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한상원
잡무유닛.
한상원.



       M2팀.
짧고얇군!




   -리깅의 개념
      -리깅 프로세스의 이해

-기본적인 맥스 컨트롤러의 이해

  -캐릭터 리깅 리뷰
모델링된 사물을 의도된 모습
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가상의
골격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일.

의도나 목적, 방법의 선택
에 따라 다양한 접근법.
의도가 정확하게 표현된다면.
최대한   심플하고 직관적인
제작공정/ 사용성이   미덕.
목적과 의도가 픽스
                   이 순갂을      오늘은 왠지 문어를
                  기다렸습니다.        만들자..


               실제 근육과 골격에 근거한 움직임 연구.




         단순하지만 직관적인 기초 셋업. (dummy rigging)




추가 셋업. (기초 셋업 보완, 2차 애니메이션 관련, 편의성 관련.)
    끗!
           …



         태스트 후 피드백. (지속적으로 피드백 받고 보완.)
- 각종 트랜스폼 컨트롤러
    - 리액션 매니저
   _텍스쳐/ 메쉬 모핑
제한, 구속, 통제          이란 의미.
하나이상의 사물의 움직임(위치,회젂,스케일)을 특정 타겟에
구속시켜서 의도한 움직임을 얻어낼 수 있다.

  포지션. 오리엔테이션.
  링크. 룩 앳. 스프링.
스위치 같은 기능으로 사용됨.      (반동,반작용,상호작용의 의미)
반복적이거나 복합적인 애니메이션을 그룹시켜 단순한 액션만으로 컨트롤.
시갂의 변화에 따른 상태의 변화을 기초로 하지 않는다.
모델링된 사물을 의도된 모습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가상의 골격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일.

다양한 접근법이 존재하며 상황에 맞는 적젃한 사용이 필요하다.
의도한 움직임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직관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사용자의 편의성이 중요시 되어야 한다.
사용자의 편의성 만큼 제작자(아티스트)의 구현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스프링 기반의 머리 움직임/ 유영 상태 표현.
-스플라인 IK 기반의 의지가 있는 촉수의 움직임.
-약갂의 트랜스폼 컨스트레인트.
- 대기 모드 촉수의 웨이브 컨트롤(스크립트 http://www.sinok.gr/)
끗.감사
합니다.
끗.감사
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devCAT Studio, NEXON

홍성우, 게임 서버의 목차 - 시작부터 출시까지, NDC2019
홍성우, 게임 서버의 목차 - 시작부터 출시까지, NDC2019홍성우, 게임 서버의 목차 - 시작부터 출시까지, NDC2019
홍성우, 게임 서버의 목차 - 시작부터 출시까지, NDC2019
devCAT Studio, NEXON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devCAT Studio, NEXON
 
이현기, <드래곤하운드> 새로움과의 새로운 싸움, NDC2019
이현기, <드래곤하운드> 새로움과의 새로운 싸움, NDC2019이현기, <드래곤하운드> 새로움과의 새로운 싸움, NDC2019
이현기, <드래곤하운드> 새로움과의 새로운 싸움, NDC2019
devCAT Studio, NEXON
 
강성훈, 실버바인 대기열 서버 설계 리뷰, NDC2019
강성훈, 실버바인 대기열 서버 설계 리뷰, NDC2019강성훈, 실버바인 대기열 서버 설계 리뷰, NDC2019
강성훈, 실버바인 대기열 서버 설계 리뷰, NDC2019
devCAT Studio, NEXON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devCAT Studio, NEXON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devCAT Studio, NEXON
 
김혁, <드래곤 하운드>의 PBR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법, NDC2019
김혁, <드래곤 하운드>의 PBR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법, NDC2019김혁, <드래곤 하운드>의 PBR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법, NDC2019
김혁, <드래곤 하운드>의 PBR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법, NDC2019
devCAT Studio, NEXON
 
전형규, SilvervineUE4Lua: UE4에서 Lua 사용하기, NDC2019
전형규, SilvervineUE4Lua: UE4에서 Lua 사용하기, NDC2019전형규, SilvervineUE4Lua: UE4에서 Lua 사용하기, NDC2019
전형규, SilvervineUE4Lua: UE4에서 Lua 사용하기, NDC2019
devCAT Studio, NEXON
 
윤석주,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 Jul8 제작기, NDC2018
윤석주,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 Jul8 제작기, NDC2018윤석주,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 Jul8 제작기, NDC2018
윤석주,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 Jul8 제작기, NDC2018
devCAT Studio, NEXON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devCAT Studio, NEXON
 
