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환경오염으로부터 산모와 영유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생활지침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23-000789-01
www.me.go.kr www.nier.go.kr
환경보건
가이드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오염으로부터 산모와 영유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생활지침
산모와영유아를위한환경보건가이드
산모와영유아를위한
환경보건 가이드
구성
03	 임신결과(출생결과)
08	 태아와영유아의성장발달
12	 영유아의인지발달
16	 미세먼지와건강영향
21	 휘발성유기화합물과건강영향
25	 납과건강영향
30	 수은과건강영향
34	 내분비계장애물질프탈레이트및비스페놀A
39	 식품섭취와영양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3
1장 ● ➊ 임신결과(출생결과)
임신결과(출생결과)
우리 아이와 만나게 된 그날을 생각하면 입이 절로 귀에 걸립니다. 그래서 건강하게 태어날 아기를 위해 우리 엄마들
은 좋은 음식도 많이 먹고 항상 조심조심 생활합니다. 그런데 만일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작은 행동, 작은 변화, 잠시
들른 공간이 우리 아이에게 해를 줄 수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러한 의문에서 사람들은 아이에게 나쁜 영향
을주는환경적요인들을찾아서연구하기시작했습니다.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요인은 유전, 환경, 영양상태, 호르몬의 영향 등 굉장히 다양하고 복합적입니다. 이 중 환경적
인 요인은 산모가 실생활에서 노출을 줄인다면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중보건학적으로 그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습니다.
머릿말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이 사회문제화되고 “환경의 질”이 “삶의 질”이라는 인식이 확대 되면서 환경보건 분야의 중요
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정책의 패러다임도 매체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으로 변화하였습니다. 환경오염으
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환경보건의 핵심적인 목적과 임무이지만, 오염노출에 영향을 받는 정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률적인 정책만으로는 국민 전체의 건강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임산부, 어린이, 노
인 등 환경노출에 특히 민감한 계층들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특별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환경부는 2006년 ‘환경보건 원
년의 해’를 기점으로 환경보건에 대한 정책과 연구를 강화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2009년 3월부터 시행된 환경보건법에
민감계층에 대한 특별관리 대책 마련과 지속적인 건강영향 조사를 규정한 바 있습니다.
환경부는 환경오염 노출로부터 민감계층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2006년부터 산모와 이들에게서 태어난 영유아를 대상으로
주요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그에 따른 건강영향 조사를 추진 중에 있으며, 본 연구의 일환으로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
보건 가이드』를 제작하였습니다. 환경보건 가이드는 그간의 조사 결과와 국내외 연구사례 등을 토대로 하여, 예비엄마들이
알아야 할 생활속 주요 유해물질(중금속, 내분비계장애물질 등) 정보, 유해인자에 의한 건강영향, 그리고 환경노출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고 예방하는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지침은 크게 두 개의 장과 9개의 소제목으로 구성하였는데, 첫 번째 장(3개 소제목 포함)은 건강보호와 환경오염 노출 예
방에 초점을 두어 임신과 출산시 산모가 알아야 할 건강지침』, 아기들의 건강한 성장과 인지발달을 위한 지침』을 포함하
였습니다. 두 번째 장(6개 소제목 포함)은 산모와 영유아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유해인자 중심으로 이들 물질의
유해성과 노출특성, 생활 속에서 이들 물질의 노출을 저감하고 회피하기 위한 대책들을 제시하였습니다. 주요 환경유해인
자는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납, 수은,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인자의 노출과 건강영향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받는 영양적 요인을 추가적으로 다루었습니다.
본 지침서가 환경오염 노출로부터 민감한 시기인 산모와 영유아들이 건강하게 출산하고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
해 봅니다.
2012.10.국립환경과학원장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4 5
수은
●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된 연구결과 엄마의
혈중 수은 농도는 WHO(세계보건기구) 기준치인 5ppb를
넘지 않았으나 제대혈의 수은농도는 5ppb에 근접한 농도
를 나타내거나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많은 국외연구
에서도 엄마의 수은농도보다 아기의 수은농도가 높았다
고보고하였습니다.
● 이 결과들은 산모와 태아를 잇는 제대혈 속의 수은이
태반을 바로 통과해 태아에게 곧장 흘러들어가기 때문입
니다.
● 수은은 태아에게도 나쁜 영향을 주어 환경부와 국립환
경과학원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 산모의 혈중 수은농도가
증가할수록 태어난 아이들의 체중이 감소하였고, 국외 연
구결과에서도 제대혈의 수은농도가 높을수록 출생시 아
기체중이감소하는것으로보고하였습니다.
비스페놀A
● 비스페놀 A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의일종으로 흔히‘환경
호르몬’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주로 음식물이나 음료를
통해 비스페놀 A에 노출되며, 이외에 공기, 먼지, 물 들을
통해노출되기도합니다.
● 비스페놀 A의 경우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명
확한결론을내리기에는아직근거가부족한실정입니다.
● 비스페놀 A의 경우 태아, 영유아 및 아동의 뇌, 행동, 전
립선에미치는 부정적인영향은 ‘어느 정도 관심을 기울여
야 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수준의 인체 노출
정도로도민감한 사람들에게잠재적인신경·행동학적영
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시하였습니다. 신생아 사망이나 선
천성 기형과 같은 임신 결과에는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
는‘무시해도될정도의수준’으로분류하고있습니다.
프탈레이트
●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1930년
이후부터 많이 사용되어온 화학 첨가제입니다. 프탈레이
트계가소제중일부는 장난감 및어린이용제품에대하여
사용 금지가 되었습니다. 이는 아이들이 입으로 빨 때 침
과접촉되어이물질들이입안으로방출되며,간·신장및
고환에영향을줄우려가있기때문입니다.
● 프탈레이트의 경우 아직도 확실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
고 다양한 연구 결과가 제시되고 있어 더 많은 연구가 필
요하지만많은연구에서내분비장애물질의유해성에대해
높은우려를나타내고있습니다.
● 최근 산모의 프탈레이트 노출은 임신주수를 감소시키
고 조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었으
며 산모의 프탈레이트 노출은 남자 아기의 생식기 기관의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남
아의 잠복고환과 생식기관 크기의 감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나타났습니다.
임신 결과란 무엇인가요?
엄마의 뱃속에서 아기가 건강하게 자랐는지 건강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출생시 체중, 임신주수,
저체중아, 조산아 등입니다.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요인, 영양
상태,호르몬의영향등굉장히다양하고복합적입니다.
조산과저체중아란?
● 조산: 조산은 임신 37주 이전에 아이가 태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최근에는 늦은 출산이나 불임으로 인한 인공수
정 등으로 인하여 조산으로 태어나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일찍 태어난 조산아는 다 크지 않은 상
태로 나왔기 때문에 자궁 밖의 환경에 적응 하지 못하여
질병이나 장애가 생기거나 출생후 성장에문제가 있는 경
우가있습니다.
● 저체중아: 태어났을 때의 몸무게가 2.5kg미만인 아이를
저체중아라고 합니다. 이런 저체중아 역시 신생아의 사망
에 관련이 있으며 출생 후의 성장에도 문제를 일으킵니
다. 또한 이 역시 우리나라에선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조산과저체중아가되면왜나쁜가요?
● 조산아와 저체중아는 태어날 때 보통 아이들보다 작게
태어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보통 아이들과 크기가 비슷해
집니다.
● 언뜻 보면 다행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아이의 몸이
무리하게 지방을 늘려서 성장을 하는 것으로 이렇게 늘어
난 지방은 아이가 크면서 비만아동이 되게 하는 등 아이
의 어린시절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영
향을 주어 성인비만,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작게태어난 여자 아이는 어른이되어임신을 하였
을 때 임신성 당뇨에 걸릴 수 있고 태어날 아이에게도 안
좋은영향을주는것으로보고된바있습니다.
임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미세먼지
● 미세먼지는 아주 작은 먼지로 우리 몸의 폐 속 깊은 곳
까지 침투하여 면역력 저하 등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줍니
다. 또한 태아에게도 태반의 산소 운반을 방해하거나 염
증반응을 일으켜 조산아와 저체중아뿐만 아니라 사산과
선천성기형을일으키기는등나쁜영향을줍니다.
휘발성유기화합물
●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휘발성 액체 또는 기체 물
질로 아세톤, 벤젠, 폼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등의 물질
을포함합니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발달독성, 발암성이 있어 산모의
몸에 들어가면 태아의 성장발달을 방해하는 등의 나쁜 영
향을주며저체중아를일으키기도합니다.
납
● 우리 몸에 칼슘이 부족할 경우 뼈의 대사가 높아지면서
뼈에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중으로 흘러들어오게 됩니다.
그런데 산모의 경우 칼슘을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보다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액으로 방출될 가능성
이 높아지게 됩니다. 산모의 혈중 납은 태반을 잘 통과하
기때문에태아에게도나쁜영향을주게됩니다.
● 환경부 연구 결과 혈중 납 농도가 높은 산모의 태아 머
리둘레와허벅지뼈길이가짧았습니다.
● 또한 많은 국외 연구결과에서도 엄마의 혈중 납 농도가
높을수록 출생시 신장, 체중, 머리둘레가 작아진다는 보고
가 있었고 저체중인 아이의 태반에서 정상아이에 비해 납
농도가높았다는보고도있었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6 7
건강하고현명하게음식을먹어요.
● 칼슘이 풍부하고, 인, 비타민이 들어있는 식품을 가까이
하도록합니다.(추천음식:두부)
● 나트륨,망간의섭취를줄입니다.
몸집큰생선은섭취는피하도록해요.
● 임신과 모유수유 중에는 옥돔, 왕고등어, 황새치, 상어
등 몸집이 큰 생선 섭취를 가급적 자제하도록 합니다. 태
아가 메틸수은에노출될 위험이있으며, 모유를 통해수은
이전달될수있습니다.
● 미국 환경보호청 조사에서 수은이 비교적 적게 함유된
생선으로 새우, 연어, 대구, 메기가 있었으며 우리가 즐겨
먹는고등어,갈치,꽁치,조기의수은함량도낮았습니다.
● 하지만 작은 생선의 경우에도 섭취횟수가 많아지면 수
은함량도 높아지게 때문에 임산부와 영유아의 경우 일주
일에50g(작은 한토막)이하를 2~3회미만 섭취할 것을 권
장합니다.
임신중아말감치료나제거는하지않아요.
● 임신 중에는 치과 치료는 피하거나 가능한 수은이 들어
있지않은재료만사용하는지확인하도록합니다.
● 임신여성이나가임여성의경우수은농도를증가시킬수
있는아말감치료및제거는미루도록합니다.
야채와과일로중금속농도를낮춰요.
● 과일(귤, 오렌지, 자몽, 딸기 등)과 채소(피망, 브로콜리,
양배추, 토마토 등) 등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은 체내 중금
속농도를줄이는데도움이됩니다.
현명하게구매해요
● 비스페놀A를포함하고있는유아용폴리카보네이트젖
병과 음식용기의 구매는 자제하고 유리 용기를 구매하도
록합니다.
● 플라스틱으로 된 장난감을 구매할 때는 제품 성분과 안
전 확인 마크를 반드시 확인하며 아기 용품이나 아기방에
놓을 물건은 플라스틱 가소제가 많이 들어간 제품은 피하
도록합니다.
생활습관을바꿔보세요.
● 산모는 임신 중에 캔에 든 식품의 섭취 및 플라스틱 용
기의사용을자제합니다.
● 음식물은 되도록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하지 않습니다.
특히뜨거운음식은절대플라스틱용기에담지않습니다.
● 전자레인지 사용 시 안전한 랩을 사용하고 직접 음식에
닿지않도록합니다.
● 또한전자레인지사용시1회용포장용기,플라스틱용기
를사용하지않도록하며,유리재질의용기를사용합니다.
● 조리기구(국자, 도마, 주걱등)도 열에자주 노출되고 녹
기때문에플라스틱으로된제품은피하도록합니다.
● 긁히고 낡은 플라스틱젖병이나 컵, 그릇 등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 산모가 영수증을 만질 경우 비스페놀 A가 피부로 흡수
될수있으므로외출후손을씻도록합니다.
건강한 임신결과를 위한 생활지침
깨끗한환경을만들어요.
● 평소에 집안에 먼지가 없도록 청소를 하고, 특히 천 카
펫은 자주 세탁을 합니다. 호흡기 질환자의 경우에는 카
펫을사용하지않는것도좋습니다.
● 지어진지 오래된 건물에서 거주하는 경우 환기를 자주
하여집안의먼지를제거합니다.
● 하지만 집주변에 공장이 있거나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
가 있는 경우에는 잦은 환기를 자제하고 공기청정기를 사
용하는것이좋습니다.
● 담배피는 사람이가족 중에있으면 산모를 위해서실내
에서는 절대 금연하며, 외부에서 흡연한 직후에는 집안으
로들어오지않도록합니다.
황사나먼지가많은곳에서는마스크를꼭착용해요.
● 황사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외출하지않도록 하며, 외출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귀가 시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입안을헹구도록합니다.
부엌에서발생되는미세먼지를차단하도록해요.
● 부엌과거실은분리하여사용하는것이좋습니다.
● 부엌에서 요리를 할 때에 반드시 창문을 열거나 환기팬
을가동시켜서미세먼지를없애도록합니다.
● 조리전후5분씩반드시환기하도록합니다.
식물을키워서미세먼지를없애요.
● 식물은 공기 중 먼지를 줄어들게 하며 미세먼지도 효과
적으로제거합니다.
● 특히잎 표면적이넓은 식물이먼지를 잘 제거하며미세
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식물로 인도고무나무, 싱고니움, 헤
데라, 벤자민고무나무, 분화국화, 시클라멘, 꽃베고니아,
허브류팔손이나무,국화류가있습니다.
● 식물을베란다에만두지말고생활공간인거실,침실,부
엌,서재등에도놓아야효과가있습니다.
충분한환기를통해휘발성유기화합물을줄여요.
● 건축 내장재(가구재료, 바닥재료, 벽지, 페인트, 타일)의
경우 구입 초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고농도로 방출되
므로 새로 지은 집, 리모델링 주택, 새로 가구를 구입하였
을때는충분한환기를통해유해물질을모두휘발시킨후
입주하여야합니다.
● 임산부의 경우 신축 건물이나 새로운 가구의 구입을 자
제하도록합니다.
현명하게구매해요
●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가장 많이 방출되는 생활용품 중
하나인 가구의 경우 속자재에 따라 방출농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 가구를 구입할 때 친환경제품인지 확인하고 구입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노출을줄입니다.
알맞은온도와습도를유지해요.
● 건축 내장재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높은
온도와습도에서높은농도로방출됩니다.
● 따라서 적절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여 휘발되는
정도를낮추려는노력이필요합니다.
● 특히 난방을 많이 하는 겨울철에 실내 적정온도(18~20
도)를유지하여우리가족건강을지켜주세요.
자동차가많이지나다니는곳은피해요.
●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하나인 벤젠은 자동차 연료 연소
에의한대표적인실외공기오염물질이기도합니다.
● 임신 중에는 자동차가 많이 지나다니는 도로변을 피하
고,대기오염이심하다고느껴지는곳은피하도록합니다.
납페인트의노출을줄여요.
● 오래된 주택인 경우 납 페인트를 부적절하게 제거하면
납 함유 먼지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페인트 제거 시 전문
가와의상의가필요합니다.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9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성장이란 소아기의 주된 특징의 하나로 정지 상태가 아
닌 진행하는 과정을 말하며 대표적인 지표로 키, 체중,
머리둘레 등이 있습니다. 시기별 성장 변화 추이는 어린
이의 건강 상태를 잘 반영하는데, 신체적인 측면뿐만 아
니라 정신적, 사회적 건강 상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
니다.
바람직하지않은성장발달은무엇인가요?
왜소증(저신장): ‘저신장’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키가 작
다는 것을 의미하며, 성별과 연령이 같은 소아의 키의 정
규 분포상에서 키가 3%(100명 중 작은쪽에서 3번째) 미
만인 경우를 저신장증이라 합니다. 
가속성장(따라잡기성장): 가속성장이란 출생 이후 몸무
게가 빠른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출생 시부터 24개월
(또는 36개월) 시기에 체중 변화량이 큰 경우(보통 표
준편차 +0.67이상) 가속성장이라 하며 저체중아(출생
시 체중 2.5kg 미만)의 경우 생후 급격한 ‘따라잡기성장
(catch up growth)’이 동반되어 성장기 동안 오히려 비
만해질 수 있으며 어른이 되었을 때 심혈관 질환 등이 발
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소아비만: 전 세계적으로 소아비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만 5세 이하의 소아비만 유병률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어, 소아 비만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 관심 또
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소아비만은 성별과 나이를 고려한 체질량지수를 기준으
로 85~94.9백분위수는 ‘과체중’, 95백분위수 이상 또는
25㎏/㎡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소아 시기의 비만은 성인시기의 당뇨병, 고혈압, 고콜레
스테롤증, 심혈관 질환 등을 초래하므로 예방이 필요합
니다. 
체질량지수(㎏/㎡)=
키( )×키( )
체중(㎏)
1장 ● ➋ 태아와 영유아의 성장발달
최근 사회경제적 발전, 서구식 식단 변화 등으로 인해 어린이들의 성장속도가 빨라지면서 소아비만, 성조숙 등이 점
차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관련 연구들에 따르면 환경 중의 중금속, 내분비계 장애물질
(환경호르몬) 노출이 어린이들의 성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생후 초기부터 이
들환경유해인자로부터어린이들을보호하기위한지속적인관심과관찰이필요합니다.
태아와 영유아의 성장발달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10 11
건강한 아이 성장을 위한 생활 지침
아이의성장속도를체크합니다.
● 정기적으로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합니다.
- 출생 시~만2세: 6개월 간격
- 만3세 이상: 1년 간격
● 아이의 성장 속도는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린 경우 문
제가 됩니다. 정기적인 체중기록을 가지고 내 아이가 지
난 마지막 측정치보다 몸무게 변화가 2단계 이상 변동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한국소아체중표준치(2007)
규칙적인운동을해요.
● 텔레비전시청,컴퓨터게임등을제한하는등앉아서생
활하는시간을줄이도록합니다.
● 몸에 무리가 가지 않게 가벼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산모들은 집 주변의 공원, 운동장 등에
서가볍게걷는것도좋습니다.
유해한환경에노출되지않도록해요.
● 황사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외출하지않도록 하며, 외출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귀가 시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입안을헹구도록합니다.
● 간접흡연은 담배로부터 나오는 수많은 유해물질에 노
출되므로 주위에 담배 피우는 사람이 있으면 자리를 피합
니다.
● 아기들이 장난감은 물론 집안에서 사용되는 생활용품
들을입에넣고빨지않도록관찰합니다.
● 어린이들이 뛰어 노는 놀이터에서 깨끗하지 않는 흙, 오
래된 놀이기구에 칠해져 있는 페인트 등을 통해 납 등 유
해한 중금속이 노출 될 수 있습니다. 놀고 들어온 후에는
반드시깨끗이씻도록합니다.
● 임신 중 캔에 든 식품의 섭취 및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
을자제합니다.
●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전용용기에 담아 사
용하고 캔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넣고 음식을 데우지 않도
록합니다.
건강하고현명하게식습관을만들어요.
● 규칙적인식사를하고아침식사는꼭하도록합니다.
● 성장기 아기들에게는 칼슘이 풍부하고, 5대 영양소가
골고루갖춘영양적으로균형적인식사가필요합니다.
● 과일(귤,오렌지, 자몽,딸기)과 채소(피망,브로콜리,양
배추,토마토등)등일상생활에서비타민을섭취하는것만
으로도몸에쌓인중금속해독에도움이됩니다.
● 패스트푸드나 즉석 조리 식품 등은 섭취를 줄이도록 합
니다.
●	빨간불:2단계 초과 위 아래로 이동(가속성장) or 지속적으로 95th 이상 머
무는경우(비만위험)or지속적으로3th이하에머무는경우(성장지연)
	 → 전문가 상담이필요해요!
●	주황불:2단계이상위아래로이동→지속적으로집중적관찰이필요해요!
●	초록불:이동이없거나1단계이상위아래로이동→건강하게성장하고있어요.
남아 출생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세
3th 2.6 6.7 8.4 9.5 10.7 12.2
10th 2.8 7.2 9 10.2 11.4 13
25th 3.1 7.7 9.7 10.9 12.2 13.9
50th 3.4 8.4 10.4 11.7 13.1 14.9
75th 3.8 9 11.2 12.7 14.2 16.1
90th 4.2 9.6 12 13.5 15.2 17.3
97th 4.6 10.2 12.8 14.5 16.3 18.6
여아 출생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세
3th 2.5 6.3 7.9 9 10.2 11.7
10th 2.7 6.8 8.5 9.6 10.8 12.5
25th 3 7.3 9.1 10.3 11.6 13.3
50th 3.3 7.9 9.8 11.1 12.5 14.3
75th 3.7 8.5 10.6 12 13.5 15.5
90th 4 9.1 11.4 12.9 14.6 16.7
97th 4.5 9.6 12.1 13.8 15.7 18.1
(단위 : ㎏)
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음식 포장 또는 생산과정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스며든 음식물이나 음료를 통해
노출되며 이외에 공기, 물, 토양 등 다양한 곳에 존재하
고 있습니다.
● 특히 프탈레이트의 경우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재료(가소제)로 사용됨에 따라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 인형 등에 함유되어 아이들의 입이나 손을 통해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이처럼 식품 또는 플라스틱 제품 등에 포함된 프탈레
이트 가소제가 체내로 흡수되는 경우, 생체내의 호르몬
에 영향을 미치는데 최근에는 소아비만과 관련성이 있
다는 연구 보고도 있어 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
니다(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동물실험에서도
내분비계장애물질 노출과 비만 위험성에 대한 연구 결
과들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납
우리 몸에 칼슘이 부족할 경우 뼈의 대사가 높아지면서
뼈에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중으로 흘러들어오게 됩니
다. 그런데 산모의 경우 칼슘을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
문에 일반인보다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액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산모의 혈중 납은 태반을 잘
통과하기 때문에 태아에게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됩니다.
● 엄마의 임신 중 납 농도가 높았던 아이가 엄마의 임신
중 납 농도가 낮았던 아이보다 체중과 신장이 성장속도
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환경부 연구결과 출생 전 엄마의 노출뿐만 아니라 출
생 후 아기의 납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성장속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외 연구결과
에서도 납 노출이 성장 속도 중 특히 키의 성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수은
● 산모의 수은 노출이 영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높은 수은
농도에 노출된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기들의 성장이 늦
어진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 2003년 덴마크의 연구에서는 제대혈 메틸수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18개월 영아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
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환경
부에서 수행한 연구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 동물실험에서는 먹이 등에 수은을 첨가해 먹인 어미
쥐에게서 태어난 새끼들은 수은에 노출되지 않은 쥐의
새끼들에 비해 성장과정에서 체중이 적게 나타났습니다.
내분비계장애물질
●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비스페놀 A와 프탈레이트의 경
우 사람의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여 정자수 감소, 조
기 성 발달 및 출생 후 성장의 변화 등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 지속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13
발달이란 무엇인가요?
발달은 아동이 살아가면서 필요한 기능을 배우고 처해있
는 환경에 적응해가는 과정입니다. 발달은 단순히 크기가
커지거나 나이가 들어서 성숙해지는 과정이 아니고, 아이
가 태어나면서갖고 있는 생물학적, 유전적인 요소와 출생
후아이주변의환경요소가함께작용하여복합적으로기
능을형성하는것입니다.
인지는지능을비롯하여집중력,자기조절력,수리능력등
다양한 영역이 서로 다른 속도로 상호작용하면서 발달하
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발달이 빠른
것이 좋은 것은 아니고 발달의 속도 외에도 그 질적인 변
화, 각 발달 분야 간의균형등이모두 발달의최종 결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고려대상입니다. 이 모든 분야에있어서
환경은매우중요한역할을담당하고있습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은 자극에 선택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어렵고지적을해도잘고쳐지지않는특징을지니고있습니다.선생님
들의말씀을 듣고 있다가도 사소한 자극이 들어오면 그 방향으로 관심
을 돌리고 시험을 볼 때에도 문제를 끝까지 읽지 않아서 아는 것도 틀
리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루한 것이나 하기 싫은 일을 할 때에
는특히집중이어려운특징을지니고있습니다.또한과잉행동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학교에서 착석이 안 되고, 상황에 맞지 않게 뛰어다니
거나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기도 합니다. 생각하기 전에 행동하
여또래와의관계도좋지않고규율이나규칙을잘지키지못하고자주
혼이나기도합니다.이러한문제들은적절한치료를하지않으면학습
장애,비행으로발전하거나우울증을동반하기도합니다.
영유아 인지발달과 환경요인
대기오염물질
● 환경부에서 연구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
경인지발달이(영유아 베일리 검사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
로나타났습니다.
● 또한 간접흡연이 인지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연구들이지속적으로보고되고있습니다.
베일리검사란?
1~42개월 영유아의 현재 발달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 검사자가
아이와1대1로마주앉아 여러가지검사 도구를이용하여개별적으로
실시되는 검사입니다. 검사결과를 통해 객관적인 발달지수가 제시되
므로상대적인발달상태를파악할수있습니다.
중금속
● 중금속 중에서영유아의인지에영향을 줄 수있는 대표
적인물질은납입니다.
● 폴란드 연구에서 임신 중 납 노출이 높은 영아들의 6개
월 발달이 저하됨을 보고하였고, 이 아이들을 지속적으로
추적조사한결과임신초기납노출이12개월,24개월까지
좋지않은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또한 미국 신씨네티 연구에서는 납 농도가 높은 6세 아
이들에게서 협조운동능력, 시각운동 조절능력, 상지의 운
동속도와 민첩성 및 미세운동 능력영역에서 점수가 낮았
음을보고하였습니다.
● 환경부 연구결과에서도 제대혈 중의 납농도가 높을 경
우 신생아 신경행동발달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
였습니다.
● 우리나라 초등학생 대상 연구에서도 혈중 납농도는 집
중력을 저하시키고 학업성취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
타났습니다.
Tip
Tip
1장 ● ➌ 영유아의 인지발달
영유아기는 신체, 인지, 정서 등 모든 측면에서 빠른 성장을 하는 시기로 아이의 발달 기초를 마련하는 중요한 시기
입니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주변 환경의 자극을 거의 스펀지처럼 받아들이기 때문에 나쁜 환경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아이들은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발달을 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는
데 이때 일부 환경물질은 영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금속 중 납이나 카드뮴 등은 아이들
의인지발달을방해하는물질로알려져있습니다.
영유아의 인지발달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14 15
