000
4 2014/05/15 땡떙책 협동조합 후원주점티켓 좌인 100,000
5 2014/05/18 맘상모 좌인 240,000
6 2014/06/11 말레이시아활동가들 살구 200,000
7 2014/07/09 유성기업 종민 150,000
8 2014/09/05 동자동 사랑방 반찬나눔 짱돌 360,000
9 2014/11/04 민주노총 서울일반 노동조합 곰자 200,000
10 2014/12/10 스타케미칼 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 200,000
11 2014/12/10 정의로운전환을 위한 에너지 기후정책연구소 120,000
12 2014/12/26 무지개청소년세이프스페이스 김기민 300,000
김소연/지음
김은희/지음
날짜 내용 사람
2014/03/24 대구 그린집 방문 – 빈고 소개
2014/04/11 루쓰 공간 방문 – 공간 오픈 축하
2014/04/13 분더바 방문 – 투쟁 지지
2014/04/20
2014/06/13
2014/06/14 대전 – 원도심레츠방문 – 빈고설명 곰자
2014/06/27
2014/07/09 넓은집회의 – 상반기 공동체 방문
2014/07/12 마실집회의 참여 – 상반기 공동체 방문
2014/08/10 마루집회의 참여 – 공동체 이슈 논의
2014/09/22 구름집회의 – 상반기 공동체 방문
2014/10/08 곰자
2014/10/19 마실집회의 참여 – 공동체 이슈 논의
2014/10/19 인천 빈집 만드려는 모임 방문
2014/11/12 인천 청소년활동가공동체 방문
지음, 살구, 좌인, 오디, 곰자, 우더
좌인, 파스, 오디, 정민
좌인, 유선, 지비, 켄짱
마실집 - 빈고 추가이용 회의 참여 좌인, 파스, 오디, 몽애, 신, 남현, 홍, 나무
공룡방문–아띠 오픈 축하, 기획강연 논의 좌인, 곰자
부천모두들 – 조합원의 날 방문, 빈고설명 좌인, 곰자, 오디, 나마스떼, 지비
좌인, 파스, 곰자, 오디
좌인,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나마스떼, 오디
좌인, 곰자, 오디, 한돌, 우루, 멜로디, 글쎄, 우주
아현동 쓰리룸 '언뜻가게 방문'
좌인, 오디, 몽애, 키키, 병구
아수나로(아리데,사카린,하밍,라일락)
좌인, 파스, 오디, 자유, 아리데
11. 교육 / 연구 활동
1. 신입/예비 조합원 모임
2. 활동가 공부모임
3. 아침 책읽기 모임 (꼬뮨학교 동동 사전공부)
4. 동동 분교 ‘금융꼬뮨주의’ 세미나
5. 생활교육공동체 공룡 프로그램
16
날짜 내용
2014/03/16
2014/03/17
2014/03/18
2014/03/19
2014/03/20
2014/03/21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1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2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3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4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5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6차
날짜 내용 사람
2014/03/23 부산 조합원모임
2014/04/06 조합원모임
2014/04/21 정기 조합원모임
2014/05/24 정기 조합원모임
2014/06/23 정기 조합원모임
2014/07/21 정기 조합원모임
2014/09/26 빈고조합원의 날
2014/10/30 빈고조합원의 날
2014/11/05 은행전환의 날 행사
2015/01/30 빈고조합원의 날
지음, 살구, 좌인, 오디, 곰자, 우더, 혼양, 시오, 이랑, 장아리
좌인, 한돌, 오디, 곰자, 돌고래, 신비, 쑨, 상호, 에릭
곰자, 좌인, 파스, 오디, 한돌, 김기수
곰자, 오디, 동네주민1, 동네주민2
좌인, 곰자, 파스, 오디, 최그림, 유팽, 김기민
곰자, 좌인, 오디, 파스, 하운, 머털, 자운
오디, 좌인, 지비, 선민, 라떼킹 사장님
하운, 좌인, 곰자, 오디, 파스, 광대, 마포도서관직원
우루, 파스, 연두, 좌인, 오디, 영준
좌인, 파스, 오디, 정민, 부깽, 글쎄, 션, 강진희
날짜 내용
2014/03/11
2014/03/12
2014/03/13
2014/03/14
2014/03/15
빈고 아침 공부모임 1차
빈고 아침 공부모임 2차
빈고 아침 공부모임 3차
빈고 아침 공부모임 4차
빈고 아침 공부모임 5차
날짜 내용 사람
2014/03/31
2014/04/07
2014/04/14
공부모임 1차 파스, 오디, 우더, 하람, 하영
공부모임 2차 파스, 오디, 우더, 하람, 하영, 윤자, 한돌, 페리, 좌인, 나마스떼
공부모임 3차 파스, 오디, 우더, 하영, 한돌
날짜 내용
2014/10/16
2014/10/22
2014/10/29
2014/11/05
2014/11/12
2014/11/19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1차 : 송명관 ‘누가 이 빚을 갚을 것인가?’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2차 : 이진경 ‘헝그리 정신과 궁상’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3차 : 안진구 ‘이자 없는 경제는 가능한가?’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4차 : 송태경 ‘ 내 빚더미에 감춰진 진실’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5차 : 종합토론 1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6차 : 종합토론 2
6. 빈토모임
7. 총회설명회
8. 좌담회/책읽기 모임
9. 외부 발표, 강연 등
17
날짜 내용
2015/02/14
2015/02/23
2015/02/24
2015/02/27 부산 빈고설명회
2015/03/02 빈가게 빈고총회설명회
2015/03/02
빈고총회설명회 1회
부천/인천 빈고설명회
빈고총회설명회 2회
사랑채/살림집 빈고총회설명회
날짜 내용 참석자
2014/07/29 대안금융 세미나
2014/08/18 대안금융 세미나
2014/09/01 대안금융 세미나
2014/09/15 대안금융 세미나
2014/10/06 대안금융 세미나
2014/11/10 대안금융 세미나
곰자, 오디, 파스, 좌인, 김기민, 탤탤, 피터
좌인, 파스, 곰자
좌인, 파스, 곰자, 오디
곰자,오디,파스,피터, 김기민,탤탤,양명
곰자, 오디, 파스, 좌인, 김기민, 탤탤, 피터
곰자, 오디, 파스, 김기민, 탤탤, 에리카
날짜 내용 사람
2014/03/28 재무설계 이광구샘 좌담회
2014/07/04
2014/11/21
2014/11/28 송명관 부채전쟁좌담회
이광구샘, 곰자, 지음, 오디, 피터, 좌인
1박 2일 책읽기 (게으를 수 있는 권리) 좌인, 오디, 곰자, 파스, 형석, 삐요, 민정
1박 2일 책읽기 (부채전쟁) 좌인, 곰자, 오디, 파스
지음, 오디, 파스
날짜 내용
2014/04/22
2014/04/25 청년일자리허브 공동체기반 청년삶터 프로젝트 발표
2014/06/30 사회혁신기업인터뷰
2014/07/02 청년혁신활동가 방문
2014/07/10
2014/08/13 내발산동 대학생 기숙사 방문
2014/8/13~14 도봉구빈마을설명회
2014/09/06 국제사회혁신사례 인터뷰
2014/09/15 마을로 탐방
2014/09/29 강북구 사회적경제지원단 간담회
2014/10/16 서강대학교 강의요청
2014/10/30 사경모임 빈고 사람책
2014/11/01 자유인문캠프 토론회
2014/11/07 자활공제조합 방문
2014/12/05 홍동 마을 활력소 빈고설명회 요청
2014/12/12
2014/12/13 대구빈집설명회요청
강동구사회적지원센터-빈집/빈고설명회
사회복지법인 윙 (빈집, 빈고, 묶인 사례 발표 요청)
재무관리강좌 (통의동의 보안여관) - 뚜레주르2층
2014년도 사업평가
1. 운영
1. 대표 3인 체제 안정적 운영 - 빈고 활동 적극적으로 참여
2. 이용신청 절차 보완 및 문서화
3. 조합원 가입을 위한 안내문 작성
4. 재무상담 시행으로 전문성 강화
5. 해방촌에 국한된 활동가 회의 아쉬움
6. 해방촌 지역 화폐, 새로운 시도
2. 홍보/교육/연구
1. 전반적인 홍보 아쉬움
2.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 꾸준하게 실행하지 못함
3. 조합원 모임의 새로운 기획은 좋았으나 참여유도 부분은 아쉬움
4.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꾸준히 실행하지 못함
3. 출자활동
1. '출자선물카드' 출시로 출자 방법 다양화
2. 계획출자 프로젝트 미시행은 아쉬움
4. 연대활동
1. 지구분담금 - 실제 활동과 연결되어 진행
5. 공동체활동
1. 공간
1. 빈마을 - 마실집 정리, 갈등관리 및 재정관리가 필요함
2. 해방촌, 지역과 연계 활동으로 공간 확장 - 더스페이스
3. 인천 새로운 공간 시도
4. 부천 공동체 공간 꾸준히 증가
2. 활동
1. 공동체별 연계 부족
6. 상임활동
1. 빈고폰 지속적 운영
2. 해방촌 지점 오픈 (빈고 출장소) 실험, 방문자들이 따로 없었던 건 아쉬움
3. '나는 장부다' 시도 좋았으나, 이후 재정 담당자 육성과 연결되는 데 아쉬움
7. 출자활동
1. 출자 감소 ( 130,830,000원 → 128,860,000원 )
2. 차입 증가 ( 20,700,000원 → 42,200,000원 )
18
2014년도 결산(안)
1. 재무상태표 (2014년 12월 31일 현재)
2.
3. 수지계산서 (2014년 1월 1일~2014년 12월 31일)
4. 상세한 내용은 첨부한 2014년도 결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9
과목 과목
지출합계 10,088,746 6,071,804 166% 수입합계 25,323,027 22,351,392 113%
이자비용 1,301,336 2,878,004 45% 분담금 19,450,000 17,310,000 112%
운영비 1,864,340 123,800 1506% 선물 380,172 428,410 89%
활동비 4,528,500 2,100,000 216% 조합비 1,620,000 2,070,000 78%
사업비 1,619,270 280,000 578% 이자수입 92,272 620,546 15%
회의비 745,300 690,000 108% 사업수입 3,780,583 1,922,436 197%
기타지출 30,000 0 기타수입 0 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101%
(단위 : 원)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차변 대변
과목 당기 전기 과목 당기 전기
자산총액 254,278,021 219,444,876 254,278,021 219,444,876
현금 및 예치금 29,166,210 11,745,346 차입금 42,200,000 130,830,000
현금 4,166,210 3,200,000
예치금 25,000,000 15,000,000
단체출자 및 채권 4,100,000 4,000,000 24,000,000
빈가게 1,000,000 공동체 32,047,553 29,896,750
다람쥐회 1,000,000 까페해방촌 11,915,360
인권센터 2,000,000 빈집 4,906,210
두머리부엌 100,000 공룡 3,200,000
공동체공간이용 185,000,000 175,000,000 해방촌사람들 2,260,345
구름집 20,000,000 따로또같이 2,050,000
5,000,000 차입자 1,994,008
마실집 20,000,000 해방화폐 1,736,150
비행 20,000,000 공유주거협동조 900,000
빈가게 20,000,000 모두들 900,000
살림집 20,000,000 고양이 841,340
해방촌연구소 20,000,000 마당펀드 450,000
공룡 15,000,000 해보아연 295,140
해방촌학숙 15,000,000 해방촌축제 250,000
넓은집 10,000,000 상호부조기금 209,000
모두들 10,000,000 빈마을 140,000
잘자리 10,000,000 출자금 128,860,000 90,950,000
조합원이용금 36,011,811 28,699,530 적립금 35,936,187 20,700,000
공동체회원 22,421,811 빈고적립금 20,157,645 10,262,302
채무탈출 10,100,000 지구분담금 1,110,000 840,000
빈쌈짓돈 2,440,000 출자지지금 11,934,392 6,315,967
공동체활동 1,050,000 공동체기금 2,284,150
활동가기금 450,00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단위 : 원)
부채+자본 총액
개인1
개인2
개인3
구름집시즌2
2014년도 감사(안)
1. 빈고 재정 장부상의 보유액과 빈고의 계좌 및 현금 시제는 매월 말 틀림없이 일치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2. 빈고의 재정 관리는 상임 활동가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더욱 투명하고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오디 상임 활
동가의 재능과 노고를 치하합시다.
3. 곰자, 좌인, 파스 세 명의 무보수 명예직 대표가 매주 회의와 실무에 참가하는 등 상임 활동가에 준하는 활동을 해왔습니다. 덕분
에 5기 빈고가 풍성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습니다. 조합원 모두가 감사하고 기뻐할 일입니다. 다만, 조합 차원에서는 이
러한 역할을 어떻게 재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을지, 어떻게 실무부담을 줄이거나 나눌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4. 공동체 공간이용은 한 해 동안, 청주, 부천, 부산, 인천 등 지역에서 진행되었고, 서울에서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자원이 분산되는
만큼 그에 걸맞은 공동체활동가들과 지역공동체들의 자립적인 활동과 이를 지지하는 전국적인 연대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5. 공동체회원이용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활동가회의의 충분한 논의와 재무상담을 거쳐서 진행되고 있고, 만일에 대비한 충분한 적
립금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려할 바는 아니라고 보입니다. 다만, 조합원 개개인을 대면해야 하는 활동가들의 업무부담과 감
정노동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만큼의 실질적인 효용이 있는 것인가 하는 점에서 향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6. 출자총액이 조금 감소했는데, 이는 조합은 물론 조합원 각자의 살림살이가 거의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출자
는 빈고 조합원의 권리와 의무인 동시에 빈고에 가입하는 목적입니다. 한 해 자신과 공동체의 재정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출자 목표(수입이 불안정하다면 0원 또는 마이너스 계획이라 할지라도)를 정해서 출자할 것이 아니라면 빈고 조합원 자격
을 유지하는 의미가 없습니다. 아시겠지만 계획하지 않고 쓰고 남는 돈을 출자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올 한 해 계획을 활동
가들과 공유하고, 매달 한 번은 출자하도록 합시다. 우리의 살림살이가 나아질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7. 활동가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뉴스레터가 정기적으로 발행되지 못한 것은 참 아쉽습니다. 활동을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활동한 내용을 잘 기록하고 적절히 알리는 것도 그만큼 중요합니다. 각종 조합원 모임과 뉴스레터를 비롯해서 홈페이지,
메일링리스트, 스마트폰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수단을 통해서 즐겁게 자주 만나자고 조합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8. 전체적으로 돌아보자면, 조합이 안정되어가는 만큼 한 차원 더 높이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역동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각각의 공동체와 조합원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노력과 기획과 실험을 지지하고 북돋우고 함께하는 빈고
가 되길 기원합니다.
2015년 3월 01일
빈고5기 감사
말랴,지음
20
2014년도 잉여금처분(안) (배당금 단위 : 원)
1안 : 전년과 동일 기준 배분
1. 출자지지금을 전년과 동일하게 출자금의 2.5%로 배당하고
출자자(출자지지금):이용자(공동체기금):연대자(지구분담금)에게 1:1:1로 동일하게 배당한다.
2. 전년보다 조정출자금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항목마다 전년(항목당 2,859,146원)보다 50만 원 정도 더 배당해야 하고
따라서 150만 원 정도 더 적게 적립하게 된다.
3. 적립금은 덜 쌓게 되지만 출자자 배당이 높고, 연대 활동과 공동체에 그만큼 많이 쓸 수 있다.
2안 : 전년과 비슷한 액수 + 활동가 기금 강화
1. 1안의 빈고 적립금 규모가 큰 폭으로 줄어드는 것을 보완하는 방안이다. 전년보다 출자지지금의 배당률을 줄여서
출자금의 2.2%로 배당하고 전년처럼 출자자(출자지지금):이용자(공동체기금):연대자(지구분담금)에게 1:1:1로
동일하게 배당한다.
2. 5기때 지구분담금이 70만 원 정도 그리고 공동체기금 120만 원 정도 많이 남았기 때문에 부족함이 없는 규모라는
의견이 반영되었다.
3. 총회 사전 설명회 때 조합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하여 활동가 기금을 2배 인상하였다.
4. 항목별 액수로 봤을 때 전년과 비슷한 액수의 배당을 하게 된다. (출자지지금, 공동체기금, 지구분담금
전년 2,859,146원 → 2,930,455원) 적립금은 활동가 기금 인상만큼 줄어 50만 원 정도 적게 적립하게 된다.
3안 : 적립금 & 활동가 기금 강화
1. 조합의 지속적인 발전동력확보를 위해 적립금을 많이 축적하자는 의견이다. 적립금은 이용금 손상(특히 개인이용)에
대비하고 차입이자나 출자배당 없이 동원할 수 있는 자본이 된다.
2. 2안에 비해 공동체기금과 지구분담금을 조금 줄이고 적립금과 활동가 기금을 강화하였다. 3안 역시 5기때 지구분담금이 70
만 원 정도 그리고 공동체기금 120만 원 정도 많이 남았기 때문에 부족함이 없는 규모라는 의견이 반영되었다.
3. 전년 적립금 강화안에 비해서는 지구분담금(160여만 원 → 240여만 원)과 활동가기금(45만 원 → 90만 원)이 많이 증가하
고 공동체기금(290여만 원 → 240여만 원)정도로 조금 줄었다. 전년 적립금 강화안보다는 100만 원 정도 적은 금액을 적립
하게 된다.(730여만 원 → 650여만 원)
21
구분 배당 주체 배당금 비율 내용
지구분담금 출자자 3,330,063 21.9% 출자지지금과 같게
출자지지금 이용자 3,330,063 21.9%
공동체기금 연대자 3,330,063 21.9% 출자지지금과 같게
빈고적립금 운영자 4,794,094 31.5%
활동가기금 모두 450,000 3.0%
합계 15,234,281 100.0%
출자금 2.5%
30%이상+잔여
잉여금 3% 미만
구분 배당 주체 배당금 비율 내용
지구분담금 출자자 2,930,455 19.2% 출자지지금과 같게
출자지지금 이용자 2,930,455 19.2%
공동체기금 연대자 2,930,455 19.2% 출자지지금과 같게
빈고적립금 운영자 5,542,916 36.4%
활동가기금 모두 900,000 5.9%
합계 15,234,281 100.0%
출자금 2.2%
30%이상+잔여
전기의 2배 인상
구분 배당 주체 배당금 비율 내용
지구분담금 출자자 2,442,046 16.0%
출자지지금 이용자 2,930,455 19.2%
공동체기금 연대자 2,442,046 16.0%
빈고적립금 운영자 6,519,734 42.8%
활동가기금 모두 900,000 5.9%
합계 15,234,281 100.0%
출자지지금의 5/6
출자금 2.2%
출자지지금의 5/6
30%이상+잔여
전기의 2배 인상
2015년도 사업계획(안)
1. 사업방향 및 주요사업
1. 지역연대 강화
빈고와 지역별 공동체, 빈고와 각 지역의 조합원이 연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1. 조직운영에 반영
2. 공동체기금
3. 지구분담금
2. 반자본 활동
돈을 벌고, 쓰고, 모으는 구조를 어떻게 바꿔나갈 수 있을까요? 그 방법을 함께 모색하기
1. 재무설계 워크숍
2. 꼬뮨학교
3. 건강계
4. 공동주택건설 프로젝트
3. 소식공유 강화
빈고의 다양한 활동을 조합원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
1. 빈고 뉴스레터
2. 홈페이지 운영
4. 운영활동
상임 활동가 및 사업활동가의 장점을 살려 빈고를 운영함
1. 출자계획 프로젝트
2. 출자선물카드
3. 공동체 재정상담
4. 조합원 재무상담
5. 활동가 교육
6. 빈고화폐 '덕'
2. 세부 사업계획
1. 지역연대 – 조직운영 (뒤편 조직운영(안)과 동일)
1. 공동체활동가 의결권 변경
- 빈집 활동가(집별 1명, 총 5명) → 빈집 활동가 대표 2명
- 빈집도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공동체, 하나의 지역으로 보고 의결권을 부여하기로 함
2. 공동체활동가 회의 변경
- 월 2회 진행 @해방촌 빈가게 → 분기별 1회 @ 지역별 회의
- 온라인 소통 강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분기별 지역 연대회의 때 운영방향과 의결 과정을 더 긴밀하게 논의
3. 공동체별 회의 강화
- 월 1회, 공동체별로 빈고에 대한 논의를 추진할 수 있도록 장려
- 재정현황, 빈고 뉴스레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체기금, 지구분담금에 참여 검토 등
연대할 수 있는 계기 마련
22
2. 지역연대 – 공동체기금
1. 기존 활용 방안을 보완하여 공동체들과 연대하고 지지할 수 있는 기금으로 적극 활용
2. 활용방안 추가
1. (안) 공동체 조합원 위기 상호부조
2. (안) 공동체 교육활동 지원
3. 세부 추진 내용은 6기 활동가들과 중심이 되어 논의 진행.
3. 지역연대 – 지구분담금
1. 지구분담금 신청이 대부분 활동가나 빈마을과 가깝게 관계 맺고 있는 조합원들 중심으로 집행되고 있음
2. 월 1회 공동체별 회의를 통해, 빈고 유효조합원이라면 누구나 지구분담금으로 연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
4. 반자본활동 – 재무설계 워크숍
1. 작년 빈자의 재무상담을 업그레이드하여 사업 추진
2. 월 1회 정기적인 재무설계 워크숍을 추진하여 조합원들이 돈에 대한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계기 마련
5. 반자본활동 – 꼬뮨학교
1. 대안금융 커리큘럼을 기획 및 정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기존 '꼬뮨학교 동동' 커리큘럼 보완)
2. 공동체 또는 유효조합원 3인 이상이 모인 곳이라면 신청 가능
3. 꼬뮨학교 '이끔이'와 함께 일정 조정 후 추진
4. 교육과정을 빈고 홈페이지에 공유
5. 커리큘럼 : 아래 [첨부1]
6. 반자본활동 – 건강계
1. 계원들의 건강하고 안정된 공동체의 삶을 도모하고, 병원비 등 예기치 않은 손해에 대해 공동으로 상호부조
2. 세부 회칙 : 아래 [첨부2]
7. 반자본활동 – 공동주택건설 프로젝트
1. 자본이 없어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공간을 얻을 수 있도록 준비
2. 세부 계획 : 아래 [첨부3]
8. 소식공유 강화 – 빈고 뉴스레터
1. 매월 1회, 꾸준하게 제작
2. 홈페이지/ 메일/ 공동체별 회의를 통해 공유
3. 주요 내용 : 공동체 소식 통합, 빈고 운영활동 나눔, 조합원들 소통
9. 소식공유 강화 – 홈페이지 제작 및 운영
1. 페이스북과 텔레그램(카톡)에서 벗어나기. 이 좋은 것을 페친과 카톡에서만 나누지 말고 우주 생명체와 공유하기
2. 세부 계획 : 아래 [첨부4]
10. 운영활동 – 출자계획 프로젝트
[프로젝트 하나]
1. 기획의도 : 조합원들의 출자를 독려
2. 목적 : 조합원들이 스스로 출자 목표를 세우고 지킬 수 있도록 돕기
3. 진행 : 매년 초 조합원들의 일 년 출자 목표 및 계획을 듣고 실행 여부를 체크
23
[프로젝트 둘]
1. 기획의도 : 전국에 흩어져 있는 조합원들이 빈고를 통해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하고 연대할 기회 제공
2. 목적 : 조합원 개인들의 모임 생성, 자발적인 참여 유도
3. 지원 : 소모임, 계 등의 출자계획을 세우면 성공 시 빈고에서 지원
(가칭) 가보자! 여름 바캉스 – 이번엔 제주도다.
1. 기간 : 2박 3일 (7, 8월 중 어느 날)
2. 예산 : 비행기 표 왕복 10만 원(예상) + 숙박(2만 원) + 식비 3만 원(6*5천 원) = 15만 원
3. 3월부터 7월까지 5개월간, 1달에 3만 원씩 출자자모집
11. 운영활동 – 공동체 재정상담
1. 기획의도 : 빈고를 이용하는 공동체들에서 재정에 대한 고민을 이야기하고 있다. 작년 사업으로 공동체 재정 담당자를
육성하려 하였지만, 공동체마다 재정에 필요로 하는 게 다르므로 각 상황에 맞춰서 재정을 꾸리도록 옆에서 돕는 역할을 하
려고 함
2. 목적 : 공동체별로 특징에 맞는 재정 시스템, 운영방식을 같이 만듦
3. 예산 : 상임 활동가 전문성 양성 필요 (교육비, 5만 원)
4. 기타 : 재정이나 금융에 대해 공부를 하고 강연을 기획해 볼 수 도 있을 것
12. 운영활동 – 조합원 재무상담
1. 이용신청 과정에서 재무상담이 결합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기
2. 조합원에게는 돈을 벌고, 쓰고, 저축하고, 모으는 과정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함
3. 빈고는 공동체회원이용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4. 운영내용 : 개인 재무상담 및 조합원 '이용활동' 재무상담
(1차) 이용신청서 검토 → (2차) 상임위 논의 → (3차) 구체적인 반환계획 상담 → (4차) 반환 계획에 따라 채무상담 추가 투
입
13. 운영활동 – 활동가 교육
1. 빈고 활동가들이 빈고를 이해하고, 대안 금융의 관심과 견해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 운영
14. 운영활동 – 빈고 포인트(지역화폐) '덕'
1. 빈고 활동으로 화폐를 생산하고, 이 화폐를 기반으로 또 다른 활동을 교환할 수 있는 빈고 포인트/지역화폐를
구체화 할 예정
2. '덕'은 빈고의 출자=이용=연대=운영 활동을 통해 쌓을 수 있음
3. '덕'은 현물로 들어온 이용수입(농산물, 주류, 등)을 구매할 수 있음
24
아래 [첨부1] 꼬뮨학교 *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1]
1강. 삶과 돈 : 당신은 누구십니까? 당신은 돈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나?
2강. 수입 : 노동소득 +자본소득, 노동소득 vs 자본소득
