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5
Download to read offline
재활심리연구, 제18권 제3호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11, Vol. 18, No. 3, 393-407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지역사회 청소년센터 아동 대상- 
강 재 정** ․ 송 현 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일반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주의집중 및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초등학교 3, 4학년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조건의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이 
들에게는 미술을 매개로 하는 정서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무처치 통제집단을 포함한 세 집단 
에게 사전ㆍ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치로는 K-WISC-Ⅲ 소검사 일부(어휘, 토막, 산수, 차 
례 맞추기, 숫자외우기)와 RCFT(Rey Complex Figure Test), AVLT(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WISC-Ⅳ 소검사 중 문자-숫자 이어가기 과제가 포함되었다. 실험 결과, 비교 
집단 및 통제집단과 달리 인지증진 프로그램 집단에서 K-WISC-Ⅲ의 산수, 숫자 소검사와 
AVLT의 지연회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며, 그 외 전반적인 인지기능 향상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칠 소지 
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 393 - 
주요어: 인지증진, 작업기억, 아동 
* 이 논문은 2009년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임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신촌 세브란스병원 어린이병원 임상심리실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서울시 노원구 화랑로 623번지 TEL 02-976-5888. 
E-ㅡmail jayoo1004@swu.ac.kr.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Ⅰ. 서 론 
인지란 사람들이 어떻게 세상을 지각하고 이해하며 그 속에서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어떻 
게 판단과 결정을 내리며, 타인에 대한 자신의 지식과 이해를 표출하는가를 설명해 주는 것이 
다.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은 정신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우리는 글자를 읽고 책을 이해하거 
나, 길에서 친구를 알아보는 경우와 같이 감각기관을 통하여 들어오는 자극을 인식하고, 일상생 
활의 사건들을 기억하며, 언어를 말하거나 쓰고 이해하기도 한다. 또한 여러 상황에서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도 하며 각종 고도의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통틀어 
인지라고 한다(이정모, 2003). 
우리가 알고 있는 뇌졸중을 포함한 뇌손상이나 정신분열, 강박증과 같은 장애는 위와 같은 인 
지영역의 결함을 동반한다. 따라서 인지기능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인지재활(박희수, 2003에서 재인용; Dobkin, 2002)은 인지적 손상이 있는 환자들이 
기능을 회복하고 사회에 적응하도록 돕기 위한 연구와 노력에 적용되어왔다. 현재 이러한 인지 
재활에 기초하여 발전한 인지증진치료(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CET, cognitive 
remediation therapy: CRT 혹은 neuro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NET)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인지증진치료는 세부 인지 영역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취약 영역을 
파악한 후, 손상된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하거나 보상할 수 있는 치료적 책략 계획 수립을 통 
한 치료로서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을 통해 뇌손상 환자, 주의력 장애나 기타 인지기능 장애 뿐 
아니라 정상군에 까지 적용할 수 있다(송현주, 2007). 또한 인지증진치료(또는 인지 교정, 인지재 
활)는 뇌 손상 외 정신 분열병 환자 재활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최근에는 노인집단, 특 
히 치매를 겪고 있는 환자군에 대한 인지증진치료 효과(박성휘, 2006; 오병훈, 김영기, 김지혜, 
신윤식, 2003)에 대한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또한 Coelho, Palha와 Pachana(2008), Kurtz, 
Moberg, Gur와 Gur(2001)와 Wykes, Reeder, Corner, Williams와 Everitt(1999) 등의 연구를 통 
해 정신분열 환자의 처리 과정, 기억, 또는 언어적 학습 기억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가 입 
증되었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장애군에 걸쳐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성인에 비해 아동은 주로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아 
동의 발달에 있어 인지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개인의 학습과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 
친다. Westerberg, Hirvikoski, Forssberg와 Klingberg(2004)는 ADHD아동의 인지, 행동 문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작업기억의 결함이 핵심이라고 하였으며, 다른 과제에 비해 특히 작업기억 
과제에서 문제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ADHD아동의 인지와 행동은 전전두엽 피질과 관련 있 
- 394 -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작업기억 역시 전전두엽(preprontal lobe)과 두정엽(parietal lobe)이 관 
장하고 있다(Olesen, Westerberg, & Klingberg, 2004). 전전두엽은 작업기억 뿐 만 아니라 계획 
을 세우고 의사결정을 하고, 논리적 사고 및 정서조절을 하는 등의 전반적인 고등인지를 담당하 
고 있어 ADHD아동의 인지와 행동의 많은 부분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기억에 대한 연구 
는 비교적 최근에 와서 이루어지고 있다. 게다가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이나 사회성, 공격성 
등의 행동 및 정서 영역에서의 치료와 효과에 대한 연구는 상당부분 이루어져왔으나 작업기억 
과 같은 인지와 관련된 연구는 최근에 와서야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작업기억 연구자들은 작업기억의 용량은 개인차가 있고,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다고 간 
주하였다. 그러나 Olesen 등(2004)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작업기억 향상 훈련을 한 결과, 전 
두엽과 두정엽 피질이 활성화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작업기억을 관장하는 신경계의 가소성을 
입증해 준 결과라고 하겠다. 이밖에도 Klingberg, Fernell, Olesen, Johnson, Gustafsson, 
Dahlstrom, Gillberg, Forssberg와 Westerberg(2005)는 최근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는 RoboMemo라 
고 불리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훈련은 구체적인 작업기억 세트로 구성되며, 연산법에 따라 난 
이도가 조절된다. 아동은 매일 30-40분씩 정해진 횟수로 훈련하며, 아동의 수행은 컴퓨터를 통해 
저장되고 분석된다. 프로그램 결과, 비교 그룹에 비해 훈련을 수행한 ADHD아동 그룹에서 작업 
기억, 추론과제 그리고 반응억제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3개월 후, 재평가(Follow 
up)에서도 비교집단과 여전히 유의미한 차이를 유지하고 있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Kingberg, Forssberg와 Westerberg(2002)는 ADHD아동을 대상으로 컴퓨터로 된 작업기억 훈 
련을 실시하였다. 5-6주 동안 매일, 15분씩 각각의 작업기억 과제를 30번 완성하도록 했고, 그 
결과 시공간 작업기억 과제와 추론과제에서 향상이 나타났으며, 아동의 운동신경 활동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시공간 작업기억은 훈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실시 후 
검사에서 수행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이는 작업기억이 주의와 추론, 문제해결 능력에도 
일반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에게도 작업기억 훈련을 
실시하였는데 ADHD아동 뿐 만 아니라 정상 성인에서도 작업기억 훈련의 효과가 나타났고, 이 
를 통해 작업기억의 결함 없이도 작업기억 훈련을 통한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컴퓨터 게임을 이용한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구조화된 실험 상황이 아닌 일반 
청소년센터에서 집단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지증진 훈련을 실시하여 대상 아동들의 훈련 효 
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반인의 작업기억 훈련에 대한 효과는 입증되었 
으나 이것마저도 성인이었으며 아동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발달 과정 중에 
있는 아동의 작업기억 능력이 저하되면, 주의력이나 기억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에 
(Klingberg, 2007) 이와 같은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아동의 학업 향상과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의 산만 문제를 호소하는 지역사회의 요구는 많으나 전문 인력과 
방법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곳에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 
- 395 -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적으로 설계되었다. 센터나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나 진단을 받지는 않았으나, 실제 학업장면에 
서 주의력 및 기억력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어떻게 영향 
을 미치고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방 법 
- 396 - 
1.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인지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이외에 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을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통제집단 외 미술치료 비교 
집단을 선정한 것은 치료자와 아동 간 정서적 관계와 같은 기타 변인의 영향을 배제한 이후에 
도 본 프로그램의 순수한 효과가 산출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통제집단은 대기집단으로 
구성하여 사후 평가 후에 동일한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받았다. 따라서 총 3집단은 동일한 시기 
에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가 실시되었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미술심리치료 집단)에게는 동일 
한 기간 동안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2. 연구대상 
경기도, H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주의산만 등으로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을 담임교사의 신청을 받아 대상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우선적으로 실험 및 비교 집단을 선 
정하여,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인 지능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 인지증진 프로그램에는 17명, 미술 프로그램에는 12명이 선발되었으나, 프로그램에 결석 
이 4번 이상인 피험자는 연구결과에서 제외시켜 최종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은 남자 9명, 여자 3 
명으로 12명, 비교집단은 남자 2명, 여자 8명으로 10명, 통제집단은 남자 8명, 여자 3명으로 11 
명, 총 33명이었다. 
