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view❙
Vol. 42, No. 5 May, 2011 (275-282) 275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Obesity and Endoscopic Treatment
Sung Soo Kim,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Obese patients have been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a social economy.
Obesity is a disease with high mortality rates due to associated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Diet or exercise therapy, medications, bariatric surgery are
used for treating obesity. However, although bariatric surgery is safe and effective,
it is expensive, and reoperation is a burden if patients fail to lose weight. Operative
complications are also a problem. The recent development of endoluminal
techniques may permit obesity treatment and many endoscopic procedures have
been attempted. The role of endoscopy for treating obesity is treating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bariatric surgery, for example, a stricture or
widening of the anastomosis, fistula, or leaks. Second, endoscopic applications
could be used for weight reduction to temporarily bridge surgery for high-risk
patients with obesity, and for reducing weight in patients unable to undergo
surgery. This article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bariatric surgery and its
complications and introduces several endoscopic applications to treat obesit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11;42:275-282)
Key Words: Obesity, Bariatric surgery, Endoscopy, Gastrointestinal
교신저자.
김성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480-130), 경기 의정부시 금오동 65-1
전화: 031-820-3000
팩스: 031-847-2719
이메일: kimss@catholic.ac.kr
································································
접수. 2011년 5월 11일
승인. 2011년 5월 24일
서론
비만은 대사성 질환의 하나로서 심장 질환, 당뇨, 고혈압, 고
지혈증, 골관절염 및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동반질환으로 인해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한때 비만이 선진국에 국한된 문제였
다면 현재에는 도시 생활을 하는 개발도상국까지 급격히 증가
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4억 명 이상의 성인이 비만이며 앞
으로 이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
비만은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로 정의되며 25 kg/m
2
이상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도 유병율이 30%를 상회한다.
2
비만의 치료는 우선 식이요법과 운동 등 식생활 습관을 개선
하고 이에 효과가 없으면 약물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약물치료만으로 고도 비만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체중 감량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 치료하기에는 약 값이 비
싸며, 장기간 사용시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은 약들도 흔히 볼
수 있다. 최근 고도 비만 환자에서 믿을 만한 체중 감량을 얻
을 수 있는 방법으로 비만 수술이 각광받고 있다. 미국에서
1998년에서 2004년까지 6년간 비만 수술은 약 9배 이상 증가
하였으며, 수술로 인한 사망률도 0.19%로 감소하였고, 입원기
간도 약 3일로 기술적으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
나 이로 인한 의료비 증가가 문제이며 아직도 고가의 수술비와
수술의 심각한 합병증도 풀어야 할 숙제이다.
3
그래서 비만 치료에서 내시경 시술의 역할은 초기 비만에서
수술을 대체할 목적으로 시술하거나, 비만 수술 전 동반질환으
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일시적으로 시술할 목
적, 비만 보다는 당뇨와 같이 동반된 대사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시술, 그리고 비만의 단독 치료 목적 등이 있다. 다양한 내시경
시술이 이들 목적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내시
경 시술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아직도 개
발되고 있거나, 임상 연구 단계에 있는 시술들이 많다.
본론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비만 수술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개발되어 사용하거나 실험단계에 있는 대표적인 내시경
비만 시술에 대한 방법,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27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27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Figure 1. Types of bariatric surgery.
4
Table 1. Complications of Bariatric Surgery
Surgical/technical
1) Anastomotic: ulcer, stricture, widening, bleeding, retained foreign
material
2) Non-anastomotic: staple-line disruption, leak, fistula,
non-anastomotic ulcer
3) Parietal: wound infection, hernia
Functional: motility abnormalities, dumping,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Nutritional: vitamin, mineral, trace element,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bone disease
Difficulty in endoscopic access to biliary tree in high-risk population
한다.
본론
1. 비만 수술(Bariatric surgery)
비만은 체질량지수(kg/m
2
)를 기준으로 분류하며 체질량지수
25∼29.5는 과체중, 30∼34.9는 I도 비만, 35∼39.9는 II도 비
만, 그리고 40 이상은 III도 비만이다. 비만 수술이 효과적인 경
우는 체질량지수 40 이상이거나, 체질량지수 35 이상이며 동반
된 질환이 있는 경우이다. 비만 수술의 종류는 복강경 조절형
위밴드술(laparoscopic adjustable gastric banding), 수직밴드
위성형술(vertical banded gastroplasty), 그리고 루와이위우회
술(Roux-en-Y gastric bypass), 췌담류 전환술(biliopancreatic
diversion) 등이 있다(Fig. 1). 이 중 복강경 조절형 위밴드술이
약 42%로 가장 흔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루와이
위우회술이 40% 정도로 시술되고 있다.
5
이들 비만 수술의 효
과를 보면 평균 61.2%의 체중 감량이 이루어지며, 복강경 조절
형 위밴드술이 47.5%, 루와이위우회술은 약 61.6%, 수직밴드
위성형술이 약 68.2%, 그리고 췌담류 전환술이 약 70.1%의 체
중 감량 효과를 보인다. 수술로 인한 30일 이내의 사망률은 복
강경 조절형 위밴드술이 0.1% 그리고 루와이위우회술이 0.5%
정도이다. 비만과 함께 동반된 질환의 감소 효과는 당뇨가
76.8% 호전되고 고지혈증이 70.0%, 고혈압이 61.7%, 그리고
수면무호흡증이 85.7% 치료된다.
6
비만은 장기적으로 동반되는
질환으로 인해 조기 사망하게 되는데 수술을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를 비교하면 수술을 받은 경우 장기적으로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강경 조절형 위밴드술
을 받은 환자를 평균 12년간 관찰한 결과 수술을 받지 않았던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약 73% 감소하며,
7
또 다른 보고에서 루
와이위우회술을 받은 비만 환자는 사망률이 40% 감소한다.
8
수
직밴드 위성형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약 14년간 관찰한 결과 수
술을 받지 않은 비만 환자에 비해 약 31%의 사망률이 감소하
는 효과가 있다.
9
비만 수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체중을 감량하고 동반질
환을 치료할 수 있지만 합병증 등의 단점도 많이 보고되어 있
다. 수술의 합병증으로는 Table 1과 같이 기술적인 합병증, 수
술 후 위와 소장의 기능 변화로 인한 합병증, 흡수장애 등 영양
측면, 그리고 해부학적 구조의 변화로 인해 담도 질환의 내시
경적인 치료가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다.
비만 수술 후 체중 감소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위배출구 협
착, 역류성 식도질환, 맹관 증후군(blind loop syndrome)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약 10∼25% 정
도이며, 재수술로 인한 합병증은 22%로 비교적 많이 발생한
다.
10,11
2. 비만의 내시경 치료
내시경을 이용한 비만 치료는 위장을 절제하거나 연결하는
등 수술의 부담을 덜 수 있고, 일부 시술은 다시 복원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수술에 비해서는 체중 감량 효과가 덜하지
만 약물이나 다이어트에 의한 비만 치료에 비해 보다 효과적이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Vol. 42, No. 5 May, 2011 (275-282) 277
Figure 2. Intragastric balloon (The
illustrations are available
from http://www.totalob-
esitysolutions.com/gastri
cballoon.html).
고, 안정성 문제에 있어서도 대등하기 때문에 새로이 각광받을
수 있는 치료 영역이다.
내시경적 비만 시술은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눈다. 첫째는 비
만 수술로 인해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내시경 시술, 둘째는 체
중 감량이 주된 목적인 비만 시술로 나눌 수 있다.
1) 비만 수술의 합병증 치료: 비만 수술의 합병증은 Table 1
과 같이 다양하지만, 협착, 문합구 확장, 누공 및 누출은 내시
경 치료의 대상이다. 비만 수술 후 위-소장 문합구의 확장으로
인해 식사량이 다시 증가하여 체중 감량에 실패한 28명의 환자
에서 경화제인 sodium morrhuate를 문합구 점막하에 주입 후
18명(64%)에서 문합구 크기가 12 mm 이하로 좁아진 결과를
보고 하였다.
12
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같은 경화제를 이용하여
100%에서 문합구 축소와 체중 감량에 성공하였다.13
비만 수술
후 위-공장 문합구의 확장에 대한 다른 치료법으로 Revision
Obesity Surgery Endoscopic (ROSE) 시술이 있는데 이는 End-
osurgical Operating System (USGI Medical, San Clemente,
CA)이라는 내시경적 수술기를 이용하여 문합구를 봉합하여 좁
혀주는 방법으로 총 20명의 환자에 대해 시술 후 17명(85%)의
환자에서 문합구 직경을 줄여 18.8%의 체중 감량에 성공하였
다.
14
또한 ROSE 시술은 비만 수술 후 생기는 위 주머니를 줄
여주는데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4
위-공장 문합구 협착
은 루와이위우회술 후 약 0.1∼15.6%에서 나타나는 합병증으
로 문합구 주변에 발생하는 궤양이 주 원인이며, 구역, 구토,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공장 문합구 협착의 치료
는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이 효과적이며, 한 보고에 의하면 43
명의 문합구 협착에 대해 평균 1∼2회의 풍선 확장술로 93%의
환자에서 평균 15.5 mm로 문합구가 확장된 치료 경험이 보고
되었다.
15
루와이위우회술 후 위-위(gastro-gastric) 누공의 발생
이 많게는 29%까지 보고되어 있으며, 원인은 반복적인 구토,
궤양을 포함한 염증, 허혈 등이 원인이며, 이로 인해 체중이 다
시 늘고 역류성 식도염 등의 합병증이 따르게 된다.
16,17
위-위
누공을 봉합하는 내시경 치료로는 T-tag (Wilson-Cook Medical
Inc, Winston-Salem, NC)을 이용한 봉합 시술이 있으며 이는
누공 주변 조직을 결찰하여 누공을 봉합하는데 효과적이다.
17
최근 많이 시술되고 있는 NOTES 시술 후 발생하는 위 누공도
T-tag으로 효과적으로 봉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NOTES 시술 후 발생하는 위 누공을 봉합하는 데는 내시경 클
립도 효과적이다.
18
비만 수술 후 발생하는 또 다른 합병증으로 문합부 누출은
약 2.1%에서 발생하며 루와이위우회술의 경우 49%가 위-공장
문합부, 25%가 잔여 위 봉합부, 13%가 공장-공장 문합부, 그리
고 누출 부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약 4%에서 발생한다.
