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II
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9 - 23주차 과제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프로세스 계획 및 사용자 리서치
주제 선택 및 배경 / 타겟층 분석
Idea & Target
Topic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구독 경제 시장규모와 그 미래
구독경제 시장규모는 매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에 따르면 2000년 약 2150억 달러
(약 245조원)였던 시장규모는 2015년 4200억 달러(약 470조원)
까지 커졌다. 오는 2020년에는 5300억 달러(약 594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출처 : 식품외식경제(http://www.foodbank.co.kr)
2019 - 2
TARGET
구독경제의 확산은 '소유'보다는 '경험'에서 만족을 찾는 밀레니얼 세대(1986~1991년 출생 세대)가 이끌고 있다.
예를 들어 수 천 만원짜리 중형차를 한 대 사서 타는 대신 월정액을 지불하고 필요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차량을
타는 것을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밀레니얼 세대들이 소유에 의미를 두지 않는 데에는 경기침체와
이에 따른 만성적인 경제적 불안에 시달리는 세대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안정적인 미래를 설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축적해야만 얻을 수 있는 앞날의 행복 대신
당장 누릴 수 있는 작은 만족을 택한다는 분석이다.
타겟 사용자
구독서비스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2-30대 밀레니얼 세대들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TARGET 2019 - 2
20%
12%
19%
24%
25%
새로운 시도 추천 경제적 이득 편의 기타
구독 경제의 키워드는 ‘이익’과 ‘재미’로 압축된다.
맥킨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구독 경제 이용자의 가장 큰 가입 이유는
‘재미와 흥미’였다.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어서’(25%), ‘누군가의 추천을
받아서’(24%)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절반 가까운 사용자가 호기심과 새로운 경험 등을 위해 선택했다는 얘기다.
‘경제적 이익 때문에’(19%), ‘편리해서’(12%)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출처 : 맥킨지 설문조사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타겟층 분석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
TARGET 2019 - 2
20%
12%
19%
24%
25%
새로운 시도 추천 경제적 이득 편의 기타
구독 경제의 키워드는 ‘이익’과 ‘재미’로 압축된다.
맥킨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구독 경제 이용자의 가장 큰 가입 이유는
‘재미와 흥미’였다.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어서’(25%), ‘누군가의 추천을
받아서’(24%)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절반 가까운 사용자가 호기심과 새로운 경험 등을 위해 선택했다는 얘기다.
‘경제적 이익 때문에’(19%), ‘편리해서’(12%)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출처 : 맥킨지 설문조사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타겟층 분석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
구독 서비스, 마냥 흥미롭고 즐거운 경험일까?
?
TARGET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2 2019 - 2
산발적 데이터들을 모아서 다듬는다면, 윤택하고 똑똑한 소비생활에 도움
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2 TARGET 2019 - 2
Design Process
디자인 프로세스
발견
리서치와 관찰을 통해
문제점과 니즈를 파악한다.
Discover
User Observation
Table Research
직접 사용자를 관찰 하는 방법
책, 인터넷 등을 통해 관련 정보들을 수집
정의
문제점/니즈를 정리하는 단계.
인사이트를 분류하고 구체화 한다.
Affinity Diagram
Card Sorting
연관성, 상호의존성, 존속성 등에 따라 데이터를 구조화
사용자가 직접 참여해 카테고리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
Define
Persona
가상의 사용자 모델을 구체화
User Journey Map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시의 행동과 감정을 시각화
발전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프로토타입을 통해 테스트한다.
Develop
Heuristic Evaluation
Usability Test
평가 기준을 세워 사용성을 평가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사용성을 검증
Senario
미래에 사용자가 어떻게 제품/서비스를 이용할지 예상
Prototyping
종이 또는 디지털 툴을 사용해 대략적으로 아이디어를 만듦
전달
프로토타입을 넘어 실제 작업물로
만들어내는 단계
Deliver
Workflow
IA
사용자의 서비스 흐름 전개도
정보 체계와 구조 설계
Wireframe
화면 설계에 있어 뼈대 혹은 윤곽선만 잡아 놓은 형태
GUI
컬러 그래픽을 더해 시각적으로 표현
온라인 설문조사
2019. 09.28 ~ 2019.10.01
응답자 총 136명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비사용자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비용 부담 (11)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이용시간 부족 (6)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5)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동영상 스트리밍 (넷플릭스, 유튜브, 왓챠플레이 등)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이용시간에 비해, 이용 자체가)