현명하게구매해요
● 미국에서 납(Pb) 함유제품의 기준초과로 인한 장난감
리콜 사례에서 대상제품의 제조 원산지가 주로 중국, 대
만, 인도 등이었습니다. 장난감 및 학용품을 구입할 때 원
산지를확인하여현명한구매를하도록합니다.
● 또한색종이나,스티커북,어린이장신구등의경우일부
품목에서 납이 검출되었습니다. 아이들이 이러한 장난감
과학용품을입에넣지않도록합니다.
● 납이 포함되지 않은 페인트를 사용하였다는 문구가 들
어있지않은경우주의하는것이좋습니다.
청결을유지해요.
● 놀이터에서 깨끗하지 않는 흙, 오래된 놀이기구에 칠해
져있는 페인트 등을 통해 아이들이 납이 노출 될 수 있습
니다.
●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놀 때 손을 입에 가져가지 않도록
하며 놀고 난 후에는 꼭 깨끗한 손씻기를 통해 납 노출을
줄일수있도록합니다.
● 산모가 영수증 및 코딩된 감열지를 만지면 피부를 통해
내분비계장애물질에노출될수있기때문에손을 씻는 습
관을가지도록합니다.
캔이나플라스틱용기의사용을자제해요.
● 임신 중 캔 음료나 캔에 담긴 음식물의 섭취를 줄이며,
특히캔에열을가한제품에주의합니다.
● 음식물은 되도록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하지 않으며 사
용을자제합니다.
● 전자레인지 사용시 반드시 전용용기에 담아 사용하며
플라스틱용기를사용하지않습니다.
● 비스페놀A를포함하고있는유아용폴리카보네이트젖
병은 구매를 자제하며 가급적 비스페놀 A free 제품을 선
택합니다.
● 또한 긁히고 낡은 젖병이나 플라스틱 컵, 그릇 등은 사
용하지 않습니다(비스페놀 A 등 화학물질이 배출될 수 있
습니다).
내분비계장애물질
● 내분비계 장애물질 대한 연구는 동물 연구 중심으로 이
루어졌으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지
만, 미국 보건부 보고서에 따르면, 비스페놀 A가 태아, 영
유아 및 아동의 뇌,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어느
정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또
한, 현재 수준의 인체 노출 정도로도 민감한 사람들에게
잠재적인 신경·행동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발표하
였습니다.
● 저용량 노출이 인간에게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으로 선진국에서도
비스페놀 A의 위해성 관리를 위한 근거 확보를 위해 다양
한연구를시행하고있는상황입니다.
● 실험연구에서프탈레이트이나 비스페놀 A 노출된쥐의
경우 산만함이 심해지며,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와 유
사한증상들이발생한다는보고들이있습니다.
● 환경부연구결과에서도산모의소변에서측정한프탈레
이트 농도가 높을수록 신생아 신경행동발달 저하에 영향
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최근 실시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
생 소변에서 측정한 프탈레이트 농도가 높을수록 지능이
낮아지고산만함을증가시키는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건강한 인지발달을 위한 생활 지침
깨끗한공기마셔요.
● 황사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외출하지않도록 하며, 외출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귀가 시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입안을헹구도록합니다.
● 임신 중에는 자동차가 많이 지나다니는 대로변을 피하
고,가능하면대기오염이적은곳에서생활합니다.
● 평소에집안 곳곳에먼지가 없도록 청소를 하고, 카펫은
가급적사용을하지않는것이좋습니다.
● 환기는 황사가 있는 날을 피해 하루 4번 정도하며, 실내
온도는 20도 전후, 습도는 60%를 넘지 않도록 해주는 것
이 좋습니다. 특히, 오래된 건물에 사는 경우에는 환기를
더많이하도록합니다.
납페인트노출을줄이도록해요.
● 오래된 주택인 경우 납 페인트를 부적절하게 제거하면
납 함유 먼지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페인트 제거 시 전문
가와의상의가필요합니다.
● 이러한 주택에는 납 페인트 가루가 떨어져있을 수있으
니집청소를깨끗이자주하도록합니다.
건강하고현명하게음식먹도록해요.
● 칼슘이 풍부하고, 인, 비타민이 들어있는 식품을 가까이
하도록합니다.
● 나트륨,망간의섭취를줄입니다.
● 임산부는특히음주와흡연을하지않도록합니다.
● 임신 중에는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충분한 철분 섭취는
매우중요합니다.
깨끗한물마셔요,
● 집 배관이 오래되었다 의심될 때는 가능하면 배관을 교
체합니다.
● 이러한 교체가 어려운 경우 찬물을 최소한 30초 흐르게
하고,마실때에도2~3분정도흐르게해주세요.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16 17
미세먼지는 어떻게 발생되나요?
미세먼지는 공기 중에서 작은 고체와 액체가 섞여서 만들
어진 먼지입니다. 이는 보통 연소과정에 의해 발생되며 이
때 나오는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등과 금속화합물, 탄
소화합물등의화학물질이섞여서만들어집니다.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는우리눈에보이지않을정도로가늘고작은먼지입자로호
흡시 폐속 깊은 곳까지 도달합니다. 입자크기가 지름 10㎛ 이하(10㎛
는 0.001cm)인 것을 미세먼지(PM10)라고 하며 직경 2.5㎛ 이하를 초
미세먼지(PM2.5)라고합니다.
※PM:Particularmatter로서작은입자의먼지를말함
미세먼지는 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미세먼지는 눈과 코를 자극하며, 호흡을 통해 들어오는
경우 기관지나 폐에 나쁜 영향을 줌으로써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원인이됩니다.
작은 먼지는 폐 속의 작은 공기주머니인 폐포(허파꽈리
라고도 함)까지 깊숙이 들어와 폐에 직접적으로 염증을
일으키고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립니다. 따라서,
환자들은 물론 환경에 민감한 임산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은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면 건강에 나
쁜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우리 예비 엄마들은 뱃속의 소
중한 아이를 지키기 위해 생활 속 미세먼지 노출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사망
●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300만명이대기오염으로 사망하며특히호흡기계질환 사
망률의 증가에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분진과 다른 공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동시에 높을 경우 폐
질환, 심장질환 등의 건강피해를 유발하고 사망률의 급격
한증가를보였습니다.
● 미세먼지는폐포에들어가염증을일으키는데폐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이 더욱 악화되고 혈액순환을 방해하
여 뇌졸중, 심장마비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흡
기 기도에도 염증을 일으켜 원활하게 숨쉬는 것을 방해할
수있습니다.
천식등호흡기계질환
● 아주 작은 미세먼지는 코나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바로 폐 속 깊숙이 침투함으로써 호흡기계에 직접적으로
나쁜영향을줍니다.
● 특히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병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
라 폐렴, 급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등 각종 호흡기질환을
일으킵니다.
● 도로 주변에 사는 어린이들에서 천식과 알레르기 증상
이증가한다는 국외보고들이있었으며, 특히천식증상이
Tip
미세먼지와 건강영향
미세먼지는우리눈에보이지않을정도로작은먼지로써자동차배기가스,난방,담배연기,공장등의연소과정에서
발생됩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경우 안구자극, 호흡기 감염, 알레르기, 심혈관 및 폐질환 악화 등의 건강
영향을초래하는것으로알려져있습니다.
특히면역력이약한영유아나민감한임산부의경우미세먼지노출에더욱취약하기때문에미세먼지를포함한공기
오염물질에가능한노출되지않도록조심하고공기오염을줄이도록노력해야합니다.
2장 ● ➊ 미세먼지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18 19
숯을태우거나폐기물을소각할때
● 숯가마찜질방,숯불구이요리,숯제조업체등에서나무
를태우는과정에서많은양의미세먼지가만들어집니다.
● 일반쓰레기를소각할때도미세먼지가방출됩니다.
오래된건물과낡은옷,오래된책
● 잘 관리되지 않거나 지어진지 오래된 건물에서는 미세
먼지나 세균, 곰팡이 등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청소
와위생에각별히신경을써야합니다.
● 오래되어 먼지가 쌓여 있는 낡은 옷이나 카펫, 천으로
된소파커버에서도미세먼지가발생합니다.
● 오래된책을펼쳤을때도많은양의미세먼지가나옵니다.
담배연기나모기향
● 실내에서 담배를 피우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황
사가심할때보다무려5배가높습니다.
● 담배 피우는 곳(흡연구역)과 금연구역이 구분되어 있더
라도 금연구역에서의 미세먼지 농도가 황사 때와 비슷한
수준이될수있습니다.
● 여행갈때간편하게쓰게되는 모기향(불에태워서연기
가 심하게 나는 모기향)을 태울 때 담배 수십 개비를 태운
만큼의미세먼지가공기중으로방출됩니다.
중국에서날아오는황사
● 황사가 발생하면 미세먼지, 각종 중금속이나 건강에
좋지 않은 물질들이 함께 날아오며, 황사 때마다 한반도
상공에는 4만 6,000~8만 6,000t 가량의 미세먼지가 흩뿌
려진다고합니다.
집안 곳곳을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외출후에는몸을깨끗하게합니다
● 집에돌아오면먼저손과얼굴을깨끗하게씻도록합니다.
● 귀가할 때는 집밖에서 옷을 털고 들어와 바깥의 먼지가
집안에들어오지않도록해야합니다.
생활속에서실천하는미세먼지줄이기
● 평소에집안에먼지가쌓이지않도록청소를자주합니다.
● 카펫은자주청소를해주고호흡기질환자가있을경우
가급적사용하지않는것이좋습니다.
● 가습기는 미세먼지 감소 및 실내습도 유지에 효과적이
지만 곰팡이나 세균이 생기지 않도록 꼼꼼하게 청소를
해야합니다.
● 가습기 살균제의 경우 성분이 확인되지 않은 살균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가습기
안전 사용요령(예. 새물의 매일 교환, 중성세제 세척 등;
www.cdc.go.kr)을숙지하도록합니다.
● 산모와 어린이에게는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지 말아
야합니다.
집안의먼지를줄이기위해자주환기를합니다
●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황사가 있는 날을 피해서 하루
4번 정도 환기를 시켜주고, 실내온도는 20도 전후, 습도는
60%를넘지않도록유지합니다.
● 오래된 건물에 거주하는 경우 환기를 자주 하여 집안의
먼지를제거합니다.
● 그러나 집주변에 공장이 있거나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
가 있는 경우에는 잦은 환기를 자제하고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것이도움이됩니다.
부엌에서발생되는미세먼지를차단하도록합니다
● 부엌과거실은분리하여사용하는것이좋습니다.
● 부엌에서 요리를 할 때는 반드시 환기팬을 가동시켜
미세먼지발생을줄이도록합니다.
● 요리전・후5분씩환기를합니다.
있는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질수록 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높아지고가래증상이심해졌습니다.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에서도 미세먼지
노출은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결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태아성장
● 미세먼지 노출이 뱃속의 태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았지만, 관
련연구결과들이보고되고있어주의할필요가있습니다.
● 일부 국외 연구에서는 실외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 수
록 태아의 복부둘레 및 대퇴길이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
였고국내연구에서도이와유사한결과를보였습니다.
임산부와출산에대한영향
● 미세먼지는 염증반응을 일으켜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태반의 산소와 양분의 운반이 감소될 수 있으며 임산부의
면역기능을 약하게 함으로써 병원균 등에 더 쉽게 감염될
수있습니다.
● 국외 연구들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질수록
조산,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선천성 기형,
사산과도관련이있었습니다.
● 한편,국내에서도미세먼지노출과 조산,저체중아 출생,
임신주수 및 출생체중 감소의 관련성을 보고하는 연구들
이발표되었습니다.
인지발달
● 간접흡연이 인지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연구
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미세먼지 노출과 아기의
인지발달의관련성을보고한연구는거의없습니다.
● 그러나 간접흡연 속에 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
에안심할수는없는상황입니다.
● 최근 환경부 연구에서는 베일리 검사(영유아 인지발달
검사)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영유아의
인지및동작성점수가낮아진다는것을확인하였습니다.
미세먼지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자동차배기가스와공장에서날리는먼지
● 대도시의미세먼지는많은부분이자동차배기가스에서
발생합니다.
● 공장에서 물건을 만드는 과정에서 불을 사용할 때 유해
물질들이함께섞인미세먼지가발생하게됩니다.
지하도또는지하에서의작업
● 지하철 승강장의 미세먼지 농도는 황사 먼지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의 절반 이상에 해당합니다. 더욱이 지하철
내부의미세먼지농도는실외농도보다더높습니다.
● 철(Fe) 성분이 포함된 지하철의 미세먼지는 실외 미세
먼지보다유해성이높을수있습니다.
● 지하도 또는 지하에서 직접 작업을 할 때, 또는 작업복
을 입고 가정에 들어오거나 작업복을 세탁할 때 미세먼지
에노출될수있습니다.
부엌의가스레인지
● 부엌과 거실을 분리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실내 미
세먼지 농도가 높아집니다. 가스레인지 등으로 요리를 할
때미세먼지가많이나오기때문입니다.
● 특히 가스불보다 숯불을 사용하는 경우에 먼지농도가
더높아질수있습니다.
청결한가습기관리
● 가습기를 깨끗하게 청소하지 않아 곰팡이나 세균이 생
기는 경우에는 건조한 경우보다 오히려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증가시킬수있습니다.
● 하지만 가습기 청소를 위해 사용하는 가습기 살균제는
폐 손상 등 건강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특히
민감한 산모와 태아, 어린이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
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0 21
2장 ● ➋ 휘발성 유기화합물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우리 생활공간 곳곳에 다양하게 분포하며 노출 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노출되면 피부와 호흡기 등에 자극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러한 물질은 ‘새
집증후군’이나‘새가구증후군’의원인으로알려져있습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학교나 지하철 역사 등 공공시설에서의 노출원에 대한 조사가 주로 수행되었고 건강영향, 특히
산모와및영유아에대한연구는부족한실정으로명확한증거를밝히기위해서는추가연구가필요한상황입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건강영향
간접흡연에노출되지않도록합니다
● 가족 중에 흡연하는 사람이 있으면 산모를 위해 실내에
서는 절대 금연하며, 외부에서 흡연하고 곧바로 집안으로
들어오지않도록합니다.
● 임산부와 어린이는 흡연구역에 절대로 가지 않도록
하며흡연구역근처의금연구역도피하도록합니다.
● 주위에담배피우는사람이있으면자리를피합니다.
황사나먼지가많은곳에서는마스크를꼭착용합니다
● 황사가 심한 날이나 지하도 또는 지하에서작업을할 경
우에는 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되므로 마스크를 꼭 착용해
야합니다.
● 마스크는성능시험을통과한마스크를착용합니다.
● 남편이 지하에서작업하는 경우, 옷을 세탁할 때 손으로
직접하지않고세탁기를이용합니다.
식물을키우면미세먼지노출을줄이는데도움이됩니다
● 일부 식물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습니다(인도고무나무, 싱고니움, 헤데라,
벤자민고무나무, 분화국화, 시클라멘, 꽃베고니아, 허브류
팔손이나무,국화류등).
● 식물을 베란다에 두지 말고 생활공간인 거실, 침실,
부엌,서재등에도놓아야미세먼지제거에효과가있습니다.
● 잎 표면적이넓은 식물이먼지를 잘 제거하므로 잎이큰
식물을 키우면 더 좋습니다. 식물의잎은 정기적으로 닦아
주도록합니다.
※마스크는 산업안전공단의 검증필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외품표시가있는지확인합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2 23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우리 아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 최근의역학연구를살펴보면고농도의휘발성유기화합
물의 노출이 태아시기 성장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것으로보고하고있습니다.
● 천식환자 및 화학물질에 민감한 사람은 낮은 농도의 휘
발성 유기화합물에 장기간 노출이 되는 경우에도 알레르
기증상이악화되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폼알데하이드는 동물 연구를 통하여 발암성이 의심되
어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는‘잠재적인체발암원인물질’로
규정하고있습니다.
신생아출생체중
● 국외 연구에서 폼알데하이드 농도 증가 시 출생체중
2500g 미만의 저체중아 발생 위험이 1.68~1.86배 증가하
였으며, 국내 연구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높
은산모로부터태어난신생아에서출생체중이낮았습니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벤젠의 경우 엄마의 혈액으로부
터 영향을 받아 기형아, 태아의 성장발육 지연, 골수에
영향을주는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 동물 연구 결과,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은 태내염증반
응 등 자극성 반응 및 산화성 손상과 관련을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나 인체의 건강영향에 대한 잠재적 기전을 제시하
였습니다.
알레르기질환
● 환경부연구에서는예비결과로일부민감군에서고농도
의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폼알데하이드에노출된
산모에서 태어난 경우 2세 이전에 아토피 질환이 발현할
위험이더높은것을발견하였습니다.
● 그러나 현재까지 태아시기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노
출된 아이들에서 알레르기 질환이나 증상을 유발한다는
명확한 증거는 아직없으며이를 밝히기위한 여러연구가
진행중입니다.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 줄이기
충분한환기를통해휘발성유기화합물을줄여요
● 새로운 가구나 신축건물, 리모델링 주택 등에는 가능한
한 노출되지않도록 주의하고, 부득이하게사용하게될경
우충분한환기를통해유해물질을모두휘발시킨후입주
하도록합니다.
● 하지만 집주변에공장이있거나 차가 많이다니는 도로
가 있는 경우에는 잦은 환기를 자제하고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것이도움이됩니다.
공기청정기를사용하시는경우필터를깨끗하게유지하는것
이매우중요합니다!
● 드라이클리닝과정에서다량의 VOCs가 방출될 수 있으
니 비닐을 벗기고 실외에서 충분히 환풍시킨 후 옷장에
넣도록합니다.
현명한구매를합니다
● 임산부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좋지 않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폼알데하이드 등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주거 생활
용품의사용을자제하도록합니다.
● 가구를 구입할 때는 친환경제품인지 확인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노출을줄입니다.
환경부에서는일정한기준을통과한가구에
KS마크를통해친환경가구를지정하고있습니다.
알맞은온도와습도를유지해주세요
● 건축 내장재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온도와
습도가 높으면 방출량이 늘어나므로 적절한 실내 온도와
습도를유지하여휘발되는정도를낮추는것이좋습니다.
● 난방을 많이 하는 겨울철에 실내 적정온도(18~20도)를
유지하도록합니다.
Tip
Tip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거주환경
● 공장, 자동차 매연 등으로 오염된 공기에휘발성 유기화
합물이포함되어있습니다.
● 특히자동차가많은대로변에서는배기가스에서배출되
는휘발성유기화합물에노출될우려가높습니다.
● 환경부 연구에서도 거주지로부터 200m 이내에 도로가
있는 가정이 도로로부터 멀리 거주하는 가정에 비해 총
휘발성유기화합물의농도가높은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이란?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대기 중
에서 일어나는 광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휘발성 액체 또는 기체상 물질
로 아세톤, 벤젠,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등의 개별물질을 전부
합쳐서 부르는 말입니다. 일부 물질의 경우 사람이 노출될 때 자극증
상, 구토 등 급성 영향을 일으키며 일부는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유해물질로알려져있습니다.
‘새집증후군’,‘새가구증후군’
새로 지은 집(또는 건물)이나 리모델링(새 가구 구입 포
함) 후 입주하면 두통, 눈·코·목의 자극,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나 건강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새집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이는
집을 지을 때 사용된 건축자재나 마감재료 등에서 벤젠,
톨루엔, 폼알데하이드, 라돈, 석면 등의 유해오염물질이
나오기때문입니다.
특히, 태아나 영유아는 미성숙하고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
에일반인에비해더과민한 건강영향을 나타낼 수있습니
다. 따라서, 신축(또는 리모델링) 건물에 입주하기에 앞서
베이크아웃(Bake-out)을 하거나 충분한 환기를 하는 것
이중요합니다.
베이크아웃(Bake-out)
실내온도를 높여 건물의 건축자재나 마감재료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물질들의배출을일시적으로증가시킨후환기를통하여제거하는방법
새로구입한가구등주거·생활용품
● 새로 구입한 가구와 차량에서도 높은 수준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노출될수있습니다.
● 또한 어린이용 가구, 의류 그리고 문구류(펜류) 등 일부
제품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
습니다.
● 특히 새로 태어나는 아이를 위해 출산용품을 준비하거
나 아기방을 꾸미는 경우, 가구나 제품 등으로 부터 유해
물질이배출될수있으므로각별히주의하여야합니다.
● 이외에일상적으로사용하는방향제나헤어스프레이등
분사 및 고체형 제품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방출될
수있습니다.
높게설정된실내온도,습도
● 건축내장재에서발생되는휘발성유기화합물은실내의
온도 및 습도 조건 등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흡착과 탈착
의반복과정을통해방출됩니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상온에서도 휘발성을 갖지만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더욱 잘 휘발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Tip
Tip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4 25
2장 ● ➌ 납
납은 약 4,000년 전부터 사용되어 여러 금속들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것 중 하나입니다. 사람의 몸에 해로운
중금속으로 그 위험성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납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 사람들은 다양한 노력을 해 왔습니
다. 그러나 2010년 10월 나이지리아에서는 무려 400여 명의 아이들이 납중독으로 사망하는 등 최근까지도
지구 일부 지역에서는 납중독이 우리 어린이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또한, 높지 않은 농도의 납에 노출되더라도 민감한 아이들에게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납과 건강영향
자동차가많이지나다니는곳은피해요
●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하나인 벤젠은 자동차 연료 연소
에의해대표적인실외공기오염물질이기도합니다.
● 임신 중에는 가능한 자동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변은
이용하지 말고, 대기오염이 심하다고 느껴지는 곳은 피해
야합니다.
몸을튼튼하게!건강수준증진전략
● 산모와 태아의 건강 증진을 위해 임신기간 중 영양섭취
를충분하게하여건강한신체를유지합니다.
● 집이나직장에서의간접흡연은휘발성유기화합물에대
한노출위험도증가시키므로주의합니다.
우리아이를위해알아두면좋은정보사이트
✽화학물정보시스템(http://ncis.nier.go.kr)
유해화학물배출정보및관련동향제공
✽실내환경정보센터(http://www.iaqinfo.org)
실내환경에서의유해물에대한정보및새집증후군등
유해환경영향에대한정보제공
✽케미스토리(http://chemistory.go.kr)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춘 화학물 정보 및 생활터별(집, 놀이터, 학교 등)
유해물정보제공
✽녹색제품정보시스템(http://greenproduct.go.kr)
친환경상품소개및검색제공
참고자료
✽폼알데하이드저감을위한권고사항(캐나다보건원)
•실내에서절대담배를피우지않습니다.
•주차장,현관(입구),창문근처에서공회전을하지않습니다.
•건축자재나 생활용품은 가능한 폼알데하이드 방출률이 낮거나 무함
유제품을이용하고판매자나제조업체에사용정보를문의합니다.
•폼알데하이드방출을낮추기위하여전면코팅된제품을구입합니다.
•페이트칠이나니스작업을한후나접착제를이용한카펫설치시아주
충분한환기를하도록합니다.
•폼알데하이드를 함유한 모든 제품은 실내로 들여오기전에 공기 중에
서충분히환기를시킵니다.
•폼알데하이드방출을낮추기위하여실내습도를여름에는50%이하,
겨울에는30%이상으로관리하고필요한경우제습기를사용합니다.
✽폼알데하이드저감을위한권고사항(미국환경청)
•에어콘과제습기를사용해적정온도·습도를유지합니다.
•가정내에새로운폼알데하이드방출원이있는경우특별히환기에신
경을씁니다.
•건축자재, 가구를 구매하기 전 합성압착제의 폼알데하이드 방출정도
와위해에대하여문의합니다.
•폼알데하이드와 관련하여 부정적인 신체반응을 경험한 경우, 방출이
의심되는물품의사용을피합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6 27
노후된집이나건물의페인트,벽지
● 매우 오래된 건물이나 집은 납에 대한 위험성이 알려지
기전에지어졌으므로, 납이함유된 페인트나 벽지가 사용
되었을가능성이높습니다.
● 실제로 페인트가 벗겨지면서 코로 흡입이 되기도 하고,
아이들은 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주워 먹기도 하기 때문에
특히 노후된 집에 거주하면 납에 대한 노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낡거나노후된수도관
● 납이 함유된 낡은 배관에서는 수돗물에 납이 녹아 나올
수있고,우리가이물을마실경우납에노출되게됩니다.
● 실제로미국에서는극빈층의아이들이상대적으로혈중
납농도가 높았는데 이는 낡은 집의 오래된 수도관이 원인
이라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수도관을 교체한 이후 납 노출
이감소된사례가있었습니다.
장난감,학용품등의페인트
● 최근 들어 선진국에서는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물건들
(장난감, 학용품 등)에 대해서는 철저히 납이 들어간 성분
들을 배제하고 있으며, 이에대하여표시를 하도록 규정하
고있습니다.
● 따라서 어린이용 장난감이나 학용품 또는 기타 가구 등
을 구입할 때이러한 성분 표시에대하여유의하여살펴보
는것이좋습니다.
납은 우리 아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납은 태아기의 성장과 임신 결과뿐 아니라 영유아기의
신체 성장과 인지발달, 청소년기의 성격 형성 등 어린이들
의신체및신경인지발달에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알려져있습니다.
태아성장
산모의 경우 칼슘을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뼈의 대
사가 높아지면서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액으로 방출될 가
능성이 높아지며, 산모 혈액에 존재하는 납은 태반을 잘
통과하기때문에태아또한납에노출되게됩니다.
● 여러 연구들에서 산모의 혈중(또는 뼈)의 납 농도가 높
을수록 출생시신장, 체중이나 머리둘레가 감소하는 결과
를보였습니다.
● 또한 태아시기의 납 노출은 임신 주수를 감소시키고
조산,저체중아출생의위험을증가시켰습니다.
● 저체중아로 태어난 신생아의 태반에서 납, 카드뮴, 비소
등의수준이훨씬높았습니다.
● 초음파 자료를 이용하여 자궁 내 성장을 살펴본 환경부
연구에서혈중납농도가높은산모의태아는혈중납농도
가 낮은 산모의 태아보다 머리 둘레, 허벅지뼈 길이가 짧
았습니다.
신체발달
● 출생 후 납농도가 높은 경우 키의 성장 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데 이러한 영향에 대해서는 임신 초기에 납농도가
높은 경우, 태어난 아이들의 성장이 느려질 가능성이 높다
는연구결과가있습니다.
● 자각증상이없는납노출조차도작은성장과연관이있
다는연구결과가보고되었습니다.
● 환경부 연구결과 24개월 영유아의 경우 산모의 임신
말기 납농도가 가장 낮았던 군의 신장이 가장 컸으며,
임신말기와 제대혈의 납농도가 가장 낮았던 군의 체중이
가장높게나타났습니다.
납은 어떻게 노출되나요?
● 임산부가 납에 노출되면 이는 태아까지 전달됩니다.
엄마의 영양분이 혈류를 통해 태아에게 전달될 때 혈액에
섞인 납 또한 태아에게 전해지므로 태아 역시 만성적으로
납에노출될위험이있습니다.
● 더욱이 어린 아기들은 모든 것을 입으로 가져가는
특성이 있어서, 안전하지 않은 장난감이나 물건을 직
접 빨거나 이를 만진 손을 입에 가져감으로써 납에 노
출될 위험이 높습니다. 입을 통해 들어온 납은 아이의
경우 어른에 비해 소화기관에서 더 많이 흡수됩니다.
납이란?
납은 유해한 중금속 중 하나로 오늘날에도 건전지, 페인트, 광택제, 땜
납, 장난감, 포장지, 학용품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염된 공기와 흙, 음식물, 장난감에 포함되어 있는 납은 호흡기나 소
화기를 통해 우리 몸에 들어와 흡수되며, 여러 조직과 뼈, 치아에 축적
됩니다. 납은 우리 몸에 한 번 들어오면 잘 빠져나가지 않는 특성이 있
으므로무엇보다노출되지않도록주의하는것이중요합니다.
납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염된공기
● 공장, 자동차 매연 등으로 오염된 공기와 황사 등에는
납이다량포함되어있습니다.
● 우리나라 등 주요 국가에서는 유연휘발유를 납이 함유
되지않은무연휘발유로교체하고난이후공기중에함유
된납농도가감소하는효과를보았습니다.
오염된흙
● 어린 아이들은 흙 장난이나 모래 장난을 매우 좋아하는
데흙과 모래가 깨끗하지않고, 공장 근처에서가져오거나
여러가지폐기물들과섞여있을가능성이있습니다.
● 아이들이 납에 오염된 흙이 묻은 손이나 물건, 모래 등
을 입으로 가져가거나 흙이 묻은 손으로 음식물을 친구들
과 나누어 먹으면서 납에 노출이 될 가능성이 어른들보다
높으므로주의하여야합니다.
Tip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8 29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납 노출 줄이기
깨끗한공기마시기
