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Risk Factors of
Perinatal depression
제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 수 영
여성의 일생에서의 임신
• Delightful effect
• 본능 충족
• 자신감 향상
질풍노도의 시기
 호르몬의 변화
 신체상의 변화
 역할 혼란
 대인관계 중요성 상승
 여성호르몬의 급격한 변화
 임신중 / 산후의 몸의 변화
 나에서 엄마로, 직업상태변동
 부부 갈등, 대인관계 제한
임산부 우울증의 현황
 산후우울증의 유병율: 10-20%
 산후 12개월 내 정신과 질환: 25.3% (미국)
 임산부의 25-35%가 우울증상을 호소
 7-13%가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기준에 충족
 산후우울증 → 주산기 우울증 (DSM 5, 2013)
 Major depressive disorder, postpartum onset (출산 4주 이내 발생
한 우울증)
→ peripartum onset (임신기간 및 출산 4주 이내 발생한 우울증)
주산기 우울증의 Risk Factors
- 기존 연구 결과
 인구학적요인: 낮은 연령, 낮은 교육 수준, 낮은 경제수준, 파
트너의 부재(싱글맘), 보험종류, 직업
 산과력: 많은 자녀 수, 유산/사산 횟수, 계획하지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임신
 과거력: 우울증의 과거력, 흡연
 정신사회적요인: 부족한 사회적 지지, 생활 스트레스, 불안,
가정폭력,
 국내 연구결과 (산후우울증을 대상으로 )
 낮은 사회경제적상태
 경산부
 배우자의 지지 부족, 임신기의 스트레스
주산기 우울의 Risk factors
– 본원 연구 data
연구집단의 특성
 2013.3.15~ 2014.12.15 질병관리본부 수탁과제
“임신관련 합병증 유병률 조사 및 위험인자 발굴”
 2592명의 산모가 참여
 나이: 평균 33.1세 (SD 3.8), 만35세 이상의 산모: 33.6%
 결혼상태: 기혼 96.6%
 직업: 직업이 있는 경우 62.0%
 최종학력: 고졸이하(8.7%), 대졸(71.1%), 대학원졸(20.0%)
 가계소득: 300만원미만(15.6%), 300-500만원(40.7%), 500만원이상
(43.5%)
주산기 우울증
- 임신시기별 정신건강 현황
1분기
(N=1904)
2분기
(N=1055)
3분기
(N=882)
산후1달
(N=621)
주산기 우울증 선별자(%)
(한국기준: EPDS 10점 이상)
18.3% 10.6% 12.8% 15.0%
주산기우울증(EDPS)점수(0-30) 6.0 ± 4.1 4.9 ± 3.6 5.1 ± 3.7 5.3 ± 4.0
일반불안 점수(0-21) 3.8 ± 2.5 3.4 ± 2.3 3.7 ± 2.5 3.5 ± 2.7
스트레스 (0-10) 4.4 ± 2.3 3.6 ± 2.2 3.5 ± 2.1 4.4 ± 2.2
주관적 건강상태(0-100) 74.3 ± 15.5 75.7 ± 13.8 73.0 ± 15.8 68.5 ±15.3
삶의 질 (최상5-최하15) 6.1 ± 1.3 6.2 ± 1.2 7.0 ± 1.7 6.1 ± 1.2
결혼만족도 (0-6) 3.6 ± 0.9 3.5 ± 0.8 3.6 ± 0.9 3.5 ± 0.9
• 주산기 우울증 점수; 에딘버러 산후우울증 척도(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 불안 점수; 병원 우울 불안 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중 불안점수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분야 선정된 위험요인 후보 (Probable risk factors)
역학
나이, 체중/BMI, 결혼상태, 가족의 형태 및 동거가족범위, 직
업상태(임신으로 인한 휴직/퇴직 포함), 가계소득, 학력
흡연음주력, 가족력, 과거력 흡연력, 음주력, 가족력, 과거력
산과력
GPLDA(임신횟수, 분만횟수, 생존자녀수, 사산횟수, 인공유산
횟수, 자연유산횟수), 계획임신여부, 수태방법, 단태/쌍태, 입
덧, 절박유산여부
정신사회적 요인
신체활동, 생활스트레스 (Distress thermometer; 실생활문제,
관계문제, 정서적문제, 종교적문제, 신체적문제의 38항목으로
구성), 결혼만족도, 삶의 질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역학
역학적 위험요인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현재 bmi* <23.0
≥23.0
75.3%
24.7%
80.2%
19.8%
5.13 .024
1.33(1.04-1.70) .024
결혼상태*
미혼,동거,별거,이혼,사별
기혼
6.0%
94.0%
2.8%
97.2%
11.17 .001
2.23(1.38-3.61) .001
직업*
없음
있음
48.5%
51.5%
35.8%
64.2%
24.11 <.001
1.69(1.37-2.09) <.001
가계소득*
300만원 미만*
300이상~500미만
500만원 이상
22.7%
44.8%
32.5%
14.2%
40.0%
45.8%
32.7 <.001
2.27(1.69-3.03)
1.58(1.24-2.00)
<.001
.671
학력*
고등학교졸업 이하
대학교졸업 이상
13.9%
86.1%
8.4%
91.6%
12.25 .001 1.75(1.28-2.41) .001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상 p<0.05인 변수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 BMI
0
5
10
15
20
25
30
1분기 2분기 3분기 산후1달
%
임신전 BMI범위에 따른 우울증 발생율(%)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정상체중 BMI < 23
과체중 23.0 ≤ BMI < 25.0
비만 BMI ≥ 25
† †
*
*
*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 BMI
0
5
10
15
20
25
1분기 2분기 3분기 산후1달
%
분기별 BMI범위에 따른 우울증 발생율(%)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정상체중 BMI < 23
과체중 23.0 ≤ BMI < 25.0
비만 BMI ≥ 25
*
*
*
*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가족/질병력 (임신1분기 산모 대상)
위험요인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가족력 우울증* 4.9% 2.0% 10.66 .005 2.54(1.39-4.64) <.001
질병력 당뇨* 2.6% 0.9% 4.08 .009 2.81(1.20-6.58) .018
우울증* 1.7% 0.5% 5.70 .017 3.20(1.09-9.39) .034
다낭성
난소질환*
2.6% 1.0% 6.61 .010 2.58(1.22-5.47) .013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상 p<0.05인 변수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산과력
산과력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임신횟수*
1회
2회이상
36.2%
63.8%
46.5%
53.5%
15.20 <.001 1.53(1.24-1.91) <.001
분만횟수*
0회
1회이상
56.8%
43.2%
62.4%
37.6%
4.55 .033 1.26(1.02-1.56) .033
생존자녀수*
0명
1명이상
57.5%
42.5%
63.1%
36.9%
4.57 .033 1.26(1.02-1.56) .033
인공유산*
0회
1회이상
83.1%
16.9%
88.2%
11.8%
8.21 .004 1.52(1.14-2.03) .004
자연유산
0회
1회이상
76.3%
23.7%
79.4%
20.6%
2.05 .153 1.20(0.94-1.54) .153
사산
0회
1회이상
98.6%
1.4%
98.9%
1.1%