가격부담 (25)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결제일 관련 문제 (24)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해지가 불편 (14)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언제든 제약없이)
원하는 서비스를 즐길 수 있음 (36)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자동결제의 편리함 (23)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가격 대비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 (16)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결제일 관련 알림 (28)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해지가 쉬웠으면 (13)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정기구독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
‣ 가격부담
‣ 결제일 관련
‣ 해지가 불편
정기구독서비스 이용의 장점
‣ 언제든 제약없이 원하는 서비스를 즐길 수 있음
‣ 자동 결제의 편리
‣ 가격 대비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
원하는 서비스
‣ 결제일 관련 알림
‣ 쉬운 해지 방법
응답자 (132명 중)
‣ 여자 (69.1%)
‣ 남자 (30.1%)
‣ 기타 (0.7%)
‣ 20-25세 (93.4%)
‣ 26-30세 (3.7%)
‣ 20세 미만 (2.9%)
‣ 구독 서비스 이용경험 O (84.6%)
‣ 구독 서비스 이용경험 X (15.4%)
‣ 현재 구독 서비스 이용 O (72.8%)
‣ 현재 구독 서비스 이용 X (27.2%)
1:1 심층 인터뷰
응답자 총 3명
20대 여성 2명, 30대 남성 1명으로 구성
: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현재 쓰고 있는 정기구독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Q. 현재 쓰고 있는 정기 구독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나요?
아이클라우드(컴퓨터 백업때문에 제일 비싼 만 얼마짜리 사용중), 유튜브 레드, 넷플릭스는 이번달에 해지(
안 본지 두 달이 되어가서), 유튜브 레드 쓰다보니 멜론도 이번 달에 취소했습니다.
VSCO(카메라 어플) 연단위로 결제해서 사용 중, 산돌구름다리, 어도비도 사용중입니다.
인터랙 개인 사이트 결제, 탈잉 강의 구독 (최근에 연장도 함)
토스 프라임(토스 유료 서비스), 쿠팡도 사용하다가 안씀(쿠팡 와우)
+ Q. 토스 프라임은 어떤 서비스인가요?
: 월 4000원 내면 수수료가 면제되고, 카드 쓰면 할인, 편의점 ATM기로 출금 가능한데 이 수수료가 꽤 나가서 사용했었음
넷플릭스, 왓챠, 유튜브 레드, 지니, 쿠팡와우, 어도비, 구름다리, 티비 sbs정액제 (sbs앱으로도 가끔 시청)
넷플릭스, 왓챠, 멜론, 아이클라우드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각각 서비스의 이용기간은 얼마나 되었나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멜론은 1년 넘게(벅스랑 번갈아가면서 쓰다가), 멜론에서 이용기간에 대한 혜택이 있어서 계속 쓰다가
이번에 유튜브로 넘어감. 멜론 1년 이상 사용해서 골드 등급. 넷플릭스는 반 년 넘게 사용. 유튜브 레드는 3~4개월 정도
이용 중. 나머지는 두 달 미만 정도 쓴 것 같습니다. 어도비와 산돌구름도 약 1년정도 사용한 것 같습니다.
넷플릭스랑 왓챠는 작년 겨울? 언젠지 정확히 기억 안남. 멜론은 거의 8-9년
아이클라우드는 3년정도 쓴 것 같아요.
넷플, 왓챠, 지니는 1년, 어도비는 2년, 쿠핑와우랑 유튜브레드는 3달정도? 티비구독은 한달됐어요.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SNS 인스타그램 광고에서도 많이 보이고, 취미가 앱스토어에서 어플 까는 건데 (레퍼런스용으로 많이 깔아놓는 편) 구
독서비스가 많이 활성화 되어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많이 하게 됩니다. 주변에 유튜브 레드나 이런 것 사용하는 것 보고
편해보여서 따라 쓰기도 합니다.어도비 같은 경우는 크랙을 쓰다가 예상치 못한 오류가 날 때도 있었고, 정품서비스가 아
니라 불안한 적도 있었기 때문에 / 광고 보는 걸 싫어해서 광고 볼 시간을 아끼기 위해 유튜브 레드를 쓰는 것 같습니다.
음원 스트리밍 같은 경우에는 거의 매일 이용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그 외에 편리성 위주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Q. 서비스를 알게 되고, 구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멜론이야 어릴 때 부터 썼었고 넷플릭스는 사람들이 많이 써서 알게되었고,
왓챠는 광고보고 흥미로워서. 아이클라우드는 자꾸 용량 부족하다고 해서.
정리하자면 아이클라우드는 필요해서 결제했고 나머지는 여가시간에 즐기려고
한선우 (22세) 보고싶은 컨텐츠가 있으면 불법적인 경로로만 찾게되어서 합법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유료 서비스를
찾게되었고, 막상 쓰기 시작하니까 편하고 좋았습니다. 오히려 쓰기 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것 같아요.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구독했을 때 혜택이나 가격은 크게 상관하지
않고, 그 기능이 얼마나 끌리는지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결제하기까지의 과정이
상술같으면 웬만하면 잘 안함, 기능위주로
광고하면 끌려서 결제하게 됩니다.
Q. 가장 마음에 드는 서비스와, 마음에 들지 않은 서비스는?
정말 내가 원하는 걸 쓸 수 있는지 ? 예를
들어 넷플릭스나 왓챠 같은 경우엔 내가
볼만한 컨텐츠가 정말 많은지를 고려합니다.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뭔가 만족감을 느꼈던건 초창기인 것 같고, 유
튜브를 하지 않았으면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구독외에 사용할 방법이 없기도
하고(대체불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거에
굉장히 익숙해져있기 때문에 끊기 힘들다.
가장 마음에 드는 서비스는 멜론이고
불편했던 것도 멜론.
중간에 요금 올라서 갈아타려고 했는데 해지 방
법을 꽁꽁 숨겨놔서 귀찮아가지고 몇 달
미루다가 결국 쭉 사용하게 되었어요.저는 가격은 거의 고려요소가 되지 않고,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면 거의 구독하는 편입니다.
저는 유튜브 레드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안
썼을 때 생기는 불이익이 많아지는 기분이에
요. 마음에 들지 않은 서비스는 멜론인데요, 해
지하는게 너무 불편했고 해지 못하게 막아놓은