심예람, <프로젝트DH>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NDC2018
심예람, <프로젝트DH>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NDC2018심예람, <프로젝트DH>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NDC2018
심예람, <프로젝트DH>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NDC2018
devCAT Studio, NEXON
 
문석진, 프로젝트DH의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Ⅱ, NDC2018
문석진, 프로젝트DH의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Ⅱ, NDC2018문석진, 프로젝트DH의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Ⅱ, NDC2018
문석진, 프로젝트DH의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Ⅱ, NDC2018
devCAT Studio, NEXON
 
이승재, 실버바인 서버엔진 2 설계 리뷰, NDC2018
이승재, 실버바인 서버엔진 2 설계 리뷰, NDC2018이승재, 실버바인 서버엔진 2 설계 리뷰, NDC2018
이승재, 실버바인 서버엔진 2 설계 리뷰, NDC2018
devCAT Studio, NEXON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devCAT Studio, NEXON
 
전형규, 좋은 이름, 나쁜 이름, 이상한 이름, NDC2018
전형규, 좋은 이름, 나쁜 이름, 이상한 이름, NDC2018전형규, 좋은 이름, 나쁜 이름, 이상한 이름, NDC2018
전형규, 좋은 이름, 나쁜 이름, 이상한 이름, NDC2018
devCAT Studio, NEXON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devCAT Studio, NEXON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애니메이션 로딩 전략, NDC2011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애니메이션 로딩 전략, NDC2011백승엽, M2프로젝트의 애니메이션 로딩 전략, NDC2011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애니메이션 로딩 전략, NDC2011
devCAT Studio, NEXON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오류보고시스템, NDC2010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오류보고시스템, NDC2010백승엽, M2프로젝트의 오류보고시스템, NDC2010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오류보고시스템, NDC2010
devCAT Studio, NEXON
 
홍성우, 내가 만든 언어로 게임 만들기, NDC2017
홍성우, 내가 만든 언어로 게임 만들기, NDC2017홍성우, 내가 만든 언어로 게임 만들기, NDC2017
홍성우, 내가 만든 언어로 게임 만들기, NDC2017
devCAT Studio, NEXON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2,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2, NDC2017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2,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2, NDC2017
devCAT Studio, NEXON
 

More from devCAT Studio, NEXON (20)

홍성우, 게임 서버의 목차 - 시작부터 출시까지, NDC2019
홍성우, 게임 서버의 목차 - 시작부터 출시까지, NDC2019홍성우, 게임 서버의 목차 - 시작부터 출시까지, NDC2019
홍성우, 게임 서버의 목차 - 시작부터 출시까지, NDC2019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윤석주, 신입 게임 프로그래머가 되는 법 - 넥슨 채용 프로세스 단계별 분석, NDC2019
 
이현기, <드래곤하운드> 새로움과의 새로운 싸움, NDC2019
이현기, <드래곤하운드> 새로움과의 새로운 싸움, NDC2019이현기, <드래곤하운드> 새로움과의 새로운 싸움, NDC2019
이현기, <드래곤하운드> 새로움과의 새로운 싸움, NDC2019
 
강성훈, 실버바인 대기열 서버 설계 리뷰, NDC2019
강성훈, 실버바인 대기열 서버 설계 리뷰, NDC2019강성훈, 실버바인 대기열 서버 설계 리뷰, NDC2019
강성훈, 실버바인 대기열 서버 설계 리뷰, NDC2019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김호용, 드래곤하운드 비주얼 개발기 - 프로젝트 킥오프부터 현재까지, 아트의 기둥 세우기, NDC2019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이무림, Enum의 Boxing을 어찌할꼬? 편리하고 성능좋게 Enum 사용하기, NDC2019
 
김혁, <드래곤 하운드>의 PBR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법, NDC2019
김혁, <드래곤 하운드>의 PBR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법, NDC2019김혁, <드래곤 하운드>의 PBR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법, NDC2019
김혁, <드래곤 하운드>의 PBR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 기법, NDC2019
 
전형규, SilvervineUE4Lua: UE4에서 Lua 사용하기, NDC2019
전형규, SilvervineUE4Lua: UE4에서 Lua 사용하기, NDC2019전형규, SilvervineUE4Lua: UE4에서 Lua 사용하기, NDC2019
전형규, SilvervineUE4Lua: UE4에서 Lua 사용하기, NDC2019
 
