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Meconomy




           Mario
목차


□ Web 2.0과 Platform

□ 1장 : 연결, 이음, Link, Connect

□ 2장 : 계급혁명의 시대

□ 3장 : 가치혁명의 시대

□ 4장 : 새시대의 새원칙
Web 2.0과 Platform
Web 2.0

□ Web 2.0이란?
○ 데이터의 소유나 독점 없이 누구나 손쉽게
  생산, 공유 가능한 인터넷 환경

□ 미코노미?

○ Web을 비롯한 각종 기술의 발달로 더 많은
  표현과 생산능력을 갖춘 개인이 기업의 고유
  영역이었던 공급자의 역할을 대체하면서
  개인이 중심에 자리잡는 경제체제
Web 2.0

□ 미코노미의 특징
○ 기업이나 기관의 도움 없이 개인이 다른
  개인을 찾아 Business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장을 제공

○ 사람이 중심을 이루는 경제체제


○ 경제주체인 개개인간의 신뢰도 구축을 위한
  대화가 중요
1장.

연결, 이음, Link, Connect
연결성

□ 인간의 삶에서 가장 기본적인 성질 중 하나

□ 두 인격체의 연결성, 즉 관계성을 뜻함


□ 연결된다는 것의 의미
○ 두개의 개체가 연결되었을 때 이 둘이
  독립적으로 있었을 때의 성질만으로는 전혀
  상상할 수 없는 결과가 발생
21C 새로운 연금술

□ 중세시대의 연금술
 ○ 여러 물질을 섞어 새로운 물질을 생성

□ 현대사회의 연굼슬
○ 재료를 연결하여 더 크고 멋진 효과를 내는 것
○ 최적의 연결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

□ 인간연금술
○ 인간과 인간이 대화를 통해 상호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
경제활동에서의 대화와 정보

□ 대화를 통해 두 사람은 전과 다른 독립개체로
 변화하고, 이 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경제적인
 필요에 의해 시장이 형성된다


□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가 늘어나면 경우의
 수와 선택의 대상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서,
 거래의 형태는 일대일, 일대다, 그리고 다대다
 까지 계속 발전한다
경제활동에서의 대화와 정보

□ 경제활동의 수준
 ○ 경제활동의 수준은 대화의 양과 그 속의
   정보의 질에 따라서 좌우되며, 시장안에
   충분한 정보가 흐르면서 각자 제공하는 것의
   교환이 윤활하게 일어나고,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아질 때 효율성이 높은 시장이라 한다.
○ 시장의 효율성이 높을수록 시장을 둘러싸고
  있는 경제체제 역시 성장하고, 이는 다시
  개개인에게 더 좋은 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Paul Romer의 경제론


□ 신 성장이론 제창


□ 같은 자원으로도 지식의 수준에 따라서 완전
 다른 경제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가치있는 경제성장은 사람들이 자원을 더
 가치있는 상태로 재배치할 때 일어난다.
Communication의 발전


□ 육성 > 글 > 인쇄술 > … > Web


□ 기술의 발달로 Communication 비용은
 낮아지고 대량생산, 전달이 가능해 짐으로써
 그 안의 경제가치의 교류역시 규모가 커짐
World Wide Web

□ 1991년 팀 버너스리 고안

□ 특징

○ HyperLink : 다른 문서를 참조할 수 있게 함

○ Link를 이용하여 하나로 묶여있던 지식을
  쪼개어 연결

○ HTTP : 문서전송을 위한 통신규약
○ HTML : HyperText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
Web 의 대중화

□ 1995년 Netscape의 상장
□ 어누 누구나 Web상의 다른이와 대화 가능

□ 더 많은 이들과 자신의 것으로 교환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에도 새로운 기회가
 생김

□ 대화를 통해 더 많은 정보, 지식의 교류와 돈,
 소유믈, 서비스 사이의 경제적 가치교환이
 동시에 발생
초창기 .com 기업들의 몰락

□ Communication의 부재

□ 기존의 산업체계의 연장

○ 소수의 생산자, 유통자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배포하고 사용자는 소비만 하는 구조

□ 그러나 개인이 Home Page를 만들고
 Cummunity를 구축하여 ‘연결’을 이어나감
2장.

