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일시: 2015년 11월 13일 (금) 09:00~
장소: 네스트 호텔 회의실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일시: 2015년 11월 13일 (금) 09:00~
장소: 네스트 호텔 회의실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 3 -
< 차 례 >
◈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일정표 5
주제발표
<제1주제> 2015 출판인 해외연수 BEA 세미나 연계 과정 결과 보고서 7
<제2주제> 대학출판부의 기획과 마케팅-도서 기획과 마케팅 21
<제3주제> 「도서 완제품 가이드북」 설명회-완제품 수출 개요 및 미국 시장 소개 45
<제4주제>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플랫폼 개발사업 진행사항 발표 59
◈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정관 73
◈ (사)한국대학출판협회 회원(교) 명단 80
- 5 -
시 간 내 용 비고
07:30~08:30 60‘ 조식 호텔(뷔페)
08:30~08:50 20‘ 일본협회 참가단 환송
09:00~09:20 20‘ 연수회 개회식
자랑스러운 대학출판인상
시상, 우수 서평 시상식
09:20~10:00 40‘
2015 출판인 해외연수
BEA 세미나 연계 과정 결과
보고서
제1주제발표
박혜원(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10:00~10:40 40‘
대학출판부의 기획과 마케팅
- 도서 기획과 마케팅
제2주제발표
김종길(경남대학교
언론출판원)
10:40~10:50 10′ 휴식
10:50~11:30 40′
「도서 완제품 가이드북」 설명회
- 완제품 수출 개요 및
미국 시장 소개
제3주제발표
공경용(공앤박 대표)
11:30~12:10 40‘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플랫폼 개발사업 진행사항 발표
제4주제발표
김영진(다우인큐브 부장)
12:10~13:00 강평, 종합토론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일정표
- 2015년 11월 13일 (금요일) -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제1주제>
2015 출판인 해외연수 BEA 세미나 연계 과정 결과
보고서
박혜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출판인 해외연수
BEA 세미나 연계 과정 결과 보고서
2015년 6월
작성자 : 박혜원
소 속 : 방송대 출판문화원
목 차
1. 서론
-방송대 교재 사세요
-방치당하는 미국의 학부생
2. 본론
-인게이지먼트: 강의실을 짓는 출판사
․ 센게이지러닝의 ‘코스메이트’
․ 와일리의 ‘와일리플러스 러닝 스페이스’
-커스터마이징: 필요한 챕터만 사세요
․ 퍼블리셔에서 라이센서로
․ 졸업 후에도 충성 독자로
-인터랙티비티: 효과성으로 승부하라
․ 학습은 영화 감상과 다르다
․ 게임에서 답을 찾다
․ A학점을 받을 수 있다면
3. 결론
-교재 출판사에서 교육 서비스 공급자로
[교재의 필요성에 대한 미국 대학생들의 인식 변화]
교재 출판사에서 교육 서비스 공급자로
-미국 대학교재 출판사의 도전-
작성자 : 박혜원(방송대 출판문화원)
1. 서론
-방송대 교재 사세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이자, 세계적으로도 10대 원격대학에
드는 메가 유니버시티(Mega University)이다. 재학생 14만 명, 지역대학(지방 캠퍼스)
13개, 시·군 학습관 32개가 말해 주듯 그 규모는 국내의 다른 대학과 비교 자체를
불허한다. 그리고 나는 그런 방송대에 교재를 독점으로 공급하는 방송대 출판문화원의
편집자이다. 무려 14만 명의 학생이 자학자습과 시험 대비를 위해 매 학기 꼬박꼬박
구입하는, 바로 그 교재를 만드는 출판문화원에서 일하고 있다.
그러나 몇 년 사이, 사이버대학교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평생교육원 등을 통한
학점은행제가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방송대는 그 위상이 예전만 못하게 되었다.
재학생이 급감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스레 교재 판매도 급감하기 시작하였다. 매 학기
우리의 교재가 출간되기를 목을 빼고 기다려 주는 방송대 학생 외에 어떤 독자에게도
관심 가져 본 적 없는 방송대 출판문화원이 새로운 독자를 찾아 거친 세상으로 나서야
할 때가 온 것이다.
-방치당하는 미국의 학부생
때마침 2015 북엑스포아메리카(2015 BookExpo America, BEA) 연수에 참가하여
미국의 유명한 대학교재 출판사들을 만났다. 미국 고등교육의 세계적 위상만큼이나 전
세계 교육계와 출판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그들이지만, 가라앉을 줄 모르는
미국 대학산업의 거품은 안타깝게도 지척의 그들에게 먼저 타격을 가한 듯했다.
‘미국 대학’ 하면 떠오르는 천문학적 금액의 등록금은 사회문제가 된 지 오래고, 연구
중심 대학들의 학부생 티칭(teaching) 부족 역시 교육 비평가들의 도마에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학자금 대출로 빚에 허덕이는 학생들은 교재를 사지 않고 빌려 보거나
일부만 복사해 보거나 중고책을 구해 본다. 교재를 전혀 보지 않아도, 즉 공부를 하지
않아도 이를 염려하고 지도하려는 교수는 많지 않다. 대학은 더 이상 고등교육을 위해
존재하는 곳이 아니라 빛나는 졸업장 취득만을 위해 존재한다는 인식이 대학, 학생,
학부모 사이에 자리 잡으면서,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은 새로운 수익 모델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들에게서 국내 출판계와 같은 패배주의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었다. 오히려
위기를 발판 삼아 전보다 선진적인 전략을 용감하게 펼쳐 나가고 있었다. 그들의 전략은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 이
세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
2. 본론
-인게이지먼트: 강의실을 짓는 출판사1)
변해 버린 독자와 환경 속에서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이 생각해 낸 첫 번째 전략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더 적극적으로 만날 수 있는 티칭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미국 역시 대부분의 대학 강의는 딕테이션, 즉 강사의 일방적인 강의와 수강생의 노트
필기 정도의 수동적 차원에 머물고 있다. 교수자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과정, 역량,
성취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고, 학습자는 수십 명, 수백 명 중의 일인으로서 딱
그만큼의 역할만 하고 강의실을 나서면 그만이다. 그러나 학생 개개인에 대한 교수자의
관심과 관여, 그리고 교수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피드백이 학습효과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오늘날의 고등교육, 특히 방치된 학부생 교육에서 가장
절실한 개념은 관여와 참여, 바로 인게이지먼트(engagement)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는 바로 이 점에 착안하여 학습자와 교수자가 학기 내내
‘교재(textbook)’를 중심으로 더 적극적으로 강의에 참여하도록 온라인 공간을 제공한다.
이곳에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어떻게 공부를 하고 있는지, 학습 성취도는 어떠한지
등을 세밀하게 살핌으로써 강의 준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학습자는 본인의 학습
진도와 달성도를 스스로 체크해 봄으로써 시험 준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2015년 BEA 컨퍼런스를 통해 알게 된, 이러한 서비스의 대표 주자격인 두
개의 서비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 센게이지러닝의 ‘코스메이트’
2013년 7월, 미국 최대의 교과서 출판사 중 하나로 꼽히는 센게이지러닝(Cengage
Learning)은 파산을 신청했다. 재정위기를 겪은 후 센게이지러닝은 전통적인 인쇄매체
모델에서 디지털 교육 서비스 업체로 전환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센게이지러닝의
1) "New Strategies and Developments for Digital Higher Education: Part One & Two" at BEA
Content & Digital Conference에서 소개된 Cengage Learning과 John Wiley의 온라인 강의실 서비스
내용을 정리함.
[코스메이트의 교수자용 화면. 수강생별 학습 시간과 학습 성취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홈페이지를 도배하는 있는 단어는 ‘Engagement’이다. 인게이지먼트야말로 성공적인
학습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센게이지러닝은 인게이지먼트를 강화할 수 있는 여러
교육․학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코스메이트(Course Mate)이다.
코스메이트는 강의를 맡은 교수자가 센게이지러닝의 사이트에 본인의 강의룸을
개설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유료). 개설된 강의룸의 번호를 수강생들에게 알려 주면
수강생들이 해당 강의룸에 등록을 하고(유료) 이로써 강사와 수강생이 만나는 새로운
공간이 탄생한다. 학생들은 이 강의룸에 접속하여 해당 강의교재의 e-book을 챕터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것은 인쇄교재를 디지털화한 e-book만이
아니다. 인쇄교재에는 없는 quizzing, flash cards, glossary, video 등이 추가로
제공되어 주도적으로 다채로운 학습을 이어갈 수 있다. 퀴즈를 풀어 즉석에서 답을
확인한 후 오답풀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고, 주제와 관련된 외부의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감상하며 흥미도를 높일 수도 있다. 수강생 평균과 본인의 평균에 대한 비교
자료를 볼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학습 의욕도 높아진다.
교수자는 학생들의 이런 학습활동 전체를 모두 통계화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어떤 학생이 얼마나 오랜 시간 어느 챕터를 공부했는지, 어떤 퀴즈의 오답률이 높은지,
어떤 자료가 인기 있는지 등을 파악하여 다음 강의를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이런
[러닝 스페이스의 학습자용 화면. 개인의 학습 성취도와 과제물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효율은 실제 강의에서 딕테이션 형식의 단순 지식 전달 시간을 줄이고 토론과 질문
시간을 충분히 가짐으로써 오프라인 강의실에서도 인게이지먼트가 향상될 수 있다.
․ 와일리의 ‘와일리플러스 러닝 스페이스’
와일리플러스 러닝 스페이스(WileyPlus Learning Space)는 와일리(Wiley)가 제공하는
교육․학습 서비스이다. 기본적으로 코스메이트와 비슷한 기능을 하나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실시간 피드백이 더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고, 학습자 개개인에게 보다 선명한 학습
로드맵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동기를 부여해 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지, 무엇을 더 공부해야 할지 등을 명확하게 분석하여 보여 주고,
과제물을 제출할 수 있으며, 강사가 실시간으로 개입할 수 있어 학생들의 막연한 불안과
걱정을 없애 준다. 와일리플러스 러닝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강사들은 이 서비스의
효용으로, 효과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통해 학생과 강사 모두 실제 강의에서 더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토론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성적이 눈에 띄게 향상된다는 것을
꼽았다.
-커스터마이징: 필요한 챕터만 사세요2)
대학생들이 교재를 사지 않는 이유는 단순히 교재 구입에 돈을 쓰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 비용 대비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으로 보는 게 옳다. 1천 페이지에 달하는 두껍고
비싼 책을 사서 시험 때나 잠깐, 그것도 일부만 보고 버릴 책을 제값을 주고 산다는 게
오히려 비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다. 그래서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이 생각해 낸 두
번째 전략은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맞춤형 교재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와일리 출판사의 Franny Kelly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까다롭고 게으르다. 누구나
개인의 경제적 상황과 취향에 맞는 자동차를 구입하여 손쉽게 이동하고 싶어 하는
것처럼, 교수자와 학습자도 개별 상황에 맞는 콘텐츠만을 구입하여 짧은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공부하고 싶어 하는 게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소개한 코스메이트와
러닝 스페이스를 많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이용하고 있는 것도 단지 그 서비스가
인쇄교재에 비해 비용이 저렴해서라기보다는 짧은 시간에 높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퍼블리셔에서 라이센서로
미국의 교재 출판사들은 종이책이냐 전자책이냐 혹은 번들이냐를 넘어 독자가 원하는
콘텐츠만을 편집해 원하는 포맷으로 제공하고 있다. 꽤 오래 전부터 교수들 중 일부는
“이 책의 서론과 14, 15장은 필요 없으니 1~13장만 살 수 있게 해 달라”는 식의 요청을
해 오곤 했다. 그러나 요즘의 교수자와 학습자들은 다른 차원의 맞춤 제작을 요구한다.
여러 책의 특정 챕터 혹은 단락을 몇 개씩 모아 새로운 교재를 만들어 달라(이 중
일부는 다른 출판사의 책에 포함된 콘텐츠인 경우도 있음), 본문 중간에 특정
동영상을(자신의 강의 동영상 등)을 삽입해 달라, 인덱스, 주석, 요약 등을 특정 방식으로
편집해서 그것만을 구입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식이다. 그래서 일부 출판사들은 그간
축적해 온 방대한 양의 학습용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손쉽게 검색하고 선별하여 원하는 포맷으로 맞춤형 교재를 주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출판사로서는 이미 보유한 콘텐츠를 활용해 단기간에 새로운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좋고, 교수자와 학습자로서는 맞춤형 교재를 합리적인 금액에 제공받아
효율적으로 강의와 학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춤형 교재 제작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가능해졌기에 늘 기술과
관련된 이슈들이 먼저 떠오르게 마련이다. 그러나 출판사 입장에서는 그에 앞서 저작권
등 라이센스와 관련해 발생할 다양한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게 더
중요하다. 문장별, 단락별, 페이지별, 챕터별로 수많은 저작권자의 콘텐츠가 뒤섞인
새로운 책을 만들어 공급할 때 저작권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비용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등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수행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저작권자와 출판사
모두에게 이로운 정책을 마련하는 게 급선무이다.
2) “Relevance to Reader” at BEA Content & Digital Conference의 대담 내용을 정리함. Wiley Global
Education의 Franny Kelly(Associate Director of Product Management)의 발언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함.
[와일리의 맞춤형 교재 제작 서비스 페이지. 필요한 콘텐츠만을 검색·선별·구성 후 주문할 수 있다.]
․ 졸업 후에도 충성 독자로
학생들에게 맞춤형 교재를 제공할 경우 출판사가 챙길 수 있는 또 하나의 이득은
학생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경제력을 지닌 직업인이 되었을 때, 그간의 학습 이력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그들에게 매우 적절한 도서를 적시에 추천할 수 있다는 점이다.
Academy 시장에서 Trade 시장으로의 확장은 많은 교재 출판사들이 시도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를 통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독자 데이터베이스 구축뿐만 아니라
다양한 채널을 통한 마케팅 등 보다 세련된 CRM 기법에 대한 연구와 훈련이 필요하다.
-인터랙티비티: 효과성으로 승부하라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이 공을 들이고 있는 세 번째 전략은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교재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 대학가 역시 교수와
학생들은 아직까지 디지털 교재보다는 인쇄교재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다. 그러나
인쇄교재와 디지털 교재 모두 필요에 따라 선호한다는 학생이 30%를 넘어섰고,3) 즐기기
위한 독서(Reading for Fun)보다는 학습과 연구를 위한 콘텐츠를 디지털 포맷으로 보는
데 저항이 덜한바,4) 고등교육에서 디지털 교재의 활용은 점차 보편화될 것이 분명하다.
최근에는 ePub 3.0 기반의 디지털 교재가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출판계에서는 이를
디지털 교재의 전환점으로 삼으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ePub 3.0 기반 디지털
교재의 최대 화두는 ‘인터랙티비티’인데 이를 통해 기존의 인쇄교재와 명확히 차별화된,
즉 더 효율적인 학습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3) BISG의 2015년 미국 대학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쇄교재만 선호한다는 응답이 48%, 디지털 교재
만 선호한다는 응답이 18%, 필요에 따라 두 가지 모두 선호한다는 응답이 31%이다. 한편 미국 대학에서
2015년 봄학기에 인쇄교재만을 채택한 강의는 64%, 디지털 교재만을 채택한 강의는 14%, 두 가지 모두
채택한 강의는 14%로 조사되었다.
4) Kristen McLean(Bookigee CEO). “Youth Reading Or Not Part 1: What Do We Know About
Trends In Youth and Teen Reading Today?” at IDPF 2015 Digital Book Program
․ 학습은 영화 감상과 다르다
센게이지러닝의 국제사업부 회장 Alexander Broich 는 “음악과 영화, 그리고
일반도서(trade book)의 포맷과 환경은 오랜 시간 비슷한 방향으로 변화하여 왔다. 세
가지 모두 디지털화, DRM, 다운로드, 디바이스, 전자상거래가 변화의 핵심 개념이었다.
그러나 교육용 도서는 위의 셋과 확연히 다른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학습경험은 음악, 영화, 소설 등 다른 콘텐츠의 일방적인 소비와는 완전히 구별되는
것이다. 교육용 콘텐츠는 인터랙티브한 경험이 그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육용
출판사 관계자들은 다른 미디어 종사자들보다 혁신적 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기술 영역의 관계자들 역시 교육용 도서의 디지털화와
디지털화된 콘텐츠에 대한 효율적 접근 정도의 수준에 머무르지 말고 학습의 흐름과
과정을 고려하는 등 교육용 콘텐츠의 특수성을 더 적극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5)
․ 게임에서 답을 찾다
학습교재의 디지털화가 음악, 영화, 그리고 일반도서의 디지털화와 다른 성격의
것이어야 한다면 어디에서 그 모델을 찾을 수 있을까? 펍코더 (PubCoder)의 창립자
Paolo Albert는 “What the hell is water?”라는 이야기를 들어 우리가 의외로 자주
경험하는 인터랙티비티를 설명하고자 하였다.6)
작은 물고기 두 마리가 수영을 하다가 큰 물고기 한 마리를 만났다. 큰 물고기가 "거기
물은 좀 어때?”라고 묻자 작은 물고기들이 “What the hell is water?(제기랄! 물?
도대체 그게 뭔데?)”라고 되물었다. 너무 가까이에서 자주 접하다 보면 오히려 그 가치를
망각하게 된다. 전자책의 인터랙티비티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자 게임에서
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게임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피드백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강한 동기와 자발성을 끌어낸다. 학습자의 자발성이야말로
성공적인 학습의 토대라 할 수 있다. 젊은 층의 많은 수가 독자이면서 동시에
게이머7)라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게임의 인터랙티비티는 디지털 교재에 좋은 모델이
되어 줄 것이다.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비단 직관적 인터랙티비티만은 아니다.
The Trouble with Boys의 저자이자 저소득층의 대학 진학을 돕는 재단을 운영하는
Peg Tyre는 게임업계의 스토리 콘텐츠 개발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를 출판업계가 배울
것을 요구했다. 젊은 층의 읽기 능력 저하가 부모 세대가 읽었던 것과 다를 것 없는
구시대적 읽기 훈련 콘텐츠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이에 대한 투자 없이는 게임산업을
따라잡기 힘들 것이라고 역설하였다.8)
5) “New Strategies and Developments for Digital Higher Education: Part One” at BEA Content &
Digital Conference
6) “Closing the Youth Reading Gap with Interactivity and Gaming” at IDPF 2015 Digital Book
Program
7) 책 읽는 십대 중 93%가 게임 역시 즐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risten McLean(Bookigee CEO).
“Youth Reading Or Not Part 1: What Do We Know About Trends In Youth and Teen Reading
Today?” at IDPF 2015 Digital Book Program
8) “Readers Left Behind: The Gap Between Boys' and Girls' Reading” at IDPF 2015 Digital Book
Program
․ A학점을 받을 수 있다면
디지털 교재에서 인터랙티비티가 유독 강조되는 이유는 단순히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서가 아니라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9)에 따르면 학생들은 대학교재의 가치 기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했다. 1위 “시험이나 퀴즈를 대비할 수 있을 것”, 2위 “과제물
작성에 도움이 될 것”, 3위 “학점을 올릴 수 있을 것”. 이 조사는 최종적으로 디지털
교재 구입에 대한 질문을 던졌는데 “50달러짜리 기존의 인쇄교재와 100달러짜리 새로운
