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종합대책]
발표내용

Ⅰ   추진배경



Ⅱ   비전과 전략



Ⅲ   핵심과제
1. 추진배경



아토피·천식의 발생 현황 및 문제점

         아토피 ·
         천식 증가
                 유발요인 파악과 제거를 위한
                  국가차원의 대책마련 시급




사회 경제적
  부담                    관리 수준
                         미흡


          삶의 질
           훼손
1. 추진배경



        1. 아토피·천식의 유병률 증가
       의사진단 유병률(1,000명 당)
명 25                                                     100 명
                                          23.3
                                             91.4

  20                                                     80


  15                                                     60
                        12.9
            11
  10                                                     40


   5                                                     20
                            12

   0                                                     0
           1998         2001              2005
                                                    년도
                  천식             아토피피부염

                                     국민건강영양조사
1. 추진배경



    아토피피부염 의사진단 유병률

         300
  유병률
(1000명당) 250
         200

         150

         100

          50

           0
               0-4 5-9 10-14 15-19 20-24 25-29 30-34 35-39 40-44 45-49 50-54 55-59 60-64 65+

         2001 58.5 45.9 23.1 10.9 4.9 6.6 2.1 2.6 3.6 3.3 1.5 0.5 0.5 0.9
         2005 259.3 189.5 121.7 78.1 86.4 79.4 69.7 67.6 58.4 61.7 80 67.9 75 60.4

                                                                                      연령
1. 추진배경


        외국 천식 유병률
• 주요 선진국의 천식 유병률은 우리나라의 2-3배로,
  사회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선진국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1. 추진배경



2. 높은 사회경제적 부담

                           환
 5.53
                     뇌 혈관 질
                 암, 심 비견
                     과
         4.25


                  2.48




 악성종양   심뇌혈관질환     천식
1. 추진배경



3. 아토피·천식으로 인한 삶의 질 훼손
     < 아토피·천식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 >

                     일상생활과 공부에    해당 질환으로
 의사진단 유병률   의사진단율
                      지장 있다고 응답    인한 결석율


   천식        8.5%        18.8%     17.4%



 알레르기 비염     24.5%       51.9%      8.3%



  아토피피부염     17.3%       25.3%      6.9%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2007)
1. 추진배경


• 전생애에 걸쳐 지속되고, 잦은 재발과 악화로
  삶의 질 저하
 – 학교결석 및 직장 결근
 – 운동제한 등 정상적인 사회활동 제약




          < 알레르기 행진 >
1. 추진배경



         4. 관리수준 미흡
       천식 지표                 수준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는 환자     아시아 평균의 2배 이상
스테로이드 흡입제 사용         0.2% (아시아 9%)
지난 1년간 정기적인(흡입제) 투약 23.0%
천식관리 교육 경험률          14.5%
지난 3개월간 대체요법 경험률     26.9%

• 특히 저소득층에서 천식악화 위험 증가
 - 저소득층에서 천식증상으로 인한 응급실 이용률 높음
 : 적정관리 미흡
1. 추진배경



   5. 국가차원 관리체계 필요

 적정 관리 및 치료 실패
   증상 악화/반복
의료비 증가, 삶의 질 저하



  표준진료지침 부재,
  적정치 못한 관리방법     국가차원의
의료쇼핑, 부적절한 민간요법    체계적인
                   관리대책
                    시급
아토피·천식 질환관리 가능


  조기진단, 지속관리
1. 추진배경




추진경과
2. 비전과 전략



                  비전과 목표
             삶의 질 향상,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
             삶의 질 향상,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

                     사망률, 유병률 감소
                     사망률, 유병률 감소
                         Text
                   입원율, 응급실 내원율 감소
                   입원율, 응급실 내원율 감소
                생활제한 일수 및 결근•조퇴일수 감소
                생활제한 일수 및 결근•조퇴일수 감소



