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91
Download to read offline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석 사 학 위 논 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oftheEffects
ofMusicTherapyonDepression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차 지 연
석 사 학 위 논 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oftheEffects
ofMusicTherapyonDepression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차 지 연
석 사 학 위 논 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oftheEffects
ofMusicTherapyonDepression
지도교수 문 지 영
이 논문을 음악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12월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차 지 연
차지연의 음악치료학 석사 학위 청구 논문을 인준함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oftheEffects
ofMusicTherapyonDepression
2014년 12월
심사위원장 교수 (인)
위 원 교수 (인)
위 원 교수 (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i
목 차
목 차 ⅰ
표 목 차 ⅳ
그림목차 ⅴ
국문요약 ⅵ
Ⅰ.서론 1
1.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2.연구의 목적 4
Ⅱ.이론적 배경 5
1.우울 5
1)우울의 정의 및 개념 5
2)대상별 우울 종류 7
①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우울 7
② 성인에게 나타나는 우울 9
③ 노인에게 나타나는 우울 10
2.우울과 음악치료 12
1)우울과 음악 12
2)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선행연구 15
①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
료 15
② 성인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17
③ 노인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18
3.메타 분석 19
1)메타 분석의 정의와 특징 19
2)메타 분석 주요개념 20
① 효과크기 20
ii
② 동질성 검정과 분석 모형의 선택 21
③ 출판 편향 22
3)메타 분석의 절차 22
4)음악치료에서의 메타 분석 선행연구 25
Ⅲ.연구방법 29
1.연구대상 선정 및 수집 29
2.자료의 코딩 30
3.자료의 처리 및 분석 30
1)통계처리 30
2)분석논문의 변인 선정 31
① 연구대상 31
② 중재방법 31
③ 중재특성 32
Ⅳ.연구결과 35
1.동질성 검정에 따른 분석 모형 선택 35
2.출판편향 검증 35
3.전체효과크기 36
4.연구 대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7
1)성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7
2)연령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7
3)증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8
5.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9
6.중재 특성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0
1)총 회기 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0
2)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1
3)음악 제시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2
4)음악 장르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3
5)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3
iii
7.연속 변인에 대한 메타 회귀 분석 결과 44
Ⅴ.결론 및 논의 47
참고문헌 51
부록 72
ABSTRACT 79
iv
표 목 차
<표 1> 효과크기 Hedges'sg방정식 21
<표 2> 메타 분석 절차 24
<표 3> 연도별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수 30
<표 4> 분석 논문 특성 요약 34
<표 5> 고정효과 모형에서의 동질성 검정 35
<표 6> 출판 편향 검증 결과 36
<표 7> 전체평균효과크기 36
<표 8> 성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7
<표 9> 연령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8
<표 10> 증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9
<표 11> 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0
<표 12> 총 회기 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1
<표 13>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2
<표 14> 음악 제시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2
<표 15> 음악 장르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3
<표 16> 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4
<표 17> 총 회기 수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5
<표 18>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6
v
그 림 목 차
<그림 1> 총 회기 수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5
<그림 2>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6
vi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
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우울을 지닌 대상자에게 시행한 음악치
료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118편의 연구물에서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1.088로
매우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따라서 음악치료가 우울을 지닌 대상
자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대상에 따라 성별,연령,증상별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확인
한 결과,성별에서는 여성(1.092)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연령에서
는 노인(0.961)과 성인(0.920),아동 및 청소년(0.783)모두 중상 이상
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나 음악치료가 우울을 지닌 모든 연령대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증상의 경우 신경학적 질환(0.964)
이 가장 높게 나왔고 일반·의료학적 질환(0.859),정신과적 질환
(0.738)순으로 나타났다.중재 방법에서는 적극적 방법(1.068)이 혼
합적 방법(0.955)과 수용적 방법(0.811)보다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 특성에 따라 총 회기 수는 10-12회기(0.993),회기별 소요 시
간의 경우 60분 초과(0.964)일 때 높은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총 회기 수와 회기별 소요시간을 메타회귀 분석한 결과 총 회기 수
와 회기별 소요시간이 길수록 음악치료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리고 음악 제시 유형은 라이브(1.121),음악 장
르의 경우 국악(1.272)이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마지막으
로 음악치료를 전공한 연구자(1.103)가 실시한 음악치료가 비전공한
연구자(0.841)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다.
주제어 :우울,음악치료,메타분석
1
Ⅰ.서 론
1.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우울은 일상 속에서 사람들이 흔히 느끼는 여러 감정 중 하나로,
“심리적 감기”라고 불리 울 만큼 현대인에게는 익숙하고 흔하다.우
울은 정상인이 스트레스 사건에 의해 흔히 겪게 되는 가벼운 우울
에서부터 정도가 심해지고 증상 지속시간이 길어져 치료가 필요한
정신병적 우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류합남,2003).즉,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보는 감정이지만,사람들이 경험하는 우울에는 정도와
지속기간의 개인차가 있어 어떤 이들은 잠깐 느끼고 지나가는 많은
감정들 중 하나이지만,어떤 이들은 자살에까지 이르게 하는 고통이
된다.
2012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WHO)는 연간
약 100만 명에 이르는 전 세계 자살자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우울
증을 경험하고 있다고 발표했으며 앞으로 2020년에는 우울증이 모
든 연령에서 나타나는 질환 중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최민희,2014).또한,우리나라의 경우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에서
우울증에 대해 조사한 결과,63%가 증가하였으며,총 인구 중 약
130만명이 최근 1년 사이에 우울증을 경험하였다고 발표했다(보건복
지부,2012).이처럼 우리나라의 정신질환 중에서도 우울이 가장 상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최근 5년간 우울의 치료자가 연평균 4.0%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또한 우울은 전 연령대에 걸쳐서 증가하고
있다.
음악은 인간의 신체,심리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이를 치료
의 매개로 이용한 음악치료는 거의 의료 전 분야에 걸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음악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
용된다는 연구결과들이 나타나면서,우울증 치료의 접근에 음악활동
의 효용성이 입증되고 있다.
음악은 주의를 끌 수 있고 주의 집중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2
특성을 가지고 있어 우울증 치료 시 환자의 우울한 사고를 전환시
킴으로써 내적인 긴장과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이주희,
1999).그리고 음악치료에서는 음악의 카타르시스 작용으로 정서 장
애자의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고 환자를 회복시켜 사회로 나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Benezon,1981).또한,음악치료는 스
트레스를 조절하는 법과 환경을 다스리는 법,감정표현을 돕는 등의
접근을 통하여 우울증으로 당면한 사회적,행동적 문제들을 교정하
며 개선시켜 가는데 기여하고(최병철,1999),이는 음악치료가 우울
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표된 우울 감소를 목적으로 한 음악치료 연구
논문들은 각 연구자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아동,청소년,노인,
산모 등 다양한 대상자들이 갖는 우울의 다양성과 문제점 및 개선
에 대한 필요성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여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또
는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밝혀내는 실험 연구 및 사례 연구가 대부
분이었다.이렇듯 우울 감소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 검증은 이루어지
고 있는 반면 통합적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따라서 우
울 감소를 목적으로 한 음악치료 연구 자료들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연구 결과로 제시된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통해
음악치료가 우울 개선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 밝힐 필요가
있다.
최근 국내외 인문,사회,교육 분야에서는 수많은 학술 논문들이
생산되고,이러한 논문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온라인 검색 DB들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은 관련분야의 연구들을 손쉽게 접하게 되었지
만,관련 분야의 수많은 데이터를 모두 탐색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
여 종합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박성덕,신인
수,2014).
메타분석은 이러한 빅 데이터(Big Data)시대에 효율적으로 활용
될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서,연구자가 관심이 있는 관련 분야의 연
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관련 분야의 흐름과 동향을
살펴보고 근거 중심 방법(evidence-basedpractice)을 통하여 관심분
야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이러한 장점
3
을 바탕으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들이 확산되고 있
다.메타분석은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의 결
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종합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연
구 방법이다(Borenstein,Hedges,Higgins,& Rothstein,2009).
한편,음악치료분야에서의 메타분석 논문은 Standley(1985)의 치/
의학 처치 연구물에서 음악의 효과 검증이 처음 시도되었으며,1996
년에는 92편의 연구물에서 233개의 변인을 평가하였고,98편의 연구
물에서 208개의 변인을 평가 및 분석하여 음악적 특성을 비교함으
로써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 후 Koger외(1999)는 치매환자에 대한 음악 및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으며,그 외에 미숙아(Standley,2002),정
신장애(Silverman,2003),자폐(Whipple,200
4),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한 자극 감소(Pelletier,2004)에 대한 음악
치료의 효과와 관련되어 다양한 메타분석이 시행되었다.
국내의 음악치료에서도 이와 같은 메타분석 연구가 시도되어 왔
는데,김수희(2002)는 1993년에서 2002년까지의 국내 음악치료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음악요법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시행,모두 38편의
연구물에서 137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음악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평가하였다.연구 전체의 평균 효과크기는
1.18로 산출되어 Cohen(1988)이 제시한 기준에서 큰 편에 해당되어
음악치료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또한 임진석(2006)은 1997년에서 2006년까지의 국내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음악치료 전공여부에 따른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한 분석
을 시행하여 총 71편의 연구물에서 22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
과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90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그
외 음악치료를 통한 아동 및 청소년 집단 프로그램 효과(홍은주,여
정윤,2010),정신질환자 대상 음악치료 효과(정미자,2011),일반 청
소년 대상 그룹 음악치료 효과(황은영,2012),신경학적 질환자 대상
음악치료 효과(손수진,2013),저소득층 아동 대상 음악치료 효과(강
해선,2013),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박현경,
2014),성인·노인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김현주,박성옥
4
2014),한국 전통음악을 활용한 국내 연구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메
타분석(박소영,황은영,2013)으로 총 10편의 메타분석 연구가 보고
되었으며 다른 학문에 비해 적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연구의 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들
을 메타분석을 하여 음악치료 효과를 제시하고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을 분석하였다.이것은 향후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 자
료가 되고 연구의 방향성을 갖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연구 논문들의 메타분
석을 통해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효과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해 우울
을 감소하는데 음악치료 활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밝히려고 하
였다.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
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1)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떠한
가?
2)연구 대상(성별,연령,증상)에 따른 음악치료의 평균 효과크
기와 변인별 차이는 어떠한가?
3)중재 방법(적극적 방법,수용적 방법,혼합적 방법)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는 어떠하며 변인별 차이가 나타나는가?
4)중재 특성(총 회기 수,회기별 소요시간,음악 제시 유형,음악
장르,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는 어떠하며 변인별
차이가 나타나는가?
5
Ⅱ.이론적 배경
1.우울
1)우울의 정의 및 개념
우울은 복잡하고 경쟁 위주의 물질 만능적인 현대 사회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정서 중의 하나이다.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실패나
상실과 같이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면 그 결과 일시적으로 우울
한 기분에 젖게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우울한 기분에서 벗어나 정
상적인 삶을 회복하게 된다.이렇듯 좌절 경험 후 일시적으로 경미
한 우울기분을 느끼는 것은 매우 정상적이며 자연스럽다(권석만,
2000).
우울은 정상적 슬픔이나 경도의 불쾌감에서부터 정신병적 특징을
동반한 심각한 우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는데
흔히 일상생활에서의 슬픈 감정 상태와 심한 정신병적 상태를 양극
으로 하는 하나의 연속선상으로 보기도 하고 우울감정,임상적 우울
상태와 우울적 성격으로 나누기도 한다(심미성,2006).이와 같이 우
울은 그 범위가 넓고 학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며 문화나 인
종에 따라 우울 증상의 체험과 표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
에 한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임미화,2010).
우울한 감정은 다양한 심리적 문제가 동반되는데,우울 상태에서
는 우울하고 슬픈 감정을 비롯하여 좌절감,죄책감,고독감,무가치
감,절망감 등과 같은 고통스러운 정서 상태가 지속된다(이경희,방
은령,2011).이러한 정서상태가 지속되면 심한 우울감으로 빠지게
되고 수면부족,식욕상실이나 과식,무기력감,주의 집중력 감소,사
회적 철회,흥미의 상실,활동의 감소,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
죽음이나 자살에 대해 반복적으로 생각하는 것,우는 횟수가 잦아지
는 것 등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이은선,2006).
그리고 우울감이 점점 지속되면 심각한 우울증으로 이환될 수도
6
있는데 우울증은 기분장애에 포함되며 정상적인 기분의 변화와는
전혀 다른 기분이나 감정이 극단적인 양상을 보여서 일상생활이 어
려운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감정 장애(affectivedisorder)라고 개념
화 되었는데 근래에서는 기분장애(mooddisorder)로 정의하고 있다
(권경미,2009).이러한 우울증의 주요 증상은 우울한 감정 상태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포함하여 정서적,인지적,동기적,생리적 측면으로
더 세분화하여 나타나고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정서적 측면에서 슬픔을 비롯하여 좌절감,불행감,죄책감,
고독감,허무감 등의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정서상태가 지속되고 이
때 핵심 증상은 슬픔이다.우울증 상태에서는 슬픔과 상실감으로 인
해 서럽고 침체된 기분이 지속되며 눈물을 흘리며 울기도 한다.둘
째,인지적 측면에서 자신이 무능하고 열등하며 무가치한 존재로 여
겨지는 자기비하적인 생각에 휩싸인다.타인과 세상은 비정하고 적
대적이며 냉혹하여 산다는 것이 힘겹고 버거운 일로 여겨지며 인생
에 대해 허무주의적인 생각이 증가되어 죽음과 자살에 대한 생각을
자주한다.셋째,동기적 측면으로 활력과 생기가 저하되어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고 쉽게 지치며 자주 피곤함을 느껴 해야 할 일을
미루고 지연시키는 일이 반복된다.넷째,생리적 측면으로 가장 흔
한 것이 식욕 감소로 인한 체중의 현저한 감소 또는 식욕이 증가하
여 갑자기 살이 찌는 경우이다.피곤함을 유난이 많이 느끼고 성에
대한 흥미나 성적인 욕구가 감소한다.소화불량이나 두통과 같은 신
체적 증상을 나타내고 면역력이 감소하여 감기와 같은 전염성 질환
에 약하며 이와 같은 증상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김혜정,2005).
우울증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노르에피네
프린,도파민)이 완전한 기능을 못하는 상황에 빠지게 되어 환자들
은 환경에 적응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것이 우울증으
로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본다.유전적으로 가족 중 우울병 환자가
있는 경우 2-10배 정도 발병률이 높지만,가족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발병할 수 있는데 낮은 자존감이나,사랑하는 사람의 성장과정에서
부모와의 사별이나 이별과 같이 경험에 의한 상실에 의해서 나타날
수도 있다.또한,열등감이 심한사람,지나치게 양식적으로 초자아가
7
강한 사람들일수록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김정호,2008).
우울증을 심리학적 원인으로 볼 때,마음을 억제한 결과로 보는데
여기에는 폭력,파괴성,죽음이 포함되어 있다.우울증은 이런 부정
적 감정을 밖으로 나타내지 않게 억압하여 자기책임으로 돌린 결과
라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결국 생물학적,심리적,환경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이난이,2004).
이와 같이 우울이 심각한 질환으로 진전되기 전에 자신의 우울감
을 관찰하여 미리 예방하거나 우울 정도를 낮추고 자신의 정신건강
을 스스로 관리함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민소영,2011).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우울’을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스
트레스와 절망감으로 인한 우울한 감정 상태에서 정신병적 특징을
동반한 심각한 우울에 이르는 우울증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 상태를
말한다.
2)대상별 우울의 종류
①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우울
1960년대 중반 이전까지 대부분의 진단 체계들에서 아동들은 우
울을 경험할 수 없거나 성인에게서 볼 수 있는 우울은 존재하지 않
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Rie,1966).뿐만 아니라 아동기의 우울은
어느 정도 수용한 연구들에서도 단지 이 시기의 우울은 일시적인
것처럼 보고하였고 특정 연령 집단의 아동에게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Lefkowitz & Burton,
1978).그러나 1970년대부터 우울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 아동도 성
인과 마찬가지로 우울을 경험하며 아동의 우울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Carlson와 Cantwell(1982)은 아동 우울의 정의와 분류를,
Kazdin와 Petti(1982),Kovacs(1981)는 아동 우울의 평가에 대한 연
구들을 통해 아동에게도 우울이 실재한다는 사실을 검증해 냈다.
Nissen(1971)은 경미하거나 심각한 우울상태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
대한 9년간의 추적연구를 했는데,그 결과 우울 아동의 63%가 추후
8
진단에서도 우울성향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또한 Smucker외
(1986)의 종단 연구에서도 몇 년 간격으로 측정한 우울 점수들 사이
에서 지속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음을 밝혔다.이러한 연구 결과들
을 통해 아동기의 우울은 연속적인 성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생의 초기에 우울 성향이 나타나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며,여러
가지 신체 증상 및 극심한 무력증,피로감,권태감의 증상을 보이고
비행 등과 같은 문제 행동,부적응행동과도 연관되어 있다고 나타났
다.
안윤영(1998)은 아동이 지니고 있는 우울한 감정은 겉으로 쉽게
드러나기보다 모르고 지나칠 수 있으며,이로 인해 우울은 더욱 깊
숙이 마음속에 자리 잡게 된다고 한다.아동기 우울은 성인 우울과
그 표현이 유사하나 우울한 기분 대신 짜증,신체증상,무단결석,과
잉 활동,공격적 행동 등의 ‘가려진 증상(masking symptoms)’으로
나타난다(Glaser,1967)고 하여 Kovacs와 Beck(1977)은 아동기 우울
증은 성인 우울증과 핵심정인 증상은 유사하나 아동만 경험하는 증
상이 있으므로 아동기 우울증을 구별해서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하였
다.
그리고 아동기 이후 청소년기로 갈수록 우울은 평균적으로 증가
하는 경향을 보이는데,우울을 포함한 많은 심리적 문제들의 발생은
청소년기가 성인기로 향해가는 변화와 격동의 시기이며,성취해야
할 발달 과업이 많은데 비해 인지적으로 미성숙하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한유진,1993).
청소년에게 우울은 인지적·정서적·행동적 측면 등 여러 부분에서
역기능을 초래하게 한다.우울이 높아지면 인지적으로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상태가 계속되어 집중이 되지 않고 기억력이 저하되어 우
유부단하게 되기 쉽다.또한 사고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학업에
심한 어려움을 겪게 될 수도 있다.뿐만 아니라 행동과 사고가 느려
지므로 활기가 감소하여 행동이 둔화되고 때로는 초조하고 불안정
한 행동으로 나타나며,심한 경우 자학적 행동이나 자살과 같은 극
단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이와 같이 청소년기의 우울은 성
인으로 성공하기 위한 사회적 발달,학문적 이행 등을 수행하는데
9
어려움을 줄 수 있다(방성아,2012).
그러므로 아동 및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우울이 발달 과정에서 일
시적으로 기분이 침체되었다가 사라지는 가벼운 우울일 경우 크게
우려할 일은 아니지만 이른 시기에 발생한 우울증일수록 자주 재발
하고 유병기간도 오래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심각한 정도의 우울
이 상당기간 지속될 때에는 관심을 갖고 지켜보며 주변인의 도움이
나 의사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② 성인에게 나타나는 우울
우울증은 거의 모든 나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평균적으로 처음
발병하는 연령은 20대 중후반으로 성인에서의 우울 유병율은 20%이
상이며 다른 연령에 비해 높은 편이다.성인의 경우 연령대별로 우
울의 유발요인은 조금씩 다른데 20-30대의 경우 연애와 취직 등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데서 오는 좌절감으로 인해,40-50대의 경우
남성은 조기 퇴직이나 실직으로 인한 상실감,여성은 폐경에 따른
신체 변화와 자식들이 장성해 품을 떠난 뒤 느끼는 ‘빈 둥지 증후군’
과 같이 신체기능과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성인 여성(15-25%)은 성인 남성(5-12%)에 비해 2배 이상 우
울증에 더 잘 걸리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송후림,2010).