디지털 교재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다고 할 때, 학점을 한 등급(one letter
grade) 올릴 수 있고, 학습시간을 25%까지 줄일 수 있다면 기존의 인쇄교재 대신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교재를 구입하겠느냐”라고 물었고, “그렇다”라고 답한 학생이
54%에 달했다. (29%는 중립, 17%는 “아니다”)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교재의 성공
여부는 결국 인쇄교재와 비교해 학습에 더 효과적인지 아닌지가 최대 관건이 될 것이다.
3. 결론
-교재 출판사에서 교육 서비스 공급자로
고등교육의 환경이 바뀌고 교육 수요자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대학교재 출판사는
기존의 운영 방식으로는 장기적 발전이 힘든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가 생존을 위해 선택한 길은, 앞에서 보았듯이 인쇄교재 출판사에서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교육 서비스 공급자로 변모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종이책을
디지털화하는 차원이 아니라 교육 콘텐츠 중심의 웹사이트와 플랫폼을 구축하여 교수,
학생, 독자들과 인터랙티브한 작용을 주고받는 단계에까지 나아가고 있다. 교수자는
출판사의 풍성한 콘텐츠를 통해 더 전문적인 티칭의 기회를 얻었고, 그간 학교에서
방치되다시피 했던 학생들은 더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출판사의 수익이 증대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한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의 관심은 여전히 교수자 즉, 강의교재를 채택해 주는
교수들에게만 일방적으로 쏠려 있다. 콘텐츠 자체의 개발이나 학습자를 향한 지속적인
CRM보다는 많은 수강생을 거느린 교수자를 저자로 섭외하여 인세 외 연구비 명목의
지원금을 건네거나 로비를 통해 강의교재를 채택하게 하는 데 주력하는 곳이 여전히
많다.
최근에는 ePUB 3.0과 eduPUB의 등장으로 한국의 교재 출판사들과 대학 출판부들도
새로운 플랫폼에 조금씩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자연스레 최신 기술에 큰 관심을
기울이며 조바심을 내거나, 온갖 기능이 들어 있는 디지털 교재를 시범적으로 개발한
곳들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여전히 콘텐츠이고 학습자이기에, 기술 위주의
논의만으로는 성공적으로 변신할 수 없다. 교육 전문 조직으로서 기존처럼 양질의 교육
콘텐츠 생산에 집중하되,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이 놓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9) BISG(Book Industry Study Group). Student Attitudes Toward Content in Higher Education.
“Beyond the Tradigital: New Paradigms for Content Development, Presentation, and Instruction in
Higher Ed” at BEA Content & Digital Conference.
학습자들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우선적으로 살핀 후 그에 맞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미국의 사례에서 보듯 그 플랫폼은 편리한 구매와 결제 기능에만 집중된 유통
플랫폼이 아닌, 교육자와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이어야 한다.
트렌드에 휩싸여 조급해하기보다 천천히 기반을 다져 가야 할 때이다.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제2주제>
대학출판부의 기획과 마케팅-도서 기획과 마케팅
김종길 (경남대학교 출판부)
도서 기획과
마케팅
목차
대학출판부, 단상1
3
지앤유로컬북스, 기획
소통과 공감, 마케팅
2
PART. 1
대학출판부, 단상
01
 사고의 전환
관념과 논리보다는 현실과 공감으로, 대립적인 인식보다 통합적인 인식으로
 스스로 미래를 밝혀야
독서에 대한 윤리적 호소, 국가와 학교의 지원
그러나 호소와 지원만으로 대학출판부의 위기는 극복될 수 없다
 출판의 진화
출판의 생태계 변화와 새로운 질서, 출판의 진화에 주목
 구매형태의 변화 검색 가능한 형태 제공
기존: 언론 홍보, 광고, 서점 노출 등 책 정보 전달하면 구매로 이어졌으나
현재: 초연결사회의 독자들은 제품 정보를 인지한 후 ‘검색’을 통해 최종 구매 결정
대학의 울타리를 넘어…
대학출판부, 단상
상업출판사와 대학출판부
 숙련만 있고 도약은 없다
 책이 경제적 필요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 생각은 현대 책 문화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근거 없는 통념 - 테드 스트리파스(인디애나대학 커뮤니케
이션학과 교수)의 <미국 출판문화 들여다보기> 중에서
 책에도 자본주의 경제의 법칙은 작용한다 #독립출판
 책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기획
 책은 물건을 파는 것이 아니라 지식과 정보를 파는 것
 독자와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하고 독자를 출판사 근처로 끌어
들이라(세스 고딘) #직접 판매(마케팅 비용 절감)
01대학출판부, 단상
학술서와 대중서
 좋은 책이 팔리지 않을 수도 있다VS 좋은 책을 내면 독자는 있다
좋은 책을 내도 발견되지 않는다
 책이 팔린다는 건 책이 알려진다는 것
01대학출판부, 단상
종이책과 전자책
 디지털은 이미 출판의 한 과정: 페이퍼미디어에서 융복합미디어로
 형태를 따지지 않는 콘텐츠는 디지털 형식으로
 명확한 형태가 있는 콘텐츠는 디지털과 종이책 두 가지로
- 크레이그 모드의 <우리 시대의 책> 중에서
기존매체와 SNS
 ‘출판 후 홍보’의 낡은 방식이 아닌 일상적으로 독자와 연결되어 가치 창출
일상적으로 공유하고 확산할 만한 콘텐츠를 일관성 있게 기획하고 생산
 책은 종착점이 아니라 독자와의 연결점
편집 활동, 콘텐츠 기획, 리뷰, 참여, 소비 등
01대학출판부, 단상
종수와 도서목록
PART. 2
지앤유로컬북스, 기획
02지앤유로컬북스, 기획
편집자, 그 이름
 최초의 비판적인 독자
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말하는 자
 무대의 연출자, 지휘자
 소통의 중심에 선 연결자
 디지털세계에서의 정보 전달 방식을 이해한 편집자(퍼블리터)
편집자의 감식력과 구성력
사상으로서의 편집자, 재무적 투자자로서의 편집자, 비즈니스 기획자
로서의 편집자, 책의 장인으로서의 편집자 - 장은수(민음사 편집고문)
02 기획은 없다
독자, 사회, 출판부,
저자, 인력, 예산, 손익
개발 가치, 개발 가능성, 채산성
새로운 독서시장 개척
기획안 작성
엄청난 독서량과 폭넓은 지식(오랜 생명력)
편집자 전권, 시장에 대한 감각
지앤유로컬북스, 기획
편집자 주도 기획 방향 설정
이야기처럼 읽히는 책
책을 어렵게 읽어가는 즐거움
우리의 정신에만 시리즈라는 개념이 있으면 된다
- 세이유 출판사의 ’20세기 서고’ 모리스 올랑데
독자를 어떤 방향으로
끌어가겠다는 분명한 목표
독자의 기호를 읽어내려는 노력과 열성
읽을 가치가 있는 책
자체로 생명력 있는 책을 만들고 팔자
02 지앤유로컬북스, 기획
저자
‘콘텐츠 확보’
인력
‘편집자, 북디자이너’
재정
‘수익 향상’
도서 선정 기준
교재 선정 기준
편집부 검토 의견
도서 선정 비율
교재: 학술서=7:3
시리즈와 종의 생명력 극대화
동양고전시리즈
삼사충고
노자권재구의(근간)
서양고전시리즈
미국정치경제론
시인의 기질(근간)
한권으로읽는시리즈
연극의 역사
영미골프문화사
지앤유로컬북스
조선 선비들의 답사일번지
나는 대한민국 경남여성
에디터십
본령(학술)+수익(교재)
학술서
지식교양서
대중(교양)+지역(로컬북스)
02 지앤유로컬북스, 기획
2015년
출간
마케팅
2014년
신청
심사
• 마감: 15종 신청(3월)
• 심사: 심사위원회 구성(4월)
• 집필: 방향 협의 3회(7월, 10월, 12월)
• 최종원고 제출(3월)
• 출간(5월, 8월)
• 마케팅: 릴리스, 페이스북 등
기획에서 마케팅까지
• 계획: 기획안 작성(7월)
• 심의: 출판위원회, 총장(10월)
• 공고: 언론매체 등(12월)
2013년
기획
공고
 응모 원고(공모)+청탁 원고(섭외)
 방향만 제시, 쓰고 싶은 대로
 글의 민주화-대중을 겨냥한 시리즈
 방식: 인문학적 관점으로 접근
 구성: 형식, 분량, 내용의 일정함을 벗어나
 독자를 이끌어갈 수 있는 기획
02지앤유로컬북스, 기획
조선 선비들의 답사일번지
 언론보도: 한겨레(2회),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연
합뉴스, 서울신문, 교수신문, KBS 등 22곳 보도
 파라텍스트: 원학동을 방문한 문인들
 사진 촬영 및 확보
 지역민과 함께하는 북로드 인문학기행(공연, 지역
민, 이장, 고택, 가문, 지역음식 등)
 기행: 경남문화관광해설사 교육, 평생교육원 답사
프로그램, 창원도서관, 거창군립도서관 길 위의 인
문학
 거창군, 위천면 지원
02지앤유로컬북스, 기획
나는 대한민국 경남여성
 언론보도: 한겨레, 한국일보, 여성신문,
연합뉴스, 서울경제, 교수신문, KBS 등
10곳 보도(사진전 6곳 보도)
 파라텍스트: 스페셜 박스, 권두 사진
 사진 확보(국가기록원 등)
 북 콘서트
 사진전 개최
 강연회 조직
02지앤유로컬북스, 기획
남도, 영남
경남을 스토리텔링하라
동아시아
지앤유로컬북스
02지앤유로컬북스, 기획
경남
PART. 3
소통과 공감,
마케팅
도서관
책을 중심으로 무언가를 더 판다
언론
책의 발견성과 연결성
03 소통과 공감, 마케팅
서점
 독자 직판 모델
 빅데이터 이용 책 마케팅
 잠재독자를 늘이는 것
 콘텐츠보다 콘텍스트
 제조-유통 모델-미디어 모델(콘텐
츠 개발과 확산): 강연 사업 모델
(인플루엔셜)
 연결을 생산하는 비즈니스(북 센
트릭 비즈니스book centric
business) 책+파라텍스트=제품,
강연 미래의 출판 모델은 책이라
는 물건이 아니라 책 콘텐츠를 이
용한 지식 가치를 다양한 형태의
제품에 부여해서 제공하는 모델(문
구, 북카페, 강연 사업, 네이버 지
식백과 등), OSMU
 인터넷서점 모바일 판매량 20%,
(첫 화면 6~9종 진열)
 기존: 책의 발견=구매
 현재: 책의 발견=검색-구매-독서
-공유-구매
 책의 라이프 사이클 3~5주
 사전 마케팅(검색 노출)
저자
편집자
독자
든든한
우군
편집자는
곧 마케터
할 수 있고 하고 싶은 것들소통과 공감, 마케팅
• 기획 단계부터 마케팅 전략
• 사업 설계와 상품 기획 교정자, 개발
자, 편집자, 기획자- 마케터적 편집
자, 도서 상품의 개발자
• 언드미디어(Earned Media)
• 페이드미디어(Paid Media)
• 온드미디어(Owned Media)
• 지역서점, 지역출판사 공동마케팅
• 대학출판부(영지협) 공동마케팅
• 크라우드 펀딩
• 독자 데이터
• 저자 육성, 글쓰기 모임
• 저자가 찾는 출판부(메일, 책자)
SNS
페이스북
기본에
충실한
마케팅
미디어의
변화
• 릴리스 홍보실 등 적극 활용
• 인터넷 노출 및 인터넷 서점
• 미리보기, 상세이미지, 보도자료
• 포스팅, 이벤트, 홍보
• 쌍방향 소통, 초대, 광고, 공유
• 작은 출판사 홍보 모델
03
03 소통과 공감, 마케팅
지역 마케팅
 학내 도서 전시 판매(상설전시코너, 도서전, 사이트)
 지앤유 북소리, 북로드, 북아카데미
 지역 네트워크(독서 모임, 페이스북 그룹, 지역언론)
 지역 전시 코너(북카페, 공연장, 기관)
 릴리스와 인터뷰, 지역행사 참여, 지역출판문화기관 지원
대학의 울타리를 넘어 독자 접촉면을 넓혀
스스로 대학출판부의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지역에서 출판문화의 토대를 만들자
 뉴스레터(교수, 직원, 동문, 지역)
03 소통과 공감, 마케팅
대학출판부
네트워크 구축
북 펀드
조성
지자체, 기업,
대학 등 지원
모색
수익 모델
창출
대학출판부가
지역출판문화의 중심지역출판사, 지역서점 등
공동발전을 위한 세미나 개최 등
연계 사업 추진
답사
강연회
조직
북카페,
독립서점
전시판매
출판단체,
기관 연계
재원 홍보
The End
감사합니다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제3주제>
「도서 완제품 가이드북」 설명회 - 완제품 수출 개요 및
미국 시장 소개
공경용 (공앤박 대표)
한류
역사•문화•언어에
대한 수요가 발생
K-book
도서완제품
저작자
편집
인쇄
제지
저작권
저작자
VS.
• 영어
• 표기법
• 가격표기
수출하고자 하는 국가에 대한 경험이 없다면 한국의 소비자 가격을 원화로 표기하는 편이 효율적
• 세법
도서에 CD나 DVD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라면 표지에 “CD-Free”, “DVD-Free” 표시 하는 것이 좋음.
일부 국가의 세법에서는 표지에 명확히 ‘무료'라는 표시가 없을 경우 CD나 DVD에 부가세가 추가되어
가격이 높아짐.
예를 들어 요리책을 만드는데 미국식을 따른다고 해서 야드-파운드 법을 사용할 경우,
94’부터 미터법을 도입해 병행해서 쓰고 있는 영국에서는 팔기가 어려움.
따라서 야드-파운드 법을 따른다 하더라도 괄호 안에 미터법을 병기해주는 것이 필요함
• 오닉스(ONIX International)
온라인 정보교환(Online Information eXchange)를 나타내는 용어로,
출판사가 자사 도서 관련 정보를 유통업계예 배포하는데 사용하는 국제적 표준을 의미함.
국제 출판계에서 이미 보편화된 표준화 정보인 오닉스를 사용함으로써 통일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것임.
• 에델바이스(Edelweiss)
‘Above the Treeline’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카탈로그 서비스의 이름.
이 사이트는 독자, 서점 등 누구나 무료 회원 가입을 통해 출판사들이 등록한 카탈로그와 책을 검색할 수 있음.
반스앤노블(Barnes & Noble)이 사용하면서 많은 서점들도 사용하게 됨.
책이 많이 팔리려면 우선 독자, 서점, 도매상에게 그 책이 쉽게 검색될 수 있어야 함.
메타데이터 항목을 빠짐없이 채워 정리하는 것은 사람들의 도서 검색이 쉬워질 수 있도록 하는 첫 단추 역할을 할 것임.
• 어드밴티지(Advantage)
• 벤더센트럴(Vendor Central)
• 할인율: 55%
• 배송비: 공급자 부담
• 잉그램(Ingram)
• 베이커앤테일러(Baker & Taylor)
• 할인율: 50~55%
• 배송비: 공급자 부담
아마존닷컴 도매상
• 반스앤노블(Barnes & Noble)
• 폴릿(Follett Corporation)
• 북스-어-밀리언(Books-A-Million)
• 헤이스팅스(Hastings Entertainment)
• 패밀리 크리스천 스토어(Family Christian Stores)
• 일반적인 거래조건 - 할인율 65%
• 배송조건
• 보험료
• 창고비
체인서점
유통업체
세일즈렙(Sales Representative)
• 커미션: 10%
• 관할지역 거래서점을 1년에 1번 이상 방문
• 지역의 도서 전시회에 참가
• 체인서점 본사 구매 담당자에 홍보
• 도매상의 영업 담당자에 홍보
※ 세일즈렙, 유통업체, 도매상 등 B2B 마케팅은 있으나, B2C 마케팅은 출판사의 몫
▶수요층 – 이민사회(7백만명)
• 운임
• 통관서류 필수
▶ 주의할 사항
▶ 간단한 절차(주문→견적→청구→결재→발송)
국문판 직수출은 먼저 현지 주문을 받은 후 책을 보내기 때문에
위탁판매가 아닌 현금판매라는 점에서 간단한 절차를 통해 진행된다고 볼 수 있음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제4주제>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플랫폼 개발사업 진행사항 발표
김영진 (다우인큐브 부장)
Ⅱ - 0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Ⅰ - 1
1. 사업 개요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Search Cancel
 각종 학회 및 세미나 행사를 통해
생성되는 고품질 지식콘텐츠를
디지털라이징 및 DB화
 각종 학회 및 협회가 지식콘텐츠
관리를 자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 서비스 확장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방법론 확보
 웹표준 지향 지식콘텐츠 시스템 구축
학술지식콘텐츠 DB구축 및 콘텐츠
생 산 , 활 용 , 재생 산을 총체적 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사 업 명 : 학술지식콘텐츠 저작도구, 뷰어, 유통시스템 구축개발
• 사업기간 : 2015년 10월 ~ 2015년 12월 (총 3개월)
Ⅰ - 2
2.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기존의 지식콘텐츠 제작은 인쇄 및
관리 비용이 꾸준히 발생
 생성된 지식콘텐츠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경우가
다반사임
 보다 편리하고 다양하게
지식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저작도구 필요
 고품질의 지식콘텐츠 보존 및
관리를 위해 시스템 구축 필요
지식콘텐츠 활용, 운영지식콘텐츠 생산, 관리 지식콘텐츠 재생산
 인쇄된 형태의 콘텐츠 특성상
활용의 제약발생과 훼손이 가능
 발표자료가 행사참석자에게만
국한되어 공유되고 광범위하게
공유되지 못하는 현실
추진 필요성
고부가가치 지식콘텐츠의 범국민 서비스를 통해
국가정책인 창조경제에 이바지함
1회성으로 사장 되어지는 고품질 지식콘텐츠를
디지털 아카이브화하여 보관·관리 및 창의적 재활용
학회, 협회 운영을 위한 자동화 기능을 통해
운영 효율성 증대 및 비용 절감
전자책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와
인터랙션이 적용된 고품질 콘텐츠 제작
지식콘텐츠를 EPUB3기반으로 학술지식 콘텐츠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웹 서비스 구축
전자책 뷰어를 통해 지식콘텐츠에 접근하여 지속적인
지식정보 습득 및 2차 생산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Ⅱ - 3
3. 목표 시스템 구성
학술지식 콘텐츠 통합
DB
콘텐츠 변환 및 저작도구
학술지식
콘텐츠 DB
회원정보
저장소
통계정보
저장소
학술지식콘텐츠 서비스 커뮤니티 지원 서비스
서비스 맞춤형 콘텐츠
뷰어 (Web)
PDF 문서변환
멀티미디어 추가
콘텐츠 출간 (업로드)
보기모드 전환
(양/단면, 전체)
확대 / 축소
본문 내용 검색
학술지식콘텐츠 공유 플랫폼
세미나 관리
(등록, 수정, 삭제)
세미나 참석회원 관리
학술세미나 공지 및 안내
문자 및 DM 발송
학술지식콘텐츠 검색
학술지식콘텐츠 관리
(등록, 수정, 삭제)
학술지식콘텐츠 평가
(좋아요, SNS 링크
공유)
콘텐츠 통계 조회
문자(SMS)
서비스
외부
연동
협회 회원운영자
학회관리자
및 저자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Ⅱ - 4
4. 콘텐츠 변환 및 저작도구
PDF 발표자료 자동변환 패널 저작도구
(기존 문서 레이아웃 유지 및 편집)
• 국제 표준 기반 enhanced eBook(EPUB 3.0) 자동 변환 저작도구 지원 각종 학술대회 및 세미나의 발표 문서(PDF)를 저작도구의
컨버터를 통해 EPUB 3.0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며, 기존 문서의 레이아웃을 그대로 유지하여 수정 편집이 가능한 저작 도구
HWP, DOC, PPT 변환 추가 지원
• 이미지
• 비디오
• 오디오
• 슬라이드 쇼
• 웹뷰
• 팝업
• 하이퍼링크
• 첨부파일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Ⅱ - 5
5. 웹 기반의 콘텐츠 뷰어
웹 뷰어 화면
• 차례
• 내 자료함
• 양면/단면 보기
• 본문 검색
• 페이지 미리보기
• 페이지 찾아가기
• 웹(Web Browser) 기반의 Enhanced eBook 뷰어 개발Enhanced eBook 콘텐츠의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재생할 수 있는 Enhanced
eBook
콘텐츠 리더 기술 개발. 표준 호환성을 위해 HTML5 및 EPUB 3.0 포맷을 지원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Ⅱ - 6
6. 학술지식콘텐츠 공유 및 학회 커뮤니케이션 웹사이트 구축
사용자 웹 페이지 화면
운영자 웹 페이지 화면
학술자료 관리
공지사항 관리
교육행사 관리
커뮤니티 관리
회원 관리
대량DM(e-mail) 발송
• 컨퍼런스 공지 및 등록을 위한 웹 페이지 개설 서비스 제공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Ⅱ - 7
6. 학술지식콘텐츠 공유 및 학회 커뮤니케이션 웹사이트 구축
사용자 뷰어화면
좋아요 해제
(추천 해제)
내 서재 북마크
해제
로그
인
로그
아웃
로그인 팝업
열림
회원
가입
좋아요(추천) 내 서재 북마크
SNS 계정
로그인
SNS 포스팅
공유
• 사용자가 콘텐츠에 대한 추천(좋아요) 및 공유(facebook, twitter 등) 기능 제공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다우인큐브 협업출판 플랫폼
Movie
Sound
TEXT
Hyperlink
Images
Ⅱ - 9
1. 다우인큐브 회사소개
다우인큐브 회사소개
회사명 주식회사 다우인큐브
대표자 이예구
사업분야
•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플랫폼 컨설팅 / 개발
• 미디어 퍼블리싱 관련 컨설팅 / 개발
• QuarkXPress 출판 솔루션, 제품 기획 / 개발
• 서비스 플랫폼 / 인프라 구축 및 운영유지보수
주소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23-7번지 디지털스퀘어
2층
회사 설립년도 1987년 07월 29일 전화번호
070) 8707 –
2500
해당부문
종사기간
1987년 07월 ~ 2014년 8월 현재 (27년 1개월)
일반 현황 주요 연혁
• ㈜다우인큐브는 전자출판, 유비쿼터스 & 스마트 디바이스와 관련된 전자출판 & 플랫폼 토탈 솔루션회사이며, 디지털 저작 환경 구축 및 디지털교과
서 구현 기술,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서비스, 전자도서관 플랫폼 서비스 개발 기술을 보유한 국내 최고의 전자출판 플랫폼 개발사입니다.
2014
12월 디지털교과서 선진화 공로
11월 용인시 우수(향도)기업 선정
09월 이러닝 우수기업 콘테스트 우수상
2013
09월 디지털교과서 저작도구 발표
09월 KT SLP 저작도구, 뷰어 공급
05월 IMS Global Learning Impact Awards
Platinum 수상
04월 KERIS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뷰어, 패키저 등 공급
2012
12월 Cube Publisher 2.0 지식경제부 신 S/W
국무총리상
05월 Cube Publisher 1.5 KERIS e교과서 3.0
저작도구 선정
03월 Cube Publisher 1.5 지식경제부 신 S/W 상품
대상
ETRI 3D 학습지식 콘텐츠 플랫폼기반 학습자 참여형
협력 학습 기술 개발
2011
12월 삼성전자 EPUB 저작도구 개발 계약 체계
07월 Cube Publisher 1.0 GS(Good Software) 인
증
02월 Cube Publisher 국내 출시
2010 05월 KT 올레 북카페 콘텐츠 공급 계약 채결
2009
12월 KT 유무선 디지털교과서 서비스를 위한 Digital
Publishing 플랫폼 공급 계약 채결
Ⅱ - 10
1. 솔루션 소개 - PLOCK
다우인큐브 회사소개
Co-Editing
Story 제작
Publishing
Book
Class
Social LearningClass 개설
Workflow
콘텐츠
만들기
콘텐츠
활용하기
 재미있게 읽어요
 토론하고 학습해요
- 73 -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정관
제1장 총 칙
제1조 (명칭) 이 협회는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Association of Korean University
Presses)라 칭한다(이하 법인이라 칭한다).
제2조 (목적) 이 법인은 각 대학의 출판업무 담당 부서 혹은 기관 상호간의 유대강화 및 대학출
판 관련사업의 활성화를 통하여 학술 및 출판문화 향상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사무소의 소재지) ① 법인의 주사무소는 회장교 내 출판부(원)에 둔다.
② 필요한 경우 분사무소(지부)를 둘 수 있다.
제4조 (사업) 이 법인은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업을 진행한다.
1. 대학출판문화의 위상 제고와 발전을 위한 사업
2. 대학출판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연수 사업
3. 학술 및 교양 도서 출판·보급에 관한 사업
4. 학술 및 교양 디지털콘텐츠 생산․보급에 관한 사업
5. 국내외 출판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교류 사업
6. 출판문화의 발전을 위한 자료 및 도서 발간 사업
7. 회원의 공동복리 증진 및 친목 도모에 관한 사업
8. 기타 본 법인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2장 회 원
제5조 (회원의 자격) ① 법인의 회원은 정관 제2조의 목적과 설립취지에 찬동하여 소정의 가입
절차를 마친 대학의 출판담당 부서(기관)의 장, 또는 소속직원으로 한다.
② 법인의 회원이 되고자 하는 자(기관 또는 부서)는 소정의 회원 가입 신고서를 법인에 제출
하여야 한다.
③ 회원 가입시 대표자 1인을 지정해야 하며, 그 대표자가 본 법인 활동의 주체가 된다.
④ 회원의 가입회비 등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에서 별도의 규정으로 정한다.