게 더 괘씸해져서 이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정기 구독 서비스를 하루에, 일주일에 몇 번 사용하나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하루에 많이 사용합니다. 매일매일
쓰는 것 같아요.
Q. 정기 구독 서비스의 결제는 누가 어떻게 하나요?
아이클라우드 같은 경우엔 24시간 사용하고
나머지 넷플릭스나 왓챠같은 경우엔 일주일에
2-4번 사용합니다.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본인부담 + 일부는 부모님이
본인 부담
본인 부담유튜브는 하루에 거의 10시간 정도를 시청해
요. 넷플릭스나 왓챠는 보고싶을 때 몰아보기
때문에 규칙적이지는 않습니다. 정기 구독 서
비스를 하루에 한번 이상은 무조건 사용하는
것 같아요.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정기 구독 서비스의 정확한 결제일 / 시간을 알고있나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제법 많이 이용하지만 하나도 모릅니다.
심지어 제가 통장내역을 수시로 확인하지
않아서 문자로 오는 것만 인지하는데,
카드 문자 올 때만 이게 결제됐구나를 알고 그
외에 따로 연락이 오지 않는 서비스는
알지 못합니다.
Q. 정기 구독 서비스의 정확한 해지 방법을 알고 있나요?
모름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해지하는 방법을 모릅니다. 아이폰 어플은
해지 하는 법을 알아요. 그 외에 핸드폰, 어플
말고 웹으로 연결돼있거나 컴퓨터로 구독한
경우에는 방법을 전혀 알지 못합니다. 애플
아이디와 연결돼있거나 한 것의 서비스 해지
방법은 알고 있습니다.
멜론은 컴퓨터 켜서 해야해서 좀 걸리고 나머지 아
이클라우드, 넷플릭스, 왓챠는 애플 아이디
들어가서 하는 방법 알아요.
결제일 모릅니다. 돈이 빠져나가면 그 때 알아
차리게 됩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들은 다 한번쯤은
시도해봐서 알고있습니다.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어떠한 서비스가 정기구독 서비스와 같이 제공된다면, 구독서비스를 더욱 즐겁게 이용할 수 있을까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뜸하게 이용할 때 잠깐 일시정지 해놓거나 아니면 이용 현황을 분석해서 이건 이만큼 사용하지 않고 있으니
끊든지 하세요 처럼 상기시켜주는 어플. 내가 구독한 서비스들 다 합쳐서 얼마다 이런거 알려주는 서비스.
구독하고 있는 서비스를 한번에 볼 수 있기만해도 훨씬 편해질 것 같고, 그 화면 내에서 구독과 변경, 해지가 가능하다면
좋을 것 같아요. 구독하고 있는 서비스의 개수가 늘어나는게 부담스러울 때도 있지만 구독하면 더 편해지기 때문에
뭔가 신선한 구독 서비스를 새롭게 추천해주는 것도 반가울 것 같아요.
뜸하게 이용할 때 잠깐 일시정지 해놓거나 아니면 이용 현황을 분석해서 이건 이만큼 사용하지 않고 있으니
끊든지 하세요 처럼 상기시켜주는 어플. 내가 구독한 서비스들 다 합쳐서 얼마다 이런거 알려주는 서비스.
설문조사 인사이트
Insight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들의 정기구독을 관리해 줄 서비스 필요
:
온라인 설문조사
구독 관리 서비스의 니즈 파악
Pain Point :
비용을 모두 본인부담 혹은 일부 부담
하는데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돈
관리가 되지 않고 있음.
1:1 설문조사
1:1 응답자 모두
구독서비스의 정확한
구독 시작 시기 / 결제일 및 시간을
알지못함.
사용자들은 정기구독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하고 있지만
가격부담, 결제일, 해지의 불편함 등
을 느끼고 있었음.
‣ 결제일 관련 알림
‣ 쉬운 해지 방법
테크놀로지 관련 인사이트
Insight about Technology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핀테크 산업에서도 로봇과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자동화를 꾀하고 있다.
고객 서비스 센터에도 로봇을 도입하며, 인공지능과
자연어 처리를 적용해 정확도를 높이고 있는 추세다.
1. 인공지능 챗봇
콜센터 및 고객창구의 대기시간과 한정된
운영시간 등으로 인한 불편함
→언제 어디서든 원할 때, 간편하게 익숙한 메신저를 이용해
실제 사람과 대화 하듯 자연스러운 고객밀착형 상담.
→편의성, 효율성,시공간을 넘어 맞춤형 고객 응대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예시 1)
최초의 챗봇 서비스 도입 기업 : 중국의 기업 ‘텐센트' - 메신저 위챗(WeChat)
→ 챗봇을 통한 음식점, 병원, 호텔 등 각종 편의 시설 예약.
영화표 구매. 택시 예약과 제품 결제
예시 2)
구글 스마트 메시지 앱 '알로(Allo)'
→ 메뉴 추천,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 가능, 맞춤 개인비서
1. 인공지능 챗봇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ex) 국내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웰컴봇'
24시간 응대 가능한 챗봇 은행원을 통해 인간 친화형 챗봇
서비스 제공.
→ 누구나 간편하고 쉽게 채팅방식으로 심야 시간 및
휴무와 상관 없이 대출 신청, 한도조회, 본인 인증 등의
모든 절차 가능.
1. 인공지능 챗봇 사례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2. 스크래핑
웹사이트에 보이는 정보 중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
금융고객은 번거로운 수고를 덜어낼 수 있고 금융사들은 서비스 편의성 개선은 물론 업무 자동화의 단초를 마련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2. 스크래핑 사례
예시) 계좌 통합 관리 분야(각 금융 기관에 흩어져 있는 금융 자산을 통합해 한 번에 조회, 이체 등의 거래를 하고 관리함),
이메일 통합 조회(여러 웹 메일을 사용하는 경우 한 번에 종합 확인), 호텔, 항공사, 렌터카, 주유소 마일리지 등 각종 보상 프로그램 활용,
물류 서비스의 배송 정보 추적, 뉴스, 날씨 등
카카오뱅크의 스크래핑 기술활용
→ 고객의 서류 제출 등의 과정 없이, 카카오뱅크가
국세청 홈택스 등의 기관에서 고객 정보를 불러와
신용등급을 산정하는 시스템.
→ 대출 신청에서 실행까지 평균 5분 소요.
테크놀로지를 통한 고객 니즈 충족
구독서비스 이용자의 잠재적 니즈 충족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3. 결론 및 인사이트
결제와 취소 등의 어려움, 번거로움 → 과정의 간편화&자동화
알기 어려운 분산된 정보 → 구독정보 한 눈에 제공
유용한 구독서비스를 인공지능을 통한 개인 맞춤 추천
결제 금액, 통장 잔액 등 정기결제에 관한 계좌통합 관리
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 및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서비스 안내 및 해지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Donghun Kim
 
