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모든 노동자의 “민주노총”
02
03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이
당신의 꿈과 희망을
응원합니다
당신편의 생각보다 큰 힘 민주노총
04
05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의 발자취를 돌아봅니다.
민주노총이 걸어온 길은 곧 한국사회가 변화한 길이었습니다.
민주노총은 언제나 변화의 선두에서 투쟁했습니다. 때로는 모
진 탄압이 있었고, 가끔은 혹독한 시련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민주노총은 언제나 부끄럽지 않은 투쟁으로 노동자의 삶과 우리
사회를 한발씩 전진시켰다고 자부합니다.
그리고 이제 민주노총에게, 또 한국사회의 모든 노동자들에게
새로운 변화의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100만 민주노총의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사업장의 담장을 넘어
전체 노동자 농민, 시민들과 함께 이뤄낼 한국사회의 대개혁입
니다.
노동자의 삶을 파괴하는 탐욕스런 재벌, 재벌을 옹호하는 부패
한 정치, 부패정치를 비호하는 관료와 언론. 이들이 맺고 있는
적폐동맹은 한국사회의 개혁을 가로막고 민중들의 삶을 피폐하
게 만들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은 이제 백만의 조합원들과 함께, 나아가 이천만 노동
자, 전체 민중들과 함께 적폐를 끊어내고 사회 대개혁을 위한 투
쟁에 나섭니다.
늘 그랬듯 언제나 민주노총은 조합원 곁에 든든한 벗이 되겠습
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 명 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9기 위원장 김명환
1991	 철도청 입사
1994	 전국지하철노조협의회 공동파업으로 해고 및 구속
2006	 전국철도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2013	 전국철도노조 위원장
2014	 KTX분할 민영화 저지 파업으로 해고 및 구속
2017	 전국철도노조 정치통일 위원장
	 민주노총 9기 위원장 당선
“사업장 담장을 넘어
사회 대개혁으로”
06
인사말
위원장
인사말
07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을소개합니다
민주노총을
소개합니다
창립선언문 (1995년 11월 11일)
“생산의 주역이며 사회개혁과 역사발전의 주체인
우리는 일백여년에 걸친 선배 노동자들의 불굴의 투쟁과
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거대한 흐름으로 자리잡은
민주노조운동의 성과를 계승하여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동조합의 전국중앙조직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을 결성한다.
우리는 민주노총의 깃발을 높이 들고
자주, 민주, 통일, 연대의 원칙 아래 뜨거운 동지애로 굳게 뭉쳐
노동자의 정치, 경제, 사회적 지위를 향상하고
전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보장하는
통일조국, 민주사회 건설의 그 날까지 힘차게 투쟁할 것을 선언한다.”
민주노총 상징마크
의 미	민주노총 상징마크는 민주노총 강령에 나와있듯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동조합운동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고,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보장하는
	 참된 민주사회 건설을 향한 염원’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인간 평등과 함께 단결을 표현하고 있는
	 노동자의 옆얼굴은 노동자의 진취적인 기상을 담고 있다.
	 또한 힘차게 나부끼는 깃발은 참세상 건설,
	 노동해방을 향해 나아가는 4천만 국민의 꿈과 희망인
	 민주노총의 모습, 바로 그것이다.
색 상	붉은색, 흰색, 회색 등 3가지 색깔은 노동자의 열정, 의연함, 순수
함을 표현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연대도 강조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이렇게 운영합니다
민주노총은 우리 사회가 분단의 아픔을 극복하고 항구적인 평화 체제를 만들어낼 수 있
도록 노력합니다. 민주노총 통일위원회는 평화와 통일 운동에 적극적으로 연대할 뿐 아
니라 남과 북의 노동자들의 자주적 교류를 통해 연대와 단결을 실현하고자 노력합니다.
한국 노동자들의 오랜 꿈은 노동자 민중의 정치세력화입니다. 자본가와 기업들을 더 잘
살게 하는 정치가 아닌 노동자와 민중들이 정치와 사회의 주인이 되는 정치를 만드는 데
민주노총 정치위원회가 앞장서고 있습니다.
페미니즘은 이제 부문 운동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저변에 깔린 ‘의식’이 되고 있습니다.
1997년에 만들어진 민주노총 여성위원회는 남성중심적 노동운동의 한계를 극복하며 한
국 사회 전반의 페미니즘 운동에서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제 여성위원회는 일터 뿐 아
니라 사회 곳곳에서 성평등의 기치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은 세상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모든 곳들과 함께 합니다. 농민과 학생, 장애인,
성소수자, 철거민, 빈민 등 사회 곳곳에서 요구되는 연대의 손을 붙잡고 또 다른 곳에 연
대의 손길을 내밉니다. 민주노총 사회연대위원회는 사회적 연대를 통해 사회 대개혁을
이루는데 앞장섭니다.
•통일위원회
•정치위원회
•여성위원회
•사회연대위원회
상설위원회
•사회공공성강화위원회
•노동안전보건위원회
•성평등위원회
•노동위원회사업 특별위원회
•재벌체제개혁 특별위원회
•열사정신계승 특별위원회
•전략조직 특별위원회
특별위원회
상임집행위원회
부위원장상설위원회
위원장
총
무
실
기
획
실
미
조
직
전
략
조
직
실
정
책
실
선
전
홍
보
실
대
변
인
실
노
동
안
전
보
건
실
조
직
쟁
의
실
대
외
협
력
실
사무총장
•법률원
•정책연구원
•교육원
부설기관
회계감사위원회
규율위원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조합원 총회
대의원대회
중앙위원회
중앙집행위원회
08
09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을이렇게운영합니다
산업별 노조는 기업별 노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힘있고 단단한 노동조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16개의 산업별 노조가 민주노총에 함께 합니다. 각 산별노조들은 각 산업의 노동자들을 위해 힘쓸 뿐 아니라
서로에 대한 지원과 연대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습니다.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1999년 12월 17일 창립
건설기업, 건설노조, 플랜트노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1989년 5월 28일 창립
초·중·고등학교 교원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
2009년 2월 26일 창립
공공부문 및 중소영세 비정규직 노동자
전국공무원노동조합
2002년 3월 23일 창립
공무원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1995년 2월 21일 창립
보험, 증권, 여·수신, 사무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1998년 2월 27일 창립
공공, 민간병원, 보건의료기관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2001년 2월 23일 창립
도소매업, 숙박, 사회서비스 부문
전국언론노동조합
2000년 11월 24일 창립
신문, 방송, 출판, 인쇄
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
2004년 12월 5일 창립
IT, 정보통신
전국민주여성노동조합
1999년 7월 3일 창립
공공기관 및 지자체 환경미화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2011년 6월 24일 창립
공공, 운수, 사회서비스부문
전국교수노동조합
2001년 11월 10일 창립
대학교 교원
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2002년 4월 27일 창립
대학교 비전임 교원
전국대학노동조합
1998년 11월 6일 창립
대학교, 고등교육기관
민주노총 16개 가맹·산별조직
전국민주화학섬유노동조합연맹
2000년 2월 22일 창립
화학, 섬유, 식품, IT, 기타업종
전국금속노동조합
2001년 2월 8일 창립
자동차, 조선, 철강, 중장비, 엔진
10
11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은이렇게구성되어있습니다
가맹·산별조직
민주노총은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민주노총 지역본부는 각 지역의 노동 현장, 가장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민주노총의 모든 활동을 지역의 상황
에 걸맞게 묶어내며 지역의 시민들과 연대합니다. 민주노총 지역본부는 민주노총의 활동에 지역적 다양성을
더해줄 뿐 아니라 민주노총을 전국적 규모로 키워냅니다.
서울본부
세종충남본부
인천본부
대전본부
울산본부
부산본부
대구본부
경남본부
경북본부
경기본부
광주본부
전북본부
전남본부
제주본부
충북본부
강원본부
민주노총 16개 산하•지역조직
산하·지역조직
모든 노동자의 노조할 권리를 지켜냅니다
노동자의 노동조합 가입을 가로막고, 노동조합 활동을 부당하게 제약하는 각종 법과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투쟁합
니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지켜냅니다
민주노총은 노동시간 단축 투쟁으로 노동자의 일상과 건강을 지키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바로잡고자 합니다.
최저임금 인상과 양극화 해소로 우리 모두의 삶을 지킵니다
민주노총은 최저임금 1만원 실현을 위한 최저임금 인상의 필요성을 알리고 영세·자영업자들과 연대하며 우리 모두
의 상생을 위한 임금인상 투쟁을 만들어 갑니다.
비정규직과 정규직이 함께 서로를 지킵니다
민주노총의 비정규직과 정규직 노동자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철폐와 비정규직의 철폐를 위해 함께 투쟁
합니다.
공공부문의 민영화를 저지하고 사회의 공공성을 지킵니다
민주노총은 교통과 에너지, 의료 등 우리가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 사유화 되는 것을 막고 우리가 사는
사회가 더 건강한 곳이 될 수 있도록 투쟁합니다.
돈보다 생명! 이윤보다 안전! 위험의 외주화를 막고 안전한 사회를 지킵니다
매년 2,400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합니다.
그리고 그 중의 대다수는 비정규직 노동자입니다. 민주노총은 위험의 외주화를 막고 노동자의 건강한 삶을 지켜냅
니다.
누구나 노조하는 세상, ‘누구나 민주노총’ 시대를 열어 갑니다
2016년 겨울 촛불집회 이후 많은 노동자들이 민주노총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100만 민주노총 시대입니다.
민주노총은 100만을 넘어 모든 노동자와 함께 하는 ‘누구나 민주노총’의 시대를 열어 갑니다.
비정규직도, 이주노동자도 노조하는 세상. 민주노총이 만들어 갑니다
작은 사업장의 비정규직 노동자, 힘든 열악한 노동환경에 놓인 이주노동자들과 함께 합니다. 민주노총은 절실히
노조가 필요한 노동자들에게 ‘먼저’ 다가갑니다.
더 크고 단단한 울타리, 민주노총은 산별노조로 함께 합니다
작은 사업장의 노조에겐, 이제 갓 만들어져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는 노조에겐 회사보다 더 크고 회사보다 더 강한
노조가 필요합니다. 함께 싸우고 함께 교섭하는 산별노조는 더 많은 노동자들의 크고 단단한 울타리가 됩니다.
민주노총은 한국사회 민주적 노동조합의 총연합단체입니다.
민주노총은 모든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을 위해 투쟁합니다.
헌법 속 노동 3권을 구현하는 곳, 민주노총입니다.
1577-2260 언제 어디서든 민주노총에 무엇이든 물어 보세요!
누구나, 당신도 민주노총입니다.
지키는
민주노총
12
13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이하는일
