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학술데이터의 공유플랫폼 :
Datanest
2015. 10. 15
Dr. 김선태
stkim@kisti.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목 차
• 학술데이터의 공유를 둘러싼
Open Paradigm
• 학술데이터의 공유 플랫폼 :
Datanest
2
Terms
• 학술데이터 Scholarly Data
• 연구데이터 Research Data
• 과학데이터 Scientific Data
• 연구 과학 데이터 Research Scientific Data
• Data Science
• Open Science
• Open Data
• Open Access
3
연구데이터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1/2)
4
연구데이터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2/2)
5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제임스 웹 망원경
미국 중력파 검출장치 ‘LIGO’
연구데이터의 종류
6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7
• 1960년 Peter Naur è ‘computer science’의 대체 용
어로 처음 사용. ‘datalogy’ 개념으로 사용
• 2015년 10월 현재 è 구조적 혹은 비구조적인 다양한
형식의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지식과 통찰력(insights)
를 추출하는 분야와 이의 행위를 돕는 시스템과 관련
된 다양한 분야
• 데이터 과학은 규모가 큰 빅 데이터에만 특화된 것이
아님. 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론들은 데이터
과학의 특화된 분야 중 하나일 뿐
• 데이터 과학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폭발적으로 사용되
고 있지만 많은 학자와 저널리스트들은 ‘데이터 과학’
과 ‘통계학’의 차이점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과학이 부각되는 것을 비판 Data science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Data_science)
Data Science (1/3)
8
수학, 통계학
계량분석화학
정보 과학, 컴퓨터 과학
신호처리
가능성 모델
기계학습, 통계학습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엔지니어링
패턴 인식과 학습
가시화
미래분석
불확실성 모델링
데이터 웨어하우징
데이터 압축
컴퓨터 프로그래밍
인공 지능
고성능 컴퓨팅 …
농업
의료
마케팅 최적화
이상행위 감지
위기관리
마케팅 분석
공공 정책 …
기후 변화나 황사, 해
양 오염 등 범 지구적
문제 해결 노력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점을 조사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사용
Data Science (2/3)
9
Data Science (3/3)
• 기후 데이터의 경우, 과거에는 기후 분야를 연구하는 과학
자들이 주 사용
• 오늘날에는 물과 공공용지(public land), 건강, 해양 분야
등의 자원 관리자들이 그들의 의사결정과 연구를 위해 기
후 데이터 접근 요청
• 정책 수립 분야에서도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
하여 데이터 접근 필요
•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는 기후 데이터에 대한 물리적인
보존과 공유에 대한 이슈가 활발
출처: Overpeck, J. T., Meehl, G. A., Bony, S., and Easterling, D. R., “Climate Data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Science, Vol. 331, 2011.
10
Open Science principles
11
(그림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Open_science)
Open Data (1/2)
12
일부 데이터에 한해서 저작권이나 특허와 같은
제한 조건 없이 데이터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데
이터의 재사용과 재 출판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운동
이 운동의 사상은 그 역사가 오래 됨
해당 용어의 사용은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의
도래와 ‘Data.gov’, ‘Data.gov.uk’와 같
은 정부의 공공데이터 개방과 발맞추어 시작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
- 과학의 활성화 측면
- 국가 데이터 개방과 재활용 측면
‘과학 데이터(scientific data)로의 자유로운 접근’ 개념
67개국 참여 / 1957년 7월 - 1958년 12월 /
IGY(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프로젝트 수행과정에
서 세계 데이터 센터(World Data Center)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탄생
Open Data 키워드를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 공개와 재 사용
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
Open Data (2/2)
13
오픈 데이터는
오픈 사이언스를 가능케 하는 핵심 원칙 중 하나
데이터 중심 연구를 지원 과학의 활성화를 가능케 하는 운동
오픈 데이터와 오픈 사이언스를 통해
다양한 범 지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협동연구 가능
황사나 기후 변화와 같은 범 지구적 문제
해양 오염이나 생태계 변화 등의 환경 문제는
한 분야의 데이터 뿐 아니라
기상, 해양, 천문, 지리정보, 생태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분석함으로써 해결 가능
주요 선진국은
공공자금이 투입된 연구 결과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재사용을 보장하기 위해서
연구 데이터(research data) 관리
이러한 저변 노력이 오픈 데이터와 오픈 사이언스 운동을 활성화 시킬 것
Open
Access
14
연구자에게 다가올(?) 세상
15
연구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16
데이터의 중요성과 접근성
17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18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19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20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21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22
What is
Datanest ?
Research Data
Repository
23
Datanest
Data Model
Architecture
24
Object
Relations
25
Datanest
Major
Modules
26
Datanest
Data Mgmt.
Process
27
Datanest
System
Architecture
28
Datanest
Lifecycle
Actors’ Role
29
경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Q & A
30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Creative Commons Korea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3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3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3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3
Suntae Kim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Suntae Kim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2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2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2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2
Suntae Kim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최종회)_데이터 관리 계획서와 rdms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최종회)_데이터 관리 계획서와 rdms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최종회)_데이터 관리 계획서와 rdms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최종회)_데이터 관리 계획서와 rdms
Suntae Kim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Suntae Kim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Suntae Kim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glorykim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Suntae Kim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Suntae Kim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Han Woo PARK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datasciencekorea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Han Woo PARK
 