            표준진료가이드라인 및
            표준진료가이드라인 및          천식, 아토피
                                  천식, 아토피
             자가관리에 입각한
             자가관리에 입각한
              적정 진료 실현           악화인자 관리
                                 악화인자 관리
              적정 진료 실현
       근거 중심 보건정책 (Evidence-based health policy)
       근거 중심 보건정책 (Evidence-based health policy)
     : :조사감시체계 및 연구개발 결과를 기본으로 하는 과학적 접근
        조사감시체계 및 연구개발 결과를 기본으로 하는 과학적 접근

                          천식, 아토피    천식, 아토피       취약계층 천식,
천식,아토피 질환   천식, 아토피 환자
                         친화적 생활환경     조사감시 및        아토피 환자
예방교육 및 홍보   적정 치료 및 관리
                            구축       경보체계 구축          지원
2. 비전과 전략



               추진전략
  1차예방
  1차예방         2차예방
               2차예방     3차예방
                        3차예방


유발인자 노출 감소     고위험군     적정치료와
(알레르기 항원에      조기발견     악화인자 제거
 대한 감작 방지)     및 진행억제



                        표준치료 지침 보급
 금연 및 간접흡연    조기약물치료   환자 자가관리 강화
 방지 모유수유 활성화            악화요인(Trigger)관리
                면역요법
                        홈페이지, 콜센터
유발인자 노출 회피
                        지역사회 네트워크
2. 비전과 전략
3. 예방관리 원칙

              추진전략
 • 비용-효과적 & 실현 가능한 수단 중심의 대책 수립
   –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를 통한 “증상 조절 및 악화 방지”
     ⇒ 아토피·천식 관리대책의 핵심

 • 지속적인 대국민 건강캠페인 수행
 • 관계부처간 유기적 연계체계 강화
 • 지역사회 기반의 파트너십 구축
3. 핵심과제

주요 핵심 사업
                교육정보                      유병률 및
                센터 설치                     관리현황
                및 운영       홍보              조사


                                                   코호트
        예방관리                              조사감시      구축
        수칙 제정
                  예방교육
                   홍보                     연구 및
                                          경보체계
                                                  지수개발
                    천식 아토피                         및
                                                  예보제
                     예방관리
                    주요핵심사업
       적정치료
       및 관리                        공공의료
 표준                                전문센터
진료지침                       네트워크    지정·운영
개발 및
 보급
                            구축
                    보건소
                    예방관리           천식
                     사업           친화 학교
3. 핵심과제



 1.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교육·홍보
  예방수칙                홍보        교육정보센터
*예방관리수칙 및        *질환에 대한        *정보제공 및 상담
 사업 지침 개발         인식제고 및        - 상담실
- 기존의 예방수칙 보완     예방수칙의 홍보      - 홈페이지-인터넷
- 최신 근거 중심, 질환                  - 전화 상담
                 - TV광고, 라디오,
 분야별 전문가들의         캠페인          *교육
 의견반영
- 질환별 예방관리수칙     *교육·홍보물 제작     -주민강좌
 제정                             -환자 및 보호자
                 - 천식
                 - 아토피피부염       -보건 의료인
                 - 알레르기비염       -보건소 담당자, 보건교사
                   (3종)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교육 지원
3. 핵심과제


      예방관리수칙 제정 보급
• 전문학회 및 단체 등과 함께 가정, 학교, 직장 등 일
  상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예방관리수칙 개발·
 보급
※ 전문학·협회 공동 제정 ·인증(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대한천식및알레르기학회, 대한피부과학회,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3. 핵심과제


   TV 광고 등 건강 캠페인 시행
○ ’08년 천식, 알레르기비염 공익광고 시행
※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공동 주관
- ’09년 아토피피부염 추가   ※ 대한피부과학회와 공동 주관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운영
• 온/오프라인 전문상담 및 홈페이지 운영(www.atopyinfocenter.co.kr)
• 검증된 치료·관리 방법, 과학적 근거기반의 올바른 정보 전달
• 건강강좌, 담당자 전문교육 등 보건소 예방관리사업 지원
3. 핵심과제


