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a Fully Automated
Conversational Agent (Woebo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7
- Kathleen Kara Fitzpatrick, Alison
Darcy, Molly Vierhile

/김준한
x 2017 Fall
Table
of
Contents
01 Why This Paper
02 About the author
03 Background
04 Methodology
05 Findings
06 Discussion
07 Conclusion
Why This Paper
‣ Conversational Agent와 Emotional Interaction에 대한 관심의 증가
‣ iConference 논문 제출 도중 발견 및 참고
‣ 사람들은 정말로 Non-human agent에게 자신의 physical / emotional state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할까?
‣ 이로 인해 감정적인 위로를 받고 감정 상태가 나아질 수 있을까?
‣ Chatbot의 사용
‣ 챗봇을 mental health에 적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어떻게 했는가?
‣ In-situ 챗봇을 적용한다면 어땠을까?
3
About the author
Kathleen Kara Fitzpatrick
‣ Stanford University -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s -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청소년의 Eating Disorder에 대한 연구
4
About Woebot & Woebot Lab
5
6
Background
대학생 정신 건강 문제의 심각성
• 정신 건강 진단의 74%가 24살 이전에 처음 발생한다.
• 특히 우울증과 불안이 가장 비율이 높다.
• 그리고 정신 건강 문제는 심각성과 보급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음
대학생들은 정신 건강(mental health) 관련 문제가 심각하지만, 병원에 가지 않는다
치료 거부
• 치료가 필요한 대학생 중 75%가 임상 서비스 받기를 거부한다.
• 하지만 교내 시설은 충분하다
낙인(Stigma)이 건강 관련 서비스를 받지 않는 주된 원인
일 것
7
Background
Digital mental health intervention
• 이러한 stigma를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디지털 정신 건강 관리가 각광받고 있다.
• 환자의 70%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self-monitor, self-manage하고 싶어함
• 인터넷을 통한 intervention은 연구로서 그 가능성도 증명됐고, 결과도 사람이
하는 치료와 비교가능할 정도
• 그러나, 이들의 문제점은 adherence rate이 낮다는 점
• 한 연구는 completion rate가 56%라는 점을 밝힘
• 이 이유에 대한 가설 : in-person CBT와 달리 앱을 통하는 것은 사람간 인터랙
션이 없다고 여겨지기 때문일까? (증명?)
그래서 디지털 정신 건강 관리가 유망하지만 문제점을 안고 있다
8
Background
Conversational agent가 다수의 연구에서 건강 관리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 음성 인식 기술이 발전하며 Conversational agent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 연구들은 이들이 건강 관리 engagement를 도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Voice-based CA는 치료 과정 또한 전달한다는 점에서 앱 등보다 효과적이다.
Voice-based conversational agent가 많이 생겨났지만, 실제로 우리 가까이에 있지는 않다
치료 거부
• 하지만 대부분의 우리가 마주하는 CA들은 text-based이기 때문에 CBT를 전달 가
능한지 여부가 검증되어야 한다.
• 여태까지 많은 연구들이 앱을 통해 가능성을 증명했지만, sustainability가 부족했
다.
• 그래서 우리는 commercially developed CA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자동화된 봇을 통해 conversational agent로 CBT를 전달
하는 것이 가능한지 검증하겠다
9
Participants
참가자 모집 단계
실험 참가 최종 인원
10
Condition
Woebot
• CBT를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 전달하기 위해 디자
인된 챗봇
- Context Question “지금 뭐하고 있어요?”
- Mood Question “지금 기분이 어때요?”
- 짧은 영상 시청 링크
- 간단한 단어 게임
• “Onboarding” 과정 : 소개 및 주의 사항 전달
• Decision Tree 구조에 따른 답변
• 대화 스타일은 human clinical decision making
과 CBT의 self-help에 따라 콘텐츠 마련
• Therapeutic process-oriented feature
- Empathic responses
- Tailoring
- Goal setting
- Accountability
- Motivation and engagement
- Reflection
Control
• Information Control Condition
• Free publication :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11
Onboarding process
12
Measures
실험집단/통제집단의 결과를 보기 위해 사용한 Measure 종류
PHQ-9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 9)
- 우울증에 대해 자가 기록하는 9-item 설문지
GAD-7(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7)
- 지난 2주 간 느낀 불안감의 빈도와 강도를 자가기록하는 7-item 설문지
PANAS (Positive and Negative Schedule )
- 현재의 긍정적/부정적 감정을 자가기록하는 20-item으로 설문
Acceptability and Usability
- 콘텐츠에 대해 만족하는가 (5점 척도)
- Intervention이 감정에 대한 자각을 도왔는가 (5점 척도)
- 배운 것이 있는가 (Y/N)
- 이 과정이 일상 생활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 (5점)
- Woebot에 대해 가장 좋은 점 / 가장 나쁜 점
13
Results
Attrition
- 중도 포기 정도
- 83%가 일부 혹은 전체 대답을 발송
- Attrition은 통제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남
- 31% vs 9%
- 하지만 중도 탈락자들과 비탈락자들을 요소 별로 비교해 본 결과(나이, 성별, 우울증 점수 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
- 중도 탈락자들을 따로 인터뷰 해봤으면 어땠을까? 초기에 잠깐 언급한 가설 검증 가능?
14
Result
Preliminary Efficacy
- Woebot 조건의 참가자들은
우울증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남