[엣지랭크] Contents & Design Trend, 2020년 6월
[엣지랭크] Contents & Design Trend, 2020년 6월[엣지랭크] Contents & Design Trend, 2020년 6월
[엣지랭크] Contents & Design Trend, 2020년 6월
엣지랭크 (EDGERANK)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yewon Shin
 
2017 국민디자인단 성과사례집
2017 국민디자인단 성과사례집2017 국민디자인단 성과사례집
2017 국민디자인단 성과사례집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Inae Jung
 

What's hot (20)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서비스디자인, 경험 경제를 디자인하다 - K디자인 2014년 가을호 서비스디자인 특집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0721 중앙부처 성과발표 자료집(작은용량웹용).compressed
 
[엣지랭크] Contents & Design Trend, 2020년 6월
[엣지랭크] Contents & Design Trend, 2020년 6월[엣지랭크] Contents & Design Trend, 2020년 6월
[엣지랭크] Contents & Design Trend, 2020년 6월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2019 주민생활 혁신사례 확산 지원사업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전통시장 서비스디자인 적용 패키지 모델 - 한국디자인진흥원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주민 체감형 디지털 지역혁신 활성화(공감e가득) 사업 사례집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2019 시민안전] 우리 동네 시민히어로들과 함께하는 안전한 마을 만들기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행복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 경찰청 국민디자인단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4년 개정판]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수요자 중심 혁신, 융합을 실현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201802 공공정책과 디자인의 만남 국민디자인단 소개_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2017 국민디자인단 성과사례집
2017 국민디자인단 성과사례집2017 국민디자인단 성과사례집
2017 국민디자인단 성과사례집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공공정책 기획 방법으로서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 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20141101. 윤성원, 지민정, 김광순)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6 통계청 국민디자인단 - 대구도시철도 역세권 정보서비스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2018년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서비스디자인으로 마을 살리기 - 백준상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
 
Dsi
DsiDsi
Dsi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Ksdn kor1 비즈니스트랙_공공서비스디자인_정인애발표
 

Similar to Imd3

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
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
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
Chaemin Lim
 
Imd4th
Imd4thImd4th
Imd4th
Narongsss
 
모바일 UX/UI : 트랜드와 원칙으로써의 UX - 1부
모바일 UX/UI : 트랜드와 원칙으로써의 UX - 1부모바일 UX/UI : 트랜드와 원칙으로써의 UX - 1부
모바일 UX/UI : 트랜드와 원칙으로써의 UX - 1부
RightBrain inc.
 
UX/UI Trends Seminar 2019
UX/UI Trends Seminar 2019UX/UI Trends Seminar 2019
UX/UI Trends Seminar 2019
JungYong Kim
 
Imd2
Imd2Imd2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M&M Networks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SIMIN
 
월간 Im august 2015
월간 Im august 2015월간 Im august 2015
월간 Im august 2015
M&M Networks
 
Ux trend report 2014 new app
Ux trend report 2014 new appUx trend report 2014 new app
Ux trend report 2014 new app
Kim Taesook
 
2019-2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_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9-2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_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9-2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_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9-2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_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zinnia0421
 
2011 kobaco iaa(j) 강의안(part1.김효진)
2011 kobaco iaa(j) 강의안(part1.김효진)2011 kobaco iaa(j) 강의안(part1.김효진)
2011 kobaco iaa(j) 강의안(part1.김효진)
Hyo Jin KIM
 
Beyond Mobile Eco-System
Beyond Mobile Eco-SystemBeyond Mobile Eco-System
Beyond Mobile Eco-SystemSungHyuk Park
 
소셜미디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소셜미디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소셜미디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소셜미디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Minyoung Kwon
 