누구나
민주노총
민주노총이
하는일
현장의 목소리가 담긴 정책 대안을 만들어 갑니다
민주노총은 다양한 산업과 각 지역의 노동현장이 내는 목소리를 수렴해 현장의 노동자를 위한 더 나은 정책 대안을
연구하고 만들어냅니다.
기업보다 힘이 센 산별노조의 교섭, 초기업단위 교섭을 만들어 갑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원청과 하청으로 나눠진 노동자들은 회사와의 교섭에서 큰 힘을 내기 어렵습니다. 개별 회사의
담장을 넘어 업종과 직종, 지역에 따른 초기업 교섭으로 더 강하고 실력있는 교섭을 만들어 갑니다.
노동자를 위한 법과 정책을 만들어 갑니다
법과 정책을 만드는 정부 부처들이나 국회의원들에게 노동자를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협의합니다. 민주노총은
정부, 국회와 다양한 방식으로 교섭하고 필요하다면 노사정의 모든 주체들과 대화합니다.
수백만의 촛불이 타오르던 그날, 민주노총이 당신과 함께 있었습니다
민주노총은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과 함께 스물 세 번의 촛불을 준비했습니다. 노동자, 시민들이 함께 든
촛불은 박근혜 정권을 퇴진시켰습니다. 우리의 삶과 세상을 바꾸는 촛불, 언제나 민주노총이 함께 듭니다.
당신을 위한 모든 싸움에 민주노총이 함께 있습니다
노동자와 농민과 여성과 청년과 장애인 성소수자와 가난한 우리 모두의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들기 위한 투쟁에 민주
노총이 늘 함께 합니다.
#ME_TOO #WITH_YOU
민주노총은 성차별과 성폭력에 반대합니다. 일터를 불행하게 만드는 모든 성폭력에 반대합니다.
성평등 일터를 위해 노력하는 모든 노동자들과 함께 합니다.
세월호를 잊지 않습니다
세월호를 잊지 않습니다. 그 무엇보다 ‘생명’과 ‘안전’이 중요한 세상을 만드는 일에 민주노총은 언제나 함께 하겠습
니다.
전쟁없는 평화로운 세상 만들기에 함께 합니다
길었던 분단, 불안한 전쟁위협을 극복하고 남과 북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세상에 민주노총이 함께 합니다.
모두를 위해 모두가 함께하는 정치를 만들어 갑니다
민주노총은 모두가 정치에 참여하고, 정치는 모두를 더 행복하게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민주노총은 노동자들이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노동자들을 위한 새로운 정책 대안을 만들어갑니다. 회사를 상대로
회사보다 더 크고 강한 노동조합의 교섭을 만들고 있습니다.
일터에서, 광장에서, 모든 노동자의 삶과 투쟁의 순간에
민주노총이 함께 합니다.
만드는
민주노총
함께하는
민주노총
민주노총각종정부위원회참가현황 (2019년3월현재)
구 분 주요 위원회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국무총리실 사회보장위원회
기획재정부 공공기관경영평가위원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심의위원회, 중앙노동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고용정책심의회, 고용보험위원회, 고용보험심사위원회,
산재보상 및 예방심의위원회, 산업안전보건전문위원회, 산재보상재심사위원회, 요양전문위원회,
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 화학물질 평가 소위원회, 산업안전기술지침 제정위원회, 건설업사망사고대책협의회,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 임금채권보장기금 심의위원회, 공인노무사자격심의위원회, 근로복지공단
이사회 운영위원회, 한EU FTA 지속가능발전 국내자문단 및 시민사회포럼, 외국인력정책심의위원회,
휴면보험료관리위원회 등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장기요양위원회,건강보험재정운영위원회,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국민연금심의위원회,
국민연금공단이사회,건강보험공단이사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사회,사회서비스진흥원포럼,심평원시민참여위원회,
건강보험공단상생협의체등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안전협의회
14
15
모든노동자의민주노총이하는일
민주노총이하는일
| 민주노총 법률원 |
노동자 법률 지원과 상담
민주노총 법률원 (법무법인 여는)은 노동자들을 위해 ‘법’을
사용하는 곳입니다. 노동자의 편이었던 적이 별로 없는 ‘법’
을 노동자의 무기로 만들어주는 곳입니다. 2019년 7월 현
재, 34명의 변호사와 20명의 노무사, 20명의 활동가들이
투쟁현장에서, 교섭장에서, 일상에서 법률 지원과 상담을 진
행하고 있습니다. ( ☎ 02-2670-9295 )
| 교육원 |
노동자들의 학교, 민주노조 운동의 요람
민주노총 교육원은 노동조합 활동가를 양성하고 노동자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노동자들의 학교입니다. 교육원은 노동자들
에게 필요한 교재를 만들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
급합니다. 교육원에선 노동자학교, 성평등강사단 교육, 조직
가 학교, 갈등조정 활동가 양성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 02-2670-9160 )
| 정책연구원 |
민주노조 운동의 씽크탱크
민주노총 정책연구원은 한국 민주노조 운동을 위한 정책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정세를 분석하고 전략을 짜내고, 노동자
가 주인되는 더 좋은 세계에 대한 기분좋은 상상이 구체화되
고 현실화 되는 곳입니다. 정책연구원의 연구는 ‘민주노총 총
서’로 엮입니다. ( ☎ 02-2670-9291 )
세계의 경제는 국경과 상관없이 재편되고 있습니다. 자기의 권리를 되찾기 위한 노동자들의 단결과 연대도 국경과
상관없이 이뤄져야 합니다. 민주노총은 노동자들의 국제적인 단결과 연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노조 활동가 교육교류 프로그램(LEAP)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은 아시아 노조활동가 교육 프로그램을 매년 개최
합니다. 이 프로그램을 거쳐 간 아시아 각국의 젊은 노조활
동가 100여 명은 각국 노동조합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국제노총(ITUC)의 일원으로
전세계 노동자들의 투쟁과 함께 합니다
민주노총은 163개국 331개 노총이 가입된 국제노총의
가맹조직입니다. 노동자들이 전세계 어느 곳에서 어떤 일을
하던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쟁취하는 국제적 활동에 함께
합니다.
남반구노조연대회의(SIGTUR)로
남반구 노동조합의 대안을 만들어 갑니다
민주노총은 제3세계 민주노조와의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2001년 민주노총은 제3세계 노동조합들과의 연대를 강화
하기 위해 2011년부터 남반구노조연대회의에 참여합니
다. 남반구의 각국 노총과 민주노조 운동의 미래에 대해
함께 논의합니다
유엔(UN), 국제노동기구(ILO) 등 국제기구에서
한국 노동자의 목소리를 대변합니다
민주노총은 매년 열리는 ILO 총회에서 입장을 개진하고
각국 정부가 비준한 ILO 협약 이행을 감시 감독하며 국제적
인 노동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에 함께 합니다. 그리고 국내의
노동인권을 이 기준에 맞게 끌어 올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16
17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부설기관
세계의노동자와함께하는민주노총
세계의 노동자와
함께 하는 민주노총
민주노총
부설기관
힘내자 민주노총
월 백만 원도 못 버는 비정규직이었습니다. 그땐 내 탓인
줄 알았어요. 학위를 받고 자격증도 늘어갔지만 인력시장
엔 퇴직금 주지 않으려 10개월, 11개월 계약을 하는 일자
리만 즐비했습니다.
채용 후 몇 년간을 명절엔 참기름, 김
을 들고 집으로 가야 했습니다. 서러웠지만 비정규직이라
그런가 보다 했습니다. 몇 년 뒤 설을 앞두고 통장에 ‘명절
휴가비’ 10만원이 들어왔어요. 어리둥절했습니다. 나중에
야 노조가 일궈낸 성과라는 것을 알았죠.
몇 년 뒤엔 10만
원이 5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없던 식대 4만 원이 생겼습
니다. 몇 년 후엔 8만 원으로, 또 몇 년 후엔 13만 원으로
인상됐습니다. 교육공무직은 매해 몇 만 명씩 사람이 잘
려나갔어요. ‘우리가 일회용품이냐, 우리도 인간이다’라며
서럽게 울었습니다. 몇 년이 지난 지금 우린 직접고용으
로 전환됐고 고용불안이 해소됐습니다. 이 모든 변화에는
노동조합이, 그리고 민주노총이 있었습니다.
힘내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서울지부 이수아 조합원
세상을 바꾸는 작은 힘들이 모여
현장을 바꾼다
결혼과 동시에 경력이 단절됐어요. 경력이 단절된 여성,
양육을 해야 하는 엄마가 일자리를 찾는 건 쉬운 일이 아
니었어요. 초등학교 돌봄교실 전담사로 일하게 됐지만 늘
혼자인 외톨이 직장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죠. 6시간 시간
제 노동자에게 주어지는 업무량은 많았지만 초과근무를
인정해 달라고 요구하면 “엄마가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면서 자격까지 불신하는 평가로 이어지기도 했어요.
억울한 일이 많았지만 이 억울함을 나눌만한 이도 없었
죠. 그럴 때 찾은 곳이 민주노총입니다. 근로기준법을 알
고, 단체협약을 맺으며 하나 둘씩 문제가 해결돼 나가는
걸 봤어요. 민주노총과 함께 하면서 비로소 알았어요. 내
가 내는 작은 힘이 모여 현장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요. 지
금은 민주노총의 일원으로 세상을 바꾸는 작은 힘을 내고
있어요.
서비스연맹 전국학교비정규직 노동조합 조선희 정책국장
민주노총은 스승이고 반려자
목구멍이 포도청이라고 잘못된 것을 잘못이라고 말하지
못하고 살았습니다. 그런 저에게 불의에 반대하고 인간다
운 삶을 알려준 스승같은 존재가 민주노총입니다. 민주노
총 조합원이 된 후 비록 내 것이 아닌 주말이 늘었고, 몸도
조금 힘들어졌지만 조합원들과 모여 함께 같은 목소리를
내고, 투쟁가를 부르며 비로소 진정한 하나의 노동자가 되
었습니다. 이제 민주노총은 스승이고 반려자이고, 어쩌면
나의 몸인 것도 같습니다. 퇴직하는 그 날까지 민주노총
의 조합원으로 함께 나갈 것입니다.
민주일반연맹 전국민주연합노동조합 김유진 수석부위원장
민주노총은 믿음직한 동료이자
삶의 든든한 울타리
회사라는 조직, 자본주의라는 시스템 앞에서 노동자 개인
은 한없이 무력해집니다. 그래서 우리는 노동조합으로 뭉
칩니다. 하지만 때론 조합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싸움을
하기도 합니다. 민주노총은 이런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는
이들에게 손을 내미는 친구입니다. 저는 여전히 “민주노
조 깃발 아래 와서 모여 뭉치세”라는 노랫말에 가슴이 뜁
니다. 저에게 민주노총은 투쟁의 믿음직한 동지이자 삶의
든든한 울타리입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OBS 희망조합지부 배효식 수석부위원장
싸우면서 연대의 힘을 알았어요
노동조합을 하면서는 좋은 일만 있고 나쁜 일은 없어요. 우
리 회사엔 공휴일이 없었어요. 하지만 노조를 만들고선 휴
가를 당당히 누릴 수 있게 됐어요. 화장실엔 휴지가 없었
고, 식당이 열악해 일하다가도 식사시간엔 당번을 정해 밥
을 하러 갔어요. 식비가 주어지지 않아서 멀건 된장국에 나
물반찬만 먹었죠. 노조를 만든 이후엔 이런 것들이 다 해
결됐죠. 노동환경을 개선하고 노조파괴에 맞서 싸우면서
연대의 힘을 알았어요. 우리의 힘을 모으고 민주노총의 힘
을 더하면 파장이 아주 커진다는 사실을 알았어요.
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 배미순 아이리지회장
비정규직과 함께 비를 맞는 민주노총
정규직이 흘리는 땀과 비정규직이 흘리는 노동의 땀은 다
르지 않습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차별은 없어야 됩
니다. 비정규직의 문제는 사회적 모순이고, 자본의 횡포
입니다. 그래서 비정규직의 투쟁에는 반드시 정규직의 연
대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규직이 비정규직 노동
자와 함께 손 잡고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비정규직과 함께 비를 맞는 우리,