여성에게 우울증이 많은 이유는 사회적인 환경 때문도 있지만 여
성이 임신과 출산,그리고 호르몬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고 있다는
것이 큰 영향을 미친다.대부분의 여성은 삶의 과정에서 임신과 출
산을 경험하게 되는데,출산은 여성의 단순한 신체적인 경험이 아니
라 정신·사회적 상호작용과 인지과정에 영향을 주는 총체적인 경험
이다(Hans,1986).특히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산욕기는 발달위기
를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는 내분비 변화,신체상
의 변화,임신과 관련된 심리적인 갈등의 활성화 및 어머니가 되는
데 대한 새로운 내적 적응문제로,신체적·생리적·심리적 및 사회적
부담들이 작용하여 산후 우울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또한,여성
은 45세에서 55세 사이에 난소에서 생성되는 여성 호르몬(에스트로
10
겐)의 분비가 갑자기 줄어들게 되고 이 결과로 생리 현상이 중단되
는 폐경이 나타나게 된다.(송후림,2010).여성은 폐경을 경험하는
것으로 인해 성호르몬 분비가 감소되고 중년기 우울증이 나타나며
늙었다는 불안감이 쌓이게 된다.(윤진,1985).
한편,성인 우울증의 경우 부정적 사고와 낮은 자존감,중독,성격
유형,가족관계,대인관계기술,경제적 문제,주변 환경의 급격한 변
화 등 삶의 전반적인 다양한 요소들과 관련이 있다.일반적으로 우
울한 개인들은 자신감이나 정서적인 안정성과 같은 긍정적인 성격
특성들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그리고 사회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
에 더 많은 대인관계 문제를 일으키며,부정적인 인생사건을 더 많
이 야기 할 수 있다(이병주,2007).나아가 우울증이 심해지면 자살
에 대한 생각이 증가하고 실제로 시도하는 경우도 나타나게 되며
우울은 가정과 직장에서의 생활을 망가뜨리고 행복한 삶을 느낄 수
없도록 만드는 파괴적인 질환이 될 수 있다.
③ 노인에게 나타나는 우울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신체적으로 쇠약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경제적으로 의존적이기 때문에 쉽게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홍인실,
2008).노인 우울은 일차적 우울(Primarydepression)과 이차적 우울
(Secondarydepression)두 가지 범주로 분류가 되는데 일차적 우울
은 개인의 심리와 감정 변화요인에 의하여 나타나게 되며,이차적
우울은 외부 생활의 사건이나 신체적 질병 등으로 인하여 나타난다
(Cohen,1990).노년기 우울은 다른 연령대보다 이차적 우울이 더
높게 나타나며(고승덕,손애리,최윤신,2001),유전과 약물의 부작용
과 노화로 인한 질병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스트레스로 인해 외
부적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응성 우울로도 나타나기도
한다(한삼성,2010).
임상적 특징으로 수면부족,피곤,식욕상실이나 과식,무기력,주의
집중력저하,생산성과 활동의 감소,사회적 기회 철회,흥미의 상실,
미래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죽음,자살을 반복적으로 생각하고 우
11
는 횟수가 잦아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임선영,2009).우울은 치매
증상과 유사하게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기억력 감퇴와 인지기능 저
하를 많이 호소하여 지남력 장애와 기억력 장애로 오인되기도 하며
(기백석,1996),일반적인 노화로 인한 질환의 증세와 비슷하므로 정
상적인 노화의 과정으로 보기도 한다(이수애,이경미,2002).
노인 우울 관련 요인을 자세히 살펴보면,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사회적 지위와 정신적 무력감으로 인하여 우
울정도가 높고(김현선,2007;최영애,2003),결혼을 하지 않은 노인
이 더 우울한 경향을 보였으며,이혼,별거,배우자와 동거 순으로
우울정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이인정,2007).
신체적 요인으로 건강상태가 우울과 직결되어 있어(장민정,2003),
건강정도에 따라 우울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노병일,
2005).노인의 신체 건강상태나 일상생활수행능력(ADL)이 낮거나
(이미진,이가옥,2005),뇌졸중이나 고혈압과 같은 노인성 질환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는 경우 우울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다(배재남,2001).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관계와 가족의 지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을 하는데,가족과 친구의 지지가 낮거나(허준
수,유수현,2002),경제적 소득활동이 없고 생활사건의 경험이 많을
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배지연,2004).마지막 심리적 요인
으로는 자아 존중감,스트레스,삶의 만족도 등으로 나타나는데,신
체적 기능의 저하 및 사회적 지지의 약화,대인관계가 적거나 스트
레스가 높은 것과 같이 심각한 정서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가
능성을 내포하고 있을 경우 우울 정도가 높고,사망률 또한 높게 나
타나고 있다(조은희,전진호,이상원,2000).
이처럼 단순한 정서상의 장애만이 아니라 삶의 질을 감소시키고,
일상생활능력을 떨어뜨리며,사망률이나 자살율과도 관련이 있는 것
으로 알려진 우울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는 노인의 경과 및 예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 우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
다(지혜련,2003).
12
2.우울과 음악치료
1)우울과 음악
음악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연구
결과들은 1950년대부터 거론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표되고 있으
며,그 효과의 입증도 매우 활발하다.음악치료에서는 음악의 카타
르시스 작용으로 정서 장애자의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고 환자를
회복시켜 사회로 나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Benezon,
1981).또한 음악치료는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법과 환경을 다스리는
법,감정표현을 돕는 등의 접근을 통하여 우울증으로 당면한 사회
적,행동적 문제들을 교정하며 개선시켜 가는데 기여한다(최병철,
1999).이는 음악치료가 우울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ovacs(1981)는 우울의 증상을 우울한 기분이나 외로움 등으로
표현되는 우울 정서와 대인 관계 장애로 나타나는 행동장애,일상생
활에서의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로 나타나는 흥미 상실,부정적인 자
아상의 자기비하,불면이나 피로감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증상과 같
이 하위요인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는데 이는 음악의 심리적,사회적,
생리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다.
첫째,우울의 하위영역 중 ‘부정적 자기상’에 해당되는 것은 자아
존중감 향상과 연결되어 음악의 사회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최병철(1999)은 우울증의 치료 목표로 자긍심의 회복을 들었
는데,이는 환자가 느끼는 무기력과 공허감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회
복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음악치료 그룹 활동에 참여하는 대상은
음악적 또는 사회적 배경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활동에 참여하여 그
룹 활동에서 인식되는 자기성찰의 과정과 경험을 통해 자아 존중감
을 높이게 된다.즉,자기 스스로에 대한 신뢰나 깊은 만족감을 경
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Gaston(1968)은 음악이 자기성찰을 통한 자긍심(self-esteem
)의 증진을 가져올 수 있다고 강조하는데,음악은 비경쟁적 성취를
허용하므로 그룹 속에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자기상 대신 긍정적이
13
고 바람직한 자기상을 갖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Sears(1968)도 음
악과 음악활동은 만족감의 기회를 제공하고,자아 존중감을 증가시
켜 준다고 주장하였는데,음악 활동을 통한 보상의 결과로 멋진 연
주,작품 등이 나타날 때 연주나 활동,작품 속에 함께 한 자신의
역할이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자긍심의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보았
다.음악치료를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Boxill(1984),Lathom(1980)의 연구에서 그룹에서의 악기연주활동을
통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긍심이 증진되었음을 볼 수 있고,
정서장애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증진에 사용되는 음악치료의 효과
를 보여준 연구도 있다(Haines,1987).또 Feed(1987)는 알코올과 약
물중독으로 인한 충동조절장애를 가진 성인들에게 노래 만들기 활
동이 자아 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었음을 증명하였고,Ice(1985)는
노인 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여자 노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
으로 GIM(GuidedImageriesandMusic)을 적용하여 음악치료가 긍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국내 연구에서도 김계영(2000)은 즉흥연주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
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임을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하였고,한희원
(2002)또한 성악즉흥기법이 음성증상을 지닌 성인 정신분열증 환자
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것을 밝혔
다.
둘째,우울의 하위영역 중 ‘우울정서’는 음악이 인간에게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는 음악의 심리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음악의 신비한 힘은 잠재해 있는 인간의 내적 감정들을 분출
시키거나 각성시켜 주고 우울 감정을 해소하게 한다(Beck,1976).
음악이 인간의 심리적 반응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에서
Aigen(1990)은 정신분열증으로 진단된 환자에게 즉흥연주 위주의
음악치료를 실시한 결과 외로움,절망감,우울감의 개선에 있어서
많은 효과를 보았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McKinny(1997) 등은
GIM(GuidedImageriesandMusic)이 인간의 기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음악치료의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우울감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14
우울한 사람에게 동질의 원리를 이용하여 우울한 음악을 계속 틀
어준다면 ‘우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더 깊은 우울에 빠지게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다.그러나 이것은 일시적으로 상황이 악
화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정점에 이르러서는 포화상태에 이르
러 감정의 응어리를 분출해 내게 되기 때문에 이것을 계기로 자기
치료가 시작된다.이것을 카타르시스라고 하며 이 카타르시스 이론
은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 Aristoteles에 의해서 이미 정립된 이론이
다.음악에 의한 감정의 발산이 치료에 큰 효과가 있음을 단적으로
나타내주고 있으며 이것은 간혹 우리가 실컷 울고 난 후 기분이 후
련해짐을 느낄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김영희,2004).국내 연
구로는 나미희(1999)가 노인복지관의 노인을 대상으로 음악활동을
시행한 결과 우울감이 감소되었음을 밝혔고,진소영(2001)도 초등학
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음악활동을 실시하여 우울 정서 영
역에서 큰 감소가 나타남을 입증하였다.
셋째,우울의 하위영역 중 ‘흥미상실’과 ‘행동문제’에 해당되는 것
으로 이것 또한 인간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을 하는 음악의
사회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우울한 사람에게 대표적으
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대인관계의 부족을 들 수 있는데,음악은 관
계의 증진을 위한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음악이 사
회적 행동이라는 것(Gaston,1968)과 음악치료는 그룹 속에서 다른
사람과 관련된 경험이라는(Sears,1968)이론은 모두 사람들을 공통
된 활동으로 이끌고,집단 응집력을 높이는 역할자로서의 음악의 기
능을 강조하고 있다.그룹 음악활동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존
재라고 느낄 기회와 함께 개인을 집단으로 통합하여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Merriam(1964)역시 음악의 큰 기능중의 하나로 개인을 그룹으로
통합시키는 것으로 보았고 여기에는 음악이 사람에게 만족과 즐거
움을 주며,내부적 외부적 동기제의 역할을 하며,에너지를 고양시
킨다는 기본원리가 있다(김영희,2004).그러므로 우울을 가진 대상
자에게 나타나는 활동력의 저하증세를 줄이고,바람직한 활동을 이
끌어내기 위해 음악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15
넷째,우울의 하위영역 중 ‘신체증상’은 음악이 인간의 자율신경에
영향을 끼쳐 생리적,신체적 반응을 유발하는 음악의 생리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Gaston(1968)은 음악의 요소인 리듬이 근
육의 동작을 자극하고 신체동작을 유발한다고 하였다.음악은 뇌혈
류에 영향을 주어 조용한 음악은 뇌혈류를 느리게 하고 혈량을 감
소시키며,행동적인 음악은 뇌의 순환을 증가시켜 감정을 자극한다
(Buckwalter,Kathleen,Hartsock& Gaffney,1985).
Hanser(1990)의 연구에 의하면 음악은 우울증 환자가 흔히 겪는
수면장애를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는데,이는 음악의 구성
요소 중 리듬과 템포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고명환
(2002)은 협화음의 진정성 음악은 멜로디의 상승하강 기복이 적고,
근육의 이완을 유발하여 명상적,진정적 효과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또한 협화음의 진정성 음악은 엔돌핀의 생성과 정서적,인지적 행
동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 요소로써 심리적,생리적 반응을 유
발시킨다(Thaut& Smeltekop,1990).박진숙(2009)은 결손가정 아동
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치료를 적용한 결과 신체,우울의 생리적인 요
인 역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고 밝혔다.이는 음악이 우울의 구
성요소인 신체적 증상을 개선시키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음악은 우울을 치료하는데 타당하고도 친
숙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들을 고려해 볼 때,음악이 우울에 영향
을 미치며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선행연구
①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음악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타나면서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수준을 낮추는데 음악
치료가 효과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우울한 아동들의 공통적인 성향은 낮은 자아 존중감,대인관
16
계 부족 및 활동력의 저하로 나타나는데(안윤영,1998),음악활동은
긍정적 자아감과 원만한 대인관계 증진 및 활동력을 증가하는 치료
적 목적을 중심으로 우울 아동의 우울 수준을 낮추는데 도움을 주
고 있다.
아동기 우울과 관련된 음악치료 연구들을 보면,진소영(2001)은
우울 성향이 높은 초등학생에게 노래 부르기와 song writing,즉흥
연주와 같은 다양한 음악 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아동의 우울
성향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고,이재욱(2001)은 초등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음악활동 프로그
램을 구성 후 실시한 결과,우울의 하위 요인 중 부정적 자기상이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되었고 음악 활동에서의 성공감과 자연스러운
표현이 아동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어 긍정적인 자기상을 형성시키는
요인이 된 것으로 설명하였다.또한,집단음악치료를 통해 결손가정
아동의 우울,불안,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박진숙
(2009)은 우울 전체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음을 밝혔고 특히 우
울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음을
보고했다.
한편,음악은 정서적으로 민감한 청소년들에게도 거부감을 주지
않은 좋은 자극제로 작용할 수 있다.서승미(2005)는 청소년들의 음
악 감상과 음악적 행동을 살펴본 결과 일상에서 휴식을 취할 때나
우울하고 외로움을 느낄 때 음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거나
해소하는 계기를 갖는다고 보고하였다.
우울 성향을 지닌 중학생의 우울 감소를 위해 노래 부르기,악기
연주 등의 음악활동을 통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안미라
(2003)는 우울 하위 영역인 자기 비하,신체증상,흥미상실,행동문
제,우울정서의 감소에 효과성을 보고하였고,정현주(2002)는 청소년
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음악활동을 활용하여 우울 및 정서장애에 대
한 음악치료 효과성을 입증하고 이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실시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중 악기 연주,노래 만들기 등의
적극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다
고 보고하였다.마지막으로 김정은(2002)은 집단음악활동을 학교 부
17
적응 청소년들에게 실시한 결과 집단음악활동이 억눌린 감정표현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 음악활동이 사용되어 우울 감소에 유
의미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음악치료가 우울로 인한 청소년 문제행
동 예방 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② 성인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음악이 지닌 특성은 성인의 우울감소를 위한 심리적 중재로서 적
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음악은 어느 시대나 사회를 막
론하고 즐거움을 수반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
으며,음악이 주는 즐거움은 인간내면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면서 깊
은 심미적 경험까지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뿐만 아니라 음악은
정서의 환기(Berlyne,1971)및 수정(Thaut,1991)을 통해 긴장이완
및 스트레스 완화나 정서 변화 등의 구체적인 행동들을 조절한다.
특히 음악은 평소 표현하지 못한 생각이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
하게 하여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데,이는 음악활동이 심리
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자신의 욕구를 방출 할 수 있는 배출구를
제공하여 부정적인 정서들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줄 수 있기 때문이
다(지은미,2002).이와 같은 음악의 특성은 성인의 우울을 감소시키
기 위한 안전하고 적절한 치료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틀을 제공
하여준다.
음악은 대상자의 생리 및 심리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
이며,내면의 분노와 적대감이 안전하게 표출되는 기회를 마련해 주
어 우울증과 그 밖의 부정적인 정서를 순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산모를 대상으로 음악의 효과를 입증한 국내연구에서 김지현
(2009)은 출산 후 4일-7일째인 산모를 대상(산후 우울정도 EPDS평
균 7.14)으로 산후우울 감소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심상 유도
된 음악감상,노래 부르기,노래 만들기,악기 연주 등으로 이루어진
음악 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연구결과 산후 산모의 자아존중감,모
아애착을 향상시키고,산후우울과 불안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입증하였다.이선미(2008)는 산모에게 선호하는 음악
18
의 CD를 제작하여 매일 40분씩,8일 동안 각 대상자의 조리원 호실
에서 음악을 감상하게 한 후 산후우울을 측정하였다.결과 산후우울
감소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음악 감상이 산후우울 감소에 효
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임현정(2009)또한 노래 감상을 통해 산모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탐색하고 통찰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자신
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표출함으로 정서조절이 가능해졌다고
보고하였다.
중년 여성의 우울감소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오정숙(2002)과
최은진(2003)은 음악 감상과 능동적 음악활동을 실시하여 우울성향
이 감소됨을 보고하였고,권정희(2002)는 음악 감상 외 노래 부르기,
즉흥연주,songwriting등 다양한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
년 여성의 우울 감소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제시하였다.
③ 노인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우울 노인에게 음악을 사용하여 활동을 할 때에는 처음부터 빠른
음악을 사용하는 것보다 기분 상태와 변화에 맞추어 음악을 적용하
도록 하여야 하며,비자극적인 음악을 시작으로 하여 점차적으로 자
극이 높은 음악을 사용하면서 음악을 통한 정서적 각성을 유도하여
우울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정현주,2005).이러한
정서적 변화는 기분전환을 유도하고 긴장을 이완할 수 있도록 하며,
즐겁고 활동적인 음악에 반응하여 좋은 기억과 연상들을 불러 오기
도 한다.또한 심리상태를 적용시켜 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성공적
인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여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끼도록 하고 활동
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음악 구조의 예견성을
이용하여 음악 요소들의 예견되어진 흐름들을 통하여 익숙하고 친
숙한 음악 안에서 구조적인 틀을 제공함으로서 불안조절이나 스트
레스,자제력,사회통합 등을 성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Clair&
Memmott,2009).
이처럼 노인 우울은 노화로 인한 심리,정서적 문제와 연결되어
있어 자신감을 상실하고,기능의 약화로 인하여 불안과 긴장감을 갖
19
게 되는데,이 때 음악은 심리적,생리적 도구로써 긴장이완을 유발
시켜 몸의 경직성 감소와 안정성을 유도할 수 있고 성공적인 경험
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자긍심과 자아실현의 경험을 갖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음악을 활용하여 우울 노인에 대한 우울을 감
소시키는데 음악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여러 연구들을 통해 확
인할 수 있었다.이주희(2011)와 유미나(2009)는 시설 집단에 거주하
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우울 감소와 대상자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Suzuki(1998)는 우울 경향을 보이는 노인에게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우울이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났음을 밝혔고,치료적 음악활동 중 악
기 연주 활동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울에 치
료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치매 노인의 경우에서도 리듬연
주,표현 중심의 악기 연주,재창조 연주,즉흥연주를 이용한 음악활
동이 치매 노인의 우울과 정동/무감각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이일경,2009).