0.24 .621 1.26(0.51-3.14) .622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상 p<0.05인 변수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산과력
산과력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계획임신여부*
아니다
그렇다
45.0%
55.0%
37.5%
62.5%
8.44 .004 1.37(1.11-1.67) .004
원하지않은 임신* 5.7% 2.7% 4.24 .040 2.18(1.02-4.67) .044
수태방법
자연임신
인공수정 등
94.2%
5.8%
94.5%
5.5%
0.06 .802 1.06(0.68-1.66) .802
태아수
단태아
쌍태아
98.6%
1.4%
98.6%
1.4%
0.00 .957 0.98(0.40-2.38) .957
입덧* 86.3% 80.2% 8.66 .003 1.56(1.16-2.10) .004
절박유산* 19.3% 14.5% 6.18 .013 1.41(1.07-1.85) .013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상 p<0.05인 변수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 신체활동
신체활동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임신전 주된 신체활동
안정상태
가벼운 활동
보통활동
심한활동이상
2.6%
53.4%
43.2%
0.9%
1.5%
58.6%
39.1%
0.8%
5.36 .148
0.55(0.27-1.11)
0.66(0.33-1.35)
0.70(0.19-2.59)
.137
.700
.980
현재 주된 신체활동*
안정상태
가벼운 활동
보통활동 이상
심한활동이상
34.6%
44.3%
21.1%
0.0%
19.9%
59.1%
21.0%
0.1%
47.40 <.001
0.43(0.34-0.55)
0.58(0.43-0.77)
-
<.001
.317
-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정신사회적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OR
(95% CI)
p
실생활문제 자녀보육* 27.4% 14.0% 23.43 <.001 1.81(1.42-2.31) <.001
주거* 14.2% 7.6% 18.70 <.001 2.00(1.45-2.76) <.001
보험* 4.2% 2.2% 5.74 .017 1.97(1.12-3.46) .019
재정* 17.6% 8.0% 36.60 <.001 2.45(1.82-3.30) <.001
가정문제 자녀와의 관계* 11.1% 5.3% 19.69 <.001 2.22(1.55-3.19) <.001
배우자와의 관계* 27.2% 7.5% 136.82 <.001 4.60(3.50-6.04) <.001
시댁과의 관계* 19.3% 7.7% 52.68 <.001 2.85(2.13-3.83) <.001
친정과의 관계* 8.1% 4.3% 10.54 .001 1.85(1.30-2.94) .001
정서문제 우울함* 44.3% 8.8% 276.01 <.001 4.01(2.99-5.61) <.001
두려움* 41.7% 14.5% 133.55 <.001 2.18(1.59-2.98) <.001
신경질* 51.2% 26.9% 155.30 <.001 1.60(1.22-2.11) .001
슬픔* 26.2% 5.1% 128.1 <.001 2.17(1.47-3.22) <.001
걱정* 64.4% 37.9% 81.29 <.001 1.35(1.01-1.82) .045
일상에 흥미상실* 36.2% 15.1% 82.44 <.001 1.52(1.12-2.06) .008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OR
(95% CI)
p
신체문제 외관* 23.7% 15.7% 15.71 .001 1.67(1.29-2.15) <.001
목욕/옷갈아입기* 12.1% 4.5% 35.56 <.001 2.88(2.01-4.14) <.001
호흡* 13.5% 6.8% 21.37 <.001 2.14(1.54-2.98) <.001
소변의 변화 31.6% 27.1% 3.46 .063 1.24(0.99-1.55) .063
변비 35.7% 30.9% 3.77 .052 1.24(1.00-1.64) .052
설사* 13.0% 8.7% 7.46 .006 1.56(1.13-2.16) .007
식사* 53.6% 41.6% 20.43 <.001 1.62(1.31-2.00) <.001
피로* 67.1% 54.1% 23.99 <.001 1.73(1.39-2.15) <.001
부은 느낌* 22.5% 14.3% 17.67 <.001 1.74(1.34-2.26) <.001
열* 15.1% 9.1% 13.78 <.001 1.78(1.31-2.42) <.001
거동* 16.2% 6.9% 38.61 <.001 2.61(1.91-3.56) <.001
소화불량* 65.2% 49.3% 35.39 <.001 1.92(1.55-2.39) <.001
기억력/집중력* 23.4% 8.4% 80.70 <.001 3.36(2.55-4.43) <.001
입 쓰라림* 10.7% 6.3% 9.94 .002 1.77(1.24-2.52) .002
구역질* 58.9% 44.1% 31.20 <.001 1.82(1.47-2.25) <.001
코건조/코막힘 30.9% 28.1% 1.30 .253 1.14(0.91-1.43) .254
통증* 16.2% 9.5% 16.90 <.001 1.86(1.38-2.50) <.001
성적 문제* 3.9% 1.5% 11.24 .001 2.74(1.48-5.04) .001
피부건조/가려움* 35.0% 23.1% 26.53 <.001 1.80(1.44-2.25) <.001
수면* 39.7% 22.5% 54.23 <.001 2.27(1.82-2.83) <.001
손발쑤심* 16.0% 6.7% 39.32 <.001 2.65(1.94-3.63) <.001
Promoting Perinatal
Mental Health
Risk Management
 Greater challenges exist for Peripartum depression
 조정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의 가지치기
분야 선정된 위험요인 후보 (Probable risk factors)
역학 나이, 체중/BMI, 결혼상태, 직업상태, 가계소득, 학력
흡연음주력, 가족력, 과거력 가족력, 과거력
산과력 GPLDA, 계획임신여부, 입덧, 절박유산
정신사회적 요인 신체활동, 생활스트레스
Risk Management
 체중관리 : 산전체중관리, 임신중 적정체중증가
 신체활동: ‘가벼운 활동’이 권장
 10분 이상 걷기
 사무, 관리, 기술직 종사자, 가사일이 적은 주부 : 직업활동은 긍정적 효과
 스트레스
 가정문제: 배우자와의 관계 (가장 중요), 자녀와의 관계(보육), 시댁과의 관계,
친정과의 관계
 신체관련 스트레스: 목욕, 거동과 같은 문제
 주의를 기울일 집단
 경산부, 계획하지 않은 임신
 입덧이 심하거나 절박유산이 있었던 경우
 저소득층, 현재 직업이 없는 경우, 현재 배우자가 없는 경우
Risk Management
 배우자 참여의 중요성
 신체활동, 직업활동, 대인관계충족의 동시 향상
 함께 면담을 온 것 만으로도 효과
 Promoting Motivation
 It Timing!
 환자 심리와 비슷한 임산부의 심리
 퇴행, 자신감이 적어지고, 불안, 서운함
 Stress- Obstetrical Complication간의 관련성
 Mother-child relationship에 엄마의 자존감이 중요
(마더리스크라운드) Depression in Pregnancy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Market Research Report : Freight forwarding market in india 2015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Freight forwarding market in india 2015 - SampleMarket Research Report : Freight forwarding market in india 2015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Freight forwarding market in india 2015 - Sample
Netscribes, Inc.
 
