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주변 곳곳의 문제를 기회로 디자인하여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갑니다.
어라운디는 세상의 산재되어져 있는 ‘사회 문제’를 인간 중심 사고를 통해
이해관계자 모두가 함께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혁신 디자인 기업입니다.
서로 이해하고 공감하며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 접근을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갑니다.
2014. 06
포인나인 기업 설립
2016. 02
어라운디 사명 변경
2016
소셜벤처 경연대회
솔루션분야 최우수상
2014
사회적기업육성사업팀 선정
2016. 05
경기콘텐츠진흥원
지역혁신 프로젝트 진행
서울시, 경기도, 경기 콘텐츠 진흥원, 창업 진흥원, 사회적기업 진흥원, 열매나눔재단, 성균관대, 국민대 등
어라운디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일을 합니다.
어라운디 기본 프로세스 프레임 워크는 아래의 표준을 따름니다.
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본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기업, 지역
사회간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어라운디는 워
크숍, 컨설팅 등을 통해 지자체의 협력 사업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문제 해결
어라운디는디자인적 사고 과정을 통해 문제
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 접근 방법을 통
해 문제를 해결해나갑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도출된 솔루션을 현장
에 적용하고 확산하여 문제를 기회로 활용합
니다.
솔루션 적용 및 확산
WORK STRATEGY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어 라 운 디 스 쿨 어 라 운 디 액 션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 접
근을 통해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학습하
게 됩니다.
다한학제 기반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협력 및 실제 현장
피드백 기반의 빠른 실행과 개선 과정을 통해 솔루션을 구
체화 합니다.
문제해결 과정 교육 문제해결 현장 프로젝트
어라운디는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과정인 어라운디 스쿨과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프로젝트인 어라운디 액션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어라운디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일을 합니다.
어라운디 기본 프로세스 프레임 워크는 아래의 표준을 따름니다.
SMALL GOAL
ESSENTAIL 에센셜 과정
MEDIUM GOAL
CHALLENGE 챌린지 과정
BIG GOAL
PROJECT 액션프로젝트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비즈니스 모델링
・최소제품 만들기
・실험(실행) 하기
・구매과정 파악하기
・가치제안 상상하기
・꼴라쥬
・서비스 플로우
・스토리 보드
・역할 놀이
・서비스 청사진
・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
・ 객관적 자아 인식을 위한 메타 인지
・ 일상의 창의성을 위한 습관 설계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
・ 성장하는 환경을 위한 학습 조직
・ 사례 분석을 통한 추적 학습
・ 협력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변화를 위한 환경 설계
WARMING-UP INSPIRATION EXPERIMENTATIONIDEATION
에센셜 과정
ESSENTAIL
초/중고등학생
- 선생님,학생, 부모 등
일반인/대학생
- 학생, 교수, 교직원 등
지자체
- 자치단체, 중간조직,
민간조직 등
기업
- 각 부서간, 임직원, 사원 등
챌린지 과정
CHALLENGE
사업 영역 과정 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
어라운디 스쿨
(3~20H 과정)
(1~3M 과정)
어라운디 액션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 적용 및 확산
액션 프로젝트
(6~12M 과정)
IMPLEMENTATION
・아이디어 발산
・아이디어 수렴
・아이디어 더하기
・아이디어 선별
・아이디어 개선
・유사서비스 분석
・아이디어 구조화
・아이디어 스케치
・ 사진으로 기록하기
・ 시간별로 관찰하기
・ 섀도잉
・ 인터뷰 하기
・ 심층 인터뷰
・ 사용자 모델 설정
・ 공감지도 그리기
・ 대상에게 이입하기
・ 사용자 유형 분석하기
・ 사용자 여정지도 그리기
・ 이해관계 파악하기(인과 관계)
・ 도전과제 설정하기
・ 기획 포착하기
・ 리서치
・ 제약사항 파악하기
전력적 사고를 통한 환경 분석
넘어 볼수 있게하는 관찰 기법
잠재 욕구를 끌어내는 인터뷰 기법
유저(사용자) 공감
문제 (재)정의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어라운디 스쿨에서는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 접근을 통해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학습하게 됩니다.
3-20시간 과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소양과
이론 실습을 학습합니다. 문제 발견, 관찰 기법 등을 배우며
문제해결과정의 모든 것을 압축적으로 집합한 프로그램입니다.
어라운디 스쿨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통해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도우며, 개개인이 속한 사회를 변화시키는 서비스
및 제품을 개발합니다. 또한, 디자인적 사고를 기반으로 서로 공감하고 이해하여 틀에 박힌 문제 해결 방식을 극복하게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창의적이고 혁신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CHALLENGE 1-3 monthESSENTIAL 3-20 hour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처음 접근하는 문제 해결 과정
ESSENTAIL
혁신을 이끌어내는 현장 기반의 문제해결 과정
CHALLENGE
1-3달 과정으로 실제 현장 기반의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솔루
션을 도출하게 됩니다. 챌린지 과정을 통해 도출 되어진 솔루
션을 더욱 구체화하고 실현시키기 위하여 aroun.D ACTION
단계로 넘어가게됩니다.
원데이 워크숍 | 1박2일 캠프 | 단기 교육과정 (4회 이하) 프로젝트 | 중장기 교육과정 (8주 이상)
Customized workshop & education
맞춤형 서비스는 어라운디 스쿨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 외 교육 대상, 주제, 상황에 따라 맞춤식으로 진행되는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다년간의 워크숍 및 교육 강의 경험을 기반으로 대상에 맞는 최적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대상을 구분하여 효과적인 성과를 위해 대상을
구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디자인
적 사고 학습을 통해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실