3강. 지출 : 소비할 수 있는 능력, 소비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
4강. 부채 : 부채는 꼭 갚아야 하는가?
5강. 자산 : 자본은 어디에서 오는가?
6강. 꼬뮨뱅크 : 우리가 만드는 은행 아닌 은행#(교육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2]
상반기 주제 – 대안 금융
4월 1박 2일 책읽기: 부채 전쟁
4월 1-2주 세미나 : 부채전쟁 마저 읽기 & 관련자료 보기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
4월 3-4주 세미나 : 대안 금융 케이스 스터디 : 이슬람 금융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5월 1-2주 세미나 : 이론 스터디 : 신용창조, 그린백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5월 3-4주 세미나 : 대안 금융 케이스 스터디 : 성미산 대동계, 다람쥐회, 토닥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6월 1박 2일 책읽기 : 100% 돈이 세상을 바꾼다.
6월 3-4주 세미나 : 100% 돈이 세상을 바꾼다. 마저 읽기 / 이론 스터디 : 화폐수량설, 케인스 유효수요이론
7월 1-2주 세미나 : 대안 금융 케이스 스터디 : 몬드라곤 인민금고, JAK 은행등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7월 3-4주 세미나 : 이론 스터디 : 보험의 원리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하반기 주제 – 경제 인류학과 지역화폐
9월 1박 2일 책읽기 : 증여론 ( 마르셀 모스 )
9월 1-2주 세미나 : 증여론 마저 읽기 & 관련 자료 보기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9월 3-4주 세미나 : 지역화폐 케이스 스터디 (ex. 킴가우어, LETS etc) / 증여론 마저 읽기
10월 1-2주 세미나 : 호수성 케이스 스터디 ( 두레, 향약, 계 )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10월 3-4주 세미나 : 석기시대의 경제학 ( 마셜 살린스 ) 같이 읽기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11월 1박 2일 책읽기 : 석기시대의 경제학 ( 마셜 살린스 )
11월 3-4주 세미나 : 석기시대의 경제학 마저 읽기 & 관련 자료 보기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12월 1-2주 세미나 : 호수성(호혜성) 스터디 ( 포트래치, 쿨라, 협력의 진화[로버트 엑셀로드] )
12월 3-4주 세미나 : 지역 화폐 관련 참고글 같이 읽기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25
아래 [첨부2] 빈고 건강계 회칙
제1장 : 총칙
1. 명칭 : 공동체은행 빈고 건강계
2. 목적 :
1. 본 계는 계원들의 건강하고 안정된 공동체의 삶을 도모한다.
2. 병원비 등 예기치 않은 손해에 대해 공동으로 상호부조한다.
3. 대안적인 경제 질서를 공부하고 실험한다.
4. 기간 : 본 계는 2015년 3월 1일부터 2016년 2월 28일까지 진행한다.
이후 계원들의 합의에 의해서 연장할 수 있다.
제2장 : 모임과 구성
1. 가입 : 계원은 빈고 조합원으로서 회칙에 동의하는 사람은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
2. 모임 :
1. 계모임은 모바일 커뮤니티에 가입해서 활동하는 것으로 진행한다.
2. 계모임의 중요 정책과 곗돈의 사용은 계모임에서 결정한다.
3. 유사 :
1. 계모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1명의 유사를 투표+추첨을 통해서 결정한다.
2. 유사는 재정을 담당하며, 그 임기는 1년으로 한다.
3. 유사는 곗돈을 사용할 일이 발생하면 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4. 유사는 한 명을 계원을 지정해서,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5. 해당 계원은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이를 따라야 한다.
6. 활동에 따라서 적절한 활동비를 지급할 수 있다.
제3장 : 계원의 권리와 의무
1. 곗돈은 계원들의 상부상조와 공제협동조합의 실험을 위한 것으로, 본전과 식리를 기대하지 않는다.
2. 모든 계원은 계모임에 참가해야 할 의무가 있다.
3. 모든 계원은 회칙에 의하여 매달 1만 원의 곗돈을 납부한다.
4. 출자금이 0원으로 곗돈을 납부하지 못하면 3개월 후 계원의 자격이 일시 정지된다.
5. 곗돈은 계모임에서 정한 규칙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제4장 : 곗돈의 사용
1. 곗돈의 사용은 계원의 제안과 계모임에서의 논의를 거쳐 지출한다.
2. 곗돈의 사용
1. 불의의 질병과 사고로 병원에 가거나 예기치 못한 손실이 발생한 경우,
2. 본인이 실제 지출한 비용의 60%까지
3. 1회에 전체 곗돈 총액의 25% 한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1. 계원이 20명, 년 12만 원씩 납부할 때, 전체 곗돈은 240만 원.
2. 100만 원의 손해에 대해, 최대 60만 원까지 보장을 4회 할 수 있다.
4. 곗돈이 바닥나면, 추가적인 사용은 자동 중지되며, 계원들간의 논의를 통해 곗돈을 추가 납입할 수 있다.
제5장 : 곗돈의 관리와 빈고
1. 곗돈의 보관은 빈고에 공동체 계좌를 만들어 예치한다.
2. 곗돈은 각 계원의 빈고 출자금에서 자동 출금한다.
3. 빈고는 곗돈이 일시적으로 부족한 경우 예상 곗돈 총액 한도 내에서 대출할 수 있다.
4. 빈고와 공동체간의 연대의 차원에서 예치 또는 대출에 따른 이자는 상호 간에 없는 것으로 한다.
5. 해방계와 빈고는 공제협동조합의 실험을 함께하며 성과를 나눈다.
26
제6장 : 잔액의 처분
1. 계 기간 종료 후 총회를 거쳐 잔여 곗돈을 처분한다.
2. 잔액의 처분
1. 잔액의 10%는 유사에게 활동비로 지급하고,
2. 잔액의 10%는 이후 건강계 운영을 위한 적립금으로 적립하고,
3. 나머지 80%를 계원들에게 공평하게 분배해서 환급한다.
제7장 : 연장 또는 해산
1. 총회를 통해 계모임의 연장 또는 해산을 결정한다.
2. 적립금은 빈고 또는 유사 목적의 단체로 이전한다.
아래 [첨부3] 공동주택 건설프로젝트 (초초안)
1. 목적
1. 죽을 때까지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집을 짓는다.
2. 죽을 때 공유지로 지구와 후대에 남길 수 있는 땅을 매입한다.
3. 개인과 동시에 공동체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주택을 고안하고 건축한다.
4. 자본이 없이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공간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5. 사람들을 환대하고, 지속적으로 공유지와 공유주택을 확대해간다.
6. 모두가 공유하는 마을, 지역, 사회, 지구를 만들어간다.
2. 형태
1. 1안 : 시골 전원 공동체주택
1. 주민들의 일거리가 멀리 너무 멀리 있지 않은 곳.
2. 2층, 10명 규모 주택 건설
3. 후보지 : 홍성, 공주, 진천, 충주, 부여, 예산, 청양 등
2. 2안 : 중소도시 도심 공동체주택
1. 농지가 멀지 않은 곳
2. 구도심 슬럼 지역
3. 토지 50평, 건평 30평, 3~4층, 연면적 160평, 20명 규모 건물 건설
4. 후보지 : 청주, 홍성, 공주, 충주
3. 준비
1. 땅 알아보기 : 2월부터 월 1~ 2회씩 땅보러 다니기
2. 온라인 소통공간 구축
3. 원칙 만들어가기
4. 주민 모집
5. 자금 확보
6. 정보 수집
7. 공부
8. 협동조합등록?
27
4. 예산 (가안)
1. 토지 : 평당 20만 * 300평 = 6,000만 원
2. 건축 : 평당 300만 * 60평 = 18,000만 원
3. 합계 = 24,000만 원
4. 주민 10인, 1인당 2,400만 원
5. 건물 수명 40년, 감가상각비 1년 60만 원, 1월 5만 원.
6. 50% 정도의 초기 자본 형성, 나머지는 대출 가능.
7. 초기 자본이 없는 사람은 감가상각비와 이자비용에 해당하는 비용을 매월 납부한다.
8. 공동으로 저축해서 대출금을 최대한 빨리 반환해서 이자비용을 줄인다.
아래 [첨부4] 2015년 공동체은행 빈고 홈페이지 사업
“페이스북과 텔레그램에서 벗어나기, 이 좋은 것을 페친과 카톡에서만 나누지 말고 우주 생명체와 공유하자!!”
1. 목표
1. 더 많은 공유지 확보
2. 더 많은 출자와 이용 확보
3. 결국, 지도에 무수히 많은 마커를 만들자!
그러기 위해선
2. 필요
1. 홍보 강화
1. 조합원이 빈고 활동/소식을 접하기 쉽게
2. 당신이 무엇을 검색하든 오고 보니 빈고다.
2. 편의 확보
1. 상임활동가 품 줄이기.
2. 빈고 데이터 베이스 구축 - 조합원 개인 페이지에서 출자활동과 이용활동을 어쩌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
3. 나중엔 빈고 뱅킹이 가능할지도.
그래서
3. 제작 방향
1. 빈고 소개가 잘 드러나게
2. 개인정보를 소중하게
3. 누구나 쓰기 쉽게
4. 예쁘게
4. 만들고 있는 중입니다.
1. 1년 내내 만들게 됩니다.
2. 그러나 지금 당장 회원 가입할 수 있습니다.
3. 3월까지 회원 가입하면 포인트 1,000점 드립니다. (기한은 어쩌면 늘어 날 수도)
4. 빈고 홈페이지에서 포인트란 덕(悳)입니다. 2016년 총회에서는 덕이 많은 조합원에게 특별한 선물이 있습니다.
28
2015년도 조직구성(안) 및 임원구성(안)
1. 조직도
2. 조직구성(안)
(목적) 빈마을 중심의 정보공유 및 의사결정 구조 → 공동체(지역별)들의 연대체로서 의사결정 구조 강화
1. 총회 : 연 1회
2. 공동체활동가 회의 : 분기별 1회
3. 공동체별 회의 : 월 1회
4. 상임 활동가회의 : 주 1회
3. 임원구성(안)
(목적) - 사업 중심 활동가 : 담당 사업을 보다 완결성 있게 추진
- 공동체 활동가 : 빈고 활동가로서 역할 명확화 및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
1. 대표: 부깽(상반기) / 정민, 몽애(하반기)
2. 의결권 : 대표, 사업 활동가, 공동체 활동가(지역별) 1인 1표
3. 상임 활동가 : 오디(재무담당), 곰자(조합원, 재무설계)
4. 사업 활동가 : 지음(교육), 좌인(공동체별 회의/빈고 설명회), 부깽(홈페이지-하반기)
5. 공동체 활동가 : 파스, 한돌(해방촌-빈집), 종민(청주-공룡), 그링(부천-모두들), 시오(부산-잘자리),
라일락(인천-비행), 켄짱(빈가게), 슉슉(팔당-두머리부엌)
6. 감사 : 양군, 우중산책
29
조합원 총회
활동가 회의
공동체F
대표
활동가
공동체G
사업
활동가
연대 공동체들
감사
새 공동체들
상임
활동가
공동체 A
공동체
활동가공동체R
반자본
활동가 상임
활동가
상임
활동가
상임
활동가
2015년도 예산(안)
1. 빈고 공동체 공간 축소로 인한 분담금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활동가들은 좀 더 보증금 비율이 높은 공간을 얻어서 이
를 만회할 계획을 하고 있다.
2. 나머지 수입은 전년과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고 예상된다. 선물의 경우 전년에 강의 수입을 선물로 잡다가 사업 수입으로 잡으면
서 많이 줄었다. 하지만 사업수입을 보수적으로 잡은 만큼 분담금을 제외한 수입은 예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3. 활동비는 2015년 2명의 상임 활동가가 활동할 계획이고 빈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활동비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
여 활동비 예산을 증가시켰다. 2명의 활동가가 월 30만 원씩 활동비를 받는다.
4. 사업비는 해방화폐와 공유주거협동조합에 더는 지출이 필요하지 않고, 활동비 지출 증가에 따른 수지 감소에 대비해 조금 축소
하였다.
5. 회의비는 이번 조직 구성안에서 지역연대회의를 강화하였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지출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나 평소에 넉넉히
잡고 아껴쓰고 있었기 때문에 전년과 동일한 예산을 배정하였다.
6. 사업비 세부 예산안 참고
30
사용율 차액 매월
수입합계 25,323,027 21,960,000 115% 3,363,027 22,320,000 1,720,000
분담금 19,450,000 18,000,000 108% 1,450,000 18,000,000 1,500,000
선물 380,172 1,200,000 32% -819,828 600,000 50,000
조합비 1,620,000 1,800,000 90% -180,000 1,800,000 10,000
이자수입 92,272 600,000 15% -507,728 120,000 10,000
사업수입 3,780,583 360,000 1050% 3,420,583 1,800,000 150,000
기타수입 - - - 0,000 0 -
사용율 차액 매월
지출합계 10,088,746 13,800,000 73% -3,711,254 14,280,000 1,190,000
이자비용 1,301,336 2,400,000 54% -1098664 1,800,000 150,000
운영비 1,864,340 1,800,000 104% 64340 1,800,000 150,000
활동비 4,528,500 5,400,000 84% -871500 7,560,000 630,000
사업비 1,619,270 2,400,000 67% -780730 1,800,000 150,000
회의비 745,300 1,200,000 62% -454700 1,200,000 100,000
기타지출 30,000 600,000 5% -570000 120,000 10,000
잉여금 15,234,281 8,160,000 187% 7,074,281 8,040,000 530,000
(단위 : 원)
2014년 수입 2014년 예산 2015년 예산
2014년 지출 2014년 예산 2015년 예산
사업 금액
조합원모임 200,000
뉴스레터 0
리플렛 0
통장 0
출자 선물카드 50,000
명함 50,000
주거협동조합 법인화 0
공동주택 0
홈페이지 500,000
재무설계 0
연구세미나 100,000
강연회 500,000
공동체 재정 상담 50,000
프로젝트들 200,000
예비비 150,000
합계 1,800,000
(단위 : 원)
기타 안건 * 총회 진행 중 나오는 새로운 안건에 대해서 기록하고 논의하기 위해 비워둔 자리입니다.
1.
31
2014년도 결산보고서
1. 들어가며
✗ 이 보고서는 공동체은행 빈고 상임 활동가들이 만들었습니다.
✗ 빈고의 주인으로서 출자자이자 이용자이자 운영자인 모든 조합원에게 현재 조합의 현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자료입니다.
✗ 많은 사람이 모여서 만든 조합 공동의 돈을 모으고 이용하고 관리하는 일을 한눈에 파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 서든, 바쁘고 버거워서든, 그냥 사람을 믿어주시는 것이든, 여러 이유로 재정 관련 표를
들여다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 하지만 재정 상황을 파악하지 않고서는 단체의 활동과 상황을 얘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특히 우리 빈고처럼 작지만
나름대로 은행이 하는 일을 하는 협동조합의 경우는 더욱더 그렇습니다.
✗ 그래서 결국 인내력을 갖고 재정을 들여다보고 참여하는 조합원이 조합의 주요 정책 등을 결정하는데 더 큰 힘을 갖게 됩니다.
✗ 지금까지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재정 현황을 설명해 드리려고 애써왔지만, 정말 쉽지는 않습니다.
✗ 하지만 어떤 단체나 조합보다, 쉽고 자세하고 투명하게 설명했다고 자신할 수 있습니다.
✗ 천천히 퍼즐을 풀듯이 읽다 보면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 혹시 부족한 부분이나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상임 활동가들에게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 빈고폰 : 010–3058–1968 / bingobank.org@gmail.com
2. 일반 현황
1. 조합원 및 자산 현황
1. 2010년 5월 빈고가 시작한 이래로 이제 6년째를 맞습니다.
2. 위의 표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각 해의 마지막 날(12월 31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3. 조합원은 매년 약 50여 명 정도씩 꾸준한 추세로 늘어나고 있으며, 2014년에는 57명이 늘어났습니다.
4. 출자총액은 빈고의 전체 조합원들이 출자해서 모아주신 빈고의 순수 자본금입니다.
5. 자산총액은 출자총액에 적립금, 차입금 등을 모두 합친 금액으로, 빈고가 운영하는 금액의 총 규모를 보여줍니다.
6. 4기에서는 많이 늘어났던 출자금이 5기에서는 약간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7. 자산은 4기보다 늘었지만, 출자금은 줄어든 상태라 출자 독려가 필요합니다.
8. 조합원 1인당 평균출자금은 56만 원 정도입니다. 무심코 은행 통장에 들어 있을 수도 있는 적은 돈이지만, 230명이 모으니, 아
래와 같은 10여 개의 공간의 보증금이 되었습니다. 조합원 모두의 힘이고, 그 힘을 모아내는 빈고의 힘이기도 합니다.
32
당기 증감
조합원수 37 명 88 명 122 명 173 명 230 명 133%
출자총액 135,530,000 111,900,000 90,950,000 130,830,000 128,860,000 1,970,000 98%
자산총액 330,315,818 275,100,589 208,083,728 219,444,876 254,228,021 34,783,145 116%
41% 41% 44% 60% 51%
평균출자금 3,662,973 1,271,591 745,492 756,243 560,261
(단위 : 원)
1기 2기 3기 4기 5기 당기/전기
57 명
출자/자산
2. 공동체 공간 현황
1. 3인 이상의 빈고 조합원이 공동으로 주거/활동하는 공간들입니다. 붉은색은 주거공동체, 푸른색은 활동공동체.
2. 2014년에는 부산 잘자리(2월) 와 부천 모두들(3월), 인천 비행(11월)이 계약되었고, 작은집(6월), 마실집(2월)이 해지 되었습니다.
3. 4월에는 마실집이 보증금 전액을 빈고 공동체 공간이용으로 전환하였습니다.
4. 6월에는 구름집이 아래층 공간을 넘겨받아 확장전환 하였고, 8월에는 살림집이 계약을 연장하였습니다.
5. 2015년 3월 이후로 예정된 계약 만료 건은 넓은집(5월), 사랑채 (6월), 구름집(11월)입니다.
6. 2014년은 많은 변동이 있었고, 2015년에도 여전히 변화에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7. 전체적으로 해방촌의 빈집은 줄어들고 있고, 다른 지역의 연대 공동체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8. 각 공동체에서 공간 계약을 연장할 때 빈고와의 계약 부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3. 2014년 요약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
1. 위쪽은 2014년 12월 31일 빈고의 [자산=자본+부채]를, 아래쪽은 2014년 동안의 [수익=비용+잉여]를 요약한 표입니다.
2. 자산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이고 있고, 이용금이 증가하면서 차입금을 다시 늘렸고 예치금도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3. 비용에서는 이자비용을 줄이고 활동비, 사업비, 운영비를 늘려서 지출이 늘어난 모습을 보입니다. 수익은 공동체공간들이
늘어나면서 분담금이 늘었고, 늘어난 이용에 따른 사업수입이 크게 늘었습니다. 지출과 수입을 상계하고 나면 잉여금은
지난해와 크게 변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4. 상세한 내용은 재무상태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33
순서 집 이용금 계약책임자 등
1 넓은집 1,000
2 까페해방촌 2,000 연장
3 작은집 1,000 해지
4 살림집 2,000 연장
5 구름집 2,000 전환 연장
6 해방촌연구소 2,000 사랑채 연장
7 마실집 2,000 전환 해지
8 해방촌민박 1,500 사랑채
9 공룡 새공간 1,500 계약
10 사랑채 3,500 전환
11 부산 잘자리 1,000 계약
12 부천 모두들 1,000 계약
13 2,500 전환
14 인천 비행 2,000 계약
(단위 : 만 원)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계약
만료
5월 청하, 해씨
지음,살구,켄짱
파스,좌인,지후
오디,우더,나마스떼
지음,살구,크트,경목
주노정, 연두, 산하
우중산책,보선,영은,종민
10월, 6월 좌인, 지비, 나마스떼
시오, 혼양. 이랑
땡땡,순대,개미
구름집시즌2 11월 한돌, 글쎄, 오디
아리데, 하밍, 라일락
차변 대변
과목 과목
자산총액 254,278,021 219,444,876 116% 254,278,021 219,444,876 116%
현금 4,166,210 2,745,346 152% 출자금 128,860,000 130,830,000 98%
예치금 25,000,000 9,000,000 278% 적립금 35,936,187 22,938,538 157%
단체출자 4,100,000 4,000,000 103% 공동체 32,047,553 29,896,750 107%
공간이용 185,000,000 175,000,000 106% 차입금 42,200,000 20,700,000 204%
조합원이용 36,011,811 28,699,530 125%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101%
지출합계 10,088,746 7,271,804 139% 수입합계 25,323,027 22,351,392 113%
이자비용 1,301,336 2,878,004 45% 분담금 19,450,000 17,310,000 112%
운영비 1,864,340 1,323,800 141% 조합비 1,620,000 2,070,000 78%
활동비 4,528,500 2,100,000 216% 사업수입 3,780,583 1,922,436 197%
사업비 1,619,270 280,000 578% 이자수입 92,272 620,546 15%
회의비 745,300 690,000 108% 선물 380,172 428,410 89%
기타지출 30,000 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101%
(단위 : 원)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자본+부채 총액
3. 재무상태
1. 재무상태표(2014.12.31 현재)
1. 빈고의 모든 차변(왼쪽 : 자산)과 대변(오른쪽 : 자본 + 부채)의 현황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2. 왼쪽은 2014년 현재 빈고의 전체 자산이 어떻게 나뉘어져 이용되고 있는가를 보여줍니다.
1. [현금 및 예탁금]은 말 그대로 빈고가 현재 보유하고 있어서 즉시 이용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1. 현금과 예탁금은 변동이 많고, 적절히 규모를 조절하는 계정이라서, 그 금액의 증감이 큰 의미는 없습니다.
2. [단체출자 및 채권]은 빈고의 친구 단체에게 출자 또는 무이자로 이용할 수 있게 한 금액입니다.
1. 현재 빈가게와 다람쥐회에는 출자를, 인권센터에는 무이자 대출을 하고 있으며, 작년과 변동이 없습니다.
2.
3. [공동체 공간이용]은 공동체 공간에 보증금으로 이용되고 있는 금액입니다.
1. 현재 총 11곳의 공간에 보증금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2. 2014년에 세 곳(모두들, 잘자리, 비행)이 늘었고, 두 곳(계단집, 작은집)이 줄어들고 금액은 1,000만 원
늘었습니다.
4. [조합원 이용]은 조합원 개인이 이용하고 있는 금액입니다.
1. 세부항목은 이용 프로그램의 종류의 따른 구분인데,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2. 2014년 약 800만 원 정도가 추가로 더 이용되어서, 전년대비 25%가 늘었습니다.
5. 왼쪽 차변에는 차입 증가로 전년 대비 보유현금이 약간 증가한 상태입니다.
34
차변 대변
과목 당기 전기 과목 당기 전기
자산총액 254,278,021 219,444,876 254,278,021 219,444,876
현금 및 예치금 29,166,210 11,745,346 차입금 42,200,000 130,830,000
현금 4,166,210 3,200,000
예치금 25,000,000 15,000,000
단체출자 및 채권 4,100,000 4,000,000 24,000,000
빈가게 1,000,000 공동체 32,047,553 29,896,750
다람쥐회 1,000,000 까페해방촌 11,915,360
인권센터 2,000,000 빈집 4,906,210
두머리부엌 100,000 공룡 3,200,000
공동체공간이용 185,000,000 175,000,000 해방촌사람들 2,260,345
구름집 20,000,000 따로또같이 2,050,000
5,000,000 차입자 1,994,008
마실집 20,000,000 해방화폐 1,736,150
비행 20,000,000 공유주거협동조 900,000
빈가게 20,000,000 모두들 900,000
살림집 20,000,000 고양이 841,340
해방촌연구소 20,000,000 마당펀드 450,000
공룡 15,000,000 해보아연 295,140
해방촌학숙 15,000,000 해방촌축제 250,000
넓은집 10,000,000 상호부조기금 209,000
모두들 10,000,000 빈마을 140,000
잘자리 10,000,000 출자금 128,860,000 90,950,000
조합원이용금 36,011,811 28,699,530 적립금 35,936,187 20,700,000
공동체회원 22,421,811 빈고적립금 20,157,645 10,262,302
채무탈출 10,100,000 지구분담금 1,110,000 840,000
빈쌈짓돈 2,440,000 출자지지금 11,934,392 6,315,967
공동체활동 1,050,000 공동체기금 2,284,150
활동가기금 450,00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단위 : 원)
부채+자본 총액
개인1
개인2
개인3
구름집시즌2
3. 오른쪽은 빈고가 운영하고 있는 전체 돈을 그 출처, 소유자에 따라 구분해서 보여줍니다.
1. [출자금]은 전체 조합원이 낸 출자금의 합계로서 빈고의 자본금입니다.
1. 출자금은 200만 원 정도가 줄어들어, 전년대비 2%의 감소가 있었습니다.
2. [적립금]은 그동안 빈고의 잉여금 일부를 적립하고 있는 금액으로서, 목적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됩니다.
1. [빈고적립금]은 빈고의 자체 적립금으로서 유사시에 이용될 수 있는 금액으로 빈고 자체의 자본입니다.