19
누출부위를 재수술로 봉합할 수 있지만, 내시경을 이용한 스텐
트를 누출이 있는 위-공장 문합부에 삽입하여 94%에서 수술 없
이 누출을 봉합할 수 있다.
20
그리고, 루와이위우회술 후 변화
된 해부학적 구조 때문에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및 내
시경 치료에 제약을 받는데 단일 혹은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혹은 소아용 대장내시경을 이용하여 약 80%에서 시술이 성공
할 수 있었으며, 변화된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21
2) 체중 감량을 주목적으로 한 내시경적 비만 시술: 체중 감
량을 목적으로 한 내시경적 비만 치료는 병적인 비만 환자가
비만 수술을 받는 경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동반 질환 예를 들
면 당뇨, 심혈관 질환 및 수면무호흡증 등이 수술로 인한 합병
증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먼저 내시경 비만 시술을 이용
하여 체중 감량을 하여 동반질환을 조절한다. 또한, 수술과 연
관 없이 초기 비만 환자나 수술을 받을 수 없는 고도 비만 환
자에서 비만 치료 목적으로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1) 위 풍선(Intragastric balloon): 비만 환자에서 체중감소
를 위한 위 내 기구의 사용은 1982년 처음 기술되었다.
22
그 때
부터 수많은 위 기구들이 개발되었으며, 구형의 초창기 모델보
다 더 큰 용적을 가진 BioEnterics Intragastric Balloon (BIB,
Allergan, Irvine, CA)이 가장 널리 연구되었다(Fig. 2). 최근 비
침습적 내시경 시술의 발달로 인해 한번의 시술로 수술 없이
위 내에 풍선을 장착하여 조기 포만감을 유발하여 체중 감량에
성공한 보고가 있다.
23,24
위 풍선기구 시술의 한가지 문제점은 기구를 제거한 후 체중
이 다시 늘어나는 점이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위 풍선을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27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27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Figure 3. Endoluminal vertical ga-
stroplasty. (A) EndoCin-
ch device. (B) Anterior
and posterior wall of the
gastric body closely pl-
icated (The illustrations
are quoted from Fogel
R, Gastrointest Endosc
2008;68:51 and http://
www.davol.com/produc
ts/surgical-specialties/en
docinch/).
제거한 후에도 장기적으로 감량된 체중이 유지되어, 이에 대해
서는 향후 임상 경험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첫 3개월간 위
풍선을 설치한 경우와 풍선 없이 식이 및 운동만을 한 환자를
비교한 무작위대조실험에서 두 군간에 체중감량에 차이가 없었
으며, 풍선 시술을 12개월간 유지한 환자의 경우 21.3 kg
(17.1%)의 체중 감량이 이루어졌으며, 이들에서 풍선을 제거하
고 1년간 관찰한 결과 47%의 환자에서 처음 체중의 10% 이상
체중 감량이 지속되어 위 풍선 시술을 제거한 후에도 장기적으
로 체중감소를 유지할 수 있었던 보고가 있다.
25
풍선 시술을
받은 환자 중 3명은 심한 식도염으로 인해 시술을 중단하였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위 풍선 기구의 장기적인 체중 감량 효과
를 관찰하기 위해 100명의 환자에서 식염수로 부풀린 위 풍선
을 6개월간 장착한 후 제거하여 4.8년간 관찰하였다. 풍선을
제거하였을 때, 평균 체중 감량은 12.6 kg이었으며 63명이 기
저 체중의 10% 이상 체중 감량에 성공하였다. 2.5년간 관찰한
결과 10% 이상의 체중감소를 유지한 환자는 24명으로 참가자
의 약 25%에서 시술 후 체중 감소가 유지 되었다.
26
이러한 결
과는 위 풍선 시술이 매우 안전하고 장기적으로 체중 감량을
유지할 수 있어 일부 비만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 풍선 시술은 2.5%의 환자에서 위 천공, 장 폐쇄, 흡인성 폐
렴,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식도염 등이 발생할 수 있지만,
24
식이
및 운동요법에 비해서는 위 풍선 삽입이 체중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27
요약하면 비만 수술을 원하지 않거나 동반 질환으로 인해 비
만 수술을 받을 수 없는 환자에서 위 풍선 시술이 유용하며, 수
술을 받을 환자에서 수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위
험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2) EndoCinch를 이용한 관내 수직 위성형술(Endolu-
minal vertical gastroplasty): EndoCinch Suturing System
(C.R. Bard, Murray Hill, NJ)은 처음에는 위식도 역류질환의
내시경적 치료를 위해 고안되었다. 이것은 위-식도 연접부에
주름을 잡아 꿰매는 방법으로 하부식도조임근이 약한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서 위-식도 산 역류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역류
성 식도염 환자에서 이 시술의 초기 역류 방지 효과는 좋았으
나 장기적으로 주름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 때문에 식도염 치
료에 한계를 보였다.
28
EndoCinch Suturing System은 Fogel 등에 의해 처음으로 비
만 치료에 이용되었으며, 위저부에서 하체부까지 위의 전벽과
후벽에 약 7개의 주름을 꿰매어 조여주는 방식으로 위 공간을
줄이는 방법으로, 총 64명의 환자에서 이 시술을 하였다(Fig.
3). 이들의 체질량지수는 28∼44였고, 외래에서 시술하였으며,
약 45분 정도 시술 시간이 소요되었다. 시술 후 1개월, 3개월
및 12개월 후 처음 체중에 비해 평균 21%, 40%, 58%의 체중감
소를 보였다. 또한, 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체중 감소 효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29
그
러나 12개월 동안 추적한 환자는 14명으로, 연구 대상군이 작
고 이들 환자의 내시경 소견 및 봉합된 주름 상태 등이 기술되
어 있지 않아 이 시술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
하며, 특히 장기적으로 체중감소가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는 현재 대단위 전향적인 임상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
다.
(3) 십이지장-공장 우회 소매(Duodenojejunal bypass
sleeve, EndoBarrier): EndoBarrier (GI Dynamics Inc, Wat-
ertown, MA)라 불리는 십이지장-공장 우회 기구는 내시경 시
야에서 십이지장 구부에 고정되어 약 60 cm 길이의 공장까지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Vol. 42, No. 5 May, 2011 (275-282) 279
Figure 4. Duodenojejunal bypass
sleeve.
1
(A) EndoBarrier
system. (B) A scheme sh-
owing the implantation
of the EndoBarrier syst-
em.
비닐 관을 삽입하여 십이지장으로 유입된 음식이 상부 소장 벽
과 담즙 및 췌액과 닿지 않게 하여 흡수 장애를 유발하는 비만
치료의 하나로서 일종의 대사 장애를 이용한 비만 치료법이다
(Fig. 4). EndoBarrier 시술은 삽입과 제거가 쉽고, 상기 기술된
시술 등과 유사한 체중 감소를 보이며, 특히 제2형 당뇨 환자
에서 비만 수술과 유사한 정도로 당뇨 조절에 효과적인 시술로
알려져 있다.
30
12명의 고도 비만 환자에서 EndoBarrier를 12주
간 삽입한 후 관찰한 결과, 2명은 위치가 잘못되어 9일 만에
제거하였으며, 나머지 10명의 환자는 12주 후 23.6%의 체중 감
소를 보였으며, 4명의 당뇨 환자 모두 시술을 마친 후 정상 혈
당을 보였고, 당화혈색소가 감소하여 EndoBarrier 시술은 비만
환자에서 체중 감소와 더불어 동반된 당뇨 치료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31
또 다른 전향적인 무작위 비교 연구에서 저지방식
등 식이요법만을 받은 14명의 대조군에 비해 EndoBarrier 시술
을 받은 24명의 환자는 체중 감소가 현저했다(5% vs. 22%,
p<0.001).32
이 시술의 합병증으로는 복통, 구역, 구토, 상부
위장 출혈, 십이지장 구부 염증, 기구 이동 등이 보고되어 있
다.
31,32
EndoBarrier 시술은 앞으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개발이 필
요하고 장기간 삽입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지만 비만 환자에서
동반되어 있는 당뇨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보이므로,
기구가 좀 더 개발되면 비만 수술 전 당뇨 조절 및 체중 감소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 경구 위성형술(Transoral gastroplasty, TOGA): Tran-
soral gastroplasty (TOGA System; Satiety, Inc, Palo Alto, CA)
는 비만의 새로운 내시경 치료로 최근 시도하고 있는 안전한
시술로서 내시경 시야에서 특수하게 고안된 스테이플러와 흡인
기로 구성되어 있다. 시술은 위저부로 부터 소만을 따라 전벽
과 후벽을 흡인기를 통해 끌어들여 스테이플러로 종축 방향으
로 봉합하는 기술로서 분문부에서부터 하체부까지 하나의 관
모양을 만드는 방법으로, 비만 환자에서 조기 포만감을 유도하
고 과식을 억제하여 체중 감소를 얻을 수 있다(Fig. 5). 시술은
약 30분 정도 소요되며, 수 차례 반복할 수 있고, 다시 원래대
로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만들어진 관의 끝에 주름을 만들어
위산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최근에 TOGA 임상 연구 결과를
보면 11명의 고도 비만 환자에서 TOGA 시술 후 1개월, 3개월
및 6개월 후 처음 체중에 비해 9.9 kg(19.2%), 17.5 kg(33.7%),
그리고 24 kg(46%)로 감소하였으며 시술 후 합병증이 없어 안
전하고 체중 감량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다.
33
또한 TOGA 시
술은 인슐린 민감도를 증가시키며, 인슐린의 분비도 저하시켜
비만 환자의 당뇨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TOGA 시술 후 다시 체중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복강경 루와이
위우회술도 어렵지 않게 수술할 수 있어, 비만 수술을 예정하
고 있는 환자에서 1차 비만 치료로 TOGA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35
TOGA 시술은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외래에서 진정
내시경하에 시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TOGA 시술의 안정
성과 장기적인 체중감소 효과에 대해 향후의 연구 결과가 기대
된다.
(5) 기타: 내시경 비만 치료의 또 다른 시술로 시도되고 있
는 것은 내시경하 보형물 삽입 장치로서 Transoral Endoscopic
Restrictive Implants System (TERIS; Barosense, Red-wood
City, CA)라는 시술이 있으며 이는 위 분문부에 보형물을 삽입
하여 음식물 유입을 제한하는 방법이다. 일부 보고에서 체중
감량 효과가 현저한 반면 위 천공 등의 합병증이 많고 기구가
굵어 아직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단점이 있다.
36
그외 내시경을
이용하여 위 내 전극을 심거나 혹은 위 배출구를 좁게 하여 위
배출을 지연시키는 방법 등이 실험 단계에 있다.
결론
내시경 비만 치료는 식이 혹은 운동 요법으로 원하는 체중감
소가 되지 않는 환자 중에 수술을 받기에 합병증의 위험이 크
거나 고가의 의료비 등으로 인해 수술을 받지 못하는 환자 등
이 대상이 된다. 비만 수술은 고도 비만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체중 감소와 함께 동반된 질환의 치료에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
적이나 합병증 및 고가의 의료비의 문제점이 있다.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28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28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Figure 5. Transoral gastroplasty (TOGA) procedure. (A) With the patient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TOGA sleeve stapler
is inserted through the mouth into the stomach. (B) Tissue is gathered into the stapler using suction and staples are
delivered. (C) This creates a narrow sleeve. (D) The process is repeated to create a sleeve of desired length. (E) The
sleeve slows the movement of food through the stomach, giving a feeling of fullness after a smaller meal (The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 are available from http://ous.satietyinc.com/toga-procedure/overview/).
비만 치료에서 내시경 시술의 역할은 초기 비만에서 수술을
대체할 목적으로 시술하거나, 비만 수술 전 동반질환으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일시적으로 시술할 목적, 비만
보다는 당뇨와 같이 동반된 대사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시술 그
리고 비만의 단독 치료 목적 등이 있으며, 다양한 내시경 시술