함께 우산을 쓰는 우리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보건의료노조 부산대학교병원지부 정재범 지부장
18
19
모든노동자의
나에게민주노총이란
나에게
민주노총이란
“민주노총은 내 삶의 방향을 바꾸게 한 방향지시등이고 과제를 내주는 선생님이다” “조합원이 되어서야 투쟁을 알았고, 동지들과 함께 하는 것도 배웠다” “동지들의 환한 웃음, 때로는 그 웃음보다 더 많은 땀과
눈물을 보았다” “민주노총은 나의 일상을 바꾸어 놓았다” “부당함과 불의에 대해 앞장서게 했고, 인간답게 사는 방법을 알려줬다” “민주노총은 자랑스러운 이름표다” “민주노총은 노동자가 하나가 되는 계기를 만들어
준 우산이다” “민주노총은 나침반이자 희망의 길이다” “나는 퇴직하는 날까지 민주노총이란 이름으로 살아갈 것이다” “과거에는 ‘남의 일’이었지만, 현재와 미래는 ‘나의 일’이 되었다” “욕도 함께 먹으며 민주노총이라는 이유만으
로 무조건 동지가 되었다” “인생의 전환점에서 민주노총을 알았고, 남은 인생을 민주노총에 걸었다” “투쟁할 때까지 함께 있어 주는 민주노총이라 외롭지 않다”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과 존엄을 위해 민주노총을 건설하고
권력과 자본에 맞서 싸워왔습니다
민주노총의 역사는
한국사회 대개혁과 조국의 자주통일을 앞당기고
전세계 노동자들과 연대하며
세계평화를 앞당기는
한국노동자 투쟁의 역사입니다
일제 강점기
- 1929년. 원산총파업,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노동자 투쟁.
- 가혹한 식민 지배하 민족해방투쟁 선봉에 노동자들이 앞장섬.
해방과 미군정
- 해방과 함께 노동자들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를 결성.
- 친일파를 기반으로 미군정을 등에 업고, 분단과 반공 국가를
세운 이승만과 미군정에 맞선 1946년 9월 노동자 총파업은
10월 인민항쟁으로 발전.
박정희 개발독재와 전태일
- 박정희 군사쿠데타.
- 저임금 장시간노동의 노동자 희생 위에 재벌 중심의 ‘경제발전’
추구.
-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노동자가 있음을 알린 전태일의 인간선
언과 70년대 민주노조 운동.
5ㆍ18 광주와 노동운동의 도약
- 전두환. 광주민중 학살하고 권력을 찬탈. 집권초부터 가혹한
노동탄압.
- 탄압을 이겨내고 노조 결성, 새로운 노동운동의 지평을 연 	
85년 구로동맹 파업과 87년 노동자 대투쟁을 준비한 노동자.
한국 사회의
노동운동은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과 존엄을 위해 민주노총을 건설하고 권력과 자본에 맞서 싸워왔습니다.
민주노총의 역사는 한국사회 사회개혁과 조국의 자주통일을 앞당기고 전세계 노동자들과 연대하며
세계평화를 앞당기는 한국노동자 투쟁의 역사입니다.”
2019년
25
모든노동자의
22
민주노총
타임라인
민주노총타임라인
민주노총타임라인
1987년	
7-9월 노동자 대투쟁
• 1987년 7~9월 3,311건, 10인 이상 사업체 노동자 	
3백 33만명 중 37%가 파업투쟁.
• 노동자 대투쟁은 어용노조민주화와 노조 결성으로 이어져
1,300여개 신규노조 결성.
• 저임금·장시간노동에 내몰린 노동자 계급선언. 		
6월항쟁과 노동자 대투쟁은 한국사회 근본적 변화를 가져옴.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전국노동자대회 첫 개최.
전노협 결성과 민자당 창당-보수대
연합 통해 극심한 탄압에 맞선 민주
노조 사수 투쟁.
노태우정권 퇴진투쟁.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결성,
• 노동법 개악 저지 총파업.
- 75일간 파업, ‘신자유주의’ 막은 노동자 투쟁.
• IMF 이후 구조조정저지 투쟁, 비정규직 정규직화 투쟁, 노동자정치세력화 운동,
남북노동자통일축구-평화통일 투쟁.
- 민주노총 최저임금투쟁 전면화, 대우자동차 정리해고 분쇄투쟁, 발전노조 민
영화저지 투쟁, 화물 연대파업(물류를 멈춰 세상을 멈춰라), 손배가압류 투쟁,
공무원노조 노동3권 쟁취 파업, WTO 신자유주의 반대투쟁.
- 평택 미군기지 확장 저지투쟁, 한미FTA 저지투쟁, 사내하청 불법파견 저지
투쟁, 비정규법 시행과 뉴코아 이랜드 투쟁. 전교조 해직교사 복직 및 합법화
투쟁
1987~
1988년
1990년
1991년
1996년~1997년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출범
• 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결성된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조 결성, 42만 결집
• 정권의 탄압에 맞선 노동자 투쟁의 승리.
2008년	
•이명박, 박근혜로 이어지는 보수정권 출범.
- 한미FTA 반대,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2008년 촛불 투쟁.
- 국정농단 박근혜 퇴진 촛불 투쟁.
•보수정권 9년 반노동, 반민중, 반평화, 반통일에 맞선 노동자 투쟁
- 용산참사. 쌍용자동차 투쟁, 세계금융위기-총고용보장 투쟁, 복수노조-
전임자 관련 노조법 개악 저지투쟁,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저지투쟁-희망
버스, MBC·KBS·YTN 언론장악 저지 파업, 진주의료원 폐업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 투쟁, 철도민영화 저지 최장기 철도노조파업, 세월호 참
사와 특별법 제정운동, 노동시장 구조 개악에 맞선 민중총궐기 투쟁.
1995~
2008~
2017~
2017년	
•박근혜 퇴진. 문재인 정부 출범.
- 박근혜 퇴진 민주노총 총궐기 투쟁
- 1700만 국민 촛불의 승리.
- 적폐청산과 한국사회 대개혁 투쟁
•민주노총 100만 시대.
“100만의 힘으로 모든 노동자의 민주노총”
•“사업장 담장을 넘어 사회대개혁으로”
노동법 개정, 비정규직 철폐,
연금개혁 총파업, 최저임금 1만원 투쟁,
주 52시간 탄력근로제 투쟁.
2018년
구분 조직명 전 화 전 송 주 소 홈페이지
가
맹
조
직
전국건설산업
노동조합연맹
02)843-1432 02)848-1436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로 146
어수빌딩2층
http://www.kfcitu.org
전국공공운수
노동조합
02)497-7888 02)497-0444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로 183
철노회관 3층
http://public.nodong.org
전국공무원
노동조합
02)2631-1948 02)2631-1949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4
한흥빌딩 6층
http://www.kgeu.org
전국교수노동조합 02) 871-8706 02)6007-1415
서울시 관악구 봉천로 594-1,
2층
http://www.kpu.org
전국금속노동조합 02)2670-9555 02)2679-3714
서울시 중구 정동길5 경향신문사
별관 6층
http://metalunion.nodong.org
전국대학노동조합 02)765-6291 02)766-3962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18동 1층
http://www.kuwu.or.kr
전국민주일반
노동조합연맹
02)2068-6092 02)6944-8003
서울시 영등포구 양산로 43,
806호 (양평동 3가, 양평동우림
이비지센터)
http://www.ilban.or.kr
전국보건의료산업
노동조합
02)2677-4889 02)2677-1769
서울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16길
10 2층
http://bogun.nodong.org
한국비정규직교수
노동조합
062)236-5768 062)234-6234
광주시 동구 필문대로 309 조선대
학교 본관 남측 현환 5층 5181호
http://www.kipu.or.kr
전국사무금융
노동조합연맹
02)2068-8062 02)2671-0632
서울시 중구 정동길 5
경향신문사 별관 2층
http://www.samugol.net
전국서비스산업
노동조합연맹
02)2678-8830 02)2678-0246
서울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82
광산빌딩 3층
http://service.nodong.org
전국언론노동조합 02)739-7285 02)735-9400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한국언론회관 1802호
http://meida.nodong.org
전국민주
여성노동조합
02)795-8259 02)795-8365
서울시 구로구 경인로 643,
205동 228호
(신도림동 신도림2차동아아파트)
http://womanunion.org
전국교직원
노동조합
02)2670-9300 02)2670-9305
서울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82
광산빌딩 6층
http://www.eduhope.net
전국정보경제서비
스노동조합연맹
02)2635-1717 02)2633-2727
서울시 서대문구 독립문로 12길
2 (천연동) 2층
http://www.itunion.or.kr
전국민주화학섬유
노동조합연맹
02)2632-4754 02)2632-4755
서울시 동작구 장승배기로 98 (노
량진동 310-64) 장승빌딩 5층
http://kctf.nodong.org
구 분 조직명 전 화 전 송 주 소 홈페이지
지
역
조
직
서울본부 02)2269-6161 02)2269-6166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18동
2층
http://seoul.nodong.org
인천본부 032)525-1810 032)525-2420
인천광역시 부평구 대정로 80 (부평
동) 민주노총인천지역본부 2층
http://inodong.org
경기본부 031)268-9637 031)268-9639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45
골든프라자 5층
http://kgrc.nodong.org
충북본부 043)234-9595 043)234-9598
충북 청주시 서원구 청남로 2018
무진빌딩 8층
http://www.cbnodong.org
대전본부 042)638-4951 042)638-4952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화로 10 1층
(대화동, 근로자종합복지회관)
http://tc.nodong.org
세종충남본부 041)549-4081 041)549-4082
충남 아산시 염치읍 은행나무길
223번지 B116호
http://kctucn.jinbo.net
전북본부 063)256-5000 063)256-5004
전북 전주시 덕진구 벚꽃로 57 상가
3층
http://www.jbnodong.org
광주본부 062)511-4210 062)511-4213
광주광역시 광산구 엠코로 35
(쌍암동 688-4) 매가박스 3층
http://kj.nodong.org
전남본부 061)727-0815 061)727-0615
전남 순천시 해룡면 매안로 145
5층
http://jn.nodong.org
대구본부 053)421-8527 053)421-8523
대구시 달서구 성당로 187
민주노총대구본부 1층
http://kctudg.nodong.org
경북본부 054)278-2282 054)278-2270
경북 포항시 남구 철강로 388(호동)
포항시글로자종합복지관 3층
http://kb.nodong.org
부산본부 051)637-7460 051)637-7461
부산시 동구 자성로 141번길
13 노동복지회관 1층
http://busan.nodong.org
울산본부 052)265-6395 052)275-4858 울산시 남구 삼산중로 136 http://www.ulsannodong.org
경남본부 055)261-0057 055)283-6955
경남 창원시 성산구 마디미서로
64 노동회관 301호
http://kn.nodong.org
강원본부 033)261-5618 033)262-5618 강원도 춘천시 효자로 116(효자동) http://gw.nodong.org
제주본부 064)753-2191 064)753-219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남동 8길
58 우리올레마트 2층
http://jeju.nodong.org
26
27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산하•조직현황
민주노총
산하•조직 현황
민주노총가맹•산별조직현황
민주노총
가맹•산별조직 현황
|발행인| 김명환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사 14층 |전화| 02-2670-9100 |팩스| 02-2635-1134
|홈페이지| http://www.nodong.org www.facebook.com/ekctu twitter.com/hashtag/kctu
노동자 권리찾기 상담센터 1577-2260
폭
언
폭
행
성
희
롱
성
폭
행
높
은
병
원
비
간
병
걱
정
태
움
초
고
령
사
회
고
용
불
안
직
업
병
가
족
돌
봄
불
안
한
노
후
여
성
차
별
이
주
노
동
자
차
별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pspd
 