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 제언
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 제언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 제언
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 제언
Billy Choi
 
[메조미디어]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메조미디어]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메조미디어]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메조미디어]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MezzoMedia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Industrial Bank of Korea
 
사람과 자동차의 교감
사람과 자동차의 교감사람과 자동차의 교감
사람과 자동차의 교감
Billy Choi
 
UX디자인_기획서.pdf
UX디자인_기획서.pdfUX디자인_기획서.pdf
UX디자인_기획서.pdf
vvvovovvv93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pdf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pdf
Jeongeun Kwon
 
2014 ux trend report
2014 ux trend report2014 ux trend report
2014 ux trend report
Hyunjeong Lee
 

Similar to Imd3 (20)

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
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
TV콘텐츠 검색/정보제공 도우미 TVMATE
 
Imd4th
Imd4thImd4th
Imd4th
 
모바일 UX/UI : 트랜드와 원칙으로써의 UX - 1부
모바일 UX/UI : 트랜드와 원칙으로써의 UX - 1부모바일 UX/UI : 트랜드와 원칙으로써의 UX - 1부
모바일 UX/UI : 트랜드와 원칙으로써의 UX - 1부
 
UX/UI Trends Seminar 2019
UX/UI Trends Seminar 2019UX/UI Trends Seminar 2019
UX/UI Trends Seminar 2019
 
Imd2
Imd2Imd2
Imd2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스마트 구로 홍보관 _ MnM case study book vol1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강한시민사회 2차포럼
 
월간 Im august 2015
월간 Im august 2015월간 Im august 2015
월간 Im august 2015
 
Ux trend report 2014 new app
Ux trend report 2014 new appUx trend report 2014 new app
Ux trend report 2014 new app
 
2019-2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_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9-2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_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9-2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_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9-2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_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1 kobaco iaa(j) 강의안(part1.김효진)
2011 kobaco iaa(j) 강의안(part1.김효진)2011 kobaco iaa(j) 강의안(part1.김효진)
2011 kobaco iaa(j) 강의안(part1.김효진)
 
Beyond Mobile Eco-System
Beyond Mobile Eco-SystemBeyond Mobile Eco-System
Beyond Mobile Eco-System
 
소셜미디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소셜미디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소셜미디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소셜미디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 제언
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 제언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 제언
스마트 디바이스 생태계 활성화 방안 3가지 제언
 
[메조미디어]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메조미디어]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메조미디어]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메조미디어] 생성형 AI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02.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마케팅 전략
 
사람과 자동차의 교감
사람과 자동차의 교감사람과 자동차의 교감
사람과 자동차의 교감
 
UX디자인_기획서.pdf
UX디자인_기획서.pdfUX디자인_기획서.pdf
UX디자인_기획서.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pdf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pdf
11th.Lecture.Step3.AnalysisUX.Modeling.pdf
 
2014 ux trend report
2014 ux trend report2014 ux trend report
2014 ux trend report
 