2. [출자지지금]은 출자자 개개인에게 배당된 금액을 탈퇴 시까지 적립하고 있는 금액입니다.
3. [지구분담금]은 잉여금 일부를 빈고 외부의 활동들에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4. [공동체기금]은 공동체들이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3. [공동체통장]은 공동체들이 여유자금을 빈고에 보관하고 있는 금액입니다.
4. [차입금]은 빈고가 운영상의 필요로 외부로부터 빌려온 돈입니다.
5. [당기잉여금]은 2014년 동안 남은 금액으로서 총회에서 분배해서 처분해야 할 금액입니다.
6. 출자금은 자본이고, 차입금과 공동체통장은 부채이며, 적립금과 잉여금은 자본과 부채가 섞여 있습니다.
4. 오른쪽과 왼쪽은 원리상 그 합계가 같아야만 합니다.
5. 오른쪽에서는 차입금과 적립금이 매우 증가했고, 공동체통장도 약간의 증가가 있었습니다.
2. 대/차변 계정 비율의 변화 (단위 : 원)
1. 위쪽의 그래프는 빈고의 돈이 어떻게 위치해 있는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전기에 비해 당기의 자산 총액이 늘었고
모든 현금의 흐름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아래쪽의 그래프는 빈고의 돈이 어디서 들어왔는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출자금은 약간 감소하지만 다른 수치는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5
자산총액 현금 예치금 단체출자 공간이용 조합원이용
0
50,000,000
100,000,000
150,000,000
200,000,000
250,000,000
300,000,000
전기 (2013)
당기 (2014)
자본 / 부채총액 출자금 적립금 공동체 차입금 당기잉여금
0
50,000,000
100,000,000
150,000,000
200,000,000
250,000,000
300,000,000
전기 (2013)
당기 (2014)
4. 수지상태 (단위 : 원)
1. 수지상태표(2014.01.01~2014.12.31)
1. 2014년 빈고의 수입과 지출 총계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입니다.
2. 지출은 빈고 활동 확장을 위해 사업비가 가장 매우 증가하였고, 상임활동비와 운영비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자비용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지출의 증가는 39% 정도로 멈췄습니다.
3. 이용증가에 따라 이용수입이 늘면서 사업수입도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4. 조합비는 2014년에도 일괄인출하였지만 2013년보다 줄어들었습니다.
5. 새로운 공동체 공간이 늘어나면서 분담금이 늘었고, 2013년에 비해 2014년에는 조합원들의 선물이 줄어들었습니다.
6. 당기 잉여금은 지출이 늘어난 것과 동시에 수입도 늘어 작년보다 약간의 증가가 있었습니다.
7. 전체 비용 중에서 활동비의 비율은 29%에서 45%로 크게 늘었습니다.
2. 전기 대비 수입 / 지출 계정별 증감
36
지출합계 이자비용 운영비 활동비 사업비 회의비 기타지출
0
2,000,000
4,000,000
6,000,000
8,000,000
10,000,000
12,000,000
과목 과목
지출합계 10,088,746 7,271,804 139% 수입합계 25,323,027 22,351,392 113%
이자비용 1,301,336 2,878,004 45% 분담금 19,450,000 17,310,000 112%
운영비 1,864,340 1,323,800 141% 선물 380,172 428,410 89%
활동비 4,528,500 2,100,000 216% 조합비 1,620,000 2,070,000 78%
사업비 1,619,270 280,000 578% 이자수입 92,272 620,546 15%
회의비 745,300 690,000 108% 사업수입 3,780,583 1,922,436 197%
기타지출 30,000 0 기타수입 0 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101%
(단위 : 원)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수입합계 분담금 조합비 사업수입 이자수입 선물 당기잉여금
0
5,000,000
10,000,000
15,000,000
20,000,000
25,000,000
30,000,000
1. 2013년에 비해 비용과 수익의 각 항목이 증가, 감소한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2. 수입에서 분담금과 사업수입이 2013년에 비해 늘어났고, 조합비와 선물, 이자수입은 줄어들었습니다.
3. 비용에서는 이자비용이 많이 줄고, 활동비와 사업비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3. 수입 / 지출 상세내역
37
2013 년 2014 년
0
2,000,000
4,000,000
6,000,000
8,000,000
10,000,000
12,000,000
14,000,000
16,000,000
이자비용
활동비
사업비
회의비
운영비
기타지출
잉여금
2013 년 2014 년
0
5,000,000
10,000,000
15,000,000
20,000,000
25,000,000
분담금
조합비
사업수입
이자수입
선물
수입 25,323,027
분담금 19,450,000
계단집 400,000
공룡 1,800,000
구름집 2,050,000
넓은집 1,200,000
마실집 2,100,000
모두들 1,000,000
비행 200,000
사랑채 3,850,000
살림집 2,400,000
작은집 600,000
잘자리 1,100,000
해방까페 2,400,000
해방촌연구소 200,000
해방촌학숙 150,000
조합비 1,620,000
30,000
1,140,000
130,000
130,000
30,000
20,000
40,000
20,000
30,000
30,000
20,000
사업수입 3,780,583
이용수입 2,626,583
발표수입 1,154,000
이자수입 92,272
메리츠종금 77,333
기업은행 14,939
선물 380,172
기타 -
조합비-01월
조합비-02월
조합비-03월
조합비-04월
조합비-05월
조합비-07월
조합비-08월
조합비-09월
조합비-10월
조합비-11월
조합비-12월
지출 10,088,746
이자비용 1,301,336
미지급이자 1,301,336
활동비 4,528,500
400,000
4,000,000
128,500
사업비 1,619,270
공동체방문 19,800
공유주거협동조합 200,000
은행전환의날 22,300
조합원모임 322,630
지역연대회의 55,000
총회비용 403,000
해방화폐 500,000
활동가워크숍 96,540
회의비 745,300
연구모임비 10,000
조합원교육 18,500
활동가회의 716,800
운영비 1,864,340
노트북 422,000
빈고 도메인 32,340
예비비 90,000
빈고폰 50,000
1,200,000
프린트비 10,000
호스팅비 60,000
기타 30,000
활동비-지음
활동비-오디
활동비-대표
사무실-해방까페
1. 수입
1. 분담금은 공동체들이 공동체 공간이용에 따른 월세 절약분을 빈고와 공유하면서 발생한 이용수입입니다.
2. 조합비는 2014년 2월, 총회 전 출자금에서 일괄 차감하였습니다.
3. 사업수입은 크게 ‘강연/발표수입’과 ‘조합원이용에 따른 이용수입’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강연/발표수입은 활동가들이 빈고를 소개/설명하는 강연이나 발표를 할 때, 대체로 시간당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활동가가 받고, 나머지를 빈고의 사업수입으로 잡습니다.
2. 조합원의 공동체회원이용, 채무탈출, 빈쌈짓돈 이용에 따른 ‘이용수입’을 빈고의 사업수입으로 잡았습니다.
4. 이자수입은 현금과 예탁금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입입니다. (공동체와 조합원의 ‘이용’에 따른 수입은 ‘이자’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이용수입’으로 구분합니다.)
1. 빈고는 주거래 은행으로 기업은행을 이용하며, 유동적인 최소한의 금액을 보관하고 있으며,
2. 그 이상의 예탁금은 불가피하게 메리츠종금을 이용합니다.
5. 선물은 이용수입을 제외하고 이용이나 사업과 관계없는 후원금을 선물로 분류했습니다.
38
2. 지출
1. 이자비용은 차입금에 대해서 지급한 이자를 말합니다.
2. 활동비는 상임 활동가(오디)와 대표가 결정할 수 있는 예비 활동비로 나뉩니다. 2014년 총회 이후로 월 10만 원씩 2명
에서, 월 20만 원씩 2명으로 인상되었습니다.
3. 사업비는 조합원연대(공동체방문, 조합원모임, 지연연대회의), 사업인큐베이팅(공유주거협동조합, 해방화폐), 은행전
환의 날, 총회 준비 등에 이용된 금액입니다.
4. 회의비는 매달 활동가회의가 꾸준히 열리고, 매주 상임 활동가회의가 열리면서 늘었습니다.
5. 운영비의 대부분은 사무실/회의실로 이용하는 까페해방촌의 임대료이며, 빈고 전용 노트북 그리고 신설한 빈고 전용전
화 비용이 포함됩니다.
5. 출자 현황
1. 월별 출자 / 출자반환
1. 신규 출자금은 8,300만 원이 넘었지만, 반환한 금액도 8,500만 원이 넘었습니다. 출자도 많았고, 반환은 더 많았던 한
해였습니다.
2. 결과적으로 약 200만 원 정도가 감소하여, 현재 출자금은 약 12,800만 원이 되었습니다.
3. 출자를 한 번이라도 한 조합원 76명으로 전체 조합원의 1/3 정도입니다.
4. 총 출자횟수는 414회로 전체 조합원 평균으로는 1.8회, 출자한 조합원만으로는 5.4회 정도씩 출자한 셈입니다.
5. 그래프는 월별 출자와 감자(출자금 반환) 금액의 변동을 보여줍니다.
1. 출자 쪽에서는 2월, 5월, 11월에 1,000만 원이 넘는 고액출자가 있었고
2. 반환 쪽에서는 5월, 9월에 1,000만 원이 넘는 고액반환이 있었습니다.
2. 출자 / 출자반환 분포
39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2,000 만 원
-1,500 만 원
-1,000 만 원
-500 만 원
0 만 원
500 만 원
1,000 만 원
1,500 만 원
2,000 만 원
2,500 만 원
출자
합계
반환
01/01 02/20 04/11 05/31 07/20 09/08 10/28 12/17
1 만 원
10 만 원
100 만 원
1,000 만 원
출자
반환
합계
출자총액
출자횟수
반환횟수
출자자수
반환자수
월평균 출자
2013년 말 130,830,000 원
83,930,000 원
85,900,000 원
-1,970,000 원
128,860,000 원
414 회
220 회
76 회
72 회
-164,167 원
1. 가로축은 2014년의 날짜를, 세로축은 출자금액수를 1, 10, 100, 1,000단위로 표시합니다. 각 점은 각각 그 날짜에 출자된 금액
(파란색)과 출자 반환된 금액(빨간색)을 표시합니다.
2. 천천히 보시면, 전체 조합원들이 얼마씩 어떻게 출자하고 있는지를 대략 알 수 있을 것입니다.
3. 출자의 경우, 10만 원 미만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100만 원 이상의 출자나 1,000만 원 이상의 출자도 간혹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출자금액별 조합원 분포
1. 빈고의 2010년 시작부터 2013년까지, 출자금액별 조합원 수의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2. 가로축은 조합원 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출자금액을 1, 10, 100, 1,000만 원 단위로 표시합니다.
3. 각 점은 각각 한 명의 조합원의 출자금을 표시하므로, 전체 조합원의 출자금 분포를 알 수 있습니다.
4. 초기에는 소수의 고액출자자만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다수의 소액출자자가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1기, 2기, 3기, 4기, 5기로 가면서 10만 원 이상 출자자, 100만 원 이상 출자자가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6.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Y축(출자금)에 조합원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5기에 들어서 10만 원 부터 100만 원 사이
에 출자한 조합원이 가장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0
0 50 100 150 200 250
1 만 원
10 만 원
100 만 원
1,000 만 원
10,000 만 원
1 기
2 기
3 기
4 기
5 기
01/01 02/20 04/11 05/31 07/20 09/08 10/28 12/17
1 만 원
10 만 원
100 만 원
1,000 만 원
4. 공동체별 출자
1. 공동체 조합원의 구분에 따라서 2014년 출자한 금액과 출자 총액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2. 조합원 구분은 임의적인 것이 있어서 정확한 수치가 아니므로, 대략의 경향만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6. 적립금 현황
1. 적립금 일람
1. 적립금은 빈고의 잉여금 일부를 적립해두었다가 앞으로 사용하게 되는 금액입니다.
1. 빈고적립금은 빈고의 내부적립금 혹은 임의적립금으로서, 빈고 운영에 따른 특수한 필요나 예상치 못한 손실 등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며, 빈고 활동가회의 또는 총회의 결정을 통해 사용됩니다.
2. 지구분담금은 빈고의 수익이 비롯된 빈고의 외부에 사용되는 금액으로서, 삶의 장소를 빼앗기는데 맞서 투쟁하는
모든 생명과 함께하는 조합원들의 제안과 활동을 통해 사용됩니다.
3. 출자지지금은 빈고 공유자본의 원천인 출자자들을 지지하기 위한 금액으로서, 시중은행의 예금이자율을 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출자자 개개인의 출자금 금액에 따라 배당되며, 빈고 탈퇴 시에 반환되는 금액입니다.
41
공동체 출자총액
공룡 84만 원 10만 원
구녹색 63만 원 -11만 원
구름집 492만 원 297만 원
까페그 4만 원 -2만 원
넓은집 37만 원 -22만 원
동물 50만 원 0만 원
따로또같이 9만 원 9만 원
마당 131만 원 111만 원
마실집 238만 원 48만 원
만행 3만 원 -2만 원
모두들 45만 원 45만 원
비행 33만 원 33만 원
빈가게 2,240만 원 -59만 원
사랑채 843만 원 506만 원
살림집 1,429만 원 517만 원
연구소 5,042만 원 440만 원
연해주 132만 원 59만 원
이음집 40만 원 -352만 원
작은집 233만 원 138만 원
잘자리 198만 원 177만 원
지지 269만 원 264만 원
팔당 576만 원 -4만 원
해방촌 144만 원 -78만 원
미소속 551만 원 -2,321만 원
합계 12,886만 원 -197만 원
2014 출자
분류 잔액
입금 출금 차액
빈고적립금 13,420,521 6,737,124 0 6,737,124 20,157,645
지구분담금 0 3,280,000 2,170,000 1,110,000 1,110,000
출자지지금 9,095,317 2,859,146 20,071 2,839,075 11,934,392
공동체기금 422,700 3,360,000 1,058,550 2,301,450 2,724,150
활동가기금 0 450,000 0 450,000 450,000
합계 22,938,538 16,236,270 3,248,621 12,987,649 35,926,187
(단위 : 원)
2013년 말
2014년
4. 공동체기금은 빈고의 공동체들의 공유자원을 이용하고 이용수입의 전부 혹은 일부를 빈고에 선물하는 공동체의
분담금 중에서 일부를 적립한 금액으로서, 공동체들의 상호부조와 신생 공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활동가회의의 결정을 통해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5. 구분하자면 빈고적립금은 빈고의 온전한 순자산(자본)으로 조합의 힘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고, 나머지는
이자가 지급되지 않는 좋은 부채로써 사용되기 전까지만 보관하는 금액입니다.
2. 각각의 적립금은 총회에서 당기 잉여금처분안에 따라 분배되어 적립되며, 2014년 총회 결정에 따라 2013년 잉여금이
적립되었습니다. 위 표는 2013년까지 적립금과 2014년에 적립하고 사용한 금액, 그리고 이를 합계해서 현재 적립되어
있는 금액을 보여줍니다.
3. 빈고적립금이 2,000만 원, 적립금 총액이 3,500만 원을 넘어서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2. 지구분담금
1. 지구분담금으로 선물을 많이 받았습니다. 계단집 선물 10만 원, 내성천에서 온 선물 10만 원, 해방계와 통과계에서 22만 원을
선물하셨습니다.
2. 4기 적립금과 선물을 포함한 총 328만 원 중, 지구분담금으로 217만 원을 사용하였습니다.
3. 사용한 내용과 제안하고 사용해주신 조합원은 위의 표시한 바와 같습니다.
4. 지구분담금은 조합원 누구든지 제안할 수 있고, 활동가회의에서 간단한 동의 절차를 거쳐 사용하실 수 있으니 2015년에도
조합원 여러분들의 활발한 연대활동을 바랍니다.
3. 출자지지금
1. 출자지지금은 조합원탈퇴 시에만 반환되는 금액으로서 소액만 반환되었고, 대부분은 적립되어 있습니다.
2. 출자지지금은 지금까지 출자금의 약 2.5%~3.5%를 배당해왔습니다.
3. 출자지지금은 출자자가 단순히 돈을 은행에서 빈고로 전환함으로써 자기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기여한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가 됩니다.
4.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출자하면, 빈고의 수익률과 잉여금 분배원칙에 따라 출자금 100만 원에서 발생한 총 수익은 약 15만 원
이고, 이것이 다음과 같이 분배됩니다. 약 3만 원의 출자지지금이 조합원 자신에게 적립됩니다. 약 4만 원 정도는 빈고 운영에
쓰이고, 약 4만 원은 빈고에 적립됩니다. 약 3만 원은 공동체에, 약 1만 원은 지구분담금으로 활용 됩니다.
42
출자지지금 날짜 내용 조합원 사용
1 2014/07/28 탈퇴반환 노랑사 20,071원
합계 20,071원
지구분담금 날짜 내용 신청자 적립 사용 잔액
24 2014/02/17 계단집 잔액 선물 계단집 100,000 100,000
25 2014/02/28 강정마을 평화책방 후원 베로 100,000 0
26 2014/03/03 빈고 2,860,000 2,860,000
27 2014/03/14 유성기업 – 종민 공룡 100,000 2,760,000
28 2014/04/10 로자몬타냐 국제연대를 위한 지역 상영이름 100,000 2,660,000
29 2014/04/21 내성천에서 온 선물 지율스님 100,000 2,760,000
30 2014/05/15 땡떙책 협동조합 후원주점티켓 좌인 100,000 2,660,000
31 2014/05/18 맘상모 좌인 240,000 2,420,000
32 2014/06/11 말레이시아활동가들 살구 200,000 2,220,000
33 2014/07/09 유성기업 종민 150,000 2,070,000
34 2014/09/02 해방계 잔액 선물 해방계 30,000 2,100,000
35 2014/09/02 통과계 잔액 선물 통과계 190,000 2,290,000
36 2014/09/05 동자동 사랑방 반찬나눔 짱돌 360,000 1,930,000
37 2014/11/04 민주노총 서울일반 노동조합 곰자 200,000 1,730,000
38 2014/12/10 스타케미칼 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 200,000 1,530,000
39 2014/12/10 정의로운전환을 위한 에너지 기후정책 120,000 1,410,000
40 2014/12/26 무지개청소년세이프스페이스 김기민 300,000 1,110,000
합계 3,280,000 2,170,000 1,110,000
(단위 : 원)
빈고 4기 적립금
김소연/지음
김은희/지음
4. 빈고적립금
1. 2014년 빈고적립금은 605만 원이 적립되었고 사용된 적은 없어서, 현재 총 잔액 약 2,000만 원입니다.
2. 이는 누구의 소유도 아닌 빈고 자체의 자원으로서 조합의 힘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2월에 계단집이 정리되면서 남은 잉여금을 빈고적립금으로 선물해주셨습니다.
4. 그동안의 잉여금이 누적된 성과로서, 이제는 공간 한 곳의 보증금 정도는 운영할 수 있는 정도가 된 셈입니다.
5. 공동체기금
1. 공유자원을 이용해서 발생한 수입은 모두 빈고로 모으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기존에 공동체들에 매달 현금으로
배당하던 부분을 공동체기금의 형태로 적립하기로 하였습니다.
2. 공동체기금의 사용처는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부조, 공동체 위기 시의 상호부조, 신생공동체의 초기지원 등 공동체들의
필요에 따라서 활동가회의에서 결정합니다.
3. 2014년에는 신생공동체 지원 6회, 공동체 구성원 상호부조 4회 사용되었습니다.
43
공동체기금 날짜 내용 적립 사용 잔액
1 2014/01/07 50,000 372,700
2 2014/02/17 계단집 잔액 선물 500,000 872,700
3 2014/02/16 260,000 612,700
4 2014/02/16 130,000 482,700
5 2014/02/17 150,000 332,700
6 2014/02/19 잘자리 신생공동체지원 250,000 82,700
7 2014/03/03 2,860,000 2,942,700
8 2014/03/06 공룡 신생공동체지원 460,000 2,482,700
9 2014/04/26 루쓰공간오픈 축하선물 48,550 2,434,150
10 2014/05/18 레미 아버지 조의금 50,000 2,384,150
11 2014/07/28 연두 할머니 조의금 50,000 2,334,150
12 2014/11/29 모모 결혼 축의금 50,000 2,284,150
합계 3,360,000 1,058,550
(단위 : 원)
노랑사 HIV감염 콘서트
민박 세팅비 지원(해방촌학숙 공동체활동비)
모두들2호점 신생공동체지원
새집(마루집) 신생공동체지원
빈고 4기 적립금
빈고적립금 날짜 내용 적립 사용 잔액
21 2014/01/01 15,079,588 28,500,109
22 2014/02/17 계단집 잔액 선물 666,611 29,166,720
23 2014/03/03 15,079,588 14,087,132
24 2014/03/03 6,050,442 20,137,574
25 2014/07/28 노랑사 탈퇴 반환금 전환 20,071 20,157,645
합계 21,816,712 15,079,588 6,737,124
(단위 : 원)
빈고 4기 미처분잉여금
빈고 4기 적립금 처분 (지구분담금,
출자지지금, 공동체기금, 활동가기금)
빈고 4기 적립금
7. 공동체 통장 현황
1. 공동체통장은 공동체들이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
2. 공유주거협동조합, 따로또같이, 마당펀드, 모두들, 빈마을, 사랑채, 살림집, 상호부조기금, 작은집, 잘자리,
해방촌사람들, 해방촌축제, 해방화폐 통장이 새로 만들어졌습니다.
3. 계단집, 빈수레, 작은집, 통과계, 해방계 통장이 공동체 이사, 모임 소멸 등으로 정리되었습니다.
4. 까페해방촌과 해방촌 사람들이 활동비기금 등을 위해 임시로 예탁한 금액의 비율이 높습니다.
5. 공동체통장의 총액이 3,000만 원에 가깝게 증가하면서, 출자금과 함께 비중있는 자금원이 되었습니다.
8. 차입금 현황
1. 차입금
44
구분 현재잔액
입금 출금 합계
계단집 0 1,566,611 1,566,611 0 0
고양이 106,000 940,000 204,660 735,340 841,340
공룡 3,500,000 1,270,000 1,570,000 -300,000 3,200,000
공유주거협동조합 0 1,390,000 490,000 900,000 900,000
구름집 1,340,000 1,551,000 374,000 1,177,000 2,517,000
까페해방촌 21,561,400 8,220,860 17,866,900 -9,646,040 11,915,360
넓은집 50,000 1,702,000 810,000 892,000 942,000
따로또같이 0 2,050,000 2,050,000 2,050,000
마당펀드 40,000 1,610,000 1,200,000 410,000 450,000
마실집 300,000 1,400,000 1,900,000 -500,000 -200,000
모두들 0 1,100,000 200,000 900,000 900,000
빈마을 0 730,000 590,000 140,000 140,000
빈수레 239,172 300,000 539,172 -239,172 0
사랑채 0 1,071,000 220,000 851,000 851,000
살림집 0 2,255,210 1,659,000 596,210 596,210
상호부조기금 0 1,519,000 1,310,000 209,000 209,000
작은집 0 180,000 180,000 0 0
잘자리 0 600,000 800,000 -200,000 -200,000
차입자 1,592,672 1,301,336 900,000 401,336 1,994,008
통과계 190,000 190,000 -190,000 0
해방계 230,000 230,000 -230,000 0
해방촌사람들 0 22,006,455 19,796,110 2,210,345 2,210,345
해방촌연구소 747,506 347,506 -347,506 400,000
해방촌축제 0 250,000 250,000 250,000
해방화폐 0 4,948,000 3,211,850 1,736,150 1,736,150
해보아연 0 497,740 202,600 295,140 295,140
전체 결과 29,896,750 61,801,528 59,700,725 2,100,803 31,997,553
(단위 : 원)
2013년 말
2014년
차입자 현재 잔액 차입 이율
추가차입 상환 차액
17,500,000 0 17,500,000 -17,500,000 0 4.00%
3,200,000 0 0 0 3,200,000 4.00%
0 15,000,000 0 15,000,000 15,000,000 4.00%
0 24,000,000 0 24,000,000 24,000,000 4.00%
합계 20,700,000 39,000,000 17,500,000 21,500,000 42,200,000
(단위 : 원)
2013년 말
2013년 변동
개인1
개인2
개인3
개인4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자료집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자료집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자료집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자료집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자료집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도라지꽃 2016년 1월호
도라지꽃 2016년 1월호도라지꽃 2016년 1월호
도라지꽃 2016년 1월호
마 법사
 