● 황사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외출하지않도록 하며, 외출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귀가 시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입안을헹구도록합니다.
● 임신 중에는 자동차가 많이 지나다니는 대로변을 피하
고,가능하면대기오염이적은곳에서생활합니다.
● 일상생활에서 무연휘발유를 사용하여 대기 중에 납이
배출되는것을예방합니다.
납페인트노출줄이기
● 오래된 주택의 납 페인트를 부적절하게 제거하면 공기
중으로 납 함유 먼지가 날아가 오염이 심해질 수 있습니
다.반드시전문가에게도움을요청하시기바랍니다.
● 위의 조치가 어려울 경우, 납 페인트 가루가 떨어져
있을수있으니집청소를깨끗이자주하도록합니다.
직장에서의노출조심하기
● 직장에서 유해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면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작업장에서는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도
록 합니다.
● 집에 돌아온 후에는 깨끗이 씻고, 직장에서입었던 옷들
을따로분리하여세탁합니다.
● 직장에서도 가능하면 자동차가 많이 다니는 곳을 피하
도록합니다.
유해한환경에대한노출줄이기
● 다른 중금속과 함께 노출되면 납의 해로운 영향이 증가
하므로,다른 중금속에대한 노출도 줄이도록 주의를기울
입니다.
● 직장이나 집에서의 간접흡연은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주위에 담배 피우는 사람이 있으면
자리를피합니다.
건강하고현명하게음식먹기
● 임신 중에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충분한 철분 섭취가
매우중요합니다.
● 임산부는특히음주와흡연을삼가도록합니다.
● 칼슘이 풍부하고 인, 비타민이 들어있는 식품을 섭취
합니다.
● 나트륨,망간의섭취를줄입니다.
깨끗한물마시기
● 거주지의 배관이 오래되었다고 의심될 때는 가능하면
배관을교체합니다.
● 배관 교체가 어려운 경우 찬물을 최소한 30초(마실 경
우2~3분정도)흐르게한후사용합니다.
납노출을줄일수있는현명한구매하기
● 장난감 및 학용품을 구입할 때는 원산지를 확인하여
현명한 구매를 하도록 합니다(중국, 대만, 인도 등에서
제조된 장난감이 미국에서 납 기준초과로 리콜된 사례
가 있습니다).
● ‘납이 포함되지 않은 페인트를 사용하였다’는 문구가
들어있는지확인합니다.
● 아이들이 장난감과 학용품을 입에 넣지 않도록 주의합
니다(색종이나, 스티커북, 어린이 장신구 등 일부 품목에
서납이검출된바있기때문입니다).
아이들의청결유지하기
● 놀이터에서 깨끗하지 않은 흙, 오래된 놀이기구에 칠해
져있는페인트등을통해납이노출될수있으니아이들이
놀이터에서놀때손을입에가져가지않도록주의합니다.
● 밖에서 놀고 들어 온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도
록 합니다.
인지발달
납은영아기부터청소년기까지급속도로발달하는뇌에영
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있습니다. 또한,어린이가 현재
의 권장 혈중 납농도인 10㎍/㎗ 이하의 낮은 농도에 노출
된 경우에도 지능이 떨어지고 집중력 저하, 과잉행동, 비행
과같은문제행동을유발되는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인지기능,학업성취도
● 현재의 권장 혈중 납농도인 10㎍/㎗ 이하의 노출도
인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 납은 낮은 수준에서 지능뿐 아니라 문제해결 능력, 기억
력, 계획 능력 등을 저하시키고 학업성취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혈중 납농도가 높을수록 지능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특히망간과 동시에노출된경우에이러한 영향이더욱 커
지는것을볼수있었습니다.
영유아발달
● 폴란드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임신 중 납에 노출된 정도
와 출생 6개월 후 영아들의 발달이 반비례하였으며, 추적
조사 결과 이러한 영향은 12개월 및 24개월까지 지속되는
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 우리나라 신생아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제대혈중의
납농도가 신생아 신경행동발달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것
을발견하였습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및행동장애
●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낮은 농도에서도 납
노출은 간접흡연과 같이 작용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ADHD)및행동장애를증가시켰습니다.
● 우리나라 초등학생 대상 연구에서도 혈중 납농도는 집
중력 및 학업성취도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
습니다.
납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칼슘,인,비타민D
칼슘대사에 이용되는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임신 중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납의 혈중
방출을감소시킬수있습니다.
철분
철분 섭취가 모자라면납이철대신인체에흡수되어납에
대한 노출이 증가합니다. 임신 중에 충분한 철분 섭취는
매우중요합니다.
단백질, 아연,비타민A,비타민B2,비타민C
위의 영양소를 우리나라 평균 권장량보다 많이 섭취한 산
모의경우상대적으로납농도가낮았습니다.
나트륨(Na)
나트륨의섭취가증가할수록납농도가높아졌습니다.
망간(Mn)
망간의 혈중 농도가 높으면 정상적인 납농도에서도 인지
기능에보다좋지않은영향을미칠수있습니다.
흡연과음주
● 음주와 흡연이 납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
습니다(이는담배와술에포함된납이체내로흡수되기때
문으로생각됩니다).
● 흡연과 납 노출이동시에이루어질경우 지능에더욱 좋
지않은영향을미칠수있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30 31
수은은 어떻게 노출되나요?
수은은 환경중에서여러가지오염경로로인체에노출될
수 있는데 생태계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와
인간 활동으로 인한 환경오염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로 구
분됩니다.
유기수은은 섭취를 통하여 체내에 쌓이고 배설이 잘 되지
않습니다. 특히 유기수은의 한 종류인 메틸수은은 어패류
의체내에쌓여있다가이것을섭취한 사람의몸 속에들어
와 중독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러므로 작업환경이
아닌 일반환경에서는주로유기수은중독이문제가됩니다.
무기수은은 체온계, 혈압계, 각종 계기, 치과용 아말감, 수
은전지, 형광등 제조 등의 제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
며대부분 직업에서주로 흡입을 통해노출이됩니다. 무기
수은 자체로는 소화관과 피부로 흡수가 쉽게 되지 않으므
로 태반을 쉽게 통과하지 않으나, 무기수은이 미생물에 의
해 유기수은으로 전환되어 작은 동물에게 섭취되면서
먹이사슬을통해인간에게까지노출될가능성이있습니다.
수은이란?
수은은 중금속의 하나로 체내에 들어가면 중독의 위험성이 있으며 금
속수은, 무기수은, 유기수은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현대 사회의 급속
한 환경오염은 유해 금속 및 유기 화합물 등 다양한 오염물질에 의해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수은은 분해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태계에
오랫동안 남고 쌓이면서 체내로 섭취 또는 흡입되어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수은은 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산모의 몸 속 수은농도가 높을 경우 조산아 출생 또는
출생 시 체중 저하 등 임신 결과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
이 기존 연구들에서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산모의 혈중
수은 농도가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더라도 민감한 태
아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
일필요가있습니다.
임신결과
● 환경부 연구에서 산모의 혈액보다 태어난 아기의 제대
혈내 수은농도가 더 높아 세계보건기구 기준치인 5ppb에
근접하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생선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본, 스페인에서
도 엄마보다 아기의 수은농도가 높았으며, 그린랜드 지역
에서도 제대혈의수은농도는 엄마의수은농도보다 약 2배
가량높게보고되었습니다.
● 이는 산모와 태아를 잇는 제대혈 속의 수은이 태반을
바로통과해태아에게곧장흘러들어가기때문입니다.
● 터키, 그린랜드, 스페인 등 많은 국외 연구들이 아기의
제대혈의 수은농도가 높을수록 출생 시 아이들의 체중이
감소한다고보고하였습니다.
● 선천성 미나마타병은 산모의 유기수은 노출로 인하여
태아에 영향을 미쳐 많은 영아들이 뇌성마비와 같은 심각
한뇌신경장애를가지고태어났습니다.
성장발달
● 산모의수은 노출이출생 후 영아 성장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매우 부족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
한상태입니다.
● 2003년 덴마크의 연구에서는 제대혈 메틸수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18개월 영아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고국내연구에서도 비슷한결과를보였습니다.
● 동물 실험 연구에서도 높은 수준의 수은에 노출된 어미
에게서 태어난 새끼들이 출생 후 체중에 영향을 받는 것으
로 발견되었습니다.
인지발달환경성질환
● 환경부에서 수행된 연구결과, 태아 시기의 수은농도가
증가할수록 알레르기로 인한 병원 방문 횟수가 증가하는
추세를보였습니다.
● 그러나 태아의 수은 노출이 아이들의 알레르기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국내외적으로 부족한 실정으
로 보다 명확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
가필요합니다.
Tip
수은과 건강영향
수은 중독은 1956년 일본의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에서 메틸수은이 함유된 조개 및 어류를 먹은 주민들에게서 집
단적으로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면서 그 유해성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미나마타 시에
있는 신일본질소 주식회사의 공장에서 배출된 폐수 안에 함유되어 있던 메틸수은(유기수은의 일종)이 물 속에 사는
동물성 프랑크톤과 어패류들을 오염시켜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 내에까지 축적이 되어 나타난 대표적인 환경오염 사
례입니다.
수은은 대기 중에서 증기상으로 1년 이상 장시간 체류하여 거리를 이동하는 특성이 있어 수은에 의한 대기오염은 한
국가에서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국에서 수은의 유해성
및노출특성,그리고수은노출을줄이는방안에대한연구들이활발히이루어지고있습니다.
2장 ● ➍ 수은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32 33
Tip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수은 줄이기
몸집이큰생선은주2회이상섭취하지마세요
● 임신과 모유수유 중에는 옥돔, 왕고등어, 황새치, 상어
등몸집이큰생선은먹지않는것이좋습니다.
● 임신 중에는 어패류를 일주일에 2번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바람직합니다(이는국내담수어패류기반기준에따
른것입니다).
● 미국 환경보호청 조사에서 수은이 비교적 적게 함유된
생선으로 새우, 연어, 대구, 메기가 있었으며 우리가 즐겨
먹은고등어,갈치,꽁치,조기의수은함량도낮았습니다.
직업상유해물질을다룬다면조치요령을꼭알아두세요
● 직장에서 수은 등과 같은 유해물질들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면호흡보호구를꼭착용하시기바랍니다.
● 직장에서 돌아온 후에는 깨끗하게 씻고, 직장에서 입었
던옷은따로분리하여세탁하도록합니다.
● 수은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수은 검사에 대해 의사와
상담을하는것이좋습니다.
임신중아말감치료나제거는하지마세요
● 임산부나 가임여성의 경우 체내 수은농도를 증가시킬
수있는아말감치료및제거는미루는것이좋습니다.
● 임신 중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능한 수은이 들어있
지않은재료를사용하는지확인하시기바랍니다.
차가많이다니는도로근처는피해주세요
● 임신 중에는 차가 많이 다니는 곳에는 통행을 삼가도록
합니다.
야채와과일로수은을낮춰보세요
● 만성적인 수은축적을 회복시키는 일은 쉽지 않지만
비타민C, 셀레늄, 황을 함유한 아미노산 등은 수은축적 치
료에도움이됩니다.
● 과일(귤, 오렌지, 자몽, 딸기 등), 채소(피망, 브로콜리,
양배추, 토마토 등) 등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은 체내 중금
속농도를줄이는데도움이됩니다.
수은노출시대처법
1.수은을쏟은장소로부터사람을격리시킵니다.
2.쓰레기봉투,고무장갑등청소용품들을준비합니다.
3.눈에보이는수은방울들은카드와종이를사용해치웁니다.
4.플라스틱용기안에수은을조심해서넣어안전한곳에폐기합니다.
5.아직제거하지못한수은이있는지조사합니다.
6.수은이오염된가능성이있는모든물품들을따로모아둡니다.
7.오염된방을환기시킵니다.
8.의사에게수은검사에대해상담을받습니다.
9.수은에노출되었을 것 같은 물품(카펫등)들을 폐기하는 것을 고려
해야합니다.
수은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몸집이큰생선
● 생선은 지방산 오메가3가 많이 들어있고 양질의 단백질
이많아우수한식품으로알려져있지만 수은노출과관련
해서는주의를기울일필요가있습니다.
● 미국 환경보호청에 의하면 몸집이 큰 생선으로 알려진
상어, 황새치, 고래, 옥돔 등은 수은농도가 높은 생선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환경부 결과에서도 임신 전 몸집이 큰 생선 섭취량이 많
은 경우에 혈중 수은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임산
부와태아에게더민감한건강영향을나타낼수있습니다.
직업노출이있는경우
● 스페인과홍콩연구에서수은에노출되는직업을가진경
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수은농도가 높았고, 독일의 산
모연구에서도작업장에서의수은노출이적은산모보다높
은산모에서태아의성장지연위험이1.8배나높았습니다.
아말감
● 치과용 아말감이 수은농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 결과들이 일치되지 않아 확증적인
결론을내리기어려운상황입니다.
※아말감:은을비롯하여몇가지금속가루들과수은을섞어아
말감 메이터라는 기계를 통해 혼합한 것으로 무게비 약 50%의
수은이들어감
● 영국 연구에서는 임신 중 아말감을 제거하거나 교체하
였을경우수은농도가 높게나타났다고보고한바있으나,
아말감 치료는 임신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결
과들이보고되기도하였습니다.
백신주사
● 백신의 보존제로 수은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예방접종을통해수은에노출될수있습니다.
집과도로와의거리
● 환경부가 2005년 성인 2천 명을 조사한 결과 교통량이
많은 도로를 기준으로 50m 이내 지역에 사는 사람의
혈중 수은 농도는 4.55㎍/l, 300m 이상 떨어져 사는 사람
은3.84㎍/l로유의한차이를보였습니다.
대기오염
● 대기에서 장기간 이동한 기체 수은은 수면 또는 지표면
의 미생물에 의해 무기수은에서 독성이 강한 유기수은인
메틸수은으로변환됩니다.
● 그 후 미생물을 먹는 생선을 통해생물에축적되어최종
소비자인인간에게큰영향을미치게됩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34 35
프탈레이트는 어떤 물질인가요?
프탈레이트(Phthalates)는 우리 실생활에 이용하는 여러
제품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가소제(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물질)입니다. 고분자량 프탈레이트인 Di-ethylhexyl
phthalate(DEHP), Butyl benzyl phthalate(BBP)
등은 PVC, 바닥재, 의료용 튜브, 음식포장용기 등의
플라스틱 제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Diethyl
phthalate(DEP)과 Dibutyl phthalate(DBP) 등의 저
분자량 프탈레이트는 화장품, 살충제의 용매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완구및어린이용품생산수입금지사례
•유럽연합
2005년 7월 유럽연합(EU) 독성·생태독성 및 환경과학위원회에서는
DEHP,DBP,BBP 등 3종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생식독성이있다는
것을 최종 확인하여 이 성분이 들어간 완구와 어린이용 제품에 대하여
유럽연합내에서생산및수입을금지하기로하였습니다.
또한DINP,DIDP,DODP3종의경우에는아이들이입에넣었을때침과
접촉하여노출될수있는3세이하의장난감및어린이용제품에대하여
사용이금지되었습니다.
•우리나라
2003년4월시민단체의조사결과수입및국산화장품에서프탈레이트
성분이 검출된 뒤, 식약청에서는 화장품 내 DEHP, DBP 사용을 금지하
였습니다.
DEHP,DBP,BBP등의경우해당물질이0.1%초과하여함유된물질로
는 완구및육아용품,수액백 등의용도로는 사용하지않을 것을 업계관
계자들과협약하여업계스스로의자율이행협의회를구성하였습니다.
프탈레이트는 어떻게 노출되나요?
프탈레이트는 작업장, 자동차 내장재, 건축자재를 통한 공
기흡입과화장품류를통한피부흡수,PVC튜브등의의료
기기 사용, 장난감 등 어린이 용품, 식품포장이나 생산 과
정에서오염된음식의섭취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노출될
수있습니다.
경구(입)노출위험:높아요
● 플라스틱용기에뜨겁게데워진음식
● 플라스틱장난감,인형등을입으로빠는행동
● 프탈레이트가포함된의료튜브를통한수유및수혈/수액투여
피부 노출위험:중간이에요
● 화장품등
실내공기노출위험:중간이에요
● 비닐마루등에서배출되기도합니다.
● 집먼지에서검출됩니다.
음용수노출위험:낮아요
● 식용수에서검출되기도하나,대체로낮은농도로검출됩니다.
대기,토양,침전물노출위험:낮아요
● 대기와 토양,침전물에도 존재하지만 생활 속에서는 중요한 노출
원은아닙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
프탈레이트및 비스페놀 A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s)이란 생명체의 정상적인 호르몬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로서 체내
에유입되면호르몬처럼작용한다고하여‘환경호르몬’이라고불리기도합니다.내분비계장애물질로의심되는화학
물질들에는 음료수 캔의 코팅제로도 쓰이는 비스페놀A,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가소제인 프탈레이트, 쓰레기
소각장에서발생하는다이옥신등이있으며갈수록내분비계장애가의심되는물질이늘어나고있습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특성은 환경 중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인체 또는 생물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것입니다.
그동안 인체 생식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보고되었고 남성에서는 생식력 저하, 생식기 관련 암의
발생위험이의심되고있으며,여성의경우유방암,생식기암의발생위험이의심되고있습니다.
2장 ● ➎ 내분비계장애물질 -프탈레이트 및 비스페놀 A-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36 37
비스페놀 A는 어떻게 노출되나요?
주로 음식물이나 음료를 통해 비스페놀 A에 노출되며, 이
외에 공기, 먼지, 물 등을 통해 노출되기도 합니다. 비스페
놀 A는 내부의에폭시수지코팅처리를 한 음식이나 음료
용기(음료수 캔, 병뚜껑 등)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
틱으로 만들어진 제품(아기젖병, 음식용기, 물병등)으로
부터 음식에 옮겨지게 됩니다. 이때 액체의 온도가 높을수
록 더 많은 양의 비스페놀 A가 녹아 나올 수 있으므로 주
의가필요합니다.
최근에는 비스페놀 A가 피부를 통해 흡수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보고되기도하였습니다.
플라스틱제품
● 아기젖병,컵,숟가락 ● 음식용기,물병
● 자동차용품 ● DVD,CD
코팅처리를한경우
● 음료수캔,병뚜껑 ● 식수관
피부
● 코팅된감열지 ● 영수증
치과재료
● 치과에서치아의씹는면을덧씌우는데쓰이는실란트
기타노출원
● 이외에쓰레기매립장침출수,공장폐수,실내공기등
비스페놀 A는 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현재까지 비스페놀 A에 대한 연구는 동물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입
니다.일반 사람들에서보이는 낮은 수준의노출이사람에
게 나쁜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는 상태로 선진국에서도 비스페놀 A의 위해성 관리를
위한근거확보를위해다양한연구가진행되고있습니다.
동물실험연구
● 출생 전에 비스페놀 A에 노출된 새끼 쥐에서 난소 무게
가증가하는것을관찰하였습니다.
● 비스페놀 A에 우연히 노출된 동물들에서 생식 세포가
감수분열을할때장애가나타났습니다.
● 출생 전과 수유기간 동안 비스페놀 A에 노출된 암컷 쥐
는 체중이 증가 하였으며 이런 현상은 성년시기까지 지속
되었습니다.
● 재태기간 중 비스페놀 A에 노출된 어미에서 태어난 쥐
의 성장이 빨라지며 사춘기가 가속화되었고 발정주기가
변화되는것을관찰하였습니다.
● 출산 전후의 비스페놀 A 노출은 유선의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것이여러동물연구에서보고되었습니다.
● 출생 전 비스페놀 A 노출은 성년 시기의 쥐에서 암컷
생식계의형태적,기능적변화를초래하였습니다.
● 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 연구에서 비스페놀 A 노출로
정자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전립선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
으로보고되었습니다.
프탈레이트는 영유아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현재까지 프탈레이트와 같은 내분비계 장애물질들이 우
리 몸 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호르몬을 방해
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지, 어느 정도의 양이 해를
끼칠수있는지에대해확실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
황이지만,다음과같은연구결과들이보고되었습니다.
임신결과에영향을줘요
● 산모가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임신주수가 짧아지고
조산의위험이높아졌습니다.
아이의생식기관발달에나쁜영향을줘요
● 남자아이에서잠복고환이생기거나생식기관의크기가
작아지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비염,습진,알레르기,천식에영향을미칠수있어요
● 혈중 프탈레이트 농도가 높을수록 비염, 습진, 알레르기
증상이유의하게증가하였고 또한집안먼지중 프탈레이
트가천식발생과관련성이있다는보고도있습니다.
그밖의영향
● 프탈레이트 노출은 갑상선 기능 이상이나 복부비만,
인슐린저항성을유발할수있다는연구결과가 있습니다.
● 어린이에서는 지능저하, 집중력저하, 과잉행동장애와의
관련성이 시사되어 이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습
니다.
비스페놀 A는 어떤 물질인가요`?
비스페놀 A는 플라스틱의 재료로 쓰이는 폴리카보네이트
나 에폭시 수지를 만드는 원료로 음식용기, 물병, 젖병, 컵,
CD, 식품의 포장 재질 등우리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쓰이
고있습니다.
동물 실험연구를 통해비스페놀 A가 생식및발달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알려지면서최근 이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미량의 비스페놀 A라도 인체 내로 흡수
될 경우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작용을 하여 내분비계장애
물질로작용한다는것이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유해성을 인정하고 어린이, 유아용품에 비스페놀
A의 사용을 금지한 국가들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서 젖병 및 일부 어린이
완구에서용출규격을규제하여관리하고있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38
식품 섭취와 영양
임신을 하게 되면 산모는 아이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줘야 하기 때문에 영양소의 필요량이 보통 사람들보다
증가하게 됩니다. 임신 중의 예비 엄마들은 음식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산모가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와 영양소는
아기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때 기본적으로 필요한 다량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도
중요하지만,비타민과무기질같이소량으로필요한영양소들도아이가자라는데매우중요합니다.
하지만 모든 음식이 아이에게 좋은 영양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음식은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 노출에 영향을
주기도합니다.따라서음식증에함유될수있는유해물질의노출을주의해야하며,또한적절한영양소를섭취하여
몸안에들어온중금속등유해물질을줄이도록할필요가있습니다.
2장 ● ➏ 식품 섭취와 영양
사람대상연구
● 일본 연구에서 비스페놀 A 노출은 반복적인 유산과
관련이있었으며, 염색체이상 태아를 출생한 산모의 혈청
내비스페놀A농도가정상아출산산모보다높았습니다.
● 뉴욕시 산모들에서 비스페놀 A 노출은 출생아 체중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고 우리나라 일부 병원의 연구에
서도 산모의 혈청 비스페놀 A 농도는 신생아의 체중 증가
와관련이있었습니다.
● 미국 보건부의 국가독성 프로그램(National Toxicology
Program)보고서에따르면,비스페놀 A가 태아,영유아 및
아동의 뇌, 행동, 전립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5단계
근거 중 중간에 해당하는 ‘약간의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고, 현재 수준의 인체 노출 정도로도
민감한 사람들에게는 잠재적인 신경·행동학적 영향을
미칠수있는것으로제시되었습니다.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줄이기
생활습관을바꿔보세요
● 산모는 임신 중에 가능한 캔 음료나 캔에 든 식품을
먹지않도록주의합니다.
● 가정의 음식 용기는 플라스틱보다는 유리 용기를 사용
하도록합니다.
●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전용 용기를 사용해
야합니다.
● 조리기구(국자, 도마, 주걱 등)는 열에 자주 노출되고
녹기때문에플라스틱제품을피하도록합니다.
● 비스페놀 A 등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긁히고 낡은 젖병
이나아이컵은사용하지않습니다.
현명한구매가필요해요
● 유아용젖병은‘비스페놀Afree제품’을선택합니다.
● 플라스틱으로 된 장난감을 구매할 때는 제품 성분과
안전확인마크를반드시확인합니다.
● 아이들이먹는용기는플라스틱보다는유리재질의그릇
을구매하여사용하는것이좋습니다.
● 아기용품, 아기방에 놓는 물건은 플라스틱 가소제가 많
이들어간제품은피하도록합니다.
플라스틱제품을사용할때주의가필요합니다
● 아이가 플라스틱 장난감이나 플라스틱 제품을 입에
넣거나빨지않도록항상주의를기울여야합니다.
● 아이들의 놀이방에 사용하는 매트에도 프탈레이트가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더운날 땀을 흘리고 피부에
직접닿지않도록합니다.
● 장난감놀이가끝난후에는반드시손을씻어줍니다.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41
철
● 임신 중에는 철의 필요량이 많이 증가하는데, 이를 충족
시키지못하면빈혈이일어납니다.
● 이런 철 결핍성 빈혈은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을
크게만듭니다.
● 임신 중에는 식사만으로 철을 충분히 얻을 수 없으므로
철보충제를먹는것을권장합니다.
● 하지만 철분제의 부작용 때문에 거부감이 드는 경우에
는철분이많은음식을충분히먹음으로써해결할수도있
습니다.
● 육류, 간, 가금류, 해산물 및 해조류, 두류 및 잎이 푸른
채소에철분이많습니다.
망간
● 망간은 크롬과 함께 태아가 정상적인 골격 성장과 발달
에꼭필요한영양소입니다.
● 망간이 부족하게 되면 아이의 성장발육과 관절형성이
방해를받게됩니다.
● 망간은 땅콩, 현미, 보리, 호두 등에있고 곡물과 시금치,
미역에도많습니다.
산모가 조심해야 할 영양이야기
식품 및 영양소는 태아와 산모에게 꼭 필요합니다. 그러
나어떤식품과영양소는 산모와태아에게나쁜영향을주
기도 합니다.예를 들어우리가 먹는 음식을 통해수은,납,
카드뮴과같은중금속노출에영향을줄수있습니다.
건강한 식이섭취는 건강한 출산과 아기의 성장발달을 도
울수있습니다.
몸집이큰생선에수은이많이들어있어요!
● 생선은 오메가3가 많이 들어있고 양질의 단백질이 많아
우수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은 노출과 관련해서는
주의를기울일필요가있습니다.
● 특히 몸집이 큰 생선으로 알려진 상어, 황새치, 고래 등
은수은농도가높은생선으로조사되었습니다.
엽산섭취는혈중수은농도를낮출수있습니다
● 산모의 혈중 수은농도는 혈중 엽산농도와 음의 관련성
이있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산모의 혈중 엽산농도는 식이 및 보충제를 통해 증가하
며 비타민 B2와 비타민 B6 섭취량 증가 역시 혈중 엽산농
도를증가시키는것으로알려져있습니다.
● 엽산이 풍부한 식품은 대두·녹두 등의 두류, 시금치,
쑥갓등의채소류,딸기,오렌지,참외등의과일류입니다.
● 비타민B2는육류,닭고기,생선과같은동물성식품과우
유와같은유제품에풍부하고,비타민B6는비타민B2와같
이동물성식품을비롯하여현미,대두,귀리등에있습니다.
임신중에충분한칼슘섭취는혈액중납농도를감소시켜요!
● 임신 중 충분한 칼슘 섭취는 혈중 납농도를 낮춘다는
연구보고가많이있습니다.
● 환경부 연구결과에서도 임신 중 칼슘을 하루 800mg
이상(우유 약 4잔의 양) 섭취한 엄마들이 칼슘을 덜 먹은
엄마들보다혈액의납농도가더낮았습니다.
● 특히, 칼슘의 대표적인 급원 식품인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높을수록혈중납농도가낮았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40
산모에게 필요한 영양소 이야기
우리 아이가 뱃속에서 자라나는 데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산모가 먹는 음식 속에 있는 영양소입니다. 최근에는 산
모가 임신하기전의영양상태도 아이의 성장과 발달, 임신
결과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단
백질, 지방, 탄수화물과 같이 중요 영양소도 중요하지만
적은양이지만큰역할을하는미량영양소또한산모와아
기에게꼭필요하고중요합니다.
그럼미량영양소에는무엇이있는지알아볼까요?
비타민D
● 비타민D는칼슘흡수에필수적입니다.
● 뱃속의 아이와 함께 규칙적으로 햇빛을 쪼이며 산책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규칙적으로 햇빛을 쬐게 되면,
피부의콜레스테롤로부터비타민D가합성되기때문입니다).
비타민C
● 비타민 C는 피부, 힘줄 등의 구조를 이루는 중요한 단백
질인콜라겐을만드는데필요합니다.
● 비타민 C는 감귤류 같은 과일을 통해쉽게섭취할 수있
습니다.
칼슘
● 칼슘은 태아의 치아와 골격을 만드는 데 중요하게 사용
되는미량영양소입니다.
● 하지만식사를통해얻을수있는칼슘만으로는임신후
반기의칼슘필요량을맞추기엔부족합니다.
● 산모의칼슘 권장량은임신전보다 늘어나게되는데 하
루에우유3~4컵정도만마셔도충분합니다.
엽산
● 엽산은 임신 중에 태반을 만들 때, 혈액량을 늘리기 위
한 적혈구를만들때그리고아이의성장을 도와주기위해
필요합니다.
● 임신 초기에 세포분열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임신 전부
터충분한엽산영양상태를유지하는것이중요합니다.
● 아이를 가진산모의엽산 섭취권장량은 보통 사람의권
장량보다2배정도많습니다.
● 엽산은 시금치 등 잎이 푸른 채소, 김치, 된장 등 발효식
품,오렌지주스,내장육그리고콩류제품에풍부합니다.
아연
● 아연은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DNA와 RNA
그리고단백질을만드는데사용됩니다.
● 임신 중에 아연이 결핍되면 기형아와 저체중아를 출산
할위험이커집니다.
● 아연의 영양공급원으로는 굴, 살코기, 달걀, 우유, 두류
및견과류등이알려져있습니다.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012)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012)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012)