Momsal92
Momsal92Momsal92
Momsal92
humandasan
 
후속보도자료 0912 차별금지법
후속보도자료 0912 차별금지법후속보도자료 0912 차별금지법
후속보도자료 0912 차별금지법
humandasan
 
일하는여성79호 내지98p
일하는여성79호 내지98p일하는여성79호 내지98p
일하는여성79호 내지98p
kwwa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pspd
 
2017,7,8,9월 텍스트
2017,7,8,9월 텍스트2017,7,8,9월 텍스트
2017,7,8,9월 텍스트
humandasan
 
2013 02 도라지꽃
2013 02 도라지꽃2013 02 도라지꽃
2013 02 도라지꽃마 법사
 
[몸살] 2014년 4월호
[몸살] 2014년 4월호[몸살] 2014년 4월호
[몸살] 2014년 4월호
humandasan
 
[책자] [2017 제4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상 시상식] 저항과 투쟁으로 삶을 잇다 – 전국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책자] [2017 제4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상 시상식] 저항과 투쟁으로 삶을 잇다 – 전국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책자] [2017 제4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상 시상식] 저항과 투쟁으로 삶을 잇다 – 전국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책자] [2017 제4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상 시상식] 저항과 투쟁으로 삶을 잇다 – 전국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kwwa
 
여당당 제1호 웹용
여당당 제1호 웹용여당당 제1호 웹용
여당당 제1호 웹용Hyun Jung An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창열 이
 
Pp20130306 2기회원모니터단ot자료
Pp20130306 2기회원모니터단ot자료Pp20130306 2기회원모니터단ot자료
Pp20130306 2기회원모니터단ot자료연대 참여
 
서울시 인권기본조례안 공청회자료집
서울시 인권기본조례안 공청회자료집서울시 인권기본조례안 공청회자료집
서울시 인권기본조례안 공청회자료집
humandasan
 
일하는여성 81호(본문)(2010.1.27)
일하는여성 81호(본문)(2010.1.27)  일하는여성 81호(본문)(2010.1.27)
일하는여성 81호(본문)(2010.1.27)
kwwa
 
일하는여성81호(전체)
일하는여성81호(전체)일하는여성81호(전체)
일하는여성81호(전체)
kwwa
 
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
Jeong Eun Kim
 
2014 8 일터(완)
2014 8 일터(완)2014 8 일터(완)
2014 8 일터(완)
runkilsh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4년 1, 2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4년 1, 2월호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4년 1, 2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4년 1, 2월호
humandasan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pspd
 
일하는여성 74호(2008.3.20)
일하는여성 74호(2008.3.20) 일하는여성 74호(2008.3.20)
일하는여성 74호(2008.3.20)
kwwa
 

What's hot (20)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Momsal92
Momsal92Momsal92
Momsal92
 
후속보도자료 0912 차별금지법
후속보도자료 0912 차별금지법후속보도자료 0912 차별금지법
후속보도자료 0912 차별금지법
 
일하는여성79호 내지98p
일하는여성79호 내지98p일하는여성79호 내지98p
일하는여성79호 내지98p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회원모니터단 OT
 
2017,7,8,9월 텍스트
2017,7,8,9월 텍스트2017,7,8,9월 텍스트
2017,7,8,9월 텍스트
 
2013 02 도라지꽃
2013 02 도라지꽃2013 02 도라지꽃
2013 02 도라지꽃
 
[몸살] 2014년 4월호
[몸살] 2014년 4월호[몸살] 2014년 4월호
[몸살] 2014년 4월호
 
[책자] [2017 제4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상 시상식] 저항과 투쟁으로 삶을 잇다 – 전국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책자] [2017 제4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상 시상식] 저항과 투쟁으로 삶을 잇다 – 전국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책자] [2017 제4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상 시상식] 저항과 투쟁으로 삶을 잇다 – 전국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책자] [2017 제4회 올해의 여성노동운동상 김경숙상 시상식] 저항과 투쟁으로 삶을 잇다 – 전국철도노조 KTX열차승무지부
 
여당당 제1호 웹용
여당당 제1호 웹용여당당 제1호 웹용
여당당 제1호 웹용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대안적 사회와 삶 만나기
 
Pp20130306 2기회원모니터단ot자료
Pp20130306 2기회원모니터단ot자료Pp20130306 2기회원모니터단ot자료
Pp20130306 2기회원모니터단ot자료
 
서울시 인권기본조례안 공청회자료집
서울시 인권기본조례안 공청회자료집서울시 인권기본조례안 공청회자료집
서울시 인권기본조례안 공청회자료집
 
일하는여성 81호(본문)(2010.1.27)
일하는여성 81호(본문)(2010.1.27)  일하는여성 81호(본문)(2010.1.27)
일하는여성 81호(본문)(2010.1.27)
 
일하는여성81호(전체)
일하는여성81호(전체)일하는여성81호(전체)
일하는여성81호(전체)
 
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2015 새사연 이야기
2015 새사연 이야기
 
2014 8 일터(완)
2014 8 일터(완)2014 8 일터(완)
2014 8 일터(완)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4년 1, 2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4년 1, 2월호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4년 1, 2월호
다산인권센터 회원소식지 [몸살] 2014년 1, 2월호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일하는여성 74호(2008.3.20)
일하는여성 74호(2008.3.20) 일하는여성 74호(2008.3.20)
일하는여성 74호(2008.3.20)
 

Similar to 민주노총 소개

회원모니터단Ot
회원모니터단Ot회원모니터단Ot
회원모니터단Otpspd
 
2017 도라지꽃-3월호-
2017 도라지꽃-3월호-2017 도라지꽃-3월호-
2017 도라지꽃-3월호-
redsun5629
 
세바시 15분 하종강 노동과꿈 대표 -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세바시 15분 하종강 노동과꿈 대표 -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세바시 15분 하종강 노동과꿈 대표 -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세바시 15분 하종강 노동과꿈 대표 -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cbs15min
 
회원모니터단Ot 참여연대활동소개
회원모니터단Ot 참여연대활동소개회원모니터단Ot 참여연대활동소개
회원모니터단Ot 참여연대활동소개pspd
 
일하는여성80호 내지76p
일하는여성80호 내지76p일하는여성80호 내지76p
일하는여성80호 내지76p
kwwa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여성환경연대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pspd
 
일하는여성81호(본문)
일하는여성81호(본문)일하는여성81호(본문)
일하는여성81호(본문)
kwwa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Wonkyeong Kim
 
워커즈와함께 사회적경제이해하기(141214)
워커즈와함께 사회적경제이해하기(141214)워커즈와함께 사회적경제이해하기(141214)
워커즈와함께 사회적경제이해하기(141214)
수원 주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환경연대
 
일하는여성78호 내지96p
일하는여성78호 내지96p일하는여성78호 내지96p
일하는여성78호 내지96p
kwwa
 
2018-19 시민사회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2018-19 시민사회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2018-19 시민사회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2018-19 시민사회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civic21
 
진보신당 부평계양당협 소식지 5월호
진보신당 부평계양당협 소식지 5월호진보신당 부평계양당협 소식지 5월호
진보신당 부평계양당협 소식지 5월호
윤경 최
 
