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1. 12. 7. (제833호)




2011년 10大 히트상품




      목차
       Ⅰ. 히트상품으로 본 2011년 소비 트렌드

       Ⅱ. 10大 히트상품

       부록: 설문조사 결과 요약




            작성 : 이정호 수석연구원(3780-8121)
                 jungho7.lee@samsung.com
                 김진혁, 백창석, 이민훈, 박성배 수석
                 정태수, 양수진, 이동훈, 안신현 수석
                 황래국 수석, 김진성 선임연구원
CEO Information 833호



                     《 요 약 》
 삼성경제연구소는 SERI 인터넷 회원 7,725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의견
을 바탕으로 '2011년 10大 히트상품'을 선정했다. ① '꼬꼬면', ② '스티브 잡스',
③ '카카오톡', ④ <나는 가수다>, ⑤ '갤럭시 S2', ⑥ 'K-Pop', ⑦ '연금복권',
⑧ <도가니>, ⑨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⑩ '통큰ㆍ반값 PB상품'이 10大 히트상품으
로 선정되었다. IT 관련 상품이 부진한 가운데 경기침체 속 소비심리를 반영하는 상품
이 두각을 나타냈으며, 제품보다는 서비스 및 기타 상품이 다수 선정된 것이 특징이다.
 2011년은 고물가와 저성장, 긴장과 불안, 사이버 여론의 영향력 확대 등이 두드러
진 한 해였다. 히트상품은 이러한 소비환경을 반영하고 있는데, 히트상품을 통해 본
4대 소비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① 통념을 깨는 새로움에 열광했
다. '하얀 국물 라면'의 인기를 선도한 '꼬꼬면', 창의와 혁신의 아이콘 '스티브 잡
스', 색다른 진행방식으로 재미와 감동을 선사한 <나는 가수다>가 대표적이다. 또한
② 세계가 인정한 한국 대표상품에서 신뢰와 자부심을 느꼈다. 글로벌 IT 강국의 명
성을 국내외에 과시한 '갤럭시 S2', 한류 붐을 가요에까지 확대시킨 'K-Pop', 두번의
고배 끝에 이루어낸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는 온 국민에게 놀라움과 감동을 선사했
다. 한편, 소비자는 ③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상품에도 적극 호응했다. 스마
트폰 무료 메시지 서비스인 '카카오톡'을 비롯해 안정된 노후소득에 관심이 많은 소
비자들에게 어필한 '연금복권',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춘 상품을 파격적인 가격
에 판매하는 '통큰·반값 PB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끝으로 힘든 삶을 살아가는
④ 약자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영화 <도가니>는 장애인에 대한 반인륜 범죄라는 충
격적 줄거리와 파국적인 결말로 사회 부조리 척결 여론을 환기하였다.

                   2011년 10大 히트상품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833호



Ⅰ. 히트상품으로 본 2011년 소비 트렌드

     2011년 10大 히트상품1)

     □ 전문가와 네티즌을 대상으로 2011년 히트상품에 대한 설문조사2)를 실시

       - 삼성경제연구소 내부자료, 언론매체·유통업체의 히트상품 리스트,
           SERI 인터넷 회원의 추천을 통해 총 51개의 후보군을 선정

     □ IT 관련 상품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경기침체 속 소비심리를
          반영하는 아이템이 10大 히트상품으로 선정

       - 10大 히트상품 중 IT 상품은 '카카오톡'과 '갤럭시 S2' 2개뿐임

       - 불황기에는 라면이 잘 팔린다는 속설을 반영하듯 라면이 1위를 차지
           했으며, 호황기에는 순위권 밖인 복권이나 저가상품 등이 포함

       - 제품이 5개를 차지했던 2010년과 달리 서비스 및 기타 상품이 7개로
           다수
                           역대 10大 히트상품
     순위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1         꼬꼬면         스마트폰          막걸리         촉각형 휴대폰
      2      스티브 잡스       <슈퍼스타K2>     신종플루 대응상품 베이징 올림픽 스타
      3         카카오톡     여자 국가대표 축구팀      김연아        교통요금 결제 서비스
      4     <나는 가수다>       소셜미디어          LED TV      인터넷 토론방
      5         갤럭시 S2     태블릿 PC        스마트폰        <베토벤 바이러스>
      6          K-Pop   기아자동차 K시리즈      <선덕여왕>      리얼 버라이어티 쇼
      7         연금복권        <아바타>        Girl 그룹       닌텐도 Wii
      8         <도가니>       블루베리        도보체험관광             넷북
      9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발열의류        보금자리주택             기부
      10   통큰ㆍ반값 PB상품     <제빵왕 김탁구>     KT 쿡(QOOK)   소비자고발 프로그램

1)
     '상품'은 일반 대중이 돈과 시간을 들여 소비할 수 있는 제품, 서비스 및 공간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
2)
     SERI 인터넷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11.11.21.∼11.28., 분석대상 총 7,725명)
                                                           삼성경제연구소 1
CEO Information 833호


히트상품으로 본 2011년 소비 키워드


□ 2011년의 소비환경은 고물가와 저성장, 긴장과 불안, 사이버 여론의
 영향력 확대 등으로 요약


 -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국내외 재해, 기상이변 등으로 정서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소비를 통해 카타르시스와 위안을 추구하는 경향


 - IT를 능란하게 활용하는 소비자의 힘이 강해지면서 제품 콘셉트,
   가격, 유통전략 등에 이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경우가 증가


□ 2011년에는 업계 변화와 혁신을 선도한 상품, 다수로부터 검증된 상품,
 지출부담 없이 소비 가능한 상품, 사회 이슈를 대변한 상품이 각광


 ① 통념을 깨는 새로움: 뻔한 제품 속성과 형식의 고정관념에서 탈피


 ② 세계가 인정한 한국: 한국 대표 상품으로서 신뢰와 자부심을 제공


 ③ 경제적 부담 경감: 당장의 지출 최소화나 미래 경제적 안정에 기여


 ④ 약자에 대한 관심: 강렬한 메시지로 사회적 문제 인식을 촉구

         2011년 10大 히트상품으로 본 소비 트렌드




                                          삼성경제연구소 2
CEO Information 833호


① 통념을 깨는 새로움: '꼬꼬면', '스티브 잡스', <나는 가수다>


□ 참신한 시각으로 접근해 기존 상품에 혁신을 더하거나 추가적인 재미를
  창출한 상품과 인물에 환호


  - 라면은 국물이 빨갛다는 선입견을 깨고 '하얀 국물 라면'의 인기를
   선도한 '꼬꼬면'이 1위에 선정

   ㆍ인기 연예인의 아이디어가 상품화되었다는 파격과 '국물이 빨갛지는
    않지만 칼칼한 맛'이라는 차별화된 속성에 소비자의 이목이 집중


  - 불굴의 삶을 살다 간 '스티브 잡스(2위)'의 파격적인 행보와 그가
   남긴 창조적 성과물에 주목


  - <나는 가수다(4위)>는 베테랑 가수를 심사위원석이 아닌 경연무대에
   세운 진행 포맷의 신선함과 함께 기존 명곡의 재해석이라는 색다른
   재미와 감동이 주효


② 세계가 인정한 한국: '갤럭시 S2', 'K-Pop',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 IT, 연예,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의 위상과 저력을 세계에
  떨친 아이템에 높은 관심


  - 스마트폰 '갤럭시 S2(5위)'는 선진시장에 글로벌 IT 강국의 명성을
   떨치며 국내에서도 큰 인기


  - 한류 드라마 열풍에 이어 한국가요가 'K-Pop(6위)'이라는 이름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인기를 끌며 문화수출국으로서의 자부심을 선사


  - '二顚三起'의 의지 끝에 이루어낸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9위)'는
   온 국민에게 성취감과 감동을 제공

                                          삼성경제연구소 3
CEO Information 833호


③ 경제적 부담 경감: '카카오톡', '연금복권', '통큰·반값 PB상품'


□ 당장의 지출을 최소화하거나 미래의 경제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상품에 호응


 - '카카오톡(3위)'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쓰는 메시지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국민 애플리케이션으로 등극


 - '당첨 시 20년간 매월 500만원씩 지급'하는 '연금복권(7위)'은 안정된
   노후소득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에게 어필


 -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춘 상품을 파격적인 가격으로 판매하는
   '통큰·반값 PB상품(10위)'의 인기가 식품, 가전 등 다양한 상품군
   으로 확산


④ 약자에 대한 관심: <도가니>


□ 바쁘고 여유 없는 일상에서 자칫 지나치기 쉬운 소외된 이웃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의 아픔에 공감


 -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당시에 '기부'가 10大 히트상품에 포함된
   것처럼, 불황기일수록 주변 사람의 어려움을 돌아보고자 하는 성향이
   강화

   ㆍ최근에 관심을 끄는 '재능기부'도 같은 맥락


 - 장애인에 대한 범죄 실화를 다룬 영화 <도가니(8위)>는 충격적인
   줄거리와 결말로 사회 부조리 척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환기

   ㆍ영화 흥행과는 별개로 관련법 개정 등 큰 사회적 반향을 촉발


                                         삼성경제연구소 4
CEO Information 833호




                      <참고> 2011년 일본의 히트상품


▷ 경기침체와 각종 재해에 대응하는 상품이 히트상품에 다수 선정


  - LED 전구, 하이브리드 자동차, 에코카 등 에너지 절약형 상품과 함께 정액형
    통신요금제 등 가계부담을 줄여주는 상품이 인기


  - 지진 대비 방재용품, 비축식량과 제한송전에 대응한 절전형 선풍기 등도 히트


▷ 스마트폰, 페이스북 등 글로벌 히트 트렌드와 막걸리와 같은 韓流를 반영한
  히트상품도 선정


  - 홍초, K-Pop(소녀시대, KARA) 등이 30위권에 포함


▷ 쌀로 빵을 만드는 가정용 제빵기, 컵누들 맛이 나는 전자레인지용 밥 등 일상
  속에서 의외의 즐거움을 주는 상품도 인기


                         2011년 일본의 히트상품




자료: 電通 (2011. 11. 24.). "話題注目商品 2011".; "2011年ヒット商品ベスト30". (2011. 11. 4.).
    『日經トレンディ』.




                                                                삼성경제연구소 5
CEO Information 833호



Ⅱ. 10大 히트상품

1. 꼬꼬면

'하얀 국물 라면' 돌풍의 진원지

□ 2011년 하반기에 출시된 꼬꼬면은 품귀현상이 발생할 정도로 큰 인기

  - 기존 라면과 달리 닭육수를 주원료로 하여 국물이 하얀색이며, 청양
    고추를 첨가해 '담백하고 칼칼한 맛'이 특징

  - 8월 출시 이후 4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이 7,000만개를 돌파했고,
    11월 판매량은 약 2,700만개로 2∼3위권을 기록

    ㆍ대형마트 등 소매점에서 품귀현상이 발생하자 제조사인 한국야쿠르트는
     공장 증설을 추진

                  꼬꼬면 판매량 추이




주: 상위 5개 제품은 신라면ㆍ안성탕면ㆍ너구리ㆍ짜파게티(이상 농심)ㆍ삼양라면(삼양식품)
자료: 한국야쿠르트 내부자료


□ 꼬꼬면의 인기로 '하얀 국물 라면' 시장이 새롭게 형성되고, 기존
  라면의 마케팅이 대폭 강화되는 등 시장판도가 변화

  - 나가사끼짬뽕(삼양식품), 기스면(오뚜기) 등 '하얀 국물 라면'의 판매가 증가

  - 덤 상품 증정, 가격 할인, 시식행사 등 라면업계의 판촉전도 강화

                                           삼성경제연구소 6
CEO Information 833호


     '차별화된 콘셉트'와 '재미와 호기심 창출'이 인기의 動因

     □ 라면 국물을 차별화해 기존 '빨간 국물 라면' 시장의 치열한 경쟁을
       회피하고 독자 영역을 개척함으로써 성공

       - 통념을 깨고 '하얀 국물 라면'이라는 역발상으로 콘셉트를 차별화

         ㆍ전체 브랜드 수가 250여개에 달하고, 매년 20개 내외의 신제품이
           출시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라면시장에서 꼬꼬면만의 독창적인
           이미지 구축에 성공


       - 청양고추를 사용하여 매운 맛에 대한 한국인의 선호를 반영하면서도
         기존 라면의 얼큰한 매운 맛과는 다른 '칼칼한 매운 맛'을 구현

     □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스토리텔링과 뉴스 메이킹을 통해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

       - TV 인기 예능 프로그램 '라면 요리 대회' 편에 등장한 아이템을
         신속히 제품화하여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

         ㆍ인기 연예인이 제품개발 과정에 참여하고, 정식 출시 전 블로거를
           대상으로 체험단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출시 과정을 대중과 공유