홍보 포스터
3. 핵심과제


천식 소책자
3. 핵심과제


           2. 적정치료 및 관리
• 아토피·천식 표준치료 및 관리 지침 보급, 교육
  – 일차진료 적용가능 실용적인 환자 관리지침 보급
  – 전산화된 의사결정 지원 프로그램 개발, 보급
    ※ EAM(Easy Asthma Management) 프로그램 보급
  – 의사 교육 강화

• 환자 자가관리 교육(Self-Management Education) 활성화
  – 천식 발작시 행동지침(Asthma action plan)교육자료 개발
    및 보급
  – 인터넷을 통한 정보제공 및 자가 관리 교육 프로그램 도입
3. 핵심과제



 3. 아토피·천식 친화적 생활환경 구축
• 보건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실시
 – 지역사회 중심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강화를 위한 보건소
   사업 시범실시 및 단계적 확대(’08년 5개소-> ’09년 42개소)
 –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운영 지원
 – 학부모, 교사 및 의료인 참여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 보육시설, 유치원,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아토피·천식 예
   방관리 가이드라인 개발․교육

• 악화요인 관리를 위한 생활환경 개선
 – 생활환경 자가평가 및 관리지침 개발, 보급
 – 악화요인 관리 교육자료 보급
3. 핵심과제
보건소 예방관리센터

   보건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친화학교       저소득층
   교육         홍보
                        지원         지원

  지역주민 강좌    직접 홍보     환아 파악 및    지역사회 환자
  교실운영       지역언론 매체   지속관리       관리
  보건교사 및     홈페이지      학생, 학부모,   맞춤형 방문
  의료인 대상     포스터       교사 대상의     건강관리사업
  전문교육       리플렛 등                연계
                       교육
                       응급대응체계
                       구축
                       저소득층 지원
                       환경관리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운영
 아토피피부염, 천식      환아 파악 및
 환아 파악 및
                  지속관리
 환자기록카드 관리
                           보건교사 교육
                           환아 및 학부모 교육
                           일반학생/교사 교육

 응급키트            아토피·천식        대상자별
보급 및 홍보           친화학교          교육
 천식 응급키트 보급
 사용방법 교육
 아토피·천식 홍보물 비치

                           검사비 지원
                  취약계층     가정방문을 통한
                   지원      교육 및 환경점검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주요내용
• 천식 등 아토피 환아 파악 및 지속 관리
 – 교내 아토피 환아 선별 및 위험요인 파악
 – 환자관리 기록카드 작성을 통한 지속 관리
•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의 예방관리 교육·홍보
• 교내 천식발작 응급 환아 발생시 응급대응체계 구축
 - 천식 발작에 대비한 교내 응급키트 비치 및 대처방법 교육
 - 응급환자 발생시 지역 내 의뢰병원 연계지정
• 저소득층 환아 관리를 위한 지원
 - 정기방문, 치료비 지원, 생활환경 개선 지원
• 학교 실내환경 조사 및 관리
 - 교내 아토피질환 악화요인 제거를 위한 환경관리
 - 예방관리수칙 생활화를 위한 환경조성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사업 목표
3. 핵심과제




  4. 조사감시 및 경보체계 구축


• 아토피·천식 조사감시체계 구축

• 천식지수(Asthma Index) 개발 및 예보제 도입

• 아토피·천식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개발 강화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조사감시체계 강화
• 국민건강영양조사,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등 조사항목 강화
 – 아토피·천식 관련 조사 문항 확대(학교환경조사 등)
 – 온습도, 가정 내 알레르겐 조사 도입
• 퇴원환자조사 조사 항목 추가
 – 아토피 피부염 : 가족력, 피부 반응검사, 식품알레르기
 – 천식 : 아토피 항목 + Total IgE, 혈액내 호산구수, PFT
• 아토피·천식 원인 규명 코호트 구축
• 병원입원 및 응급실 방문환자 감시
3. 핵심과제


