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More than Telemonitoring:
Health Provider Use and
Nonuse of Life-Log Data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Weight Management
+ JMIR 2015
-Chung et al.
/이현정
x 2015 Autumn
More than Telemonitoring:
Health Provider Use and Nonuse of Life-Log Data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Weight Management
+ JMIR 2015
Background
Self-
Monitoring
The quantified self, life-logging movement
incorporate technology
Consumer Side
Support
Clinical Care
Health Provider Side
integrate life-log data
barriers
• How do providers currently use patient-collected life-log data in
clinical practice? 

• What are provider concerns and needs with respect to this data? 

• What are the constraints for providers to integrate this type of
data into their workflows?
Introduction
• 70%에 육박하는 미국의 성인들이 자신 혹은 배우자에게 중요한 health indicator를 한개 이상 트래킹함 (특히나 만성질환자)
• 이중 21%는 technology의 도움을 받음
• 올해(2015) 세계적으로 500만명이 health care app을 사용하고 있을것으로 추정됨
스스로 Health/Life-Logging을 하는 사람들이 엄청 많다
환자의 self-monitoring 연구 o / Provider burden은 연구 x
• 만성질환자의 습관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음
• 그러나 그동안 user의 burden을 낮춰주는 기록장치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provider burden에 대한 연구는 미비함**
환자들은 app data를 가지고 clinician 과의 communication을 시도한다
• 스스로 데이터를 모으고 있는 사람들 중의 1/3이 health provider와의 데이터 공유를 시도하였음 [340
• 그러나 대부분의 provider는 engage하는 경우가 극히 적음
Research Goals & Method
두가지 만성 질환에 초점을 둠
• weight management(비만) & IBS(과민성대장증후군)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바
• 현재 data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어려움은 무엇인지
• life-log data에 있어서의 우려점과 요구하는 점이 무엇인지
21명의 medical provider를 인터뷰하였음
• 50-70분 (대면 10명, 전화 11명)
• 보상 30$ gift card
• 참가자

가정의학과 전문의 6명

행동 심리학자 1명

간호사 1명

위장병학자 5명

영양사 7명

Segment 1
Segment 2
Segment 3
Yes.
어떤 데이터인가요?
어떻게 리뷰하시나요?
best 그리고 worst 경험을 알려주세요
No.
왜 사용지 않으시나요?
Fitbit dashboard
Gut Guru
Health Remote
진료시 life log 데이터를 활용하는가?
Workflow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장점은 무엇인가요?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목표가 무엇인가요?
Collection 과 review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요?
Research Goals & Method
두가지 만성 질환에 초점을 둠
• weight management(비만) & IBS(과민성대장증후군)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바
• 현재 data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어려움은 무엇인지
• life-log data에 있어서의 우려점과 요구하는 점이 무엇인지
21명의 medical provider를 인터뷰하였음
• 50-70분 (대면 10명, 전화 11명)
• 보상 30$ gift card
• 참가자

가정의학과 전문의 6명

행동 심리학자 1명

간호사 1명

위장병학자 5명

영양사 7명

Segment 1
Segment 2
Segment 3
Yes.
어떤 데이터인가요?
어떻게 리뷰하시나요?
best 그리고 worst 경험을 알려주세요
No.
왜 사용지 않으시나요?
Fitbit dashboard
Gut Guru
Health Remote
진료시 life log 데이터를 활용하는가?
Workflow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장점은 무엇인가요?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목표가 무엇인가요?
Collection 과 review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요?
Analysis
• 녹음하고 전사하였음
• Affinity diagram analysis를 활용하였음 (700개의 affinity notes)
• 또한 transcript를 다 coding 하였음 (final codebook 아래 예시)
Benefits of Reviewing Tracked Data
Supporting Diagnosis
Personalizing Treatment
Increasing Motivation and Accountability
Supporting the Patient-Provider Relationship
Learning About Patients
Facilitating Discussion and Managing Visits
Barriers to Using Tracked Data in Clinical Care
Lack of Time
Questions About Expertise and Benefits Offered
Lack of Flexibility
Lack of Standardization
Lack of Mechanisms for Sharing With Providers
Take Away
+ -
Key Results
• 비만 & 만성질환 관련 진단과 치료는 대부분 multi-step이고 multi-provider임
• 환자(patient collected data)가 허브 (시스템적으로 통합되면 얘기가 달라짐, maybe EMR)
• Cohesive Team Approach에 도움이 될 수 있음 (P12)
"If patient-collected data indicates that other psychological
factors, not just dietary intake, are affecting symptoms the
dietitian gets support too. Because you got other providers
working with the patient too."
진단을 내리는데 서포팅 자료로 쓰일 수 있다
환자
비만클리닉
심혈관계
흡연클리닉
• 대부분의 경우는 진단 후 -> 영양사에게 보냄
• 영양사는 food journal을 리뷰함
평소에 무엇을 드세요?