Market Research Report : Shipping and port market in india 2014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Shipping and port market in india 2014 - SampleMarket Research Report : Shipping and port market in india 2014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Shipping and port market in india 2014 - Sample
Netscribes, Inc.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동향: 2016년 1분기 (Global Digital Healthcare Trends: 2016 1Q)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동향: 2016년 1분기 (Global Digital Healthcare Trends: 2016 1Q)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동향: 2016년 1분기 (Global Digital Healthcare Trends: 2016 1Q)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동향: 2016년 1분기 (Global Digital Healthcare Trends: 2016 1Q)
Yoon Sup Choi
 
Shipping industry in India
Shipping industry in IndiaShipping industry in India
Shipping industry in India
Aadii Bhatia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Chiweon Kim
 
From Customer Insights to Action
From Customer Insights to ActionFrom Customer Insights to Action
From Customer Insights to Action
Capgemini
 
5 Key Customer Retention Stats (Infographic)
5 Key Customer Retention Stats (Infographic)5 Key Customer Retention Stats (Infographic)
5 Key Customer Retention Stats (Infographic)
Viabl
 
The Hierarchy of Engagement
The Hierarchy of EngagementThe Hierarchy of Engagement
The Hierarchy of Engagement
Greylock Partne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LinkedIn
 

Viewers also liked (9)

Market Research Report : Freight forwarding market in india 2015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Freight forwarding market in india 2015 - SampleMarket Research Report : Freight forwarding market in india 2015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Freight forwarding market in india 2015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Shipping and port market in india 2014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Shipping and port market in india 2014 - SampleMarket Research Report : Shipping and port market in india 2014 - Sample
Market Research Report : Shipping and port market in india 2014 - Sample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동향: 2016년 1분기 (Global Digital Healthcare Trends: 2016 1Q)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동향: 2016년 1분기 (Global Digital Healthcare Trends: 2016 1Q)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동향: 2016년 1분기 (Global Digital Healthcare Trends: 2016 1Q)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동향: 2016년 1분기 (Global Digital Healthcare Trends: 2016 1Q)
 
Shipping industry in India
Shipping industry in IndiaShipping industry in India
Shipping industry in India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From Customer Insights to Action
From Customer Insights to ActionFrom Customer Insights to Action
From Customer Insights to Action
 
5 Key Customer Retention Stats (Infographic)
5 Key Customer Retention Stats (Infographic)5 Key Customer Retention Stats (Infographic)
5 Key Customer Retention Stats (Infographic)
 
The Hierarchy of Engagement
The Hierarchy of EngagementThe Hierarchy of Engagement
The Hierarchy of Engagement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Study: The Future of VR, AR and Self-Driving Cars
 

More from mothersafe

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40주의 우주
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40주의 우주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40주의 우주
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40주의 우주
mothersafe
 
Safety of Mebendazole Use During Lactation
Safety of Mebendazole Use During LactationSafety of Mebendazole Use During Lactation
Safety of Mebendazole Use During Lactation
mothersafe
 
Breastfeeding domeperiodne
Breastfeeding domeperiodneBreastfeeding domeperiodne
Breastfeeding domeperiodne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Breastfeeding
(마더리스크라운드) Breastfeeding (마더리스크라운드) Breastfeeding
(마더리스크라운드) Breastfeeding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Immunology in pregnancy /강원대 의대 나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Immunology in pregnancy /강원대 의대 나성훈 교수(마더리스크라운드) Immunology in pregnancy /강원대 의대 나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Immunology in pregnancy /강원대 의대 나성훈 교수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임신 중 갑상선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임신 중 갑상선(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임신 중 갑상선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임신 중 갑상선
mothersafe
 
Antiepileptics in pregnancy
Antiepileptics in pregnancyAntiepileptics in pregnancy
Antiepileptics in pregnancy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Diclectin in NVP / 한정열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Diclectin in NVP / 한정열 교수(마더리스크라운드) Diclectin in NVP / 한정열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Diclectin in NVP / 한정열 교수
mothersafe
 
Diclectin in NVP, 44th 유럽기형학회보고 / 한정열 교수
Diclectin in NVP, 44th 유럽기형학회보고 / 한정열 교수Diclectin in NVP, 44th 유럽기형학회보고 / 한정열 교수
Diclectin in NVP, 44th 유럽기형학회보고 / 한정열 교수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Developmental programming
(마더리스크라운드) Developmental programming (마더리스크라운드) Developmental programming
(마더리스크라운드) Developmental programming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Determination of Isotretinoin & Acitretin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Determination of Isotretinoin & Acitretin in Pregnancy(마더리스크라운드) Determination of Isotretinoin & Acitretin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Determination of Isotretinoin & Acitretin in Pregnancy
mothersafe
 
(마더리스크 라운드) 임신 중 운동 exercise in pregnancy
(마더리스크 라운드) 임신 중 운동 exercise in pregnancy(마더리스크 라운드) 임신 중 운동 exercise in pregnancy
(마더리스크 라운드) 임신 중 운동 exercise in pregnancy
mothersafe
 
Smoking in pregnancy
Smoking in pregnancySmoking in pregnancy
Smoking in pregnancy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mothersafe
 
ECV 역아회전술- 한정열 단국대 의대 교수
ECV 역아회전술- 한정열 단국대 의대 교수ECV 역아회전술- 한정열 단국대 의대 교수
ECV 역아회전술- 한정열 단국대 의대 교수
mothersafe
 
2016 마더세이프 사업미팅
2016 마더세이프 사업미팅2016 마더세이프 사업미팅
2016 마더세이프 사업미팅
mothersafe
 
임산부 영양상담
임산부 영양상담임산부 영양상담
임산부 영양상담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과 당뇨병 - 단국대의대 제일병원 김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과 당뇨병 - 단국대의대 제일병원 김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과 당뇨병 - 단국대의대 제일병원 김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과 당뇨병 - 단국대의대 제일병원 김성훈 교수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천식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천식(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천식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천식
mothersafe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알콜 - fasd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알콜 - fasd(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알콜 - fasd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알콜 - fasd
mothersafe
 

More from mothersafe (20)

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40주의 우주
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40주의 우주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40주의 우주
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40주의 우주
 