이처럼 노인 음악치료 활동에서의 음악의 노인들에게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성취감을 경험시켜주며,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그룹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우울을 감소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메타 분석
1)메타 분석의 정의와 특징
메타분석은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중재 연구들의 결과를
과학적으로 종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분석 방법이다(Borensteinetal,2009).메타분석은 방법적인 측면에
있어 차이가 있는 연구물들을 종합하고 중재에 대한 효과크기를 계
산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해 준다.이를 통해 다양한 연구방법으로
실행된 연구들로부터 효과적인 중재에 대한 결과를 객관적으로 도
20
출하여 증거 기반의 실제에 대한 결과를 이끌어 내는 것을 가능하
게 해준다.
Glass(1976)가 처음 메타분석이라고 명명한 후,많은 비판을 극복
하고 방법론적인 발전과정을 거쳐,현재 심리치료 분야에서는 이미
이러한 메타분석 방법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고용남,2010;김윤
지,2007;박승민,2009;임영아,2013;장명희 2012).
Glass(1976)는 메타분석의 특징을 세 가지로 요약하였는데 첫째로
메타분석은 수량적이라 설명한다.즉 많은 연구 결과들을 함축적으
로 분류하고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원 자료를 사용하는 대신 요약통계(summary statistic)를 사용한다.
둘째,메타분석에서는 효과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연구들
을 통합한다.서로 상이한 연구 결과들이라도 전체적인 결론을 도출
하기 위해서는 분석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셋째,메타분석은 일반
적인 결론을 도출한다.서로 다른 효과크기들에서 일반적인 결론을
내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구들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차이는 무시해
도 무방하다는 전제하에 일반화가 가능하다(박현경,2014).
2)메타 분석 주요개념
① 효과크기
개별 연구들의 각기 다른 산출한 효과크기(effectsizes)를 통합하
기 위해서는 하나의 공통된 단위로 변환시켜야 하는 절차가 필요하
다.메타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효과크기 계산은 표준화된 평
균차로 나타내는 효과크기와 통계적 유의성 검정으로서의 메타분석
법,상관계수의 효과크기,분할표집의 메타분석방법으로서 승산비의
효과크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오성삼,2009).
효과크기의 계산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활용된 효과크기 산출방
법은 표준화된 평균차(theStandardizedMeanDifference)로 표준화
된 평균 차를 계산하는 방법은 Hedges'sg방정식과 Cohen'sd방
정식 그리고 Glass'sindex 방정식이 있으며 연구에 활용된 방법은
21
Hedges'sg:   
 
Cohen'sd:   
 
Glass'sindex:   
  
Hedges'sg방정식이다<표 1>.
<표 1> 효과크기 Hedges'sg방정식
3가지 방정식은 분자가 평균의 원 차이로 이뤄진 것이 같지만 그
차이는 분모를 구성하는 표준 편차에서 나타난다.Hedges'sg방정
식은 각 그룹의 인구 표준 편차에 대해 수집한 추정치를 이용하고,
이와 유사하지만 Cohen'sd방정식은 수집한 표본 표준 편차를 활
용한다.이러한 표본 표준 편차는 보다 큰 표본보다 적은 표본에서
과소 추정한 인구 표준편차에 편향된 추정치이다.그러나 보다 적정
하게 큰 표본 크기를 가진 g와 d는 사실상 같다.그래서 두 지표는
구별되지 않는다(Card,2012).
이와 같이 표준화된 평균차를 활용하여 효과 크기를 산출 하고
난 후 효과 크기에 대한 해석을 통해 연구에 대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으며 Cohen(1988)은 메타분석으로 얻게 되는 평균효과크기에
대한 해석에 대한 기준을 제시했다.효과의 크기는 ‘.20이하’는 ‘작은
효과크기’,‘.50’은 ‘중간 효과크기’,‘.80이상’은 ‘큰 효과크기’로 해석
한다.
② 동질성 검정과 분석 모형의 선택
전체적인 효과 크기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먼저 동질성 검사를 통
해 각 연구에서 추출된 효과크기들이 같은 모집단에서 추출된 것으
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동질성 평가를 해야 한다.메타 분석에서
동질성 검정은 Q통계치를 이용하고 카이스퀘어 분포를 따르며 연구
결과의 분석을 위해서는 고정 효과 모형(fixed-effectsmodel),랜덤
22
효과 모형(random-effects model),고정효과범주분석(fixed-effects
categoricalanalysis)3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동질성 평가는
분석 모형을 선택하거나,만약 이질적이라면 그 원인 규명을 위해서
연구들의 특징(moderatorvariable)에 따라 효과크기를 측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전제가 된다(박은영,신인수,2012).Higgins,Thompso
-n,Deeks와 Altman(2003)에 따르면 동질성 ( 
)은 25%이면 낮은
수준,50%이면 중간,75%이면 높은 수준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③ 출판 편향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이란 논문으로 출판된 결과들만 사용
해서 메타 분석을 실시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편향을 의미한다.메타
분석은 대규모 연구뿐 아니라 소규모로 진행된 연구들에서도 사용
가능한 방법이지만 대규모 연구에 비해 소규모 연구에서는 작은 효
과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우므로 출판되기 어렵다.결국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연구는 출판된 가능성이 높게 되지만,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연구는 출판된 가능성이 상대적
으로 낮아지게 된다.이러한 이유 때문에 출판된 연구결과들을 근거
로 수행된 메타분석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인 연구들이 유의하지
않은 연구들 보다 더 많이 포함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결과적
으로 메타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만 반영되어 결과 또한 왜곡될 수
있을 것이다(김경주,2011).
따라서,출판 편향이 발생한 경우 메타분석 대상 표본이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기에 분석결과의 신뢰성과 타당
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그러므로 분석 전 메타분석 할 표본의
편향성을 미리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박현경,2014).
3)메타 분석의 절차
Jackson(1980)은 메타분석 절차를 단계를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단계는 연구를 위한 질문이나 가설을 설정,2단계는 통합 연구를
23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선정,3단계 연구의 자료들을 코딩하거나
연구의 특성을 밝혀낼 수 있도록 데이터 평가,4단계 연구 결과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통합하고 분석된 자료를 해석하는 단계,마지
막 5단계로 메타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작성하는 것으로 나누
어 이야기한다<표 2>.
24
<표 2> 메타 분석 절차
1단계:연구문제 설정
최근 연구 경향을 반영하여 연구 문제 설정
2단계:데이터 수집
핵심단어와 복합어를 선정하여 데이터 검색
초기 연구목록을 선정하고 검색결과를 검토
효과크기의 통계적 변환 실시 후
변수목록의 재구성이 필요하여
코딩지 수정
3단계:데이터 평가
코딩지 구성(유목별 변수로 나누어 코딩)
개별 연구 내용이 반영되도록 구성
4단계:데이터 분석
연구의 전체 효과크기,변수별 효과크기 분석
동질성 검정
효과크기의 신뢰구간 설정
효과 크기 통계적 변환
5단계:결과 보고
결과 데이터 보고
25
4)음악치료에서의 메타 분석 선행연구
음악치료 연구 분야에서는 Standley(1986)가 가장 처음으로 양적
연구들의 변인간 효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메타
분석을 시도하였다.Standley(1986)는 1950년부터 1985년까지 치/의
학 분야에서 음악치료와 관련된 논문 81편 중 메타분석 조건에 맞
는 30편을 대상으로 음악치료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와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범주화하여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음악치료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98로 Cohen의 해석 기준
에 따라 0.8이상으로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이 후 Standley(19
96)는 다시 연구를 보완 및 수정하여 92편의 연구물에서 233개의 변
인을 평가하여 1.17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와 정상분포곡선 하에서
88%로,38%만큼의 향상을 보여 음악치료가 치/의학 처치 상황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계속해서 Standley는 음악치료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도하였
으며,1996년에는 교육과 치료를 목적으로 음악을 강화재로 사용한
98편의 연구물에서 208개의 변인에 대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그
결과,조건적 음악이 비음악적 조건이나 지속적으로 음악이 주어질
때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고,음악과 함께 주어진 다른 강화물
(음식물,시각적 자극 등)은 강화제로 가치를 감소시켰으며,음악 자
체가 강화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을 밝혔다(강해선,2013).또한,
Standley(2002)는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한 결과,0.83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보였다.결과를 통해 신
생아가 음악과 음악이 아닌 소리를 구분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Standley의 연구를 기반으로 음악치료 연구 분야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대상과 주제를 목적으로 메타분석 연구가
이어져 오고 있다.
Koger외(1999)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에 대한 21편의
연구물을 메타분석 하였고,시행한 결과 전체 효과 평균크기는 0.79,
정상분포 곡선 하에서는 79%로,치매 환자에게 있어 음악치료가 유
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도 하였다.Silverman(2003)은
26
중증 정신 장애를 대상으로 음악치료를 적용한 논문 19편을 수집하
여 메타분석을 하였다.그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0.71로 중간 정도
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변인별 분석에서 녹음 음악보다 라이브
음악이,수동적 감상(passive listening)보다 구조화된 음악치료(all
MT techniques)가,비클래식 음악보다 클래식 음악이 치료사의 선
택보다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을 제공했을 때,더 큰 효과크
기가 나타나는 것을 밝혔다.
또한,Gold 외(2004)는 정신질환을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
로 음악치료를 적용한 논문 11편 중 이상치의 값을 갖는 하나의 연
구를 제외하여 10편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행한 결과 0.61의
전체효과를 밝혔다.변인별 분석에서 행동적 진단이 발달적과 감정
적 진단의 문제보다 큰 효과크기를 보이고 아동보다 청소년,절충주
의 접근의 음악치료가,발달과 자아개념,사회기술보다 행동적 결과
에 초점을 둔 연구에 더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음을 입증하였다.자
폐증을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악의 유무 환경을 비교한
9개의 양적 연구를 메타 분석한 Whipple(2004)은 연구에서 0.77의
전체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분석 결과 비음악적 환경보다 음악적
환경에서 치료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치료 디자인,대상자의 연
령 그리고 음악의 용도,출처 유형,치료 기법,치료사 유형 간의 효
과크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였다.
Pelletier(2004)는 22개의 연구들을 통해 스트레스로 인해 각성된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따른 음악의 영향을 메타 분석하여 .67의 평
균 효과크기를 제시하였다.마지막으로 Gitman과 Karina(2010)는 의
학적/정신적 질병을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악치료를 적
용한 논문을 각각 9편,12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연
구 결과 평균 효과크기는 0.54와 0.52로 산출되어 중간 정도를 나타
냈으며 의학적 질환은 입원환자,11세 미만 어린이일 경우,정신적
질환은 연령이 혼합된 집단일 경우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가 나타났
다.
한편,국내의 음악치료에서도 이와 같은 메타분석 연구가 시도 되
어 왔는데,김수희(2002)는 1993년부터 2002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27
논문 38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하였다.그 결과 1.18의 전체 평
균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언어와 정서 영역에서,음악치료 활동 이
외의 활동을 혼합한 형태의 활동이,총 14회기 이상,대상이 9명 이
하일 때 큰 효과를 보였다.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임진석(2007)은
1997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 학위 논문 71편을 수집하여 음악치료
전공 여부에 따른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행한 결과
0.90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제시하였고,음악치료 전공자와 비전
공자의 연구물을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
만 전공자의 연구물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고 밝혔다.
여정윤과 홍은주(2010)는 대상의 범위를 아동과 청소년으로 한정
하여 77편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였다.연구 결과,전체 평균효과 크
기는 0.14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아동이 청소년보다 효과가
컸으며,사회적 발달 영역에서,21회기 이상 진행했을 때 가장 효과
적이었다.정미자(2011)는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정신질환자를 대
상으로 20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0.36의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
고하였다.독립변인에서 인지 행동적 음악치료가,종속변인에서는
행동 영역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연령별에서는 노인층
이,치료횟수와 시간은 12회기와 45분의 구성에서 큰 효과크기를 나
타낸 것으로 밝혔다.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 음악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음악치료 연구 27편의 논문을 분석한 황은영(2012)은 전체 평
균 효과크기가 -0.14를 나타내었다.행동 영역에서 수용적인 방법과
적극적인 방법을 함께 적용했을 때,치료 횟수가 1-15회기였을 때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손수진(2013)은 신경학적 질환자를 대상으
로 한 국내외 음악치료 연구 논문 47편을 분석한 결과 0.49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나타냈다.국내와 국외의 신경학적 질환자들 사이
에 효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으며,음악치료 프로그램과 개인/그
룹 비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19편의
논문을 분석한 강해선(2013)은 전체 평균 효과 크기가 1.33을 나타
냈다.연구 대상이 11-15명일 때,저학년 집단에서 프로그램 진행
28
시간이 60-100분 이상일 때,아동의 선호도를 고려해 선곡했을 때
큰 효과를 보였다.마지막으로 박현경(2014)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 43편의 논문을 메타분석 시행
한 결과 0.859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음악치료가 모든 연령대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청소년에게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다.그
리고 유형별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일상 스트레스에서,적극적 방
법이 수용적 방법과 혼합보다 근소한 차이로,음악치료 전공자의 세
션이,클라이언트 선호 음악을 사용 시,총 8회기 이하,회당 60분
이상 진행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밝혔다.
29
Ⅲ.연구 방법
1.연구대상 선정 및 수집
연구의 메타 분석에 쓰일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
정보원(http://www.riss.kr),국회도서관(http://www.nanet.go.kr),국
립 중앙 도서 관(http://www.nl.go.kr),국가 과학 기 술정 보센 터
(http://scholar.ndsl.kr)에서 음악,음악치료,우울의 키워드를 사용하
여 최근 15년간의 자료를 검색하였다.
연구의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해,수집한 논문들의 선정 근거는 다
음과 같다.첫째,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비교,집단 간
비교 연구,단일 집단의 사전-사후를 비교한 실험연구의 논문들 중
에 효과크기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수치(평균,표준편차)가 제시되어
있는 양적 연구 중에서 수집하였다.둘째,연구자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연구는 투고하지 않는 경향으로 유의한
결과만 나타나는 연구만을 선별적으로 게재하는 학술지에 실린 연
구로 메타분석을 할 경우,효과가 과대 추정될 수 있다.이에 반해
일반적으로 석·박사 학위 논문들은 다소 적은 효과크기를 보이는 경
향이 있다.이것은 석·박사 학위 논문들이 보다 보수적이고 엄밀성
을 띄기 때문이다(오성삼,2002).따라서 메타분석의 결과가 한쪽 경
향으로 치우치지 않게 하기 위해 학회지의 논문들과 석·박사 학위
논문들을 함께 수집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 설계 모형이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효과크기 계산에 필요한 통계 값을 충분히 제공하지 않
는 연구물,양적 자료가 제시되지 않은 기술 및 질적 연구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최초 검색 시 검색된 논문 수는
학위 논문 472편,학술지 논문 162편이었고 국회도서관,국립중앙도
서관,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를 통해 새로운 논문 17편을 추가했다.
그리하여 총 651편의 논문을 수집하였고 위의 선정 기준에 부합되
30
2000년-
2005년
2006년-
2010년
2011년-
현재
학위 21 28 28
학술지 10 17 14
지 않는 논문 505편과 학술지와 내용이 중복된 논문 28편을 제외하
여 학술지 논문 39편,석·박사학위 논문 79편으로 총 118편의 논문
이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연도별 분석 논문의 수는 <표
3>과 같다.
<표 3> 연도별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수
2.자료의 코딩
최종 선택된 분석 대상 논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코딩매뉴얼
을 제작하였다.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코딩은 연구자명,연구 대상,
출판년도,출판 유형,중재 방법,중재 특성 등으로 범주화하여 코딩
하였다.연구에 사용된 분석대상 논문 118편의 출판년도와 출판 유
형,연구대상,중재 특성 및 연구 설계 모형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
는 <부록 1>에 제시되었다.
3.자료의 처리 및 분석
1)통계처리
채택된 논문들의 내용인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및 표본 크
기,저자,출판년도와 출판 유형,연구 대상의 특성,총 회기,회당
소요 시간,중재 유형,음악사용 등을 Excel에 코딩 한 후 메타 분
석을 위해 CMA(ComprehensiveMeta-Analysis)2.0을 이용하였다.
CMA는 미국 Briostat사가 개발한 메타분석 전용 프로그램으로 데
이터 입력과 분석,평가를 위한 정교한 옵션의 다양한 배열을 포함
31
하고 있어 현 국제 네트워크에서 메타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분석논문의 변인 선정
① 연구대상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그리고 증상별로 분류하였
다.첫째,본 연구 대상 논문들에서 성별을 여성과 남성,여성과 남
성이 함께 한 혼성으로 범주화 하였다.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논
문은 35편,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논문은 6편,혼성으로 연구한
논문은 71편으로 분류하였다.자료제시가 불분명한 논문은 7편으로
나타났으며 총 119편으로 최종 분석으로 채택한 논문보다 1편 많은
수인데 이것은 1편의 연구에 여성과 혼성이 함께 연구대상으로 선
택되어졌기 때문이다.
둘째,연령은 아동 및 청소년,성인,노인으로 범주화 하였으며 아
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은 30편,성인을 대상으로 연
구한 논문 50편,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 39편으로 분류하였
다.이는 총 119편으로 최종 분석으로 채택한 논문보다 1편 많은 수
로 1편의 연구에 성인과 아동이 함께 연구대상으로 선택되어졌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신과적 질환과 신경학적 질환,일반·의료학적 질환
으로 나누어 증상을 분류한 결과,정신과적 질환을 대상으로 한 논
문은 15편,신경학적 질환을 대상으로 한 논문 41편,일반·의료학적
질환 63편으로 분류되었고 총 119편으로 1편의 연구에 일반 의료학
적 질환자와 정신과적 질환자가 함께 연구대상으로 선택되어져서
이다.
② 중재방법
본 연구의 대상 논문들에서 사용된 중재 방법으로는 Singing,
32
Improvisation,Playing,Movement,Song writing,Listening,GIM
등이 있으며 Bruscia(2003)가 제시한 음악적 경험을 중심으로 분류
하였다.경험되는 음악 프로그램 기준으로 Songwriting,Improvisa
-tion 등 클라이언트가 활동적으로 참여한 활동으로 구성된 경우는
적극적 방법(36편),감상을 중심으로 활동이 구성된 경우 수용적 방
법(16편)그리고 적극적 방법과 수용적 방법을 모두 사용한 혼합적
방법(66편)으로 분류하였다(황은영,2012).
③ 중재특성
본 연구의 중재 특성으로는 총 회기,회기별 소요시간,음악 제시
유형,음악 장르,연구자의 전공 여부가 있다.
첫째,본 연구의 대상 논문들을 대상으로 총 회기 수의 경우,총
12회기를 치료한 논문의 수가 가장 많았고(33편),10회(22편),15회
기(13편)순으로 많았다.이에 본 연구는 가장 많이 나타난 회기 수
를 기준으로 9회기 이하,10-12회기,13회기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둘째,회기별 소요시간의 경우,50분(27편),40분(23편)과 60분(22
편)순으로 많았다.이에 본 연구는 가장 많이 나타난 소요 시간을
기준으로 40분 미만,40-60분,60분 초과로 분류하였다.
셋째,대상 논문들에서 음악 제시 유형의 경우,라이브와 녹음,혼
합으로 분류하였고 라이브를 사용한 논문의 수는 19편,녹음 22편,
혼합 77편으로 나타났다.