이 이들 목적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내시경
시술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아직도 개발되고
있거나, 임상 연구 단계에 있는 시술들이 많다. 하지만 위 내
풍선 기구는 초기 체중 감소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기 때문
에 수술을 전제로 체중 감량을 목적으로 시술할 수 있다.
TOGA 시술 혹은 EndoCinch를 이용하여 위 용량을 줄이는 시
술은 비만 수술에 비해서는 체중 감소 효과가 적기 때문에 고
도 비만의 치료 보다는 초기 비만 환자나 비만 수술의 합병증
치료에 보다 적합하며, EndoBarrier 시술은 체중 감소 보다는
당뇨 치료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이제 우리나
라에서도 비만 치료의 한 방법으로 적절한 내시경 시술에 대한
경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요약
사회 경제의 발달과 함께 비만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
도 비만은 동반된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등으로 인해 사망률
이 높은 질환이다. 비만의 치료로는 식이 혹은 운동 요법, 약물
치료, 비만 수술이 있다. 그러나 비만 수술은 안전한 수술이지
만 고가이고 만족스러운 체중 감량에 실패하는 경우 재수술을
해야 하는 부담도 있으며, 또한 빈도는 작지만 수술로 인한 합
병증도 문제이다. 최근 미세 내시경 기술이 발달하면서 비만
치료에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비만 치
료에서 내시경 시술의 역할은 비만 수술의 합병증, 예를 들면
문합구 협착, 문합구 이완, 누공 혹은 누출 등에 대한 치료, 동
반 질환이 심해 수술 후 합병증이 예상되는 경우 수술 전에 일
시적으로 체중 감량을 하는 내시경 시술, 그리고 초기 비만이
나 동반 질환이 심해 수술을 받을 수 없는 환자에서 체중 감량
을 목적으로 하는 시술 등 내시경적 비만 치료의 영역은 넓다.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Vol. 42, No. 5 May, 2011 (275-282) 281
본문에서는 비만 수술의 개요와 합병증, 각종 내시경적 비만
치료 시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아직 임상 연구 단계이거나 임
상 성적이 풍부하지 않은 시술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발전할
수 있는 영역이라 생각한다.
색인단어: 비만, 비만 수술, 내시경, 위장관
참고문헌
1. Ibrahim M, Blero D, Deviere J. Endoscopic option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Gastroenterology 2010;138:2228-2232.
2. Kim KK. Pharmacotherapy for obesity. J Korean Med Assoc
2011;54:409-418.
3. Zhao Y, Encinosa W. Statistical Brief #23; Bariatric surgery
utilization and outcomes in 1998 and 2004.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HCUP) statistical briefs [Internet].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US). http://www.hcup-us.ahrq.gov/reports/statbriefs/sb23.jsp.
4. Feldman. Sleisenger and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9th ed. Saunders: Elsevier, 2010:115.
5. Buchwald H, Oien DM. Metabolic/bariatric surgery worldwide
2008. Obes Surg 2009;19:1605-1611.
6. Buchwald H, Avidor Y, Braunwald E, et al. Bariatric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4;292:1724-
1737.
7. O'Brien PE, McPhail T, Chaston TB, Dixon JB. Systematic
review of medium-term weight loss after bariatric operations.
Obes Surg 2006;16:1032-1040.
8. Adams TD, Gress RE, Smith SC, et al. Long-term mortality
after gastric bypass surgery. N Engl J Med 2007;357:753-761.
9. Sjöström L, Narbro K, Sjöström CD, et al. Effects of bariatric
surgery on mortality in Swedish obese subjects. N Engl J Med
2007;357:741-752.
10. Khaitan L, Van Sickle K, Gonzalez R, Lin E, Ramshaw B,
Smith CD. Laparoscopic revision of bariatric procedures: is it
feasible? Am Surg 2005;71:6-10.
11. Gagner M, Gentileschi P, de Csepel J, et al. Laparoscopic
reoperative bariatric surgery: experience from 27 consecutive
patients. Obes Surg 2002;12:54-60.
12. Catalano MF, Rudic G, Anderson AJ, Chua TY. Weight gain
after bariatric surgery as a result of a large gastric stoma:
endotherapy with sodium morrhuate may prevent the need
for surgical revision. Gastrointest Endosc 2007;66:240-245.
13. Spaulding L. Treatment of dilated gastrojejunostomy with
sclerotherapy. Obes Surg 2003;13:254-257.
14. Mullady DK, Lautz DB, Thompson CC. Treatment of weight
regain after gastric bypass surgery when using a new
endoscopic platform: initial experience and early outcomes
(with video). Gastrointest Endosc 2009;70:440-444.
15. Peifer KJ, Shiels AJ, Azar R, Rivera RE, Eagon JC, Jonna-
lagadda S. Successful endoscopic management of gastrojejunal
anastomotic strictures after Roux-en-Y gastric bypass. Gast-
rointest Endosc 2007;66:248-252.
16. Tucker ON, Szomstein S, Rosenthal RJ. Surgical management
of gastro-gastric fistula after divided laparoscopic Roux-en-Y
gastric bypass for morbid obesity. J Gastrointest Surg 2007;11:
1673-1679.
17. Spaun GO, Martinec DV, Kennedy TJ, Swanström LL. Endo-
scopic closure of gastrogastric fistulas by using a tissue appo-
sition system (with videos). Gastrointest Endosc 2010;71:606-
611.
18. Dray X, Krishnamurty DM, Donatelli G, et al. Gastric wall
healing after NOTES procedures: closure with endoscopic
clips provides superior histological outcome compared with
threaded tags closure. Gastrointest Endosc 2010;72:343-350.
19. Gonzalez R, Sarr MG, Smith CD, et al. Diagnosis and
contemporary management of anastomotic leaks after gastric
bypass for obesity. J Am Coll Surg 2007;204:47-55.
20. Salinas A, Baptista A, Santiago E, Antor M, Salinas H.
Self-expandable metal stents to treat gastric leaks. Surg Obes
Relat Dis 2006;2:570-572.
21. Lopes TL, Wilcox CM.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
creatography in patients with Roux-en-Y anatomy. Gastro-
enterol Clin North Am 2010;39:99-107.
22. Nieben OG, Harboe H. Intragastric balloon as an artificial
bezoar for treatment of obesity. Lancet 1982;1:198-199.
23. Evans JD, Scott MH. Intragastric balloo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Br J Surg 2001;88:1245-1248.
24. Genco A, Bruni T, Doldi SB, et al. Bioenterics intragastric
balloon: the Italian experience with 2,515 patients. Obes Surg
2005;15:1161-1164.
25. Mathus-Vliegen EM, Tytgat GN. Intragastric balloon for treat-
ment-resistant obesity: safety, tolerance, and efficacy of 1-year
balloon treatment followed by a 1-year balloon-free foll-
ow-up. Gastrointest Endosc 2005;61:19-27.
26. Dastis NS, François E, Deviere J, et al. Intragastric balloon for
weight loss: results in 100 individuals followed for at least 2.5
years. Endoscopy 2009;41:575-580.
27. Genco A, Balducci S, Bacci V, et al. Intragastric balloon or
diet alone? A retrospective evaluation. Obes Surg 2008;18:
989-992.
28. Schwartz MP, Wellink H, Gooszen HG, Conchillo JM, Samsom
M, Smout AJ. Endoscopic gastroplication for the treatment of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a randomised, sham-contro-
lled trial. Gut 2007;56:20-28.
29. Fogel R, De Fogel J, Bonilla Y, De La Fuente R. Clinical
experience of transoral suturing for an endoluminal vertical
gastroplasty: 1-year follow-up in 64 patients. Gastrointest
Endosc 2008;68:51-58.
30. Cohen RV, Schiavon CA, Pinheiro JS, Correa JL, Rubino F.
Duodenal-jejunal bypas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in patients with body mass index of 22∼34 kg/m
2
: a report
of 2 cases. Surg Obes Relat Dis 2007;3:195-197.
31. Rodriguez-Grunert L, Galvao Neto MP, Alamo M, Ramos AC,
Baez PB, Tarnoff M. First human experience with endo-
scopically delivered and retrieved duodenal-jejunal bypass
sleeve. Surg Obes Relat Dis 2008;4:55-59.
32. Tarnoff M, Rodriguez L, Escalona A, et al. Open label,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endoscopic
duodenal-jejunal bypass sleeve versus low calorie diet for
pre-operative weight loss in bariatric surgery. Surg Endosc
2009;23:650-656.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28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28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33. Moreno C, Closset J, Dugardeyn S, et al. Transoral gastro-
plasty is safe, feasible, and induces significant weight loss in
morbidly obese patients: results of the second human pilot
study. Endoscopy 2008;40:406-413.
34. Chiellini C, Iaconelli A, Familiari P, et al. Study of the effects
of transoral gastroplasty on insulin sensitivity and secretion in
obese subject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0;20:202-207.
35. Closset J, Germanova D, Loi P, Mehdi A, Moreno C, Devière
J. Laparoscopic gastric bypass as a revision procedure after
transoral gastroplasty. Obes Surg 2011;21:1-4.
36. de Jong K, Mathus-Vliegen EM, Veldhuyzen EA, Eshuis JH,
Fockens P. Short-term safety and efficacy of the trans-oral
endoscopic restrictive implant system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Gastrointest Endosc 2010;72:497-504.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Poem 03 15
Poem 03 15Poem 03 15
Poem 03 15
rrsolution
 