(recall, 15분)
기록하신 내용을 볼까요?

(self-record, 15분)
환자와의 인터랙션
Typical Day Random Day
칼로리 차이를 발견
**환자의 요청인가? 데이터인가?
환자 데이터를 허브 삼아 Cohesive Team Approach가 가능하다
+
Key Results
치료를 개인 맞춤화 할 수 있다
• 환자의 선호도와 익숙한 패턴을 이해함 (= 맞춤화)
• 이는 전략을 짜주는데도 유용하지만, 환자가 가장 먼저 치료하고 싶은 증상을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됨
• 의료진은 고로 다양한 potential trigger를 모을 수 있도록 수집툴의 flexibility를 원함
그러기 위해서는 수집툴의 flexibility가 보강되어야 한다
+
"Edit Event" 기능을 가지고 있던 Sleep Tight
의료진이 생각하는 / 환자가 생각하는 symptom을 트래킹할 수 있도록
"It would be helpful if the patient has another
symptom that they think might be related and
be able to track that symptom as well as [what
they are already tracking]."

[Participant GM10]
**이 논문에서는 weight loss와 IBS처럼 원인을 한가지로 콕
찝어 말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을 유의

**질병에 따른 patient-doctor 주도권(?)에 대해 생각해볼만함
Key Results
동기부여를 하고 의무감을 향상한다
• 데이터를 모으는 것은 의료진의 개입 여부와 상관없이 self-monitoring 측면에서는 유용하나 장기적 동기 부여가 어려움
• 그러나 즉각적인 호전이 보이지 않으면 동기를 쉽게 잃음
• 의료진의 단순한 추임새 만으로도 데이터 추적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함
• 특히나 unable to draw meaningful conclusions 일 때
<데이터 수집>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하고, <Treatment Plan>에 대한 의무감을 향상한다
+
"It’s more helpful if you have someone to review it with, because
otherwise it might look like “Why am I doing this to myself? I’m just
taking all this time for nothing.”[Participant D02]
• Treatment Plan에 대한 adherence와 accountability를 향상
Key Results
환자에 대해 배운다
환자의 삶을 (사회적 측면) 파악하면, 더 효과적인 전략을 짤 수 있다
+
• 개인 맞춤화 부분과 내용이 겹침
대화를 촉발하고 진료를 맞춤화 구성한다
수학 문제 풀이과정을 보면서 말하듯, 어디서 틀렸는지 보자
+
• Food Journal을 같이 보며 하이라이트를 치고, 마킹을 하면 대화가 집중될 수 있음
• 이것은 특히나 환자가 자신의 내원 이유를 정확히 설명하지 못할 때 유용하다
환자가 중시하는것 위주로 진료 구성
** 환자는 고객인가?
• 개인 맞춤화 부분과 내용이 겹침
Key Results
시간이 없다.
시간을 투자할만한 가치가 (아직) 없다.
-
• 가정의학과(비만)나 위장학과(과민성대장증후군)는 평균 15-20분 동안 진료를 함 (진료 도중에도 사이에도 시간이 부족)
• "하루에 20명의 patient collected data를 보는데 5-10분 밖에 투자할 수 없다"
• 현재의 Workflow는 time barrier가 많고 데이터를 리뷰하기 어려운 구조임 (영양사에게 넘김)
병원 업무 구조 보상 시스템
전문성이 없다.
의사: "나도 데이터 모른다"
• 환자가 모아온 데이터를 리뷰하는 것에 전문가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confidence가 떨어짐
• 전문성도 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있다 하더라도 자신이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치 않음
• 대부분 영양사와 같은, 의사가 생각하기에 데이터 리뷰의 경험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넘김
Key Results
시간이 없다.
시간을 투자할만한 가치가 (아직) 없다.
-