       - 초기 물량 부족으로 인한 '품절 라면'의 이미지도 구매 욕구를 자극

         ㆍ언제나 살 수 있는 라면이 아니라 운이 좋아야 살 수 있는 희소한
           라면이라는 인식을 부각

       - 제품 출시 후에도 블로그, SNS 등에 쏟아진 시식 후기 등을 모니터링해
         조리법을 수정하는 등 소비자와의 소통을 유지

         ㆍ'물의 양을 줄이면 맛이 좋아진다'는 소비자의 반응에 따라 제조사가
           레시피를 수정한 것이 기사화3)되는 등 입소문 거리를 지속 제공
3)
     "한국야쿠르트의 굴욕? 이경규가 옳았다." (2011. 10. 28.). 『연합뉴스』.
                                                             삼성경제연구소 7
CEO Information 833호



     2. 스티브 잡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창의와 혁신의 아이콘


     □ 스티브 잡스가 췌장암으로 애플 CEO를 사임한 지 2달 만에 세상을 떠난
       후 대중의 관심이 더욱 고조


       - 사후 출간된 자서전은 한국, 미국, 영국 등에서 현재까지 5주간 판매
        부수 1위에 오르며 2011년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될 전망4)

       - 잡스의 유작으로 지칭되는 아이폰 4S가 출시 초기에 판매 호조를
        보였으며, 즐겨 착용했던 터틀넥 셔츠가 트렌디룩으로 부상5)

     □ 자신이 창업한 회사에서 쫓겨났다가 복귀한 후 창의적인 제품을 잇달아
       내놓으며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한 스토리가 대중을 감동시킴


       - 디지털 세대는 잡스가 PC(맥킨토시)에 이어 포스트 PC(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시대를 개척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경험

        ·직관적 인터페이스로 소통 방식을 바꾸고, 기술과 콘텐츠의 융합으로
          생활방식을 바꾼 잡스는 젊은 세대에게 있어 혁신의 아이콘


       - 직장인들은 죽음을 예감하고도 그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삶에 임했던
        잡스의 모습을 보고 자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성찰

        ·"시간은 제한적이다. 다른 사람의 삶을 사느라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자신의 인생을 위해 마음의 목소리를 따르라"6)


       - 1997년 CEO로 복귀하면서 신제품 계획을 모두 폐기했을 때, 직원들이
        반발하자 '다르게 생각하라'고 주문하는 등 창의적 리더십을 발휘

4)
     특히 한국에서는 출간 초기에 미국보다 더 많이 팔려, 5주 만에 약 40만부가 판매(11월 30일 현재
     민음사 출고 기준이며, 주요 서점에서 판매량 1위를 기록 중인 가운데 14쇄까지 인쇄)
5)   소니픽처스가 자서전의 영화 판권을 100만달러에 구입하고 제작을 준비하는 등 추모와 관심이 지속
6)
     스탠포드大 졸업 축하 연설에서 졸업생들에게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과감히 도전하라고 주문
                                                       삼성경제연구소 8
CEO Information 833호



3. 카카오톡

국민 애플리케이션으로 등극


□ 스마트폰용 메신저 서비스인 카카오톡은 출시 21개월 만에 사용자
  3,000만명(국내 2,500만명)을 돌파하며 '국민 앱'으로 자리매김


  - 2010년 3월 아이폰용으로 처음 출시되어 2011년 4월 1,000만명, 7월
   2,000만명을 돌파한 데 이어 11월 3,000만명을 기록

   ㆍ카카오톡 사용자의 80%가 매일 1회 이상 사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약 500만명(미국 165만명, 일본 100만명 등)이 사용 중


          한국의 안드로이드용 애플리케이션 사용 순위




주: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사용자 중 8∼9월 한번 이상 사용한 사용자 비율
자료: 닐슨코리아(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내부 자료


□ 스마트폰에 저장된 '친구'와 무료로 채팅하고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을
  공유할 수 있어 기존 유료 문자서비스를 빠르게 대체


  - 주변 친구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과 소통하기 위해 카카오톡을
   다운로드받는다는 이용자가 증가

                                            삼성경제연구소 9
CEO Information 833호


     스마트폰 사용자의 잠재욕구를 신속히 파악하여 충족


     □ 기대 수준 이상의 쉬운 인터페이스 환경과 시간·장소를 초월하여
       소통할 수 있는 자유로움을 제공


       - 앞서 서비스를 시작한 구글토크와 달리 카카오톡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지인이 친구로 자동 등록될 뿐 아니라 친구 추천 기능이 있어 연락처가
         없는 사람까지 친구로 등록

       - 모바일 메신저 최초로 도입된 '그룹 채팅'을 통해 24시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다자간 소통이 가능


     □ 스마트폰 보급이 급증하는 시기에 신속히 상품화한 것이 주 성공요인


       - 기획자 1명, 개발자 2명, 디자이너 1명 등 총 4명으로 구성된 소수
         정예팀이 메신저 기능 개발에만 집중해 2개월 만에 출시

         ㆍ"한두달 늦게 출시됐다면 이렇게 단시간 내에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선점하지 못했을 것이다."(이제범, 카카오 대표)7)


       - 발빠르게 진입해 경쟁자에 비해 월등히 많은 가입자를 확보함으로써
         선순환 및 선발자 이익(First-mover Advantage) 효과를 창출

         ㆍ신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지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메신저를 선택

                        한국 모바일 메신저 출시 현황




7)
     "천만 명 열광시킨 토종 앱 '카카오톡'"(2011.6.). 『Midas』.
                                                      삼성경제연구소 10
CEO Information 833호



4. <나는 가수다>


실력파 가수들의 노련함이 빛나는 경연 프로그램



□ 뛰어난 가창력을 지닌 가수를 무대에 세움으로써 '가수는 노래 잘하는
 사람'이라는 평범한 진실을 부각


 - 매회 7명의 가수가 노래를 부르고 청중평가단이 심사해, 최하점수를
  받은 가수가 탈락하고 새 가수가 그 자리를 대체하는 서바이벌 방식


 - 3월 6일 첫 방송 이후의 꾸준한 인기에 힘입어 7월 3일부터 방영시간을
  155분으로 연장

   ㆍ연장 편성 첫회 시청률이 18.3%(AGB닐슨미디어리서치, 수도권
    기준)를 기록해 <슈퍼스타K2> 최종회 시청률 18.1%를 능가


□ 방송 전부터 집중된 관심이 회를 거듭할수록 확대


 - 탈락 가수는 향후 이미지에 치명타를 입을 수도 있어 프로그램 존속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으나, 그러한 논란 자체가 비시청자의 관심까지
  증폭시키는 계기로 작용


 - 7명 가수의 다채로운 경력과 뚜렷한 개성이 더해지면서 시청자의
  호기심이 극대화

   ㆍ스스로 TV 체질이 아니라는 가수(윤도현, 임재범), 오직 음성으로
    女心을 사로잡은 가수(김범수, 정엽), 아는 사람만 아는 발라드 퀸
    (박정현) 등이 포함되어 '완벽한 캐스팅'이라는 것이 衆評




                                      삼성경제연구소 11
CEO Information 833호


긴장감을 끌어올리는 경연 형식과 음악성이 어우러져 몰입을 극대화


□ 실력자들이 치열하게 경쟁을 펼치고 공정한 평가 결과에 승복하는
 과정에서 긴장감과 함께 재미를 제공


 - 일상화된 경쟁에서 스트레스를 안고 사는 시청자는 경연에서 절박함과
  초조함을 감추지 못하는 빅스타를 보며 공감


 - 청중평가단의 호응과 평가라는 룰에 따라 가수가 탈락하는 과정은
  '공정한 경쟁'을 희구하는 사회적 정서와 일치


 - 기대 밖의 낮은 순위와 순위 급락 등을 경험하고도 오히려 탈락자를
  위로하는 가수들에게서 성숙한 인간미를 느낌

  ㆍ<나는 가수다>의 인터넷 후기글 속 찬사와 비난은 노래 실력보다는
    순위 급락과 같은 돌발상황에서의 반응이나 무대 매너 등에 집중


□ 시적 여운을 담은 노랫말에 출연가수의 남다른 스토리가 연결되어
 노래를 음미하는 시청자에게 감동을 선사


 - 아이돌 스타와 10대 팬이 만들어낸 열풍 속에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대중문화 소비층을 가요계로 흡수하는 효과

  ㆍ500명의 청중평가단 모집 시 음악성 있는 가수를 통해 극적인 무대를
    희구하는 40∼50대의 신청 사연이 하루에도 수백건씩 폭주


 - 무명시절 등 출연 가수의 경험이 노랫말과 연결되면서 가수의 열창에
  청중과 시청자가 공감




                                    삼성경제연구소 12
CEO Information 833호



5. 갤럭시 S2


세계적으로 호평받는 스마트폰


□ 삼성전자의 '갤럭시 S2'는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호평을 받으며 출시
    5개월 만에 1,000만대 판매를 돌파

    - 국내에서도 한달 만에 100만대가 팔리면서 최단기간 밀리언셀러를 달성

       ㆍ기존 최단 기록이었던 갤럭시 S의 70일을 절반가량 단축

    - 2011년 11월 미국 『컨슈머리포트』는 '갤럭시 S2'를 가장 뛰어난
      성능을 가진 스마트폰으로 평가하고, 1위 추천 제품으로 선정

       ㆍ영국의『모바일초이스』도 '올해의 휴대폰'으로 선정(2011년 10월)

□ '갤럭시 S2'의 성공에 힘입어 삼성전자는 2011년 3/4분기 세계 스마트폰
    1위 업체로 부상

    - 2,810만대를 판매해 1,710만대를 판매한 애플을 약 1,000만대 추월

        갤럭시 S2 판매 추이                         삼성전자와 애플 스마트폰 출하 대수




자료: Galaxy S2 Smartphone Shatters Samsung Sales Records. (2011. 9. 25.). PC Magazine.;
    Samsung Tops iPhone Shipments. (2011. 10. 21.). The Wall Street Journal.을 토대로
     삼성경제연구소 작성

                                                                            삼성경제연구소 13
CEO Information 833호


고사양과 앞선 기능으로 차별화


□ 최신 기능과 높은 사양에 민감한 국내 소비자의 특성에 신속하게 대응한
 것이 성공의 원인

 - 더 빠르고(Speed), 더 선명하고(Screen), 더 얇은(Slim) 혁신 제품으로
     자리매김

     ㆍ최초로 Dual-Core 1.2GHz CPU를 채용하고, 최신 안드로이드 OS인
      진저브레드를 최적화시켜 속도가 2배 이상 향상

     ㆍ기존 디스플레이에 비해 가독성이 높은 '슈퍼 AMOLED 플러스'를 채택

     ㆍ두께도 8.49mm로 지금까지 출시된 스마트폰 중 가장 얇게 제작

 - 3G 방식보다 3∼5배 빠른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을 지원하여 초기 LTE폰 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

                          주요 스마트폰 사양 비교
                 갤럭시 S         갤럭시 S2             갤럭시 S2 HD          아이폰 4S
     구분
             (2010년 6월 출시)    (2011년 4월)         (2011년 10월)       (2011년 10월)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2.2       안드로이드 2.3          안드로이드 2.3               iOS 5
속도
      CPU     싱글코어/1GHz      듀얼코어/1.2GHz        듀얼코어/1.5GHz        듀얼코어/1GHz

      종류         AMOLED      AMOLED(가독성   개선)      AMOLED HD          LTPS LCD
화면
     화소/크기    400×800/4.0"    480×800/4.3"      720×1,280/4.65"    640×960/3.5"
 두께(mm)           9.9             8.49                9.5                9.3
 LTE 지원            ×               ○                  ○                   ×



□ 도입기를 지나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진전되면서 '선택하는 데 확신을
 줄 수 있는 제품'을 찾는 심리가 확산된 것 또한 히트에 일조

 - '다수로부터 선택받은 제품', '국내외에서 검증된 제품'이라는 신뢰가
     혁신기술 제품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중 소비자의 우려를 불식

                                                                      삼성경제연구소 14
CEO Information 833호



     6. K-Pop

     한국의 대중음악을 세계로 전파


     □ 2011년은 'K-Pop'이 글로벌 음악 장르로 인정받은 원년

       - 과거에는 주로 동남아, 일본, 중화권 등에 국한되었던 인기가 최근
         들어 유럽, 미국, 남미, 중동 등 전 세계로 확산

         ㆍ일본, 동남아, 중화권 각종 가요차트를 석권하고 있으며, 프랑스,
           영국, 스페인 등에서는 공연 티켓이 연이어 매진8)

         ㆍ프랑스의 유력지 『르피가로』는 "K-Pop은 완벽한 춤과 음악의 종합
           선물세트로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고 평가9)

       - 세계 음악계는 K-Pop을 팝, 라틴음악 등과 같은 하나의 음악 장르로 인식

         ㆍ『빌보드』10)는 전 세계적 인기를 반영하여 '빌보드 K-Pop 차트'를
           신설했으며, 유튜브에도 'K-Pop 전용 채널'이 개설