3. 실험도구 
1) 인지증진 집단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은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해 (주)아이큐빅에서 개 
발된 ‘어텐션 닥터’와 The Learning Company에서 제작한 ‘The Clue Finders 3rd Grande 
Adventures'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중, 해당 분야 박사학위를 가진 임상심리전문가에 의해 인지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증진 훈련에 적절하다고 임상적으로 판단된 과제들로 선별되었다. 두 개의 소프트웨어에서 작업 
기억 훈련을 비롯하여 시각 주의력 및 청각 주의력 훈련 그리고 전반적인 인지증진을 위한 과 
제를 선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미 실제 현장에서 주의집중 훈련에 효과가 있다고 임 
상적으로 검증된 과제들을 사용하였고, 이 과제들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포함된 인지증진을 위한 훈련 과제는 <표1>과 같다. 
- 397 - 
표 1. 인지증진 프로그램 과제 내용 
영 역 과 제 
청각주의력 늪 속 보물찾기, 피라미드 보물찾기, 시몬 가라사대 
작업기억 횡단보도 그림 찾기, 학용품 준비하기, 장난감 수리하기, 딱정벌레, 
시각주의력 거미의 그림 찾기, 같은 그림 찾기 
지각조직 및 추론능력 차례 맞추기, Bone Arrange 
2) 집단 미술 프로그램 
재검사 시의 오염변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된 비교집단 피험자들에게 실시한 미술 프로그 
램은 김혜경(2005)과 전경숙(2005)이 초등학교 아동 대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 
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구성되었다. 미술 프로그램은 주 1회 50분씩 10회기로 진행 
되었다. 
4. 측정도구 
1) 지능: 한국판-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소검사 (Subtests in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 K-WISC-Ⅲ)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의 소검사들 중 언어성 검사인 어휘와 산수, 동작성 검사인 차례 맞추 
기와 토막 짜기로 구성된 단축형은 전체 소검사로 측정한 지능과 r=.95의 높은 상관이 있다 
(Silverstein, 1985).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중 어휘, 산수, 토막 짜기, 차 
례 맞추기 소검사를 실시하였고 원점수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2) 작업기억: K-WISC-Ⅲ 중 산수와 숫자 외우기 소검사, WISC-Ⅳ 중 문자-숫자 이어가기 소검사 
한국판-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의 산수 소검사는 주의를 기울여 받아들여진 정보에 대해 정 
신적 조작을 가하는 ‘암산’이라는 부분에서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유용한 소검사이다(김중술, 이 
용승, 이민식, 1994). 또한 숫자 외우기 소검사도 인지과정에서 바로 따라 외우기(Digits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Forward: DF)는 정보의 유지만을 요하지만, 거꾸로 따라 외우기(Digits Backward: DB)는 정보 
의 유지 뿐만 아니라 조작을 요구하기 때문에 숫자 외우기 소검사 역시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김홍근, 박태진, 2003). 
WISC-Ⅳ는 WISC-Ⅲ에서 유지된 10개의 소검사에 새로운 소검사 5개가 추가되어 총 15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져있다. 이들 소검사 중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문자-숫자 이어가기 소검사는 작업 
기억을 측정하는 핵심 소검사(Wechsler, 2003)로서, 새로 추가된 작업기억 목록(Working 
Memory Index)에 해당된다. 피검자에게 순서가 얽혀있는 연속된 문자와 숫자를 1초에 하나씩 
들려주고, 오름차순으로 숫자와 문자를 재배열하여 다시 말하도록 하는 검사이다. 이 소검사는 
숫자 외우기처럼 청각적 기억을 자극하는 것부터 시각적 기억을 자극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인 
지적인 작업이 요구된다(Wechsler, 2003). 
3) 그 외 인지 기능: 레이 도형검사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CFT), 한국판 청각-언 
어 학습 검사(Korean Auditory-Verbal Learning Test: K-AVLT) 
RCFT는 Rey(1941)가 개발하여, Osterrieth(1994)가 개정한 신경심리학적 시각 기억검사로, 시 
지각, 공간적 구성능력, 시각적 기억 및 시각적 조직화전략을 포함한 집행기능 등 다양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다(Lezak, 1995; Osterrieth, 1944). K-AVLT 또한 Rey(1941, 1964)가 개발하여 한 
국어로 번안된 표준화한 신경심리학적 언어 기억검사이다. 이 검사는 언어 학습능력, 언어적 기 
억 및 언어적 조직화(의미적 군집화) 전략 능력 등을 평가한다. 
- 398 - 
5. 실험절차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한 달 전, Y시 청소년 지원센터를 통해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 
동을 위한 인지증진 프로그램과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아동을 모집하였다. 모집된 29 
명의 아동에게 프로그램 2주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요구를 반영하여 인 
지증진 프로그램과 미술 프로그램에 각각 배정하였다. 모든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와 보조진행자 
가 동반하여 실시하였다. 
인지증진 프로그램에 배정된 아동은 남자 14명, 여자 3명으로 총 17명이었으며, 50분씩, 주 2 
회, 총 20회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시작 전에 피검자 모두에게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여, 프로 
그램의 진행방법, 주의사항 및 규칙을 주지시켰다. 인지증진 프로그램은 청소년 지원센터 내 컴 
퓨터실에서 이루어졌으며, 매 회기마다 개별 컴퓨터와 개인 기록지가 주어졌다. 난이도는 과제 
에 따라 세부적으로 1단계/2단계 또는 Level 1/2/3/4/로 나뉘어 있으며, 훈련 시에는 크게 상, 
중, 하로 나누었다. 과제를 통과하면 개인 기록지에 날짜가 적힌 스티커를 붙여주어, 진행속도와 
특별히 취약한 영역을 알 수 있게 하였고, 피험자가 특히 더 취약한 과제에서는 훈련 횟수를 증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가하여 실시하였다. 총 20회기의 인지증진 프로그램에 4회 이상(약 20%) 결석한 실험집단 피험 
자 5명은 중간에 탈락되거나, 자료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전과 동일한 검사 
를 사후에 실시하였다. 미술 프로그램에 배정된 아동은 남자 2명, 여자 10명으로 총 12명이었으 
며, 프로그램은 특성 상, 주 1회 50분씩, 인지증진 프로그램과 같은 기간에 진행되었다. 미술 프 
로그램은 인지와 상관없는 그리기, 만들기 또는 매체를 통한 자기탐색이 이루어졌고, 총 10회기 
중에서 2명이 탈락되어 남자 2명, 여자 8명으로 총 10명이 실험에 포함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전과 동일한 검사를 사후에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 비교집단과 동일한 검사를 
사전에 실시하였고, 2개월의 시간이 경과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5.0을 사용하였고 세 집단 간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하였다. 