• 가정의학과(비만)나 위장학과(과민성대장증후군)는 평균 15-20분 동안 진료를 함 (진료 도중에도 사이에도 시간이 부족)
• "하루에 20명의 patient collected data를 보는데 5-10분 밖에 투자할 수 없다"
• 현재의 Workflow는 time barrier가 많고 데이터를 리뷰하기 어려운 구조임 (영양사에게 넘김)
병원 업무 구조 보상 시스템
전문성이 없다.
의사: "나도 데이터 모른다"
• 환자가 모아온 데이터를 리뷰하는 것에 전문가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confidence가 떨어짐
• 전문성도 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있다 하더라도 자신이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치 않음
• 대부분 영양사와 같은, 의사가 생각하기에 데이터 리뷰의 경험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넘김
Key Results
유연성이 떨어진다
수집 툴의 tailoring이 가능해야한다
-
• 시중에 나와있는 단일 앱들로는 유연한 대처가 불가능함
다양한 factor를 모으는
것이 좋은 케이스
특정한 음식에만 집중
다양한 케이스 존재
• 그러나 또 너무 많은 데이터를 모으게 하면 환자들이 쉽게 지침
Participant FM01 said a system should “have the ability for the individual physicians to
tailor it to the way they practice,” otherwise it is difficult for providers to integrate it into
their clinical workflow.
Key Results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다
의료진에게 익숙한 포맷(시각화)이 중요하다
-
• 글루코스, 혈압, 증상 기록 등에 대해 provider들이 사용하는 표준화된 format이 존재함
• 이는 단순한 시각화를 넘어서서 단 시간에 정확히 리뷰하는데 매우 중요함
• 그러나 현재 시중앱은 표준화된 포맷 부재 + 데이터 표준 부재
• 혹은 데이터를 과도하게 축약하여 필요없는 척도로 제시한다 (IBS- 칼로리)
개별 데이터 검토 경향/패턴 도출
환자에게 묻기
vs.
- 의료진은 요약뷰를 매우 선호한다.
- 데이터를 보고 스스로 요약해야한다면, 

차라리 환자에게 물어보고 만다.
Key Results
공유 메커니즘이 부재한다
나(의료진)도 볼 수 있는 데이터가 유용한 데이터다
-
• 오히려 종이 다이어리를 사진으로 찍어서 모바일로도, 데스크탑으로도 보는게 더 편함
• 앱 데이터는 오히려 공유할 방법이 없어서 선호되지 않는 케이스도 있음
Discussion
Supporting Diagnosis Supporting Interaction
Educating Patients Engaging Patients
Dynamic Representation Flexibility
Remote Interaction + Face-to-Face Interaction
Organization Support
vs.
Diagnosis
Interaction
Discussion
•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고자 하면,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봄
• 증상이나 결과를 모니터링 할때는, 트랜드를 파악하고 아웃라이어를 골라내는 것
• 환자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는데의 barrier를 함께 찾아줌
• 이때는 환자의 주관적 경험이 중요하며 그러한 로깅도 서포트되어야 함
Educating
Engaging
• 교육을 하는 측면은 시스템이 대체 가능한 부분이 있음 (ex. 이 음식이 왜 나쁜지)
• 진단을 해야한다면 precise한 data가 중요하지만 환자의 루틴, 가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데에는

less reliable, consumer centric한 앱이 더 적합할 수 있음
Provider and Patient Goals Affect Tracking Needs
Dynamic Representation
Flexibility
Discussion
• Computer-based system은 데이터를 받아서 그때 그때 시각화를 다이나믹하게 해줄 수 있는것이 장점
• 그러나 보여지는 뷰가 고정되어 있으며 의료진이 컨트롤할 수가 없음