일하는여성86
일하는여성86일하는여성86
일하는여성86
kwwa
 
공존공생 열번째 이야기_스스로 돕는 자가 돕게 하라
공존공생 열번째 이야기_스스로 돕는 자가 돕게 하라공존공생 열번째 이야기_스스로 돕는 자가 돕게 하라
공존공생 열번째 이야기_스스로 돕는 자가 돕게 하라
Kyung Mi Kim
 
2012 11 도라지꽃
2012 11 도라지꽃2012 11 도라지꽃
2012 11 도라지꽃마 법사
 
[2018체인지온@공룡]노동자와 노동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 노동영상 그리고 교육
[2018체인지온@공룡]노동자와 노동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 노동영상 그리고 교육[2018체인지온@공룡]노동자와 노동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 노동영상 그리고 교육
[2018체인지온@공룡]노동자와 노동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 노동영상 그리고 교육
ChangeON@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ahncs
 

Similar to 민주노총 소개 (20)

회원모니터단Ot
회원모니터단Ot회원모니터단Ot
회원모니터단Ot
 
2017 도라지꽃-3월호-
2017 도라지꽃-3월호-2017 도라지꽃-3월호-
2017 도라지꽃-3월호-
 
세바시 15분 하종강 노동과꿈 대표 -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세바시 15분 하종강 노동과꿈 대표 -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세바시 15분 하종강 노동과꿈 대표 -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세바시 15분 하종강 노동과꿈 대표 - 노동,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회원모니터단Ot 참여연대활동소개
회원모니터단Ot 참여연대활동소개회원모니터단Ot 참여연대활동소개
회원모니터단Ot 참여연대활동소개
 
일하는여성80호 내지76p
일하는여성80호 내지76p일하는여성80호 내지76p
일하는여성80호 내지76p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2호 (소식지, 2000)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회원모니터단 OT 참여연대 활동 소개
 
일하는여성81호(본문)
일하는여성81호(본문)일하는여성81호(본문)
일하는여성81호(본문)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1010교재 협동조합의 이해
 
워커즈와함께 사회적경제이해하기(141214)
워커즈와함께 사회적경제이해하기(141214)워커즈와함께 사회적경제이해하기(141214)
워커즈와함께 사회적경제이해하기(14121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일하는여성78호 내지96p
일하는여성78호 내지96p일하는여성78호 내지96p
일하는여성78호 내지96p
 
2018-19 시민사회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2018-19 시민사회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2018-19 시민사회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2018-19 시민사회연보,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진보신당 부평계양당협 소식지 5월호
진보신당 부평계양당협 소식지 5월호진보신당 부평계양당협 소식지 5월호
진보신당 부평계양당협 소식지 5월호
 
일하는여성86
일하는여성86일하는여성86
일하는여성86
 
공존공생 열번째 이야기_스스로 돕는 자가 돕게 하라
공존공생 열번째 이야기_스스로 돕는 자가 돕게 하라공존공생 열번째 이야기_스스로 돕는 자가 돕게 하라
공존공생 열번째 이야기_스스로 돕는 자가 돕게 하라
 
2012 11 도라지꽃
2012 11 도라지꽃2012 11 도라지꽃
2012 11 도라지꽃
 
[2018체인지온@공룡]노동자와 노동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 노동영상 그리고 교육
[2018체인지온@공룡]노동자와 노동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 노동영상 그리고 교육[2018체인지온@공룡]노동자와 노동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 노동영상 그리고 교육
[2018체인지온@공룡]노동자와 노동조합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 노동영상 그리고 교육
 
Power to change
Power to changePower to change
Power to change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More from 나눔과도움

(가)발자국 통신 07호
(가)발자국 통신 07호(가)발자국 통신 07호
(가)발자국 통신 07호
나눔과도움
 
노동안전권리찾기 수첩
노동안전권리찾기 수첩노동안전권리찾기 수첩
노동안전권리찾기 수첩
나눔과도움
 
[카드뉴스] 작은사업장노동자 권리찾기 주간소식3
[카드뉴스] 작은사업장노동자 권리찾기 주간소식3 [카드뉴스] 작은사업장노동자 권리찾기 주간소식3
[카드뉴스] 작은사업장노동자 권리찾기 주간소식3
나눔과도움
 
최저임금인상이 임금 고용 소득에 미친 영향
최저임금인상이 임금 고용 소득에 미친 영향최저임금인상이 임금 고용 소득에 미친 영향
최저임금인상이 임금 고용 소득에 미친 영향
나눔과도움
 
[교안] 방위비분담금 바로알기 교육 PPT
[교안] 방위비분담금 바로알기 교육 PPT[교안] 방위비분담금 바로알기 교육 PPT
[교안] 방위비분담금 바로알기 교육 PPT
나눔과도움
 
우정산업_현황과_우체국택배_노동조합운동_전망
우정산업_현황과_우체국택배_노동조합운동_전망 우정산업_현황과_우체국택배_노동조합운동_전망
우정산업_현황과_우체국택배_노동조합운동_전망
나눔과도움
 
권리찾기 수첩 2019
권리찾기 수첩 2019권리찾기 수첩 2019
권리찾기 수첩 2019
나눔과도움
 

More from 나눔과도움 (7)

(가)발자국 통신 07호
(가)발자국 통신 07호(가)발자국 통신 07호
(가)발자국 통신 07호
 
노동안전권리찾기 수첩
노동안전권리찾기 수첩노동안전권리찾기 수첩
노동안전권리찾기 수첩
 
[카드뉴스] 작은사업장노동자 권리찾기 주간소식3
[카드뉴스] 작은사업장노동자 권리찾기 주간소식3 [카드뉴스] 작은사업장노동자 권리찾기 주간소식3
[카드뉴스] 작은사업장노동자 권리찾기 주간소식3
 
최저임금인상이 임금 고용 소득에 미친 영향
최저임금인상이 임금 고용 소득에 미친 영향최저임금인상이 임금 고용 소득에 미친 영향
최저임금인상이 임금 고용 소득에 미친 영향
 
[교안] 방위비분담금 바로알기 교육 PPT
[교안] 방위비분담금 바로알기 교육 PPT[교안] 방위비분담금 바로알기 교육 PPT
[교안] 방위비분담금 바로알기 교육 PPT
 
우정산업_현황과_우체국택배_노동조합운동_전망
우정산업_현황과_우체국택배_노동조합운동_전망 우정산업_현황과_우체국택배_노동조합운동_전망
우정산업_현황과_우체국택배_노동조합운동_전망
 