Ⅲ. 결 과 
- 399 - 
1. 세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증 
지능검사 소검사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차례 맞추기 소검사 F(2. 32)=1.104, ns, 산수 
소검사 F(2. 32)=1.121, ns, 토막 짜기 F(2. 32)= .279, ns, 어휘 소검사 F(2. 32)= .283, ns로 실 
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간에 사전 지능 측정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표3). 
이밖에도 프로그램 효과 측정 평가치로 사용한 변인들에 대한 사전 동질성도 다음과 같이 입증 
되었다.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 F(2. 32)= .104, ns,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F(2. 32)=1.836, ns, 
RCFT 지연 회상 F(2. 32)= .968, ns, AVLT 지연 회상 F(2. 32)=3.295, ns. 
표 2.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측정치 집단 평균 표준편차 
산수 
실험 15.92 3.68 
비교 14.20 2.90 
통제 14.27 2.05 
토막 짜기 
실험 44.67 10.71 
비교 44.70 10.52 
통제 41.72 10.90 
차례 맞추기 
실험 27.08 9.10 
비교 30.30 7.04 
통제 31.45 5.07 
어휘 
실험 22.75 8.24 
비교 20.50 7.01 
통제 21.09 6.56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표 3. 지능 소검사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 400 - 
산수 
집단-간 59.312 2 29.656 4.071 .027** 
집단-내 218.567 30 7.286 
합계 277.879 32 
숫자 
집단-간 54.620 2 27.310 1.808 .181 
집단-내 453.259 30 15.109 
합계 507.879 32 
LN 
집단-간 34.703 2 17.352 1.963 .158 
집단-내 265.176 30 8.839 
합계 299.879 32 
차례 
집단-간 118.498 2 59.249 1.104 .345 
집단-내 1609.744 30 53.658 
합계 1728.242 32 
산수 
집단-간 21.544 2 10.772 1.212 .312 
집단-내 266.698 30 8.890 
합계 288.242 32 
토막 
집단-간 64.021 2 32.011 .279 .759 
집단-내 3446.948 30 114.898 
합계 3510.970 32 
어휘 
집단-간 30.583 2 15.292 .283 .756 
집단-내 1621.659 30 54.055 
합계 1652.242 32 
2. 프로그램 효과 분석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의 간의 프로그램 효과 분석 결과, 산수,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 
기와 AVLT 지연 회상 측정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표4). 세 집단 간 차 
이를 탐색하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산수와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측정치 
에서 CET 집단과 무처치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표5). 미술치료 프로그 
램 집단과 무처치 집단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1>에 각 
집단별 사전 사후 비교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표 4. 집단 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변량분석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 401 - 
CFT 
모사 
집단-간 12.862 2 6.431 .323 .726 
집단-내 596.698 30 19.890 
합계 609.561 32 
CFT 
즉시회상 
집단-간 9.399 2 4.700 .066 .937 
집단-내 2145.297 30 71.508 
합계 2154.636 32 
CFT 
지연회상 
집단-간 16.462 2 8.231 .132 .877 
집단-내 1871.266 30 62.376 
합계 1887.727 32 
숫자-DB 
집단-간 26.114 2 13.057 3.535 .042* 
집단-내 110.795 30 3.693 
합계 136.909 32 
AVLT 지연 
집단-간 13.915 2 15.258 3.538 .042* 
집단-내 58.994 30 4.989 
합계 72.909 32 
* p<.05, **p<.01 
18 
16 
14 
12 
10 
8 
6 
4 
2 
0 
실험 비교 통제 실험 비교 통제 실험 비교 통제 
산수 AVLT지연학습 숫자-DB 
사전 
사후 
그림 1. 집단 간 사전 사후 비교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표 5.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사전 사후 점수 변화에 대한 쌍별 비교 
- 402 - 
측정치 집단 
사전 사후 
비교 평균차 p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산수 
실험 15.92 3.68 16.83 3.16 실험 vs 비교 2.733 .062 
비교 14.20 2.90 14.10 2.42 실험 vs 통제 2.833 .045* 
통제 14.27 2.05 14.00 2.37 비교 vs 통제 .1000 .996 
AVLT 
지연 
실험 8.75 2.41 10.83 1.36 실험 vs 비교 -2.167 .094 
비교 12.30 2.80 13.00 1.83 실험 vs 통제 -.167 .984 
통제 10.73 2.33 11.00 2.37 비교 vs 통제 2.000 .140 
숫자-DB 
실험 5.50 1.17 6.75 2.00 실험 vs 비교 .750 .664 
비교 5.80 2.04 6.00 1.83 실험 vs 통제 2.114 .044* 
통제 4.55 1.51 4.67 1.91 비교 vs 통제 -1.364 .283 
* p<.05 
Ⅳ.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청각 주의력과 시각 주의력, 작업기 
억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무처치 집단 
외에 미술치료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포함시켜 치료자와 아동 간 칭찬이나 함께함과 같은 긍정 
적 관계 경험에서 기인한 변화 등을 배제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순수한 효과를 산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미 선행 연구들 (Klingberg et al, 2002, 2005; Westerberg, Jacobaeus, Hirvikoski, 
Clevberger, Ostensson, Baregai & Klingberg, 2007)을 통하여 작업기억력 증진 프로그램에 효 
과가 있다는 점은 입증되었지만 실제 인지능력 향상은 치료자와의 긍정적 정서 경험 등을 통해 
서도 부분적으로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개입 효과가 인지증진적 개입의 단독효과인지를 
변별해 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인지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교 집단과 
정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교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작업기억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사전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쌍별 비교 결과 인지 
증진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미술치료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의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정서적 변인을 배제한 
이후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입증한 결과라고 하겠다. 