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지자체
주민 참여를 통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 프로젝트
지역개발 비지니스 모델 발굴
지역 사회 활성화
기업
임직원 역량 강화
마케팅 전략 수립
신제품 서비스 개발
일반인/대학생
비전 수립 워크숍
문제해결 역량 강화 교육
창업 관련 비즈니스 모델 개발
초/중고등학생
비전 수립 워크숍
문제해결 역량 강화 교육
학교/지역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
문제정의/도전과제 설정
어라운디 과정 - 1박2일 캠프ESSENTIAL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
문제점을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합니다. 마
인드맵 ,스토리보드, 컨셉 스케치등 툴킷 프로세
스의 흐름에 따라 아이디어를 발산해보며 다양
한 방법으로 시현해볼 수 있습니다.
진행한 프로젝트를 사람들과 공유하는 과정입니
다. 제작한 제품 및 서비스를 타참가자들에게 설
명합니다. 반응을 살피고, 질의 응답을 통해 서로
피드백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도출한 아이디어를 문제상황에서 사용하면 어
떠할 지 가능성을 파악하고, 미처 알지 못했던
개선점을 발견합니다. 제한된 시간과 재료들로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여,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
게 표현해보고 패드백을 받아봅니다.
적합한 사용자를 선정하여 대상과 관련하여 겪
은 다양한 불편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인지하고,
발견하는 과정입니다. 퍼소나, 고객여정맵, 인터
뷰 등의 기법으로 니즈를 파악하여 어떤 불편을
지니고 있는지 발견합니다.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나 자신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참가자들이 자신만의 재능과 가능성을 펼칠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사회에 의미있는 가치를 기여할 수 있
도록 유도합니다.
아이디어 발산 및 시각화 고객 피드백 및 적용
어라운디 과정 - 챌린지 워크숍CHALLENGE
문제점을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합니
다. 마인드맵, 스토리보드, 컨셉 스케치
등 툴킷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아이디
어를 발산해보며 다양한 방법으로 시현해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문제를 발견하는 과정
입니다. 툴킷/시트를 활용하여 관찰, 조
사, 토론을 통해 어떻게 하면 문제를 해
결할 수 있을지 생각하며 도전과제를 설
정하고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흐름을 기
획합니다.
도출한 아이디어를 실제 문제상황에서
사용 하면서 미처 알지 못했던 개선점을
발견합니다.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여, 사
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여 패드백을
받아본 후, 아이디어 실체화를 위한 세부
계획을 수립합니다.
프로젝트를 통해 도출된 아이디어를 바탕
으로 최소 제품을 제작하게됩니다. 최소
제품을 직접 만들어보고 실질적인 대상의
반응 확인을 통해 문제와 개선점을 파악
하게됩니다. 반복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를 도출
합니다.
나 자신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는 과정
을 통해 참가자들이 자신만의 재능과
가능성을 펼칠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사회
에 의미있는 가치를 기여할 수 있도록 유
도합니다.
관찰과 공감 /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변화를 받아들일 준비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아이디어 발산 및 시각화 고객 피드백 및 적용 최소 제품 만들기 및 실행
IMPLEMENTATION
2014.
신향시 환경문제 해결 프로젝트
직장인을 위한 비전워크숍
청소년을 위한 비전워크숍
프놈펜 왕립대학교 지역개발 프로젝트
세계 평화의날 적정기술 워크숍
Space Odyssey 창업가를 위한 워크숍
2015.
창작가를 위한 3D Printing 워크숍
예비창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워크숍
장위동 도시재생 디자인씽킹 워크숍
2016.
강원도 사회적경제인재육성센터 '문제를
다시보고 방법을 혁신하는 사고법’
디자인해커톤 '스타트업을 디자인하라’
묵동 주민의제발굴워크숍
청소년기에 자신에 대한 고찰과 인생의 방향을 가늠하는 미래에 대한
관심을 배양하기 위한 워크숍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미래의 버킷
리스트를 작성하고, 나의 과거를 돌아 보며 ‘나’ 라는 존재에 대해 디자
인적 사고로 탐구하는 워크숍 진행.
청소년을 위한 비전워크숍
| 초/중고등생 |
디자인적 사고과정을 통해 일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 방안을 시각
화 해보는 워크숍으로 청소년다운 기발한 문제 인식과 솔루션이 특징.
안양 청소년 교육 ‘창업을 위한 첫 걸음’
석관동 중고등 학생들과 함께한 석과동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한 아이디어 발굴 워크숍으로, 실제 자신들이 살면서 겪는 문제에 대
한 아이디어를 도출.
석관 마을학교 청소년 워크숍
| 대학생 및 일반인 | | 지자체 및 기업 |
캄보디아 왕립학교를 대상으로 한국인 / 캄보디아 학생들이 모여
캠퍼스 내 다양한 공간들의 잠재력을 찾고 여러 주제로 실행계획
을 도출하는 과정을 진행.
프놈펜 대학교 워크숍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대진대학교 내의 문제를 해결하는 워크숍
으로 8명의 조원들로 나누어, 서로 겪은 다양한 문제를 공감하
며 해결점을 도출.
대진대학교 워크숍
세계 200개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하여, 자신이 겪은 문제를
바탕으로 세계 각국의 학생들과 함께 해결하는 디자인적 사고
워크숍 진행.
글로벌리더십 YES 캠프
강원도 지역자활 단체의 문제점과 지역 커뮤니티의 갈등을 해결
하기 위해 진행된 워크숍으로, 지역의 자활단체 사회 복지사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
지역자활 워크숍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 과정으로, 디지엔
스 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용자를 분석하여 홍보 프
로모션 아이디어를 도출.
디지엔스 기업 마케팅 전략 수립 워크숍
중랑구 묵2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마을의제발굴을 위한 워크숍 진
행. 주민들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찾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
는 의제 발굴 워크숍 진행.
묵동 지역 의제 발굴 워크숍
어라운디 액션에서는 다학제 기반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협력 및 실제 현장 피드백 기반의
빠른 실행과 개선 과정을 통해 솔루션을 구체화합니다.
현장 기반의 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 구체화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이해 관계자 워크숍을 통해 수요자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하게 되며, 문제 해결을 위한 과