(what to track, how records are summarized and presented)
• 따라서 환자는 irrelevant 한 데이터를 열심히 모으고 있는 경우가 생김
• 의료진과 환자가 track하는 데이터 그리고 그 시각화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어야 함
Remote
Face-to-Face
• 원격으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오프라인에서 대면할때의 인터액션도 고려되어야함
• collaborative review와 interpretation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함

(screen-casting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Limitations of Current Systems and Design Opportunities
** What you(user) see is what you(physician) get 접근?
Organizational Support • 기술적 인프라, 인센티브, work-flow내의 편입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Yoojung Kim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Myuserable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Myuserable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Myuserable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Chiweon Kim
 
Werable data prescription
Werable data prescriptionWerable data prescription
Werable data prescrip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Chiweon Kim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Chiweon Kim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경민 국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Yoojung Kim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Chiweon Kim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
Hyunjeong Lee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Chiweon Kim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iljun19971212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K data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Chiweon Ki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StartupAlliance
 
덕성여대 스마트창작터 비약
덕성여대 스마트창작터 비약덕성여대 스마트창작터 비약
덕성여대 스마트창작터 비약
Sanggonleeslide
 
돌봄이 비서 봄비_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Ⅱ 중간발표
돌봄이 비서 봄비_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Ⅱ 중간발표돌봄이 비서 봄비_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Ⅱ 중간발표
돌봄이 비서 봄비_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Ⅱ 중간발표
sulee33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
Junhan Kim
 

Similar to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20)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Werable data prescription
Werable data prescriptionWerable data prescription
Werable data prescription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
Understanding My Data Myself [Ubicomp 2011]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덕성여대 스마트창작터 비약
덕성여대 스마트창작터 비약덕성여대 스마트창작터 비약
덕성여대 스마트창작터 비약
 
돌봄이 비서 봄비_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Ⅱ 중간발표
돌봄이 비서 봄비_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Ⅱ 중간발표돌봄이 비서 봄비_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Ⅱ 중간발표
돌봄이 비서 봄비_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Ⅱ 중간발표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
Deliver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to Young Adults With Symptoms of Depres...
 

More from Hyunjeong Lee

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
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
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
Hyunjeong Lee
 
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
Hyunjeong Lee
 
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
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
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
Hyunjeong Lee
 
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
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
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
Hyunjeong Lee
 
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
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
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
Hyunjeong Lee
 
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
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
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
Hyunjeong Lee
 
2014 ux trend report
2014 ux trend report2014 ux trend report
2014 ux trend report
Hyunjeong Lee
 

More from Hyunjeong Lee (7)

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
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
Unsupervised Clickstream Clustering for User Behavior Analysis CHI2016
 
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2015 s:s ux trend report
2015 s:s ux trend report
 
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
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
What do you think about machines that think
 
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
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
0126 패턴 랭귀지 ios 가이드라인
 
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
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
Effects of Simultaneous and Sequential Work Structures
 
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
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
Perceptions of fear appeal and preference for feedback in tailored health com...
 