Safety of Mebendazole Use During Lactation
Safety of Mebendazole Use During LactationSafety of Mebendazole Use During Lactation
Safety of Mebendazole Use During Lactation
 
Breastfeeding domeperiodne
Breastfeeding domeperiodneBreastfeeding domeperiodne
Breastfeeding domeperiodne
 
(마더리스크라운드) Breastfeeding
(마더리스크라운드) Breastfeeding (마더리스크라운드) Breastfeeding
(마더리스크라운드) Breastfeeding
 
(마더리스크라운드) Immunology in pregnancy /강원대 의대 나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Immunology in pregnancy /강원대 의대 나성훈 교수(마더리스크라운드) Immunology in pregnancy /강원대 의대 나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Immunology in pregnancy /강원대 의대 나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임신 중 갑상선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임신 중 갑상선(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임신 중 갑상선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임신 중 갑상선
 
Antiepileptics in pregnancy
Antiepileptics in pregnancyAntiepileptics in pregnancy
Antiepileptics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Diclectin in NVP / 한정열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Diclectin in NVP / 한정열 교수(마더리스크라운드) Diclectin in NVP / 한정열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Diclectin in NVP / 한정열 교수
 
Diclectin in NVP, 44th 유럽기형학회보고 / 한정열 교수
Diclectin in NVP, 44th 유럽기형학회보고 / 한정열 교수Diclectin in NVP, 44th 유럽기형학회보고 / 한정열 교수
Diclectin in NVP, 44th 유럽기형학회보고 / 한정열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Developmental programming
(마더리스크라운드) Developmental programming (마더리스크라운드) Developmental programming
(마더리스크라운드) Developmental programming
 
(마더리스크라운드) Determination of Isotretinoin & Acitretin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Determination of Isotretinoin & Acitretin in Pregnancy(마더리스크라운드) Determination of Isotretinoin & Acitretin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Determination of Isotretinoin & Acitretin in Pregnancy
 
(마더리스크 라운드) 임신 중 운동 exercise in pregnancy
(마더리스크 라운드) 임신 중 운동 exercise in pregnancy(마더리스크 라운드) 임신 중 운동 exercise in pregnancy
(마더리스크 라운드) 임신 중 운동 exercise in pregnancy
 
Smoking in pregnancy
Smoking in pregnancySmoking in pregnancy
Smoking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마더리스크라운드) Thyroid Disease in Pregnancy
 
ECV 역아회전술- 한정열 단국대 의대 교수
ECV 역아회전술- 한정열 단국대 의대 교수ECV 역아회전술- 한정열 단국대 의대 교수
ECV 역아회전술- 한정열 단국대 의대 교수
 
2016 마더세이프 사업미팅
2016 마더세이프 사업미팅2016 마더세이프 사업미팅
2016 마더세이프 사업미팅
 
임산부 영양상담
임산부 영양상담임산부 영양상담
임산부 영양상담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과 당뇨병 - 단국대의대 제일병원 김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과 당뇨병 - 단국대의대 제일병원 김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과 당뇨병 - 단국대의대 제일병원 김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과 당뇨병 - 단국대의대 제일병원 김성훈 교수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천식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천식(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천식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천식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알콜 - fasd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알콜 - fasd(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알콜 - fasd
(마더리스크라운드) 임신 중 알콜 - fasd
 