제6조 (회원의 권리) ① 회원은 법인 임원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지며 총회에 참석하여 법인의
활동에 관한 의견을 제안하고 의결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② 회원은 법인의 자료 및 출판물을 제공 받으며, 법인 운영에 관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제7조 (회원의 의무) 회원은 다음 각 호의 의무를 진다.
- 74 -
1. 정관 및 제 규정의 준수
2. 총회 및 이사회의 결의사항 이행
3. 입회비와 회비 납부
4. 회원교 대표자, 소재지 등에 변경사항이 발생할 때에는 발생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법인에
통보
제8조 (회원의 상벌과 탈퇴) ① 협회의 회원으로서 협회의 발전에 기여한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
의 승인을 거쳐 포상할 수 있다
② 회원이 법인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목적 수행에 지장을 초래한 경우 또는 1년 이상 법인
에 대한 의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경고 또는 총회의 의결을 거쳐
제명할 수 있다.
③ 회원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회원탈퇴서를 제출함으로써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다.
④ 탈퇴 및 제명으로 인하여 회원의 자격을 상실한 경우에는 기납부한 회비 등에 관한 권리를
요구할 수 없다.
제3장 임 원
제9조 (임원의 종류 및 구성) 법인에 다음 각 호의 임원을 둔다.
1. 회장 1인
2. 부회장 3인 이내
3. 상임이사 1인
4. 이사 20인 이내(회장, 부회장, 상임이사 포함)
5. 감사 2인 이내
제10조 (임원의 선임) ① 법인의 임원은 총회에서 선출하며, 선출 방법은 별도 규칙으로 정한다.
② 임기가 만료된 임원은 임기만료 2개월 이내에 후임자를 선출하여야 하며, 임원이 궐위된 경
우에는 궐위된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후임자를 선출하여야 한다. 다만, 임원의 임기 중 회원교
의 보직변경으로 인하여 회원대표자가 교체된 경우 신임대표자가 그 직을 승계하고 임기는 전임
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③ 임원 선출이 있을 때에는 임원선출이 있는 날로부터 3주 이내에 관할 법원에 등기를 마친
후 주무관청에 통보하여야 한다.
제11조 (임원의 해임) 임원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총회의 의결을 거쳐 해임
할 수 있다.
1. 본 법인의 목적에 위배되는 행위
2. 임원간의 분쟁, 회계부정, 또는 현저한 부당행위
3. 본 법인의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
제12조 (임원의 결격사유)
1.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2. 파산자로서 복권이 되지 아니한 자
3. 법원의 판결 또는 법률에 의하여 자격이 상실 또는 정지된 자
4.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집행이 종료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
- 75 -
다.)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제13조 (상임이사) 본 법인의 목적사업을 전담하게 하기 위하여 상임이사를 둘 수 있다.
제14조 (임원의 임기) ① 이사의 임기는 2년, 감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다만
보선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 임기로 하되, 출판담당 부서(기관)의 보직 발령으로 장이 변경
된 경우에는 후임자가 그 직을 승계한 것으로 본다.
② 임원은 임기만료 후라도 후임자가 취임할 때까지는 임원으로 직무를 수행한다.
제15조 (임원의 직무) ① 회장은 법인을 대표하고 법인의 업무를 통할하며, 총회 및 이사회의 의
장이 된다.
② 부회장은 회장을 보좌하고 회장 궐위 시 그 직무를 대행한다.
③ 상임이사는 상근하며 회장의 지시를 받아 법인의 업무를 총괄한다.
④ 이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법인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며, 이사회 또는 회장으로
부터 위임받은 사항을 처리한다.
⑤ 감사는 각 호의 직무를 수행한다.
1. 법인의 재산상황을 감사하는 일
2. 총회 및 이사회의 운영과 그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는 일
3. 제1호 및 제2호의 감사결과 부정 또는 부당한 점이 있음을 발견한 때에는 이사회 또는 총
회에 그 사실의 보고와 시정을 요구하고 주무관청에게 보고하는 일
4. 제3호의 시정요구 및 보고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총회 또는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
하는 일
5. 본회의 재산상황과 업무에 관하여 총회 및 이사회 또는 회장에게 의견을 진술하는 일
제4장 총 회
제16조 (총회의 구성) 총회는 본 법인의 최고의결기관이며 회원으로 구성한다.
제17조 (총회의 구분과 소집) ①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며 회장이 소집한다.
② 정기총회는 매 회계연도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개최하되,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그 시기
를 조정할 수 있다.
③ 총회 소집은 회장이 회의의 안건과 개최일시 및 장소 등을 명기하여 회의 개시 7일 전까지
문서로 각 회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18조 (총회소집의 특례) ① 회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소집요구가 있을 때에
는 그 소집요구일부터 20일 이내에 총회를 소집하여야 한다.
1. 재적이사 과반수가 회의의 목적을 제시하여 소집을 요구한 때
2. 제15조 제5항 제3호의 규정에 따라 감사가 소집을 요구한 때
3. 재적회원 3분의 1이상이 회의의 목적을 제시하여 소집을 요구한 때
② 총회 소집권자가 궐위되거나 이를 기피함으로써 7일 이상 총회소집이 불가능한 때에는 재
적이사 과반수 또는 재적회원 3분의 1이상의 찬성으로 총회를 소집할 수 있다.
③ 제2항의 규정에 따른 총회는 출석이사 중 최연장자의 사회 아래 그 의장을 선출한다.
제19조 (총회의 의결사항)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 76 -
1. 임원의 선출 및 해임에 관한 사항
2. 본 법인의 해산 및 정관 변경에 관한 사항
3. 기본재산의 취득 및 처분에 관한 사항
4. 예산 및 결산의 승인
5. 사업계획의 승인
6. 기타 법인운영에 관한 중요 사항
제20조 (의결정족수) 총회는 재적회원 과반의 출석으로 개의하며, 출석회원 과반의 찬성으로 의
결한다. 가부동수일 때는 의장이 결정하며, 회의 개시 전까지 문서로 의장에게 의결권을 위임하
는 행위는 유효하다.
제21조 (의결제척 사유) 회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 의결에 참여하지
못한다.
1. 임원의 선출 및 해임에 있어 자신에 관한 사항을 의결할 때
2. 금전 및 재산의 수수 또는 소송 등에 관련되는 사항으로서 자신과 본 법인의 이해가 상반될
때
제5장 이사회
제22조 (이사회의 구성) ① 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및 이사로 구성하며, 이사회의 회장, 부회장은
법인의 회장, 부회장을 당연겸직으로 한다.
② 이사회는 회장이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제23조 (이사회의 소집) ①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구분한다.
② 정기이사회는 연1회 개최하고 임시이사회는 감사 또는 이사의 3분의 1이상의 요청이 있거
나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 소집한다.
③ 회장은 이사회를 소집하고자 할 때에는 회의개최 7일 전까지 이사 및 감사에게 회의의 목
적과 안건, 개최일시 및 장소를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긴급하다고 인정되는 정당한 사유가 있
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24조 (이사회의 의결사항)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1. 법인 운영에 관한 기본 사항
2. 실무위원회에서 제안된 사항
3. 정관의 변경에 관한 사항
4. 예산, 결산, 사업계획에 관한 사항
5. 회원의 입회 및 회비에 관한 사항
6. 지부 설치에 관한 사항
7. 총회에서 위임 받은 사항
8. 정관의 규정에 따라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9. 기타 본 법인의 운영상 중요하다고 회장이 부의하는 사항
제25조 (의결정족수)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
로 의결한다. 가부동수일 때는 의장이 결정한다.
제26조 (서면결의) ①회장은 이사회에 부의할 사항 중 긴급을 요하는 사항 또는 경미한 사항에
- 77 -
관하여는 이를 서면을 통하여 의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회장은 그 결과를 차기 이사회에 보고
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서면결의 사항에 대하여 재적이사 과반수가 이사회에 부칠 것을 요구하는 때에는
회장은 이에 따라야 한다.
제27조 (구성원 외의 참석) 실무위원장은 이사회에 출석하여 실무위원회에서 의결된 사항을 제안
설명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해당 분과장도 참석할 수 있다.
제6장 실무위원회
제28조 (구성원 자격) 실무위원회 구성원의 자격은 각 회원교 대학 출판업무 담당 부서 소속 직
원으로 한다.
제29조 (분과) 실무위원회에는 출판, 마케팅, 교육, 홍보, 국제의 5개 분과를 두되 필요시 이사회
의 의결을 거쳐 추가로 분과를 신설할 수 있다.
제30조 (구성) 실무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① 실무위원장 1인
② 자문위원 4인 이내
③ 각 분과장 1인
④ 각 분과별 간사 1인과 위원 5인 이내
제31조 (선임 및 임기) ① 실무위원장과 각 분과장은 실무위원회에서 참석인원 과반수의 찬성으
로 선출한다.
② 자문위원은 실무위원장이 임명한다.
③ 각 분과의 간사 및 위원은 분과장이 추천하여 실무위원장이 임명한다.
④ 실무위원회 구성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제32조 (기능) 실무위원회는 법인 발전을 위한 운영과 목적사업 추진의 기획안을 창출하고 협의
하여 이사회에 상정하고,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시행한다.
① 실무위원장은 실무위원회 의장이 되며, 실무위원회를 통할한다.
② 자문위원은 실무위원장의 자문에 응한다.
③ 출판분과장은 법인의 출판 관련 업무를 기획하고 집행한다. 마케팅분과장은 회원교의 마케
팅활동을 기획, 집행한다. 교육분과장은 법인의 교육 업무를 기획, 집행한다. 홍보분과장은 법인
의 홍보 업무를 기획, 집행한다. 국제분과장은 법인의 국제 협력사업을 기획, 집행한다.
④ 간사는 분과장을 보좌하며, 분과장 궐위시 그 직을 승계한다.
⑤ 실무위원회 위원은 분과장의 지시에 의하여 실무를 집행한다.
제33조 (회의) 실무위원회는 연 2회 이상 개최함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의하여 수시로 개최할
수 있다.
제34조 (의결정족수) 실무위원회는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가부동수일 때는 실무
위원장이 결정한다.
제35조 (서면결의) ①실무위원장은 실무집행의 긴급을 요하는 사항에 관하여는 이를 서면을 통하
여 의견을 취합하고 이를 이사회에 제출할 수 있다.
- 78 -
제7장 사무국
제36조 (사무국) ① 본 법인 제반업무를 지속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사무국을 둔다.
② 사무국에 사무국장 1인과 필요한 직원 약간 명을 둘 수 있다.
③ 사무국장과 직원은 회장이 임명, 또는 해임한다.
④ 사무국장은 당연직 상임이사가 되며, 회장의 명을 받아 사무국의 업무를 통할한다.
⑤ 사무국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별도로 정한다.
제8장 지역지부
제37조(지역지부) 본 법인의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 본 법인의 지부를 둘
수 있다.
① 서울․경인지부(소재지를 서울에 둔다)
② 영남지부(소재지를 영남에 둔다)
③ 충청지부(소재지를 충청에 둔다)
제38조 (조직 및 직원) 지부 기구의 구성과 활동, 운영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별
도로 정한다.
제9장 재산과 회계
제39조 (재산의 구분) ① 본 법인의 재산은 기본재산과 운영재산으로 구분한다.
② 기본재산은 법인의 목적사업 수행에 관계되는 부동산 또는 동산으로서 법인 설립시 출연된
재산과 이사회에서 기본재산으로 정한 재산으로 하며, 그 목록은 붙임과 같다
③ 운영재산은 기본재산 이외의 재산으로 한다.
제40조 (재산의 관리) ① 법인의 기본재산을 매도, 증여, 임대, 교환하거나 담보제공 또는 용도
등을 변경하고자 할 때 또는 의무의 부담이나 권리를 포기하고자 할 때는 이사회와 총회의 의결
을 거쳐야 한다.
② 기본재산의 변경에 관하여는 정관변경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제41조 (재원) 법인의 유지 및 운영에 필요한 경비의 재원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회비
2. 각종 기부금
3. 기본재산으로부터 발생하는 과실금
4. 각종 행사의 분담금 및 기타 수입
제42조 (회계연도) ① 본 법인의 회계연도는 3월 1일부터 다음해 2월 말일까지로 한다.
제43조 (예산 편성 및 결산) ①법인은 회계연도 1개월 전에 사업계획 및 예산안을 이사회의 의결
을 거쳐 총회의 승인을 얻는다.
②법인은 사업실적 및 결산내용을 당해 회계연도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총회의 승인을 얻는다.
제44조(회계감사) 감사는 회계감사를 년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 79 -
제45조(임원의 보수) 임원에 대하여는 보수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다만, 업무수행에 필요한 실비
는 지급할 수 있다.
제46조(차입금) 법인이 예산외의 의무부담이나 자금의 차입을 하고자 할 때에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제10장 보칙
제47조 (법인의 해산) 본 법인을 해산하고자 할 때는 이사회와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며, 각각
재적 구성원 과반수 출석과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하여 해산하고, 그 해산에 관해 문화
체육관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제48조(정관의 변경) 본 법인의 정관을 개정하고자 할 때는 이사회와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
며, 각각 재적 구성원 과반수 출석과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하며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받
는다.
제49조 (운영규칙) 본 법인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별도규칙으로 정한다.
제50조(준용규정) 이 정관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과 문화체육관
광부 및 문화재청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과 감독에 관한 규칙을 준용한다.
제51조(규칙제정) 이 정관이 정한 것 외에 본회의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규칙으로 정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법인설립을 위하여 발기인 등이 행한 행위는 이 정관에 따라
행한 것으로 본다.
제3조(설립자의 기명날인) 본회를 설립하기 위하여 이 정관을 작성하고 다음과 같이 설립자 전원
이 기명날인한다.
설립자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장 권원순 ( 인 )
설립자 영남대학교출판부장 허창덕 ( 인 )
설립자 전남대학교출판부장 양채열 ( 인 )
설립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장 김종서 ( 인 )
설립자 고려대학교출판부장 유석훈 ( 인 )
설립자 동국대학교출판부장 김윤길 ( 인 )
설립자 한양대학교출판부장 엄익상 ( 인 )
- 80 -
가톨릭대학교 연세대학교
강남대학교 울산대학교
강원대학교 영남대학교
건국대학교 위덕대학교
경남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북대학교 인하대학교
경상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경성대학교 전남대학교
경희대학교 전북대학교
계명대학교 전주대학교
고려대학교 제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조선대학교
국민대학교 중앙대학교
단국대학교 창원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청주대학교
대구대학교 총신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충남대학교
대진대학교 충북대학교
동국대학교 침례신학대학교
동아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명지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목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산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한남대학교
삼육대학교 한림대학교
서강대학교 한밭대학교
서울대학교 한성대학교
선문대학교 한신대학교
성결대학교 한양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호남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호원대학교
세종대학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숭실대학교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한국대학출판협회 회원(교) 명단
- 81 -
(사)한국대학출판협회 이사교 명단
1.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 권원순(이사장교)
2. 건국대학교출판부 이재철
3. 경남대학교언론출판국 정일근
4. 경북대학교출판부 우무상
5. 계명대학교출판부 서경석
6. 고려대학교출판부 유석훈
7. 단국대학교출판부 이재석
8. 대구대학교언론출판문화원 류혜경
9. 동국대학교출판부 김관교
10. 부산대학교출판부 권경근
11.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권석만
12. 성균관대학교출판부 박광민
13.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장창연
14. 세종대학교출판부
15. 숭실대학교출판국 박영철
16.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문일
17. 영남대학교출판부 김영수(부이사장교)
18. 울산대학교출판부 박삼수
19. 전남대학교출판부 김시원(부이사장교)
20. 전주대학교출판부 김홍건
21.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민경택
22. 충북대학교출판부 이종민
23.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4. 한양대학교출판부 박찬승
25.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김훈순(감사교)
- 82 -
(사)한국대학출판협회 등기이사교 명단
1.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 (이사장교)
2. 고려대학교출판부(이사교)
3. 단국대학교출판부(이사교)
4. 동국대학교출판부(이사교)
5.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이사교)
6.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이사교)
7. 영남대학교출판부(부회장교)(이사교)
8. 전남대학교출판부(부회장교)(이사교)
9.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이사교)
10. 한양대학교출판부(이사교)
11.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상임이사교)
12.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감사교)
- 83 -
(사)한국대학출판협회 실무위원회 명단
1. 실무위원장: 이종백(영남대)
2. 자문위원
김정규(한국방송대), 김 철(고려대), 곽진희(서울대), 이혜지(이화여대)
3. 출판분과
가) 분과장: 김용훈(경북대)
나) 간 사: 현상철(성균관대)
다) 위 원: 심종섭(동국대), 전민규(가톨릭대), 장웅수(한국방송대)
4. 마케팅분과
가) 분과장: 이 원(서울대)
나) 간 사: 조남신(이화여대)
다) 위 원: 김종길(경상대), 이일재(고려대), 전호선(한국방송대)
5. 홍보분과
가) 분과장: 김미숙(경남대)
나) 간 사: 이정훈(침례대)
다) 위 원: 박민규(서울대), 김종열(호남대)
6. 교육분과
가) 분과장: 성두현(단국대)
나) 간 사: 양광준(충남대)
다) 위 원: 기흥서(선문대), 양주성(한양대)
7. 국제분과
가) 분과장: 최상근(계명대)
나) 간 사: 박혜원(한국방송대)
다) 위 원: 송덕호(전북대), 이혜숙(한신대), 김성수(연세대)
- 84 -
서평집편찬위원회 명단
1. 편집위원장: 김용훈(경북대출판부)
2. 편집위원
김성수(연세대출판문화원), 김종길(경상대출판부),
송덕호(전북대출판부), 장웅수(방송통신대출판문화원),
심종섭(동국대출판부), 양광준(충남대출판문화원),
장준이(경북대출판부), 전민규(가톨릭대출판부),
현상철(성균관대출판부)
3. 자문위원
곽진희(서울대출판문화원), 김정규(방송통신대출판문화원),
이종백(영남대출판부), 이혜지(이화여대출판부)
감동을 만드는 원스톱 서비스
ONE STOP PROCESS
㈜명진씨앤피는 기획에서부터 디자인까지 모든 크레에이티브와 CTP 출력에서
인쇄, 제본, 접지까지 인쇄에 관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획실·디자인실 | CTP출력 | 대국전5색 | 2절 4색 | 대국전 단색 양면인쇄 | 중철제본 | 접지·오시
(주)명진씨앤피 TEL. 02-2164-3000
www.neoprintech.com
고객의 성공적인 미래를 위한 새롭고 창의적인 가치 창출!
KBA RAPIDA 105(UV 7색기)도입
•파주본사/제1공장 경기도 파주시 재두루미길 110 (신촌동) 파주출판문화도시 (2단지) Tel 02)718-3111 Fax 02)704-3113
•구미공장/제2공장 경북 칠곡군 석적읍 중리 373-11 (구미3공단 내) Tel 054)977-7321 Fax 054)977-7325
네오프린텍(주)는
2013년 최첨단 UV 7색기 도입과
가공시설로 패키지(싸바리),
상업인쇄 생산에 기술과 정성을
다하고 있습니다.
네오프린텍(주)는 기획/개발 /디자인부터 인쇄 / 납품까지 ONE-STOP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CTP 출력
▶
무선제본 중철제본인쇄 5색기인쇄 4색기
▶
납품
▶
상업인쇄
CTP 출력
▶
인쇄 (UV 7색기)
▶
톰슨
▶
싸바리기(상)
납품검사/포장
▶
창문접착기
▶
8면 접착기싸바리기(하)
패키지 (싸바리)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사무국]
우 130-791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TEL. (02) 2173-2492 FAX. (02) 2173-3363
http://www.akup.co.kr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test -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자료집 3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iki girl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iki girls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iki girl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iki girl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pxdstory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기현 김
 