What's hot (13)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 - 김선태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3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3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3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3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2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2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2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2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최종회)_데이터 관리 계획서와 rdms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최종회)_데이터 관리 계획서와 rdms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최종회)_데이터 관리 계획서와 rdms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최종회)_데이터 관리 계획서와 rdms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연구 데이터와 DMP 대응 - CoreTrustSeal 분석-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2010 0603 이상호_과학데이터 아카이빙-이상호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1회)_연구 패러다임 변화와 데이터 집중 과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D bguide 데이터 기반 연구 패러다임(2회)_데이터 과학과 오픈 사이언스 운동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E-사이언스시대의 인문사회학 연구하기(박한우)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10.e 사이언스시대의인문사회학연구하기(박한우)
 

Similar to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Suntae Kim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AlexanderPark28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행사 소개 및 글로벌 동향 - 신하영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행사 소개 및 글로벌 동향  - 신하영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행사 소개 및 글로벌 동향  - 신하영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행사 소개 및 글로벌 동향 - 신하영
Creative Commons Korea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MinryungSong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 글로벌 OA 동향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 글로벌 OA 동향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 글로벌 OA 동향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 글로벌 OA 동향
Stella Hayoung Shin
 
국내 학술도서관과 오픈액세스 사례 - 임석종
국내 학술도서관과 오픈액세스 사례  - 임석종국내 학술도서관과 오픈액세스 사례  - 임석종
국내 학술도서관과 오픈액세스 사례 - 임석종
Creative Commons Korea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Hansung University
 
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
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
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Kangwook Lee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Han Woo PARK
 
융합사회의 정보분석의 매커니즘과 사례(11aug2010)sm
융합사회의 정보분석의 매커니즘과 사례(11aug2010)sm융합사회의 정보분석의 매커니즘과 사례(11aug2010)sm
융합사회의 정보분석의 매커니즘과 사례(11aug2010)smHan Woo PARK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daumfoundation
 
웹 3.0 세상을 바꾸고 있다 요약
웹 3.0 세상을 바꾸고 있다 요약웹 3.0 세상을 바꾸고 있다 요약
웹 3.0 세상을 바꾸고 있다 요약Konkuk University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 | Devon 2012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 | Devon 2012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 | Devon 2012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 | Devon 2012Daum DNA
 
빅데이터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의료서비스관점에서 | Devon 2012
빅데이터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의료서비스관점에서 | Devon 2012빅데이터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의료서비스관점에서 | Devon 2012
빅데이터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의료서비스관점에서 | Devon 2012Daum DNA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에서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에서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에서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에서Life Semantics, Inc.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Han Woo PARK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2Han Woo PARK
 