       -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K-Pop 전문 기획사의 시장 가치 또한 급등11)

     □ K-Pop에 대한 관심이 한국여행, 한글 등 타 분야로 확산되는 조짐

       - 외국인 관광객 수는 2008년 이후 45% 증가하여 2011년 1,0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

       -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여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는 2008년
         7만 4,000명에서 2010년 12만명으로 62% 증가
8)
    2011년 6월 SM타운(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의 단체 공연) 프랑스 콘서트 티켓이 15분 만에
    매진되어 1회 연장 공연을 실시했으며, 같은 해 11월 샤이니 런던 공연은 예매 1분 만에 티켓이
    매진되고 5시간 동안 예매시스템이 마비
9)
    La vague coreenne deferle sur le Zenith . (2011. 6. 9.). Le Figaro.
10)
    1896년 창간된 美 대중음악지로 1956년부터 <빌보드 차트>를 발표, 세계 팝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
11) SM엔터테인먼트
                    는 2011년 11월 말 연초 대비 주가가 3.6배 증가했으며, YG엔터테인먼트는 11월
     상장 2일 만에 시가총액이 4,483억원을 기록
                                                            삼성경제연구소 15
CEO Information 833호


  고유의 경쟁력이 다양한 확산 인프라와 결합되면서 폭발력 배가


  □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요소를 녹여내는 융합력이 강력한 경쟁 무기


       - R&B 등 영미권에서 유행하는 음악과 리듬을 빠르게 흡수하여 동양적으로
         세련되게 소화해냄으로써 동·서양에서 모두 거부감 없이 수용12)

         ㆍ"K-Pop은 강렬한 중저음 비트의 미국 팝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리듬과 화려한 보컬, 안무가 더해져 파급력 있는 수준에
           도달"(이시하라 신, NHK 예능 프로그램부 총제작자)


  □ 장기간에 걸쳐 완성된 가수로 키워내는 체계적 육성 시스템으로 차별화


       - 완성도 높은 실력으로 데뷔하도록 수년간의 연습생 기간 동안 음악,
         퍼포먼스, 외국어, 자기관리 등에서 집중적인 트레이닝을 실시


       - 치열한 국내 엔터테인먼트의 경쟁 환경과 실력을 강조하는 한국 대중의
         눈높이도 육성 시스템 정착에 영향


  □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의 확산이 열풍의 기폭제로 작용


       - 소셜 미디어가 글로벌 유통 플랫폼 역할을 하고, 기획사가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면서 K-Pop이 급속도로 확산

         ㆍ기획사는 지적재산권의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자사 또는 자사
           가수의 전용채널을 통해 동영상과 음원을 무료로 발신13)


       - 향후에도 모바일, 3D, 클라우드 컴퓨팅 등으로 대표되는 IT 트렌드
         변화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노력을 지속할 필요

12)
      정태수(2010). "아이돌 그룹이 이끄는 新한류시대"(경영노트 제76호). 삼성경제연구소.
13)
      김영민 SM엔터테인먼트 사장은 2011년 11월 5일 FBS 일본 버라이어티 방송에 출연하여 지적재산권의
      손해에도 불구하고 유튜브를 통해 발신한 것이 성공의 핵심 전략이었다고 발언
                                                       삼성경제연구소 16
CEO Information 833호



  7. 연금복권


  노후걱정이 많은 중장년층을 새로운 고객층으로 확보


  □ 연금처럼 '20년 동안 매월 500만원씩 지급'되는 새로운 형태의 복권이
       발매되자마자 인기몰이


       - 2011년 7월 출시 후, 1회를 제외하고 전 회차가 매진(판매한도 630만
         장)되었으며, 현재도 2∼3주 이후의 복권만 구입 가능

         ㆍ추첨식 복권인 팝콘 복권의 연 매출은 70∼80억원에 불과했으나,
           연금 복권은 2011년 매출이 약 1,6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ㆍ연금복권의 인기로 3년간 주춤하던 복권매출이 16.8% 급증하여
           2011년 매출 3조원을 예상14)


  □ 은퇴 후 생계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사람에게 연금식 지급을 통한
       노후 안정에 대한 기대감을 준 것이 성공의 배경


       - 연금복권의 주 구매계층은 은퇴를 앞두고 불안감이 증폭된 40대 이상
         중장년층으로 전체 구매자의 71%를 차지15)

         ㆍ일반 복권은 구매자 중 30대가 72.4%로 주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16), 연금복권은 구매자 중 30대 이하가 28%에 불과


       - 일확천금의 폐해를 피할 수 있고, 기존 복권에 비해 세율이 낮으며,
         당첨 확률이 높고, 상속도 가능하다는 점이 여성층에 어필

         ㆍ설문조사 결과, 로또보다 연금복권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층의
           비율은 남성이 27.6%인 반면, 여성은 41%17)

14)
      기획재정부 (2011. 11. 21). "복권매출 영향요인 분석". 보도자료.
15)
      한국연합복권 (2011. 7. 18.). "연금복권520 구매자분석". 보도자료.
16)
      복권위원회 (2009. 1. 28.). "복권인식조사". 보도자료.
17)
      사람인 (2011. 7. 13.). "복권당첨으로 인생역전을 꿈꿔본 적 있는가". 보도자료.
                                                            삼성경제연구소 17
CEO Information 833호



  8. <도가니>18)

  '불편한 진실'을 영화화해 사회적 반향을 촉발



  □ 同名소설을 영화화한 <도가니>는 2011년 9월 22일 개봉한 후 관객 수가
       467만명19)을 기록했으며,「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
       안」을 통과시키는 등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


       - 특수학교의 장애아 폭행 및 성폭력 실화사건을 다룬 부담스런 소재의
         영화였으나, <해리포터> 등 블록버스터 영화보다도 흥행에 성공


       - 개봉 이후 관련법 개정, 해당학교 폐쇄와 재단 인가 취소 등 정부
         정책이 변화


       - 사회적 이슈에 대해 영화 관람, 입소문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일종의 '관심기부'의 중요성이 부각


  □ 비리, 부패, 구조적 모순 등에 대한 사회적 公憤을 일으킴으로써 관객을
       방관자에서 참여자로 전환


       - 단순히 '재미있다'가 아니라 '꼭 봐야 해'라며 주변에 영화 관람을
         적극적으로 권하는 분위기를 조성


       - 불의나 부조리와 타협하는 세상에서 정의를 추구하는 주인공을 응원
         하는 감정이입이 사회 변화에 대한 동참을 유도

         ㆍ여론 조성에서 출발하여 실제로 법 개정까지 유발

18)
      흥분이나 감격 등 들끓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서, 원작소설의 저자 공지영은 "실제
      사건을 목격하면서 이렇게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이상할 수도 있을까, 모두가 이상한 데 미쳐버린
      마치 광란의 도가니에 휩싸인 것 같다고 생각해 이 제목으로 정했다"고 인터뷰
19)
      2011년 박스 오피스에서 <트랜스포머 3>, <최종병기 활>, <써니>가 700만, <쿵푸팬더 2>는 500만,
      <완득이>, <조선명탐정:각시투구꽃의 비밀>, <도가니> 등이 400만명을 기록
                                                            삼성경제연구소 18
CEO Information 833호



9.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二顚三起의 도전 끝에 새로운 지평을 개척


□ 강원도 평창이 두번의 고배 끝에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권을 획득하며
 국민에게 자긍심을 고취


 - 2011년 7월 남아공 더반 제123차 IOC 총회에서 평창은 1차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을 확보하며 압도적으로 승리


 - 이로써 한국은 세계 4대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그랜드
  슬램 국가로 기록

   ㆍ하계올림픽, FIFA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며
    이탈리아, 독일, 일본, 프랑스에 이어 5번째로 그랜드슬램을 달성


□ 더반에서의 프레젠테이션이 깊은 인상을 남기면서 발표자였던 나승연
 대변인, 김연아 선수에 대한 관심도 증대


 - 발표자의 세련된 매너와 유창한 영어 실력이 화제가 되며 청소년뿐
  아니라 성인 사이에서도 영어 프레젠테이션 교육이 열풍


 - 김연아 선수가 평창에서 착용한 의류와 액세서리의 인기가 상승

   ㆍ김연아 선수의 의상을 디자인한 제일모직 브랜드 '구호'는 의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이를 상품으로 출시


치밀한 전략과 전방위 스포츠 외교가 빛을 발한 승리


□ 진정성을 대변하는 발표자들이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메시지를 발신하는
 소통전략으로 승리

                                        삼성경제연구소 19
CEO Information 833호


       - 분단국가와 평화올림픽이라는 무거운 주제 대신, 동계스포츠 불모지인
         아시아에서의 개최가 전 세계 스포츠 꿈나무들을 응원할 것이라는
         밝고 진취적인 메시지를 내세운 것이 주효

       - 메시지의 진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김연아, 토비 도슨20) 등 어려운
         여건에서 꿈을 성취한 젊은 발표자를 전면에 배치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숨은 주역, '드림 프로그램'

  ▷ 강원도는 매년 겨울스포츠를 즐길 수 없는 전 세계 40여개국의
    청소년을 초청하여 동계스포츠를 체험하게 하는 드림 프로그램을
    운영

      - 지난 2004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IOC와의 공약으로 탄생
        했으나, 현재는 그 의미를 인정받는 독립적인 행사로 성장

  ▷ 드림 프로그램의 올림픽 정신은 전 세계 젊은이의 동등한 꿈의 가치를 강조한
    '새로운 지평(New Horizons)'이라는 평창의 슬로건을 뒷받침하며 유치에 기여
                      (자료: 드림 프로그램 홈페이지 <http://www.dreamprogram.co.kr/>)



  □ 동계올림픽 유치는 국민의 염원과 강원도민의 노력, 기업·명사의 민간
        외교, 정부의 지원 등 온 국민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낸 쾌거

       - 2003년과 2007년 두번의 유치 실패가 한국인 특유의 승부근성을
         자극하여 '평창의 세번째 도전'을 응원하는 데 힘이 결집

          ㆍ동계올림픽 유치 국내 지지율: 2002년 86.4% → 2009년 91.4%21)

       - 국민을 비롯하여 IOC 위원, 김연아 선수, 민간기업 등이 일치단결해
         정부와 함께 적극적인 스포츠 외교를 전개

       - 스포츠인도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는
         선전으로 한국 동계 스포츠의 저력을 증명하는 데 일조
20)
      한국인 입양아 출신의 미국 스키 국가대표(한국명 김봉석)로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 이후 부산에서 어릴 때 잃어버린 생부를 찾았고 2011년부터 한국 프리스타일 스키 국가대표팀
      코치직을 맡고 있음
21)
      "강원도민 96.5% 동계올림픽 유치 희망" (2002. 12. 12.). 『경향신문』.; "전국민 91% 평창동계
      올림픽 유치 찬성" (2009. 12. 21.). 『연합뉴스』.
                                                               삼성경제연구소 20
CEO Information 833호



10. 통큰·반값 PB상품

  고물가 시대에 가격파괴로 소비자를 매료

  □ 대형 유통업체가 파격적인 가격의 PB상품22)을 앞다투어 선보이며
       수요를 창출

       - 2010년 말 롯데마트의 '통큰23)' 마케팅을 시작으로 대형 유통업체의
          통큰·반값 PB상품이 소비자의 주목을 받음

         ㆍ롯데마트의 '통큰치킨'은 영세상인의 반발과 여론의 질타를 받으며
           1주일 만에 판매를 중지했으나 소비자는 호의적으로 반응

       - 대형 유통업체는 브랜드 파워를 활용하여 다양한 PB상품을 확대 기획
         하여 출시

         ㆍ일반 생활용품에서 전자제품, 스포츠용품까지 상품의 범위가 확대
           되면서 대형 유통업체 PB상품 매출 비중이 약 25% 상승24)


  □ 저렴하면서도 최소한의 기본 기능과 품질을 보유한 할인상품과 저렴한
       PB상품에 고물가 시대에 힘겨워하는 소비자들이 호응

       - 대한상공회의소의 소비자 장바구니 동향 조사 결과 2011년 할인상품
         및 PB상품의 전년 대비 소비증가율은 각각 87%, 41%를 기록25)

       - 대형 유통업체의 PB상품은 유통과정을 줄이고 기능을 최소화하면서도
         좋은 품질을 제공한다는 인식이 확대

         ㆍ이마트의 저가 TV는 가격인하를 위해 기능을 최소화하고, 대만의
           TPV에서 주문자생산방식으로 제작
22)
      PB상품(Private Brand Goods)은 유통업체가 매장과 고객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기획하고
      전문 제조업체에 발주해 유통업체의 브랜드를 부착한 상품
23)   롯데마트는 일반 치킨의 절반 수준 가격으로 '통큰치킨'을 판매해 '통큰'이라는 수식어를 창조
24)
      "'유통 vs 제조' 대결 본격화되나". (2011. 11. 16.). 『한국경제매거진』.
25)
      대한상공회의소(2011. 4. 14.). "고물가 시대 소비자 장바구니 동향 조사". 보도자료.
                                                         삼성경제연구소 21
CEO Information 833호