넷째,대상 논문들의 음악 장르의 경우,대중가요 및 트로트가 가
장 많았고(78회),국악(47회),클래식(35회),동요(33회)순으로 많았
다.그 외 종교음악(13회),팝송(11회),뉴에이지(7회),영화음악(4회),
뮤지컬 음악(3회),블루스 및 인디,성가곡,중국민요,치유,그린 및
자연 음악 (각 1회),가곡(4회),재즈(2회)로 나타났다.이에 본 연구
는 가장 많이 사용된 음악 장르를 기준으로 가요(대중가요 및 트로
트),국악,클래식,동요,기타로 분류하였으며 논문 1편에서 2개 이
상의 유형이 나타날 수 있는 경우 단위를 ‘편’이 아닌 ‘회’로 나타냈
다.
33
다섯째,대상 논문들의 연구자 전공 여부는 임상음악치료,음악치
료교육,치유음악목회,음악치료 전공을 포함한 전공(52편)과 음악교
육,사회복지,예술치료,간호학,심리치료,신경정신의학,보건학,교
육학을 포함한 비전공(66편)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논문의 요약된 특성은 <표 4>와 같다.
34
구분 연구특성
연구 수
(편/회)
연도
2000-2005 31
2006-2010 45
2011-현재 42
출처
석·박사 학위 논문 77
학술지 41
연구대상
성별
여성 35
남성 6
혼성 71
연령
아동 및 청소년 30
성인 50
노인 39
증상
신경학적 질환 41
일반·의료학적 질환 63
정신과적 질환 15
중재방법
적극적 방법 36
수용적 방법 16
혼합적 방법 66
중재특성
총 회기 수
9회기 이하 20
10-12회기 58
13회기 이상 38
회기 별
소요시간
40분 미만 13
40-60분 80
60분 초과 18
음악 제시 유형
라이브 19
녹음 22
혼합 77
음악 장르
클래식 35
가요 78
국악 47
동요 33
기타 51
연구자 전공
음악치료 전공 52
음악치료 비전공 66
<표 4> 분석 논문 특성 요약
35
N Q   
효과
크기
95%
신뢰구간
표준
오차
118 526.381 .000 77.773 0.874
0.824
-3.925
0.026
Ⅳ.연구 결과
1.동질성 검정에 따른 분석 모형 선택
개별 연구물의 결과가 같은 모집단에서 나온 것이라는 가정에서
검정력이 높은 장점을 지닌 고정효과 모형으로 진행되는 동질성 검
정 결과,Q 값은 526.381로 나타나 개별 연구물들의 효과크기가 동
질적이지 않고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Q 값에 대한 유의확률이
p< .001이며,효과크기의 95%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지 않았고, 
값은 77.773이었다. 
값이 25%이면 낮은 수준이고 50%이면 중
간,75%이면 높은 수준이라고 해석한다(Higgins & Green,2008).
따라서 이 연구에서의  
값은 77%의 높은 수준으로 개별 연구물들
의 효과크기가 이질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표 5>.
<표 5> 고정효과 모형에서의 동질성 검정
*N=연구 수,Q =동질성 검정 통계량,p=동질성 검정 통계량의 유의 수준 값,
 
=이질성 정도
2.출판편향 검증
메타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출판편향을 검증하였다.
Duvall과 Tweedie(2000)의 추정치 가감법(trim & fill)으로 민감도
분석을 해본 결과에서 조율된 연구물 수가 0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관찰 값에서의 효과크기와 보정 값에서의 효과크기에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하며 보정할 연구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본 연구
에서 보정 값이 0으로 산출되어 보정할 연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36
조율된
연구물
효과
크기
95% 신뢰구간
Q
하한 값 상한 값
관찰 값 - 1.087 0.970 1.205 526.381
보정 값 0 1.087 0.970 1.205 526.381
N   
효과
크기
95%
신뢰구간
표준
오차
118 .000 77.773 1.088
0.970
-1.205
0.060
다.즉,출판편향이 없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표 6>.
<표 6> 출판 편향 검증 결과
3.전체효과크기
동질성 검정을 통해 개별 연구물 간에 이질성이 있는 것으로 판
단될 때 개별연구물들의 실제적인 차이까지 반영하여 분석할 수 있
는 랜덤 효과 모형으로 분석을 하게 된다.따라서 랜덤 효과 모형에
기준하여 보았을 때 전체효과크기는 1.088로 Cohen(1988)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0.3은 작은 효과크기,0.5는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0.8
이상은 큰 효과크기를 의미한다는 설명에 따라 음악치료 프로그램
의 우울 치료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95% 신뢰
구간(0.970< 1.088<1.205)은 0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효
과크기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표 7>.
<표 7> 전체평균효과크기
37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여성 80 1.092 0.088 - - 0.920 1.265
혼성 120 0.948 0.059 - - 0.831 1.064
남성 11 0.667 0.126 - - 0.420 0.913
명시
않음
15 0.948 0.173 - - 0.837 1.513
4.연구 대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1)성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의 성별에 따라 여성과 남성,혼성으로 하
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Q-value는 9.280,p-value
는 0.026으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
다.성별에 따라 여성(1.092),혼성(0.948),남성(0.667)의 순서로 효
과크기가 산출되어 여성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
며 남성의 경우 중상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어 여성의 경우가
남성의 경우보다 우울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표 8>.
<표 8> 성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2)연령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의 연령에 따라 아동 및 청소년,성인,노
인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Q-value는 8.689
,p-value는 0.034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38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아동 및
청소년
89 0.783 0.042 0.000 177.967 0.702 0.865
성인 25 0.920 0.075 0.000 132.216 0.772 1.068
노인 68 0.961 0.046 0.000 223.567 0.870 1.052
나타났다.연령에 따라 노인(0.961),성인(0.920),아동 및 청소년
(0.783)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노인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
과크기를 나타내고 아동 및 청소년은 상대적으로는 낮지만 중상수
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표 9>.
<표 9> 연령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증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의 증상에 따라 신경학적 질환자,일반·의
료학적 질환,정신과적 질환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
한 결과,Q-value는 6.412,p-value는 0.041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
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증상에 따라 신경학적 질환
(0.964),일반·의료학적 질환(0.859),정신과적 질환(0.738)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신경학적 질환의 경우가 높은 수준의 효과크
기를 나타냈다<표 10>.
39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신경학
적 질환
65 0.964 0.050 0.000 202.198 0.866 1.061
일반·
의료학
적 질환
137 0.859 0.032 0.000 26.447 0.795 0.923
정신과
적 질환
24 0.738 0.079 0.000 9.307 0.583 0.894
<표 10> 증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5.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중재 방법에 따라 적극적 방법,수용적 방법,혼합적
방법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Q-value는
32.878,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중재 방법에 따라 적극적 방법(1.068),혼합적 방법
(0.955),수용적 방법(0.811)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적극적 방
법이 우울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표
11>.
40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적극적 54 1.068 0.004 0.000 176.909 0.950 1.185
수용적 33 0.811 0.004 0.000 83.866 0.694 0.929
혼합 133 0.955 0.001 0.000 372.729 0.883 1.027
<표 11> 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6.중재 특성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1)총 회기 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총 회기 수 에 따라 9회기 이하,10-12회기,13회기
이상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Q-value는
29.314,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회기 수에 따라 10-12회기(0.983), 13회기 이상
(0.861),9회기 이하(0.638)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10-12회기
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나 10-12회기가 우울에 미치
는 음악치료의 효과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표 12>.
41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9회기
이하
34 0.638 0.057 0.000 74.033 0.527 1.828
10-12
회기
105 0.983 0.039 0.000 297.835 0.907 1.058
13회기
이상
85 0.861 0.044 0.000 203.855 0.774 0.948
<표 12> 총 회기 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2)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라 40분 미만,40-60분,60분
초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Q-value는
27.713,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라 60분 초과(0.964),40-60분
(0.929),40분 미만(0.540)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40분 이
상에서는 모두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으나 40분 미만에
서는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프로그램 운영 시간이 적은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또
한 프로그램의 운영시간이 길수록 높은 수준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40-60분과 60분 초과의 경우 유사한 수준의 높은 효과크기
가 나타났다<표 13>.
42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40분
미만
19 0.540 0.072 0.005 37.384 0.400 0.681
40-
60분
161 0.929 0.031 0.000 446.795 0.868 0.990
60분
초과
37 0.964 0.069 0.033 53.061 0.526 0.972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녹음 52 0.777 0.047 0.000 128.512 0.685 0.868
라이브 27 1.121 0.083 0.000 156.015 0.959 1.284
혼합 147 0.885 0.033 0.000 369.930 0.820 0.950
<표 13>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음악 제시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음악 제시유형에 따라 녹음,라이브,혼합으로 하위
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Q-value는13.360,p-value는
0.001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음
악 제시유형에 따라 라이브(1.121),혼합(0.885),녹음(0.777)의 순서
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라이브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
타냈다<표 14>.
<표 14> 음악 제시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3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가요 27 0.685 0.030 0.000 16.563 0.529 0.841
국악 12 1.272 0.080 0.000 51.273 1.010 1.533
클래식 18 0.951 0.079 0.004 36.614 0.795 1.107
기타 15 0.955 0.093 0.000 78.914 0.773 1.138
4)음악 장르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음악 장르에 따라 클래식,가요,국악,동요,기타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Q-value는 82.848,
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다.다른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은 범주화된 변수를 통해 해당
중재 방법의 효과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단독적으로 사용한 장르
를 비교하여 동요만을 사용한 연구물은 존재하지 않아 분석에서 제
외되었고 음악 장르에 따라 국악(1.272),기타(0.955),클래식(0.951),
가요(0.685)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국악의 경우 높은 수준
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표 15>.
<표 15> 음악 장르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5)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연구자 전공에 따라 전공,비전공으로 하위그룹을 구
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Q-value는 19.819,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자 전공
에 따라 전공(1.103),비전공(0.841)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음
악치료 전공자가 비전공자에 비해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표
44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전공 93 1.103 0.002 0.000 176.909 1.007 1.119
비전공 133 0.841 0.001 0.000 83.866 0.778 0.905
16>.
<표 16> 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7.연속 변인에 대한 메타 회귀 분석 결과
메타분석에서는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특정한 연속형 변수가 효과
크기에 미치는 경향성을 파악한다.이는 특정 변수가 보여주는 경향
성에 따라 처치의 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정보를 얻
게 되기 때문이다(이정은 외 2014).본 연구의 분석 대상 연구물에
서는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연속형 변수로 총 회기수와
회당 소요시간을 분석하였다.
회기 수를 메타회귀 분석한 결과,회기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증
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1>.회기선의 기울기 계수
는 0.085였으며,하한선은 0.015,상하선은 0.154이었다.또 진 효과
크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 
값은 0.245이었다<표 17>.
회기별 소요시간을 메타회귀 분석한 결과,회당 소요시간이 많을
수록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2>.회기선
의 기울기 계수는 0.207이였으며,하한선은 0.109,상한선은 0.304이
었다.또 진 효과크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 
값은 0.233이었다<표
18>.
45
계수
표준
오차
하한선 상한선 Z   
회
기
수
기
울
기
0.085 0.035 0.015 0.154 2.410 .015
0.245
절
편
0.687 0.079 0.530 0.843 8.612 .000
<그림 1> 총 회기 수에 따른 메타회귀분석
<표 17> 총 회기 수에 따른 메타회귀분석
46
계수
표준
오차
하한선 상한선 Z   
회
기
별
소
요
시
간
기
울
기
0.207 0.049 0.109 0.304 4.171 .000
0.233
절
편
0.464 0.103 0.261 0.666 4.489 .000
<그림 2>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메타회귀분석
<표 18>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7
Ⅴ.결론 및 논의
본 연구에서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
기 위해 2000년에서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메타분
석 했다.총 118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활용하였으며 전체적인 평균
효과크기와 연구 대상,중재 방법,중재 특성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를 산출하였고 이를 통해 우울을 가진 중재 대상들의 음악치료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에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들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음악치료는 우울을 가진 대상자의 우울을 감소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의 전체 평균 효과크
기는 1.088로 나타났으며 Cohen(1988)이 제시한 해석 기준으로 볼
때 0.80이상이므로 매우 큰 효과크기라 할 수 있다.
둘째,연구 대상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성별은 여
성(1.092)이,연령에서는 노인(0.961),증상은 신경학적 질환(0.964)이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연령대의 경우,연령은 노
인 외 성인(0.920)과 아동 및 청소년(0.783)모두 중상 이상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나 음악치료가 우울을 지닌 모든 연령대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중재 방법에 있어서는 적극적 방법,수용적 방법,혼합적 방
법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적극적 방법
(1.068),혼합적 방법(0.955),수용적 방법(0.811)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적극적 방법이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나 혼
합적 방법과 수용적 방법 모두 중상 이상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
나 음악치료에서 시행되는 방법들이 우울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넷째,중재 특성에서는 총 회기수와 회기별 소요시간,음악 제시
유형,음악 장르,연구자 전공 여부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비교했
다.먼저 총 회기 수에서는 10-12회기(0.993)가 높은 수준의 효과크
기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가 임진석(2006)의 논문에서 11-12회
48
가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인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회기별 소요시간의 경우 60분 초과(0.964),40-60분(0.929),40분
미만(0.540)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40-60분과 60분 초과
의 경우 유사한 수준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이는 회기별
소요시간이 길수록 높은 수준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홍은
주와 여정윤(2010)의 연구에서도 회기별 소요시간이 90분 이상일 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손수진(2014)의 연구 또한 60분 이상에
서 큰 효과크기를 보여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함을 보였다.
음악 제시 유형은 라이브(1.121),혼합(0.885),녹음(0.777)의 순서
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라이브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
타냈다.
음악 장르의 경우 클래식,가요,국악,동요,기타로 하위그룹을 구
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국악(1.272)이 큰 효과를 나타냈다.다
른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은 범주화된 변수를 통해 해당 중재 방법
의 효과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동요만을 사용한 연구물은 존재하
지 않아 분석에서 제외되었고 주로 이루어진 방법 중 단독적으로
실시한 방법을 비교하여 클래식과 가요,국악,기타 장르로 분석하
였고 그 결과,국악(1.272),기타(0.955),클래식(0.951),가요(0.685)
순서로 국악의 경우가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다른 장르
에 비해 국악의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난 것은 연구 대상의 평균 효
과 크기 비교 결과 중 연령대에서 노인의 효과크기가 높게 나온 것
과 연결되어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악치료에서 노인에게
친숙한 국악을 사용하여 음악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때문에 이와 같
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연구자 전공 여부에서 음악치료 전공자와 음악치료 비전공자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전공자(1.103)보다 비전공자(0.841)
보다 높게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음악치료 전공자가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연구 대상에 따라 성별에서는 여성
이,연령에서는 노인,증상에서는 신경학적 질환자에서 큰 효과를
보였다.중재 방법은 적극적 방법이,중재 특성에서 총 회기 수는
49
10-12회기,회기별 소요시간은 60분 초과,음악 제시 유형은 녹음보
다는 라이브가,음악 장르는 국악을 사용하였을 때,마지막으로 전
공 여부에 따라 음악 치료 전공자의 경우가 각각 가장 효과적이었
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가 매우 효과
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는 우울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제시하여 음악치료가 우울 개선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
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메타분석 자체가 실험연구에 제한되기 때문에 질적 연구 및
기술 연구는 배제시켰고,통제집단 사전사후,통제집단 사후 및 단
일집단 사전사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주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실
제 음악치료 현장에서 시행되는 단일 대상과 같은 개별 치료 프로
그램에서의 다양한 음악치료 효과 변인을 반영할 수 없다는 제한점
이 있다.
둘째,하위 항목을 나눌 때,하위항목 중에서 자료의 개수들이 30
개 이상씩 되도록 설정하려고 고려했으나,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루
어지지 못한 것들도 있었다.그러나 실험연구는 하나의 실험적 결과
그 자체를 중요시 여기고 특히 심리치료 분야에서는 작은 사례여도
그 결과를 중요시하므로 연구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려 하였다.
셋째,본 연구는 최근 15년간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
였기 때문에 기준에서 제외된 논문들의 내용이 포함되면 본 연구의
결과와 다소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메타분석을 위한 연구 채택 시 대부분 유의한 결과로 입증
된 학술지 논문과 석·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수집하였기 때문에
출판에 의한 편파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따라서 향후 연구에
서는 더 폭 넓은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 요구
된다.
50
둘째,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 논문으로 제한하여 분석했으므로
국외 연구 논문을 포함하여 연구동향 및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관련 분야의 흐름과 동향을 살펴보는 근거
중심 방법(evidence-basedpractice)인 메타분석은 증거의 가장 상위
의 영역에 있다.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의 변화를 다루는 음악치료
학문에서 음악치료의 효과들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연구들이 활성화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메타분석을 통한 통
합적 연구가 지속된다면 국내 음악치료의 임상과 연구의 발전에 도
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51
참고문헌
*강정숙 (2005).집단음악활동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자녀들의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고명환 (2002).사전 분류된 자극성-진정성 음악에 보이는 감상자
의 반응조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
료대학원.
*고민정 (2008).우울성향 여대생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즉흥연
주 효과성 연구.미간행 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고승덕,손애리,최윤신.(2001).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
에 관한 연구.한국가족복지학, 6(1),3-15.
고용남 (2010).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
석: 2001년-2008년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
사학위 논문,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고효선,이혜진,김홍자,이상열 (2009).집단 음악치료가 통원 치료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원
광의과학, 24(2),103-110.
*구새롬 (2007).우울성향여중생의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
효능감 증진연주활동.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권경미 (2009).교양무용 참여 대학생을 위한 우울증 및 대인관계
(성격장애)척도개발과 적용. 미간행 박사학위논문,원광대학
대학원.
권석만 (2000).우울증.학지사.