Senior nurse lecture series toxoplasmosis
Senior nurse lecture series toxoplasmosisSenior nurse lecture series toxoplasmosis
Senior nurse lecture series toxoplasmosis
Joel Rey Dante
 
Consistent practice protocol can break the chain of infection
Consistent practice protocol can break the chain of infectionConsistent practice protocol can break the chain of infection
Consistent practice protocol can break the chain of infection
manish goutam
 
Understanding Infection
Understanding InfectionUnderstanding Infection
Understanding Infectionwindleh
 
Setting up gynecological endoscopy services
Setting up gynecological endoscopy servicesSetting up gynecological endoscopy services
Setting up gynecological endoscopy services
Priya Bhave.
 
Periop conference working toward zero ssi - sep 11 2010
Periop conference   working toward zero ssi - sep 11 2010Periop conference   working toward zero ssi - sep 11 2010
Periop conference working toward zero ssi - sep 11 2010Maureen Spencer, RN, M.Ed.
 
Hospital Acquired Infection-Management, Prevention-Control & Awareness
Hospital Acquired Infection-Management, Prevention-Control & AwarenessHospital Acquired Infection-Management, Prevention-Control & Awareness
Hospital Acquired Infection-Management, Prevention-Control & Awareness
Dr. Priyanka Wandhe
 
Infection Control Orientation Program 2015
Infection Control Orientation Program 2015Infection Control Orientation Program 2015
Infection Control Orientation Program 2015
RHEJIE
 
Ic lecture for general hospital orientation program updated
Ic lecture for general hospital orientation program updatedIc lecture for general hospital orientation program updated
Ic lecture for general hospital orientation program updated
Nashwa Elsayed
 
GUIDELINES FOR HEALTHCARE WORKERS O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HEALTHCARE WORKERS ON INFECTION CONTROLGUIDELINES FOR HEALTHCARE WORKERS O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HEALTHCARE WORKERS ON INFECTION CONTROL
Jithin Raj RN CIC
 
Challenges in healthcare and infection control
Challenges in healthcare and infection controlChallenges in healthcare and infection control
Challenges in healthcare and infection controlLee Oi Wah
 
ANCA
ANCA ANCA
Infection control in neonatology pp.al
Infection control in neonatology pp.alInfection control in neonatology pp.al
Infection control in neonatology pp.al
Anjum Hashmi MPH
 
Behcet’s disease
Behcet’s diseaseBehcet’s disease
Behcet’s diseaseimangalal
 
Aphthous Ulcer
Aphthous UlcerAphthous Ulcer
Aphthous Ulcerdentist
 

Viewers also liked (18)