계급혁명의 시대
아마추어 계급의 봉기



□ 아마추어라 불리던 일반인들이 적극적이고
 능력있는 참여자가 되어 생산활동 시작


□ Pro-Am 혁명
○ 아마추어의 순수성, 열정 + 프로의 완성도
참여의 시대

□ DIY

□ Prosumer

 ○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허물어짐

□ Open sourse화
 ○ Open sourse software의 등장 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업도 Open source화에 동참
변화의 원인

□ 문화적 변화
 ○ 개인주의 : 자신만의 개성을 찾으려는 노력
 ○ 물질적 안정 : 생활에 여유가 생김

□ Internet의 발달
 ○ Community, 공동체 중심으로 재편
 ○ 대부분의 Amateur들은 다른 Amateur와 만나
   정보를 공유하며, 서로를 훈련시킴
업계의 paradigm 전환

□ Closed source software
 ○ 기존 Software 업계 방식
 ○ Source code, 관련자료 비공개


□ Open source software
 ○ 생산과정 투명화
 ○ Source code 개방
Open source의 성공요인

□ 참여하는 모든 사람의 열정을 바탕으로 제작


□ 개방성으로 인해 Software의 생성과정에
 참여하는 수가 다수


□ 기본적으로 무료 또는 매우 적은 비용으로
 구축 및 사용이 가능
Business Model

□ Open source software에 기반한 기업 탄생

□ 배포는 무료 / 설치, 지원에 대한 service를

  제공하여 이윤을 올림

□예

 ○ Sun MicroSystems의 Solaris / JAVA
 ○ IBM의 500여개의 특허 공개 등
Web 2.0의 등장

□ 2004년 10월 미국 San francisco에서 개최된
  Web 2.0 conference를 통해 알려짐


□ Web for flatform
 ○ Flatform으로서 Web 이라고 정의
Web 2.0의 확산

□ 기술적 배경
○ 도구 및 장비의 확산

□ Service의 존재

○ 검색엔진, Blog, 미니홈피 등

□ ‘참여문화’의 문화코드

○ 공동체 중심의 소속감을 바탕으로 한 연결성
집단지성

□ Web을 이용하는 다수 사용자의 기여와 공헌이
 모여 커다란 지식창고, 새로운 정보의 원천이
 되는 것

□예

○ Google의 Page rank algorithm
○ Wikipedia
○ Naver 지식in 등
Social Network Service



□ 단순한 사람간의 연결이 아니라 사람간의
  교류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부가적인 가치를
  사용자들이 최대한 느낄수 있게 유도


□ Cyworld, Myspace 등
사람대 사람 시장이 가지는 의미


□ 과거 중앙집중적인 형태의 시장에는 진입할 수
 없던 아마추어들의 경제활동이 가능해졌다


□ 모든 거래의 소요비용이 전보다 훨씬 줄었기
 때문에 기존의 Off line 기업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3장.

가치혁명의 시대
주목


□ 주목이란?
○ 나의 에너지와 시간과 노력을 어떠한 대상에
  쏟아붓는 것


□ Meconomy 관점에서 본 주목
○ 주목 그 자체가 경제적인 가치를 지님
주목받기

□ 단기적인 주목받기
○ E-mail에 눈에 띄는 제목
○ 검색 Engine 최적화
○ 낚시성 기사


□ 장기적인 주목받기
○ 신뢰를 통하여 형성
주목은 미디어를 타고

□ Midea가 발전하면서 사람의 정체성과 정체성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담당

□ 정보가 Midea를 타고 흐르는 것처럼 ‘주목’ 역시
 Midea를 타고 흐름

□ Web의 시대로 Midea의 중심이 급격히
 옮겨가면서 ‘주목’이 Web을 통해 분산되기 시작
4장.

새시대의 새원칙
Meconomy 시대의 중심적 가치

□ 신뢰는 사람과 사람이 교류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
□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데 중심적인 역할
□ Meconomy란 개인과 개인이 중심을 이루는
  경제체계이기 때문
□ MassMedia 시대의 ‘일방향 Communication’이
  아닌 Web 2.0 시대의 ‘쌍방향 상호작용’을 통해
  진정한 신뢰가 구축될 수 있다.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개방성
○ Web 2.0은 개방성에 핵심가치를 두고 성장

○ 훌륭한 가치를 지닌 것을 개방함으로써 주목을
  받고 참여를 유도

○ Open innovation, Co-design 등 일반인과의
  협업을 통해서 가치를 창출하는 일 증가

○ CrowdSourcing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투명성
○ 제품의 Open source화
○ Meconomy에서 개인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진실되고 투명한 대화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중요함

□ 단순성
○ 필요없는것을 제하고 핵심가치만 남김
○ 제품과 Service가 가장 핵심가치에 가까운 모습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창의성