          천식지수 및 예보제 도입
• 천식 등 아토피 질환의 외부악화 요인 변화양상 파악 및 사전
  예보→예방행동 강화, 적정관리수준 향상
 1단계. 천식 환자 확인     2단계. 악화 요인 연계         3단계. 개발 및 보급


 천식 환자 의료이용 DB         꽃가루 예보
                   : 천식알레르기협회, /주
                                           천식 지수 및
                      인플루엔자 유행             행동 지침 개발
                    : 질병관리본부, /주
 •천식 발작                                      *타당도 검증
  - 중앙응급의료전산망          대기오염
  - 전국 117개 병원     : 보건환경연구원, /일
 •천식 입원                 기상정보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기상청, /일

                         황사                   보급
 *의료이용 자료 검증          : 기상청, /일
  - 천식알레르기학회 전문가
  - 기간: 분기별
                              천식아토피질환 정보센터            병의원
                                (이메일, SMS)   매스 미디어
                                           (신문, 방송, 인터넷)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코호트 구축(R&D)
• 아토피·천식 원인규명, 발생 예측모형 개발 등을 통한 과학
  적인 예방관리 방법 도입·확산
3. 핵심과제



지역사회 아토피·천식 네트워크 구축
             질병관리본부


             교육정보센터

친화 학교   학교            직장   친화 직장



              보건소



             공공의료기관


             전문클리닉
3. 핵심과제




         5. 취약계층 지원

○ 취약계층 환자 의료비 등 지원
 - 비교적 고가인 흡입 스테로이드 사용을 위한
  약제비 등 진료비 본인부담금 일부 지원 검토
 - 방문보건사업과 연계한 아토피,천식 자가관리지원

○ 취약계층 생활환경 개선 지원
 - 보육시설, 복지시설(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의 생활환경 개선 지원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20160809 스마트창작터 러브허브_1
20160809 스마트창작터 러브허브_120160809 스마트창작터 러브허브_1
20160809 스마트창작터 러브허브_1Heeyeon Hong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Sung Wook Song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환경타임즈
 
마더세이프사업 2015년 성과와 2016년 계획
마더세이프사업 2015년 성과와 2016년 계획마더세이프사업 2015년 성과와 2016년 계획
마더세이프사업 2015년 성과와 2016년 계획mothersafe
 
U Health Platform
U Health PlatformU Health Platform
U Health PlatformKia Motors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Sung Yoon Bae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Sung Yoon Bae
 
디미컨3주개인 의약품추가
디미컨3주개인 의약품추가디미컨3주개인 의약품추가
디미컨3주개인 의약품추가heejaekim
 
ANIS2011_SILAB2_Wonju Medical Cooperative_Korean
ANIS2011_SILAB2_Wonju Medical Cooperative_KoreanANIS2011_SILAB2_Wonju Medical Cooperative_Korean
ANIS2011_SILAB2_Wonju Medical Cooperative_Koreanngoinnovation
 
20120216삼성경제연구
20120216삼성경제연구20120216삼성경제연구
20120216삼성경제연구지영 정
 
비만20120216삼성경제연구
비만20120216삼성경제연구비만20120216삼성경제연구
비만20120216삼성경제연구지영 정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Sung Wook Song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StartupAlliance
 
디미컨3주개인
디미컨3주개인디미컨3주개인
디미컨3주개인heejaekim
 
바이오헬스산업 세계 7대 강국 만든다
바이오헬스산업 세계 7대 강국 만든다바이오헬스산업 세계 7대 강국 만든다
바이오헬스산업 세계 7대 강국 만든다Youngwon Lee
 
인슐린펌프 치료 100505-3
인슐린펌프 치료 100505-3인슐린펌프 치료 100505-3
인슐린펌프 치료 100505-3봉조 김
 
국내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소개
국내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소개국내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소개
국내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소개mothersafe
 