<부록> 설문조사 결과 요약

 ▷ 응답자 수: 총 7,725명(男 80.2%, 女 19.8%)

 ▷ 연령: 25세 미만(2.4%), 25∼34세(26.0%), 35∼44세(35.5%),
          45∼54세(27.4%), 55세 이상(8.8%)

 ▷ 지역: 수도권(74.0%), 非수도권(26.0%)

 ▷ 직업: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10.5%), 전문가/기술자(19.1%)
          사무직 종사자(49.0%), 서비스 및 영업직 종사자(8.6%),
          농업/임업/어업 종사자(0.3%), 학생(4.9%), 주부(0.7%),
          기타(6.9%)
 ▷ 설문방식: 제시된 51개 후보군 중 히트상품 10개를 무순위로 선택



                       제품/서비스별 응답 결과
     상품특성
                        제품                서비스 및 기타
순위
     1                  꼬꼬면                스티브 잡스
     2                 갤럭시 S2                카카오톡
     3               통큰·반값 PB상품            <나는 가수다>
     4                 아이폰 4                  K-Pop
     5                아웃도어 상품                연금복권
     6                 아이패드 2                <도가니>
     7               도시형 생활주택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8                 스마트 TV               소셜커머스
     9                  워킹화                  페이스북
     10          『아프니까 청춘이다』                커피전문점
     11                3D 상품               <슈퍼스타K3>
     12               비타민 워터                 뽀로로
     13         프리미엄 인스턴트 커피                 트위터
     14               패스트 패션               스크린 골프
     15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그콘서트>
주: 음영은 10大 상품을 의미(이하 각 표 동일)


                                                      삼성경제연구소 22
CEO Information 833호


                               성별 응답 결과
           응답자                남성                            여성
순위
      1                   꼬꼬면                         스티브 잡스
      2                스티브 잡스                              꼬꼬면
      3                  갤럭시 S2                            카카오톡
      4                <나는 가수다>                      <나는 가수다>
      5                  카카오톡                              연금복권
      6                   K-Pop                            K-Pop
      7                  연금복권                              <도가니>
      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갤럭시 S2
      9              통큰·반값 PB상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10                 <도가니>                      통큰·반값 PB상품
      11                소셜커머스                          소셜커머스
      12                 아이폰 4                       <시크릿 가든>
      13               아웃도어 상품                             아이폰 4
      14                 페이스북                        아웃도어 상품
      15                커피전문점                         <슈퍼스타K3>


                              연령대별 응답 결과
      25세 미만         25∼34세          35∼44세       45∼54세           55세 이상
1         꼬꼬면         꼬꼬면             꼬꼬면        갤럭시 S2            갤럭시 S2
2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K-Pop
3     카카오톡           카카오톡          <나는 가수다>        꼬꼬면             스티브 잡스
4     갤럭시 S2       <나는 가수다>          카카오톡          K-Pop         <나는 가수다>
5     <도가니>          연금복권           갤럭시 S2      <나는 가수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6 통큰·반값 PB상품        갤럭시 S2            K-Pop       카카오톡              꼬꼬면
7    <나는 가수다> 통큰·반값 PB상품             연금복권         연금복권             카카오톡
8     연금복권           <도가니>           <도가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연금복권
9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K-Pop        통큰·반값 PB상품     <도가니>        통큰·반값 PB상품
10    페이스북          소셜커머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통큰·반값 PB상품          <도가니>
11   <슈퍼스타K3>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소셜커머스        커피전문점              트위터
12   소셜커머스           아이폰 4           아이폰 4       소셜커머스             커피전문점
13         K-Pop   <슈퍼스타K3>        아웃도어 상품       스크린 골프            소셜커머스
14    아이폰 4          페이스북           앵그리 버드      아웃도어 상품          아웃도어 상품
15 『아프니까 청춘이다』        뽀로로            페이스북          트위터             페이스북

                                                                   삼성경제연구소 23
CEO Information 833호


                       【 지표로 보는 경제 Trend 】

< 1일 지표 >

                              11. 29       11. 30         12. 1            12. 2           12. 5
      원/달러(종가기준)              1,145.40     1,143.00      1,126.10         1,131.50         1,129.80
 환율   엔/달러(뉴욕시장)               78.060        77.950        77.605              77.755       78.045
      달러/유로(뉴욕시장)             1.33170       1.33260       1.34390          1.34600         1.34170
      회사채(3년AA-, %)              4.27          4.22             4.23             4.23         4.23
      국고채(3년, %)                 3.43          3.38             3.38             3.38         3.38
 금리
      CD (91일, %)                3.55          3.55             3.55             3.55         3.55
      LIBOR (3개월, %)          0.52694       0.52889       0.52722          0.52833         0.53390

 국제 두바이(S, $/배럴)               107.35        108.26        107.39              107.56       108.80
원자재 WTI(S, $/배럴)                 99.79       100.06        100.27              100.51       100.93
 가격 CRB 현물가격지수                 489.00        490.00        489.00              488.68              ..
 주가지수(KOSPI, 종가)              1,856.52     1,847.51      1,916.18         1,916.04         1,922.90
 한국 5년만기 CDS 프리미엄                 164           150             151              148           143


< 월별 지표 >

                    2009년     2010년      2011.6월 2011.7월 2011.8월 2011.9월 2011.10월

제조업생산 증가율1)            -0.2      16.7         6.6        3.8             4.7         7.1        6.3
       평균가동률           74.4      81.2        82.5        82.1           80.4        81.3       79.5
서비스업생산 증가율              1.8       3.9         3.5        3.8             4.9         3.8        3.5

실업률                     3.6       3.7        3.3         3.3             3.0         3.0        2.9
실업자(만명)                88.9      92.0        83.9        83.7           76.2        75.8       73.6
총취업자 수(만명)          2,350.6   2,382.9     2,475.2     2,463.6     2,449.5       2,431.8     2,467.3

소비자물가 상승률               2.8       2.9        4.4         4.7             5.3         4.3        3.9
생산자물가 상승률              -0.2       8.6        6.2         6.5             6.6         5.7        5.6
생활물가 상승률                2.1       3.3        4.3         4.8             5.2         3.8        3.2

수출(억달러, FOB)2)      3,635.3   4,663.8      467.5       489.2           457.7       465.5      468.2
        (증감률)       (-13.9)    (28.3)      (11.2)     (21.0)       (25.5)        (18.1)       (8.0)
수입(억달러, CIF)        3,230.9   4,252.1      448.8       442.9           453.8       452.7      427.6
        (증감률)       (-25.8)    (31.6)      (27.3)     (25.0)       (28.6)        (29.3)      (15.6)

외환보유액(억달러)          2,699.9   2,915.7     3,044.8     3,110.3     3,121.9       3,033.8     3,109.8
1) 통계청 (2011. 11. 30.) “2011년 10월 산업활동동향 결과”에 의거하여 작성
2) 관세청 (2011. 11. 16.) “2011년 10월 수출입 동향(확정치)”에 의거하여 작성

                                                                                    삼성경제연구소 24
CEO Information 833호


< 분기 지표 >

                                            2010년     2011년     2011년        2011년        2011년
                        2009년     2010년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GDP 성장률1)                   0.3       6.2       4.7       4.2       3.4           3.5             ..
             민간소비           0.0       4.1       2.9       2.8       3.0           2.0             ..
             설비투자          -9.8      25.0      15.9      11.7       7.5           1.0             ..
             건설투자           3.4      -1.4      -2.9     -11.9      -6.8          -4.6             ..
SERI 소비자태도지수
                           53.2      51.8      51.8      49.2      47.2          47.5       45.4
(연간은 연말 기준)
SERI 경제행복도지수2)
                          0.485     0.672     0.672     0.683           ..           ..           ..
(연간은 연말 기준)
개인금융자산(조원)3)            1,946.5   2,176.4   2,176.4   2,212.4   2,257.9              ..           ..
개인금융부채(조원)                854.8     937.3     937.3     949.0   1,050.1              ..           ..
재정수지(조원)                  -17.6      16.7      16.7      -4.4      -2.3          16.8             ..
경상수지(억달러)4)               327.9     282.1      91.6      26.1      54.9          71.7             ..
총대외지불부담(억달러)5)            3,457     3,594     3,594     3,824     3,992         3,943             ..
1)   GDP 성장률은 전년동기 대비
2)   2010년 4/4분기부터 소득분배 부문 하위지수 산정법 개정으로 과거 자료와 상이
3)   개인금융자산 및 부채는 자금순환계정 기준
4)   IMF 국제수지통계매뉴얼(BPM5) 기준
5)   IMF, World Bank 등 9개 국제기구가 마련한 새로운 편제기준, 분기별 발표


< 주요국 통계 >
                                                                              (전년동기 대비, %)
                                            2010년     2010년     2011년        2011년        2011년
                        2009년     2010년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GDP 성장률1)        -3.5       3.0       2.5       2.3       0.4           1.3        2.0
     미국   실업률2)             9.3       9.6       9.6       9.4       8.8           9.2        9.1
          소비자물가    2)
                           -0.4       1.6       1.1       1.5       2.7           3.6        3.9
          GDP 성장률1)        -6.3       4.1       2.9      -2.7      -2.7          -1.3        6.0
     일본   실업률 2)
                            5.1       5.1       5.0       4.9       4.6           4.6        4.1
          소비자물가    2)
                           -1.4      -0.7      -0.6       0.0      -0.5          -0.4        0.0
          GDP 성장률1)        -4.1       1.8       0.4       0.3       0.8           0.2        0.2
     유로
          실업률 2)
                            9.6      10.1      10.1      10.0      10.0          10.0       10.2
     지역
          소비자물가    2)
                            0.3       1.6       1.9       2.2       2.7           2.7        3.0
          GDP 성장률  1)
                            9.2      10.3       9.6       9.8       9.7           9.5        9.1
     중국   실업률 2)
                            4.3       4.1       4.1       4.1       4.1           4.1             ..
          소비자물가2)          -0.7       3.3       3.6       4.6       5.4           6.4        6.1
1) 미국, 일본, 유로지역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연율, 중국 GDP 성장률은 전년동기 대비
2) 실업률 및 소비자물가의 경우 분기 말 기준


                                                                                 삼성경제연구소 25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11207

2010sus (seri) 20101215 9qf
2010sus (seri) 20101215 9qf2010sus (seri) 20101215 9qf
2010sus (seri) 20101215 9qf
koutarou
 
트렌드 코리아 2017
트렌드 코리아 2017트렌드 코리아 2017
트렌드 코리아 2017
장수 이
 
Smartphone Market Trends (2010. 4Q)
Smartphone Market Trends (2010. 4Q)Smartphone Market Trends (2010. 4Q)
Smartphone Market Trends (2010. 4Q)
Jonathan Jeon
 
[카카오톡 일본진출 전략 제안] :be.inus 제안서_2013-1 서울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팀
[카카오톡 일본진출 전략 제안] :be.inus 제안서_2013-1 서울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팀[카카오톡 일본진출 전략 제안] :be.inus 제안서_2013-1 서울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팀
[카카오톡 일본진출 전략 제안] :be.inus 제안서_2013-1 서울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팀
Ji Lee
 
Mhows Mail Magazine Jan Vol 34
Mhows Mail Magazine Jan   Vol 34Mhows Mail Magazine Jan   Vol 34
Mhows Mail Magazine Jan Vol 34prettymiki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Boram Park
 
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
websmedia
 
애플의 성공요인 분석
애플의 성공요인 분석애플의 성공요인 분석
애플의 성공요인 분석
SoonChul Shin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Sang Lee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중계)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중계)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중계)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중계)
Sang Lee
 
성큼성큼! 스타트업 성공 이야기
성큼성큼! 스타트업 성공 이야기성큼성큼! 스타트업 성공 이야기
성큼성큼! 스타트업 성공 이야기
창업 에듀
 
China social weekly review VOL.2
China social weekly review VOL.2China social weekly review VOL.2
China social weekly review VOL.2
weikorea11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scsong71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전자신문 스마트패드 동향과 킬러콘텐츠 전망 컨퍼런스 발표자료_20110426_ver1.2 위너스랩 동우상
전자신문 스마트패드 동향과 킬러콘텐츠 전망 컨퍼런스 발표자료_20110426_ver1.2 위너스랩 동우상전자신문 스마트패드 동향과 킬러콘텐츠 전망 컨퍼런스 발표자료_20110426_ver1.2 위너스랩 동우상
전자신문 스마트패드 동향과 킬러콘텐츠 전망 컨퍼런스 발표자료_20110426_ver1.2 위너스랩 동우상
BruceDong WinnersLab
 

Similar to 20111207 (20)

2010sus (seri) 20101215 9qf
2010sus (seri) 20101215 9qf2010sus (seri) 20101215 9qf
2010sus (seri) 20101215 9qf
 