권리찾기 수첩 2019
권리찾기 수첩 2019권리찾기 수첩 2019
권리찾기 수첩 2019
 

민주노총 소개

  • 3. 민주노총이 당신의 꿈과 희망을 응원합니다 당신편의 생각보다 큰 힘 민주노총 04 05 모든노동자의
  • 4. 민주노총의 발자취를 돌아봅니다. 민주노총이 걸어온 길은 곧 한국사회가 변화한 길이었습니다. 민주노총은 언제나 변화의 선두에서 투쟁했습니다. 때로는 모 진 탄압이 있었고, 가끔은 혹독한 시련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민주노총은 언제나 부끄럽지 않은 투쟁으로 노동자의 삶과 우리 사회를 한발씩 전진시켰다고 자부합니다. 그리고 이제 민주노총에게, 또 한국사회의 모든 노동자들에게 새로운 변화의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100만 민주노총의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사업장의 담장을 넘어 전체 노동자 농민, 시민들과 함께 이뤄낼 한국사회의 대개혁입 니다. 노동자의 삶을 파괴하는 탐욕스런 재벌, 재벌을 옹호하는 부패 한 정치, 부패정치를 비호하는 관료와 언론. 이들이 맺고 있는 적폐동맹은 한국사회의 개혁을 가로막고 민중들의 삶을 피폐하 게 만들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은 이제 백만의 조합원들과 함께, 나아가 이천만 노동 자, 전체 민중들과 함께 적폐를 끊어내고 사회 대개혁을 위한 투 쟁에 나섭니다. 늘 그랬듯 언제나 민주노총은 조합원 곁에 든든한 벗이 되겠습 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김 명 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9기 위원장 김명환 1991 철도청 입사 1994 전국지하철노조협의회 공동파업으로 해고 및 구속 2006 전국철도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2013 전국철도노조 위원장 2014 KTX분할 민영화 저지 파업으로 해고 및 구속 2017 전국철도노조 정치통일 위원장 민주노총 9기 위원장 당선 “사업장 담장을 넘어 사회 대개혁으로” 06 인사말 위원장 인사말 07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을소개합니다 민주노총을 소개합니다 창립선언문 (1995년 11월 11일) “생산의 주역이며 사회개혁과 역사발전의 주체인 우리는 일백여년에 걸친 선배 노동자들의 불굴의 투쟁과 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거대한 흐름으로 자리잡은 민주노조운동의 성과를 계승하여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동조합의 전국중앙조직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을 결성한다. 우리는 민주노총의 깃발을 높이 들고 자주, 민주, 통일, 연대의 원칙 아래 뜨거운 동지애로 굳게 뭉쳐 노동자의 정치, 경제, 사회적 지위를 향상하고 전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보장하는 통일조국, 민주사회 건설의 그 날까지 힘차게 투쟁할 것을 선언한다.” 민주노총 상징마크 의 미 민주노총 상징마크는 민주노총 강령에 나와있듯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동조합운동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고,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보장하는 참된 민주사회 건설을 향한 염원’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인간 평등과 함께 단결을 표현하고 있는 노동자의 옆얼굴은 노동자의 진취적인 기상을 담고 있다. 또한 힘차게 나부끼는 깃발은 참세상 건설, 노동해방을 향해 나아가는 4천만 국민의 꿈과 희망인 민주노총의 모습, 바로 그것이다. 색 상 붉은색, 흰색, 회색 등 3가지 색깔은 노동자의 열정, 의연함, 순수 함을 표현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연대도 강조하고 있다
  • 5. 민주노총은 이렇게 운영합니다 민주노총은 우리 사회가 분단의 아픔을 극복하고 항구적인 평화 체제를 만들어낼 수 있 도록 노력합니다. 민주노총 통일위원회는 평화와 통일 운동에 적극적으로 연대할 뿐 아 니라 남과 북의 노동자들의 자주적 교류를 통해 연대와 단결을 실현하고자 노력합니다. 한국 노동자들의 오랜 꿈은 노동자 민중의 정치세력화입니다. 자본가와 기업들을 더 잘 살게 하는 정치가 아닌 노동자와 민중들이 정치와 사회의 주인이 되는 정치를 만드는 데 민주노총 정치위원회가 앞장서고 있습니다. 페미니즘은 이제 부문 운동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저변에 깔린 ‘의식’이 되고 있습니다. 1997년에 만들어진 민주노총 여성위원회는 남성중심적 노동운동의 한계를 극복하며 한 국 사회 전반의 페미니즘 운동에서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제 여성위원회는 일터 뿐 아 니라 사회 곳곳에서 성평등의 기치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은 세상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모든 곳들과 함께 합니다. 농민과 학생, 장애인, 성소수자, 철거민, 빈민 등 사회 곳곳에서 요구되는 연대의 손을 붙잡고 또 다른 곳에 연 대의 손길을 내밉니다. 민주노총 사회연대위원회는 사회적 연대를 통해 사회 대개혁을 이루는데 앞장섭니다. •통일위원회 •정치위원회 •여성위원회 •사회연대위원회 상설위원회 •사회공공성강화위원회 •노동안전보건위원회 •성평등위원회 •노동위원회사업 특별위원회 •재벌체제개혁 특별위원회 •열사정신계승 특별위원회 •전략조직 특별위원회 특별위원회 상임집행위원회 부위원장상설위원회 위원장 총 무 실 기 획 실 미 조 직 전 략 조 직 실 정 책 실 선 전 홍 보 실 대 변 인 실 노 동 안 전 보 건 실 조 직 쟁 의 실 대 외 협 력 실 사무총장 •법률원 •정책연구원 •교육원 부설기관 회계감사위원회 규율위원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조합원 총회 대의원대회 중앙위원회 중앙집행위원회 08 09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을이렇게운영합니다
  • 6. 산업별 노조는 기업별 노조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힘있고 단단한 노동조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16개의 산업별 노조가 민주노총에 함께 합니다. 각 산별노조들은 각 산업의 노동자들을 위해 힘쓸 뿐 아니라 서로에 대한 지원과 연대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습니다. 전국건설산업노동조합연맹 1999년 12월 17일 창립 건설기업, 건설노조, 플랜트노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1989년 5월 28일 창립 초·중·고등학교 교원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연맹 2009년 2월 26일 창립 공공부문 및 중소영세 비정규직 노동자 전국공무원노동조합 2002년 3월 23일 창립 공무원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1995년 2월 21일 창립 보험, 증권, 여·수신, 사무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1998년 2월 27일 창립 공공, 민간병원, 보건의료기관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2001년 2월 23일 창립 도소매업, 숙박, 사회서비스 부문 전국언론노동조합 2000년 11월 24일 창립 신문, 방송, 출판, 인쇄 전국정보경제서비스노동조합연맹 2004년 12월 5일 창립 IT, 정보통신 전국민주여성노동조합 1999년 7월 3일 창립 공공기관 및 지자체 환경미화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 2011년 6월 24일 창립 공공, 운수, 사회서비스부문 전국교수노동조합 2001년 11월 10일 창립 대학교 교원 한국비정규직교수노동조합 2002년 4월 27일 창립 대학교 비전임 교원 전국대학노동조합 1998년 11월 6일 창립 대학교, 고등교육기관 민주노총 16개 가맹·산별조직 전국민주화학섬유노동조합연맹 2000년 2월 22일 창립 화학, 섬유, 식품, IT, 기타업종 전국금속노동조합 2001년 2월 8일 창립 자동차, 조선, 철강, 중장비, 엔진 10 11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은이렇게구성되어있습니다 가맹·산별조직 민주노총은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민주노총 지역본부는 각 지역의 노동 현장, 가장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민주노총의 모든 활동을 지역의 상황 에 걸맞게 묶어내며 지역의 시민들과 연대합니다. 민주노총 지역본부는 민주노총의 활동에 지역적 다양성을 더해줄 뿐 아니라 민주노총을 전국적 규모로 키워냅니다. 서울본부 세종충남본부 인천본부 대전본부 울산본부 부산본부 대구본부 경남본부 경북본부 경기본부 광주본부 전북본부 전남본부 제주본부 충북본부 강원본부 민주노총 16개 산하•지역조직 산하·지역조직
  • 7. 모든 노동자의 노조할 권리를 지켜냅니다 노동자의 노동조합 가입을 가로막고, 노동조합 활동을 부당하게 제약하는 각종 법과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투쟁합 니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지켜냅니다 민주노총은 노동시간 단축 투쟁으로 노동자의 일상과 건강을 지키고 일과 생활의 균형을 바로잡고자 합니다. 최저임금 인상과 양극화 해소로 우리 모두의 삶을 지킵니다 민주노총은 최저임금 1만원 실현을 위한 최저임금 인상의 필요성을 알리고 영세·자영업자들과 연대하며 우리 모두 의 상생을 위한 임금인상 투쟁을 만들어 갑니다. 비정규직과 정규직이 함께 서로를 지킵니다 민주노총의 비정규직과 정규직 노동자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철폐와 비정규직의 철폐를 위해 함께 투쟁 합니다. 공공부문의 민영화를 저지하고 사회의 공공성을 지킵니다 민주노총은 교통과 에너지, 의료 등 우리가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 사유화 되는 것을 막고 우리가 사는 사회가 더 건강한 곳이 될 수 있도록 투쟁합니다. 돈보다 생명! 이윤보다 안전! 위험의 외주화를 막고 안전한 사회를 지킵니다 매년 2,400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합니다. 그리고 그 중의 대다수는 비정규직 노동자입니다. 민주노총은 위험의 외주화를 막고 노동자의 건강한 삶을 지켜냅 니다. 누구나 노조하는 세상, ‘누구나 민주노총’ 시대를 열어 갑니다 2016년 겨울 촛불집회 이후 많은 노동자들이 민주노총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100만 민주노총 시대입니다. 민주노총은 100만을 넘어 모든 노동자와 함께 하는 ‘누구나 민주노총’의 시대를 열어 갑니다. 비정규직도, 이주노동자도 노조하는 세상. 민주노총이 만들어 갑니다 작은 사업장의 비정규직 노동자, 힘든 열악한 노동환경에 놓인 이주노동자들과 함께 합니다. 민주노총은 절실히 노조가 필요한 노동자들에게 ‘먼저’ 다가갑니다. 더 크고 단단한 울타리, 민주노총은 산별노조로 함께 합니다 작은 사업장의 노조에겐, 이제 갓 만들어져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는 노조에겐 회사보다 더 크고 회사보다 더 강한 노조가 필요합니다. 함께 싸우고 함께 교섭하는 산별노조는 더 많은 노동자들의 크고 단단한 울타리가 됩니다. 민주노총은 한국사회 민주적 노동조합의 총연합단체입니다. 민주노총은 모든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을 위해 투쟁합니다. 헌법 속 노동 3권을 구현하는 곳, 민주노총입니다. 1577-2260 언제 어디서든 민주노총에 무엇이든 물어 보세요! 누구나, 당신도 민주노총입니다. 지키는 민주노총 12 13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이하는일 누구나 민주노총 민주노총이 하는일