2016 활동보고서
2016 활동보고서2016 활동보고서
건강한 먹거리와 환경 (2004)
건강한 먹거리와 환경 (2004)건강한 먹거리와 환경 (2004)
건강한 먹거리와 환경 (2004)
여성환경연대
 
디미컨피피티
디미컨피피티디미컨피피티
디미컨피피티
heejaekim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연대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임신부의 치과 치료 괜찮나요?
임신부의 치과 치료 괜찮나요?임신부의 치과 치료 괜찮나요?
임신부의 치과 치료 괜찮나요?mothersafe
 
20170526 월경의날 성명서
20170526 월경의날 성명서20170526 월경의날 성명서
20170526 월경의날 성명서
여성환경연대
 
한국마더리스크 가이드북
한국마더리스크 가이드북한국마더리스크 가이드북
한국마더리스크 가이드북
mothersafe
 
4주피핖
4주피핖4주피핖
4주피핖
heejaekim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3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3호 (소식지, 201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3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3호 (소식지, 2011)여성환경연대
 
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
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
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
여성환경연대
 
CHEM FATALE : 여성위생용품 속 유해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
CHEM FATALE : 여성위생용품 속 유해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CHEM FATALE : 여성위생용품 속 유해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
CHEM FATALE : 여성위생용품 속 유해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
여성환경연대
 
화장품 속 유해물질 및 핸드메이드 화장품 (2009)
화장품 속 유해물질 및 핸드메이드 화장품 (2009)화장품 속 유해물질 및 핸드메이드 화장품 (2009)
화장품 속 유해물질 및 핸드메이드 화장품 (2009)
여성환경연대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여성환경연대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여성환경연대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여성환경연대
 
임산부 약물상담 지침서(의료인용)
임산부 약물상담 지침서(의료인용) 임산부 약물상담 지침서(의료인용)
임산부 약물상담 지침서(의료인용)
mothersafe
 

Similar to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012) (20)

2016 활동보고서
2016 활동보고서2016 활동보고서
2016 활동보고서
 
건강한 먹거리와 환경 (2004)
건강한 먹거리와 환경 (2004)건강한 먹거리와 환경 (2004)
건강한 먹거리와 환경 (2004)
 
디미컨피피티
디미컨피피티디미컨피피티
디미컨피피티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Manual book of envrionmental welfare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여성환경운동 평가와 전망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임신부의 치과 치료 괜찮나요?
임신부의 치과 치료 괜찮나요?임신부의 치과 치료 괜찮나요?
임신부의 치과 치료 괜찮나요?
 