(상호 작용 효과 발견)
- GAD(불안) 관련하여,

통제집단, 실험집단의 구분
없이 2주 후에 모두 불안증
세가 줄어듬 (주효과 발견)
- PANAS는 둘다 발견 못함
15
Results
Use and Acceptability
- Woebot 조건의 참가자들이 전체 프로그램과 컨텐츠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
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
- Woebot 조건의 차마자들은 Emotional awareness 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높은 점수를 보임
- 새로운 것을 배웠는지 물어본 질문에서 Woebot 참가자들은 100%가 그렇다고
답변,

통제 집단은 77%가 그렇다고 답변
Results
Woebot을 사용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무엇인가요?
Process와 Content 두 개의 theme
Sub-theme 중에서는 Accountability, Empathy 관련해서 긍정적 반응이 가장 많음
“Woebot이 나를 자주 챙겨줘서 좋았어요. 내 감정에

더 충실하도록 책임지는 느낌을 받았어요.”
“Woebot은 저를 진심으로 걱정해주는

사람 같았어요.”
Results
“Woebot이 좀 반복적이었어요.”
“어떤 영상들은 너무 길었어요.”
“대화가 너무 짧았어요.”
Process violation, Technical problems, Content 3개의 theme으로 나뉘어짐
맑음이 때와 비슷하게, technical problem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았음
대화, 인터랙션에 대한 불만족 내용이 별로 없음 -> 애초에 기대를 안 하기 때문인지?
Woebot을 사용하면서 가장 나빴던 점은 무엇인가요?
Discussion
18
‣ Principal Results
‣ Woebot 사용자들은 우울증 증세가 2주 후에 완화된 것을 발견
‣ Woebot은 engaging하고, 사용자들은 거의 매일 사용했으며, information-only 조건보다 선호도
가 높았음
‣ 이전 연구와의 연결성
‣ 참가자들은 Woebot이 봇임을 알고 있음에도, “귀여운 친구” “재밌는 애”라고 지칭함 —> 사람처럼
생각
- 기존 연구들도 Human - Nonhuman agent 간에 치료적 관계(therapeutic relationship)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함
- 사람보다 “virtual therapist”에게 더 솔직한 모습을 보인다는 연구
‣ Empathic 반응들은 치료 프로세스를 증진시킬수도, 오히려 해칠 수도 있음
- 다른 연구들은 그래서 훈련된 clinician을 앱 디자인 과정에 포함시키길 권유
- 이 연구는 그렇게 하진 않았지만,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 밝혔다고 주장
Discussion
19
논의점 혹은 질문..
‣ Trigger / Non-trigger의 차이
‣ 만약 사람이 직접 말을 건다면, 얼마나 자주? 어떤 상황에서?
‣ Text-based / Voice-based의 차이
‣ 사람 목소리를 직접 듣는 것이 더 감정적 위로에 효과적일까?
20
‣ 더 있었으면 하는 내용?
‣ 왜 불안감은 통제/실험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을까?
‣ Woebot에 대해서만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 감정 변화에 대해서도 인터뷰 등을 통해 물어봤다면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지 않았을까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a Fully Automated Conversational Agent (Woebo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장기기증조 중간발표
장기기증조 중간발표장기기증조 중간발표
장기기증조 중간발표
sangmin song
 