Poem 03 15
Poem 03 15Poem 03 15
Poem 03 15
 
Outbreak Investigation
Outbreak InvestigationOutbreak Investigation
Outbreak Investigation
 
Senior nurse lecture series toxoplasmosis
Senior nurse lecture series toxoplasmosisSenior nurse lecture series toxoplasmosis
Senior nurse lecture series toxoplasmosis
 
Consistent practice protocol can break the chain of infection
Consistent practice protocol can break the chain of infectionConsistent practice protocol can break the chain of infection
Consistent practice protocol can break the chain of infection
 
Understanding Infection
Understanding InfectionUnderstanding Infection
Understanding Infection
 
Setting up gynecological endoscopy services
Setting up gynecological endoscopy servicesSetting up gynecological endoscopy services
Setting up gynecological endoscopy services
 
Periop conference working toward zero ssi - sep 11 2010
Periop conference   working toward zero ssi - sep 11 2010Periop conference   working toward zero ssi - sep 11 2010
Periop conference working toward zero ssi - sep 11 2010
 
Hospital Acquired Infection-Management, Prevention-Control & Awareness
Hospital Acquired Infection-Management, Prevention-Control & AwarenessHospital Acquired Infection-Management, Prevention-Control & Awareness
Hospital Acquired Infection-Management, Prevention-Control & Awareness
 
Infection Control Orientation Program 2015
Infection Control Orientation Program 2015Infection Control Orientation Program 2015
Infection Control Orientation Program 2015
 
Ic lecture for general hospital orientation program updated
Ic lecture for general hospital orientation program updatedIc lecture for general hospital orientation program updated
Ic lecture for general hospital orientation program updated
 
GUIDELINES FOR HEALTHCARE WORKERS O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HEALTHCARE WORKERS ON INFECTION CONTROLGUIDELINES FOR HEALTHCARE WORKERS O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HEALTHCARE WORKERS ON INFECTION CONTROL
 
Challenges in healthcare and infection control
Challenges in healthcare and infection controlChallenges in healthcare and infection control
Challenges in healthcare and infection control
 
ANCA
ANCA ANCA
ANCA
 
Infection control in neonatology pp.al
Infection control in neonatology pp.alInfection control in neonatology pp.al
Infection control in neonatology pp.al
 
Behcet’s disease
Behcet’s diseaseBehcet’s disease
Behcet’s disease
 
Oral ulcers(collection)
Oral ulcers(collection)Oral ulcers(collection)
Oral ulcers(collection)
 