Imd3

  • 1.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II 방현지 신나현 이세림 임현진 2019 - 23주차 과제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프로세스 계획 및 사용자 리서치
  • 2. 주제 선택 및 배경 / 타겟층 분석 Idea & Target
  • 3. Topic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구독 경제 시장규모와 그 미래 구독경제 시장규모는 매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에 따르면 2000년 약 2150억 달러 (약 245조원)였던 시장규모는 2015년 4200억 달러(약 470조원) 까지 커졌다. 오는 2020년에는 5300억 달러(약 594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출처 : 식품외식경제(http://www.foodbank.co.kr) 2019 - 2
  • 4. TARGET 구독경제의 확산은 '소유'보다는 '경험'에서 만족을 찾는 밀레니얼 세대(1986~1991년 출생 세대)가 이끌고 있다. 예를 들어 수 천 만원짜리 중형차를 한 대 사서 타는 대신 월정액을 지불하고 필요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차량을 타는 것을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밀레니얼 세대들이 소유에 의미를 두지 않는 데에는 경기침체와 이에 따른 만성적인 경제적 불안에 시달리는 세대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안정적인 미래를 설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축적해야만 얻을 수 있는 앞날의 행복 대신 당장 누릴 수 있는 작은 만족을 택한다는 분석이다. 타겟 사용자 구독서비스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2-30대 밀레니얼 세대들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 5. TARGET 2019 - 2 20% 12% 19% 24% 25% 새로운 시도 추천 경제적 이득 편의 기타 구독 경제의 키워드는 ‘이익’과 ‘재미’로 압축된다. 맥킨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구독 경제 이용자의 가장 큰 가입 이유는 ‘재미와 흥미’였다.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어서’(25%), ‘누군가의 추천을 받아서’(24%)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절반 가까운 사용자가 호기심과 새로운 경험 등을 위해 선택했다는 얘기다. ‘경제적 이익 때문에’(19%), ‘편리해서’(12%)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출처 : 맥킨지 설문조사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타겟층 분석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
  • 6. TARGET 2019 - 2 20% 12% 19% 24% 25% 새로운 시도 추천 경제적 이득 편의 기타 구독 경제의 키워드는 ‘이익’과 ‘재미’로 압축된다. 맥킨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구독 경제 이용자의 가장 큰 가입 이유는 ‘재미와 흥미’였다.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싶어서’(25%), ‘누군가의 추천을 받아서’(24%)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절반 가까운 사용자가 호기심과 새로운 경험 등을 위해 선택했다는 얘기다. ‘경제적 이익 때문에’(19%), ‘편리해서’(12%)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출처 : 맥킨지 설문조사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타겟층 분석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 구독 서비스, 마냥 흥미롭고 즐거운 경험일까? ?
  • 8. 산발적 데이터들을 모아서 다듬는다면, 윤택하고 똑똑한 소비생활에 도움 인터렉티브 미디어 디자인 2 TARGET 2019 - 2
  • 10.
  • 11. 발견 리서치와 관찰을 통해 문제점과 니즈를 파악한다. Discover User Observation Table Research 직접 사용자를 관찰 하는 방법 책, 인터넷 등을 통해 관련 정보들을 수집
  • 12. 정의 문제점/니즈를 정리하는 단계. 인사이트를 분류하고 구체화 한다. Affinity Diagram Card Sorting 연관성, 상호의존성, 존속성 등에 따라 데이터를 구조화 사용자가 직접 참여해 카테고리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 Define Persona 가상의 사용자 모델을 구체화 User Journey Map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시의 행동과 감정을 시각화
  • 13. 발전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프로토타입을 통해 테스트한다. Develop Heuristic Evaluation Usability Test 평가 기준을 세워 사용성을 평가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사용성을 검증 Senario 미래에 사용자가 어떻게 제품/서비스를 이용할지 예상 Prototyping 종이 또는 디지털 툴을 사용해 대략적으로 아이디어를 만듦
  • 14. 전달 프로토타입을 넘어 실제 작업물로 만들어내는 단계 Deliver Workflow IA 사용자의 서비스 흐름 전개도 정보 체계와 구조 설계 Wireframe 화면 설계에 있어 뼈대 혹은 윤곽선만 잡아 놓은 형태 GUI 컬러 그래픽을 더해 시각적으로 표현
  • 15. 온라인 설문조사 2019. 09.28 ~ 2019.10.01 응답자 총 136명
  • 16.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 17.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 18.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비사용자
  • 19.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비용 부담 (11)
  • 20.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이용시간 부족 (6)
  • 21.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5)
  • 22.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 23.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동영상 스트리밍 (넷플릭스, 유튜브, 왓챠플레이 등)
  • 24.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 25.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이용시간에 비해, 이용 자체가) 가격부담 (25)
  • 26.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결제일 관련 문제 (24)
  • 27.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해지가 불편 (14)