080514그룹홈 나모
080514그룹홈 나모080514그룹홈 나모
080514그룹홈 나모seekly
 
도라지꽃 2016년 9월호
도라지꽃 2016년 9월호도라지꽃 2016년 9월호
도라지꽃 2016년 9월호
redsun5629
 
도라지꽃 2015년 6월호
도라지꽃 2015년 6월호도라지꽃 2015년 6월호
도라지꽃 2015년 6월호마 법사
 
도라지꽃 2016년 3월호
도라지꽃 2016년 3월호도라지꽃 2016년 3월호
도라지꽃 2016년 3월호
마 법사
 
2016 무중력지대G밸리 지역청년커뮤니티활동지원사업 '지음' 활동사례집: COMMUNITY NOTE
2016 무중력지대G밸리 지역청년커뮤니티활동지원사업 '지음' 활동사례집: COMMUNITY NOTE 2016 무중력지대G밸리 지역청년커뮤니티활동지원사업 '지음' 활동사례집: COMMUNITY NOTE
2016 무중력지대G밸리 지역청년커뮤니티활동지원사업 '지음' 활동사례집: COMMUNITY NOTE
G-Valley
 
도라지꽃 2014-04
도라지꽃 2014-04도라지꽃 2014-04
도라지꽃 2014-04마 법사
 
난민인권센터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난민인권센터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난민인권센터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난민인권센터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Eunji Koh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G-Valley
 
도라지꽃 2015년 8월호
도라지꽃 2015년 8월호도라지꽃 2015년 8월호
도라지꽃 2015년 8월호
마 법사
 
도라지꽃 2016년 10월호
도라지꽃 2016년 10월호도라지꽃 2016년 10월호
도라지꽃 2016년 10월호
redsun5629
 
인천여성회 2015년평가 2016년계획(안)
인천여성회 2015년평가 2016년계획(안)인천여성회 2015년평가 2016년계획(안)
인천여성회 2015년평가 2016년계획(안)
마 법사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redsun5629
 
테스트
테스트테스트
테스트
ssuserf9fbea1
 
서울여성회 소식지 완성본
서울여성회 소식지 완성본서울여성회 소식지 완성본
서울여성회 소식지 완성본
효 정
 
천왕마을이야기
천왕마을이야기천왕마을이야기
천왕마을이야기
Sung Woo Kim
 
2013 11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2013 11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마 법사
 
2017 도라지꽃-4월호
2017 도라지꽃-4월호2017 도라지꽃-4월호
2017 도라지꽃-4월호
redsun5629
 
제작팀 소개(201308)
제작팀 소개(201308)제작팀 소개(201308)
제작팀 소개(201308)Il-joon Park
 

What's hot (19)

도라지꽃 2016년 1월호
도라지꽃 2016년 1월호도라지꽃 2016년 1월호
도라지꽃 2016년 1월호
 
080514그룹홈 나모
080514그룹홈 나모080514그룹홈 나모
080514그룹홈 나모
 
도라지꽃 2016년 9월호
도라지꽃 2016년 9월호도라지꽃 2016년 9월호
도라지꽃 2016년 9월호
 
도라지꽃 2015년 6월호
도라지꽃 2015년 6월호도라지꽃 2015년 6월호
도라지꽃 2015년 6월호
 
도라지꽃 2016년 3월호
도라지꽃 2016년 3월호도라지꽃 2016년 3월호
도라지꽃 2016년 3월호
 
2016 무중력지대G밸리 지역청년커뮤니티활동지원사업 '지음' 활동사례집: COMMUNITY NOTE
2016 무중력지대G밸리 지역청년커뮤니티활동지원사업 '지음' 활동사례집: COMMUNITY NOTE 2016 무중력지대G밸리 지역청년커뮤니티활동지원사업 '지음' 활동사례집: COMMUNITY NOTE
2016 무중력지대G밸리 지역청년커뮤니티활동지원사업 '지음' 활동사례집: COMMUNITY NOTE
 
도라지꽃 2014-04
도라지꽃 2014-04도라지꽃 2014-04
도라지꽃 2014-04
 
난민인권센터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난민인권센터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난민인권센터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난민인권센터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5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도라지꽃 2015년 8월호
도라지꽃 2015년 8월호도라지꽃 2015년 8월호
도라지꽃 2015년 8월호
 
도라지꽃 2016년 10월호
도라지꽃 2016년 10월호도라지꽃 2016년 10월호
도라지꽃 2016년 10월호
 
인천여성회 2015년평가 2016년계획(안)
인천여성회 2015년평가 2016년계획(안)인천여성회 2015년평가 2016년계획(안)
인천여성회 2015년평가 2016년계획(안)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지역공동체 활동사례집(201801)
 
테스트
테스트테스트
테스트
 
서울여성회 소식지 완성본
서울여성회 소식지 완성본서울여성회 소식지 완성본
서울여성회 소식지 완성본
 
천왕마을이야기
천왕마을이야기천왕마을이야기
천왕마을이야기
 
2013 11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2013 11 도라지꽃
2013 11 도라지꽃
 
2017 도라지꽃-4월호
2017 도라지꽃-4월호2017 도라지꽃-4월호
2017 도라지꽃-4월호
 
제작팀 소개(201308)
제작팀 소개(201308)제작팀 소개(201308)
제작팀 소개(201308)
 

Viewers also liked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총회 ppt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총회 ppt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총회 ppt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총회 ppt
Bin Go
 
공동체은행 빈고 소개
공동체은행 빈고 소개공동체은행 빈고 소개
공동체은행 빈고 소개
Bin Go
 
현대캐피탈 2011년 감사보고서(연결)
현대캐피탈 2011년 감사보고서(연결)현대캐피탈 2011년 감사보고서(연결)
현대캐피탈 2011년 감사보고서(연결)
Hyundai Finance
 
20160618 빈고 천안 발표
20160618 빈고 천안 발표20160618 빈고 천안 발표
20160618 빈고 천안 발표
Bin Go
 
2016년도 빈고총회
2016년도 빈고총회2016년도 빈고총회
2016년도 빈고총회
Bin Go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sonjit91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Bin Go
 
2012 빅데이터 big data 발표자료
2012 빅데이터 big data 발표자료2012 빅데이터 big data 발표자료
2012 빅데이터 big data 발표자료
Wooseung Kim
 
협동조합 운영 사례집 서울시
협동조합 운영 사례집 서울시협동조합 운영 사례집 서울시
협동조합 운영 사례집 서울시
Hwajun Song
 

Viewers also liked (9)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총회 ppt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총회 ppt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총회 ppt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총회 ppt
 
공동체은행 빈고 소개
공동체은행 빈고 소개공동체은행 빈고 소개
공동체은행 빈고 소개
 
현대캐피탈 2011년 감사보고서(연결)
현대캐피탈 2011년 감사보고서(연결)현대캐피탈 2011년 감사보고서(연결)
현대캐피탈 2011년 감사보고서(연결)
 
20160618 빈고 천안 발표
20160618 빈고 천안 발표20160618 빈고 천안 발표
20160618 빈고 천안 발표
 
2016년도 빈고총회
2016년도 빈고총회2016년도 빈고총회
2016년도 빈고총회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정기총회자료 2015년 사업보고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2 빅데이터 big data 발표자료
2012 빅데이터 big data 발표자료2012 빅데이터 big data 발표자료
2012 빅데이터 big data 발표자료
 
협동조합 운영 사례집 서울시
협동조합 운영 사례집 서울시협동조합 운영 사례집 서울시
협동조합 운영 사례집 서울시
 

Similar to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자료집

080514그룹홈 나모
080514그룹홈 나모080514그룹홈 나모
080514그룹홈 나모seekly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월 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월 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월 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월 2월
econewsletter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youthzone2
 
신나는애프터센터 2013 활동보고서
신나는애프터센터 2013 활동보고서신나는애프터센터 2013 활동보고서
신나는애프터센터 2013 활동보고서
신나는애프터 센터
 
2013 08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2013 08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마 법사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Eunji Koh
 
2011 성서한국 전국대회 자료집
2011 성서한국 전국대회 자료집2011 성서한국 전국대회 자료집
2011 성서한국 전국대회 자료집
Bible Korea
 
Youthzonedb 2021 annual report
Youthzonedb 2021 annual reportYouthzonedb 2021 annual report
Youthzonedb 2021 annual report
ssuser674fd0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혜지 장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3, 4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3, 4월호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3, 4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3, 4월호humandasan
 
도라지꽃 2015년 9월호
도라지꽃 2015년 9월호도라지꽃 2015년 9월호
도라지꽃 2015년 9월호
마 법사
 
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
여성환경연대
 
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북부지부 소식지 &lt;마중물>
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북부지부 소식지 &lt;마중물>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북부지부 소식지 &lt;마중물>
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북부지부 소식지 &lt;마중물>
Minja Shin
 
2016 소식지
2016 소식지2016 소식지
도라지꽃 2014년 12월
도라지꽃 2014년 12월도라지꽃 2014년 12월
도라지꽃 2014년 12월마 법사
 
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마 법사
 
사회적기업길라잡이 20111105
사회적기업길라잡이 20111105사회적기업길라잡이 20111105
사회적기업길라잡이 20111105마 법사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왜 그땐 잘 안됐을까?_섹션1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왜 그땐 잘 안됐을까?_섹션1[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왜 그땐 잘 안됐을까?_섹션1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왜 그땐 잘 안됐을까?_섹션1
ChangeON@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마 법사
 
2012 02 도라지꽃
2012 02 도라지꽃2012 02 도라지꽃
2012 02 도라지꽃마 법사
 

Similar to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자료집 (20)

080514그룹홈 나모
080514그룹홈 나모080514그룹홈 나모
080514그룹홈 나모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월 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월 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월 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월 2월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신나는애프터센터 2013 활동보고서
신나는애프터센터 2013 활동보고서신나는애프터센터 2013 활동보고서
신나는애프터센터 2013 활동보고서
 
2013 08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2013 08 도라지꽃
2013 08 도라지꽃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제 9차 정기총회 자료집
 
2011 성서한국 전국대회 자료집
2011 성서한국 전국대회 자료집2011 성서한국 전국대회 자료집
2011 성서한국 전국대회 자료집
 
Youthzonedb 2021 annual report
Youthzonedb 2021 annual reportYouthzonedb 2021 annual report
Youthzonedb 2021 annual repor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3, 4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3, 4월호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3, 4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3년 3, 4월호
 
도라지꽃 2015년 9월호
도라지꽃 2015년 9월호도라지꽃 2015년 9월호
도라지꽃 2015년 9월호
 
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Living library 20140524
Living library 20140524
 
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북부지부 소식지 &lt;마중물>
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북부지부 소식지 &lt;마중물>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북부지부 소식지 &lt;마중물>
어린이도서연구회 경기북부지부 소식지 &lt;마중물>
 
2016 소식지
2016 소식지2016 소식지
2016 소식지
 
도라지꽃 2014년 12월
도라지꽃 2014년 12월도라지꽃 2014년 12월
도라지꽃 2014년 12월
 
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2013 05 도라지꽃
2013 05 도라지꽃
 
사회적기업길라잡이 20111105
사회적기업길라잡이 20111105사회적기업길라잡이 20111105
사회적기업길라잡이 20111105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왜 그땐 잘 안됐을까?_섹션1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왜 그땐 잘 안됐을까?_섹션1[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왜 그땐 잘 안됐을까?_섹션1
[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 '모두'] 왜 그땐 잘 안됐을까?_섹션1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도라지꽃 2014년 09월호
 
2012 02 도라지꽃
2012 02 도라지꽃2012 02 도라지꽃
2012 02 도라지꽃
 

More from Bin Go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결산보고서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결산보고서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결산보고서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결산보고서
Bin Go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ppt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ppt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ppt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pptBin Go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Bin Go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Bin Go
 
Bin zib_english
Bin zib_englishBin zib_english
Bin zib_english
Bin Go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Bin Go
 

More from Bin Go (6)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결산보고서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결산보고서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결산보고서
공동체은행 빈고 2016년 결산보고서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ppt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ppt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ppt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ppt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2014 빈고 조합원총회 발표자료(pt) 배포용
 
Bin zib_english
Bin zib_englishBin zib_english
Bin zib_english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빙고 소개 프리젠테이션
 