정이 시작됩니다.
전문가 컨설팅
주제, 분야에 맞는 전문가 컨설팅 지원을 통해
전문성 및 완성도 높은 솔루션을 도출합니다.
어라운디 스쿨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역량을 학습하고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 멘토 매칭을 통
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이해 관계자 워크숍을 통해 수요자의 필요와 욕구를 기반으로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며 체계화 시킵니다.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최소 3개월 이상 진행 되는 프로젝트로 어라운디 스쿨의
챌린지 과정을 통해 도츨 되어진 솔루션을 구체화 시키고
실현시키는 단계입니다.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지역 주민들,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찾
고 해결해 나감으로써 지역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며 사람과 공간을
잇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교육생들이 주민들의 상황에 이입(Immerse)하
여 지역 사회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주민들과 함께 지역 사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
니다.
교육과정을 통해 도출된 솔루션의 완성도 및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들이 함께 투입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가 구체
화 합니다.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IMPLEMENTATION
현장 기반의 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 구체화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전문가 컨설팅
어라운디 액션 과정
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지역혁신에 관심이 있거나 실제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경기 지역 내 스타트업 및 예비 창업자 대상으로 지역혁신 디
자인 프로젝트 리디액 진행. 본 교육과정은 강의, 워크숍, 현장
리서치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통해 지역 혁신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 시키며, 멘토/전문가 지원을 통해 실제 지역사회
문제 해결.
지역혁신디자인프로젝트 '리디액션’
2016.05 - 2016.12
재개발 사업이 취소되면서 낙후된 지역이 많은 장위동에서 지
역민이 뽑은 해결하고 싶은 놀이, 방법, 쉼터, 쓰레기 등 총 4
가지 문제를 지역주민들과 교육생들이 함께 해결. 나아가 장위
동 도시재생 사업의 기반 마련.
SCL 커뮤니티디자이너 양성과정
2015.07 ~ 2015.12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관심 있는 경력단절 여성, 도시 계획, 건
측 등 관련 분야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 진행. 디
자인적 사고를 통해 지역사회를 공감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우며, 지역 조사방법론 학습 등 도시 사회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
놀이 문제를 해결.
SBA 신직업군 육성사업
2016.07 ~ 2016.12
어라운디 스토리에서는 실제 어라운디의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을 도모하고 있는 우리 주변 곳곳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다 .
1. 낙후된 도심의 어두운 골목에 설치하여 골목골목
을 지나가는 행인들의 안전을 도모합니다.
2. 확창·축소가 가능한 디자인으로 빛이 직사광선으
로 뻗어나가는 랜턴 및 가로등의 역할과 빛이 골고
루 펴지는 램프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습니다.
3. DIY시스템과 매뉴얼의 개발로 제품의 이해를 쉽게
도움과 동시에 제3세계의 새로운 기부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전기가 없는 극빈층 지역의 현지인들의 삶을 개선
시킬 수 있습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제작한 제품으로, 빛이 필요한 지역주민의 행태를 고려한 디자인과, 구매자·수혜자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제3세계의 새로운 기부 모델을
제시합니다. 디자인적 사고란 단지 외형을 만드는 미학적 접근이 아니라 인간을 공감하고 그들의 잠재 욕구를 발굴한 뒤,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통합적 접근 방식입니다.
‘사람’에 대한 이해, 즉 공감으로부터 삶의 모든 부분을 변화시키는 디자인적 사고는 ‘적정기술’ 과 닮아있습니다. 그 동안의 공급자 중심적이었던 적정 기술제품들과는 달리
‘반디반디’는 수요자 중심, 인간 중심의 제품입니다.
저층 노후 주거지에는 고질적으로 쓰레기, 방범/안전, 주차문제 등과 같은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아파트, 오피스텔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지지 않는 문제들입니다. 저층 노후
주거지 에서 이러한 문제들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과는 달리 ‘관리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어라
운디는 주민, 공공, 기업이 협업하는 ‘지역사회 관리인’인 ‘우리동네히어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저소득층 주민, 시니어 은퇴자, 경력 단절 여성을 고용하여 지역에 필요한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들은 지역 주민들과의 밀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역의 수요를 파악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파악한 수요를 바탕으로 주민 주도의 솔루션을
도출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합니다.
주식회사 어라운디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286 아인빌딩 9층 aroundstory@gmail.com 2017.06.www.aroundlab.kr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
[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
[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
thecirclefoundation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Modu guide to major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Modu guide to major[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Modu guide to major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Modu guide to major
thecirclefoundation
 