Aphthous Ulcer
Aphthous UlcerAphthous Ulcer
Aphthous Ulcer
 
Endoscopy
EndoscopyEndoscopy
Endoscopy
 

Kjge042 05-01

  • 1.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view❙ Vol. 42, No. 5 May, 2011 (275-282) 275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Obesity and Endoscopic Treatment Sung Soo Kim,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Obese patients have been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a social economy. Obesity is a disease with high mortality rates due to associated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Diet or exercise therapy, medications, bariatric surgery are used for treating obesity. However, although bariatric surgery is safe and effective, it is expensive, and reoperation is a burden if patients fail to lose weight. Operative complications are also a problem. The recent development of endoluminal techniques may permit obesity treatment and many endoscopic procedures have been attempted. The role of endoscopy for treating obesity is treating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bariatric surgery, for example, a stricture or widening of the anastomosis, fistula, or leaks. Second, endoscopic applications could be used for weight reduction to temporarily bridge surgery for high-risk patients with obesity, and for reducing weight in patients unable to undergo surgery. This article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bariatric surgery and its complications and introduces several endoscopic applications to treat obesit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11;42:275-282) Key Words: Obesity, Bariatric surgery, Endoscopy, Gastrointestinal 교신저자. 김성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480-130), 경기 의정부시 금오동 65-1 전화: 031-820-3000 팩스: 031-847-2719 이메일: kimss@catholic.ac.kr ································································ 접수. 2011년 5월 11일 승인. 2011년 5월 24일 서론 비만은 대사성 질환의 하나로서 심장 질환, 당뇨, 고혈압, 고 지혈증, 골관절염 및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동반질환으로 인해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한때 비만이 선진국에 국한된 문제였 다면 현재에는 도시 생활을 하는 개발도상국까지 급격히 증가 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4억 명 이상의 성인이 비만이며 앞 으로 이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 비만은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로 정의되며 25 kg/m 2 이상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도 유병율이 30%를 상회한다. 2 비만의 치료는 우선 식이요법과 운동 등 식생활 습관을 개선 하고 이에 효과가 없으면 약물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약물치료만으로 고도 비만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체중 감량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장기간 치료하기에는 약 값이 비 싸며, 장기간 사용시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은 약들도 흔히 볼 수 있다. 최근 고도 비만 환자에서 믿을 만한 체중 감량을 얻 을 수 있는 방법으로 비만 수술이 각광받고 있다. 미국에서 1998년에서 2004년까지 6년간 비만 수술은 약 9배 이상 증가 하였으며, 수술로 인한 사망률도 0.19%로 감소하였고, 입원기 간도 약 3일로 기술적으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 나 이로 인한 의료비 증가가 문제이며 아직도 고가의 수술비와 수술의 심각한 합병증도 풀어야 할 숙제이다. 3 그래서 비만 치료에서 내시경 시술의 역할은 초기 비만에서 수술을 대체할 목적으로 시술하거나, 비만 수술 전 동반질환으 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일시적으로 시술할 목 적, 비만 보다는 당뇨와 같이 동반된 대사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시술, 그리고 비만의 단독 치료 목적 등이 있다. 다양한 내시경 시술이 이들 목적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내시 경 시술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아직도 개 발되고 있거나, 임상 연구 단계에 있는 시술들이 많다. 본론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비만 수술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개발되어 사용하거나 실험단계에 있는 대표적인 내시경 비만 시술에 대한 방법, 유용성 및 안정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 2.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27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276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Figure 1. Types of bariatric surgery. 4 Table 1. Complications of Bariatric Surgery Surgical/technical 1) Anastomotic: ulcer, stricture, widening, bleeding, retained foreign material 2) Non-anastomotic: staple-line disruption, leak, fistula, non-anastomotic ulcer 3) Parietal: wound infection, hernia Functional: motility abnormalities, dumping,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Nutritional: vitamin, mineral, trace element,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bone disease Difficulty in endoscopic access to biliary tree in high-risk population 한다. 본론 1. 비만 수술(Bariatric surgery) 비만은 체질량지수(kg/m 2 )를 기준으로 분류하며 체질량지수 25∼29.5는 과체중, 30∼34.9는 I도 비만, 35∼39.9는 II도 비 만, 그리고 40 이상은 III도 비만이다. 비만 수술이 효과적인 경 우는 체질량지수 40 이상이거나, 체질량지수 35 이상이며 동반 된 질환이 있는 경우이다. 비만 수술의 종류는 복강경 조절형 위밴드술(laparoscopic adjustable gastric banding), 수직밴드 위성형술(vertical banded gastroplasty), 그리고 루와이위우회 술(Roux-en-Y gastric bypass), 췌담류 전환술(biliopancreatic diversion) 등이 있다(Fig. 1). 이 중 복강경 조절형 위밴드술이 약 42%로 가장 흔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루와이 위우회술이 40% 정도로 시술되고 있다. 5 이들 비만 수술의 효 과를 보면 평균 61.2%의 체중 감량이 이루어지며, 복강경 조절 형 위밴드술이 47.5%, 루와이위우회술은 약 61.6%, 수직밴드 위성형술이 약 68.2%, 그리고 췌담류 전환술이 약 70.1%의 체 중 감량 효과를 보인다. 수술로 인한 30일 이내의 사망률은 복 강경 조절형 위밴드술이 0.1% 그리고 루와이위우회술이 0.5% 정도이다. 비만과 함께 동반된 질환의 감소 효과는 당뇨가 76.8% 호전되고 고지혈증이 70.0%, 고혈압이 61.7%, 그리고 수면무호흡증이 85.7% 치료된다. 6 비만은 장기적으로 동반되는 질환으로 인해 조기 사망하게 되는데 수술을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를 비교하면 수술을 받은 경우 장기적으로 사망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복강경 조절형 위밴드술 을 받은 환자를 평균 12년간 관찰한 결과 수술을 받지 않았던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약 73% 감소하며, 7 또 다른 보고에서 루 와이위우회술을 받은 비만 환자는 사망률이 40% 감소한다. 8 수 직밴드 위성형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약 14년간 관찰한 결과 수 술을 받지 않은 비만 환자에 비해 약 31%의 사망률이 감소하 는 효과가 있다. 9 비만 수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체중을 감량하고 동반질 환을 치료할 수 있지만 합병증 등의 단점도 많이 보고되어 있 다. 수술의 합병증으로는 Table 1과 같이 기술적인 합병증, 수 술 후 위와 소장의 기능 변화로 인한 합병증, 흡수장애 등 영양 측면, 그리고 해부학적 구조의 변화로 인해 담도 질환의 내시 경적인 치료가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다. 비만 수술 후 체중 감소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위배출구 협 착, 역류성 식도질환, 맹관 증후군(blind loop syndrome)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도 약 10∼25% 정 도이며, 재수술로 인한 합병증은 22%로 비교적 많이 발생한 다. 10,11 2. 비만의 내시경 치료 내시경을 이용한 비만 치료는 위장을 절제하거나 연결하는 등 수술의 부담을 덜 수 있고, 일부 시술은 다시 복원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수술에 비해서는 체중 감량 효과가 덜하지 만 약물이나 다이어트에 의한 비만 치료에 비해 보다 효과적이
  • 3.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Vol. 42, No. 5 May, 2011 (275-282) 277 Figure 2. Intragastric balloon (The illustrations are available from http://www.totalob- esitysolutions.com/gastri cballoon.html). 고, 안정성 문제에 있어서도 대등하기 때문에 새로이 각광받을 수 있는 치료 영역이다. 내시경적 비만 시술은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눈다. 첫째는 비 만 수술로 인해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내시경 시술, 둘째는 체 중 감량이 주된 목적인 비만 시술로 나눌 수 있다. 1) 비만 수술의 합병증 치료: 비만 수술의 합병증은 Table 1 과 같이 다양하지만, 협착, 문합구 확장, 누공 및 누출은 내시 경 치료의 대상이다. 비만 수술 후 위-소장 문합구의 확장으로 인해 식사량이 다시 증가하여 체중 감량에 실패한 28명의 환자 에서 경화제인 sodium morrhuate를 문합구 점막하에 주입 후 18명(64%)에서 문합구 크기가 12 mm 이하로 좁아진 결과를 보고 하였다. 12 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같은 경화제를 이용하여 100%에서 문합구 축소와 체중 감량에 성공하였다.13 비만 수술 후 위-공장 문합구의 확장에 대한 다른 치료법으로 Revision Obesity Surgery Endoscopic (ROSE) 시술이 있는데 이는 End- osurgical Operating System (USGI Medical, San Clemente, CA)이라는 내시경적 수술기를 이용하여 문합구를 봉합하여 좁 혀주는 방법으로 총 20명의 환자에 대해 시술 후 17명(85%)의 환자에서 문합구 직경을 줄여 18.8%의 체중 감량에 성공하였 다. 14 또한 ROSE 시술은 비만 수술 후 생기는 위 주머니를 줄 여주는데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4 위-공장 문합구 협착 은 루와이위우회술 후 약 0.1∼15.6%에서 나타나는 합병증으 로 문합구 주변에 발생하는 궤양이 주 원인이며, 구역, 구토,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공장 문합구 협착의 치료 는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이 효과적이며, 한 보고에 의하면 43 명의 문합구 협착에 대해 평균 1∼2회의 풍선 확장술로 93%의 환자에서 평균 15.5 mm로 문합구가 확장된 치료 경험이 보고 되었다. 15 루와이위우회술 후 위-위(gastro-gastric) 누공의 발생 이 많게는 29%까지 보고되어 있으며, 원인은 반복적인 구토, 궤양을 포함한 염증, 허혈 등이 원인이며, 이로 인해 체중이 다 시 늘고 역류성 식도염 등의 합병증이 따르게 된다. 16,17 위-위 누공을 봉합하는 내시경 치료로는 T-tag (Wilson-Cook Medical Inc, Winston-Salem, NC)을 이용한 봉합 시술이 있으며 이는 누공 주변 조직을 결찰하여 누공을 봉합하는데 효과적이다. 17 최근 많이 시술되고 있는 NOTES 시술 후 발생하는 위 누공도 T-tag으로 효과적으로 봉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NOTES 시술 후 발생하는 위 누공을 봉합하는 데는 내시경 클 립도 효과적이다. 