의약품안전관리 동향
의약품안전관리 동향의약품안전관리 동향
의약품안전관리 동향mothersafe
 
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care in Asia-Pacific: Korean Version 아태 지역 보건...
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care in Asia-Pacific: Korean Version 아태 지역 보건...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care in Asia-Pacific: Korean Version 아태 지역 보건...
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care in Asia-Pacific: Korean Version 아태 지역 보건...The Economist Media Businesses
 

Similar to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20)

20160809 스마트창작터 러브허브_1
20160809 스마트창작터 러브허브_120160809 스마트창작터 러브허브_1
20160809 스마트창작터 러브허브_1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호흡 및 감염성 질환 조기발견 국내외 감시체계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마더세이프사업 2015년 성과와 2016년 계획
마더세이프사업 2015년 성과와 2016년 계획마더세이프사업 2015년 성과와 2016년 계획
마더세이프사업 2015년 성과와 2016년 계획
 
U Health Platform
U Health PlatformU Health Platform
U Health Platform
 
nursing
nursingnursing
nursing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디미컨3주개인 의약품추가
디미컨3주개인 의약품추가디미컨3주개인 의약품추가
디미컨3주개인 의약품추가
 
ANIS2011_SILAB2_Wonju Medical Cooperative_Korean
ANIS2011_SILAB2_Wonju Medical Cooperative_KoreanANIS2011_SILAB2_Wonju Medical Cooperative_Korean
ANIS2011_SILAB2_Wonju Medical Cooperative_Korean
 
20120216삼성경제연구
20120216삼성경제연구20120216삼성경제연구
20120216삼성경제연구
 
비만20120216삼성경제연구
비만20120216삼성경제연구비만20120216삼성경제연구
비만20120216삼성경제연구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병원전 전문기도유지술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디미컨3주개인
디미컨3주개인디미컨3주개인
디미컨3주개인
 
바이오헬스산업 세계 7대 강국 만든다
바이오헬스산업 세계 7대 강국 만든다바이오헬스산업 세계 7대 강국 만든다
바이오헬스산업 세계 7대 강국 만든다
 
인슐린펌프 치료 100505-3
인슐린펌프 치료 100505-3인슐린펌프 치료 100505-3
인슐린펌프 치료 100505-3
 
국내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소개
국내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소개국내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소개
국내 의약품 안전관리 현황소개
 
의약품안전관리 동향
의약품안전관리 동향의약품안전관리 동향
의약품안전관리 동향
 
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care in Asia-Pacific: Korean Version 아태 지역 보건...
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care in Asia-Pacific: Korean Version 아태 지역 보건...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care in Asia-Pacific: Korean Version 아태 지역 보건...
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care in Asia-Pacific: Korean Version 아태 지역 보건...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2008)