정부3.0_국민디자인단_청소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정부3.0_국민디자인단_청소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정부3.0_국민디자인단_청소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정부3.0_국민디자인단_청소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Tangino Group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thecirclefoundation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thecirclefoundation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Jeongtae Kim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양정여고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양정여고[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양정여고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양정여고
thecirclefoundation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Ji Lee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
thecirclefoundation
 
2016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신입생 안내
2016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신입생 안내2016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신입생 안내
2016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신입생 안내
Sanghyeok Park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이리딩(eReading) 경험을 위한 디자인씽킹
이리딩(eReading) 경험을 위한 디자인씽킹이리딩(eReading) 경험을 위한 디자인씽킹
이리딩(eReading) 경험을 위한 디자인씽킹
Dongwhan Kim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Jeongtae Kim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for Social Entrepreneurs)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for Social Entrepreneurs)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for Social Entrepreneurs)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for Social Entrepreneurs)
Jeongtae Kim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2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2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2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2
Ji Lee
 
디자인씽킹의 이해(Design Thinking)
디자인씽킹의 이해(Design Thinking)디자인씽킹의 이해(Design Thinking)
디자인씽킹의 이해(Design Thinking)
Matthew Lee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_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디자인씽킹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디자인씽킹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디자인씽킹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디자인씽킹
MYSC_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
thecirclefoundation
 

What's hot (19)

[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
[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
[동그라미재단] 하면서 배우는 두런두런 프로젝트(Do-learn project) 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Modu guide to major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Modu guide to major[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Modu guide to major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Modu guide to major
 
정부3.0_국민디자인단_청소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정부3.0_국민디자인단_청소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정부3.0_국민디자인단_청소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정부3.0_국민디자인단_청소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어썸스쿨 소개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양정여고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양정여고[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양정여고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결과공유회 발표자료_양정여고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관악청소년자활지원관 - 직업체험 드림터 매뉴얼
 
2016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신입생 안내
2016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신입생 안내2016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신입생 안내
2016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신입생 안내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 한글 번역본 - IDEO
 
이리딩(eReading) 경험을 위한 디자인씽킹
이리딩(eReading) 경험을 위한 디자인씽킹이리딩(eReading) 경험을 위한 디자인씽킹
이리딩(eReading) 경험을 위한 디자인씽킹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for Social Entrepreneurs)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for Social Entrepreneurs)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for Social Entrepreneurs)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for Social Entrepreneurs)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2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2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2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2
 
디자인씽킹의 이해(Design Thinking)
디자인씽킹의 이해(Design Thinking)디자인씽킹의 이해(Design Thinking)
디자인씽킹의 이해(Design Thinking)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디자인씽킹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디자인씽킹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디자인씽킹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디자인씽킹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
[동그라미재단] ㄱ찾기 - 적정기술미래포럼 "인간중심문제해결(Ver1)"
 

Similar to 어라운디 제안서

oec- 창업가정신교육
oec- 창업가정신교육oec- 창업가정신교육
oec- 창업가정신교육
D.CAMP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사회적 기업의 공간 (함께 일하는 재단 청년지원팀 김창주)
사회적 기업의 공간 (함께 일하는 재단 청년지원팀 김창주)사회적 기업의 공간 (함께 일하는 재단 청년지원팀 김창주)
사회적 기업의 공간 (함께 일하는 재단 청년지원팀 김창주)
CornixTripesGroup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pxdstory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ranslated in Korean]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ranslated in Korean]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ranslated in Korean]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ranslated in Korean]dorazi
 
14 service design prototyping
14 service design  prototyping14 service design  prototyping
14 service design prototyping
JY LEE
 