  • 8. 현장의 목소리가 담긴 정책 대안을 만들어 갑니다 민주노총은 다양한 산업과 각 지역의 노동현장이 내는 목소리를 수렴해 현장의 노동자를 위한 더 나은 정책 대안을 연구하고 만들어냅니다. 기업보다 힘이 센 산별노조의 교섭, 초기업단위 교섭을 만들어 갑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원청과 하청으로 나눠진 노동자들은 회사와의 교섭에서 큰 힘을 내기 어렵습니다. 개별 회사의 담장을 넘어 업종과 직종, 지역에 따른 초기업 교섭으로 더 강하고 실력있는 교섭을 만들어 갑니다. 노동자를 위한 법과 정책을 만들어 갑니다 법과 정책을 만드는 정부 부처들이나 국회의원들에게 노동자를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협의합니다. 민주노총은 정부, 국회와 다양한 방식으로 교섭하고 필요하다면 노사정의 모든 주체들과 대화합니다. 수백만의 촛불이 타오르던 그날, 민주노총이 당신과 함께 있었습니다 민주노총은 ‘박근혜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과 함께 스물 세 번의 촛불을 준비했습니다. 노동자, 시민들이 함께 든 촛불은 박근혜 정권을 퇴진시켰습니다. 우리의 삶과 세상을 바꾸는 촛불, 언제나 민주노총이 함께 듭니다. 당신을 위한 모든 싸움에 민주노총이 함께 있습니다 노동자와 농민과 여성과 청년과 장애인 성소수자와 가난한 우리 모두의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들기 위한 투쟁에 민주 노총이 늘 함께 합니다. #ME_TOO #WITH_YOU 민주노총은 성차별과 성폭력에 반대합니다. 일터를 불행하게 만드는 모든 성폭력에 반대합니다. 성평등 일터를 위해 노력하는 모든 노동자들과 함께 합니다. 세월호를 잊지 않습니다 세월호를 잊지 않습니다. 그 무엇보다 ‘생명’과 ‘안전’이 중요한 세상을 만드는 일에 민주노총은 언제나 함께 하겠습 니다. 전쟁없는 평화로운 세상 만들기에 함께 합니다 길었던 분단, 불안한 전쟁위협을 극복하고 남과 북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세상에 민주노총이 함께 합니다. 모두를 위해 모두가 함께하는 정치를 만들어 갑니다 민주노총은 모두가 정치에 참여하고, 정치는 모두를 더 행복하게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민주노총은 노동자들이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노동자들을 위한 새로운 정책 대안을 만들어갑니다. 회사를 상대로 회사보다 더 크고 강한 노동조합의 교섭을 만들고 있습니다. 일터에서, 광장에서, 모든 노동자의 삶과 투쟁의 순간에 민주노총이 함께 합니다. 만드는 민주노총 함께하는 민주노총 민주노총각종정부위원회참가현황 (2019년3월현재) 구 분 주요 위원회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국무총리실 사회보장위원회 기획재정부 공공기관경영평가위원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심의위원회, 중앙노동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고용정책심의회, 고용보험위원회, 고용보험심사위원회, 산재보상 및 예방심의위원회, 산업안전보건전문위원회, 산재보상재심사위원회, 요양전문위원회, 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 화학물질 평가 소위원회, 산업안전기술지침 제정위원회, 건설업사망사고대책협의회,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 임금채권보장기금 심의위원회, 공인노무사자격심의위원회, 근로복지공단 이사회 운영위원회, 한EU FTA 지속가능발전 국내자문단 및 시민사회포럼, 외국인력정책심의위원회, 휴면보험료관리위원회 등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장기요양위원회,건강보험재정운영위원회,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국민연금심의위원회, 국민연금공단이사회,건강보험공단이사회,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사회,사회서비스진흥원포럼,심평원시민참여위원회, 건강보험공단상생협의체등 국토교통부 중앙건설안전협의회 14 15 모든노동자의민주노총이하는일 민주노총이하는일
  • 9. | 민주노총 법률원 | 노동자 법률 지원과 상담 민주노총 법률원 (법무법인 여는)은 노동자들을 위해 ‘법’을 사용하는 곳입니다. 노동자의 편이었던 적이 별로 없는 ‘법’ 을 노동자의 무기로 만들어주는 곳입니다. 2019년 7월 현 재, 34명의 변호사와 20명의 노무사, 20명의 활동가들이 투쟁현장에서, 교섭장에서, 일상에서 법률 지원과 상담을 진 행하고 있습니다. ( ☎ 02-2670-9295 ) | 교육원 | 노동자들의 학교, 민주노조 운동의 요람 민주노총 교육원은 노동조합 활동가를 양성하고 노동자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노동자들의 학교입니다. 교육원은 노동자들 에게 필요한 교재를 만들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 급합니다. 교육원에선 노동자학교, 성평등강사단 교육, 조직 가 학교, 갈등조정 활동가 양성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 02-2670-9160 ) | 정책연구원 | 민주노조 운동의 씽크탱크 민주노총 정책연구원은 한국 민주노조 운동을 위한 정책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정세를 분석하고 전략을 짜내고, 노동자 가 주인되는 더 좋은 세계에 대한 기분좋은 상상이 구체화되 고 현실화 되는 곳입니다. 정책연구원의 연구는 ‘민주노총 총 서’로 엮입니다. ( ☎ 02-2670-9291 ) 세계의 경제는 국경과 상관없이 재편되고 있습니다. 자기의 권리를 되찾기 위한 노동자들의 단결과 연대도 국경과 상관없이 이뤄져야 합니다. 민주노총은 노동자들의 국제적인 단결과 연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노조 활동가 교육교류 프로그램(LEAP)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은 아시아 노조활동가 교육 프로그램을 매년 개최 합니다. 이 프로그램을 거쳐 간 아시아 각국의 젊은 노조활 동가 100여 명은 각국 노동조합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국제노총(ITUC)의 일원으로 전세계 노동자들의 투쟁과 함께 합니다 민주노총은 163개국 331개 노총이 가입된 국제노총의 가맹조직입니다. 노동자들이 전세계 어느 곳에서 어떤 일을 하던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쟁취하는 국제적 활동에 함께 합니다. 남반구노조연대회의(SIGTUR)로 남반구 노동조합의 대안을 만들어 갑니다 민주노총은 제3세계 민주노조와의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2001년 민주노총은 제3세계 노동조합들과의 연대를 강화 하기 위해 2011년부터 남반구노조연대회의에 참여합니 다. 남반구의 각국 노총과 민주노조 운동의 미래에 대해 함께 논의합니다 유엔(UN), 국제노동기구(ILO) 등 국제기구에서 한국 노동자의 목소리를 대변합니다 민주노총은 매년 열리는 ILO 총회에서 입장을 개진하고 각국 정부가 비준한 ILO 협약 이행을 감시 감독하며 국제적 인 노동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에 함께 합니다. 그리고 국내의 노동인권을 이 기준에 맞게 끌어 올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16 17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부설기관 세계의노동자와함께하는민주노총 세계의 노동자와 함께 하는 민주노총 민주노총 부설기관
  • 10. 힘내자 민주노총 월 백만 원도 못 버는 비정규직이었습니다. 그땐 내 탓인 줄 알았어요. 학위를 받고 자격증도 늘어갔지만 인력시장 엔 퇴직금 주지 않으려 10개월, 11개월 계약을 하는 일자 리만 즐비했습니다.
채용 후 몇 년간을 명절엔 참기름, 김 을 들고 집으로 가야 했습니다. 서러웠지만 비정규직이라 그런가 보다 했습니다. 몇 년 뒤 설을 앞두고 통장에 ‘명절 휴가비’ 10만원이 들어왔어요. 어리둥절했습니다. 나중에 야 노조가 일궈낸 성과라는 것을 알았죠.
몇 년 뒤엔 10만 원이 5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없던 식대 4만 원이 생겼습 니다. 몇 년 후엔 8만 원으로, 또 몇 년 후엔 13만 원으로 인상됐습니다. 교육공무직은 매해 몇 만 명씩 사람이 잘 려나갔어요. ‘우리가 일회용품이냐, 우리도 인간이다’라며 서럽게 울었습니다. 몇 년이 지난 지금 우린 직접고용으 로 전환됐고 고용불안이 해소됐습니다. 이 모든 변화에는 노동조합이, 그리고 민주노총이 있었습니다. 힘내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서울지부 이수아 조합원 세상을 바꾸는 작은 힘들이 모여 현장을 바꾼다 결혼과 동시에 경력이 단절됐어요. 경력이 단절된 여성, 양육을 해야 하는 엄마가 일자리를 찾는 건 쉬운 일이 아 니었어요. 초등학교 돌봄교실 전담사로 일하게 됐지만 늘 혼자인 외톨이 직장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죠. 6시간 시간 제 노동자에게 주어지는 업무량은 많았지만 초과근무를 인정해 달라고 요구하면 “엄마가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면서 자격까지 불신하는 평가로 이어지기도 했어요. 억울한 일이 많았지만 이 억울함을 나눌만한 이도 없었 죠. 그럴 때 찾은 곳이 민주노총입니다. 근로기준법을 알 고, 단체협약을 맺으며 하나 둘씩 문제가 해결돼 나가는 걸 봤어요. 민주노총과 함께 하면서 비로소 알았어요. 내 가 내는 작은 힘이 모여 현장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요. 지 금은 민주노총의 일원으로 세상을 바꾸는 작은 힘을 내고 있어요. 서비스연맹 전국학교비정규직 노동조합 조선희 정책국장 민주노총은 스승이고 반려자 목구멍이 포도청이라고 잘못된 것을 잘못이라고 말하지 못하고 살았습니다. 그런 저에게 불의에 반대하고 인간다 운 삶을 알려준 스승같은 존재가 민주노총입니다. 민주노 총 조합원이 된 후 비록 내 것이 아닌 주말이 늘었고, 몸도 조금 힘들어졌지만 조합원들과 모여 함께 같은 목소리를 내고, 투쟁가를 부르며 비로소 진정한 하나의 노동자가 되 었습니다. 이제 민주노총은 스승이고 반려자이고, 어쩌면 나의 몸인 것도 같습니다. 퇴직하는 그 날까지 민주노총 의 조합원으로 함께 나갈 것입니다. 민주일반연맹 전국민주연합노동조합 김유진 수석부위원장 민주노총은 믿음직한 동료이자 삶의 든든한 울타리 회사라는 조직, 자본주의라는 시스템 앞에서 노동자 개인 은 한없이 무력해집니다. 그래서 우리는 노동조합으로 뭉 칩니다. 하지만 때론 조합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싸움을 하기도 합니다. 민주노총은 이런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는 이들에게 손을 내미는 친구입니다. 저는 여전히 “민주노 조 깃발 아래 와서 모여 뭉치세”라는 노랫말에 가슴이 뜁 니다. 저에게 민주노총은 투쟁의 믿음직한 동지이자 삶의 든든한 울타리입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OBS 희망조합지부 배효식 수석부위원장 싸우면서 연대의 힘을 알았어요 노동조합을 하면서는 좋은 일만 있고 나쁜 일은 없어요. 우 리 회사엔 공휴일이 없었어요. 하지만 노조를 만들고선 휴 가를 당당히 누릴 수 있게 됐어요. 화장실엔 휴지가 없었 고, 식당이 열악해 일하다가도 식사시간엔 당번을 정해 밥 을 하러 갔어요. 식비가 주어지지 않아서 멀건 된장국에 나 물반찬만 먹었죠. 노조를 만든 이후엔 이런 것들이 다 해 결됐죠. 노동환경을 개선하고 노조파괴에 맞서 싸우면서 연대의 힘을 알았어요. 우리의 힘을 모으고 민주노총의 힘 을 더하면 파장이 아주 커진다는 사실을 알았어요. 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 배미순 아이리지회장 비정규직과 함께 비를 맞는 민주노총 정규직이 흘리는 땀과 비정규직이 흘리는 노동의 땀은 다 르지 않습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차별은 없어야 됩 니다. 비정규직의 문제는 사회적 모순이고, 자본의 횡포 입니다. 그래서 비정규직의 투쟁에는 반드시 정규직의 연 대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정규직이 비정규직 노동 자와 함께 손 잡고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비정규직과 함께 비를 맞는 우리, 함께 우산을 쓰는 우리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보건의료노조 부산대학교병원지부 정재범 지부장 18 19 모든노동자의 나에게민주노총이란 나에게 민주노총이란 “민주노총은 내 삶의 방향을 바꾸게 한 방향지시등이고 과제를 내주는 선생님이다” “조합원이 되어서야 투쟁을 알았고, 동지들과 함께 하는 것도 배웠다” “동지들의 환한 웃음, 때로는 그 웃음보다 더 많은 땀과 눈물을 보았다” “민주노총은 나의 일상을 바꾸어 놓았다” “부당함과 불의에 대해 앞장서게 했고, 인간답게 사는 방법을 알려줬다” “민주노총은 자랑스러운 이름표다” “민주노총은 노동자가 하나가 되는 계기를 만들어 준 우산이다” “민주노총은 나침반이자 희망의 길이다” “나는 퇴직하는 날까지 민주노총이란 이름으로 살아갈 것이다” “과거에는 ‘남의 일’이었지만, 현재와 미래는 ‘나의 일’이 되었다” “욕도 함께 먹으며 민주노총이라는 이유만으 로 무조건 동지가 되었다” “인생의 전환점에서 민주노총을 알았고, 남은 인생을 민주노총에 걸었다” “투쟁할 때까지 함께 있어 주는 민주노총이라 외롭지 않다”