18 비만 수술 후 발생하는 또 다른 합병증으로 문합부 누출은 약 2.1%에서 발생하며 루와이위우회술의 경우 49%가 위-공장 문합부, 25%가 잔여 위 봉합부, 13%가 공장-공장 문합부, 그리 고 누출 부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약 4%에서 발생한다. 19 누출부위를 재수술로 봉합할 수 있지만, 내시경을 이용한 스텐 트를 누출이 있는 위-공장 문합부에 삽입하여 94%에서 수술 없 이 누출을 봉합할 수 있다. 20 그리고, 루와이위우회술 후 변화 된 해부학적 구조 때문에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및 내 시경 치료에 제약을 받는데 단일 혹은 이중 풍선 소장내시경 혹은 소아용 대장내시경을 이용하여 약 80%에서 시술이 성공 할 수 있었으며, 변화된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21 2) 체중 감량을 주목적으로 한 내시경적 비만 시술: 체중 감 량을 목적으로 한 내시경적 비만 치료는 병적인 비만 환자가 비만 수술을 받는 경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동반 질환 예를 들 면 당뇨, 심혈관 질환 및 수면무호흡증 등이 수술로 인한 합병 증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먼저 내시경 비만 시술을 이용 하여 체중 감량을 하여 동반질환을 조절한다. 또한, 수술과 연 관 없이 초기 비만 환자나 수술을 받을 수 없는 고도 비만 환 자에서 비만 치료 목적으로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1) 위 풍선(Intragastric balloon): 비만 환자에서 체중감소 를 위한 위 내 기구의 사용은 1982년 처음 기술되었다. 22 그 때 부터 수많은 위 기구들이 개발되었으며, 구형의 초창기 모델보 다 더 큰 용적을 가진 BioEnterics Intragastric Balloon (BIB, Allergan, Irvine, CA)이 가장 널리 연구되었다(Fig. 2). 최근 비 침습적 내시경 시술의 발달로 인해 한번의 시술로 수술 없이 위 내에 풍선을 장착하여 조기 포만감을 유발하여 체중 감량에 성공한 보고가 있다. 23,24 위 풍선기구 시술의 한가지 문제점은 기구를 제거한 후 체중 이 다시 늘어나는 점이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위 풍선을
  • 4.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27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27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Figure 3. Endoluminal vertical ga- stroplasty. (A) EndoCin- ch device. (B) Anterior and posterior wall of the gastric body closely pl- icated (The illustrations are quoted from Fogel R, Gastrointest Endosc 2008;68:51 and http:// www.davol.com/produc ts/surgical-specialties/en docinch/). 제거한 후에도 장기적으로 감량된 체중이 유지되어, 이에 대해 서는 향후 임상 경험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첫 3개월간 위 풍선을 설치한 경우와 풍선 없이 식이 및 운동만을 한 환자를 비교한 무작위대조실험에서 두 군간에 체중감량에 차이가 없었 으며, 풍선 시술을 12개월간 유지한 환자의 경우 21.3 kg (17.1%)의 체중 감량이 이루어졌으며, 이들에서 풍선을 제거하 고 1년간 관찰한 결과 47%의 환자에서 처음 체중의 10% 이상 체중 감량이 지속되어 위 풍선 시술을 제거한 후에도 장기적으 로 체중감소를 유지할 수 있었던 보고가 있다. 25 풍선 시술을 받은 환자 중 3명은 심한 식도염으로 인해 시술을 중단하였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위 풍선 기구의 장기적인 체중 감량 효과 를 관찰하기 위해 100명의 환자에서 식염수로 부풀린 위 풍선 을 6개월간 장착한 후 제거하여 4.8년간 관찰하였다. 풍선을 제거하였을 때, 평균 체중 감량은 12.6 kg이었으며 63명이 기 저 체중의 10% 이상 체중 감량에 성공하였다. 2.5년간 관찰한 결과 10% 이상의 체중감소를 유지한 환자는 24명으로 참가자 의 약 25%에서 시술 후 체중 감소가 유지 되었다. 26 이러한 결 과는 위 풍선 시술이 매우 안전하고 장기적으로 체중 감량을 유지할 수 있어 일부 비만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 풍선 시술은 2.5%의 환자에서 위 천공, 장 폐쇄, 흡인성 폐 렴,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식도염 등이 발생할 수 있지만, 24 식이 및 운동요법에 비해서는 위 풍선 삽입이 체중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27 요약하면 비만 수술을 원하지 않거나 동반 질환으로 인해 비 만 수술을 받을 수 없는 환자에서 위 풍선 시술이 유용하며, 수 술을 받을 환자에서 수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의 위 험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2) EndoCinch를 이용한 관내 수직 위성형술(Endolu- minal vertical gastroplasty): EndoCinch Suturing System (C.R. Bard, Murray Hill, NJ)은 처음에는 위식도 역류질환의 내시경적 치료를 위해 고안되었다. 이것은 위-식도 연접부에 주름을 잡아 꿰매는 방법으로 하부식도조임근이 약한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서 위-식도 산 역류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역류 성 식도염 환자에서 이 시술의 초기 역류 방지 효과는 좋았으 나 장기적으로 주름이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 때문에 식도염 치 료에 한계를 보였다. 28 EndoCinch Suturing System은 Fogel 등에 의해 처음으로 비 만 치료에 이용되었으며, 위저부에서 하체부까지 위의 전벽과 후벽에 약 7개의 주름을 꿰매어 조여주는 방식으로 위 공간을 줄이는 방법으로, 총 64명의 환자에서 이 시술을 하였다(Fig. 3). 이들의 체질량지수는 28∼44였고, 외래에서 시술하였으며, 약 45분 정도 시술 시간이 소요되었다. 시술 후 1개월, 3개월 및 12개월 후 처음 체중에 비해 평균 21%, 40%, 58%의 체중감 소를 보였다. 또한, 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체중 감소 효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29 그 러나 12개월 동안 추적한 환자는 14명으로, 연구 대상군이 작 고 이들 환자의 내시경 소견 및 봉합된 주름 상태 등이 기술되 어 있지 않아 이 시술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 하며, 특히 장기적으로 체중감소가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는 현재 대단위 전향적인 임상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 다. (3) 십이지장-공장 우회 소매(Duodenojejunal bypass sleeve, EndoBarrier): EndoBarrier (GI Dynamics Inc, Wat- ertown, MA)라 불리는 십이지장-공장 우회 기구는 내시경 시 야에서 십이지장 구부에 고정되어 약 60 cm 길이의 공장까지
  • 5.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Vol. 42, No. 5 May, 2011 (275-282) 279 Figure 4. Duodenojejunal bypass sleeve. 1 (A) EndoBarrier system. (B) A scheme sh- owing the implantation of the EndoBarrier syst- em. 비닐 관을 삽입하여 십이지장으로 유입된 음식이 상부 소장 벽 과 담즙 및 췌액과 닿지 않게 하여 흡수 장애를 유발하는 비만 치료의 하나로서 일종의 대사 장애를 이용한 비만 치료법이다 (Fig. 4). EndoBarrier 시술은 삽입과 제거가 쉽고, 상기 기술된 시술 등과 유사한 체중 감소를 보이며, 특히 제2형 당뇨 환자 에서 비만 수술과 유사한 정도로 당뇨 조절에 효과적인 시술로 알려져 있다. 30 12명의 고도 비만 환자에서 EndoBarrier를 12주 간 삽입한 후 관찰한 결과, 2명은 위치가 잘못되어 9일 만에 제거하였으며, 나머지 10명의 환자는 12주 후 23.6%의 체중 감 소를 보였으며, 4명의 당뇨 환자 모두 시술을 마친 후 정상 혈 당을 보였고, 당화혈색소가 감소하여 EndoBarrier 시술은 비만 환자에서 체중 감소와 더불어 동반된 당뇨 치료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31 또 다른 전향적인 무작위 비교 연구에서 저지방식 등 식이요법만을 받은 14명의 대조군에 비해 EndoBarrier 시술 을 받은 24명의 환자는 체중 감소가 현저했다(5% vs. 22%, p<0.001).32 이 시술의 합병증으로는 복통, 구역, 구토, 상부 위장 출혈, 십이지장 구부 염증, 기구 이동 등이 보고되어 있 다. 31,32 EndoBarrier 시술은 앞으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개발이 필 요하고 장기간 삽입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지만 비만 환자에서 동반되어 있는 당뇨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보이므로, 기구가 좀 더 개발되면 비만 수술 전 당뇨 조절 및 체중 감소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 경구 위성형술(Transoral gastroplasty, TOGA): Tran- soral gastroplasty (TOGA System; Satiety, Inc, Palo Alto, CA) 는 비만의 새로운 내시경 치료로 최근 시도하고 있는 안전한 시술로서 내시경 시야에서 특수하게 고안된 스테이플러와 흡인 기로 구성되어 있다. 시술은 위저부로 부터 소만을 따라 전벽 과 후벽을 흡인기를 통해 끌어들여 스테이플러로 종축 방향으 로 봉합하는 기술로서 분문부에서부터 하체부까지 하나의 관 모양을 만드는 방법으로, 비만 환자에서 조기 포만감을 유도하 고 과식을 억제하여 체중 감소를 얻을 수 있다(Fig. 5). 시술은 약 30분 정도 소요되며, 수 차례 반복할 수 있고, 다시 원래대 로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만들어진 관의 끝에 주름을 만들어 위산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최근에 TOGA 임상 연구 결과를 보면 11명의 고도 비만 환자에서 TOGA 시술 후 1개월, 3개월 및 6개월 후 처음 체중에 비해 9.9 kg(19.2%), 17.5 kg(33.7%), 그리고 24 kg(46%)로 감소하였으며 시술 후 합병증이 없어 안 전하고 체중 감량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다. 33 또한 TOGA 시 술은 인슐린 민감도를 증가시키며, 인슐린의 분비도 저하시켜 비만 환자의 당뇨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TOGA 시술 후 다시 체중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복강경 루와이 위우회술도 어렵지 않게 수술할 수 있어, 비만 수술을 예정하 고 있는 환자에서 1차 비만 치료로 TOGA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35 TOGA 시술은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여 외래에서 진정 내시경하에 시술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TOGA 시술의 안정 성과 장기적인 체중감소 효과에 대해 향후의 연구 결과가 기대 된다. (5) 기타: 내시경 비만 치료의 또 다른 시술로 시도되고 있 는 것은 내시경하 보형물 삽입 장치로서 Transoral Endoscopic Restrictive Implants System (TERIS; Barosense, Red-wood City, CA)라는 시술이 있으며 이는 위 분문부에 보형물을 삽입 하여 음식물 유입을 제한하는 방법이다. 일부 보고에서 체중 감량 효과가 현저한 반면 위 천공 등의 합병증이 많고 기구가 굵어 아직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단점이 있다. 36 그외 내시경을 이용하여 위 내 전극을 심거나 혹은 위 배출구를 좁게 하여 위 배출을 지연시키는 방법 등이 실험 단계에 있다. 결론 내시경 비만 치료는 식이 혹은 운동 요법으로 원하는 체중감 소가 되지 않는 환자 중에 수술을 받기에 합병증의 위험이 크 거나 고가의 의료비 등으로 인해 수술을 받지 못하는 환자 등 이 대상이 된다. 비만 수술은 고도 비만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체중 감소와 함께 동반된 질환의 치료에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 적이나 합병증 및 고가의 의료비의 문제점이 있다.