트렌드 코리아 2017
트렌드 코리아 2017트렌드 코리아 2017
트렌드 코리아 2017
 
농촌SNS와 컨셉
농촌SNS와 컨셉농촌SNS와 컨셉
농촌SNS와 컨셉
 
Smartphone Market Trends (2010. 4Q)
Smartphone Market Trends (2010. 4Q)Smartphone Market Trends (2010. 4Q)
Smartphone Market Trends (2010. 4Q)
 
김민경
김민경김민경
김민경
 
김민경
김민경김민경
김민경
 
김민경
김민경김민경
김민경
 
김민경
김민경김민경
김민경
 
[카카오톡 일본진출 전략 제안] :be.inus 제안서_2013-1 서울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팀
[카카오톡 일본진출 전략 제안] :be.inus 제안서_2013-1 서울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팀[카카오톡 일본진출 전략 제안] :be.inus 제안서_2013-1 서울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팀
[카카오톡 일본진출 전략 제안] :be.inus 제안서_2013-1 서울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 3팀
 
Mhows Mail Magazine Jan Vol 34
Mhows Mail Magazine Jan   Vol 34Mhows Mail Magazine Jan   Vol 34
Mhows Mail Magazine Jan Vol 34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인턴3주차 과제 트렌드 분석 박보람
 
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Conference Link_Session3
Conference Link_Session3
 
애플의 성공요인 분석
애플의 성공요인 분석애플의 성공요인 분석
애플의 성공요인 분석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중계)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중계)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중계)
실시간스트리밍 시장동향과 전망 (올레온에어중계)
 
성큼성큼! 스타트업 성공 이야기
성큼성큼! 스타트업 성공 이야기성큼성큼! 스타트업 성공 이야기
성큼성큼! 스타트업 성공 이야기
 
China social weekly review VOL.2
China social weekly review VOL.2China social weekly review VOL.2
China social weekly review VOL.2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20100203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Mobidays X Mobiinside] M report 12월
 
전자신문 스마트패드 동향과 킬러콘텐츠 전망 컨퍼런스 발표자료_20110426_ver1.2 위너스랩 동우상
전자신문 스마트패드 동향과 킬러콘텐츠 전망 컨퍼런스 발표자료_20110426_ver1.2 위너스랩 동우상전자신문 스마트패드 동향과 킬러콘텐츠 전망 컨퍼런스 발표자료_20110426_ver1.2 위너스랩 동우상
전자신문 스마트패드 동향과 킬러콘텐츠 전망 컨퍼런스 발표자료_20110426_ver1.2 위너스랩 동우상
 

More from Gori Communication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Gori Communication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Gori Communication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Gori Communication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Gori Communication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Gori Communication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Gori Communication
 
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
Gori Communication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Gori Communication
 
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
Gori Communication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Gori Communication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Gori Communication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Gori Communication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Gori Communication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Gori Communication
 

More from Gori Communication (20)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살아있는 자의 책무: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부쳐
 
2015년 유통백서
2015년 유통백서2015년 유통백서
2015년 유통백서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ㆍ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업무편람(2014)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2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서울시 기부금 모금 가이드북 Part1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정책가이드북
 
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독도문화예술제 Ppt
독도문화예술제 Ppt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SM인재개발평생교육원 브로셔
 
보증보험 종류 (1)
보증보험 종류 (1)보증보험 종류 (1)
보증보험 종류 (1)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3 중소기업지원제도
 
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2012 m&a 핸드북
2012 m&a 핸드북
 
Open mba
Open mbaOpen mba
Open mba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안내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세미나) 사회적흥망성쇠 20130306
 
2013soa
2013soa2013soa
2013soa
 
2013smba
2013smba2013smba
2013smba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정부지원시책 정책자금 20130131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2013년도 콘텐츠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집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양평 기채우고, 보르뉴 설명서,
 