  • 28.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 29.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언제든 제약없이) 원하는 서비스를 즐길 수 있음 (36)
  • 30.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자동결제의 편리함 (23)
  • 31.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가격 대비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 (16)
  • 32.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 33.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 34.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 35.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
  • 36.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결제일 관련 알림 (28)
  • 37.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해지가 쉬웠으면 (13)
  • 38. Survey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정기구독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 ‣ 가격부담 ‣ 결제일 관련 ‣ 해지가 불편 정기구독서비스 이용의 장점 ‣ 언제든 제약없이 원하는 서비스를 즐길 수 있음 ‣ 자동 결제의 편리 ‣ 가격 대비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 원하는 서비스 ‣ 결제일 관련 알림 ‣ 쉬운 해지 방법 응답자 (132명 중) ‣ 여자 (69.1%) ‣ 남자 (30.1%) ‣ 기타 (0.7%) ‣ 20-25세 (93.4%) ‣ 26-30세 (3.7%) ‣ 20세 미만 (2.9%) ‣ 구독 서비스 이용경험 O (84.6%) ‣ 구독 서비스 이용경험 X (15.4%) ‣ 현재 구독 서비스 이용 O (72.8%) ‣ 현재 구독 서비스 이용 X (27.2%)
  • 39. 1:1 심층 인터뷰 응답자 총 3명 20대 여성 2명, 30대 남성 1명으로 구성 :
  • 40.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현재 쓰고 있는 정기구독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Q. 현재 쓰고 있는 정기 구독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나요? 아이클라우드(컴퓨터 백업때문에 제일 비싼 만 얼마짜리 사용중), 유튜브 레드, 넷플릭스는 이번달에 해지( 안 본지 두 달이 되어가서), 유튜브 레드 쓰다보니 멜론도 이번 달에 취소했습니다. VSCO(카메라 어플) 연단위로 결제해서 사용 중, 산돌구름다리, 어도비도 사용중입니다. 인터랙 개인 사이트 결제, 탈잉 강의 구독 (최근에 연장도 함) 토스 프라임(토스 유료 서비스), 쿠팡도 사용하다가 안씀(쿠팡 와우) + Q. 토스 프라임은 어떤 서비스인가요? : 월 4000원 내면 수수료가 면제되고, 카드 쓰면 할인, 편의점 ATM기로 출금 가능한데 이 수수료가 꽤 나가서 사용했었음 넷플릭스, 왓챠, 유튜브 레드, 지니, 쿠팡와우, 어도비, 구름다리, 티비 sbs정액제 (sbs앱으로도 가끔 시청) 넷플릭스, 왓챠, 멜론, 아이클라우드
  • 41.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각각 서비스의 이용기간은 얼마나 되었나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멜론은 1년 넘게(벅스랑 번갈아가면서 쓰다가), 멜론에서 이용기간에 대한 혜택이 있어서 계속 쓰다가 이번에 유튜브로 넘어감. 멜론 1년 이상 사용해서 골드 등급. 넷플릭스는 반 년 넘게 사용. 유튜브 레드는 3~4개월 정도 이용 중. 나머지는 두 달 미만 정도 쓴 것 같습니다. 어도비와 산돌구름도 약 1년정도 사용한 것 같습니다. 넷플릭스랑 왓챠는 작년 겨울? 언젠지 정확히 기억 안남. 멜론은 거의 8-9년 아이클라우드는 3년정도 쓴 것 같아요. 넷플, 왓챠, 지니는 1년, 어도비는 2년, 쿠핑와우랑 유튜브레드는 3달정도? 티비구독은 한달됐어요.
  • 42.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SNS 인스타그램 광고에서도 많이 보이고, 취미가 앱스토어에서 어플 까는 건데 (레퍼런스용으로 많이 깔아놓는 편) 구 독서비스가 많이 활성화 되어 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많이 하게 됩니다. 주변에 유튜브 레드나 이런 것 사용하는 것 보고 편해보여서 따라 쓰기도 합니다.어도비 같은 경우는 크랙을 쓰다가 예상치 못한 오류가 날 때도 있었고, 정품서비스가 아 니라 불안한 적도 있었기 때문에 / 광고 보는 걸 싫어해서 광고 볼 시간을 아끼기 위해 유튜브 레드를 쓰는 것 같습니다. 음원 스트리밍 같은 경우에는 거의 매일 이용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그 외에 편리성 위주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Q. 서비스를 알게 되고, 구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멜론이야 어릴 때 부터 썼었고 넷플릭스는 사람들이 많이 써서 알게되었고, 왓챠는 광고보고 흥미로워서. 아이클라우드는 자꾸 용량 부족하다고 해서. 정리하자면 아이클라우드는 필요해서 결제했고 나머지는 여가시간에 즐기려고 한선우 (22세) 보고싶은 컨텐츠가 있으면 불법적인 경로로만 찾게되어서 합법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유료 서비스를 찾게되었고, 막상 쓰기 시작하니까 편하고 좋았습니다. 오히려 쓰기 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것 같아요.
  • 43.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기로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구독했을 때 혜택이나 가격은 크게 상관하지 않고, 그 기능이 얼마나 끌리는지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결제하기까지의 과정이 상술같으면 웬만하면 잘 안함, 기능위주로 광고하면 끌려서 결제하게 됩니다. Q. 가장 마음에 드는 서비스와, 마음에 들지 않은 서비스는? 정말 내가 원하는 걸 쓸 수 있는지 ? 예를 들어 넷플릭스나 왓챠 같은 경우엔 내가 볼만한 컨텐츠가 정말 많은지를 고려합니다.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뭔가 만족감을 느꼈던건 초창기인 것 같고, 유 튜브를 하지 않았으면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구독외에 사용할 방법이 없기도 하고(대체불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거에 굉장히 익숙해져있기 때문에 끊기 힘들다. 가장 마음에 드는 서비스는 멜론이고 불편했던 것도 멜론. 중간에 요금 올라서 갈아타려고 했는데 해지 방 법을 꽁꽁 숨겨놔서 귀찮아가지고 몇 달 미루다가 결국 쭉 사용하게 되었어요.저는 가격은 거의 고려요소가 되지 않고,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면 거의 구독하는 편입니다. 저는 유튜브 레드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안 썼을 때 생기는 불이익이 많아지는 기분이에 요. 마음에 들지 않은 서비스는 멜론인데요, 해 지하는게 너무 불편했고 해지 못하게 막아놓은 게 더 괘씸해져서 이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44.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정기 구독 서비스를 하루에, 일주일에 몇 번 사용하나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하루에 많이 사용합니다. 매일매일 쓰는 것 같아요. Q. 정기 구독 서비스의 결제는 누가 어떻게 하나요? 아이클라우드 같은 경우엔 24시간 사용하고 나머지 넷플릭스나 왓챠같은 경우엔 일주일에 2-4번 사용합니다.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본인부담 + 일부는 부모님이 본인 부담 본인 부담유튜브는 하루에 거의 10시간 정도를 시청해 요. 넷플릭스나 왓챠는 보고싶을 때 몰아보기 때문에 규칙적이지는 않습니다. 정기 구독 서 비스를 하루에 한번 이상은 무조건 사용하는 것 같아요.