20170526 월경의날 성명서
20170526 월경의날 성명서20170526 월경의날 성명서
20170526 월경의날 성명서
 
한국마더리스크 가이드북
한국마더리스크 가이드북한국마더리스크 가이드북
한국마더리스크 가이드북
 
4주피핖
4주피핖4주피핖
4주피핖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20171108 생리대 국회-정당 공동포럼 자료집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3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3호 (소식지, 201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3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3호 (소식지, 2011)
 
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
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
2016년 국정감사 자료집 - 환경유해 가능성 방지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사용금지
 
CHEM FATALE : 여성위생용품 속 유해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
CHEM FATALE : 여성위생용품 속 유해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CHEM FATALE : 여성위생용품 속 유해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
CHEM FATALE : 여성위생용품 속 유해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
 
화장품 속 유해물질 및 핸드메이드 화장품 (2009)
화장품 속 유해물질 및 핸드메이드 화장품 (2009)화장품 속 유해물질 및 핸드메이드 화장품 (2009)
화장품 속 유해물질 및 핸드메이드 화장품 (2009)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 자료집 (20170322)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유전자조작,환경호르몬과 여성의건강(2004)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임산부 약물상담 지침서(의료인용)
임산부 약물상담 지침서(의료인용) 임산부 약물상담 지침서(의료인용)
임산부 약물상담 지침서(의료인용)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012)