권영애 (2009).민요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우울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권정혜 (1997).심리사회적 요인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산후우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usong o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혜원 정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혜원 정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혜원 정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KIM jeonghyun
 
2020 계원예대 산학 피케
2020 계원예대 산학 피케2020 계원예대 산학 피케
2020 계원예대 산학 피케Artcoon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2. 간사랑동우회
2. 간사랑동우회2. 간사랑동우회
2. 간사랑동우회Kwangmo Yang
 
출판계의 편향과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
출판계의 편향과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출판계의 편향과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
출판계의 편향과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디티지(Editage Korea)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혜원 정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BOAZ Bigdata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혜원 정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C.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혜원 정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sujaubuns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여성환경연대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혜원 정
 
성형모 박형배 뚜렛 Adhd 실행기능
성형모 박형배 뚜렛 Adhd 실행기능성형모 박형배 뚜렛 Adhd 실행기능
성형모 박형배 뚜렛 Adhd 실행기능혜원 정
 

Similar to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
최민주, 홍인실 Adhd 음악치료 논문 분석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이경호 이승희 2007 음악치료 adhd 성향 과잉행동 영향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박지은 유아 정서조절 음악활동 프로그램 개발연구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현대오일뱅크_김정현손연우오우송이소연
 
2020 계원예대 산학 피케
2020 계원예대 산학 피케2020 계원예대 산학 피케
2020 계원예대 산학 피케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 간사랑동우회
2. 간사랑동우회2. 간사랑동우회
2. 간사랑동우회
 
출판계의 편향과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
출판계의 편향과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출판계의 편향과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
출판계의 편향과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힐링세포들] : MHTI (Mental Health Type Indicator)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박숙경_희망원 산하 장애인거주시ᄉ...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여성환경건강자료집 (2001)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2008안지숙 집단음악치료활동 결손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 영향
 
성형모 박형배 뚜렛 Adhd 실행기능
성형모 박형배 뚜렛 Adhd 실행기능성형모 박형배 뚜렛 Adhd 실행기능
성형모 박형배 뚜렛 Adhd 실행기능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 2. 석 사 학 위 논 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oftheEffects ofMusicTherapyonDepression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차 지 연
  • 3. 석 사 학 위 논 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oftheEffects ofMusicTherapyonDepression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차 지 연
  • 4. 석 사 학 위 논 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oftheEffects ofMusicTherapyonDepression 지도교수 문 지 영 이 논문을 음악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12월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 차 지 연
  • 5. 차지연의 음악치료학 석사 학위 청구 논문을 인준함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oftheEffects ofMusicTherapyonDepression 2014년 12월 심사위원장 교수 (인) 위 원 교수 (인) 위 원 교수 (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 6. i 목 차 목 차 ⅰ 표 목 차 ⅳ 그림목차 ⅴ 국문요약 ⅵ Ⅰ.서론 1 1.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2.연구의 목적 4 Ⅱ.이론적 배경 5 1.우울 5 1)우울의 정의 및 개념 5 2)대상별 우울 종류 7 ①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우울 7 ② 성인에게 나타나는 우울 9 ③ 노인에게 나타나는 우울 10 2.우울과 음악치료 12 1)우울과 음악 12 2)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선행연구 15 ①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 료 15 ② 성인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17 ③ 노인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18 3.메타 분석 19 1)메타 분석의 정의와 특징 19 2)메타 분석 주요개념 20 ① 효과크기 20
  • 7. ii ② 동질성 검정과 분석 모형의 선택 21 ③ 출판 편향 22 3)메타 분석의 절차 22 4)음악치료에서의 메타 분석 선행연구 25 Ⅲ.연구방법 29 1.연구대상 선정 및 수집 29 2.자료의 코딩 30 3.자료의 처리 및 분석 30 1)통계처리 30 2)분석논문의 변인 선정 31 ① 연구대상 31 ② 중재방법 31 ③ 중재특성 32 Ⅳ.연구결과 35 1.동질성 검정에 따른 분석 모형 선택 35 2.출판편향 검증 35 3.전체효과크기 36 4.연구 대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7 1)성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7 2)연령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7 3)증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8 5.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39 6.중재 특성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0 1)총 회기 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0 2)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1 3)음악 제시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2 4)음악 장르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3 5)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43
  • 8. iii 7.연속 변인에 대한 메타 회귀 분석 결과 44 Ⅴ.결론 및 논의 47 참고문헌 51 부록 72 ABSTRACT 79
  • 9. iv 표 목 차 <표 1> 효과크기 Hedges'sg방정식 21 <표 2> 메타 분석 절차 24 <표 3> 연도별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수 30 <표 4> 분석 논문 특성 요약 34 <표 5> 고정효과 모형에서의 동질성 검정 35 <표 6> 출판 편향 검증 결과 36 <표 7> 전체평균효과크기 36 <표 8> 성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7 <표 9> 연령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8 <표 10> 증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9 <표 11> 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0 <표 12> 총 회기 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1 <표 13>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2 <표 14> 음악 제시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2 <표 15> 음악 장르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3 <표 16> 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44 <표 17> 총 회기 수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5 <표 18>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6
  • 10. v 그 림 목 차 <그림 1> 총 회기 수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5 <그림 2>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46
  • 11. vi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 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우울을 지닌 대상자에게 시행한 음악치 료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118편의 연구물에서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1.088로 매우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따라서 음악치료가 우울을 지닌 대상 자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대상에 따라 성별,연령,증상별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확인 한 결과,성별에서는 여성(1.092)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연령에서 는 노인(0.961)과 성인(0.920),아동 및 청소년(0.783)모두 중상 이상 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나 음악치료가 우울을 지닌 모든 연령대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증상의 경우 신경학적 질환(0.964) 이 가장 높게 나왔고 일반·의료학적 질환(0.859),정신과적 질환 (0.738)순으로 나타났다.중재 방법에서는 적극적 방법(1.068)이 혼 합적 방법(0.955)과 수용적 방법(0.811)보다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 특성에 따라 총 회기 수는 10-12회기(0.993),회기별 소요 시 간의 경우 60분 초과(0.964)일 때 높은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총 회기 수와 회기별 소요시간을 메타회귀 분석한 결과 총 회기 수 와 회기별 소요시간이 길수록 음악치료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리고 음악 제시 유형은 라이브(1.121),음악 장 르의 경우 국악(1.272)이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마지막으 로 음악치료를 전공한 연구자(1.103)가 실시한 음악치료가 비전공한 연구자(0.841)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다. 주제어 :우울,음악치료,메타분석
  • 12. 1 Ⅰ.서 론 1.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우울은 일상 속에서 사람들이 흔히 느끼는 여러 감정 중 하나로, “심리적 감기”라고 불리 울 만큼 현대인에게는 익숙하고 흔하다.우 울은 정상인이 스트레스 사건에 의해 흔히 겪게 되는 가벼운 우울 에서부터 정도가 심해지고 증상 지속시간이 길어져 치료가 필요한 정신병적 우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류합남,2003).즉,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보는 감정이지만,사람들이 경험하는 우울에는 정도와 지속기간의 개인차가 있어 어떤 이들은 잠깐 느끼고 지나가는 많은 감정들 중 하나이지만,어떤 이들은 자살에까지 이르게 하는 고통이 된다. 2012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WHO)는 연간 약 100만 명에 이르는 전 세계 자살자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우울 증을 경험하고 있다고 발표했으며 앞으로 2020년에는 우울증이 모 든 연령에서 나타나는 질환 중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최민희,2014).또한,우리나라의 경우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에서 우울증에 대해 조사한 결과,63%가 증가하였으며,총 인구 중 약 130만명이 최근 1년 사이에 우울증을 경험하였다고 발표했다(보건복 지부,2012).이처럼 우리나라의 정신질환 중에서도 우울이 가장 상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최근 5년간 우울의 치료자가 연평균 4.0%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또한 우울은 전 연령대에 걸쳐서 증가하고 있다. 음악은 인간의 신체,심리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이를 치료 의 매개로 이용한 음악치료는 거의 의료 전 분야에 걸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음악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 용된다는 연구결과들이 나타나면서,우울증 치료의 접근에 음악활동 의 효용성이 입증되고 있다. 음악은 주의를 끌 수 있고 주의 집중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 13. 2 특성을 가지고 있어 우울증 치료 시 환자의 우울한 사고를 전환시 킴으로써 내적인 긴장과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이주희, 1999).그리고 음악치료에서는 음악의 카타르시스 작용으로 정서 장 애자의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고 환자를 회복시켜 사회로 나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Benezon,1981).또한,음악치료는 스 트레스를 조절하는 법과 환경을 다스리는 법,감정표현을 돕는 등의 접근을 통하여 우울증으로 당면한 사회적,행동적 문제들을 교정하 며 개선시켜 가는데 기여하고(최병철,1999),이는 음악치료가 우울 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표된 우울 감소를 목적으로 한 음악치료 연구 논문들은 각 연구자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아동,청소년,노인, 산모 등 다양한 대상자들이 갖는 우울의 다양성과 문제점 및 개선 에 대한 필요성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여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또 는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밝혀내는 실험 연구 및 사례 연구가 대부 분이었다.이렇듯 우울 감소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 검증은 이루어지 고 있는 반면 통합적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따라서 우 울 감소를 목적으로 한 음악치료 연구 자료들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연구 결과로 제시된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통해 음악치료가 우울 개선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 밝힐 필요가 있다. 최근 국내외 인문,사회,교육 분야에서는 수많은 학술 논문들이 생산되고,이러한 논문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온라인 검색 DB들이 등장하면서 연구자들은 관련분야의 연구들을 손쉽게 접하게 되었지 만,관련 분야의 수많은 데이터를 모두 탐색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 여 종합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박성덕,신인 수,2014). 메타분석은 이러한 빅 데이터(Big Data)시대에 효율적으로 활용 될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서,연구자가 관심이 있는 관련 분야의 연 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관련 분야의 흐름과 동향을 살펴보고 근거 중심 방법(evidence-basedpractice)을 통하여 관심분 야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이러한 장점
  • 14. 3 을 바탕으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들이 확산되고 있 다.메타분석은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의 결 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종합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연 구 방법이다(Borenstein,Hedges,Higgins,& Rothstein,2009). 한편,음악치료분야에서의 메타분석 논문은 Standley(1985)의 치/ 의학 처치 연구물에서 음악의 효과 검증이 처음 시도되었으며,1996 년에는 92편의 연구물에서 233개의 변인을 평가하였고,98편의 연구 물에서 208개의 변인을 평가 및 분석하여 음악적 특성을 비교함으 로써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 후 Koger외(1999)는 치매환자에 대한 음악 및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으며,그 외에 미숙아(Standley,2002),정 신장애(Silverman,2003),자폐(Whipple,200 4),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한 자극 감소(Pelletier,2004)에 대한 음악 치료의 효과와 관련되어 다양한 메타분석이 시행되었다. 국내의 음악치료에서도 이와 같은 메타분석 연구가 시도되어 왔 는데,김수희(2002)는 1993년에서 2002년까지의 국내 음악치료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음악요법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시행,모두 38편의 연구물에서 137개의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음악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평가하였다.연구 전체의 평균 효과크기는 1.18로 산출되어 Cohen(1988)이 제시한 기준에서 큰 편에 해당되어 음악치료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또한 임진석(2006)은 1997년에서 2006년까지의 국내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음악치료 전공여부에 따른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한 분석 을 시행하여 총 71편의 연구물에서 22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 과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90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그 외 음악치료를 통한 아동 및 청소년 집단 프로그램 효과(홍은주,여 정윤,2010),정신질환자 대상 음악치료 효과(정미자,2011),일반 청 소년 대상 그룹 음악치료 효과(황은영,2012),신경학적 질환자 대상 음악치료 효과(손수진,2013),저소득층 아동 대상 음악치료 효과(강 해선,2013),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박현경, 2014),성인·노인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김현주,박성옥
  • 15. 4 2014),한국 전통음악을 활용한 국내 연구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메 타분석(박소영,황은영,2013)으로 총 10편의 메타분석 연구가 보고 되었으며 다른 학문에 비해 적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연구의 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들 을 메타분석을 하여 음악치료 효과를 제시하고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을 분석하였다.이것은 향후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 자 료가 되고 연구의 방향성을 갖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연구 논문들의 메타분 석을 통해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효과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해 우울 을 감소하는데 음악치료 활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밝히려고 하 였다.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 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1)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떠한 가? 2)연구 대상(성별,연령,증상)에 따른 음악치료의 평균 효과크 기와 변인별 차이는 어떠한가? 3)중재 방법(적극적 방법,수용적 방법,혼합적 방법)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는 어떠하며 변인별 차이가 나타나는가? 4)중재 특성(총 회기 수,회기별 소요시간,음악 제시 유형,음악 장르,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는 어떠하며 변인별 차이가 나타나는가?
  • 16. 5 Ⅱ.이론적 배경 1.우울 1)우울의 정의 및 개념 우울은 복잡하고 경쟁 위주의 물질 만능적인 현대 사회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정서 중의 하나이다.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실패나 상실과 같이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면 그 결과 일시적으로 우울 한 기분에 젖게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우울한 기분에서 벗어나 정 상적인 삶을 회복하게 된다.이렇듯 좌절 경험 후 일시적으로 경미 한 우울기분을 느끼는 것은 매우 정상적이며 자연스럽다(권석만, 2000). 우울은 정상적 슬픔이나 경도의 불쾌감에서부터 정신병적 특징을 동반한 심각한 우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는데 흔히 일상생활에서의 슬픈 감정 상태와 심한 정신병적 상태를 양극 으로 하는 하나의 연속선상으로 보기도 하고 우울감정,임상적 우울 상태와 우울적 성격으로 나누기도 한다(심미성,2006).이와 같이 우 울은 그 범위가 넓고 학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며 문화나 인 종에 따라 우울 증상의 체험과 표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 에 한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임미화,2010). 우울한 감정은 다양한 심리적 문제가 동반되는데,우울 상태에서 는 우울하고 슬픈 감정을 비롯하여 좌절감,죄책감,고독감,무가치 감,절망감 등과 같은 고통스러운 정서 상태가 지속된다(이경희,방 은령,2011).이러한 정서상태가 지속되면 심한 우울감으로 빠지게 되고 수면부족,식욕상실이나 과식,무기력감,주의 집중력 감소,사 회적 철회,흥미의 상실,활동의 감소,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태도, 죽음이나 자살에 대해 반복적으로 생각하는 것,우는 횟수가 잦아지 는 것 등으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이은선,2006). 그리고 우울감이 점점 지속되면 심각한 우울증으로 이환될 수도
  • 17. 6 있는데 우울증은 기분장애에 포함되며 정상적인 기분의 변화와는 전혀 다른 기분이나 감정이 극단적인 양상을 보여서 일상생활이 어 려운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감정 장애(affectivedisorder)라고 개념 화 되었는데 근래에서는 기분장애(mooddisorder)로 정의하고 있다 (권경미,2009).이러한 우울증의 주요 증상은 우울한 감정 상태에서 나타나는 증상을 포함하여 정서적,인지적,동기적,생리적 측면으로 더 세분화하여 나타나고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정서적 측면에서 슬픔을 비롯하여 좌절감,불행감,죄책감, 고독감,허무감 등의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정서상태가 지속되고 이 때 핵심 증상은 슬픔이다.우울증 상태에서는 슬픔과 상실감으로 인 해 서럽고 침체된 기분이 지속되며 눈물을 흘리며 울기도 한다.둘 째,인지적 측면에서 자신이 무능하고 열등하며 무가치한 존재로 여 겨지는 자기비하적인 생각에 휩싸인다.타인과 세상은 비정하고 적 대적이며 냉혹하여 산다는 것이 힘겹고 버거운 일로 여겨지며 인생 에 대해 허무주의적인 생각이 증가되어 죽음과 자살에 대한 생각을 자주한다.셋째,동기적 측면으로 활력과 생기가 저하되어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하고 쉽게 지치며 자주 피곤함을 느껴 해야 할 일을 미루고 지연시키는 일이 반복된다.넷째,생리적 측면으로 가장 흔 한 것이 식욕 감소로 인한 체중의 현저한 감소 또는 식욕이 증가하 여 갑자기 살이 찌는 경우이다.피곤함을 유난이 많이 느끼고 성에 대한 흥미나 성적인 욕구가 감소한다.소화불량이나 두통과 같은 신 체적 증상을 나타내고 면역력이 감소하여 감기와 같은 전염성 질환 에 약하며 이와 같은 증상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김혜정,2005). 우울증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노르에피네 프린,도파민)이 완전한 기능을 못하는 상황에 빠지게 되어 환자들 은 환경에 적응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것이 우울증으 로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본다.유전적으로 가족 중 우울병 환자가 있는 경우 2-10배 정도 발병률이 높지만,가족력이 없는 사람에게도 발병할 수 있는데 낮은 자존감이나,사랑하는 사람의 성장과정에서 부모와의 사별이나 이별과 같이 경험에 의한 상실에 의해서 나타날 수도 있다.또한,열등감이 심한사람,지나치게 양식적으로 초자아가