2014 ux trend report
2014 ux trend report2014 ux trend report
2014 ux trend report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 1. More than Telemonitoring: Health Provider Use and Nonuse of Life-Log Data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Weight Management + JMIR 2015 -Chung et al. /이현정 x 2015 Autumn
  • 2. More than Telemonitoring: Health Provider Use and Nonuse of Life-Log Data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Weight Management + JMIR 2015
  • 3. Background Self- Monitoring The quantified self, life-logging movement incorporate technology Consumer Side Support Clinical Care Health Provider Side integrate life-log data barriers • How do providers currently use patient-collected life-log data in clinical practice? 
 • What are provider concerns and needs with respect to this data? 
 • What are the constraints for providers to integrate this type of data into their workflows?
  • 4. Introduction • 70%에 육박하는 미국의 성인들이 자신 혹은 배우자에게 중요한 health indicator를 한개 이상 트래킹함 (특히나 만성질환자) • 이중 21%는 technology의 도움을 받음 • 올해(2015) 세계적으로 500만명이 health care app을 사용하고 있을것으로 추정됨 스스로 Health/Life-Logging을 하는 사람들이 엄청 많다 환자의 self-monitoring 연구 o / Provider burden은 연구 x • 만성질환자의 습관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음 • 그러나 그동안 user의 burden을 낮춰주는 기록장치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provider burden에 대한 연구는 미비함** 환자들은 app data를 가지고 clinician 과의 communication을 시도한다 • 스스로 데이터를 모으고 있는 사람들 중의 1/3이 health provider와의 데이터 공유를 시도하였음 [340 • 그러나 대부분의 provider는 engage하는 경우가 극히 적음
  • 5. Research Goals & Method 두가지 만성 질환에 초점을 둠 • weight management(비만) & IBS(과민성대장증후군)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바 • 현재 data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어려움은 무엇인지 • life-log data에 있어서의 우려점과 요구하는 점이 무엇인지 21명의 medical provider를 인터뷰하였음 • 50-70분 (대면 10명, 전화 11명) • 보상 30$ gift card • 참가자
 가정의학과 전문의 6명
 행동 심리학자 1명
 간호사 1명
 위장병학자 5명
 영양사 7명
 Segment 1 Segment 2 Segment 3 Yes. 어떤 데이터인가요? 어떻게 리뷰하시나요? best 그리고 worst 경험을 알려주세요 No. 왜 사용지 않으시나요? Fitbit dashboard Gut Guru Health Remote 진료시 life log 데이터를 활용하는가? Workflow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장점은 무엇인가요?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목표가 무엇인가요? Collection 과 review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요?
  • 6. Research Goals & Method 두가지 만성 질환에 초점을 둠 • weight management(비만) & IBS(과민성대장증후군)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바 • 현재 data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어려움은 무엇인지 • life-log data에 있어서의 우려점과 요구하는 점이 무엇인지 21명의 medical provider를 인터뷰하였음 • 50-70분 (대면 10명, 전화 11명) • 보상 30$ gift card • 참가자
 가정의학과 전문의 6명
 행동 심리학자 1명
 간호사 1명
 위장병학자 5명
 영양사 7명
 Segment 1 Segment 2 Segment 3 Yes. 어떤 데이터인가요? 어떻게 리뷰하시나요? best 그리고 worst 경험을 알려주세요 No. 왜 사용지 않으시나요? Fitbit dashboard Gut Guru Health Remote 진료시 life log 데이터를 활용하는가? Workflow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 장점은 무엇인가요?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목표가 무엇인가요? Collection 과 review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요?
  • 7. Analysis • 녹음하고 전사하였음 • Affinity diagram analysis를 활용하였음 (700개의 affinity notes) • 또한 transcript를 다 coding 하였음 (final codebook 아래 예시)