  • 1.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현황 및 대책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종합대책]
  • 2. 발표내용 Ⅰ 추진배경 Ⅱ 비전과 전략 Ⅲ 핵심과제
  • 3. 1. 추진배경 아토피·천식의 발생 현황 및 문제점 아토피 · 천식 증가 유발요인 파악과 제거를 위한 국가차원의 대책마련 시급 사회 경제적 부담 관리 수준 미흡 삶의 질 훼손
  • 4. 1. 추진배경 1. 아토피·천식의 유병률 증가 의사진단 유병률(1,000명 당) 명 25 100 명 23.3 91.4 20 80 15 60 12.9 11 10 40 5 20 12 0 0 1998 2001 2005 년도 천식 아토피피부염 국민건강영양조사
  • 5. 1. 추진배경 아토피피부염 의사진단 유병률 300 유병률 (1000명당) 250 200 150 100 50 0 0-4 5-9 10-14 15-19 20-24 25-29 30-34 35-39 40-44 45-49 50-54 55-59 60-64 65+ 2001 58.5 45.9 23.1 10.9 4.9 6.6 2.1 2.6 3.6 3.3 1.5 0.5 0.5 0.9 2005 259.3 189.5 121.7 78.1 86.4 79.4 69.7 67.6 58.4 61.7 80 67.9 75 60.4 연령
  • 6. 1. 추진배경 외국 천식 유병률 • 주요 선진국의 천식 유병률은 우리나라의 2-3배로, 사회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선진국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 7. 1. 추진배경 2. 높은 사회경제적 부담 환 5.53 뇌 혈관 질 암, 심 비견 과 4.25 2.48 악성종양 심뇌혈관질환 천식
  • 8. 1. 추진배경 3. 아토피·천식으로 인한 삶의 질 훼손 < 아토피·천식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 > 일상생활과 공부에 해당 질환으로 의사진단 유병률 의사진단율 지장 있다고 응답 인한 결석율 천식 8.5% 18.8% 17.4% 알레르기 비염 24.5% 51.9% 8.3% 아토피피부염 17.3% 25.3% 6.9%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2007)
  • 9. 1. 추진배경 • 전생애에 걸쳐 지속되고, 잦은 재발과 악화로 삶의 질 저하 – 학교결석 및 직장 결근 – 운동제한 등 정상적인 사회활동 제약 < 알레르기 행진 >
  • 10. 1. 추진배경 4. 관리수준 미흡 천식 지표 수준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는 환자 아시아 평균의 2배 이상 스테로이드 흡입제 사용 0.2% (아시아 9%) 지난 1년간 정기적인(흡입제) 투약 23.0% 천식관리 교육 경험률 14.5% 지난 3개월간 대체요법 경험률 26.9% • 특히 저소득층에서 천식악화 위험 증가 - 저소득층에서 천식증상으로 인한 응급실 이용률 높음 : 적정관리 미흡
  • 11. 1. 추진배경 5. 국가차원 관리체계 필요 적정 관리 및 치료 실패 증상 악화/반복 의료비 증가, 삶의 질 저하 표준진료지침 부재, 적정치 못한 관리방법 국가차원의 의료쇼핑, 부적절한 민간요법 체계적인 관리대책 시급 아토피·천식 질환관리 가능 조기진단, 지속관리
  • 13. 2. 비전과 전략 비전과 목표 삶의 질 향상,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 삶의 질 향상,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 사망률, 유병률 감소 사망률, 유병률 감소 Text 입원율, 응급실 내원율 감소 입원율, 응급실 내원율 감소 생활제한 일수 및 결근•조퇴일수 감소 생활제한 일수 및 결근•조퇴일수 감소 표준진료가이드라인 및 표준진료가이드라인 및 천식, 아토피 천식, 아토피 자가관리에 입각한 자가관리에 입각한 적정 진료 실현 악화인자 관리 악화인자 관리 적정 진료 실현 근거 중심 보건정책 (Evidence-based health policy) 근거 중심 보건정책 (Evidence-based health policy) : :조사감시체계 및 연구개발 결과를 기본으로 하는 과학적 접근 조사감시체계 및 연구개발 결과를 기본으로 하는 과학적 접근 천식, 아토피 천식, 아토피 취약계층 천식, 천식,아토피 질환 천식, 아토피 환자 친화적 생활환경 조사감시 및 아토피 환자 예방교육 및 홍보 적정 치료 및 관리 구축 경보체계 구축 지원