○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별화된것을 시도하면서
  과거에 제공되었던 것 보다 더 탁월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 창의성의 최대 가치는 사람의 기대치를
  뛰어넘는 가치를 제공한다는 것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창의성은 일상속에 정체된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깨부수고 이 과정에서 사람들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며 이는 결국 Meconomy
 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요소인 열정적인
 Cumunity를 만들어내는 밑거름이 된다.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통섭(Consilience)

 ○ 다양상얼 통해서 교류가 일어나기 시작할 경우
   전에 보이지 않던 문제해결방법이 나오며,
   새로운 무언가를 건설할 수 있는 Idea가
   나온다는 접근방식

 ○ 관점이 다른 다양한 사람과 만남을 통해
   생각의 폭을 넓히는 것은 ‘창의성’을
   키워나가는데 있어서 가장 훌륭한 방법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shannonsi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Kwangmo Yang
 
벤치마킹
벤치마킹벤치마킹
벤치마킹oros83
 
Trend korea 2021 한국 소비 트렌드 2021
Trend korea 2021 한국 소비 트렌드 2021 Trend korea 2021 한국 소비 트렌드 2021
Trend korea 2021 한국 소비 트렌드 2021
Jahee Lee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oganadang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5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5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5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5Clara_Kim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AshleyMoon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Clara_Kim
 
How To Benchmark
How To BenchmarkHow To Benchmark
How To Benchmark
Agenda King KeynaSee
 
미코노미 3장 4장
미코노미 3장 4장미코노미 3장 4장
미코노미 3장 4장oganadang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shannonsi
 
미코노미 2장
미코노미 2장미코노미 2장
미코노미 2장oganadang
 
웹기획 V090417
웹기획 V090417웹기획 V090417
웹기획 V090417oros83
 
최종Google3
최종Google3최종Google3
최종Google3
blacknight90
 
032330 Jason Chapter2
032330 Jason Chapter2032330 Jason Chapter2
032330 Jason Chapter2anjunseob
 
K smart lighthouse factory(acs)
K smart lighthouse factory(acs)K smart lighthouse factory(acs)
K smart lighthouse factory(acs)
S.K. Cha of ACS in Korea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kisu kim
 
Web, 사용자를 배려하는 합리적인 생각
Web, 사용자를 배려하는 합리적인 생각Web, 사용자를 배려하는 합리적인 생각
Web, 사용자를 배려하는 합리적인 생각Clara_Kim
 

What's hot (20)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벤치마킹
벤치마킹벤치마킹
벤치마킹
 
Trend korea 2021 한국 소비 트렌드 2021
Trend korea 2021 한국 소비 트렌드 2021 Trend korea 2021 한국 소비 트렌드 2021
Trend korea 2021 한국 소비 트렌드 2021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Mobile Internet
Mobile InternetMobile Internet
Mobile Internet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5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5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5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5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How To Benchmark
How To BenchmarkHow To Benchmark
How To Benchmark
 
미코노미 3장 4장
미코노미 3장 4장미코노미 3장 4장
미코노미 3장 4장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미코노미 2장
미코노미 2장미코노미 2장
미코노미 2장
 
웹기획 V090417
웹기획 V090417웹기획 V090417
웹기획 V090417
 
최종Google3
최종Google3최종Google3
최종Google3
 
Chap2,3
Chap2,3Chap2,3
Chap2,3
 
032330 Jason Chapter2
032330 Jason Chapter2032330 Jason Chapter2
032330 Jason Chapter2
 
K smart lighthouse factory(acs)
K smart lighthouse factory(acs)K smart lighthouse factory(acs)
K smart lighthouse factory(acs)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Web, 사용자를 배려하는 합리적인 생각
Web, 사용자를 배려하는 합리적인 생각Web, 사용자를 배려하는 합리적인 생각
Web, 사용자를 배려하는 합리적인 생각
 

Viewers also liked

Story 01
Story 01Story 01
Story 01JooWan
 
구글을 지탱하는 기술
구글을 지탱하는 기술구글을 지탱하는 기술
구글을 지탱하는 기술JooWan
 
Broscutele
BroscuteleBroscutele
Broscutele
ceban
 
Regus Work Your Way The Momentum Business Series
Regus Work Your Way The Momentum Business SeriesRegus Work Your Way The Momentum Business Series
Regus Work Your Way The Momentum Business Series
Joseph Ruiz
 
Coffee talk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
Coffee talk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 Coffee talk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
Coffee talk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
Joseph Ruiz
 