Sadi 산학 process
Sadi 산학 processSadi 산학 process
Sadi 산학 process
JongHo Lee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Myung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정훈 김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pxdstory
 
[IMR2014]WEEK07
[IMR2014]WEEK07[IMR2014]WEEK07
[IMR2014]WEEK07JY LEE
 
2019 MYSC Annual Pamphlet(web ver)
2019 MYSC Annual Pamphlet(web ver)2019 MYSC Annual Pamphlet(web ver)
2019 MYSC Annual Pamphlet(web ver)
MYSC_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Young Choi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koreaspeaks
 
사회적경제센터 사업소개 1
사회적경제센터 사업소개 1 사회적경제센터 사업소개 1
사회적경제센터 사업소개 1
Small Biz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Ji Lee
 
Project salmon part 2
Project salmon part 2Project salmon part 2
Project salmon part 2Keejong Lee
 
[IRU2016]CLASS01_INTRODUCTION
[IRU2016]CLASS01_INTRODUCTION[IRU2016]CLASS01_INTRODUCTION
[IRU2016]CLASS01_INTRODUCTION
JY LEE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Similar to 어라운디 제안서 (20)

oec- 창업가정신교육
oec- 창업가정신교육oec- 창업가정신교육
oec- 창업가정신교육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사회적 기업의 공간 (함께 일하는 재단 청년지원팀 김창주)
사회적 기업의 공간 (함께 일하는 재단 청년지원팀 김창주)사회적 기업의 공간 (함께 일하는 재단 청년지원팀 김창주)
사회적 기업의 공간 (함께 일하는 재단 청년지원팀 김창주)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ranslated in Korean]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ranslated in Korean]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ranslated in Korean]
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Translated in Korean]
 
14 service design prototyping
14 service design  prototyping14 service design  prototyping
14 service design prototyping
 
Sadi 산학 process
Sadi 산학 processSadi 산학 process
Sadi 산학 process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주) 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교육 프로그램 향상 제안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2014년 교육프로그램 향상 제안 - (주)쿠 퍼실리테이션 그룹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워크북 2.0(한국어번역)
 
[IMR2014]WEEK07
[IMR2014]WEEK07[IMR2014]WEEK07
[IMR2014]WEEK07
 
2019 MYSC Annual Pamphlet(web ver)
2019 MYSC Annual Pamphlet(web ver)2019 MYSC Annual Pamphlet(web ver)
2019 MYSC Annual Pamphlet(web ver)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제품 서비스디자인 강의계획서 2학기 ot 수정본2
 
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사회적경제센터 사업소개 1
사회적경제센터 사업소개 1 사회적경제센터 사업소개 1
사회적경제센터 사업소개 1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메이커 자유학기제 워크숍
 
Project salmon part 2
Project salmon part 2Project salmon part 2
Project salmon part 2
 
[IRU2016]CLASS01_INTRODUCTION
[IRU2016]CLASS01_INTRODUCTION[IRU2016]CLASS01_INTRODUCTION
[IRU2016]CLASS01_INTRODUCTION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2017 국민디자인단 운영매뉴얼
 