  • 1.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환경오염으로부터 산모와 영유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생활지침 발 간 등 록 번 호 11-1480523-000789-01 www.me.go.kr www.nier.go.kr 환경보건 가이드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오염으로부터 산모와 영유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생활지침 산모와영유아를위한환경보건가이드
  • 2. 산모와영유아를위한 환경보건 가이드 구성 03 임신결과(출생결과) 08 태아와영유아의성장발달 12 영유아의인지발달 16 미세먼지와건강영향 21 휘발성유기화합물과건강영향 25 납과건강영향 30 수은과건강영향 34 내분비계장애물질프탈레이트및비스페놀A 39 식품섭취와영양
  • 3.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3 1장 ● ➊ 임신결과(출생결과) 임신결과(출생결과) 우리 아이와 만나게 된 그날을 생각하면 입이 절로 귀에 걸립니다. 그래서 건강하게 태어날 아기를 위해 우리 엄마들 은 좋은 음식도 많이 먹고 항상 조심조심 생활합니다. 그런데 만일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작은 행동, 작은 변화, 잠시 들른 공간이 우리 아이에게 해를 줄 수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러한 의문에서 사람들은 아이에게 나쁜 영향 을주는환경적요인들을찾아서연구하기시작했습니다.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요인은 유전, 환경, 영양상태, 호르몬의 영향 등 굉장히 다양하고 복합적입니다. 이 중 환경적 인 요인은 산모가 실생활에서 노출을 줄인다면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중보건학적으로 그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습니다. 머릿말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이 사회문제화되고 “환경의 질”이 “삶의 질”이라는 인식이 확대 되면서 환경보건 분야의 중요 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정책의 패러다임도 매체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으로 변화하였습니다. 환경오염으 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환경보건의 핵심적인 목적과 임무이지만, 오염노출에 영향을 받는 정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률적인 정책만으로는 국민 전체의 건강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임산부, 어린이, 노 인 등 환경노출에 특히 민감한 계층들에 대해서는 차별화된 특별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환경부는 2006년 ‘환경보건 원 년의 해’를 기점으로 환경보건에 대한 정책과 연구를 강화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2009년 3월부터 시행된 환경보건법에 민감계층에 대한 특별관리 대책 마련과 지속적인 건강영향 조사를 규정한 바 있습니다. 환경부는 환경오염 노출로부터 민감계층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2006년부터 산모와 이들에게서 태어난 영유아를 대상으로 주요 환경유해인자 노출과 그에 따른 건강영향 조사를 추진 중에 있으며, 본 연구의 일환으로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 보건 가이드』를 제작하였습니다. 환경보건 가이드는 그간의 조사 결과와 국내외 연구사례 등을 토대로 하여, 예비엄마들이 알아야 할 생활속 주요 유해물질(중금속, 내분비계장애물질 등) 정보, 유해인자에 의한 건강영향, 그리고 환경노출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고 예방하는 방법 등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지침은 크게 두 개의 장과 9개의 소제목으로 구성하였는데, 첫 번째 장(3개 소제목 포함)은 건강보호와 환경오염 노출 예 방에 초점을 두어 임신과 출산시 산모가 알아야 할 건강지침』, 아기들의 건강한 성장과 인지발달을 위한 지침』을 포함하 였습니다. 두 번째 장(6개 소제목 포함)은 산모와 영유아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유해인자 중심으로 이들 물질의 유해성과 노출특성, 생활 속에서 이들 물질의 노출을 저감하고 회피하기 위한 대책들을 제시하였습니다. 주요 환경유해인 자는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납, 수은, 비스페놀A, 프탈레이트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인자의 노출과 건강영향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받는 영양적 요인을 추가적으로 다루었습니다. 본 지침서가 환경오염 노출로부터 민감한 시기인 산모와 영유아들이 건강하게 출산하고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 해 봅니다. 2012.10.국립환경과학원장
  • 4.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4 5 수은 ●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된 연구결과 엄마의 혈중 수은 농도는 WHO(세계보건기구) 기준치인 5ppb를 넘지 않았으나 제대혈의 수은농도는 5ppb에 근접한 농도 를 나타내거나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많은 국외연구 에서도 엄마의 수은농도보다 아기의 수은농도가 높았다 고보고하였습니다. ● 이 결과들은 산모와 태아를 잇는 제대혈 속의 수은이 태반을 바로 통과해 태아에게 곧장 흘러들어가기 때문입 니다. ● 수은은 태아에게도 나쁜 영향을 주어 환경부와 국립환 경과학원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 산모의 혈중 수은농도가 증가할수록 태어난 아이들의 체중이 감소하였고, 국외 연 구결과에서도 제대혈의 수은농도가 높을수록 출생시 아 기체중이감소하는것으로보고하였습니다. 비스페놀A ● 비스페놀 A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의일종으로 흔히‘환경 호르몬’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주로 음식물이나 음료를 통해 비스페놀 A에 노출되며, 이외에 공기, 먼지, 물 들을 통해노출되기도합니다. ● 비스페놀 A의 경우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명 확한결론을내리기에는아직근거가부족한실정입니다. ● 비스페놀 A의 경우 태아, 영유아 및 아동의 뇌, 행동, 전 립선에미치는 부정적인영향은 ‘어느 정도 관심을 기울여 야 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수준의 인체 노출 정도로도민감한 사람들에게잠재적인신경·행동학적영 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시하였습니다. 신생아 사망이나 선 천성 기형과 같은 임신 결과에는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 는‘무시해도될정도의수준’으로분류하고있습니다. 프탈레이트 ●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1930년 이후부터 많이 사용되어온 화학 첨가제입니다. 프탈레이 트계가소제중일부는 장난감 및어린이용제품에대하여 사용 금지가 되었습니다. 이는 아이들이 입으로 빨 때 침 과접촉되어이물질들이입안으로방출되며,간·신장및 고환에영향을줄우려가있기때문입니다. ● 프탈레이트의 경우 아직도 확실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 고 다양한 연구 결과가 제시되고 있어 더 많은 연구가 필 요하지만많은연구에서내분비장애물질의유해성에대해 높은우려를나타내고있습니다. ● 최근 산모의 프탈레이트 노출은 임신주수를 감소시키 고 조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었으 며 산모의 프탈레이트 노출은 남자 아기의 생식기 기관의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남 아의 잠복고환과 생식기관 크기의 감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나타났습니다. 임신 결과란 무엇인가요? 엄마의 뱃속에서 아기가 건강하게 자랐는지 건강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출생시 체중, 임신주수, 저체중아, 조산아 등입니다.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요인, 영양 상태,호르몬의영향등굉장히다양하고복합적입니다. 조산과저체중아란? ● 조산: 조산은 임신 37주 이전에 아이가 태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최근에는 늦은 출산이나 불임으로 인한 인공수 정 등으로 인하여 조산으로 태어나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일찍 태어난 조산아는 다 크지 않은 상 태로 나왔기 때문에 자궁 밖의 환경에 적응 하지 못하여 질병이나 장애가 생기거나 출생후 성장에문제가 있는 경 우가있습니다. ● 저체중아: 태어났을 때의 몸무게가 2.5kg미만인 아이를 저체중아라고 합니다. 이런 저체중아 역시 신생아의 사망 에 관련이 있으며 출생 후의 성장에도 문제를 일으킵니 다. 또한 이 역시 우리나라에선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조산과저체중아가되면왜나쁜가요? ● 조산아와 저체중아는 태어날 때 보통 아이들보다 작게 태어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보통 아이들과 크기가 비슷해 집니다. ● 언뜻 보면 다행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아이의 몸이 무리하게 지방을 늘려서 성장을 하는 것으로 이렇게 늘어 난 지방은 아이가 크면서 비만아동이 되게 하는 등 아이 의 어린시절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영 향을 주어 성인비만,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작게태어난 여자 아이는 어른이되어임신을 하였 을 때 임신성 당뇨에 걸릴 수 있고 태어날 아이에게도 안 좋은영향을주는것으로보고된바있습니다. 임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미세먼지 ● 미세먼지는 아주 작은 먼지로 우리 몸의 폐 속 깊은 곳 까지 침투하여 면역력 저하 등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줍니 다. 또한 태아에게도 태반의 산소 운반을 방해하거나 염 증반응을 일으켜 조산아와 저체중아뿐만 아니라 사산과 선천성기형을일으키기는등나쁜영향을줍니다. 휘발성유기화합물 ●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휘발성 액체 또는 기체 물 질로 아세톤, 벤젠, 폼알데히드, 톨루엔, 자일렌 등의 물질 을포함합니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발달독성, 발암성이 있어 산모의 몸에 들어가면 태아의 성장발달을 방해하는 등의 나쁜 영 향을주며저체중아를일으키기도합니다. 납 ● 우리 몸에 칼슘이 부족할 경우 뼈의 대사가 높아지면서 뼈에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중으로 흘러들어오게 됩니다. 그런데 산모의 경우 칼슘을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보다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액으로 방출될 가능성 이 높아지게 됩니다. 산모의 혈중 납은 태반을 잘 통과하 기때문에태아에게도나쁜영향을주게됩니다. ● 환경부 연구 결과 혈중 납 농도가 높은 산모의 태아 머 리둘레와허벅지뼈길이가짧았습니다. ● 또한 많은 국외 연구결과에서도 엄마의 혈중 납 농도가 높을수록 출생시 신장, 체중, 머리둘레가 작아진다는 보고 가 있었고 저체중인 아이의 태반에서 정상아이에 비해 납 농도가높았다는보고도있었습니다.
  • 5.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6 7 건강하고현명하게음식을먹어요. ● 칼슘이 풍부하고, 인, 비타민이 들어있는 식품을 가까이 하도록합니다.(추천음식:두부) ● 나트륨,망간의섭취를줄입니다. 몸집큰생선은섭취는피하도록해요. ● 임신과 모유수유 중에는 옥돔, 왕고등어, 황새치, 상어 등 몸집이 큰 생선 섭취를 가급적 자제하도록 합니다. 태 아가 메틸수은에노출될 위험이있으며, 모유를 통해수은 이전달될수있습니다. ● 미국 환경보호청 조사에서 수은이 비교적 적게 함유된 생선으로 새우, 연어, 대구, 메기가 있었으며 우리가 즐겨 먹는고등어,갈치,꽁치,조기의수은함량도낮았습니다. ● 하지만 작은 생선의 경우에도 섭취횟수가 많아지면 수 은함량도 높아지게 때문에 임산부와 영유아의 경우 일주 일에50g(작은 한토막)이하를 2~3회미만 섭취할 것을 권 장합니다. 임신중아말감치료나제거는하지않아요. ● 임신 중에는 치과 치료는 피하거나 가능한 수은이 들어 있지않은재료만사용하는지확인하도록합니다. ● 임신여성이나가임여성의경우수은농도를증가시킬수 있는아말감치료및제거는미루도록합니다. 야채와과일로중금속농도를낮춰요. ● 과일(귤, 오렌지, 자몽, 딸기 등)과 채소(피망, 브로콜리, 양배추, 토마토 등) 등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은 체내 중금 속농도를줄이는데도움이됩니다. 현명하게구매해요 ● 비스페놀A를포함하고있는유아용폴리카보네이트젖 병과 음식용기의 구매는 자제하고 유리 용기를 구매하도 록합니다. ● 플라스틱으로 된 장난감을 구매할 때는 제품 성분과 안 전 확인 마크를 반드시 확인하며 아기 용품이나 아기방에 놓을 물건은 플라스틱 가소제가 많이 들어간 제품은 피하 도록합니다. 생활습관을바꿔보세요. ● 산모는 임신 중에 캔에 든 식품의 섭취 및 플라스틱 용 기의사용을자제합니다. ● 음식물은 되도록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하지 않습니다. 특히뜨거운음식은절대플라스틱용기에담지않습니다. ● 전자레인지 사용 시 안전한 랩을 사용하고 직접 음식에 닿지않도록합니다. ● 또한전자레인지사용시1회용포장용기,플라스틱용기 를사용하지않도록하며,유리재질의용기를사용합니다. ● 조리기구(국자, 도마, 주걱등)도 열에자주 노출되고 녹 기때문에플라스틱으로된제품은피하도록합니다. ● 긁히고 낡은 플라스틱젖병이나 컵, 그릇 등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 산모가 영수증을 만질 경우 비스페놀 A가 피부로 흡수 될수있으므로외출후손을씻도록합니다. 건강한 임신결과를 위한 생활지침 깨끗한환경을만들어요. ● 평소에 집안에 먼지가 없도록 청소를 하고, 특히 천 카 펫은 자주 세탁을 합니다. 호흡기 질환자의 경우에는 카 펫을사용하지않는것도좋습니다. ● 지어진지 오래된 건물에서 거주하는 경우 환기를 자주 하여집안의먼지를제거합니다. ● 하지만 집주변에 공장이 있거나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 가 있는 경우에는 잦은 환기를 자제하고 공기청정기를 사 용하는것이좋습니다. ● 담배피는 사람이가족 중에있으면 산모를 위해서실내 에서는 절대 금연하며, 외부에서 흡연한 직후에는 집안으 로들어오지않도록합니다. 황사나먼지가많은곳에서는마스크를꼭착용해요. ● 황사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외출하지않도록 하며, 외출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귀가 시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입안을헹구도록합니다. 부엌에서발생되는미세먼지를차단하도록해요. ● 부엌과거실은분리하여사용하는것이좋습니다. ● 부엌에서 요리를 할 때에 반드시 창문을 열거나 환기팬 을가동시켜서미세먼지를없애도록합니다. ● 조리전후5분씩반드시환기하도록합니다. 식물을키워서미세먼지를없애요. ● 식물은 공기 중 먼지를 줄어들게 하며 미세먼지도 효과 적으로제거합니다. ● 특히잎 표면적이넓은 식물이먼지를 잘 제거하며미세 먼지 제거에 효과적인 식물로 인도고무나무, 싱고니움, 헤 데라, 벤자민고무나무, 분화국화, 시클라멘, 꽃베고니아, 허브류팔손이나무,국화류가있습니다. ● 식물을베란다에만두지말고생활공간인거실,침실,부 엌,서재등에도놓아야효과가있습니다. 충분한환기를통해휘발성유기화합물을줄여요. ● 건축 내장재(가구재료, 바닥재료, 벽지, 페인트, 타일)의 경우 구입 초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고농도로 방출되 므로 새로 지은 집, 리모델링 주택, 새로 가구를 구입하였 을때는충분한환기를통해유해물질을모두휘발시킨후 입주하여야합니다. ● 임산부의 경우 신축 건물이나 새로운 가구의 구입을 자 제하도록합니다. 현명하게구매해요 ●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가장 많이 방출되는 생활용품 중 하나인 가구의 경우 속자재에 따라 방출농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 가구를 구입할 때 친환경제품인지 확인하고 구입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의노출을줄입니다. 알맞은온도와습도를유지해요. ● 건축 내장재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높은 온도와습도에서높은농도로방출됩니다. ● 따라서 적절한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여 휘발되는 정도를낮추려는노력이필요합니다. ● 특히 난방을 많이 하는 겨울철에 실내 적정온도(18~20 도)를유지하여우리가족건강을지켜주세요. 자동차가많이지나다니는곳은피해요. ●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하나인 벤젠은 자동차 연료 연소 에의한대표적인실외공기오염물질이기도합니다. ● 임신 중에는 자동차가 많이 지나다니는 도로변을 피하 고,대기오염이심하다고느껴지는곳은피하도록합니다. 납페인트의노출을줄여요. ● 오래된 주택인 경우 납 페인트를 부적절하게 제거하면 납 함유 먼지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페인트 제거 시 전문 가와의상의가필요합니다.
  • 6.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9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성장이란 소아기의 주된 특징의 하나로 정지 상태가 아 닌 진행하는 과정을 말하며 대표적인 지표로 키, 체중, 머리둘레 등이 있습니다. 시기별 성장 변화 추이는 어린 이의 건강 상태를 잘 반영하는데, 신체적인 측면뿐만 아 니라 정신적, 사회적 건강 상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 니다. 바람직하지않은성장발달은무엇인가요? 왜소증(저신장): ‘저신장’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키가 작 다는 것을 의미하며, 성별과 연령이 같은 소아의 키의 정 규 분포상에서 키가 3%(100명 중 작은쪽에서 3번째) 미 만인 경우를 저신장증이라 합니다.  가속성장(따라잡기성장): 가속성장이란 출생 이후 몸무 게가 빠른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출생 시부터 24개월 (또는 36개월) 시기에 체중 변화량이 큰 경우(보통 표 준편차 +0.67이상) 가속성장이라 하며 저체중아(출생 시 체중 2.5kg 미만)의 경우 생후 급격한 ‘따라잡기성장 (catch up growth)’이 동반되어 성장기 동안 오히려 비 만해질 수 있으며 어른이 되었을 때 심혈관 질환 등이 발 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소아비만: 전 세계적으로 소아비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만 5세 이하의 소아비만 유병률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어, 소아 비만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 관심 또 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소아비만은 성별과 나이를 고려한 체질량지수를 기준으 로 85~94.9백분위수는 ‘과체중’, 95백분위수 이상 또는 25㎏/㎡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소아 시기의 비만은 성인시기의 당뇨병, 고혈압, 고콜레 스테롤증, 심혈관 질환 등을 초래하므로 예방이 필요합 니다.  체질량지수(㎏/㎡)= 키( )×키( ) 체중(㎏) 1장 ● ➋ 태아와 영유아의 성장발달 최근 사회경제적 발전, 서구식 식단 변화 등으로 인해 어린이들의 성장속도가 빨라지면서 소아비만, 성조숙 등이 점 차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관련 연구들에 따르면 환경 중의 중금속, 내분비계 장애물질 (환경호르몬) 노출이 어린이들의 성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생후 초기부터 이 들환경유해인자로부터어린이들을보호하기위한지속적인관심과관찰이필요합니다. 태아와 영유아의 성장발달
  • 7.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10 11 건강한 아이 성장을 위한 생활 지침 아이의성장속도를체크합니다. ● 정기적으로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합니다. - 출생 시~만2세: 6개월 간격 - 만3세 이상: 1년 간격 ● 아이의 성장 속도는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린 경우 문 제가 됩니다. 정기적인 체중기록을 가지고 내 아이가 지 난 마지막 측정치보다 몸무게 변화가 2단계 이상 변동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한국소아체중표준치(2007) 규칙적인운동을해요. ● 텔레비전시청,컴퓨터게임등을제한하는등앉아서생 활하는시간을줄이도록합니다. ● 몸에 무리가 가지 않게 가벼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산모들은 집 주변의 공원, 운동장 등에 서가볍게걷는것도좋습니다. 유해한환경에노출되지않도록해요. ● 황사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외출하지않도록 하며, 외출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귀가 시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입안을헹구도록합니다. ● 간접흡연은 담배로부터 나오는 수많은 유해물질에 노 출되므로 주위에 담배 피우는 사람이 있으면 자리를 피합 니다. ● 아기들이 장난감은 물론 집안에서 사용되는 생활용품 들을입에넣고빨지않도록관찰합니다. ● 어린이들이 뛰어 노는 놀이터에서 깨끗하지 않는 흙, 오 래된 놀이기구에 칠해져 있는 페인트 등을 통해 납 등 유 해한 중금속이 노출 될 수 있습니다. 놀고 들어온 후에는 반드시깨끗이씻도록합니다. ● 임신 중 캔에 든 식품의 섭취 및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 을자제합니다. ●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전용용기에 담아 사 용하고 캔이나 플라스틱 용기를 넣고 음식을 데우지 않도 록합니다. 건강하고현명하게식습관을만들어요. ● 규칙적인식사를하고아침식사는꼭하도록합니다. ● 성장기 아기들에게는 칼슘이 풍부하고, 5대 영양소가 골고루갖춘영양적으로균형적인식사가필요합니다. ● 과일(귤,오렌지, 자몽,딸기)과 채소(피망,브로콜리,양 배추,토마토등)등일상생활에서비타민을섭취하는것만 으로도몸에쌓인중금속해독에도움이됩니다. ● 패스트푸드나 즉석 조리 식품 등은 섭취를 줄이도록 합 니다. ● 빨간불:2단계 초과 위 아래로 이동(가속성장) or 지속적으로 95th 이상 머 무는경우(비만위험)or지속적으로3th이하에머무는경우(성장지연) → 전문가 상담이필요해요! ● 주황불:2단계이상위아래로이동→지속적으로집중적관찰이필요해요! ● 초록불:이동이없거나1단계이상위아래로이동→건강하게성장하고있어요. 남아 출생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세 3th 2.6 6.7 8.4 9.5 10.7 12.2 10th 2.8 7.2 9 10.2 11.4 13 25th 3.1 7.7 9.7 10.9 12.2 13.9 50th 3.4 8.4 10.4 11.7 13.1 14.9 75th 3.8 9 11.2 12.7 14.2 16.1 90th 4.2 9.6 12 13.5 15.2 17.3 97th 4.6 10.2 12.8 14.5 16.3 18.6 여아 출생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세 3th 2.5 6.3 7.9 9 10.2 11.7 10th 2.7 6.8 8.5 9.6 10.8 12.5 25th 3 7.3 9.1 10.3 11.6 13.3 50th 3.3 7.9 9.8 11.1 12.5 14.3 75th 3.7 8.5 10.6 12 13.5 15.5 90th 4 9.1 11.4 12.9 14.6 16.7 97th 4.5 9.6 12.1 13.8 15.7 18.1 (단위 : ㎏) 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음식 포장 또는 생산과정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스며든 음식물이나 음료를 통해 노출되며 이외에 공기, 물, 토양 등 다양한 곳에 존재하 고 있습니다. ● 특히 프탈레이트의 경우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재료(가소제)로 사용됨에 따라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 인형 등에 함유되어 아이들의 입이나 손을 통해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이처럼 식품 또는 플라스틱 제품 등에 포함된 프탈레 이트 가소제가 체내로 흡수되는 경우, 생체내의 호르몬 에 영향을 미치는데 최근에는 소아비만과 관련성이 있 다는 연구 보고도 있어 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 니다(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동물실험에서도 내분비계장애물질 노출과 비만 위험성에 대한 연구 결 과들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납 우리 몸에 칼슘이 부족할 경우 뼈의 대사가 높아지면서 뼈에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중으로 흘러들어오게 됩니 다. 그런데 산모의 경우 칼슘을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 문에 일반인보다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액으로 방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산모의 혈중 납은 태반을 잘 통과하기 때문에 태아에게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됩니다. ● 엄마의 임신 중 납 농도가 높았던 아이가 엄마의 임신 중 납 농도가 낮았던 아이보다 체중과 신장이 성장속도 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환경부 연구결과 출생 전 엄마의 노출뿐만 아니라 출 생 후 아기의 납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성장속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외 연구결과 에서도 납 노출이 성장 속도 중 특히 키의 성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수은 ● 산모의 수은 노출이 영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높은 수은 농도에 노출된 산모에게서 태어난 아기들의 성장이 늦 어진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 2003년 덴마크의 연구에서는 제대혈 메틸수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18개월 영아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 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환경 부에서 수행한 연구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 동물실험에서는 먹이 등에 수은을 첨가해 먹인 어미 쥐에게서 태어난 새끼들은 수은에 노출되지 않은 쥐의 새끼들에 비해 성장과정에서 체중이 적게 나타났습니다. 내분비계장애물질 ●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비스페놀 A와 프탈레이트의 경 우 사람의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여 정자수 감소, 조 기 성 발달 및 출생 후 성장의 변화 등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 지속
  • 8.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13 발달이란 무엇인가요? 발달은 아동이 살아가면서 필요한 기능을 배우고 처해있 는 환경에 적응해가는 과정입니다. 발달은 단순히 크기가 커지거나 나이가 들어서 성숙해지는 과정이 아니고, 아이 가 태어나면서갖고 있는 생물학적, 유전적인 요소와 출생 후아이주변의환경요소가함께작용하여복합적으로기 능을형성하는것입니다. 인지는지능을비롯하여집중력,자기조절력,수리능력등 다양한 영역이 서로 다른 속도로 상호작용하면서 발달하 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발달이 빠른 것이 좋은 것은 아니고 발달의 속도 외에도 그 질적인 변 화, 각 발달 분야 간의균형등이모두 발달의최종 결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고려대상입니다. 이 모든 분야에있어서 환경은매우중요한역할을담당하고있습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은 자극에 선택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어렵고지적을해도잘고쳐지지않는특징을지니고있습니다.선생님 들의말씀을 듣고 있다가도 사소한 자극이 들어오면 그 방향으로 관심 을 돌리고 시험을 볼 때에도 문제를 끝까지 읽지 않아서 아는 것도 틀 리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루한 것이나 하기 싫은 일을 할 때에 는특히집중이어려운특징을지니고있습니다.또한과잉행동특징을 지니고 있어서, 학교에서 착석이 안 되고, 상황에 맞지 않게 뛰어다니 거나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기도 합니다. 생각하기 전에 행동하 여또래와의관계도좋지않고규율이나규칙을잘지키지못하고자주 혼이나기도합니다.이러한문제들은적절한치료를하지않으면학습 장애,비행으로발전하거나우울증을동반하기도합니다. 영유아 인지발달과 환경요인 대기오염물질 ● 환경부에서 연구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 경인지발달이(영유아 베일리 검사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 로나타났습니다. ● 또한 간접흡연이 인지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연구들이지속적으로보고되고있습니다. 베일리검사란? 1~42개월 영유아의 현재 발달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 검사자가 아이와1대1로마주앉아 여러가지검사 도구를이용하여개별적으로 실시되는 검사입니다. 검사결과를 통해 객관적인 발달지수가 제시되 므로상대적인발달상태를파악할수있습니다. 중금속 ● 중금속 중에서영유아의인지에영향을 줄 수있는 대표 적인물질은납입니다. ● 폴란드 연구에서 임신 중 납 노출이 높은 영아들의 6개 월 발달이 저하됨을 보고하였고, 이 아이들을 지속적으로 추적조사한결과임신초기납노출이12개월,24개월까지 좋지않은영향을주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또한 미국 신씨네티 연구에서는 납 농도가 높은 6세 아 이들에게서 협조운동능력, 시각운동 조절능력, 상지의 운 동속도와 민첩성 및 미세운동 능력영역에서 점수가 낮았 음을보고하였습니다. ● 환경부 연구결과에서도 제대혈 중의 납농도가 높을 경 우 신생아 신경행동발달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 였습니다. ● 우리나라 초등학생 대상 연구에서도 혈중 납농도는 집 중력을 저하시키고 학업성취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 타났습니다. Tip Tip 1장 ● ➌ 영유아의 인지발달 영유아기는 신체, 인지, 정서 등 모든 측면에서 빠른 성장을 하는 시기로 아이의 발달 기초를 마련하는 중요한 시기 입니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주변 환경의 자극을 거의 스펀지처럼 받아들이기 때문에 나쁜 환경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아이들은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발달을 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는 데 이때 일부 환경물질은 영유아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금속 중 납이나 카드뮴 등은 아이들 의인지발달을방해하는물질로알려져있습니다. 영유아의 인지발달