2012 ClinicalKey Quiz Event Customer Feedback
2012 ClinicalKey Quiz Event Customer Feedback2012 ClinicalKey Quiz Event Customer Feedback
2012 ClinicalKey Quiz Event Customer Feedback
elsevierkoreahs
 
Pilot and Feasibility Test of a Mobile Health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ei...
Pilot and Feasibility Test of a Mobile Health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ei...Pilot and Feasibility Test of a Mobile Health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ei...
Pilot and Feasibility Test of a Mobile Health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ei...
Ji Song
 
[1C3]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을 건축가에게서만 배워야 하는가
[1C3]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을 건축가에게서만 배워야 하는가[1C3]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을 건축가에게서만 배워야 하는가
[1C3]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을 건축가에게서만 배워야 하는가
NAVER D2
 
서비스
서비스서비스
서비스
진실 김
 
효과가 가장 좋은 챗봇 에이전트를 찾아보기
효과가 가장 좋은 챗봇 에이전트를 찾아보기효과가 가장 좋은 챗봇 에이전트를 찾아보기
효과가 가장 좋은 챗봇 에이전트를 찾아보기
Myuserable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John Kang
 
[TOCfE] 생각하는 어른들의 문제해결 사고도구
[TOCfE] 생각하는 어른들의 문제해결 사고도구[TOCfE] 생각하는 어른들의 문제해결 사고도구
[TOCfE] 생각하는 어른들의 문제해결 사고도구
Youngok Kim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Chiweon Kim
 
서비스
서비스서비스
서비스
진실 김
 
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
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
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
Jeongeun Kwon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Chiweon Kim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Kwangmo Yang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Yoojung Kim
 
병원Cs강의2
병원Cs강의2병원Cs강의2
병원Cs강의2
Jinhee Park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보고서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Myuserable
 
2013 노인장기요양원 서비스디자인 최종보고서
2013 노인장기요양원 서비스디자인 최종보고서2013 노인장기요양원 서비스디자인 최종보고서
2013 노인장기요양원 서비스디자인 최종보고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I Hear You, I Feel You” : Encouraging Deep Self-disclosure through a Chatbot
“I Hear You, I Feel You” : Encouraging Deep Self-disclosure through a Chatbot“I Hear You, I Feel You” : Encouraging Deep Self-disclosure through a Chatbot
“I Hear You, I Feel You” : Encouraging Deep Self-disclosure through a Chatbot
SodamKim14
 
서비스
서비스서비스
서비스
진실 김
 

Similar to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a Fully Automated Conversational Agent (Woebo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

장기기증조 중간발표
장기기증조 중간발표장기기증조 중간발표
장기기증조 중간발표
 
2012 ClinicalKey Quiz Event Customer Feedback
2012 ClinicalKey Quiz Event Customer Feedback2012 ClinicalKey Quiz Event Customer Feedback
2012 ClinicalKey Quiz Event Customer Feedback
 
Pilot and Feasibility Test of a Mobile Health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ei...
Pilot and Feasibility Test of a Mobile Health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ei...Pilot and Feasibility Test of a Mobile Health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ei...
Pilot and Feasibility Test of a Mobile Health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ei...
 
[1C3]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을 건축가에게서만 배워야 하는가
[1C3]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을 건축가에게서만 배워야 하는가[1C3]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을 건축가에게서만 배워야 하는가
[1C3]소프트웨어개발 방법론을 건축가에게서만 배워야 하는가
 
서비스
서비스서비스
서비스
 
효과가 가장 좋은 챗봇 에이전트를 찾아보기
효과가 가장 좋은 챗봇 에이전트를 찾아보기효과가 가장 좋은 챗봇 에이전트를 찾아보기
효과가 가장 좋은 챗봇 에이전트를 찾아보기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TOCfE] 생각하는 어른들의 문제해결 사고도구
[TOCfE] 생각하는 어른들의 문제해결 사고도구[TOCfE] 생각하는 어른들의 문제해결 사고도구
[TOCfE] 생각하는 어른들의 문제해결 사고도구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서비스
서비스서비스
서비스
 
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
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
7th.Lecture.Step2.Observation.20180420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병원Cs강의2
병원Cs강의2병원Cs강의2
병원Cs강의2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보고서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보고서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2013 노인장기요양원 서비스디자인 최종보고서
2013 노인장기요양원 서비스디자인 최종보고서2013 노인장기요양원 서비스디자인 최종보고서
2013 노인장기요양원 서비스디자인 최종보고서
 