잡코리아글로벌프런티어10기_STEAMer_탐방보고서
잡코리아글로벌프런티어10기_STEAMer_탐방보고서잡코리아글로벌프런티어10기_STEAMer_탐방보고서
잡코리아글로벌프런티어10기_STEAMer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e-Learning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례
e-Learning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례e-Learning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례
e-Learning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례
sam Cyberspace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은영 김
 
국내 중고등학생들 대상의 SNS 사례분석보고서
국내 중고등학생들 대상의 SNS 사례분석보고서국내 중고등학생들 대상의 SNS 사례분석보고서
국내 중고등학생들 대상의 SNS 사례분석보고서
ejw1346
 
Bigcamp in sxs_wedu
Bigcamp in sxs_weduBigcamp in sxs_wedu
Bigcamp in sxs_weduJudyoon
 
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
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
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
Open Cyber University of Korea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Seongwon Kim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Creative Commons Korea
 
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배우다 Maker Education in the US: Lessons Learned (May 2018, Korean)
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배우다 Maker Education in the US: Lessons Learned (May 2018, Korean)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배우다 Maker Education in the US: Lessons Learned (May 2018, Korean)
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배우다 Maker Education in the US: Lessons Learned (May 2018, Korean)
Youngju Oh
 
Lessonsift 프라이머 사업계획서
Lessonsift 프라이머 사업계획서Lessonsift 프라이머 사업계획서
Lessonsift 프라이머 사업계획서
Jinyoung Kim
 
Ringle Brochure
Ringle BrochureRingle Brochure
Ringle Brochure
Ringle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daumfoundation
 
Mooc 입문기 20140418
Mooc 입문기 20140418Mooc 입문기 20140418
Mooc 입문기 20140418
hyeonmo koo
 
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
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
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
Ji Lee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heyoungkim
 

Similar to test -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자료집 3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iki girl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iki girls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iki girls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Wiki girls_탐방 계획서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Technology in the classroom_김기현
 
잡코리아글로벌프런티어10기_STEAMer_탐방보고서
잡코리아글로벌프런티어10기_STEAMer_탐방보고서잡코리아글로벌프런티어10기_STEAMer_탐방보고서
잡코리아글로벌프런티어10기_STEAMer_탐방보고서
 
e-Learning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례
e-Learning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례e-Learning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례
e-Learning 트랜드 변화에 따른 사례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학부모신문278호입니다. 20141105
 