  • 45.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정기 구독 서비스의 정확한 결제일 / 시간을 알고있나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제법 많이 이용하지만 하나도 모릅니다. 심지어 제가 통장내역을 수시로 확인하지 않아서 문자로 오는 것만 인지하는데, 카드 문자 올 때만 이게 결제됐구나를 알고 그 외에 따로 연락이 오지 않는 서비스는 알지 못합니다. Q. 정기 구독 서비스의 정확한 해지 방법을 알고 있나요? 모름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해지하는 방법을 모릅니다. 아이폰 어플은 해지 하는 법을 알아요. 그 외에 핸드폰, 어플 말고 웹으로 연결돼있거나 컴퓨터로 구독한 경우에는 방법을 전혀 알지 못합니다. 애플 아이디와 연결돼있거나 한 것의 서비스 해지 방법은 알고 있습니다. 멜론은 컴퓨터 켜서 해야해서 좀 걸리고 나머지 아 이클라우드, 넷플릭스, 왓챠는 애플 아이디 들어가서 하는 방법 알아요. 결제일 모릅니다. 돈이 빠져나가면 그 때 알아 차리게 됩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들은 다 한번쯤은 시도해봐서 알고있습니다.
  • 46.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Q. 어떠한 서비스가 정기구독 서비스와 같이 제공된다면, 구독서비스를 더욱 즐겁게 이용할 수 있을까요? 한혜린 (22세) 임현석 (30세) 한선우 (22세) 뜸하게 이용할 때 잠깐 일시정지 해놓거나 아니면 이용 현황을 분석해서 이건 이만큼 사용하지 않고 있으니 끊든지 하세요 처럼 상기시켜주는 어플. 내가 구독한 서비스들 다 합쳐서 얼마다 이런거 알려주는 서비스. 구독하고 있는 서비스를 한번에 볼 수 있기만해도 훨씬 편해질 것 같고, 그 화면 내에서 구독과 변경, 해지가 가능하다면 좋을 것 같아요. 구독하고 있는 서비스의 개수가 늘어나는게 부담스러울 때도 있지만 구독하면 더 편해지기 때문에 뭔가 신선한 구독 서비스를 새롭게 추천해주는 것도 반가울 것 같아요. 뜸하게 이용할 때 잠깐 일시정지 해놓거나 아니면 이용 현황을 분석해서 이건 이만큼 사용하지 않고 있으니 끊든지 하세요 처럼 상기시켜주는 어플. 내가 구독한 서비스들 다 합쳐서 얼마다 이런거 알려주는 서비스.
  • 48. Interview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사용자들의 정기구독을 관리해 줄 서비스 필요 : 온라인 설문조사 구독 관리 서비스의 니즈 파악 Pain Point : 비용을 모두 본인부담 혹은 일부 부담 하는데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돈 관리가 되지 않고 있음. 1:1 설문조사 1:1 응답자 모두 구독서비스의 정확한 구독 시작 시기 / 결제일 및 시간을 알지못함. 사용자들은 정기구독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하고 있지만 가격부담, 결제일, 해지의 불편함 등 을 느끼고 있었음. ‣ 결제일 관련 알림 ‣ 쉬운 해지 방법
  • 50.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핀테크 산업에서도 로봇과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자동화를 꾀하고 있다. 고객 서비스 센터에도 로봇을 도입하며, 인공지능과 자연어 처리를 적용해 정확도를 높이고 있는 추세다. 1. 인공지능 챗봇 콜센터 및 고객창구의 대기시간과 한정된 운영시간 등으로 인한 불편함 →언제 어디서든 원할 때, 간편하게 익숙한 메신저를 이용해 실제 사람과 대화 하듯 자연스러운 고객밀착형 상담. →편의성, 효율성,시공간을 넘어 맞춤형 고객 응대
  • 51.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예시 1) 최초의 챗봇 서비스 도입 기업 : 중국의 기업 ‘텐센트' - 메신저 위챗(WeChat) → 챗봇을 통한 음식점, 병원, 호텔 등 각종 편의 시설 예약. 영화표 구매. 택시 예약과 제품 결제 예시 2) 구글 스마트 메시지 앱 '알로(Allo)' → 메뉴 추천,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 가능, 맞춤 개인비서 1. 인공지능 챗봇
  • 52.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ex) 국내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웰컴봇' 24시간 응대 가능한 챗봇 은행원을 통해 인간 친화형 챗봇 서비스 제공. → 누구나 간편하고 쉽게 채팅방식으로 심야 시간 및 휴무와 상관 없이 대출 신청, 한도조회, 본인 인증 등의 모든 절차 가능. 1. 인공지능 챗봇 사례
  • 53.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2. 스크래핑 웹사이트에 보이는 정보 중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 금융고객은 번거로운 수고를 덜어낼 수 있고 금융사들은 서비스 편의성 개선은 물론 업무 자동화의 단초를 마련
  • 54.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2. 스크래핑 사례 예시) 계좌 통합 관리 분야(각 금융 기관에 흩어져 있는 금융 자산을 통합해 한 번에 조회, 이체 등의 거래를 하고 관리함), 이메일 통합 조회(여러 웹 메일을 사용하는 경우 한 번에 종합 확인), 호텔, 항공사, 렌터카, 주유소 마일리지 등 각종 보상 프로그램 활용, 물류 서비스의 배송 정보 추적, 뉴스, 날씨 등 카카오뱅크의 스크래핑 기술활용 → 고객의 서류 제출 등의 과정 없이, 카카오뱅크가 국세청 홈택스 등의 기관에서 고객 정보를 불러와 신용등급을 산정하는 시스템. → 대출 신청에서 실행까지 평균 5분 소요.
  • 55. 테크놀로지를 통한 고객 니즈 충족 구독서비스 이용자의 잠재적 니즈 충족 Technology Insight 2019 - 2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2 3. 결론 및 인사이트 결제와 취소 등의 어려움, 번거로움 → 과정의 간편화&자동화 알기 어려운 분산된 정보 → 구독정보 한 눈에 제공 유용한 구독서비스를 인공지능을 통한 개인 맞춤 추천 결제 금액, 통장 잔액 등 정기결제에 관한 계좌통합 관리 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 및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서비스 안내 및 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