한편, 본 연구 결과에서 재고해야 할 부분은 산수 능력과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소검사에 
서는 집단 간 쌍별 비교에서 인지증진 프로그램 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나 청각단어학습 과제의 쌍별 비교 결과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산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림4 
에 제시되어 있듯이 인지증진 프로그램 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 
정도는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사전 동질성과 관련하여 비교집 
단의 사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는 점이 결과 
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일부 생각해 볼 수는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 이는 본 연구에서 구 
성한 인지증진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청각 모듈을 사용한 과제가 시각 모듈을 사용한 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데 일차적인 원인이 있었다고 판단된다. 실제 현재 대부분의 인지능력 
훈련과제들은 청각보다는 시각 모듈을 사용한 과제들이 현저하게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송현주(2008)는 청각주의력과 지능 간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에서 제반 지능과 보다 관련성이 높 
은 것은 청각주의력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이후의 인지증진 프로그램 구성에서 청각 모 
듈을 기초로 하는 과제를 보다 많이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 
군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았다. 치료적 개입 효과 검증 연구에서 비교집단과 통제집단까지 포함 
한 설계를 하였다는 점은 의의가 있으나 보다 큰 집단에서 프로그램 효과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지능검사 소검사를 사용하여 집단 간 지능의 동질성은 검증하였으 
나 공변인으로 지능을 통제하지는 못하였다. 인지기능에 대한 지능 영향력이 매우 강력한 점을 
감안할 때 추후 연구에서는 지능을 통제한 상태에서 기억지수와 작업기억 능력에 본 프로그램 
효과가 의미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성비가 균등 하게 맞추어지지 못하였으며, 
대상 아동을 3, 4학년으로 제한하여 연령 범위가 비교적 동질적이었으나 발달 단계의 아동임을 
감안할 때 보다 세분화된 연령 집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도 있겠다. 넷째, 추후 회기 
및 검사가 없었기 때문에 실제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고 있으며 실제 학업에 얼마나 개입 효과 
가 반영되는지에 대한 분석에 제한이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탐색이 포 
함되어야 하겠으며 더 나아가 프로그램 종결 후, 추후 회기와 함께 인지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학업 성적이나 생활 태도, 학업에 대한 흥미 또는 동기 변화에 대한 추후 조사도 이루어진다면 
직접적으로 실생활에 적용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와 다르게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인 
지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동안에는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치료의 형태로 성인 
환자나 ADHD아동의 작업기억 훈련과 같이 환자군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Klingberg 외, 2002)는 그나마도 성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진단을 받지 않은 일 
반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작업기억과 지각조직, 주의력 향 
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집단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는 점 
은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상황에서는 준전문 인력에 의해서도 인지증진 프 
로그램의 효과적인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고도 볼 수 있겠다. 이는 아동 인지기능 
- 403 -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에 대한 개입 요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 인력이 부족한 현실적 상황 속에서 부분적인 대안 
으로 사용될 수도 있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비교집단으로 미술치료 집단을 포함시킨 것 
은 이미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인지증진적 개입에 포함된 치료자와의 긍정적 관계 경험 등의 
효과를 배제하고 난 이후에도 개입의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 목적에서 포함된 것 
이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치료기제 등과는 관련이 없음을 밝힌다. 
- 404 -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참고 문헌 
김중술, 이용승, 이민식 (1994). K-WAIS의 단축형에 관한 연구. 정신의학, 19, 121-126. 
김홍근, 박태진 (2003).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의 차이에 관한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 599-613. 
김혜경 (2005).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 향상 
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성휘 (2006). 인지재활프로그램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동국대 
- 405 - 
석사학위논문. 
박희수 (2003). 인지재활 훈련이 강박장애 환자의 기억과 임상증상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 
석사학위논문. 
송현주 (2007). 인지증진치료와 학습장애에의 활용. 심리치료학회지, 7, 135-156. 
송현주 (2007). 정신분열병 환자 주의망의 불안정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 693-702. 
송현주 (2008). 청각주의력과 지능.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7(3), 767-776. 
오병훈, 김영기, 김지혜, 신윤식 (2003). 인지재활훈련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2(4). 514-519. 
이정모 (2003).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전경숙 (2005). 초등학교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전주교육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Coelho, C. M., Palha A. X & Pachana, N. (2008). Rehabilitation programs for elderly woman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Woman Aging, 20, 283-295. 
Dobkin, B. H. (2002). Cognitive rehabilitation: An integrative neuropsychological approach. 
Neurology, 58, 1578. 
Klingberg, T. (2007). Training of working memory. Research_White Paper. 
Klingberg, T., Fernell, E., Olesen, P., Johnson, M., Gustafsson, P., Dahlstrom, K., Gillberg, C. 
G.,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5). Computerized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4(2), 177-186 
Klingberg, T.,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2). Increased brain activity in frontal and 
parietal cortex underlies the development of visuo-spatial working memory capacity 
during childhood.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4, 1-10. 
Klingberg, T.,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2).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the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4, 
781-791. 
Kurtz, M. M., Moberg, P. J., Gur, R. C. & Gur, R. E. (2001). Approaches to cognitive 
remediation of neuropsychological deficits in schizophrenia: A review and 
meta-analysis. Neuropsychology Review, 11(4), 197-210.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Kurtz, M. M., Seltzer, J. C., Fujimoto, M., Shagan, D. S & Wexler, B. E. (2008). Predictor of 
change in life skills in schizophrenia after cognitive remediation. Schizophrenia 
Research. Nov. 8. 
Lezak, M.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 406 - 
Press. 
Olesen, P., Westerberg, H. & Klingberg, T. (2004). Increased prefrontal and parietal brain 
activity after training of working memory. Nature Neuroscience, 7, 75-79. 
Osterrieth, P. A. (1944). Le test de copie d'une figure complexe. Archives de Psychologie, 
30, 206-356. 
Rey, A. (1941). L'examen psychologique dans les cas d'encephalopathie traumatique. Archives 
de Psychologie, 28, 286-340. 
Rey, A. (1964). L'examen clinique en psychologie. Paris: Press Universitaire de France. 
Silverstein, A. B. (1985). Two-and four-subtest short forms of the WAIS-R: A closer look 
at validity and reliabilit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1(1), 95-97. 
Wechsler, D. (2003).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forth edition administration and 
scoring manual. PsychoCorp. 
Westerberg, H., Jacobaeus, H., Hirvikoski, T., Clevberger, P., Ostensson, M.-L., Barefai, A. & 
Klingberg, T. (2007). Computerized working memory training after stroke - A pilot 
study. Brain Injury, 21(1), 21-29. 
Westerberg, H., Hirvikoski, T., Forssberg, H. & Klingberg, T. (2004). Visuo-spatial working 
memory: a sensitive measurement of cognitive deficits in ADHD. Child 
Neruopsychology, 10(3), 155-161. 
Wykes, T., Reeder, C., Corner, J., Williams, C. & Everitt, B. M. (1999). The effects of 
neurocognitive remediation on executive processing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 Bulentin, 25(2), 291-307. 
원고접수일 : 2011년 06월 15일 
수정제출일 : 2011년 11월 26일 
게재확정일 : 2011년 11월 26일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abstract> 
Effects of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through Computer 
on Improving Learning Ability 
-Focused on Children of Community Social Youth Centers- 
Jae-Jung Kang ․ Hyun-Joo Song 
Graduate School of the Professional therapeutic technology 
Seoul Woman's University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mputerized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is 
effective on children's learning, who suffer from difficulties in classrooms. In order to this 
purpos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children who are appeared to have problems 
with concentration and learning on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 
comparative group under the same condition carried out an emotional program with art. 
Before starting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comperative and control groups were tested 
on cognitive function. After 10 session, the post test was performed to the three groups. 
For the measurement, some parts of K-WISC-Ⅲ test (vocabulary, block design, 
arithmetics, sequencing, and digit span), RCFT(Rey Complex Figure Test), AVLT(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and letter-number sequencing of WISC-Ⅳ were adop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ithmetics and digit span subtest of K-WISC-Ⅲ and the delay 
recollection of AVLT. This indicates that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is helpful 
increasing memory ability including the working memory of children.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has possibility to improve the general cognitive 
abilities of children. 