(마더리스크라운드) Depression in Pregnancy

  • 1. Risk Factors of Perinatal depression 제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 수 영
  • 2. 여성의 일생에서의 임신 • Delightful effect • 본능 충족 • 자신감 향상
  • 3. 질풍노도의 시기  호르몬의 변화  신체상의 변화  역할 혼란  대인관계 중요성 상승  여성호르몬의 급격한 변화  임신중 / 산후의 몸의 변화  나에서 엄마로, 직업상태변동  부부 갈등, 대인관계 제한
  • 4. 임산부 우울증의 현황  산후우울증의 유병율: 10-20%  산후 12개월 내 정신과 질환: 25.3% (미국)  임산부의 25-35%가 우울증상을 호소  7-13%가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기준에 충족  산후우울증 → 주산기 우울증 (DSM 5, 2013)  Major depressive disorder, postpartum onset (출산 4주 이내 발생 한 우울증) → peripartum onset (임신기간 및 출산 4주 이내 발생한 우울증)
  • 5. 주산기 우울증의 Risk Factors - 기존 연구 결과  인구학적요인: 낮은 연령, 낮은 교육 수준, 낮은 경제수준, 파 트너의 부재(싱글맘), 보험종류, 직업  산과력: 많은 자녀 수, 유산/사산 횟수, 계획하지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임신  과거력: 우울증의 과거력, 흡연  정신사회적요인: 부족한 사회적 지지, 생활 스트레스, 불안, 가정폭력,  국내 연구결과 (산후우울증을 대상으로 )  낮은 사회경제적상태  경산부  배우자의 지지 부족, 임신기의 스트레스
  • 6. 주산기 우울의 Risk factors – 본원 연구 data
  • 7. 연구집단의 특성  2013.3.15~ 2014.12.15 질병관리본부 수탁과제 “임신관련 합병증 유병률 조사 및 위험인자 발굴”  2592명의 산모가 참여  나이: 평균 33.1세 (SD 3.8), 만35세 이상의 산모: 33.6%  결혼상태: 기혼 96.6%  직업: 직업이 있는 경우 62.0%  최종학력: 고졸이하(8.7%), 대졸(71.1%), 대학원졸(20.0%)  가계소득: 300만원미만(15.6%), 300-500만원(40.7%), 500만원이상 (43.5%)
  • 8. 주산기 우울증 - 임신시기별 정신건강 현황 1분기 (N=1904) 2분기 (N=1055) 3분기 (N=882) 산후1달 (N=621) 주산기 우울증 선별자(%) (한국기준: EPDS 10점 이상) 18.3% 10.6% 12.8% 15.0% 주산기우울증(EDPS)점수(0-30) 6.0 ± 4.1 4.9 ± 3.6 5.1 ± 3.7 5.3 ± 4.0 일반불안 점수(0-21) 3.8 ± 2.5 3.4 ± 2.3 3.7 ± 2.5 3.5 ± 2.7 스트레스 (0-10) 4.4 ± 2.3 3.6 ± 2.2 3.5 ± 2.1 4.4 ± 2.2 주관적 건강상태(0-100) 74.3 ± 15.5 75.7 ± 13.8 73.0 ± 15.8 68.5 ±15.3 삶의 질 (최상5-최하15) 6.1 ± 1.3 6.2 ± 1.2 7.0 ± 1.7 6.1 ± 1.2 결혼만족도 (0-6) 3.6 ± 0.9 3.5 ± 0.8 3.6 ± 0.9 3.5 ± 0.9 • 주산기 우울증 점수; 에딘버러 산후우울증 척도(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 불안 점수; 병원 우울 불안 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중 불안점수
  • 9.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분야 선정된 위험요인 후보 (Probable risk factors) 역학 나이, 체중/BMI, 결혼상태, 가족의 형태 및 동거가족범위, 직 업상태(임신으로 인한 휴직/퇴직 포함), 가계소득, 학력 흡연음주력, 가족력, 과거력 흡연력, 음주력, 가족력, 과거력 산과력 GPLDA(임신횟수, 분만횟수, 생존자녀수, 사산횟수, 인공유산 횟수, 자연유산횟수), 계획임신여부, 수태방법, 단태/쌍태, 입 덧, 절박유산여부 정신사회적 요인 신체활동, 생활스트레스 (Distress thermometer; 실생활문제, 관계문제, 정서적문제, 종교적문제, 신체적문제의 38항목으로 구성), 결혼만족도, 삶의 질
  • 10.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역학 역학적 위험요인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현재 bmi* <23.0 ≥23.0 75.3% 24.7% 80.2% 19.8% 5.13 .024 1.33(1.04-1.70) .024 결혼상태* 미혼,동거,별거,이혼,사별 기혼 6.0% 94.0% 2.8% 97.2% 11.17 .001 2.23(1.38-3.61) .001 직업* 없음 있음 48.5% 51.5% 35.8% 64.2% 24.11 <.001 1.69(1.37-2.09) <.001 가계소득* 300만원 미만* 300이상~500미만 500만원 이상 22.7% 44.8% 32.5% 14.2% 40.0% 45.8% 32.7 <.001 2.27(1.69-3.03) 1.58(1.24-2.00) <.001 .671 학력* 고등학교졸업 이하 대학교졸업 이상 13.9% 86.1% 8.4% 91.6% 12.25 .001 1.75(1.28-2.41) .001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상 p<0.05인 변수