공동체은행빈고 2015년도 총회자료집

  • 1. 2015년도 제5차 조합원 정기총회 空動體恩行 貧樂 Commune Bank BINGO 일시 : 2015년 3월 7일 토요일 오후 3시 장소 : 까페해방촌 빈가게
  • 2. 자료집 차례 자료집 차례 2 총회 식순 3 들어가며 – 좌파곰 3인의 대표활동 소감 4 공동체은행 빈고 걸어온 길 5 전 회의록 검토 7 2014년도 활동보고 9 2014년도 사업평가 18 2014년도 결산(안) 19 2014년도 잉여금처분(안) 21 2015년도 사업계획(안) 22 2015년도 조직구성(안) 및 임원구성(안) 29 2015년도 예산(안) 30 기타 안건 31 2014년도 결산보고서 32 2
  • 3. 총회 식순 1부 : 사전행사 1. 빈고 OX퀴즈 2. 2014 빈고 활동 보기 3. 시상식 2부 : 본회의 1. 성원확인 및 보고 2. 개회선언 3. 의사일정 확정 및 서기 선임 4. 안건채택 5. 전 회의록 승인 6. 안건심의 제1호의 안. 2014년도 활동보고 및 평가 제2호의 안. 2014년도 결산(안) 및 잉여금처분(안) 제3호의 안. 2014년도 감사보고 제4호의 안. 2015년도 사업계획(안) 제5호의 안. 2015년도 조직구성(안) 및 임원구성(안) 제6호의 안. 2015년도 예산(안) 7. 기타 안건 8. 폐회 선언 3부 : 저녁 식사 및 뒤풀이 3
  • 4. 들어가며 좌파곰 3인의 대표활동 소감 헤어나올 수 없는 매력의 소유자 – 곰자 2013년 해방촌 마을 아카이빙 활동을 하면서 빈고를 알게 됐다. 빈고에 관심은 있었으나 조합원 교육을 한 번 들어도 뭘 하는 곳인지는 알 수가 없었다. 그래도 어떤 곳인지 궁금해 2014년에 빈고활동에 참여하고 싶다고 얘기했는데 덜컥 대표를 맡게 됐다. 빈고 총회를 앞두 고 빈고 운영에 대한 설명을 열 번을 들어도 도대체 빈고 구조가 어떤지 파악이 안 됐다. 두 달 동안 한 10번 정도 들으니 간신히 알게 됐 고 1년 동안 활동하니 이제야 조금 빈고 구조와 활동이 파악됐다. 이 의미는 빈고는 그만큼 운영자가 단독으로 일을 진행하는 구조가 아 니라 조합원과 공동체 활동가 모두가 합의하에 하나씩 일을 해나가는 구조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그 안에서 나는 우리가 상투적으로 말하던 ‘반자본’과 ‘공동체정신’에 대해 배우게 됐다. 조합원모임에 사람이 없을 때, 일이 몰려들 때 힘들다고 느낀 적도 있었다. 하지만 언제나 즐겁게 빈고운영활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좌인, 오디, 파스 등 공동대표와 상임 활동가가 내 부족한 면을 채워주고 이해해줬으며 공동체 활동가들이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며 빈고활 동을 함께 해줬기 때문이다. 다른 활동을 할 때 나는 항상 내 부족한 면에 초점을 맞추며 괴로워했는데 빈고활동에서는 내가 잘할 수 있는 면에 초점을 맞춰 일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 잘하는 것이 별로 없는데 대표에 이어 올해는 덜컥 상임 활동가를 맡게 됐다. 부담이 크지 만, 같이 잘 해내 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어설프게 시작했던 재무상담이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올해는 재무상담을 확대해 상임 활동가로서 재무설계 워크숍도 진행하고 조합원들 과의 소통에도 좀 더 신경 쓰려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조합원의 참여로 가능하니 적극 조합원들에게 손을 내밀려고 한다. 함께 해주 시길. 자칭 빈고 대표 페이스를 주장하는 - 파스 2013년 초 빈마을에 처음 왔을 때 낯설고도 신기한 경험이었는데 내가 여기서 빈고 대표까지 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었다. 내가 하고 싶은 것도 있었고 큰 기대를 한 것 같지는 않으나 나한테 바라던 역할도 있었던 것 같은데 개인적인 사정상 두 군데서 활동하게 되었고 한 군데도 제대로 활동하지 못했던 것 같아 좀 아쉽다. 그래도 빈고에 대해서 그리고 공동체는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하고 공 부할 수 있었던 시간이고 내가 앞으로 살아 자양분이 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나보다 좋은 새로운 대표가 오게 되니 빈고가 좀 더 발전해 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오디의 등쌀을 견뎌내고 곰자의 푼수 질을 받아준 나 자신에게 격려를 보낸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말썽 꾸러미 - 좌인 '여긴 뭐지?' 경계심을 갖고 빈고 운영회의에 기웃거린 지 3년이 됐다. 자본주의 논리가 머릿속에 알알이 들어박힌 데다, 돈이라곤 관심도 없던 나는 이해되지 않는 용어와 가치판단 기준에 어리둥절해 하며 1년을 보냈다. 회의 때마다 머리가 하얘졌던 것 말고는 딱히 기억나는 게 없다.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곤 매월 신협에 쏟아 붓던 적금을 빈고로 옮기는 것뿐이었다. 빈고가 망하면 4년간 모은 내 돈도 날아간다는 생각을 하니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내 돈은 안전한가. 허투루 쓰는 건 아닌가. 상임 활동가는 뭘 숨기려고 말할 때마다 뜸을 들이 나. '우주살림'을 지향하는 포부는 헛소리인가 실체 있는 행동인가. 뭔 회의를 4시간이나 진행하나. 의심하고 불평하다 보니 얼떨결에 2015년 대표조합원까지 맡게 됐다. 내가 한 일은 회의 시간을 줄인 것밖에는 없다.(이것도 좋은 것만은 아니더라) 첫 포부와 달리, 하지 못한(않은) 일들이 너무 많다. 10만 원 도 채 안 되는 돈을 받으며 일해 온 상임 활동가들, 빈고를 믿고 출자한 조합원들, 지혜롭게 이용하고 신뢰를 지키는 이용자들, 모두가 고 마웠다. 지구분담금, 공동체기금, 대출이란 용어를 '이용'으로 변경하는 등 빈고 곳곳에 녹아있는 운영 원칙들이 자랑스러웠다. 빈고의 자산은 서울에서 4인 가족 전셋집 구하기도 어려운 규모다. 그래도 공유지 10곳이(누적-약 25곳) 만들어지는 데 힘을 보탰고, 수 많은 관계망이 형성됐다. 빈고 그리고 빈고와 같은 은행들이 전국으로 퍼져나가면 어떤 가능성이 펼쳐질까? 가난한 이들이 서로 연대하 여 넉넉하고 풍요로운 삶의 터전들을 크게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빈고 활동에 긴밀하게 간섭하는 조합원들이 많아지면 좋겠다. 특히 같 이 해 준 대표들과 상임 활동가 오디에게 특별한 애정을 전한다. 4
  • 5. 공동체은행 빈고 걸어온 길 2008년 02월 21일 해방촌 게스츠하우스 빈집 시작. 빈집들이. 11월 윗집 시작. 2009년 02월 옆집 시작. 03월 가파른집 시작. 03월 빈마을회의 시작. 05월 빈마을금고 논의 시작. 08월 ~ 10월 참길음집. 09년 10월 빈농집 시작. 2010년 02월 앞집 시작. 윗집 정리. 05월 빈집 1차 재배치 – 사다리타기 05월 빈마을금고 창립준비위원회 시작. 06월 27일 우주살림협동조합 빈고 시작. 10월 빈집 2차 재배치 - 조정위원회 10월 빈가게 공동체 공간이용. 11월 하늘집 공동체 공간이용. 2011년 03월 빈고 1차 총회. 04월 가파른집 정리. 05월 빈집 3차 재배치 – 테마집. 05월 공부집 공동체 공간이용. 05월 팔당집 시작. 09월 빈마을 집사회의 시작. 2012년 01월 만행 해방촌 행간 공동체 공간이용. 02월 빈가게 정리 및 이전. 까페해방촌 공동체 공간이용. 02월 아랫집 아듀파티. 해방채와 계단집으로 나눠서 공동체 공간이용. 03월 빈고 2차 총회 04월 ~ 10월 빈집회계 분리 05월 낭만집 정리. 작은집 공동체 공간이용. 08월 청주 공룡 공동체 공간이용. 08월 살림집 공동체 공간이용. 11월 해방채 정리 11월 해방촌연구소, 구름집 공동체 공간이용. 11월 마실집, 옥상집 시작 12월 수유너머R 해방촌 공동체 공간이용. 2013년 01월 빈고 총회준비위원회 활동. 03월 빈고 3차 총회. 07월 해방촌민박 공동체 공간이용. 07월 빈고 상임 활동가회의 시작 09월 마실집 공동체 공간이용. 10월 모두들 활동가 회의 참가. 12월 공룡 새 공간으로 이전. 5
  • 6. 2014년 02월 해방촌연구소 + 해방촌민박 → 사랑채 변경. 02월 부천 모두들 공동체 공간이용. 02월 부산 잘자리집 공동체 공간이용. 03월 빈고 4차 총회. 04월 더 스페이스 시작. 04월 마실집 공동체공간 추가이용. 06월 구름집 공동체공간 추가이용. 06월 작은집 정리. 11월 인천 비행 공동체 공간이용. 2015년 02월 마실집 정리. 03월 빈고 5차 총회. 6
  • 7. 전 회의록 검토 우주살림협동조합 빈고 (공동체은행 빈고) 2014년도 제4차 조합원 정기총회 - 일시: 2014년 3월 1일 토요일 오후 3시 - 장소: 까페해방촌 빈가게 - 참석자: 총 57명 (의결권 29명 / 위임 31) 사회: 좌인 / 서기: 정민 / 사진: 오디, 우더 1부. 사전행사 1. 빈고 소개 PPT 발표 2. 공동체활동 소개 1. 해방촌 빈집 발표 2. 부산 빈집 발표 3. 청주 공룡 발표 4. 부천 모두들 발표 3. 축하공연 1. 악단네마리 공연 – 해방촌 조합원 2. 혼양 공연 – 부산 빈집 3. 오재환 – 청주생활교육공동체 공룡 4. 조합원 빙고 게임 2부. 본회의 1. 2013년도 활동보고 및 평가 (지음 / 파스) : 원안대로 승인 2. 2013년도 결산(안) (지음) : 원안대로 승인 3. 2013년도 감사(안) (테아) : 원안대로 승인 4. 2013년도 잉여금처분(안) : <2안 지구분담금 보강안> 결정 출자지지금 19.0% 공동체기금 19.0% 지구분담금 19.0% 활동가기금 3.0% 빈고적립금 40.1% 5. 2014년도 사업계획(안) : 원안대로 승인 7
  • 8. 6. 2014년도 조직구성(안) 및 임원구성(안) 1.조직구성 1. 총회 : 연 1회 2. 활동가회의 : 월 2회 - 운영회의 : 월 1회 (매달 두 번째 월요일) - 연구모임 : 월 1회 (매달 네 번째 월요일) 3. 상임 활동가회의 : 주 1회 (대표활동가 + 상임 활동가) 4. 지역연대회의 : 두 달에 1회 5. 조합원 소모임 2. 임원구성 1. 공동대표 좌인(사랑채, 현 대표) - 운영회의 파스(살림집, 살림집 활동가) - 연구모임 곰자(사랑채, 사랑채 활동가) – 상임 활동가회의 2. 상임 활동가 오디(구름집, 현 상임 활동가) 3. 공동체활동가 자유(넓은집), 정민(까페해방촌), 종민(공룡), 하람(구름집), 매콩(마실집), 땡땡(모두들), 테아(옥상집), 돌고래(맛집), 시오(우리집), 파스(살림집), 곰자(사랑채) 이상 11명 4. 감사 지음(현 상임 활동가), 말랴(전 옆집) 7. 2014년도 예산(안) : 원안대로 승인 8. 조합 명칭 변경(안) - 부결 - 제 의결 : 온라인상에서 의견수렴 및 사전설명 과정 추진 (2개월 내 마무리) 9. 조합원 규정 변경(안) : 원안대로 승인 8
  • 9. 2014년도 활동보고 1. 일반현황 2. 조합원 현황 1. 신입 조합원 (61명) 2. 탈퇴 조합원 : 4명 3. 전체 조합원 명단 9 월 사람수 신입조합원 1 월 6 명 2 월 10 명 3 월 12 명 4 월 3 명 5 월 4 명 6 월 5 명 7 월 3 명 8 월 2 명 9 월 1 명 이능금 10 월 8 명 11 월 1 명 여린두발 12 월 6 명 전체 유월,지비,느루,김민정,신비,종민 찰스,혼양,이랑,부깽,이름,서원,피터,윤우,산들,들불 노상,박승옥,그링,김두겁,장아리,김연두,빙거,루쓰,오경주,김유숙,소다수,김기수 김기민,양수정,김선희 태양열,한돌,홍,김하운 유동,이재연,활쑨,아리데,틈 렐라,형석,뚜비두 슉슉,지후 저니,파파장,우루,라일락,오렌지,하밍,황채연,키키 고은,샘,김동섭,풀,초록,무심 61 명 말랴 존도우 섬 노랑사 곤조 치실 돌고래 학봉 정민모 루쓰 이능금 지음 덕산 들깨 나루 오미옥 메이린 테라 한솔 지비 오경주 저니 살구 라브 잔잔 이경 규섭 눈 감언니 개미 민정 김유숙 파파장 양군 지선 모모 짱돌 인철 로보 베로 땡땡 느루 소다수 우루 곤룡 희공 나마스떼 체 고유 그림 파스 순대 종민 김기수 라일락 복돌이 봄날 김환수 봉봉 준 나무 멍구 그래 찰스 김기민 오렌지 지각생 홍진 공룡나비 참새 두부 하람 김샛별 삐요 혼양 양수정 하밍 승욱 디디 석류 레미 좌인 모기 멍 어무녕 이랑 김선희 황채연 달군 함피 우더 청하 위어도 연금 부깽 태양열 키키 디온 라봉 사포 크트 죠스 해씨 녹갱이 카야 이름 한돌 여린두발 자주 가리 아침 쐐기 소연 덴마 정민 곰자 서원 홍 고은 깜찍이 동글이 날맹 숲이아 유농 주노정 최효정 머털 피터 김하운 샘 슈아 게름 염 칡 경목 그름 윤자 비비 윤우 유동 김동섭 연두 샛별 쌩쌩 이음 화림 김삼권 자유 보스 산들 이재연 풀 몽애 코살라 다홍 현민 유선 이수희 병민 제임스본드 들불 활쑨 초록 이발사 시금치 오디 탱탱 화니짱 임명희 말랑 죠죠 노상 아리데 무심 잇을 가온 최송 주영 산하 아리 도담 두물 박승옥 틈 미나 겨울 우중산책 못조 메뤼 러니 찬 가제트 그링 렐라 데반 노래 광대 쿠우 하루 멍니 지원 사티 김두겁 형석 켄짱 이건의 기보 파이 보선 성재 선민 안진구 장아리 뚜비두 우마 김이봄 소윤 김냉 영은 현수영 최그림 신 김연두 슉슉 제프 이슷 숨 사사 테아 정애 강가 하지메 빙거 지후 미스터리L 돌~ 당기 증감 조합원수 133% 출자총액 135,530,000 111,900,000 90,950,000 130,830,000 128,860,000 1,970,000 98% 자산총액 330,315,818 275,100,589 208,083,728 219,444,876 254,228,021 34,783,145 116% 41% 41% 44% 60% 51% 평균출자금 3,662,973 1,271,591 745,492 756,243 560,261 (단위 : 원) 1기 2기 3기 4기 5기 당기/전기 37 명 88 명 122 명 173 명 230 명 57 명 출자/자산
  • 10. 3. 공동체 현황 (이용금 단위 : 만 원) 4. 조합운영 현황 1. 활동가 1. 공동체활동가(총회 선임) : 자유, 정민, 종민, 하람, 매콩, 땡땡, 테아, 돌고래, 시오, 파스, 곰자 (이상 11명) 2. 공동체활동가 교체/추가 : 정민(켄짱), 매콩(몽애), 땡땡(그링), 하람(한돌) 3. 총회준비위 참가 : 좌인, 곰자, 파스, 오디, 정민, 부깽 2. 대표활동가 (공동대표) 1. 좌인(운영회의), 파스(연구모임), 곰자(상임 활동가회의) 3. 상임 활동가 1. 오디(1월~현재) 4. 감사 1. 지음, 말랴 10 순서 집 이용금 계약책임자 등 1 넓은집 1,000 2 까페해방촌 2,000 연장 3 작은집 1,000 해지 4 살림집 2,000 연장 5 구름집 2,000 전환 연장 6 해방촌연구소 2,000 사랑채 연장 7 마실집 2,000 전환 해지 8 해방촌민박 1,500 사랑채 9 공룡 새공간 1,500 계약 10 사랑채 3,500 전환 11 부산 잘자리 1,000 계약 12 부천 모두들 1,000 계약 13 2,500 전환 14 인천 비행 2,000 계약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계약 만료 5월 청하, 해씨 지음,살구,켄짱 파스,좌인,지후 오디,우더,나마스떼 지음,살구,크트,경목 주노정, 연두, 산하 우중산책,보선,영은,종민 10월, 6월좌인, 지비, 나마스떼 시오, 혼양. 이랑 땡땡,순대,개미 구름집시즌2 11월 한돌, 글쎄, 오디 아리데, 하밍, 라일락
  • 11. 5. 활동가회의 6. 상임 활동가회의 7. 총회준비위 11 회차 날짜 회차 날짜 회차 날짜 회차 날짜 2014/03/04 2014/06/19 2014/08/29 2014/11/10 2014/03/10 2014/06/27 2014/09/15 2014/11/17 2014/03/31 2014/07/02 2014/09/22 2014/11/25 2014/04/11 2014/07/07 2014/09/29 2014/12/02 2014/04/18 2014/07/14 2014/10/06 2014/12/08 2014/05/01 2014/07/28 2014/10/13 2014/12/15 2014/05/09 2014/08/06 2014/10/20 2014/12/23 2014/05/16 2014/08/11 2014/10/27 2014/12/30 2014/05/27 2014/08/18 2014/11/03 2015/01/05 2014/06/06 1차 11차 20차 29차 2차 12차 21차 30차 3차 13차 22차 31차 4차 14차 23차 32차 5차 15차 24차 33차 6차 16차 25차 34차 7차 17차 26차 35차 8차 18차 27차 36차 9차 19차 28차 37차 10차 회차 날짜 내용 회차 날짜 내용 2015/01/09 워크숍준비 2015/02/10 총회준비회의 2015/01/13 총회준비회의 2015/02/17 총회준비회의 2015/01/19 총회준비회의 2015/02/23 총회준비회의 2015/01/22 리플렛제작회의 2015/03/02 총회준비회의 2015/01/26 총회준비회의 2015/03/02 홈페이지회의 2015/01/31 홈페이지 기획회의 2015/03/04 총회준비회의 2015/02/02 총회준비회의 2015/03/05 총회준비회의 2015/02/05 홈페이지 기획회의 2015/03/06 총회준비회의 1차 9차 2차 10차 3차 11차 4차 12차 5차 13차 6차 14차 7차 15차 8차 16차 회차 날짜 내용 참가자 2014/03/11 2014/03/25 2014/04/15 2014/04/29 2014/05/13 2014/05/27 2014/06/10 2014/06/16 2014/07/08 2014/07/22 2014/08/12 2014/08/24 빈고 바캉스에서 진행 2014/09/16 2014/09/30 2014/10/14 2014/10/28 2014/11/11 2014/11/25 2014/12/09 2014/12/23 2015/01/20 2015/02/10 1차 1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오디, 좌인, 하람, 매콩, 테아, 돌고래, 지음, 나마스떼, 켄짱 2차 2차 활동가모임 정민, 파스, 오디, 좌인, 하람, 테아, 곰자, 나마스떼, 지비 3차 3차 활동가회의 자유,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하람, 테아, 나마스떼, 켄짱 4차 4차 활동가모임 오디, 자유, 좌인, 파스, 곰자, 지비, 유농, 정민, 테아, 하람 5차 5차 활동가회의 자유, 파스, 곰자, 오디, 좌인, 하람 6차 6차 활동가모임 나마, 파스, 오디, 좌인, 화림 7차 7차 활동가회의 자유, 파스, 곰자, 오디, 좌인 8차 8차 활동가모임 좌인, 파스, 곰자, 오디, 베로, 자유 9차 9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몽애, 테아 10차 10차 활동가모임 파스, 곰자, 오디, 자유, 정민, 테아, 활쑨 11차 11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몽애 12차 12차 활동가모임 13차 13차 활동가회의 좌인, 파스, 곰자, 오디, 한돌, 나마스떼, 테아, 자유, 정민, 지비 14차 14차 활동가모임 좌인, 오디, 파스, 나마 15차 15차 활동가회의 자유,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나마스떼, 우루, 몽애 16차 16차 활동가모임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나마스떼, 우루, 키키 17차 17차 활동가회의 신비, 파스, 곰자, 오디, 좌인, 우루, 몽애, 나마스떼 18차 18차 활동가모임 좌인, 오디 19차 19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우루, 한돌, 몽애, 나마스떼, 부깽 20차 20차 활동가모임 신비, 파스, 곰자, 오디, 좌인, 우루, 부깽 21차 21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오디, 좌인, 한돌, 나마스떼, 하밍, 부깽 22차 22차 활동가회의 정민, 파스, 곰자, 오디, 좌인, 한돌, 그링, 나마스떼, 라일락, 부깽, 아리데, 땡땡, 자유
  • 12. 8. 총회준비 1박 2일 워크숍 1. 일시 : 2015년 1월 10~11일 2. 장소 : 마실집 3. 참가자 : 지음(청주), 좌인(살림집), 곰자(미소속), 파스(살림집), 오디(구름집), 나마스떼(마실집), 몽애(마실집), 한돌(구름집), 정민(빈가게), 켄짱(빈가게), 땡땡(모두들), 그링(모두들), 부깽(연구소), 우루(살림집), 김기민(따로또같이), 신비(참관) 4. 프로그램 1. 다큐멘터리 상영 <중국CCTV 다큐 : 월스트리트 10부작 중 2부 & 3부> 2. 1차 워크숍 – 참가자 소개, 총회 준비 작업 (활동/결산 브리핑), 활동평가 3. 2차 워크숍 – 잉여금 처분안 논의, 총회준비 위원회 구성, 활동가 구성안 논의 4. 뒤풀이 9. 조합원 MT 1. 일시 : 2014년 8월 23일 ~25일 2. 참석 : 화림, 남현, 몽애, 지음, 느루, 영준, 광대, 좌인, 연두, 주노정, 곰자, 박승옥, 나마스떼, 한동희, 파스, 정민 3. 프로그램 1. 영상상영 : 영화 <멋진인생> 2. 계곡물놀이 3. 캠프파이어 4. 공주 공동체 미팅 & 빈고 소개 5. 대전 투어 (원도심레츠, 산호여인숙) 10. 감사 활동 1. 상반기 감사 : 2014. 09. 04 - 지음, 말랴 (곰자, 오디, 좌인, 파스) 2. 하반기 감사 : 2015. 02. 20 - 지음, 말랴 (오디, 곰자, 파스) 5. 운영활동 1. 뉴스레터 1. 홈페이지와 메일 발송을 통해, 매월 뉴스레터를 발간하여 빈고 활동과 공동체 및 조합원 소식을 전하고자 했음 2. 정기적으로 발행하지 못함 2. 빈고폰 1. 빈고 상임 활동가와 직접 연락할 수 있는 핫라인 지속 운영 2. 전화번호 : 010–3058–1968 3. 계좌번호도 같은 번호로 운영 : 기업은행 010–3058-1968 빈마을금고 4. 출자시 알람 문자 발송, 출자반환, 이용신청 등 상시 업무 처리 3. 페이스북 1. 그룹 : https://www.facebook.com/groups/bingobank/ 1. 빈고 조합원 그룹은 빈고 조합원만 가입할 수 있는 비밀 그룹입니다. 2. 조합원들의 참여가 거의 없어서 지속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12 호 발행일 월 주요내용 2014/04/05 2014/05/01 2014/06/03 공유주거협동조합 첫 프로젝트 2014/07/12 부천모두들 세 번째 집 준비 2014/11/27 8호 3월 뉴스레터 빈고 총회 결과 공유, 부산, 대구 공동체 방문 9호 4월 뉴스레터 빈고 명칭 변경, 해방화폐 시작 10호 5월 뉴스레터 11호 6월 뉴스레터 12호 10월 뉴스레터 빈고 메일계정 변경, 마포와 강남으로 외부 조합원 모임, 해방화폐 공개세미나
  • 13. 2.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communebank 1. 빈고와 공동체와 조합원의 활동을 모든 사람들에게 알리는 페이지입니다. 2. 누구나 볼 수 있고 글을 올릴 수 있습니다. 3. 꼭 '좋아요' 해주시고 빈고에 관심있는 모든 사람들과 나눌 얘기 올려주세요. 4. 공동체 활동가들은 페이지 매니저로 모든 내용을 관리할 수 있으니 협조가 필요하면 공동체 활동가에게 요청하세요. 3. 아이디 : https://www.facebook.com/bingobank 1. 빈고 아이디는 상임 활동가들이 관리합니다. 2. 빈고의 주요 공지사항은 이 아이디를 통해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4. 빈고 해방촌 지점 운영 1. 까페해방촌 빈가게에서 상임 활동가 업무를 보면서 조합원 상담. 화요일 오후 3시~7시 2. 통장 정리, 조합원 상담, 빈고 가입 상담, 수동 ATM 운영. 3. 외부 출장시 외엔 매주 운영 (페이스북으로 시작과 종료 알림) 4. 조합원 방문이 많지는 않았음. 상담 2팀, 통장정리, 출자금 입금 6. 기타 상임활동 1. 조합원 상담 2. 빈고 명칭 변경 투표 실시, ‘공동체은행 빈고’ 명칭 확정 3. 통장작업 완료 4. 출자독려 문자보내기, 출자선물카드 추진 5. 지구분담금 양식 및 절차 안내 6. 공유주거협동조합 프로젝트 시작 7. 집별 계약책임자 체크 8. 작년대비 전체 수입 체크, 새 공동체 이용 상담, 9. 각집 회계체크, 페이스북 홍보체크 10. 빈고 이용기준과 시스템 논의 11. 빈고메일계정 변경 12. 해방화폐 기획 및 운영 참여 13. 지구분담금 홍보 방안 논의, 공동체기금 집행 논의, 빈고활동지수 ‘덕’ 논의 14. 4평학교 운영 참여 논의 15. 빈고 홈페이지 논의 16. 2014년 재정 정산 7. 출자 / 수신 활동 1. 조합원 출자 활동 1. 출자자수 : 183명 2. 출자횟수 : 1,345회 3. 신규출자금액 : 8,393좌(1좌=1만 원) 4. 출자반환금액 : 8,590좌 5. 월평균 출자좌수 : -16좌 2. 공동체통장 운영 1. 공동체들이 잉여자금을 예치하는 수시입출금식 통장. 2. 기존 통장 : 까페해방촌, 빈마을, 차입자, 구름집, 넓은집, 해방촌연구소, 공룡, 사랑채 3. 신규 개설 : 따로또같이, 모두들, 상호부조기금 4. 기타 : 고양이공동체, 마당펀드, 해방촌 사람들, 해방화폐, 공유주거협동조합, 해보아연, 해방촌축제 13
  • 14. 3. 차입금 1. 추가차입 1. 적금형 차입금 : 5회 4,900만 원 차입. 2. 차입금 상환 : 개인1 차입금 전액 상환 8. 금융활동 1. 대안화폐 프로젝트 2. 곰자의 재무상담 9. 이용활동 1. 공동체 공간이용 1. 신규 이용 : 청주 공룡(1월, 공간이사), 부산 잘자리(2월), 부천 모두들(2월), 인천 비행(11월) 2. 이용 연장 : 살림집(8월), 구름집(10월), 연구소(10월) 3. 이용 반환 : 계단집(1월), 작은집(5월) 2. 공동체회원이용 1. 빈쌈짓돈 : 신용카드를 없애고, 현금서비스를 대체하는 프로그램 : 이용 : 31회 / 반환 39회 2. 채무탈출 : 악성채무를 전환하는 프로그램 : 이용 3회 / 반환 29회 3. 공동체회원 : 이용 35회 (교육비 2회, 사고처리비 3회, 사업비 5회, 생활비 14회, 여행비 4회, 이사비 7회), 반환 62회 4. 공동체활동 : 이용 3회 (해방촌민박, 잘자리 초기자금, 따로또같이), 반환 4회 14 날짜 내용 날짜 내용 2014/04/04 지역화폐회의 2014/07/08 움직이는 환전소 2014/04/07 지역화폐회의 2014/07/09 아르떼 해방화폐 기획회의 2014/04/14 지역화폐회의 2014/07/10 주민협의체 해방화폐 참석 2014/04/21 지역화폐기본준비 2014/07/12 움직이는 환전소 2014/04/23 해방화폐 위원회 발촉회의 2014/07/18 해방좌판 2014/04/28 해방화폐 설명회 2014/07/31 해방좌판 2014/05/26 지역화폐회의 2014/10/27 해방화폐 공개워크숍 2014/06/17 움직이는 환전소 2014/11/08 해방화페 체험단 미팅 2014/06/24 움직이는 환전소 2014/11/13 해방화폐 출장소 2014/06/24 해방화폐 연구모임 면접 2014/11/24 해방화폐 체험단 결과발표 2014/06/26 해방화폐 발행위원회 발족 2014/12/05 성당 해방화폐 설명회 2014/07/01 움직이는 환전소 날짜 내용 2014/03/07 2014/03/12 2014/03/17 곰자의 재무상담 알림 2014/03/27 2014/04/03 2014/04/15 2014/04/15 2014/05/16 2014/06/25 2014/07/02 2014/08/11 2014/09/16 2014/10/15 곰자의 재무상담 1차 곰자의 재무상담 2차 곰자의 재무상담 3차 곰자의 재무상담 4차 곰자의 재무상담 5차 곰자의 재무상담 6차 곰자의 재무상담 7차 곰자의 재무상담 8차 곰자의 재무상담 9차 곰자의 재무상담 10차 곰자의 재무상담 11차 곰자의 재무상담 12차