  • 18. 7 강한 사람들일수록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김정호,2008). 우울증을 심리학적 원인으로 볼 때,마음을 억제한 결과로 보는데 여기에는 폭력,파괴성,죽음이 포함되어 있다.우울증은 이런 부정 적 감정을 밖으로 나타내지 않게 억압하여 자기책임으로 돌린 결과 라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결국 생물학적,심리적,환경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이난이,2004). 이와 같이 우울이 심각한 질환으로 진전되기 전에 자신의 우울감 을 관찰하여 미리 예방하거나 우울 정도를 낮추고 자신의 정신건강 을 스스로 관리함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민소영,2011).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우울’을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경험하는 스 트레스와 절망감으로 인한 우울한 감정 상태에서 정신병적 특징을 동반한 심각한 우울에 이르는 우울증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 상태를 말한다. 2)대상별 우울의 종류 ①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우울 1960년대 중반 이전까지 대부분의 진단 체계들에서 아동들은 우 울을 경험할 수 없거나 성인에게서 볼 수 있는 우울은 존재하지 않 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Rie,1966).뿐만 아니라 아동기의 우울은 어느 정도 수용한 연구들에서도 단지 이 시기의 우울은 일시적인 것처럼 보고하였고 특정 연령 집단의 아동에게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Lefkowitz & Burton, 1978).그러나 1970년대부터 우울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 아동도 성 인과 마찬가지로 우울을 경험하며 아동의 우울이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Carlson와 Cantwell(1982)은 아동 우울의 정의와 분류를, Kazdin와 Petti(1982),Kovacs(1981)는 아동 우울의 평가에 대한 연 구들을 통해 아동에게도 우울이 실재한다는 사실을 검증해 냈다. Nissen(1971)은 경미하거나 심각한 우울상태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 대한 9년간의 추적연구를 했는데,그 결과 우울 아동의 63%가 추후
  • 19. 8 진단에서도 우울성향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또한 Smucker외 (1986)의 종단 연구에서도 몇 년 간격으로 측정한 우울 점수들 사이 에서 지속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음을 밝혔다.이러한 연구 결과들 을 통해 아동기의 우울은 연속적인 성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생의 초기에 우울 성향이 나타나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며,여러 가지 신체 증상 및 극심한 무력증,피로감,권태감의 증상을 보이고 비행 등과 같은 문제 행동,부적응행동과도 연관되어 있다고 나타났 다. 안윤영(1998)은 아동이 지니고 있는 우울한 감정은 겉으로 쉽게 드러나기보다 모르고 지나칠 수 있으며,이로 인해 우울은 더욱 깊 숙이 마음속에 자리 잡게 된다고 한다.아동기 우울은 성인 우울과 그 표현이 유사하나 우울한 기분 대신 짜증,신체증상,무단결석,과 잉 활동,공격적 행동 등의 ‘가려진 증상(masking symptoms)’으로 나타난다(Glaser,1967)고 하여 Kovacs와 Beck(1977)은 아동기 우울 증은 성인 우울증과 핵심정인 증상은 유사하나 아동만 경험하는 증 상이 있으므로 아동기 우울증을 구별해서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하였 다. 그리고 아동기 이후 청소년기로 갈수록 우울은 평균적으로 증가 하는 경향을 보이는데,우울을 포함한 많은 심리적 문제들의 발생은 청소년기가 성인기로 향해가는 변화와 격동의 시기이며,성취해야 할 발달 과업이 많은데 비해 인지적으로 미성숙하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한유진,1993). 청소년에게 우울은 인지적·정서적·행동적 측면 등 여러 부분에서 역기능을 초래하게 한다.우울이 높아지면 인지적으로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상태가 계속되어 집중이 되지 않고 기억력이 저하되어 우 유부단하게 되기 쉽다.또한 사고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학업에 심한 어려움을 겪게 될 수도 있다.뿐만 아니라 행동과 사고가 느려 지므로 활기가 감소하여 행동이 둔화되고 때로는 초조하고 불안정 한 행동으로 나타나며,심한 경우 자학적 행동이나 자살과 같은 극 단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이와 같이 청소년기의 우울은 성 인으로 성공하기 위한 사회적 발달,학문적 이행 등을 수행하는데
  • 20. 9 어려움을 줄 수 있다(방성아,2012). 그러므로 아동 및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우울이 발달 과정에서 일 시적으로 기분이 침체되었다가 사라지는 가벼운 우울일 경우 크게 우려할 일은 아니지만 이른 시기에 발생한 우울증일수록 자주 재발 하고 유병기간도 오래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심각한 정도의 우울 이 상당기간 지속될 때에는 관심을 갖고 지켜보며 주변인의 도움이 나 의사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② 성인에게 나타나는 우울 우울증은 거의 모든 나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평균적으로 처음 발병하는 연령은 20대 중후반으로 성인에서의 우울 유병율은 20%이 상이며 다른 연령에 비해 높은 편이다.성인의 경우 연령대별로 우 울의 유발요인은 조금씩 다른데 20-30대의 경우 연애와 취직 등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데서 오는 좌절감으로 인해,40-50대의 경우 남성은 조기 퇴직이나 실직으로 인한 상실감,여성은 폐경에 따른 신체 변화와 자식들이 장성해 품을 떠난 뒤 느끼는 ‘빈 둥지 증후군’ 과 같이 신체기능과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성인 여성(15-25%)은 성인 남성(5-12%)에 비해 2배 이상 우 울증에 더 잘 걸리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송후림,2010). 여성에게 우울증이 많은 이유는 사회적인 환경 때문도 있지만 여 성이 임신과 출산,그리고 호르몬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고 있다는 것이 큰 영향을 미친다.대부분의 여성은 삶의 과정에서 임신과 출 산을 경험하게 되는데,출산은 여성의 단순한 신체적인 경험이 아니 라 정신·사회적 상호작용과 인지과정에 영향을 주는 총체적인 경험 이다(Hans,1986).특히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산욕기는 발달위기 를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는 내분비 변화,신체상 의 변화,임신과 관련된 심리적인 갈등의 활성화 및 어머니가 되는 데 대한 새로운 내적 적응문제로,신체적·생리적·심리적 및 사회적 부담들이 작용하여 산후 우울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또한,여성 은 45세에서 55세 사이에 난소에서 생성되는 여성 호르몬(에스트로
  • 21. 10 겐)의 분비가 갑자기 줄어들게 되고 이 결과로 생리 현상이 중단되 는 폐경이 나타나게 된다.(송후림,2010).여성은 폐경을 경험하는 것으로 인해 성호르몬 분비가 감소되고 중년기 우울증이 나타나며 늙었다는 불안감이 쌓이게 된다.(윤진,1985). 한편,성인 우울증의 경우 부정적 사고와 낮은 자존감,중독,성격 유형,가족관계,대인관계기술,경제적 문제,주변 환경의 급격한 변 화 등 삶의 전반적인 다양한 요소들과 관련이 있다.일반적으로 우 울한 개인들은 자신감이나 정서적인 안정성과 같은 긍정적인 성격 특성들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그리고 사회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 에 더 많은 대인관계 문제를 일으키며,부정적인 인생사건을 더 많 이 야기 할 수 있다(이병주,2007).나아가 우울증이 심해지면 자살 에 대한 생각이 증가하고 실제로 시도하는 경우도 나타나게 되며 우울은 가정과 직장에서의 생활을 망가뜨리고 행복한 삶을 느낄 수 없도록 만드는 파괴적인 질환이 될 수 있다. ③ 노인에게 나타나는 우울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신체적으로 쇠약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경제적으로 의존적이기 때문에 쉽게 우울증에 빠질 수 있다(홍인실, 2008).노인 우울은 일차적 우울(Primarydepression)과 이차적 우울 (Secondarydepression)두 가지 범주로 분류가 되는데 일차적 우울 은 개인의 심리와 감정 변화요인에 의하여 나타나게 되며,이차적 우울은 외부 생활의 사건이나 신체적 질병 등으로 인하여 나타난다 (Cohen,1990).노년기 우울은 다른 연령대보다 이차적 우울이 더 높게 나타나며(고승덕,손애리,최윤신,2001),유전과 약물의 부작용 과 노화로 인한 질병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스트레스로 인해 외 부적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응성 우울로도 나타나기도 한다(한삼성,2010). 임상적 특징으로 수면부족,피곤,식욕상실이나 과식,무기력,주의 집중력저하,생산성과 활동의 감소,사회적 기회 철회,흥미의 상실, 미래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죽음,자살을 반복적으로 생각하고 우
  • 22. 11 는 횟수가 잦아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임선영,2009).우울은 치매 증상과 유사하게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기억력 감퇴와 인지기능 저 하를 많이 호소하여 지남력 장애와 기억력 장애로 오인되기도 하며 (기백석,1996),일반적인 노화로 인한 질환의 증세와 비슷하므로 정 상적인 노화의 과정으로 보기도 한다(이수애,이경미,2002). 노인 우울 관련 요인을 자세히 살펴보면,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사회적 지위와 정신적 무력감으로 인하여 우 울정도가 높고(김현선,2007;최영애,2003),결혼을 하지 않은 노인 이 더 우울한 경향을 보였으며,이혼,별거,배우자와 동거 순으로 우울정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이인정,2007). 신체적 요인으로 건강상태가 우울과 직결되어 있어(장민정,2003), 건강정도에 따라 우울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노병일, 2005).노인의 신체 건강상태나 일상생활수행능력(ADL)이 낮거나 (이미진,이가옥,2005),뇌졸중이나 고혈압과 같은 노인성 질환을 가지고 생활하고 있는 경우 우울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다(배재남,2001).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관계와 가족의 지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을 하는데,가족과 친구의 지지가 낮거나(허준 수,유수현,2002),경제적 소득활동이 없고 생활사건의 경험이 많을 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배지연,2004).마지막 심리적 요인 으로는 자아 존중감,스트레스,삶의 만족도 등으로 나타나는데,신 체적 기능의 저하 및 사회적 지지의 약화,대인관계가 적거나 스트 레스가 높은 것과 같이 심각한 정서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가 능성을 내포하고 있을 경우 우울 정도가 높고,사망률 또한 높게 나 타나고 있다(조은희,전진호,이상원,2000). 이처럼 단순한 정서상의 장애만이 아니라 삶의 질을 감소시키고, 일상생활능력을 떨어뜨리며,사망률이나 자살율과도 관련이 있는 것 으로 알려진 우울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는 노인의 경과 및 예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 우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 다(지혜련,2003).
  • 23. 12 2.우울과 음악치료 1)우울과 음악 음악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연구 결과들은 1950년대부터 거론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발표되고 있으 며,그 효과의 입증도 매우 활발하다.음악치료에서는 음악의 카타 르시스 작용으로 정서 장애자의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고 환자를 회복시켜 사회로 나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Benezon, 1981).또한 음악치료는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법과 환경을 다스리는 법,감정표현을 돕는 등의 접근을 통하여 우울증으로 당면한 사회 적,행동적 문제들을 교정하며 개선시켜 가는데 기여한다(최병철, 1999).이는 음악치료가 우울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ovacs(1981)는 우울의 증상을 우울한 기분이나 외로움 등으로 표현되는 우울 정서와 대인 관계 장애로 나타나는 행동장애,일상생 활에서의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로 나타나는 흥미 상실,부정적인 자 아상의 자기비하,불면이나 피로감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증상과 같 이 하위요인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는데 이는 음악의 심리적,사회적, 생리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다. 첫째,우울의 하위영역 중 ‘부정적 자기상’에 해당되는 것은 자아 존중감 향상과 연결되어 음악의 사회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최병철(1999)은 우울증의 치료 목표로 자긍심의 회복을 들었 는데,이는 환자가 느끼는 무기력과 공허감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회 복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음악치료 그룹 활동에 참여하는 대상은 음악적 또는 사회적 배경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활동에 참여하여 그 룹 활동에서 인식되는 자기성찰의 과정과 경험을 통해 자아 존중감 을 높이게 된다.즉,자기 스스로에 대한 신뢰나 깊은 만족감을 경 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Gaston(1968)은 음악이 자기성찰을 통한 자긍심(self-esteem )의 증진을 가져올 수 있다고 강조하는데,음악은 비경쟁적 성취를 허용하므로 그룹 속에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자기상 대신 긍정적이
  • 24. 13 고 바람직한 자기상을 갖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Sears(1968)도 음 악과 음악활동은 만족감의 기회를 제공하고,자아 존중감을 증가시 켜 준다고 주장하였는데,음악 활동을 통한 보상의 결과로 멋진 연 주,작품 등이 나타날 때 연주나 활동,작품 속에 함께 한 자신의 역할이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자긍심의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보았 다.음악치료를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Boxill(1984),Lathom(1980)의 연구에서 그룹에서의 악기연주활동을 통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긍심이 증진되었음을 볼 수 있고, 정서장애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증진에 사용되는 음악치료의 효과 를 보여준 연구도 있다(Haines,1987).또 Feed(1987)는 알코올과 약 물중독으로 인한 충동조절장애를 가진 성인들에게 노래 만들기 활 동이 자아 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었음을 증명하였고,Ice(1985)는 노인 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여자 노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 으로 GIM(GuidedImageriesandMusic)을 적용하여 음악치료가 긍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국내 연구에서도 김계영(2000)은 즉흥연주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 아개념 향상에 효과적임을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하였고,한희원 (2002)또한 성악즉흥기법이 음성증상을 지닌 성인 정신분열증 환자 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것을 밝혔 다. 둘째,우울의 하위영역 중 ‘우울정서’는 음악이 인간에게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는 음악의 심리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음악의 신비한 힘은 잠재해 있는 인간의 내적 감정들을 분출 시키거나 각성시켜 주고 우울 감정을 해소하게 한다(Beck,1976). 음악이 인간의 심리적 반응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에서 Aigen(1990)은 정신분열증으로 진단된 환자에게 즉흥연주 위주의 음악치료를 실시한 결과 외로움,절망감,우울감의 개선에 있어서 많은 효과를 보았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McKinny(1997) 등은 GIM(GuidedImageriesandMusic)이 인간의 기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음악치료의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우울감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 25. 14 우울한 사람에게 동질의 원리를 이용하여 우울한 음악을 계속 틀 어준다면 ‘우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더 깊은 우울에 빠지게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다.그러나 이것은 일시적으로 상황이 악 화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정점에 이르러서는 포화상태에 이르 러 감정의 응어리를 분출해 내게 되기 때문에 이것을 계기로 자기 치료가 시작된다.이것을 카타르시스라고 하며 이 카타르시스 이론 은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 Aristoteles에 의해서 이미 정립된 이론이 다.음악에 의한 감정의 발산이 치료에 큰 효과가 있음을 단적으로 나타내주고 있으며 이것은 간혹 우리가 실컷 울고 난 후 기분이 후 련해짐을 느낄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김영희,2004).국내 연 구로는 나미희(1999)가 노인복지관의 노인을 대상으로 음악활동을 시행한 결과 우울감이 감소되었음을 밝혔고,진소영(2001)도 초등학 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음악활동을 실시하여 우울 정서 영 역에서 큰 감소가 나타남을 입증하였다. 셋째,우울의 하위영역 중 ‘흥미상실’과 ‘행동문제’에 해당되는 것 으로 이것 또한 인간에게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을 하는 음악의 사회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우울한 사람에게 대표적으 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대인관계의 부족을 들 수 있는데,음악은 관 계의 증진을 위한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음악이 사 회적 행동이라는 것(Gaston,1968)과 음악치료는 그룹 속에서 다른 사람과 관련된 경험이라는(Sears,1968)이론은 모두 사람들을 공통 된 활동으로 이끌고,집단 응집력을 높이는 역할자로서의 음악의 기 능을 강조하고 있다.그룹 음악활동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존 재라고 느낄 기회와 함께 개인을 집단으로 통합하여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Merriam(1964)역시 음악의 큰 기능중의 하나로 개인을 그룹으로 통합시키는 것으로 보았고 여기에는 음악이 사람에게 만족과 즐거 움을 주며,내부적 외부적 동기제의 역할을 하며,에너지를 고양시 킨다는 기본원리가 있다(김영희,2004).그러므로 우울을 가진 대상 자에게 나타나는 활동력의 저하증세를 줄이고,바람직한 활동을 이 끌어내기 위해 음악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 26. 15 넷째,우울의 하위영역 중 ‘신체증상’은 음악이 인간의 자율신경에 영향을 끼쳐 생리적,신체적 반응을 유발하는 음악의 생리적 기능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Gaston(1968)은 음악의 요소인 리듬이 근 육의 동작을 자극하고 신체동작을 유발한다고 하였다.음악은 뇌혈 류에 영향을 주어 조용한 음악은 뇌혈류를 느리게 하고 혈량을 감 소시키며,행동적인 음악은 뇌의 순환을 증가시켜 감정을 자극한다 (Buckwalter,Kathleen,Hartsock& Gaffney,1985). Hanser(1990)의 연구에 의하면 음악은 우울증 환자가 흔히 겪는 수면장애를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는데,이는 음악의 구성 요소 중 리듬과 템포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고명환 (2002)은 협화음의 진정성 음악은 멜로디의 상승하강 기복이 적고, 근육의 이완을 유발하여 명상적,진정적 효과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또한 협화음의 진정성 음악은 엔돌핀의 생성과 정서적,인지적 행 동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 요소로써 심리적,생리적 반응을 유 발시킨다(Thaut& Smeltekop,1990).박진숙(2009)은 결손가정 아동 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치료를 적용한 결과 신체,우울의 생리적인 요 인 역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고 밝혔다.이는 음악이 우울의 구 성요소인 신체적 증상을 개선시키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음악은 우울을 치료하는데 타당하고도 친 숙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들을 고려해 볼 때,음악이 우울에 영향 을 미치며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선행연구 ① 아동 및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음악이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타나면서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수준을 낮추는데 음악 치료가 효과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우울한 아동들의 공통적인 성향은 낮은 자아 존중감,대인관
  • 27. 16 계 부족 및 활동력의 저하로 나타나는데(안윤영,1998),음악활동은 긍정적 자아감과 원만한 대인관계 증진 및 활동력을 증가하는 치료 적 목적을 중심으로 우울 아동의 우울 수준을 낮추는데 도움을 주 고 있다. 아동기 우울과 관련된 음악치료 연구들을 보면,진소영(2001)은 우울 성향이 높은 초등학생에게 노래 부르기와 song writing,즉흥 연주와 같은 다양한 음악 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아동의 우울 성향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고,이재욱(2001)은 초등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음악활동 프로그 램을 구성 후 실시한 결과,우울의 하위 요인 중 부정적 자기상이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되었고 음악 활동에서의 성공감과 자연스러운 표현이 아동에게 자신감을 심어주어 긍정적인 자기상을 형성시키는 요인이 된 것으로 설명하였다.또한,집단음악치료를 통해 결손가정 아동의 우울,불안,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박진숙 (2009)은 우울 전체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음을 밝혔고 특히 우 울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음을 보고했다. 한편,음악은 정서적으로 민감한 청소년들에게도 거부감을 주지 않은 좋은 자극제로 작용할 수 있다.서승미(2005)는 청소년들의 음 악 감상과 음악적 행동을 살펴본 결과 일상에서 휴식을 취할 때나 우울하고 외로움을 느낄 때 음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거나 해소하는 계기를 갖는다고 보고하였다. 우울 성향을 지닌 중학생의 우울 감소를 위해 노래 부르기,악기 연주 등의 음악활동을 통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안미라 (2003)는 우울 하위 영역인 자기 비하,신체증상,흥미상실,행동문 제,우울정서의 감소에 효과성을 보고하였고,정현주(2002)는 청소년 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음악활동을 활용하여 우울 및 정서장애에 대 한 음악치료 효과성을 입증하고 이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실시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중 악기 연주,노래 만들기 등의 적극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다 고 보고하였다.마지막으로 김정은(2002)은 집단음악활동을 학교 부
  • 28. 17 적응 청소년들에게 실시한 결과 집단음악활동이 억눌린 감정표현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 음악활동이 사용되어 우울 감소에 유 의미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음악치료가 우울로 인한 청소년 문제행 동 예방 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② 성인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음악이 지닌 특성은 성인의 우울감소를 위한 심리적 중재로서 적 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음악은 어느 시대나 사회를 막 론하고 즐거움을 수반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있 으며,음악이 주는 즐거움은 인간내면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면서 깊 은 심미적 경험까지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뿐만 아니라 음악은 정서의 환기(Berlyne,1971)및 수정(Thaut,1991)을 통해 긴장이완 및 스트레스 완화나 정서 변화 등의 구체적인 행동들을 조절한다. 특히 음악은 평소 표현하지 못한 생각이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 하게 하여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도록 하는데,이는 음악활동이 심리 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자신의 욕구를 방출 할 수 있는 배출구를 제공하여 부정적인 정서들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줄 수 있기 때문이 다(지은미,2002).이와 같은 음악의 특성은 성인의 우울을 감소시키 기 위한 안전하고 적절한 치료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틀을 제공 하여준다. 음악은 대상자의 생리 및 심리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 이며,내면의 분노와 적대감이 안전하게 표출되는 기회를 마련해 주 어 우울증과 그 밖의 부정적인 정서를 순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산모를 대상으로 음악의 효과를 입증한 국내연구에서 김지현 (2009)은 출산 후 4일-7일째인 산모를 대상(산후 우울정도 EPDS평 균 7.14)으로 산후우울 감소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심상 유도 된 음악감상,노래 부르기,노래 만들기,악기 연주 등으로 이루어진 음악 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연구결과 산후 산모의 자아존중감,모 아애착을 향상시키고,산후우울과 불안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입증하였다.이선미(2008)는 산모에게 선호하는 음악