국내 중고등학생들 대상의 SNS 사례분석보고서
국내 중고등학생들 대상의 SNS 사례분석보고서국내 중고등학생들 대상의 SNS 사례분석보고서
국내 중고등학생들 대상의 SNS 사례분석보고서
 
Bigcamp in sxs_wedu
Bigcamp in sxs_weduBigcamp in sxs_wedu
Bigcamp in sxs_wedu
 
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
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
Horizon Report 2015 고등교육 에디션 - 주요 교육 기술과 활용 가능성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배우다 Maker Education in the US: Lessons Learned (May 2018, Korean)
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배우다 Maker Education in the US: Lessons Learned (May 2018, Korean)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배우다 Maker Education in the US: Lessons Learned (May 2018, Korean)
메이커 교육, 현장에서 배우다 Maker Education in the US: Lessons Learned (May 2018, Korean)
 
Lessonsift 프라이머 사업계획서
Lessonsift 프라이머 사업계획서Lessonsift 프라이머 사업계획서
Lessonsift 프라이머 사업계획서
 
Ringle Brochure
Ringle BrochureRingle Brochure
Ringle Brochure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오픈액세스는 저자와 독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운동 - 서정욱
 
Mooc 입문기 20140418
Mooc 입문기 20140418Mooc 입문기 20140418
Mooc 입문기 20140418
 
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
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
오픈 강의 동영상(OER) 활용 수업 사례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Leading edge technology and future of english education
 