20111207

  • 1. 2011. 12. 7. (제833호) 2011년 10大 히트상품 목차 Ⅰ. 히트상품으로 본 2011년 소비 트렌드 Ⅱ. 10大 히트상품 부록: 설문조사 결과 요약 작성 : 이정호 수석연구원(3780-8121) jungho7.lee@samsung.com 김진혁, 백창석, 이민훈, 박성배 수석 정태수, 양수진, 이동훈, 안신현 수석 황래국 수석, 김진성 선임연구원
  • 2. CEO Information 833호 《 요 약 》 삼성경제연구소는 SERI 인터넷 회원 7,725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의견 을 바탕으로 '2011년 10大 히트상품'을 선정했다. ① '꼬꼬면', ② '스티브 잡스', ③ '카카오톡', ④ <나는 가수다>, ⑤ '갤럭시 S2', ⑥ 'K-Pop', ⑦ '연금복권', ⑧ <도가니>, ⑨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⑩ '통큰ㆍ반값 PB상품'이 10大 히트상품으 로 선정되었다. IT 관련 상품이 부진한 가운데 경기침체 속 소비심리를 반영하는 상품 이 두각을 나타냈으며, 제품보다는 서비스 및 기타 상품이 다수 선정된 것이 특징이다. 2011년은 고물가와 저성장, 긴장과 불안, 사이버 여론의 영향력 확대 등이 두드러 진 한 해였다. 히트상품은 이러한 소비환경을 반영하고 있는데, 히트상품을 통해 본 4대 소비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① 통념을 깨는 새로움에 열광했 다. '하얀 국물 라면'의 인기를 선도한 '꼬꼬면', 창의와 혁신의 아이콘 '스티브 잡 스', 색다른 진행방식으로 재미와 감동을 선사한 <나는 가수다>가 대표적이다. 또한 ② 세계가 인정한 한국 대표상품에서 신뢰와 자부심을 느꼈다. 글로벌 IT 강국의 명 성을 국내외에 과시한 '갤럭시 S2', 한류 붐을 가요에까지 확대시킨 'K-Pop', 두번의 고배 끝에 이루어낸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는 온 국민에게 놀라움과 감동을 선사했 다. 한편, 소비자는 ③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상품에도 적극 호응했다. 스마 트폰 무료 메시지 서비스인 '카카오톡'을 비롯해 안정된 노후소득에 관심이 많은 소 비자들에게 어필한 '연금복권',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춘 상품을 파격적인 가격 에 판매하는 '통큰·반값 PB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끝으로 힘든 삶을 살아가는 ④ 약자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영화 <도가니>는 장애인에 대한 반인륜 범죄라는 충 격적 줄거리와 파국적인 결말로 사회 부조리 척결 여론을 환기하였다. 2011년 10大 히트상품 삼성경제연구소
  • 3. CEO Information 833호 Ⅰ. 히트상품으로 본 2011년 소비 트렌드 2011년 10大 히트상품1) □ 전문가와 네티즌을 대상으로 2011년 히트상품에 대한 설문조사2)를 실시 - 삼성경제연구소 내부자료, 언론매체·유통업체의 히트상품 리스트, SERI 인터넷 회원의 추천을 통해 총 51개의 후보군을 선정 □ IT 관련 상품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경기침체 속 소비심리를 반영하는 아이템이 10大 히트상품으로 선정 - 10大 히트상품 중 IT 상품은 '카카오톡'과 '갤럭시 S2' 2개뿐임 - 불황기에는 라면이 잘 팔린다는 속설을 반영하듯 라면이 1위를 차지 했으며, 호황기에는 순위권 밖인 복권이나 저가상품 등이 포함 - 제품이 5개를 차지했던 2010년과 달리 서비스 및 기타 상품이 7개로 다수 역대 10大 히트상품 순위 2011년 2010년 2009년 2008년 1 꼬꼬면 스마트폰 막걸리 촉각형 휴대폰 2 스티브 잡스 <슈퍼스타K2> 신종플루 대응상품 베이징 올림픽 스타 3 카카오톡 여자 국가대표 축구팀 김연아 교통요금 결제 서비스 4 <나는 가수다> 소셜미디어 LED TV 인터넷 토론방 5 갤럭시 S2 태블릿 PC 스마트폰 <베토벤 바이러스> 6 K-Pop 기아자동차 K시리즈 <선덕여왕> 리얼 버라이어티 쇼 7 연금복권 <아바타> Girl 그룹 닌텐도 Wii 8 <도가니> 블루베리 도보체험관광 넷북 9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발열의류 보금자리주택 기부 10 통큰ㆍ반값 PB상품 <제빵왕 김탁구> KT 쿡(QOOK) 소비자고발 프로그램 1) '상품'은 일반 대중이 돈과 시간을 들여 소비할 수 있는 제품, 서비스 및 공간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 2) SERI 인터넷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11.11.21.∼11.28., 분석대상 총 7,725명) 삼성경제연구소 1
  • 4. CEO Information 833호 히트상품으로 본 2011년 소비 키워드 □ 2011년의 소비환경은 고물가와 저성장, 긴장과 불안, 사이버 여론의 영향력 확대 등으로 요약 -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국내외 재해, 기상이변 등으로 정서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소비를 통해 카타르시스와 위안을 추구하는 경향 - IT를 능란하게 활용하는 소비자의 힘이 강해지면서 제품 콘셉트, 가격, 유통전략 등에 이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경우가 증가 □ 2011년에는 업계 변화와 혁신을 선도한 상품, 다수로부터 검증된 상품, 지출부담 없이 소비 가능한 상품, 사회 이슈를 대변한 상품이 각광 ① 통념을 깨는 새로움: 뻔한 제품 속성과 형식의 고정관념에서 탈피 ② 세계가 인정한 한국: 한국 대표 상품으로서 신뢰와 자부심을 제공 ③ 경제적 부담 경감: 당장의 지출 최소화나 미래 경제적 안정에 기여 ④ 약자에 대한 관심: 강렬한 메시지로 사회적 문제 인식을 촉구 2011년 10大 히트상품으로 본 소비 트렌드 삼성경제연구소 2
  • 5. CEO Information 833호 ① 통념을 깨는 새로움: '꼬꼬면', '스티브 잡스', <나는 가수다> □ 참신한 시각으로 접근해 기존 상품에 혁신을 더하거나 추가적인 재미를 창출한 상품과 인물에 환호 - 라면은 국물이 빨갛다는 선입견을 깨고 '하얀 국물 라면'의 인기를 선도한 '꼬꼬면'이 1위에 선정 ㆍ인기 연예인의 아이디어가 상품화되었다는 파격과 '국물이 빨갛지는 않지만 칼칼한 맛'이라는 차별화된 속성에 소비자의 이목이 집중 - 불굴의 삶을 살다 간 '스티브 잡스(2위)'의 파격적인 행보와 그가 남긴 창조적 성과물에 주목 - <나는 가수다(4위)>는 베테랑 가수를 심사위원석이 아닌 경연무대에 세운 진행 포맷의 신선함과 함께 기존 명곡의 재해석이라는 색다른 재미와 감동이 주효 ② 세계가 인정한 한국: '갤럭시 S2', 'K-Pop',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 IT, 연예,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의 위상과 저력을 세계에 떨친 아이템에 높은 관심 - 스마트폰 '갤럭시 S2(5위)'는 선진시장에 글로벌 IT 강국의 명성을 떨치며 국내에서도 큰 인기 - 한류 드라마 열풍에 이어 한국가요가 'K-Pop(6위)'이라는 이름으로 미국, 유럽 등에서 인기를 끌며 문화수출국으로서의 자부심을 선사 - '二顚三起'의 의지 끝에 이루어낸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9위)'는 온 국민에게 성취감과 감동을 제공 삼성경제연구소 3
  • 6. CEO Information 833호 ③ 경제적 부담 경감: '카카오톡', '연금복권', '통큰·반값 PB상품' □ 당장의 지출을 최소화하거나 미래의 경제적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상품에 호응 - '카카오톡(3위)'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많이 쓰는 메시지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국민 애플리케이션으로 등극 - '당첨 시 20년간 매월 500만원씩 지급'하는 '연금복권(7위)'은 안정된 노후소득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에게 어필 -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춘 상품을 파격적인 가격으로 판매하는 '통큰·반값 PB상품(10위)'의 인기가 식품, 가전 등 다양한 상품군 으로 확산 ④ 약자에 대한 관심: <도가니> □ 바쁘고 여유 없는 일상에서 자칫 지나치기 쉬운 소외된 이웃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의 아픔에 공감 -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당시에 '기부'가 10大 히트상품에 포함된 것처럼, 불황기일수록 주변 사람의 어려움을 돌아보고자 하는 성향이 강화 ㆍ최근에 관심을 끄는 '재능기부'도 같은 맥락 - 장애인에 대한 범죄 실화를 다룬 영화 <도가니(8위)>는 충격적인 줄거리와 결말로 사회 부조리 척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환기 ㆍ영화 흥행과는 별개로 관련법 개정 등 큰 사회적 반향을 촉발 삼성경제연구소 4
  • 7. CEO Information 833호 <참고> 2011년 일본의 히트상품 ▷ 경기침체와 각종 재해에 대응하는 상품이 히트상품에 다수 선정 - LED 전구, 하이브리드 자동차, 에코카 등 에너지 절약형 상품과 함께 정액형 통신요금제 등 가계부담을 줄여주는 상품이 인기 - 지진 대비 방재용품, 비축식량과 제한송전에 대응한 절전형 선풍기 등도 히트 ▷ 스마트폰, 페이스북 등 글로벌 히트 트렌드와 막걸리와 같은 韓流를 반영한 히트상품도 선정 - 홍초, K-Pop(소녀시대, KARA) 등이 30위권에 포함 ▷ 쌀로 빵을 만드는 가정용 제빵기, 컵누들 맛이 나는 전자레인지용 밥 등 일상 속에서 의외의 즐거움을 주는 상품도 인기 2011년 일본의 히트상품 자료: 電通 (2011. 11. 24.). "話題注目商品 2011".; "2011年ヒット商品ベスト30". (2011. 11. 4.). 『日經トレンディ』. 삼성경제연구소 5
  • 8. CEO Information 833호 Ⅱ. 10大 히트상품 1. 꼬꼬면 '하얀 국물 라면' 돌풍의 진원지 □ 2011년 하반기에 출시된 꼬꼬면은 품귀현상이 발생할 정도로 큰 인기 - 기존 라면과 달리 닭육수를 주원료로 하여 국물이 하얀색이며, 청양 고추를 첨가해 '담백하고 칼칼한 맛'이 특징 - 8월 출시 이후 4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이 7,000만개를 돌파했고, 11월 판매량은 약 2,700만개로 2∼3위권을 기록 ㆍ대형마트 등 소매점에서 품귀현상이 발생하자 제조사인 한국야쿠르트는 공장 증설을 추진 꼬꼬면 판매량 추이 주: 상위 5개 제품은 신라면ㆍ안성탕면ㆍ너구리ㆍ짜파게티(이상 농심)ㆍ삼양라면(삼양식품) 자료: 한국야쿠르트 내부자료 □ 꼬꼬면의 인기로 '하얀 국물 라면' 시장이 새롭게 형성되고, 기존 라면의 마케팅이 대폭 강화되는 등 시장판도가 변화 - 나가사끼짬뽕(삼양식품), 기스면(오뚜기) 등 '하얀 국물 라면'의 판매가 증가 - 덤 상품 증정, 가격 할인, 시식행사 등 라면업계의 판촉전도 강화 삼성경제연구소 6
  • 9. CEO Information 833호 '차별화된 콘셉트'와 '재미와 호기심 창출'이 인기의 動因 □ 라면 국물을 차별화해 기존 '빨간 국물 라면' 시장의 치열한 경쟁을 회피하고 독자 영역을 개척함으로써 성공 - 통념을 깨고 '하얀 국물 라면'이라는 역발상으로 콘셉트를 차별화 ㆍ전체 브랜드 수가 250여개에 달하고, 매년 20개 내외의 신제품이 출시될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라면시장에서 꼬꼬면만의 독창적인 이미지 구축에 성공 - 청양고추를 사용하여 매운 맛에 대한 한국인의 선호를 반영하면서도 기존 라면의 얼큰한 매운 맛과는 다른 '칼칼한 매운 맛'을 구현 □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스토리텔링과 뉴스 메이킹을 통해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 - TV 인기 예능 프로그램 '라면 요리 대회' 편에 등장한 아이템을 신속히 제품화하여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 ㆍ인기 연예인이 제품개발 과정에 참여하고, 정식 출시 전 블로거를 대상으로 체험단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출시 과정을 대중과 공유 - 초기 물량 부족으로 인한 '품절 라면'의 이미지도 구매 욕구를 자극 ㆍ언제나 살 수 있는 라면이 아니라 운이 좋아야 살 수 있는 희소한 라면이라는 인식을 부각 - 제품 출시 후에도 블로그, SNS 등에 쏟아진 시식 후기 등을 모니터링해 조리법을 수정하는 등 소비자와의 소통을 유지 ㆍ'물의 양을 줄이면 맛이 좋아진다'는 소비자의 반응에 따라 제조사가 레시피를 수정한 것이 기사화3)되는 등 입소문 거리를 지속 제공 3) "한국야쿠르트의 굴욕? 이경규가 옳았다." (2011. 10. 28.). 『연합뉴스』. 삼성경제연구소 7
  • 10. CEO Information 833호 2. 스티브 잡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창의와 혁신의 아이콘 □ 스티브 잡스가 췌장암으로 애플 CEO를 사임한 지 2달 만에 세상을 떠난 후 대중의 관심이 더욱 고조 - 사후 출간된 자서전은 한국, 미국, 영국 등에서 현재까지 5주간 판매 부수 1위에 오르며 2011년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될 전망4) - 잡스의 유작으로 지칭되는 아이폰 4S가 출시 초기에 판매 호조를 보였으며, 즐겨 착용했던 터틀넥 셔츠가 트렌디룩으로 부상5) □ 자신이 창업한 회사에서 쫓겨났다가 복귀한 후 창의적인 제품을 잇달아 내놓으며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한 스토리가 대중을 감동시킴 - 디지털 세대는 잡스가 PC(맥킨토시)에 이어 포스트 PC(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시대를 개척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경험 ·직관적 인터페이스로 소통 방식을 바꾸고, 기술과 콘텐츠의 융합으로 생활방식을 바꾼 잡스는 젊은 세대에게 있어 혁신의 아이콘 - 직장인들은 죽음을 예감하고도 그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삶에 임했던 잡스의 모습을 보고 자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성찰 ·"시간은 제한적이다. 다른 사람의 삶을 사느라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자신의 인생을 위해 마음의 목소리를 따르라"6) - 1997년 CEO로 복귀하면서 신제품 계획을 모두 폐기했을 때, 직원들이 반발하자 '다르게 생각하라'고 주문하는 등 창의적 리더십을 발휘 4) 특히 한국에서는 출간 초기에 미국보다 더 많이 팔려, 5주 만에 약 40만부가 판매(11월 30일 현재 민음사 출고 기준이며, 주요 서점에서 판매량 1위를 기록 중인 가운데 14쇄까지 인쇄) 5) 소니픽처스가 자서전의 영화 판권을 100만달러에 구입하고 제작을 준비하는 등 추모와 관심이 지속 6) 스탠포드大 졸업 축하 연설에서 졸업생들에게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과감히 도전하라고 주문 삼성경제연구소 8