  • 14. 2. 비전과 전략 추진전략 1차예방 1차예방 2차예방 2차예방 3차예방 3차예방 유발인자 노출 감소 고위험군 적정치료와 (알레르기 항원에 조기발견 악화인자 제거 대한 감작 방지) 및 진행억제 표준치료 지침 보급  금연 및 간접흡연 조기약물치료 환자 자가관리 강화 방지 모유수유 활성화 악화요인(Trigger)관리 면역요법 홈페이지, 콜센터 유발인자 노출 회피 지역사회 네트워크
  • 15. 2. 비전과 전략 3. 예방관리 원칙 추진전략 • 비용-효과적 & 실현 가능한 수단 중심의 대책 수립 –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를 통한 “증상 조절 및 악화 방지” ⇒ 아토피·천식 관리대책의 핵심 • 지속적인 대국민 건강캠페인 수행 • 관계부처간 유기적 연계체계 강화 • 지역사회 기반의 파트너십 구축
  • 16. 3. 핵심과제 주요 핵심 사업 교육정보 유병률 및 센터 설치 관리현황 및 운영 홍보 조사 코호트 예방관리 조사감시 구축 수칙 제정 예방교육 홍보 연구 및 경보체계 지수개발 천식 아토피 및 예보제 예방관리 주요핵심사업 적정치료 및 관리 공공의료 표준 전문센터 진료지침 네트워크 지정·운영 개발 및 보급 구축 보건소 예방관리 천식 사업 친화 학교
  • 17. 3. 핵심과제 1.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교육·홍보 예방수칙 홍보 교육정보센터 *예방관리수칙 및 *질환에 대한 *정보제공 및 상담 사업 지침 개발 인식제고 및 - 상담실 - 기존의 예방수칙 보완 예방수칙의 홍보 - 홈페이지-인터넷 - 최신 근거 중심, 질환 - 전화 상담 - TV광고, 라디오, 분야별 전문가들의 캠페인 *교육 의견반영 - 질환별 예방관리수칙 *교육·홍보물 제작 -주민강좌 제정 -환자 및 보호자 - 천식 - 아토피피부염 -보건 의료인 - 알레르기비염 -보건소 담당자, 보건교사 (3종)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교육 지원
  • 18. 3. 핵심과제 예방관리수칙 제정 보급 • 전문학회 및 단체 등과 함께 가정, 학교, 직장 등 일 상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예방관리수칙 개발· 보급 ※ 전문학·협회 공동 제정 ·인증(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대한천식및알레르기학회, 대한피부과학회,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 19. 3. 핵심과제 TV 광고 등 건강 캠페인 시행 ○ ’08년 천식, 알레르기비염 공익광고 시행 ※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공동 주관 - ’09년 아토피피부염 추가 ※ 대한피부과학회와 공동 주관
  • 20.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교육정보센터 운영 • 온/오프라인 전문상담 및 홈페이지 운영(www.atopyinfocenter.co.kr) • 검증된 치료·관리 방법, 과학적 근거기반의 올바른 정보 전달 • 건강강좌, 담당자 전문교육 등 보건소 예방관리사업 지원
  • 23. 3. 핵심과제 2. 적정치료 및 관리 • 아토피·천식 표준치료 및 관리 지침 보급, 교육 – 일차진료 적용가능 실용적인 환자 관리지침 보급 – 전산화된 의사결정 지원 프로그램 개발, 보급 ※ EAM(Easy Asthma Management) 프로그램 보급 – 의사 교육 강화 • 환자 자가관리 교육(Self-Management Education) 활성화 – 천식 발작시 행동지침(Asthma action plan)교육자료 개발 및 보급 – 인터넷을 통한 정보제공 및 자가 관리 교육 프로그램 도입
  • 24. 3. 핵심과제 3. 아토피·천식 친화적 생활환경 구축 • 보건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실시 – 지역사회 중심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강화를 위한 보건소 사업 시범실시 및 단계적 확대(’08년 5개소-> ’09년 42개소) –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운영 지원 – 학부모, 교사 및 의료인 참여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 보육시설, 유치원,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아토피·천식 예 방관리 가이드라인 개발․교육 • 악화요인 관리를 위한 생활환경 개선 – 생활환경 자가평가 및 관리지침 개발, 보급 – 악화요인 관리 교육자료 보급