  • 8. Benefits of Reviewing Tracked Data Supporting Diagnosis Personalizing Treatment Increasing Motivation and Accountability Supporting the Patient-Provider Relationship Learning About Patients Facilitating Discussion and Managing Visits Barriers to Using Tracked Data in Clinical Care Lack of Time Questions About Expertise and Benefits Offered Lack of Flexibility Lack of Standardization Lack of Mechanisms for Sharing With Providers Take Away + -
  • 9. Key Results • 비만 & 만성질환 관련 진단과 치료는 대부분 multi-step이고 multi-provider임 • 환자(patient collected data)가 허브 (시스템적으로 통합되면 얘기가 달라짐, maybe EMR) • Cohesive Team Approach에 도움이 될 수 있음 (P12) "If patient-collected data indicates that other psychological factors, not just dietary intake, are affecting symptoms the dietitian gets support too. Because you got other providers working with the patient too." 진단을 내리는데 서포팅 자료로 쓰일 수 있다 환자 비만클리닉 심혈관계 흡연클리닉 • 대부분의 경우는 진단 후 -> 영양사에게 보냄 • 영양사는 food journal을 리뷰함 평소에 무엇을 드세요?
 (recall, 15분) 기록하신 내용을 볼까요?
 (self-record, 15분) 환자와의 인터랙션 Typical Day Random Day 칼로리 차이를 발견 **환자의 요청인가? 데이터인가? 환자 데이터를 허브 삼아 Cohesive Team Approach가 가능하다 +
  • 10. Key Results 치료를 개인 맞춤화 할 수 있다 • 환자의 선호도와 익숙한 패턴을 이해함 (= 맞춤화) • 이는 전략을 짜주는데도 유용하지만, 환자가 가장 먼저 치료하고 싶은 증상을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됨 • 의료진은 고로 다양한 potential trigger를 모을 수 있도록 수집툴의 flexibility를 원함 그러기 위해서는 수집툴의 flexibility가 보강되어야 한다 + "Edit Event" 기능을 가지고 있던 Sleep Tight 의료진이 생각하는 / 환자가 생각하는 symptom을 트래킹할 수 있도록 "It would be helpful if the patient has another symptom that they think might be related and be able to track that symptom as well as [what they are already tracking]."
 [Participant GM10] **이 논문에서는 weight loss와 IBS처럼 원인을 한가지로 콕 찝어 말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을 유의
 **질병에 따른 patient-doctor 주도권(?)에 대해 생각해볼만함
  • 11. Key Results 동기부여를 하고 의무감을 향상한다 • 데이터를 모으는 것은 의료진의 개입 여부와 상관없이 self-monitoring 측면에서는 유용하나 장기적 동기 부여가 어려움 • 그러나 즉각적인 호전이 보이지 않으면 동기를 쉽게 잃음 • 의료진의 단순한 추임새 만으로도 데이터 추적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함 • 특히나 unable to draw meaningful conclusions 일 때 <데이터 수집>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하고, <Treatment Plan>에 대한 의무감을 향상한다 + "It’s more helpful if you have someone to review it with, because otherwise it might look like “Why am I doing this to myself? I’m just taking all this time for nothing.”[Participant D02] • Treatment Plan에 대한 adherence와 accountability를 향상
  • 12. Key Results 환자에 대해 배운다 환자의 삶을 (사회적 측면) 파악하면, 더 효과적인 전략을 짤 수 있다 + • 개인 맞춤화 부분과 내용이 겹침 대화를 촉발하고 진료를 맞춤화 구성한다 수학 문제 풀이과정을 보면서 말하듯, 어디서 틀렸는지 보자 + • Food Journal을 같이 보며 하이라이트를 치고, 마킹을 하면 대화가 집중될 수 있음 • 이것은 특히나 환자가 자신의 내원 이유를 정확히 설명하지 못할 때 유용하다 환자가 중시하는것 위주로 진료 구성 ** 환자는 고객인가? • 개인 맞춤화 부분과 내용이 겹침
  • 13. Key Results 시간이 없다. 시간을 투자할만한 가치가 (아직) 없다. - • 가정의학과(비만)나 위장학과(과민성대장증후군)는 평균 15-20분 동안 진료를 함 (진료 도중에도 사이에도 시간이 부족) • "하루에 20명의 patient collected data를 보는데 5-10분 밖에 투자할 수 없다" • 현재의 Workflow는 time barrier가 많고 데이터를 리뷰하기 어려운 구조임 (영양사에게 넘김) 병원 업무 구조 보상 시스템 전문성이 없다. 의사: "나도 데이터 모른다" • 환자가 모아온 데이터를 리뷰하는 것에 전문가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confidence가 떨어짐 • 전문성도 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있다 하더라도 자신이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치 않음 • 대부분 영양사와 같은, 의사가 생각하기에 데이터 리뷰의 경험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넘김