  • 15. 10. 연대활동 1. 지구분담금 사용 (단위 : 원) 2. 지연 연대회의 추진 1. 3월 1일 지역연대회의 첫 모임 2. 좌인(빈고), 지음(빈고), 나마스떼(해방촌 빈집), 지비(해방촌 빈집), 시오(부산 잘자리), 다옹(대구 그린집), 종민(청주 공룡), 땡땡(부천 모두들), 디온(팔당) 3. 공동체 방문 15 순서 날짜 내용 신청자 사용 1 2014/02/28 강정마을 평화책방 후원 베로 100,000 2 2014/03/14 유성기업 – 종민 공룡 100,000 3 2014/04/10 로자몬타냐 국제연대를 위한 지역 상영회 이름 100,000 4 2014/05/15 땡떙책 협동조합 후원주점티켓 좌인 100,000 5 2014/05/18 맘상모 좌인 240,000 6 2014/06/11 말레이시아활동가들 살구 200,000 7 2014/07/09 유성기업 종민 150,000 8 2014/09/05 동자동 사랑방 반찬나눔 짱돌 360,000 9 2014/11/04 민주노총 서울일반 노동조합 곰자 200,000 10 2014/12/10 스타케미칼 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 200,000 11 2014/12/10 정의로운전환을 위한 에너지 기후정책연구소 120,000 12 2014/12/26 무지개청소년세이프스페이스 김기민 300,000 김소연/지음 김은희/지음 날짜 내용 사람 2014/03/24 대구 그린집 방문 – 빈고 소개 2014/04/11 루쓰 공간 방문 – 공간 오픈 축하 2014/04/13 분더바 방문 – 투쟁 지지 2014/04/20 2014/06/13 2014/06/14 대전 – 원도심레츠방문 – 빈고설명 곰자 2014/06/27 2014/07/09 넓은집회의 – 상반기 공동체 방문 2014/07/12 마실집회의 참여 – 상반기 공동체 방문 2014/08/10 마루집회의 참여 – 공동체 이슈 논의 2014/09/22 구름집회의 – 상반기 공동체 방문 2014/10/08 곰자 2014/10/19 마실집회의 참여 – 공동체 이슈 논의 2014/10/19 인천 빈집 만드려는 모임 방문 2014/11/12 인천 청소년활동가공동체 방문 지음, 살구, 좌인, 오디, 곰자, 우더 좌인, 파스, 오디, 정민 좌인, 유선, 지비, 켄짱 마실집 - 빈고 추가이용 회의 참여 좌인, 파스, 오디, 몽애, 신, 남현, 홍, 나무 공룡방문–아띠 오픈 축하, 기획강연 논의 좌인, 곰자 부천모두들 – 조합원의 날 방문, 빈고설명 좌인, 곰자, 오디, 나마스떼, 지비 좌인, 파스, 곰자, 오디 좌인, 파스, 곰자, 오디 좌인, 나마스떼, 오디 좌인, 곰자, 오디, 한돌, 우루, 멜로디, 글쎄, 우주 아현동 쓰리룸 '언뜻가게 방문' 좌인, 오디, 몽애, 키키, 병구 아수나로(아리데,사카린,하밍,라일락) 좌인, 파스, 오디, 자유, 아리데
  • 16. 11. 교육 / 연구 활동 1. 신입/예비 조합원 모임 2. 활동가 공부모임 3. 아침 책읽기 모임 (꼬뮨학교 동동 사전공부) 4. 동동 분교 ‘금융꼬뮨주의’ 세미나 5. 생활교육공동체 공룡 프로그램 16 날짜 내용 2014/03/16 2014/03/17 2014/03/18 2014/03/19 2014/03/20 2014/03/21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1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2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3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4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5차 동동분교 '금융꼬뮨주의'세미나 6차 날짜 내용 사람 2014/03/23 부산 조합원모임 2014/04/06 조합원모임 2014/04/21 정기 조합원모임 2014/05/24 정기 조합원모임 2014/06/23 정기 조합원모임 2014/07/21 정기 조합원모임 2014/09/26 빈고조합원의 날 2014/10/30 빈고조합원의 날 2014/11/05 은행전환의 날 행사 2015/01/30 빈고조합원의 날 지음, 살구, 좌인, 오디, 곰자, 우더, 혼양, 시오, 이랑, 장아리 좌인, 한돌, 오디, 곰자, 돌고래, 신비, 쑨, 상호, 에릭 곰자, 좌인, 파스, 오디, 한돌, 김기수 곰자, 오디, 동네주민1, 동네주민2 좌인, 곰자, 파스, 오디, 최그림, 유팽, 김기민 곰자, 좌인, 오디, 파스, 하운, 머털, 자운 오디, 좌인, 지비, 선민, 라떼킹 사장님 하운, 좌인, 곰자, 오디, 파스, 광대, 마포도서관직원 우루, 파스, 연두, 좌인, 오디, 영준 좌인, 파스, 오디, 정민, 부깽, 글쎄, 션, 강진희 날짜 내용 2014/03/11 2014/03/12 2014/03/13 2014/03/14 2014/03/15 빈고 아침 공부모임 1차 빈고 아침 공부모임 2차 빈고 아침 공부모임 3차 빈고 아침 공부모임 4차 빈고 아침 공부모임 5차 날짜 내용 사람 2014/03/31 2014/04/07 2014/04/14 공부모임 1차 파스, 오디, 우더, 하람, 하영 공부모임 2차 파스, 오디, 우더, 하람, 하영, 윤자, 한돌, 페리, 좌인, 나마스떼 공부모임 3차 파스, 오디, 우더, 하영, 한돌 날짜 내용 2014/10/16 2014/10/22 2014/10/29 2014/11/05 2014/11/12 2014/11/19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1차 : 송명관 ‘누가 이 빚을 갚을 것인가?’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2차 : 이진경 ‘헝그리 정신과 궁상’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3차 : 안진구 ‘이자 없는 경제는 가능한가?’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4차 : 송태경 ‘ 내 빚더미에 감춰진 진실’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5차 : 종합토론 1 대안금융 세미나 캠프 6차 : 종합토론 2
  • 17. 6. 빈토모임 7. 총회설명회 8. 좌담회/책읽기 모임 9. 외부 발표, 강연 등 17 날짜 내용 2015/02/14 2015/02/23 2015/02/24 2015/02/27 부산 빈고설명회 2015/03/02 빈가게 빈고총회설명회 2015/03/02 빈고총회설명회 1회 부천/인천 빈고설명회 빈고총회설명회 2회 사랑채/살림집 빈고총회설명회 날짜 내용 참석자 2014/07/29 대안금융 세미나 2014/08/18 대안금융 세미나 2014/09/01 대안금융 세미나 2014/09/15 대안금융 세미나 2014/10/06 대안금융 세미나 2014/11/10 대안금융 세미나 곰자, 오디, 파스, 좌인, 김기민, 탤탤, 피터 좌인, 파스, 곰자 좌인, 파스, 곰자, 오디 곰자,오디,파스,피터, 김기민,탤탤,양명 곰자, 오디, 파스, 좌인, 김기민, 탤탤, 피터 곰자, 오디, 파스, 김기민, 탤탤, 에리카 날짜 내용 사람 2014/03/28 재무설계 이광구샘 좌담회 2014/07/04 2014/11/21 2014/11/28 송명관 부채전쟁좌담회 이광구샘, 곰자, 지음, 오디, 피터, 좌인 1박 2일 책읽기 (게으를 수 있는 권리) 좌인, 오디, 곰자, 파스, 형석, 삐요, 민정 1박 2일 책읽기 (부채전쟁) 좌인, 곰자, 오디, 파스 지음, 오디, 파스 날짜 내용 2014/04/22 2014/04/25 청년일자리허브 공동체기반 청년삶터 프로젝트 발표 2014/06/30 사회혁신기업인터뷰 2014/07/02 청년혁신활동가 방문 2014/07/10 2014/08/13 내발산동 대학생 기숙사 방문 2014/8/13~14 도봉구빈마을설명회 2014/09/06 국제사회혁신사례 인터뷰 2014/09/15 마을로 탐방 2014/09/29 강북구 사회적경제지원단 간담회 2014/10/16 서강대학교 강의요청 2014/10/30 사경모임 빈고 사람책 2014/11/01 자유인문캠프 토론회 2014/11/07 자활공제조합 방문 2014/12/05 홍동 마을 활력소 빈고설명회 요청 2014/12/12 2014/12/13 대구빈집설명회요청 강동구사회적지원센터-빈집/빈고설명회 사회복지법인 윙 (빈집, 빈고, 묶인 사례 발표 요청) 재무관리강좌 (통의동의 보안여관) - 뚜레주르2층
  • 18. 2014년도 사업평가 1. 운영 1. 대표 3인 체제 안정적 운영 - 빈고 활동 적극적으로 참여 2. 이용신청 절차 보완 및 문서화 3. 조합원 가입을 위한 안내문 작성 4. 재무상담 시행으로 전문성 강화 5. 해방촌에 국한된 활동가 회의 아쉬움 6. 해방촌 지역 화폐, 새로운 시도 2. 홍보/교육/연구 1. 전반적인 홍보 아쉬움 2. 뉴스레터를 정기적으로, 꾸준하게 실행하지 못함 3. 조합원 모임의 새로운 기획은 좋았으나 참여유도 부분은 아쉬움 4.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 꾸준히 실행하지 못함 3. 출자활동 1. '출자선물카드' 출시로 출자 방법 다양화 2. 계획출자 프로젝트 미시행은 아쉬움 4. 연대활동 1. 지구분담금 - 실제 활동과 연결되어 진행 5. 공동체활동 1. 공간 1. 빈마을 - 마실집 정리, 갈등관리 및 재정관리가 필요함 2. 해방촌, 지역과 연계 활동으로 공간 확장 - 더스페이스 3. 인천 새로운 공간 시도 4. 부천 공동체 공간 꾸준히 증가 2. 활동 1. 공동체별 연계 부족 6. 상임활동 1. 빈고폰 지속적 운영 2. 해방촌 지점 오픈 (빈고 출장소) 실험, 방문자들이 따로 없었던 건 아쉬움 3. '나는 장부다' 시도 좋았으나, 이후 재정 담당자 육성과 연결되는 데 아쉬움 7. 출자활동 1. 출자 감소 ( 130,830,000원 → 128,860,000원 ) 2. 차입 증가 ( 20,700,000원 → 42,200,000원 ) 18
  • 19. 2014년도 결산(안) 1. 재무상태표 (2014년 12월 31일 현재) 2. 3. 수지계산서 (2014년 1월 1일~2014년 12월 31일) 4. 상세한 내용은 첨부한 2014년도 결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9 과목 과목 지출합계 10,088,746 6,071,804 166% 수입합계 25,323,027 22,351,392 113% 이자비용 1,301,336 2,878,004 45% 분담금 19,450,000 17,310,000 112% 운영비 1,864,340 123,800 1506% 선물 380,172 428,410 89% 활동비 4,528,500 2,100,000 216% 조합비 1,620,000 2,070,000 78% 사업비 1,619,270 280,000 578% 이자수입 92,272 620,546 15% 회의비 745,300 690,000 108% 사업수입 3,780,583 1,922,436 197% 기타지출 30,000 0 기타수입 0 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101% (단위 : 원)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차변 대변 과목 당기 전기 과목 당기 전기 자산총액 254,278,021 219,444,876 254,278,021 219,444,876 현금 및 예치금 29,166,210 11,745,346 차입금 42,200,000 130,830,000 현금 4,166,210 3,200,000 예치금 25,000,000 15,000,000 단체출자 및 채권 4,100,000 4,000,000 24,000,000 빈가게 1,000,000 공동체 32,047,553 29,896,750 다람쥐회 1,000,000 까페해방촌 11,915,360 인권센터 2,000,000 빈집 4,906,210 두머리부엌 100,000 공룡 3,200,000 공동체공간이용 185,000,000 175,000,000 해방촌사람들 2,260,345 구름집 20,000,000 따로또같이 2,050,000 5,000,000 차입자 1,994,008 마실집 20,000,000 해방화폐 1,736,150 비행 20,000,000 공유주거협동조 900,000 빈가게 20,000,000 모두들 900,000 살림집 20,000,000 고양이 841,340 해방촌연구소 20,000,000 마당펀드 450,000 공룡 15,000,000 해보아연 295,140 해방촌학숙 15,000,000 해방촌축제 250,000 넓은집 10,000,000 상호부조기금 209,000 모두들 10,000,000 빈마을 140,000 잘자리 10,000,000 출자금 128,860,000 90,950,000 조합원이용금 36,011,811 28,699,530 적립금 35,936,187 20,700,000 공동체회원 22,421,811 빈고적립금 20,157,645 10,262,302 채무탈출 10,100,000 지구분담금 1,110,000 840,000 빈쌈짓돈 2,440,000 출자지지금 11,934,392 6,315,967 공동체활동 1,050,000 공동체기금 2,284,150 활동가기금 450,00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단위 : 원) 부채+자본 총액 개인1 개인2 개인3 구름집시즌2
  • 20. 2014년도 감사(안) 1. 빈고 재정 장부상의 보유액과 빈고의 계좌 및 현금 시제는 매월 말 틀림없이 일치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2. 빈고의 재정 관리는 상임 활동가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더욱 투명하고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오디 상임 활 동가의 재능과 노고를 치하합시다. 3. 곰자, 좌인, 파스 세 명의 무보수 명예직 대표가 매주 회의와 실무에 참가하는 등 상임 활동가에 준하는 활동을 해왔습니다. 덕분 에 5기 빈고가 풍성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습니다. 조합원 모두가 감사하고 기뻐할 일입니다. 다만, 조합 차원에서는 이 러한 역할을 어떻게 재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을지, 어떻게 실무부담을 줄이거나 나눌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4. 공동체 공간이용은 한 해 동안, 청주, 부천, 부산, 인천 등 지역에서 진행되었고, 서울에서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자원이 분산되는 만큼 그에 걸맞은 공동체활동가들과 지역공동체들의 자립적인 활동과 이를 지지하는 전국적인 연대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5. 공동체회원이용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활동가회의의 충분한 논의와 재무상담을 거쳐서 진행되고 있고, 만일에 대비한 충분한 적 립금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려할 바는 아니라고 보입니다. 다만, 조합원 개개인을 대면해야 하는 활동가들의 업무부담과 감 정노동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만큼의 실질적인 효용이 있는 것인가 하는 점에서 향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6. 출자총액이 조금 감소했는데, 이는 조합은 물론 조합원 각자의 살림살이가 거의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출자 는 빈고 조합원의 권리와 의무인 동시에 빈고에 가입하는 목적입니다. 한 해 자신과 공동체의 재정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출자 목표(수입이 불안정하다면 0원 또는 마이너스 계획이라 할지라도)를 정해서 출자할 것이 아니라면 빈고 조합원 자격 을 유지하는 의미가 없습니다. 아시겠지만 계획하지 않고 쓰고 남는 돈을 출자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올 한 해 계획을 활동 가들과 공유하고, 매달 한 번은 출자하도록 합시다. 우리의 살림살이가 나아질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7. 활동가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뉴스레터가 정기적으로 발행되지 못한 것은 참 아쉽습니다. 활동을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활동한 내용을 잘 기록하고 적절히 알리는 것도 그만큼 중요합니다. 각종 조합원 모임과 뉴스레터를 비롯해서 홈페이지, 메일링리스트, 스마트폰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수단을 통해서 즐겁게 자주 만나자고 조합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8. 전체적으로 돌아보자면, 조합이 안정되어가는 만큼 한 차원 더 높이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역동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각각의 공동체와 조합원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노력과 기획과 실험을 지지하고 북돋우고 함께하는 빈고 가 되길 기원합니다. 2015년 3월 01일 빈고5기 감사 말랴,지음 20
  • 21. 2014년도 잉여금처분(안) (배당금 단위 : 원) 1안 : 전년과 동일 기준 배분 1. 출자지지금을 전년과 동일하게 출자금의 2.5%로 배당하고 출자자(출자지지금):이용자(공동체기금):연대자(지구분담금)에게 1:1:1로 동일하게 배당한다. 2. 전년보다 조정출자금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항목마다 전년(항목당 2,859,146원)보다 50만 원 정도 더 배당해야 하고 따라서 150만 원 정도 더 적게 적립하게 된다. 3. 적립금은 덜 쌓게 되지만 출자자 배당이 높고, 연대 활동과 공동체에 그만큼 많이 쓸 수 있다. 2안 : 전년과 비슷한 액수 + 활동가 기금 강화 1. 1안의 빈고 적립금 규모가 큰 폭으로 줄어드는 것을 보완하는 방안이다. 전년보다 출자지지금의 배당률을 줄여서 출자금의 2.2%로 배당하고 전년처럼 출자자(출자지지금):이용자(공동체기금):연대자(지구분담금)에게 1:1:1로 동일하게 배당한다. 2. 5기때 지구분담금이 70만 원 정도 그리고 공동체기금 120만 원 정도 많이 남았기 때문에 부족함이 없는 규모라는 의견이 반영되었다. 3. 총회 사전 설명회 때 조합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하여 활동가 기금을 2배 인상하였다. 4. 항목별 액수로 봤을 때 전년과 비슷한 액수의 배당을 하게 된다. (출자지지금, 공동체기금, 지구분담금 전년 2,859,146원 → 2,930,455원) 적립금은 활동가 기금 인상만큼 줄어 50만 원 정도 적게 적립하게 된다. 3안 : 적립금 & 활동가 기금 강화 1. 조합의 지속적인 발전동력확보를 위해 적립금을 많이 축적하자는 의견이다. 적립금은 이용금 손상(특히 개인이용)에 대비하고 차입이자나 출자배당 없이 동원할 수 있는 자본이 된다. 2. 2안에 비해 공동체기금과 지구분담금을 조금 줄이고 적립금과 활동가 기금을 강화하였다. 3안 역시 5기때 지구분담금이 70 만 원 정도 그리고 공동체기금 120만 원 정도 많이 남았기 때문에 부족함이 없는 규모라는 의견이 반영되었다. 3. 전년 적립금 강화안에 비해서는 지구분담금(160여만 원 → 240여만 원)과 활동가기금(45만 원 → 90만 원)이 많이 증가하 고 공동체기금(290여만 원 → 240여만 원)정도로 조금 줄었다. 전년 적립금 강화안보다는 100만 원 정도 적은 금액을 적립 하게 된다.(730여만 원 → 650여만 원) 21 구분 배당 주체 배당금 비율 내용 지구분담금 출자자 3,330,063 21.9% 출자지지금과 같게 출자지지금 이용자 3,330,063 21.9% 공동체기금 연대자 3,330,063 21.9% 출자지지금과 같게 빈고적립금 운영자 4,794,094 31.5% 활동가기금 모두 450,000 3.0% 합계 15,234,281 100.0% 출자금 2.5% 30%이상+잔여 잉여금 3% 미만 구분 배당 주체 배당금 비율 내용 지구분담금 출자자 2,930,455 19.2% 출자지지금과 같게 출자지지금 이용자 2,930,455 19.2% 공동체기금 연대자 2,930,455 19.2% 출자지지금과 같게 빈고적립금 운영자 5,542,916 36.4% 활동가기금 모두 900,000 5.9% 합계 15,234,281 100.0% 출자금 2.2% 30%이상+잔여 전기의 2배 인상 구분 배당 주체 배당금 비율 내용 지구분담금 출자자 2,442,046 16.0% 출자지지금 이용자 2,930,455 19.2% 공동체기금 연대자 2,442,046 16.0% 빈고적립금 운영자 6,519,734 42.8% 활동가기금 모두 900,000 5.9% 합계 15,234,281 100.0% 출자지지금의 5/6 출자금 2.2% 출자지지금의 5/6 30%이상+잔여 전기의 2배 인상
  • 22. 2015년도 사업계획(안) 1. 사업방향 및 주요사업 1. 지역연대 강화 빈고와 지역별 공동체, 빈고와 각 지역의 조합원이 연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 1. 조직운영에 반영 2. 공동체기금 3. 지구분담금 2. 반자본 활동 돈을 벌고, 쓰고, 모으는 구조를 어떻게 바꿔나갈 수 있을까요? 그 방법을 함께 모색하기 1. 재무설계 워크숍 2. 꼬뮨학교 3. 건강계 4. 공동주택건설 프로젝트 3. 소식공유 강화 빈고의 다양한 활동을 조합원들에게 잘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 1. 빈고 뉴스레터 2. 홈페이지 운영 4. 운영활동 상임 활동가 및 사업활동가의 장점을 살려 빈고를 운영함 1. 출자계획 프로젝트 2. 출자선물카드 3. 공동체 재정상담 4. 조합원 재무상담 5. 활동가 교육 6. 빈고화폐 '덕' 2. 세부 사업계획 1. 지역연대 – 조직운영 (뒤편 조직운영(안)과 동일) 1. 공동체활동가 의결권 변경 - 빈집 활동가(집별 1명, 총 5명) → 빈집 활동가 대표 2명 - 빈집도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공동체, 하나의 지역으로 보고 의결권을 부여하기로 함 2. 공동체활동가 회의 변경 - 월 2회 진행 @해방촌 빈가게 → 분기별 1회 @ 지역별 회의 - 온라인 소통 강화, 이를 보완하기 위해 분기별 지역 연대회의 때 운영방향과 의결 과정을 더 긴밀하게 논의 3. 공동체별 회의 강화 - 월 1회, 공동체별로 빈고에 대한 논의를 추진할 수 있도록 장려 - 재정현황, 빈고 뉴스레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체기금, 지구분담금에 참여 검토 등 연대할 수 있는 계기 마련 22
  • 23. 2. 지역연대 – 공동체기금 1. 기존 활용 방안을 보완하여 공동체들과 연대하고 지지할 수 있는 기금으로 적극 활용 2. 활용방안 추가 1. (안) 공동체 조합원 위기 상호부조 2. (안) 공동체 교육활동 지원 3. 세부 추진 내용은 6기 활동가들과 중심이 되어 논의 진행. 3. 지역연대 – 지구분담금 1. 지구분담금 신청이 대부분 활동가나 빈마을과 가깝게 관계 맺고 있는 조합원들 중심으로 집행되고 있음 2. 월 1회 공동체별 회의를 통해, 빈고 유효조합원이라면 누구나 지구분담금으로 연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 4. 반자본활동 – 재무설계 워크숍 1. 작년 빈자의 재무상담을 업그레이드하여 사업 추진 2. 월 1회 정기적인 재무설계 워크숍을 추진하여 조합원들이 돈에 대한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계기 마련 5. 반자본활동 – 꼬뮨학교 1. 대안금융 커리큘럼을 기획 및 정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기존 '꼬뮨학교 동동' 커리큘럼 보완) 2. 공동체 또는 유효조합원 3인 이상이 모인 곳이라면 신청 가능 3. 꼬뮨학교 '이끔이'와 함께 일정 조정 후 추진 4. 교육과정을 빈고 홈페이지에 공유 5. 커리큘럼 : 아래 [첨부1] 6. 반자본활동 – 건강계 1. 계원들의 건강하고 안정된 공동체의 삶을 도모하고, 병원비 등 예기치 않은 손해에 대해 공동으로 상호부조 2. 세부 회칙 : 아래 [첨부2] 7. 반자본활동 – 공동주택건설 프로젝트 1. 자본이 없어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공간을 얻을 수 있도록 준비 2. 세부 계획 : 아래 [첨부3] 8. 소식공유 강화 – 빈고 뉴스레터 1. 매월 1회, 꾸준하게 제작 2. 홈페이지/ 메일/ 공동체별 회의를 통해 공유 3. 주요 내용 : 공동체 소식 통합, 빈고 운영활동 나눔, 조합원들 소통 9. 소식공유 강화 – 홈페이지 제작 및 운영 1. 페이스북과 텔레그램(카톡)에서 벗어나기. 이 좋은 것을 페친과 카톡에서만 나누지 말고 우주 생명체와 공유하기 2. 세부 계획 : 아래 [첨부4] 10. 운영활동 – 출자계획 프로젝트 [프로젝트 하나] 1. 기획의도 : 조합원들의 출자를 독려 2. 목적 : 조합원들이 스스로 출자 목표를 세우고 지킬 수 있도록 돕기 3. 진행 : 매년 초 조합원들의 일 년 출자 목표 및 계획을 듣고 실행 여부를 체크 23
  • 24. [프로젝트 둘] 1. 기획의도 : 전국에 흩어져 있는 조합원들이 빈고를 통해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하고 연대할 기회 제공 2. 목적 : 조합원 개인들의 모임 생성, 자발적인 참여 유도 3. 지원 : 소모임, 계 등의 출자계획을 세우면 성공 시 빈고에서 지원 (가칭) 가보자! 여름 바캉스 – 이번엔 제주도다. 1. 기간 : 2박 3일 (7, 8월 중 어느 날) 2. 예산 : 비행기 표 왕복 10만 원(예상) + 숙박(2만 원) + 식비 3만 원(6*5천 원) = 15만 원 3. 3월부터 7월까지 5개월간, 1달에 3만 원씩 출자자모집 11. 운영활동 – 공동체 재정상담 1. 기획의도 : 빈고를 이용하는 공동체들에서 재정에 대한 고민을 이야기하고 있다. 작년 사업으로 공동체 재정 담당자를 육성하려 하였지만, 공동체마다 재정에 필요로 하는 게 다르므로 각 상황에 맞춰서 재정을 꾸리도록 옆에서 돕는 역할을 하 려고 함 2. 목적 : 공동체별로 특징에 맞는 재정 시스템, 운영방식을 같이 만듦 3. 예산 : 상임 활동가 전문성 양성 필요 (교육비, 5만 원) 4. 기타 : 재정이나 금융에 대해 공부를 하고 강연을 기획해 볼 수 도 있을 것 12. 운영활동 – 조합원 재무상담 1. 이용신청 과정에서 재무상담이 결합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기 2. 조합원에게는 돈을 벌고, 쓰고, 저축하고, 모으는 과정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함 3. 빈고는 공동체회원이용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4. 운영내용 : 개인 재무상담 및 조합원 '이용활동' 재무상담 (1차) 이용신청서 검토 → (2차) 상임위 논의 → (3차) 구체적인 반환계획 상담 → (4차) 반환 계획에 따라 채무상담 추가 투 입 13. 운영활동 – 활동가 교육 1. 빈고 활동가들이 빈고를 이해하고, 대안 금융의 관심과 견해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 운영 14. 운영활동 – 빈고 포인트(지역화폐) '덕' 1. 빈고 활동으로 화폐를 생산하고, 이 화폐를 기반으로 또 다른 활동을 교환할 수 있는 빈고 포인트/지역화폐를 구체화 할 예정 2. '덕'은 빈고의 출자=이용=연대=운영 활동을 통해 쌓을 수 있음 3. '덕'은 현물로 들어온 이용수입(농산물, 주류, 등)을 구매할 수 있음 24