“I Hear You, I Feel You” : Encouraging Deep Self-disclosure through a Chatbot
“I Hear You, I Feel You” : Encouraging Deep Self-disclosure through a Chatbot“I Hear You, I Feel You” : Encouraging Deep Self-disclosure through a Chatbot
“I Hear You, I Feel You” : Encouraging Deep Self-disclosure through a Chatbot
 
서비스
서비스서비스
서비스
 

More from Junhan Kim

Analyzing the Past to Prepare for the Future: Writing a Literature Review
Analyzing the Past to Prepare for the Future: Writing a Literature ReviewAnalyzing the Past to Prepare for the Future: Writing a Literature Review
Analyzing the Past to Prepare for the Future: Writing a Literature Review
Junhan Kim
 
Studying Space Use:
Bringing HCI Tools to Architectural Projects
Studying Space Use:
Bringing HCI Tools to Architectural ProjectsStudying Space Use:
Bringing HCI Tools to Architectural Projects
Studying Space Use:
Bringing HCI Tools to Architectural Projects
Junhan Kim
 
Trust and Power (1979) by Niklas Luhmann
Trust and Power (1979) by Niklas Luhmann Trust and Power (1979) by Niklas Luhmann
Trust and Power (1979) by Niklas Luhmann
Junhan Kim
 
A Question of Trust: An Ethnographic Study of Automated Cars on Real Roads
A Question of Trust: An Ethnographic Study of Automated Cars on Real RoadsA Question of Trust: An Ethnographic Study of Automated Cars on Real Roads
A Question of Trust: An Ethnographic Study of Automated Cars on Real Roads
Junhan Kim
 
The trouble with autopilots :
 Assisted and autonomous driving on the social ...
The trouble with autopilots :
 Assisted and autonomous driving on the social ...The trouble with autopilots :
 Assisted and autonomous driving on the social ...
The trouble with autopilots :
 Assisted and autonomous driving on the social ...
Junhan Kim
 
The mind in the machine: Anthropomorphism increases trust in an autonomous ve...
The mind in the machine: Anthropomorphism increases trust in an autonomous ve...The mind in the machine: Anthropomorphism increases trust in an autonomous ve...
The mind in the machine: Anthropomorphism increases trust in an autonomous ve...
Junhan Kim
 
Why did my car just do that? Explaining semi-autonomous driving actions to im...
Why did my car just do that? Explaining semi-autonomous driving actions to im...Why did my car just do that? Explaining semi-autonomous driving actions to im...
Why did my car just do that? Explaining semi-autonomous driving actions to im...
Junhan Kim
 

More from Junhan Kim (7)

Analyzing the Past to Prepare for the Future: Writing a Literature Review
Analyzing the Past to Prepare for the Future: Writing a Literature ReviewAnalyzing the Past to Prepare for the Future: Writing a Literature Review
Analyzing the Past to Prepare for the Future: Writing a Literature Review
 
Studying Space Use:
Bringing HCI Tools to Architectural Projects
Studying Space Use:
Bringing HCI Tools to Architectural ProjectsStudying Space Use:
Bringing HCI Tools to Architectural Projects
Studying Space Use:
Bringing HCI Tools to Architectural Projects
 
Trust and Power (1979) by Niklas Luhmann
Trust and Power (1979) by Niklas Luhmann Trust and Power (1979) by Niklas Luhmann
Trust and Power (1979) by Niklas Luhmann
 
A Question of Trust: An Ethnographic Study of Automated Cars on Real Roads
A Question of Trust: An Ethnographic Study of Automated Cars on Real RoadsA Question of Trust: An Ethnographic Study of Automated Cars on Real Roads
A Question of Trust: An Ethnographic Study of Automated Cars on Real Roads
 
The trouble with autopilots :
 Assisted and autonomous driving on the social ...
The trouble with autopilots :
 Assisted and autonomous driving on the social ...The trouble with autopilots :
 Assisted and autonomous driving on the social ...
The trouble with autopilots :
 Assisted and autonomous driving on the social ...
 
The mind in the machine: Anthropomorphism increases trust in an autonomous ve...
The mind in the machine: Anthropomorphism increases trust in an autonomous ve...The mind in the machine: Anthropomorphism increases trust in an autonomous ve...
The mind in the machine: Anthropomorphism increases trust in an autonomous ve...
 