  • 6.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28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28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Figure 5. Transoral gastroplasty (TOGA) procedure. (A) With the patient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TOGA sleeve stapler is inserted through the mouth into the stomach. (B) Tissue is gathered into the stapler using suction and staples are delivered. (C) This creates a narrow sleeve. (D) The process is repeated to create a sleeve of desired length. (E) The sleeve slows the movement of food through the stomach, giving a feeling of fullness after a smaller meal (The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 are available from http://ous.satietyinc.com/toga-procedure/overview/). 비만 치료에서 내시경 시술의 역할은 초기 비만에서 수술을 대체할 목적으로 시술하거나, 비만 수술 전 동반질환으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일시적으로 시술할 목적, 비만 보다는 당뇨와 같이 동반된 대사 질환의 치료를 위한 시술 그 리고 비만의 단독 치료 목적 등이 있으며, 다양한 내시경 시술 이 이들 목적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내시경 시술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아직도 개발되고 있거나, 임상 연구 단계에 있는 시술들이 많다. 하지만 위 내 풍선 기구는 초기 체중 감소 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기 때문 에 수술을 전제로 체중 감량을 목적으로 시술할 수 있다. TOGA 시술 혹은 EndoCinch를 이용하여 위 용량을 줄이는 시 술은 비만 수술에 비해서는 체중 감소 효과가 적기 때문에 고 도 비만의 치료 보다는 초기 비만 환자나 비만 수술의 합병증 치료에 보다 적합하며, EndoBarrier 시술은 체중 감소 보다는 당뇨 치료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이제 우리나 라에서도 비만 치료의 한 방법으로 적절한 내시경 시술에 대한 경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요약 사회 경제의 발달과 함께 비만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 도 비만은 동반된 심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등으로 인해 사망률 이 높은 질환이다. 비만의 치료로는 식이 혹은 운동 요법, 약물 치료, 비만 수술이 있다. 그러나 비만 수술은 안전한 수술이지 만 고가이고 만족스러운 체중 감량에 실패하는 경우 재수술을 해야 하는 부담도 있으며, 또한 빈도는 작지만 수술로 인한 합 병증도 문제이다. 최근 미세 내시경 기술이 발달하면서 비만 치료에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비만 치 료에서 내시경 시술의 역할은 비만 수술의 합병증, 예를 들면 문합구 협착, 문합구 이완, 누공 혹은 누출 등에 대한 치료, 동 반 질환이 심해 수술 후 합병증이 예상되는 경우 수술 전에 일 시적으로 체중 감량을 하는 내시경 시술, 그리고 초기 비만이 나 동반 질환이 심해 수술을 받을 수 없는 환자에서 체중 감량 을 목적으로 하는 시술 등 내시경적 비만 치료의 영역은 넓다.
  • 7.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Vol. 42, No. 5 May, 2011 (275-282) 281 본문에서는 비만 수술의 개요와 합병증, 각종 내시경적 비만 치료 시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아직 임상 연구 단계이거나 임 상 성적이 풍부하지 않은 시술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발전할 수 있는 영역이라 생각한다. 색인단어: 비만, 비만 수술, 내시경, 위장관 참고문헌 1. Ibrahim M, Blero D, Deviere J. Endoscopic option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Gastroenterology 2010;138:2228-2232. 2. Kim KK. Pharmacotherapy for obesity. J Korean Med Assoc 2011;54:409-418. 3. Zhao Y, Encinosa W. Statistical Brief #23; Bariatric surgery utilization and outcomes in 1998 and 2004. Healthcare Cost and Utilization Project (HCUP) statistical briefs [Internet].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US). http://www.hcup-us.ahrq.gov/reports/statbriefs/sb23.jsp. 4. Feldman. Sleisenger and Fordtran's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 9th ed. Saunders: Elsevier, 2010:115. 5. Buchwald H, Oien DM. Metabolic/bariatric surgery worldwide 2008. Obes Surg 2009;19:1605-1611. 6. Buchwald H, Avidor Y, Braunwald E, et al. Bariatric surger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4;292:1724- 1737. 7. O'Brien PE, McPhail T, Chaston TB, Dixon JB. Systematic review of medium-term weight loss after bariatric operations. Obes Surg 2006;16:1032-1040. 8. Adams TD, Gress RE, Smith SC, et al. Long-term mortality after gastric bypass surgery. N Engl J Med 2007;357:753-761. 9. Sjöström L, Narbro K, Sjöström CD, et al. Effects of bariatric surgery on mortality in Swedish obese subjects. N Engl J Med 2007;357:741-752. 10. Khaitan L, Van Sickle K, Gonzalez R, Lin E, Ramshaw B, Smith CD. Laparoscopic revision of bariatric procedures: is it feasible? Am Surg 2005;71:6-10. 11. Gagner M, Gentileschi P, de Csepel J, et al. Laparoscopic reoperative bariatric surgery: experience from 27 consecutive patients. Obes Surg 2002;12:54-60. 12. Catalano MF, Rudic G, Anderson AJ, Chua TY. Weight gain after bariatric surgery as a result of a large gastric stoma: endotherapy with sodium morrhuate may prevent the need for surgical revision. Gastrointest Endosc 2007;66:240-245. 13. Spaulding L. Treatment of dilated gastrojejunostomy with sclerotherapy. Obes Surg 2003;13:254-257. 14. Mullady DK, Lautz DB, Thompson CC. Treatment of weight regain after gastric bypass surgery when using a new endoscopic platform: initial experience and early outcomes (with video). Gastrointest Endosc 2009;70:440-444. 15. Peifer KJ, Shiels AJ, Azar R, Rivera RE, Eagon JC, Jonna- lagadda S. Successful endoscopic management of gastrojejunal anastomotic strictures after Roux-en-Y gastric bypass. Gast- rointest Endosc 2007;66:248-252. 16. Tucker ON, Szomstein S, Rosenthal RJ. Surgical management of gastro-gastric fistula after divided laparoscopic Roux-en-Y gastric bypass for morbid obesity. J Gastrointest Surg 2007;11: 1673-1679. 17. Spaun GO, Martinec DV, Kennedy TJ, Swanström LL. Endo- scopic closure of gastrogastric fistulas by using a tissue appo- sition system (with videos). Gastrointest Endosc 2010;71:606- 611. 18. Dray X, Krishnamurty DM, Donatelli G, et al. Gastric wall healing after NOTES procedures: closure with endoscopic clips provides superior histological outcome compared with threaded tags closure. Gastrointest Endosc 2010;72:343-350. 19. Gonzalez R, Sarr MG, Smith CD, et al. Diagnosis and contemporary management of anastomotic leaks after gastric bypass for obesity. J Am Coll Surg 2007;204:47-55. 20. Salinas A, Baptista A, Santiago E, Antor M, Salinas H. Self-expandable metal stents to treat gastric leaks. Surg Obes Relat Dis 2006;2:570-572. 21. Lopes TL, Wilcox CM.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 creatography in patients with Roux-en-Y anatomy. Gastro- enterol Clin North Am 2010;39:99-107. 22. Nieben OG, Harboe H. Intragastric balloon as an artificial bezoar for treatment of obesity. Lancet 1982;1:198-199. 23. Evans JD, Scott MH. Intragastric balloo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Br J Surg 2001;88:1245-1248. 24. Genco A, Bruni T, Doldi SB, et al. Bioenterics intragastric balloon: the Italian experience with 2,515 patients. Obes Surg 2005;15:1161-1164. 25. Mathus-Vliegen EM, Tytgat GN. Intragastric balloon for treat- ment-resistant obesity: safety, tolerance, and efficacy of 1-year balloon treatment followed by a 1-year balloon-free foll- ow-up. Gastrointest Endosc 2005;61:19-27. 26. Dastis NS, François E, Deviere J, et al. Intragastric balloon for weight loss: results in 100 individuals followed for at least 2.5 years. Endoscopy 2009;41:575-580. 27. Genco A, Balducci S, Bacci V, et al. Intragastric balloon or diet alone? A retrospective evaluation. Obes Surg 2008;18: 989-992. 28. Schwartz MP, Wellink H, Gooszen HG, Conchillo JM, Samsom M, Smout AJ. Endoscopic gastroplication for the treatment of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a randomised, sham-contro- lled trial. Gut 2007;56:20-28. 29. Fogel R, De Fogel J, Bonilla Y, De La Fuente R. Clinical experience of transoral suturing for an endoluminal vertical gastroplasty: 1-year follow-up in 64 patients. Gastrointest Endosc 2008;68:51-58. 30. Cohen RV, Schiavon CA, Pinheiro JS, Correa JL, Rubino F. Duodenal-jejunal bypas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in patients with body mass index of 22∼34 kg/m 2 : a report of 2 cases. Surg Obes Relat Dis 2007;3:195-197. 31. Rodriguez-Grunert L, Galvao Neto MP, Alamo M, Ramos AC, Baez PB, Tarnoff M. First human experience with endo- scopically delivered and retrieved duodenal-jejunal bypass sleeve. Surg Obes Relat Dis 2008;4:55-59. 32. Tarnoff M, Rodriguez L, Escalona A, et al. Open label,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endoscopic duodenal-jejunal bypass sleeve versus low calorie diet for pre-operative weight loss in bariatric surgery. Surg Endosc 2009;23:650-656.
  • 8. 비만과 내시경 치료 김성수 28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28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33. Moreno C, Closset J, Dugardeyn S, et al. Transoral gastro- plasty is safe, feasible, and induces significant weight loss in morbidly obese patients: results of the second human pilot study. Endoscopy 2008;40:406-413. 34. Chiellini C, Iaconelli A, Familiari P, et al. Study of the effects of transoral gastroplasty on insulin sensitivity and secretion in obese subject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0;20:202-207. 35. Closset J, Germanova D, Loi P, Mehdi A, Moreno C, Devière J. Laparoscopic gastric bypass as a revision procedure after transoral gastroplasty. Obes Surg 2011;21:1-4. 36. de Jong K, Mathus-Vliegen EM, Veldhuyzen EA, Eshuis JH, Fockens P. Short-term safety and efficacy of the trans-oral endoscopic restrictive implant system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Gastrointest Endosc 2010;72:497-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