The #SoLoMo Opportunity and Why Marketer's Should Care
The #SoLoMo Opportunity and Why Marketer's Should CareThe #SoLoMo Opportunity and Why Marketer's Should Care
The #SoLoMo Opportunity and Why Marketer's Should Care
Joseph Ruiz
 
Story 06
Story 06Story 06
Story 06JooWan
 
Stoty 03
Stoty 03Stoty 03
Stoty 03JooWan
 
SMECLabs Brochure
SMECLabs BrochureSMECLabs Brochure
SMECLabs Brochure
Jolion Pillai
 
Stoty 01 Ver2
Stoty 01 Ver2Stoty 01 Ver2
Stoty 01 Ver2JooWan
 

Viewers also liked (10)

Story 01
Story 01Story 01
Story 01
 
구글을 지탱하는 기술
구글을 지탱하는 기술구글을 지탱하는 기술
구글을 지탱하는 기술
 
Broscutele
BroscuteleBroscutele
Broscutele
 
Regus Work Your Way The Momentum Business Series
Regus Work Your Way The Momentum Business SeriesRegus Work Your Way The Momentum Business Series
Regus Work Your Way The Momentum Business Series
 
Coffee talk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
Coffee talk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 Coffee talk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
Coffee talk designing customer experience
 
The #SoLoMo Opportunity and Why Marketer's Should Care
The #SoLoMo Opportunity and Why Marketer's Should CareThe #SoLoMo Opportunity and Why Marketer's Should Care
The #SoLoMo Opportunity and Why Marketer's Should Care
 
Story 06
Story 06Story 06
Story 06
 
Stoty 03
Stoty 03Stoty 03
Stoty 03
 
SMECLabs Brochure
SMECLabs BrochureSMECLabs Brochure
SMECLabs Brochure
 
Stoty 01 Ver2
Stoty 01 Ver2Stoty 01 Ver2
Stoty 01 Ver2
 

More from JooWan

Story 06
Story 06Story 06
Story 06JooWan
 
Story 05
Story 05Story 05
Story 05JooWan
 
Stoty 04
Stoty 04Stoty 04
Stoty 04JooWan
 
Stoty 04
Stoty 04Stoty 04
Stoty 04JooWan
 
Stoty 02
Stoty 02Stoty 02
Stoty 02JooWan
 
Stoty 03
Stoty 03Stoty 03
Stoty 03JooWan
 
Stoty 02
Stoty 02Stoty 02
Stoty 02JooWan
 
Stoty 01 Ver2
Stoty 01 Ver2Stoty 01 Ver2
Stoty 01 Ver2JooWan
 
Story 01
Story 01Story 01
Story 01JooWan
 

More from JooWan (9)