Key word: Cognitive enhancement, working memory, children 
- 407 -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강재정 송현주 2011 컴퓨터 인지증지프로그램 학습능력향상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혜원 정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혜원 정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혜원 정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혜원 정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혜원 정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혜원 정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혜원 정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혜원 정
 
박성옥 김윤희 2010 영재아 실행기능 향상 게임놀이프로그램효과
박성옥 김윤희 2010 영재아 실행기능 향상 게임놀이프로그램효과박성옥 김윤희 2010 영재아 실행기능 향상 게임놀이프로그램효과
박성옥 김윤희 2010 영재아 실행기능 향상 게임놀이프로그램효과혜원 정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혜원 정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혜원 정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혜원 정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Similar to 강재정 송현주 2011 컴퓨터 인지증지프로그램 학습능력향상 (20)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주연 이효신 2011 adhd실행향상프로그램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윤미희길경숙집단게임놀이프로그램이Adhd성향아동의실행기능에미치는효과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김윤희 박성옥 2010 학습부진 아동 실행기능향상 집단게임놀이치료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빅미영 신민섭 2010 adhd 컴퓨터 훈련 cbt검증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김사리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adhd 실행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조정연외 2010 국내외 실행향상프로그램동향분석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신민섭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도레미 2010 아동기 실행기능의 발달
 
박성옥 김윤희 2010 영재아 실행기능 향상 게임놀이프로그램효과
박성옥 김윤희 2010 영재아 실행기능 향상 게임놀이프로그램효과박성옥 김윤희 2010 영재아 실행기능 향상 게임놀이프로그램효과
박성옥 김윤희 2010 영재아 실행기능 향상 게임놀이프로그램효과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박순말신민섭 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_불안장애_아동의_실행기능_비교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김현경 2008 국악음악adhd유아 집중력 충동성 타악기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_아동의_정서지능과_사회성에_미치는_효과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강재정 송현주 2011 컴퓨터 인지증지프로그램 학습능력향상

  • 1. 재활심리연구, 제18권 제3호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11, Vol. 18, No. 3, 393-407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지역사회 청소년센터 아동 대상- 강 재 정** ․ 송 현 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일반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주의집중 및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초등학교 3, 4학년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조건의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이 들에게는 미술을 매개로 하는 정서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무처치 통제집단을 포함한 세 집단 에게 사전ㆍ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치로는 K-WISC-Ⅲ 소검사 일부(어휘, 토막, 산수, 차 례 맞추기, 숫자외우기)와 RCFT(Rey Complex Figure Test), AVLT(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WISC-Ⅳ 소검사 중 문자-숫자 이어가기 과제가 포함되었다. 실험 결과, 비교 집단 및 통제집단과 달리 인지증진 프로그램 집단에서 K-WISC-Ⅲ의 산수, 숫자 소검사와 AVLT의 지연회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며, 그 외 전반적인 인지기능 향상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칠 소지 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 393 - 주요어: 인지증진, 작업기억, 아동 * 이 논문은 2009년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임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신촌 세브란스병원 어린이병원 임상심리실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서울시 노원구 화랑로 623번지 TEL 02-976-5888. E-ㅡmail jayoo1004@swu.ac.kr.
  • 2.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Ⅰ. 서 론 인지란 사람들이 어떻게 세상을 지각하고 이해하며 그 속에서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고, 어떻 게 판단과 결정을 내리며, 타인에 대한 자신의 지식과 이해를 표출하는가를 설명해 주는 것이 다.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은 정신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우리는 글자를 읽고 책을 이해하거 나, 길에서 친구를 알아보는 경우와 같이 감각기관을 통하여 들어오는 자극을 인식하고, 일상생 활의 사건들을 기억하며, 언어를 말하거나 쓰고 이해하기도 한다. 또한 여러 상황에서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도 하며 각종 고도의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통틀어 인지라고 한다(이정모, 2003). 우리가 알고 있는 뇌졸중을 포함한 뇌손상이나 정신분열, 강박증과 같은 장애는 위와 같은 인 지영역의 결함을 동반한다. 따라서 인지기능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인지재활(박희수, 2003에서 재인용; Dobkin, 2002)은 인지적 손상이 있는 환자들이 기능을 회복하고 사회에 적응하도록 돕기 위한 연구와 노력에 적용되어왔다. 현재 이러한 인지 재활에 기초하여 발전한 인지증진치료(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CET, cognitive remediation therapy: CRT 혹은 neuro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NET)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인지증진치료는 세부 인지 영역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취약 영역을 파악한 후, 손상된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하거나 보상할 수 있는 치료적 책략 계획 수립을 통 한 치료로서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을 통해 뇌손상 환자, 주의력 장애나 기타 인지기능 장애 뿐 아니라 정상군에 까지 적용할 수 있다(송현주, 2007). 또한 인지증진치료(또는 인지 교정, 인지재 활)는 뇌 손상 외 정신 분열병 환자 재활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으며 최근에는 노인집단, 특 히 치매를 겪고 있는 환자군에 대한 인지증진치료 효과(박성휘, 2006; 오병훈, 김영기, 김지혜, 신윤식, 2003)에 대한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또한 Coelho, Palha와 Pachana(2008), Kurtz, Moberg, Gur와 Gur(2001)와 Wykes, Reeder, Corner, Williams와 Everitt(1999) 등의 연구를 통 해 정신분열 환자의 처리 과정, 기억, 또는 언어적 학습 기억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가 입 증되었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장애군에 걸쳐 인지행동치료를 적용한 성인에 비해 아동은 주로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아 동의 발달에 있어 인지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개인의 학습과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 친다. Westerberg, Hirvikoski, Forssberg와 Klingberg(2004)는 ADHD아동의 인지, 행동 문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작업기억의 결함이 핵심이라고 하였으며, 다른 과제에 비해 특히 작업기억 과제에서 문제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ADHD아동의 인지와 행동은 전전두엽 피질과 관련 있 - 394 -
  • 3.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작업기억 역시 전전두엽(preprontal lobe)과 두정엽(parietal lobe)이 관 장하고 있다(Olesen, Westerberg, & Klingberg, 2004). 전전두엽은 작업기억 뿐 만 아니라 계획 을 세우고 의사결정을 하고, 논리적 사고 및 정서조절을 하는 등의 전반적인 고등인지를 담당하 고 있어 ADHD아동의 인지와 행동의 많은 부분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기억에 대한 연구 는 비교적 최근에 와서 이루어지고 있다. 게다가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이나 사회성, 공격성 등의 행동 및 정서 영역에서의 치료와 효과에 대한 연구는 상당부분 이루어져왔으나 작업기억 과 같은 인지와 관련된 연구는 최근에 와서야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작업기억 연구자들은 작업기억의 용량은 개인차가 있고,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다고 간 주하였다. 그러나 Olesen 등(2004)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작업기억 향상 훈련을 한 결과, 전 두엽과 두정엽 피질이 활성화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작업기억을 관장하는 신경계의 가소성을 입증해 준 결과라고 하겠다. 이밖에도 Klingberg, Fernell, Olesen, Johnson, Gustafsson, Dahlstrom, Gillberg, Forssberg와 Westerberg(2005)는 최근 작업기억을 향상시키는 RoboMemo라 고 불리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훈련은 구체적인 작업기억 세트로 구성되며, 연산법에 따라 난 이도가 조절된다. 아동은 매일 30-40분씩 정해진 횟수로 훈련하며, 아동의 수행은 컴퓨터를 통해 저장되고 분석된다. 