  • 9.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14 15 현명하게구매해요 ● 미국에서 납(Pb) 함유제품의 기준초과로 인한 장난감 리콜 사례에서 대상제품의 제조 원산지가 주로 중국, 대 만, 인도 등이었습니다. 장난감 및 학용품을 구입할 때 원 산지를확인하여현명한구매를하도록합니다. ● 또한색종이나,스티커북,어린이장신구등의경우일부 품목에서 납이 검출되었습니다. 아이들이 이러한 장난감 과학용품을입에넣지않도록합니다. ● 납이 포함되지 않은 페인트를 사용하였다는 문구가 들 어있지않은경우주의하는것이좋습니다. 청결을유지해요. ● 놀이터에서 깨끗하지 않는 흙, 오래된 놀이기구에 칠해 져있는 페인트 등을 통해 아이들이 납이 노출 될 수 있습 니다. ●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놀 때 손을 입에 가져가지 않도록 하며 놀고 난 후에는 꼭 깨끗한 손씻기를 통해 납 노출을 줄일수있도록합니다. ● 산모가 영수증 및 코딩된 감열지를 만지면 피부를 통해 내분비계장애물질에노출될수있기때문에손을 씻는 습 관을가지도록합니다. 캔이나플라스틱용기의사용을자제해요. ● 임신 중 캔 음료나 캔에 담긴 음식물의 섭취를 줄이며, 특히캔에열을가한제품에주의합니다. ● 음식물은 되도록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하지 않으며 사 용을자제합니다. ● 전자레인지 사용시 반드시 전용용기에 담아 사용하며 플라스틱용기를사용하지않습니다. ● 비스페놀A를포함하고있는유아용폴리카보네이트젖 병은 구매를 자제하며 가급적 비스페놀 A free 제품을 선 택합니다. ● 또한 긁히고 낡은 젖병이나 플라스틱 컵, 그릇 등은 사 용하지 않습니다(비스페놀 A 등 화학물질이 배출될 수 있 습니다). 내분비계장애물질 ● 내분비계 장애물질 대한 연구는 동물 연구 중심으로 이 루어졌으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지 만, 미국 보건부 보고서에 따르면, 비스페놀 A가 태아, 영 유아 및 아동의 뇌,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어느 정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또 한, 현재 수준의 인체 노출 정도로도 민감한 사람들에게 잠재적인 신경·행동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발표하 였습니다. ● 저용량 노출이 인간에게 이러한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으로 선진국에서도 비스페놀 A의 위해성 관리를 위한 근거 확보를 위해 다양 한연구를시행하고있는상황입니다. ● 실험연구에서프탈레이트이나 비스페놀 A 노출된쥐의 경우 산만함이 심해지며,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와 유 사한증상들이발생한다는보고들이있습니다. ● 환경부연구결과에서도산모의소변에서측정한프탈레 이트 농도가 높을수록 신생아 신경행동발달 저하에 영향 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최근 실시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 생 소변에서 측정한 프탈레이트 농도가 높을수록 지능이 낮아지고산만함을증가시키는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건강한 인지발달을 위한 생활 지침 깨끗한공기마셔요. ● 황사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외출하지않도록 하며, 외출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귀가 시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입안을헹구도록합니다. ● 임신 중에는 자동차가 많이 지나다니는 대로변을 피하 고,가능하면대기오염이적은곳에서생활합니다. ● 평소에집안 곳곳에먼지가 없도록 청소를 하고, 카펫은 가급적사용을하지않는것이좋습니다. ● 환기는 황사가 있는 날을 피해 하루 4번 정도하며, 실내 온도는 20도 전후, 습도는 60%를 넘지 않도록 해주는 것 이 좋습니다. 특히, 오래된 건물에 사는 경우에는 환기를 더많이하도록합니다. 납페인트노출을줄이도록해요. ● 오래된 주택인 경우 납 페인트를 부적절하게 제거하면 납 함유 먼지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페인트 제거 시 전문 가와의상의가필요합니다. ● 이러한 주택에는 납 페인트 가루가 떨어져있을 수있으 니집청소를깨끗이자주하도록합니다. 건강하고현명하게음식먹도록해요. ● 칼슘이 풍부하고, 인, 비타민이 들어있는 식품을 가까이 하도록합니다. ● 나트륨,망간의섭취를줄입니다. ● 임산부는특히음주와흡연을하지않도록합니다. ● 임신 중에는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충분한 철분 섭취는 매우중요합니다. 깨끗한물마셔요, ● 집 배관이 오래되었다 의심될 때는 가능하면 배관을 교 체합니다. ● 이러한 교체가 어려운 경우 찬물을 최소한 30초 흐르게 하고,마실때에도2~3분정도흐르게해주세요.
  • 10.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16 17 미세먼지는 어떻게 발생되나요? 미세먼지는 공기 중에서 작은 고체와 액체가 섞여서 만들 어진 먼지입니다. 이는 보통 연소과정에 의해 발생되며 이 때 나오는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등과 금속화합물, 탄 소화합물등의화학물질이섞여서만들어집니다.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는우리눈에보이지않을정도로가늘고작은먼지입자로호 흡시 폐속 깊은 곳까지 도달합니다. 입자크기가 지름 10㎛ 이하(10㎛ 는 0.001cm)인 것을 미세먼지(PM10)라고 하며 직경 2.5㎛ 이하를 초 미세먼지(PM2.5)라고합니다. ※PM:Particularmatter로서작은입자의먼지를말함 미세먼지는 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미세먼지는 눈과 코를 자극하며, 호흡을 통해 들어오는 경우 기관지나 폐에 나쁜 영향을 줌으로써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원인이됩니다. 작은 먼지는 폐 속의 작은 공기주머니인 폐포(허파꽈리 라고도 함)까지 깊숙이 들어와 폐에 직접적으로 염증을 일으키고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립니다. 따라서, 환자들은 물론 환경에 민감한 임산부,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들은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면 건강에 나 쁜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우리 예비 엄마들은 뱃속의 소 중한 아이를 지키기 위해 생활 속 미세먼지 노출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사망 ●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300만명이대기오염으로 사망하며특히호흡기계질환 사 망률의 증가에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분진과 다른 공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동시에 높을 경우 폐 질환, 심장질환 등의 건강피해를 유발하고 사망률의 급격 한증가를보였습니다. ● 미세먼지는폐포에들어가염증을일으키는데폐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이 더욱 악화되고 혈액순환을 방해하 여 뇌졸중, 심장마비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흡 기 기도에도 염증을 일으켜 원활하게 숨쉬는 것을 방해할 수있습니다. 천식등호흡기계질환 ● 아주 작은 미세먼지는 코나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바로 폐 속 깊숙이 침투함으로써 호흡기계에 직접적으로 나쁜영향을줍니다. ● 특히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병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 라 폐렴, 급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등 각종 호흡기질환을 일으킵니다. ● 도로 주변에 사는 어린이들에서 천식과 알레르기 증상 이증가한다는 국외보고들이있었으며, 특히천식증상이 Tip 미세먼지와 건강영향 미세먼지는우리눈에보이지않을정도로작은먼지로써자동차배기가스,난방,담배연기,공장등의연소과정에서 발생됩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경우 안구자극, 호흡기 감염, 알레르기, 심혈관 및 폐질환 악화 등의 건강 영향을초래하는것으로알려져있습니다. 특히면역력이약한영유아나민감한임산부의경우미세먼지노출에더욱취약하기때문에미세먼지를포함한공기 오염물질에가능한노출되지않도록조심하고공기오염을줄이도록노력해야합니다. 2장 ● ➊ 미세먼지
  • 11.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18 19 숯을태우거나폐기물을소각할때 ● 숯가마찜질방,숯불구이요리,숯제조업체등에서나무 를태우는과정에서많은양의미세먼지가만들어집니다. ● 일반쓰레기를소각할때도미세먼지가방출됩니다. 오래된건물과낡은옷,오래된책 ● 잘 관리되지 않거나 지어진지 오래된 건물에서는 미세 먼지나 세균, 곰팡이 등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청소 와위생에각별히신경을써야합니다. ● 오래되어 먼지가 쌓여 있는 낡은 옷이나 카펫, 천으로 된소파커버에서도미세먼지가발생합니다. ● 오래된책을펼쳤을때도많은양의미세먼지가나옵니다. 담배연기나모기향 ● 실내에서 담배를 피우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황 사가심할때보다무려5배가높습니다. ● 담배 피우는 곳(흡연구역)과 금연구역이 구분되어 있더 라도 금연구역에서의 미세먼지 농도가 황사 때와 비슷한 수준이될수있습니다. ● 여행갈때간편하게쓰게되는 모기향(불에태워서연기 가 심하게 나는 모기향)을 태울 때 담배 수십 개비를 태운 만큼의미세먼지가공기중으로방출됩니다. 중국에서날아오는황사 ● 황사가 발생하면 미세먼지, 각종 중금속이나 건강에 좋지 않은 물질들이 함께 날아오며, 황사 때마다 한반도 상공에는 4만 6,000~8만 6,000t 가량의 미세먼지가 흩뿌 려진다고합니다. 집안 곳곳을 깨끗하게 청소합니다. 외출후에는몸을깨끗하게합니다 ● 집에돌아오면먼저손과얼굴을깨끗하게씻도록합니다. ● 귀가할 때는 집밖에서 옷을 털고 들어와 바깥의 먼지가 집안에들어오지않도록해야합니다. 생활속에서실천하는미세먼지줄이기 ● 평소에집안에먼지가쌓이지않도록청소를자주합니다. ● 카펫은자주청소를해주고호흡기질환자가있을경우 가급적사용하지않는것이좋습니다. ● 가습기는 미세먼지 감소 및 실내습도 유지에 효과적이 지만 곰팡이나 세균이 생기지 않도록 꼼꼼하게 청소를 해야합니다. ● 가습기 살균제의 경우 성분이 확인되지 않은 살균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가습기 안전 사용요령(예. 새물의 매일 교환, 중성세제 세척 등; www.cdc.go.kr)을숙지하도록합니다. ● 산모와 어린이에게는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지 말아 야합니다. 집안의먼지를줄이기위해자주환기를합니다 ●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황사가 있는 날을 피해서 하루 4번 정도 환기를 시켜주고, 실내온도는 20도 전후, 습도는 60%를넘지않도록유지합니다. ● 오래된 건물에 거주하는 경우 환기를 자주 하여 집안의 먼지를제거합니다. ● 그러나 집주변에 공장이 있거나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 가 있는 경우에는 잦은 환기를 자제하고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것이도움이됩니다. 부엌에서발생되는미세먼지를차단하도록합니다 ● 부엌과거실은분리하여사용하는것이좋습니다. ● 부엌에서 요리를 할 때는 반드시 환기팬을 가동시켜 미세먼지발생을줄이도록합니다. ● 요리전・후5분씩환기를합니다. 있는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질수록 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높아지고가래증상이심해졌습니다.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에서도 미세먼지 노출은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결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태아성장 ● 미세먼지 노출이 뱃속의 태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았지만, 관 련연구결과들이보고되고있어주의할필요가있습니다. ● 일부 국외 연구에서는 실외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 수 록 태아의 복부둘레 및 대퇴길이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 였고국내연구에서도이와유사한결과를보였습니다. 임산부와출산에대한영향 ● 미세먼지는 염증반응을 일으켜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태반의 산소와 양분의 운반이 감소될 수 있으며 임산부의 면역기능을 약하게 함으로써 병원균 등에 더 쉽게 감염될 수있습니다. ● 국외 연구들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질수록 조산,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선천성 기형, 사산과도관련이있었습니다. ● 한편,국내에서도미세먼지노출과 조산,저체중아 출생, 임신주수 및 출생체중 감소의 관련성을 보고하는 연구들 이발표되었습니다. 인지발달 ● 간접흡연이 인지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연구 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미세먼지 노출과 아기의 인지발달의관련성을보고한연구는거의없습니다. ● 그러나 간접흡연 속에 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 에안심할수는없는상황입니다. ● 최근 환경부 연구에서는 베일리 검사(영유아 인지발달 검사)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영유아의 인지및동작성점수가낮아진다는것을확인하였습니다. 미세먼지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자동차배기가스와공장에서날리는먼지 ● 대도시의미세먼지는많은부분이자동차배기가스에서 발생합니다. ● 공장에서 물건을 만드는 과정에서 불을 사용할 때 유해 물질들이함께섞인미세먼지가발생하게됩니다. 지하도또는지하에서의작업 ● 지하철 승강장의 미세먼지 농도는 황사 먼지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의 절반 이상에 해당합니다. 더욱이 지하철 내부의미세먼지농도는실외농도보다더높습니다. ● 철(Fe) 성분이 포함된 지하철의 미세먼지는 실외 미세 먼지보다유해성이높을수있습니다. ● 지하도 또는 지하에서 직접 작업을 할 때, 또는 작업복 을 입고 가정에 들어오거나 작업복을 세탁할 때 미세먼지 에노출될수있습니다. 부엌의가스레인지 ● 부엌과 거실을 분리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실내 미 세먼지 농도가 높아집니다. 가스레인지 등으로 요리를 할 때미세먼지가많이나오기때문입니다. ● 특히 가스불보다 숯불을 사용하는 경우에 먼지농도가 더높아질수있습니다. 청결한가습기관리 ● 가습기를 깨끗하게 청소하지 않아 곰팡이나 세균이 생 기는 경우에는 건조한 경우보다 오히려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증가시킬수있습니다. ● 하지만 가습기 청소를 위해 사용하는 가습기 살균제는 폐 손상 등 건강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특히 민감한 산모와 태아, 어린이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 습니다.
  • 12.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0 21 2장 ● ➋ 휘발성 유기화합물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우리 생활공간 곳곳에 다양하게 분포하며 노출 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노출되면 피부와 호흡기 등에 자극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러한 물질은 ‘새 집증후군’이나‘새가구증후군’의원인으로알려져있습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학교나 지하철 역사 등 공공시설에서의 노출원에 대한 조사가 주로 수행되었고 건강영향, 특히 산모와및영유아에대한연구는부족한실정으로명확한증거를밝히기위해서는추가연구가필요한상황입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건강영향 간접흡연에노출되지않도록합니다 ● 가족 중에 흡연하는 사람이 있으면 산모를 위해 실내에 서는 절대 금연하며, 외부에서 흡연하고 곧바로 집안으로 들어오지않도록합니다. ● 임산부와 어린이는 흡연구역에 절대로 가지 않도록 하며흡연구역근처의금연구역도피하도록합니다. ● 주위에담배피우는사람이있으면자리를피합니다. 황사나먼지가많은곳에서는마스크를꼭착용합니다 ● 황사가 심한 날이나 지하도 또는 지하에서작업을할 경 우에는 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되므로 마스크를 꼭 착용해 야합니다. ● 마스크는성능시험을통과한마스크를착용합니다. ● 남편이 지하에서작업하는 경우, 옷을 세탁할 때 손으로 직접하지않고세탁기를이용합니다. 식물을키우면미세먼지노출을줄이는데도움이됩니다 ● 일부 식물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습니다(인도고무나무, 싱고니움, 헤데라, 벤자민고무나무, 분화국화, 시클라멘, 꽃베고니아, 허브류 팔손이나무,국화류등). ● 식물을 베란다에 두지 말고 생활공간인 거실, 침실, 부엌,서재등에도놓아야미세먼지제거에효과가있습니다. ● 잎 표면적이넓은 식물이먼지를 잘 제거하므로 잎이큰 식물을 키우면 더 좋습니다. 식물의잎은 정기적으로 닦아 주도록합니다. ※마스크는 산업안전공단의 검증필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외품표시가있는지확인합니다.
  • 13.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2 23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우리 아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 최근의역학연구를살펴보면고농도의휘발성유기화합 물의 노출이 태아시기 성장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것으로보고하고있습니다. ● 천식환자 및 화학물질에 민감한 사람은 낮은 농도의 휘 발성 유기화합물에 장기간 노출이 되는 경우에도 알레르 기증상이악화되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폼알데하이드는 동물 연구를 통하여 발암성이 의심되 어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는‘잠재적인체발암원인물질’로 규정하고있습니다. 신생아출생체중 ● 국외 연구에서 폼알데하이드 농도 증가 시 출생체중 2500g 미만의 저체중아 발생 위험이 1.68~1.86배 증가하 였으며, 국내 연구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높 은산모로부터태어난신생아에서출생체중이낮았습니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벤젠의 경우 엄마의 혈액으로부 터 영향을 받아 기형아, 태아의 성장발육 지연, 골수에 영향을주는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 동물 연구 결과,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은 태내염증반 응 등 자극성 반응 및 산화성 손상과 관련을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나 인체의 건강영향에 대한 잠재적 기전을 제시하 였습니다. 알레르기질환 ● 환경부연구에서는예비결과로일부민감군에서고농도 의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폼알데하이드에노출된 산모에서 태어난 경우 2세 이전에 아토피 질환이 발현할 위험이더높은것을발견하였습니다. ● 그러나 현재까지 태아시기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노 출된 아이들에서 알레르기 질환이나 증상을 유발한다는 명확한 증거는 아직없으며이를 밝히기위한 여러연구가 진행중입니다.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 줄이기 충분한환기를통해휘발성유기화합물을줄여요 ● 새로운 가구나 신축건물, 리모델링 주택 등에는 가능한 한 노출되지않도록 주의하고, 부득이하게사용하게될경 우충분한환기를통해유해물질을모두휘발시킨후입주 하도록합니다. ● 하지만 집주변에공장이있거나 차가 많이다니는 도로 가 있는 경우에는 잦은 환기를 자제하고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것이도움이됩니다. 공기청정기를사용하시는경우필터를깨끗하게유지하는것 이매우중요합니다! ● 드라이클리닝과정에서다량의 VOCs가 방출될 수 있으 니 비닐을 벗기고 실외에서 충분히 환풍시킨 후 옷장에 넣도록합니다. 현명한구매를합니다 ● 임산부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좋지 않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폼알데하이드 등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주거 생활 용품의사용을자제하도록합니다. ● 가구를 구입할 때는 친환경제품인지 확인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노출을줄입니다. 환경부에서는일정한기준을통과한가구에 KS마크를통해친환경가구를지정하고있습니다. 알맞은온도와습도를유지해주세요 ● 건축 내장재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온도와 습도가 높으면 방출량이 늘어나므로 적절한 실내 온도와 습도를유지하여휘발되는정도를낮추는것이좋습니다. ● 난방을 많이 하는 겨울철에 실내 적정온도(18~20도)를 유지하도록합니다. Tip Tip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거주환경 ● 공장, 자동차 매연 등으로 오염된 공기에휘발성 유기화 합물이포함되어있습니다. ● 특히자동차가많은대로변에서는배기가스에서배출되 는휘발성유기화합물에노출될우려가높습니다. ● 환경부 연구에서도 거주지로부터 200m 이내에 도로가 있는 가정이 도로로부터 멀리 거주하는 가정에 비해 총 휘발성유기화합물의농도가높은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이란?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대기 중 에서 일어나는 광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휘발성 액체 또는 기체상 물질 로 아세톤, 벤젠,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자일렌 등의 개별물질을 전부 합쳐서 부르는 말입니다. 일부 물질의 경우 사람이 노출될 때 자극증 상, 구토 등 급성 영향을 일으키며 일부는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유해물질로알려져있습니다. ‘새집증후군’,‘새가구증후군’ 새로 지은 집(또는 건물)이나 리모델링(새 가구 구입 포 함) 후 입주하면 두통, 눈·코·목의 자극,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나 건강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새집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이는 집을 지을 때 사용된 건축자재나 마감재료 등에서 벤젠, 톨루엔, 폼알데하이드, 라돈, 석면 등의 유해오염물질이 나오기때문입니다. 특히, 태아나 영유아는 미성숙하고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 에일반인에비해더과민한 건강영향을 나타낼 수있습니 다. 따라서, 신축(또는 리모델링) 건물에 입주하기에 앞서 베이크아웃(Bake-out)을 하거나 충분한 환기를 하는 것 이중요합니다. 베이크아웃(Bake-out) 실내온도를 높여 건물의 건축자재나 마감재료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물질들의배출을일시적으로증가시킨후환기를통하여제거하는방법 새로구입한가구등주거·생활용품 ● 새로 구입한 가구와 차량에서도 높은 수준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노출될수있습니다. ● 또한 어린이용 가구, 의류 그리고 문구류(펜류) 등 일부 제품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 습니다. ● 특히 새로 태어나는 아이를 위해 출산용품을 준비하거 나 아기방을 꾸미는 경우, 가구나 제품 등으로 부터 유해 물질이배출될수있으므로각별히주의하여야합니다. ● 이외에일상적으로사용하는방향제나헤어스프레이등 분사 및 고체형 제품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방출될 수있습니다. 높게설정된실내온도,습도 ● 건축내장재에서발생되는휘발성유기화합물은실내의 온도 및 습도 조건 등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흡착과 탈착 의반복과정을통해방출됩니다. ●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상온에서도 휘발성을 갖지만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더욱 잘 휘발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Tip Tip
  • 14.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4 25 2장 ● ➌ 납 납은 약 4,000년 전부터 사용되어 여러 금속들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것 중 하나입니다. 사람의 몸에 해로운 중금속으로 그 위험성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납에 대한 노출을 줄이기 위해 사람들은 다양한 노력을 해 왔습니 다. 그러나 2010년 10월 나이지리아에서는 무려 400여 명의 아이들이 납중독으로 사망하는 등 최근까지도 지구 일부 지역에서는 납중독이 우리 어린이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또한, 높지 않은 농도의 납에 노출되더라도 민감한 아이들에게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납과 건강영향 자동차가많이지나다니는곳은피해요 ●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하나인 벤젠은 자동차 연료 연소 에의해대표적인실외공기오염물질이기도합니다. ● 임신 중에는 가능한 자동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변은 이용하지 말고, 대기오염이 심하다고 느껴지는 곳은 피해 야합니다. 몸을튼튼하게!건강수준증진전략 ● 산모와 태아의 건강 증진을 위해 임신기간 중 영양섭취 를충분하게하여건강한신체를유지합니다. ● 집이나직장에서의간접흡연은휘발성유기화합물에대 한노출위험도증가시키므로주의합니다. 우리아이를위해알아두면좋은정보사이트 ✽화학물정보시스템(http://ncis.nier.go.kr) 유해화학물배출정보및관련동향제공 ✽실내환경정보센터(http://www.iaqinfo.org) 실내환경에서의유해물에대한정보및새집증후군등 유해환경영향에대한정보제공 ✽케미스토리(http://chemistory.go.kr)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춘 화학물 정보 및 생활터별(집, 놀이터, 학교 등) 유해물정보제공 ✽녹색제품정보시스템(http://greenproduct.go.kr) 친환경상품소개및검색제공 참고자료 ✽폼알데하이드저감을위한권고사항(캐나다보건원) •실내에서절대담배를피우지않습니다. •주차장,현관(입구),창문근처에서공회전을하지않습니다. •건축자재나 생활용품은 가능한 폼알데하이드 방출률이 낮거나 무함 유제품을이용하고판매자나제조업체에사용정보를문의합니다. •폼알데하이드방출을낮추기위하여전면코팅된제품을구입합니다. •페이트칠이나니스작업을한후나접착제를이용한카펫설치시아주 충분한환기를하도록합니다. •폼알데하이드를 함유한 모든 제품은 실내로 들여오기전에 공기 중에 서충분히환기를시킵니다. •폼알데하이드방출을낮추기위하여실내습도를여름에는50%이하, 겨울에는30%이상으로관리하고필요한경우제습기를사용합니다. ✽폼알데하이드저감을위한권고사항(미국환경청) •에어콘과제습기를사용해적정온도·습도를유지합니다. •가정내에새로운폼알데하이드방출원이있는경우특별히환기에신 경을씁니다. •건축자재, 가구를 구매하기 전 합성압착제의 폼알데하이드 방출정도 와위해에대하여문의합니다. •폼알데하이드와 관련하여 부정적인 신체반응을 경험한 경우, 방출이 의심되는물품의사용을피합니다.
  • 15.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6 27 노후된집이나건물의페인트,벽지 ● 매우 오래된 건물이나 집은 납에 대한 위험성이 알려지 기전에지어졌으므로, 납이함유된 페인트나 벽지가 사용 되었을가능성이높습니다. ● 실제로 페인트가 벗겨지면서 코로 흡입이 되기도 하고, 아이들은 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주워 먹기도 하기 때문에 특히 노후된 집에 거주하면 납에 대한 노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낡거나노후된수도관 ● 납이 함유된 낡은 배관에서는 수돗물에 납이 녹아 나올 수있고,우리가이물을마실경우납에노출되게됩니다. ● 실제로미국에서는극빈층의아이들이상대적으로혈중 납농도가 높았는데 이는 낡은 집의 오래된 수도관이 원인 이라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수도관을 교체한 이후 납 노출 이감소된사례가있었습니다. 장난감,학용품등의페인트 ● 최근 들어 선진국에서는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물건들 (장난감, 학용품 등)에 대해서는 철저히 납이 들어간 성분 들을 배제하고 있으며, 이에대하여표시를 하도록 규정하 고있습니다. ● 따라서 어린이용 장난감이나 학용품 또는 기타 가구 등 을 구입할 때이러한 성분 표시에대하여유의하여살펴보 는것이좋습니다. 납은 우리 아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납은 태아기의 성장과 임신 결과뿐 아니라 영유아기의 신체 성장과 인지발달, 청소년기의 성격 형성 등 어린이들 의신체및신경인지발달에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알려져있습니다. 태아성장 산모의 경우 칼슘을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뼈의 대 사가 높아지면서 축적되어 있던 납이 혈액으로 방출될 가 능성이 높아지며, 산모 혈액에 존재하는 납은 태반을 잘 통과하기때문에태아또한납에노출되게됩니다. ● 여러 연구들에서 산모의 혈중(또는 뼈)의 납 농도가 높 을수록 출생시신장, 체중이나 머리둘레가 감소하는 결과 를보였습니다. ● 또한 태아시기의 납 노출은 임신 주수를 감소시키고 조산,저체중아출생의위험을증가시켰습니다. ● 저체중아로 태어난 신생아의 태반에서 납, 카드뮴, 비소 등의수준이훨씬높았습니다. ● 초음파 자료를 이용하여 자궁 내 성장을 살펴본 환경부 연구에서혈중납농도가높은산모의태아는혈중납농도 가 낮은 산모의 태아보다 머리 둘레, 허벅지뼈 길이가 짧 았습니다. 신체발달 ● 출생 후 납농도가 높은 경우 키의 성장 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데 이러한 영향에 대해서는 임신 초기에 납농도가 높은 경우, 태어난 아이들의 성장이 느려질 가능성이 높다 는연구결과가있습니다. ● 자각증상이없는납노출조차도작은성장과연관이있 다는연구결과가보고되었습니다. ● 환경부 연구결과 24개월 영유아의 경우 산모의 임신 말기 납농도가 가장 낮았던 군의 신장이 가장 컸으며, 임신말기와 제대혈의 납농도가 가장 낮았던 군의 체중이 가장높게나타났습니다. 납은 어떻게 노출되나요? ● 임산부가 납에 노출되면 이는 태아까지 전달됩니다. 엄마의 영양분이 혈류를 통해 태아에게 전달될 때 혈액에 섞인 납 또한 태아에게 전해지므로 태아 역시 만성적으로 납에노출될위험이있습니다. ● 더욱이 어린 아기들은 모든 것을 입으로 가져가는 특성이 있어서, 안전하지 않은 장난감이나 물건을 직 접 빨거나 이를 만진 손을 입에 가져감으로써 납에 노 출될 위험이 높습니다. 입을 통해 들어온 납은 아이의 경우 어른에 비해 소화기관에서 더 많이 흡수됩니다. 납이란? 납은 유해한 중금속 중 하나로 오늘날에도 건전지, 페인트, 광택제, 땜 납, 장난감, 포장지, 학용품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염된 공기와 흙, 음식물, 장난감에 포함되어 있는 납은 호흡기나 소 화기를 통해 우리 몸에 들어와 흡수되며, 여러 조직과 뼈, 치아에 축적 됩니다. 납은 우리 몸에 한 번 들어오면 잘 빠져나가지 않는 특성이 있 으므로무엇보다노출되지않도록주의하는것이중요합니다. 납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염된공기 ● 공장, 자동차 매연 등으로 오염된 공기와 황사 등에는 납이다량포함되어있습니다. ● 우리나라 등 주요 국가에서는 유연휘발유를 납이 함유 되지않은무연휘발유로교체하고난이후공기중에함유 된납농도가감소하는효과를보았습니다. 오염된흙 ● 어린 아이들은 흙 장난이나 모래 장난을 매우 좋아하는 데흙과 모래가 깨끗하지않고, 공장 근처에서가져오거나 여러가지폐기물들과섞여있을가능성이있습니다. ● 아이들이 납에 오염된 흙이 묻은 손이나 물건, 모래 등 을 입으로 가져가거나 흙이 묻은 손으로 음식물을 친구들 과 나누어 먹으면서 납에 노출이 될 가능성이 어른들보다 높으므로주의하여야합니다. Tip