  • 25. 3. 핵심과제 보건소 예방관리센터 보건소 아토피·천식 예방관리사업 친화학교 저소득층 교육 홍보 지원 지원 지역주민 강좌 직접 홍보 환아 파악 및 지역사회 환자 교실운영 지역언론 매체 지속관리 관리 보건교사 및 홈페이지 학생, 학부모, 맞춤형 방문 의료인 대상 포스터 교사 대상의 건강관리사업 전문교육 리플렛 등 연계 교육 응급대응체계 구축 저소득층 지원 환경관리
  • 26.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운영 아토피피부염, 천식 환아 파악 및 환아 파악 및 지속관리 환자기록카드 관리 보건교사 교육 환아 및 학부모 교육 일반학생/교사 교육 응급키트 아토피·천식 대상자별 보급 및 홍보 친화학교 교육 천식 응급키트 보급 사용방법 교육 아토피·천식 홍보물 비치 검사비 지원 취약계층 가정방문을 통한 지원 교육 및 환경점검
  • 27.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친화학교 주요내용 • 천식 등 아토피 환아 파악 및 지속 관리 – 교내 아토피 환아 선별 및 위험요인 파악 – 환자관리 기록카드 작성을 통한 지속 관리 •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의 예방관리 교육·홍보 • 교내 천식발작 응급 환아 발생시 응급대응체계 구축 - 천식 발작에 대비한 교내 응급키트 비치 및 대처방법 교육 - 응급환자 발생시 지역 내 의뢰병원 연계지정 • 저소득층 환아 관리를 위한 지원 - 정기방문, 치료비 지원, 생활환경 개선 지원 • 학교 실내환경 조사 및 관리 - 교내 아토피질환 악화요인 제거를 위한 환경관리 - 예방관리수칙 생활화를 위한 환경조성
  • 29. 3. 핵심과제 4. 조사감시 및 경보체계 구축 • 아토피·천식 조사감시체계 구축 • 천식지수(Asthma Index) 개발 및 예보제 도입 • 아토피·천식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개발 강화
  • 30.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조사감시체계 강화 • 국민건강영양조사,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등 조사항목 강화 – 아토피·천식 관련 조사 문항 확대(학교환경조사 등) – 온습도, 가정 내 알레르겐 조사 도입 • 퇴원환자조사 조사 항목 추가 – 아토피 피부염 : 가족력, 피부 반응검사, 식품알레르기 – 천식 : 아토피 항목 + Total IgE, 혈액내 호산구수, PFT • 아토피·천식 원인 규명 코호트 구축 • 병원입원 및 응급실 방문환자 감시
  • 31. 3. 핵심과제 천식지수 및 예보제 도입 • 천식 등 아토피 질환의 외부악화 요인 변화양상 파악 및 사전 예보→예방행동 강화, 적정관리수준 향상 1단계. 천식 환자 확인 2단계. 악화 요인 연계 3단계. 개발 및 보급 천식 환자 의료이용 DB 꽃가루 예보 : 천식알레르기협회, /주 천식 지수 및 인플루엔자 유행 행동 지침 개발 : 질병관리본부, /주 •천식 발작 *타당도 검증 - 중앙응급의료전산망 대기오염 - 전국 117개 병원 : 보건환경연구원, /일 •천식 입원 기상정보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기상청, /일 황사 보급 *의료이용 자료 검증 : 기상청, /일 - 천식알레르기학회 전문가 - 기간: 분기별 천식아토피질환 정보센터 병의원 (이메일, SMS) 매스 미디어 (신문, 방송, 인터넷)
  • 32. 3. 핵심과제 아토피·천식 코호트 구축(R&D) • 아토피·천식 원인규명, 발생 예측모형 개발 등을 통한 과학 적인 예방관리 방법 도입·확산
  • 33. 3. 핵심과제 지역사회 아토피·천식 네트워크 구축 질병관리본부 교육정보센터 친화 학교 학교 직장 친화 직장 보건소 공공의료기관 전문클리닉
  • 34. 3. 핵심과제 5. 취약계층 지원 ○ 취약계층 환자 의료비 등 지원 - 비교적 고가인 흡입 스테로이드 사용을 위한 약제비 등 진료비 본인부담금 일부 지원 검토 - 방문보건사업과 연계한 아토피,천식 자가관리지원 ○ 취약계층 생활환경 개선 지원 - 보육시설, 복지시설(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의 생활환경 개선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