Story 06
Story 06Story 06
Story 06
 
Story 05
Story 05Story 05
Story 05
 
Stoty 04
Stoty 04Stoty 04
Stoty 04
 
Stoty 04
Stoty 04Stoty 04
Stoty 04
 
Stoty 02
Stoty 02Stoty 02
Stoty 02
 
Stoty 03
Stoty 03Stoty 03
Stoty 03
 
Stoty 02
Stoty 02Stoty 02
Stoty 02
 
Stoty 01 Ver2
Stoty 01 Ver2Stoty 01 Ver2
Stoty 01 Ver2
 
Story 01
Story 01Story 01
Story 01
 

미코노미

  • 1. Meconomy Mario
  • 2. 목차 □ Web 2.0과 Platform □ 1장 : 연결, 이음, Link, Connect □ 2장 : 계급혁명의 시대 □ 3장 : 가치혁명의 시대 □ 4장 : 새시대의 새원칙
  • 4. Web 2.0 □ Web 2.0이란? ○ 데이터의 소유나 독점 없이 누구나 손쉽게 생산, 공유 가능한 인터넷 환경 □ 미코노미? ○ Web을 비롯한 각종 기술의 발달로 더 많은 표현과 생산능력을 갖춘 개인이 기업의 고유 영역이었던 공급자의 역할을 대체하면서 개인이 중심에 자리잡는 경제체제
  • 5. Web 2.0 □ 미코노미의 특징 ○ 기업이나 기관의 도움 없이 개인이 다른 개인을 찾아 Business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장을 제공 ○ 사람이 중심을 이루는 경제체제 ○ 경제주체인 개개인간의 신뢰도 구축을 위한 대화가 중요
  • 7. 연결성 □ 인간의 삶에서 가장 기본적인 성질 중 하나 □ 두 인격체의 연결성, 즉 관계성을 뜻함 □ 연결된다는 것의 의미 ○ 두개의 개체가 연결되었을 때 이 둘이 독립적으로 있었을 때의 성질만으로는 전혀 상상할 수 없는 결과가 발생
  • 8. 21C 새로운 연금술 □ 중세시대의 연금술 ○ 여러 물질을 섞어 새로운 물질을 생성 □ 현대사회의 연굼슬 ○ 재료를 연결하여 더 크고 멋진 효과를 내는 것 ○ 최적의 연결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 □ 인간연금술 ○ 인간과 인간이 대화를 통해 상호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
  • 9. 경제활동에서의 대화와 정보 □ 대화를 통해 두 사람은 전과 다른 독립개체로 변화하고, 이 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경제적인 필요에 의해 시장이 형성된다 □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가 늘어나면 경우의 수와 선택의 대상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서, 거래의 형태는 일대일, 일대다, 그리고 다대다 까지 계속 발전한다
  • 10. 경제활동에서의 대화와 정보 □ 경제활동의 수준 ○ 경제활동의 수준은 대화의 양과 그 속의 정보의 질에 따라서 좌우되며, 시장안에 충분한 정보가 흐르면서 각자 제공하는 것의 교환이 윤활하게 일어나고,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아질 때 효율성이 높은 시장이라 한다. ○ 시장의 효율성이 높을수록 시장을 둘러싸고 있는 경제체제 역시 성장하고, 이는 다시 개개인에게 더 좋은 자원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 11. Paul Romer의 경제론 □ 신 성장이론 제창 □ 같은 자원으로도 지식의 수준에 따라서 완전 다른 경제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가치있는 경제성장은 사람들이 자원을 더 가치있는 상태로 재배치할 때 일어난다.
  • 12. Communication의 발전 □ 육성 > 글 > 인쇄술 > … > Web □ 기술의 발달로 Communication 비용은 낮아지고 대량생산, 전달이 가능해 짐으로써 그 안의 경제가치의 교류역시 규모가 커짐
  • 13. World Wide Web □ 1991년 팀 버너스리 고안 □ 특징 ○ HyperLink : 다른 문서를 참조할 수 있게 함 ○ Link를 이용하여 하나로 묶여있던 지식을 쪼개어 연결 ○ HTTP : 문서전송을 위한 통신규약 ○ HTML : HyperText를 작성하기 위한 언어
  • 14. Web 의 대중화 □ 1995년 Netscape의 상장 □ 어누 누구나 Web상의 다른이와 대화 가능 □ 더 많은 이들과 자신의 것으로 교환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에도 새로운 기회가 생김 □ 대화를 통해 더 많은 정보, 지식의 교류와 돈, 소유믈, 서비스 사이의 경제적 가치교환이 동시에 발생
  • 15. 초창기 .com 기업들의 몰락 □ Communication의 부재 □ 기존의 산업체계의 연장 ○ 소수의 생산자, 유통자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배포하고 사용자는 소비만 하는 구조 □ 그러나 개인이 Home Page를 만들고 Cummunity를 구축하여 ‘연결’을 이어나감
  • 17. 아마추어 계급의 봉기 □ 아마추어라 불리던 일반인들이 적극적이고 능력있는 참여자가 되어 생산활동 시작 □ Pro-Am 혁명 ○ 아마추어의 순수성, 열정 + 프로의 완성도
  • 18. 참여의 시대 □ DIY □ Prosumer ○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허물어짐 □ Open sourse화 ○ Open sourse software의 등장 뿐만 아니라 기존의 기업도 Open source화에 동참
  • 19. 변화의 원인 □ 문화적 변화 ○ 개인주의 : 자신만의 개성을 찾으려는 노력 ○ 물질적 안정 : 생활에 여유가 생김 □ Internet의 발달 ○ Community, 공동체 중심으로 재편 ○ 대부분의 Amateur들은 다른 Amateur와 만나 정보를 공유하며, 서로를 훈련시킴