  • 25. 아래 [첨부1] 꼬뮨학교 *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1] 1강. 삶과 돈 : 당신은 누구십니까? 당신은 돈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나? 2강. 수입 : 노동소득 +자본소득, 노동소득 vs 자본소득 3강. 지출 : 소비할 수 있는 능력, 소비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 4강. 부채 : 부채는 꼭 갚아야 하는가? 5강. 자산 : 자본은 어디에서 오는가? 6강. 꼬뮨뱅크 : 우리가 만드는 은행 아닌 은행#(교육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2] 상반기 주제 – 대안 금융 4월 1박 2일 책읽기: 부채 전쟁 4월 1-2주 세미나 : 부채전쟁 마저 읽기 & 관련자료 보기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 4월 3-4주 세미나 : 대안 금융 케이스 스터디 : 이슬람 금융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5월 1-2주 세미나 : 이론 스터디 : 신용창조, 그린백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5월 3-4주 세미나 : 대안 금융 케이스 스터디 : 성미산 대동계, 다람쥐회, 토닥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6월 1박 2일 책읽기 : 100% 돈이 세상을 바꾼다. 6월 3-4주 세미나 : 100% 돈이 세상을 바꾼다. 마저 읽기 / 이론 스터디 : 화폐수량설, 케인스 유효수요이론 7월 1-2주 세미나 : 대안 금융 케이스 스터디 : 몬드라곤 인민금고, JAK 은행등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7월 3-4주 세미나 : 이론 스터디 : 보험의 원리 / 다큐 보기 (월스트리트[중국 CCTV]) 하반기 주제 – 경제 인류학과 지역화폐 9월 1박 2일 책읽기 : 증여론 ( 마르셀 모스 ) 9월 1-2주 세미나 : 증여론 마저 읽기 & 관련 자료 보기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9월 3-4주 세미나 : 지역화폐 케이스 스터디 (ex. 킴가우어, LETS etc) / 증여론 마저 읽기 10월 1-2주 세미나 : 호수성 케이스 스터디 ( 두레, 향약, 계 )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10월 3-4주 세미나 : 석기시대의 경제학 ( 마셜 살린스 ) 같이 읽기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11월 1박 2일 책읽기 : 석기시대의 경제학 ( 마셜 살린스 ) 11월 3-4주 세미나 : 석기시대의 경제학 마저 읽기 & 관련 자료 보기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12월 1-2주 세미나 : 호수성(호혜성) 스터디 ( 포트래치, 쿨라, 협력의 진화[로버트 엑셀로드] ) 12월 3-4주 세미나 : 지역 화폐 관련 참고글 같이 읽기 / 다큐 시청 ( SBS - 최후의 제국 ) 25
  • 26. 아래 [첨부2] 빈고 건강계 회칙 제1장 : 총칙 1. 명칭 : 공동체은행 빈고 건강계 2. 목적 : 1. 본 계는 계원들의 건강하고 안정된 공동체의 삶을 도모한다. 2. 병원비 등 예기치 않은 손해에 대해 공동으로 상호부조한다. 3. 대안적인 경제 질서를 공부하고 실험한다. 4. 기간 : 본 계는 2015년 3월 1일부터 2016년 2월 28일까지 진행한다. 이후 계원들의 합의에 의해서 연장할 수 있다. 제2장 : 모임과 구성 1. 가입 : 계원은 빈고 조합원으로서 회칙에 동의하는 사람은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 2. 모임 : 1. 계모임은 모바일 커뮤니티에 가입해서 활동하는 것으로 진행한다. 2. 계모임의 중요 정책과 곗돈의 사용은 계모임에서 결정한다. 3. 유사 : 1. 계모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1명의 유사를 투표+추첨을 통해서 결정한다. 2. 유사는 재정을 담당하며, 그 임기는 1년으로 한다. 3. 유사는 곗돈을 사용할 일이 발생하면 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4. 유사는 한 명을 계원을 지정해서,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5. 해당 계원은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이를 따라야 한다. 6. 활동에 따라서 적절한 활동비를 지급할 수 있다. 제3장 : 계원의 권리와 의무 1. 곗돈은 계원들의 상부상조와 공제협동조합의 실험을 위한 것으로, 본전과 식리를 기대하지 않는다. 2. 모든 계원은 계모임에 참가해야 할 의무가 있다. 3. 모든 계원은 회칙에 의하여 매달 1만 원의 곗돈을 납부한다. 4. 출자금이 0원으로 곗돈을 납부하지 못하면 3개월 후 계원의 자격이 일시 정지된다. 5. 곗돈은 계모임에서 정한 규칙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제4장 : 곗돈의 사용 1. 곗돈의 사용은 계원의 제안과 계모임에서의 논의를 거쳐 지출한다. 2. 곗돈의 사용 1. 불의의 질병과 사고로 병원에 가거나 예기치 못한 손실이 발생한 경우, 2. 본인이 실제 지출한 비용의 60%까지 3. 1회에 전체 곗돈 총액의 25% 한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1. 계원이 20명, 년 12만 원씩 납부할 때, 전체 곗돈은 240만 원. 2. 100만 원의 손해에 대해, 최대 60만 원까지 보장을 4회 할 수 있다. 4. 곗돈이 바닥나면, 추가적인 사용은 자동 중지되며, 계원들간의 논의를 통해 곗돈을 추가 납입할 수 있다. 제5장 : 곗돈의 관리와 빈고 1. 곗돈의 보관은 빈고에 공동체 계좌를 만들어 예치한다. 2. 곗돈은 각 계원의 빈고 출자금에서 자동 출금한다. 3. 빈고는 곗돈이 일시적으로 부족한 경우 예상 곗돈 총액 한도 내에서 대출할 수 있다. 4. 빈고와 공동체간의 연대의 차원에서 예치 또는 대출에 따른 이자는 상호 간에 없는 것으로 한다. 5. 해방계와 빈고는 공제협동조합의 실험을 함께하며 성과를 나눈다. 26
  • 27. 제6장 : 잔액의 처분 1. 계 기간 종료 후 총회를 거쳐 잔여 곗돈을 처분한다. 2. 잔액의 처분 1. 잔액의 10%는 유사에게 활동비로 지급하고, 2. 잔액의 10%는 이후 건강계 운영을 위한 적립금으로 적립하고, 3. 나머지 80%를 계원들에게 공평하게 분배해서 환급한다. 제7장 : 연장 또는 해산 1. 총회를 통해 계모임의 연장 또는 해산을 결정한다. 2. 적립금은 빈고 또는 유사 목적의 단체로 이전한다. 아래 [첨부3] 공동주택 건설프로젝트 (초초안) 1. 목적 1. 죽을 때까지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집을 짓는다. 2. 죽을 때 공유지로 지구와 후대에 남길 수 있는 땅을 매입한다. 3. 개인과 동시에 공동체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주택을 고안하고 건축한다. 4. 자본이 없이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주거공간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5. 사람들을 환대하고, 지속적으로 공유지와 공유주택을 확대해간다. 6. 모두가 공유하는 마을, 지역, 사회, 지구를 만들어간다. 2. 형태 1. 1안 : 시골 전원 공동체주택 1. 주민들의 일거리가 멀리 너무 멀리 있지 않은 곳. 2. 2층, 10명 규모 주택 건설 3. 후보지 : 홍성, 공주, 진천, 충주, 부여, 예산, 청양 등 2. 2안 : 중소도시 도심 공동체주택 1. 농지가 멀지 않은 곳 2. 구도심 슬럼 지역 3. 토지 50평, 건평 30평, 3~4층, 연면적 160평, 20명 규모 건물 건설 4. 후보지 : 청주, 홍성, 공주, 충주 3. 준비 1. 땅 알아보기 : 2월부터 월 1~ 2회씩 땅보러 다니기 2. 온라인 소통공간 구축 3. 원칙 만들어가기 4. 주민 모집 5. 자금 확보 6. 정보 수집 7. 공부 8. 협동조합등록? 27
  • 28. 4. 예산 (가안) 1. 토지 : 평당 20만 * 300평 = 6,000만 원 2. 건축 : 평당 300만 * 60평 = 18,000만 원 3. 합계 = 24,000만 원 4. 주민 10인, 1인당 2,400만 원 5. 건물 수명 40년, 감가상각비 1년 60만 원, 1월 5만 원. 6. 50% 정도의 초기 자본 형성, 나머지는 대출 가능. 7. 초기 자본이 없는 사람은 감가상각비와 이자비용에 해당하는 비용을 매월 납부한다. 8. 공동으로 저축해서 대출금을 최대한 빨리 반환해서 이자비용을 줄인다. 아래 [첨부4] 2015년 공동체은행 빈고 홈페이지 사업 “페이스북과 텔레그램에서 벗어나기, 이 좋은 것을 페친과 카톡에서만 나누지 말고 우주 생명체와 공유하자!!” 1. 목표 1. 더 많은 공유지 확보 2. 더 많은 출자와 이용 확보 3. 결국, 지도에 무수히 많은 마커를 만들자! 그러기 위해선 2. 필요 1. 홍보 강화 1. 조합원이 빈고 활동/소식을 접하기 쉽게 2. 당신이 무엇을 검색하든 오고 보니 빈고다. 2. 편의 확보 1. 상임활동가 품 줄이기. 2. 빈고 데이터 베이스 구축 - 조합원 개인 페이지에서 출자활동과 이용활동을 어쩌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 3. 나중엔 빈고 뱅킹이 가능할지도. 그래서 3. 제작 방향 1. 빈고 소개가 잘 드러나게 2. 개인정보를 소중하게 3. 누구나 쓰기 쉽게 4. 예쁘게 4. 만들고 있는 중입니다. 1. 1년 내내 만들게 됩니다. 2. 그러나 지금 당장 회원 가입할 수 있습니다. 3. 3월까지 회원 가입하면 포인트 1,000점 드립니다. (기한은 어쩌면 늘어 날 수도) 4. 빈고 홈페이지에서 포인트란 덕(悳)입니다. 2016년 총회에서는 덕이 많은 조합원에게 특별한 선물이 있습니다. 28
  • 29. 2015년도 조직구성(안) 및 임원구성(안) 1. 조직도 2. 조직구성(안) (목적) 빈마을 중심의 정보공유 및 의사결정 구조 → 공동체(지역별)들의 연대체로서 의사결정 구조 강화 1. 총회 : 연 1회 2. 공동체활동가 회의 : 분기별 1회 3. 공동체별 회의 : 월 1회 4. 상임 활동가회의 : 주 1회 3. 임원구성(안) (목적) - 사업 중심 활동가 : 담당 사업을 보다 완결성 있게 추진 - 공동체 활동가 : 빈고 활동가로서 역할 명확화 및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 1. 대표: 부깽(상반기) / 정민, 몽애(하반기) 2. 의결권 : 대표, 사업 활동가, 공동체 활동가(지역별) 1인 1표 3. 상임 활동가 : 오디(재무담당), 곰자(조합원, 재무설계) 4. 사업 활동가 : 지음(교육), 좌인(공동체별 회의/빈고 설명회), 부깽(홈페이지-하반기) 5. 공동체 활동가 : 파스, 한돌(해방촌-빈집), 종민(청주-공룡), 그링(부천-모두들), 시오(부산-잘자리), 라일락(인천-비행), 켄짱(빈가게), 슉슉(팔당-두머리부엌) 6. 감사 : 양군, 우중산책 29 조합원 총회 활동가 회의 공동체F 대표 활동가 공동체G 사업 활동가 연대 공동체들 감사 새 공동체들 상임 활동가 공동체 A 공동체 활동가공동체R 반자본 활동가 상임 활동가 상임 활동가 상임 활동가
  • 30. 2015년도 예산(안) 1. 빈고 공동체 공간 축소로 인한 분담금 수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활동가들은 좀 더 보증금 비율이 높은 공간을 얻어서 이 를 만회할 계획을 하고 있다. 2. 나머지 수입은 전년과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고 예상된다. 선물의 경우 전년에 강의 수입을 선물로 잡다가 사업 수입으로 잡으면 서 많이 줄었다. 하지만 사업수입을 보수적으로 잡은 만큼 분담금을 제외한 수입은 예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3. 활동비는 2015년 2명의 상임 활동가가 활동할 계획이고 빈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활동비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 여 활동비 예산을 증가시켰다. 2명의 활동가가 월 30만 원씩 활동비를 받는다. 4. 사업비는 해방화폐와 공유주거협동조합에 더는 지출이 필요하지 않고, 활동비 지출 증가에 따른 수지 감소에 대비해 조금 축소 하였다. 5. 회의비는 이번 조직 구성안에서 지역연대회의를 강화하였기 때문에 좀 더 많은 지출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나 평소에 넉넉히 잡고 아껴쓰고 있었기 때문에 전년과 동일한 예산을 배정하였다. 6. 사업비 세부 예산안 참고 30 사용율 차액 매월 수입합계 25,323,027 21,960,000 115% 3,363,027 22,320,000 1,720,000 분담금 19,450,000 18,000,000 108% 1,450,000 18,000,000 1,500,000 선물 380,172 1,200,000 32% -819,828 600,000 50,000 조합비 1,620,000 1,800,000 90% -180,000 1,800,000 10,000 이자수입 92,272 600,000 15% -507,728 120,000 10,000 사업수입 3,780,583 360,000 1050% 3,420,583 1,800,000 150,000 기타수입 - - - 0,000 0 - 사용율 차액 매월 지출합계 10,088,746 13,800,000 73% -3,711,254 14,280,000 1,190,000 이자비용 1,301,336 2,400,000 54% -1098664 1,800,000 150,000 운영비 1,864,340 1,800,000 104% 64340 1,800,000 150,000 활동비 4,528,500 5,400,000 84% -871500 7,560,000 630,000 사업비 1,619,270 2,400,000 67% -780730 1,800,000 150,000 회의비 745,300 1,200,000 62% -454700 1,200,000 100,000 기타지출 30,000 600,000 5% -570000 120,000 10,000 잉여금 15,234,281 8,160,000 187% 7,074,281 8,040,000 530,000 (단위 : 원) 2014년 수입 2014년 예산 2015년 예산 2014년 지출 2014년 예산 2015년 예산 사업 금액 조합원모임 200,000 뉴스레터 0 리플렛 0 통장 0 출자 선물카드 50,000 명함 50,000 주거협동조합 법인화 0 공동주택 0 홈페이지 500,000 재무설계 0 연구세미나 100,000 강연회 500,000 공동체 재정 상담 50,000 프로젝트들 200,000 예비비 150,000 합계 1,800,000 (단위 : 원)
  • 31. 기타 안건 * 총회 진행 중 나오는 새로운 안건에 대해서 기록하고 논의하기 위해 비워둔 자리입니다. 1. 31
  • 32. 2014년도 결산보고서 1. 들어가며 ✗ 이 보고서는 공동체은행 빈고 상임 활동가들이 만들었습니다. ✗ 빈고의 주인으로서 출자자이자 이용자이자 운영자인 모든 조합원에게 현재 조합의 현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자료입니다. ✗ 많은 사람이 모여서 만든 조합 공동의 돈을 모으고 이용하고 관리하는 일을 한눈에 파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 서든, 바쁘고 버거워서든, 그냥 사람을 믿어주시는 것이든, 여러 이유로 재정 관련 표를 들여다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 하지만 재정 상황을 파악하지 않고서는 단체의 활동과 상황을 얘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특히 우리 빈고처럼 작지만 나름대로 은행이 하는 일을 하는 협동조합의 경우는 더욱더 그렇습니다. ✗ 그래서 결국 인내력을 갖고 재정을 들여다보고 참여하는 조합원이 조합의 주요 정책 등을 결정하는데 더 큰 힘을 갖게 됩니다. ✗ 지금까지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재정 현황을 설명해 드리려고 애써왔지만, 정말 쉽지는 않습니다. ✗ 하지만 어떤 단체나 조합보다, 쉽고 자세하고 투명하게 설명했다고 자신할 수 있습니다. ✗ 천천히 퍼즐을 풀듯이 읽다 보면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 혹시 부족한 부분이나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상임 활동가들에게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 빈고폰 : 010–3058–1968 / bingobank.org@gmail.com 2. 일반 현황 1. 조합원 및 자산 현황 1. 2010년 5월 빈고가 시작한 이래로 이제 6년째를 맞습니다. 2. 위의 표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각 해의 마지막 날(12월 31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3. 조합원은 매년 약 50여 명 정도씩 꾸준한 추세로 늘어나고 있으며, 2014년에는 57명이 늘어났습니다. 4. 출자총액은 빈고의 전체 조합원들이 출자해서 모아주신 빈고의 순수 자본금입니다. 5. 자산총액은 출자총액에 적립금, 차입금 등을 모두 합친 금액으로, 빈고가 운영하는 금액의 총 규모를 보여줍니다. 6. 4기에서는 많이 늘어났던 출자금이 5기에서는 약간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7. 자산은 4기보다 늘었지만, 출자금은 줄어든 상태라 출자 독려가 필요합니다. 8. 조합원 1인당 평균출자금은 56만 원 정도입니다. 무심코 은행 통장에 들어 있을 수도 있는 적은 돈이지만, 230명이 모으니, 아 래와 같은 10여 개의 공간의 보증금이 되었습니다. 조합원 모두의 힘이고, 그 힘을 모아내는 빈고의 힘이기도 합니다. 32 당기 증감 조합원수 37 명 88 명 122 명 173 명 230 명 133% 출자총액 135,530,000 111,900,000 90,950,000 130,830,000 128,860,000 1,970,000 98% 자산총액 330,315,818 275,100,589 208,083,728 219,444,876 254,228,021 34,783,145 116% 41% 41% 44% 60% 51% 평균출자금 3,662,973 1,271,591 745,492 756,243 560,261 (단위 : 원) 1기 2기 3기 4기 5기 당기/전기 57 명 출자/자산
  • 33. 2. 공동체 공간 현황 1. 3인 이상의 빈고 조합원이 공동으로 주거/활동하는 공간들입니다. 붉은색은 주거공동체, 푸른색은 활동공동체. 2. 2014년에는 부산 잘자리(2월) 와 부천 모두들(3월), 인천 비행(11월)이 계약되었고, 작은집(6월), 마실집(2월)이 해지 되었습니다. 3. 4월에는 마실집이 보증금 전액을 빈고 공동체 공간이용으로 전환하였습니다. 4. 6월에는 구름집이 아래층 공간을 넘겨받아 확장전환 하였고, 8월에는 살림집이 계약을 연장하였습니다. 5. 2015년 3월 이후로 예정된 계약 만료 건은 넓은집(5월), 사랑채 (6월), 구름집(11월)입니다. 6. 2014년은 많은 변동이 있었고, 2015년에도 여전히 변화에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7. 전체적으로 해방촌의 빈집은 줄어들고 있고, 다른 지역의 연대 공동체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8. 각 공동체에서 공간 계약을 연장할 때 빈고와의 계약 부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3. 2014년 요약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 1. 위쪽은 2014년 12월 31일 빈고의 [자산=자본+부채]를, 아래쪽은 2014년 동안의 [수익=비용+잉여]를 요약한 표입니다. 2. 자산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이고 있고, 이용금이 증가하면서 차입금을 다시 늘렸고 예치금도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3. 비용에서는 이자비용을 줄이고 활동비, 사업비, 운영비를 늘려서 지출이 늘어난 모습을 보입니다. 수익은 공동체공간들이 늘어나면서 분담금이 늘었고, 늘어난 이용에 따른 사업수입이 크게 늘었습니다. 지출과 수입을 상계하고 나면 잉여금은 지난해와 크게 변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4. 상세한 내용은 재무상태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33 순서 집 이용금 계약책임자 등 1 넓은집 1,000 2 까페해방촌 2,000 연장 3 작은집 1,000 해지 4 살림집 2,000 연장 5 구름집 2,000 전환 연장 6 해방촌연구소 2,000 사랑채 연장 7 마실집 2,000 전환 해지 8 해방촌민박 1,500 사랑채 9 공룡 새공간 1,500 계약 10 사랑채 3,500 전환 11 부산 잘자리 1,000 계약 12 부천 모두들 1,000 계약 13 2,500 전환 14 인천 비행 2,000 계약 (단위 : 만 원)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계약 만료 5월 청하, 해씨 지음,살구,켄짱 파스,좌인,지후 오디,우더,나마스떼 지음,살구,크트,경목 주노정, 연두, 산하 우중산책,보선,영은,종민 10월, 6월 좌인, 지비, 나마스떼 시오, 혼양. 이랑 땡땡,순대,개미 구름집시즌2 11월 한돌, 글쎄, 오디 아리데, 하밍, 라일락 차변 대변 과목 과목 자산총액 254,278,021 219,444,876 116% 254,278,021 219,444,876 116% 현금 4,166,210 2,745,346 152% 출자금 128,860,000 130,830,000 98% 예치금 25,000,000 9,000,000 278% 적립금 35,936,187 22,938,538 157% 단체출자 4,100,000 4,000,000 103% 공동체 32,047,553 29,896,750 107% 공간이용 185,000,000 175,000,000 106% 차입금 42,200,000 20,700,000 204% 조합원이용 36,011,811 28,699,530 125%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101% 지출합계 10,088,746 7,271,804 139% 수입합계 25,323,027 22,351,392 113% 이자비용 1,301,336 2,878,004 45% 분담금 19,450,000 17,310,000 112% 운영비 1,864,340 1,323,800 141% 조합비 1,620,000 2,070,000 78% 활동비 4,528,500 2,100,000 216% 사업수입 3,780,583 1,922,436 197% 사업비 1,619,270 280,000 578% 이자수입 92,272 620,546 15% 회의비 745,300 690,000 108% 선물 380,172 428,410 89% 기타지출 30,000 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101% (단위 : 원)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자본+부채 총액
  • 34. 3. 재무상태 1. 재무상태표(2014.12.31 현재) 1. 빈고의 모든 차변(왼쪽 : 자산)과 대변(오른쪽 : 자본 + 부채)의 현황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2. 왼쪽은 2014년 현재 빈고의 전체 자산이 어떻게 나뉘어져 이용되고 있는가를 보여줍니다. 1. [현금 및 예탁금]은 말 그대로 빈고가 현재 보유하고 있어서 즉시 이용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1. 현금과 예탁금은 변동이 많고, 적절히 규모를 조절하는 계정이라서, 그 금액의 증감이 큰 의미는 없습니다. 2. [단체출자 및 채권]은 빈고의 친구 단체에게 출자 또는 무이자로 이용할 수 있게 한 금액입니다. 1. 현재 빈가게와 다람쥐회에는 출자를, 인권센터에는 무이자 대출을 하고 있으며, 작년과 변동이 없습니다. 2. 3. [공동체 공간이용]은 공동체 공간에 보증금으로 이용되고 있는 금액입니다. 1. 현재 총 11곳의 공간에 보증금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2. 2014년에 세 곳(모두들, 잘자리, 비행)이 늘었고, 두 곳(계단집, 작은집)이 줄어들고 금액은 1,000만 원 늘었습니다. 4. [조합원 이용]은 조합원 개인이 이용하고 있는 금액입니다. 1. 세부항목은 이용 프로그램의 종류의 따른 구분인데,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2. 2014년 약 800만 원 정도가 추가로 더 이용되어서, 전년대비 25%가 늘었습니다. 5. 왼쪽 차변에는 차입 증가로 전년 대비 보유현금이 약간 증가한 상태입니다. 34 차변 대변 과목 당기 전기 과목 당기 전기 자산총액 254,278,021 219,444,876 254,278,021 219,444,876 현금 및 예치금 29,166,210 11,745,346 차입금 42,200,000 130,830,000 현금 4,166,210 3,200,000 예치금 25,000,000 15,000,000 단체출자 및 채권 4,100,000 4,000,000 24,000,000 빈가게 1,000,000 공동체 32,047,553 29,896,750 다람쥐회 1,000,000 까페해방촌 11,915,360 인권센터 2,000,000 빈집 4,906,210 두머리부엌 100,000 공룡 3,200,000 공동체공간이용 185,000,000 175,000,000 해방촌사람들 2,260,345 구름집 20,000,000 따로또같이 2,050,000 5,000,000 차입자 1,994,008 마실집 20,000,000 해방화폐 1,736,150 비행 20,000,000 공유주거협동조 900,000 빈가게 20,000,000 모두들 900,000 살림집 20,000,000 고양이 841,340 해방촌연구소 20,000,000 마당펀드 450,000 공룡 15,000,000 해보아연 295,140 해방촌학숙 15,000,000 해방촌축제 250,000 넓은집 10,000,000 상호부조기금 209,000 모두들 10,000,000 빈마을 140,000 잘자리 10,000,000 출자금 128,860,000 90,950,000 조합원이용금 36,011,811 28,699,530 적립금 35,936,187 20,700,000 공동체회원 22,421,811 빈고적립금 20,157,645 10,262,302 채무탈출 10,100,000 지구분담금 1,110,000 840,000 빈쌈짓돈 2,440,000 출자지지금 11,934,392 6,315,967 공동체활동 1,050,000 공동체기금 2,284,150 활동가기금 450,00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단위 : 원) 부채+자본 총액 개인1 개인2 개인3 구름집시즌2