  • 11.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과 존엄을 위해 민주노총을 건설하고 권력과 자본에 맞서 싸워왔습니다 민주노총의 역사는 한국사회 대개혁과 조국의 자주통일을 앞당기고 전세계 노동자들과 연대하며 세계평화를 앞당기는 한국노동자 투쟁의 역사입니다 일제 강점기 - 1929년. 원산총파업,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노동자 투쟁. - 가혹한 식민 지배하 민족해방투쟁 선봉에 노동자들이 앞장섬. 해방과 미군정 - 해방과 함께 노동자들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를 결성. - 친일파를 기반으로 미군정을 등에 업고, 분단과 반공 국가를 세운 이승만과 미군정에 맞선 1946년 9월 노동자 총파업은 10월 인민항쟁으로 발전. 박정희 개발독재와 전태일 - 박정희 군사쿠데타. - 저임금 장시간노동의 노동자 희생 위에 재벌 중심의 ‘경제발전’ 추구. -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노동자가 있음을 알린 전태일의 인간선 언과 70년대 민주노조 운동. 5ㆍ18 광주와 노동운동의 도약 - 전두환. 광주민중 학살하고 권력을 찬탈. 집권초부터 가혹한 노동탄압. - 탄압을 이겨내고 노조 결성, 새로운 노동운동의 지평을 연 85년 구로동맹 파업과 87년 노동자 대투쟁을 준비한 노동자. 한국 사회의 노동운동은
  • 12. “노동자의 인간다운 삶과 존엄을 위해 민주노총을 건설하고 권력과 자본에 맞서 싸워왔습니다. 민주노총의 역사는 한국사회 사회개혁과 조국의 자주통일을 앞당기고 전세계 노동자들과 연대하며 세계평화를 앞당기는 한국노동자 투쟁의 역사입니다.” 2019년 25 모든노동자의 22 민주노총 타임라인 민주노총타임라인 민주노총타임라인 1987년 7-9월 노동자 대투쟁 • 1987년 7~9월 3,311건, 10인 이상 사업체 노동자 3백 33만명 중 37%가 파업투쟁. • 노동자 대투쟁은 어용노조민주화와 노조 결성으로 이어져 1,300여개 신규노조 결성. • 저임금·장시간노동에 내몰린 노동자 계급선언. 6월항쟁과 노동자 대투쟁은 한국사회 근본적 변화를 가져옴. 전태일열사 정신계승 전국노동자대회 첫 개최. 전노협 결성과 민자당 창당-보수대 연합 통해 극심한 탄압에 맞선 민주 노조 사수 투쟁. 노태우정권 퇴진투쟁.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결성, • 노동법 개악 저지 총파업. - 75일간 파업, ‘신자유주의’ 막은 노동자 투쟁. • IMF 이후 구조조정저지 투쟁, 비정규직 정규직화 투쟁, 노동자정치세력화 운동, 남북노동자통일축구-평화통일 투쟁. - 민주노총 최저임금투쟁 전면화, 대우자동차 정리해고 분쇄투쟁, 발전노조 민 영화저지 투쟁, 화물 연대파업(물류를 멈춰 세상을 멈춰라), 손배가압류 투쟁, 공무원노조 노동3권 쟁취 파업, WTO 신자유주의 반대투쟁. - 평택 미군기지 확장 저지투쟁, 한미FTA 저지투쟁, 사내하청 불법파견 저지 투쟁, 비정규법 시행과 뉴코아 이랜드 투쟁. 전교조 해직교사 복직 및 합법화 투쟁 1987~ 1988년 1990년 1991년 1996년~1997년 1995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출범 • 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결성된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조 결성, 42만 결집 • 정권의 탄압에 맞선 노동자 투쟁의 승리. 2008년 •이명박, 박근혜로 이어지는 보수정권 출범. - 한미FTA 반대, 광우병 위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2008년 촛불 투쟁. - 국정농단 박근혜 퇴진 촛불 투쟁. •보수정권 9년 반노동, 반민중, 반평화, 반통일에 맞선 노동자 투쟁 - 용산참사. 쌍용자동차 투쟁, 세계금융위기-총고용보장 투쟁, 복수노조- 전임자 관련 노조법 개악 저지투쟁, 한진중공업 정리해고 저지투쟁-희망 버스, MBC·KBS·YTN 언론장악 저지 파업, 진주의료원 폐업저지와 의료공공성 강화 투쟁, 철도민영화 저지 최장기 철도노조파업, 세월호 참 사와 특별법 제정운동, 노동시장 구조 개악에 맞선 민중총궐기 투쟁. 1995~ 2008~ 2017~ 2017년 •박근혜 퇴진. 문재인 정부 출범. - 박근혜 퇴진 민주노총 총궐기 투쟁 - 1700만 국민 촛불의 승리. - 적폐청산과 한국사회 대개혁 투쟁 •민주노총 100만 시대. “100만의 힘으로 모든 노동자의 민주노총” •“사업장 담장을 넘어 사회대개혁으로” 노동법 개정, 비정규직 철폐, 연금개혁 총파업, 최저임금 1만원 투쟁, 주 52시간 탄력근로제 투쟁. 2018년
  • 13. 구분 조직명 전 화 전 송 주 소 홈페이지 가 맹 조 직 전국건설산업 노동조합연맹 02)843-1432 02)848-1436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로 146 어수빌딩2층 http://www.kfcitu.org 전국공공운수 노동조합 02)497-7888 02)497-0444 서울시 영등포구 대림로 183 철노회관 3층 http://public.nodong.org 전국공무원 노동조합 02)2631-1948 02)2631-1949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4 한흥빌딩 6층 http://www.kgeu.org 전국교수노동조합 02) 871-8706 02)6007-1415 서울시 관악구 봉천로 594-1, 2층 http://www.kpu.org 전국금속노동조합 02)2670-9555 02)2679-3714 서울시 중구 정동길5 경향신문사 별관 6층 http://metalunion.nodong.org 전국대학노동조합 02)765-6291 02)766-3962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18동 1층 http://www.kuwu.or.kr 전국민주일반 노동조합연맹 02)2068-6092 02)6944-8003 서울시 영등포구 양산로 43, 806호 (양평동 3가, 양평동우림 이비지센터) http://www.ilban.or.kr 전국보건의료산업 노동조합 02)2677-4889 02)2677-1769 서울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16길 10 2층 http://bogun.nodong.org 한국비정규직교수 노동조합 062)236-5768 062)234-6234 광주시 동구 필문대로 309 조선대 학교 본관 남측 현환 5층 5181호 http://www.kipu.or.kr 전국사무금융 노동조합연맹 02)2068-8062 02)2671-0632 서울시 중구 정동길 5 경향신문사 별관 2층 http://www.samugol.net 전국서비스산업 노동조합연맹 02)2678-8830 02)2678-0246 서울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82 광산빌딩 3층 http://service.nodong.org 전국언론노동조합 02)739-7285 02)735-9400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한국언론회관 1802호 http://meida.nodong.org 전국민주 여성노동조합 02)795-8259 02)795-8365 서울시 구로구 경인로 643, 205동 228호 (신도림동 신도림2차동아아파트) http://womanunion.org 전국교직원 노동조합 02)2670-9300 02)2670-9305 서울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82 광산빌딩 6층 http://www.eduhope.net 전국정보경제서비 스노동조합연맹 02)2635-1717 02)2633-2727 서울시 서대문구 독립문로 12길 2 (천연동) 2층 http://www.itunion.or.kr 전국민주화학섬유 노동조합연맹 02)2632-4754 02)2632-4755 서울시 동작구 장승배기로 98 (노 량진동 310-64) 장승빌딩 5층 http://kctf.nodong.org 구 분 조직명 전 화 전 송 주 소 홈페이지 지 역 조 직 서울본부 02)2269-6161 02)2269-6166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18동 2층 http://seoul.nodong.org 인천본부 032)525-1810 032)525-2420 인천광역시 부평구 대정로 80 (부평 동) 민주노총인천지역본부 2층 http://inodong.org 경기본부 031)268-9637 031)268-9639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45 골든프라자 5층 http://kgrc.nodong.org 충북본부 043)234-9595 043)234-9598 충북 청주시 서원구 청남로 2018 무진빌딩 8층 http://www.cbnodong.org 대전본부 042)638-4951 042)638-4952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화로 10 1층 (대화동, 근로자종합복지회관) http://tc.nodong.org 세종충남본부 041)549-4081 041)549-4082 충남 아산시 염치읍 은행나무길 223번지 B116호 http://kctucn.jinbo.net 전북본부 063)256-5000 063)256-5004 전북 전주시 덕진구 벚꽃로 57 상가 3층 http://www.jbnodong.org 광주본부 062)511-4210 062)511-4213 광주광역시 광산구 엠코로 35 (쌍암동 688-4) 매가박스 3층 http://kj.nodong.org 전남본부 061)727-0815 061)727-0615 전남 순천시 해룡면 매안로 145 5층 http://jn.nodong.org 대구본부 053)421-8527 053)421-8523 대구시 달서구 성당로 187 민주노총대구본부 1층 http://kctudg.nodong.org 경북본부 054)278-2282 054)278-2270 경북 포항시 남구 철강로 388(호동) 포항시글로자종합복지관 3층 http://kb.nodong.org 부산본부 051)637-7460 051)637-7461 부산시 동구 자성로 141번길 13 노동복지회관 1층 http://busan.nodong.org 울산본부 052)265-6395 052)275-4858 울산시 남구 삼산중로 136 http://www.ulsannodong.org 경남본부 055)261-0057 055)283-6955 경남 창원시 성산구 마디미서로 64 노동회관 301호 http://kn.nodong.org 강원본부 033)261-5618 033)262-5618 강원도 춘천시 효자로 116(효자동) http://gw.nodong.org 제주본부 064)753-2191 064)753-219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남동 8길 58 우리올레마트 2층 http://jeju.nodong.org 26 27 모든노동자의 민주노총산하•조직현황 민주노총 산하•조직 현황 민주노총가맹•산별조직현황 민주노총 가맹•산별조직 현황
  • 14. |발행인| 김명환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사 14층 |전화| 02-2670-9100 |팩스| 02-2635-1134 |홈페이지| http://www.nodong.org www.facebook.com/ekctu twitter.com/hashtag/kctu 노동자 권리찾기 상담센터 1577-2260 폭 언 폭 행 성 희 롱 성 폭 행 높 은 병 원 비 간 병 걱 정 태 움 초 고 령 사 회 고 용 불 안 직 업 병 가 족 돌 봄 불 안 한 노 후 여 성 차 별 이 주 노 동 자 차 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