Triple helix 연구소개와-아시아_트리플헬릭스_학회설립_추진현황_자료
Triple helix 연구소개와-아시아_트리플헬릭스_학회설립_추진현황_자료Triple helix 연구소개와-아시아_트리플헬릭스_학회설립_추진현황_자료
Triple helix 연구소개와-아시아_트리플헬릭스_학회설립_추진현황_자료Han Woo PARK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JY LEE
 
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peptres
 

Similar to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20)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과학데이터와연구소재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데이터 노마디즘_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을 위한 다언어 다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_20201101_new_수정완료.pdf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행사 소개 및 글로벌 동향 - 신하영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행사 소개 및 글로벌 동향  - 신하영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행사 소개 및 글로벌 동향  - 신하영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행사 소개 및 글로벌 동향 - 신하영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과학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 글로벌 OA 동향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 글로벌 OA 동향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 글로벌 OA 동향
세계 오픈액세스 주간 & 글로벌 OA 동향
 
국내 학술도서관과 오픈액세스 사례 - 임석종
국내 학술도서관과 오픈액세스 사례  - 임석종국내 학술도서관과 오픈액세스 사례  - 임석종
국내 학술도서관과 오픈액세스 사례 - 임석종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
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
빅데이터전문가교육 2학기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융합사회의 정보분석의 매커니즘과 사례(11aug2010)sm
융합사회의 정보분석의 매커니즘과 사례(11aug2010)sm융합사회의 정보분석의 매커니즘과 사례(11aug2010)sm
융합사회의 정보분석의 매커니즘과 사례(11aug2010)sm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제11회 인터넷리더십 프로그램] 디지털 시대 지식의 공유 - 서정욱
 
웹 3.0 세상을 바꾸고 있다 요약
웹 3.0 세상을 바꾸고 있다 요약웹 3.0 세상을 바꾸고 있다 요약
웹 3.0 세상을 바꾸고 있다 요약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 | Devon 2012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 | Devon 2012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 | Devon 2012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 | Devon 2012
 
빅데이터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의료서비스관점에서 | Devon 2012
빅데이터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의료서비스관점에서 | Devon 2012빅데이터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의료서비스관점에서 | Devon 2012
빅데이터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의료서비스관점에서 | Devon 2012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에서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에서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에서
빅데이터 시각으로 본 공공데이터 활용 - 의료서비스 관점에서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2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2
웹보메트릭스와 계량정보학14 2
 
Triple helix 연구소개와-아시아_트리플헬릭스_학회설립_추진현황_자료
Triple helix 연구소개와-아시아_트리플헬릭스_학회설립_추진현황_자료Triple helix 연구소개와-아시아_트리플헬릭스_학회설립_추진현황_자료
Triple helix 연구소개와-아시아_트리플헬릭스_학회설립_추진현황_자료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IRU2016]CLASS02_SCIENTIFIC RESEARCH
 
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
 

More from Suntae 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Suntae Kim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Suntae Kim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Suntae Kim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Suntae Kim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Suntae Kim
 
Inside p cube
Inside p cubeInside p cube
Inside p cube
Suntae Kim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Suntae Kim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Suntae Kim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Suntae Kim
 

More from Suntae Kim (9)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Information retrieval by_suntae_kim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데이터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과학과 비과학 이야기: 너 그거 아니?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빅데이터의 다른 이야기 : Another Story about Big Data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What's the real big data in ksla domain
 
Inside p cube
Inside p cubeInside p cube
Inside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의과학지식의 공유플랫폼 P cube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4세대 r&d 패러다임과 도서관 서비스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기획 Kisti tdr(20100315,03,김선태)
 