  • 29. 18 의 CD를 제작하여 매일 40분씩,8일 동안 각 대상자의 조리원 호실 에서 음악을 감상하게 한 후 산후우울을 측정하였다.결과 산후우울 감소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음악 감상이 산후우울 감소에 효 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임현정(2009)또한 노래 감상을 통해 산모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탐색하고 통찰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자신 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표출함으로 정서조절이 가능해졌다고 보고하였다. 중년 여성의 우울감소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오정숙(2002)과 최은진(2003)은 음악 감상과 능동적 음악활동을 실시하여 우울성향 이 감소됨을 보고하였고,권정희(2002)는 음악 감상 외 노래 부르기, 즉흥연주,songwriting등 다양한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중 년 여성의 우울 감소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제시하였다. ③ 노인에게 나타나는 우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우울 노인에게 음악을 사용하여 활동을 할 때에는 처음부터 빠른 음악을 사용하는 것보다 기분 상태와 변화에 맞추어 음악을 적용하 도록 하여야 하며,비자극적인 음악을 시작으로 하여 점차적으로 자 극이 높은 음악을 사용하면서 음악을 통한 정서적 각성을 유도하여 우울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정현주,2005).이러한 정서적 변화는 기분전환을 유도하고 긴장을 이완할 수 있도록 하며, 즐겁고 활동적인 음악에 반응하여 좋은 기억과 연상들을 불러 오기 도 한다.또한 심리상태를 적용시켜 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성공적 인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여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끼도록 하고 활동 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며,음악 구조의 예견성을 이용하여 음악 요소들의 예견되어진 흐름들을 통하여 익숙하고 친 숙한 음악 안에서 구조적인 틀을 제공함으로서 불안조절이나 스트 레스,자제력,사회통합 등을 성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Clair& Memmott,2009). 이처럼 노인 우울은 노화로 인한 심리,정서적 문제와 연결되어 있어 자신감을 상실하고,기능의 약화로 인하여 불안과 긴장감을 갖
  • 30. 19 게 되는데,이 때 음악은 심리적,생리적 도구로써 긴장이완을 유발 시켜 몸의 경직성 감소와 안정성을 유도할 수 있고 성공적인 경험 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자긍심과 자아실현의 경험을 갖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음악을 활용하여 우울 노인에 대한 우울을 감 소시키는데 음악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것을 여러 연구들을 통해 확 인할 수 있었다.이주희(2011)와 유미나(2009)는 시설 집단에 거주하 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음악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우울 감소와 대상자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Suzuki(1998)는 우울 경향을 보이는 노인에게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우울이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났음을 밝혔고,치료적 음악활동 중 악 기 연주 활동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울에 치 료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치매 노인의 경우에서도 리듬연 주,표현 중심의 악기 연주,재창조 연주,즉흥연주를 이용한 음악활 동이 치매 노인의 우울과 정동/무감각 증상의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이일경,2009). 이처럼 노인 음악치료 활동에서의 음악의 노인들에게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성취감을 경험시켜주며,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그룹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우울을 감소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메타 분석 1)메타 분석의 정의와 특징 메타분석은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중재 연구들의 결과를 과학적으로 종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분석 방법이다(Borensteinetal,2009).메타분석은 방법적인 측면에 있어 차이가 있는 연구물들을 종합하고 중재에 대한 효과크기를 계 산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해 준다.이를 통해 다양한 연구방법으로 실행된 연구들로부터 효과적인 중재에 대한 결과를 객관적으로 도
  • 31. 20 출하여 증거 기반의 실제에 대한 결과를 이끌어 내는 것을 가능하 게 해준다. Glass(1976)가 처음 메타분석이라고 명명한 후,많은 비판을 극복 하고 방법론적인 발전과정을 거쳐,현재 심리치료 분야에서는 이미 이러한 메타분석 방법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고용남,2010;김윤 지,2007;박승민,2009;임영아,2013;장명희 2012). Glass(1976)는 메타분석의 특징을 세 가지로 요약하였는데 첫째로 메타분석은 수량적이라 설명한다.즉 많은 연구 결과들을 함축적으 로 분류하고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원 자료를 사용하는 대신 요약통계(summary statistic)를 사용한다. 둘째,메타분석에서는 효과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연구들 을 통합한다.서로 상이한 연구 결과들이라도 전체적인 결론을 도출 하기 위해서는 분석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셋째,메타분석은 일반 적인 결론을 도출한다.서로 다른 효과크기들에서 일반적인 결론을 내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구들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차이는 무시해 도 무방하다는 전제하에 일반화가 가능하다(박현경,2014). 2)메타 분석 주요개념 ① 효과크기 개별 연구들의 각기 다른 산출한 효과크기(effectsizes)를 통합하 기 위해서는 하나의 공통된 단위로 변환시켜야 하는 절차가 필요하 다.메타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효과크기 계산은 표준화된 평 균차로 나타내는 효과크기와 통계적 유의성 검정으로서의 메타분석 법,상관계수의 효과크기,분할표집의 메타분석방법으로서 승산비의 효과크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오성삼,2009). 효과크기의 계산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활용된 효과크기 산출방 법은 표준화된 평균차(theStandardizedMeanDifference)로 표준화 된 평균 차를 계산하는 방법은 Hedges'sg방정식과 Cohen'sd방 정식 그리고 Glass'sindex 방정식이 있으며 연구에 활용된 방법은
  • 32. 21 Hedges'sg:      Cohen'sd:      Glass'sindex:       Hedges'sg방정식이다<표 1>. <표 1> 효과크기 Hedges'sg방정식 3가지 방정식은 분자가 평균의 원 차이로 이뤄진 것이 같지만 그 차이는 분모를 구성하는 표준 편차에서 나타난다.Hedges'sg방정 식은 각 그룹의 인구 표준 편차에 대해 수집한 추정치를 이용하고, 이와 유사하지만 Cohen'sd방정식은 수집한 표본 표준 편차를 활 용한다.이러한 표본 표준 편차는 보다 큰 표본보다 적은 표본에서 과소 추정한 인구 표준편차에 편향된 추정치이다.그러나 보다 적정 하게 큰 표본 크기를 가진 g와 d는 사실상 같다.그래서 두 지표는 구별되지 않는다(Card,2012). 이와 같이 표준화된 평균차를 활용하여 효과 크기를 산출 하고 난 후 효과 크기에 대한 해석을 통해 연구에 대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으며 Cohen(1988)은 메타분석으로 얻게 되는 평균효과크기에 대한 해석에 대한 기준을 제시했다.효과의 크기는 ‘.20이하’는 ‘작은 효과크기’,‘.50’은 ‘중간 효과크기’,‘.80이상’은 ‘큰 효과크기’로 해석 한다. ② 동질성 검정과 분석 모형의 선택 전체적인 효과 크기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먼저 동질성 검사를 통 해 각 연구에서 추출된 효과크기들이 같은 모집단에서 추출된 것으 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동질성 평가를 해야 한다.메타 분석에서 동질성 검정은 Q통계치를 이용하고 카이스퀘어 분포를 따르며 연구 결과의 분석을 위해서는 고정 효과 모형(fixed-effectsmodel),랜덤
  • 33. 22 효과 모형(random-effects model),고정효과범주분석(fixed-effects categoricalanalysis)3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동질성 평가는 분석 모형을 선택하거나,만약 이질적이라면 그 원인 규명을 위해서 연구들의 특징(moderatorvariable)에 따라 효과크기를 측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전제가 된다(박은영,신인수,2012).Higgins,Thompso -n,Deeks와 Altman(2003)에 따르면 동질성 (  )은 25%이면 낮은 수준,50%이면 중간,75%이면 높은 수준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③ 출판 편향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이란 논문으로 출판된 결과들만 사용 해서 메타 분석을 실시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편향을 의미한다.메타 분석은 대규모 연구뿐 아니라 소규모로 진행된 연구들에서도 사용 가능한 방법이지만 대규모 연구에 비해 소규모 연구에서는 작은 효 과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우므로 출판되기 어렵다.결국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연구는 출판된 가능성이 높게 되지만,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연구는 출판된 가능성이 상대적 으로 낮아지게 된다.이러한 이유 때문에 출판된 연구결과들을 근거 로 수행된 메타분석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인 연구들이 유의하지 않은 연구들 보다 더 많이 포함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결과적 으로 메타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만 반영되어 결과 또한 왜곡될 수 있을 것이다(김경주,2011). 따라서,출판 편향이 발생한 경우 메타분석 대상 표본이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기에 분석결과의 신뢰성과 타당 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그러므로 분석 전 메타분석 할 표본의 편향성을 미리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박현경,2014). 3)메타 분석의 절차 Jackson(1980)은 메타분석 절차를 단계를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단계는 연구를 위한 질문이나 가설을 설정,2단계는 통합 연구를
  • 34. 23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선정,3단계 연구의 자료들을 코딩하거나 연구의 특성을 밝혀낼 수 있도록 데이터 평가,4단계 연구 결과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통합하고 분석된 자료를 해석하는 단계,마지 막 5단계로 메타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작성하는 것으로 나누 어 이야기한다<표 2>.
  • 35. 24 <표 2> 메타 분석 절차 1단계:연구문제 설정 최근 연구 경향을 반영하여 연구 문제 설정 2단계:데이터 수집 핵심단어와 복합어를 선정하여 데이터 검색 초기 연구목록을 선정하고 검색결과를 검토 효과크기의 통계적 변환 실시 후 변수목록의 재구성이 필요하여 코딩지 수정 3단계:데이터 평가 코딩지 구성(유목별 변수로 나누어 코딩) 개별 연구 내용이 반영되도록 구성 4단계:데이터 분석 연구의 전체 효과크기,변수별 효과크기 분석 동질성 검정 효과크기의 신뢰구간 설정 효과 크기 통계적 변환 5단계:결과 보고 결과 데이터 보고
  • 36. 25 4)음악치료에서의 메타 분석 선행연구 음악치료 연구 분야에서는 Standley(1986)가 가장 처음으로 양적 연구들의 변인간 효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메타 분석을 시도하였다.Standley(1986)는 1950년부터 1985년까지 치/의 학 분야에서 음악치료와 관련된 논문 81편 중 메타분석 조건에 맞 는 30편을 대상으로 음악치료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와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범주화하여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음악치료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98로 Cohen의 해석 기준 에 따라 0.8이상으로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이 후 Standley(19 96)는 다시 연구를 보완 및 수정하여 92편의 연구물에서 233개의 변 인을 평가하여 1.17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와 정상분포곡선 하에서 88%로,38%만큼의 향상을 보여 음악치료가 치/의학 처치 상황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계속해서 Standley는 음악치료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도하였 으며,1996년에는 교육과 치료를 목적으로 음악을 강화재로 사용한 98편의 연구물에서 208개의 변인에 대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그 결과,조건적 음악이 비음악적 조건이나 지속적으로 음악이 주어질 때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고,음악과 함께 주어진 다른 강화물 (음식물,시각적 자극 등)은 강화제로 가치를 감소시켰으며,음악 자 체가 강화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을 밝혔다(강해선,2013).또한, Standley(2002)는 미숙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한 결과,0.83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보였다.결과를 통해 신 생아가 음악과 음악이 아닌 소리를 구분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Standley의 연구를 기반으로 음악치료 연구 분야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대상과 주제를 목적으로 메타분석 연구가 이어져 오고 있다. Koger외(1999)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에 대한 21편의 연구물을 메타분석 하였고,시행한 결과 전체 효과 평균크기는 0.79, 정상분포 곡선 하에서는 79%로,치매 환자에게 있어 음악치료가 유 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도 하였다.Silverman(2003)은
  • 37. 26 중증 정신 장애를 대상으로 음악치료를 적용한 논문 19편을 수집하 여 메타분석을 하였다.그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0.71로 중간 정도 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변인별 분석에서 녹음 음악보다 라이브 음악이,수동적 감상(passive listening)보다 구조화된 음악치료(all MT techniques)가,비클래식 음악보다 클래식 음악이 치료사의 선 택보다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을 제공했을 때,더 큰 효과크 기가 나타나는 것을 밝혔다. 또한,Gold 외(2004)는 정신질환을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 로 음악치료를 적용한 논문 11편 중 이상치의 값을 갖는 하나의 연 구를 제외하여 10편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행한 결과 0.61의 전체효과를 밝혔다.변인별 분석에서 행동적 진단이 발달적과 감정 적 진단의 문제보다 큰 효과크기를 보이고 아동보다 청소년,절충주 의 접근의 음악치료가,발달과 자아개념,사회기술보다 행동적 결과 에 초점을 둔 연구에 더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음을 입증하였다.자 폐증을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악의 유무 환경을 비교한 9개의 양적 연구를 메타 분석한 Whipple(2004)은 연구에서 0.77의 전체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분석 결과 비음악적 환경보다 음악적 환경에서 치료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치료 디자인,대상자의 연 령 그리고 음악의 용도,출처 유형,치료 기법,치료사 유형 간의 효 과크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고하였다. Pelletier(2004)는 22개의 연구들을 통해 스트레스로 인해 각성된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따른 음악의 영향을 메타 분석하여 .67의 평 균 효과크기를 제시하였다.마지막으로 Gitman과 Karina(2010)는 의 학적/정신적 질병을 가진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음악치료를 적 용한 논문을 각각 9편,12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연 구 결과 평균 효과크기는 0.54와 0.52로 산출되어 중간 정도를 나타 냈으며 의학적 질환은 입원환자,11세 미만 어린이일 경우,정신적 질환은 연령이 혼합된 집단일 경우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가 나타났 다. 한편,국내의 음악치료에서도 이와 같은 메타분석 연구가 시도 되 어 왔는데,김수희(2002)는 1993년부터 2002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 38. 27 논문 38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하였다.그 결과 1.18의 전체 평 균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언어와 정서 영역에서,음악치료 활동 이 외의 활동을 혼합한 형태의 활동이,총 14회기 이상,대상이 9명 이 하일 때 큰 효과를 보였다.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임진석(2007)은 1997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 학위 논문 71편을 수집하여 음악치료 전공 여부에 따른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행한 결과 0.90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제시하였고,음악치료 전공자와 비전 공자의 연구물을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 만 전공자의 연구물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고 밝혔다. 여정윤과 홍은주(2010)는 대상의 범위를 아동과 청소년으로 한정 하여 77편의 논문을 메타 분석하였다.연구 결과,전체 평균효과 크 기는 0.14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아동이 청소년보다 효과가 컸으며,사회적 발달 영역에서,21회기 이상 진행했을 때 가장 효과 적이었다.정미자(2011)는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정신질환자를 대 상으로 20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0.36의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 고하였다.독립변인에서 인지 행동적 음악치료가,종속변인에서는 행동 영역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연령별에서는 노인층 이,치료횟수와 시간은 12회기와 45분의 구성에서 큰 효과크기를 나 타낸 것으로 밝혔다.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 음악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음악치료 연구 27편의 논문을 분석한 황은영(2012)은 전체 평 균 효과크기가 -0.14를 나타내었다.행동 영역에서 수용적인 방법과 적극적인 방법을 함께 적용했을 때,치료 횟수가 1-15회기였을 때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손수진(2013)은 신경학적 질환자를 대상으 로 한 국내외 음악치료 연구 논문 47편을 분석한 결과 0.49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나타냈다.국내와 국외의 신경학적 질환자들 사이 에 효과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으며,음악치료 프로그램과 개인/그 룹 비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19편의 논문을 분석한 강해선(2013)은 전체 평균 효과 크기가 1.33을 나타 냈다.연구 대상이 11-15명일 때,저학년 집단에서 프로그램 진행
  • 39. 28 시간이 60-100분 이상일 때,아동의 선호도를 고려해 선곡했을 때 큰 효과를 보였다.마지막으로 박현경(2014)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 43편의 논문을 메타분석 시행 한 결과 0.859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음악치료가 모든 연령대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청소년에게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다.그 리고 유형별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일상 스트레스에서,적극적 방 법이 수용적 방법과 혼합보다 근소한 차이로,음악치료 전공자의 세 션이,클라이언트 선호 음악을 사용 시,총 8회기 이하,회당 60분 이상 진행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밝혔다.
  • 40. 29 Ⅲ.연구 방법 1.연구대상 선정 및 수집 연구의 메타 분석에 쓰일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 정보원(http://www.riss.kr),국회도서관(http://www.nanet.go.kr),국 립 중앙 도서 관(http://www.nl.go.kr),국가 과학 기 술정 보센 터 (http://scholar.ndsl.kr)에서 음악,음악치료,우울의 키워드를 사용하 여 최근 15년간의 자료를 검색하였다. 연구의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해,수집한 논문들의 선정 근거는 다 음과 같다.첫째,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비교,집단 간 비교 연구,단일 집단의 사전-사후를 비교한 실험연구의 논문들 중 에 효과크기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수치(평균,표준편차)가 제시되어 있는 양적 연구 중에서 수집하였다.둘째,연구자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연구는 투고하지 않는 경향으로 유의한 결과만 나타나는 연구만을 선별적으로 게재하는 학술지에 실린 연 구로 메타분석을 할 경우,효과가 과대 추정될 수 있다.이에 반해 일반적으로 석·박사 학위 논문들은 다소 적은 효과크기를 보이는 경 향이 있다.이것은 석·박사 학위 논문들이 보다 보수적이고 엄밀성 을 띄기 때문이다(오성삼,2002).따라서 메타분석의 결과가 한쪽 경 향으로 치우치지 않게 하기 위해 학회지의 논문들과 석·박사 학위 논문들을 함께 수집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 설계 모형이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효과크기 계산에 필요한 통계 값을 충분히 제공하지 않 는 연구물,양적 자료가 제시되지 않은 기술 및 질적 연구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최초 검색 시 검색된 논문 수는 학위 논문 472편,학술지 논문 162편이었고 국회도서관,국립중앙도 서관,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를 통해 새로운 논문 17편을 추가했다. 그리하여 총 651편의 논문을 수집하였고 위의 선정 기준에 부합되
  • 41. 30 2000년- 2005년 2006년- 2010년 2011년- 현재 학위 21 28 28 학술지 10 17 14 지 않는 논문 505편과 학술지와 내용이 중복된 논문 28편을 제외하 여 학술지 논문 39편,석·박사학위 논문 79편으로 총 118편의 논문 이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연도별 분석 논문의 수는 <표 3>과 같다. <표 3> 연도별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수 2.자료의 코딩 최종 선택된 분석 대상 논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코딩매뉴얼 을 제작하였다.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코딩은 연구자명,연구 대상, 출판년도,출판 유형,중재 방법,중재 특성 등으로 범주화하여 코딩 하였다.연구에 사용된 분석대상 논문 118편의 출판년도와 출판 유 형,연구대상,중재 특성 및 연구 설계 모형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 는 <부록 1>에 제시되었다. 3.자료의 처리 및 분석 1)통계처리 채택된 논문들의 내용인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및 표본 크 기,저자,출판년도와 출판 유형,연구 대상의 특성,총 회기,회당 소요 시간,중재 유형,음악사용 등을 Excel에 코딩 한 후 메타 분 석을 위해 CMA(ComprehensiveMeta-Analysis)2.0을 이용하였다. CMA는 미국 Briostat사가 개발한 메타분석 전용 프로그램으로 데 이터 입력과 분석,평가를 위한 정교한 옵션의 다양한 배열을 포함
  • 42. 31 하고 있어 현 국제 네트워크에서 메타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분석논문의 변인 선정 ① 연구대상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그리고 증상별로 분류하였 다.첫째,본 연구 대상 논문들에서 성별을 여성과 남성,여성과 남 성이 함께 한 혼성으로 범주화 하였다.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논 문은 35편,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논문은 6편,혼성으로 연구한 논문은 71편으로 분류하였다.자료제시가 불분명한 논문은 7편으로 나타났으며 총 119편으로 최종 분석으로 채택한 논문보다 1편 많은 수인데 이것은 1편의 연구에 여성과 혼성이 함께 연구대상으로 선 택되어졌기 때문이다. 둘째,연령은 아동 및 청소년,성인,노인으로 범주화 하였으며 아 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은 30편,성인을 대상으로 연 구한 논문 50편,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 39편으로 분류하였 다.이는 총 119편으로 최종 분석으로 채택한 논문보다 1편 많은 수 로 1편의 연구에 성인과 아동이 함께 연구대상으로 선택되어졌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신과적 질환과 신경학적 질환,일반·의료학적 질환 으로 나누어 증상을 분류한 결과,정신과적 질환을 대상으로 한 논 문은 15편,신경학적 질환을 대상으로 한 논문 41편,일반·의료학적 질환 63편으로 분류되었고 총 119편으로 1편의 연구에 일반 의료학 적 질환자와 정신과적 질환자가 함께 연구대상으로 선택되어져서 이다. ② 중재방법 본 연구의 대상 논문들에서 사용된 중재 방법으로는 Singing,
  • 43. 32 Improvisation,Playing,Movement,Song writing,Listening,GIM 등이 있으며 Bruscia(2003)가 제시한 음악적 경험을 중심으로 분류 하였다.경험되는 음악 프로그램 기준으로 Songwriting,Improvisa -tion 등 클라이언트가 활동적으로 참여한 활동으로 구성된 경우는 적극적 방법(36편),감상을 중심으로 활동이 구성된 경우 수용적 방 법(16편)그리고 적극적 방법과 수용적 방법을 모두 사용한 혼합적 방법(66편)으로 분류하였다(황은영,2012). ③ 중재특성 본 연구의 중재 특성으로는 총 회기,회기별 소요시간,음악 제시 유형,음악 장르,연구자의 전공 여부가 있다. 첫째,본 연구의 대상 논문들을 대상으로 총 회기 수의 경우,총 12회기를 치료한 논문의 수가 가장 많았고(33편),10회(22편),15회 기(13편)순으로 많았다.이에 본 연구는 가장 많이 나타난 회기 수 를 기준으로 9회기 이하,10-12회기,13회기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둘째,회기별 소요시간의 경우,50분(27편),40분(23편)과 60분(22 편)순으로 많았다.이에 본 연구는 가장 많이 나타난 소요 시간을 기준으로 40분 미만,40-60분,60분 초과로 분류하였다. 셋째,대상 논문들에서 음악 제시 유형의 경우,라이브와 녹음,혼 합으로 분류하였고 라이브를 사용한 논문의 수는 19편,녹음 22편, 혼합 77편으로 나타났다. 넷째,대상 논문들의 음악 장르의 경우,대중가요 및 트로트가 가 장 많았고(78회),국악(47회),클래식(35회),동요(33회)순으로 많았 다.그 외 종교음악(13회),팝송(11회),뉴에이지(7회),영화음악(4회), 뮤지컬 음악(3회),블루스 및 인디,성가곡,중국민요,치유,그린 및 자연 음악 (각 1회),가곡(4회),재즈(2회)로 나타났다.이에 본 연구 는 가장 많이 사용된 음악 장르를 기준으로 가요(대중가요 및 트로 트),국악,클래식,동요,기타로 분류하였으며 논문 1편에서 2개 이 상의 유형이 나타날 수 있는 경우 단위를 ‘편’이 아닌 ‘회’로 나타냈 다.