어라운디 제안서

  • 1.
  • 2. 주변 곳곳의 문제를 기회로 디자인하여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갑니다. 어라운디는 세상의 산재되어져 있는 ‘사회 문제’를 인간 중심 사고를 통해 이해관계자 모두가 함께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혁신 디자인 기업입니다. 서로 이해하고 공감하며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 접근을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갑니다.
  • 3. 2014. 06 포인나인 기업 설립 2016. 02 어라운디 사명 변경 2016 소셜벤처 경연대회 솔루션분야 최우수상 2014 사회적기업육성사업팀 선정 2016. 05 경기콘텐츠진흥원 지역혁신 프로젝트 진행 서울시, 경기도, 경기 콘텐츠 진흥원, 창업 진흥원, 사회적기업 진흥원, 열매나눔재단, 성균관대, 국민대 등
  • 4. 어라운디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일을 합니다. 어라운디 기본 프로세스 프레임 워크는 아래의 표준을 따름니다. 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본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기업, 지역 사회간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어라운디는 워 크숍, 컨설팅 등을 통해 지자체의 협력 사업 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문제 해결 어라운디는디자인적 사고 과정을 통해 문제 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 접근 방법을 통 해 문제를 해결해나갑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도출된 솔루션을 현장 에 적용하고 확산하여 문제를 기회로 활용합 니다. 솔루션 적용 및 확산 WORK STRATEGY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 5. 어 라 운 디 스 쿨 어 라 운 디 액 션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 접 근을 통해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학습하 게 됩니다. 다한학제 기반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협력 및 실제 현장 피드백 기반의 빠른 실행과 개선 과정을 통해 솔루션을 구 체화 합니다. 문제해결 과정 교육 문제해결 현장 프로젝트 어라운디는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과정인 어라운디 스쿨과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프로젝트인 어라운디 액션을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 6. 어라운디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일을 합니다. 어라운디 기본 프로세스 프레임 워크는 아래의 표준을 따름니다. SMALL GOAL ESSENTAIL 에센셜 과정 MEDIUM GOAL CHALLENGE 챌린지 과정 BIG GOAL PROJECT 액션프로젝트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 7. ・비즈니스 모델링 ・최소제품 만들기 ・실험(실행) 하기 ・구매과정 파악하기 ・가치제안 상상하기 ・꼴라쥬 ・서비스 플로우 ・스토리 보드 ・역할 놀이 ・서비스 청사진 ・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 ・ 객관적 자아 인식을 위한 메타 인지 ・ 일상의 창의성을 위한 습관 설계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 ・ 성장하는 환경을 위한 학습 조직 ・ 사례 분석을 통한 추적 학습 ・ 협력을 위한 퍼실리테이션 변화를 위한 환경 설계 WARMING-UP INSPIRATION EXPERIMENTATIONIDEATION 에센셜 과정 ESSENTAIL 초/중고등학생 - 선생님,학생, 부모 등 일반인/대학생 - 학생, 교수, 교직원 등 지자체 - 자치단체, 중간조직, 민간조직 등 기업 - 각 부서간, 임직원, 사원 등 챌린지 과정 CHALLENGE 사업 영역 과정 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 어라운디 스쿨 (3~20H 과정) (1~3M 과정) 어라운디 액션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 적용 및 확산 액션 프로젝트 (6~12M 과정) IMPLEMENTATION ・아이디어 발산 ・아이디어 수렴 ・아이디어 더하기 ・아이디어 선별 ・아이디어 개선 ・유사서비스 분석 ・아이디어 구조화 ・아이디어 스케치 ・ 사진으로 기록하기 ・ 시간별로 관찰하기 ・ 섀도잉 ・ 인터뷰 하기 ・ 심층 인터뷰 ・ 사용자 모델 설정 ・ 공감지도 그리기 ・ 대상에게 이입하기 ・ 사용자 유형 분석하기 ・ 사용자 여정지도 그리기 ・ 이해관계 파악하기(인과 관계) ・ 도전과제 설정하기 ・ 기획 포착하기 ・ 리서치 ・ 제약사항 파악하기 전력적 사고를 통한 환경 분석 넘어 볼수 있게하는 관찰 기법 잠재 욕구를 끌어내는 인터뷰 기법 유저(사용자) 공감 문제 (재)정의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 8. 어라운디 스쿨에서는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전략적 접근을 통해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학습하게 됩니다.
  • 9. 3-20시간 과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소양과 이론 실습을 학습합니다. 문제 발견, 관찰 기법 등을 배우며 문제해결과정의 모든 것을 압축적으로 집합한 프로그램입니다. 어라운디 스쿨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통해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도우며, 개개인이 속한 사회를 변화시키는 서비스 및 제품을 개발합니다. 또한, 디자인적 사고를 기반으로 서로 공감하고 이해하여 틀에 박힌 문제 해결 방식을 극복하게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창의적이고 혁신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CHALLENGE 1-3 monthESSENTIAL 3-20 hour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처음 접근하는 문제 해결 과정 ESSENTAIL 혁신을 이끌어내는 현장 기반의 문제해결 과정 CHALLENGE 1-3달 과정으로 실제 현장 기반의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솔루 션을 도출하게 됩니다. 챌린지 과정을 통해 도출 되어진 솔루 션을 더욱 구체화하고 실현시키기 위하여 aroun.D ACTION 단계로 넘어가게됩니다. 원데이 워크숍 | 1박2일 캠프 | 단기 교육과정 (4회 이하) 프로젝트 | 중장기 교육과정 (8주 이상)