학술데이터 공유 플랫폼_datanest_ccgs2015

  • 1. 학술데이터의 공유플랫폼 : Datanest 2015. 10. 15 Dr. 김선태 stkim@kisti.re.kr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2. 목 차 • 학술데이터의 공유를 둘러싼 Open Paradigm • 학술데이터의 공유 플랫폼 : Datanest 2
  • 3. Terms • 학술데이터 Scholarly Data • 연구데이터 Research Data • 과학데이터 Scientific Data • 연구 과학 데이터 Research Scientific Data • Data Science • Open Science • Open Data • Open Access 3
  • 5. 연구데이터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2/2) 5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제임스 웹 망원경 미국 중력파 검출장치 ‘LIGO’
  • 8. • 1960년 Peter Naur è ‘computer science’의 대체 용 어로 처음 사용. ‘datalogy’ 개념으로 사용 • 2015년 10월 현재 è 구조적 혹은 비구조적인 다양한 형식의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지식과 통찰력(insights) 를 추출하는 분야와 이의 행위를 돕는 시스템과 관련 된 다양한 분야 • 데이터 과학은 규모가 큰 빅 데이터에만 특화된 것이 아님. 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론들은 데이터 과학의 특화된 분야 중 하나일 뿐 • 데이터 과학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폭발적으로 사용되 고 있지만 많은 학자와 저널리스트들은 ‘데이터 과학’ 과 ‘통계학’의 차이점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과학이 부각되는 것을 비판 Data science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Data_science) Data Science (1/3) 8
  • 9. 수학, 통계학 계량분석화학 정보 과학, 컴퓨터 과학 신호처리 가능성 모델 기계학습, 통계학습 데이터 마이닝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엔지니어링 패턴 인식과 학습 가시화 미래분석 불확실성 모델링 데이터 웨어하우징 데이터 압축 컴퓨터 프로그래밍 인공 지능 고성능 컴퓨팅 … 농업 의료 마케팅 최적화 이상행위 감지 위기관리 마케팅 분석 공공 정책 … 기후 변화나 황사, 해 양 오염 등 범 지구적 문제 해결 노력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점을 조사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사용 Data Science (2/3) 9
  • 10. Data Science (3/3) • 기후 데이터의 경우, 과거에는 기후 분야를 연구하는 과학 자들이 주 사용 • 오늘날에는 물과 공공용지(public land), 건강, 해양 분야 등의 자원 관리자들이 그들의 의사결정과 연구를 위해 기 후 데이터 접근 요청 • 정책 수립 분야에서도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 하여 데이터 접근 필요 •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는 기후 데이터에 대한 물리적인 보존과 공유에 대한 이슈가 활발 출처: Overpeck, J. T., Meehl, G. A., Bony, S., and Easterling, D. R., “Climate Data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Science, Vol. 331, 2011. 10
  • 11. Open Science principles 11 (그림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Open_science)
  • 12. Open Data (1/2) 12 일부 데이터에 한해서 저작권이나 특허와 같은 제한 조건 없이 데이터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데 이터의 재사용과 재 출판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운동 이 운동의 사상은 그 역사가 오래 됨 해당 용어의 사용은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의 도래와 ‘Data.gov’, ‘Data.gov.uk’와 같 은 정부의 공공데이터 개방과 발맞추어 시작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 - 과학의 활성화 측면 - 국가 데이터 개방과 재활용 측면 ‘과학 데이터(scientific data)로의 자유로운 접근’ 개념 67개국 참여 / 1957년 7월 - 1958년 12월 / IGY(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프로젝트 수행과정에 서 세계 데이터 센터(World Data Center) 시스템을 만드는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탄생 Open Data 키워드를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 공개와 재 사용 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
  • 13. Open Data (2/2) 13 오픈 데이터는 오픈 사이언스를 가능케 하는 핵심 원칙 중 하나 데이터 중심 연구를 지원 과학의 활성화를 가능케 하는 운동 오픈 데이터와 오픈 사이언스를 통해 다양한 범 지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협동연구 가능 황사나 기후 변화와 같은 범 지구적 문제 해양 오염이나 생태계 변화 등의 환경 문제는 한 분야의 데이터 뿐 아니라 기상, 해양, 천문, 지리정보, 생태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분석함으로써 해결 가능 주요 선진국은 공공자금이 투입된 연구 결과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재사용을 보장하기 위해서 연구 데이터(research data) 관리 이러한 저변 노력이 오픈 데이터와 오픈 사이언스 운동을 활성화 시킬 것
  • 18.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18
  • 19.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19
  • 20.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20
  • 21.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21
  • 22. SCIENCE 저널 – Data 설문조사 22
  • 23. What is Datanest ? Research Data Repository 23