test -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자료집 3

  • 1.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일시: 2015년 11월 13일 (금) 09:00~ 장소: 네스트 호텔 회의실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 2.
  • 3.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일시: 2015년 11월 13일 (금) 09:00~ 장소: 네스트 호텔 회의실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 4.
  • 5. - 3 - < 차 례 > ◈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일정표 5 주제발표 <제1주제> 2015 출판인 해외연수 BEA 세미나 연계 과정 결과 보고서 7 <제2주제> 대학출판부의 기획과 마케팅-도서 기획과 마케팅 21 <제3주제> 「도서 완제품 가이드북」 설명회-완제품 수출 개요 및 미국 시장 소개 45 <제4주제>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플랫폼 개발사업 진행사항 발표 59 ◈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정관 73 ◈ (사)한국대학출판협회 회원(교) 명단 80
  • 6.
  • 7. - 5 - 시 간 내 용 비고 07:30~08:30 60‘ 조식 호텔(뷔페) 08:30~08:50 20‘ 일본협회 참가단 환송 09:00~09:20 20‘ 연수회 개회식 자랑스러운 대학출판인상 시상, 우수 서평 시상식 09:20~10:00 40‘ 2015 출판인 해외연수 BEA 세미나 연계 과정 결과 보고서 제1주제발표 박혜원(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10:00~10:40 40‘ 대학출판부의 기획과 마케팅 - 도서 기획과 마케팅 제2주제발표 김종길(경남대학교 언론출판원) 10:40~10:50 10′ 휴식 10:50~11:30 40′ 「도서 완제품 가이드북」 설명회 - 완제품 수출 개요 및 미국 시장 소개 제3주제발표 공경용(공앤박 대표) 11:30~12:10 40‘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플랫폼 개발사업 진행사항 발표 제4주제발표 김영진(다우인큐브 부장) 12:10~13:00 강평, 종합토론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일정표 - 2015년 11월 13일 (금요일) -
  • 8.
  • 9.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제1주제> 2015 출판인 해외연수 BEA 세미나 연계 과정 결과 보고서 박혜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10.
  • 11. 2015 출판인 해외연수 BEA 세미나 연계 과정 결과 보고서 2015년 6월 작성자 : 박혜원 소 속 : 방송대 출판문화원
  • 12. 목 차 1. 서론 -방송대 교재 사세요 -방치당하는 미국의 학부생 2. 본론 -인게이지먼트: 강의실을 짓는 출판사 ․ 센게이지러닝의 ‘코스메이트’ ․ 와일리의 ‘와일리플러스 러닝 스페이스’ -커스터마이징: 필요한 챕터만 사세요 ․ 퍼블리셔에서 라이센서로 ․ 졸업 후에도 충성 독자로 -인터랙티비티: 효과성으로 승부하라 ․ 학습은 영화 감상과 다르다 ․ 게임에서 답을 찾다 ․ A학점을 받을 수 있다면 3. 결론 -교재 출판사에서 교육 서비스 공급자로
  • 13. [교재의 필요성에 대한 미국 대학생들의 인식 변화] 교재 출판사에서 교육 서비스 공급자로 -미국 대학교재 출판사의 도전- 작성자 : 박혜원(방송대 출판문화원) 1. 서론 -방송대 교재 사세요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국내 최대 규모의 대학이자, 세계적으로도 10대 원격대학에 드는 메가 유니버시티(Mega University)이다. 재학생 14만 명, 지역대학(지방 캠퍼스) 13개, 시·군 학습관 32개가 말해 주듯 그 규모는 국내의 다른 대학과 비교 자체를 불허한다. 그리고 나는 그런 방송대에 교재를 독점으로 공급하는 방송대 출판문화원의 편집자이다. 무려 14만 명의 학생이 자학자습과 시험 대비를 위해 매 학기 꼬박꼬박 구입하는, 바로 그 교재를 만드는 출판문화원에서 일하고 있다. 그러나 몇 년 사이, 사이버대학교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평생교육원 등을 통한 학점은행제가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방송대는 그 위상이 예전만 못하게 되었다. 재학생이 급감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스레 교재 판매도 급감하기 시작하였다. 매 학기 우리의 교재가 출간되기를 목을 빼고 기다려 주는 방송대 학생 외에 어떤 독자에게도 관심 가져 본 적 없는 방송대 출판문화원이 새로운 독자를 찾아 거친 세상으로 나서야 할 때가 온 것이다. -방치당하는 미국의 학부생 때마침 2015 북엑스포아메리카(2015 BookExpo America, BEA) 연수에 참가하여 미국의 유명한 대학교재 출판사들을 만났다. 미국 고등교육의 세계적 위상만큼이나 전 세계 교육계와 출판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그들이지만, 가라앉을 줄 모르는 미국 대학산업의 거품은 안타깝게도 지척의 그들에게 먼저 타격을 가한 듯했다.
  • 14. ‘미국 대학’ 하면 떠오르는 천문학적 금액의 등록금은 사회문제가 된 지 오래고, 연구 중심 대학들의 학부생 티칭(teaching) 부족 역시 교육 비평가들의 도마에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학자금 대출로 빚에 허덕이는 학생들은 교재를 사지 않고 빌려 보거나 일부만 복사해 보거나 중고책을 구해 본다. 교재를 전혀 보지 않아도, 즉 공부를 하지 않아도 이를 염려하고 지도하려는 교수는 많지 않다. 대학은 더 이상 고등교육을 위해 존재하는 곳이 아니라 빛나는 졸업장 취득만을 위해 존재한다는 인식이 대학, 학생, 학부모 사이에 자리 잡으면서,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은 새로운 수익 모델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들에게서 국내 출판계와 같은 패배주의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었다. 오히려 위기를 발판 삼아 전보다 선진적인 전략을 용감하게 펼쳐 나가고 있었다. 그들의 전략은 인게이지먼트(Engagement),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 이 세 단어로 요약할 수 있다. 2. 본론 -인게이지먼트: 강의실을 짓는 출판사1) 변해 버린 독자와 환경 속에서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이 생각해 낸 첫 번째 전략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더 적극적으로 만날 수 있는 티칭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미국 역시 대부분의 대학 강의는 딕테이션, 즉 강사의 일방적인 강의와 수강생의 노트 필기 정도의 수동적 차원에 머물고 있다. 교수자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과정, 역량, 성취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고, 학습자는 수십 명, 수백 명 중의 일인으로서 딱 그만큼의 역할만 하고 강의실을 나서면 그만이다. 그러나 학생 개개인에 대한 교수자의 관심과 관여, 그리고 교수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피드백이 학습효과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오늘날의 고등교육, 특히 방치된 학부생 교육에서 가장 절실한 개념은 관여와 참여, 바로 인게이지먼트(engagement)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는 바로 이 점에 착안하여 학습자와 교수자가 학기 내내 ‘교재(textbook)’를 중심으로 더 적극적으로 강의에 참여하도록 온라인 공간을 제공한다. 이곳에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어떻게 공부를 하고 있는지, 학습 성취도는 어떠한지 등을 세밀하게 살핌으로써 강의 준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학습자는 본인의 학습 진도와 달성도를 스스로 체크해 봄으로써 시험 준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2015년 BEA 컨퍼런스를 통해 알게 된, 이러한 서비스의 대표 주자격인 두 개의 서비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 센게이지러닝의 ‘코스메이트’ 2013년 7월, 미국 최대의 교과서 출판사 중 하나로 꼽히는 센게이지러닝(Cengage Learning)은 파산을 신청했다. 재정위기를 겪은 후 센게이지러닝은 전통적인 인쇄매체 모델에서 디지털 교육 서비스 업체로 전환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센게이지러닝의 1) "New Strategies and Developments for Digital Higher Education: Part One & Two" at BEA Content & Digital Conference에서 소개된 Cengage Learning과 John Wiley의 온라인 강의실 서비스 내용을 정리함.
  • 15. [코스메이트의 교수자용 화면. 수강생별 학습 시간과 학습 성취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홈페이지를 도배하는 있는 단어는 ‘Engagement’이다. 인게이지먼트야말로 성공적인 학습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센게이지러닝은 인게이지먼트를 강화할 수 있는 여러 교육․학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코스메이트(Course Mate)이다. 코스메이트는 강의를 맡은 교수자가 센게이지러닝의 사이트에 본인의 강의룸을 개설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유료). 개설된 강의룸의 번호를 수강생들에게 알려 주면 수강생들이 해당 강의룸에 등록을 하고(유료) 이로써 강사와 수강생이 만나는 새로운 공간이 탄생한다. 학생들은 이 강의룸에 접속하여 해당 강의교재의 e-book을 챕터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것은 인쇄교재를 디지털화한 e-book만이 아니다. 인쇄교재에는 없는 quizzing, flash cards, glossary, video 등이 추가로 제공되어 주도적으로 다채로운 학습을 이어갈 수 있다. 퀴즈를 풀어 즉석에서 답을 확인한 후 오답풀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고, 주제와 관련된 외부의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감상하며 흥미도를 높일 수도 있다. 수강생 평균과 본인의 평균에 대한 비교 자료를 볼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학습 의욕도 높아진다. 교수자는 학생들의 이런 학습활동 전체를 모두 통계화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어떤 학생이 얼마나 오랜 시간 어느 챕터를 공부했는지, 어떤 퀴즈의 오답률이 높은지, 어떤 자료가 인기 있는지 등을 파악하여 다음 강의를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이런
  • 16. [러닝 스페이스의 학습자용 화면. 개인의 학습 성취도와 과제물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효율은 실제 강의에서 딕테이션 형식의 단순 지식 전달 시간을 줄이고 토론과 질문 시간을 충분히 가짐으로써 오프라인 강의실에서도 인게이지먼트가 향상될 수 있다. ․ 와일리의 ‘와일리플러스 러닝 스페이스’ 와일리플러스 러닝 스페이스(WileyPlus Learning Space)는 와일리(Wiley)가 제공하는 교육․학습 서비스이다. 기본적으로 코스메이트와 비슷한 기능을 하나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실시간 피드백이 더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고, 학습자 개개인에게 보다 선명한 학습 로드맵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동기를 부여해 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지, 무엇을 더 공부해야 할지 등을 명확하게 분석하여 보여 주고, 과제물을 제출할 수 있으며, 강사가 실시간으로 개입할 수 있어 학생들의 막연한 불안과 걱정을 없애 준다. 와일리플러스 러닝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강사들은 이 서비스의 효용으로, 효과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통해 학생과 강사 모두 실제 강의에서 더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토론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성적이 눈에 띄게 향상된다는 것을 꼽았다.
  • 17. -커스터마이징: 필요한 챕터만 사세요2) 대학생들이 교재를 사지 않는 이유는 단순히 교재 구입에 돈을 쓰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 비용 대비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으로 보는 게 옳다. 1천 페이지에 달하는 두껍고 비싼 책을 사서 시험 때나 잠깐, 그것도 일부만 보고 버릴 책을 제값을 주고 산다는 게 오히려 비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다. 그래서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이 생각해 낸 두 번째 전략은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맞춤형 교재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와일리 출판사의 Franny Kelly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까다롭고 게으르다. 누구나 개인의 경제적 상황과 취향에 맞는 자동차를 구입하여 손쉽게 이동하고 싶어 하는 것처럼, 교수자와 학습자도 개별 상황에 맞는 콘텐츠만을 구입하여 짧은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공부하고 싶어 하는 게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소개한 코스메이트와 러닝 스페이스를 많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이용하고 있는 것도 단지 그 서비스가 인쇄교재에 비해 비용이 저렴해서라기보다는 짧은 시간에 높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퍼블리셔에서 라이센서로 미국의 교재 출판사들은 종이책이냐 전자책이냐 혹은 번들이냐를 넘어 독자가 원하는 콘텐츠만을 편집해 원하는 포맷으로 제공하고 있다. 꽤 오래 전부터 교수들 중 일부는 “이 책의 서론과 14, 15장은 필요 없으니 1~13장만 살 수 있게 해 달라”는 식의 요청을 해 오곤 했다. 그러나 요즘의 교수자와 학습자들은 다른 차원의 맞춤 제작을 요구한다. 여러 책의 특정 챕터 혹은 단락을 몇 개씩 모아 새로운 교재를 만들어 달라(이 중 일부는 다른 출판사의 책에 포함된 콘텐츠인 경우도 있음), 본문 중간에 특정 동영상을(자신의 강의 동영상 등)을 삽입해 달라, 인덱스, 주석, 요약 등을 특정 방식으로 편집해서 그것만을 구입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식이다. 그래서 일부 출판사들은 그간 축적해 온 방대한 양의 학습용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손쉽게 검색하고 선별하여 원하는 포맷으로 맞춤형 교재를 주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출판사로서는 이미 보유한 콘텐츠를 활용해 단기간에 새로운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좋고, 교수자와 학습자로서는 맞춤형 교재를 합리적인 금액에 제공받아 효율적으로 강의와 학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춤형 교재 제작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가능해졌기에 늘 기술과 관련된 이슈들이 먼저 떠오르게 마련이다. 그러나 출판사 입장에서는 그에 앞서 저작권 등 라이센스와 관련해 발생할 다양한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게 더 중요하다. 문장별, 단락별, 페이지별, 챕터별로 수많은 저작권자의 콘텐츠가 뒤섞인 새로운 책을 만들어 공급할 때 저작권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비용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등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수행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저작권자와 출판사 모두에게 이로운 정책을 마련하는 게 급선무이다. 2) “Relevance to Reader” at BEA Content & Digital Conference의 대담 내용을 정리함. Wiley Global Education의 Franny Kelly(Associate Director of Product Management)의 발언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함.
  • 18. [와일리의 맞춤형 교재 제작 서비스 페이지. 필요한 콘텐츠만을 검색·선별·구성 후 주문할 수 있다.] ․ 졸업 후에도 충성 독자로 학생들에게 맞춤형 교재를 제공할 경우 출판사가 챙길 수 있는 또 하나의 이득은 학생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경제력을 지닌 직업인이 되었을 때, 그간의 학습 이력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그들에게 매우 적절한 도서를 적시에 추천할 수 있다는 점이다. Academy 시장에서 Trade 시장으로의 확장은 많은 교재 출판사들이 시도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를 통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독자 데이터베이스 구축뿐만 아니라 다양한 채널을 통한 마케팅 등 보다 세련된 CRM 기법에 대한 연구와 훈련이 필요하다. -인터랙티비티: 효과성으로 승부하라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이 공을 들이고 있는 세 번째 전략은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교재를 제작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 대학가 역시 교수와 학생들은 아직까지 디지털 교재보다는 인쇄교재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다. 그러나 인쇄교재와 디지털 교재 모두 필요에 따라 선호한다는 학생이 30%를 넘어섰고,3) 즐기기 위한 독서(Reading for Fun)보다는 학습과 연구를 위한 콘텐츠를 디지털 포맷으로 보는 데 저항이 덜한바,4) 고등교육에서 디지털 교재의 활용은 점차 보편화될 것이 분명하다. 최근에는 ePub 3.0 기반의 디지털 교재가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출판계에서는 이를 디지털 교재의 전환점으로 삼으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ePub 3.0 기반 디지털 교재의 최대 화두는 ‘인터랙티비티’인데 이를 통해 기존의 인쇄교재와 명확히 차별화된, 즉 더 효율적인 학습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3) BISG의 2015년 미국 대학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쇄교재만 선호한다는 응답이 48%, 디지털 교재 만 선호한다는 응답이 18%, 필요에 따라 두 가지 모두 선호한다는 응답이 31%이다. 한편 미국 대학에서 2015년 봄학기에 인쇄교재만을 채택한 강의는 64%, 디지털 교재만을 채택한 강의는 14%, 두 가지 모두 채택한 강의는 14%로 조사되었다. 4) Kristen McLean(Bookigee CEO). “Youth Reading Or Not Part 1: What Do We Know About Trends In Youth and Teen Reading Today?” at IDPF 2015 Digital Book Program
  • 19. ․ 학습은 영화 감상과 다르다 센게이지러닝의 국제사업부 회장 Alexander Broich 는 “음악과 영화, 그리고 일반도서(trade book)의 포맷과 환경은 오랜 시간 비슷한 방향으로 변화하여 왔다. 세 가지 모두 디지털화, DRM, 다운로드, 디바이스, 전자상거래가 변화의 핵심 개념이었다. 그러나 교육용 도서는 위의 셋과 확연히 다른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학습경험은 음악, 영화, 소설 등 다른 콘텐츠의 일방적인 소비와는 완전히 구별되는 것이다. 교육용 콘텐츠는 인터랙티브한 경험이 그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육용 출판사 관계자들은 다른 미디어 종사자들보다 혁신적 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기술 영역의 관계자들 역시 교육용 도서의 디지털화와 디지털화된 콘텐츠에 대한 효율적 접근 정도의 수준에 머무르지 말고 학습의 흐름과 과정을 고려하는 등 교육용 콘텐츠의 특수성을 더 적극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5) ․ 게임에서 답을 찾다 학습교재의 디지털화가 음악, 영화, 그리고 일반도서의 디지털화와 다른 성격의 것이어야 한다면 어디에서 그 모델을 찾을 수 있을까? 펍코더 (PubCoder)의 창립자 Paolo Albert는 “What the hell is water?”라는 이야기를 들어 우리가 의외로 자주 경험하는 인터랙티비티를 설명하고자 하였다.6) 작은 물고기 두 마리가 수영을 하다가 큰 물고기 한 마리를 만났다. 큰 물고기가 "거기 물은 좀 어때?”라고 묻자 작은 물고기들이 “What the hell is water?(제기랄! 물? 도대체 그게 뭔데?)”라고 되물었다. 너무 가까이에서 자주 접하다 보면 오히려 그 가치를 망각하게 된다. 전자책의 인터랙티비티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자 게임에서 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게임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피드백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강한 동기와 자발성을 끌어낸다. 학습자의 자발성이야말로 성공적인 학습의 토대라 할 수 있다. 젊은 층의 많은 수가 독자이면서 동시에 게이머7)라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게임의 인터랙티비티는 디지털 교재에 좋은 모델이 되어 줄 것이다.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비단 직관적 인터랙티비티만은 아니다. The Trouble with Boys의 저자이자 저소득층의 대학 진학을 돕는 재단을 운영하는 Peg Tyre는 게임업계의 스토리 콘텐츠 개발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를 출판업계가 배울 것을 요구했다. 젊은 층의 읽기 능력 저하가 부모 세대가 읽었던 것과 다를 것 없는 구시대적 읽기 훈련 콘텐츠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이에 대한 투자 없이는 게임산업을 따라잡기 힘들 것이라고 역설하였다.8) 5) “New Strategies and Developments for Digital Higher Education: Part One” at BEA Content & Digital Conference 6) “Closing the Youth Reading Gap with Interactivity and Gaming” at IDPF 2015 Digital Book Program 7) 책 읽는 십대 중 93%가 게임 역시 즐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risten McLean(Bookigee CEO). “Youth Reading Or Not Part 1: What Do We Know About Trends In Youth and Teen Reading Today?” at IDPF 2015 Digital Book Program 8) “Readers Left Behind: The Gap Between Boys' and Girls' Reading” at IDPF 2015 Digital Book Program