  • 11.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 BMI 0 5 10 15 20 25 30 1분기 2분기 3분기 산후1달 % 임신전 BMI범위에 따른 우울증 발생율(%)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정상체중 BMI < 23 과체중 23.0 ≤ BMI < 25.0 비만 BMI ≥ 25 † † * * *
  • 12.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 BMI 0 5 10 15 20 25 1분기 2분기 3분기 산후1달 % 분기별 BMI범위에 따른 우울증 발생율(%)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정상체중 BMI < 23 과체중 23.0 ≤ BMI < 25.0 비만 BMI ≥ 25 * * * *
  • 13.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가족/질병력 (임신1분기 산모 대상) 위험요인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가족력 우울증* 4.9% 2.0% 10.66 .005 2.54(1.39-4.64) <.001 질병력 당뇨* 2.6% 0.9% 4.08 .009 2.81(1.20-6.58) .018 우울증* 1.7% 0.5% 5.70 .017 3.20(1.09-9.39) .034 다낭성 난소질환* 2.6% 1.0% 6.61 .010 2.58(1.22-5.47) .013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상 p<0.05인 변수
  • 14.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산과력 산과력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임신횟수* 1회 2회이상 36.2% 63.8% 46.5% 53.5% 15.20 <.001 1.53(1.24-1.91) <.001 분만횟수* 0회 1회이상 56.8% 43.2% 62.4% 37.6% 4.55 .033 1.26(1.02-1.56) .033 생존자녀수* 0명 1명이상 57.5% 42.5% 63.1% 36.9% 4.57 .033 1.26(1.02-1.56) .033 인공유산* 0회 1회이상 83.1% 16.9% 88.2% 11.8% 8.21 .004 1.52(1.14-2.03) .004 자연유산 0회 1회이상 76.3% 23.7% 79.4% 20.6% 2.05 .153 1.20(0.94-1.54) .153 사산 0회 1회이상 98.6% 1.4% 98.9% 1.1% 0.24 .621 1.26(0.51-3.14) .622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상 p<0.05인 변수
  • 15.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산과력 산과력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계획임신여부* 아니다 그렇다 45.0% 55.0% 37.5% 62.5% 8.44 .004 1.37(1.11-1.67) .004 원하지않은 임신* 5.7% 2.7% 4.24 .040 2.18(1.02-4.67) .044 수태방법 자연임신 인공수정 등 94.2% 5.8% 94.5% 5.5% 0.06 .802 1.06(0.68-1.66) .802 태아수 단태아 쌍태아 98.6% 1.4% 98.6% 1.4% 0.00 .957 0.98(0.40-2.38) .957 입덧* 86.3% 80.2% 8.66 .003 1.56(1.16-2.10) .004 절박유산* 19.3% 14.5% 6.18 .013 1.41(1.07-1.85) .013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상 p<0.05인 변수
  • 16.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 신체활동 신체활동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 OR (95% CI) p 임신전 주된 신체활동 안정상태 가벼운 활동 보통활동 심한활동이상 2.6% 53.4% 43.2% 0.9% 1.5% 58.6% 39.1% 0.8% 5.36 .148 0.55(0.27-1.11) 0.66(0.33-1.35) 0.70(0.19-2.59) .137 .700 .980 현재 주된 신체활동* 안정상태 가벼운 활동 보통활동 이상 심한활동이상 34.6% 44.3% 21.1% 0.0% 19.9% 59.1% 21.0% 0.1% 47.40 <.001 0.43(0.34-0.55) 0.58(0.43-0.77) - <.001 .317 -