  • 10. Customized workshop & education 맞춤형 서비스는 어라운디 스쿨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 외 교육 대상, 주제, 상황에 따라 맞춤식으로 진행되는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다년간의 워크숍 및 교육 강의 경험을 기반으로 대상에 맞는 최적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대상을 구분하여 효과적인 성과를 위해 대상을 구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디자인 적 사고 학습을 통해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실 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지자체 주민 참여를 통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 프로젝트 지역개발 비지니스 모델 발굴 지역 사회 활성화 기업 임직원 역량 강화 마케팅 전략 수립 신제품 서비스 개발 일반인/대학생 비전 수립 워크숍 문제해결 역량 강화 교육 창업 관련 비즈니스 모델 개발 초/중고등학생 비전 수립 워크숍 문제해결 역량 강화 교육 학교/지역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
  • 11. 문제정의/도전과제 설정 어라운디 과정 - 1박2일 캠프ESSENTIAL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 문제점을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합니다. 마 인드맵 ,스토리보드, 컨셉 스케치등 툴킷 프로세 스의 흐름에 따라 아이디어를 발산해보며 다양 한 방법으로 시현해볼 수 있습니다. 진행한 프로젝트를 사람들과 공유하는 과정입니 다. 제작한 제품 및 서비스를 타참가자들에게 설 명합니다. 반응을 살피고, 질의 응답을 통해 서로 피드백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도출한 아이디어를 문제상황에서 사용하면 어 떠할 지 가능성을 파악하고, 미처 알지 못했던 개선점을 발견합니다. 제한된 시간과 재료들로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여,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 게 표현해보고 패드백을 받아봅니다. 적합한 사용자를 선정하여 대상과 관련하여 겪 은 다양한 불편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인지하고, 발견하는 과정입니다. 퍼소나, 고객여정맵, 인터 뷰 등의 기법으로 니즈를 파악하여 어떤 불편을 지니고 있는지 발견합니다.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나 자신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참가자들이 자신만의 재능과 가능성을 펼칠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사회에 의미있는 가치를 기여할 수 있 도록 유도합니다. 아이디어 발산 및 시각화 고객 피드백 및 적용
  • 12. 어라운디 과정 - 챌린지 워크숍CHALLENGE 문제점을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합니 다. 마인드맵, 스토리보드, 컨셉 스케치 등 툴킷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아이디 어를 발산해보며 다양한 방법으로 시현해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문제를 발견하는 과정 입니다. 툴킷/시트를 활용하여 관찰, 조 사, 토론을 통해 어떻게 하면 문제를 해 결할 수 있을지 생각하며 도전과제를 설 정하고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흐름을 기 획합니다. 도출한 아이디어를 실제 문제상황에서 사용 하면서 미처 알지 못했던 개선점을 발견합니다.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여, 사 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여 패드백을 받아본 후, 아이디어 실체화를 위한 세부 계획을 수립합니다. 프로젝트를 통해 도출된 아이디어를 바탕 으로 최소 제품을 제작하게됩니다. 최소 제품을 직접 만들어보고 실질적인 대상의 반응 확인을 통해 문제와 개선점을 파악 하게됩니다. 반복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를 도출 합니다. 나 자신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는 과정 을 통해 참가자들이 자신만의 재능과 가능성을 펼칠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사회 에 의미있는 가치를 기여할 수 있도록 유 도합니다. 관찰과 공감 /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변화를 받아들일 준비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아이디어 발산 및 시각화 고객 피드백 및 적용 최소 제품 만들기 및 실행 IMPLEMENTATION
  • 13. 2014. 신향시 환경문제 해결 프로젝트 직장인을 위한 비전워크숍 청소년을 위한 비전워크숍 프놈펜 왕립대학교 지역개발 프로젝트 세계 평화의날 적정기술 워크숍 Space Odyssey 창업가를 위한 워크숍 2015. 창작가를 위한 3D Printing 워크숍 예비창업가를 위한 디자인씽킹 워크숍 장위동 도시재생 디자인씽킹 워크숍 2016. 강원도 사회적경제인재육성센터 '문제를 다시보고 방법을 혁신하는 사고법’ 디자인해커톤 '스타트업을 디자인하라’ 묵동 주민의제발굴워크숍 청소년기에 자신에 대한 고찰과 인생의 방향을 가늠하는 미래에 대한 관심을 배양하기 위한 워크숍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미래의 버킷 리스트를 작성하고, 나의 과거를 돌아 보며 ‘나’ 라는 존재에 대해 디자 인적 사고로 탐구하는 워크숍 진행. 청소년을 위한 비전워크숍 | 초/중고등생 | 디자인적 사고과정을 통해 일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 방안을 시각 화 해보는 워크숍으로 청소년다운 기발한 문제 인식과 솔루션이 특징. 안양 청소년 교육 ‘창업을 위한 첫 걸음’ 석관동 중고등 학생들과 함께한 석과동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한 아이디어 발굴 워크숍으로, 실제 자신들이 살면서 겪는 문제에 대 한 아이디어를 도출. 석관 마을학교 청소년 워크숍
  • 14. | 대학생 및 일반인 | | 지자체 및 기업 | 캄보디아 왕립학교를 대상으로 한국인 / 캄보디아 학생들이 모여 캠퍼스 내 다양한 공간들의 잠재력을 찾고 여러 주제로 실행계획 을 도출하는 과정을 진행. 프놈펜 대학교 워크숍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대진대학교 내의 문제를 해결하는 워크숍 으로 8명의 조원들로 나누어, 서로 겪은 다양한 문제를 공감하 며 해결점을 도출. 대진대학교 워크숍 세계 200개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하여, 자신이 겪은 문제를 바탕으로 세계 각국의 학생들과 함께 해결하는 디자인적 사고 워크숍 진행. 글로벌리더십 YES 캠프 강원도 지역자활 단체의 문제점과 지역 커뮤니티의 갈등을 해결 하기 위해 진행된 워크숍으로, 지역의 자활단체 사회 복지사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 지역자활 워크숍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 과정으로, 디지엔 스 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용자를 분석하여 홍보 프 로모션 아이디어를 도출. 디지엔스 기업 마케팅 전략 수립 워크숍 중랑구 묵2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마을의제발굴을 위한 워크숍 진 행. 주민들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찾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 는 의제 발굴 워크숍 진행. 묵동 지역 의제 발굴 워크숍
  • 15. 어라운디 액션에서는 다학제 기반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협력 및 실제 현장 피드백 기반의 빠른 실행과 개선 과정을 통해 솔루션을 구체화합니다.