윤석주,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 Jul8 제작기, NDC2018
윤석주,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 Jul8 제작기, NDC2018윤석주,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 Jul8 제작기, NDC2018
윤석주, 인하우스 웹 프레임워크 Jul8 제작기, NDC2018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심예람, <프로젝트DH>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NDC2018
심예람, <프로젝트DH>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NDC2018심예람, <프로젝트DH>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NDC2018
심예람, <프로젝트DH> AI 내비게이션 시스템, NDC2018
 
문석진, 프로젝트DH의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Ⅱ, NDC2018
문석진, 프로젝트DH의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Ⅱ, NDC2018문석진, 프로젝트DH의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Ⅱ, NDC2018
문석진, 프로젝트DH의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 Ⅱ, NDC2018
 
이승재, 실버바인 서버엔진 2 설계 리뷰, NDC2018
이승재, 실버바인 서버엔진 2 설계 리뷰, NDC2018이승재, 실버바인 서버엔진 2 설계 리뷰, NDC2018
이승재, 실버바인 서버엔진 2 설계 리뷰, NDC2018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모광택, 모바일 TCG 게임의 라이브 서비스에 대한 경험 공유, NDC2018
 
전형규, 좋은 이름, 나쁜 이름, 이상한 이름, NDC2018
전형규, 좋은 이름, 나쁜 이름, 이상한 이름, NDC2018전형규, 좋은 이름, 나쁜 이름, 이상한 이름, NDC2018
전형규, 좋은 이름, 나쁜 이름, 이상한 이름, NDC2018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애니메이션 로딩 전략, NDC2011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애니메이션 로딩 전략, NDC2011백승엽, M2프로젝트의 애니메이션 로딩 전략, NDC2011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애니메이션 로딩 전략, NDC2011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오류보고시스템, NDC2010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오류보고시스템, NDC2010백승엽, M2프로젝트의 오류보고시스템, NDC2010
백승엽, M2프로젝트의 오류보고시스템, NDC2010
 
홍성우, 내가 만든 언어로 게임 만들기, NDC2017
홍성우, 내가 만든 언어로 게임 만들기, NDC2017홍성우, 내가 만든 언어로 게임 만들기, NDC2017
홍성우, 내가 만든 언어로 게임 만들기,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2,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2, NDC2017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2,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2, NDC2017
 

한상원, 친아티스트 3D 캐릭터 리깅, NDC2010

  • 3. 짧고얇군! -리깅의 개념 -리깅 프로세스의 이해 -기본적인 맥스 컨트롤러의 이해 -캐릭터 리깅 리뷰
  • 4.
  • 5. 모델링된 사물을 의도된 모습 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가상의 골격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일. 의도나 목적, 방법의 선택 에 따라 다양한 접근법.
  • 6. 의도가 정확하게 표현된다면. 최대한 심플하고 직관적인 제작공정/ 사용성이 미덕.
  • 7. 목적과 의도가 픽스 이 순갂을 오늘은 왠지 문어를 기다렸습니다. 만들자.. 실제 근육과 골격에 근거한 움직임 연구. 단순하지만 직관적인 기초 셋업. (dummy rigging) 추가 셋업. (기초 셋업 보완, 2차 애니메이션 관련, 편의성 관련.) 끗! … 태스트 후 피드백. (지속적으로 피드백 받고 보완.)
  • 8. - 각종 트랜스폼 컨트롤러 - 리액션 매니저 _텍스쳐/ 메쉬 모핑
  • 9. 제한, 구속, 통제 이란 의미. 하나이상의 사물의 움직임(위치,회젂,스케일)을 특정 타겟에 구속시켜서 의도한 움직임을 얻어낼 수 있다. 포지션. 오리엔테이션. 링크. 룩 앳. 스프링.
  • 10.
  • 11.
  • 12. 스위치 같은 기능으로 사용됨. (반동,반작용,상호작용의 의미) 반복적이거나 복합적인 애니메이션을 그룹시켜 단순한 액션만으로 컨트롤. 시갂의 변화에 따른 상태의 변화을 기초로 하지 않는다.
  • 13. 모델링된 사물을 의도된 모습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가상의 골격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일. 다양한 접근법이 존재하며 상황에 맞는 적젃한 사용이 필요하다. 의도한 움직임을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직관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사용자의 편의성이 중요시 되어야 한다. 사용자의 편의성 만큼 제작자(아티스트)의 구현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 14.
  • 15. -스프링 기반의 머리 움직임/ 유영 상태 표현. -스플라인 IK 기반의 의지가 있는 촉수의 움직임. -약갂의 트랜스폼 컨스트레인트. - 대기 모드 촉수의 웨이브 컨트롤(스크립트 http://www.sinok.g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