  • 17. 주산기 우울의 위험요인- 정신사회적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OR (95% CI) p 실생활문제 자녀보육* 27.4% 14.0% 23.43 <.001 1.81(1.42-2.31) <.001 주거* 14.2% 7.6% 18.70 <.001 2.00(1.45-2.76) <.001 보험* 4.2% 2.2% 5.74 .017 1.97(1.12-3.46) .019 재정* 17.6% 8.0% 36.60 <.001 2.45(1.82-3.30) <.001 가정문제 자녀와의 관계* 11.1% 5.3% 19.69 <.001 2.22(1.55-3.19) <.001 배우자와의 관계* 27.2% 7.5% 136.82 <.001 4.60(3.50-6.04) <.001 시댁과의 관계* 19.3% 7.7% 52.68 <.001 2.85(2.13-3.83) <.001 친정과의 관계* 8.1% 4.3% 10.54 .001 1.85(1.30-2.94) .001 정서문제 우울함* 44.3% 8.8% 276.01 <.001 4.01(2.99-5.61) <.001 두려움* 41.7% 14.5% 133.55 <.001 2.18(1.59-2.98) <.001 신경질* 51.2% 26.9% 155.30 <.001 1.60(1.22-2.11) .001 슬픔* 26.2% 5.1% 128.1 <.001 2.17(1.47-3.22) <.001 걱정* 64.4% 37.9% 81.29 <.001 1.35(1.01-1.82) .045 일상에 흥미상실* 36.2% 15.1% 82.44 <.001 1.52(1.12-2.06) .008
  • 18. 정신사회적 위험요인 우울증선별군 (%) 비선별군 (%) t/X2 p AdjustedOR (95% CI) p 신체문제 외관* 23.7% 15.7% 15.71 .001 1.67(1.29-2.15) <.001 목욕/옷갈아입기* 12.1% 4.5% 35.56 <.001 2.88(2.01-4.14) <.001 호흡* 13.5% 6.8% 21.37 <.001 2.14(1.54-2.98) <.001 소변의 변화 31.6% 27.1% 3.46 .063 1.24(0.99-1.55) .063 변비 35.7% 30.9% 3.77 .052 1.24(1.00-1.64) .052 설사* 13.0% 8.7% 7.46 .006 1.56(1.13-2.16) .007 식사* 53.6% 41.6% 20.43 <.001 1.62(1.31-2.00) <.001 피로* 67.1% 54.1% 23.99 <.001 1.73(1.39-2.15) <.001 부은 느낌* 22.5% 14.3% 17.67 <.001 1.74(1.34-2.26) <.001 열* 15.1% 9.1% 13.78 <.001 1.78(1.31-2.42) <.001 거동* 16.2% 6.9% 38.61 <.001 2.61(1.91-3.56) <.001 소화불량* 65.2% 49.3% 35.39 <.001 1.92(1.55-2.39) <.001 기억력/집중력* 23.4% 8.4% 80.70 <.001 3.36(2.55-4.43) <.001 입 쓰라림* 10.7% 6.3% 9.94 .002 1.77(1.24-2.52) .002 구역질* 58.9% 44.1% 31.20 <.001 1.82(1.47-2.25) <.001 코건조/코막힘 30.9% 28.1% 1.30 .253 1.14(0.91-1.43) .254 통증* 16.2% 9.5% 16.90 <.001 1.86(1.38-2.50) <.001 성적 문제* 3.9% 1.5% 11.24 .001 2.74(1.48-5.04) .001 피부건조/가려움* 35.0% 23.1% 26.53 <.001 1.80(1.44-2.25) <.001 수면* 39.7% 22.5% 54.23 <.001 2.27(1.82-2.83) <.001 손발쑤심* 16.0% 6.7% 39.32 <.001 2.65(1.94-3.63) <.001
  • 20. Risk Management  Greater challenges exist for Peripartum depression  조정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의 가지치기 분야 선정된 위험요인 후보 (Probable risk factors) 역학 나이, 체중/BMI, 결혼상태, 직업상태, 가계소득, 학력 흡연음주력, 가족력, 과거력 가족력, 과거력 산과력 GPLDA, 계획임신여부, 입덧, 절박유산 정신사회적 요인 신체활동, 생활스트레스
  • 21. Risk Management  체중관리 : 산전체중관리, 임신중 적정체중증가  신체활동: ‘가벼운 활동’이 권장  10분 이상 걷기  사무, 관리, 기술직 종사자, 가사일이 적은 주부 : 직업활동은 긍정적 효과  스트레스  가정문제: 배우자와의 관계 (가장 중요), 자녀와의 관계(보육), 시댁과의 관계, 친정과의 관계  신체관련 스트레스: 목욕, 거동과 같은 문제  주의를 기울일 집단  경산부, 계획하지 않은 임신  입덧이 심하거나 절박유산이 있었던 경우  저소득층, 현재 직업이 없는 경우, 현재 배우자가 없는 경우
  • 22. Risk Management  배우자 참여의 중요성  신체활동, 직업활동, 대인관계충족의 동시 향상  함께 면담을 온 것 만으로도 효과  Promoting Motivation  It Timing!  환자 심리와 비슷한 임산부의 심리  퇴행, 자신감이 적어지고, 불안, 서운함  Stress- Obstetrical Complication간의 관련성  Mother-child relationship에 엄마의 자존감이 중요