프로그램 결과, 비교 그룹에 비해 훈련을 수행한 ADHD아동 그룹에서 작업 기억, 추론과제 그리고 반응억제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3개월 후, 재평가(Follow up)에서도 비교집단과 여전히 유의미한 차이를 유지하고 있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Kingberg, Forssberg와 Westerberg(2002)는 ADHD아동을 대상으로 컴퓨터로 된 작업기억 훈 련을 실시하였다. 5-6주 동안 매일, 15분씩 각각의 작업기억 과제를 30번 완성하도록 했고, 그 결과 시공간 작업기억 과제와 추론과제에서 향상이 나타났으며, 아동의 운동신경 활동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시공간 작업기억은 훈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실시 후 검사에서 수행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이는 작업기억이 주의와 추론, 문제해결 능력에도 일반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에게도 작업기억 훈련을 실시하였는데 ADHD아동 뿐 만 아니라 정상 성인에서도 작업기억 훈련의 효과가 나타났고, 이 를 통해 작업기억의 결함 없이도 작업기억 훈련을 통한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컴퓨터 게임을 이용한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구조화된 실험 상황이 아닌 일반 청소년센터에서 집단으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지증진 훈련을 실시하여 대상 아동들의 훈련 효 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반인의 작업기억 훈련에 대한 효과는 입증되었 으나 이것마저도 성인이었으며 아동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발달 과정 중에 있는 아동의 작업기억 능력이 저하되면, 주의력이나 기억에도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에 (Klingberg, 2007) 이와 같은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은 아동의 학업 향상과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의 산만 문제를 호소하는 지역사회의 요구는 많으나 전문 인력과 방법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곳에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 - 395 -
  • 4.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적으로 설계되었다. 센터나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나 진단을 받지는 않았으나, 실제 학업장면에 서 주의력 및 기억력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어떻게 영향 을 미치고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방 법 - 396 - 1. 연구설계 본 연구에서는 인지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이외에 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을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통제집단 외 미술치료 비교 집단을 선정한 것은 치료자와 아동 간 정서적 관계와 같은 기타 변인의 영향을 배제한 이후에 도 본 프로그램의 순수한 효과가 산출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통제집단은 대기집단으로 구성하여 사후 평가 후에 동일한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받았다. 따라서 총 3집단은 동일한 시기 에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가 실시되었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미술심리치료 집단)에게는 동일 한 기간 동안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2. 연구대상 경기도, H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주의산만 등으로 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초등학교 3, 4학년 아동을 담임교사의 신청을 받아 대상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우선적으로 실험 및 비교 집단을 선 정하여,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인 지능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 인지증진 프로그램에는 17명, 미술 프로그램에는 12명이 선발되었으나, 프로그램에 결석 이 4번 이상인 피험자는 연구결과에서 제외시켜 최종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은 남자 9명, 여자 3 명으로 12명, 비교집단은 남자 2명, 여자 8명으로 10명, 통제집단은 남자 8명, 여자 3명으로 11 명, 총 33명이었다. 3. 실험도구 1) 인지증진 집단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은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해 (주)아이큐빅에서 개 발된 ‘어텐션 닥터’와 The Learning Company에서 제작한 ‘The Clue Finders 3rd Grande Adventures'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중, 해당 분야 박사학위를 가진 임상심리전문가에 의해 인지
  • 5.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증진 훈련에 적절하다고 임상적으로 판단된 과제들로 선별되었다. 두 개의 소프트웨어에서 작업 기억 훈련을 비롯하여 시각 주의력 및 청각 주의력 훈련 그리고 전반적인 인지증진을 위한 과 제를 선별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미 실제 현장에서 주의집중 훈련에 효과가 있다고 임 상적으로 검증된 과제들을 사용하였고, 이 과제들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포함된 인지증진을 위한 훈련 과제는 <표1>과 같다. - 397 - 표 1. 인지증진 프로그램 과제 내용 영 역 과 제 청각주의력 늪 속 보물찾기, 피라미드 보물찾기, 시몬 가라사대 작업기억 횡단보도 그림 찾기, 학용품 준비하기, 장난감 수리하기, 딱정벌레, 시각주의력 거미의 그림 찾기, 같은 그림 찾기 지각조직 및 추론능력 차례 맞추기, Bone Arrange 2) 집단 미술 프로그램 재검사 시의 오염변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된 비교집단 피험자들에게 실시한 미술 프로그 램은 김혜경(2005)과 전경숙(2005)이 초등학교 아동 대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 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구성되었다. 미술 프로그램은 주 1회 50분씩 10회기로 진행 되었다. 4. 측정도구 1) 지능: 한국판-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소검사 (Subtests in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 K-WISC-Ⅲ)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의 소검사들 중 언어성 검사인 어휘와 산수, 동작성 검사인 차례 맞추 기와 토막 짜기로 구성된 단축형은 전체 소검사로 측정한 지능과 r=.95의 높은 상관이 있다 (Silverstein, 1985).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중 어휘, 산수, 토막 짜기, 차 례 맞추기 소검사를 실시하였고 원점수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2) 작업기억: K-WISC-Ⅲ 중 산수와 숫자 외우기 소검사, WISC-Ⅳ 중 문자-숫자 이어가기 소검사 한국판-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의 산수 소검사는 주의를 기울여 받아들여진 정보에 대해 정 신적 조작을 가하는 ‘암산’이라는 부분에서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유용한 소검사이다(김중술, 이 용승, 이민식, 1994). 또한 숫자 외우기 소검사도 인지과정에서 바로 따라 외우기(Digits
  • 6.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Forward: DF)는 정보의 유지만을 요하지만, 거꾸로 따라 외우기(Digits Backward: DB)는 정보 의 유지 뿐만 아니라 조작을 요구하기 때문에 숫자 외우기 소검사 역시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김홍근, 박태진, 2003). WISC-Ⅳ는 WISC-Ⅲ에서 유지된 10개의 소검사에 새로운 소검사 5개가 추가되어 총 15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져있다. 이들 소검사 중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문자-숫자 이어가기 소검사는 작업 기억을 측정하는 핵심 소검사(Wechsler, 2003)로서, 새로 추가된 작업기억 목록(Working Memory Index)에 해당된다. 피검자에게 순서가 얽혀있는 연속된 문자와 숫자를 1초에 하나씩 들려주고, 오름차순으로 숫자와 문자를 재배열하여 다시 말하도록 하는 검사이다. 이 소검사는 숫자 외우기처럼 청각적 기억을 자극하는 것부터 시각적 기억을 자극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인 지적인 작업이 요구된다(Wechsler, 2003). 3) 그 외 인지 기능: 레이 도형검사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RCFT), 한국판 청각-언 어 학습 검사(Korean Auditory-Verbal Learning Test: K-AVLT) RCFT는 Rey(1941)가 개발하여, Osterrieth(1994)가 개정한 신경심리학적 시각 기억검사로, 시 지각, 공간적 구성능력, 시각적 기억 및 시각적 조직화전략을 포함한 집행기능 등 다양한 인지 기능을 평가한다(Lezak, 1995; Osterrieth, 1944). K-AVLT 또한 Rey(1941, 1964)가 개발하여 한 국어로 번안된 표준화한 신경심리학적 언어 기억검사이다. 이 검사는 언어 학습능력, 언어적 기 억 및 언어적 조직화(의미적 군집화) 전략 능력 등을 평가한다. - 398 - 5. 실험절차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한 달 전, Y시 청소년 지원센터를 통해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 동을 위한 인지증진 프로그램과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는 아동을 모집하였다. 모집된 29 명의 아동에게 프로그램 2주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요구를 반영하여 인 지증진 프로그램과 미술 프로그램에 각각 배정하였다. 모든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와 보조진행자 가 동반하여 실시하였다. 인지증진 프로그램에 배정된 아동은 남자 14명, 여자 3명으로 총 17명이었으며, 50분씩, 주 2 회, 총 20회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시작 전에 피검자 모두에게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여, 프로 그램의 진행방법, 주의사항 및 규칙을 주지시켰다. 인지증진 프로그램은 청소년 지원센터 내 컴 퓨터실에서 이루어졌으며, 매 회기마다 개별 컴퓨터와 개인 기록지가 주어졌다. 난이도는 과제 에 따라 세부적으로 1단계/2단계 또는 Level 1/2/3/4/로 나뉘어 있으며, 훈련 시에는 크게 상, 중, 하로 나누었다. 과제를 통과하면 개인 기록지에 날짜가 적힌 스티커를 붙여주어, 진행속도와 특별히 취약한 영역을 알 수 있게 하였고, 피험자가 특히 더 취약한 과제에서는 훈련 횟수를 증