  • 20. ․ A학점을 받을 수 있다면 디지털 교재에서 인터랙티비티가 유독 강조되는 이유는 단순히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서가 아니라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9)에 따르면 학생들은 대학교재의 가치 기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했다. 1위 “시험이나 퀴즈를 대비할 수 있을 것”, 2위 “과제물 작성에 도움이 될 것”, 3위 “학점을 올릴 수 있을 것”. 이 조사는 최종적으로 디지털 교재 구입에 대한 질문을 던졌는데 “50달러짜리 기존의 인쇄교재와 100달러짜리 새로운 디지털 교재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다고 할 때, 학점을 한 등급(one letter grade) 올릴 수 있고, 학습시간을 25%까지 줄일 수 있다면 기존의 인쇄교재 대신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교재를 구입하겠느냐”라고 물었고, “그렇다”라고 답한 학생이 54%에 달했다. (29%는 중립, 17%는 “아니다”)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교재의 성공 여부는 결국 인쇄교재와 비교해 학습에 더 효과적인지 아닌지가 최대 관건이 될 것이다. 3. 결론 -교재 출판사에서 교육 서비스 공급자로 고등교육의 환경이 바뀌고 교육 수요자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대학교재 출판사는 기존의 운영 방식으로는 장기적 발전이 힘든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미국의 대학교재 출판사가 생존을 위해 선택한 길은, 앞에서 보았듯이 인쇄교재 출판사에서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교육 서비스 공급자로 변모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종이책을 디지털화하는 차원이 아니라 교육 콘텐츠 중심의 웹사이트와 플랫폼을 구축하여 교수, 학생, 독자들과 인터랙티브한 작용을 주고받는 단계에까지 나아가고 있다. 교수자는 출판사의 풍성한 콘텐츠를 통해 더 전문적인 티칭의 기회를 얻었고, 그간 학교에서 방치되다시피 했던 학생들은 더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출판사의 수익이 증대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한국의 대학교재 출판사들의 관심은 여전히 교수자 즉, 강의교재를 채택해 주는 교수들에게만 일방적으로 쏠려 있다. 콘텐츠 자체의 개발이나 학습자를 향한 지속적인 CRM보다는 많은 수강생을 거느린 교수자를 저자로 섭외하여 인세 외 연구비 명목의 지원금을 건네거나 로비를 통해 강의교재를 채택하게 하는 데 주력하는 곳이 여전히 많다. 최근에는 ePUB 3.0과 eduPUB의 등장으로 한국의 교재 출판사들과 대학 출판부들도 새로운 플랫폼에 조금씩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자연스레 최신 기술에 큰 관심을 기울이며 조바심을 내거나, 온갖 기능이 들어 있는 디지털 교재를 시범적으로 개발한 곳들도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여전히 콘텐츠이고 학습자이기에, 기술 위주의 논의만으로는 성공적으로 변신할 수 없다. 교육 전문 조직으로서 기존처럼 양질의 교육 콘텐츠 생산에 집중하되,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이 놓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9) BISG(Book Industry Study Group). Student Attitudes Toward Content in Higher Education. “Beyond the Tradigital: New Paradigms for Content Development, Presentation, and Instruction in Higher Ed” at BEA Content & Digital Conference.
  • 21. 학습자들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우선적으로 살핀 후 그에 맞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미국의 사례에서 보듯 그 플랫폼은 편리한 구매와 결제 기능에만 집중된 유통 플랫폼이 아닌, 교육자와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 서비스 플랫폼이어야 한다. 트렌드에 휩싸여 조급해하기보다 천천히 기반을 다져 가야 할 때이다.
  • 22.
  • 23.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제2주제> 대학출판부의 기획과 마케팅-도서 기획과 마케팅 김종길 (경남대학교 출판부)
  • 24.
  • 28. 01  사고의 전환 관념과 논리보다는 현실과 공감으로, 대립적인 인식보다 통합적인 인식으로  스스로 미래를 밝혀야 독서에 대한 윤리적 호소, 국가와 학교의 지원 그러나 호소와 지원만으로 대학출판부의 위기는 극복될 수 없다  출판의 진화 출판의 생태계 변화와 새로운 질서, 출판의 진화에 주목  구매형태의 변화 검색 가능한 형태 제공 기존: 언론 홍보, 광고, 서점 노출 등 책 정보 전달하면 구매로 이어졌으나 현재: 초연결사회의 독자들은 제품 정보를 인지한 후 ‘검색’을 통해 최종 구매 결정 대학의 울타리를 넘어… 대학출판부, 단상
  • 29. 상업출판사와 대학출판부  숙련만 있고 도약은 없다  책이 경제적 필요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 생각은 현대 책 문화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근거 없는 통념 - 테드 스트리파스(인디애나대학 커뮤니케 이션학과 교수)의 <미국 출판문화 들여다보기> 중에서  책에도 자본주의 경제의 법칙은 작용한다 #독립출판  책은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기획  책은 물건을 파는 것이 아니라 지식과 정보를 파는 것  독자와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하고 독자를 출판사 근처로 끌어 들이라(세스 고딘) #직접 판매(마케팅 비용 절감) 01대학출판부, 단상
  • 30. 학술서와 대중서  좋은 책이 팔리지 않을 수도 있다VS 좋은 책을 내면 독자는 있다 좋은 책을 내도 발견되지 않는다  책이 팔린다는 건 책이 알려진다는 것 01대학출판부, 단상 종이책과 전자책  디지털은 이미 출판의 한 과정: 페이퍼미디어에서 융복합미디어로  형태를 따지지 않는 콘텐츠는 디지털 형식으로  명확한 형태가 있는 콘텐츠는 디지털과 종이책 두 가지로 - 크레이그 모드의 <우리 시대의 책> 중에서
  • 31. 기존매체와 SNS  ‘출판 후 홍보’의 낡은 방식이 아닌 일상적으로 독자와 연결되어 가치 창출 일상적으로 공유하고 확산할 만한 콘텐츠를 일관성 있게 기획하고 생산  책은 종착점이 아니라 독자와의 연결점 편집 활동, 콘텐츠 기획, 리뷰, 참여, 소비 등 01대학출판부, 단상 종수와 도서목록
  • 33. 02지앤유로컬북스, 기획 편집자, 그 이름  최초의 비판적인 독자 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말하는 자  무대의 연출자, 지휘자  소통의 중심에 선 연결자  디지털세계에서의 정보 전달 방식을 이해한 편집자(퍼블리터) 편집자의 감식력과 구성력 사상으로서의 편집자, 재무적 투자자로서의 편집자, 비즈니스 기획자 로서의 편집자, 책의 장인으로서의 편집자 - 장은수(민음사 편집고문)
  • 34. 02 기획은 없다 독자, 사회, 출판부, 저자, 인력, 예산, 손익 개발 가치, 개발 가능성, 채산성 새로운 독서시장 개척 기획안 작성 엄청난 독서량과 폭넓은 지식(오랜 생명력) 편집자 전권, 시장에 대한 감각 지앤유로컬북스, 기획 편집자 주도 기획 방향 설정 이야기처럼 읽히는 책 책을 어렵게 읽어가는 즐거움 우리의 정신에만 시리즈라는 개념이 있으면 된다 - 세이유 출판사의 ’20세기 서고’ 모리스 올랑데 독자를 어떤 방향으로 끌어가겠다는 분명한 목표 독자의 기호를 읽어내려는 노력과 열성 읽을 가치가 있는 책 자체로 생명력 있는 책을 만들고 팔자
  • 35. 02 지앤유로컬북스, 기획 저자 ‘콘텐츠 확보’ 인력 ‘편집자, 북디자이너’ 재정 ‘수익 향상’ 도서 선정 기준 교재 선정 기준 편집부 검토 의견 도서 선정 비율 교재: 학술서=7:3 시리즈와 종의 생명력 극대화 동양고전시리즈 삼사충고 노자권재구의(근간) 서양고전시리즈 미국정치경제론 시인의 기질(근간) 한권으로읽는시리즈 연극의 역사 영미골프문화사 지앤유로컬북스 조선 선비들의 답사일번지 나는 대한민국 경남여성 에디터십 본령(학술)+수익(교재) 학술서 지식교양서 대중(교양)+지역(로컬북스)
  • 36. 02 지앤유로컬북스, 기획 2015년 출간 마케팅 2014년 신청 심사 • 마감: 15종 신청(3월) • 심사: 심사위원회 구성(4월) • 집필: 방향 협의 3회(7월, 10월, 12월) • 최종원고 제출(3월) • 출간(5월, 8월) • 마케팅: 릴리스, 페이스북 등 기획에서 마케팅까지 • 계획: 기획안 작성(7월) • 심의: 출판위원회, 총장(10월) • 공고: 언론매체 등(12월) 2013년 기획 공고  응모 원고(공모)+청탁 원고(섭외)  방향만 제시, 쓰고 싶은 대로  글의 민주화-대중을 겨냥한 시리즈  방식: 인문학적 관점으로 접근  구성: 형식, 분량, 내용의 일정함을 벗어나  독자를 이끌어갈 수 있는 기획
  • 37. 02지앤유로컬북스, 기획 조선 선비들의 답사일번지  언론보도: 한겨레(2회),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연 합뉴스, 서울신문, 교수신문, KBS 등 22곳 보도  파라텍스트: 원학동을 방문한 문인들  사진 촬영 및 확보  지역민과 함께하는 북로드 인문학기행(공연, 지역 민, 이장, 고택, 가문, 지역음식 등)  기행: 경남문화관광해설사 교육, 평생교육원 답사 프로그램, 창원도서관, 거창군립도서관 길 위의 인 문학  거창군, 위천면 지원
  • 38. 02지앤유로컬북스, 기획 나는 대한민국 경남여성  언론보도: 한겨레, 한국일보, 여성신문, 연합뉴스, 서울경제, 교수신문, KBS 등 10곳 보도(사진전 6곳 보도)  파라텍스트: 스페셜 박스, 권두 사진  사진 확보(국가기록원 등)  북 콘서트  사진전 개최  강연회 조직
  • 42. 도서관 책을 중심으로 무언가를 더 판다 언론 책의 발견성과 연결성 03 소통과 공감, 마케팅 서점  독자 직판 모델  빅데이터 이용 책 마케팅  잠재독자를 늘이는 것  콘텐츠보다 콘텍스트  제조-유통 모델-미디어 모델(콘텐 츠 개발과 확산): 강연 사업 모델 (인플루엔셜)  연결을 생산하는 비즈니스(북 센 트릭 비즈니스book centric business) 책+파라텍스트=제품, 강연 미래의 출판 모델은 책이라 는 물건이 아니라 책 콘텐츠를 이 용한 지식 가치를 다양한 형태의 제품에 부여해서 제공하는 모델(문 구, 북카페, 강연 사업, 네이버 지 식백과 등), OSMU  인터넷서점 모바일 판매량 20%, (첫 화면 6~9종 진열)  기존: 책의 발견=구매  현재: 책의 발견=검색-구매-독서 -공유-구매  책의 라이프 사이클 3~5주  사전 마케팅(검색 노출)
  • 43. 저자 편집자 독자 든든한 우군 편집자는 곧 마케터 할 수 있고 하고 싶은 것들소통과 공감, 마케팅 • 기획 단계부터 마케팅 전략 • 사업 설계와 상품 기획 교정자, 개발 자, 편집자, 기획자- 마케터적 편집 자, 도서 상품의 개발자 • 언드미디어(Earned Media) • 페이드미디어(Paid Media) • 온드미디어(Owned Media) • 지역서점, 지역출판사 공동마케팅 • 대학출판부(영지협) 공동마케팅 • 크라우드 펀딩 • 독자 데이터 • 저자 육성, 글쓰기 모임 • 저자가 찾는 출판부(메일, 책자) SNS 페이스북 기본에 충실한 마케팅 미디어의 변화 • 릴리스 홍보실 등 적극 활용 • 인터넷 노출 및 인터넷 서점 • 미리보기, 상세이미지, 보도자료 • 포스팅, 이벤트, 홍보 • 쌍방향 소통, 초대, 광고, 공유 • 작은 출판사 홍보 모델 03
  • 44. 03 소통과 공감, 마케팅 지역 마케팅  학내 도서 전시 판매(상설전시코너, 도서전, 사이트)  지앤유 북소리, 북로드, 북아카데미  지역 네트워크(독서 모임, 페이스북 그룹, 지역언론)  지역 전시 코너(북카페, 공연장, 기관)  릴리스와 인터뷰, 지역행사 참여, 지역출판문화기관 지원 대학의 울타리를 넘어 독자 접촉면을 넓혀 스스로 대학출판부의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지역에서 출판문화의 토대를 만들자  뉴스레터(교수, 직원, 동문, 지역)
  • 45. 03 소통과 공감, 마케팅 대학출판부 네트워크 구축 북 펀드 조성 지자체, 기업, 대학 등 지원 모색 수익 모델 창출 대학출판부가 지역출판문화의 중심지역출판사, 지역서점 등 공동발전을 위한 세미나 개최 등 연계 사업 추진 답사 강연회 조직 북카페, 독립서점 전시판매 출판단체, 기관 연계 재원 홍보
  • 47.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제3주제> 「도서 완제품 가이드북」 설명회 - 완제품 수출 개요 및 미국 시장 소개 공경용 (공앤박 대표)
  • 48.
  • 49.
  • 50.
  • 53. • 영어 • 표기법 • 가격표기 수출하고자 하는 국가에 대한 경험이 없다면 한국의 소비자 가격을 원화로 표기하는 편이 효율적 • 세법 도서에 CD나 DVD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라면 표지에 “CD-Free”, “DVD-Free” 표시 하는 것이 좋음. 일부 국가의 세법에서는 표지에 명확히 ‘무료'라는 표시가 없을 경우 CD나 DVD에 부가세가 추가되어 가격이 높아짐. 예를 들어 요리책을 만드는데 미국식을 따른다고 해서 야드-파운드 법을 사용할 경우, 94’부터 미터법을 도입해 병행해서 쓰고 있는 영국에서는 팔기가 어려움. 따라서 야드-파운드 법을 따른다 하더라도 괄호 안에 미터법을 병기해주는 것이 필요함
  • 54. • 오닉스(ONIX International) 온라인 정보교환(Online Information eXchange)를 나타내는 용어로, 출판사가 자사 도서 관련 정보를 유통업계예 배포하는데 사용하는 국제적 표준을 의미함. 국제 출판계에서 이미 보편화된 표준화 정보인 오닉스를 사용함으로써 통일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것임. • 에델바이스(Edelweiss) ‘Above the Treeline’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카탈로그 서비스의 이름. 이 사이트는 독자, 서점 등 누구나 무료 회원 가입을 통해 출판사들이 등록한 카탈로그와 책을 검색할 수 있음. 반스앤노블(Barnes & Noble)이 사용하면서 많은 서점들도 사용하게 됨. 책이 많이 팔리려면 우선 독자, 서점, 도매상에게 그 책이 쉽게 검색될 수 있어야 함. 메타데이터 항목을 빠짐없이 채워 정리하는 것은 사람들의 도서 검색이 쉬워질 수 있도록 하는 첫 단추 역할을 할 것임.
  • 55.
  • 56. • 어드밴티지(Advantage) • 벤더센트럴(Vendor Central) • 할인율: 55% • 배송비: 공급자 부담 • 잉그램(Ingram) • 베이커앤테일러(Baker & Taylor) • 할인율: 50~55% • 배송비: 공급자 부담 아마존닷컴 도매상
  • 57. • 반스앤노블(Barnes & Noble) • 폴릿(Follett Corporation) • 북스-어-밀리언(Books-A-Million) • 헤이스팅스(Hastings Entertainment) • 패밀리 크리스천 스토어(Family Christian Stores) • 일반적인 거래조건 - 할인율 65% • 배송조건 • 보험료 • 창고비 체인서점 유통업체
  • 58. 세일즈렙(Sales Representative) • 커미션: 10% • 관할지역 거래서점을 1년에 1번 이상 방문 • 지역의 도서 전시회에 참가 • 체인서점 본사 구매 담당자에 홍보 • 도매상의 영업 담당자에 홍보 ※ 세일즈렙, 유통업체, 도매상 등 B2B 마케팅은 있으나, B2C 마케팅은 출판사의 몫
  • 59. ▶수요층 – 이민사회(7백만명) • 운임 • 통관서류 필수 ▶ 주의할 사항 ▶ 간단한 절차(주문→견적→청구→결재→발송) 국문판 직수출은 먼저 현지 주문을 받은 후 책을 보내기 때문에 위탁판매가 아닌 현금판매라는 점에서 간단한 절차를 통해 진행된다고 볼 수 있음
  • 60.
  • 61. 제31회 대학출판인연수회 <제4주제>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플랫폼 개발사업 진행사항 발표 김영진 (다우인큐브 부장)
  • 62.
  • 63. Ⅱ - 0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 64. Ⅰ - 1 1. 사업 개요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Search Cancel  각종 학회 및 세미나 행사를 통해 생성되는 고품질 지식콘텐츠를 디지털라이징 및 DB화  각종 학회 및 협회가 지식콘텐츠 관리를 자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 서비스 확장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방법론 확보  웹표준 지향 지식콘텐츠 시스템 구축 학술지식콘텐츠 DB구축 및 콘텐츠 생 산 , 활 용 , 재생 산을 총체적 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사 업 명 : 학술지식콘텐츠 저작도구, 뷰어, 유통시스템 구축개발 • 사업기간 : 2015년 10월 ~ 2015년 12월 (총 3개월)
  • 65. Ⅰ - 2 2.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 기존의 지식콘텐츠 제작은 인쇄 및 관리 비용이 꾸준히 발생  생성된 지식콘텐츠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경우가 다반사임  보다 편리하고 다양하게 지식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저작도구 필요  고품질의 지식콘텐츠 보존 및 관리를 위해 시스템 구축 필요 지식콘텐츠 활용, 운영지식콘텐츠 생산, 관리 지식콘텐츠 재생산  인쇄된 형태의 콘텐츠 특성상 활용의 제약발생과 훼손이 가능  발표자료가 행사참석자에게만 국한되어 공유되고 광범위하게 공유되지 못하는 현실 추진 필요성 고부가가치 지식콘텐츠의 범국민 서비스를 통해 국가정책인 창조경제에 이바지함 1회성으로 사장 되어지는 고품질 지식콘텐츠를 디지털 아카이브화하여 보관·관리 및 창의적 재활용 학회, 협회 운영을 위한 자동화 기능을 통해 운영 효율성 증대 및 비용 절감 전자책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와 인터랙션이 적용된 고품질 콘텐츠 제작 지식콘텐츠를 EPUB3기반으로 학술지식 콘텐츠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웹 서비스 구축 전자책 뷰어를 통해 지식콘텐츠에 접근하여 지속적인 지식정보 습득 및 2차 생산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 66. Ⅱ - 3 3. 목표 시스템 구성 학술지식 콘텐츠 통합 DB 콘텐츠 변환 및 저작도구 학술지식 콘텐츠 DB 회원정보 저장소 통계정보 저장소 학술지식콘텐츠 서비스 커뮤니티 지원 서비스 서비스 맞춤형 콘텐츠 뷰어 (Web) PDF 문서변환 멀티미디어 추가 콘텐츠 출간 (업로드) 보기모드 전환 (양/단면, 전체) 확대 / 축소 본문 내용 검색 학술지식콘텐츠 공유 플랫폼 세미나 관리 (등록, 수정, 삭제) 세미나 참석회원 관리 학술세미나 공지 및 안내 문자 및 DM 발송 학술지식콘텐츠 검색 학술지식콘텐츠 관리 (등록, 수정, 삭제) 학술지식콘텐츠 평가 (좋아요, SNS 링크 공유) 콘텐츠 통계 조회 문자(SMS) 서비스 외부 연동 협회 회원운영자 학회관리자 및 저자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 67. Ⅱ - 4 4. 콘텐츠 변환 및 저작도구 PDF 발표자료 자동변환 패널 저작도구 (기존 문서 레이아웃 유지 및 편집) • 국제 표준 기반 enhanced eBook(EPUB 3.0) 자동 변환 저작도구 지원 각종 학술대회 및 세미나의 발표 문서(PDF)를 저작도구의 컨버터를 통해 EPUB 3.0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며, 기존 문서의 레이아웃을 그대로 유지하여 수정 편집이 가능한 저작 도구 HWP, DOC, PPT 변환 추가 지원 • 이미지 • 비디오 • 오디오 • 슬라이드 쇼 • 웹뷰 • 팝업 • 하이퍼링크 • 첨부파일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 68. Ⅱ - 5 5. 웹 기반의 콘텐츠 뷰어 웹 뷰어 화면 • 차례 • 내 자료함 • 양면/단면 보기 • 본문 검색 • 페이지 미리보기 • 페이지 찾아가기 • 웹(Web Browser) 기반의 Enhanced eBook 뷰어 개발Enhanced eBook 콘텐츠의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재생할 수 있는 Enhanced eBook 콘텐츠 리더 기술 개발. 표준 호환성을 위해 HTML5 및 EPUB 3.0 포맷을 지원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 69. Ⅱ - 6 6. 학술지식콘텐츠 공유 및 학회 커뮤니케이션 웹사이트 구축 사용자 웹 페이지 화면 운영자 웹 페이지 화면 학술자료 관리 공지사항 관리 교육행사 관리 커뮤니티 관리 회원 관리 대량DM(e-mail) 발송 • 컨퍼런스 공지 및 등록을 위한 웹 페이지 개설 서비스 제공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 70. Ⅱ - 7 6. 학술지식콘텐츠 공유 및 학회 커뮤니케이션 웹사이트 구축 사용자 뷰어화면 좋아요 해제 (추천 해제) 내 서재 북마크 해제 로그 인 로그 아웃 로그인 팝업 열림 회원 가입 좋아요(추천) 내 서재 북마크 SNS 계정 로그인 SNS 포스팅 공유 • 사용자가 콘텐츠에 대한 추천(좋아요) 및 공유(facebook, twitter 등) 기능 제공 학술지식콘텐츠 공유를 위한 DB 및 시스템 구축 사업
  • 72. Ⅱ - 9 1. 다우인큐브 회사소개 다우인큐브 회사소개 회사명 주식회사 다우인큐브 대표자 이예구 사업분야 • 디지털교과서 서비스 플랫폼 컨설팅 / 개발 • 미디어 퍼블리싱 관련 컨설팅 / 개발 • QuarkXPress 출판 솔루션, 제품 기획 / 개발 • 서비스 플랫폼 / 인프라 구축 및 운영유지보수 주소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23-7번지 디지털스퀘어 2층 회사 설립년도 1987년 07월 29일 전화번호 070) 8707 – 2500 해당부문 종사기간 1987년 07월 ~ 2014년 8월 현재 (27년 1개월) 일반 현황 주요 연혁 • ㈜다우인큐브는 전자출판, 유비쿼터스 & 스마트 디바이스와 관련된 전자출판 & 플랫폼 토탈 솔루션회사이며, 디지털 저작 환경 구축 및 디지털교과 서 구현 기술,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서비스, 전자도서관 플랫폼 서비스 개발 기술을 보유한 국내 최고의 전자출판 플랫폼 개발사입니다. 2014 12월 디지털교과서 선진화 공로 11월 용인시 우수(향도)기업 선정 09월 이러닝 우수기업 콘테스트 우수상 2013 09월 디지털교과서 저작도구 발표 09월 KT SLP 저작도구, 뷰어 공급 05월 IMS Global Learning Impact Awards Platinum 수상 04월 KERIS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뷰어, 패키저 등 공급 2012 12월 Cube Publisher 2.0 지식경제부 신 S/W 국무총리상 05월 Cube Publisher 1.5 KERIS e교과서 3.0 저작도구 선정 03월 Cube Publisher 1.5 지식경제부 신 S/W 상품 대상 ETRI 3D 학습지식 콘텐츠 플랫폼기반 학습자 참여형 협력 학습 기술 개발 2011 12월 삼성전자 EPUB 저작도구 개발 계약 체계 07월 Cube Publisher 1.0 GS(Good Software) 인 증 02월 Cube Publisher 국내 출시 2010 05월 KT 올레 북카페 콘텐츠 공급 계약 채결 2009 12월 KT 유무선 디지털교과서 서비스를 위한 Digital Publishing 플랫폼 공급 계약 채결
  • 73. Ⅱ - 10 1. 솔루션 소개 - PLOCK 다우인큐브 회사소개 Co-Editing Story 제작 Publishing Book Class Social LearningClass 개설 Workflow 콘텐츠 만들기 콘텐츠 활용하기  재미있게 읽어요  토론하고 학습해요
  • 74.