Why did my car just do that? Explaining semi-autonomous driving actions to im...
Why did my car just do that? Explaining semi-autonomous driving actions to im...Why did my car just do that? Explaining semi-autonomous driving actions to im...
Why did my car just do that? Explaining semi-autonomous driving actions to im...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a Fully Automated Conversational Agent (Woebo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1.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Using a Fully Automated Conversational Agent (Woebo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7 - Kathleen Kara Fitzpatrick, Alison Darcy, Molly Vierhile
 /김준한 x 2017 Fall
  • 2. Table of Contents 01 Why This Paper 02 About the author 03 Background 04 Methodology 05 Findings 06 Discussion 07 Conclusion
  • 3. Why This Paper ‣ Conversational Agent와 Emotional Interaction에 대한 관심의 증가 ‣ iConference 논문 제출 도중 발견 및 참고 ‣ 사람들은 정말로 Non-human agent에게 자신의 physical / emotional state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할까? ‣ 이로 인해 감정적인 위로를 받고 감정 상태가 나아질 수 있을까? ‣ Chatbot의 사용 ‣ 챗봇을 mental health에 적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어떻게 했는가? ‣ In-situ 챗봇을 적용한다면 어땠을까? 3
  • 4. About the author Kathleen Kara Fitzpatrick ‣ Stanford University -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s -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청소년의 Eating Disorder에 대한 연구 4
  • 5. About Woebot & Woebot Lab 5
  • 6. 6 Background 대학생 정신 건강 문제의 심각성 • 정신 건강 진단의 74%가 24살 이전에 처음 발생한다. • 특히 우울증과 불안이 가장 비율이 높다. • 그리고 정신 건강 문제는 심각성과 보급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음 대학생들은 정신 건강(mental health) 관련 문제가 심각하지만, 병원에 가지 않는다 치료 거부 • 치료가 필요한 대학생 중 75%가 임상 서비스 받기를 거부한다. • 하지만 교내 시설은 충분하다 낙인(Stigma)이 건강 관련 서비스를 받지 않는 주된 원인 일 것
  • 7. 7 Background Digital mental health intervention • 이러한 stigma를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디지털 정신 건강 관리가 각광받고 있다. • 환자의 70%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self-monitor, self-manage하고 싶어함 • 인터넷을 통한 intervention은 연구로서 그 가능성도 증명됐고, 결과도 사람이 하는 치료와 비교가능할 정도 • 그러나, 이들의 문제점은 adherence rate이 낮다는 점 • 한 연구는 completion rate가 56%라는 점을 밝힘 • 이 이유에 대한 가설 : in-person CBT와 달리 앱을 통하는 것은 사람간 인터랙 션이 없다고 여겨지기 때문일까? (증명?) 그래서 디지털 정신 건강 관리가 유망하지만 문제점을 안고 있다
  • 8. 8 Background Conversational agent가 다수의 연구에서 건강 관리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 음성 인식 기술이 발전하며 Conversational agent가 많이 생겨나고 있다 • 연구들은 이들이 건강 관리 engagement를 도울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Voice-based CA는 치료 과정 또한 전달한다는 점에서 앱 등보다 효과적이다. Voice-based conversational agent가 많이 생겨났지만, 실제로 우리 가까이에 있지는 않다 치료 거부 • 하지만 대부분의 우리가 마주하는 CA들은 text-based이기 때문에 CBT를 전달 가 능한지 여부가 검증되어야 한다. • 여태까지 많은 연구들이 앱을 통해 가능성을 증명했지만, sustainability가 부족했 다. • 그래서 우리는 commercially developed CA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자동화된 봇을 통해 conversational agent로 CBT를 전달 하는 것이 가능한지 검증하겠다