  • 7.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가하여 실시하였다. 총 20회기의 인지증진 프로그램에 4회 이상(약 20%) 결석한 실험집단 피험 자 5명은 중간에 탈락되거나, 자료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전과 동일한 검사 를 사후에 실시하였다. 미술 프로그램에 배정된 아동은 남자 2명, 여자 10명으로 총 12명이었으 며, 프로그램은 특성 상, 주 1회 50분씩, 인지증진 프로그램과 같은 기간에 진행되었다. 미술 프 로그램은 인지와 상관없는 그리기, 만들기 또는 매체를 통한 자기탐색이 이루어졌고, 총 10회기 중에서 2명이 탈락되어 남자 2명, 여자 8명으로 총 10명이 실험에 포함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전과 동일한 검사를 사후에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 비교집단과 동일한 검사를 사전에 실시하였고, 2개월의 시간이 경과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5.0을 사용하였고 세 집단 간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하였다. Ⅲ. 결 과 - 399 - 1. 세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증 지능검사 소검사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결과, 차례 맞추기 소검사 F(2. 32)=1.104, ns, 산수 소검사 F(2. 32)=1.121, ns, 토막 짜기 F(2. 32)= .279, ns, 어휘 소검사 F(2. 32)= .283, ns로 실 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간에 사전 지능 측정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표3). 이밖에도 프로그램 효과 측정 평가치로 사용한 변인들에 대한 사전 동질성도 다음과 같이 입증 되었다.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 F(2. 32)= .104, ns,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F(2. 32)=1.836, ns, RCFT 지연 회상 F(2. 32)= .968, ns, AVLT 지연 회상 F(2. 32)=3.295, ns. 표 2.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측정치 집단 평균 표준편차 산수 실험 15.92 3.68 비교 14.20 2.90 통제 14.27 2.05 토막 짜기 실험 44.67 10.71 비교 44.70 10.52 통제 41.72 10.90 차례 맞추기 실험 27.08 9.10 비교 30.30 7.04 통제 31.45 5.07 어휘 실험 22.75 8.24 비교 20.50 7.01 통제 21.09 6.56
  • 8.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표 3. 지능 소검사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 400 - 산수 집단-간 59.312 2 29.656 4.071 .027** 집단-내 218.567 30 7.286 합계 277.879 32 숫자 집단-간 54.620 2 27.310 1.808 .181 집단-내 453.259 30 15.109 합계 507.879 32 LN 집단-간 34.703 2 17.352 1.963 .158 집단-내 265.176 30 8.839 합계 299.879 32 차례 집단-간 118.498 2 59.249 1.104 .345 집단-내 1609.744 30 53.658 합계 1728.242 32 산수 집단-간 21.544 2 10.772 1.212 .312 집단-내 266.698 30 8.890 합계 288.242 32 토막 집단-간 64.021 2 32.011 .279 .759 집단-내 3446.948 30 114.898 합계 3510.970 32 어휘 집단-간 30.583 2 15.292 .283 .756 집단-내 1621.659 30 54.055 합계 1652.242 32 2. 프로그램 효과 분석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의 간의 프로그램 효과 분석 결과, 산수,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 기와 AVLT 지연 회상 측정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표4). 세 집단 간 차 이를 탐색하기 위해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산수와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측정치 에서 CET 집단과 무처치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표5). 미술치료 프로그 램 집단과 무처치 집단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1>에 각 집단별 사전 사후 비교 결과가 제시되어 있다. 표 4. 집단 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변량분석
  • 9.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 401 - CFT 모사 집단-간 12.862 2 6.431 .323 .726 집단-내 596.698 30 19.890 합계 609.561 32 CFT 즉시회상 집단-간 9.399 2 4.700 .066 .937 집단-내 2145.297 30 71.508 합계 2154.636 32 CFT 지연회상 집단-간 16.462 2 8.231 .132 .877 집단-내 1871.266 30 62.376 합계 1887.727 32 숫자-DB 집단-간 26.114 2 13.057 3.535 .042* 집단-내 110.795 30 3.693 합계 136.909 32 AVLT 지연 집단-간 13.915 2 15.258 3.538 .042* 집단-내 58.994 30 4.989 합계 72.909 32 * p<.05, **p<.01 18 16 14 12 10 8 6 4 2 0 실험 비교 통제 실험 비교 통제 실험 비교 통제 산수 AVLT지연학습 숫자-DB 사전 사후 그림 1. 집단 간 사전 사후 비교
  • 10.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표 5.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사전 사후 점수 변화에 대한 쌍별 비교 - 402 - 측정치 집단 사전 사후 비교 평균차 p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산수 실험 15.92 3.68 16.83 3.16 실험 vs 비교 2.733 .062 비교 14.20 2.90 14.10 2.42 실험 vs 통제 2.833 .045* 통제 14.27 2.05 14.00 2.37 비교 vs 통제 .1000 .996 AVLT 지연 실험 8.75 2.41 10.83 1.36 실험 vs 비교 -2.167 .094 비교 12.30 2.80 13.00 1.83 실험 vs 통제 -.167 .984 통제 10.73 2.33 11.00 2.37 비교 vs 통제 2.000 .140 숫자-DB 실험 5.50 1.17 6.75 2.00 실험 vs 비교 .750 .664 비교 5.80 2.04 6.00 1.83 실험 vs 통제 2.114 .044* 통제 4.55 1.51 4.67 1.91 비교 vs 통제 -1.364 .283 * p<.05 Ⅳ.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청각 주의력과 시각 주의력, 작업기 억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무처치 집단 외에 미술치료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포함시켜 치료자와 아동 간 칭찬이나 함께함과 같은 긍정 적 관계 경험에서 기인한 변화 등을 배제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순수한 효과를 산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미 선행 연구들 (Klingberg et al, 2002, 2005; Westerberg, Jacobaeus, Hirvikoski, Clevberger, Ostensson, Baregai & Klingberg, 2007)을 통하여 작업기억력 증진 프로그램에 효 과가 있다는 점은 입증되었지만 실제 인지능력 향상은 치료자와의 긍정적 정서 경험 등을 통해 서도 부분적으로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개입 효과가 인지증진적 개입의 단독효과인지를 변별해 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인지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교 집단과 정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교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작업기억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사전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쌍별 비교 결과 인지 증진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미술치료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의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정서적 변인을 배제한 이후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입증한 결과라고 하겠다. 한편, 본 연구 결과에서 재고해야 할 부분은 산수 능력과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소검사에 서는 집단 간 쌍별 비교에서 인지증진 프로그램 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
  • 11.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나 청각단어학습 과제의 쌍별 비교 결과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산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림4 에 제시되어 있듯이 인지증진 프로그램 집단이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 정도는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사전 동질성과 관련하여 비교집 단의 사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는 점이 결과 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일부 생각해 볼 수는 있으나, 보다 근본적으로 이는 본 연구에서 구 성한 인지증진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서 청각 모듈을 사용한 과제가 시각 모듈을 사용한 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데 일차적인 원인이 있었다고 판단된다. 실제 현재 대부분의 인지능력 훈련과제들은 청각보다는 시각 모듈을 사용한 과제들이 현저하게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송현주(2008)는 청각주의력과 지능 간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에서 제반 지능과 보다 관련성이 높 은 것은 청각주의력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이후의 인지증진 프로그램 구성에서 청각 모 듈을 기초로 하는 과제를 보다 많이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 군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았다. 치료적 개입 효과 검증 연구에서 비교집단과 통제집단까지 포함 한 설계를 하였다는 점은 의의가 있으나 보다 큰 집단에서 프로그램 효과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지능검사 소검사를 사용하여 집단 간 지능의 동질성은 검증하였으 나 공변인으로 지능을 통제하지는 못하였다. 인지기능에 대한 지능 영향력이 매우 강력한 점을 감안할 때 추후 연구에서는 지능을 통제한 상태에서 기억지수와 작업기억 능력에 본 프로그램 효과가 의미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성비가 균등 하게 맞추어지지 못하였으며, 대상 아동을 3, 4학년으로 제한하여 연령 범위가 비교적 동질적이었으나 발달 단계의 아동임을 감안할 때 보다 세분화된 연령 집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도 있겠다. 넷째, 추후 회기 및 검사가 없었기 때문에 실제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고 있으며 실제 학업에 얼마나 개입 효과 가 반영되는지에 대한 분석에 제한이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탐색이 포 함되어야 하겠으며 더 나아가 프로그램 종결 후, 추후 회기와 함께 인지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학업 성적이나 생활 태도, 학업에 대한 흥미 또는 동기 변화에 대한 추후 조사도 이루어진다면 직접적으로 실생활에 적용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와 다르게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인 지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동안에는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치료의 형태로 성인 환자나 ADHD아동의 작업기억 훈련과 같이 환자군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Klingberg 외, 2002)는 그나마도 성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 진단을 받지 않은 일 반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인지증진 프로그램이 작업기억과 지각조직, 주의력 향 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집단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는 점 은 체계적으로 구조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상황에서는 준전문 인력에 의해서도 인지증진 프 로그램의 효과적인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고도 볼 수 있겠다. 이는 아동 인지기능 - 403 -