  • 11. CEO Information 833호 3. 카카오톡 국민 애플리케이션으로 등극 □ 스마트폰용 메신저 서비스인 카카오톡은 출시 21개월 만에 사용자 3,000만명(국내 2,500만명)을 돌파하며 '국민 앱'으로 자리매김 - 2010년 3월 아이폰용으로 처음 출시되어 2011년 4월 1,000만명, 7월 2,000만명을 돌파한 데 이어 11월 3,000만명을 기록 ㆍ카카오톡 사용자의 80%가 매일 1회 이상 사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약 500만명(미국 165만명, 일본 100만명 등)이 사용 중 한국의 안드로이드용 애플리케이션 사용 순위 주: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사용자 중 8∼9월 한번 이상 사용한 사용자 비율 자료: 닐슨코리아(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내부 자료 □ 스마트폰에 저장된 '친구'와 무료로 채팅하고 사진, 동영상 등의 파일을 공유할 수 있어 기존 유료 문자서비스를 빠르게 대체 - 주변 친구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과 소통하기 위해 카카오톡을 다운로드받는다는 이용자가 증가 삼성경제연구소 9
  • 12. CEO Information 833호 스마트폰 사용자의 잠재욕구를 신속히 파악하여 충족 □ 기대 수준 이상의 쉬운 인터페이스 환경과 시간·장소를 초월하여 소통할 수 있는 자유로움을 제공 - 앞서 서비스를 시작한 구글토크와 달리 카카오톡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지인이 친구로 자동 등록될 뿐 아니라 친구 추천 기능이 있어 연락처가 없는 사람까지 친구로 등록 - 모바일 메신저 최초로 도입된 '그룹 채팅'을 통해 24시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다자간 소통이 가능 □ 스마트폰 보급이 급증하는 시기에 신속히 상품화한 것이 주 성공요인 - 기획자 1명, 개발자 2명, 디자이너 1명 등 총 4명으로 구성된 소수 정예팀이 메신저 기능 개발에만 집중해 2개월 만에 출시 ㆍ"한두달 늦게 출시됐다면 이렇게 단시간 내에 모바일 메신저 시장을 선점하지 못했을 것이다."(이제범, 카카오 대표)7) - 발빠르게 진입해 경쟁자에 비해 월등히 많은 가입자를 확보함으로써 선순환 및 선발자 이익(First-mover Advantage) 효과를 창출 ㆍ신규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지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메신저를 선택 한국 모바일 메신저 출시 현황 7) "천만 명 열광시킨 토종 앱 '카카오톡'"(2011.6.). 『Midas』. 삼성경제연구소 10
  • 13. CEO Information 833호 4. <나는 가수다> 실력파 가수들의 노련함이 빛나는 경연 프로그램 □ 뛰어난 가창력을 지닌 가수를 무대에 세움으로써 '가수는 노래 잘하는 사람'이라는 평범한 진실을 부각 - 매회 7명의 가수가 노래를 부르고 청중평가단이 심사해, 최하점수를 받은 가수가 탈락하고 새 가수가 그 자리를 대체하는 서바이벌 방식 - 3월 6일 첫 방송 이후의 꾸준한 인기에 힘입어 7월 3일부터 방영시간을 155분으로 연장 ㆍ연장 편성 첫회 시청률이 18.3%(AGB닐슨미디어리서치, 수도권 기준)를 기록해 <슈퍼스타K2> 최종회 시청률 18.1%를 능가 □ 방송 전부터 집중된 관심이 회를 거듭할수록 확대 - 탈락 가수는 향후 이미지에 치명타를 입을 수도 있어 프로그램 존속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으나, 그러한 논란 자체가 비시청자의 관심까지 증폭시키는 계기로 작용 - 7명 가수의 다채로운 경력과 뚜렷한 개성이 더해지면서 시청자의 호기심이 극대화 ㆍ스스로 TV 체질이 아니라는 가수(윤도현, 임재범), 오직 음성으로 女心을 사로잡은 가수(김범수, 정엽), 아는 사람만 아는 발라드 퀸 (박정현) 등이 포함되어 '완벽한 캐스팅'이라는 것이 衆評 삼성경제연구소 11
  • 14. CEO Information 833호 긴장감을 끌어올리는 경연 형식과 음악성이 어우러져 몰입을 극대화 □ 실력자들이 치열하게 경쟁을 펼치고 공정한 평가 결과에 승복하는 과정에서 긴장감과 함께 재미를 제공 - 일상화된 경쟁에서 스트레스를 안고 사는 시청자는 경연에서 절박함과 초조함을 감추지 못하는 빅스타를 보며 공감 - 청중평가단의 호응과 평가라는 룰에 따라 가수가 탈락하는 과정은 '공정한 경쟁'을 희구하는 사회적 정서와 일치 - 기대 밖의 낮은 순위와 순위 급락 등을 경험하고도 오히려 탈락자를 위로하는 가수들에게서 성숙한 인간미를 느낌 ㆍ<나는 가수다>의 인터넷 후기글 속 찬사와 비난은 노래 실력보다는 순위 급락과 같은 돌발상황에서의 반응이나 무대 매너 등에 집중 □ 시적 여운을 담은 노랫말에 출연가수의 남다른 스토리가 연결되어 노래를 음미하는 시청자에게 감동을 선사 - 아이돌 스타와 10대 팬이 만들어낸 열풍 속에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대중문화 소비층을 가요계로 흡수하는 효과 ㆍ500명의 청중평가단 모집 시 음악성 있는 가수를 통해 극적인 무대를 희구하는 40∼50대의 신청 사연이 하루에도 수백건씩 폭주 - 무명시절 등 출연 가수의 경험이 노랫말과 연결되면서 가수의 열창에 청중과 시청자가 공감 삼성경제연구소 12
  • 15. CEO Information 833호 5. 갤럭시 S2 세계적으로 호평받는 스마트폰 □ 삼성전자의 '갤럭시 S2'는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호평을 받으며 출시 5개월 만에 1,000만대 판매를 돌파 - 국내에서도 한달 만에 100만대가 팔리면서 최단기간 밀리언셀러를 달성 ㆍ기존 최단 기록이었던 갤럭시 S의 70일을 절반가량 단축 - 2011년 11월 미국 『컨슈머리포트』는 '갤럭시 S2'를 가장 뛰어난 성능을 가진 스마트폰으로 평가하고, 1위 추천 제품으로 선정 ㆍ영국의『모바일초이스』도 '올해의 휴대폰'으로 선정(2011년 10월) □ '갤럭시 S2'의 성공에 힘입어 삼성전자는 2011년 3/4분기 세계 스마트폰 1위 업체로 부상 - 2,810만대를 판매해 1,710만대를 판매한 애플을 약 1,000만대 추월 갤럭시 S2 판매 추이 삼성전자와 애플 스마트폰 출하 대수 자료: Galaxy S2 Smartphone Shatters Samsung Sales Records. (2011. 9. 25.). PC Magazine.; Samsung Tops iPhone Shipments. (2011. 10. 21.). The Wall Street Journal.을 토대로 삼성경제연구소 작성 삼성경제연구소 13
  • 16. CEO Information 833호 고사양과 앞선 기능으로 차별화 □ 최신 기능과 높은 사양에 민감한 국내 소비자의 특성에 신속하게 대응한 것이 성공의 원인 - 더 빠르고(Speed), 더 선명하고(Screen), 더 얇은(Slim) 혁신 제품으로 자리매김 ㆍ최초로 Dual-Core 1.2GHz CPU를 채용하고, 최신 안드로이드 OS인 진저브레드를 최적화시켜 속도가 2배 이상 향상 ㆍ기존 디스플레이에 비해 가독성이 높은 '슈퍼 AMOLED 플러스'를 채택 ㆍ두께도 8.49mm로 지금까지 출시된 스마트폰 중 가장 얇게 제작 - 3G 방식보다 3∼5배 빠른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을 지원하여 초기 LTE폰 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 주요 스마트폰 사양 비교 갤럭시 S 갤럭시 S2 갤럭시 S2 HD 아이폰 4S 구분 (2010년 6월 출시) (2011년 4월) (2011년 10월) (2011년 10월)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2.2 안드로이드 2.3 안드로이드 2.3 iOS 5 속도 CPU 싱글코어/1GHz 듀얼코어/1.2GHz 듀얼코어/1.5GHz 듀얼코어/1GHz 종류 AMOLED AMOLED(가독성 개선) AMOLED HD LTPS LCD 화면 화소/크기 400×800/4.0" 480×800/4.3" 720×1,280/4.65" 640×960/3.5" 두께(mm) 9.9 8.49 9.5 9.3 LTE 지원 × ○ ○ × □ 도입기를 지나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진전되면서 '선택하는 데 확신을 줄 수 있는 제품'을 찾는 심리가 확산된 것 또한 히트에 일조 - '다수로부터 선택받은 제품', '국내외에서 검증된 제품'이라는 신뢰가 혁신기술 제품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중 소비자의 우려를 불식 삼성경제연구소 14
  • 17. CEO Information 833호 6. K-Pop 한국의 대중음악을 세계로 전파 □ 2011년은 'K-Pop'이 글로벌 음악 장르로 인정받은 원년 - 과거에는 주로 동남아, 일본, 중화권 등에 국한되었던 인기가 최근 들어 유럽, 미국, 남미, 중동 등 전 세계로 확산 ㆍ일본, 동남아, 중화권 각종 가요차트를 석권하고 있으며, 프랑스, 영국, 스페인 등에서는 공연 티켓이 연이어 매진8) ㆍ프랑스의 유력지 『르피가로』는 "K-Pop은 완벽한 춤과 음악의 종합 선물세트로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고 평가9) - 세계 음악계는 K-Pop을 팝, 라틴음악 등과 같은 하나의 음악 장르로 인식 ㆍ『빌보드』10)는 전 세계적 인기를 반영하여 '빌보드 K-Pop 차트'를 신설했으며, 유튜브에도 'K-Pop 전용 채널'이 개설 -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K-Pop 전문 기획사의 시장 가치 또한 급등11) □ K-Pop에 대한 관심이 한국여행, 한글 등 타 분야로 확산되는 조짐 - 외국인 관광객 수는 2008년 이후 45% 증가하여 2011년 1,0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 -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여 한국어능력시험 응시자는 2008년 7만 4,000명에서 2010년 12만명으로 62% 증가 8) 2011년 6월 SM타운(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의 단체 공연) 프랑스 콘서트 티켓이 15분 만에 매진되어 1회 연장 공연을 실시했으며, 같은 해 11월 샤이니 런던 공연은 예매 1분 만에 티켓이 매진되고 5시간 동안 예매시스템이 마비 9) La vague coreenne deferle sur le Zenith . (2011. 6. 9.). Le Figaro. 10) 1896년 창간된 美 대중음악지로 1956년부터 <빌보드 차트>를 발표, 세계 팝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 11) SM엔터테인먼트 는 2011년 11월 말 연초 대비 주가가 3.6배 증가했으며, YG엔터테인먼트는 11월 상장 2일 만에 시가총액이 4,483억원을 기록 삼성경제연구소 15
  • 18. CEO Information 833호 고유의 경쟁력이 다양한 확산 인프라와 결합되면서 폭발력 배가 □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요소를 녹여내는 융합력이 강력한 경쟁 무기 - R&B 등 영미권에서 유행하는 음악과 리듬을 빠르게 흡수하여 동양적으로 세련되게 소화해냄으로써 동·서양에서 모두 거부감 없이 수용12) ㆍ"K-Pop은 강렬한 중저음 비트의 미국 팝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리듬과 화려한 보컬, 안무가 더해져 파급력 있는 수준에 도달"(이시하라 신, NHK 예능 프로그램부 총제작자) □ 장기간에 걸쳐 완성된 가수로 키워내는 체계적 육성 시스템으로 차별화 - 완성도 높은 실력으로 데뷔하도록 수년간의 연습생 기간 동안 음악, 퍼포먼스, 외국어, 자기관리 등에서 집중적인 트레이닝을 실시 - 치열한 국내 엔터테인먼트의 경쟁 환경과 실력을 강조하는 한국 대중의 눈높이도 육성 시스템 정착에 영향 □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의 확산이 열풍의 기폭제로 작용 - 소셜 미디어가 글로벌 유통 플랫폼 역할을 하고, 기획사가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면서 K-Pop이 급속도로 확산 ㆍ기획사는 지적재산권의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자사 또는 자사 가수의 전용채널을 통해 동영상과 음원을 무료로 발신13) - 향후에도 모바일, 3D, 클라우드 컴퓨팅 등으로 대표되는 IT 트렌드 변화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노력을 지속할 필요 12) 정태수(2010). "아이돌 그룹이 이끄는 新한류시대"(경영노트 제76호). 삼성경제연구소. 13) 김영민 SM엔터테인먼트 사장은 2011년 11월 5일 FBS 일본 버라이어티 방송에 출연하여 지적재산권의 손해에도 불구하고 유튜브를 통해 발신한 것이 성공의 핵심 전략이었다고 발언 삼성경제연구소 16
  • 19. CEO Information 833호 7. 연금복권 노후걱정이 많은 중장년층을 새로운 고객층으로 확보 □ 연금처럼 '20년 동안 매월 500만원씩 지급'되는 새로운 형태의 복권이 발매되자마자 인기몰이 - 2011년 7월 출시 후, 1회를 제외하고 전 회차가 매진(판매한도 630만 장)되었으며, 현재도 2∼3주 이후의 복권만 구입 가능 ㆍ추첨식 복권인 팝콘 복권의 연 매출은 70∼80억원에 불과했으나, 연금 복권은 2011년 매출이 약 1,6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ㆍ연금복권의 인기로 3년간 주춤하던 복권매출이 16.8% 급증하여 2011년 매출 3조원을 예상14) □ 은퇴 후 생계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사람에게 연금식 지급을 통한 노후 안정에 대한 기대감을 준 것이 성공의 배경 - 연금복권의 주 구매계층은 은퇴를 앞두고 불안감이 증폭된 40대 이상 중장년층으로 전체 구매자의 71%를 차지15) ㆍ일반 복권은 구매자 중 30대가 72.4%로 주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16), 연금복권은 구매자 중 30대 이하가 28%에 불과 - 일확천금의 폐해를 피할 수 있고, 기존 복권에 비해 세율이 낮으며, 당첨 확률이 높고, 상속도 가능하다는 점이 여성층에 어필 ㆍ설문조사 결과, 로또보다 연금복권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층의 비율은 남성이 27.6%인 반면, 여성은 41%17) 14) 기획재정부 (2011. 11. 21). "복권매출 영향요인 분석". 보도자료. 15) 한국연합복권 (2011. 7. 18.). "연금복권520 구매자분석". 보도자료. 16) 복권위원회 (2009. 1. 28.). "복권인식조사". 보도자료. 17) 사람인 (2011. 7. 13.). "복권당첨으로 인생역전을 꿈꿔본 적 있는가". 보도자료. 삼성경제연구소 17
  • 20. CEO Information 833호 8. <도가니>18) '불편한 진실'을 영화화해 사회적 반향을 촉발 □ 同名소설을 영화화한 <도가니>는 2011년 9월 22일 개봉한 후 관객 수가 467만명19)을 기록했으며,「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 안」을 통과시키는 등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 - 특수학교의 장애아 폭행 및 성폭력 실화사건을 다룬 부담스런 소재의 영화였으나, <해리포터> 등 블록버스터 영화보다도 흥행에 성공 - 개봉 이후 관련법 개정, 해당학교 폐쇄와 재단 인가 취소 등 정부 정책이 변화 - 사회적 이슈에 대해 영화 관람, 입소문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일종의 '관심기부'의 중요성이 부각 □ 비리, 부패, 구조적 모순 등에 대한 사회적 公憤을 일으킴으로써 관객을 방관자에서 참여자로 전환 - 단순히 '재미있다'가 아니라 '꼭 봐야 해'라며 주변에 영화 관람을 적극적으로 권하는 분위기를 조성 - 불의나 부조리와 타협하는 세상에서 정의를 추구하는 주인공을 응원 하는 감정이입이 사회 변화에 대한 동참을 유도 ㆍ여론 조성에서 출발하여 실제로 법 개정까지 유발 18) 흥분이나 감격 등 들끓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서, 원작소설의 저자 공지영은 "실제 사건을 목격하면서 이렇게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이상할 수도 있을까, 모두가 이상한 데 미쳐버린 마치 광란의 도가니에 휩싸인 것 같다고 생각해 이 제목으로 정했다"고 인터뷰 19) 2011년 박스 오피스에서 <트랜스포머 3>, <최종병기 활>, <써니>가 700만, <쿵푸팬더 2>는 500만, <완득이>, <조선명탐정:각시투구꽃의 비밀>, <도가니> 등이 400만명을 기록 삼성경제연구소 18