  • 10. 10 Condition Woebot • CBT를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 전달하기 위해 디자 인된 챗봇 - Context Question “지금 뭐하고 있어요?” - Mood Question “지금 기분이 어때요?” - 짧은 영상 시청 링크 - 간단한 단어 게임 • “Onboarding” 과정 : 소개 및 주의 사항 전달 • Decision Tree 구조에 따른 답변 • 대화 스타일은 human clinical decision making 과 CBT의 self-help에 따라 콘텐츠 마련 • Therapeutic process-oriented feature - Empathic responses - Tailoring - Goal setting - Accountability - Motivation and engagement - Reflection Control • Information Control Condition • Free publication :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 12. 12 Measures 실험집단/통제집단의 결과를 보기 위해 사용한 Measure 종류 PHQ-9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 9) - 우울증에 대해 자가 기록하는 9-item 설문지 GAD-7(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7) - 지난 2주 간 느낀 불안감의 빈도와 강도를 자가기록하는 7-item 설문지 PANAS (Positive and Negative Schedule ) - 현재의 긍정적/부정적 감정을 자가기록하는 20-item으로 설문 Acceptability and Usability - 콘텐츠에 대해 만족하는가 (5점 척도) - Intervention이 감정에 대한 자각을 도왔는가 (5점 척도) - 배운 것이 있는가 (Y/N) - 이 과정이 일상 생활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 (5점) - Woebot에 대해 가장 좋은 점 / 가장 나쁜 점
  • 13. 13 Results Attrition - 중도 포기 정도 - 83%가 일부 혹은 전체 대답을 발송 - Attrition은 통제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남 - 31% vs 9% - 하지만 중도 탈락자들과 비탈락자들을 요소 별로 비교해 본 결과(나이, 성별, 우울증 점수 등)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음 - 중도 탈락자들을 따로 인터뷰 해봤으면 어땠을까? 초기에 잠깐 언급한 가설 검증 가능?
  • 14. 14 Result Preliminary Efficacy - Woebot 조건의 참가자들은 우울증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남
 (상호 작용 효과 발견) - GAD(불안) 관련하여,
 통제집단, 실험집단의 구분 없이 2주 후에 모두 불안증 세가 줄어듬 (주효과 발견) - PANAS는 둘다 발견 못함
  • 15. 15 Results Use and Acceptability - Woebot 조건의 참가자들이 전체 프로그램과 컨텐츠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 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 - Woebot 조건의 차마자들은 Emotional awareness 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높은 점수를 보임 - 새로운 것을 배웠는지 물어본 질문에서 Woebot 참가자들은 100%가 그렇다고 답변,
 통제 집단은 77%가 그렇다고 답변
  • 16. Results Woebot을 사용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무엇인가요? Process와 Content 두 개의 theme Sub-theme 중에서는 Accountability, Empathy 관련해서 긍정적 반응이 가장 많음 “Woebot이 나를 자주 챙겨줘서 좋았어요. 내 감정에
 더 충실하도록 책임지는 느낌을 받았어요.” “Woebot은 저를 진심으로 걱정해주는
 사람 같았어요.”
  • 17. Results “Woebot이 좀 반복적이었어요.” “어떤 영상들은 너무 길었어요.” “대화가 너무 짧았어요.” Process violation, Technical problems, Content 3개의 theme으로 나뉘어짐 맑음이 때와 비슷하게, technical problem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았음 대화, 인터랙션에 대한 불만족 내용이 별로 없음 -> 애초에 기대를 안 하기 때문인지? Woebot을 사용하면서 가장 나빴던 점은 무엇인가요?
  • 18. Discussion 18 ‣ Principal Results ‣ Woebot 사용자들은 우울증 증세가 2주 후에 완화된 것을 발견 ‣ Woebot은 engaging하고, 사용자들은 거의 매일 사용했으며, information-only 조건보다 선호도 가 높았음 ‣ 이전 연구와의 연결성 ‣ 참가자들은 Woebot이 봇임을 알고 있음에도, “귀여운 친구” “재밌는 애”라고 지칭함 —> 사람처럼 생각 - 기존 연구들도 Human - Nonhuman agent 간에 치료적 관계(therapeutic relationship)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함 - 사람보다 “virtual therapist”에게 더 솔직한 모습을 보인다는 연구 ‣ Empathic 반응들은 치료 프로세스를 증진시킬수도, 오히려 해칠 수도 있음 - 다른 연구들은 그래서 훈련된 clinician을 앱 디자인 과정에 포함시키길 권유 - 이 연구는 그렇게 하진 않았지만,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 밝혔다고 주장
  • 20. 논의점 혹은 질문.. ‣ Trigger / Non-trigger의 차이 ‣ 만약 사람이 직접 말을 건다면, 얼마나 자주? 어떤 상황에서? ‣ Text-based / Voice-based의 차이 ‣ 사람 목소리를 직접 듣는 것이 더 감정적 위로에 효과적일까? 20 ‣ 더 있었으면 하는 내용? ‣ 왜 불안감은 통제/실험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을까? ‣ Woebot에 대해서만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 감정 변화에 대해서도 인터뷰 등을 통해 물어봤다면
 이 부분을 보완할 수 있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