  • 12.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에 대한 개입 요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 인력이 부족한 현실적 상황 속에서 부분적인 대안 으로 사용될 수도 있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비교집단으로 미술치료 집단을 포함시킨 것 은 이미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인지증진적 개입에 포함된 치료자와의 긍정적 관계 경험 등의 효과를 배제하고 난 이후에도 개입의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 목적에서 포함된 것 이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핵심적인 치료기제 등과는 관련이 없음을 밝힌다. - 404 -
  • 13.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참고 문헌 김중술, 이용승, 이민식 (1994). K-WAIS의 단축형에 관한 연구. 정신의학, 19, 121-126. 김홍근, 박태진 (2003).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의 차이에 관한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 599-613. 김혜경 (2005).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 향상 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성휘 (2006). 인지재활프로그램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동국대 - 405 - 석사학위논문. 박희수 (2003). 인지재활 훈련이 강박장애 환자의 기억과 임상증상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 석사학위논문. 송현주 (2007). 인지증진치료와 학습장애에의 활용. 심리치료학회지, 7, 135-156. 송현주 (2007). 정신분열병 환자 주의망의 불안정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 693-702. 송현주 (2008). 청각주의력과 지능.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7(3), 767-776. 오병훈, 김영기, 김지혜, 신윤식 (2003). 인지재활훈련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2(4). 514-519. 이정모 (2003). 인지심리학. 서울: 학지사. 전경숙 (2005). 초등학교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전주교육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Coelho, C. M., Palha A. X & Pachana, N. (2008). Rehabilitation programs for elderly woman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Woman Aging, 20, 283-295. Dobkin, B. H. (2002). Cognitive rehabilitation: An integrative neuropsychological approach. Neurology, 58, 1578. Klingberg, T. (2007). Training of working memory. Research_White Paper. Klingberg, T., Fernell, E., Olesen, P., Johnson, M., Gustafsson, P., Dahlstrom, K., Gillberg, C. G.,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5). Computerized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4(2), 177-186 Klingberg, T.,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2). Increased brain activity in frontal and parietal cortex underlies the development of visuo-spatial working memory capacity during childhood.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4, 1-10. Klingberg, T., Forssberg, H., & Westerberg, H. (2002). Training of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the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4, 781-791. Kurtz, M. M., Moberg, P. J., Gur, R. C. & Gur, R. E. (2001). Approaches to cognitive remediation of neuropsychological deficits in schizophrenia: A review and meta-analysis. Neuropsychology Review, 11(4), 197-210.
  • 14. 재활심리연구 제18권 3호, 2011 Kurtz, M. M., Seltzer, J. C., Fujimoto, M., Shagan, D. S & Wexler, B. E. (2008). Predictor of change in life skills in schizophrenia after cognitive remediation. Schizophrenia Research. Nov. 8. Lezak, M.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 406 - Press. Olesen, P., Westerberg, H. & Klingberg, T. (2004). Increased prefrontal and parietal brain activity after training of working memory. Nature Neuroscience, 7, 75-79. Osterrieth, P. A. (1944). Le test de copie d'une figure complexe. Archives de Psychologie, 30, 206-356. Rey, A. (1941). L'examen psychologique dans les cas d'encephalopathie traumatique. Archives de Psychologie, 28, 286-340. Rey, A. (1964). L'examen clinique en psychologie. Paris: Press Universitaire de France. Silverstein, A. B. (1985). Two-and four-subtest short forms of the WAIS-R: A closer look at validity and reliabilit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1(1), 95-97. Wechsler, D. (2003).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forth edition administration and scoring manual. PsychoCorp. Westerberg, H., Jacobaeus, H., Hirvikoski, T., Clevberger, P., Ostensson, M.-L., Barefai, A. & Klingberg, T. (2007). Computerized working memory training after stroke - A pilot study. Brain Injury, 21(1), 21-29. Westerberg, H., Hirvikoski, T., Forssberg, H. & Klingberg, T. (2004). Visuo-spatial working memory: a sensitive measurement of cognitive deficits in ADHD. Child Neruopsychology, 10(3), 155-161. Wykes, T., Reeder, C., Corner, J., Williams, C. & Everitt, B. M. (1999). The effects of neurocognitive remediation on executive processing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 Bulentin, 25(2), 291-307. 원고접수일 : 2011년 06월 15일 수정제출일 : 2011년 11월 26일 게재확정일 : 2011년 11월 26일
  • 15. 강재정·송현주 /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증진 프로그램의 학습능력 향상효과 <abstract> Effects of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through Computer on Improving Learning Ability -Focused on Children of Community Social Youth Centers- Jae-Jung Kang ․ Hyun-Joo Song Graduate School of the Professional therapeutic technology Seoul Woman's University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mputerized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is effective on children's learning, who suffer from difficulties in classrooms. In order to this purpos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children who are appeared to have problems with concentration and learning on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 comparative group under the same condition carried out an emotional program with art. Before starting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comperative and control groups were tested on cognitive function. After 10 session, the post test was performed to the three groups. For the measurement, some parts of K-WISC-Ⅲ test (vocabulary, block design, arithmetics, sequencing, and digit span), RCFT(Rey Complex Figure Test), AVLT(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and letter-number sequencing of WISC-Ⅳ were adop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ithmetics and digit span subtest of K-WISC-Ⅲ and the delay recollection of AVLT. This indicates that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is helpful increasing memory ability including the working memory of children.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has possibility to improve the general cognitive abilities of children. Key word: Cognitive enhancement, working memory, children - 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