  • 21. CEO Information 833호 9.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二顚三起의 도전 끝에 새로운 지평을 개척 □ 강원도 평창이 두번의 고배 끝에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권을 획득하며 국민에게 자긍심을 고취 - 2011년 7월 남아공 더반 제123차 IOC 총회에서 평창은 1차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을 확보하며 압도적으로 승리 - 이로써 한국은 세계 4대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그랜드 슬램 국가로 기록 ㆍ하계올림픽, FIFA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며 이탈리아, 독일, 일본, 프랑스에 이어 5번째로 그랜드슬램을 달성 □ 더반에서의 프레젠테이션이 깊은 인상을 남기면서 발표자였던 나승연 대변인, 김연아 선수에 대한 관심도 증대 - 발표자의 세련된 매너와 유창한 영어 실력이 화제가 되며 청소년뿐 아니라 성인 사이에서도 영어 프레젠테이션 교육이 열풍 - 김연아 선수가 평창에서 착용한 의류와 액세서리의 인기가 상승 ㆍ김연아 선수의 의상을 디자인한 제일모직 브랜드 '구호'는 의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이를 상품으로 출시 치밀한 전략과 전방위 스포츠 외교가 빛을 발한 승리 □ 진정성을 대변하는 발표자들이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메시지를 발신하는 소통전략으로 승리 삼성경제연구소 19
  • 22. CEO Information 833호 - 분단국가와 평화올림픽이라는 무거운 주제 대신, 동계스포츠 불모지인 아시아에서의 개최가 전 세계 스포츠 꿈나무들을 응원할 것이라는 밝고 진취적인 메시지를 내세운 것이 주효 - 메시지의 진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김연아, 토비 도슨20) 등 어려운 여건에서 꿈을 성취한 젊은 발표자를 전면에 배치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숨은 주역, '드림 프로그램' ▷ 강원도는 매년 겨울스포츠를 즐길 수 없는 전 세계 40여개국의 청소년을 초청하여 동계스포츠를 체험하게 하는 드림 프로그램을 운영 - 지난 2004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IOC와의 공약으로 탄생 했으나, 현재는 그 의미를 인정받는 독립적인 행사로 성장 ▷ 드림 프로그램의 올림픽 정신은 전 세계 젊은이의 동등한 꿈의 가치를 강조한 '새로운 지평(New Horizons)'이라는 평창의 슬로건을 뒷받침하며 유치에 기여 (자료: 드림 프로그램 홈페이지 <http://www.dreamprogram.co.kr/>) □ 동계올림픽 유치는 국민의 염원과 강원도민의 노력, 기업·명사의 민간 외교, 정부의 지원 등 온 국민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낸 쾌거 - 2003년과 2007년 두번의 유치 실패가 한국인 특유의 승부근성을 자극하여 '평창의 세번째 도전'을 응원하는 데 힘이 결집 ㆍ동계올림픽 유치 국내 지지율: 2002년 86.4% → 2009년 91.4%21) - 국민을 비롯하여 IOC 위원, 김연아 선수, 민간기업 등이 일치단결해 정부와 함께 적극적인 스포츠 외교를 전개 - 스포츠인도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는 선전으로 한국 동계 스포츠의 저력을 증명하는 데 일조 20) 한국인 입양아 출신의 미국 스키 국가대표(한국명 김봉석)로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 이후 부산에서 어릴 때 잃어버린 생부를 찾았고 2011년부터 한국 프리스타일 스키 국가대표팀 코치직을 맡고 있음 21) "강원도민 96.5% 동계올림픽 유치 희망" (2002. 12. 12.). 『경향신문』.; "전국민 91% 평창동계 올림픽 유치 찬성" (2009. 12. 21.). 『연합뉴스』. 삼성경제연구소 20
  • 23. CEO Information 833호 10. 통큰·반값 PB상품 고물가 시대에 가격파괴로 소비자를 매료 □ 대형 유통업체가 파격적인 가격의 PB상품22)을 앞다투어 선보이며 수요를 창출 - 2010년 말 롯데마트의 '통큰23)' 마케팅을 시작으로 대형 유통업체의 통큰·반값 PB상품이 소비자의 주목을 받음 ㆍ롯데마트의 '통큰치킨'은 영세상인의 반발과 여론의 질타를 받으며 1주일 만에 판매를 중지했으나 소비자는 호의적으로 반응 - 대형 유통업체는 브랜드 파워를 활용하여 다양한 PB상품을 확대 기획 하여 출시 ㆍ일반 생활용품에서 전자제품, 스포츠용품까지 상품의 범위가 확대 되면서 대형 유통업체 PB상품 매출 비중이 약 25% 상승24) □ 저렴하면서도 최소한의 기본 기능과 품질을 보유한 할인상품과 저렴한 PB상품에 고물가 시대에 힘겨워하는 소비자들이 호응 - 대한상공회의소의 소비자 장바구니 동향 조사 결과 2011년 할인상품 및 PB상품의 전년 대비 소비증가율은 각각 87%, 41%를 기록25) - 대형 유통업체의 PB상품은 유통과정을 줄이고 기능을 최소화하면서도 좋은 품질을 제공한다는 인식이 확대 ㆍ이마트의 저가 TV는 가격인하를 위해 기능을 최소화하고, 대만의 TPV에서 주문자생산방식으로 제작 22) PB상품(Private Brand Goods)은 유통업체가 매장과 고객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기획하고 전문 제조업체에 발주해 유통업체의 브랜드를 부착한 상품 23) 롯데마트는 일반 치킨의 절반 수준 가격으로 '통큰치킨'을 판매해 '통큰'이라는 수식어를 창조 24) "'유통 vs 제조' 대결 본격화되나". (2011. 11. 16.). 『한국경제매거진』. 25) 대한상공회의소(2011. 4. 14.). "고물가 시대 소비자 장바구니 동향 조사". 보도자료. 삼성경제연구소 21
  • 24. CEO Information 833호 <부록> 설문조사 결과 요약 ▷ 응답자 수: 총 7,725명(男 80.2%, 女 19.8%) ▷ 연령: 25세 미만(2.4%), 25∼34세(26.0%), 35∼44세(35.5%), 45∼54세(27.4%), 55세 이상(8.8%) ▷ 지역: 수도권(74.0%), 非수도권(26.0%) ▷ 직업: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10.5%), 전문가/기술자(19.1%) 사무직 종사자(49.0%), 서비스 및 영업직 종사자(8.6%), 농업/임업/어업 종사자(0.3%), 학생(4.9%), 주부(0.7%), 기타(6.9%) ▷ 설문방식: 제시된 51개 후보군 중 히트상품 10개를 무순위로 선택 제품/서비스별 응답 결과 상품특성 제품 서비스 및 기타 순위 1 꼬꼬면 스티브 잡스 2 갤럭시 S2 카카오톡 3 통큰·반값 PB상품 <나는 가수다> 4 아이폰 4 K-Pop 5 아웃도어 상품 연금복권 6 아이패드 2 <도가니> 7 도시형 생활주택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8 스마트 TV 소셜커머스 9 워킹화 페이스북 10 『아프니까 청춘이다』 커피전문점 11 3D 상품 <슈퍼스타K3> 12 비타민 워터 뽀로로 13 프리미엄 인스턴트 커피 트위터 14 패스트 패션 스크린 골프 15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그콘서트> 주: 음영은 10大 상품을 의미(이하 각 표 동일) 삼성경제연구소 22
  • 25. CEO Information 833호 성별 응답 결과 응답자 남성 여성 순위 1 꼬꼬면 스티브 잡스 2 스티브 잡스 꼬꼬면 3 갤럭시 S2 카카오톡 4 <나는 가수다> <나는 가수다> 5 카카오톡 연금복권 6 K-Pop K-Pop 7 연금복권 <도가니> 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갤럭시 S2 9 통큰·반값 PB상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10 <도가니> 통큰·반값 PB상품 11 소셜커머스 소셜커머스 12 아이폰 4 <시크릿 가든> 13 아웃도어 상품 아이폰 4 14 페이스북 아웃도어 상품 15 커피전문점 <슈퍼스타K3> 연령대별 응답 결과 25세 미만 25∼34세 35∼44세 45∼54세 55세 이상 1 꼬꼬면 꼬꼬면 꼬꼬면 갤럭시 S2 갤럭시 S2 2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K-Pop 3 카카오톡 카카오톡 <나는 가수다> 꼬꼬면 스티브 잡스 4 갤럭시 S2 <나는 가수다> 카카오톡 K-Pop <나는 가수다> 5 <도가니> 연금복권 갤럭시 S2 <나는 가수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6 통큰·반값 PB상품 갤럭시 S2 K-Pop 카카오톡 꼬꼬면 7 <나는 가수다> 통큰·반값 PB상품 연금복권 연금복권 카카오톡 8 연금복권 <도가니> <도가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연금복권 9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K-Pop 통큰·반값 PB상품 <도가니> 통큰·반값 PB상품 10 페이스북 소셜커머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통큰·반값 PB상품 <도가니> 11 <슈퍼스타K3>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소셜커머스 커피전문점 트위터 12 소셜커머스 아이폰 4 아이폰 4 소셜커머스 커피전문점 13 K-Pop <슈퍼스타K3> 아웃도어 상품 스크린 골프 소셜커머스 14 아이폰 4 페이스북 앵그리 버드 아웃도어 상품 아웃도어 상품 15 『아프니까 청춘이다』 뽀로로 페이스북 트위터 페이스북 삼성경제연구소 23
  • 26. CEO Information 833호 【 지표로 보는 경제 Trend 】 < 1일 지표 > 11. 29 11. 30 12. 1 12. 2 12. 5 원/달러(종가기준) 1,145.40 1,143.00 1,126.10 1,131.50 1,129.80 환율 엔/달러(뉴욕시장) 78.060 77.950 77.605 77.755 78.045 달러/유로(뉴욕시장) 1.33170 1.33260 1.34390 1.34600 1.34170 회사채(3년AA-, %) 4.27 4.22 4.23 4.23 4.23 국고채(3년, %) 3.43 3.38 3.38 3.38 3.38 금리 CD (91일, %) 3.55 3.55 3.55 3.55 3.55 LIBOR (3개월, %) 0.52694 0.52889 0.52722 0.52833 0.53390 국제 두바이(S, $/배럴) 107.35 108.26 107.39 107.56 108.80 원자재 WTI(S, $/배럴) 99.79 100.06 100.27 100.51 100.93 가격 CRB 현물가격지수 489.00 490.00 489.00 488.68 .. 주가지수(KOSPI, 종가) 1,856.52 1,847.51 1,916.18 1,916.04 1,922.90 한국 5년만기 CDS 프리미엄 164 150 151 148 143 < 월별 지표 > 2009년 2010년 2011.6월 2011.7월 2011.8월 2011.9월 2011.10월 제조업생산 증가율1) -0.2 16.7 6.6 3.8 4.7 7.1 6.3 평균가동률 74.4 81.2 82.5 82.1 80.4 81.3 79.5 서비스업생산 증가율 1.8 3.9 3.5 3.8 4.9 3.8 3.5 실업률 3.6 3.7 3.3 3.3 3.0 3.0 2.9 실업자(만명) 88.9 92.0 83.9 83.7 76.2 75.8 73.6 총취업자 수(만명) 2,350.6 2,382.9 2,475.2 2,463.6 2,449.5 2,431.8 2,467.3 소비자물가 상승률 2.8 2.9 4.4 4.7 5.3 4.3 3.9 생산자물가 상승률 -0.2 8.6 6.2 6.5 6.6 5.7 5.6 생활물가 상승률 2.1 3.3 4.3 4.8 5.2 3.8 3.2 수출(억달러, FOB)2) 3,635.3 4,663.8 467.5 489.2 457.7 465.5 468.2 (증감률) (-13.9) (28.3) (11.2) (21.0) (25.5) (18.1) (8.0) 수입(억달러, CIF) 3,230.9 4,252.1 448.8 442.9 453.8 452.7 427.6 (증감률) (-25.8) (31.6) (27.3) (25.0) (28.6) (29.3) (15.6) 외환보유액(억달러) 2,699.9 2,915.7 3,044.8 3,110.3 3,121.9 3,033.8 3,109.8 1) 통계청 (2011. 11. 30.) “2011년 10월 산업활동동향 결과”에 의거하여 작성 2) 관세청 (2011. 11. 16.) “2011년 10월 수출입 동향(확정치)”에 의거하여 작성 삼성경제연구소 24
  • 27. CEO Information 833호 < 분기 지표 > 2010년 2011년 2011년 2011년 2011년 2009년 2010년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GDP 성장률1) 0.3 6.2 4.7 4.2 3.4 3.5 .. 민간소비 0.0 4.1 2.9 2.8 3.0 2.0 .. 설비투자 -9.8 25.0 15.9 11.7 7.5 1.0 .. 건설투자 3.4 -1.4 -2.9 -11.9 -6.8 -4.6 .. SERI 소비자태도지수 53.2 51.8 51.8 49.2 47.2 47.5 45.4 (연간은 연말 기준) SERI 경제행복도지수2) 0.485 0.672 0.672 0.683 .. .. .. (연간은 연말 기준) 개인금융자산(조원)3) 1,946.5 2,176.4 2,176.4 2,212.4 2,257.9 .. .. 개인금융부채(조원) 854.8 937.3 937.3 949.0 1,050.1 .. .. 재정수지(조원) -17.6 16.7 16.7 -4.4 -2.3 16.8 .. 경상수지(억달러)4) 327.9 282.1 91.6 26.1 54.9 71.7 .. 총대외지불부담(억달러)5) 3,457 3,594 3,594 3,824 3,992 3,943 .. 1) GDP 성장률은 전년동기 대비 2) 2010년 4/4분기부터 소득분배 부문 하위지수 산정법 개정으로 과거 자료와 상이 3) 개인금융자산 및 부채는 자금순환계정 기준 4) IMF 국제수지통계매뉴얼(BPM5) 기준 5) IMF, World Bank 등 9개 국제기구가 마련한 새로운 편제기준, 분기별 발표 < 주요국 통계 > (전년동기 대비, %) 2010년 2010년 2011년 2011년 2011년 2009년 2010년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GDP 성장률1) -3.5 3.0 2.5 2.3 0.4 1.3 2.0 미국 실업률2) 9.3 9.6 9.6 9.4 8.8 9.2 9.1 소비자물가 2) -0.4 1.6 1.1 1.5 2.7 3.6 3.9 GDP 성장률1) -6.3 4.1 2.9 -2.7 -2.7 -1.3 6.0 일본 실업률 2) 5.1 5.1 5.0 4.9 4.6 4.6 4.1 소비자물가 2) -1.4 -0.7 -0.6 0.0 -0.5 -0.4 0.0 GDP 성장률1) -4.1 1.8 0.4 0.3 0.8 0.2 0.2 유로 실업률 2) 9.6 10.1 10.1 10.0 10.0 10.0 10.2 지역 소비자물가 2) 0.3 1.6 1.9 2.2 2.7 2.7 3.0 GDP 성장률 1) 9.2 10.3 9.6 9.8 9.7 9.5 9.1 중국 실업률 2) 4.3 4.1 4.1 4.1 4.1 4.1 .. 소비자물가2) -0.7 3.3 3.6 4.6 5.4 6.4 6.1 1) 미국, 일본, 유로지역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연율, 중국 GDP 성장률은 전년동기 대비 2) 실업률 및 소비자물가의 경우 분기 말 기준 삼성경제연구소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