  • 44. 33 다섯째,대상 논문들의 연구자 전공 여부는 임상음악치료,음악치 료교육,치유음악목회,음악치료 전공을 포함한 전공(52편)과 음악교 육,사회복지,예술치료,간호학,심리치료,신경정신의학,보건학,교 육학을 포함한 비전공(66편)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논문의 요약된 특성은 <표 4>와 같다.
  • 45. 34 구분 연구특성 연구 수 (편/회) 연도 2000-2005 31 2006-2010 45 2011-현재 42 출처 석·박사 학위 논문 77 학술지 41 연구대상 성별 여성 35 남성 6 혼성 71 연령 아동 및 청소년 30 성인 50 노인 39 증상 신경학적 질환 41 일반·의료학적 질환 63 정신과적 질환 15 중재방법 적극적 방법 36 수용적 방법 16 혼합적 방법 66 중재특성 총 회기 수 9회기 이하 20 10-12회기 58 13회기 이상 38 회기 별 소요시간 40분 미만 13 40-60분 80 60분 초과 18 음악 제시 유형 라이브 19 녹음 22 혼합 77 음악 장르 클래식 35 가요 78 국악 47 동요 33 기타 51 연구자 전공 음악치료 전공 52 음악치료 비전공 66 <표 4> 분석 논문 특성 요약
  • 46. 35 N Q    효과 크기 95% 신뢰구간 표준 오차 118 526.381 .000 77.773 0.874 0.824 -3.925 0.026 Ⅳ.연구 결과 1.동질성 검정에 따른 분석 모형 선택 개별 연구물의 결과가 같은 모집단에서 나온 것이라는 가정에서 검정력이 높은 장점을 지닌 고정효과 모형으로 진행되는 동질성 검 정 결과,Q 값은 526.381로 나타나 개별 연구물들의 효과크기가 동 질적이지 않고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Q 값에 대한 유의확률이 p< .001이며,효과크기의 95%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지 않았고,  값은 77.773이었다.  값이 25%이면 낮은 수준이고 50%이면 중 간,75%이면 높은 수준이라고 해석한다(Higgins & Green,2008). 따라서 이 연구에서의   값은 77%의 높은 수준으로 개별 연구물들 의 효과크기가 이질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표 5>. <표 5> 고정효과 모형에서의 동질성 검정 *N=연구 수,Q =동질성 검정 통계량,p=동질성 검정 통계량의 유의 수준 값,   =이질성 정도 2.출판편향 검증 메타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출판편향을 검증하였다. Duvall과 Tweedie(2000)의 추정치 가감법(trim & fill)으로 민감도 분석을 해본 결과에서 조율된 연구물 수가 0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관찰 값에서의 효과크기와 보정 값에서의 효과크기에 차이가 없는 것을 의미하며 보정할 연구가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본 연구 에서 보정 값이 0으로 산출되어 보정할 연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 47. 36 조율된 연구물 효과 크기 95% 신뢰구간 Q 하한 값 상한 값 관찰 값 - 1.087 0.970 1.205 526.381 보정 값 0 1.087 0.970 1.205 526.381 N    효과 크기 95% 신뢰구간 표준 오차 118 .000 77.773 1.088 0.970 -1.205 0.060 다.즉,출판편향이 없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표 6>. <표 6> 출판 편향 검증 결과 3.전체효과크기 동질성 검정을 통해 개별 연구물 간에 이질성이 있는 것으로 판 단될 때 개별연구물들의 실제적인 차이까지 반영하여 분석할 수 있 는 랜덤 효과 모형으로 분석을 하게 된다.따라서 랜덤 효과 모형에 기준하여 보았을 때 전체효과크기는 1.088로 Cohen(1988)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0.3은 작은 효과크기,0.5는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0.8 이상은 큰 효과크기를 의미한다는 설명에 따라 음악치료 프로그램 의 우울 치료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95% 신뢰 구간(0.970< 1.088<1.205)은 0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효 과크기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표 7>. <표 7> 전체평균효과크기
  • 48. 37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여성 80 1.092 0.088 - - 0.920 1.265 혼성 120 0.948 0.059 - - 0.831 1.064 남성 11 0.667 0.126 - - 0.420 0.913 명시 않음 15 0.948 0.173 - - 0.837 1.513 4.연구 대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1)성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의 성별에 따라 여성과 남성,혼성으로 하 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Q-value는 9.280,p-value 는 0.026으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 다.성별에 따라 여성(1.092),혼성(0.948),남성(0.667)의 순서로 효 과크기가 산출되어 여성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 며 남성의 경우 중상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어 여성의 경우가 남성의 경우보다 우울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표 8>. <표 8> 성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2)연령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의 연령에 따라 아동 및 청소년,성인,노 인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Q-value는 8.689 ,p-value는 0.034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 49. 38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아동 및 청소년 89 0.783 0.042 0.000 177.967 0.702 0.865 성인 25 0.920 0.075 0.000 132.216 0.772 1.068 노인 68 0.961 0.046 0.000 223.567 0.870 1.052 나타났다.연령에 따라 노인(0.961),성인(0.920),아동 및 청소년 (0.783)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노인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 과크기를 나타내고 아동 및 청소년은 상대적으로는 낮지만 중상수 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표 9>. <표 9> 연령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증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의 증상에 따라 신경학적 질환자,일반·의 료학적 질환,정신과적 질환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 한 결과,Q-value는 6.412,p-value는 0.041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 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증상에 따라 신경학적 질환 (0.964),일반·의료학적 질환(0.859),정신과적 질환(0.738)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신경학적 질환의 경우가 높은 수준의 효과크 기를 나타냈다<표 10>.
  • 50. 39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신경학 적 질환 65 0.964 0.050 0.000 202.198 0.866 1.061 일반· 의료학 적 질환 137 0.859 0.032 0.000 26.447 0.795 0.923 정신과 적 질환 24 0.738 0.079 0.000 9.307 0.583 0.894 <표 10> 증상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5.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중재 방법에 따라 적극적 방법,수용적 방법,혼합적 방법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Q-value는 32.878,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중재 방법에 따라 적극적 방법(1.068),혼합적 방법 (0.955),수용적 방법(0.811)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적극적 방 법이 우울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표 11>.
  • 51. 40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적극적 54 1.068 0.004 0.000 176.909 0.950 1.185 수용적 33 0.811 0.004 0.000 83.866 0.694 0.929 혼합 133 0.955 0.001 0.000 372.729 0.883 1.027 <표 11> 중재 방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6.중재 특성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1)총 회기 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총 회기 수 에 따라 9회기 이하,10-12회기,13회기 이상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Q-value는 29.314,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회기 수에 따라 10-12회기(0.983), 13회기 이상 (0.861),9회기 이하(0.638)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10-12회기 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나 10-12회기가 우울에 미치 는 음악치료의 효과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표 12>.
  • 52. 41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9회기 이하 34 0.638 0.057 0.000 74.033 0.527 1.828 10-12 회기 105 0.983 0.039 0.000 297.835 0.907 1.058 13회기 이상 85 0.861 0.044 0.000 203.855 0.774 0.948 <표 12> 총 회기 수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2)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라 40분 미만,40-60분,60분 초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Q-value는 27.713,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 으로 나타났다.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라 60분 초과(0.964),40-60분 (0.929),40분 미만(0.540)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40분 이 상에서는 모두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으나 40분 미만에 서는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프로그램 운영 시간이 적은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또 한 프로그램의 운영시간이 길수록 높은 수준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40-60분과 60분 초과의 경우 유사한 수준의 높은 효과크기 가 나타났다<표 13>.
  • 53. 42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40분 미만 19 0.540 0.072 0.005 37.384 0.400 0.681 40- 60분 161 0.929 0.031 0.000 446.795 0.868 0.990 60분 초과 37 0.964 0.069 0.033 53.061 0.526 0.972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녹음 52 0.777 0.047 0.000 128.512 0.685 0.868 라이브 27 1.121 0.083 0.000 156.015 0.959 1.284 혼합 147 0.885 0.033 0.000 369.930 0.820 0.950 <표 13>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3)음악 제시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음악 제시유형에 따라 녹음,라이브,혼합으로 하위 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Q-value는13.360,p-value는 0.001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음 악 제시유형에 따라 라이브(1.121),혼합(0.885),녹음(0.777)의 순서 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라이브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 타냈다<표 14>. <표 14> 음악 제시유형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 54. 43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가요 27 0.685 0.030 0.000 16.563 0.529 0.841 국악 12 1.272 0.080 0.000 51.273 1.010 1.533 클래식 18 0.951 0.079 0.004 36.614 0.795 1.107 기타 15 0.955 0.093 0.000 78.914 0.773 1.138 4)음악 장르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음악 장르에 따라 클래식,가요,국악,동요,기타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Q-value는 82.848, 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 타났다.다른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은 범주화된 변수를 통해 해당 중재 방법의 효과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단독적으로 사용한 장르 를 비교하여 동요만을 사용한 연구물은 존재하지 않아 분석에서 제 외되었고 음악 장르에 따라 국악(1.272),기타(0.955),클래식(0.951), 가요(0.685)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국악의 경우 높은 수준 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표 15>. <표 15> 음악 장르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5)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비교 본 연구에서 연구자 전공에 따라 전공,비전공으로 하위그룹을 구 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Q-value는 19.819,p-value는 0.000로 나타나 집단 간 분석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자 전공 에 따라 전공(1.103),비전공(0.841)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음 악치료 전공자가 비전공자에 비해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표
  • 55. 44 효과 범주 효과 크기 수 효과 크기 표준 오차  Q 95% 신뢰구간 하한 값 상한 값 전공 93 1.103 0.002 0.000 176.909 1.007 1.119 비전공 133 0.841 0.001 0.000 83.866 0.778 0.905 16>. <표 16> 연구자 전공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7.연속 변인에 대한 메타 회귀 분석 결과 메타분석에서는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특정한 연속형 변수가 효과 크기에 미치는 경향성을 파악한다.이는 특정 변수가 보여주는 경향 성에 따라 처치의 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정보를 얻 게 되기 때문이다(이정은 외 2014).본 연구의 분석 대상 연구물에 서는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연속형 변수로 총 회기수와 회당 소요시간을 분석하였다. 회기 수를 메타회귀 분석한 결과,회기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증 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1>.회기선의 기울기 계수 는 0.085였으며,하한선은 0.015,상하선은 0.154이었다.또 진 효과 크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  값은 0.245이었다<표 17>. 회기별 소요시간을 메타회귀 분석한 결과,회당 소요시간이 많을 수록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2>.회기선 의 기울기 계수는 0.207이였으며,하한선은 0.109,상한선은 0.304이 었다.또 진 효과크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  값은 0.233이었다<표 18>.
  • 56. 45 계수 표준 오차 하한선 상한선 Z    회 기 수 기 울 기 0.085 0.035 0.015 0.154 2.410 .015 0.245 절 편 0.687 0.079 0.530 0.843 8.612 .000 <그림 1> 총 회기 수에 따른 메타회귀분석 <표 17> 총 회기 수에 따른 메타회귀분석
  • 57. 46 계수 표준 오차 하한선 상한선 Z    회 기 별 소 요 시 간 기 울 기 0.207 0.049 0.109 0.304 4.171 .000 0.233 절 편 0.464 0.103 0.261 0.666 4.489 .000 <그림 2>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메타회귀분석 <표 18> 회기별 소요시간에 따른 메타회귀 분석
  • 58. 47 Ⅴ.결론 및 논의 본 연구에서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 기 위해 2000년에서 201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메타분 석 했다.총 118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활용하였으며 전체적인 평균 효과크기와 연구 대상,중재 방법,중재 특성에 따른 평균효과크기 를 산출하였고 이를 통해 우울을 가진 중재 대상들의 음악치료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에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들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음악치료는 우울을 가진 대상자의 우울을 감소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의 전체 평균 효과크 기는 1.088로 나타났으며 Cohen(1988)이 제시한 해석 기준으로 볼 때 0.80이상이므로 매우 큰 효과크기라 할 수 있다. 둘째,연구 대상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성별은 여 성(1.092)이,연령에서는 노인(0.961),증상은 신경학적 질환(0.964)이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연령대의 경우,연령은 노 인 외 성인(0.920)과 아동 및 청소년(0.783)모두 중상 이상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나 음악치료가 우울을 지닌 모든 연령대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중재 방법에 있어서는 적극적 방법,수용적 방법,혼합적 방 법으로 하위그룹을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적극적 방법 (1.068),혼합적 방법(0.955),수용적 방법(0.811)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적극적 방법이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나 혼 합적 방법과 수용적 방법 모두 중상 이상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 나 음악치료에서 시행되는 방법들이 우울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넷째,중재 특성에서는 총 회기수와 회기별 소요시간,음악 제시 유형,음악 장르,연구자 전공 여부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비교했 다.먼저 총 회기 수에서는 10-12회기(0.993)가 높은 수준의 효과크 기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가 임진석(2006)의 논문에서 11-12회
  • 59. 48 가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인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회기별 소요시간의 경우 60분 초과(0.964),40-60분(0.929),40분 미만(0.540)의 순서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40-60분과 60분 초과 의 경우 유사한 수준의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이는 회기별 소요시간이 길수록 높은 수준의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홍은 주와 여정윤(2010)의 연구에서도 회기별 소요시간이 90분 이상일 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손수진(2014)의 연구 또한 60분 이상에 서 큰 효과크기를 보여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함을 보였다. 음악 제시 유형은 라이브(1.121),혼합(0.885),녹음(0.777)의 순서 로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라이브의 경우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 타냈다. 음악 장르의 경우 클래식,가요,국악,동요,기타로 하위그룹을 구 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국악(1.272)이 큰 효과를 나타냈다.다 른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은 범주화된 변수를 통해 해당 중재 방법 의 효과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동요만을 사용한 연구물은 존재하 지 않아 분석에서 제외되었고 주로 이루어진 방법 중 단독적으로 실시한 방법을 비교하여 클래식과 가요,국악,기타 장르로 분석하 였고 그 결과,국악(1.272),기타(0.955),클래식(0.951),가요(0.685) 순서로 국악의 경우가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다른 장르 에 비해 국악의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난 것은 연구 대상의 평균 효 과 크기 비교 결과 중 연령대에서 노인의 효과크기가 높게 나온 것 과 연결되어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음악치료에서 노인에게 친숙한 국악을 사용하여 음악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때문에 이와 같 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연구자 전공 여부에서 음악치료 전공자와 음악치료 비전공자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전공자(1.103)보다 비전공자(0.841) 보다 높게 효과크기가 산출되어 음악치료 전공자가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연구 대상에 따라 성별에서는 여성 이,연령에서는 노인,증상에서는 신경학적 질환자에서 큰 효과를 보였다.중재 방법은 적극적 방법이,중재 특성에서 총 회기 수는
  • 60. 49 10-12회기,회기별 소요시간은 60분 초과,음악 제시 유형은 녹음보 다는 라이브가,음악 장르는 국악을 사용하였을 때,마지막으로 전 공 여부에 따라 음악 치료 전공자의 경우가 각각 가장 효과적이었 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가 매우 효과 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는 우울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제시하여 음악치료가 우울 개선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 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메타분석 자체가 실험연구에 제한되기 때문에 질적 연구 및 기술 연구는 배제시켰고,통제집단 사전사후,통제집단 사후 및 단 일집단 사전사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주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실 제 음악치료 현장에서 시행되는 단일 대상과 같은 개별 치료 프로 그램에서의 다양한 음악치료 효과 변인을 반영할 수 없다는 제한점 이 있다. 둘째,하위 항목을 나눌 때,하위항목 중에서 자료의 개수들이 30 개 이상씩 되도록 설정하려고 고려했으나,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루 어지지 못한 것들도 있었다.그러나 실험연구는 하나의 실험적 결과 그 자체를 중요시 여기고 특히 심리치료 분야에서는 작은 사례여도 그 결과를 중요시하므로 연구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하려 하였다. 셋째,본 연구는 최근 15년간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 였기 때문에 기준에서 제외된 논문들의 내용이 포함되면 본 연구의 결과와 다소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메타분석을 위한 연구 채택 시 대부분 유의한 결과로 입증 된 학술지 논문과 석·박사 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수집하였기 때문에 출판에 의한 편파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따라서 향후 연구에 서는 더 폭 넓은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 요구 된다.
  • 61. 50 둘째,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 논문으로 제한하여 분석했으므로 국외 연구 논문을 포함하여 연구동향 및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관련 분야의 흐름과 동향을 살펴보는 근거 중심 방법(evidence-basedpractice)인 메타분석은 증거의 가장 상위 의 영역에 있다.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의 변화를 다루는 음악치료 학문에서 음악치료의 효과들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연구들이 활성화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메타분석을 통한 통 합적 연구가 지속된다면 국내 음악치료의 임상과 연구의 발전에 도 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62. 51 참고문헌 *강정숙 (2005).집단음악활동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자녀들의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고명환 (2002).사전 분류된 자극성-진정성 음악에 보이는 감상자 의 반응조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 료대학원. *고민정 (2008).우울성향 여대생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대한 즉흥연 주 효과성 연구.미간행 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고승덕,손애리,최윤신.(2001).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 에 관한 연구.한국가족복지학, 6(1),3-15. 고용남 (2010).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 석: 2001년-2008년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 사학위 논문,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고효선,이혜진,김홍자,이상열 (2009).집단 음악치료가 통원 치료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원 광의과학, 24(2),103-110. *구새롬 (2007).우울성향여중생의 블루스 음악형식을 활용한 자기 효능감 증진연주활동.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이화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권경미 (2009).교양무용 참여 대학생을 위한 우울증 및 대인관계 (성격장애)척도개발과 적용. 미간행 박사학위논문,원광대학 대학원. 권석만 (2000).우울증.학지사. 권영애 (2009).민요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우울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권정혜 (1997).심리사회적 요인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산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