  • 20. 업계의 paradigm 전환 □ Closed source software ○ 기존 Software 업계 방식 ○ Source code, 관련자료 비공개 □ Open source software ○ 생산과정 투명화 ○ Source code 개방
  • 21. Open source의 성공요인 □ 참여하는 모든 사람의 열정을 바탕으로 제작 □ 개방성으로 인해 Software의 생성과정에 참여하는 수가 다수 □ 기본적으로 무료 또는 매우 적은 비용으로 구축 및 사용이 가능
  • 22. Business Model □ Open source software에 기반한 기업 탄생 □ 배포는 무료 / 설치, 지원에 대한 service를 제공하여 이윤을 올림 □예 ○ Sun MicroSystems의 Solaris / JAVA ○ IBM의 500여개의 특허 공개 등
  • 23. Web 2.0의 등장 □ 2004년 10월 미국 San francisco에서 개최된 Web 2.0 conference를 통해 알려짐 □ Web for flatform ○ Flatform으로서 Web 이라고 정의
  • 24. Web 2.0의 확산 □ 기술적 배경 ○ 도구 및 장비의 확산 □ Service의 존재 ○ 검색엔진, Blog, 미니홈피 등 □ ‘참여문화’의 문화코드 ○ 공동체 중심의 소속감을 바탕으로 한 연결성
  • 25. 집단지성 □ Web을 이용하는 다수 사용자의 기여와 공헌이 모여 커다란 지식창고, 새로운 정보의 원천이 되는 것 □예 ○ Google의 Page rank algorithm ○ Wikipedia ○ Naver 지식in 등
  • 26. Social Network Service □ 단순한 사람간의 연결이 아니라 사람간의 교류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부가적인 가치를 사용자들이 최대한 느낄수 있게 유도 □ Cyworld, Myspace 등
  • 27. 사람대 사람 시장이 가지는 의미 □ 과거 중앙집중적인 형태의 시장에는 진입할 수 없던 아마추어들의 경제활동이 가능해졌다 □ 모든 거래의 소요비용이 전보다 훨씬 줄었기 때문에 기존의 Off line 기업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 29. 주목 □ 주목이란? ○ 나의 에너지와 시간과 노력을 어떠한 대상에 쏟아붓는 것 □ Meconomy 관점에서 본 주목 ○ 주목 그 자체가 경제적인 가치를 지님
  • 30. 주목받기 □ 단기적인 주목받기 ○ E-mail에 눈에 띄는 제목 ○ 검색 Engine 최적화 ○ 낚시성 기사 □ 장기적인 주목받기 ○ 신뢰를 통하여 형성
  • 31. 주목은 미디어를 타고 □ Midea가 발전하면서 사람의 정체성과 정체성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담당 □ 정보가 Midea를 타고 흐르는 것처럼 ‘주목’ 역시 Midea를 타고 흐름 □ Web의 시대로 Midea의 중심이 급격히 옮겨가면서 ‘주목’이 Web을 통해 분산되기 시작
  • 33. Meconomy 시대의 중심적 가치 □ 신뢰는 사람과 사람이 교류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 □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데 중심적인 역할 □ Meconomy란 개인과 개인이 중심을 이루는 경제체계이기 때문 □ MassMedia 시대의 ‘일방향 Communication’이 아닌 Web 2.0 시대의 ‘쌍방향 상호작용’을 통해 진정한 신뢰가 구축될 수 있다.
  • 34.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개방성 ○ Web 2.0은 개방성에 핵심가치를 두고 성장 ○ 훌륭한 가치를 지닌 것을 개방함으로써 주목을 받고 참여를 유도 ○ Open innovation, Co-design 등 일반인과의 협업을 통해서 가치를 창출하는 일 증가 ○ CrowdSourcing
  • 35.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투명성 ○ 제품의 Open source화 ○ Meconomy에서 개인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진실되고 투명한 대화를 통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중요함 □ 단순성 ○ 필요없는것을 제하고 핵심가치만 남김 ○ 제품과 Service가 가장 핵심가치에 가까운 모습
  • 36.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창의성 ○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별화된것을 시도하면서 과거에 제공되었던 것 보다 더 탁월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 창의성의 최대 가치는 사람의 기대치를 뛰어넘는 가치를 제공한다는 것
  • 37.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창의성은 일상속에 정체된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깨부수고 이 과정에서 사람들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며 이는 결국 Meconomy 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요소인 열정적인 Cumunity를 만들어내는 밑거름이 된다.
  • 38. 미코노미의 성공원칙 □ 통섭(Consilience) ○ 다양상얼 통해서 교류가 일어나기 시작할 경우 전에 보이지 않던 문제해결방법이 나오며, 새로운 무언가를 건설할 수 있는 Idea가 나온다는 접근방식 ○ 관점이 다른 다양한 사람과 만남을 통해 생각의 폭을 넓히는 것은 ‘창의성’을 키워나가는데 있어서 가장 훌륭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