  • 75. - 73 -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정관 제1장 총 칙 제1조 (명칭) 이 협회는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Association of Korean University Presses)라 칭한다(이하 법인이라 칭한다). 제2조 (목적) 이 법인은 각 대학의 출판업무 담당 부서 혹은 기관 상호간의 유대강화 및 대학출 판 관련사업의 활성화를 통하여 학술 및 출판문화 향상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사무소의 소재지) ① 법인의 주사무소는 회장교 내 출판부(원)에 둔다. ② 필요한 경우 분사무소(지부)를 둘 수 있다. 제4조 (사업) 이 법인은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사업을 진행한다. 1. 대학출판문화의 위상 제고와 발전을 위한 사업 2. 대학출판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연수 사업 3. 학술 및 교양 도서 출판·보급에 관한 사업 4. 학술 및 교양 디지털콘텐츠 생산․보급에 관한 사업 5. 국내외 출판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교류 사업 6. 출판문화의 발전을 위한 자료 및 도서 발간 사업 7. 회원의 공동복리 증진 및 친목 도모에 관한 사업 8. 기타 본 법인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업 제2장 회 원 제5조 (회원의 자격) ① 법인의 회원은 정관 제2조의 목적과 설립취지에 찬동하여 소정의 가입 절차를 마친 대학의 출판담당 부서(기관)의 장, 또는 소속직원으로 한다. ② 법인의 회원이 되고자 하는 자(기관 또는 부서)는 소정의 회원 가입 신고서를 법인에 제출 하여야 한다. ③ 회원 가입시 대표자 1인을 지정해야 하며, 그 대표자가 본 법인 활동의 주체가 된다. ④ 회원의 가입회비 등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에서 별도의 규정으로 정한다. 제6조 (회원의 권리) ① 회원은 법인 임원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가지며 총회에 참석하여 법인의 활동에 관한 의견을 제안하고 의결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② 회원은 법인의 자료 및 출판물을 제공 받으며, 법인 운영에 관한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제7조 (회원의 의무) 회원은 다음 각 호의 의무를 진다.
  • 76. - 74 - 1. 정관 및 제 규정의 준수 2. 총회 및 이사회의 결의사항 이행 3. 입회비와 회비 납부 4. 회원교 대표자, 소재지 등에 변경사항이 발생할 때에는 발생한 날로부터 7일 이내에 법인에 통보 제8조 (회원의 상벌과 탈퇴) ① 협회의 회원으로서 협회의 발전에 기여한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 의 승인을 거쳐 포상할 수 있다 ② 회원이 법인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목적 수행에 지장을 초래한 경우 또는 1년 이상 법인 에 대한 의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경고 또는 총회의 의결을 거쳐 제명할 수 있다. ③ 회원은 본인의 의사에 따라 회원탈퇴서를 제출함으로써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다. ④ 탈퇴 및 제명으로 인하여 회원의 자격을 상실한 경우에는 기납부한 회비 등에 관한 권리를 요구할 수 없다. 제3장 임 원 제9조 (임원의 종류 및 구성) 법인에 다음 각 호의 임원을 둔다. 1. 회장 1인 2. 부회장 3인 이내 3. 상임이사 1인 4. 이사 20인 이내(회장, 부회장, 상임이사 포함) 5. 감사 2인 이내 제10조 (임원의 선임) ① 법인의 임원은 총회에서 선출하며, 선출 방법은 별도 규칙으로 정한다. ② 임기가 만료된 임원은 임기만료 2개월 이내에 후임자를 선출하여야 하며, 임원이 궐위된 경 우에는 궐위된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후임자를 선출하여야 한다. 다만, 임원의 임기 중 회원교 의 보직변경으로 인하여 회원대표자가 교체된 경우 신임대표자가 그 직을 승계하고 임기는 전임 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③ 임원 선출이 있을 때에는 임원선출이 있는 날로부터 3주 이내에 관할 법원에 등기를 마친 후 주무관청에 통보하여야 한다. 제11조 (임원의 해임) 임원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총회의 의결을 거쳐 해임 할 수 있다. 1. 본 법인의 목적에 위배되는 행위 2. 임원간의 분쟁, 회계부정, 또는 현저한 부당행위 3. 본 법인의 업무를 방해하는 행위 제12조 (임원의 결격사유) 1.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2. 파산자로서 복권이 되지 아니한 자 3. 법원의 판결 또는 법률에 의하여 자격이 상실 또는 정지된 자 4. 금고 이상의 실형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이 종료(집행이 종료된 것으로 보는 경우를 포함한
  • 77. - 75 - 다.)되거나 집행이 면제된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제13조 (상임이사) 본 법인의 목적사업을 전담하게 하기 위하여 상임이사를 둘 수 있다. 제14조 (임원의 임기) ① 이사의 임기는 2년, 감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다만 보선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 임기로 하되, 출판담당 부서(기관)의 보직 발령으로 장이 변경 된 경우에는 후임자가 그 직을 승계한 것으로 본다. ② 임원은 임기만료 후라도 후임자가 취임할 때까지는 임원으로 직무를 수행한다. 제15조 (임원의 직무) ① 회장은 법인을 대표하고 법인의 업무를 통할하며, 총회 및 이사회의 의 장이 된다. ② 부회장은 회장을 보좌하고 회장 궐위 시 그 직무를 대행한다. ③ 상임이사는 상근하며 회장의 지시를 받아 법인의 업무를 총괄한다. ④ 이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법인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며, 이사회 또는 회장으로 부터 위임받은 사항을 처리한다. ⑤ 감사는 각 호의 직무를 수행한다. 1. 법인의 재산상황을 감사하는 일 2. 총회 및 이사회의 운영과 그 업무에 관한 사항을 감사하는 일 3. 제1호 및 제2호의 감사결과 부정 또는 부당한 점이 있음을 발견한 때에는 이사회 또는 총 회에 그 사실의 보고와 시정을 요구하고 주무관청에게 보고하는 일 4. 제3호의 시정요구 및 보고를 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총회 또는 이사회의 소집을 요구 하는 일 5. 본회의 재산상황과 업무에 관하여 총회 및 이사회 또는 회장에게 의견을 진술하는 일 제4장 총 회 제16조 (총회의 구성) 총회는 본 법인의 최고의결기관이며 회원으로 구성한다. 제17조 (총회의 구분과 소집) ①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구분하며 회장이 소집한다. ② 정기총회는 매 회계연도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개최하되,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그 시기 를 조정할 수 있다. ③ 총회 소집은 회장이 회의의 안건과 개최일시 및 장소 등을 명기하여 회의 개시 7일 전까지 문서로 각 회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18조 (총회소집의 특례) ① 회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소집요구가 있을 때에 는 그 소집요구일부터 20일 이내에 총회를 소집하여야 한다. 1. 재적이사 과반수가 회의의 목적을 제시하여 소집을 요구한 때 2. 제15조 제5항 제3호의 규정에 따라 감사가 소집을 요구한 때 3. 재적회원 3분의 1이상이 회의의 목적을 제시하여 소집을 요구한 때 ② 총회 소집권자가 궐위되거나 이를 기피함으로써 7일 이상 총회소집이 불가능한 때에는 재 적이사 과반수 또는 재적회원 3분의 1이상의 찬성으로 총회를 소집할 수 있다. ③ 제2항의 규정에 따른 총회는 출석이사 중 최연장자의 사회 아래 그 의장을 선출한다. 제19조 (총회의 의결사항) 총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 78. - 76 - 1. 임원의 선출 및 해임에 관한 사항 2. 본 법인의 해산 및 정관 변경에 관한 사항 3. 기본재산의 취득 및 처분에 관한 사항 4. 예산 및 결산의 승인 5. 사업계획의 승인 6. 기타 법인운영에 관한 중요 사항 제20조 (의결정족수) 총회는 재적회원 과반의 출석으로 개의하며, 출석회원 과반의 찬성으로 의 결한다. 가부동수일 때는 의장이 결정하며, 회의 개시 전까지 문서로 의장에게 의결권을 위임하 는 행위는 유효하다. 제21조 (의결제척 사유) 회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 의결에 참여하지 못한다. 1. 임원의 선출 및 해임에 있어 자신에 관한 사항을 의결할 때 2. 금전 및 재산의 수수 또는 소송 등에 관련되는 사항으로서 자신과 본 법인의 이해가 상반될 때 제5장 이사회 제22조 (이사회의 구성) ① 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및 이사로 구성하며, 이사회의 회장, 부회장은 법인의 회장, 부회장을 당연겸직으로 한다. ② 이사회는 회장이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제23조 (이사회의 소집) ①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구분한다. ② 정기이사회는 연1회 개최하고 임시이사회는 감사 또는 이사의 3분의 1이상의 요청이 있거 나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 소집한다. ③ 회장은 이사회를 소집하고자 할 때에는 회의개최 7일 전까지 이사 및 감사에게 회의의 목 적과 안건, 개최일시 및 장소를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긴급하다고 인정되는 정당한 사유가 있 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24조 (이사회의 의결사항)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1. 법인 운영에 관한 기본 사항 2. 실무위원회에서 제안된 사항 3. 정관의 변경에 관한 사항 4. 예산, 결산, 사업계획에 관한 사항 5. 회원의 입회 및 회비에 관한 사항 6. 지부 설치에 관한 사항 7. 총회에서 위임 받은 사항 8. 정관의 규정에 따라 그 권한에 속하는 사항 9. 기타 본 법인의 운영상 중요하다고 회장이 부의하는 사항 제25조 (의결정족수)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이사 과반수의 찬성으 로 의결한다. 가부동수일 때는 의장이 결정한다. 제26조 (서면결의) ①회장은 이사회에 부의할 사항 중 긴급을 요하는 사항 또는 경미한 사항에
  • 79. - 77 - 관하여는 이를 서면을 통하여 의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회장은 그 결과를 차기 이사회에 보고 하여야 한다. ②제1항의 서면결의 사항에 대하여 재적이사 과반수가 이사회에 부칠 것을 요구하는 때에는 회장은 이에 따라야 한다. 제27조 (구성원 외의 참석) 실무위원장은 이사회에 출석하여 실무위원회에서 의결된 사항을 제안 설명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해당 분과장도 참석할 수 있다. 제6장 실무위원회 제28조 (구성원 자격) 실무위원회 구성원의 자격은 각 회원교 대학 출판업무 담당 부서 소속 직 원으로 한다. 제29조 (분과) 실무위원회에는 출판, 마케팅, 교육, 홍보, 국제의 5개 분과를 두되 필요시 이사회 의 의결을 거쳐 추가로 분과를 신설할 수 있다. 제30조 (구성) 실무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① 실무위원장 1인 ② 자문위원 4인 이내 ③ 각 분과장 1인 ④ 각 분과별 간사 1인과 위원 5인 이내 제31조 (선임 및 임기) ① 실무위원장과 각 분과장은 실무위원회에서 참석인원 과반수의 찬성으 로 선출한다. ② 자문위원은 실무위원장이 임명한다. ③ 각 분과의 간사 및 위원은 분과장이 추천하여 실무위원장이 임명한다. ④ 실무위원회 구성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제32조 (기능) 실무위원회는 법인 발전을 위한 운영과 목적사업 추진의 기획안을 창출하고 협의 하여 이사회에 상정하고,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시행한다. ① 실무위원장은 실무위원회 의장이 되며, 실무위원회를 통할한다. ② 자문위원은 실무위원장의 자문에 응한다. ③ 출판분과장은 법인의 출판 관련 업무를 기획하고 집행한다. 마케팅분과장은 회원교의 마케 팅활동을 기획, 집행한다. 교육분과장은 법인의 교육 업무를 기획, 집행한다. 홍보분과장은 법인 의 홍보 업무를 기획, 집행한다. 국제분과장은 법인의 국제 협력사업을 기획, 집행한다. ④ 간사는 분과장을 보좌하며, 분과장 궐위시 그 직을 승계한다. ⑤ 실무위원회 위원은 분과장의 지시에 의하여 실무를 집행한다. 제33조 (회의) 실무위원회는 연 2회 이상 개최함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의하여 수시로 개최할 수 있다. 제34조 (의결정족수) 실무위원회는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가부동수일 때는 실무 위원장이 결정한다. 제35조 (서면결의) ①실무위원장은 실무집행의 긴급을 요하는 사항에 관하여는 이를 서면을 통하 여 의견을 취합하고 이를 이사회에 제출할 수 있다.
  • 80. - 78 - 제7장 사무국 제36조 (사무국) ① 본 법인 제반업무를 지속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사무국을 둔다. ② 사무국에 사무국장 1인과 필요한 직원 약간 명을 둘 수 있다. ③ 사무국장과 직원은 회장이 임명, 또는 해임한다. ④ 사무국장은 당연직 상임이사가 되며, 회장의 명을 받아 사무국의 업무를 통할한다. ⑤ 사무국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별도로 정한다. 제8장 지역지부 제37조(지역지부) 본 법인의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 본 법인의 지부를 둘 수 있다. ① 서울․경인지부(소재지를 서울에 둔다) ② 영남지부(소재지를 영남에 둔다) ③ 충청지부(소재지를 충청에 둔다) 제38조 (조직 및 직원) 지부 기구의 구성과 활동, 운영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별 도로 정한다. 제9장 재산과 회계 제39조 (재산의 구분) ① 본 법인의 재산은 기본재산과 운영재산으로 구분한다. ② 기본재산은 법인의 목적사업 수행에 관계되는 부동산 또는 동산으로서 법인 설립시 출연된 재산과 이사회에서 기본재산으로 정한 재산으로 하며, 그 목록은 붙임과 같다 ③ 운영재산은 기본재산 이외의 재산으로 한다. 제40조 (재산의 관리) ① 법인의 기본재산을 매도, 증여, 임대, 교환하거나 담보제공 또는 용도 등을 변경하고자 할 때 또는 의무의 부담이나 권리를 포기하고자 할 때는 이사회와 총회의 의결 을 거쳐야 한다. ② 기본재산의 변경에 관하여는 정관변경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제41조 (재원) 법인의 유지 및 운영에 필요한 경비의 재원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회비 2. 각종 기부금 3. 기본재산으로부터 발생하는 과실금 4. 각종 행사의 분담금 및 기타 수입 제42조 (회계연도) ① 본 법인의 회계연도는 3월 1일부터 다음해 2월 말일까지로 한다. 제43조 (예산 편성 및 결산) ①법인은 회계연도 1개월 전에 사업계획 및 예산안을 이사회의 의결 을 거쳐 총회의 승인을 얻는다. ②법인은 사업실적 및 결산내용을 당해 회계연도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총회의 승인을 얻는다. 제44조(회계감사) 감사는 회계감사를 년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 81. - 79 - 제45조(임원의 보수) 임원에 대하여는 보수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다만, 업무수행에 필요한 실비 는 지급할 수 있다. 제46조(차입금) 법인이 예산외의 의무부담이나 자금의 차입을 하고자 할 때에는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제10장 보칙 제47조 (법인의 해산) 본 법인을 해산하고자 할 때는 이사회와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며, 각각 재적 구성원 과반수 출석과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하여 해산하고, 그 해산에 관해 문화 체육관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제48조(정관의 변경) 본 법인의 정관을 개정하고자 할 때는 이사회와 총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 며, 각각 재적 구성원 과반수 출석과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하며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의 승인을 받 는다. 제49조 (운영규칙) 본 법인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별도규칙으로 정한다. 제50조(준용규정) 이 정관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민법 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과 문화체육관 광부 및 문화재청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과 감독에 관한 규칙을 준용한다. 제51조(규칙제정) 이 정관이 정한 것 외에 본회의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규칙으로 정한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은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경과조치) 이 정관 시행 당시 법인설립을 위하여 발기인 등이 행한 행위는 이 정관에 따라 행한 것으로 본다. 제3조(설립자의 기명날인) 본회를 설립하기 위하여 이 정관을 작성하고 다음과 같이 설립자 전원 이 기명날인한다. 설립자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장 권원순 ( 인 ) 설립자 영남대학교출판부장 허창덕 ( 인 ) 설립자 전남대학교출판부장 양채열 ( 인 ) 설립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장 김종서 ( 인 ) 설립자 고려대학교출판부장 유석훈 ( 인 ) 설립자 동국대학교출판부장 김윤길 ( 인 ) 설립자 한양대학교출판부장 엄익상 ( 인 )
  • 82. - 80 - 가톨릭대학교 연세대학교 강남대학교 울산대학교 강원대학교 영남대학교 건국대학교 위덕대학교 경남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북대학교 인하대학교 경상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경성대학교 전남대학교 경희대학교 전북대학교 계명대학교 전주대학교 고려대학교 제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조선대학교 국민대학교 중앙대학교 단국대학교 창원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청주대학교 대구대학교 총신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충남대학교 대진대학교 충북대학교 동국대학교 침례신학대학교 동아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명지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목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산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한남대학교 삼육대학교 한림대학교 서강대학교 한밭대학교 서울대학교 한성대학교 선문대학교 한신대학교 성결대학교 한양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호남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호원대학교 세종대학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숭실대학교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한국대학출판협회 회원(교) 명단
  • 83. - 81 - (사)한국대학출판협회 이사교 명단 1.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 권원순(이사장교) 2. 건국대학교출판부 이재철 3. 경남대학교언론출판국 정일근 4. 경북대학교출판부 우무상 5. 계명대학교출판부 서경석 6. 고려대학교출판부 유석훈 7. 단국대학교출판부 이재석 8. 대구대학교언론출판문화원 류혜경 9. 동국대학교출판부 김관교 10. 부산대학교출판부 권경근 11.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권석만 12. 성균관대학교출판부 박광민 13.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장창연 14. 세종대학교출판부 15. 숭실대학교출판국 박영철 16.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 문일 17. 영남대학교출판부 김영수(부이사장교) 18. 울산대학교출판부 박삼수 19. 전남대학교출판부 김시원(부이사장교) 20. 전주대학교출판부 김홍건 21.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민경택 22. 충북대학교출판부 이종민 23.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4. 한양대학교출판부 박찬승 25.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김훈순(감사교)
  • 84. - 82 - (사)한국대학출판협회 등기이사교 명단 1. 한국외국어대학교지식출판원 (이사장교) 2. 고려대학교출판부(이사교) 3. 단국대학교출판부(이사교) 4. 동국대학교출판부(이사교) 5.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이사교) 6. 연세대학교출판문화원(이사교) 7. 영남대학교출판부(부회장교)(이사교) 8. 전남대학교출판부(부회장교)(이사교) 9.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이사교) 10. 한양대학교출판부(이사교) 11.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상임이사교) 12.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감사교)
  • 85. - 83 - (사)한국대학출판협회 실무위원회 명단 1. 실무위원장: 이종백(영남대) 2. 자문위원 김정규(한국방송대), 김 철(고려대), 곽진희(서울대), 이혜지(이화여대) 3. 출판분과 가) 분과장: 김용훈(경북대) 나) 간 사: 현상철(성균관대) 다) 위 원: 심종섭(동국대), 전민규(가톨릭대), 장웅수(한국방송대) 4. 마케팅분과 가) 분과장: 이 원(서울대) 나) 간 사: 조남신(이화여대) 다) 위 원: 김종길(경상대), 이일재(고려대), 전호선(한국방송대) 5. 홍보분과 가) 분과장: 김미숙(경남대) 나) 간 사: 이정훈(침례대) 다) 위 원: 박민규(서울대), 김종열(호남대) 6. 교육분과 가) 분과장: 성두현(단국대) 나) 간 사: 양광준(충남대) 다) 위 원: 기흥서(선문대), 양주성(한양대) 7. 국제분과 가) 분과장: 최상근(계명대) 나) 간 사: 박혜원(한국방송대) 다) 위 원: 송덕호(전북대), 이혜숙(한신대), 김성수(연세대)
  • 86. - 84 - 서평집편찬위원회 명단 1. 편집위원장: 김용훈(경북대출판부) 2. 편집위원 김성수(연세대출판문화원), 김종길(경상대출판부), 송덕호(전북대출판부), 장웅수(방송통신대출판문화원), 심종섭(동국대출판부), 양광준(충남대출판문화원), 장준이(경북대출판부), 전민규(가톨릭대출판부), 현상철(성균관대출판부) 3. 자문위원 곽진희(서울대출판문화원), 김정규(방송통신대출판문화원), 이종백(영남대출판부), 이혜지(이화여대출판부)
  • 87.
  • 88.
  • 89.
  • 90.
  • 91.
  • 92. 감동을 만드는 원스톱 서비스 ONE STOP PROCESS ㈜명진씨앤피는 기획에서부터 디자인까지 모든 크레에이티브와 CTP 출력에서 인쇄, 제본, 접지까지 인쇄에 관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획실·디자인실 | CTP출력 | 대국전5색 | 2절 4색 | 대국전 단색 양면인쇄 | 중철제본 | 접지·오시 (주)명진씨앤피 TEL. 02-2164-3000
  • 93. www.neoprintech.com 고객의 성공적인 미래를 위한 새롭고 창의적인 가치 창출! KBA RAPIDA 105(UV 7색기)도입 •파주본사/제1공장 경기도 파주시 재두루미길 110 (신촌동) 파주출판문화도시 (2단지) Tel 02)718-3111 Fax 02)704-3113 •구미공장/제2공장 경북 칠곡군 석적읍 중리 373-11 (구미3공단 내) Tel 054)977-7321 Fax 054)977-7325 네오프린텍(주)는 2013년 최첨단 UV 7색기 도입과 가공시설로 패키지(싸바리), 상업인쇄 생산에 기술과 정성을 다하고 있습니다. 네오프린텍(주)는 기획/개발 /디자인부터 인쇄 / 납품까지 ONE-STOP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CTP 출력 ▶ 무선제본 중철제본인쇄 5색기인쇄 4색기 ▶ 납품 ▶ 상업인쇄 CTP 출력 ▶ 인쇄 (UV 7색기) ▶ 톰슨 ▶ 싸바리기(상) 납품검사/포장 ▶ 창문접착기 ▶ 8면 접착기싸바리기(하) 패키지 (싸바리)
  • 94. 사단법인 한국대학출판협회 [사무국] 우 130-791 서울시 동대문구 이문로 107 TEL. (02) 2173-2492 FAX. (02) 2173-3363 http://www.aku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