  • 35. 3. 오른쪽은 빈고가 운영하고 있는 전체 돈을 그 출처, 소유자에 따라 구분해서 보여줍니다. 1. [출자금]은 전체 조합원이 낸 출자금의 합계로서 빈고의 자본금입니다. 1. 출자금은 200만 원 정도가 줄어들어, 전년대비 2%의 감소가 있었습니다. 2. [적립금]은 그동안 빈고의 잉여금 일부를 적립하고 있는 금액으로서, 목적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됩니다. 1. [빈고적립금]은 빈고의 자체 적립금으로서 유사시에 이용될 수 있는 금액으로 빈고 자체의 자본입니다. 2. [출자지지금]은 출자자 개개인에게 배당된 금액을 탈퇴 시까지 적립하고 있는 금액입니다. 3. [지구분담금]은 잉여금 일부를 빈고 외부의 활동들에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4. [공동체기금]은 공동체들이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3. [공동체통장]은 공동체들이 여유자금을 빈고에 보관하고 있는 금액입니다. 4. [차입금]은 빈고가 운영상의 필요로 외부로부터 빌려온 돈입니다. 5. [당기잉여금]은 2014년 동안 남은 금액으로서 총회에서 분배해서 처분해야 할 금액입니다. 6. 출자금은 자본이고, 차입금과 공동체통장은 부채이며, 적립금과 잉여금은 자본과 부채가 섞여 있습니다. 4. 오른쪽과 왼쪽은 원리상 그 합계가 같아야만 합니다. 5. 오른쪽에서는 차입금과 적립금이 매우 증가했고, 공동체통장도 약간의 증가가 있었습니다. 2. 대/차변 계정 비율의 변화 (단위 : 원) 1. 위쪽의 그래프는 빈고의 돈이 어떻게 위치해 있는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전기에 비해 당기의 자산 총액이 늘었고 모든 현금의 흐름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아래쪽의 그래프는 빈고의 돈이 어디서 들어왔는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출자금은 약간 감소하지만 다른 수치는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5 자산총액 현금 예치금 단체출자 공간이용 조합원이용 0 50,000,000 100,000,000 150,000,000 200,000,000 250,000,000 300,000,000 전기 (2013) 당기 (2014) 자본 / 부채총액 출자금 적립금 공동체 차입금 당기잉여금 0 50,000,000 100,000,000 150,000,000 200,000,000 250,000,000 300,000,000 전기 (2013) 당기 (2014)
  • 36. 4. 수지상태 (단위 : 원) 1. 수지상태표(2014.01.01~2014.12.31) 1. 2014년 빈고의 수입과 지출 총계를 나타낸 표와 그래프입니다. 2. 지출은 빈고 활동 확장을 위해 사업비가 가장 매우 증가하였고, 상임활동비와 운영비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자비용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지출의 증가는 39% 정도로 멈췄습니다. 3. 이용증가에 따라 이용수입이 늘면서 사업수입도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4. 조합비는 2014년에도 일괄인출하였지만 2013년보다 줄어들었습니다. 5. 새로운 공동체 공간이 늘어나면서 분담금이 늘었고, 2013년에 비해 2014년에는 조합원들의 선물이 줄어들었습니다. 6. 당기 잉여금은 지출이 늘어난 것과 동시에 수입도 늘어 작년보다 약간의 증가가 있었습니다. 7. 전체 비용 중에서 활동비의 비율은 29%에서 45%로 크게 늘었습니다. 2. 전기 대비 수입 / 지출 계정별 증감 36 지출합계 이자비용 운영비 활동비 사업비 회의비 기타지출 0 2,000,000 4,000,000 6,000,000 8,000,000 10,000,000 12,000,000 과목 과목 지출합계 10,088,746 7,271,804 139% 수입합계 25,323,027 22,351,392 113% 이자비용 1,301,336 2,878,004 45% 분담금 19,450,000 17,310,000 112% 운영비 1,864,340 1,323,800 141% 선물 380,172 428,410 89% 활동비 4,528,500 2,100,000 216% 조합비 1,620,000 2,070,000 78% 사업비 1,619,270 280,000 578% 이자수입 92,272 620,546 15% 회의비 745,300 690,000 108% 사업수입 3,780,583 1,922,436 197% 기타지출 30,000 0 기타수입 0 0 당기잉여금 15,234,281 15,079,588 101% (단위 : 원)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당기(2014) 전기(2013) 당기/ 전기 수입합계 분담금 조합비 사업수입 이자수입 선물 당기잉여금 0 5,000,000 10,000,000 15,000,000 20,000,000 25,000,000 30,000,000
  • 37. 1. 2013년에 비해 비용과 수익의 각 항목이 증가, 감소한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2. 수입에서 분담금과 사업수입이 2013년에 비해 늘어났고, 조합비와 선물, 이자수입은 줄어들었습니다. 3. 비용에서는 이자비용이 많이 줄고, 활동비와 사업비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3. 수입 / 지출 상세내역 37 2013 년 2014 년 0 2,000,000 4,000,000 6,000,000 8,000,000 10,000,000 12,000,000 14,000,000 16,000,000 이자비용 활동비 사업비 회의비 운영비 기타지출 잉여금 2013 년 2014 년 0 5,000,000 10,000,000 15,000,000 20,000,000 25,000,000 분담금 조합비 사업수입 이자수입 선물 수입 25,323,027 분담금 19,450,000 계단집 400,000 공룡 1,800,000 구름집 2,050,000 넓은집 1,200,000 마실집 2,100,000 모두들 1,000,000 비행 200,000 사랑채 3,850,000 살림집 2,400,000 작은집 600,000 잘자리 1,100,000 해방까페 2,400,000 해방촌연구소 200,000 해방촌학숙 150,000 조합비 1,620,000 30,000 1,140,000 130,000 130,000 30,000 20,000 40,000 20,000 30,000 30,000 20,000 사업수입 3,780,583 이용수입 2,626,583 발표수입 1,154,000 이자수입 92,272 메리츠종금 77,333 기업은행 14,939 선물 380,172 기타 - 조합비-01월 조합비-02월 조합비-03월 조합비-04월 조합비-05월 조합비-07월 조합비-08월 조합비-09월 조합비-10월 조합비-11월 조합비-12월 지출 10,088,746 이자비용 1,301,336 미지급이자 1,301,336 활동비 4,528,500 400,000 4,000,000 128,500 사업비 1,619,270 공동체방문 19,800 공유주거협동조합 200,000 은행전환의날 22,300 조합원모임 322,630 지역연대회의 55,000 총회비용 403,000 해방화폐 500,000 활동가워크숍 96,540 회의비 745,300 연구모임비 10,000 조합원교육 18,500 활동가회의 716,800 운영비 1,864,340 노트북 422,000 빈고 도메인 32,340 예비비 90,000 빈고폰 50,000 1,200,000 프린트비 10,000 호스팅비 60,000 기타 30,000 활동비-지음 활동비-오디 활동비-대표 사무실-해방까페
  • 38. 1. 수입 1. 분담금은 공동체들이 공동체 공간이용에 따른 월세 절약분을 빈고와 공유하면서 발생한 이용수입입니다. 2. 조합비는 2014년 2월, 총회 전 출자금에서 일괄 차감하였습니다. 3. 사업수입은 크게 ‘강연/발표수입’과 ‘조합원이용에 따른 이용수입’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강연/발표수입은 활동가들이 빈고를 소개/설명하는 강연이나 발표를 할 때, 대체로 시간당 최저임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활동가가 받고, 나머지를 빈고의 사업수입으로 잡습니다. 2. 조합원의 공동체회원이용, 채무탈출, 빈쌈짓돈 이용에 따른 ‘이용수입’을 빈고의 사업수입으로 잡았습니다. 4. 이자수입은 현금과 예탁금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입입니다. (공동체와 조합원의 ‘이용’에 따른 수입은 ‘이자’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이용수입’으로 구분합니다.) 1. 빈고는 주거래 은행으로 기업은행을 이용하며, 유동적인 최소한의 금액을 보관하고 있으며, 2. 그 이상의 예탁금은 불가피하게 메리츠종금을 이용합니다. 5. 선물은 이용수입을 제외하고 이용이나 사업과 관계없는 후원금을 선물로 분류했습니다. 38
  • 39. 2. 지출 1. 이자비용은 차입금에 대해서 지급한 이자를 말합니다. 2. 활동비는 상임 활동가(오디)와 대표가 결정할 수 있는 예비 활동비로 나뉩니다. 2014년 총회 이후로 월 10만 원씩 2명 에서, 월 20만 원씩 2명으로 인상되었습니다. 3. 사업비는 조합원연대(공동체방문, 조합원모임, 지연연대회의), 사업인큐베이팅(공유주거협동조합, 해방화폐), 은행전 환의 날, 총회 준비 등에 이용된 금액입니다. 4. 회의비는 매달 활동가회의가 꾸준히 열리고, 매주 상임 활동가회의가 열리면서 늘었습니다. 5. 운영비의 대부분은 사무실/회의실로 이용하는 까페해방촌의 임대료이며, 빈고 전용 노트북 그리고 신설한 빈고 전용전 화 비용이 포함됩니다. 5. 출자 현황 1. 월별 출자 / 출자반환 1. 신규 출자금은 8,300만 원이 넘었지만, 반환한 금액도 8,500만 원이 넘었습니다. 출자도 많았고, 반환은 더 많았던 한 해였습니다. 2. 결과적으로 약 200만 원 정도가 감소하여, 현재 출자금은 약 12,800만 원이 되었습니다. 3. 출자를 한 번이라도 한 조합원 76명으로 전체 조합원의 1/3 정도입니다. 4. 총 출자횟수는 414회로 전체 조합원 평균으로는 1.8회, 출자한 조합원만으로는 5.4회 정도씩 출자한 셈입니다. 5. 그래프는 월별 출자와 감자(출자금 반환) 금액의 변동을 보여줍니다. 1. 출자 쪽에서는 2월, 5월, 11월에 1,000만 원이 넘는 고액출자가 있었고 2. 반환 쪽에서는 5월, 9월에 1,000만 원이 넘는 고액반환이 있었습니다. 2. 출자 / 출자반환 분포 39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2,000 만 원 -1,500 만 원 -1,000 만 원 -500 만 원 0 만 원 500 만 원 1,000 만 원 1,500 만 원 2,000 만 원 2,500 만 원 출자 합계 반환 01/01 02/20 04/11 05/31 07/20 09/08 10/28 12/17 1 만 원 10 만 원 100 만 원 1,000 만 원 출자 반환 합계 출자총액 출자횟수 반환횟수 출자자수 반환자수 월평균 출자 2013년 말 130,830,000 원 83,930,000 원 85,900,000 원 -1,970,000 원 128,860,000 원 414 회 220 회 76 회 72 회 -164,167 원
  • 40. 1. 가로축은 2014년의 날짜를, 세로축은 출자금액수를 1, 10, 100, 1,000단위로 표시합니다. 각 점은 각각 그 날짜에 출자된 금액 (파란색)과 출자 반환된 금액(빨간색)을 표시합니다. 2. 천천히 보시면, 전체 조합원들이 얼마씩 어떻게 출자하고 있는지를 대략 알 수 있을 것입니다. 3. 출자의 경우, 10만 원 미만이 대다수를 차지하지만, 100만 원 이상의 출자나 1,000만 원 이상의 출자도 간혹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출자금액별 조합원 분포 1. 빈고의 2010년 시작부터 2013년까지, 출자금액별 조합원 수의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2. 가로축은 조합원 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출자금액을 1, 10, 100, 1,000만 원 단위로 표시합니다. 3. 각 점은 각각 한 명의 조합원의 출자금을 표시하므로, 전체 조합원의 출자금 분포를 알 수 있습니다. 4. 초기에는 소수의 고액출자자만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다수의 소액출자자가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1기, 2기, 3기, 4기, 5기로 가면서 10만 원 이상 출자자, 100만 원 이상 출자자가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6.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Y축(출자금)에 조합원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5기에 들어서 10만 원 부터 100만 원 사이 에 출자한 조합원이 가장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0 0 50 100 150 200 250 1 만 원 10 만 원 100 만 원 1,000 만 원 10,000 만 원 1 기 2 기 3 기 4 기 5 기 01/01 02/20 04/11 05/31 07/20 09/08 10/28 12/17 1 만 원 10 만 원 100 만 원 1,000 만 원
  • 41. 4. 공동체별 출자 1. 공동체 조합원의 구분에 따라서 2014년 출자한 금액과 출자 총액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2. 조합원 구분은 임의적인 것이 있어서 정확한 수치가 아니므로, 대략의 경향만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6. 적립금 현황 1. 적립금 일람 1. 적립금은 빈고의 잉여금 일부를 적립해두었다가 앞으로 사용하게 되는 금액입니다. 1. 빈고적립금은 빈고의 내부적립금 혹은 임의적립금으로서, 빈고 운영에 따른 특수한 필요나 예상치 못한 손실 등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며, 빈고 활동가회의 또는 총회의 결정을 통해 사용됩니다. 2. 지구분담금은 빈고의 수익이 비롯된 빈고의 외부에 사용되는 금액으로서, 삶의 장소를 빼앗기는데 맞서 투쟁하는 모든 생명과 함께하는 조합원들의 제안과 활동을 통해 사용됩니다. 3. 출자지지금은 빈고 공유자본의 원천인 출자자들을 지지하기 위한 금액으로서, 시중은행의 예금이자율을 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출자자 개개인의 출자금 금액에 따라 배당되며, 빈고 탈퇴 시에 반환되는 금액입니다. 41 공동체 출자총액 공룡 84만 원 10만 원 구녹색 63만 원 -11만 원 구름집 492만 원 297만 원 까페그 4만 원 -2만 원 넓은집 37만 원 -22만 원 동물 50만 원 0만 원 따로또같이 9만 원 9만 원 마당 131만 원 111만 원 마실집 238만 원 48만 원 만행 3만 원 -2만 원 모두들 45만 원 45만 원 비행 33만 원 33만 원 빈가게 2,240만 원 -59만 원 사랑채 843만 원 506만 원 살림집 1,429만 원 517만 원 연구소 5,042만 원 440만 원 연해주 132만 원 59만 원 이음집 40만 원 -352만 원 작은집 233만 원 138만 원 잘자리 198만 원 177만 원 지지 269만 원 264만 원 팔당 576만 원 -4만 원 해방촌 144만 원 -78만 원 미소속 551만 원 -2,321만 원 합계 12,886만 원 -197만 원 2014 출자 분류 잔액 입금 출금 차액 빈고적립금 13,420,521 6,737,124 0 6,737,124 20,157,645 지구분담금 0 3,280,000 2,170,000 1,110,000 1,110,000 출자지지금 9,095,317 2,859,146 20,071 2,839,075 11,934,392 공동체기금 422,700 3,360,000 1,058,550 2,301,450 2,724,150 활동가기금 0 450,000 0 450,000 450,000 합계 22,938,538 16,236,270 3,248,621 12,987,649 35,926,187 (단위 : 원) 2013년 말 2014년
  • 42. 4. 공동체기금은 빈고의 공동체들의 공유자원을 이용하고 이용수입의 전부 혹은 일부를 빈고에 선물하는 공동체의 분담금 중에서 일부를 적립한 금액으로서, 공동체들의 상호부조와 신생 공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활동가회의의 결정을 통해 사용되는 금액입니다. 5. 구분하자면 빈고적립금은 빈고의 온전한 순자산(자본)으로 조합의 힘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고, 나머지는 이자가 지급되지 않는 좋은 부채로써 사용되기 전까지만 보관하는 금액입니다. 2. 각각의 적립금은 총회에서 당기 잉여금처분안에 따라 분배되어 적립되며, 2014년 총회 결정에 따라 2013년 잉여금이 적립되었습니다. 위 표는 2013년까지 적립금과 2014년에 적립하고 사용한 금액, 그리고 이를 합계해서 현재 적립되어 있는 금액을 보여줍니다. 3. 빈고적립금이 2,000만 원, 적립금 총액이 3,500만 원을 넘어서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2. 지구분담금 1. 지구분담금으로 선물을 많이 받았습니다. 계단집 선물 10만 원, 내성천에서 온 선물 10만 원, 해방계와 통과계에서 22만 원을 선물하셨습니다. 2. 4기 적립금과 선물을 포함한 총 328만 원 중, 지구분담금으로 217만 원을 사용하였습니다. 3. 사용한 내용과 제안하고 사용해주신 조합원은 위의 표시한 바와 같습니다. 4. 지구분담금은 조합원 누구든지 제안할 수 있고, 활동가회의에서 간단한 동의 절차를 거쳐 사용하실 수 있으니 2015년에도 조합원 여러분들의 활발한 연대활동을 바랍니다. 3. 출자지지금 1. 출자지지금은 조합원탈퇴 시에만 반환되는 금액으로서 소액만 반환되었고, 대부분은 적립되어 있습니다. 2. 출자지지금은 지금까지 출자금의 약 2.5%~3.5%를 배당해왔습니다. 3. 출자지지금은 출자자가 단순히 돈을 은행에서 빈고로 전환함으로써 자기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기여한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가 됩니다. 4.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출자하면, 빈고의 수익률과 잉여금 분배원칙에 따라 출자금 100만 원에서 발생한 총 수익은 약 15만 원 이고, 이것이 다음과 같이 분배됩니다. 약 3만 원의 출자지지금이 조합원 자신에게 적립됩니다. 약 4만 원 정도는 빈고 운영에 쓰이고, 약 4만 원은 빈고에 적립됩니다. 약 3만 원은 공동체에, 약 1만 원은 지구분담금으로 활용 됩니다. 42 출자지지금 날짜 내용 조합원 사용 1 2014/07/28 탈퇴반환 노랑사 20,071원 합계 20,071원 지구분담금 날짜 내용 신청자 적립 사용 잔액 24 2014/02/17 계단집 잔액 선물 계단집 100,000 100,000 25 2014/02/28 강정마을 평화책방 후원 베로 100,000 0 26 2014/03/03 빈고 2,860,000 2,860,000 27 2014/03/14 유성기업 – 종민 공룡 100,000 2,760,000 28 2014/04/10 로자몬타냐 국제연대를 위한 지역 상영이름 100,000 2,660,000 29 2014/04/21 내성천에서 온 선물 지율스님 100,000 2,760,000 30 2014/05/15 땡떙책 협동조합 후원주점티켓 좌인 100,000 2,660,000 31 2014/05/18 맘상모 좌인 240,000 2,420,000 32 2014/06/11 말레이시아활동가들 살구 200,000 2,220,000 33 2014/07/09 유성기업 종민 150,000 2,070,000 34 2014/09/02 해방계 잔액 선물 해방계 30,000 2,100,000 35 2014/09/02 통과계 잔액 선물 통과계 190,000 2,290,000 36 2014/09/05 동자동 사랑방 반찬나눔 짱돌 360,000 1,930,000 37 2014/11/04 민주노총 서울일반 노동조합 곰자 200,000 1,730,000 38 2014/12/10 스타케미칼 해고자복직투쟁위원회 200,000 1,530,000 39 2014/12/10 정의로운전환을 위한 에너지 기후정책 120,000 1,410,000 40 2014/12/26 무지개청소년세이프스페이스 김기민 300,000 1,110,000 합계 3,280,000 2,170,000 1,110,000 (단위 : 원) 빈고 4기 적립금 김소연/지음 김은희/지음
  • 43. 4. 빈고적립금 1. 2014년 빈고적립금은 605만 원이 적립되었고 사용된 적은 없어서, 현재 총 잔액 약 2,000만 원입니다. 2. 이는 누구의 소유도 아닌 빈고 자체의 자원으로서 조합의 힘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2월에 계단집이 정리되면서 남은 잉여금을 빈고적립금으로 선물해주셨습니다. 4. 그동안의 잉여금이 누적된 성과로서, 이제는 공간 한 곳의 보증금 정도는 운영할 수 있는 정도가 된 셈입니다. 5. 공동체기금 1. 공유자원을 이용해서 발생한 수입은 모두 빈고로 모으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기존에 공동체들에 매달 현금으로 배당하던 부분을 공동체기금의 형태로 적립하기로 하였습니다. 2. 공동체기금의 사용처는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부조, 공동체 위기 시의 상호부조, 신생공동체의 초기지원 등 공동체들의 필요에 따라서 활동가회의에서 결정합니다. 3. 2014년에는 신생공동체 지원 6회, 공동체 구성원 상호부조 4회 사용되었습니다. 43 공동체기금 날짜 내용 적립 사용 잔액 1 2014/01/07 50,000 372,700 2 2014/02/17 계단집 잔액 선물 500,000 872,700 3 2014/02/16 260,000 612,700 4 2014/02/16 130,000 482,700 5 2014/02/17 150,000 332,700 6 2014/02/19 잘자리 신생공동체지원 250,000 82,700 7 2014/03/03 2,860,000 2,942,700 8 2014/03/06 공룡 신생공동체지원 460,000 2,482,700 9 2014/04/26 루쓰공간오픈 축하선물 48,550 2,434,150 10 2014/05/18 레미 아버지 조의금 50,000 2,384,150 11 2014/07/28 연두 할머니 조의금 50,000 2,334,150 12 2014/11/29 모모 결혼 축의금 50,000 2,284,150 합계 3,360,000 1,058,550 (단위 : 원) 노랑사 HIV감염 콘서트 민박 세팅비 지원(해방촌학숙 공동체활동비) 모두들2호점 신생공동체지원 새집(마루집) 신생공동체지원 빈고 4기 적립금 빈고적립금 날짜 내용 적립 사용 잔액 21 2014/01/01 15,079,588 28,500,109 22 2014/02/17 계단집 잔액 선물 666,611 29,166,720 23 2014/03/03 15,079,588 14,087,132 24 2014/03/03 6,050,442 20,137,574 25 2014/07/28 노랑사 탈퇴 반환금 전환 20,071 20,157,645 합계 21,816,712 15,079,588 6,737,124 (단위 : 원) 빈고 4기 미처분잉여금 빈고 4기 적립금 처분 (지구분담금, 출자지지금, 공동체기금, 활동가기금) 빈고 4기 적립금
  • 44. 7. 공동체 통장 현황 1. 공동체통장은 공동체들이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 2. 공유주거협동조합, 따로또같이, 마당펀드, 모두들, 빈마을, 사랑채, 살림집, 상호부조기금, 작은집, 잘자리, 해방촌사람들, 해방촌축제, 해방화폐 통장이 새로 만들어졌습니다. 3. 계단집, 빈수레, 작은집, 통과계, 해방계 통장이 공동체 이사, 모임 소멸 등으로 정리되었습니다. 4. 까페해방촌과 해방촌 사람들이 활동비기금 등을 위해 임시로 예탁한 금액의 비율이 높습니다. 5. 공동체통장의 총액이 3,000만 원에 가깝게 증가하면서, 출자금과 함께 비중있는 자금원이 되었습니다. 8. 차입금 현황 1. 차입금 44 구분 현재잔액 입금 출금 합계 계단집 0 1,566,611 1,566,611 0 0 고양이 106,000 940,000 204,660 735,340 841,340 공룡 3,500,000 1,270,000 1,570,000 -300,000 3,200,000 공유주거협동조합 0 1,390,000 490,000 900,000 900,000 구름집 1,340,000 1,551,000 374,000 1,177,000 2,517,000 까페해방촌 21,561,400 8,220,860 17,866,900 -9,646,040 11,915,360 넓은집 50,000 1,702,000 810,000 892,000 942,000 따로또같이 0 2,050,000 2,050,000 2,050,000 마당펀드 40,000 1,610,000 1,200,000 410,000 450,000 마실집 300,000 1,400,000 1,900,000 -500,000 -200,000 모두들 0 1,100,000 200,000 900,000 900,000 빈마을 0 730,000 590,000 140,000 140,000 빈수레 239,172 300,000 539,172 -239,172 0 사랑채 0 1,071,000 220,000 851,000 851,000 살림집 0 2,255,210 1,659,000 596,210 596,210 상호부조기금 0 1,519,000 1,310,000 209,000 209,000 작은집 0 180,000 180,000 0 0 잘자리 0 600,000 800,000 -200,000 -200,000 차입자 1,592,672 1,301,336 900,000 401,336 1,994,008 통과계 190,000 190,000 -190,000 0 해방계 230,000 230,000 -230,000 0 해방촌사람들 0 22,006,455 19,796,110 2,210,345 2,210,345 해방촌연구소 747,506 347,506 -347,506 400,000 해방촌축제 0 250,000 250,000 250,000 해방화폐 0 4,948,000 3,211,850 1,736,150 1,736,150 해보아연 0 497,740 202,600 295,140 295,140 전체 결과 29,896,750 61,801,528 59,700,725 2,100,803 31,997,553 (단위 : 원) 2013년 말 2014년 차입자 현재 잔액 차입 이율 추가차입 상환 차액 17,500,000 0 17,500,000 -17,500,000 0 4.00% 3,200,000 0 0 0 3,200,000 4.00% 0 15,000,000 0 15,000,000 15,000,000 4.00% 0 24,000,000 0 24,000,000 24,000,000 4.00% 합계 20,700,000 39,000,000 17,500,000 21,500,000 42,200,000 (단위 : 원) 2013년 말 2013년 변동 개인1 개인2 개인3 개인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