  • 16.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28 29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납 노출 줄이기 깨끗한공기마시기 ● 황사가 심한 날에는 되도록 외출하지않도록 하며, 외출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귀가 시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입안을헹구도록합니다. ● 임신 중에는 자동차가 많이 지나다니는 대로변을 피하 고,가능하면대기오염이적은곳에서생활합니다. ● 일상생활에서 무연휘발유를 사용하여 대기 중에 납이 배출되는것을예방합니다. 납페인트노출줄이기 ● 오래된 주택의 납 페인트를 부적절하게 제거하면 공기 중으로 납 함유 먼지가 날아가 오염이 심해질 수 있습니 다.반드시전문가에게도움을요청하시기바랍니다. ● 위의 조치가 어려울 경우, 납 페인트 가루가 떨어져 있을수있으니집청소를깨끗이자주하도록합니다. 직장에서의노출조심하기 ● 직장에서 유해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면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작업장에서는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도 록 합니다. ● 집에 돌아온 후에는 깨끗이 씻고, 직장에서입었던 옷들 을따로분리하여세탁합니다. ● 직장에서도 가능하면 자동차가 많이 다니는 곳을 피하 도록합니다. 유해한환경에대한노출줄이기 ● 다른 중금속과 함께 노출되면 납의 해로운 영향이 증가 하므로,다른 중금속에대한 노출도 줄이도록 주의를기울 입니다. ● 직장이나 집에서의 간접흡연은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주위에 담배 피우는 사람이 있으면 자리를피합니다. 건강하고현명하게음식먹기 ● 임신 중에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충분한 철분 섭취가 매우중요합니다. ● 임산부는특히음주와흡연을삼가도록합니다. ● 칼슘이 풍부하고 인, 비타민이 들어있는 식품을 섭취 합니다. ● 나트륨,망간의섭취를줄입니다. 깨끗한물마시기 ● 거주지의 배관이 오래되었다고 의심될 때는 가능하면 배관을교체합니다. ● 배관 교체가 어려운 경우 찬물을 최소한 30초(마실 경 우2~3분정도)흐르게한후사용합니다. 납노출을줄일수있는현명한구매하기 ● 장난감 및 학용품을 구입할 때는 원산지를 확인하여 현명한 구매를 하도록 합니다(중국, 대만, 인도 등에서 제조된 장난감이 미국에서 납 기준초과로 리콜된 사례 가 있습니다). ● ‘납이 포함되지 않은 페인트를 사용하였다’는 문구가 들어있는지확인합니다. ● 아이들이 장난감과 학용품을 입에 넣지 않도록 주의합 니다(색종이나, 스티커북, 어린이 장신구 등 일부 품목에 서납이검출된바있기때문입니다). 아이들의청결유지하기 ● 놀이터에서 깨끗하지 않은 흙, 오래된 놀이기구에 칠해 져있는페인트등을통해납이노출될수있으니아이들이 놀이터에서놀때손을입에가져가지않도록주의합니다. ● 밖에서 놀고 들어 온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도 록 합니다. 인지발달 납은영아기부터청소년기까지급속도로발달하는뇌에영 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있습니다. 또한,어린이가 현재 의 권장 혈중 납농도인 10㎍/㎗ 이하의 낮은 농도에 노출 된 경우에도 지능이 떨어지고 집중력 저하, 과잉행동, 비행 과같은문제행동을유발되는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인지기능,학업성취도 ● 현재의 권장 혈중 납농도인 10㎍/㎗ 이하의 노출도 인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 납은 낮은 수준에서 지능뿐 아니라 문제해결 능력, 기억 력, 계획 능력 등을 저하시키고 학업성취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혈중 납농도가 높을수록 지능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특히망간과 동시에노출된경우에이러한 영향이더욱 커 지는것을볼수있었습니다. 영유아발달 ● 폴란드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임신 중 납에 노출된 정도 와 출생 6개월 후 영아들의 발달이 반비례하였으며, 추적 조사 결과 이러한 영향은 12개월 및 24개월까지 지속되는 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 우리나라 신생아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제대혈중의 납농도가 신생아 신경행동발달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것 을발견하였습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및행동장애 ●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낮은 농도에서도 납 노출은 간접흡연과 같이 작용하여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ADHD)및행동장애를증가시켰습니다. ● 우리나라 초등학생 대상 연구에서도 혈중 납농도는 집 중력 및 학업성취도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 습니다. 납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칼슘,인,비타민D 칼슘대사에 이용되는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임신 중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납의 혈중 방출을감소시킬수있습니다. 철분 철분 섭취가 모자라면납이철대신인체에흡수되어납에 대한 노출이 증가합니다. 임신 중에 충분한 철분 섭취는 매우중요합니다. 단백질, 아연,비타민A,비타민B2,비타민C 위의 영양소를 우리나라 평균 권장량보다 많이 섭취한 산 모의경우상대적으로납농도가낮았습니다. 나트륨(Na) 나트륨의섭취가증가할수록납농도가높아졌습니다. 망간(Mn) 망간의 혈중 농도가 높으면 정상적인 납농도에서도 인지 기능에보다좋지않은영향을미칠수있습니다. 흡연과음주 ● 음주와 흡연이 납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 습니다(이는담배와술에포함된납이체내로흡수되기때 문으로생각됩니다). ● 흡연과 납 노출이동시에이루어질경우 지능에더욱 좋 지않은영향을미칠수있습니다.
  • 17.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30 31 수은은 어떻게 노출되나요? 수은은 환경중에서여러가지오염경로로인체에노출될 수 있는데 생태계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와 인간 활동으로 인한 환경오염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로 구 분됩니다. 유기수은은 섭취를 통하여 체내에 쌓이고 배설이 잘 되지 않습니다. 특히 유기수은의 한 종류인 메틸수은은 어패류 의체내에쌓여있다가이것을섭취한 사람의몸 속에들어 와 중독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러므로 작업환경이 아닌 일반환경에서는주로유기수은중독이문제가됩니다. 무기수은은 체온계, 혈압계, 각종 계기, 치과용 아말감, 수 은전지, 형광등 제조 등의 제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 며대부분 직업에서주로 흡입을 통해노출이됩니다. 무기 수은 자체로는 소화관과 피부로 흡수가 쉽게 되지 않으므 로 태반을 쉽게 통과하지 않으나, 무기수은이 미생물에 의 해 유기수은으로 전환되어 작은 동물에게 섭취되면서 먹이사슬을통해인간에게까지노출될가능성이있습니다. 수은이란? 수은은 중금속의 하나로 체내에 들어가면 중독의 위험성이 있으며 금 속수은, 무기수은, 유기수은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현대 사회의 급속 한 환경오염은 유해 금속 및 유기 화합물 등 다양한 오염물질에 의해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수은은 분해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태계에 오랫동안 남고 쌓이면서 체내로 섭취 또는 흡입되어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수은은 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산모의 몸 속 수은농도가 높을 경우 조산아 출생 또는 출생 시 체중 저하 등 임신 결과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 이 기존 연구들에서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산모의 혈중 수은 농도가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더라도 민감한 태 아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 일필요가있습니다. 임신결과 ● 환경부 연구에서 산모의 혈액보다 태어난 아기의 제대 혈내 수은농도가 더 높아 세계보건기구 기준치인 5ppb에 근접하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생선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본, 스페인에서 도 엄마보다 아기의 수은농도가 높았으며, 그린랜드 지역 에서도 제대혈의수은농도는 엄마의수은농도보다 약 2배 가량높게보고되었습니다. ● 이는 산모와 태아를 잇는 제대혈 속의 수은이 태반을 바로통과해태아에게곧장흘러들어가기때문입니다. ● 터키, 그린랜드, 스페인 등 많은 국외 연구들이 아기의 제대혈의 수은농도가 높을수록 출생 시 아이들의 체중이 감소한다고보고하였습니다. ● 선천성 미나마타병은 산모의 유기수은 노출로 인하여 태아에 영향을 미쳐 많은 영아들이 뇌성마비와 같은 심각 한뇌신경장애를가지고태어났습니다. 성장발달 ● 산모의수은 노출이출생 후 영아 성장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매우 부족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 한상태입니다. ● 2003년 덴마크의 연구에서는 제대혈 메틸수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18개월 영아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고국내연구에서도 비슷한결과를보였습니다. ● 동물 실험 연구에서도 높은 수준의 수은에 노출된 어미 에게서 태어난 새끼들이 출생 후 체중에 영향을 받는 것으 로 발견되었습니다. 인지발달환경성질환 ● 환경부에서 수행된 연구결과, 태아 시기의 수은농도가 증가할수록 알레르기로 인한 병원 방문 횟수가 증가하는 추세를보였습니다. ● 그러나 태아의 수은 노출이 아이들의 알레르기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국내외적으로 부족한 실정으 로 보다 명확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 가필요합니다. Tip 수은과 건강영향 수은 중독은 1956년 일본의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에서 메틸수은이 함유된 조개 및 어류를 먹은 주민들에게서 집 단적으로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면서 그 유해성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미나마타 시에 있는 신일본질소 주식회사의 공장에서 배출된 폐수 안에 함유되어 있던 메틸수은(유기수은의 일종)이 물 속에 사는 동물성 프랑크톤과 어패류들을 오염시켜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 내에까지 축적이 되어 나타난 대표적인 환경오염 사 례입니다. 수은은 대기 중에서 증기상으로 1년 이상 장시간 체류하여 거리를 이동하는 특성이 있어 수은에 의한 대기오염은 한 국가에서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국에서 수은의 유해성 및노출특성,그리고수은노출을줄이는방안에대한연구들이활발히이루어지고있습니다. 2장 ● ➍ 수은
  • 18.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32 33 Tip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수은 줄이기 몸집이큰생선은주2회이상섭취하지마세요 ● 임신과 모유수유 중에는 옥돔, 왕고등어, 황새치, 상어 등몸집이큰생선은먹지않는것이좋습니다. ● 임신 중에는 어패류를 일주일에 2번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바람직합니다(이는국내담수어패류기반기준에따 른것입니다). ● 미국 환경보호청 조사에서 수은이 비교적 적게 함유된 생선으로 새우, 연어, 대구, 메기가 있었으며 우리가 즐겨 먹은고등어,갈치,꽁치,조기의수은함량도낮았습니다. 직업상유해물질을다룬다면조치요령을꼭알아두세요 ● 직장에서 수은 등과 같은 유해물질들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면호흡보호구를꼭착용하시기바랍니다. ● 직장에서 돌아온 후에는 깨끗하게 씻고, 직장에서 입었 던옷은따로분리하여세탁하도록합니다. ● 수은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수은 검사에 대해 의사와 상담을하는것이좋습니다. 임신중아말감치료나제거는하지마세요 ● 임산부나 가임여성의 경우 체내 수은농도를 증가시킬 수있는아말감치료및제거는미루는것이좋습니다. ● 임신 중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능한 수은이 들어있 지않은재료를사용하는지확인하시기바랍니다. 차가많이다니는도로근처는피해주세요 ● 임신 중에는 차가 많이 다니는 곳에는 통행을 삼가도록 합니다. 야채와과일로수은을낮춰보세요 ● 만성적인 수은축적을 회복시키는 일은 쉽지 않지만 비타민C, 셀레늄, 황을 함유한 아미노산 등은 수은축적 치 료에도움이됩니다. ● 과일(귤, 오렌지, 자몽, 딸기 등), 채소(피망, 브로콜리, 양배추, 토마토 등) 등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은 체내 중금 속농도를줄이는데도움이됩니다. 수은노출시대처법 1.수은을쏟은장소로부터사람을격리시킵니다. 2.쓰레기봉투,고무장갑등청소용품들을준비합니다. 3.눈에보이는수은방울들은카드와종이를사용해치웁니다. 4.플라스틱용기안에수은을조심해서넣어안전한곳에폐기합니다. 5.아직제거하지못한수은이있는지조사합니다. 6.수은이오염된가능성이있는모든물품들을따로모아둡니다. 7.오염된방을환기시킵니다. 8.의사에게수은검사에대해상담을받습니다. 9.수은에노출되었을 것 같은 물품(카펫등)들을 폐기하는 것을 고려 해야합니다. 수은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몸집이큰생선 ● 생선은 지방산 오메가3가 많이 들어있고 양질의 단백질 이많아우수한식품으로알려져있지만 수은노출과관련 해서는주의를기울일필요가있습니다. ● 미국 환경보호청에 의하면 몸집이 큰 생선으로 알려진 상어, 황새치, 고래, 옥돔 등은 수은농도가 높은 생선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환경부 결과에서도 임신 전 몸집이 큰 생선 섭취량이 많 은 경우에 혈중 수은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임산 부와태아에게더민감한건강영향을나타낼수있습니다. 직업노출이있는경우 ● 스페인과홍콩연구에서수은에노출되는직업을가진경 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수은농도가 높았고, 독일의 산 모연구에서도작업장에서의수은노출이적은산모보다높 은산모에서태아의성장지연위험이1.8배나높았습니다. 아말감 ● 치과용 아말감이 수은농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 결과들이 일치되지 않아 확증적인 결론을내리기어려운상황입니다. ※아말감:은을비롯하여몇가지금속가루들과수은을섞어아 말감 메이터라는 기계를 통해 혼합한 것으로 무게비 약 50%의 수은이들어감 ● 영국 연구에서는 임신 중 아말감을 제거하거나 교체하 였을경우수은농도가 높게나타났다고보고한바있으나, 아말감 치료는 임신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결 과들이보고되기도하였습니다. 백신주사 ● 백신의 보존제로 수은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예방접종을통해수은에노출될수있습니다. 집과도로와의거리 ● 환경부가 2005년 성인 2천 명을 조사한 결과 교통량이 많은 도로를 기준으로 50m 이내 지역에 사는 사람의 혈중 수은 농도는 4.55㎍/l, 300m 이상 떨어져 사는 사람 은3.84㎍/l로유의한차이를보였습니다. 대기오염 ● 대기에서 장기간 이동한 기체 수은은 수면 또는 지표면 의 미생물에 의해 무기수은에서 독성이 강한 유기수은인 메틸수은으로변환됩니다. ● 그 후 미생물을 먹는 생선을 통해생물에축적되어최종 소비자인인간에게큰영향을미치게됩니다.
  • 19.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34 35 프탈레이트는 어떤 물질인가요? 프탈레이트(Phthalates)는 우리 실생활에 이용하는 여러 제품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가소제(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물질)입니다. 고분자량 프탈레이트인 Di-ethylhexyl phthalate(DEHP), Butyl benzyl phthalate(BBP) 등은 PVC, 바닥재, 의료용 튜브, 음식포장용기 등의 플라스틱 제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Diethyl phthalate(DEP)과 Dibutyl phthalate(DBP) 등의 저 분자량 프탈레이트는 화장품, 살충제의 용매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완구및어린이용품생산수입금지사례 •유럽연합 2005년 7월 유럽연합(EU) 독성·생태독성 및 환경과학위원회에서는 DEHP,DBP,BBP 등 3종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생식독성이있다는 것을 최종 확인하여 이 성분이 들어간 완구와 어린이용 제품에 대하여 유럽연합내에서생산및수입을금지하기로하였습니다. 또한DINP,DIDP,DODP3종의경우에는아이들이입에넣었을때침과 접촉하여노출될수있는3세이하의장난감및어린이용제품에대하여 사용이금지되었습니다. •우리나라 2003년4월시민단체의조사결과수입및국산화장품에서프탈레이트 성분이 검출된 뒤, 식약청에서는 화장품 내 DEHP, DBP 사용을 금지하 였습니다. DEHP,DBP,BBP등의경우해당물질이0.1%초과하여함유된물질로 는 완구및육아용품,수액백 등의용도로는 사용하지않을 것을 업계관 계자들과협약하여업계스스로의자율이행협의회를구성하였습니다. 프탈레이트는 어떻게 노출되나요? 프탈레이트는 작업장, 자동차 내장재, 건축자재를 통한 공 기흡입과화장품류를통한피부흡수,PVC튜브등의의료 기기 사용, 장난감 등 어린이 용품, 식품포장이나 생산 과 정에서오염된음식의섭취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노출될 수있습니다. 경구(입)노출위험:높아요 ● 플라스틱용기에뜨겁게데워진음식 ● 플라스틱장난감,인형등을입으로빠는행동 ● 프탈레이트가포함된의료튜브를통한수유및수혈/수액투여 피부 노출위험:중간이에요 ● 화장품등 실내공기노출위험:중간이에요 ● 비닐마루등에서배출되기도합니다. ● 집먼지에서검출됩니다. 음용수노출위험:낮아요 ● 식용수에서검출되기도하나,대체로낮은농도로검출됩니다. 대기,토양,침전물노출위험:낮아요 ● 대기와 토양,침전물에도 존재하지만 생활 속에서는 중요한 노출 원은아닙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 프탈레이트및 비스페놀 A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s)이란 생명체의 정상적인 호르몬 기능을 방해하는 화학물질로서 체내 에유입되면호르몬처럼작용한다고하여‘환경호르몬’이라고불리기도합니다.내분비계장애물질로의심되는화학 물질들에는 음료수 캔의 코팅제로도 쓰이는 비스페놀A,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가소제인 프탈레이트, 쓰레기 소각장에서발생하는다이옥신등이있으며갈수록내분비계장애가의심되는물질이늘어나고있습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특성은 환경 중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인체 또는 생물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것입니다. 그동안 인체 생식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보고되었고 남성에서는 생식력 저하, 생식기 관련 암의 발생위험이의심되고있으며,여성의경우유방암,생식기암의발생위험이의심되고있습니다. 2장 ● ➎ 내분비계장애물질 -프탈레이트 및 비스페놀 A-
  • 20.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36 37 비스페놀 A는 어떻게 노출되나요? 주로 음식물이나 음료를 통해 비스페놀 A에 노출되며, 이 외에 공기, 먼지, 물 등을 통해 노출되기도 합니다. 비스페 놀 A는 내부의에폭시수지코팅처리를 한 음식이나 음료 용기(음료수 캔, 병뚜껑 등)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 틱으로 만들어진 제품(아기젖병, 음식용기, 물병등)으로 부터 음식에 옮겨지게 됩니다. 이때 액체의 온도가 높을수 록 더 많은 양의 비스페놀 A가 녹아 나올 수 있으므로 주 의가필요합니다. 최근에는 비스페놀 A가 피부를 통해 흡수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보고되기도하였습니다. 플라스틱제품 ● 아기젖병,컵,숟가락 ● 음식용기,물병 ● 자동차용품 ● DVD,CD 코팅처리를한경우 ● 음료수캔,병뚜껑 ● 식수관 피부 ● 코팅된감열지 ● 영수증 치과재료 ● 치과에서치아의씹는면을덧씌우는데쓰이는실란트 기타노출원 ● 이외에쓰레기매립장침출수,공장폐수,실내공기등 비스페놀 A는 우리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현재까지 비스페놀 A에 대한 연구는 동물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입 니다.일반 사람들에서보이는 낮은 수준의노출이사람에 게 나쁜 결과를 초래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는 상태로 선진국에서도 비스페놀 A의 위해성 관리를 위한근거확보를위해다양한연구가진행되고있습니다. 동물실험연구 ● 출생 전에 비스페놀 A에 노출된 새끼 쥐에서 난소 무게 가증가하는것을관찰하였습니다. ● 비스페놀 A에 우연히 노출된 동물들에서 생식 세포가 감수분열을할때장애가나타났습니다. ● 출생 전과 수유기간 동안 비스페놀 A에 노출된 암컷 쥐 는 체중이 증가 하였으며 이런 현상은 성년시기까지 지속 되었습니다. ● 재태기간 중 비스페놀 A에 노출된 어미에서 태어난 쥐 의 성장이 빨라지며 사춘기가 가속화되었고 발정주기가 변화되는것을관찰하였습니다. ● 출산 전후의 비스페놀 A 노출은 유선의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것이여러동물연구에서보고되었습니다. ● 출생 전 비스페놀 A 노출은 성년 시기의 쥐에서 암컷 생식계의형태적,기능적변화를초래하였습니다. ● 쥐를 이용한 동물 실험 연구에서 비스페놀 A 노출로 정자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전립선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 으로보고되었습니다. 프탈레이트는 영유아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현재까지 프탈레이트와 같은 내분비계 장애물질들이 우 리 몸 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호르몬을 방해 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지, 어느 정도의 양이 해를 끼칠수있는지에대해확실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상 황이지만,다음과같은연구결과들이보고되었습니다. 임신결과에영향을줘요 ● 산모가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임신주수가 짧아지고 조산의위험이높아졌습니다. 아이의생식기관발달에나쁜영향을줘요 ● 남자아이에서잠복고환이생기거나생식기관의크기가 작아지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비염,습진,알레르기,천식에영향을미칠수있어요 ● 혈중 프탈레이트 농도가 높을수록 비염, 습진, 알레르기 증상이유의하게증가하였고 또한집안먼지중 프탈레이 트가천식발생과관련성이있다는보고도있습니다. 그밖의영향 ● 프탈레이트 노출은 갑상선 기능 이상이나 복부비만, 인슐린저항성을유발할수있다는연구결과가 있습니다. ● 어린이에서는 지능저하, 집중력저하, 과잉행동장애와의 관련성이 시사되어 이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습 니다. 비스페놀 A는 어떤 물질인가요`? 비스페놀 A는 플라스틱의 재료로 쓰이는 폴리카보네이트 나 에폭시 수지를 만드는 원료로 음식용기, 물병, 젖병, 컵, CD, 식품의 포장 재질 등우리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쓰이 고있습니다. 동물 실험연구를 통해비스페놀 A가 생식및발달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알려지면서최근 이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미량의 비스페놀 A라도 인체 내로 흡수 될 경우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작용을 하여 내분비계장애 물질로작용한다는것이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유해성을 인정하고 어린이, 유아용품에 비스페놀 A의 사용을 금지한 국가들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서 젖병 및 일부 어린이 완구에서용출규격을규제하여관리하고있습니다.
  • 21.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38 식품 섭취와 영양 임신을 하게 되면 산모는 아이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줘야 하기 때문에 영양소의 필요량이 보통 사람들보다 증가하게 됩니다. 임신 중의 예비 엄마들은 음식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산모가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와 영양소는 아기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때 기본적으로 필요한 다량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도 중요하지만,비타민과무기질같이소량으로필요한영양소들도아이가자라는데매우중요합니다. 하지만 모든 음식이 아이에게 좋은 영양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음식은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 노출에 영향을 주기도합니다.따라서음식증에함유될수있는유해물질의노출을주의해야하며,또한적절한영양소를섭취하여 몸안에들어온중금속등유해물질을줄이도록할필요가있습니다. 2장 ● ➏ 식품 섭취와 영양 사람대상연구 ● 일본 연구에서 비스페놀 A 노출은 반복적인 유산과 관련이있었으며, 염색체이상 태아를 출생한 산모의 혈청 내비스페놀A농도가정상아출산산모보다높았습니다. ● 뉴욕시 산모들에서 비스페놀 A 노출은 출생아 체중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고 우리나라 일부 병원의 연구에 서도 산모의 혈청 비스페놀 A 농도는 신생아의 체중 증가 와관련이있었습니다. ● 미국 보건부의 국가독성 프로그램(National Toxicology Program)보고서에따르면,비스페놀 A가 태아,영유아 및 아동의 뇌, 행동, 전립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5단계 근거 중 중간에 해당하는 ‘약간의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수준’으로 평가되었고, 현재 수준의 인체 노출 정도로도 민감한 사람들에게는 잠재적인 신경·행동학적 영향을 미칠수있는것으로제시되었습니다.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줄이기 생활습관을바꿔보세요 ● 산모는 임신 중에 가능한 캔 음료나 캔에 든 식품을 먹지않도록주의합니다. ● 가정의 음식 용기는 플라스틱보다는 유리 용기를 사용 하도록합니다. ●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전용 용기를 사용해 야합니다. ● 조리기구(국자, 도마, 주걱 등)는 열에 자주 노출되고 녹기때문에플라스틱제품을피하도록합니다. ● 비스페놀 A 등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긁히고 낡은 젖병 이나아이컵은사용하지않습니다. 현명한구매가필요해요 ● 유아용젖병은‘비스페놀Afree제품’을선택합니다. ● 플라스틱으로 된 장난감을 구매할 때는 제품 성분과 안전확인마크를반드시확인합니다. ● 아이들이먹는용기는플라스틱보다는유리재질의그릇 을구매하여사용하는것이좋습니다. ● 아기용품, 아기방에 놓는 물건은 플라스틱 가소제가 많 이들어간제품은피하도록합니다. 플라스틱제품을사용할때주의가필요합니다 ● 아이가 플라스틱 장난감이나 플라스틱 제품을 입에 넣거나빨지않도록항상주의를기울여야합니다. ● 아이들의 놀이방에 사용하는 매트에도 프탈레이트가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더운날 땀을 흘리고 피부에 직접닿지않도록합니다. ● 장난감놀이가끝난후에는반드시손을씻어줍니다.
  • 22. 산모와 영유아를 위한 환경보건가이드 41 철 ● 임신 중에는 철의 필요량이 많이 증가하는데, 이를 충족 시키지못하면빈혈이일어납니다. ● 이런 철 결핍성 빈혈은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을 크게만듭니다. ● 임신 중에는 식사만으로 철을 충분히 얻을 수 없으므로 철보충제를먹는것을권장합니다. ● 하지만 철분제의 부작용 때문에 거부감이 드는 경우에 는철분이많은음식을충분히먹음으로써해결할수도있 습니다. ● 육류, 간, 가금류, 해산물 및 해조류, 두류 및 잎이 푸른 채소에철분이많습니다. 망간 ● 망간은 크롬과 함께 태아가 정상적인 골격 성장과 발달 에꼭필요한영양소입니다. ● 망간이 부족하게 되면 아이의 성장발육과 관절형성이 방해를받게됩니다. ● 망간은 땅콩, 현미, 보리, 호두 등에있고 곡물과 시금치, 미역에도많습니다. 산모가 조심해야 할 영양이야기 식품 및 영양소는 태아와 산모에게 꼭 필요합니다. 그러 나어떤식품과영양소는 산모와태아에게나쁜영향을주 기도 합니다.예를 들어우리가 먹는 음식을 통해수은,납, 카드뮴과같은중금속노출에영향을줄수있습니다. 건강한 식이섭취는 건강한 출산과 아기의 성장발달을 도 울수있습니다. 몸집이큰생선에수은이많이들어있어요! ● 생선은 오메가3가 많이 들어있고 양질의 단백질이 많아 우수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은 노출과 관련해서는 주의를기울일필요가있습니다. ● 특히 몸집이 큰 생선으로 알려진 상어, 황새치, 고래 등 은수은농도가높은생선으로조사되었습니다. 엽산섭취는혈중수은농도를낮출수있습니다 ● 산모의 혈중 수은농도는 혈중 엽산농도와 음의 관련성 이있는것으로나타났습니다. ● 산모의 혈중 엽산농도는 식이 및 보충제를 통해 증가하 며 비타민 B2와 비타민 B6 섭취량 증가 역시 혈중 엽산농 도를증가시키는것으로알려져있습니다. ● 엽산이 풍부한 식품은 대두·녹두 등의 두류, 시금치, 쑥갓등의채소류,딸기,오렌지,참외등의과일류입니다. ● 비타민B2는육류,닭고기,생선과같은동물성식품과우 유와같은유제품에풍부하고,비타민B6는비타민B2와같 이동물성식품을비롯하여현미,대두,귀리등에있습니다. 임신중에충분한칼슘섭취는혈액중납농도를감소시켜요! ● 임신 중 충분한 칼슘 섭취는 혈중 납농도를 낮춘다는 연구보고가많이있습니다. ● 환경부 연구결과에서도 임신 중 칼슘을 하루 800mg 이상(우유 약 4잔의 양) 섭취한 엄마들이 칼슘을 덜 먹은 엄마들보다혈액의납농도가더낮았습니다. ● 특히, 칼슘의 대표적인 급원 식품인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높을수록혈중납농도가낮았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 www.nier.go.kr40 산모에게 필요한 영양소 이야기 우리 아이가 뱃속에서 자라나는 데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산모가 먹는 음식 속에 있는 영양소입니다. 최근에는 산 모가 임신하기전의영양상태도 아이의 성장과 발달, 임신 결과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단 백질, 지방, 탄수화물과 같이 중요 영양소도 중요하지만 적은양이지만큰역할을하는미량영양소또한산모와아 기에게꼭필요하고중요합니다. 그럼미량영양소에는무엇이있는지알아볼까요? 비타민D ● 비타민D는칼슘흡수에필수적입니다. ● 뱃속의 아이와 함께 규칙적으로 햇빛을 쪼이며 산책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규칙적으로 햇빛을 쬐게 되면, 피부의콜레스테롤로부터비타민D가합성되기때문입니다). 비타민C ● 비타민 C는 피부, 힘줄 등의 구조를 이루는 중요한 단백 질인콜라겐을만드는데필요합니다. ● 비타민 C는 감귤류 같은 과일을 통해쉽게섭취할 수있 습니다. 칼슘 ● 칼슘은 태아의 치아와 골격을 만드는 데 중요하게 사용 되는미량영양소입니다. ● 하지만식사를통해얻을수있는칼슘만으로는임신후 반기의칼슘필요량을맞추기엔부족합니다. ● 산모의칼슘 권장량은임신전보다 늘어나게되는데 하 루에우유3~4컵정도만마셔도충분합니다. 엽산 ● 엽산은 임신 중에 태반을 만들 때, 혈액량을 늘리기 위 한 적혈구를만들때그리고아이의성장을 도와주기위해 필요합니다. ● 임신 초기에 세포분열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임신 전부 터충분한엽산영양상태를유지하는것이중요합니다. ● 아이를 가진산모의엽산 섭취권장량은 보통 사람의권 장량보다2배정도많습니다. ● 엽산은 시금치 등 잎이 푸른 채소, 김치, 된장 등 발효식 품,오렌지주스,내장육그리고콩류제품에풍부합니다. 아연 ● 아연은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DNA와 RNA 그리고단백질을만드는데사용됩니다. ● 임신 중에 아연이 결핍되면 기형아와 저체중아를 출산 할위험이커집니다. ● 아연의 영양공급원으로는 굴, 살코기, 달걀, 우유, 두류 및견과류등이알려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