  • 16. 현장 기반의 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 구체화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이해 관계자 워크숍을 통해 수요자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하게 되며, 문제 해결을 위한 과 정이 시작됩니다. 전문가 컨설팅 주제, 분야에 맞는 전문가 컨설팅 지원을 통해 전문성 및 완성도 높은 솔루션을 도출합니다. 어라운디 스쿨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역량을 학습하고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 멘토 매칭을 통 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이해 관계자 워크숍을 통해 수요자의 필요와 욕구를 기반으로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며 체계화 시킵니다. * INTERATION / REFLECTION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 솔루션 적용 및 확산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 IMPLEMENTATION 최소 3개월 이상 진행 되는 프로젝트로 어라운디 스쿨의 챌린지 과정을 통해 도츨 되어진 솔루션을 구체화 시키고 실현시키는 단계입니다.
  • 17.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지역 주민들,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찾 고 해결해 나감으로써 지역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며 사람과 공간을 잇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통해 교육생들이 주민들의 상황에 이입(Immerse)하 여 지역 사회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주민들과 함께 지역 사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 니다. 교육과정을 통해 도출된 솔루션의 완성도 및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들이 함께 투입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및 서비스가 구체 화 합니다. INSPIRATIONWARMING-UP IDEATION EXPERIMENTAIONIMPLEMENTATION 현장 기반의 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 구체화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전문가 컨설팅 어라운디 액션 과정 이해관계자 협업 체계 구축
  • 18. 지역혁신에 관심이 있거나 실제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경기 지역 내 스타트업 및 예비 창업자 대상으로 지역혁신 디 자인 프로젝트 리디액 진행. 본 교육과정은 강의, 워크숍, 현장 리서치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통해 지역 혁신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 시키며, 멘토/전문가 지원을 통해 실제 지역사회 문제 해결. 지역혁신디자인프로젝트 '리디액션’ 2016.05 - 2016.12
  • 19. 재개발 사업이 취소되면서 낙후된 지역이 많은 장위동에서 지 역민이 뽑은 해결하고 싶은 놀이, 방법, 쉼터, 쓰레기 등 총 4 가지 문제를 지역주민들과 교육생들이 함께 해결. 나아가 장위 동 도시재생 사업의 기반 마련. SCL 커뮤니티디자이너 양성과정 2015.07 ~ 2015.12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관심 있는 경력단절 여성, 도시 계획, 건 측 등 관련 분야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 진행. 디 자인적 사고를 통해 지역사회를 공감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우며, 지역 조사방법론 학습 등 도시 사회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 놀이 문제를 해결. SBA 신직업군 육성사업 2016.07 ~ 2016.12
  • 20. 어라운디 스토리에서는 실제 어라운디의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을 도모하고 있는 우리 주변 곳곳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다 .
  • 21. 1. 낙후된 도심의 어두운 골목에 설치하여 골목골목 을 지나가는 행인들의 안전을 도모합니다. 2. 확창·축소가 가능한 디자인으로 빛이 직사광선으 로 뻗어나가는 랜턴 및 가로등의 역할과 빛이 골고 루 펴지는 램프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습니다. 3. DIY시스템과 매뉴얼의 개발로 제품의 이해를 쉽게 도움과 동시에 제3세계의 새로운 기부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전기가 없는 극빈층 지역의 현지인들의 삶을 개선 시킬 수 있습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제작한 제품으로, 빛이 필요한 지역주민의 행태를 고려한 디자인과, 구매자·수혜자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제3세계의 새로운 기부 모델을 제시합니다. 디자인적 사고란 단지 외형을 만드는 미학적 접근이 아니라 인간을 공감하고 그들의 잠재 욕구를 발굴한 뒤,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통합적 접근 방식입니다. ‘사람’에 대한 이해, 즉 공감으로부터 삶의 모든 부분을 변화시키는 디자인적 사고는 ‘적정기술’ 과 닮아있습니다. 그 동안의 공급자 중심적이었던 적정 기술제품들과는 달리 ‘반디반디’는 수요자 중심, 인간 중심의 제품입니다.
  • 22. 저층 노후 주거지에는 고질적으로 쓰레기, 방범/안전, 주차문제 등과 같은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아파트, 오피스텔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지지 않는 문제들입니다. 저층 노후 주거지 에서 이러한 문제들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아파트, 오피스텔 등과는 달리 ‘관리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어라 운디는 주민, 공공, 기업이 협업하는 ‘지역사회 관리인’인 ‘우리동네히어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저소득층 주민, 시니어 은퇴자, 경력 단절 여성을 고용하여 지역에 필요한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들은 지역 주민들과의 밀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지역의 수요를 파악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파악한 수요를 바탕으로 주민 주도의 솔루션을 도출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합니다.
  • 23. 주식회사 어라운디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286 아인빌딩 9층 aroundstory@gmail.com 2017.06.www.aroundlab.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