  • 14. Key Results 시간이 없다. 시간을 투자할만한 가치가 (아직) 없다. - • 가정의학과(비만)나 위장학과(과민성대장증후군)는 평균 15-20분 동안 진료를 함 (진료 도중에도 사이에도 시간이 부족) • "하루에 20명의 patient collected data를 보는데 5-10분 밖에 투자할 수 없다" • 현재의 Workflow는 time barrier가 많고 데이터를 리뷰하기 어려운 구조임 (영양사에게 넘김) 병원 업무 구조 보상 시스템 전문성이 없다. 의사: "나도 데이터 모른다" • 환자가 모아온 데이터를 리뷰하는 것에 전문가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confidence가 떨어짐 • 전문성도 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있다 하더라도 자신이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치 않음 • 대부분 영양사와 같은, 의사가 생각하기에 데이터 리뷰의 경험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넘김
  • 15. Key Results 유연성이 떨어진다 수집 툴의 tailoring이 가능해야한다 - • 시중에 나와있는 단일 앱들로는 유연한 대처가 불가능함 다양한 factor를 모으는 것이 좋은 케이스 특정한 음식에만 집중 다양한 케이스 존재 • 그러나 또 너무 많은 데이터를 모으게 하면 환자들이 쉽게 지침 Participant FM01 said a system should “have the ability for the individual physicians to tailor it to the way they practice,” otherwise it is difficult for providers to integrate it into their clinical workflow.
  • 16. Key Results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다 의료진에게 익숙한 포맷(시각화)이 중요하다 - • 글루코스, 혈압, 증상 기록 등에 대해 provider들이 사용하는 표준화된 format이 존재함 • 이는 단순한 시각화를 넘어서서 단 시간에 정확히 리뷰하는데 매우 중요함 • 그러나 현재 시중앱은 표준화된 포맷 부재 + 데이터 표준 부재 • 혹은 데이터를 과도하게 축약하여 필요없는 척도로 제시한다 (IBS- 칼로리) 개별 데이터 검토 경향/패턴 도출 환자에게 묻기 vs. - 의료진은 요약뷰를 매우 선호한다. - 데이터를 보고 스스로 요약해야한다면, 
 차라리 환자에게 물어보고 만다.
  • 17. Key Results 공유 메커니즘이 부재한다 나(의료진)도 볼 수 있는 데이터가 유용한 데이터다 - • 오히려 종이 다이어리를 사진으로 찍어서 모바일로도, 데스크탑으로도 보는게 더 편함 • 앱 데이터는 오히려 공유할 방법이 없어서 선호되지 않는 케이스도 있음
  • 18. Discussion Supporting Diagnosis Supporting Interaction Educating Patients Engaging Patients Dynamic Representation Flexibility Remote Interaction + Face-to-Face Interaction Organization Support vs.
  • 19. Diagnosis Interaction Discussion •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고자 하면,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봄 • 증상이나 결과를 모니터링 할때는, 트랜드를 파악하고 아웃라이어를 골라내는 것 • 환자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는데의 barrier를 함께 찾아줌 • 이때는 환자의 주관적 경험이 중요하며 그러한 로깅도 서포트되어야 함 Educating Engaging • 교육을 하는 측면은 시스템이 대체 가능한 부분이 있음 (ex. 이 음식이 왜 나쁜지) • 진단을 해야한다면 precise한 data가 중요하지만 환자의 루틴, 가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데에는
 less reliable, consumer centric한 앱이 더 적합할 수 있음 Provider and Patient Goals Affect Tracking Needs
  • 20. Dynamic Representation Flexibility Discussion • Computer-based system은 데이터를 받아서 그때 그때 시각화를 다이나믹하게 해줄 수 있는것이 장점 • 그러나 보여지는 뷰가 고정되어 있으며 의료진이 컨트롤할 수가 없음
 (what to track, how records are summarized and presented) • 따라서 환자는 irrelevant 한 데이터를 열심히 모으고 있는 경우가 생김 • 의료진과 환자가 track하는 데이터 그리고 그 시각화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어야 함 Remote Face-to-Face • 원격으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오프라인에서 대면할때의 인터액션도 고려되어야함 • collaborative review와 interpretation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함
 (screen-casting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Limitations of Current Systems and Design Opportunities ** What you(user) see is what you(physician) get 접근? Organizational Support • 기술적 인프라, 인센티브, work-flow내의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