Editor's Notes

  1. 산후의 체중잔류와 비만 문제에 대해서 우울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 또 받는지에 대해서 리뷰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연구데이터를 토대로 산모에서의 비만과 임신중/산후우울증간의 관련성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2. 2014년 산모 평균 출산 연령 서울 32.47세, 전국 31.84세
  3. 한국기준이 서양기준보다 커트라인이 낮아 1분기 %가 높은 경향이 있음. 국내 기존연구(임신기간 총합 약26.5%, 2009년 최세경 등) / 서양연구 (12%내외)
  4. 아마도 p value가 0.001이하인 변수를 파란색으로 표시하신 듯 합니다만, 위험도 분석에서는 adjusted OR이 더 중요시 되어 그 기준으로 다시 표시를 하였습니다^^ 현재 기혼 상태가 아니면 임신중 우울증 발생의 위험도가 2.3배 현재 직업이 없을 경우 우울증 발생 위험도는 1.3배 가계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집단이 500만원 이상인 집단에 비해 위험도가 1.9배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odds ratio가 가장 큰 요인은 결혼여부로, 혼전임신상태 또는 결혼상태의 깨어짐이 산모의 우울을 유발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하는 역학적 요인으로 보인다.
  5. 각종 과거력 요인에서는, 본인이 우울증을 앓았던 적이 있을 경우 임신중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3.2배 상승하였으며, 당뇨가 있을 경우 2.8배, 우울증 가족력이 있을 경우 2.5배 임신중우울증의 위험도가 상승하였다. 산과력 중에서는, 인공유산의 과거력이 있을 경우 현재 임신중 우울이 발생할 위험도가 2.1배 상승하였으며, 임신1분기에 입덧이 있는 산모가 없는 산모에 비해 1.5배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다음은 스트레스 측정 척도의 문항을 통해 정신사회적 위험요소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이다. 실생활 문제에서 유의미한 위험 요인은 자녀보육, 주거, 재정 문제로 이 중 재정문제가 있을 경우 우울증위험도가 1.9배로 가장 높게 상승되었다. 가정문제 중에서는 배우자와의 문제가 있을 경우 우울증 위험도가 3.6배, 시댁과의 문제가 있을 경우 위험도가 1.8배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정서문제 항목은 우울증과 연관된 단어들로, 산모가 이러한 단어로 문제를 호소할 경우 모두 우울증의 위험도가 올라감을 알 수 있으며 가장 위험도가 높은 단어는 “우울함” 이었다. ** 배우자와의 문제는 “우울함”이라는 정서 단어를 제외하면 3.6배로 가장 위험도가 높게 나타난 요인이다.
  7. 신체문제 중 유의미하게 임신중 우울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은 거동, 소화불량, 기억력, 피부건조/가려움, 수면, 손발쑤심이었다. 이 중 기억력과 수면 문제는 우울증의 증상이므로 예상가능한 부분이나, 나머지 거동, 소화불량, 피부건조, 손발쑤심의 신체문제는 정서문제로도 발전할 수 있는 불편들이므로 더욱 관심을 요한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